KR101626474B1 -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474B1
KR101626474B1 KR1020150019293A KR20150019293A KR101626474B1 KR 101626474 B1 KR101626474 B1 KR 101626474B1 KR 1020150019293 A KR1020150019293 A KR 1020150019293A KR 20150019293 A KR20150019293 A KR 20150019293A KR 101626474 B1 KR101626474 B1 KR 101626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sharing
talkgroup
members
sharing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룡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01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474B1/ko
Priority to US14/825,798 priority patent/US99421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474B1/ko
Priority to US15/919,286 priority patent/US1046941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04L51/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가, 제1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를 상기 제1 대화 그룹과 상이한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문서 식별자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 식별자에 상응하는 상기 문서를 검색하고,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문서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문서의 상기 제2 대화 그룹에서의 공유 현황을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DOCUMENT SHARING SERVICE BASED MESSENGE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보다 선별된 문서를 제공 받거나, 문서의 공유 현황을 보다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 등 통신망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통신망을 통한 메신저 서비스가 일반화되고 있다. 즉,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과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고 있다.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이동통신의 발전에 따라 모바일 메신저로서 국경을 초월하는 대중적인 대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고, 그 사용자의 수는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메신저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메신저 서비스는 사용자들 간 대화형식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끔 해주는 서비스이다.
한편, 최근 등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사용자들 간 정보 공유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강화시켜주는 온라인 플랫폼으로서 부수적으로 사용자들 간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2766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문서 공유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노출된 문서를 읽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속한 대화 그룹의 관심 분야에 맞는 문서만이 노출되어 보다 선별된 문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화창을 통해 전달되는 문서의 공유 현황을 집계하여 전달되는 문서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문서를 노출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노출된 문서의 공유 현황을 보다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버가, 제1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를 상기 제1 대화 그룹과 상이한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문서 식별자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 식별자에 상응하는 상기 문서를 검색하고,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문서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문서의 상기 제2 대화 그룹에서의 공유 현황을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제1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를 상기 제1 대화 그룹과 상이한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 상기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문서 식별자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 식별자에 상응하는 상기 문서를 검색하고,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문서를 송신하는 문서 송신부; 및 상기 문서의 상기 제2 대화 그룹에서의 공유 현황을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공유 현황 갱신부를 포함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문서 공유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노출된 문서를 읽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속한 대화 그룹의 관심 분야에 맞는 문서만이 노출되어 보다 선별된 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대화창을 통해 전달되는 문서의 공유 현황을 집계하여 전달되는 문서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문서를 노출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노출된 문서의 공유 현황을 보다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과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탑재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및 문서를 표시함에 있어서,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에 표시된 문서를 제2 대화 그룹에 전달하면, 해당 문서에 대한 공유 현황을 갱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서를 공유하고자 하는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문서 공유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에도 광고 제공,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광고 서비스, 검색, 이메일,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문서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해당 문서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문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탑재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작성한 사용자 작성 문서, 광고주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문서, 서비스 운영자가 제공하는 문서, 웹 페이지 등 외부 서버에 존재하는 문서를 자동 변환하여 생성한 변환 문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여기서 문서는 텍스트,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웹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Web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Web API)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음원,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웹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각종 웹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웹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는 우편번호 API 및 지도 A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3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3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4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과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400)은 사용자 단말기(300)들이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1)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 문서 송신부(165), 공유 현황 갱신부(170), 공유 현황 송신부(175), 랭킹 정보 제공부(180) 및 사전 변환부(190) 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부(110)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대화창 갱신 요청을 수신하거나, 대화 알림을 위한 푸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문서를 검색하는 작업, 공유 현황을 집계하는 작업, 문서들에 랭크를 부여하고 랭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작업, 문서들을 사전 변환 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대화 그룹 간 문서 전달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문서를 다른 대화 그룹으로 전달하고 공유 현황을 갱신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문서 전달 요청을 수신하면, 문서 송신부(165), 공유 현황 송신부(175) 및 랭킹 정보 제공부(18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문서, 공유 현황 및 랭킹 리스트를 전송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문서를 저장하는 문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150)에는 각 문서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문서 식별자가 저장될 수 있으며, 문서 식별자에는 문서 내용에 더불어 해당 문서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문서 식별자에는 해당 문서의 내용, 작성 시각, 작성자, 공유 현황, 문서 랭크 등이 매핑될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데이터베이스는 문서 공유 혹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등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종래의 문서를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예를 들면, 사용자 각각이 선별한 문서가 타사용자들에게 노출되면서 문서가 전달되는 형태를 띠어, 문서의 내용이 제한적이고, 특정 주제 혹은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서만을 노출하기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노출된 문서를 읽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웃이 많으면 많을수록, 각각의 이웃이 선별한 문서가 많아져 어떠한 문서를 읽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문서를 노출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노출된 문서가 얼마나 많은 사용자에게 전달되었는지, 즉 공유 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워, 특정 문서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문서가 전달되도록 하여, 노출된 문서를 읽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속한 대화 그룹의 관심 분야에 맞는 문서만이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화창을 통해 전달되는 문서의 공유 현황을 집계하여 전달되는 문서와 함께 제공하여, 문서를 노출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노출된 문서의 공유 현황을 보다 쉽게 파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문서의 서식을 대화창에 맞게 자동 변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문서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문서보다 용량이 작은 문서 식별자를 이용하여 문서를 전달함으로써, 보다 적은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문서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 문서 송신부(165), 공유 현황 갱신부(170), 공유 현황 송신부(175), 랭킹 정보 제공부(180) 및 사전 변환부(190)를 더 포함한다.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대화 그룹으로 문서를 전달하라는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고, 문서 송신부(165)는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문서 식별자를 획득한 후, 문서 식별자에 상응하는 문서를 특정 대화 그룹에 송신하고, 공유 현황 갱신부(170)는 특정 대화 그룹에서의 공유 현황을 바탕으로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하고, 공유 현황 송신부(175)는 갱신된 공유 현황을 특정 대화 그룹에 송신하고, 랭킹 정보 제공부(180)는 문서에 랭크를 부여하고, 랭크에 따라 랭킹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하고, 사전 변환부(190)는 문서를 대화창에서 표시하기 적합하도록 사전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문서 전달 요청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문서 전달 요청은, 예를 들어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어느 대화 그룹의 대화창에 표시된 문서를 다른 대화 그룹에 전달하기 위한 요청일 수도 있고, 인기 문서를 대화 그룹에 전달하기 위한 요청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새로이 작성한 문서를 대화 그룹에 전달하기 위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는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에 표시된 문서를 제1 대화 그룹과 상이한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제1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해당 문서에 대한 전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문서에 대한 전달 신호는 해당 문서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어, 해당 문서 자체가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에 전달되지 아니하고도, 해당 문서를 다른 대화 그룹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는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랭킹 리스트의 문서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는 사용자가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된 문서 작성기를 통해 작성한 문서에 대한 전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서를 대화 그룹 간 전달하거나, 별도의 기준에 따라 리스팅된 문서를 대화 그룹에 전달하거나,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를 대화 그룹에 전달하는 등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는 여러 가지 전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대화창에 표시된 문서나, 인기 문서는 문서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문서 식별자가 존재하며,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문서에 상응하는 문서 식별자를 포함하는 문서 전달 신호를 송신하면,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가 이를 수신하게 된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문서 작성기를 통해 새로이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가 작성된 문서의 전달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문서에 문서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문서 식별자는 해당 문서 내용에 더불어 해당 문서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과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대화 그룹에도 대화 그룹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대화 그룹 식별자가 존재하며,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문서를 전달할 대상인 대화 그룹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문서 전달 신호를 송신하면,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가 이를 수신하고, 문서 송신부(165)는 해당 대화 그룹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해당 문서를 송신하게 된다.
문서 송신부(165)는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160)가 수신한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문서 식별자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서 식별자에 상응하는 문서를 검색한다. 문서 송신부(165)는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대화 그룹의 식별자를 더 획득하고, 대화 그룹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각각에 상응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검색된 문서를 송신한다.
공유 현황 갱신부(170)는 문서들의 공유 현황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서들의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한다.
공유 현황 갱신부(170)는 문서가 전달된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해당 문서를 읽은 구성원의 식별자를 수집하여, 해당 문서를 읽은 전체 사용자 수를 갱신할 수 있고, 해당 문서가 전달된 대화 그룹 수를 집계하여, 해당 문서가 전달된 전체 대화 그룹 수를 갱신할 수 있다.
공유 현황 갱신부(170)는 복수의 문서에 대해 읽은 전체 사용자 수 혹은 전달된 대화 그룹 수를 집계할 수도 있다.
즉, 공유 현황 정보는 해당 문서를 읽은 전체 사용자 수, 해당 문서가 전달된 전체 대화 그룹 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문서를 읽은 구성원의 성별, 연령 등과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유 현황 정보는 위와 같이 각 문서에 대한 통계 정보일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의 문서들에 대한 통계 정보일 수도 있다.
공유 현황 송신부(175)는 문서들의 공유 현황이 문서와 함께 표시되도록,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문서들의 공유 현황 정보를 송신한다. 문서들의 공유 현황은 해당 문서의 상단 혹은 하단에 표시됨으로써, 해당 문서의 내용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랭킹 정보 제공부(180)는 문서들의 공유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각 문서들에 기설정된 기준에 따른 랭크(rank)를 부여한다. 랭킹 정보 제공부(180)는 문서들을 이용하여 랭킹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 때, 특정 기준에 따른 랭크대로 문서들이 리스팅되게 된다.
예를 들어, 각 문서의 전체 읽은 구성원 수가 많은 순서대로 높은 랭크를 부여하여 전체 읽은 구성원 수가 많은 순서대로 문서를 정렬하여 랭킹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문서의 전달 대화 그룹 수가 많은 순서대로 높은 랭크를 부여하여 전달 대화 그룹 수가 많은 순서대로 문서를 정렬하여 랭킹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랭킹 정보 제공부(180)는 문서의 공개여부 설정을 확인하고, 상기 문서가 공개로 설정된 경우에만 랭크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문서의 공개여부는 문서 작성자에 의해 '공개' 또는 '비공개'로 설정될 수 있다. '공개'로 설정된 문서의 경우 랭크가 부여될 수 있으나, '비공개'로 설정된 문서의 경우 랭크가 부여되지 않아 인기 문서 리스트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랭킹 정보 제공부(180)는 랭킹 리스트를 인기 문서 리스트로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랭킹 리스트에 표시된 문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어, 인기 문서를 손쉽게 대화 그룹들에 전달할 수 있다.
종래의 인스턴트 메신저의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경우, 링크 형태로서 별도의 웹 브라우저로 이동한 뒤 해당 웹 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되거나, 별도의 창으로 이동한 뒤 해당 창에 표시되는 등, 대화창을 이탈하여 멀티미티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시청에 부담을 느끼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전 변환부(190)를 통해 단말 어플리케이션에서 문서 및 인스턴트 메시지가 대화창을 통해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문서를 대화창 서식으로 사전 변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창 이동 없이 대화창 내에서 바로 문서의 텍스트를 읽거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에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문서 작성기 외에,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 내용을 대화창을 통해 적절히 표시될 수 있도록 사전 변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문서 내용을 복사하여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붙여 넣으면, 사전 변환부(190)가 해당 문서를 변환할 수 있다. 문서 내용은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지원 가능한 포맷(format)의 파일의 내용이거나, 웹 페이지의 내용 혹은 웹 페이지의 링크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사전 변환부(190)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지원 가능한 포맷의 파일로부터 헤더(header) 부분 및 본문(body) 부분만을 추출하고, 본문을 이루는 텍스트 크기 혹은 이미지 크기 등을 대화창에 상응하도록 사전 변환하여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웹 페이지의 내용 혹은 웹 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붙여 넣는 경우, 해당 웹 페이지의 헤더 부분 및 본문 부분만을 추출하여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의 경우, 대화창에 상응하도록 동영상의 해상도를 사전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창에 동영상이 표시되는 예를 들면, 대화창에 해당 동영상의 스냅샷이 표시된 뒤, 사용자가 해당 스냅샷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대화창에서 동영상을 바로 시청 가능하게끔 사전 변환부(190)에 의해 변환된 동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를 제1 대화 그룹과 상이한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10),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문서 식별자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서 식별자에 상응하는 문서를 검색하여 제2 대화 그룹에 문서를 송신하는 단계(S320), 및 문서의 제2 대화 그룹에서의 공유 현황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먼저,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1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를 제1 대화 그룹과 상이한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한다(S310).
여기서,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의 식별자 및 문서가 전달될 제2 대화 그룹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문서 식별자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서 식별자에 상응하는 문서를 검색하고,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문서를 송신한다(S320).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에는 문서 식별자 및 문서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고,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문서를 직접 전송 받는 것이 아니라 문서 식별자만을 문서 전달 신호에 의해 전송 받고, 문서 식별자에 매핑되어 저장된 문서를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문서의 제2 대화 그룹에서의 공유 현황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한다(S330).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에는 문서 식별자 및 해당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가 함께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상에는 현재 대화 그룹에서의 대화창(411)이 제1 화면(41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대화창(411)에는 문서(415)가 표시되며, 문서(415)에는 문서 내용에 더불어 문서 작성 시각(414), 문서 전달 인터페이스(416) 및 문서 공유 현황(418) 등이 포함된다. 예컨대, 구성원 수가 6명인 '가족방' 대화창(411)에는 '하반기 달라지는 정책~'에 관한 문서(415)가 표시되고, 문서(415)의 내용을 중심으로 좌상측에는 '2014. 10. 12'와 같은 문서 작성 시각(414)이 표시되고, 좌하측에는 '친구에게 전달'이라는 문서 전달 인터페이스(416)가 표시되고, 우상측에는 '51,201명'이 읽었음을 알려주는 문서 공유 현황(418)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417)가 문서 전달 인터페이스(416)를 선택하는 경우, 도 4(b)와 같이 문서(415)를 어느 대화 그룹에 전달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대화 그룹 선택창(421)이 제2 화면(42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예컨대, 대화 그룹 선택창(421)에는 '가족방', '기획2실', '기획2실기획팀' 등과 같은 대화 그룹 이름과 함께 해당 대화 그룹의 구성원 수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417)가 대화 그룹 선택창(421)에서 문서(415)를 전달할 대화 그룹(426)을 선택하는 경우, 도 4(c)와 같이 해당 대화 그룹(426)의 대화창(431)이 제3 화면(43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대화창(431)에는 대화창(411)에 표시되었던 문서(415)가 전달되어 표시되며, 문서 공유 현황(418)이 갱신되어 표시된다. 예컨대, 사용자(417)가 구성원 수가 7명인 '동네친구들' 대화 그룹(426)을 선택하면, '동네친구들' 대화 창에 문서(415)가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고, 제1 화면(410)에서 문서(415)를 읽은 구성원 수가 '51,201명'이었으나, 사용자(417)의 전달에 의해 문서(415)를 '동네친구들'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6명(본인을 제외함)이 더 읽게 되어 문서(415)를 읽은 구성원 수가 '51,207명'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417)가 현재 대화 그룹의 대화창(411)에 표시된 문서(415)에 대해 문서 전달 인터페이스(416)를 선택하고, 이어 표시되는 대화 그룹 선택창(421)에서 다른 대화 그룹(426)을 선택하면, 해당 다른 대화 그룹(426)의 대화창(431)에 문서(415)가 전달되어 표시되고, 문서(415)의 공유 현황(418)이 갱신되어 표시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상에는 현재 대화 그룹에서의 대화창이 제1 화면(51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대화창에는 인스턴트 메시지(511)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가족방' 대화창에는 '참고가 많이 된다~'는 인스턴트 메시지(511)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417)는 사용자 단말기의 클립보드에 복사된 내용을 인스턴트 메시지로서 붙여넣거나, 문서로서 붙여넣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417)가 대화 입력란(512)을 선택하고, 클립보드에 복사된 내용이 있는 경우, 해당 내용을 인스턴트 메시지로서 붙여 넣기 위한 '붙여넣기(paste)' 인터페이스(513) 및 해당 내용을 문서로서 붙여 넣기 위한 '핫토픽으로 붙여넣기(paste as hot topic)' 인터페이스(514)가 메시지 입력란(512) 상측에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417)가 '붙여넣기(paste)' 인터페이스(513)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내용에 포함된 텍스트 혹은 이미지가 인스턴트 메시지로서 붙여 넣어지고, 사용자(417)가 '핫토픽으로 붙여넣기(paste as hot topic)' 인터페이스(514)를 선택하는 경우, 제2 화면(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창에는 인스턴트 메시지(511)의 아랫쪽에 문서(525)가 붙여 넣어질 수 있다.
문서(525)가 붙여 넣어지는 경우, 해당 내용에 포함된 텍스트, 이모티콘,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웹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Web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Web API) 등을 대화창의 서식에 맞게 사전 변환되어 대화 그룹 구성원들이 대화창 내에서 별도의 창 이동 없이 해당 문서를 바로 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문서(525)에 포함된 동영상(526)은 대화창의 크기에 맞게 사전 변환되어 대화창 내에서 바로 재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417)가 인스턴트 메시지가 표시되던 대화창에 문서를 붙여넣기하여 대화 그룹 구성원들 간 문서를 공유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상에는 인기 문서 리스트(613)가 제1 화면(61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인기 문서 리스트(613)에는 인기 문서들이 표시되며, 인기 문서는 특정 기준에 따라 부여된 랭크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인기 문서 리스트(613)는 '유머' 카테고리의 문서들 중 전체 읽은 구성원 수(618)가 많은 순서대로 높은 순위 랭크를 부여한 것일 수 있다. 인기 문서(612)의 경우 '유머' 카테고리의 문서들 중 전체 읽은 구성원 수(618)가 '83,200,212명'으로 가장 많아 랭킹 1위(611)로서 인기 문서 리스트(613)의 가장 위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417)가 인기 문서(612)와 함께 표시된 문서 전달 인터페이스(614)를 선택하는 경우, 인기 문서(612)를 어느 대화 그룹에 전달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대화 그룹 선택창(621)이 제2 화면(62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417)가 대화 그룹 선택창(621)에서 인기 문서(612)를 전달할 대화 그룹(626)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대화 그룹(626)의 대화창(631)이 제3 화면(63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대화창(631)에는 인기 문서(612)가 전달되어 대화창 서식(635)으로 표시되며, 인기 문서(612)의 전체 읽은 구성원 수(618)가 '83,200,319명'으로 갱신된다. 예컨대, 대화 그룹(626)에 인기 문서(612)를 전달하는 시간 동안 해당 인기 문서(612)가 대화 그룹(626)의 구성원 수인 7명 외에, 다른 100명의 구성원들에게 더 읽혀져 제1 화면(610)에서의 전체 읽은 구성원 수(618)보다 107명 더 많이 읽은 것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417)가 인기 문서 리스트(613)에 표시된 인기 문서(612)에 대해 문서 전달 인터페이스(614)를 선택하고, 이어 표시되는 대화 그룹 선택창(621)에서 다른 대화 그룹(626)을 선택하면, 해당 다른 대화 그룹(626)의 대화창(631)에 인기 문서(612)가 전달되어 표시되고, 전체 읽은 구성원 수(618)가 갱신되어 표시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상에는 디스플레이된 인기 문서 리스트가 제1 화면(71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인기 문서 리스트의 제목 표시줄에는 문서 작성 인터페이스(714)가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417)가 문서 작성 인터페이스(714)를 선택하는 경우, 문서 작성창이 제2 화면(720)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문서 입력란(722)에 텍스트를 타이핑할 수 있다. 문서 작성창에는 메뉴바(723)가 더 표시되고, 메뉴바(723)에는 테마 설정 인터페이스, 카테고리 설정 인터페이스, 첨부파일 추가 인터페이스, 공개옵션 설정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바(723)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작성하는 문서의 테마 또는 카테고리를 설정하거나, 작성하는 문서에 첨부파일을 추가할 수 있고, 작성하는 문서의 공개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417)가 문서를 작성한 후에 문서 작성창의 제목 표시줄에 표시된 문서 전달 인터페이스(724)를 선택하는 경우, 도 4 또는 도 6에서와 마찬가지로 문서를 전달할 대화 그룹을 선택하는 창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417)가 직접 작성한 문서를 전달하여 대화 그룹 구성원들 간 문서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문서 공유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노출된 문서를 읽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속한 대화 그룹의 관심 분야에 맞는 문서만이 노출되어 보다 선별된 문서를 제공 받을 수 있고, 대화창을 통해 전달되는 문서의 공유 현황을 집계하여 전달되는 문서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문서를 노출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노출된 문서의 공유 현황을 보다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그램 저장부
140: 제어부
150: 데이터베이스
160: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
165: 문서 송신부
170: 공유 현황 갱신부
175: 공유 현황 송신부
180: 랭킹 정보 제공부
190: 사전 변환부

Claims (21)

  1. 서버가, 제1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를 상기 제1 대화 그룹과 상이한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문서 식별자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 식별자에 상응하는 상기 문서를 검색하고,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문서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문서의 상기 제2 대화 그룹에서의 공유 현황을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공유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서에 기설정된 기준에 따른 랭크(rank)를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문서의 공개여부 설정을 확인하고, 상기 문서가 공개로 설정된 경우에만 상기 랭크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랭크가 부여된 문서들을 이용하여 랭킹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랭킹 리스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랭킹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문서를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현황 정보는
    상기 문서를 읽은 사용자 수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상기 문서를 읽은 구성원의 식별자를 수집하여, 상기 문서를 읽은 사용자 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현황 정보는
    상기 문서가 전달된 전체 대화 그룹 수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문서를 송신하고, 상기 문서가 전달된 전체 대화 그룹 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 및 상기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문서의 갱신된 공유 현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는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 내 문서 작성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작성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문서 및 인스턴트 메시지가 대화창을 통해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문서를 상기 대화창 서식으로 사전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를 상기 제1 대화 그룹과 상이한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
    상기 문서 전달 신호로부터 문서 식별자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 식별자에 상응하는 상기 문서를 검색하고,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각각에 상응하는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문서를 송신하는 문서 송신부; 및
    상기 문서의 상기 제2 대화 그룹에서의 공유 현황을 바탕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를 갱신하는 공유 현황 갱신부
    를 포함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문서에 기설정된 기준에 따른 랭크(rank)를 부여하는 랭킹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정보 제공부는
    상기 문서의 공개여부 설정을 확인하고, 상기 문서가 공개로 설정된 경우에만 상기 랭크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정보 제공부는
    상기 랭크가 부여된 문서들을 이용하여 랭킹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랭킹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전달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1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랭킹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문서를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서 전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현황 정보는
    상기 문서를 읽은 전체 사용자 수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현황 갱신부는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구성원들 중 상기 문서를 읽은 구성원의 식별자를 수집하여, 상기 문서를 읽은 전체 사용자 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현황 정보는
    상기 문서가 전달된 전체 대화 그룹 수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현황 갱신부는
    상기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문서를 송신하고, 상기 문서가 전달된 전체 대화 그룹 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화 그룹의 대화창을 통해 표시된 문서 및 상기 문서의 공유 현황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어플리케이션들에 상기 문서의 갱신된 공유 현황 정보를 송신하는 공유 현황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는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 내 문서 작성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작성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문서 및 인스턴트 메시지가 대화창을 통해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문서를 상기 대화창 서식으로 사전 변환하는 사전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21.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10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또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19293A 2015-02-09 2015-02-09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626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93A KR101626474B1 (ko) 2015-02-09 2015-02-09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4/825,798 US9942178B2 (en) 2015-02-09 2015-08-13 Apparatus for providing document sharing service based on messaging service, and method using apparatus
US15/919,286 US10469415B2 (en) 2015-02-09 2018-03-13 Apparatus for providing document sharing service based on messaging service, and method using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93A KR101626474B1 (ko) 2015-02-09 2015-02-09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474B1 true KR101626474B1 (ko) 2016-06-01

Family

ID=5613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293A KR101626474B1 (ko) 2015-02-09 2015-02-09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942178B2 (ko)
KR (1) KR1016264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695B1 (ko) 2016-07-14 2017-12-0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서비스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10121417A (ko) 2020-03-30 2021-10-08 나채식 Sns 메신저에서의 정보 검색 및 문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165734B1 (en) 2020-06-10 2021-11-02 Snap Inc. Messaging system share-to-ch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10717A1 (en) * 2016-04-22 2017-10-26 Hey There, LLC System and method for instantiating a hidden secondary chat session for a primary chat session
US10915866B2 (en) * 2017-03-08 2021-02-09 Workstorm.Com Llc Chat and email messaging integration
US10685169B2 (en) * 2017-05-08 2020-06-16 Zoho Corporation Private Limited Messaging application with presentation window
CN110300135A (zh) * 2018-03-22 2019-10-01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文本内容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242944A (zh) * 2019-07-19 2021-01-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文件处理的方法以及相关装置
CN112291133B (zh) * 2019-07-22 2022-06-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跨端发送文件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21099644A (ja) * 2019-12-20 2021-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18120B2 (ja) * 2019-12-20 2024-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32343A (ja) * 2020-02-20 2021-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595861B (zh) * 2020-04-30 2023-01-1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4268435A1 (en) * 2020-12-23 2023-11-01 Snap Inc. Chat interface with dynamically populated menu el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445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네오위즈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120002766A (ko) 2010-07-01 2012-01-09 한국과학기술원 휴대 단말기의 위치 기반 말풍선 서비스 이용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30021725A (ko) * 2011-08-23 2013-03-06 주식회사 케이티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전달 방법
KR20140031834A (ko) * 2010-09-30 2014-03-13 아노나 코포레이션 에스에이 익명 프로파일들을 사용하여 타겟팅된 데이터를 분배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483295B1 (ko) * 2013-05-14 2015-01-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메시지 공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5776B1 (en) * 1999-10-15 2012-03-27 Sony Corpor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program storage medium
WO2009149466A1 (en) * 2008-06-06 2009-12-10 Meebo, In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JP2011209926A (ja) * 2010-03-29 2011-10-20 Fujifilm Corp チャット・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チャット中継サーバおよびチャット端末装置,これらの制御方法,ならびにチャット・システム
KR101295209B1 (ko) * 2012-02-01 2013-09-12 엔에이치엔(주) 클라우드 서버와의 양방향 연동을 통해 파일 공유를 제공하는 그룹 메시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4100374A2 (en) * 2012-12-19 2014-06-26 Rabbit,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haring and discovery
US9619522B2 (en) * 2014-03-20 2017-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social network feedba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445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네오위즈 웹사이트를 통한 피투피 방식의 파일 공유 및 검색과공유파일의 접근 권한을 공유그룹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120002766A (ko) 2010-07-01 2012-01-09 한국과학기술원 휴대 단말기의 위치 기반 말풍선 서비스 이용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40031834A (ko) * 2010-09-30 2014-03-13 아노나 코포레이션 에스에이 익명 프로파일들을 사용하여 타겟팅된 데이터를 분배하는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30021725A (ko) * 2011-08-23 2013-03-06 주식회사 케이티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전달 방법
KR101483295B1 (ko) * 2013-05-14 2015-01-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메시지 공유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695B1 (ko) 2016-07-14 2017-12-0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서비스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WO2018012871A1 (ko) * 2016-07-14 2018-01-1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기록 서비스 및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11050690B2 (en) 2016-07-14 2021-06-29 Coinplug, Inc. Method for providing recording and verification service for data received and transmitted by messenger service, and server using method
KR20210121417A (ko) 2020-03-30 2021-10-08 나채식 Sns 메신저에서의 정보 검색 및 문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165734B1 (en) 2020-06-10 2021-11-02 Snap Inc. Messaging system share-to-chat
WO2021252202A1 (en) * 2020-06-10 2021-12-16 Snap Inc. Messaging system share-to-chat
US11909705B2 (en) 2020-06-10 2024-02-20 Snap Inc. Messaging system share-to-ch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34135A1 (en) 2016-08-11
US10469415B2 (en) 2019-11-05
US20180205677A1 (en) 2018-07-19
US9942178B2 (en)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474B1 (ko) 메신저 기반 문서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08306810B (zh) 一种群组组建方法、服务器及终端
US9367832B2 (en) Synchronizing image data among applications and devices
KR101470346B1 (ko) Rcs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간 스크린 쉐어 방법
US10637931B2 (en) Image session identifier techniques
JP7219296B2 (ja) 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のためのサーバ、システム、ユーザ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205740A (zh) 统一通信应用程序
CN107040453B (zh) 一种用于即时通信应用的信息处理方法和装置
WO20120560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nting rights for content on a network service
KR20140015854A (ko) 공식 계정을 이용한 온에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9503410B2 (en) Sharing of activity metadata via messaging systems
US20140325601A1 (en) Managing private information in instant messaging
US201101971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community service
CN103108017A (zh) 用于传送内容的方法和设备
JP2014215783A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31202A (ja) ユーザーの連絡情報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1115883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2014215784A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08863B1 (ko) 기념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통합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62748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공유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7244602B2 (ja) 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JP6772320B2 (ja) 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KR20120087278A (ko) 소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질의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TWI651984B (zh) 以位置為基礎之操作管理方法及系統,及其電腦程式產品
KR101993053B1 (ko) 자가 문자 기반의 정보공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