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924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at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924A
KR20030072924A KR1020020012216A KR20020012216A KR20030072924A KR 20030072924 A KR20030072924 A KR 20030072924A KR 1020020012216 A KR1020020012216 A KR 1020020012216A KR 20020012216 A KR20020012216 A KR 20020012216A KR 20030072924 A KR20030072924 A KR 20030072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ransmission
data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흥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2924A/en
Publication of KR2003007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924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PURPOSE: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transmit/receive data even though there is a transmission error in one of a transmission signal line and a receiving signal line. CONSTITUTION: The first transmission part(560)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line(570) and transmits downward data.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line and transmits upward data. A line selection part(540) selects at least more than one combined usage line capable of transmission and receiving among the firs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line. And a time division control part(550) divides a transmission time and a receiving time as to the combined usage line.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ata}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적으로 송신, 수신 및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전송선로를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control the transmission line to selectively transmit, receive and transmit and receive.

데이터 전송에서는 시간이나 공간을 분할하는 기술이 사용된다. 시간을 분할하는 기술인 시분할은 개별적인 정보의 비트들을 차례대로 즉, 직렬로 보낸다. 이에 반해, 공간분할은 여러개의 회선을 통해 비트를 병렬로 보낸다. 컴퓨터 하드웨어나 데이터 전송 측면에서 직렬접속은 단순하고 느린 전송을 말하는 반면, 병렬접속은 빠른 전송을 말한다. 그러나 직렬전송을 하는 매체 중 하나인 광케이블은 동시에 여러개의 신호를 병렬로 보내는 매체보다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를 직렬로 전송하는 전송선에는 RS232C, RS422, RS485 등이 있다. 이를 이용한 직렬 통신은 구현하기 쉬우며, 병렬 통신에 비해 적은 거리제한을 받으며, 구현 비용이 저렴하다.In data transmission, a technique of dividing time or space is used. Time division, a technique of time division, sends bits of individual information in sequence, ie, serially. In contrast, spatial partitioning sends bits in parallel across multiple lines. In terms of computer hardware and data transfer, serial connections are simple and slow, while parallel connections are fast. However, one of the serial transmission media, optical cable, transmits data much faster than the media that send multiple signals in parallel. Transmission lines for transmitting data serially include RS232C, RS422, and RS485. Serial communication using this is easy to implement, has a small distance limit, and lowers the implementation cost compared to parallel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 200'), 제1 및 제2전송 시리얼 버스(110, 120) 및 클럭 신호선(130)을 갖는다. 제1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외부의 데이터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접속선로(200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제1 및 제2전송 시리얼 버스(110, 120)는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 200')를 연결한다. 제1전송 시리얼 버스(110)는 외부접속선로(200a)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로 보낸다.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외부접속선로(200'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제2전송 시리얼 버스(120)는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제1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로 보낸다. 즉, 제1 및 제2전송 시리얼 버스(110, 120)는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 20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클럭 신호선(130)은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 200')간의 제1 및 제2전송 시리얼 버스(110, 120)의 동기를 맞추어준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100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200 and 200 ′,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es 110 and 120, and the clock signal line 130. Have The first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2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line 200a connected to an external data device.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es 110 and 120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200 and 200 ′. The first transmission serial bus 110 transmits data input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line 200a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200 ′.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200 ′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the external connection line 200 ′ a. The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 120 transmits data output from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200 ′ to the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20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es 110 and 120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200 and 200 ′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clock signal line 130 synchronizes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es 110 and 12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ceivers 200 and 200 ′.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제1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제1변환부(220), 신호 송신부(230), 신호 수신부(240) 및 제2변환부(250)를 갖는다. 종래의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 20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도 2는 제1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ventional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200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210, a first converter 220, a signal transmitter 230, a signal receiver 240, and a second converter 250. Has Conventional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200 and 200 ′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FIG. 2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irs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200 as an example.

제1데이터 송수신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데이터 장치와 연결된 외부접속선로(200a)와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데이터 장치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를 사용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사용자 데이터(user_data)는 병렬데이터로 출력된다. 제1변환부(220)는 신호 변환된 사용자 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환부(220)는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단에는 프레임 시작 정보(frame_start), 사용자 데이터의 후단에는 프레임 끝 정보(frame_end)를 추가하여 시리얼 데이터 프레임(data_frame)을 생성한다. 생성된 시리얼 데이터 프레임은 신호 송신부(230)로 전송된다.The interface unit 210 of the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line 200a connected to an external data device. The interface unit 210 converts user data input from an external data device into usable signals and outputs them. User data (user_data) is output as parallel data. The first converter 220 converts the signal-converted user data into serial data.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irst conversion unit 220 adds frame start information (frame_start) to the front of the input user data and frame end information (frame_end) to the rear of the user data, thereby adding a serial data frame (data_frame). Create The generated serial data frame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transmitter 230.

신호 송신부(230)는 직렬데이터로 변환된 시리얼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될 수 있는 시리얼 데이터 신호(data_signal)로 변환하여 제1전송 시리얼 버스(110)로 출력한다. 시리얼 데이터 신호는 제1전송 시리얼 버스(110)를 통해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로 송신된다.The signal transmitter 230 converts the serial data frame converted into serial data into a serial data signal data_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and outputs the serial data frame to the first transmission serial bus 110. The serial dat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200 ′ via the first transmission serial bus 110.

한편, 제2전송 시리얼 버스(120)는 제2 데이터 송수신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시리얼 데이터 신호를 신호 수신부(240)로 보내준다. 곧, 제1및 제2전송 시리얼 버스(110, 120)는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 200')간의 데이터를 송신및 수신해 주는 이동경로이다.Meanwhile, the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 120 transmits the serial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200 ′ to the signal receiver 240.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es 110 and 120 are movement path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200 and 200 '.

신호 수신부(240)는 수신된 시리얼 데이터 신호를 시리얼 데이터 프레임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변환된 시리얼 데이터 프레임은 직렬데이터이다. 제2변환부(250)는 수신된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한다. 제2변환부(250)는 직렬 데이터 형태인 시리얼 데이터 프레임에서 프레임 시작 정보 및 프레임 끝 정보를 제거한다. 즉, 제2변환부(250)는 사용자 데이터만 추출하여 인터페이스부(210)로 보내진다. 인터페이스부(210)는 병렬데이터 형태인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접속선로(200a)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The signal receiver 240 converts the received serial data signal into a serial data frame and outputs the serial data frame. The converted serial data frame is serial data. The second converter 250 converts the received serial data into parallel data. The second converter 250 removes the frame start information and the frame end information from the serial data frame in the form of serial data. That is, the second converter 250 extracts only user data and sends the extracted user data to the interface unit 210. The interface unit 210 transmits the user data in the form of parallel data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line 200a.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시리얼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 있어서, 양방향통신이 불가능하다. 이는 시리얼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선과 시리얼 데이터를 수신하는 신호선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송신데이터에 비해 수신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많아도 송신신호선은 데이터를 송신만 할 뿐 수신하지는 않는다. 또한 송신 신호선 또는 수신 신호선 중 어느 하나의 신호선에 오류가 발생하면 시리얼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데이터의 효율적인 전송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transmits serial data signals, and thu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impossible. This means that the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the serial data signal and the signal line for receiving the serial dat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even if the received data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transmitted data, the transmission signal line only transmits data but does not receive it. In addition, if an error occurs in any one of the transmission signal line and the reception signal line,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serial data becomes impossibl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t transmission of data i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 개의 송신신호선 및 수신신호선 중 어느 하나의 신호선에 전송장애가 발생하여도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even if a transmission failure occurs in any one of the two transmission signal line and the receiving signal line It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송신신호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량 및 수신신호선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량에 따라 적응적으로 두 신호선이 각각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allowing two signal lines to respectively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signal line and the amount of data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signal line. To provide.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도 2는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도 3은 종래의 시리얼 데이터 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3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serial data fram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dat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데이터 통신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first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의 시분할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ime division controller of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프레임시작정보가 추가된 하향데이터프레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downlink data frame to which uplink start information is ad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데이터 통신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seco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0, 800 : 제1데이터 통신 장치 520, 820 : 제1데이터변환부500, 800: First data communication device 520, 820: First data conversion unit

530, 830 : 제2데이터변환부540, 840 : 선로선택부530, 830: second data conversion unit 540, 840: line selection unit

550, 850 : 시분할제어부560, 860 : 제1전송부550, 850: time division controller 560, 860: first transmitter

570, 870 : 제2전송부880 : 전송제어정보생성부570, 870: second transmission unit 880: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890 : 전송제어부900 : 제2데이터 통신 장치890: transmission control unit 900: second data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는, 제1전송선로와 연결되며 하향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전송부; 제2전송선로와 연결되며 상향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전송부;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 중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선로선택부; 및 상기 겸용선로에 대해 송신시간 및 수신시간을 분할하는 시분할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mission line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downlink data; A second transmitter connected to a second transmission line and receiving uplink data; A lin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lines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 time division controller for dividing a transmission time and a reception time with respect to the combined lin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로 선택부는 상기 하향데이터 및 상기 상향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상기 겸용선로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선로 선택부는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의 오류 유무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선로를 상기 겸용선로로 선택한다. 상기 시분할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전송제어정보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전송제어정보를 상기 하향데이터에 추가하는 정보 추가부;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line selection unit selects the combined line by comparing data amounts of the downlink data and the uplink data. The line selector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have an error and select a line where no error occurs as the combined line.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And an information adding unit for adding the generated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o the downlink data.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는,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전송제어정보 생성부; 및 별도로 구비된 전송제어선로를 통해 상기 전송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제어부;를 더 포함한다.Furthermore, th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transmission control line provided separate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는, 제1전송선로와 연결되며 하향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전송부; 제2전송선로와 연결되며 상향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전송부; 및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상향데이터의 송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시분할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mission lin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line for receiving downlink data; A second transmitter connected to a second transmission line and transmitting uplink data; And a time divisio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selected transmission li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and a transmission time of the uplink data. Inclu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제어정보는 수신되는 상기 하향데이터에 추가된다. 또한, 별도로 구비된 전송제어선로를 통해 상기 전송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전송제어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s added to the received downlink data.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transmission control lin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제1 및 제2전송선로 중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선로선택단계;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해 송신시간 및 수신시간을 분할하는 시분할제어단계; 및 상기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에 의해 하향데이터를 송신하는 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ne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bined line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 A time division control step of dividing a transmission time and a reception time for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downlink data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로선택단계는 상기 하향데이터 및 상향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상기 겸용선로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선로선택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의 오류 유무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선로를 상기 겸용선로로 선택한다.More specifically, the line selection step selects the combined line by comparing the data amounts of the downlink data and the uplink data. In addition, in the line selection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rror exists in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and selects a line in which no error occurs as the combined line.

상기 시분할제어단계는,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단계; 및 생성된 상기전송제어정보를 상기 하향데이터에 추가하는 정보추가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단계; 및 별도로 구비된 전송제어선로를 통해 상기 전송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time division control step may include: a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And an information adding step of adding the generated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o the downlink data. In addition, 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formation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And an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transmission control line.

바람직하게는, 상기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분할된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 및 상기 상향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겸용선로에 대해 상기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분할하는 제2시분할제어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line, the reception time of the divided uplink data and the uplink data; And a second time division control step of dividing a reception time of the uplink data with respect to the combined line.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송신, 수신 및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전송선로를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ransmit data b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line to selectively transmit, receive, and transmit and receiv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데이터 통신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dat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9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400)은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500, 900), 제1 및 제2전송 시리얼 버스(410, 420) 및 클럭 신호선(430)을 갖는다. 제1데이터 송수신 장치(500)는 외부의 데이터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접속선로(500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제1 및 제2전송 시리얼 버스(410, 420)는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200, 900)를 연결한다. 제1전송 시리얼 버스(410)는 외부접속선로(500a)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900)로 보낸다.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900)는 외부접속선로(900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제2전송 시리얼 버스(420)는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9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제1데이터 송수신 장치(500)로 보낸다. 즉, 제1 및 제2전송 시리얼 버스(410, 420)는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500, 90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클럭 신호선(430)은 제1 및 제2데이터 송수신 장치(500, 900)간의 제1 및 제2전송 시리얼 버스(410, 420)의 동기를 맞추어준다.Referring to FIG. 4, the data communication system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500 and 900,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es 410 and 420, and a clock signal line 430. Has The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5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line 500a connected to an external data device.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es 410 and 420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200 and 900. The first transmission serial bus 410 transmits data input through the external access line 500a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900.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9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the external connection line 900a. The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 420 transmits data output from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900 to the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50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es 410 and 420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500 and 9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clock signal line 430 synchronizes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serial buses 410 and 42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500 and 900.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데이터 통신 장치(500)는 인터페이스(510), 제1데이터변환부(520), 제2데이터변환부(530), 선로선택부(540), 시분할제어부(550), 제1전송부(560) 및 제2전송부(570)를 갖는다. 이하에서, 제1데이터 통신 장치는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500), 그리고,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500)에서 외부로 보내는 데이터는 하향데이터(down_data), 외부에서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500)로 들어오는 데이터는 상향데이터(up_data)라 칭한다. 도 5에서 제1 및 제2전송선로(562, 572)는 점선으로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devic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510, a first data converter 520, a second data converter 530, a line selector 540, and time division. The controller 550 includes a first transmitter 560 and a second transmitter 570. Hereinafter,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500, and data trans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500 may be down_data and data coming into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500 from the outside. Is called up_data.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562 and 572 are shown by dotted lines.

인터페이스(510)는 외부 데이터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접속선로(500a)와 연결된다. 인터페이스(510)는 외부 데이터 장치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user_data) 즉, 하향데이터를 사용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하향데이터는 병렬데이터로 출력된다.The interface 5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line 500a tha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ata device. The interface 510 converts user data (user_data) input from an external data device, that is, downlink data, into usable signals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s. The downlink data is output as parallel data.

제1데이터변환부(520)는 신호 변환된 하향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 및 임시저장한다. 또한, 제1데이터변환부(5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데이터의 전단에는 하향프레임시작정보(down_frame_start), 하향데이터의 후단에는 하향프레임끝정보(down_frame_end)를 추가하여 하향데이터프레임(down_data_frame)을 생성한다. 생성된 하향데이터프레임은 시분할 제어부(550)로 전송된다.The first data converter 520 converts the signal-converted downlink data into serial data and temporarily stores the converted data.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the first data converter 520 adds downlink frame start information (down_frame_start) to the front of the downlink data and downframe frame information (down_frame_end) to the rear end of the downlink data. Create (down_data_frame). The generated downlink data frame is transmitted to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550.

제2데이터변환부(530)는 병렬로 입력되는 상향데이터프레임(up_data_frame)d의 상향프레임시작정보(up_frame_start) 및 상향프레임끝정보(up_frame_end)를 제거하여 상향데이터를 생성한다. 상향데이터는 제2데이터변환부(530)에서 직렬로 변환 및/또는 임시저장된다.The second data converter 530 generates uplink data by removing upframe start information (up_frame_start) and upframe end information (up_frame_end) of uplink data frames (up_data_frame) d input in parallel. Uplink data is serially converted and / or temporarily stored in the second data converter 530.

선로선택부(540)는 제1 및 제2전송부(560, 570)에 연결된 각각의 제1 및 제2전송선로(562, 572) 중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한다. 이 때 선로선택부(550)는 하향데이터프레임 및 상향데이터프레임의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겸용선로를 선택한다. 마스테 데이터 통신 장치(500)에서 제1전송부(560) 및 제1전송선로(562)는 하향데이터프레임의 송신을 위해 구비된 장치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하향데이터에 비해 상향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선로선택부(540)는 제1전송선로(562)를 겸용선로로 선택하여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line selector 540 selects at least one combined li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562 and 572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ers 560 and 570. At this time, the line selector 550 selects the combined line by comparing the data amounts of the downlink data frame and the uplink data frame. In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500, the first transmitter 560 and the first transmission line 562 are devices provided for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frames. However,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uplink data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ownlink data, the line selector 540 selects the first transmission line 562 as a combined line to receive the uplink data frame.

또한, 선로선택부(540)는 제1 및 제2전송선로(562, 572)의 오류 유무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선로를 겸용선로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500)에서 하향데이터프레임의 송신을 위해 구비된 제1전송선로(562)에 이상이 생기면 선로선택부(540)는 제2전송선로(572)를 겸용선로로 선택하여 하향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ine selector 54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562 and 572 have errors and selects a line having no error as a combined line. For exampl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first transmission line 562 provided for transmission of a downlink data frame in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500, the line selector 540 converts the second transmission line 572 into a combined line. Select to enable the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시분할 제어부(550)는 선택된 겸용선로에 대해 하향데이터의 송신시간 및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분할한다.The time division controller 550 divides the downlink data transmission time and the uplink data reception time for the selected combined line.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500)의 일 실시예로, 시분할 제어부(550)는 도 6에서와 같이 전송제어정보 생성부(552) 및 정보추가부(554)를 갖는다. 전송제어정보 생성부(552)는 선택된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5,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550 has a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52 and an information adding unit 554 as shown in FIG. 6.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52 generates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divided uplink data.

정보추가부(554)는 전송제어정보 생성부(552)에서 생성된 전송제어정보를 하향데이터프레임의 하향프레임시작정보에 추가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데이터프레임이 추가된 하향데이터프레임을 생성한다. 외부 데이터 통신 장치는 상향데이터프레임의 크기 정보가 들어있는 하향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한다. 그러면 외부 데이터 통신 장치는 겸용선로를 통해 하향프레임시작정보에 있는 상향데이터의 허용 크기정보에 따라 상향데이터프레임을 만들어 전송한다.The information adding unit 554 adds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52 to the downlink frame start information of the downlink data frame. That is, as shown in FIG. 7, a downlink data frame to which an uplink data frame is added is generated. The external data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the downlink data frame containing the size information of the uplink data frame. Then, the external data communication device creates and transmits an uplink data frame according to the allowable size information of uplink data in the downlink frame start information through the combined line.

제1전송부(560)는 제1전송선로(562)와 연결되며 하향데이터프레임을 송신한다. 제2전송부(570)는 제2전송선로(572)와 연결되며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한다. 그러나, 선로선택부(540)에서 선택된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수신시간의 시분할 정보에 의해 제1 및 제2전송부(560, 570)는 선택적으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전송선로(562, 572)는 시리얼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ransmitter 560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line 562 and transmits a downlink data frame. The second transmitter 57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line 572 and receives an uplink data frame.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ers 560 and 570 may selectively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line selected by the line selector 540 and the time division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ime.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562 and 572 preferably use serial data buses.

또한,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800)는 도 8과 같이 전송제어정보 생성부(880) 및 전송제어부(890)를 더 갖는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of FIG. 5,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800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880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890 as shown in FIG. 8.

도 8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810), 제1 및 제2데이터변환부(820, 830), 선로선택부(840), 제1전송부(860) 및 제2전송부(870)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인터페이스(510), 제1 및 제2데이터변환부(520, 530), 선로선택부(540), 제1전송부(560) 및 제2전송부(570)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 제1 및 제2전송선로(862, 872), 전송제어선로(892)는 점선으로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8, the interface 810, the first and second data converters 820 and 830, the line selector 840, the first transmitter 860, and the second transmitter 870 are illustrated in FIG. 5A.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interface 510, the first and second data converters 520 and 530, the line selector 540, the first transmitter 560 and the second transmitter 57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Since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FIG. 8,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862 and 872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line 892 are illustrated by dotted lines.

전송제어정보 생성부(880)는 선로선택부(840)로부터 선택된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시분할 제어부(850)로부터 분할된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식별정보 및 분할된 수신시간의 정보로부터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제어전송부(890)는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800)에 구비된 전송제어선로(892)를 통해 전송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즉, 제1데이터변환부(820)에서 생성된 하향데이터프레임은 시분할 제어부(850)를 거쳐 제1전송부(860)로 출력되며,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시분할정보는 별도의 전송제어선로(892)를 통해 외부 데이터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or 88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line selected from the line selector 840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uplink data divided from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850. Then,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information. The control transmission unit 890 transmits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transmission control line 892 provided in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800. That is, the downlink data frame generated by the first data converter 820 is output to the first transmitter 860 via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85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divis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line are separate transmission control lines ( 892 to an external data communication devic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데이터 통신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seco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데이터 통신 장치(900)는 제1전송부(910), 제2전송부(920), 시분할 제어부(930), 제1데이터변환부(940), 제2데이터변환부(950) 및 인터페이스(960)를 갖는다. 이하에서 제2데이터 통신 장치는 슬레이브 데이터 통신 장치(900),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하향데이터, 외부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향데이터라 칭한다. 도 9에서 제1 및 제2전송선로(912, 922), 전송제어선로(972)는 점선으로 도시된다.9,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mitter 910, a second transmitter 920, a time division controller 930, a first data converter 940, The second data converter 950 and the interface 960 are provided. Hereinafter,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device is referred to as a slave data communication device 900,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is downlink data, and data transmitted to the outside is uplink data. In FIG. 9,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912 and 922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line 972 are shown by dotted lines.

제1전송부(910)는 제1전송선로(912)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송신된 하향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한다. 제2전송부(920)는 제2전송선로(922)와 연결되며 상향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한다. 제1데이터변환부(940)는 수신된 하향데이터프레임의 하향프레임시작정보 및 하향프레임끝정보를 제거하여 하향데이터만을 추출한다. 그리고 병렬형태인 하향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 및 임시저장한 후 인터페이스(960)로 출력한다.The first transmitter 910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line 912 and receives the downlink data fram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second transmitter 9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line 922 and transmits uplink data to the outside. The first data converter 940 extracts only downlink data by removing downlink start information and downframe end information of the received downlink data frame. The downlink data in parallel form is converted to serial data and temporarily stored, and then output to the interface 960.

제2데이터변환부(950)는 인터페이스(96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 즉, 상향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 및 임시저장한다. 또한, 제2데이터변환부(950)는 상향데이터의 전단에는 상향프레임시작정보, 상향데이터의 후단에는 상향프레임끝정보를 추가하여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생성한다. 생성된 상향데이터프레임은 시분할 제어부(930)로 전송된다.The second data converter 950 converts and temporarily stores user data, that is, upstream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face 960 to parallel data. In addition, the second data converter 950 generates an uplink data frame by adding uplink start information to the front of the uplink data and uplink end information to the rear end of the uplink data. The generated uplink data frame is transmitted to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930.

시분할 제어부(930)는 하향데이터프레임에 부가되어 수신된 전송제어정보에 따라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수신된 전송제어정보는 제1 및 제2전송선로(912, 922) 중 송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하향프레임시작정보에 있는 상향데이터 허용크기정보를 갖는다. 시분할 제어부(930)는 상향데이터 허용크기정보에 따라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The time division controller 930 controls the uplink data frame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added to the downlink data frame. The received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ual-communication line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912 and 922 and uplink data size information in downlink frame start information.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930 controls to transmit the uplink data frame according to the uplink data allowance size information.

상술한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로, 전송제어부는 하향데이터프레임에 부가되어 전송되지 않고 별도의 선로로 전송가능하다. 이는 슬레이브 데이터 통신 장치(900)에 별도로 구비되는 전송제어부(970)에 의해 전송된다. 전송제어부(970)는 구비된 전송제어선로(972)를 통해 전송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시분할 제어부(930)는 수신된 전송제어정보에 의해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전송제어정보에는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분할된 하향데이터프레임의 수신시간정보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be transmitted on a separate line without being added to the downlink data frame and transmitted. This is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970 provided in the slave data communication device 900 separatel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970 receives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control line 972 provided.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930 controls to transmit the uplink data frame based on the received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combined li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reception time information of divided downlink data frames.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500)는 제1 및 제2전송선로(562, 572) 중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를 하나 이상 선택한다(S1010). 선로선택부(540)는 하향데이터프레임 및 상향데이터프레임의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1전송선로(562)는 하향데이터프레임의 송신을 위한 선로이지만, 상향데이터의 양이 하향데이터에 비해 많은 경우 선로선택부(540)는 제1전송선로(562)를 통해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로선택부(540)는 제1 및 제2전송선로(562, 572)의 오류 유무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선로를 겸용선로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하향데이터프레임의 송신을 위한 제1전송선로(562)에 이상이 생기면, 선로선택부(540)는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전송선로(572)를 선택하여 하향데이터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5 and 10, in 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500 selects one or more combined lin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562 and 572. (S1010). The line selector 540 selects a combined li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by comparing the data amounts of the downlink data frame and the uplink data frame. For example, the first transmission line 562 is a line for transmitting a downlink data frame, but when the amount of uplink data is larger than the downlink data, the line selector 540 moves upward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line 562. Receive data frames. In addition, the line selector 54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562 and 572 have errors and selects a line in which no error occurs as a combined line. For exampl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first transmission line 562 for transmitting the downlink data frame, the line selector 540 selects the second transmission line 572 for receiving the uplink data frame to select the downlink data frame. Enable transmission.

겸용선로가 선택되면, 겸용선로에 대해 하향데이터프레임의 송신시간 및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분할한다(S1020). 그리고,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한다(S1030). 생성된 전송제어정보는 하향데이터에 추가되어(S1040) 겸용선로를 통해 송신된다(S1050). 하향데이터에 추가된 제어정보신호를 참고로 하여 외부의 데이터 통신 장치는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송신한다. 즉,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500)는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한다(S1060). 그러면, 시분할 제어부(550)는 겸용선로에 대해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분할한다(S1070).When the combined line is selected,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downlink data frame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uplink data are divided for the combined line (S1020). In operation S1030,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combined line and a reception time of the divided uplink data is generated. The generated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s added to the downlink data (S104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mbined line (S1050). With reference to the control information signal added to the downlink data, the external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line and the uplink data frame. That is,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5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plink data frame of the combined line (S1060). Then,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550 divides the reception time of the uplink data for the combined line (S107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S1110 내지 S1130 단계는 도 10에 의한 S1010 내지 S1030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800)는 제1 및 제2전송선로(862, 872) 중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를 하나 이상 선택한다(S1110). 선로선택부(840)는 하향데이터프레임 및 상향데이터프레임의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를 선택한다. 또한, 선로선택부(840)는 제1 및 제2전송선로(862, 872)의 오류 유무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선로를 겸용선로로 선택한다. 겸용선로가 선택되면, 겸용선로에 대해 하향데이터의 송신시간 및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분할한다(S1120). 그리고,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한다(S1130).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11, in 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teps S1110 to S1130 are the same as steps S1010 to S1030 shown in FIG. 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800 selects one or more combined lin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862 and 872 (S1110). The line selector 840 selects a combined li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by comparing the data amounts of the downlink data frame and the uplink data frame. In addition, the line selector 84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862 and 872 have an error, and selects a line having no error as a combined line. When the combined line is selected,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downlink data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uplink data are divided for the combined line (S1120). In operation S1130,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combined line and a reception time of the divided uplink data is generated.

전송제어정보가 생성되면 하향데이터는 겸용선로를 통해 송신되며, 전송제어정보는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800)에 구비된 전송제어선로(892)를 통해 외부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S1140). 전송된 제어정보신호를 참고로 하여 외부 데이터 통신 장치는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송신한다. 즉, 마스터 데이터 통신 장치(800)는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상향데이터프레임을 수신한다(S1050). 그러면, 시분할 제어부(850)는 겸용선로에 대해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분할하여(S1160) 새로운 하향데이터를 전송한다.When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downlink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bined line,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transmission control line 892 provided in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800 (S1140).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control information signal, the external data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plink data frame of the combined line. That is, the master data communication device 8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plink data frame of the combined line (S1050). Then, the time division controller 850 divides the reception time of the uplink data for the combined line (S1160) and transmits new downlink data.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의 송신신호선 및 수신신호선 중 어느 하나의 신호선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정상동작을 수행하는 신호선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선으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신호선에 이상이 생겨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전히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신신호선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량과 수신신호선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어느 한 쪽의 데이터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데이터전송량이 적은 신호선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가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또는 수신등의 한방향 데이터 전송만 가능한 신호선을 양방향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신호선으로 시리얼 신호선을 이용함으로써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rror occurs in any one of the transmission signal line and the reception signal line of the data,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detected signal line by detecting the signal line performing normal operation. Do it. As a result, an abnormality occurs in one signal lin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completely. In addition, when either data amount is relatively large by comparing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signal line and the amount of data received through the reception signal lin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data is transmitted using a signal line having a small data transmission amount. Can be. Therefore, the data line capable of only one-way data transmission, such as transmission or reception, enable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reby enabling efficient data transmission. In addition, the data transmission time can be reduced. In addition, data can be transmitted at high speed by using serial signal lines a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lines.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우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14)

제1전송선로와 연결되며 하향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전송부;A first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line and transmitting downlink data; 제2전송선로와 연결되며 상향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전송부;A second transmitter connected to a second transmission line and receiving uplink data;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 중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선로선택부; 및A lin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lines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상기 겸용선로에 대해 송신시간 및 수신시간을 분할하는 시분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And a time division controller for dividing a transmission time and a reception time with respect to the combined li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로 선택부는 상기 하향데이터 및 상기 상향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상기 겸용선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And the line selection unit selects the combined line by comparing data amounts of the downlink data and the uplink dat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로 선택부는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의 오류 유무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선로를 상기 겸용선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And wherein the line sel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have an error and selects a line in which no error occurs as the combined li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분할 제어부는,The time division controller,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전송제어정보 생성부; 및A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And 생성된 상기 전송제어정보를 상기 하향데이터에 추가하는 정보 추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And an information adding unit for adding the generated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o the downlink dat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전송제어정보 생성부; 및A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And 별도로 구비된 전송제어선로를 통해 상기 전송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transmission control line provided separately. 제1전송선로와 연결되며 하향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전송부;A first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line and receiving downlink data; 제2전송선로와 연결되며 상향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전송부; 및A second transmitter connected to a second transmission line and transmitting uplink data; And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상향데이터의 송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시분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A time divisio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mission of the uplink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elected transmission li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and a transmission time of the uplink data; And a data communication devic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전송제어정보는 수신되는 상기 하향데이터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And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s added to the received downlink data.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별도로 구비된 전송제어선로를 통해 상기 전송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전송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장치.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transmission control line. 제1 및 제2전송선로 중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겸용선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는 선로선택단계;A line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t least one combined li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mong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s;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해 송신시간 및 수신시간을 분할하는 시분할제어단계; 및A time division control step of dividing a transmission time and a reception time for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상기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에 의해 하향데이터를 송신하는 정보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downlink data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선로선택단계는 상기 하향데이터 및 상향데이터의 데이터량을 비교하여상기 겸용선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In the line selection step, the combined line is selected by comparing data amounts of the downlink data and the uplink data.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선로선택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전송선로의 오류 유무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선로를 상기 겸용선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The line selection step is a data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error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line to select a line that does not occur error as the combined lin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시분할제어단계는,The time division control step,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단계; 및A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And 생성된 상기 전송제어정보를 상기 하향데이터에 추가하는 정보추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And an information adding step of adding the generated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o the downlink data.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선택된 상기 겸용선로에 대한 식별정보 및 분할된 상기 수신시간을 포함하는 전송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단계; 및A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mbined line and the divided reception time; And 별도로 구비된 전송제어선로를 통해 상기 전송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And an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transmission control lin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겸용선로의 식별정보, 분할된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 및 상기 상향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및A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line, the reception time of the divided uplink data and the uplink data; And 상기 겸용선로에 대해 상기 상향데이터의 수신시간을 분할하는 제2시분할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And a second time division control step of dividing a reception time of the uplink data with respect to the combined line.
KR1020020012216A 2002-03-07 2002-03-07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ata KR200300729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16A KR20030072924A (en) 2002-03-07 2002-03-07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16A KR20030072924A (en) 2002-03-07 2002-03-07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924A true KR20030072924A (en) 2003-09-19

Family

ID=3222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216A KR20030072924A (en) 2002-03-07 2002-03-07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924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050A (en) * 1987-03-27 1991-04-09 Teletec Corporation Bidirectional digital serial interface for communication digital signals including digitized audio between microprocessor-based control and transceiver units of two-way radio communications equipment
JPH05244128A (en) * 1992-02-28 1993-09-21 Nippon Motoroola Kk Communication duplex device
US5600634A (en) * 1994-03-17 1997-02-04 Nissan Motor Co., Ltd. Multiplex serial data communication circuit network with superposed clock and data signals
US5819051A (en) * 1995-12-29 1998-10-0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Low speed serial bus protocol and circuit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050A (en) * 1987-03-27 1991-04-09 Teletec Corporation Bidirectional digital serial interface for communication digital signals including digitized audio between microprocessor-based control and transceiver units of two-way radio communications equipment
JPH05244128A (en) * 1992-02-28 1993-09-21 Nippon Motoroola Kk Communication duplex device
US5600634A (en) * 1994-03-17 1997-02-04 Nissan Motor Co., Ltd. Multiplex serial data communication circuit network with superposed clock and data signals
US5819051A (en) * 1995-12-29 1998-10-0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Low speed serial bus protocol and circuit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4294B2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US2008000846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line diagnosis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694572B2 (en) Adaptive bandwidth utilization of telemetry data
GB2240865A (en)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master and slave stations
US10992529B2 (en) In-vehicle ethernet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EP0533167A2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ransmission line switching system
EP1246406B1 (en) Media converter with integrated local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and fault alarm signal transmission system
WO20151338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eedback about channel having spatial correlation
US2008020545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serial data frame
KR200300729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ata
US7551853B2 (en) Data communications apparatus
JP2003204369A (en)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circuit and loop- back test method
JP2006262275A (en) Transceiver,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switching method by por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6304011A (en) Interface circuit
CA2250492A1 (en) Multi-rate transmission system
JP2004094685A (en)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10476632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JP3992775B2 (en) Computer equipment
US11962345B2 (en) Configurable dispersion compensation in a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US20050216619A1 (en) Programmable peripheral switch
KR10056264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f data
JP2655083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KR20160123646A (en) Optical transceiver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omy setting in operation speed
KR20040041783A (en) Loopback tes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3244175A (en) Signal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