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31Y1 -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 Google Patents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31Y1
KR200308131Y1 KR20-2002-0038768U KR20020038768U KR200308131Y1 KR 200308131 Y1 KR200308131 Y1 KR 200308131Y1 KR 20020038768 U KR20020038768 U KR 20020038768U KR 200308131 Y1 KR200308131 Y1 KR 200308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telephone
unit
telephone numb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7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경호
오영환
Original Assignee
오영환
전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환, 전경호 filed Critical 오영환
Priority to KR20-2002-0038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3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31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3Line monitoring circuits for detecting caller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인가를 확인하여 전화호출한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명칭 및/또는 전화번호와 발신자가 보낸 문자메시지 등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calling party number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company, and checks whether the recognized telephone number is the telephone number set by the user so that the name and / or telephone number and the text message sent by the caller can be identif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having a voice output means of caller information output by voice.

본 고안의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는,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정보를 검출하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발신자정보검출부(10)와, 상기 발신자정보검출부(10)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중에서 발신자전화번호를 검출하여 미리 입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는 주제어부(20)와, 사용자입력 전화번호를 저장하였다가 주제어부(20)에 제공하는 메모리부(30)와, 주제어부(20)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음성으로 전화를 호출한 발신자명칭과 전화번호 또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40)와, 상기 음성출력부(4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청취 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50)와, 상기 메모리부(30)에 음성출력을 허용하는 발신자명칭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lephone provided with the voice output means of the caller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for detecting call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telephone station and extracting data, and extracted from 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The main control unit 20 detect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from the data and compares it with the previously input telephone number, the memory unit 30 storing the user input telephone number and providing the main control unit 20 to the main control unit 20, and the main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all), the voice output unit 40 for outputting the caller name and the telephone number or voice message and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40 are output as audible signal. And a key input unit 60 for inputting a caller name and a telephone number to allow voice output to the memory unit 30.

Description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본 고안은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인가를 확인하여 전화호출한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명칭 및/또는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 등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calling party number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company, and outputs the name and / or telephone number and text message to the user so that the recognized calling number can be confirmed by the user to determine the calling party. A telephone having a voice output means for calling party information.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한 전화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업체에서 호통화요청신호가 수신될 때에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가입자의 이름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발신자서비스를 전화국에 신청하면 전화국으로부터 발신자의 이름이나 전화번호 또는 문자 메세지가 통화중이거나 또는 대기상태에서 호출된 전화기의 액정장치등에 표시된다.In general, a telecommunication company that provides a telephone call service using a mobile phone or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implements a service for providing a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a subscriber's name when a call request signal is received. When you apply for caller service to a telephone company, the name, telephone number or text message of the caller from the telephone company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evice of the telephone which is called during a call or in a waiting state.

이러한 발신자정보제공 서비스는, 전화번호 및 발신자 이름을 확인하고 전화를 선택하여 받거나 문자 메세지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장난전화나 전화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The calle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prank calls or phone violence because it is possible to check a phone number and caller name, select a phone call, or check a text message.

그러나 이러한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발신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장치가 대부분 소형이기 때문에 시력이 약한 사람이나 시각장애인의 경우, 표시가 적게 이루어져 보이지 않거나 아주 안보이게 된다. 따라서 나이에 의한 노안을 비롯하여시력저하나 시각장애인의 경우, 종래에는 전화국으로부터 발신자서비스에 의하여 발신자표시가 이루어져도 이를 파악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spite of such convenience, since the liquid crystal device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is mostly small, in the case of a person with low vision 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he display is made invisible or invisible. Therefore, in the case of visually impaired or visually impaired people, such as presbyopia due to age, conventionally, even if the caller indication was made by the caller service from the telephone company,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could not be understood.

더욱이 발신자표시기능이 없는 전화기 중에는 통화중에 다른 호요청이 발생되더라도 발신자정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발신자를 확인할 수 없어서 전화통화가 종료된 후에 발신자확인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among the telephones without a caller display function, even if another call request occurs during a call, caller information cannot be provided because caller information is not provided.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인가를 확인하여 전화호출한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명칭 및/또는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 등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the caller number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company, and to verify that the recognized phone number is the telephone number set by the user so that the caller can be call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phone having a voice output means of caller information for outputting a name and / or a telephone number and a text messag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표시기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가 구비되지 않는 전화기에서도 사용자가 신청하면 발신자표시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가진 발신자의 호출상태를 음성으로 통보할 수 있는 발신자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ller that can use the caller display function when the user applies even in a phone that is not equipped with the hardware that provides the caller display function. In particular, a caller who can notify the call state of the caller who has a preset phone number by vo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phone that outputs information in voic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신자정보 음성출력수단의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aller information voice outpu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발신자정보 음성출력수단이 구비된 유선전화기의 블럭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landline telephone having a caller information voice output means;

도 3은 발신자정보 음성출력수단이 구비된 핸드폰의 블럭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having a caller information voice output means;

도 4는 본 고안의 전화기의 작동상태 흐름도.Figure 4 is a flow diagram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 발신자정보검출부 20 : 주제어부10: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20: subject fisherman

30 : 메모리부 40 : 음성출력부30: memory unit 40: voice output unit

50 : 스피커 60 : 키입력부50: speaker 60: key input unit

70 : 잭 71 : 호신호검출부70: jack 71: call signal detection unit

72 : 통화선택스위치부 73 : 스위치회로부72: call selector switch 73: switch circuit

74 : 링신호발생부 75 : 스피커74: ring signal generator 75: speaker

76 : 송수화기부 77 : 잭76: handset unit 77: jack

78 : 스피커 79 : 마이크78: speaker 79: microphone

80 : 무선송수신부 81 : 기저대역처리부80: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81: baseband processing unit

82 : 메모리부 83 : 키입력부82: memory section 83: key input section

84 : 보코더 85 : 표시부84: vocoder 85: display unit

A : 음성출력수단A: sound output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는,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정보를 검출하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발신자정보검출부와, 상기 발신자정보검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중에서 발신자전화번호를 검출하여 미리 입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는 주제어부와, 사용자입력 전화번호를 저장하였다가 주제어부에 제공하는 메모리부와, 주제어부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음성으로 전화를 호출한 발신자명칭과 전화번호 또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와, 상기 음성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청취 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메모리부에 음성출력을 허용하는 발신자명칭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elephone having a voice output means of caller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call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telephone station and extracting data, and extracted from 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e main control unit detect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from the data and compares it with the previously entered telephone number, the memory unit storing the user input telephone number and providing it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caller who calls the phone by vo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main control unit.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name, a telephone number or a voice message,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as an audible signal, and a caller name and a telephone number allowing voice output to the memory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ey input unit for inp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telephone having a voice output means of call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신자정보 음성출력수단(A)의 블럭구성도이다. 음성출력수단은 종래 사용되는 유무선전화기 또는 핸드폰에 연결되어서 작동되며,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정보를 검출하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발신자정보검출부(10)와, 상기 발신자정보검출부(10)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중에서 발신자전화번호를 검출하여 미리 입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는 주제어부(20)와, 사용자입력 전화번호를 저장하였다가 주제어부(20)에 제공하는 메모리부(30)와, 주제어부(20)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음성으로 전화를 호출한 발신자명칭과 전화번호 또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40)와, 상기 음성출력부(4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청취 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50)와, 상기 메모리부(30)에 음성출력을 허용하는 발신자명칭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60)를 포함하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ender information voice output mean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output means is connected to a conventional wired / wireless telephone or a mobile phone, and is operated. 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ng unit 10 detects call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telephone station and extracts data, and among the data extracted from 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ng unit 10. The main control unit 20 detect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compares it with the previously inputted phone number, the memory unit 30 storing the user input telephone number and providing the main control unit 20 to the main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name of the caller who calls the phone by voice and a voice output unit 40 for outputting a phone number or a voice messag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40 as an audible signal. 50, and a key input unit 60 for inputting a caller name and a telephone number to allow voice output in the memory unit 30.

상기 발신자정보검출부(10)는,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정보를 검출하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데이터를 추출한다. 발신자정보는 전화국으로부터전송되는 정보로서 전화를 호출한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발신자 이름 또는 문자메시디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용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발신자정보검출부(10)에 의하여 검출된 발신자정보데이터는 주제어부(2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되어서 주제어부(20)에 입력된다.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detects call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station and extracts specific data contained in the information. Call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telephone company and includes a telephone number of a caller who calls a telephone, a caller's name or a text message, and is a commercially available service. The caller information data detected by 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is converted into data recognizable by the main controller 20 and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20.

상기 주제어부(20)는 발신자정보검출부(10)로부터 입력되는 발신자데이터를 미리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되어 있는 설정데이터와 비교한다. 비교결과 추출된 발신자정보데이터와 저장된 설정데이터가 일치하면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성출력은 통화중이거나 또는 통화대기중이거나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특정한 기능설정에 의하여 후에 음성출력을 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후에 상술된다.The main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caller data input from 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with the setting data stored in advance by the user. If the extracted caller information data and the stored setting data match,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 control signal is output to output the caller information by voice. This voice output may be performed whether or not on a call or in a call waiting.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set a voice output later by a specific function sett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메모리부(30)는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원하는 발신자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발신자정보데이터가 입력되면 주제어부(20)에 의하여 비교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독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메모리부(30)는 통상 사용되는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부(30)에 저장되는 발신자데이터는 예를 들어 발신자전화번호와 발신자이름이 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30 stores data for a caller that the user wants to make a phone call, and is used to read the data for comparison by the main control unit 20 when caller information data is input. The memory unit 30 may be configured using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that is commonly used. The caller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30 may be, for example, a caller phone number and a caller name.

상기 음성출력부(40)는 주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자신이 전화통화를 허용한 발신자가 전화호출을 하였다는 것을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음성출력부(40)는, 주제어부(2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신호중에 포함된 발신자전화번호와 발신자이름을 D/A 변환하여 스피커(50)를 통하여 출력한다. 음성출력부(4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기와, 상기 D/A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음성출력부(40)는 문자메시지가 입력된 경우에 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voice output unit 40 is for notifying the user that the caller who has allowed a telephone call has made a phone call by vo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control unit 20.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main control unit 20, the voice output unit 40 convert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the caller's name included in the signal into D / A,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50. The voice output unit 40 includes a D /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to perform such a function. In addition, when the text message is input, the voice output unit 40 converts the text message into voice and outputs it.

상기 키입력부(60)는 사용자가 접촉을 허용한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키입력부(60)는 숫자키, 특수문자키와 문자입력키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문자키는 특히 특정한 키의 조합에 의하여 입력시키는 방식, 예를 들어 천지인 입력방식과 같은 입력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ey input unit 60 is for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and name of the caller that the user has allowed to contact. The key input unit 60 is provided with a numeric key, a special character key and a character input key, and the character keys are particularly inputted by a combination of specific keys, for example, by using an input method such as a celestial input method. desirable.

상기 키입력부(60)는 또한 발신자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키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능키는 특수문자키 또는 특정한 키가 될 수 있으며, 기능키를 누르면 발신자정보가 음성으로 즉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통화중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발신자정보가 입력됨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후에 사용자가 발신자정보를 듣기 위하여 특수문자키 또는 특정키를 누르면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것이다. 통화대기중에는 전화벨신호가 울리므로 전화벨소리가 출력되도록 하고, 통화중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특정한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한다.The key input unit 60 also includes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aller information by voice. The function key may be a special character key or a specific key, and when the function key is pressed, the caller information is not immediately output by voice, but in a call, an audio signal is output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caller information is input. After the user presses a special character key or a specific key in order to hear the caller information is output as a voice signal. While the call is waiting, the telephone ringing signal sounds so that the telephone ringing sound is output. During the call, the telephone ringing sound is output.

도 2 및 도 3은 상기와 같은 음성출력수단(A)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 종래 사용되는 유무선전화기와 핸드폰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2 and 3 show the state of use of the voice output means (A) as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showing a stat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wired and wireless telephones and mobile phones.

도 2를 참고하면, 유무선전화기에서는 전화국선을 통하여 음성출력수단(A)에서 호신호를 검출하고, 또한 발신자 정보를 입력받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방식에 의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음성출력수단(A)은 종래 전화기의 통화상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단독적으로 작동된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d / wireless telephone is connected to detect a call signal from the voice output means A through the telephone line and to receive caller information. By this connection method, the voice output mean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lone without affecting the call state of the conventional telephone.

한편, 유무선전화기의 통화중상태는 전화국선을 통과하는 입출력신호를 검출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화선택스위치부(72)(일명 훅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여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여, 음성출력수단(A)의 주제어부(20)에 훅스위치의 온/오프상태를 검출하도록 전선을 연결하고, 훅스위치가 통화위치이면 통화중, 그렇지 않으면 통화종료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busy state of the wired / wireless telephone can be determined by detecting an input / output signal passing through the telephone line or by detecting the on / off state of the call selection switch unit 72 (aka hook switch). In other words, a wire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20 of the audio output means A to detect the on / off state of the hook switch, and if the hook switch is in the call position, the call is judged to be in a busy state, or the call end state. .

유무선전화기의 구성 및 작동상태는 종래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ed / wireless telephone are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에 비하여 핸드폰의 경우에는, 도 3을 참고하면, 무선송수신부(8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기저대역처리부(81)에서 처리한 후에 출력되는 신호, 즉 중앙처리부에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작동된다. 상기 중앙처리부에 입력되는 신호는 인식 가능하도록 변조된 신호로서 본 발명의 음성출력수단(A)에서도 역시 검출이 가능한 상태임은 명백하다. 또한 음성출력수단(A)은 종래 핸드폰의 통화상태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고 작동됨은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referring to FIG. 3, the baseband processor 81 process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80 and detects a signal output, that is, a signal input to the central processor. do. The signal in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a signal modulated so as to be recognizable, and it is apparent that the voice output unit 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detect the signal.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voice output means (A) is operated without affecting the call state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핸드폰의 경우에는 발신자정보데이터가 유선이 아니라 무선으로 전송되는 점에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작동상태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통화상태의 검출은 보코더(84)의 신호입출력상태, 또는 무선송수신부(80)의 입출력 상태등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핸드폰의 구성 및 작동상태도 종래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caller information data is transmitted wirelessly rather than wired, and the remaining operating states are essentially the same. 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of the call state can be determined using the signal input / output state of the vocoder 84, or the input / output state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80, and the like.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are also well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음성출력수단(A)을 구비한 전화기(유무선전화기, 핸드폰)의 작동상태를 도 4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telephone (wireless / wireless telephone, cellular phone) provided with the voice output means A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4.

전화기가 통화대기상태에 있거나 또는 통화중인 경우에, 음성출력수단(A)은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발신자정보의 입력을 검출한다. 대기상태에서 전화호신호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어서 통화를 시작하면 이에 따라서 음성출력수단(A)에서는 현재 전화기가 통화중임을 인식한다. 이러한 최초 통화상태에서 음성출력수단(A)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telephone is in a call waiting state or in a call, the voice output means A detects the input of caller information while maintaining the standby state. When the telephone call signal is input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user starts a call by picking up the handset, the voice output means A recognizes that the telephone is currently busy. In this initial call state, the voice output means A maintains a standby state.

상기와 같은 대기상태에서, 통화대기중 또는 통화중에 전화호요청이 입력되면 전화국에서 발신자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발신자정보제공서비스는 미리 요청되어야 한다. 전송된 발신자정보는 음성출력수단(A)의 발신자정보검출부(10)에 의하여 검출된 후에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정보데이터가 추출된다. 발신자정보데이터는 발신자의 명치(이름이나 회사명등 포함)와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가 된다. 만일 통화대기중의 경우에는 전화벨소리가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화가 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standby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a telephone call request is input during call waiting or during a call, the caller transmits caller information. The caller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hould be requested in advance. After the transmitted caller information is detected by 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of the voice output means A, caller information data contained therein is extracted. The caller information data is data such as caller's name (including name or company name) and telephone number. If the call is waiting,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call is received because the phone ringing tone is output.

상기와 같이 발신자정보데이터를 추출한 후에 주제어부(20)로 입력시킨다. 주제어부(20)에서는 입력된 발신자정보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입력된 설정데이터를 비교한다. 설정데이터는 키입력부(60)에 의하여 미리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전화번호와 발신자 이름 등이 되며, 메모리부(30)에 저장된다.After extracting the caller information data as described above, it is input to the main control unit 20. The main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input caller information data and the setting data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The setting data may be at least one caller's telephone number, caller's name, etc. previously input by the key input unit 60,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30.

주제어부(20)에서는 추출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추출된 데이터와 설정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주제어부(20)는 현재 입력된 발신자정보데이터들을 무시한다. 그리고 계속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한다.The main control unit 20 compares the extracted data with the set data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atch. If the extracted data and the setting data do not match, the main controller 20 ignores the currently input caller information data. And it keeps waiting.

만일 추출된 데이터와 설정데이터가 일치하면 주제어부(20)에서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주제어부(20)에서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전화기의 액정표시장치에도 발신자 정보(전화번호와 명칭)가 동시에 출력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시력이 나쁜 사용자나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문자를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f the extracted data and the setting data coincide, the main controller 20 outputs a signal to output a voice signal. At this time, caller information (telephone number and name) is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telephone. However, in the case of a user with poor eyesight or a blind pers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character.

주제어부(20)에서 출력된 신호는 음성출력부(40)로 입력된다. 음성출력부(40)는 주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음성신호는 발신자 전화번호와 명칭이 된다. 또는 문자메시지가 입력된 경우에는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된다. 음성신호로 출력되면 시력이 나쁘거나 시각장애인인 사용자는 즉시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unit 20 is input to the voice output unit 40. The voice output unit 40 synthesizes and outputs a voice signal using a signal input from the main controller 20. The voice signal i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name. Alternatively, when a text message is input, the text message is converted into a voice message and output. When the voice signal is output, the user who has poor eyesight or visual impairment can immediately check the caller and take necessary measures.

상기와 같은 발신자 전화번호와 발신자 명칭의 음성출력은 만일 사용자가 횟수를 지정하면 소정 횟수동안 수행되어서 사용자가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발신자 이름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voice output of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the caller's nam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f the user specifies the number of times so that the user can clearly recognize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the caller's name.

또한 본 고안의 음성출력수단(A)은 사용자가 대기모드를 지정하면, 발신자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즉시 음성으로 출력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하여 음성출력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키입릭부(60)의 특수문자키 또는 특정키를 누르면 대기모드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특수문자키 또는 특정키를 누르면 음성출력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때에 편리하게 음성출력을 들음으로서 전화를 건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는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f the user designates the standby mode, the voice output means (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standby state until the voice output command is input by the user without being immediately outputted as voice even if caller information is input. This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when the special character key or the specific key of the key input unit 60 is pressed, and switches to the voice output mode when the special character key or the specific key is pressed in this state. By doing so,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dentify the caller who made the call by simply listening to the voice output when he / she wants it.

본 고안의 상기 설명에서는 일체로 구성되는 음성출력수단(A)을 구비한 것으로 예를 들었지만, 종래 사용되는 유무선전화기 또는 핸드폰과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명백하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ified as having an integrated audio output means (A),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configured in a form separate from the conventionally used wired or wireless telephones or mobile phones,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화통화중에 전화호(출)신호가 입력되면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전화번호인가를 확인하여 전화통화가 종료되면 전화호출한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음성으로 출력하여 시력이 약한 사용자나 시각장애인등과 같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lephone call (outgoing) signal is input during a telephone call, the caller recognizes the calling party number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company, checks whether the recognized telephone number is a telephone number set by the user, and ends the telephone cal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such as a user with low vision or visually impaired, by outputting a voice to confirm a caller.

Claims (3)

전화기에 있어서,In the phone,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발신자정보를 검출하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발신자정보검출부(10)와, 상기 발신자정보검출부(10)로부터 추출된 데이터중에서 발신자전화번호를 검출하여 미리 입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는 주제어부(20)와, 사용자입력 전화번호를 저장하였다가 주제어부(20)에 제공하는 메모리부(30)와, 주제어부(20)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음성으로 전화를 호출한 발신자명칭과 전화번호 또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40)와, 상기 음성출력부(4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청취 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50)와, 상기 메모리부(30)에 음성출력을 허용하는 발신자명칭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A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for detecting call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telephone station and extracting data, and a main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caller's telephone number from the data extracted from 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on unit 10 and comparing it with a previously input telephone number ( 20), the memory unit 30 that stores the user input telephone number and provides it to the main control unit 20, and the caller name and telephone number or voice calling the phone cal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main control unit 20. A voice output unit 40 for outputting a message, a speaker 50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40 as an audible signal, and a voice output to the memory unit 30 And a key input unit (60) for inputting a caller name and a telephone nu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신자정보검출부(10)가 전화국선을 통하여 발신자정보를 검출하거나 또는 무선신호중에서 발신자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And the caller information detecting unit (10) detects caller information through a telephone line or detects caller information in a radio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제어부(20)가 특수문자키 또는 소정의 키입력을 받으면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입력된 발신자전화번호와 명칭 또는 음성메시지를 음성출력하지 않고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입력상태를 표시하며, 음성출력용 명령이 할당된 키입력이 있으며 발신자 전화번호와 명칭 또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When the main control unit 20 receives a special character key or a predetermined key input, the main control unit 20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and displays an input state by outputting an audio signal without outputting the input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name or voice message. A telephone having a voice output means for caller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a key input to which an output command is assigned and outputs a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name or a voice message.
KR20-2002-0038768U 2002-12-23 2002-12-23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KR2003081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768U KR200308131Y1 (en) 2002-12-23 2002-12-23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768U KR200308131Y1 (en) 2002-12-23 2002-12-23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812A Division KR20030051540A (en) 2003-05-30 2003-05-30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131Y1 true KR200308131Y1 (en) 2003-03-19

Family

ID=4933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768U KR200308131Y1 (en) 2002-12-23 2002-12-23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3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870B1 (en) * 2006-03-03 2013-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system and their operating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870B1 (en) * 2006-03-03 2013-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system and their operating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763A (en) Telephone with a mute ringer function having an automatic ringer reactivation capability
US5903628A (en) Caller information (CLID) controlled automatic answer feature for telephone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0164372B1 (en) Method of calling automatically in a cordless phone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US6748075B2 (en) Telephone and cordless telephone
KR200308131Y1 (en)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KR20030051540A (en)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JP4863837B2 (en) Telephone equipment
KR100434910B1 (en) Method of sending a information message in mobile phone
JP3667087B2 (en) Control method of mobile phone terminal
JP4601515B2 (en) Telephone with anti-nuisance call sound output function
JP2004007792A (en) Telephone set
KR100400268B1 (en) Device for display the connection information a calling using acknowledge in mobile phon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046917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JPH08331234A (en) Telephony system
KR200240708Y1 (en) Transmission of the sound of a language for one-button dialing system
KR200254224Y1 (en) Apparatus for announcing a cid number by voice message in a cid service telephone
KR20040061509A (en) Method of notifying absent call
JP4688607B2 (en) Telephone with anti-nuisance call sound output function
KR20030040728A (en) Method for scramble using mobile terminal
KR100732962B1 (en) Voice bell output method by using caller ID
KR200289651Y1 (en) Information apparatus rejection calling of portable terminal
KR100660119B1 (en) Phone and the System With Voice Output Selecting Function for Transmitter Information
JP2007049558A (en) Telephone set with function of outputting sound for nuisance call blo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