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132A -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전송 스트림)송출장치, 그방법,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 송출프로그램,기록매체, 분배송신장치 및 분배송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전송 스트림)송출장치, 그방법,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 송출프로그램,기록매체, 분배송신장치 및 분배송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132A
KR20040014132A KR1020027016617A KR20027016617A KR20040014132A KR 20040014132 A KR20040014132 A KR 20040014132A KR 1020027016617 A KR1020027016617 A KR 1020027016617A KR 20027016617 A KR20027016617 A KR 20027016617A KR 20040014132 A KR20040014132 A KR 2004001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ing
component
broadcasting program
program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구치고이치로
모리도시야
가게모토히데키
다나카아키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1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switching information during the broadcast or the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1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comprising remotely distributed storage units, e.g. when movies are replicated over a plurality of video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1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9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는 다른 방송국으로부터 네트분배송신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기초로 자국이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한다. 판정리스트 기억부는 수신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선택리스트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자국에서 제작된 자국 프로그램요소로 교체하는 교체리스트 등을 기억하고 있다. 분리판정부는 수신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부터 TS 패킷을 분리하고, 선택리스트를 참조하며,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포함시키는 것을 치환합성부에 통지한다. 또, 분리판정부는 교체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가 있으면 마찬가지로 치환합성부에 통지한다. 치환합성부는 교체지시된 자국 프로그램요소를 프로그램요소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TS 패킷을 생성하고, 선택된 TS 패킷과 함께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서 다중화장치에 출력한다.

Description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전송 스트림)송출장치, 그 방법,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 송출프로그램, 기록매체, 분배송신장치 및 분배송신시스템{DATA BROADCAST PROGRAM TS(TRANSPORT STREAM)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DATA BROADCAST PROGRAM TRANSMISSION PROGRAM, RECORDING MEDIUM, DELIVERY APPARATUS, AND DELIVERY SYSTEM}
디지털방송의 발전에 따라 다수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가 제작되고, 각 방송국으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가 방송프로그램과 함께 TS에 다중화되어 방송되고 있다.
현재의 지상파 텔레비전방송에서는 키국에서 제작된 방송프로그램을 로컬국에 분배송신하고, 로컬국에서도 그 방송프로그램을 그대로 방송하는 네트분배송신이 행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위성방송을 CATV국에서 수신하고, CATV국으로부터 각 가정의 CATV 수신기에 재송신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에서는 지상파 텔레비전방송에서의 네트분배송신과 같은 복수의 방송국 상호간에서의 분배송신은 실시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에서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다중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및 분배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방송국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분배송신하는 분배송신처를 기재한 네트분배송신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방송국이 분배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판정리스트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한 수신기에서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판정리스트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리스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도 7의 선택리스트에 따라 방송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한 수신기에서의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도.
도 10은 상기 실시예의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교체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상기 실시예의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상기 실시예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한 수신기에서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3 실시예의 판정리스트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추가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상기 실시예의 프로그램요소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상기 실시예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한 수신기에서 시청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5 실시예의 다른 방송국과 본 장치를 구비하는 하나의 방송국에서 각각 방송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상기 실시예의 판정리스트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상기 실시예의 판정리스트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교체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6 실시예에서의 분배송신된 교체 전의 TS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상기 제 6 실시예에서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교체 후의 대역을 유지한 경우의 TS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상기 제 6 실시예에서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교체 후의 카루젤 1주기당 구성요소의 송신횟수를 유지한 경우의 TS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7 실시예에서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방송국으로부터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기초로 자국이 방송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그 방법, 분배송신장치 및 분배송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제 1 컨텐츠가 다중된 제 1 전송 스트림(TS)을 수신하고, 당해 제 1 TS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판정리스트 기억수단과,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수단과, 상기 분리판정수단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신된 제 1 TS로부터 자국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자국이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모두 자국에서 제작하는 것보다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은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자를 쌍으로 한 선택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선택리스트 기억부를 갖고, 상기 분리판정수단은 상기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분리된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상기 선택리스트에 기재된 포함시킨다고 하는 판정자에 쌍이 되는 식별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가 일치한다고 판정하였을 때 상기 출력수단에 분리된 구성요소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마다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미리 선택리스트에 기재해 둠으로써, 선택리스트를 참조하여 분배송신된 제 1 TS로부터 필요한 구성요소만을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포함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 자국에서 제작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자국구성요소를 기억하고 있는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은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다고 한 구성요소를 상기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 기억된 자국구성요소로 교체하는 것을 기재한 교체리스트를 기억하는 교체리스트 기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판정부에서 식별자가 일치한다고 된 구성요소가 교체해야 할 것인지의 여부를 상기 교체리스트를 참조하여 판정하는 교체판정부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통지부는 상기 교체판정부가 교체해야 할 것으로 판정하였을 때, 상기 출력수단에 교체지시를 통지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통지부로부터 교체지시를 받으면 상기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으로부터 지시된 자국구성요소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자국구성요소와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구성요소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생성하여출력하는 생성출력부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자국에서 제작된 자국구성요소로 교체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자국의 독자적인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자국구성요소는 모듈이며, 그 식별자와 함께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교체리스트에는 교체 전의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교체 후의 자국구성요소의 식별자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자국구성요소는 리소스이며, 그 식별자와 함께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교체리스트에는 교체 전의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교체 후의 자국구성요소의 식별자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자국구성요소는 이벤트 메시지이며, 그 식별자와 함께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교체리스트에는 교체 전의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교체 후의 자국구성요소의 식별자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듈, 리소스 또는 이벤트 메시지를 자국구성요소의 모듈, 리소스 또는 이벤트 메시지로 확실히 교체하여 자국의 독자적인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요소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에 삽입되는 CM과, 상기 CM의 처리타이밍을 제어하는 이벤트 메시지(EM)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CM이 교체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선택리스트에 상기 CM을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판정자가 기재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선택리스트에 당해 CM에 대응하는 EM의 판정자도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키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배송신된 제 1 컨텐츠에 CM과 EM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CM을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키지 않도록 했을 때에는 그 CM에 대응하는 EM은 필요없게 되므로, 그 EM도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출력수단은 제 1 TS의 대역을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서도 유지하는 것을 설정하고 있는 제 1 설정부와, 상기 교체리스트에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보다 자국구성요소의 크기가 작아서, 교체하는 TS 패킷이 여분이 되었을 때, 여분이 된 TS 패킷에 자국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된 TS 패킷을 반복 다중하는 반복 다중화부와, 상기 교체리스트에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보다 자국구성요소의 크기가 커서 교체할 TS 패킷이 부족했을 때, 다음 주기의 카루젤(carousel)의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에 자국구성요소의 TS 패킷을 다중하는 주기지연 패킷다중화부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할당된 대역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제 1 TS의 카루젤 1주기당 송신하는 구성요소수를 유지하는 것을 설정한 제 2 설정부와, 상기 교체리스트에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보다 자국구성요소의 크기가 작을 때, 여분이 된 TS 패킷을 NULL 패킷으로서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다중하는 NULL 패킷 다중화부와, 상기 교체리스트에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보다 자국구성요소의 크기가 클 때, 교체해야 할 자국구성요소의 TS 패킷을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강제적으로 삽입하는 패킷삽입 다중화부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 시청자의 리모트컨트롤 조작을 받아, 구성요소를 화면표시할 때의 응답시간을 분배송신된 제 1 TS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요소의 내용에 선국동작을 제어하는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 상기 스크립트에는 선국대상을 임시 식별자로 기재하고, 다른 구성요소에 임시 식별자와 실제 선국대상과의 대응을 기재한 식별자 표를 포함시키며, 상기 교체리스트에는 식별자 표가 기재되고, 상기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는 자국용 식별자 표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성요소의 내용에 국마다 다른 선국동작을 제어하는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에, 다른 구성요소에 간접참조용의 대응을 기재한 식별자 표를 포함시키고, 그 식별자 표를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 기억된 자국용 식별자 표로 교체함으로써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교체를 불필요하게 하고 있다.
또, 상기 생성출력부는 상기 통지부에서 통지된 구성요소로서, 교체지시된 구성요소를 파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불필요하게 된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자국에서 제작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자국구성요소를 그 식별자와 함께 기억하고 있는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추가해야 할 자국구성요소의 식별자를 기재한 추가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추가리스트 기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판정수단의 통지부는 상기 추가리스트에 기재된 식별자가 있을 때 식별자와 추가지시를 상기 출력수단에 추가로 통지하며, 상기 출력수단은 추가지시를 받으면 추가지시된 식별자로 식별되는 자국구성요소를 상기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자국구성요소와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구성요소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생성출력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덧붙여, 독자적인 자국구성요소를 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더욱 용이하게 충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자국구성요소는 모듈, 리소스 또는 이벤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덧붙여, 자국의 구성요소로서, 모듈, 리소스 또는 이벤트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요소는 TS 패킷으로 구성되고, 상기 식별자는 패킷식별자이며, 상기 판정자는 모두 포함시킨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는 분배송신된 제 1 TS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국에서 독자적으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할 필요가 없다.
또, 상기 출력수단은 자국에서 제작된 제 2 컨텐츠를 다중한 제 2 TS의 입력을 받아,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구성요소와 제 2 TS를 다중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은 분배송신된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와 자국에서 제작된 제 2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을 합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제 1 컨텐츠가 포함된 제 1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고, 당해 제 1 데이터스트림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스트림을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스트림 송출장치로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판정리스트 기억수단과, 수신한 제 1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수단과, 상기 분리판정수단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스트림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배송신된 제 1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자국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자국이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수신한 제 1 컨텐츠를 다중한 제 1 전송 스트림(TS)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방법으로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영역에 기억하는 판정리스트 기억단계와,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기억영역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단계와, 상기 분리판정단계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가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분배송신된 제 1 TS로부터 자국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자국이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여,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동일하게, 수신한 제 1 컨텐츠를 다중한 제 1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TS)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영역에 기억하는 판정리스트 기억단계와,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기억영역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단계와, 상기분리판정단계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가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동일하게 수신한 제 1 컨텐츠를 다중한 제 1 전송 스트림(TS)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영역에 기억하는 판정리스트 기억단계와,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고, 기억영역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단계와, 상기 분리판정단계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가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은 제 1 컨텐츠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TS)을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상기 제 1 컨텐츠를 분배송신하는 분배송신장치로서, 상기 제 1 컨텐츠의 방송시간과 식별정보를 기재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제 1 컨텐츠의 분배송신 전에 미리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배포하는 배포수단과, 상기 제 1 컨텐츠에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포함시킨 제 1 TS를 분배송신하는 분배송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분배송신장치로부터 분배송신된 제 1 TS를 수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는 컨텐츠정보를 기초로, 선택리스트, 교체리스트, 추가리스트의 작성과 함께 자국구성요소를 제작해 두고, 제 1 TS의 분배송신을 수신하여, 당해 제 1 TS에 기초하여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요소의 내용에 선국동작을 제어하는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 상기 스크립트에는 선국대상을 임시 식별자로 기재하고, 다른 구성요소에 임시 식별자와 실제의 선국대상과의 대응을 기재한 식별자 표를 포함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배송신처의 방송국에서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교체를 하지 않고, 식별자 표의 교체만을 함으로써 용이하게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컨텐츠정보에는 상기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가부정보가 추가로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배송신처의 방송국에서 구성요소를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은 제 1 컨텐츠를 분배송신하는 분배송신장치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TS)을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 이루어지는 분배송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분배송신장치는 상기 제 1 컨텐츠의 방송시간과식별정보를 기재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제 1 컨텐츠의 분배송신 전에 미리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배포하는 배포수단과, 상기 제 1 컨텐츠에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포함시킨 제 1 TS를 분배송신하는 분배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는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상기 컨텐츠정보를 참조하여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판정리스트 기억수단과,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수단과, 상기 분리판정수단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배송신장치는 예를 들면, 다른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제 1 TS를 하나의 방송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분배송신하여, 하나의 방송국으로부터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송출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ARIB(사단법인 전파산업회 : 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 표준규격 B24 1.0판 「디지털방송에서의 데이터방송 부호화방식과 전송방식」의 제 2편 9.1.1∼9.1.2절 「컨텐츠의 전송」 및 제 3편 제 6장 「디지털 카루젤 전송방식」의 규정에 따른다.
(제 1 실시예)
도 1은 하나의 방송국에 설치된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는 수신부(101)와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와, 분리판정부(103)와, 치환합성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101)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네트분배송신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분리판정부(103)에 통지한다.
다른 방송국(11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네트분배송신 리스트에 따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분배송신처의 방송국에 분배송신한다. 네트분배송신 리스트(201)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명란(202)과, PID(패킷식별자)란(203)과, 분배송신처란(20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네트분배송신 리스트(201)에서는 PID 단위로 네트분배송신처가 지정되어 있다.
여기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은 예컨대, 뉴스, 기상, 교통 등의 방송프로그램과 독립된 독립정보의 프로그램 및 방송프로그램의 내용을 보완하는 정보의 프로그램을 말하며, 방송시간 내이면 언제라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정보프로그램을 말한다.
도 3은 다른 방송국(111)이 도 2에 나타낸 제 2 방송국에 분배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301)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명란(302), PID란(303), 모듈명란(304), 리소스명란(305) 및 방송시간란(306)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는 모듈을 구성요소로 하고, 모듈은 리소스를 구성요소로 한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MPEG2(Moving Picture Expert Group 2) 규격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서 송출할 때에는 TS 패킷에 수용된다. TS 패킷에는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PID가 부여되어 있다. 패킷의 데이터길이는 고정길이이기 때문에 하나의 모듈이 복수의 패킷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 복수의 모듈에 동일한 PID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는 모듈 또는 리소스를 말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PID가 부여된 복수의 모듈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PID란(303)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서 송출될 때에 TS 패킷에 부여되는 PID가 기재되어 있다.
모듈명란(304)에는 모듈을 식별하는 모듈명이 기재되어 있다.
리소스명란(305)에는 리소스를 식별하는 리소스명이 기재되어 있다.
방송시간란(306)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방송시간대가 기재되어 있다. 이 시간대에 걸쳐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가 방송된다.
다른 방송국(111)은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가 설치된 제 2 방송국에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분배송신하기 전에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301)를 미리 통지한다.
제 2 방송국에서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제작자는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301)를 참조하여,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다중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자국으로부터 방송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검토하여 선택리스트를 작성한다.
또,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301)에서는 기상정보의 데이터 방송프로그램 이외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지만, 예컨대, 하루에 방송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통합하여 기재해도 된다. 또,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가 작성되어도 된다.
판정리스트 기억부(102)는 도 4에 나타내는 선택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다.
선택리스트(401)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명란(402), 방송시간란(403), PID란(404) 및 선택 플래그란(405)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명란(402)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 기재되어 있고, 방송시간란(403)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가 송출되는 시간대가 기재되어 있다. PID란(404)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가 수용된 TS 패킷의 PID가 기재되어 있다. 선택플래그란(405)에는 이 PID에서 식별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선택하는 즉, 자국으로부터 방송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에 포함시킬 때 「1」이 기재되고, 선택하지 않는 즉, 포함시키지 않을 때「0」이 기재되어 있다.
이 선택리스트(401)에서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단위를 PID 단위로 하고 있지만, 모듈단위나 리소스단위로 해도 된다.
또, 선택리스트(401)에서는 기상정보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이외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하루에 방송되는 다른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통합하여 기재해도 된다. 또,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마다 선택리스트를 작성하도록 해도 된다.
분리판정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통지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부터 TS 패킷을 분리한다.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리스트(401)의방송시간란(403)에 기재된 방송시간 내이고, 분리한 TS 패킷의 PID가 선택리스트(401)의 PID란(404)에 기재된 PID와 일치하는 경우, 선택리스트(401)의 선택플래그란(405)에「1」이 기재되어 있을 때 분리한 TS 패킷을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한다. 선택플래그란(405)에「0」이 기재되어 있을 때, 분리한 TS 패킷을 파기한다.
치환합성부(104)는 분리판정부(103)로부터 통지된 TS 패킷을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서 다중화장치(121)에 출력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포함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TS 패킷 모두에 대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그대로 다중화장치(121)에 출력하게 된다.
또, 치환합성부(104)는 통지된 TS 패킷에 부여된 PID를 재기입하여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가 설치된 방송국의 다중화장치(121)에서는 영상이나 음성을 다중한 방송프로그램의 TS에 치환합성부(10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다중화하여 각 수신장치에 송신한다(도시생략).
또, 각 수신장치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명 「기상정보」의 화면은 화면(501, 502, 503)으로 이루어진다. 화면(501)은 PID「100」, 모듈명「0000」, 리소스명「MOKUJI.BML」로 구성되고, 화면(502)은 PID「100」, 모듈명「0001」의리소스명「ZENKOKU.BML」과 「ZENKOKU_CHIZU.PNG」로 구성되며, 화면(503)은 PID「101」 모듈명「0010」리소스명「SEKAI.BML」로 구성된다.
화면(501)과 화면(502, 503)은 시청자의 리모트컨트롤 조작에 의해 바뀌어진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분리판정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통지를 받으면, 현재의 시각이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리스트(401)의 방송시간(403) 내의 시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02). 방송시간 외의 시각이면 S602로 되돌아가고, 방송시간 내의 시각이면 통지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부터 분리한 TS 패킷의 PID가 선택리스트(401)의 선택플래그(405)가 「0」인 PID(404)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04).
일치할 때는 S602로 되돌아가고, 일치하지 않을 때는 분리한 TS 패킷의 PID가 선택리스트(401)의 선택플래그(405)가 「1」인 PID(404)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06). 일치하지 않으면 S602로 되돌아가고, 일치하고 있을 때는 치환합성부(104)에 그 TS 패킷을 통지한다.
치환합성부(104)는 통지된 TS 패킷을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서 다중화장치(121)에 출력하고(S608), S602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서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리스트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택리스트(701)에서는 네트분배송신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기상정보」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중,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PID「100」인 TS 패킷을 선택하는 것이 선택플래그「1」로 표시되어 있고,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PID「101」인 TS 패킷을 선택하지 않은 것이 선택플래그「0」으로 표시되어 있다.
분리판정부(103)는 이 선택리스트(701)를 참조하여 다른 방송국(l11)으로부터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PID「100」인 TS 패킷을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하고, PID「101」인 TS 패킷을 파기한다.
치환합성부(104)는 자국의「기상정보」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서 PID「100」인 TS 패킷만을 다중화장치(121)에 송출한다.
이 결과, 다중화장치(121)로부터 방송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화면을 시청하게 된다. 화면(801)은 도 5의 화면(501)과 동일하며, 화면(802)은 도 5의 화면(502)과 동일하다. PID 101인 TS 패킷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도 5에 나타낸 화면(503)은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에서는 시청할 수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301)를 참조하여 선택리스트가 작성되었지만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301)에 각 구성요소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 하나의 방송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의 이용가부정보를 기재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는 이 이용가부정보를 참고로 선택리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는 수신부(101), 판정리스트 기억부(102), 분리판정부(103), 치환합성부(104) 및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 고유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수신부(101)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301)에서 표시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네트분배송신받고 있다.
판정리스트 기억부(102)는 도 4에 나타내는 선택리스트(401)와 함께 도 10에 나타내는 교체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다. 교체리스트(1001)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명란(1002), 방송시간란(1003), PID란(1004), 모듈명란(1005), 교체전 리소스명란(1006) 및 교체후 리소스명란(1007)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명란(1002)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명이 기재되고, 방송시간란(1003)에는 그 방송시간대가 기재되며, PID란(1004)에는 분배송신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TS 패킷의 PID가 기재되어 있다.
모듈명란(1005)에는 교체모듈명이 기재되어 있고,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모듈을 자국에서 제작한 동일 모듈명의 모듈로 치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모듈 전체를 교체할 때에는 교체전 리소스명란(1006)과 교체후 리소스명란(1007)은 공란이 된다.
교체전 리소스명란(1006)에는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리소스명이 기재되어 있고, 교체후 리소스명란(1007)에는 자국에서 제작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리소스가 기재되어 있으며,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자국에서 제작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리소스로 치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는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에서 제작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모듈이나 리소스를 기억하고 있다.
도 11은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되어 있는 PID「101」, 모듈명「0010」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1101)와, PID「100」, 모듈명「0001」의 리소스명「CHIHOU.BML」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1102)와, 동일한 리소스명「CHIHOU_CHIZU.PNG」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1103)를 나타낸다.
분리판정부(103)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네트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부(101)를 통해 통지받으면 TS 패킷을 분리한다.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리스트(401)를 참조하여 현재의 시각이 방송시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방송시간 내일 때는 선택 플래그가「1」인 PID와 분리한 TS 패킷의 PID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일치할 때에는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교체리스트(1001)를 참조하여, 분리한 TS 패킷의 PID와 일치하는 PID가 기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당해 TS 패킷을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한다. 기재되어 있을 때에는 교체리스트(1001)의 모듈명과 분리한 TS 패킷의 모듈명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일치할 때 교체전 리소스명란과 교체후 리소스명란이 공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공란일 때는 치환합성부(104)에 PID와 모듈명을 통지하고 교체지시를 한다.
분리판정부(103)는 교체리스트(1001)의 교체전 리소스명란에 기재된 리소스명과 분리한 TS 패킷의 리소스명이 일치할 때 PID와 모듈명과 교체후의 리소스명란에 기재된 리소스명을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하고, 교체지시를 한다.
치환합성부(104)는 분리판정부(103)로부터 교체지시와, PID와 모듈명과의 통지를 받으면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된 당해 모듈을 판독하여 TS 패킷을 생성한다. 또, 교체지시와, PID와 모듈명과 리소스명의 통지를 받으면 프로그램 기억부(901)에 기억된 당해 리소스를 판독하여 TS 패킷을 생성한다. 분리판정부(103)로부터 교체지시된 교체전의 TS 패킷은 파기된다. 치환합성부(104)는 분리판정부(103)로부터 통지된 TS 패킷과 교체지시에 의해 생성한 TS 패킷을 자국의 데이터 프로그램 방송 TS로서 다중화장치(121)에 출력한다.
또, 선택리스트(401)와 교체리스트(1001)가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을 때,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한 수신기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1201, 1202, 1203)을 시청할 수 있다.
화면(1201)은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가 그대로 이용되며, 화면(1202, 1203)은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에서 제작된 것이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는 자국의 독자적인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가 되는 모듈이나 리소스를 제작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 13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분리판정부(101)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통지를 받으면 현재의 시각이 선택리스트(401)의 방송시간 내의 시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1302), 방송시간 외일 때에는, 방송시간까지 기다리고, 방송시간 내이면 분리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TS 패킷의 PID가 선택리스트(401)의 선택플래그가 「1」인 PID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04).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TS 패킷을 파기하고(S1306), S1302로 되돌아간다. 일치할 때에는 분리한 TS 패킷의 PID가 교체리스트(1001)의 PID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08). 일치할 때, 분리한 TS 패킷의 모듈명과 교체리스트(1001)의 모듈명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10).
일치할 때, 교체리스트(1001)의 리소스명이 공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12). 공란이면 치환합성부(104)에 PID와 모듈명을 통지하고, 모듈의 교체지시를 하며(S1314), S1322로 이동한다.
리소스명이 공란이 아닐 때에는 분리한 TS 패킷의 리소스명과 교체리스트(1001)의 교체전의 리소스명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16). 일치할 때에는 치환합성부(104)에 PID와 모듈명과 교체후의 리소스명을 통지하고, 리소스의 교체를 지시하며, S1322로 이동한다.
S1308, S1310, S1316에서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판정부(103)는 분리한 TS 패킷을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하고, S1324로 이동한다.
S1322에서, 치환합성부(104)는 교체지시된 모듈 또는 리소스를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로부터 판독한다(S1322).
치환합성부(104)는 판독한 모듈 또는 리소스를 TS 패킷화하고, 통지된 TS 패킷과 함께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서 다중화장치(121)에 출력하고(S1324), S1302로 되돌아간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네트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자국에서 제작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와 교체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다시 네트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에 자국에서 제작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추가한다.
또, 본 실시예의 구성도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구성도와 동일하므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수신부(101)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301)에 표시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네트분배송신을 받고 있다.
판정리스트 기억부(102)는 선택리스트(401)와 교체리스트(1001)와 함께 추가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다.
추가리스트(1401)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명란(1402), 방송시간란(1403), PID란(1404), 모듈명란(1405) 및 리소스명란(1406)을 포함하고 있다.
이 추가리스트(1401)에는 PID「100」, 모듈명「0001」, 리소스명「CM.BML」의 리소스와, PID「100」, 모듈명「0002」의 모듈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로서 추가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에서 제작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기억하고 있다. 도 15는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인 리소스와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1501)는 PID「100」, 모듈명「0001」, 리소스명 「CM.BML」로 식별되고,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1502)는 PID「100」 모듈명 「0002」로 식별된다.
분리판정부(103)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부(101)로부터 통지를 받으면,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리스트(401)를 참조하여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포함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선택하고, 또한, 교체리스트(1001)를 참조하여 모듈 또는 리소스의 교체지시를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한다.
분리판정부(103)는 또한,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추가리스트(1401)를 참조하여 방송시간란(1403)에 기재된 방송시간대가 되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식별하는 PID와 모듈명과, 또는 PID와 모듈명과 리소스명을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하고,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추가를 지시한다.
치환합성부(104)는 분리판정부(103)로부터 추가의 지시를 받으면, 통지된 모듈 또는 리소스를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로부터 판독한다. 판독한 모듈 또는 리소스로부터 TS 패킷을 생성한다. 생성한 TS 패킷을 분리판정부(103)로부터 통지된 분배송신된 TS 패킷과 교체지시에 의한 TS 패킷과 함께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서 다중화장치(121)에 출력한다.
이 결과,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한 수신기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화면(1601)은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이고, 화면(1602)과 화면(1603)은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에서 제작되어 교체된 것이며, 화면(1604)과 화면(1605)은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에서 제작되어 추가된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 고유의 동작을 도 17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선택하는 동작 및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교체하는 동작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판정부(103)는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추가리스트(1401)가 기억되어 있을 때, 추가리스트(1401)에 기재된 방송시간 내가 되는 것을 기다리고(S1702), 추가리스트(1401)를 참조하여, 추가해야 할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가 기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704).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를 종료하고, 기재되어 있을 때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식별하는 PID, 모듈명, 리소스명을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하여 추가를 지시한다(S1706).
치환합성부(104)는 분리판정부(103)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의 추가지시를 받으면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되어 있는 모듈 또는 리소스를 판독하여 TS 패킷을 생성하고,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다중하여 다중화장치에 출력한다(S1708).
분리판정부(103)는 추가리스트(1401)의 방송시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1710), 방송시간 외가 되면 처리를 종료하고, 방송시간 내이면 S1704로 되돌아간다.
(제 4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송출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송출장치는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1801)는 독자적인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인 모듈이나 리소스를 제작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출력부(1802)에 통지한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출력부(1802)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1801)로부터 통지된 모듈이나 리소스를 TS 패킷화하여 치환합성부(104)에 출력한다.
치환합성부(104)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리판정부(103)로부터 통지되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네트분배송신된 TS 패킷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출력부(180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패킷을 다중하여,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서 다중화장치(121)에 출력한다.
(제 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송출장치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도 9에 나타내는 구성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다른 방송국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를 갖는 하나의 방송국에서 각각 송신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의 상단에는 다른 방송국이 네트분배송신과 함께 다른 방송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으로서 방송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다른 방송국(111)이 방송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1901)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의 ES(엘리먼터리 스트림)(1911)와, 전국용 CM의 ES(1912)와, 다른 방송국(111)용 CM의 ES(1913)와,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이벤트 메시지)의 ES(1914)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의 ES(1911)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의 모듈(1921)을 포함한다. 모듈(1921)은 PID「100」, 모듈명「0001」이 부여된 TS 패킷으로 되어 있고,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이다.
전국용 CM의 ES(1912)는 전국용 CM의 모듈(1922)을 포함한다. 모듈(1922)은PID「101」, 모듈명「0000」이 부여된 TS 패킷으로 되어 있고,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이다. 이 전국용 CM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과 함께 네트분배송신처의 예컨대, 하나의 방송국에서도 시청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다른 방송국(111)용 CM의 ES(1913)는 다른 방송국(111)용 CM의 모듈(1923, 1924)을 포함한다. 모듈(1923)은 PID「102」, 모듈명「0000」이 부여된 TS 패킷으로 되어 있고, 모듈(1924)은 PID「102」, 모듈명「0001」이 부여된 TS 패킷으로 되어 있으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이다. 다른 방송국(111)용 CM은 그 밖의 방송국(111)의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수신기로 시청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의 ES(1914)는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1925, 1926, 1927)을 포함한다. EM(1925)은 PID「103」, EMID(이벤트 메시지 식별자)「0000」이 부여된 TS 패킷으로 되어 있고, EM(1926)은 PID「103」 EMID「0001」이 부여된 TS 패킷으로 되어 있으며, EM(1927)은 PID「103」 EMID 「0002」가 부여된 TS 패킷으로 되어 있다. EM(1925, 1926, 1927)은 데이터방송을 구성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이다. 또, EM(1925)은 다른 방송국(111)용 CM의 모듈(1923)을 처리하는 타이밍을 수신기에 알리기 위한 트리거이고, EM(1926)은 전국용 CM의 모듈(1922)을 처리하는 타이밍을 수신기에 알리기 위한 트리거이며, EM(1927)은 다른 방송국(111)용 CM의 모듈(1924)을 처리하는 타이밍을 수신기에 알리기 위한 트리거이다.
다른 방송국(111)의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수신기에서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예컨대, 쇼핑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을 방송하고 있는 시간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의 모듈(1921)을 화면표시한다.
그리고,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1925)을 수신하였을 때, 다른 방송국용 CM(1913)의 모듈(1923)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하고 아울러 화면표시한다.
EM(1926)은 전국용 CM(1912)의 모듈(1922)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화면표시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EM(1927)은 다른 방송국(111)용 CM의 모듈(1924)을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화면표시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또,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의 ES(1914)에서, 전국용 CM의 ES(1912)와 다른 방송국(111)용 CM의 ES(1913)의 각 모듈의 처리개시타이밍을 동일한 ES(1914)로 하였지만, 다른 ES로 해도 된다. 즉, 다른 PID를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CM의 모듈(1922, 1923, 1924)의 처리, 즉, 메모리로의 저장이나 화면표시타이밍을 EM(1926, 1925, 1927)으로 나타내도록 하였지만, EM을 생략하고 각 CM의 모듈(1922, 1923, 1924)을 수신한 타이밍에서 메모리로의 저장이나 화면표시를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EM을 생략하고,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의 모듈(1921)의 버전이 갱신되었을 때에, CM의 모듈(1922, 1923, 1924)의 처리타이밍으로 해도 되고, 또 CM의 모듈(1922, 1923, 1924)의 버전이 갱신되었을 때에 처리타이밍으로 해도 된다.
또, CM의 모듈(1922, 1923, 1924)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만으로 했을 때에는, CM의 모듈(1922) 등의 화면표시의 제어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의 모듈(1921)에 의해 행해지지만, 모듈(1921)에 의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시에 화면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수신부(101)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1901)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네트분배송신을 받는다.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선택리스트와 도 21에 나타내는 교체리스트가 기억되어 있다.
선택리스트(2001)에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된 쇼핑정보(2002)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에 대하여 선택플래그(2003)가 기재되어 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는 PID(2004), 모듈명 또는 EMID(2005)로 식별된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의 ES의 모듈과 CM의 ES의 모듈은 PID와 모듈명으로 식별되고, EM은 PID와 EMID로 식별된다.
이 선택리스트(2001)를 참조하여 분리판정부(103)는 PID「102」, 모듈명 「0001」의 모듈(1924)과, PID「103」, EMID「0002」의 EM(1927)을 파기한다. 나머지의 선택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한다.
교체리스트(2101)에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된 쇼핑정보(2102)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교체지시가 기재되어 있다. 이 교체리스트(2101)에서는 PID「101」, 모듈명「0000」으로 식별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교체하는 것이 지시되어 있다.
분리판정부(103)는 PID「101」, 모듈명「0000」을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하는 동시에, 교체지시를 한다.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에서 제작된 PID「101」, 모듈명「0000」으로 식별되는 자국용 CM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기억하고 있다.
치환합성부(104)는 분리판정부(103)로부터 통지된 교체지시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되어 있는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에서 제작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를 판독하고, TS 패킷을 생성하고, 통지된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된 TS 패킷으로 치환한다.
치환합성부(104)는 이 교체리스트(2101)를 이용하여 분배송신된 다른 방송국(111)용 CM의 모듈(1923)을 자국에서 제작한 자국용 CM의 모듈로 치환하고 있다.
도 19의 하단에는 네트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1901)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1902)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1902)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의 ES(1911)와 전국용 CM의 ES(1912)와 자국용 CM의 ES(1931)와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의 ES(193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9의 상단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ES, 모듈 및 EM은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와 동일한 것이다.
자국용 CM의 ES(1931)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에서 제작된 것이며, 자국용 CM의 모듈(1941)은 치환합성부(104)에서 생성된 TS 패킷으로 구성된다.
또,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의 ES(1932)는 분배송신된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의 ES(1914)로부터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1927)이 파기된 것이다.
자국용 CM의 모듈(1941)은 하나의 방송국의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수신기로 시청되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국용 CM의 모듈(1922)에 대해서는 분배송신된 것을 그대로 이용했지만, 자국용 CM의 모듈로 교체해도 됨은 물론이다.
또, 하나의 방송국의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동작은 상술한 다른 방송국(111)의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동작과 거의 동일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송국용 CM의 모듈(1924)과 CM 처리타이밍을 나타내는 EM(1927)을 파기하였지만, 예컨대, NULL 패킷으로 교체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EM을 파기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자국용 CM의 모듈을 추가하고, 그것에 대응하여 EM을 추가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송국용 CM의 모듈(1923)을 자국용 CM의 모듈(1941)로 교체하고, 다른 방송국용 CM 모듈(1924)을 파기하도록 하나의 방송국에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301)를 참조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하였지만,다른 방송국(111)에서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에 구성요소마다 교체 가능, 교체 불가, 삭제 가능, 삭제 불가의 지정을 기재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를 수신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는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정보의 교체 가능 등의 지정에 따라, 선택리스트나 교체리스트를 작성하도록 한다.
(제 6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의 제 6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모듈 또는 리소스의 교체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도 9의 구성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치환합성부(103)는 분리판정부(103)에서,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다고 된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네트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TS 패킷의 통지를 받는다.
또, 치환합성부(103)는 분리판정부(103)로부터 패킷 PID「101」, 모듈명 「O010」인 모듈의 교체지시를 받고 있다.
도 22는 치환합성부(103)에 통지된 TS 패킷의 연속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이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201)의 카루젤의 1주기(2202) 중에 교체전의 PID「101」, 모듈명 「0010」인 모듈은 모듈(2203, 2204)로서 2개 포함되어 있다. 모듈(2203)은 2개의 TS 패킷(2205, 2206)으로 구성되고, 모듈(2204)로서 2개의 TS 패킷(2207, 2208)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모듈(2203, 2204)은 2개의 TS 패킷의 크기를 갖고, 1주기(2202) 중에 각각 1회씩 합쳐서 2회 송신된다.
치환합성부(103)는 네트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가 교체지시된 모듈 또는 리소스에 대하여, 자국이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대역을 유지하거나 1주기당 송신횟수를 유지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설정하고 있다.
치환합성부(103)에 대역유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치환합성부(103)는 교체지시를 받으면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되어 있는 지시된 PID와 모듈명의 모듈을 판독하여 TS 패킷을 생성하고, 통지된 TS(2201)의 교체전의 모듈(2203, 2204)을 구성하는 TS 패킷(2205, 2206, 2207, 2208)과 생성된 TS 패킷을 치환한다.
이 때, 교체후의 모듈의 크기가 작을 때나 클 때에는 TS 패킷수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1주기에 송신하는 모듈수가 변화한다.
도 23의 (a)는 교체후의 모듈크기가 1/2이 되었을 때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301)를 나타내고, 도 23의 (b)는 교체후의 모듈크기가 2배가 되었을 때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302)를 나타낸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301)에서는 교체후의 모듈이 하나의 TS 패킷으로 구성된다. 카루젤의 1주기(2303) 중에 교체후의 PID「101」, 모듈명「0010」인 모듈은 모듈(2304, 2305, 2306, 2307)로서 4개 포함된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302)에서는 교체후의 모듈이 4개의 TS 패킷으로 구성된다. 카루젤의 1주기(2308) 중에 교체후의 PID「101」, 모듈명「0010」인 모듈은 모듈(2309)로서 1개 포함된다. 모듈(2309)은 4개의 TS 패킷(2310, 2311, 2312, 2313)으로 구성된다.
치환합성부(103)에 1주기당 송신횟수의 유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치환합성부(103)는 교체지시를 받으면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되어 있는 지시된 PID와 모듈명의 모듈을 판독하여 TS 패킷을 생성하는 동시에, 교체전 모듈의 크기와 교체후 모듈의 크기를 비교한다.
예컨대, 교체후의 모듈크기가 1/2이 되었을 때에는 교체전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201)에서는 2개의 모듈(2203, 2204)이 1주기(2202) 중에 포함되어 있었으므로, 교체후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서도 교체후의 모듈이 2개 포함되도록 한다.
그 때문에, 치환합성부(103)는 교체전의 모듈을 구성하는 TS 패킷의 1/2을 NULL 패킷으로 치환한다.
또, 교체후의 모듈크기가 2배가 되었을 때에는 교체전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201)에서는 2개의 모듈(2203, 2204)이 1주기(2202) 중에 포함되어 있었으므로, 교체후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서도 교체후의 모듈이 2개 포함되도록 한다.
그 때문에, 치환합성부(103)는 교체전의 모듈을 구성하는 TS 패킷을 모두 교체후의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는 TS 패킷으로 치환하고, 또 1주기 중에 하나의 교체후의 모듈을 삽입한다.
도 24의 (a)는 교체후의 모듈크기가 1/2이 되었을 때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401)를 나타내고, 도 24의 (b)는 교체후의 모듈크기가 2배가 되었을 때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402)를 나타낸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401)에서는 교체후의 모듈이 하나의 TS 패킷으로구성된다. 카루젤의 1주기(2403) 중에 교체후의 PID「101」, 모듈명「0010」인 모듈(2404, 2405)과의 사이에 NULL 패킷(2406)이 치환되고, 모듈(2405) 후에 NULL 패킷(2407)이 치환된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2402)에서는 교체후의 모듈이 4개의 TS 패킷으로 구성된다. 카루젤의 1주기(2408) 중에 교체후의 모듈(2409, 2410)은 2개 포함된다. 모듈(2409)은 4개의 TS 패킷(2411, 2412, 2413, 2414)으로 구성되고, 모듈(2410)은 4개의 TS 패킷(2415, 2416, 2417, 2418)으로 구성된다. 이 때, 교체전의 TS 패킷(2205∼2208)보다 교체후의 TS 패킷수가 많으므로, 1주기(2408) 중에 교체후의 TS 패킷이 여분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1주기(2403, 2408) 중에 출현하는 모듈의 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역은 변화한다.
또, 교체지시된 모듈 또는 리소스의 크기가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된 교체해야 할 모듈 또는 리소스의 크기와 일치할 때에는 대역의 유지와 1주기당 송신횟수의 유지는 동일한 결과가 된다.
(제 7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송출장치의 제 7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9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네트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인 모듈 또는 리소스를 자국에서 제작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인 모듈 또는 리소스로 교체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모듈 또는 리소스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의 송신을 수신한 수신기에 의해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수신기의 제어에 이용되는 내용이다.
도 25의 상단에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일례가 표시되고, 하단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일례가 표시되고 있다.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2501)에는 리소스(2511)와 동일하게 리소스인 프로그램표(2521)가 포함되어 있다.
이 리소스(2511)에는 선국을 나타내는 스크립트(2512)가 기재되어 있다. 예컨대, 이 스크립트(2512)에 의해 다른 방송국(111)의 영역의 수신기에서는, 실제로 프로그램번호「0222」가 선국되어 선국동작이 행해지지만, 선국처의 실제 프로그램번호를 기재하지 않고, 임시 프로그램명(2513)이 기재되어 있다. 이 임시 프로그램명(2513)의「SERVICE_A」와 실제 프로그램번호「0222」를 대응시키는 프로그램표 (2521)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2501)에 포함되어 있다.
프로그램표(2521)는 이 밖에도 임시 프로그램명(2522)과 실제 프로그램번호(2523)를 대응시키고 있다.
리소스(2511)에 직접 실제 프로그램번호를 기재하도록 하면, 이 리소스 (2511)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로서 분배송신된 방송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 이 리소스(2511)를 교체할 필요가 생긴다. 실제의 프로그램번호는 다른 방송국(111)의 방송영역에서 선국에 이용되는 것으로, 하나의 방송국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임시 프로그램번호(2522)와 실제 프로그램번호(2523)를 대응시킨 프로그램표(2521)를 별도로 이용함으로써, 리소스(2511)를 범용성이 있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로 하고 있다.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를 구비하는 하나의 방송국에서는, 프로그램표(2521)로 교체하는 자국 영역의 수신기에서 선국에 이용하는 실제의 프로그램번호와 임시 프로그램명을 대응시킨 프로그램표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 제작장치(902)에서 제작된다. 이 프로그램표는 도 25의 하단에 나타내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2502)에 포함되는 프로그램표(2531)이다.
이 프로그램표(2531)는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되어 있다. 또, 이 프로그램표(2531)는 분배송신된 프로그램표(2521)와 동일한 PID와 모듈명이 부여되고, 리소스명은 자국의 독자적인 것이 부여될 때도 있다.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는 프로그램표(2521)를 프로그램표(2531)로 교체해야 하는 것을 기재한 교체리스트가 기억되어 있다.
수신부(101)는 다른 방송국(111)으로부터 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2501)를 포함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수신하여 분리판정부(103)에 통지한다.
분리판정부(103)는 통지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TS 패킷으로 분리하여, 판정리스트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는 선택리스트에 따라,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포함시키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인 모듈이나 리소스를 구성하는 TS 패킷을 치환합성부(104)에 통지한다.
분리판정부(103)는 또한 교체리스트에 따라, 통지한 TS 패킷 중 리소스인 프로그램표(2521)의 교체지시를 치환합성부(104)에 지시한다.
치환합성부(104)는 교체지시에 따라, 프로그램요소 기억부(90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표(2531)를 판독하여 TS 패킷을 생성한다. 통지된 TS 패킷과 함께 교체해야 할 TS 패킷을 교체하고,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다중하여 다중화장치(121)에 출력한다.
도 25의 하단에 나타낸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2502)를 포함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부터 출력된다.
이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2502)에서는 분배송신된 프로그램표(2521) 대신에 프로그램표(2531)가 포함되어 있다.
리소스(2511)는 분배송신된 것이 그대로 이용되고 있다. 임시 프로그램명 (2513)의「SERVICE_A」는 프로그램표(2531)를 참조하여, 실제의 프로그램번호「0666」이 하나의 방송국으로부터 송신을 받은 수신기에서 선국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리소스(2511)에서 참조해야 할 프로그램번호를 간접 참조하도록 하였으므로, 리소스(2511)를 교체하지 않고, 변경사항을 대응시킨 프로그램표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하고 있으므로, 효율적인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요소의 변경이 가능해진다.
또, 프로그램표(2521, 2531)는 텍스트형식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이진형식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리소스형식으로 하였지만, 모듈형식으로방송되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송국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만을 하나의 방송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분배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방송프로그램의 TS에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다중한 것을 분배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를 도 1, 도 9, 도 18의 구성도에 나타내었지만,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컴퓨터에 발휘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해 두고, 네트분배송신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로부터 자국의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는 다른 방송국으로부터 MPEG2 규격에 따르는 제 1 방송프로그램 TS의 분배송신을 받아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MPEG2 규격에 따르는 TS와 다른 IP(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르는 IP 패킷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스트림의 분배송신을 받아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스트림을 송출하는 것으로 해도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는 디지털방송의 방송프로그램과 함께 TS에 다중화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할 때, 다른 방송국으로부터 네트분배송신된 제 1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모두 자국에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종래에 비해 효율적인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서 방송국에서 채용할 수 있다.

Claims (22)

  1. 제 1 컨텐츠가 다중된 제 1 전송 스트림(TS)을 수신하고, 당해 제 1 TS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있어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판정리스트 기억수단과,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수단과,
    상기 분리판정수단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은,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자를 쌍으로 한 선택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선택리스트 기억부를 갖고,
    상기 분리판정수단은,
    상기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분리된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상기 선택리스트에 기재된 포함시킨다고 하는 판정자에 쌍이 되는 식별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가 일치한다고 판정하였을 때, 상기 출력수단에 분리된 구성요소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자국에서 제작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자국구성요소를 기억하고 있는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은,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다고 한 구성요소를 상기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 기억된 자국구성요소로 교체하는 것을 기재한 교체리스트를 기억하는 교체리스트 기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판정부에서 식별자가 일치한다고 된 구성요소가 교체해야 할 것인지의 여부를 상기 교체리스트를 참조하여 판정하는 교체판정부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통지부는 상기 교체판정부가 교체해야 할 것으로 판정하였을 때, 상기 출력수단에 교체지시를 통지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통지부로부터 교체지시를 받으면 상기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으로부터 지시된 자국구성요소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자국구성요소와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구성요소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생성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구성요소는 모듈이며, 그 식별자와 함께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교체리스트에는 교체전의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교체후의 자국구성요소의 식별자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구성요소는 리소스이며, 그 식별자와 함께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교체리스트에는 교체전의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교체후의 자국구성요소의 식별자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구성요소는 이벤트 메시지이며, 그 식별자와 함께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교체리스트에는 교체전의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의 식별자와 교체후의 자국구성요소의 식별자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에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본편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에 삽입되는 CM과, 상기 CM의 처리타이밍을 제어하는 이벤트 메시지(EM)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CM이 교체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선택리스트에 상기 CM을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키지 않는다는 판정자가 기재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선택리스트에 당해 CM에 대응하는 EM의 판정자도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제 1 TS의 대역을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라도 유지하는 것을 설정하고 있는 제 1 설정부와,
    상기 교체리스트로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보다도 자국구성요소의 크기가 작아서, 교체할 TS 패킷이 여분이 되었을 때, 여분이 된 TS 패킷에 자국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된 TS 패킷을 반복 다중하는 반복 다중화부와,
    상기 교체리스트에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보다도 자국구성요소의 크기가 커서, 교체할 TS 패킷이 부족하였을 때, 다음 주기의 카루젤의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에 자국구성요소의 TS 패킷을 다중하는 주기지연패킷 다중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제 1 TS의 카루젤 1주기당 송신하는 구성요소수를 유지하는 것을 설정한 제 2 설정부와,
    상기 교체리스트에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보다도 자국구성요소의 크기가 작을 때, 여분이 된 TS 패킷을 NULL 패킷으로서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다중하는 NULL 패킷 다중화부와,
    상기 교체리스트에 교체한다고 기재된 구성요소보다도 자국구성요소의 크기가 클 때, 교체해야 할 자국구성요소의 TS 패킷을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에 강제적으로 삽입하는 패킷삽입 다중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의 내용에 선국동작을 제어하는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
    상기 스크립트에는 선국대상을 임시 식별자로 기재하고, 다른 구성요소에 임시 식별자와 실제 선국대상과의 대응을 기재한 식별자 표를 포함시키며,
    상기 교체리스트에는 식별자 표가 기재되고,
    상기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에는 자국용 식별자 표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출력부는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구성요소로서, 교체지시된 구성요소를 파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자국에서 제작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자국구성요소를 그 식별자와 함께 기억하고 있는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추가해야 할 자국구성요소의 식별자를 기재한 추가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추가리스트 기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판정수단의 통지부는,
    상기 추가리스트에 기재된 식별자가 있을 때 식별자와 추가지시를 상기 출력수단에 추가로 통지하며,
    상기 출력수단은,
    추가지시를 받으면 추가지시된 식별자로 식별되는 자국구성요소를 상기 자국구성요소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서 판독된 자국구성요소와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구성요소로부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생성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구성요소는 모듈, 리소스 또는 이벤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TS 패킷으로 구성되며,
    상기 식별자는 패킷식별자이고,
    상기 판정자는 모두 포함시킨다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자국에서 제작된 제 2 컨텐츠를 다중한 제 2 TS의 입력을 받아, 상기 통지부로부터 통지된 구성요소와 제 2 TS를 다중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
  16. 제 1 컨텐츠가 포함된 제 1 데이터스트림을 수신하고, 당해 제 1 데이터스트림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스트림을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스트림 송출장치에 있어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판정리스트 기억수단과,
    수신한 제 1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수단과,
    상기 분리판정수단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스트림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데이터스트림 송출장치.
  17. 수신한 제 1 컨텐츠를 다중한 제 1 전송 스트림(TS)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방법에 있어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영역에 기억하는 판정리스트 기억단계와,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기억영역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단계와,
    상기 분리판정단계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방법.
  18. 수신한 제 1 컨텐츠를 다중한 제 1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TS)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영역에 기억하는 판정리스트 기억단계와,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기억영역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단계와,
    상기 분리판정단계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 프로그램.
  19. 수신한 제 1 컨텐츠를 다중한 제 1 전송 스트림(TS)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영역에 기억하는 판정리스트 기억단계와,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기억영역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단계와,
    상기 분리판정단계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0. 제 1 컨텐츠에 기초하여,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TS)을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상기 제 1 컨텐츠를 분배송신하는 분배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의 방송시간과 식별정보와 상기 제 1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의 가부정보를 기재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제 1 컨텐츠의 분배송신 전에 미리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배포하는 배포수단과,
    상기 제 1 컨텐츠에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포함시킨 제 1 TS를 분배송신하는 분배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송신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의 내용에 선국동작을 제어하는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 상기 스크립트에는 선국대상을 임시 식별자로 기재하고, 다른 구성요소에 임시 식별자와 실제 선국대상과의 대응을 기재한 식별자 표를 포함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송신장치.
  22. 제 1 컨텐츠를 분배송신하는 분배송신장치와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전송 스트림(TS)을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로 이루어지는 분배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배송신장치는,
    상기 제 1 컨텐츠의 방송시간과 식별정보를 기재한 컨텐츠정보를 상기 제 1 컨텐츠의 분배송신 전에 미리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 배포하는 배포수단과,
    상기 제 1 컨텐츠에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포함시킨 제 1 TS를 분배송신하는 분배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 송출장치는,
    자국의 송신하는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의 구성요소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상기 컨텐츠정보를 참조하여 기재한 판정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는 판정리스트 기억수단과,
    수신한 제 1 TS로부터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상기 판정리스트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정리스트에 따라, 당해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분리판정수단과,
    상기 분리판정수단에서 포함시킨다고 판정된 구성요소를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컨텐츠에 포함시킨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TS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송신 시스템.
KR1020027016617A 2001-04-05 2002-04-05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전송 스트림)송출장치, 그방법,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 송출프로그램,기록매체, 분배송신장치 및 분배송신시스템 KR20040014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07727 2001-04-05
JPJP-P-2001-00107727 2001-04-05
JP2001276329 2001-09-12
JPJP-P-2001-00276329 2001-09-12
JP2001372044 2001-12-05
JPJP-P-2001-00372044 2001-12-05
JPJP-P-2002-00031282 2002-02-07
JP2002031282 2002-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132A true KR20040014132A (ko) 2004-02-14

Family

ID=2748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617A KR20040014132A (ko) 2001-04-05 2002-04-05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전송 스트림)송출장치, 그방법,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 송출프로그램,기록매체, 분배송신장치 및 분배송신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43402B2 (ko)
EP (1) EP1376913A4 (ko)
JP (1) JP3715624B2 (ko)
KR (1) KR20040014132A (ko)
CN (1) CN1299504C (ko)
WO (1) WO2002082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8472B2 (en) 2000-08-22 2009-07-07 Tivo Inc.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system
US6233389B1 (en) 1998-07-30 2001-05-15 Tivo, Inc. Multimedia time warping system
EP2200296B1 (en) 1999-09-20 2018-01-31 TiVo Solutions Inc. Closed caption tagging system
AU2262601A (en) * 1999-12-21 2001-07-03 Tivo, Inc.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s of recommending media content items based on userpreferences
WO2002082699A1 (fr) 2001-04-05 2002-10-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et appareil de transmission de flux de transport (ts) d'emission de radiodiffusion de donnees, chaine de transmission d'emission de radiodiffusion de donnees, moyen d'enregistrement, appareil de delivrance et systeme de delivrance
EP1671478A4 (en) * 2003-10-02 2007-11-28 Tivo Inc MODIFICATION OF ADVERTISING MESSAGES FOR VARIABLE SPEED READING
WO2005053192A1 (ja) * 2003-11-26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コンテンツ送信装置
JP4398238B2 (ja) * 2003-12-12 2010-01-13 日本テレビ放送網株式会社 データ放送のコンテンツ変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
US9967534B1 (en) 2004-11-19 2018-05-08 Tivo Solutions Inc. Digital video recorder video editing system
JP2006211117A (ja) * 2005-01-26 2006-08-10 Sharp Corp コンテンツ保護システム
JP4308178B2 (ja) * 2005-09-02 2009-08-05 リーダー電子株式会社 放送tsの一部を修正する装置
EP1768285A1 (en) * 2005-09-23 2007-03-28 Udcast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compliant transport stream
JP4509908B2 (ja) * 2005-10-05 2010-07-21 東芝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受局データ放送送出システム及び受局データ放送送出方法
US7661121B2 (en) 2006-06-22 2010-02-09 Tivo, Inc. In-band data recognition and synchronization system
KR101258130B1 (ko) * 2006-08-09 2013-04-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통신방법 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
JP4607857B2 (ja) * 2006-12-27 2011-01-05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放送信号送出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信号送出方法
JP2008205979A (ja) 2007-02-22 2008-09-04 Hitachi Ltd 放送データ変換装置
BRPI0721261A2 (pt) * 2007-03-08 2011-11-01 Thomson Licensing método, aparelho e sistema para fluxo de trabalho de distribuição coordenada de conteúdo
US8438596B2 (en) 2009-04-08 2013-05-07 Tivo Inc. Automatic contact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CN102316365A (zh) * 2010-07-07 2012-01-11 北京华信泰机电设备有限公司 实现cmmb网络局域范围不同内容广播的方法
EP2712183A4 (en) * 2011-05-19 2014-12-10 Japan Broadcasting Corp DIFFUSION EQUIPMENT
US9503761B2 (en) 2015-02-03 2016-11-22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Method and system for localized replacement of base content in video feed, with replacement-media delivered in broadcast-TV transport strea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319A (en) 1989-10-23 1992-03-24 Esch Arthur G Video information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JPH0621907A (ja) * 1991-09-10 1994-01-28 New Media Corp 多重媒体送出ネットワーク方法および装置
US5412416A (en) * 1992-08-07 1995-05-02 Nbl Communications, Inc. Video media distributio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JP3309313B2 (ja) * 1992-10-27 2002-07-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番組動的構成分配システム
CA2151462C (en) * 1992-12-09 2004-02-24 John S. Hendricks Television program delivery system
SE9403109D0 (sv) * 1994-09-16 1994-09-16 Limt Technology Ab Local insertion of digital material in analogue and digital broadcasting
JP3804099B2 (ja) 1996-04-12 2006-08-02 ソニー株式会社 映像素材供給装置及び方法、映像素材挿入装置及び方法
IL118687A0 (en) 1996-06-20 1996-10-16 Antman Amnon Method and system for on the fly substitution of a section of a broadcast signal
US5886995A (en) * 1996-09-05 1999-03-23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Dynamic mapping of broadcast resources
JPH11112944A (ja) * 1997-10-03 1999-04-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伝送媒体
JP3622451B2 (ja) * 1997-10-03 2005-02-2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CA2273940C (en) 1997-10-03 2008-12-09 Sony Corporation Encoded stream splicing device and method, and an encoded stream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JPH11146380A (ja) 1997-11-13 1999-05-28 Sony Corp 情報中継装置
JPH11187310A (ja) * 1997-12-22 1999-07-09 Sony Corp ディジタル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ィジタルデータ伝送装置
JPH11355224A (ja) 1998-04-09 1999-12-24 Sony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JPH11341492A (ja) * 1998-05-25 1999-12-10 Victor Co Of Japan Ltd 素材符号化伝送方法及び素材符号化伝送装置
JP3315928B2 (ja) * 1998-06-24 2002-08-19 株式会社次世代情報放送システム研究所 番組へのcm挿入方法、cm挿入装置、及び情報受信端末システム
CA2273762A1 (en) 1998-06-26 1999-12-26 Sarnoff Corpor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exhibiting demographic affinity
JP2000083064A (ja) * 1998-06-30 2000-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ンスポ―トストリ―ム処理装置
US7779442B1 (en) * 1999-01-12 2010-08-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CN1276602C (zh) 1999-05-28 2006-09-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广播系统
CA2390961A1 (en) * 1999-11-09 2001-05-17 Highcast Network,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rtual media channel
WO2002082699A1 (fr) 2001-04-05 2002-10-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et appareil de transmission de flux de transport (ts) d'emission de radiodiffusion de donnees, chaine de transmission d'emission de radiodiffusion de donnees, moyen d'enregistrement, appareil de delivrance et systeme de delivr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76913A4 (en) 2008-07-30
JPWO2002082699A1 (ja) 2004-07-29
US7743402B2 (en) 2010-06-22
WO2002082699A1 (fr) 2002-10-17
EP1376913A1 (en) 2004-01-02
JP3715624B2 (ja) 2005-11-09
US20040125761A1 (en) 2004-07-01
CN1299504C (zh) 2007-02-07
CN1463512A (zh)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4132A (ko)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전송 스트림)송출장치, 그방법,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티에스 송출프로그램,기록매체, 분배송신장치 및 분배송신시스템
US1046250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ervices information in different types of broadcasting networks and unit for processing said information
JP3452509B2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ストリームの制御方法並びに端末装置
US7984465B2 (en) Broadcasting data converter
CA2837908A1 (en) Virtual channel table for a broadcast protocol and method of broadcas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ing the same
EP0873020A2 (en) Digital video 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eiver therefor
JP2007043739A (ja) コンテンツ記述情報と接続情報とを提供する方法
EP1944973B1 (en)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digital television signal
KR20030058872A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JP5382116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送信機
CN101267262B (zh) 使用保留频道发送和接收广播信息的方法和设备
WO2001031815A1 (fr) Systeme de diffusion du type memoire, emetteur et recepteur
JP4153926B2 (ja) データ放送番組ストリーム送出装置、データ放送番組ストリーム送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3646119B2 (ja) データ放送番組制御システム
US20030003861A1 (en) Data broadcast-program production system, data broadcast-program method, data broadcast- program production computer-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ed medium
JP3696609B2 (ja) データ放送番組ストリーム配信システム、第2データ放送番組ストリーム送出装置、データ放送番組ストリーム送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111035A (ja) コンテンツ送信制御方法、受信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制御装置、受信制御装置ならびにコンテンツ送信制御プログラム、受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30086408A1 (en) Television receiver arrangement and method of effecting a channel switch in a television receiver
JPH1155634A (ja) 番組伝送装置及び方法、番組送信装置並びに番組受信装置
JP2002237791A (ja) データ放送番組制作システム、データ放送番組制作方法及びデータ放送番組制作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09247647A (ja) 映像音声情報配信システム
EP1271820A1 (en) Data broadcast-program production system, data broadcast-program method, data broadcast-program production computer-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ed medium
JPH11177842A (ja) ディジタル放送方法およびその受信装置
JP2007104400A (ja) 受局データ放送送出システム及び受局データ放送送出方法
JPH11317719A (ja) ディジタル信号に関連した情報についての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