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121A -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121A
KR20040009121A KR1020020042957A KR20020042957A KR20040009121A KR 20040009121 A KR20040009121 A KR 20040009121A KR 1020020042957 A KR1020020042957 A KR 1020020042957A KR 20020042957 A KR20020042957 A KR 20020042957A KR 20040009121 A KR20040009121 A KR 2004000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voice message
file
call
m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121A/ko
Publication of KR2004000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1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의 호 시도에 의한 해당 착신자의 통화 여부 상태를 판단하여 통화 여부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해당 착신자에게 전송하고,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의 의미를 판단하는 제어부, 해당 착신자의 통화 여부 상태에 따른 메시지, 착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자하는 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메시지를 이메일 파일로 변환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부,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메일 파일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일 주소로 전송하기 위한 메일 처리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VoIP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인 경우에도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여 메일로 보냄으로 언제든지 서로 연락을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using of VoIP gateway}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게이트웨이에 메일 서비스 기능을 추가하여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인 경우,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메시지를 착신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메일 주소로 전송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VoIP의 출발은 전세계가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통화를 해보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인터넷폰이라 할 수 있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기본 목적은 음성 호 (Call)들이 현재의 써킷 스위치(전화교환기)를 통해 왔다 갔다 하지만 이것을 이용하지 않고 현재의 데이터망(인터넷)을 통해 음성을 보내 보자는 것이다.
지사나 사업상 거래처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 기존 전화망을 이용한 음성 및 FAX 전송은 많은 통신 비용을 요구한다. 하지만 VOIP를 사용한 시외/국제전화 및 FAX의 사용은 이미 지불되고 있는 전용망을 사용함으로 무료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전용망의 사용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하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인 경우의 호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자는 일반 전화기나 단말기를 이용하여 IP망을 통해 VoIP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착신자와 통화하기 위하여 호를 시도한다(S100).
그러면,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발신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착신자의상태를 파악한다(S102). 상기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이면(S104),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발신자에게 호응답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한다(S106). 여기서,상기 호응답 불가능 메시지는 상기 착신자와 호가 연결될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음성 또는 톤으로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발신자는 호응답 불가능 메시지를 수신한 후(S108), VoIP 게이트웨이와의 호를 해제한다(S110).
만약, 단계 104의 결과 해당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착신자와의 호를 설정한다(S112).
그러면, 상기 발신자는 착신자와 통화를 수행하고(S114), 통화를 종료하면, 호가 해제된다(S11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VoIP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착신자가 어떤 이유로 전화를 받을 수 없을때 발신자는 아무런 동작을 취할수 없도록 되어있어서, 상기 발신자는 착신자에게 메시지를 남길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발신자가 남긴 음성을 음성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착신자의 메일로 전송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있다.
도 1은 종래의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인 경우의 호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에서 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제어부 210 : 저장부
220 : 음성 메시지 처리부 230 : 메일 처리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신자의 호 시도에 의한 해당 착신자의 통화 여부 상태를 판단하여 통화 여부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해당 착신자에게 전송하고,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의 의미를 판단하는 제어부, 해당 착신자의 통화 여부 상태에 따른 메시지, 착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자하는 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메시지를 이메일 파일로 변환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부,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메일 파일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일 주소로 전송하기 위한 메일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음성 메시지 처리부는 포트별, 발신자 정보,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긴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메일 파일의 이름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자의 호시도에 의한 착신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이면, 상기 발신자에게 호응답 불가능 메시지 전송후, 음성 메시지 녹음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자로부터 음성 메시지 녹음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 메시지 녹음 명령을 전송한 후, 상기 발신자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이메일 형태의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이메일 형태의 파일에 대해 발신자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이름을 생성하고, 상기 이메일 형태의 파일을 상기 생성된 파일 이름으로 착신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메일 주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음성 메시지 녹음 요청 명령은 음성이나 DTMF를 이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발신자 정보는 해당 포트, 전화번호, 성명,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는 저장되지 않고 이메일 파일로 변환되어 해당 착신자의 메일 주소로 전송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VoIP 게이트웨이에 메일 서비스와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루틴을 추가한 구성을 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VoIP 게이트웨이는 발신자의 호 시도에 의해 해당 착신자가 통화중인지 부재중인지의 통화 상태를 판단하여 통화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해당 발신자에게 전송하고,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버튼 선택 정보의 의미를 판단하는 제어부(200), 상기 착신자가 통화중 또는 부재중인 경우 호 응답 불가능 메시지와 음성 메시지 녹음 명령 메시지, 착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자하는 메일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부(210), 착신자가 통화중 또는 부재중인 경우,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음성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의 이메일 파일로 변환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부(220), 해당 착신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이메일 주소로 상기 음성 메시지 처리부(220)에서 변환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메일 처리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메시지 처리부(220)는 발신자 정보와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긴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이메일 파일 이름을 생성한다. 즉, 상기 이메일 파일 이름은 각 포트별로 구별하거나 발신자 정보, 시간등을 토대로 만들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VoIP 게이트웨이에서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에서 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자는 일반 전화기나 단말기를 이용하여 IP망을 통해 VoIP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착신자와 통화하기 위하여 호를 시도한다(S300).
그러면,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발신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착신자의 상태를 파악한다(S302). 상기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이면(S304),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발신자에게 호응답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음성 메시지 녹음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다(S306). 상기 호응답 불가능 메시지와 음성 메시지 녹음 여부 질의 메시지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음성으로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발신자는 호응답 불가능 메시지와 음성 메시지 녹음 여부 질의 메시지를 수신한다(S308).
상기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원하면(S310), 상기 발신자는 음성 이나 DTMF를 이용하여 VoIP 게이트웨이에 음성 메시지 녹음 요청 명령을 전송한다(S312). 예를 들어, 상기 발신자는 '*'와 같은 응답 디지트를 누름으로써VoIP 게이트웨이에 음성 메시지 녹음 요청 명령을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발신자로부터 음성 메시지 녹음 요청 명령을 수신한 후(S314),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 메시지 녹음 명령을 전송한다(S316). 여기서, 상기 음성 메시지 녹음 명령은 예를 들어, '삐 소리가 나면 말씀하십시오'의 형태로 음성으로 상기 발신자에게 전송된다.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제어부에서 상기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의미를 판단한다. 그럼다음 상기 판단된 명령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발신자에 전송한다.
상기 발신자는 상기 음성 메시지 녹음 명령을 수신하여(S318), 음성 메시지를 상기 VoIP 게이트웨이에 전송하고, 음성 메시지의 종료를 원하면, 미리 정해진 버튼을 누른다(S320).
그러면,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발신자에 의해 전송된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고(S322),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음성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 형태의 이메일 파일로 변환한다(S324). 이때, 상기 VoIP 게이트웨이에 녹음된 음성 메시지는 저장부에 저장되지 않고, 이메일 파일로 변환되어 해당 착신자의 메일 주소로 전송된다.
그런다음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발신자 정보와 음성 메시지를 남긴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이메일 파일의 이름을 생성한다(S326). 여기서, 상기 발신자 정보는 예를들어, 발신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일 수 있다.
그런다음 상기 VoIP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메일 파일을 상기 생성된 이메일 파일 이름으로 착신자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메일 주소로 전송한다(S328).
그러면, 상기 착신자는 상기 이메일 파일 이름으로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단계 304의 판단결과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이 아니면, VoIP 게이트웨이는 착신자와의 호를 설정한다(S330). 그러면, 상기 발신자는 해당 착신자와 통화를 하고(S332), 통화가 종료되면, 호를 해제한다(S334).
만약, 단계 310의 결과 상기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의 녹음을 원하지 않으면, 상기 발신자는 호를 해제할 수 있다(S334).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VoIP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인 경우에도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여 메일로 보냄으로 언제든지 서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를 VoIP 게이트웨이에 저장하지 않고 바로 메일로 보내기 때문에 VoIP 게이트웨이의 저장부를 많이 사용하지 않게 되고,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남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서버를 따로 두지 않아도 되어 비용이 절감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발신자의 호 시도에 의한 해당 착신자의 통화 여부 상태를 판단하여 통화 여부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해당 착신자에게 전송하고,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의 의미를 판단하는 제어부;
    해당 착신자의 통화 여부 상태에 따른 메시지, 착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고자하는 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메시지를 이메일 파일로 변환하는 음성 메시지 처리부;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메일 파일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일 주소로 전송하기 위한 메일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처리부는 포트별, 발신자 정보,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긴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메일 파일의 이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장치.
  3. 발신자의 호시도에 의한 착신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착신자가 부재중 또는 통화중이면, 상기 발신자에게 호응답 불가능 메시지전송후, 음성 메시지 녹음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로부터 음성 메시지 녹음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발신자에게 음성 메시지 녹음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이메일 형태의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이메일 형태의 파일에 대해 발신자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이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메일 형태의 파일을 상기 생성된 파일 이름으로 착신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메일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녹음 요청 명령은 음성이나 DTMF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는 해당 포트, 전화번호, 성명,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는 저장되지 않고 이메일 파일로 변환되어 해당 착신자의 메일 주소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메일 형태의 파일은 음성 파일, 텍스트 파일, HTML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KR1020020042957A 2002-07-22 2002-07-22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40009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57A KR20040009121A (ko) 2002-07-22 2002-07-22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957A KR20040009121A (ko) 2002-07-22 2002-07-22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121A true KR20040009121A (ko) 2004-01-31

Family

ID=3731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957A KR20040009121A (ko) 2002-07-22 2002-07-22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1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24B1 (ko) * 2007-05-09 2009-02-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KR101384159B1 (ko) * 2010-10-28 2014-04-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5186908A1 (ko) * 2014-06-03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24B1 (ko) * 2007-05-09 2009-02-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VoIP 서비스 장치 및 VoIP 서비스 방법
KR101384159B1 (ko) * 2010-10-28 2014-04-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5186908A1 (ko) * 2014-06-03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620788B2 (en) 2014-06-03 2020-04-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702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03913B2 (ja) Ip電話装置及びip電話システム
US20070263604A1 (en) Ring back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8022584A (ja) ワイヤレス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330541A (zh) 使用可接听性信息来自动回叫的系统和方法
JP2001268248A (ja) 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
KR100498924B1 (ko) 유선전화망에서의 전화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방법
JP2004229166A (ja) 通信端末装置
WO1998006201A1 (en) Teleserver for interconnection of communications networks
WO2004110045A1 (ja) 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機
JP3156816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発着信制御方法
EP1133141B1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KR20040009121A (ko)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13221B1 (ko)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US8611516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establishing an alternative communication transmission
JP2008085901A (ja) 電話交換システム及びこの電話交換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サービス提供方法
JP4102555B2 (ja) ボイスメールの実現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システム
KR100571953B1 (ko)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음성 메일 지원방법
JP2004289676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留守録メッセージの処理方法
JP2003283606A (ja) メール送信機能付通信装置
KR100377989B1 (ko)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20016333A (ko)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통화 내용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JP2023126050A (ja) 不在着信通知装置、電話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不在着信通知方法
JP2021175142A (ja) 電話装置
JP3455472B2 (ja) 不完了呼通知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