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172B1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 Google Patent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172B1
KR100469172B1 KR10-2002-0062795A KR20020062795A KR100469172B1 KR 100469172 B1 KR100469172 B1 KR 100469172B1 KR 20020062795 A KR20020062795 A KR 20020062795A KR 100469172 B1 KR100469172 B1 KR 10046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speaker
communication terminal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84044A (en
Inventor
박원섭
Original Assignee
박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섭 filed Critical 박원섭
Priority to KR10-2002-006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172B1/en
Publication of KR20020084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0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17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때,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그 사용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큰 음량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상대방이 응답하여 통화연결상태로 되면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는 휴대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makes a phone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ingback tone signal and a busy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re automatically output at a high volum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a state of use thereof,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displ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which can be heard even when the user is not close to the ear and outputs a small volume when the other party answers the call.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 시에 상대방이 응답할 때까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대고 있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링백톤을 대신하여 음악이나 음성을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경우, 특히 동영상이나 캐릭터 등의 영상신호를 함께 송출하고, 이를 광고에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대고 있어야 하므로 영상을 볼 수 없게 되고, 또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을 송출한다하여도 혼자서만 듣게 되어 광고의 효과가 극히 미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를 완전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only necessary to hol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ear until the other party responds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when a music or voice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nstead of the ringback tone, the video signal such as a video or a character is not particularly use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together and using the same for advertisement, the user should not hol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ear unles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llow the user to see the image, and even if the advertisement music or voice is transmitted alone, the effect of the advertisement is extremely low. There is a problem of weakness,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roblem can be completely solved.

Description

수신신호에 따라 그 출력음량이 가변적인 휴대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본 발명은 수신신호에 따라 그 출력음량이 가변적인 휴대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에 통화연결음(링백톤) 및 비지음을 사용자가 휴대폰을 귀에가까이 대지 않고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가한 휴대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in which the output volume is variabl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when making a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ringback tone) and n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which add a function of allowing a user to listen to a mobile phone without bringing the mobile phone close to the ear.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에서, 무선모듈(20)은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신호처리기(30)는 수신된 신호(예컨대 링백톤신호, 비지신호,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이어스피커(50)로 출력하고, 또 마이크로폰(4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무선모듈(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FIG. 1, the wireless module 20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to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the signal processor 30 demodulates a received signal (for example, a ringback tone signal, a busy signal, and a voice signal). It outputs to the ear speaker 50, and modulates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40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module 20.

제어부(10)는 무선모듈(20)과 신호처리기(30)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은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부(10)의 동작은 메모리(8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다. 또, 착신 시에는 메모리(80)에 저장된 호출음 데이터를 증폭기(70)를 통해 증폭시킨 후 호출음스피커(60)로 출력한다.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radio module 20 and the signal processor 30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smoothly,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0 is determin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80. In addition, when the incoming call amplifies the call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80 through the amplifier 70 and outputs to the call sound speaker (60).

그 외에, 표시부(90)는 액정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휴대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발신자 번호 등을 영상으로 표시하고, 키입력부(100)는 숫자패드를 포함한 여러가지 기능버튼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90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and displays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er ID, etc. as an image, and the key input unit 100 is composed of various function buttons including a numeric pad.

여기서, 이어스피커는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대고 상대방과 통화하는 때에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그 출력이 작고, 호출음스피커는 호출음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착신상태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그 출력이 크다.Here, the ear speaker outputs the other party's voice when the user cal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is / her ear. In general, the ear speaker outputs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The output is large.

종래에 휴대폰을 가지고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상대방의 호출번호(전화번호)를 누른 후, '통화'버튼을 눌러 발신을 개시하고, 기지국은 그 신호를 수신하여 착신측 휴대폰에 호출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발신측 휴대폰으로는 통화연결음(링백톤)신호를 송출한다. 이 때, 착신측이 통화중일 때는 비지신호를 송출한다.When making a call with a mobile phone in the related art, after pressing a call number (tele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pressing the 'call' button to initiate a call, and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signal and sends a call signal to the called party's mobile phone. At the same time, the calling party sends a ring back tone signal. At this time, a busy signal is sent when the called party is busy.

이 때의 링백톤신호, 비지신호는 모두 이어스피커로 출력되기 때문에, 발신자는 '통화'버튼을 눌러 발신을 개시한 후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휴대폰을 귀에 대고 있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ring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are all output to the ear speaker. Therefore, the caller should press the 'call' button to initiate the call and then hold the mobile phone to his ear until the other party answers the call.

최근에는 링백톤신호와 호출음신호를 기지국에서 직접 송출하여 출력토록 하고, 이에 따라 기존의 일률적인 신호음이 아닌 음악이나 음성, 기타 자연음 등이 이러한 신호음으로서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ringback tone signal and the ring tone signal ar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be outputted. Accordingly, music, voice, and other natural sounds are used as the signal sound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uniform tone.

이러한 기술은 특히 모바일광고의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활성화되고 있는데, 링백톤신호에 예컨대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경우, 링백톤신호는 이어스피커로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휴대폰을 귀에 대고 있지 않으면 광고의 효과는 전혀 얻을 수 없다.This technology is especially accepted and activated in terms of mobile advertising. When the user outputs the ringback tone signal using, for example, advertising music or voice, the ringback ton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ear speaker, so the user does not touch the mobile phone to his ear. If you don't, you won't be able to get the full effect of the advertisement.

더욱이, 최근에는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뿐 아니라 동영상도 함께 송수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로서의 휴대통신 단말기의 상용화가 눈앞에 다가왔는데, 광고업계에서는 링백톤신호나 호출음신호를 대신하여 광고용 음악이나 음성을 송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영상을 송출하여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Moreover, recently, commercializ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multimedia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t only voice but also video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come to the fore. In the advertising industry, instead of ringback tone signals or ring tone signals, advertising music or voices are used. In addition to transmitting, I am also considering a method of maximizing the effect of advertising by transmitting an image.

그러나, 종래의 링백톤신호를 이용하여 광고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통화연결상태를 알기 위해 휴대폰을 귀에 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영상을 송출하여도 사용자가 이를 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dvertising by using the conventional ringback tone signal, the user must hold the mobile phone to the ear to know the call connection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see this even if the image is s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통신 단말기에 일종의 온후크기능을 부가하여 링백톤신호와 비지신호를 크게 출력하고, 통화가 연결되면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작게 출력하여,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대고 있지 않아도 통화연결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링백톤신호를 이용하여 광고를 하거나 다양한 음악이나 음성 등을 출력하는 경우에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특히 영상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에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온후크기능을 부가한 휴대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dding a kind of on-hook fun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utput a large ring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and output a small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when the call is connected In addition, it enables users to know the state of a call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held in their ears, and maximizes the effect when advertising or outputting various music or voice using a ringback tone signal, and especially using a video toge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which add an on-hook function to solve a problem caused in the case.

도 1은 종래의 휴대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호식별기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gnal iden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기의 다른예를 도시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이 형성된 휴대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감지센서를 구비한 휴대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기는, 통화연결음(링백톤), 비지음 및 통화음성을 출력하는 이어스피커와, 호출음(벨소리)을 출력하는 호출음스피커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안테나를 통해 링백톤신호, 비지신호,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모듈과,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거나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는 신호처리기와, 단말기의 상태나 송수신 번호 등을 나타내는 표시부와, 키입력부와,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전화번호, 벨소리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구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통신 단말기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 speaker to output the ring tone (ringback tone), non-voice and call voice, the ring tone speaker to output the ring tone (ring tone), and the user's voice A microphone for receiving input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wireless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ingback tone signal, busy signal, and voice signal through an antenna, a signal processor for demodulating or receiving a signal for demodulating or receiving a received signal, and the state 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termi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number, a key input unit,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 terminal, a phone number, ring tone data, and the lik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each compon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발신 시에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식별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기에 의해 복조된 상기 신호를 상기 이어스피커 또는 호출음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전환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발신 시에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여 링백톤신호와 비지신호이면 이를 상기 호출음스피커로 출력하고, 착신측과 통화로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ignal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signal receiv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a switching switch for switching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signal processor to the ear speaker or the call tone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identifies a signal receiv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outputs 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the busy signal to the ring tone speaker, and outputs the ring tone signal to the ear speaker when a call signal is connected to the called party.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통신 단말기는, 발신 시에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식별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기에 의해 복조된 상기 신호를 상기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는 때에 그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발신 시에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여 링백톤신호와 비지신호이면 상기 음량조절기에 의해 그 음량을 크게 하고, 착신측과 통화로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그 음향을 작게 하여 상기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signal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signal receiv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when outputting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signal processor to the ear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a volume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volume,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signal receiv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if the ring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to increase the volume by the volume controller, and the called party and the call path is connected When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the sound is reduced and output to the ear speaker.

여기서, 상기 신호식별기는 대역통과필터와 비교기로 이루어지고, 수신신호의 주파수대를 가지고 링백톤신호, 비지신호 및 음성신호를 식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signal identifier is composed of a band pass filter and a comparator, and may have a frequency band of the received signal to identify a ringback tone signal, busy signal, and voice signal.

다르게는,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상기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에는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신호식별기는 상기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신호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ringback tone signal and the bus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ignal identifier may identify the type of signal by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code.

또, 상기 제어부가 링백톤신호와 비지신호를 상기 호출음스피커로 출력할 것인지 이어스피커로 출력할 것인지는 상기 키입력부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outputs a ringback tone signal and a busy signal to the ring tone speaker or to the ear speaker by a user's operation by the key input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전환스위치는 휴대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설치된 버튼에 의해 제어되고, 이 때 상기 신호식별기는 포함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 및 누르지 않는 상태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를 상기 호출음스피커로 또는 상기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이 전환되는 것이 특징으로 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witch is controlled by a butto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gnal identifier does not include at this time, the user according to the state of pressing the button and the state of not pressing the receiving Outputting a signal to the ring tone speaker or the ear speak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witched.

마찬가지로, 상기 음량조절기는 휴대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설치된 버튼에 의해 제어되고, 이 때 상기 신호식별기는 포함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 및 누르지 않는 상태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를 큰 음량 또는 또는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는 것이 전환되는 것이 특징으로 된다.Similarly, the volume controller is controlled by a butto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signal identifier is not included, and the volume of the received signal is increased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presses the button or no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at a small volume is switched.

다르게는, 상기 버튼은 상기 이어스피커가 설치된 면에 설치된 감지센서이고,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대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귀에 가까이 대고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수신신호를 상기 호출음스피커로 또는 상기 이어스피커로 큰 음량으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귀에 가까이 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이어스피커로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button is a sensing sensor install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ear speaker is install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ose to the ear,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ear close to the ear, the call tone speaker is used. It is possible to output at a low volume with the ear or the ear speaker, and output at a low volume with the ear speak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close to the ear.

이 경우에, 마이크로폰의 감도를 높게하면, 휴대톤신 단말기 그 자체가 마치 핸즈프리로서의 기능을 포함하게 되는 것으로 된다.In this case, if the sensitivity of the microphone is made high, the portable terminal unit itself will include functions as hands-free.

본 발명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온후크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은,발신 시에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제1단계와, 복조된 신호를 식별하여 통화연결음신호인지 비지신호인지 음성신호인지 판별하는 제2단계와, 수신된 신호가 링백톤신호 또는 비지신호이면, 이를 호출음스피커로 출력하는 제3단계와, 착신측과 통화로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implementing an on-hook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emodulating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at the time of an outgoing call, and identifying a demodulated signal to determine whether a call connection tone signal or a busy signal is used.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signal is a ringback tone signal or a busy signal, 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it to a ring tone speaker, and outputting it to an ear speaker when a call signal is connected to a called party and a voice signal is inpu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ourth step.

여기서, 상기 이어스피커는 음량조절이 가능한 스피커이고, 이 때, 상기 제3단계에서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는 상기 휴대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어스피커를 귀에 가까이 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정도의 음량으로 이어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제4단계에서 음성신호는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의 이어스피커를 귀에 가까이 하여 들을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Here, the ear speaker is a speaker that can adjust the volume, wherein, in the third step, 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are followed by a volume that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hear without holding the ear speaker close to the ea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o a speaker, and in the fourth step, the voice signal may be output at a small volume such that the user can hear the ear speaker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lose to the ear.

또, 상기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는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음성, 음악, 자연음 등의 음성신호이고, 상기 기지국은 이 신호에 식별코드를 포함시켜 송출하고, 이 때, 상기 제2단계에서의 식별과정은 상기 식별코드를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것도 좋다. 또한, 상기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는 음성, 음악, 자연음 등의 음성신호 외에 영상신호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제3단계에서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영상신호를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하는 것도 좋다.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are voice signals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such as voice, music, and natural sound,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signal, and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 the second step. The process may be performed by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 addition, 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a video signal in addition to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music, and natural sound, and at this time, 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are output in the third step. The video signal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0),무선모듈(20), 신호처리기(30), 마이크로폰(40), 이어스피커(50), 호출음스피커(60), 증폭기(70), 메모리(80), 표시부(90), 키입력부(100)를 구비하는 외에, 신호식별기(110)와 전환스위치(12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wireless module 20, a signal processor 30, a microphone 40, an ear speaker 50, and a ring tone speaker 60. ), An amplifier 70, a memory 80, a display unit 90, a key input unit 100, and a signal identifier 110 and a changeover switch 120.

신호식별기(110)는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링백톤신호, 비지신호 및 음성신호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식별기(110)는 무선모듈(20)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신호처리기(30)에서 복조하면, 복조된 신호가 링백톤신호인지, 비지신호인지, 상대방의 음성신호인지를 식별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0)에 통보한다.The signal identifier 110 identifies a ring back tone signal, a busy signal, and an audio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signal identifier 110 demodulat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module 20 in the signal processor 30, the signal identifier 110 identifies whether the demodulated signal is a ringback tone signal, a busy signal, or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The control unit 10 is notified of the result.

제어부(10)는 신호식별기(110)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링백톤신호 또는 비지신호인 경우에, 전환스위치(120)를 제어하여 링백톤신호 또는 비지신호를 호출음스피커(60)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 때, 착신측에서 호출에 응답하여 상대방의 음성신호가 수신되고, 신호식별기(11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에 통보하면, 제어부는 전환스위치(120)를 제어하여 음성신호가 이어스피커(50)로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identifier 110 is a ringback tone signal or busy signal,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switching switch 120 to output the ringback tone signal or busy signal to the call tone speaker 60. . At this time, when the called party receives a voice signal of the other party in response to the call, and the signal identifier 110 detects this and notifies the controller 10,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witching switch 120 so that the voice signal is an ear speaker. Output to (50).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통신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때에, 상대방이 응답하기 까지 휴대폰을 귀에 가까이 대고 있을 필요가 없다. 더욱이, 이를 이용하면 최근에 링백톤을 임의의 음악이나 광고용 음성으로 대체할 때에 보다 효과적으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링백톤신호를 송출할 때 영상광고나 캐릭터 등을 함께 송출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폰을 귀에 가까이 대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영상광고나 캐릭터를 볼 수 있게 되어 유용하게 된다.Thus, when a user makes a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he user does not need to hold the mobile phone close to the ear until the other party answers. Moreover, this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when the ringback tone is recently replaced with any music or advertisement voice, and when the user transmits a video advertisement or a character when transmitting the ringback tone signal, You don't need to hold your phone close to your ear, which makes it useful for you to watch video ads and characters.

신호식별기(110)에서 수신신호를 식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각각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식별하는 일례를 도 3에 도시하였다.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identifying the received signal in the signal identifier 110, but an example of identifying the received signal using the frequency band of each signal is illustrated in FIG. 3.

도 3에서는 제1 내지 제3 대역필터와, 각 대역필터에 연결된 제1 내지 제3 비교기로 구성되는 신호식별기(110)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링백톤신호가 440Hz와 480Hz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있고, 비지신호는 480Hz와 620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제1 대역필터는 440Hz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대역필터이고, 제2 대역필터는 620Hz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대역필터이며, 제3 대역필터는 440Hz이하의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저역필터이다.3 illustrates a signal identifier 110 including first to third band filters and first to third comparators connected to each band filter. It is generally used that the ringback tone signal has a frequency component of 440 Hz and 480 Hz, and the busy signal has a frequency of 480 Hz and 620 Hz, so that the first band filter is a band filter passing a frequency of 440 Hz, and the second band. The filter is a band pass filter that passes a frequency of 620Hz, and the third band pass filter is a low pass filter that passes a frequency of 440Hz or less.

제1 내지 제3 비교기는 각가의 대역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일정 임계치 이상이면 '하이'신호를 그렇지 않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비교기의 출력값만이 '하이'이고 나머지가 모두 '로우'이면 링백톤신호이고, 제1 비교기의 출력값만이 '하이'이고 나머지가 모두 '로우'이면 비지신호이며, 제3 비교기의 출력값만이 '하이'이거나 둘 이상의 출력값이 '하이'이면 음성신호로 판단하게 된다.The first to third comparators output a 'high' signal when the signal output from each band filt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otherwise output a 'low' signal. With this configuration, if only 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comparator is 'high' and the rest are 'low', it is a ringback tone signal, and if 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comparator is only 'high' and the rest are 'low', it is a busy signal. If only the output value of the third comparator is 'high' or two or more output values are 'high', it is determined as a voice signal.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기지국에서 링백톤신호나 비지신호를 대신하여 음악이나 음성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여러운 측면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figuration, there are various aspects to be applied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music or voice in place of the ringback tone signal or busy signal.

따라서, 기지국에서 링백톤신호나 비지신호를 휴대통신 단말기로 송출할 때에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코드를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하고, 신호식별기(110)는 이 식별코드를 감지하여 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ringback tone signal or busy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se sta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the type of the signal, and the signal identifier 110 detects the identification code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signal. It would be desirable to.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기의 다른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식별기(110)와 음량조절기(130)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 외에는 종래의 휴대통신 단말기와 동일하다. 물론, 여기서의 이어스피커(50)는 호출음스피커(60)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하지 않아도 충분히 들을 수 있는 정도의 음량으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이어야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cept that the signal identifier 110 and the volume controller 130 are further provided. Of course, the ear speaker 50 here should be a speaker that can be output at a volume enough to hear the user without the user close to the ear, such as a ring tone speaker (60).

신호식별기(110)는 수신된 신호가 링백톤신호 또는 비지신호인지 아니면 음성신호인지를 식별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0)에 통보한다. 제어부(10)는 수신된 신호가 링백톤신호 또는 비지신호인 경우에는 음량조절기(130)를 제어하여 이어스피커(50)로 링백톤음과 비지음을 큰 음량으로 출력한다. 도중에 음성신호가 수신된면 음량조절기(130)를 제어하여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한다.The signal identifier 110 identifi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is a ringback tone signal or busy signal or a voice signal, and notifies the controller 10 of the result. When the received signal is a ringback tone signal or busy signal,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volume controller 130 to output the ringback tone sound and the busy sound to the ear speaker 50 at a large volume. If a voice signal is received on the way, the volume controller 130 is controlled to output a small volume.

이 경우에 호출음을 이어스피커로 큰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여 호출음스피커(60)를 제거하여도 되겠지만, 예컨대 폴더형의 휴대전화의 경우에 이어스피커(50)를 큰 음량으로 제어하여 호출음도 출력하도록 하면, 폴더가 접혀있는 경우에 출력음이 외부로 잘 퍼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In this case, although the call sound speaker 60 may be removed by configuring the call sound to be output at a high volume to the ear speak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lamshell mobile phone, the ear speaker 50 may be controlled at a high volume to output the call sound. If the folder is folded, the output sound does not spread well to the outside.

상기 두가지 실시예에서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를 큰 음량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발신 시에 상대방이 응답하기 까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대고 있지 않아도 되게 하는 기능은, 예컨대 키입력부(100)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항상 링백통신호 및 비지신호를 큰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곤란한 경우도 있기 때문인다.In the above two embodiments, the function of outputting the ring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at a high volume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hol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ear until the counterpart responds when the user makes a call, for example, is operated by the key input unit 100. It's a good idea to let the user set things up.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output ring back communication calls and busy signals at high volume depending on the time and plac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통신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전환스위치(120) 또는 음량조절기(130)를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휴대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설치된 버튼(14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 휴대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FIG. 5 shows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changeover switch 120 or the volume controller 130 is no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 but controlled by an operation of a button 140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버튼(140)은 도 5에서와 같이 휴대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를 한손으로 쥘 때, 손가락이 위치하여 쉽게 누를 수 있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때, 착신 측의 호출번호(전화번호)를 누르고 '통화'버튼을 누른 후, 한 손으로 휴대통신 단말기를 쥐면서 동시에 어느 한 손가락으로 버튼(140)을 누르고 있으면, 버튼(140)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수신신호가 호출음스피커 또는 음량을 크게 한 이어스피커로 출력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버튼(140)에서 이격하면 버튼(140)은 스프링 작용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고, 이에 따라 수신신호는 이어스피커로 또는 음량을 작게 한 이어스피커로 출력된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버튼(140)을 누른 상태에서 작은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버튼(140)을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 큰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Button 140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This is a position where a finger can be easily pressed when the user lif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on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user makes a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presses the call number (phone number) of the called party, presses the 'call' button, and simultaneously hol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one hand while If the button 140 is pressed with a finger, while the button 140 is pressed, the received signal is output to the call tone speaker or the ear speaker with the volume increased. When the user moves the finger away from the button 140, the button 14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action, and thus the received signal is output to the ear speaker or to the ear speaker with a low volume. Of course, on the contrary, it is possible to output at a low volume while pressing the button 140, and to be output at a high volume without pressing the button 140.

이러한 경우에는, 신호식별기는 불필요하게 되고, 전환스위치 및 음량조절기는 버튼(140)에 의해 제어된다. 다만, 전환스위치는 버튼(140)일 수 있다. 수신신호의 출력경로가 버튼(140)에 의해 전환되도록 구성하면, 전환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도 없게 된다.In this case, the signal identifier becomes unnecessary, and the changeover switch and the volume controller are controlled by the button 140. However, the changeover switch may be a button 140. If the output path of the received signal is configured to be switched by the button 140,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changeover switch separately.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140)을 별도로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휴대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기능버튼을 발신 시에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tton 140 is provided separately, but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existing function button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 when transmitting.

도 6에서는 전환스위치(120) 또는 음량조절기(130)를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휴대통신 단말기의 이어스피커가 설치된 면에 감지센서(150)를 설치하여 감지센서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 휴대통신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In FIG. 6, the switching switch 120 or the volume controller 130 is no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 but the sensing sensor 150 is installed on the surface where the ear speak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so as to be controlled by the sensing sensor. An exampl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own.

도 5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여 수신신호의 출력음량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150)에 의해 자동으로 출력음량이 전환되도록 하고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5, the user can arbitrarily select the output volume of the received signal by operating a button, 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put volume is automatically switched by the sensor 150.

감지센서(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귀에 가까이 대는 이어스피커가 설치된 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6, the detection sensor 150 may be installed on a surface on which an ear speaker that is placed close to the ear for a call is installed.

감지센서(150)는 예컨대 온도센서 또는 광센서 등으로서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대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센서이다. 감지센서(15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대고 있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발신 시의 수신신호를 이어스피커로, 음량조절이 가능한 이어스피커의 경우에는 작은 음량으로 출력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대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즉 감지센서(150)가 아무것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발신 시의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를 호출음스피커로, 음량조절이 가능한 이어스피커의 경우에는 큰 음량으로 출력한다. 이경우에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만을 큰 음량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음성신호까지 호출음스피커로, 또는 음량조절이 가능한 이어스피커의 경우에 큰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The detection sensor 150 is, for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or an optical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hold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lose to his or her ear. In the case of using the detection sensor 1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ose to the ear, the received signal at the time of transmission is output to the ear speaker, and in the case of the ear speaker capable of volume control, the volume is output at a small volume. On the contrar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ose to the ear, that is, when the detection sensor 150 does not detect anything, 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re converted into the ring tone speaker, and volume control is performed. If possible, the speaker outputs a loud volume. In this case, only 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the busy signal may be output at a high volume, and the voice signal may be output at a loud volume in the case of a ring tone speaker or an ear speaker capable of adjusting the volume.

감지센서(15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버튼(140)을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호식별기는 불필요하게 되고, 전환스위치 및 음량조절기는 감지센서(150)에 의헤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감지센서(150)가 소정 거리 내의 물체를 감지하고 또 그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이격거리에 따라 음량조절기를 제어하여 음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즉, 사용자가 귀를 휴대통신 단말기에 가까이 하면 할수록 출력음의 음량을 작게 조절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using the sensor 150, the signal identifier is unnecessary as in the case of using the button 140, and the changeover switch and the volume controller ar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the sensor 150. In particular, when the sensor 150 to detect the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o detect the separation distance, it may be to adjust the volume by controlling the volu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That is, the closer the user is to the mobile terminal, the smaller the volume of the output sound.

감지센서(150)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그 출력음을 조절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항상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대고 있어야 할 필요가 없고, 또 최근에 보급되고 있는 링백톤신호를 음악이나 음성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귀에 가까이 대지 않고도 들을 수 있고, 또 발신 시에 동영상이나 캐릭터 등의 영상을 링백톤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경우에, 이것을 광고에 이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하지 않으면 시각적 광고의 효과는 얻을 수 없게 된다.When using the sensor 150, the user automatically adjusts the output sound according to the state of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does not always have to hold the mobile terminal close to the ear, and recently spread When the ringback tone signal is replaced with music or voice, the user can listen without touching the ear, and when a video or character such as a video is output with the ringback tone signal at the time of transmission, In the case of using it, the effect of a visual advertisement cannot be acquired unless it is based on this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explain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발신 시에 링백톤음(통화연결음) 또는 비지음을 호출음스피커로 또는 음량조절이 가능한 이어스피커의 경우에 큰 음량으로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통화연결시까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대고 있지 않아도 되고, 또 착신측에서 응답하여 통화연결상태로 되면 그 신호를 식별하여 음량을 줄이거나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도록 하므로, 통화내용까지 외부로 크게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First, since the ringback tone (call connection tone) or non-voice sound is output to the ring tone speaker or the ear speaker with volume control at the time of origination, the user does not have to hold the mobile terminal to the ear until the call is connected. In addition, when the called party responds to the call, the signal is identified and the volume is reduced or output to the ear speaker. Therefore, the call conte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utput to the outside.

둘째, 발신 시에 착신측에서 응답할 때까지 휴대통신 단말기를 귀에 대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링백톤신호를 음악, 음성, 자연음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 특히 이를 광고에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뿐 아니라 그 주위사람들에게 까지 광고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링백톤신호를 대신하여 음악, 음성 등의 청각적 신호 외에 동영상이나 캐릭터 등의 영상신호를 함께 송출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하지 않으면 아무런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Second, beca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have to be held in the ear until the called party responds at the time of origination, the ringback tone signal is replaced with music, voice, natural sound, etc. Advertisement to surrounding people can be obtained, and in particular, in case of transmitting a video signal such as a video or a character in addition to an audio signal such as music, voice, etc. in place of the ringback tone signal, there is no effect. You will not be able to get it.

셋째, 버튼을 휴대통신 단말기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수신신호의 출력형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고, 특히 감지센서를 설치하면 사용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출력형태가 전환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는 링백톤신호와 비지신호 및 음성신호의 모든 수신신호에 대해 출력형태가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통신 단말기 그 자체가 핸즈프리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Third, by installing the butt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conveniently switch the output form of the reception signal, and in particular, if the sensor is installed, the output form is automatically switched according to the use state, so it can be used conveniently. . In particular, in this case, the output form is switched for all received signals of the ringback tone signal, busy signal, and voice signal,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has a function of hands-free.

Claims (12)

통화연결음(링백톤), 비지음 및 통화음성을 출력하는 이어스피커와,Ear speaker outputs ring back tone, non-voice and call voice, 호출음(벨소리)을 출력하는 호출음스피커와,A ring tone speaker that outputs a ring tone (ring);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A microphone that receives a user's voice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안테나를 통해 링백톤신호, 비지신호,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모듈과,A wireless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ingback tone signal, a busy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rough an antenna;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거나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는 신호처리기와,A signal processor for demodulating a received signal or modula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단말기의 상태나 송수신 번호 등을 나타내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 state of the terminal, a transmission / reception number, and the like; 키입력부와,A key input section,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전화번호, 벨소리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phone numbers, and ringtone data for perform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구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통신 단말기로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each component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발신 시에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식별기와,A signal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signal receiv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기에 의해 복조된 상기 신호를 상기 이어스피커 또는 호출음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전환스위치를 더 구비하고,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switching switch for switching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signal processor to the ear speaker or the call tone speaker, 상기 제어부는 발신 시에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여 링백톤신호와 비지신호이면 이를 상기 호출음스피커로 출력하고, 착신측과 통화로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identifies a signal receiv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outputs it to the ring tone speaker if it is a ringback tone signal and a busy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ear speaker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when a call path is connected to a called party.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통화연결음(링백톤), 비지음 및 통화음성을 출력하는 이어스피커와,Ear speaker outputs ring back tone, non-voice and call voice, 호출음(벨소리)을 출력하는 호출음스피커와,A ring tone speaker that outputs a ring tone (ring);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A microphone that receives a user's voice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안테나를 통해 링백톤신호, 비지신호,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모듈과,A wireless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ingback tone signal, a busy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rough an antenna;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거나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는 신호처리기와,A signal processor for demodulating a received signal or modula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단말기의 상태나 송수신 번호 등을 나타내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 state of the terminal, a transmission / reception number, and the like; 키입력부와,A key input section,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전화번호, 벨소리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phone numbers, and ringtone data for perform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구성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통신 단말기로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each component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발신 시에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신호식별기와,A signal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signal receiv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기에 의해 복조된 상기 신호를 상기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는 때에 그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기를 더 구비하고,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volume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volume when outputting the signal demodulated by the signal processor to the ear speaker, 상기 제어부는 발신 시에 수신되는 신호를 식별하여 링백톤신호와 비지신호이면 상기 음량조절기에 의해 그 음량을 크게 하고, 착신측과 통화로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그 음향을 작게 하여 상기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signal receiv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nd if the ring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is increased, the volume is increased by the volume controller, and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when the caller is connected to the call path, the sound is reduce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to the speak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신호식별기는 대역통과필터와 비교기로 이루어지고, 수신신호의 주파수대를 가지고 링백톤신호, 비지신호 및 음성신호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 단말기.The signal identifier comprises a band pass filter and a comparator, and has a frequency band of the received signal to identify a ringback tone signal, busy signal, and voice sig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상기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에는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신호식별기는 상기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신호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 단말기.And the ringback tone signal and the bus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ignal identifier detects the identification code to identify a type of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가 링백톤신호와 비지신호를 상기 호출음스피커로 출력할 것인지 이어스피커로 출력할 것인지는 상기 키입력부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 단말기.And whether the control unit outputs a ringback tone signal and a busy signal to the ring tone speaker or to the ear speaker is determined by a user's operation by the key input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휴대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온후크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on-hook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발신 시에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제1단계와,Demodulating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at the time of transmission; 복조된 신호를 식별하여 통화연결음신호인지 비지신호인지 음성신호인지 판별하는 제2단계와,Identifying a demodulated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it is a call connection tone signal, a busy signal, or a voice signal; 수신된 신호가 링백톤신호 또는 비지신호이면, 이를 호출음스피커로 출력하는 제3단계와,If the received signal is a ringback tone signal or busy signal, outputting it to a ring tone speaker; 착신측과 통화로가 연결되어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이어스피커로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후크기능의 구현방법.And a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receiver by connecting the called party to a call path.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이어스피커는 음량조절이 가능한 스피커이고,The ear speaker is a speaker that can adjust the volume, 상기 제3단계에서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는 상기 휴대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어스피커를 귀에 가까이 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정도의 음량으로 이어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제4단계에서 음성신호는 사용자가 휴대통신 단말기의 이어스피커를 귀에 가까이 하여 들을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후크기능의 구현방법.In the third step, 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the busy signal are output to the ear speaker at a volume that can be heard even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hold the ear speaker close to the ear, and in the fourth step, the voice signal is carried by the user.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on-hook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 speak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at a small volume that can be heard close to the ear.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는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음성, 음악, 자연음 등의 음성신호이고, 상기 기지국은 이 신호에 식별코드를 포함시켜 송출하고,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busy signal are voice signals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such as voice, music, and natural sound,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signal. 상기 제2단계에서의 식별과정은 상기 식별코드를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후크기능의 구현방법.The identification process in the second step is implemented by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cod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는 음성, 음악, 자연음 등의 음성신호 외에 영상신호를 포함하고,The ring back tone signal and the bus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nclude video signals in addition to audio signals such as voice, music, and natural sound. 상기 제3단계에서 링백톤신호 및 비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영상신호를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후크기능의 구현방법.And a ring back tone signal and a busy signal are output in the third step, and an image signal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KR10-2002-0062795A 2002-10-15 2002-10-15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KR1004691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795A KR100469172B1 (en) 2002-10-15 2002-10-15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795A KR100469172B1 (en) 2002-10-15 2002-10-15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044A KR20020084044A (en) 2002-11-04
KR100469172B1 true KR100469172B1 (en) 2005-01-31

Family

ID=2772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795A KR100469172B1 (en) 2002-10-15 2002-10-15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1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59B1 (en) * 2009-09-30 2010-07-26 (주)줄라이세미컨덕터 Device for controling audio signal i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001A (en) * 1996-11-30 1998-08-17 김영환 Volume control device of portable cordless phone
KR20010009102A (en) * 1999-07-07 2001-02-05 윤종용 Method for performing speaker phone in wireless telephone
KR20010028528A (en) * 1999-09-21 2001-04-06 서평원 An automatic mode convertible system of portable communication application and method for automatic conversion of mode thereof
KR20020017287A (en) * 2000-08-29 2002-03-07 윤종용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ed voice, ring tone, alarm and alert in mobile wireless terminal embedded multi-mode spea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001A (en) * 1996-11-30 1998-08-17 김영환 Volume control device of portable cordless phone
KR20010009102A (en) * 1999-07-07 2001-02-05 윤종용 Method for performing speaker phone in wireless telephone
KR20010028528A (en) * 1999-09-21 2001-04-06 서평원 An automatic mode convertible system of portable communication application and method for automatic conversion of mode thereof
KR20020017287A (en) * 2000-08-29 2002-03-07 윤종용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ed voice, ring tone, alarm and alert in mobile wireless terminal embedded multi-mode 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044A (en)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8381C (en) Mobile telephone set and its control method
JPH04345349A (en) Telephone system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JP2011114677A (en) Cell phone voice reproduction system
KR100678166B1 (en) Method setting up a output volume of audio signal to prevent acoustic shock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046917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KR20050104783A (en) Phone alarm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241670Y1 (en) A ring signal cutoffer of portable personal communication means
JP3663823B2 (en) Cordless phone
KR20010090057A (en) A receiving bell of handset generating apparatus in rf hom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JP3296778B2 (en) Phone
JP2005136788A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provided with receiving speech adjustment function
KR200308131Y1 (en) Telephone having audio output means of caller ID data
KR200254223Y1 (en) A receiving bell of handset generating apparatus in rf home telephone
KR20030075875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alarm of receiving in mobile phone
KR200197262Y1 (en) Keyboard with functions of internet phone, audio input ouput, speaker, telephone, record, burglarproof
KR200254224Y1 (en) Apparatus for announcing a cid number by voice message in a cid service telephone
KR100713396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ed call off in handfree mode of wireless telephone
KR20050102286A (en) Receiving call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and video apparatus
KR20040076910A (en) Voice recogntion function hand free
JP337942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40016476A (en) Setup method for an automatical convert of receiving mode in mobile phone
JPH11205863A (en) Mobile radio equipment with speech state notice function
KR20000020442A (en) Method for receiving dtmf signal of mobile radio terminal equipment
JPH07101896B2 (en) Cordless phone han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