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631B1 - Safty tool box - Google Patents

Safty tool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631B1
KR102103631B1 KR1020180012958A KR20180012958A KR102103631B1 KR 102103631 B1 KR102103631 B1 KR 102103631B1 KR 1020180012958 A KR1020180012958 A KR 1020180012958A KR 20180012958 A KR20180012958 A KR 20180012958A KR 102103631 B1 KR102103631 B1 KR 10210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mechanism
mechanism box
battery
state
flash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3380A (en
Inventor
허성범
Original Assignee
허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범 filed Critical 허성범
Priority to KR102018001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631B1/en
Publication of KR20190093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6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기구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화기,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전등, 상기 안전 기구함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안전 기구함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표시등,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외부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충전중인 배터리의 전원을 활용하여 표시등을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 기구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fety mechanism box, at least one fire extinguisher dispos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t least one flashlight dispos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safety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n indicator light that emits light to the outside of the box, a battery that is disposed inside the safety box and is charged by external power, and detects and charges when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when power supply is interrupted from external power It relates to a safety mechanism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emit an indicator light by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Description

안전 기구함{SAFTY TOOL BOX}Safety mechanism box {SAFTY TOOL BOX}

본 발명은 안전 기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나 지진 등의 재해 발생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 기구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echanism box that relates to a safety mechanism box that can be used quickly and safe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earthquake.

일반적으로 학교, 병원, 극장,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에는 화재, 가스 누출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될 경우를 대비하여 화재진압을 위한 방화장치가 필수적으로 마련되어 있다.In general, in buildings such as schools, hospitals, theaters, apartments, etc., fire protection devices for fire extinguishing are essentially provided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fire or gas leakage.

그러나 각 가정이나 일반상가의 구획된 점포, 학교 교실, 병원, 숙박업소, 각 사무실 등에는 개별로 작동할 수 있는 소화 장치가 없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안전장치를 뽑기가 어렵고, 단위소화기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노약자 등은 사용에 한계가 있으며, 발화지점으로부터 불특정한 곳에 있어 소화기 사용에 숙달된 관리원 외에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re are no fire extinguishing devices that can be operated individually in each home or in general stores, school classrooms, hospitals, lodging establishments, and offices. Elderly people, etc., have limitations in their us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in an unspecified place from the point of ignition, and the efficiency is low, except for the management personnel who are skilled in using fire extinguishe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소방 안전 기구들을 간단하게 모아 놓은 보관함 등이 제시되었으나, 비상시 전층 또는 지역단위의 광범위한 단전시에는 일반적 비상전원까지 단전되는 경우가 많아서 순간적으로 한치 앞도 안보이는 악조건의 환경에서 연기 등에 의해 시야가 더욱 가려지므로 보관함을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torage box in which fire-fighting safety devices are simply collected has been proposed in the past, but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t is often possible to cut the power to the general emergency power source in the event of a wide power failure at the entire floor or at a local level, so that the environment is not instantly visible to the limi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storage box because the field of view was further obscured by smoke.

또한, 보관함을 발견하더라도 보관함 내부의 손전등과 같은 전기기구들은 기존의 관리 소홀로 인해 건전지 등의 수명이 이미 다해버렸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나 지진과 같이 실제 필요한 상황에서는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보관함들은 외부의 구조센터나 소방시설에 화재 발생 사실 및 피해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알려줄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even if the storage box is found, the electric appliances such as flashlights inside the storage box may have already reached the end of the life of the battery, etc., due to the negligence of the existing management.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be used properly in actual situations such as fire or earthquake. . In addition, these conventional storage boxe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tell the location of the victim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in real time to an external rescue center or firefighting facility.

그리고, 종래의 보관함들은 기본적으로 보관함이 설치된 그 자리에서 소방 관련 안전 기구들을 꺼내어 사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막상 보관함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되었거나 혹은 화재나 지진의 발생으로 인해 보관함 주변의 공간이 붕괴될 염려가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보관함에 접근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접근했다고 하더라도 신속히 보관함 주변으로부터 벗어나야 하기 때문에, 보관함이 설치된 위치에서 필요한 안전 물품들을 꺼내어서 사용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conventional storage boxes are basically installed to take out and use fire-fighting safety devices on the spot where the storage box is installed. A fire has occurred in the vicinity of the location where the storage box is installed or around the storage box due to fire or earthquak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ccess to the storage box itself was difficult when there was a fear that the space of the room would collapse, and even if approach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was insufficient time to take out and use the necessary safety items at the location where the storage box was installed, because even if it had to be approached, it had to quickly move out of the storage area. there was.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605호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636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등의 재해 발생시에 안전 기구함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안전 기구함 내에 설치된 전자기기를 신뢰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안전 기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the safety mechanism box can be easily found and safely accessed, and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the safety mechanism box can be used reliably, and the usage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mechanism box capable of sufficiently securing th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안전 기구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기구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화기;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전등; 상기 안전 기구함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안전 기구함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표시등;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외부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충전중인 배터리의 전원을 활용하여 표시등을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fety mechanism box, at least one fire extinguisher dispos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t least one flashlight dispos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 indicator light emitting light out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control unit that detects when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stops supply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controls the light to be emitted by utilizing the power of the battery being charged.

상기 표시등은 LED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dicato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light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등의 상태, 상기 손전등의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의 교체시기, 및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heck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indicator light, the state of charge of the flashlight,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the replacement time of the battery, and the supply state of the external power.

상기 안전 기구함의 외면에는 상기 표시등의 상태, 상기 표시등의 교체시기, 상기 손전등의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의 교체시기,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전원 공급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indicator ligh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indicator, the charging state of the flashlight,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the replacement time of the battery, and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external pow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inspection lights.

상기 안전 기구함은 경고음 발생기 및 경고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서로 다른 색깔의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afety mechanism box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sound generator and a warning light,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different warning sounds according to circumstances or to control the warning lights of different colors to be turned on.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구조센터나 상황실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유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rescue center or a situation room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wired and wireless signals.

상기 안전 기구함은 안전 기구함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GPS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구조센터나 상황실로 안전 기구함의 실시간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afety mechanism box further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the control unit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GPS and transmit a real-time loca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to an external rescue center or control room. It can be characterized as.

상기 손전등 및 소화기 중 적어도 하나를 비추기 위하여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illuminate at least one of the flashlight and the fire extinguisher,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ighting lamp install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는 방독 마스크, 호루라기, 구명로프, 산소 호흡기, 휴대폰, 방범도구, 응급처치키트, 라디오, 방화복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t least one of a gas mask, a whistle, a lifesaving rope, an oxygen respirator, a mobile phone, a security tool, first aid kit, radio, and fire protection clothing may be further included.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 기구함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깨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houlder strap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to be worn on the user's shoulder.

상기 안전 기구함의 주변으로 소방액을 분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및 상기 소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소방액을 분사하거나 또는 안전 기구함에 장착되어 있는 별도의 온도 감지장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온도 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소방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nozzle for injecting a fire-fighting solution to the periphery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fire-fighting liquid, the nozzle is to spray the fire-fighting solution by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or mounted on the safety mechanism box Since it is connected to a separate temperature sensing device,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pray the fire solution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상기 저장용기 내부에는 상기 소방액의 저장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저장용기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용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소방액의 저장량이 설정된 양보다 부족해지면 안전 기구함에 구비된 별도의 상태 표시창에 이를 표시하거나, 경고등을 점등하거나, 또는 경고음 발생장치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storage container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to detect the storage amount of the fire fighting solution and transmits the detected result to the control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on a separate status display window provided in the mechanism box, a warning light is turned on, or a warning sound is generated through a warning sound generating device.

상기 제어부는 안전 기구함의 외부에 배치되는 진동 감지 센서, 방범 센서, 적외선 감지기,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a vibration sensing sensor, a security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a camera disposed out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상기 안전 기구함의 외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 조명, 단전 여부를 나타내는 단전 조명,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조명,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조명, 손전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손전등 조명, 손전등의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손전등 배터리 조명, 안전 기구함 및 손전등의 배터리의 교체시기가 된 것을 표시하는 배터리 교체 조명, 안전 기구함 본체의 표시등이 점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점등시험 버튼, 수동으로 조명등을 점등하기 위한 수동 점등 스위치, 경보 장치의 음향을 선택하기 위한 음향 선택 버튼, 방범센서나 단전 또는 경보기 알람 등의 오작동시 또는 시험작동시 정상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복구버튼, 경고음 발생기의 경고음을 강제로 정지하기 위한 경고음 정지 버튼, 통신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통신 점검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 power supply light indicating a state of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power failure light indicating a power failure, a battery light indicating a battery state, a charging state light displaying a battery charge state, and a state of a flashlight Flashlight to indicate, the battery status of the flashlight to indicate the battery status of the flashlight, battery replacement light to indicate the time to replace the battery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flashlight, and lighting test to check whether the safety mechanism box indicator is lit Button, manual lighting switch for manually lighting the light, sound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the sound of the alarm device, recovery button for recovering to the normal state in case of malfunction or test operation of security sensor or power failure or alarm, etc. Beep stop button, barrel to forcibly stop the generator beep That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check button to check the con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상기 안전 기구함은 LCD 표시창을 통해 안전 기구함 및 내부에 설치된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afety mechanism box may be characterized by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a device installed therein through an LCD display window.

상기 소화기는 스프레이 타입이며 상기 소화기의 외면에는 야광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er may be a spray type a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luminous silicone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에 의하면, 비상시에 정전 등으로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자체적인 전원으로 안전 기구함이 작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 기구함의 표시창에서 밝은 빛의 조명을 점등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안전 기구함을 발견할 수 있고,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from the outside due to a power failur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safety mechanism box can operate with its own power source. By lighting the ligh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has the effect of guiding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에 따르면, 안전 기구함의 일부에 설치된 어깨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안전 기구함을 메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기 상황에서 사용자의 생존 확률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houlder strap installed on a part of the safety mechanism box, the user can carry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increase the probability of the user's survival in a crisis situation.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시에 안전 기구함에 설치된 노즐을 통해 소방액을 분사함으로써 안전 기구함 주변의 일부 영역에 화염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accessi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preventing the flame from approaching some areas around the safety mechanism box by spraying fire-fighting liquid through a nozzle installed in the safety mechanism box in case of fire. .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의 작동 관계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에 설치된 소방액 분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의 배면 사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relationship of a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ire fighting fluid injection device installed in a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se examples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의 작동 관계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a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1)은 간이 소화기(11), 손전등(12), 표시등(13), 배터리(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1 to 2, the safety mechanism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mple fire extinguisher 11, a flashlight 12, an indicator light 13, a battery 14, and a control unit ( 15).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안전 기구함(1)에는 2개의 간이 소화기(1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간이 소화기(11)는 스프레이 타입의 소화기일 수 있다. 스프레이 타입의 소화기는 300mg 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 소화기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사용을 위해 별도로 안전핀을 뽑을 필요가 없으므로 작은 공간에서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간이 소화기의 외면에는 야광 실리콘이 소정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야광 물질의 발광에 의해 암흑 속에서도 소화기를 쉽게 찾을 수 있고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손으로 소화기를 잡고 스프레이를 분사하여도 손에서 소화기가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스프레이 타입의 소화기의 뚜껑(캡) 부분에도 야광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소화기의 뚜껑을 더욱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In one or multiple embodiments, two simple fire extinguishers 11 may be disposed in the safety mechanism box 1, and the simple fire extinguisher 11 may be a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It is desirable that the spray-type fire extinguisher has a capacity of 300 mg or more,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quick and easy to use in a small space since it is lighter in weight than a general fire extinguisher and does not need to pull out a safety pin for use. In addition, luminous silicone may be coa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mple digester. Therefore,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easily found even in the dark by the luminescence of the luminous material, and it is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to prevent the fire extinguisher from slipping out of the hand even if the hand holds the fire extinguisher and sprays the spray. Luminous silicone is also coated on the lid (cap) portion of the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in one or many embodiments,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open the cap of the fire extinguisher.

상기 손전등(12)은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며 안전 기구함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DC 12V 전원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전등(12)의 경우 항시 충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72시간 지속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상기 손전등의 외면에도 마찬가지로 야광 실리콘이 소정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상기 손전등(12)은 방수 기능을 가지고 강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 거리, 밝기, 시간을 유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손전등은 신속한 사용을 위해 안전 기구함에서 분리되면 곧바로 점등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ashlight 12 is dispos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the battery is charged by DC 12V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lashligh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state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and can be continuously lit for 72 hours. Luminous silicon may be coa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ashlight as well. In one or many embodiments, the flashlight 12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and excellent rigidity, and is configured to be stably used for a long time by maintaining lighting distance, brightness, and tim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shlight is formed to be turned on immediately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safety mechanism box for rapid use.

상기 표시등(13)은 안전 기구함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안전 기구함 외부로 빛을 발산한다. 표시등(13)은 LED 조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전 기구함의 전면에 소정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등은 72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점등 가능하며 유도등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이나 화재 등에 의해 암흑이되거나 연기가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표시등에 의해 용이하게 안전 기구함(1)을 발견할 수 있으며 안전 기구함(1)이 발산하는 빛에 의해 대피로를 확인할 수 있다.The indicator 13 emits light out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The indicator 13 may be formed of LED lighting and may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front sid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In addition, the indicator light can be continuously lit for 72 hours or more and may be formed as an induction lamp type. Therefore, even in the event of a blackout or smoke obstructing the field of view due to power failure or fire,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safety mechanism box 1 by the indicator light and evacuate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safety mechanism box 1 You can check

안전 기구함(1)은 외부 전원(2)에 의해 충전되는 자체 배터리(14)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화재 등에 의해 외부 전원(2)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안전 기구함의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이용하여 표시등(13)을 발광시키거나 자체적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외부 구조센터 등에 유무선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큰 용량(3.6V, 1800mA)의 충전 배터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ty mechanism box 1 has its own battery 14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upply 2. Therefore, even if the supply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2 is interrupted by a fire or the like, the indicator light 13 can be emitted or a warning sound can be generated by itself using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of the safety mechanism box. Can send a signal. For this,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large capacity (3.6V, 1800mA) rechargeable battery.

제어부(15)는 안전 기구함(1)의 구성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이다. 제어부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외부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거나 외부 전원(2)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순간 이를 감지하여 충전중인 배터리(14)의 전원을 활용하여 표시등(13)을 발광시키는 것이다.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비상신호는 예컨데 화재 센서(7)나 소화전과 같은 화재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출입문이나 창문 등에 설치된 진동 센서(6) 등에 의해 전송되는 지진 신호일 수도 있고, 나아가 출입문이나 창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방법 센서(5) 등에 의해 전송되는 방범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안전 기구함에는 다양한 안전 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상상황에서 정전이 된 경우 우선 안전 기구함을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control unit 15 is a part for integrally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safety mechanism box 1.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is to detect the moment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2, and utilizes the power of the battery 14 being charged to emit the indicator 13. The emerg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may be, for example, a fire signal such as a fire sensor 7 or a fire hydrant, or an earthquake signal transmitted by a vibration sensor 6 installed in a door or window, or further installed in a door or window. It may be a crime preven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method sensor 5 or the like. This is because it is most important to find the safety mechanism box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in an emergency because various safety mechanisms are arranged in the safety mechanism box.

한편, 제어부(15)는 안전 기구함의 배터리(14)나 손전등(12)의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항시 충전시키며, 상기 표시등(13)의 상태, 상기 손전등(12)의 충전 상태, 상기 안전 기구함 및 손전등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안전 기구함 및 손전등의 배터리의 교체시기, 및 외부 전원의 공급 상태를 점검하여, 각각의 점검된 상태가 정상상태를 벗어난 경우 또는 손전등이나 안전 기구함의 배터리의 교체시기가 도래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점검등을 점등하거나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안전 기구함(1)의 전면부에는,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 조명(161), 단전 여부를 표시하는 단전 조명(162), 손전등의 램프 등을 점검함으로써 손전등(12)이 정상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지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손전등 조명(164), 안전 기구함의 배터리(14)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조명(166), 손전등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등을 나타내는 손전등 배터리 상태 조명(16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들은 LED 조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태에 따라 발광하는 조명의 색상이나 점멸여부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조명(161)은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녹색을 발광하고 단전된 경우에는 빨간색을 발광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 상태 조명(166) 등의 경우에 있어서는 배터리(14)의 충전 정도에 따라 완충된 경우 녹색, 방전된 경우 빨간색, 일부만 충전된 경우 노란색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단전 조명(162)과 같은 경우는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발광하지 않고 단전이 발생된 경우에는 소정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5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of the safety mechanism box 14 or the flashlight 12 to charge the battery at all times, the state of the indicator 13, the state of charge of the flashlight 12, Check the charging status of the battery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flashligh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battery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flashlight, and the supply status of external power, so that each checked state is outside the normal state or the flashlight or safety device When the time to replace the battery of the ship has arrived, the inspection lamp can be turned on or a warning sound can be sent ou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To this end, in one or more embodiments, the front surfac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1 is checked by checking the power supply illumination 161 indicating the state of power, the power failure lighting 162 indicating power failure, and the lamp of the flashlight. A flashlight 164 indicating whether the flashlight 12 is capable of emitting light normally, a charging state light 166 indicat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14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 flashlight indicating a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of the flashlight, etc. Battery status lights 167 and the like. These lights may be formed of LED lights, and depending on the state, the color or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light may be changed. For example, the power lighting 161 may emit green when power is normally supplied, and emit red when the power is cut off. In the case of the battery charging state lighting 166, the battery 14 is charged. Depending on the degree, it can emit green when fully charged, red when discharged, and yellow when partially charg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ower failure lighting 162,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so that it does not emit light during normal times and blinks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a power failure occurs.

제어부(15)는 안전 기구함 내부 및 외부의 다양한 장치들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외부의 119 구조센터나 상황실(3) 및 외부 연락처(4) 등과도 유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3G 이동통신 기술이나 4G 이동통신 기술인 LTE)에 의해 연결되어 유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무선으로 외부의 구조센터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안전 기구함(1)에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5)는 안전 기구함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 센서(7), 지진 센서(6), 방범 센서(5) 등 다양한 센서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외부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장치나 카메라 등과도 연결됨으로써 지정된 구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비상상황이나 특이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특정 상황이 발생한 경우 해당 영상을 외부 구조센터나 상황실(3)로 유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외출모드 등으로 다양한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외출모드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외부 구조센터나 지정된 3명의 외부 연락처(4)로 자동으로 문자가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5 can b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inside and outsid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by wired or wireless signals to exchange signals with each other, and the wired / wireless network (eg, the 119 rescue center or the situation room 3) and the external contact information 4 may also be used. For example, it may be connected by 3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or 4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LT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over wired or wireless. In particular, an antenna may be provided in the safety mechanism box 1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an external rescue center wirelessly. In one or multipl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15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various sensors such as a fire sensor 7, an earthquake sensor 6, and a crime prevention sensor 5 installed out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also connected to an infrared detection device or camera installed in the outside to continuously monitor the designated area to monitor whether an emergency or unusual situation occurs, and when a specific situation occurs, the corresponding image is sent to the external rescue center or situation room ( 3) can be transmitted by wired or wireless. In one or many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may set various modes such as the outing mode, or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ransmit a text to an external rescue center or three designated external contacts 4 when an emergency occurs in the outing mode. .

상기 안전 기구함(1)에는 경고음 발생기(32) 및/또는 경고등(19)이 배치될 수 있다. 경고음 발생 장치(32)와 경고등(19)은 제어부(15)와 연결되며 제어부에서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서로 다른 색깔의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하게 현재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똑같이 정전된 경우인데, 안전 기구함(1) 외부의 상황실(3)로부터 지진신호가 제어부(15)에 전송된 경우와 화재 센서(7)에 의해 화재 신호가 제어부(15)에 전송된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는 서로 다른 경고음을 송출하고 서로 다른 색깔로 경고등을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현재의 정전이 지진으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화재로 인한 것인지 그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A warning sound generator 32 and / or a warning light 19 may be disposed in the safety mechanism box 1.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device 32 and the warning light 19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different warning sou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allows the warning lights of different colors to light up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situation. To mak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ame blackout, when the earthquak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 from the situation room 3 out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1 and the fire sensor 7 sends the fir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 In the case of transmiss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different warning sounds and lights the warning lights in different color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power failure is due to an earthquake or a fire.

상기 안전 기구함(1)은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상상황 발생시에 제어부(15)는 GPS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구조센터나 상황실(3)로 안전 기구함(1)의 실시간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1)은 어깨끈(18)을 구비함으로써 비상상황시에 사용자가 안전 기구함을 메고 이동할 수 있으므로, 그 GPS에 의해 위치를 실시간으로 외부의 구조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어디에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여 119구조센터의 원활한 구조활동에 도움을 준다. 상기 어깨끈(18)은 화재로부터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fety mechanism box 1 may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o identify a location, an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control unit 15 receives the location signal from the GPS and receives an external rescue center or situation room (3). The real-time posi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1 can be transmitted. In particular, the safety mechanism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houlder strap 18 so that the user can carry the safety mechanism box in an emergency, so that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in real time by GPS By sending it to the rescue center, users can easily understand where they are and help the 119 rescue centers' smooth rescue activities. The shoulder strap 18 is preferably formed of a heat-resistant material to sufficiently withstand the fire.

상기 안전 기구함(1)에는 상기 손전등(12) 및 간이 소화기(11) 중 적어도 하나를 비추기 위하여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가 배터리(14)의 전원을 이용하여 조명등(17)을 점등함으로써 안전 기구함 내부에서 다양한 안전 기구들 특히, 손전등과 간이 소화기를 서로 헷갈리지 않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safety mechanism box 1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ighting lamp 17 install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to illuminate at least one of the flashlight 12 and the simple fire extinguisher 11. As shown in FIG. 2,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control unit lights up the lighting lamp 17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14 to confuse various safety devices, particularly a flashlight and a simple fire extinguisher,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It can be used quickly.

상기 안전 기구함(1)에는 방독 마스크, 호루라기, 구명로프, 산소 호흡기, 휴대폰, 방범도구, 응급처치키트, 소형 라디오, 방화복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기 충격기 등이 방범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 충격기와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은 안전 기구함에 연결된 외부 전원(2)이나 안전 기구함의 배터리(1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상시 충전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다만 이러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도 소방, 방범, 재해 등에 필요한 다양한 기구들이 안전 기구함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afety mechanism box 1 may further include a gas mask, a whistle, a lifesaving rope, an oxygen respirator, a mobile phone, a security tool, first aid kit, a small radio, and fire protection clothing. An electric shocker or the like can be used as a crime prevention tool, and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n electric shocker and a mobile phone are installed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2 connected to a safety device box or a battery 14 of the safety device box to be in an always charged stat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configurations, and, of course, various mechanisms necessary for firefighting, crime prevention, and disaster may be installed in the safety mechanism box.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끈(18)을 더 포함한다. 종래에는 안전 기구가 보관된 보관함이 설치되어 있는 자리에서만 필요한 물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보관함이 설치된 그 자리에서 신속하게 이탈해야 하는 경우에는 안전 기구를 제대로 챙길 시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전 기구함의 배면부에 두 개의 어깨끈(18)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안전 기구함(1)을 메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하면서 마주치는 다양한 상황에 맞게 안전 기구함(1)에서 관련 기구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 기구함(1)의 GPS 및 제어부(15)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외부 구조센터와 무선으로 통신을 함으로써 자신의 위치를 전송하거나 혹은 외부의 상황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안전 기구함이 설치된 곳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안전 기구함을 메고 신속하게 그 자리를 벗어난 다음에도 여러 가지 안전 기구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생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mechanism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mechanism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houlder strap 18 as shown in FIG. 4. In the past, necessary items can be used only in a place where a storage box in which safety devices are stored is installed.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quickly disengage from the place where the storage box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insufficient time to properly pack the safety mechanis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by installing two shoulder straps (18) on the rear surfac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the user can selectively carry the safety mechanism box (1).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take out and use the relevant equipment from the safety mechanism box 1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encountered while moving, and use the GPS and the control unit 15 of the safety mechanism box 1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rescue center in real time. By communicating with, you can transmit your location or communicate the external situation to the us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ire near the place where the safety device box is installed, the user can greatly assist the user's survival because he can wear the safety device box and quickly use the various safety devices even after leaving the place. hav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기구함(1)은 안전 기구함의 주변으로 소방액을 분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20) 및 상기 소방액(24)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기구함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어렵게 안전 기구함이 있는 위치까지 접근했다고 하더라도 안전 기구함이 화염에 휩싸여 있으면 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기구함에 구비된 노즐(20)로 소방액(24)을 분사함으로써 최대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영역(R)을 확보하고 안전 기구함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노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기구함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전방, 후방, 및 측방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2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노즐은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하거나 이동하거나 분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 기구함 주변의 다양한 영역에 소방액을 분사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afety mechanism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nozzle 20 and the fire solution 24 for injecting a fire fighting solution into the vicinity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 storage container 21 for storag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case of a fire around the safety mechanism box, even if the user approaches the location where the safety mechanism box is in difficulty, the safety mechanism box cannot be used if it is encased in flames. By spraying the liquid (24) is to secure the area (R) that the user can access as much as possible and to protect the safety mechanism box itself. The nozzle 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s shown in Figure 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rear, and side, two or more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he nozzle may be formed to rotate, move, or change the injectio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rough this, the fire fighting solution may be sprayed to various areas around the safety mechanism box.

노즐(20)은 소방액(24)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용기(21)와 연통되어 있으며, 제어부(15)와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고 소방액을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안전 기구함에 온도 감지 장치(27)가 구비된 경우에는 노즐에 구비된 노즐 구동장치(미도시)와 온도 감지 장치(27)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온도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온도가 노즐 구동장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를 초과하면 구동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소방액(24)을 분사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제어부(15)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제어부(15)의 기능을 충분히 사용할 수 없는 특수한 상황에서도 노즐을 통해 소방액을 분사함으로써 안전 기구함(1)을 화재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nozzle 2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container 21 that stores the fire fighting solution 24,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 so that it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spray the fire fighting solution. Meanwhile, when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27 is provided in the safety mechanism box, the nozzle driving device (not shown) and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27 provided in the nozzle may be directly connected, and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is driven by the nozzle. If the temperature exceeds the preset temperature in the device, the driving device may automatically operate to spray the fire fighting solution 24. According to this, even in a special situation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he control unit 15 or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5 cannot be sufficiently used, the safety mechanism box 1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from fire by spraying fire fighting fluid through the nozzle.

또한, 상기 저장용기(21) 내부에는 상기 소방액의 저장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저장용기 센서(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저장용기 센서(25)로부터 전송되는 소방액의 저장량이 설정된 양보다 부족해지면 안전 기구함에 구비된 별도의 상태 표시창에 이를 표시하거나, 경고등을 점등하거나, 또는 경고음 발생장치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항상 충분한 양의 소방액이 저장용기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장용기 센서(25)는 예를 들면 저장용기 센서(25)가 저장용기(21)에 설치된 위치보다 소방액(24)의 높이가 낮아지면 소방액(24) 부족하다는 신호를 제어부(15)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torage container sensor 25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21 to detect the storage amount of the fire fighting solution and deliver the detected resul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15 may store the storage container sensor 25. When the amount of firefighting liquid that is transmitted from is insufficient than the set amount, a sufficient amount of firefighting liquid is always stored by displaying it in a separate status display window provided in the safety mechanism box, lighting a warning light, 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through a warning sound generating device. It should be stored in a contain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torage container sensor 25 controls, for example, a signal that the fire solution 24 is insufficient when the height of the fire solution 24 is lower than the position at which the storage container sensor 25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ontainer 21.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o (15).

한편, 안전 기구함의 외면에는 본체의 조명이 점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점등시험 버튼, 수동으로 조명을 점등하기 위한 수동 점등 스위치(168), 경보 장치의 음향을 선택하기 위한 음향 선택 버튼, 방범센서나 단전 또는 경보기 알람 등의 오작동시 또는 시험작동시 정상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복구버튼, 경고음 발생기의 경고음을 강제로 정지하기 위한 경고음 정지 버튼, 통신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통신 점검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점등시험 버튼 및 수동 점등 스위치는 이를 누를 경우 본체의 표시등이나 조명등과 같은 LED 등이 점등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표시등의 상태를 수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점검 버튼은 일 예로 이를 누를 경우 미리 입력되어 있는 3명의 외부 연락처(4)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전송하게 되며, 이를 통해 통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수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기구함(1)에는 LCD 표시창(30)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자세한 내용으로 장치의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 lighting test button for confirming whether the lighting of the main body is turned on, a manual lighting switch 168 for manually lighting the light, a sound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the sound of the alarm device, a security sensor B. In case of malfunction such as power failure or alarm, or recovery, a recovery button for restoring to normal state, a stop button for beeping to forcibly stop the warning sound of a beep generator, and a communication check button for checking communication status may be provided. have. When the light test button and the manual light switch are pressed, the LED light such as an indicator or a light on the main body is turned on, and the user can manually check the state of the light through this. When the communication check button is pressed as an example, when a user presses it, a mobile terminal of 3 external contacts 4 input in advance makes a call or sends a text,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anually check whether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operating normally. . In addition, the safety mechanism box 1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such as an LCD display 30,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more detail.

지금까지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so fa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can grow a variety of variations,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안전 기구함 2: 외부 전원
3: 외부 상황실 4: 외부 연락처
11: 간이 소화기 12: 손전등
13: 표시등 14: 배터리
15: 제어부 17: 조명등
18: 어깨끈 19: 경고등
20: 노즐 21: 저장용기
25: 저장용기 센서 27: 온도 감지 장치
30: 표시창 32: 경고음 발생 장치
1: Safety mechanism box 2: External power supply
3: Outside control room 4: Outside contact
11: simple fire extinguisher 12: flashlight
13: indicator light 14: battery
15: control unit 17: lighting
18: Shoulder strap 19: Warning light
20: nozzle 21: storage container
25: storage container sensor 27: temperature sensing device
30: display window 32: warning sound generating device

Claims (16)

이동 가능한 안전 기구함에 있어서,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화기;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전등; 상기 안전 기구함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안전 기구함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표시등;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 및 외부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충전중인 배터리의 전원을 활용하여 표시등을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구조센터나 상황실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유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출모드로 설정이 가능하고,
내열 소재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 기구함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깨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 기구함의 외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 조명, 단전 여부를 나타내는 단전 조명,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조명,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조명, 손전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손전등 조명, 손전등의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손전등 배터리 조명, 안전 기구함 및 손전등의 배터리의 교체시기가 된 것을 표시하는 배터리 교체 조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조명램프는 색상을 달리하거나 점멸하여 이상 여부를 표시하고,
안전 기구함 본체의 표시등이 점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점등시험 버튼, 수동으로 조명등을 점등하기 위한 수동 점등 스위치, 경보 장치의 음향을 선택하기 위한 음향 선택 버튼, 방범센서나 단전 또는 경보기 알람 등의 오작동시 또는 시험작동시 정상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복구버튼, 경고음 발생기의 경고음을 강제로 정지하기 위한 경고음 정지 버튼, 통신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통신 점검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통신 점검 버튼 작동시 미리 입력된 복수이 외부연락처의 단말기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전송하며,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는 방독 마스크, 호루라기, 구명로프, 산소 호흡기, 휴대폰, 방범도구, 응급처치키트, 라디오, 방화복, 전기충격기 중 적어도 하나가 더 구비하고 상기 휴대폰, 상기 라디오, 상기 전기충격기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은 외부전원이나 상기 배터리에 의하여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소화기는 스프레이 타입이며 상기 소화기의 외면 및 뚜껑에는 야광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In the movable safety mechanism box,
At least one fire extinguisher dispos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t least one flashlight dispos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 indicator light emitting light out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It includes; and a control unit that detects when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controls to emit an indicator by utilizing the power of the battery being charge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rescue center or situation room via a wired / wireless network to transmit / receive wired / wireless signals, and can be set in an outgoing mode.
It is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houlder strap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to be worn on the user's should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 power supply light indicating a state of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power failure light indicating a power failure, a battery light indicating a battery state, a charging state light displaying a battery charge state, and a state of a flashlight The illumination lamp includes a flashlight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lashlight, a flashlight battery light indicating the battery status of the flashlight, a safety mechanism box, and a battery replacement light indicating the time to replace the battery of the flashlight. Otherwise or flashing to indicate abnormality,
Safety test box, lighting test button to check whether the indicator light on the main body is turned on, a manual lighting switch to manually turn on the lighting lamp, a sound selection button to select the sound of the alarm device, security sensor, power failure or alarm, etc. At least one of a recovery button for restoring to a normal state during a malfunction or a test operation, a stop button for a warning sound for forcibly stopping the warning sound of a warning sound generator, and a communication check button for checking a communication state are provided. During operation, a plurality of pre-inputs make a call or send a text message to an external contact terminal.
At least one of a gas mask, a whistle, a lifesaving rope, an oxygen respirator, a mobile phone, a security tool, a first aid kit, a radio, a fire fighting suit, and an electric shocker are provided inside the safety device box and include the mobile phone, the radio, and the electric shocker The electronic product to be maintained maintains a state of charge by external power or the battery,
The fire extinguisher is a spray type, and a safety mechanism box characterized in that a luminous silicone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lid of the fire extinguis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등은 LED 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is a safet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ligh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등의 상태, 상기 손전등의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의 교체시기, 및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safety mechanism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indicator light, the state of charge of the flashlight,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the replacement time of the battery, and the supply state of the external pow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기구함의 외면에는 상기 표시등의 상태, 상기 표시등의 교체시기, 상기 손전등의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상기 배터리의 교체시기,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전원 공급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fety mechanism box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indicator ligh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indicator, the charging state of the flashlight,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the replacement time of the battery, and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external power A safety mechanism box comprising at least one inspection ligh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기구함은 경고음 발생기 및 경고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서로 다른 색깔의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afety mechanism box further includes a warning sound generator and a warning light, and the controller generates a different warning sound according to a situation or controls a warning light of a different color to be turned on.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기구함은 안전 기구함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GPS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구조센터나 상황실로 안전 기구함의 실시간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afety mechanism box further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the control unit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GPS and transmit a real-time location of the safety mechanism box to an external rescue center or control room. Features safety mechanism box.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 및 소화기 중 적어도 하나를 비추기 위하여 상기 안전 기구함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safety mechanism box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ing lamp installed in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to illuminate at least one of the flashlight and the fire extinguis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기구함의 주변으로 소방액을 분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 및 상기 소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소방액을 분사하거나 또는 안전 기구함에 장착되어 있는 별도의 온도 감지장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온도 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소방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nozzle for spraying the fire fighting solution to the periphery of the safety mechanism box and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fire fighting solution,
The nozzle is connected to a separate temperature sensing device mounted on a safety mechanism box or spraying a fire fighting solution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so that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the fire fighting solution is automatically turned on. Safety mechanism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pra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내부에는 상기 소방액의 저장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결과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저장용기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용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소방액의 저장량이 설정된 양보다 부족해지면 안전 기구함에 구비된 별도의 상태 표시창에 이를 표시하거나, 경고등을 점등하거나, 또는 경고음 발생장치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The method of claim 11,
A storage container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to detect the amount of the fire fighting solution and transmits the detected resul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safe when the storage amount of the fire fighting liquid transmit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sensor is less than the set amount. A safety mechanism box characterized by displaying it in a separate status display window provided in the mechanism box, lighting a warning light, 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through a warning sound generating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전 기구함의 외부에 배치되는 진동 감지 센서, 방범 센서, 적외선 감지기,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at least one of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security sensor, an infrared detector, and a camera disposed outside the safety mechanism box, wired or wireless.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기구함은 LCD 표시창을 통해 안전 기구함 및 내부에 설치된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구함.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afety mechanism box is a safety mechanism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afety device and the device installed therein through the LCD display.
삭제delete
KR1020180012958A 2018-02-01 2018-02-01 Safty tool box KR1021036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58A KR102103631B1 (en) 2018-02-01 2018-02-01 Safty too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958A KR102103631B1 (en) 2018-02-01 2018-02-01 Safty tool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80A KR20190093380A (en) 2019-08-09
KR102103631B1 true KR102103631B1 (en) 2020-04-22

Family

ID=6761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958A KR102103631B1 (en) 2018-02-01 2018-02-01 Safty tool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63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8599A1 (en) * 2020-10-01 2022-04-07 Chris Hart Disaster relief hub box system
US11915570B2 (en) 2020-07-16 2024-02-27 Ventec Lif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gas
US11931689B2 (en) 2020-07-16 2024-03-19 Ventec Lif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g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55B1 (en) * 2019-10-22 2020-07-09 주식회사 유트론 Fire Sign Detection System of Power equipment
KR102132354B1 (en) * 2019-10-22 2020-07-09 주식회사 유트론 Arc detection transmission device of power equipment
KR102240578B1 (en) * 2020-06-29 2021-04-15 주식회사 미래디앤에스 The case for the descending device for escap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72Y1 (en) * 2003-09-05 2003-12-11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Emergency box
KR200408284Y1 (en) * 2005-10-04 2006-02-08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lighting emergency lamp of show case
KR100905234B1 (en)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A keeping cabinet of a fire fighting system and saving life system
JP2011239861A (en) * 2010-05-17 2011-12-01 Teikoku Sen I Co Ltd Fire hydrant cabinet with aed accommodating unit
KR101312599B1 (en) * 2013-04-02 2013-09-30 (주)대림소방공사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KR101585969B1 (en) * 2015-05-26 2016-01-15 이윤근 Multi-purpose safet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05Y1 (en) 2004-07-08 2004-10-02 주식회사 누리이앤씨 The Total Fire Safety Tool Box
KR101644273B1 (en) * 2015-08-10 2016-07-29 (주)불켄유티아이 Emergency Information Billboard and Emergency Inform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72Y1 (en) * 2003-09-05 2003-12-11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Emergency box
KR200408284Y1 (en) * 2005-10-04 2006-02-08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lighting emergency lamp of show case
KR100905234B1 (en)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A keeping cabinet of a fire fighting system and saving life system
JP2011239861A (en) * 2010-05-17 2011-12-01 Teikoku Sen I Co Ltd Fire hydrant cabinet with aed accommodating unit
KR101312599B1 (en) * 2013-04-02 2013-09-30 (주)대림소방공사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KR101585969B1 (en) * 2015-05-26 2016-01-15 이윤근 Multi-purpose safety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5570B2 (en) 2020-07-16 2024-02-27 Ventec Lif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gas
US11931689B2 (en) 2020-07-16 2024-03-19 Ventec Lif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gas
US20220108599A1 (en) * 2020-10-01 2022-04-07 Chris Hart Disaster relief hub box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80A (en)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631B1 (en) Safty tool box
KR101803806B1 (en) Social securi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ing for combing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security accident prevention
US20180109740A1 (en) Thermal imaging system
KR101029554B1 (en) Multi-function hand fire extinguisher system
KR101595850B1 (en) Personal air breathing device with safety alarm function
US8919979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hose attachment to enhance visibility, communication, atmospheric monitoring, early detection and warning for fire fighter scene safety and method therefor
KR102217765B1 (en) Safety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falling of the high place worker and safety system using the same
US20150130924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hose attachment to enhance visibility and safety and method therefor
KR101585969B1 (en) Multi-purpose safety system
KR101783825B1 (en) emergency exit lamp and control system of the same
US9214076B2 (en) Firefighter's safety monitoring and alarm
US8651195B2 (en) 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KR200454894Y1 (en) Multifunctional Smoke Lantern
KR101729521B1 (en) emergency exit lamp and control system of the same
KR101676813B1 (en) A alarm for saving a life
KR101807265B1 (en) fire-prevention system possible earthquake observation
KR20170140649A (en) Fire extinguisher provided warning light
KR200314946Y1 (en) A persond safety warning system for an air breathing device
US9631806B2 (en) Device for housing electronics and optics at the leading edge of a fire suppression operation
CN208706017U (en) Radio security device based on cigarette sense detection
KR20160061544A (en) Fire-Extinguishing Equipment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US9860459B2 (en) Signaling device for an obscured environment
CN102750801A (en) Intelligent firemen's special call unit
KR20170079165A (en) fire-prevention system possible earthquake observation
KR102464679B1 (en) Rescue system using Portable LED Lantern 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