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991A -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 Google Patents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991A
KR20030089991A KR1020020027932A KR20020027932A KR20030089991A KR 20030089991 A KR20030089991 A KR 20030089991A KR 1020020027932 A KR1020020027932 A KR 1020020027932A KR 20020027932 A KR20020027932 A KR 20020027932A KR 20030089991 A KR20030089991 A KR 20030089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key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31947B1 (en
Inventor
강윤기
강훈기
Original Assignee
강윤기
강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기, 강훈기 filed Critical 강윤기
Priority to KR10-2002-002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947B1/en
Publication of KR2003008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94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add a character input function to direction keys and to generate character input signals through the operation of direction keys, to which appointed vowels are allocated, and numeric keys, to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ively allocated, in inputting Hangul characters. CONSTITUTION: A 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mobile terminal is comprised of an input part(1), a memory part(2), an output part(3), and a central processing part(4). The input part(1) generates a character input signal through the operation of a numeric key, to which one or more characters are allocated. The memory part(2) stores data for characters allocated to the input part(1). The output part(3) displays relevant data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part(1). The central processing part(4) reads relevant data stored in the memory part(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part(1) and generates a signal to display the data through the output part(3).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향키에 문자입력기능을 부가하여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와의 병행 조작으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by add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to a direction key generally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a character input signal by parallel operation with a numeric key to which a character is assig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 들어 디지털 휴대폰 서비스의 시작으로 전화를 통한 문자서비스와 함께문자삐삐등 문자의 송수신이 필요한 다양한 정보단말기의 출현으로 컴퓨터의 키보드가 아닌 전화기의 자판만으로 문자를 입력하려고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오고 있으며, 정보통신기기들이 소형화 추세에 따라 입력버튼수도 적어지는 상황이다. 그러나 크기의 축소와는 반비례하게 오히려 기능은 향상되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필요성도 계속 증대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cell phone service, various information terminals that need to send and receive texts along with text service through tele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try to enter texts using only the keyboard of the phone, not the computer keyboard.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become smaller, the number of input buttons decreases. However, as the function is improv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duction in size, the necessity of inputting characters continues to increase.

한글의 경우 한글맞춤법통일안을 근거로 하는 경우 초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하고, 중성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로 하고, 종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ㅅ, ㄹㅌ, ㄹㅍ, ㄹㅎ, ㅂ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이론상 만들 수 있는 글자의 수는 11,172자가 되지만 실제 상용되는 글자의 수는 2,500자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코드의 경우 1,800자부터 1,900자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코드체계에서는 키보드로 입력할 때는 ㄲ, ㄸ, ㅃ, ㅆ, ㅉ과 ㅑ, ㅕ, ㅛ, ㅠ, ㅔ, ㅖ, ㅐ, ㅒ를 추가할당하고 있다. 이러한 한글을 단말기의 키를 이용하여 완성형 한글로 표시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마련된 12개 정도의 키(1, 2, 3, 4, 5, 6, 7, 8, 9, 0, *, #)로 각각의 자음 및 모음에 대응하는 입력을 하게 된다.In case of Hangul, based on the unification method of Hangul spelling, Choseong is a, b, c, d, ㅁ, ㅂ, ㅅ, ㅇ, ㅈ, ㅁ, ㅋ, ㅌ, ッ, ㅎ, and neutral is ㅏ, ㅑ, ㅓ ,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and the finality is a, b, c, d, ㅁ , 으로, ㅅ, ㅇ, ㅈ, ㅋ, ㅋ, ㅌ, ,, ㅎ, ㄱㅅ, ㄴㅈ, ㅎㅎ, ㄹㄱ, ㄹㅁ, ㄹㅅ, ㄹㄱ, ㄹㅍ, ㄹㅎ, ㅂㅅ. In addition, the theoretical number of letters that can be formed theoretically by combining initial, neutral, and final is 11,172 characters, but the actual number of commonly used characters is about 2,500 characters, and in the case of commonly used completed codes or combination codes, about 1,800 to 1,900 characters. I can express Hangul. In the existing code system, when the keyboard is input, ㄲ, ㄸ, ㅃ, ㅆ, ㅉ and ㅑ, ㅕ, ㅛ, ㅠ, ㅔ, ㅖ, ㅐ, ㅒ are allotted. In order to display the Hangul as a complete Hangul using the keys of the terminal, there are about 12 keys (1, 2, 3, 4, 5, 6, 7, 8, 9, 0, *, #) provided in the terminal. Inputs corresponding to consonants and vowels of.

이에 따라 한정된 입력버튼으로 문자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버튼에 여러 개의 문자를 할당한 다음, 선택 시에 연속해서 눌러 해당 문자입력을 수행하고 있다.Accordingly, since a character must be input with a limited input button,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to one button, and then, when selected, the character is continuously pressed to perform the character input.

현재 소형이면서 한글 입력 장치로 보편화된 제품인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휴대폰의 문자 입력키는 한정된 개수로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버튼에 여러 개의 자음, 모음을 할당해야 하는 상황이며,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모음을 버튼에서 찾아 상기 버튼을 필요한 숫자만큼 눌러 입력시킴으로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다시 커서 이동키로 다음 공간까지 이동시킨 후, 다음 문자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선택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글자를 조합하여 하나하나 만들어 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입력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다량의 문자를 입력시키기 번거로우며, 한글과 영어문자를 연속해서 입력시킬 수 없어 문자입력이 매우 불편하다.For example, a mobile phone, which is a small and generalized product using a Korean input device, is described. As a character input key of a mobile phone is used in a limited number, it is necessary to assign several consonants and vowels to a single button. Select one letter by finding consonants, vowels in the button, and pressing the button as many times as necessary, and then move to the next space with the cursor movement key, and then select the next letter in the same way. This method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does not input the characters but combines the characters one by one, making it difficult to input a large amount of characters because the input method is difficult, and it is possible to input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continuously. Character input is very inconvenient.

또한, 한글을 완전히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모 수는 자음 14개, 모음 10개로 등 최소한 24개가 필요하나 전화기 자판은 특수기호까지 포함해도 12개밖에 되지 않으므로 자판의 숫자하나당 최소한 2개 이상의 자모가 할당되어야 하며, 이 때문에 특정자판이 눌렀을 때 자판위에 표기된 2 내지 3개의 자모 중 어떤 것이 적용되어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복잡한 규칙들이 제안되어왔다.In addition, at least 24 letters, including 14 consonants and 10 vowels, are required to fully implement Hangul. However, since the phone keyboard contains only 12 special symbols, at least two letters are assigned to each number. For this reason, complicated rules have been proposed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or three letters written on the keyboard should be applied when a particular keyboard is pressed.

이러한 규칙들 때문에 입력해야 할 글자를 생각해 가며 글자를 짜맞추어가는 과정이 매우 번잡하고 쉽지 않으며 규칙성이 있으나 자판구성에 있어서 자주 쓰이지 않는 자모와 자주 쓰는 자모가 혼재되어 있어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열두 자판을 대각선으로 오르내리며 사용하는 점이라든지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가 전혀 고려되지 않아서 자주 사용되는 자음이나 모음의 입력이 불편하게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Because of these rules, the process of assembling letters as you think about the letters you need to type is very complicated, not easy, and there are twelve keyboards to enter the letters because there is a mixture of letters that are frequently used and not frequently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keyboard. It is often uncomfortable to input frequently used consonants or vowel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y are used up and down diagonally and the frequency of Hangul alphabet is not considered at all.

또한, 일본어의 경우는 히라카나, 가타카나, 탁음, 요음, 촉음등 많은 종류가 있어 휴대폰과 같이 한정된 입력버튼으로는 일본어 전체를 표시하기는 매우 힘든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버튼에 수개의 문자를 할당하고, 필요한 숫자만큼 눌러 입력시킴으로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고, 다시 커서 이동키로 다음공간까지 이동시킨 후 다음 문자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선택한다. 영어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글자를 조합하여 하나하나 만들어 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입력방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다량의 문자를 입력시키기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문자출력부인 액정을 큰 것으로 채용하고, 상기 액정에 히라카나, 가타카나를 디스플레이 되게 한 다음, 사용자가 선택수단에 의해, 해당문자를 선택하게 함으로서 하나의 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의 방식을 채용하더라도 액정의 크기가 크고, 선택에 필요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도입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과 사용면에서 불편함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Japanese, there are many types such as hiragana, katakana, sound, bass, and touch, so it is very difficult to display the entire Japanese language with limited input buttons such as mobile phone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several letters are assigned to one button, and one letter is selected by inputting as many numbers as necessary, and then moved to the next space with the cursor movement key, and the next letter is selec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same is true for English. This method is not only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is inputting characters, but a process of creating letters one by one, and it is difficult to input a large amount of characters because the input method is difficul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liquid crystal, which is a character output unit, is adopted as a large one, and the hiragana and katakana ar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and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by the selection means. . Even if the above method is adopted,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is large, and sinc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eparate hardware for selection, the situation is inconvenient in terms of price and u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향키에 문자입력기능을 부가하여, 숫자키와 병행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되 한글문자입력 시 소정의 모음이 할당된 방향키와 자음과 모음이 선택적으로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거나, 영어문자 및 일어문자입력 시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내의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character input function to a direction key generally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a character input signal in parallel with a numeric key, but to input a Korean vowel with a direction key and a consonant.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generate a character input signal by operating a numeric key to which a vowel is selectively assigned, or to generate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a numeric key when inputting English or Japanese characters And providing a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본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Japanese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어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어문자입력 중 한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a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of Japanese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본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Japanese charac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입력부 2 : 저장부1 input unit 2 storage unit

3 : 출력부 4 : 중앙처리부3: output unit 4: central processing unit

100, 110, 120, 130 : 숫자키100, 110, 120, 130: Numeric keys

103, 113, 123, 133 : 방향키103, 113, 123, 133: arrow keys

105, 115, 125, 135 : 기능키105, 115, 125, 135: function keys

107, 117, 127, 137 : 모드전환키107, 117, 127, 137: Mode switch key

109, 119, 129, 139 : 일반키109, 119, 129, 139: general key

140 : 추가키140: additional key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1), 상기 입력부(1)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2), 상기 입력부(1)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3) 및 상기 입력부(1)의 조작으로 저장부(2)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assigned at least one letter to the numeric keys 0 to 9 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nput unit 1 for generating a signal, a storage unit 2 in which data for a character assigned to the input unit 1 is stored, and an output unit 3 for displaying the character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4) for reading out the corresponding tex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 and generating a signal for display on the output unit.

한글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100)의 조작에 대응되어, 할당된 모음의 선택적 조합으로 해당 한글문자의 모음을 완성시키는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103)와, 상기 키패드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103)의 모음입력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107)와, 상기 숫자키(100)와 방향키에 대응하여 해당문자의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105)를 포함한 입력부(1) 및 상기 키패드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되, 문자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항목을 비선택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입력부(1)는 1번 숫자키에 ㄱ, ㅋ, ㄲ, 2번 숫자키에 ㅣ, ㅝ, ㅞ, 3번 숫자키에 ㅡ, ㅘ, ㅙ, 4번 숫자키에 ㄴ, ㄹ, 5번 숫자키에 ㄷ, ㅌ, ㄸ, 6번 숫자키에 ㅁ, ㅂ, 7번 숫자키에 ㅂ, ㅃ, 8번 숫자키에 ㅅ, ㅆ, 9번 숫자키에 ㅇ, ㅎ 및 0번 숫자키에 ㅈ, ㅊ, ㅉ 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방향키에 ㅗ, ㅛ, 우방향키에 ㅏ, ㅑ, 하방향키에 ㅜ, ㅠ 및 좌방향키에 ㅓ, ㅕ 가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숫자키(100)의 입력신호에 따라 "*"좌측기능키(105)의 추가 조작으로 상기 숫자키(100)에 할당된 문자 중 마지막 문자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 좌측기능키(105)를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영어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 좌측기능키(105)의 조작과 함께 9번 숫자키(100)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일어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 좌측기능키(105)의 조작과 함께 "#"우측기능키(105)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숫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과 함께, 상기 숫자입력상태에서 상기 방향키(103)의 조작에 따라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의 사칙연산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우측기능키(105)의 조작에 의해 사칙연산에 따른 결과값을 출력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 좌측기능키(105)의 조작과 함께 0번 숫자키(100)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특수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한글문자모드에서 영어문자, 일어문자, 숫자, 특수문자모드로의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기능키의 입력신호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리턴되는 신호를 발생함은 자명할 것이다.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100 when inputting a Korean character, generates a vowel input signal that completes the vowel of the corresponding Korean character by an optional combination of assigned vowels, and generates a position shift signal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cursor. And a direction key 103 formed in the keypad alone to generate a right movement signal of the cursor according to an operation, and to alternately generate a vowel input signal and a position movement signal of the direction key 103. Generated in the input unit 1 and the keypad unit including a mode switching key 107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nd a function key 105 for generating a character convers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100 and the direction key; It is display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and comprises an output unit (3) for displaying the user's selection items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to distinguish from the non-selection items, the input unit 1 is a number key 1 ,, ,, ㄲ, number 2 ㅣ, ㅝ, ㅞ, number 3 ㅡ, ㅘ, ㅙ, number 4 ㄴ, ㄹ, number 5, ㅌ, ㄸ, 6 ㅁ, ㅂ, 7, 7, 7, ㅃ, 8,, ㅆ, 9, ㅇ, ㅎ, 0,, ㅉ, ㅉ are assigned. In addition, 상, 에 to the up direction key, ㅑ, 에 to the right direction key, TT, 좌 and 좌, 에 to the left direction key,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f the numeric key 100 According to the signal, the input signal of the last character among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100 is generated by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left function key 105, and the left function key 105 is also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signal to switch from the Hangul character input state to the English character input state according to the time delay while pressing the), and also with the operation of the "*" left function key 105, the number 9 key (One According to the additional operation of 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signal for switching from the Hangul character input state to the Japanese character input state, and also with the operation of the "*" left function key 105, the "#" right function key ( In addition to generating a signal for switching from the Hangul character input state to the numeric input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additional operation of 105), the arithmetic operation signal of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103 in the number input state is generated. And a signal for outputting a result value according to the arithmetic operation by operating the "# " right function key 105, and also with the operation of the " * " According to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number 0 key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signal to switch from the Hangul character input state to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tate, as well as the English character, Japanese character, number, special character mode in the Hangul character mode. Transitioned to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signal returned to the Hangul character input mode is generated by the time dela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left function key.

한편, 영어,일어문자 입력시 숫자키(110,120)의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열에 대응된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113,123)와, 상기 키패드부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113,123)의 문자선택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117,127)와, 상기 숫자키(110,120)와 방향키(113,123)의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를 포함한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부(1)는 영어문자입력시 1번 숫자키에 A, B, C, D, 2번 숫자키에 E, F, G, H, 3번 숫자키에 I, J, K, L, 4번 숫자키에 M, N, O, P, 5번 숫자키에 Q, R, S, T, 6번 숫자키에 U, V, W, X 및 7번 숫자키에 Y, Z 이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영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입력 후, "*"좌측기능키(115)의 조작에 의해 영어문자의 대소문자를 교번적으로 변환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일어문자입력시 1번 숫자키에 あ(a), い(i), う(u), え(e), お(o), 2번 숫자키에 か(ka), き(ki), く(ku), け(ke), こ(ko), 3번 숫자키에 さ(sa), し(shi), す(su), せ(se), そ(so), 4번 숫자키에 た(ta), ち(chi), つ(tau), て(te), と(to), 5번 숫자키에 な(na), に(ni), ぬ(nu), ね(ne), の(no), 6번 숫자키에 は(ha), ひ(hi), ふ(fu), へ(he), ほ(ho), 7번 숫자키에 ま(ma), み(mi), む(mu), め(me), も(mo), 8번 숫자키에 や(ya), ゆ(yu), よ(yo), 9번 숫자키에 ら(ra), り(ri), る(ru), れ(re), ろ(ro), 및 0번 숫자키에わ(wa), ん(n), -(장음), を(o) 이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방향키의 조작으로 표시된 문자에 대해 "*"좌측기능키(125)의 조작에 따라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상호 변환신호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120)의 조작에 따른 방향키(123)의 조작으로 표시된 문자에 대해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따라 한자변환신호를 발생과 함께, 한자변환신호 발생하되,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발생 시 한자변환신호를 발생함과 함께 상기 한자변환신호 발생 후 "#"우측기능키(125)의 추가 조작으로 해당 한자열의 표시를 출력부에 대응하여 화면단위로 표시되는 화면전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일어문자 입력시 상기 키패드내에 단독으로 형성된 상하좌우의 방향키(133)와, 추가형성된 추가키(140)에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의 a 계열, "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ん "의 i 계열,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u 계열,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 "의 e 계열 및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의 o 계열의 문자를 각 계열별로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 추가키의 조작에 따라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nputting English and Japanese characters, the direction keys 113 and 123 which generate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of the numeric keys 110 and 120, and generate a position movement signal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ursor; It is formed in the keypad alone, and generates a right movement signal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generates a direction key control signal to alternately generate the character selection signal and the position movement signal of the direction keys (113,123) And an input unit including a switching key (117, 127), and a function key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conversion signal in response to the signals of the numeric keys (110, 120) and the direction keys (113, 123). When entering English characters, A, B, C, D, number 2, E, F, G, H, number 3, I, J, K, L, number 4, M, N, O, P, number 5 on Q, R, S, T, number 6 on U, V, W, X and number 7 Y and Z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key, and after inputting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when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the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of the English characters are alternately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left function key 11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 signal, and when entering the Japanese character, number 1 key あ (a), い (i), う (u), え (e), お (o), number 2 key In か (ka), き (ki), く (ku), け (ke), こ (ko), number 3 in さ (sa), し (shi), す (su), せ (se) , So (so), タ (ta), ち (chi), つ (tau), て (te), と (to) on number 4, な (na), に (ni) , ぬ (nu), ね (ne), の (no), number 6 key は (ha), ひ (hi), ふ (fu), へ (he), ほ (ho), number 7 keyま (ma), み (mi), む (mu), め (me), も (mo), number 8 to や (ya), ゆ (yu), よ (yo), number 9ら (ra), り (ri), る (ru), れ (re), ロ (ro), and number 0 key わ (wa), ん (n),-(nano), を (o ) Is assigned to each, and also, when entering Japanese characters Characterized by the operation of the "*" left function key 125 for the character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jockey,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mutual conversion signal signal of the hirakana and katakana, and when the Japanese character input A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is generated and a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 right function key 125 to the character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123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120, but the "#" right side is generated. When a time delay occur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function key 125, a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is generated, and after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is generated, an additional operation of the "#" right function key 125 causes the display of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string to correspond to the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switching signal is displayed in the unit of the screen, and when inputting the Japanese character, the up and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133 formed solely in the keypad and additionally formed additional key 140, "あ, か,さ, た, な, は, ま, , ら, わ "a series," い, き, し, ち, に, hi, み, り, ん "i series,"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u series,"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e series and"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o Characters of a series are assigned to each series and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and the additional key.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한글문자 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입력에 따라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의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2)에서 해당 자음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초성입력단계와, 상기 초성에 연계된 해당 모음이 할당된 숫자키(100) 및 방향키(103)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2)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중성입력단계와, 상기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의 추가 조합시 추가될 모음이 할당된 숫자키(100), 방향키(103)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4)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중성조합단계 및 상기 중성조합단계와 연계되어 받침조합시 추가된 받침에 해당되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100), 방향키(103)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2)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받침조합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On the other hand,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haracter input signal of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is input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and the storage unit 2 reads the consonant and outputs the output unit 3. And a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100 and the direction key 103 to which the corresponding vowels associated with the first vowels are assigned, and read the corresponding vowels from the storage unit 2. Neutral input step that is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the process of checking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 and the digit key 100, the direction key 103 assigned to the vowel to be added at the additional combination of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The neutral combination step and the neutral combination step for receiving a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ading unit and reading the corresponding vowel in the storage unit 4, and confirms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 proceeds Added to the support combination Receives a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100 and the direction key 103 to which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s applied, reads the corresponding vowel from the storage unit 2, displays it on the output unit 3, and completes the character. Characterized in that proceeds to the support combination step to proceed with the process of confirming,

또한, 영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110)의 조작에 의한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부(2)로부터 숫자키(110)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문자열표시단계와,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113)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문자선택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2)에 해당 문자를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문자선택단계와, 상기 문자선택 후 해당 문자열을 그대로 유지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문자열 유지신호를 발생하는 문자열유지단계 및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의 완료에 따라 상기 숫자키(110) 이외의 다른 숫자키의 입력을 확인하여 기존의 문자열대신에 상기 다른 숫자키(110)에 할당된 문자열로 대체시킨 후 상기 문자열 표시단계로 진행하거나 문자입력의 종료를 확인하는 초기화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문자선택단계는 상기 방향키(113)의 조작 후 "*"좌측기능키(115)의 추가조작에 따라 선택된 해당문자의 대소문자를 선택적으로 저장부(2)에서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고,In addition, when an English character is input, a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of reading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numeric key 110 from the storage unit 2 and displaying it on the output unit 3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signal by an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110. And a character selection step of receiving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113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haracter string, reading o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from the storage unit 2,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n the output unit 3; After the selection, maintain the string as it is and generate a string maintenance signal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and confirm the input of a numeric key other than the numeric key 110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 input in the string. By replacing the existing string with the string assigned to the other numeric key 110, and proceeds to the string display step or characterized in that proceeds to the initialization step to confirm the end of the character input D, in the character selection step, after the manipulation of the direction key 113, the case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elected according to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 left function key 115 is selectively read from the storage unit 2 and output unit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ther progress of the process shown in

또한,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120)의 입력에 따른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부(2)로부터 숫자키(120)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문자열표시단계와,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123) 또는 상기 문자열표시단계에서 입력된 동일 숫자키(120)의 입력으로 해당문자 입력신호를 발생하거나 다른 숫자키(120)의 입력시 기존의 문자열을 삭제하고나서 상기 문자열표시단계의 해당 숫자키(120)에 할당된 문자열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123)의 입력에 따라 시간지연발생 시 해당 문자를 촉음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문자선택,초기화단계와, 상기 해당 문자의 표시 이후에 선택적인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한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상호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좌측기능키적용단계 및 상기 해당 문자의 표시 이후에 선택적인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의한 시간지연 여부에 따라 한자변환신호 및 탁음,반탁음의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우측기능키적용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우측기능키적용단계는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의한 시간지연에 대해 해당 한자열을 저장부(2)에서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한자열표시단계 및 해당 한자열에 대응된 숫자키(120)의 입력에 의해 해당 한자를 저장부(2)에서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한자표시단계로 진행함과 아울러 상기 한자열표시단계를 진행한 다음, 상기 한자열에 대해 출력부(3)의 화면상에 전체표시가능 여부에 따라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으로 화면단위로 해당 문자열의 페이지전환신호를 발생하는 페이지전환단계를 진행한 다음 상기 한자표시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Japanese character is input, the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of reading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numeric key 120 from the storage unit 2 and displaying it on the output unit 3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120.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signal by inputting the direction key 123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haracter string or the same numeric key 120 input in the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or deleting an existing character string when another numeric key 120 is input. Then, the character selection and initialization of displaying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120 of the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and proceeding to convert the character into a tactile sound when a time delay occur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123. And a left function key applying step of generating a mutual conversion signal between hiracana and katakana for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optional "*" left function key 125 after the display of the character; After the display of this character, the step of applying the right function key to generate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and the conversion signal of the sound tone and the halftone sound according to the time delay by the input of the optional "#" right function key 125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right function key applying step may be performed by reading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string from the storage unit 2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string on the output unit 3 in response to a time delay caused by the input of the right function key 125. By the display step and the input of the numeric key 12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string, the Chinese character reading step is read out from the storage unit 2 and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and the Chinese character string displaying step is performed. Then, the page switching step of generating a page switching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trings on a screen basis with the input of the "#" right function key 125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entire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output unit (3) for the Chinese character string After proceeding to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1), 저장부(2), 출력부(3), 중앙처리부(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부(1)는 숫자키(100,110,120), 방향키(103,113,123), 모드전환키(107,117,127), 기능키(105,115,125), 일반키(109,119,129)를 포함하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input unit 1, a storage unit 2, an output unit 3,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4 are configured, and the input unit 1 includes numeric keys 100, 110, 120, and direction keys 103, 113, and 123. ), Mode switching keys 107, 117, 127, function keys 105, 115, 125, and general keys 109, 119, 129.

상기 숫자키(100,110,120)는 해당 언어별 문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할당하여 문자입력 시 해당 문자의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한다.The numeric keys 100, 110, and 120 allocate at least one character for each language to generate a character input signal of the character when the character is input.

상기 방향키(103,113,123)는 한글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100,110,120)의 조작에 대응되어, 할당된 모음의 선택적 조합으로 해당 한글문자의 모음을 완성시키는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고, 영어, 일어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100,110,120)의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열에 대응된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한다.The direction keys 103, 113, and 123 correspond to the manipulation of the numeric keys 100, 110, and 120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nd generate a vowel input signal for completing the vowels of the corresponding Korean characters by an optional combination of assigned vowels, and the position of the cursor. Generates a position shift signal for changing and generates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of the numeric keys (100, 110, 120) when inputting English and Japanese characters, and generates a position shift signal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ursor. do.

상기 모드전환키(107,117,127)는 상기 키패드부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1회 입력으로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에 따라 한글입력시 상기 방향키(103,113,123)의 모음입력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영어, 일어문자입력시 상기 방향키(103,113,123)의 문자선택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한다.The mode switching keys 107, 117, and 127 are formed in the keypad alone, and generate a right movement signal of the cursor with one input, and collect the direction keys 103, 113, and 123 when the Korean language is input according to the time delay while pressing. A direction key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alternately generate an input signal and a position shift signal, and a direction key control signal is alternately generated to generate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and a position shift signal of the direction keys 103, 113, and 123 when English and Japanese characters are input. Occurs.

상기 기능키(105,115,125)는 상기 숫자키(100,110,120)와 방향키(103,113,123)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한다.The function keys 105, 115, and 125 generate corresponding character conversion signals in response to input signals of the numeric keys 100, 110, 120 and direction keys 103, 113, and 123.

상기 저장부(2)는 상기 입력부(1)에 할당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용도 및 부가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 문자들을 더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The storage unit 2 stores data related to a character to be input assigned to the input unit 1 and is configured to further store various characters according to usage and additional functions.

상기 출력부(3)는 상기 중앙처리부(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키패드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되, 문자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항목을 비선택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한다.The output unit 3 operates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 and is displayed in real time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from the keypad unit, so that a user's selection item according to a text input is distinguished from a non-selection item. Display.

상기 중앙처리부(4)는 상기 입력부(1)에 의해 인가되는 문자입력신호, 문자선택신호 및 문자변환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지정하여 그에 따라 문자제어신호를 발생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4 designate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the character selection signal and th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applied by the input unit 1 and generates a character control signal accordingl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1)의 숫자키(100)에 할당된 한글 자모의 배열을 표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숫자키(100)와 반복횟수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표 2에서는 방향키(103)에 할당된 모음의 배열을 나타내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arrangement of the Hangul alphabets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100 of the input unit 1 is divided according to the numeric keys 100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as shown in Table 1, and in Table 2, the direction keys ( 103 shows the array of vowels assigned to it.

한글의 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과 모음인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중에서 상기 숫자키(100)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을 할당하고 상기 방향키(103) 중에서 상방향키에는 ㅗ, ㅛ 를 할당하고, 우방향키에는 ㅏ, ㅑ 를 할당하고, 방향키에는 ㅜ, ㅠ 를 할당하고, 좌방향키에는 ㅓ, ㅕ 를 할당한다.Hangul consonants a, b, c, d, b, k, k, k, k, k, k, k, k, k, k, k, k, k, k, and vowels k, k, k, k 숫자,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among the 상기, ,, ,, ㅟ, ㅢ , ㅁ, ㅂ, ㅅ, ㅇ, ㅈ, ㅁ, ㅋ, ㅌ, ,, ㅎ, ㄲ, ㄸ, ㅃ, ㅆ, ㅉ and assign ㅗ, 에는 to the up arrow among the arrow keys 103, Assign ㅏ and 에는 to the directional keys, assign TT and ㅠ to the directional keys, and assign ㅓ and 에는 to the left key.

또한, 상기 숫자키(100) 중 2번 숫자키와 3번 숫자키에 각각 ㅣ, ㅝ, ㅞ 와 ㅡ, ㅘ, ㅙ 를 할당하였다.Also, ㅣ, ㅝ, ㅞ and ㅡ, ㅘ, ㅙ were assigned to the number 2 and number 3 keys of the number keys 100, respectively.

한편, 나머지 모음중 ㅐ, ㅒ, ㅔ, ㅖ, ㅚ, ㅟ, ㅢ 는 상기 방향키(103)와 숫자 2번키 및 3번키에 할당된 모음의 조합으로 완성되어짐이 자명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will be apparent that among the remaining vowels ㅐ, ㅒ, ㅔ, ㅖ, ㅚ, ㅟ, ㅢ is completed by a combination of the vowels assigned to the direction key 103 and the numbers 2 and 3 keys.

상기 숫자키(100)와 방향키(103)에 할당된 한글자모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저장부(2)에 미리 저장한다.The Hangul alphabet assigned to the numeric key 100 and the direction key 103 is databased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2.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09)의 조작에 의해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입력부(1)의 조작으로 한글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가"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1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출력부(3)에 "ㄱ"가 표시되고 그 다음 우방향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ㅏ"가 "ㄱ"에 조합되어 "가"라는 한글문자를 최종적으로 2회의 키입력으로 출력부(3)에 표시하게된다.The user displays the Hangul characters on the output unit 3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 while the user is able to input the Hangul characters by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key 109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the letter "a" first, if you enter the number 1 number once, "a" is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and if you enter the right key once, "ㅏ" is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a", the Korean character "ga" is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by finally inputting two keys.

또한, "갸"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1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출력부에 "ㄱ"가 표시되고 그 다음 우방향키를 2회 입력하게 되면 "ㅑ"가 "ㄱ"에 조합되어 "갸"라는 한글문자를 최종적으로 3회의 키입력으로 출력부(3)에 표시하게된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enter the letter "Ga", enter the number 1 key once, "ㄱ" is displayed on the output, and then enter the right key twice, "ㅑ" is combined with "ㄱ" The Korean character "Gya" is finally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by three key inputs.

또한, "강"이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1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출력부(3)에 "ㄱ"가 표시되고 그 다음 우방향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ㅏ"가 "ㄱ"에 조합되어 "가"라는 글자로 조합되며 이어서 7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함으로서 "ㅇ"을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최종적으로 3회의 키입력으로 출력부(3)에 표시하게된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enter the character "strong", if you enter the number 1 key once, "a" is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and if you enter the next right key once, "ㅏ" is "a" Combining to the letter "ga" is combined with "7" by inputting the number seven times, and then by combining "ㅇ" to display the Hangul characters to the output unit 3 in the last three key input.

또한, "예"이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7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 되면 출력부(3)에 "ㅇ"가 표시되고 그 다음 좌방향키를 2회 입력하게 되면 "ㅕ"가 "ㅇ"에 조합되어 "여"라는 글자로 조합되며 이어서 2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함으로서 "ㅣ"을 조합하여 한글문자를 최종적으로 4회의 키입력으로 출력부(3)에 표시하게된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enter the letter "Yes", if you enter the number seven times once "ㅇ" is displayed on the output (3), then if you enter the left arrow twice, "ㅕ" is "ㅇ" Combining with the letter "F" and then by inputting the number 2 number once, "" by combining "Hangul" characters ar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by the last four key inputs.

한편, 상기와 같은 한글문자입력시 숫자키(100)에 할당된 한글문자 중에서 마지막에 할당된 글자의 입력시 숫자키(100)를 해당 할당 순번까지 반복적으로 입력하여 한글문자를 표시하였으나 해당 숫자키(100)를 누른 다음 "*"좌측기능키(105)를 누르게 되면 마지막의 한글문자로 전환되어 숫자키의 반복적인 입력을 간소화할 수 있는 건너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숫자키(100)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 "*"좌측기능키(105)의 입력으로 건너뛰기의 기능을 수행함이 자명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nputting the Korean characters as described above, when inputting the last assigned character among the Korean character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100, the numeric key (100) is repeatedly input to the corresponding assignment order to display the Korean characters, but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s If you press (100) and then press the left function key (105), you can switch to the last Korean character and perform the skip function to simplify the repeated input of the numeric keys. It will be apparent that while holding down the key 100, the function of skipping to the input of the "*" left function key 105 is performed.

한편, 한글문자입력시 방향키(103)는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하게되는데 이때 한글문자입력도중 커서의 이동을 하고자 한다면 상기 모드전환키(107)를 1회 누름으로서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모드전환키(107)를 누르고 있는동안 시간지연에 따라 상기 방향키(103)의 기능이 원래기능인 커서의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게된다. 더불어 상기 모드전환키(107)의 재입력으로 방향키(103)의 위치이동신호의 발생에서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전환됨이 바람직 하겠다.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Korean characters, the direction key 103 generates a vowel input signal. If the cursor is to be moved during Korean character input, the mode shift key 107 is pressed once to generate the right shift signal of the cursor. In response to the time delay while the mode switch key 107 is pressed, the function of the direction key 103 generates the position shift signal of the cursor which is the original func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switch so that the vowel input signal can be generated in the generation of the position shift signal of the direction key 103 by re-input of the mode switching key 107.

한편, 상기와 같이 한글문자입력 도중 사용자에 따라 또 다른 문자의 입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witch to the input mode of another character according to the user during the Hangul character input as follows.

한글문자입력 도중에 "*"좌측기능키(105)를 누르고 있는동안 시간지연으로 영어문자입력을 할 수 있는 영어문자입력 모드로 전환되되 "*"좌측기능키(105)를 다시누르고 있는동안의 시간지연으로 종전의 한글문자입력 상태로 전환하게되며,추가적으로 영어문자입력모드상태에서 "*"좌측기능키(105)의 짧게 누름을 반복적으로 즉, 입력을 반복적으로 하게되면 영어문자의 대소문자를 상호 전환된다.While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105) while entering Korean characters, the user can switch to the English character input mode where English characters can be input by delaying the time, while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105) again. By delay, the previous Korean character input state is changed. In addition, in the English character input mode state, the short press of the "*" left function key 105 is repeated. Is switched.

또한, "*"좌측기능키(105)를 입력하고 9번 숫자키를 입력하게 되면 일어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되, 전환된 후 "*"좌측기능키(105)의 입력에 따라 시간지연으로 종전의 한글문자입력 상태로 전환하게된다.In addition, when the "*" left function key 105 is entered and the number 9 key is inputted, the Japanese character input mode is switched, and after switching, the time delay is termin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 left function key 105. It will be converted into Korean character input state.

또한, "*"좌측기능키(105)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0번 숫자키를 입력하게 되면 특수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되, 전환된 후 "*"좌측기능키(105)의 입력에 따라 시간지연으로 종전의 한글문자입력 상태로 전환하게된다.In addition, if the number 0 key is input while the " * " left function key 105 is pressed, a special character input mode is switched, but the time delay is delay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 * " This will switch to the previous Hangul character input state.

또한, "*"좌측기능키(105)를 입력하고 "#"우측기능키(105)를 입력하게되면 숫자입력모드로 전환되되, 전환된 후 "*"좌측기능키(105)의 입력에 따라 시간지연으로 종전의 한글문자입력 상태로 전환하게된다.In addition, when the "*" left function key 105 is input and the "#" right function key 105 is entere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numeric input mode. Due to the time delay, the previous Hangul character input state is chang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1)의 숫자키(110)에 할당된 알파벳의 배열을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숫자키(110)와 반복횟수에 따라 구분하여 할당하였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n arrangement of alphabets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110 of the input unit 1 is separately allocated according to the numeric keys 110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as shown in Table 3.

영어문자인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을 상기 숫자키(110)에 할당하고, 상기 숫자키(110)에 할당된 영어문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2)에 미리 저장한다.English letters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 Y, Z are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110, and the English characters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110 are databased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2.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19)의 조작에 의해 영어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입력부(1)의 조작으로 영어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ABC"를 입력하기 위해 1번 숫자키를 1회 입력하게되면 1번 숫자키에 할당된 "ABCD"의 문자열이 출력부(3)에 표시되며, 상기 표시된 문자열의 순서에 따른 해당 방향키(113)를 입력하면 즉, 상방향키 1회 입력하게되면 "A"가 표시되고, 우방향키를 입력하게 되면 "B"가 표시되며, 하방향키를 입력하게 되면 "C"가 표시되어 최종적으로 4회의 키입력으로도 "ABC"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방향키를 입력하게된 경우부터 표시된 문자열은 지속적으로 출력부(3)에 표시됨을 유지하게 된다.The user displays the English characters on the output unit 3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 while the user is able to input the English characters by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key 119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number key 1 is inputted once to input "ABC", the string of "ABCD" assigned to the number 1 key is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displayed strings. Whe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key 113 is input, that is, when the upper direction key is input once, "A" is displayed. When the right direction key is input, "B" is displayed. When the down direction key is input, "C" is displayed. "ABC" is also displayed by four keystrokes. In this case, the displayed character string i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when the upward key is input.

또 다른예를 들면, "CCD"를 입력하기 위해 1번 숫자키를 입력하게 되면 "ABCD"의 문자열이 출력부(3)에 표시되며, 상기 표시된 문자열의 순서에 따른 해당 방향키(113)인 하방향키의 2회 입력으로 "CC"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문자열을 그대로 유지하며, 이어서 좌방향키를 입력하여 "D"를 표시함으로서 최종적으로 "CCD"를 출력부(3)에 표시하게 된다.For another example, when the number 1 key is input to input "CCD", the string of "ABCD" is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and the corresponding direction key 113 in the order of the displayed string is By displaying the "CC" by two inputs of the direction key and maintaining the character string as it is, the "D" is displayed by inputting the left direction key, and finally "CCD" is displayed on the output part 3.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영어문자입력시 영어문자의 총 개수인 26개의 영어문자을 모두 입력하고자 한다면 최대 7번의 숫자키 입력을 포함하여 총 33회의 키입력으로도 영어문자를 모두 표시할 수 있게 된다.If you want to input all 26 English characters, the total number of English characters when entering the English character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isplay all the English characters with a total of 33 key inputs, including up to seven numeric key input.

이는 기존의 각 숫자키에 3개의 영어문자를 할당된 상태에서 26개의 영어문자를 표시하기위해 총 51회의 키입력이 필요하였으며 본 발명은 기존의경우에 대해 35%정도 줄이게 된다.This requires a total of 51 keystrokes to display 26 English characters in a state in which three English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existing numeric key, and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existing case by about 35%.

한편, 상기와 같은 영어문자입력시 "*"좌측기능키(115)의 입력으로 대소문자를 혼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nputting the English characters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upper and lower case can be mixed by the input of the left function key 115.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본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부(1)의 숫자키(120)에 할당된 일어문자의 배열을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숫자키(120)와 반복횟수에 따라 구분하여 할당하였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Japanese charac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s shown in Table 4, an array of Japanese characters assigned to the numeric key 120 of the input unit 1 is divided and assigned according to the numeric key 120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일어문자중 히라카나 문자를 1번키에 "あ, い, う, え, お ", 2번키에 "か, き, く, け, こ ", 3번키에 "さ, し, す, せ, そ ", 4번키에 "た, ち, つ, て, と ", 5번키에 "な, に, ぬ, ね, の ", 6번키에 "は, ひ, ふ, へ, ほ ", 7번키에 "ま, み, む, め, も ", 8번키에 "や, ゆ, よ ", 9번키에 "ら, り, る, れ, ろ ", 0번키에 "わ, ん, -, を, "를 각각 할당하고, 상기 숫자키(120)에 할당된 일어문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2)에 미리 저장한다.Hiraka Japanese characters in the first key "あ, い, う, え, お", the second key "か, き, く, け, こ", the third key "さ, し, す, せ, せ", On the 4th key" た, ち, つ, て, と ", on the 5th key" な, に, ぬ, ね, の ", on the 6th key" Ha, hi, ふ, へ, ほ ", on the 7th key "ま, み, む, め, も", the 8th key "や, YU, YO", the 9th key "ら, り, る, れ, ろ", the 0th key "わ, ん,-, を, "Are assigned, and the Japanese characters assigned to the numeric keys 120 are databased and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2.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29)의 조작에 의해 일어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입력부(1)의 조작으로 일어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하게 되는데, 표시방법은 상기 도 3에서 보인 방향키(113)를 이용한 방법을 따르게 된다.The user displays the Japanese characters on the output unit 3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 while the user is able to input the Japanese characters by the operation of the general key 129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llows the method using the direction key 113 shown in FIG.

여기서 추가적인 설명을 한다면, 상기 일어문자 중 "a "계열의 일어문자 あ(a), か(ka), さ(sa), た(ta), な(na), は(ha), ま(ma), や(ya), ら(ra), わ(wa) 는 방향키(123)에 할당 되지 않았기 때문에 "a "계열의 일어문자를 입력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해당 숫자키(120)를 1회 입력한 후 화면에 해당 문자열이 표시되고 이어서 동일한 숫자키(120)를 다시한번 1회 입력하게되면 해당 "a "계열의 대표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Here, if further explanation, the Japanese characters of the Japanese character "a" series あ (a), か (ka), さ (sa), た (ta), な (na), は (ha), ま (ma ), や (ya), ら (ra), and わ (wa) are not assigned to the arrow keys (123), so when you want to enter Japanese characters of the "a" series, you must first enter the number key 120 once. After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tr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n the same numeric key 120 is input once agai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the "a" series.

한편, 일어문자는 히라카나와 가타카나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으로 히라카나와 가타카나로 상호전환되도록 구성되어지며, 기본 설정은 히라카나로 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Japanese characters are divided into hirakana and katakana, and is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hirakana and katakana by input of the "*" left function key 125, and the default setting is hirakana.

한편, 일어문자중 가타카나의 입력도 중 "-"장음을 표시하기 위해 0번키에 할당되며, 0번키의 입력과 함께 좌방향키의 입력으로 표시되는 "-"장음을 표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of the katakana of the Japanese characters are also assigned to the 0 key to indicate the "-" long sound, and the input of the 0 key and "-" long sound displayed by the input of the left direction key is displayed.

또한, 상기 해당 문자에 해당되는 방향키(125)를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이 이루어지면 해당 문자를 촉음으로의 변환하게 된다.In addition, if a time delay is made while pressing the direction key 125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converted into a tactile sound.

초기에는 대문자로 설정된 일어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하도록 설정되어지며 재입력하게 되면 다시 원래의 대문자로 복귀하게 된다.Initially, it is set to convert Japanese character set to uppercase to lowercase. If it is re-entered, it returns to the original uppercase letter.

한편, 상기 기능키중 "#"우측기능키(125)를 반복적으로 입력함으로서 탁음과 반탁음을 바로 전 일어문자와 조합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On the other hand, by repeatedly input the "#" right function key 125 of the function key was set to be displayed in combination with the immediately preceding Japanese character and the sound of the sound and half.

한편, 상기 "#"우측기능키(125)의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으로 해당 일어문자를 한자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며, 한문전환 방법은 도 9에서 자세히설명하겠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onvert the corresponding Japanese characters into Chinese characters by the time delay while the "#" right function key 125 is pressed, and the Chinese convers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시되지 않았으나 특수문자를 입력하고자 할때에는 영어문자나 일어문자와 같은 테이블 형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부(2)에 저장한 다음 필요한 특수문자를 방향키와 숫자키의 조작으로 출력부(3)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input a special character, the tabular data such as English or Japanese characters are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and the necessary special characters are stored in the output unit 3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s and the numeric keys. Will be able to display.

또한, 숫자를 입력할 시에도 숫자키의 조작으로 숫자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 방향키에 사칙연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산기능인 "-"(빼기), "+"(더하기), "x"(곱하기), "/"(나누기)를 다음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방향키에 할당하였으며, 상기 기능키중 "#"키에 연산후의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In addition, when entering numbers, not only can you input numbers using the numeric keys, but also the functions "-" (minus), "+" (plus), " x "(multiply) and" / "(divide) were assigned to each direction key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5, and the" # "key among the function keys was set to generate a signal indicating the result after the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일반키(109,119,129)를 조작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게 되며(S100), 이때 문자종류를 선택하게 되는데(S200), 한글문자(S300), 영어문자(S400), 일어문자(S500), 숫자(S600), 특수문자(S700)로 구분되어 설정하되, 그 이외의 언어는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문자입력상태로의 전환 시 기본적인 언어를 한글로 설정하였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5, by operating the general keys (109, 119, 129) generally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state that can input a character (S100), at this time select the type of characters (S200), Korean characters (S300), English characters (S400), Japanese characters (S500), numbers (S600) and special characters (S700) are set separately, but other languages ar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language is set to Korean when switching to the character input state.

상기와 같은 언어별 문자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별한 후(S800), 문자입력과정을 종료하거나 상기 문자종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된다(S200).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character input for each language is terminated (S800), the process of terminating the character input process or selecting the character type is performed (S200).

앞으로의 도면 설명에서는 한글문자(S300), 영어문자(S400) 및 일어문자(S500)에 대해서 설명하며, 상기 숫자(S600)와 특수문자(S700)는 충분한 적용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for the Hangul characters (S300), English characters (S400) and Japanese characters (S500), the number (S600) and special characters (S700) will be apparent that it is sufficiently applicabl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5에서 한글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한글문자가 입력되는데, 한글문자의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100)의 입력으로 문자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중앙처리부(4)에서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문자를 저장부(2)에서 독출한 다음 해당 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S301)하게되는 초성입력단계(S350)를 진행한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when it is switched to the Hangul character input state in FIG. 5, the Hangul character is input by a user's manipulation. The Hangul character is input by the input of the numeric key 100 assigned with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Hangul character. 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 receives the signal, read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from the storage unit 2, and then display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n the output unit 3 (S301). Proceed.

이어서,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을 입력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이 할당된 방향키(103) 또는 숫자키(100)를 조작하여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게되면 상기 중앙처리부(4)에서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문자를 저장부에서 독출한다음 해당 문자를 상기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과 조합하여 출력부(3)에 표시(S303)하고, 이어서 문자완성을 확인하는 과정(S305)을 진행하는 중성입력단계(S360)를 진행한다.Subsequently,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is input and displayed. In this case, when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generates the character input signal by operating the direction key 103 or the numeric key 10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 Receives the signal and read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from the storage unit, and then combine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with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in the output unit 3 (S303), and then checks the character completion (S305). Proceeding with the neutral input step (S360).

이때 한글은 자음과 모음 각각의 하나씩만을 조합하여도 글자가 되므로 문자의 완성을 판별하여 문자조합의 계속진행을 확인하는 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자음과 모음 각각 하나씩의 조합 후의 진행은 모음의 변화를 인지하여 상기 표시된 모음에 대해 모음조합을 확인하는 단계(S307)를 진행하고 나서, 모음조합에 해당되는 모음이 할당된 방향키(103) 또는 숫자키(100)의 조작에 의한 문자입력신호를 중앙처리부(4)에서 전달받아 해당 문자를 저장부(2)에서 독출한 다음 해당 모음을 맨처음의 중성을 표시한 모음과 조합하여 최종적인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을 이루며 출력부(3)에 표시하는 단계(S309)를 진행하고, 더불어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도 한글이 완성될 수 있기 때문에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단계(S311)를 진행하는 중성조합단계(S370)를 진행한다.In this case, Hangul is a letter even if only one of each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becomes a letter. Therefore, the completion of the letter is checked to confirm the continuation of the letter combination. After recognizing and confirming the vowel combina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yed vowel (S307), the central processing unit receives a character input signal by manipulation of the direction key 103 or the numeric key 100 to which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vowel combination is assigned. (4) read the character from the storage unit (2) and then combine the vowels with the first vowels marked with neutral to form a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nal neutral and display on the output (3) (S309), and since the Hangul may be completed by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neutral combination step (S370) of proceeding with the step (S311) of confirming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 is performed.

이어서, 받침이 추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313)로 진행하고 나서 받침에 해당되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100)의 조작에 의한 문자입력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4)에서 전달받아 해당 문자를 저장부(2)에서 독출한 다음 해당 자음을 받침으로 조합하는 단계(S315)를 진행하되 받침자음 또한 이중의 자음이 결합되는 받침의 경우가 있어도 상기의 받침입력방법의 수순으로 진행한다.Subsequently,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base is added (S313), and then receives the character input signal by the manipulation of the numeric key 100 to which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base is receiv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After reading out from the storage unit 2, the step of combining the corresponding consonants with the consonants (S315) is performed, but the consonants also proceed with the procedure of the receiving input method even if the consonants are combined with the double consonants.

상기와 같이 받침까지 조합하여 완성된 문자가 표시되면 한글문자의 완성을 확인(S317)한 다음 하나의 한글문자의 완성을 이루며 종료하게 되며 계속적인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상기 (S301)단계로 진행하는 받침조합단계(S380)를 수행하게 된다.If the completed character is displayed by combining the support as described above, confirm the completion of the Hangul character (S317) and then complete the completion of one Hangul character, and if you want to continue to enter the character proceeds to step (S301) Support combination step (S380) is performed.

또한, 상기 (S305)단계에서 자음하나와 모음 하나만의 글자가 완성되었다면 마지막 단계인 문자를 완성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317)로 진행하며, 또한 상기 (S307)단계에서의 모음 조합을 하지 않게되면 받침조합을 확인하는 단계(S313)로진행하며, 상기 받침조합을 확인하는 단계(S313)에서 받침을 표시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문자완성을 확인하는 단계(S317)로 진행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In addition, if only one consonant and one vowel character are completed in step S30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17 of checking whether the character of the final consonant is completed, and when the vowel combination is not performed in step S307, the support is supported. Proceed to the step of checking the combination (S313),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upport is not displayed 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support combination (S313) it will be preferable to proceed to the step of checking the character completion (S31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어문자입력상태에서 해당 숫자키(110)의 입력으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401)를 진행하고, 상기 문자입력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부(4)에서 저장부(2)에 저장된 해당 숫자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403)를 진행하는 문자열표시단계(S450)를 수행한다.7 is a view showing an English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n operation S401, a character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input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110 in the English character input state, and stor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 receiving the character input signal. The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S450 is performed to read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number stored in the unit 2 and generate a signal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S403).

이어서, 중앙처리부(4)는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113)를 입력하는 단계(S405)를 진행하고, 이어서 상기 방향키(113)의 입력 이후에 "*"좌측기능키(115)의 입력여부를 판별(S407)하여 "*"좌측기능키(115)의 조작이 없다면 상기 방향키(113)의 입력에 따른 해당 문자를 출력부(3)에 표시하는 단계(S409)를 진행하고, 상기 "*"좌측기능키(115)의 입력으로 판별되면 상기 방향키(113)에 따른 해당문자의 대소문자를 표시하는 단계(S411)를 진행하는 문자선택단계(S460)를 수행하게되는데, 이때 상기 "*"좌측기능키(115)의 반복적인 입력으로 대소문자의 상호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 proceeds to inputting the direction key 113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haracter string (S405), and then inputting the "*" left function key 115 after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113. 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S407 that there is no operation of the left function key 115, the method display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113 on the output unit 3 (S409).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of the left function key 115 is performed, the character selection step S460 of displaying the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of the corresponding letters according to the direction key 113 is performed. Repetitive input of the left function key 115 enables case conversion between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상기 방향키(113)의 조작후 상기 출력부(3)에 표시된 문자열에 대해 출력부(3)에 지속적으로 표시되도록 문자열유지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413,S470)를 진행한다.After the manipulation of the direction key 113,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haracter string maintenance signal i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string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S413 and S470).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415)를 진행하고 나서,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이 완료되었으면 다른 숫자키(110)의 조작으로 문자입력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417)를 진행하여 다른 숫자키(110)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문자입력종료를 확인(S419)하는 초기화단계(S480)를 진행하게 된다.After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haracter input in the character string is completed (S415), and if the character input in the character string is completed, determining whether the character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another numeric key (110) (S417) If the operation of the other numeric key 110 is not performed to proceed to the initialization step (S480) to confirm the end of the character input (S419).

한편,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완료의 판별(S415)결과 완료되지 않았다면 즉, 지속적인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문자열내에 대응된 방향키(113)의 입력을 진행하는 단계(S405)로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of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 input in the character string (S415) is not completed, that is, if the character input in the continuous character string is perform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tep (S405) of inputting the direction key 113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ring.

한편, 상기 다른 숫자키(110)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417)에서 다른 숫자키(110)의 입력이 일어나게 되면 기존의 문자열을 삭제하는 과정(S421)을 수행하고 이어서 상기 숫자키(110)에 할당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단계(S403)로 진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of the other numeric key 110 occurs in the step (S417) of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other numeric key 110 is performed, the process of deleting the existing character string (S421) and then the numeric key The display proceeds to step S403 in which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110 is display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어문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어문자입력상태에서 해당 숫자키(120)의 조작으로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을 진행(S501)하게 되면, 중앙처리부(4)에서 상기 문자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저장부(2)에 저장된 해당 숫자키(120)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S503)하고, 상기 표시된 문자열의 순서에 대응된 해당키를 입력하는 과정을 진행(S505)하는 문자열표시단계(S550)를 진행하고,8 is a view showing a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8, when the process of generating a character input signal by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120 in the Japanese character input state (S50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 receives the character input signal received The process of reading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120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and displaying it on the output unit 3 (S503) and inputting the corresponding key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of the displayed character string (S505). Proceed with the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S550),

이어서 방향키(123)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별(S511)하여 방향키(123)의 입력이 아니라면, 동일한 숫자키(120)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과정(S513)을 수행하여 동일 숫자키(120)가 입력되었다고 한다면 해당 문자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S515)하고, 상기 동일 숫자키(120)의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S513)에서 동일 숫자키(120)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즉, 다른 숫자키(120)가 입력되었다면 기존에 표시된 문자열을 삭제(S519)하고 나서 해당 숫자키(120)에 할당된 문자열을 표시하는 단계(S503)로 진행하는 문자선택,초기화단계(S560)를 수행한다.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an input of the direction key 123 has been made (S511), and if it is not an input of the direction key 123,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same numeric key 120 has been input is performed (S513) and the same number key ( If 120 is input, a signal indic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s generated (S515), and if the same numeric key 120 is not input in step S513 of confirming the input of the same numeric key 120, that is, another number. If the key 120 is input, the character string is deleted (S519), and then the character selection and initialization step (S560) is performed to proceed to the step S503 of displaying the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120.

한편, 상기 방향키(123)의 입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11)에서 방향키(123)가 입력되었다면, 시간지연을 판별(S517)하여 시간지연이 없으면 해당 방향키(123)에 대응된 문자열의 문자를 표시하는 해당문자표시단계로 진행(S515)하고, 반면에 시간지연으로 판별되면 해당 문자를 촉음으로 변환(S518)한 후 출력부(3)에 표시하는 해당문자표시단계(S515) 이후로 진행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rection key 123 is input in step S511 of checking whether the direction key 123 is input, if there is no time delay by determining the time delay (S517),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key 123 is inputted. Proceeds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isplay step to be displayed (S515),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delay, the character is converted to the tactile sound (S518) and then proceeds to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isplay step (S515) to b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

이어서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S521)을 수행하여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이 발생되면 "*"좌측기능키(125)의 반복적인 누름에 따라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변환(S523)이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기능키(125)의 입력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상기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변환단계(S523) 이후의 과정을 진행하는 좌측기능키적용단계(S570)를 수행한다.Subsequently, the process of checking input of the "*" left function key 125 is performed (S521). When the input of the "*" left function key 125 occurs, the "*" left function key 125 is repeatedly presse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of the hiragana and katakana (S523), if the input of the "*" left function key 125 does not occur, the left function key applying step to proceed the process after the conversion step (S523) of the hiragana and katakana S570 is performed.

이어서,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S531)을 수행하여 "#"우측기능키(125)의 누름에 따른(S533) 시간지연으로 한자변환이 이루어지는단계(S535)를 진행한다.Subsequently, the process of checking input of the "#" right function key 125 is performed (S531), and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is performed with a time delay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 right function key 125 (S533) (S535). Proceed.

한편, 상기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이 발생되지 않았다면 상기 한자변환과정(S525) 이후의 과정을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of the "#" right function key 125 is not generated, the process after the Hanja conversion process (S525).

또한, 상기 "#"우측기능키(125)의 시간지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S533) "#"우측기능키(125)의 반복적인 누름에 따라 탁음과 반탁음의 상호 변환(S517)을 하게된 후, 상기 한자변환과정(S535) 이후의 과정을 진행하고, 이어서, 문자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S541)하여 완료가 되지 않았다면 상기 해당 숫자키(120)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진행(S501)하고, 완료되었으면 일어문자의 입력을 종료하게 되는 우측기능키적용단계(S580)를 수행한다.In addition, if the time delay of the "#" right function key 125 is not performed (S533), the repeated conversion of the sound tone and the half-tone sound is performed according to repeated pressing of the "#" right function key 125 (S517). Then, the process after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process (S535), and then, after confirming that the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S541), if not completed, proceeds to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120 (S501)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put of the Japanese character, the function key application step (S580) is complet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어문자입역 중 한자입력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8에서 한자변환과정에서 수행하는 단계로서 먼저,9 is a view showing a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of Japanese character input and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first, the step of performing the Hanja conversion process in FIG. 8 will be described.

"#"우측기능키(125)의 입력에 따른 해당 한자열을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출력부(3)에 표시(S535a)하되, 상기 한자열내의 한자가 출력부(3)의 화면에 전부 표시가 되지 않았을 때는(S535b) "#"우측기능키(125)를 반복적인 누름으로 화면단위의 페이지별로 한자열을 표시하는 단계(S535c)를 진행하게 되고, 해당 한자를 확인하게 되면 화면에 보이는 한자열내의 배열 순서에 대한 대응된 숫자키(120)를 입력(S535d)하여 한자로 변환하여 출력부(3)에 해당 한자를 표시하는 단계(S535e)를 진행하고, 이이서, 상기 출력부(3)에 해당 한자를 표시하고 나면 화면복귀로 진행(S535f)하게 된다. 상기 화면복귀라 함은 이전의 일어문자입력상태로 돌아간다는 것임이 자명할 것이다.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 right function key 125 is read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3 (S535a), but all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Chinese character string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output unit 3. If not (S535b) by pressing the "#" right function key 125 repeatedly to display the Chinese character string for each page of the screen unit (S535c), if the Chinese character confirmed the Chinese characters visible on the screen Inputting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120 for the arrangement order in the column (S535d) and converting to Chinese characters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s on the output unit (S535e), hereafter, the output unit (3) After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is displayed, the screen returns to step S535f.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screen returns to the previous Japanese character input stat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본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키(139)를 조작하여 일어문자 입력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내에 단독으로 형성된 상하좌우의 방향키(133)와, 추가형성된 추가키(140)에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의 a 계열, "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ん "의 i 계열,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u 계열,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 "의 e 계열 및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의 o 계열의 문자를 각 계열별로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숫자키(130)의 입력에 대응되어 상기 방향키(133) 및 추가키(140)의 추가입력에 따라 문자선택신호를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5개의 키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for inputting Japanese charac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0, by operating the general key 139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ate of switching to the Japanese character input state, the up and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133 formed solely in the keypad, and additionally formed additional key 140 ) "A,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a series, "い, き, し, ち, に, Hi, み, り, ん" i series,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RU" u series,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e series and "お, こ, The letter o series of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is assigned to each series, 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numeric key 130, the direction key 133 and the additional key 140 According to the additional input of the character sel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five keys as shown in Table 4.

뿐만아니라, 상기 5개의 키의 선조작으로 인하여 상기 각 계열별로 출력부(3)에 표시한 후에 해당 계열에 따른 배열순서에 대응된 숫자키(130)의 입력으로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할 수 있음은 당 업자라면 충분히 응용시켜 제작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character selection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input of the numeric key 130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according to the series after displaying the output unit 3 for each series due to the pre-operation of the five key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pplication can be made sufficient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내에 배열된 숫자키에 문자를 할당함과 아울어 기존의 방향키에 모음 또는 할당된 문자열에 대응시켜 해당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시킴으로서 불필요한 키의 조작 횟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문자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assigning a character to the numeric keys arranged i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rrespond to the vowel or the assigned string to the existing direction keys By configuring the character to be selected, not only the number of unnecessary key manipulation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ut also there is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user input of characters.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3)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signal by manipulation of a numeric key in which at least one character is assigned to a numeric key of 0 to 9 on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torage unit in which data for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input unit is stored; Charact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character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read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display on the output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In the input device, 한글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의 조작에 대응되어, 할당된 모음의 선택적 조합으로 해당 한글문자의 모음을 완성시키는 모음입력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와,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wh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nd generates a vowel input signal to complete the vowel of the corresponding Hangul characters by an optional combination of the assigned vowels, and a direction key for generating a position shift signal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ursor; , 상기 키패드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의 모음입력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와,A mode switching key formed solely in the keypad and generating a right movement signal of the cursor according to an operation, and generating a direction key control signal to alternately generate a vowel input signal and a position movement signal of the direction key; 상기 숫자키와 방향키에 대응하여 해당문자의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를 포함한 입력부; 및An input unit including a function key for generating a character conversion signal of a corresponding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and the direction key; And 상기 키패드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되, 문자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항목을 비선택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Characterized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keypad unit, the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user's selection items according to the text input to distinguish the non-selection i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1번 숫자키에 ㄱ, ㅋ, ㄲ, 2번 숫자키에 ㅣ, ㅝ, ㅞ, 3번 숫자키에 ㅡ, ㅘ, ㅙ, 4번 숫자키에 ㄴ, ㄹ, 5번 숫자키에 ㄷ, ㅌ, ㄸ, 6번 숫자키에 ㅁ, ㅂ, 7번 숫자키에 ㅂ, ㅃ, 8번 숫자키에 ㅅ, ㅆ, 9번 숫자키에 ㅇ, ㅎ 및 0번 숫자키에 ㅈ, ㅊ, ㅉ 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숫자, ,, 에, 2, ㅞ, 숫자, ㅞ, 3, ㅙ, 숫자, 4, 에, 에, 5, 에, 5, ㄷ, ㅌ , ㄸ, ㅁ for 6th numeric key, ㅂ, 7 for 7th numeric key, ㅃ, 8 for 8th numeric key, ㅆ, ㅇ for 9th key ㅇ, ㅎ and 0,, ,, ㅉ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ssig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상방향키에 ㅗ, ㅛ, 우방향키에 ㅏ, ㅑ, 하방향키에 ㅜ, ㅠ 및 좌방향키에 ㅓ, ㅕ 가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ㅗ, ㅛ, 방향, ㅑ, 방향, 우, 하, 및 and ㅓ, 에 are assigned to the left key, respectively. 제 1 항 내지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한글문자입력시 상기 숫자키의 입력신호에 따라 "*"좌측기능키의 추가 조작으로 상기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 중 마지막 문자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inputting the last character of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numeric key by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 left function ke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numeric key when inputting Hangul characters. 제 1 항 내지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한글문자 입력 도중 "*" 좌측기능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의 시간지연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영어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영어문자입력상태에서 상기 "*"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다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In response to the time delay while pressing the left function key "*" while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 signal is converted from the Korean character input state to the English character input state, and the "*" left function key in the English character input stat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switch back to the Hangul character input mode by the time delay according to the input. 제 1 항 내지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한글문자 입력 도중 "*" 좌측기능키의 조작과 함께 9번 숫자키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일어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일어문자입력상태에서 상기 "*"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다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During the Korean character input, a signal is converted from the Korean character input state to the Japanese character input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ft function key "*" and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number 9 key.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witching to the Korean character input mode again with a time delay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left function key. 제 1 항 내지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한글문자 입력 도중 "*"좌측기능키의 조작과 함께 "#"우측기능키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숫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숫자입력상태에서 상기 "*"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다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During the Korean character input, the "*" right function key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 right function key to generate a signal that changes from the Korean character input state to the numeric input state.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witching to the Korean character input mode again with a time delay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left function key.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숫자입력상태에서 상기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의 사칙연산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우측기능키의 조작에 의해 사칙연산에 따른 결과값을 출력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In addition to generating the arithmetic operation signal of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in the number input state, and a signal for outputting the result value according to the arithmetic operation by operation of the "#" right function key.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한글문자 입력 도중 "*" 좌측기능키의 조작과 함께 0번 숫자키의 추가조작에 따라 한글문자입력상태에서 특수문자입력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특수문자입력상태에서 상기 "*"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으로 다시 한글문자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During the input of Korean characters, the operation of the left function key "*" and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number 0 key generate a signal to switch from the Korean character input state to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tate, and in the special character input state, the "*"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witching to the Korean character input mode again with a time delay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left function key.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signal by manipulation of a numeric key in which at least one character is assigned to a numeric key of 0 to 9 on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torage unit in which data for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input unit is stored; Charact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character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read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display on the output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In the input method, 한글문자 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입력에 따라 초성에 해당되는 자음의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서 해당 자음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초성입력단계;A consonant input step of receiving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reading out the consonant from the storage, and displaying the consonant; 상기 초성에 연계된 해당 모음이 할당된 숫자키 및 방향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중성입력단계;Neutral input to receive the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and the direction key assigned to the vowels associated with the initial consonant, to read the vowels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 them on the output unit, and to check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s. step; 상기 중성에 해당되는 모음의 추가 조합시 추가될 모음이 할당된 숫자키, 방향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중성조합단계; 및When the vowel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is added, the vowel to which the vowel to be added is assigned is assigned a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directional key and the storage unit reads the vowel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s the vowel on the output unit. Neutral combination stage to proceed the process; And 상기 중성조합단계와 연계되어 받침조합시 추가된 받침에 해당되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 방향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서 해당 모음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고, 문자의 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받침조합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Read the vowels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 them on the output unit by receiving the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key and the direction key to which the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bases added during the support combination are linked in connection with the neutral combination step.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proceed to the supporting combination step of proceeding to confirm the comple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signal by manipulation of a numeric key in which at least one character is assigned to a numeric key of 0 to 9 on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torage unit in which data for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input unit is stored; Charact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read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display on the output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In the input device, 영어,일어문자 입력시 상기 숫자키의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열에 대응된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커서의 위치를 바꾸는 위치이동신호를 발생하는 방향키와,When inputting English and Japanese characters, the direction key for generating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tr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signal of the numeric key and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ursor; 상기 키패드부 내에 단독으로 형성되며, 조작에 따라 커서의 우측이동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의 문자선택신호 및 위치이동신호를 교번적으로 발생시키도록 방향키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전환키와,A mode switching key which is formed in the keypad alone and generates a direction movement signal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and generates a direction key control signal to alternately generate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and a position movement signal of the direction key; , 상기 숫자키와 방향키의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문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기능키를 포함한 입력부; 및An input unit including a function key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conversion signal in response to the signals of the numeric keys and the direction keys; And 상기 키패드부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되되, 문자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항목을 비선택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Characterized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keypad unit, the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user's selection items according to the text input to distinguish the non-selection item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put unit 영어문자입력시 1번 숫자키에 A, B, C, D, 2번 숫자키에 E, F, G, H, 3번 숫자키에 I, J, K, L, 4번 숫자키에 M, N, O, P, 5번 숫자키에 Q, R, S, T, 6번 숫자키에 U, V, W, X 및 7번 숫자키에 Y, Z 이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When entering English characters, A, B, C, D, number 2, E, F, G, H, number 3, I, J, K, L, number 4, M, Mobil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Y, Z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U, V, W, X, and 7 to N, O, P, and 5 number keys to Q, R, S, T, and 6 number keys.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제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1 or 12, wherein the input unit 영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입력 후, "*" 좌측기능키의 조작에 의해 영어문자의 대소문자를 교번적으로 변환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fter input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the input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by the operation of the left function key "*" to generate a signal for alternating the case of the English charact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put unit 일어문자입력시 1번 숫자키에 あ(a), い(i), う(u), え(e), お(o), 2번 숫자키에 か(ka), き(ki), く(ku), け(ke), こ(ko), 3번 숫자키에 さ(sa), し(shi), す(su), せ(se), そ(so), 4번 숫자키에 た(ta), ち(chi), つ(tau), て(te), と(to), 5번 숫자키에 な(na), に(ni), ぬ(nu), ね(ne), の(no), 6번 숫자키에 は(ha), ひ(hi), ふ(fu), へ(he), ほ(ho), 7번 숫자키에 ま(ma), み(mi), む(mu), め(me), も(mo), 8번 숫자키에 や(ya), ゆ(yu), よ(yo), 9번 숫자키에 ら(ra), り(ri), る(ru), れ(re), ろ(ro), 및 0번 숫자키에 わ(wa), ん(n), -(장음), を(o) 이 각각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When entering Japanese characters, あ (a), い (i), う (u), え (e), お (o) for number 1 key, か (ka), KI (ki), く(ku), け (ke), こ (ko), さ (sa), し (shi), す (su), せ (se), そ (so), number 4 た(ta), ち (chi), つ (tau), て (te), と (to), な (na), に (ni), ぬ (nu), ね (ne), の(no), number 6 key は (ha), ひ (hi), ふ (fu), へ (he), ほ (ho), number 7 key ま (ma), み (mi), む(mu), め (me), も (mo), YA (ya), ゆ (yu), よ (yo), number 8 ら (ra), り (ri), る(ru), レ (re), ロ (ro),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WA (wa), ん (n),-(long sound), を (o) are assigned to the number keys 0, respectively. Character input device. 제 10 또는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put unit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방향키의 조작으로 표시된 문자에 대해 "*" 좌측기능키의 조작에 따라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상호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signals between Hiraka and Katakan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ft function key "*" for the character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s. . 제 10 항 또는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put unit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방향키의 조작으로 표시된 문자에 대해 "#"우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탁음과 반탁음으로의 변환신호를 발생하되, "#"우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른 시간지연발생 시 한자변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When inputting Japanese character, the converted signal to the sound of the sound and the sound of the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 right function key for the character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number key.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time delay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input unit 한자변환신호 발생 후 "#" 기능키의 추가 조작으로 해당 한자열의 표시를 출력부에 대응하여 화면단위로 표시되는 화면전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Characterized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screen switching signal to display the display of the Chines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output unit by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 function key after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gener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put unit 일어문자 입력시 상기 키패드내에 단독으로 형성된 상하좌우의 방향키와, 추가형성된 추가키에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의 a 계열, "い,き, し, ち, に, ひ, み, り, ん "의 i 계열,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u 계열,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 "의 e 계열 및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의 o 계열의 문자를 각 계열별로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 추가키의 조작에 따라 문자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When inputting Japanese characters,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formed in the keypad alone, and additionally formed additional keys include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a series, "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ん "i series,"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u series," え, け, せ, て,ね, へ, め, れ,-"e series" and "O,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O series of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series and the arrow keys,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key.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signal by manipulation of a numeric key in which at least one character is assigned to a numeric key of 0 to 9 on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torage unit in which data for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input unit is stored; Charact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character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read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display on the output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In the input method, 영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문자열표시단계;A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of reading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a numeric key from a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string on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numeric key when an English character is input;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의 입력에 따라 발생된 문자선택신호를 인가받아 저장부에 해당 문자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문자선택단계;A character selection step of receiving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a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haracter string, reading out the character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on the output unit; 상기 문자선택 후 해당 문자열을 그대로 유지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문자열 유지신호를 발생하는 문자열유지단계; 및A character string holding step of generating a character string holding signal displayed on an output unit by maintaining the character string as it is after selecting the character; And 상기 문자열내의 문자입력의 완료에 따라 상기 숫자키 이외의 다른 숫자키의입력을 확인하여 기존의 문자열대신에 상기 다른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로 대체시킨 후 상기 문자열 표시단계로 진행하거나 문자입력의 종료를 확인하는 초기화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Upon completion of the character input in the character string, the input of a numeric key other than the numeric key is checked and replaced with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the other numeric key instead of the existing character string, and then proceeds to the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or the end of character input.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ceeding the initialization step to confirm.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선택단계는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haracter selection step is 상기 방향키의 조작 후 "*"좌측기능키의 추가조작에 따라 선택된 해당문자의 대소문자를 선택적으로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Character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vely reading the case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elected according to the additional operation of the "*" left function key after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to display on the output unit Way.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숫자키의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할당된 문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signal by manipulation of a numeric key in which at least one character is assigned to a numeric key of 0 to 9 on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torage unit in which data for the character assigned to the input unit is stored; Charact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character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read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display on the output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In the input method, 일어문자입력시 해당 숫자키의 조작에 따른 문자입력신호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을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문자열표시단계;A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of reading a character string assigned to a numeric key from a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string on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 character input signal according to a manipulation of a corresponding numeric key during Japanese character input; 상기 표시된 문자열에 대응된 방향키 또는 상기 문자열표시단계에서 입력된동일 숫자키의 입력으로 해당문자 입력신호를 발생하거나 다른 숫자키의 입력시 기존의 문자열을 삭제하고나서 상기 문자열표시단계의 해당 숫자키에 할당된 문자열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방향키 입력에 따다 시간지연발생 시 해당 문자를 촉음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문자선택,초기화단계;After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the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character string or the same numeric key input in the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or when the other character key is input, the existing character string is deleted and then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in the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is deleted. A character selection and initialization step of displaying an assigned character string and proceeding to convert the character into a tactile sound when a time delay occurs according to the direction key input; 상기 해당 문자의 표시 이후에 선택적인 "*"좌측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한 히라카나와 가타카나의 상호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좌측기능키적용단계; 및A left function key applying step of generating a mutual conversion signal between hiracana and katakana for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input of an optional "*" left function key after the display of the character; And 상기 해당 문자의 표시 이후에 선택적인 "#"우측기능키의 입력에 의한 시간지연 여부에 따라 한자변환신호 및 탁음,반탁음의 변환신호를 발생하는 우측기능키적용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After the display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according to the time delay by the input of the optional "#" right function key, the right function key applying step of generating the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signal and the conversion signal of the sound tone and the halftone 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proceeds.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21 항에 있어서, 우측기능키적용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right function key applying step is "#"우측기능키의 입력에 의한 시간지연에 대해 해당 한자열을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한자열표시단계; 및A Chinese character string display step of reading a Chinese character string from a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Chinese character string in response to a time delay caused by the input of the right function key; And 해당 한자열에 대응된 숫자키의 입력에 의해 해당 한자를 저장부에서 독출하여 출력부에 표시하는 한자표시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Character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ceeds to the Chinese character display step of reading the Chinese character from the storage by the input of the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hinese character string to display on the output. 상기 22 항에 있어서,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상기 한자열표시단계를 진행한 다음, 상기 한자열에 대해 출력부의 화면상에 전체표시가능 여부에 따라 "#"우측기능키의 입력으로 화면단위로 해당 문자열의 페이지전환신호를 발생하는 페이지전환단계를 진행한 다음 상기 한자표시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After the kanji string display step, the page switching step of generating a page chang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trings on a screen basis by inputting the "#" right function key according to whether the kanji string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output unit.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ceeding with the display of the Chinese character.
KR10-2002-0027932A 2002-05-20 2002-05-20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KR100431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32A KR100431947B1 (en) 2002-05-20 2002-05-20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32A KR100431947B1 (en) 2002-05-20 2002-05-20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91A true KR20030089991A (en) 2003-11-28
KR100431947B1 KR100431947B1 (en) 2004-05-17

Family

ID=323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932A KR100431947B1 (en) 2002-05-20 2002-05-20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94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61B1 (en) * 2004-08-26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navigator key
WO2007105850A1 (en) * 2006-03-15 2007-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entry in a portable terminal
KR20210020980A (en) * 2015-07-13 2021-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Keyword Using Keyp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30B1 (en) 2016-03-14 2016-07-28 박진옥 Apparatus for salvage submerged shi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61B1 (en) * 2004-08-26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navigator key
WO2007105850A1 (en) * 2006-03-15 2007-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entry in a portable terminal
US7598890B2 (en) 2006-03-15 2009-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entry in a portable terminal
KR20210020980A (en) * 2015-07-13 2021-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Keyword Using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1947B1 (en)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47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2251253A (en) Input part of mobile terminal
KR100431947B1 (en)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KR100418066B1 (en)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683338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20080024571A (en) The method of inputting arabic & persian letters with the keypad of mobi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KR100415728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pecific key-buttons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100679421B1 (en) Keypad for inputting Hangu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37186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KR20020087632A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09204A (en) The character code generator for mobile phone
KR19980013987A (en) How to input Hangul signal using Tenki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100748250B1 (en) Letter arrangement structure and letter input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9227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for a Product containing 3×4 Keypad
KR100539281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020022384A (en) Keypad of a telephone terminal
KR200407401Y1 (en) Hangeul input equipment
KR20030080315A (en) Divice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as the same
KR100412571B1 (en)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to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0313360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KR20030094811A (en) Multi language input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