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294Y1 -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 Google Patents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294Y1
KR200378294Y1 KR20-2004-0035787U KR20040035787U KR200378294Y1 KR 200378294 Y1 KR200378294 Y1 KR 200378294Y1 KR 20040035787 U KR20040035787 U KR 20040035787U KR 200378294 Y1 KR200378294 Y1 KR 200378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fire
prevention device
loss prevention
beach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7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진형
Original Assignee
최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형 filed Critical 최진형
Priority to KR20-2004-0035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29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294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가 소화기 비치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외부에 경고함으로써 소화기가 무단 사용자에 의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loss prevention device to prevent the fire extinguisher from being lost by an unauthorized user by detecting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에 따른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는 소화기(20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소화기 안착부(111)가 몸체(110) 상부에 형성되고, 소화기 안착부(111)로부터 소화기(200)가 이탈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화기 분실방지장치(120)가 몸체(110) 내측에 설치되며, 소화기 분실방지장치(120)의 경고 신호에 따라 음향 및 비상등으로 소화기(200)가 소화기 비치대(100)로부터 이탈되었음을 외부에 표시하는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가 몸체(110)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los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111 is formed in the upper body 110,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detachably seated, the fire extinguisher 200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111 Is fired by the fire extinguisher loss prevention device 120 to detect this is generated by generating a warning signal inside the body 110, the fire extinguisher 200 in the sound and emergency light according to the warning signal of the fire extinguisher loss prevention device 120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indicating that the departure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110 is installed outside.

Description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본 고안은 소화기 비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화기가 소화기 비치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외부에 경고함으로써 소화기가 무단 사용자에 의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in particular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loss prevention device to prevent the fire extinguisher from being lost by unauthorized users by detecting and warning to the outside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It is about.

화재는 발생 초기 단계에서 진화되는 것이 중요한데, 화재의 초기 진화가 실패하면 불길의 급속한 확대에 의해 인간에게 물질적·정신적으로 막대한 손해를 초래하게 된다. It is important for fires to be extinguished at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and if the early fires fail, the rapid spread of the flames will cause considerable damage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to humans.

특히, 건물 화재의 경우 실내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 제품이 화재로 인해 가열되면서 일산화탄소·염소·시안가스 등의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많은 사망자를 내기 때문에, 화재의 초기 단계 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uilding fire, since the synthetic resin products used indoors are heated by the fire and generate toxic gases such as carbon monoxide, chlorine, and cyan gas, many deaths are caused.

이러한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불을 끄기 위한 장치로는 소화기가 주로 이용되는데,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서 불을 끄는 장치이다.A fire extinguisher is mainly used as a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at an early stage of the fire. The extinguisher is a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by using an effect such as cooling or air blocking of the extinguishing agent at an early stage of the fire.

소화기는 운반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통상 소화기 비치대에 올려져 보관되거나, 벽걸이형 비치대에 걸려져 보관되게 된다. 이러한 비치대에는 별도의 소화기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소화기가 무단 사용자에 의해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비치대에 자물쇠를 설치하여 소화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화재 발생시 소화기를 비치대로부터 신속하게 분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어 소화기 사용에 제약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fire extinguisher is designed to be transported and is usually stored on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or stored on a wall-mounted beach stand. These beaches are not equipped with a separate fire extinguisher anti-lost device has been frequently lost by the unauthorized user. Therefore, in recent years, by installing a lock on the beach to prevent the loss of the fire extinguish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quickly remove the fire extinguisher from the beach in the event of a fire, bringing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fire extinguisher.

한편, 소화기를 보관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화기를 내재시켜 보관하는 소화기 보관함이 이용되기도 하는데, 통상 소화기 보관함에는 전면에 잠금장치가 구비된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이 개폐 가능한 도어에는 투명판넬이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투명판넬을 깨뜨려 보관함에 내재된 소화기를 신속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for storing a fire extinguisher,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for storing an internal fire extinguisher is also used, and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is usually provided with an openable door having a lock on the front thereof, and the openable door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anel. In the event of a fire, the transparent panel is broken without opening the door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in the storage box can be quickly taken out and used.

하지만, 이러한 소화기 보관함은 소화기를 내재시켜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크고 제작 과정이 복잡하여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소화기 보관함의 설치공간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 소화기 보관함을 설치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fire extinguisher storage box has to be stored in a fire extinguisher internally, so the size and complex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have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cost.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to install.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소화기 비치대 및 보관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소화기 비치대로부터 소화기의 신속한 분리가 가능하면서도 소화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and storage box,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and can be quickly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while preventing the loss of the fire extinguisher It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loss prevention devi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경고하는 동시에 비상등을 점등하여 비상 탈출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 비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to detect the fire in the event of a fire and to warn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o turn on the emergency light to guide the emergency escape rout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는 소화기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소화기 안착부가 몸체 상부에 형성되고, 소화기 안착부로부터 소화기가 이탈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화기 분실방지장치가 몸체 내측에 설치되며, 소화기 분실방지장치의 경고 신호에 따라 음향 및 비상등으로 소화기가 소화기 비치대로부터 이탈되었음을 외부에 표시하는 음향출력부 및 점등부가 몸체 외측에 설치된다.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loss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e extinguisher detachably seated, and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detach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 is detected by the warning signal Fire extinguisher loss prevention device to generate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lighting unit to the outside indicating that the extinguisher has been separated from the extinguisher stand by sound and emergency lights in accordance with the warning signal of the fire extinguisher loss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outside the body.

상기 소화기 분실방지장치는 소화기 안착부로부터 소화기가 이탈되는 경우 소화기 이탈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화기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부와, 상기 소화기감지센서의 소화기 이탈 감지신호에 따라 음향출력부 및 점등부를 구동시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비상등을 점등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음향출력부 및 점등부와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외부로부터 전원인입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e extinguisher loss prevention device is a sensor unit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a fire extinguisher departure detection signal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detach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art, and driving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ligh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e extinguisher departu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extinguisher detection senso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and lighting an emergency light,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 audio output unit, a lighting unit, and a sensor unit, and a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It is done by

상기 센서부에는 화재 발생시 단전에 의해 차단되는 실내 전등 빛 또는 화재 발생시 상승하는 주변온도 또는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여 점등부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센서가 구비된다.The sensor unit transmits at least one detected signal of an indoor lamp light blocked by a power cut in the event of fire, an ambient temperature rising in the event of a fire, or smoke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to the controller to turn on a lighting unit. A sensor is provided.

또한, 상기 소화기 비치대의 몸체는 체결수단을 통하여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과 결합되어 벽면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body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is coupled to the bracket fixed to the wall through the fasten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wall.

한편, 상기 분실방지장치에는 중앙 관리실에 설치된 중앙관리서버와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소화기 비치대의 동작상태를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네트워크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ss prevention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network device is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installed in the central management room via a network, and assigned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소화기 비치대에 소화기가 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e extinguisher is provided on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 상부에는 소화기(200)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소화기 안착부(111)가 형성되는데, 이 소화기 안착부(111)의 하부에는 소화기감지센서(125a)가 구비되어 상부에 소화기(200)가 안착되어 있는지 이탈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기 안착부(111)는 소화기(200)의 하부가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화기감지센서(125a)는 중량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소화기 안착부(111)의 무게를 감지하여 소화기 안착부(111)에 소화기(200)가 안착되어 있는지 이탈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1 and 2,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111 is formed on the body 11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seated, this fire extinguisher seating The fire extinguisher detection sensor (125a)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111 to detect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seated or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111 is made of a seating groove that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detachably supported, the fire extinguisher detection sensor (125a) is made of a weight sensor sensor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 By detecting the weight of the 111 to detect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seated or detached to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111).

상기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 정면에는 소화기(200)가 소화기 안착부(11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를 음향 및 불빛으로 외부에 경고하는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가 구비되며, 몸체(110)의 측면에는 외부의 상용 전원이 인입되는 전원인입부(121)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출력부(126)에는 부저가 구비되어 있으며, 점등부(127)에는 소화기 비치대(10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외부로 표시하는 전원등(127a)과 소화기(200)가 소화기 안착부(11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를 외부로 표시하는 비상등(127b)이 구비되어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warn the outside with sound and light when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art 111 on the front of the body 11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Is provided, the side of 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ower inlet 121 is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draw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unit 126 is provided with a buzzer, and the lighting unit 127 includes a power lamp 127a and a fire extinguisher (127a) indicating to the outside that the fire extinguisher stand 100 is operating normally. When the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111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light (127b) to display it to the outside.

또한, 몸체(110)의 상단 일측에는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25b)가 설치되는데, 상기 화재감지센서(125b)는 화재 발생시 단전에 의해 차단되는 실내 전등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센서, 화재 발생시 상승하는 주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져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e detection sensor (125b)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when the fire occurs, the fire detection sensor (125b) is a l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light of the interior lamp that is blocked by the power failure when the fire occurs, It consists of various sensors such as temperature sensor to detect rising ambient temperature in case of fire and smoke sensor to detect smoke generated in case of fire.

상기 부저와 비상등(127b)은 소화기(200)가 소화기 안착부(11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동작되는 것과 함께, 상기 화재감지센서(125b)가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구동되어 이를 외부에 표시하게 된다. 특히, 화재가 발생되면 전원이 차단되어 실내 전등이 소등됨으로써 실내가 어두어져 비상 탈출로를 찾기가 어려운데, 상기 비상등(127b)은 비상 출구를 찾을 수 있도록 탈출로를 안내하는 안내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buzzer and the emergency light 127b are operated when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art 111, and is driven even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125b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do. In particular, when a fire occurs, it is difficult to find an emergency escape route because the power is cut off and the indoor light is turned off, and the emergency light 127b serves as a guide light to guide the escape route so as to find an emergency exit. Done.

상기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는 직육면체, 원기둥 등 상부에 소화기(200)를 안치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음향출력부(126)와 점등부(127) 및 전원인입부(121)는 몸체(110)의 다른 위치에 적절히 변형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11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o allow the fire extinguisher 200 to be placed on an upper portion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cylinder.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and The power inlet 121 may be properly modified and installed at another position of the body 110.

한편, 상기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 내부에는 소화기(200)가 소화기 안착부(111)로부터 이탈되거나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이를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분실방지장치(120)가 구비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111 or the occurrence of a fire is detected in the body 11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Loss prevention device 120 to be displayed to the outside is provided.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의 몸체에 내재된 분실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loss prevention device embedded in the body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실방지장치(120)에는 전원인입부(121)를 통하여 상용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기(122)와, 상기 충전기(123)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123)와, 소화기감지센서(125a)와 화재감지센서(125b)가 구비된 센서부(125)와, 상기 센서부(125)의 감지신호에 따라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24)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3,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120 includes a charger 122 that receives commercial power through a power inlet 121, and a battery 123 that is charged by the charger 123. And a sensor unit 125 having a fire extinguisher detection sensor 125a and a fire detection sensor 125b, and driving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125. The control unit 124 is provided.

상기 전원인입부(121)와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화재감지센서(125b) 또한 몸체(110)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The power input unit 121,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125b also includes a body ( 110) It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상기 충전기(122)는 전원인입부(121)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터리(123)를 충전시키게 되고, 배터리(123)의 충전 전원은 제어부(124)를 통하여 음향출력부(126)와 점등부(127) 및 센서부(125)로 공급된다. The charger 122 charges the battery 123 with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let 121, and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123 is controlled by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through the controller 124. 127 and the sensor unit 125 are supplied.

상기 센서부(125)의 소화기감지센서(125a)는 소화기(200)가 소화기 안착부(11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탈 감지신호를 제어부(124)로 전송하게 되고, 이탈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124)는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를 구동시켜 소화기(200)가 소화기 비치대(100)로부터 이탈되었음을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화재감지센서(125b)는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감지신호를 제어부(124)로 전송하게 되고, 화재 발생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124)는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를 구동시켜 이를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The fire extinguisher detection sensor 125a of the sensor unit 125 transmits a departur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4 when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art 111, and according to the departur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unit 124. ) Drives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to externally indicate that the fire extinguisher 200 has been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tand 100. 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sensor 125b detects the fire when it occurs and transmits a fire genera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4, the control unit 124 according to the fire occurrence detection signal is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is driven to display it externally.

상기 분실방지장치(120)의 동작이 배터리(123)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화재 발생시 단전에 의해 전원인입부(12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배터리(123) 전원을 통하여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점등부(127)의 비상등(127b)이 탈출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operation of the anti-lost device 120 is performed through the battery 123 even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inlet 121 is cut off by a power failure when a fire occurs. ) And the lighting unit 127 to continuously supply power, so that the emergency light 127b of the lighting unit 127 can guide the escape route.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화기 비치대(100)는 실내 바닥 또는 상부가 평평한 기구 위에 놓여져 사용되는데, 이러한 소화기 비치대(100)는 벽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used is placed on the floor or the top of the flat mechanism, such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wall.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소화기가 비치된 소화기 비치대의 벽면 설치도이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wall surface install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100)에는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Bracket)(130)이 구비되는데, 이 브라켓(130)의 배면에는 브라켓(130)이 못 등의 체결수단(132)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체결공(131)이 형성되며, 측부 및 하부에는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를 하부 및 측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된다. 4A and 4B,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acket 130 for fixing the body 11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to a wall surface. Is provided, the back of the bracket 13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31 for the bracket 13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by the fastening means 132 such as nails, side and lower extinguisher beach stand (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dy 110 of the lower portion 100 is formed.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와 브라켓(130)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 몸체(110)를 브라켓(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사용하고 있지만, 이 브라켓(130)은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와 일체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는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체결수단(131)을 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30)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어 사용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ody 110 and the bracket 13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are manufactur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body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racket 130, but this bracket is used. Naturally, 130 may be manufactured and used integrally with the body 11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The body 11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is used is coupled 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bracket 130 that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through the fastening means 131 as shown in 4b.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100)가 철도 및 지하철 객차, 버스 등의 차량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경우, 차량의 급격한 충격 등에 의해 소화기(200)가 소화기 비치대(10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지 위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130)에 소화기 지지구를 설치하여 소화기(2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도 5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소화기가 비치된 소화기 비치대의 벽면 설치도이다.When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in a vehicle such as a railroad or subway car, a bus, etc., the fire extinguisher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due to a sudden impact of the vehicle. Can be. In order to prevent th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stall a fire extinguisher support on the bracket 130 to support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firm, Figure 5a is 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소화기 비치대(100)의 브라켓(130) 배면에 브라켓(130) 내측을 향하도록 소화기 지지구(135)를 설치하여, 이 소화기 지지구(135)가 브라켓(130)에 결합된 몸체(110) 상부의 소화기 안착부(111)에 위치되는 소화기(200)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소화기(200)가 충격 등에 의해 소화기 비치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5A and 5B,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extinguisher faces the inside of the bracket 130 on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130 of the fire extinguisher support 100 shown in FIGS. 4A and 4B. By installing the support 135, the fire extinguisher support 135 to support the fire extinguisher 200 located in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111 of the upper body 110 coupled to the bracket 130, the fire extinguisher 200 )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by an impact or the like.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100)는 중앙관리서버를 통하여 다수개가 공동으로 관리될 수 있다.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jointly managed through a plurality of central management server.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소화기 비치대와 중앙관리서버의 네트워크 연결도이다.6 is a network connection diagram of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and a central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점에 설치된 다수의 소화기 비치대(100)((100_1)(100_2)(100_3)…(100_N))는 네트워크망(400)을 통하여 중앙관리서버(300)와 연결되는데, 각각의 소화기 비치대(100)에 구비된 분실방지장치(120)에는 도 3의 구성에 더하여 중앙관리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장치가 더 구비되며, 각각의 네트워크 장치에는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중앙관리서버(300)가 식별번호를 통하여 소화기 비치대(1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6,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provided at each point 100 ((100_1) (100_2) (100_3) ... (100_N)) is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400. Is connected, the loss prevention device 120 provided in each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network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Figure 3, each network device is unique An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allow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to identify the fire extinguisher beach bag 100 through the identification number.

상기 다수의 소화기 비치대(100)가 통상 지하도 역내 또는 지하철 등과 같은 비교적 좁은 지역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이용되므로, 상기 네트워크망(400)은 이들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으로 구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망(400)은 무선 랜(LA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고, 상기 소화기 비치대(100)의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망(400)과 접속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구현되는데, 이는 상기 소화기 비치대(100)가 설치된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전원이 차단되어도 소화기 비치대(100)가 중앙관리서버(300)에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Since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 beach beds 100 are normally installed and used continuously in a relatively narrow area such as an underpass or a subway, the network 400 is implemented as a local area network connecting th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400 is implemented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LAN (LAN) or Bluetooth (BlueTooth), the network device of the fire extinguisher stand 100 and the wireless network 400 Implemented as a wireless network device to be connected, which is fired at the point where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is installed, even if the power is cut of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can continuously transmit data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To make it work.

상기 소화기 비치대(100)의 분실방지장치(120)에 구비된 제어부(124)는 센서부(125)를 통하여 소화기 이탈 감지신호 또는 화재 발생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소화기 이탈 감지신호 또는 화재 발생 감지신호를 네트워크망(400)을 통하여 중앙관리서버(300)에 전송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124 provided in the loss prevention device 12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is a sound output unit 126 and a lighting unit when a fire extinguisher departure detection signal or a fire occurrenc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sensor unit 125. At the same time as driving 127, the fire extinguisher departure detection signal or the fire occurrenc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400.

상기 중앙관리서버(300)는 중앙 관리실에 설치되어 각 지점에 설치된 소화기 비치대(100)로부터 소화기 이탈 감지신호 또는 화재 발생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원격에서 소화기 비치대(100)의 동작상태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is installed in the central management room to receive the fire extinguisher departure detection signal or fire occurrenc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installed in each point to monit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remotely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중앙관리서버(300)는 소화기 비치대(100)에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공급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손실 및 배터리(123)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소화기 비치대(100)의 분실방지장치(120)에 구비된 배터리(123) 충전시간을 고려하여 하루에 1~2시간 정도만 각 소화기 비치대(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외부 상용전원을 배터리(123)를 충전시키는 용도로만 이용하고, 분실방지장치(120)의 동작은 배터리(123)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may prevent the unnecessary power loss and overcharge of the battery 123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In consideration of the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123 provided in the anti-lost device 120 of 1) only one to two hours a day to supply power to each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to charge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battery 123 Use only for the purpose, the operation of the loss prevention device 120 may be to use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123.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실방지장치(120)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100)는 소화기(200)가 소화기 비치대(100)로부터 이탈되거나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소화기감지센서(125a) 및 화재감지센서(125b)를 통하여 이를 감지하고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소화기(200)의 분실 및 화재 발생을 경고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provided with the anti-lost devic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e extinguisher 200 when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or a fire occurs. This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125b and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to warn of the loss and fire of the fire extinguisher 2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는 소화기 비치대 상부에 형성된 소화기 안착부를 통하여 소화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안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으며, 소화기가 소화기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소화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los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quickly and easily seated and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 through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e extinguisher, This can be detected and displayed externally to prevent the loss of the fire extinguish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는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비상등을 점등시킴으로써 비상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화기 비치대의 구성이 간단하여 소화기 비치대의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function of guiding the emergency path by lighting the emergency light by detecting it when a fire occurs, and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by the simple configu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There i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에 소화기가 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a fire extinguisher on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의 몸체 내측에 구비된 분실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loss prevention device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소화기가 비치된 소화기 비치대의 벽면 설치도이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wall surface install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도 5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비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소화기가 비치된 소화기 비치대의 벽면 설치도이다.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wall surface install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소화기 비치대와 중앙관리서버의 네트워크 연결도이다.6 is a network connection diagram of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ers and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 소화기 비치대 110 : 몸체100: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10: body

111 : 소화기 안착부 120 : 분실방지장치111: fire extinguisher seating part 120: loss prevention device

121 : 전원인입부 122 : 충전기121: power supply unit 122: charger

123 : 배터리 124 : 제어부123: battery 124: control unit

125 : 센서부 125a : 소화기감지센서125: sensor unit 125a: fire extinguisher detection sensor

125b : 화재감지센서 126 : 음향출력부125b: fire detection sensor 126: sound output unit

127 : 점등부 127a : 전원등127: lighting unit 127a: power light

127b : 비상등 130 : 브라켓127b: emergency light 130: bracket

131 : 체결공 132 : 체결수단131: fastening hole 132: fastening means

135 : 소화기 지지구 200 : 소화기135: fire extinguisher support 200: fire extinguisher

300 : 중앙관리서버 400 : 네트워크망300: central management server 400: network

Claims (5)

실내에 설치되어 소화기를 보관하는 소화기 비치대에 있어서, In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which is installed indoors and stores a fire extinguisher, 상기 소화기(20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소화기 안착부(111)가 몸체(110) 상부에 형성되고,A fire extinguisher seating portion 111 i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detachably seated is formed on the body 110, 상기 소화기 안착부(111)로부터 소화기(200)가 이탈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화기 분실방지장치(120)가 몸체(110) 내측에 설치되며,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110 to detect when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detach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 111 and generate a warning signal. 상기 소화기 분실방지장치(120)의 경고 신호에 따라 음향 및 비상등으로 소화기(200)가 소화기 비치대(100)로부터 이탈되었음을 외부에 표시하는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가 상기 몸체(110)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According to the warning signal of the fire extinguisher loss prevention device 120, the sound output unit 126 and the lighting unit 127 to indicate to the outside that the fire extinguisher 200 has been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by sound and emergency lights, the body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with a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outside (110).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화기 분실방지장치(120)는 The fire extinguisher loss prevention device 120 상기 소화기 안착부(111)로부터 소화기(200)가 이탈되는 경우 소화기 이탈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화기감지센서(125a)가 구비된 센서부(125)와, A sensor unit 125 having a fire extinguisher detection sensor 125a for generating a fire extinguisher departure detection signal when the fire extinguisher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seating part 111; 상기 소화기감지센서(125a)의 소화기 이탈 감지신호에 따라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를 구동시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비상등을 점등시키는 제어부(124)와, A controller 124 for driving a sound output unit 126 and a lighting unit 127 to generate a warning sound and lighting an emergency light according to the fire extinguisher deviation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extinguisher detection sensor 125a; 상기 제어부(124)와 음향출력부(126) 및 점등부(127)와 센서부(12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3)와, A battery 123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24, the sound output unit 126, the lighting unit 127, and the sensor unit 125; 외부로부터 전원인입부(121)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123)를 충전시키는 충전기(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provided with a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ger (122) for charging the battery 123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inlet 121 from the outside.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센서부(125)에는 화재 발생시 단전에 의해 차단되는 실내 전등 빛 또는 화재 발생시 상승하는 주변온도 또는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24)에 전송하여 점등부(127)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센서(125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The sensor unit 125 transmits at least one detected signal of an indoor electric light that is blocked by a power cut when a fire occurs, an ambient temperature rising when a fire occurs, or smoke generated when a fire occurs, to the control unit 124 to turn on a light unit (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equipped with a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detection sensor (125b) for turning on the 127.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화기 비치대(100)의 몸체(110)는 체결수단(132)을 통하여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30)과 결합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비치대.Body 110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is coupled to the bracket 130 is fixed to the wall through the fastening means 132 is installed on the wal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실방지장치(120)에는 중앙 관리실에 설치된 중앙관리서버(300)와 네트워크망(4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소화기 비치대(100)의 동작상태를 중앙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네트워크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비치대.The loss prevention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installed in the central management room and the network 400, the unique transmission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100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300 Fire extinguisher beach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network device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number.
KR20-2004-0035787U 2004-12-16 2004-12-16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KR20037829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87U KR200378294Y1 (en) 2004-12-16 2004-12-16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87U KR200378294Y1 (en) 2004-12-16 2004-12-16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294Y1 true KR200378294Y1 (en) 2005-03-14

Family

ID=4367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787U KR200378294Y1 (en) 2004-12-16 2004-12-16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294Y1 (e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184B1 (en) * 2009-04-20 2011-12-21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System for monitoring safety break valve of lubricator
KR101105856B1 (en) * 2010-09-13 2012-01-16 (주)불끄레 Panel type extinguisher
KR200469378Y1 (en) * 2011-11-29 2013-10-11 주식회사 디오엔지니어링 Ascertainable Apparatus for Existence of Fire Extinguisher
KR20160104157A (en) * 2015-02-25 2016-09-05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Stand for fire extinguisher
KR101669940B1 (en) * 2015-08-20 2016-10-27 박세용 Smart holder stating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using electronic sensors
KR101731709B1 (en) 2015-07-13 2017-04-28 임종태 Fire extinguisher holder
KR101768542B1 (en) * 2015-12-11 2017-08-16 진동용 A supporter of fire extinguisher
KR20170004389U (en)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엘엔피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ower supply and solenoid valve connection of actuating device unit
KR101866130B1 (en) * 2017-04-06 2018-06-08 구완모 Throwing-type fire extinguisher
KR102011216B1 (en) 2018-05-03 2019-08-14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system for preventing theft of extinguisher
KR102018988B1 (en) * 2018-07-13 2019-09-24 (주)샤픈고트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102064531B1 (en) * 2019-04-25 2020-01-09 신호원 Firefighting alarm system using electricity device of apartment house
KR20200007756A (en) * 2018-07-13 2020-01-22 (주)샤픈고트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20200116819A (en) * 2019-04-02 2020-10-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A alarm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184B1 (en) * 2009-04-20 2011-12-21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System for monitoring safety break valve of lubricator
KR101105856B1 (en) * 2010-09-13 2012-01-16 (주)불끄레 Panel type extinguisher
WO2012036356A1 (en) * 2010-09-13 2012-03-22 에프피지코리아(주) Panel-shaped fire extinguisher
KR200469378Y1 (en) * 2011-11-29 2013-10-11 주식회사 디오엔지니어링 Ascertainable Apparatus for Existence of Fire Extinguisher
KR20160104157A (en) * 2015-02-25 2016-09-05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Stand for fire extinguisher
KR101707300B1 (en) * 2015-02-25 2017-02-16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Stand for fire extinguisher
KR101731709B1 (en) 2015-07-13 2017-04-28 임종태 Fire extinguisher holder
KR101669940B1 (en) * 2015-08-20 2016-10-27 박세용 Smart holder stating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using electronic sensors
KR101768542B1 (en) * 2015-12-11 2017-08-16 진동용 A supporter of fire extinguisher
KR20170004389U (en)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엘엔피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ower supply and solenoid valve connection of actuating device unit
KR200485456Y1 (en) 2016-06-20 2018-01-11 주식회사 엘엔피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power supply and solenoid valve connection of actuating device unit
KR101866130B1 (en) * 2017-04-06 2018-06-08 구완모 Throwing-type fire extinguisher
KR102011216B1 (en) 2018-05-03 2019-08-14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system for preventing theft of extinguisher
KR102018988B1 (en) * 2018-07-13 2019-09-24 (주)샤픈고트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20200007756A (en) * 2018-07-13 2020-01-22 (주)샤픈고트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102513984B1 (en) * 2018-07-13 2023-03-27 (주)샤픈고트 Smart Fire Extinguisher holder
KR20200116819A (en) * 2019-04-02 2020-10-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A alarm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KR102224377B1 (en) * 2019-04-02 2021-03-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A alarm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management
KR102064531B1 (en) * 2019-04-25 2020-01-09 신호원 Firefighting alarm system using electricity device of apartment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8294Y1 (en) Fire Extinguisher Rack For Preventing Loss
KR101803806B1 (en) Social securi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ing for combing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security accident prevention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JP2013529329A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ion direction indication
KR101625760B1 (en) Guiding apparatus to emergency exit
KR101841761B1 (en) fire sensing and evacuation guiding system for use in temporary fire fighting equipment at construction site
KR101807264B1 (en) mono type firefighting sensor of based IoT
KR102103631B1 (en) Safty tool box
KR102212753B1 (en) Safety power supply device of architecture interion electricity
KR102580356B1 (en) Emergency evacuation alarm and guidance system
KR20070102042A (en) Vehicles fire automatic suppre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1775770B1 (en) Emergency warning alarm function for fire
KR101516879B1 (en) Portable Emergency Lighting Apparatus With Guiding Function For A Emergency Situation
KR20160005641A (en) Wanted for multi-purpose safety evacuation
KR101807265B1 (en) fire-prevention system possible earthquake observation
US20100201529A1 (en) Method of facilitating access to operator functions of hazardous condition alarm
JP2007018240A (en) Evacuation guide system
KR20170140649A (en) Fire extinguisher provided warning light
KR102016028B1 (en) Fire extinguisher cradle
KR100587898B1 (en) Fire door with fire sensor device
KR200307344Y1 (en) A warning for a fire sensing
KR200491168Y1 (en) Loudspeaker Case with Charge Function
KR101900203B1 (en) Fire detector and intelligent automatic fire dect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499656B1 (en) A emergency rechargeable lighting apparatus
CN212187504U (en) Intelligent fire-fighting emergency rescu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