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865A - Mobile phone for guarding images, and guar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for guarding images, and guar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865A
KR20030056865A KR1020010087167A KR20010087167A KR20030056865A KR 20030056865 A KR20030056865 A KR 20030056865A KR 1020010087167 A KR1020010087167 A KR 1020010087167A KR 20010087167 A KR20010087167 A KR 20010087167A KR 20030056865 A KR20030056865 A KR 2003005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abnorm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정
하남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6865A/en
Publication of KR2003005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86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video monitoring and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which inform a user of abnormal situations generated in a specific area through a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monitoring the situations generated in the specific area.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00) for monitoring situations in a specific area, a photographing apparatus(111) photographs situations in the specific area. An image extraction unit(112) extracts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 storing unit(113) stores reference image data showing normal situations in the specific area and the digital image data extracted by the image extraction unit and a telephone number of a destination to transmit the digital image data. An image judgement unit(114) judges the abnormal situation in the specific area by comparing the digital image data with the reference image data. And a control unit(116) stores the reference image data in the storing unit, and transmits an abnormal image signal and an alarm signal in the specific area to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storing unit according as abnormal image data is judged by the image judgement unit.

Description

영상 감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방법{Mobile phone for guarding images, and guar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video surveillance and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Mobile phone for guarding images, and guar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감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지역에서 발생되는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에 의해 촬영되는 상황을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기 위한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video surveillance, and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nitoring a situation occurring in a specific region and a situation photographed by the us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A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안경비 시스템은 보안경비 업체에서 유선 전화망을 통해 가입된 고객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대한 보안을 담당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security guard system generally used is a security guard that is in charge of security for a customer's home or office through a wired telephone network, for example.

보안경비 시스템이 작동중인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외부인이 침입하게 되면, 이 침입 사실은 유선 전화망을 통해 보안경비 업체에 전달되고, 이어 이를 확인한 보안경비원들이 즉시 외부인이 침입한 현장으로 출동하게 된다.If an outsider invades the home or office where the security guard system is operating, the intrusion is transmitted to the security guard through the wired telephone network, and the security guards who confirm this are immediately dispatched to the site where the outsider invad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보안경비 시스템의 경우, 침입자가 가입자선로를 절단한 후 침입하게 되면, 보안경비 업체에서는 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urity guard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wired telephone network as described above, if an intruder breaks in after cutting the subscriber lin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ecurity guard company can not quickly verify thi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번호 제 18530 호에서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보안경비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며, 이 보안경비 시스템에서는 이동체를 감지하는 센서가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한 후 이 침입사실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보안 관제센터로 전송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Application No. 18530 has proposed a security guard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security guard system, after detecting an intrusion of an outsider through a terminal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 moving objec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curity control cent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보안경비 시스템의 경우, 가입자가 정기적으로 많은 관리비를 보안경비 업체에게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security security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scriber has to pay a large security cost to the security guard company on a regular basi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정 지역의 상황을 감시하여 그 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상황을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nforming a user in real time of an abnormal situation occurring in a particular area by monitoring a situation in a specific area by real-tim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this.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부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상황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손쉽게 감시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easily monitor the situation in a specific area in real time from a remote loc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경비 없체 등에 의뢰하지 않고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monitor the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in real tim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requesting without a guard.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부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상황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함으로써, 별도의 설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사용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y a user without incurring additional installation costs by remotely monitor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부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상황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함으로써, 감시 지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easily change a monitoring area by monitor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in real tim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영상 감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video surveill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nitor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20: 이동통신 단말기 111: 촬영부100 and 2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 photographing unit

112: 영상 추출부 113: 데이터베이스112: image extraction unit 113: database

114: 영상 판독부 115: 키패드114: image reading unit 115: keypad

116: 제어부 117: 송수신 처리부116: control unit 117: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ing unit

118: 인터페이스 210: 기지국118: interface 210: base station

230: 컴퓨터 240: 스피커230: computer 240: speak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의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지역의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영상 추출수단; 상기 특정 지역의 정상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기준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영상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상기 기준영상 데이터를 비교 판독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상황을 판독하기 위한 영상 판독수단; 및 사용자 지시에 따라 상기 기준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 판독수단에 의해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가 판독됨에 따라 상기 특정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실시간으로 무선전송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nitor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comprising: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Image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features of the digital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means; Storage means for storing reference image data representing a normal state of the specific region, digital image data extracted by the image extracting means, and a telephone number of a destination to which the digital image data is to be transmitted; Image reading means for comparing the digital image data extracted by the image extracting means with the reference image data to read an abnormal situation in the specific region; And storing the reference image data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and converting the abnormal image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in the specific area to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s the abnormal image data is read by the image reading means. And control means for wireless transmission in real time.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지역의 상황을 계속적으로 촬영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비정상적인 영상을 촬영한 비정상적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실시간으로 무선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정상적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기지국을 통해 수신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비정상적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통신기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in real time, continuously photographing the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and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abnormal image signal and warning signal of the abnormal image taken in real tim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an abnormal video signal and a war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base station, generating a warning sound and displaying the abnormal video in real time.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지역의 상황을 계속적으로 촬영하여 촬영한 디지털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기준영상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비교 판독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서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판단결과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기지국을 통해 소정의 전화번호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기지국에 접속된 통신기기는 상기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수신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비정상적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특정 지역을 상황을 계속 감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onitor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in real tim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inuously extracts a feature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e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First step; A second ste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ing and reading predetermined reference image data and the extracted image data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specific region; A third step of 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abnormal video signal and a warning signal to a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 through a base station in real time if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A fourth step in which the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abnormal video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generates a warning sound and displays the abnormal video; And if the abnormal situation has not occur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fifth step of continuously monitoring the specific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영상 감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video surveill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특정 지역의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11)와, 촬영부(111)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영상 추출부(112)와, 특정 지역의 정상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기준영상 데이터 및 영상 추출부(112)에 의해 추출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13)와, 영상 추출부(112)에 의해 추출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13)의 기준영상 데이터를 비교 판독하여 촬영부(111)에 의해 촬영되는 특정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상황을 판독하기 위한 영상 판독부(114)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15)와, 키패드(115)에 의한 사용자 지시에 따라 기준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하고 영상 판독부(114)에 의해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가 판독됨에 따라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및 경고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6)와, 제어부(116)에 의해 전달되는 특정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요구신호를 제어부(116)로 전달하는 송수신 처리부(117)와, 제어부(116)에 의해 전달되는 특정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를 유선으로 전달하고 유선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구신호를 제어부(116)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118)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11 for captur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and a feature for extracting features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1. The image extracting unit 112, the reference image data indicating the normal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and the database 113 for storing the digital image data extracted by the image extracting unit 112, and the image extracting unit 112 Inputting a user command and an image reading unit 114 for comparing the extracted digital image data with reference image data of the database 113 to read an abnormal situation in a specific are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1. For storing the reference image data in the database 113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by the keypad 115 and the abnormal image data being read by the image reading unit 114. The control unit 116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data and the warning signal, and the user who transmits the abnormal image data in a specific area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116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cessing unit 117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6 and abnormal image data in a specific area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116 to the wired and the user's request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d control unit ( An interface 118 for communicating to 116.

촬영부(111)는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통해 대상물을 촬영하여 촬영한 대상물에 대한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연속되는 디지털 신호를 정지화상으로 캡처(Capture)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거나 연속되는 영상을 일정시간 동안 캡처하여 동화상 파일을 생성한 후 이 동화상 파일을 영상 추출부(112)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16)는 키패드(115)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촬영부(111)의 촬영 기능을 제어한다.The photographing unit 111 captures an object through a camera le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6, converts an image of the photographed object into a digital signal, and captures a continuous digital signal as a still image to capture an image file. After generating or capturing a continuous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generate a moving image file, the moving image file is output to the image extraction unit 112. Here, the controller 116 controls the photographing fun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111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through the keypad 115.

영상 추출부(112)는 촬영부(111)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의 특징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영상 판독부(114)로 전달하여 준다. 이때, 영상 추출부(112)에 추출되는 디지털 영상의 특징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어 살펴보면, 촬영부(111)가 기존의 주변환경과 새롭게 나타난 사람을 촬영한 디지털 영상을 촬영할 경우, 영상 추출부(112)는 촬영된 디지털 영상 중에서 사람의 특징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영상 판독부(114)로 전달하는 것이다.The image extracting unit 112 extracts feature data of the digital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1 and transmits the extracted characteristic data to the image reading unit 114.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feature data of the digital image extracted by the image extracting unit 112 will be described. When the photographing unit 111 captures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n existing environment and a newly appearing person, the image extracting unit ( 112 extracts only image data representing human characteristics from the photographed digital image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image reading unit 114.

영상 판독부(114)는 영상 추출부(112)에 의해 추출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통해 촬영부(111)에 의해 촬영되는 특정 지역에서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독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영상 판독부(114)는 데이터베이스(113)의 기준영상 데이터와 영상 추출부(112)에 의해 추출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비교 판독한다.The image reading unit 114 reads whether or not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a specific are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1 through the digital image data extracted by the image extracting unit 112. 114 compares and reads out the reference image data of the database 113 and the digital image data extracted by the image extraction unit 112.

여기서, 기준영상 데이터는 키패드(115)에 의한 사용자 지시에 따라 제어부(116)가 데이터베이스(113)에 설정한 것으로, 촬영부(111)에 의해 감시되는 특정 지역의 일상적인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이거나 데이터베이스(113)에 구축된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들의 통계치를 구하여 이 통계치에 의해 결정된 영상 데이터이다. 이러한 기준영상 데이터는 언제나 일정하게 설정되거나 또는 시간 대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Here, the reference image data is set in the database 113 by the control unit 116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s by the keypad 115, the image data for the daily situation of the specific area monito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1 or The statistical value of abnormal image data constructed in the database 113 is obtained and the image data determined by the statistical value is obtained. Such reference image data may be constantly set at all times or differently set for each time zone.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되는 기준영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키패드(115)의 조작만을 통해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16)가 키패드(115)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촬영부(1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준영상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reference imag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13 can be set by the user only by the manipulation of the keypad 115, and the control unit 116 is provided to the photographing unit 111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through the keypad 115. The captured image data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13 as reference image data.

또한, 데이터베이스(113)에는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곳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113 stor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lace where the abnormal image data is to be transmitted.

그리고, 영상 판독부(114)는 판독 결과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한다. 이때, 영상 판독부(114)는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간 정보를 함께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한다. 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image reading unit 114 stores abnormal image data as a result of the reading in the database 113. At this time, the image reading unit 114 stores time information on which abnormal image data is captured in the database 113. This is to allow a user to analyze abnormal image data arbitrarily.

이러한 영상 판독부(114)에 의해 판독되는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예로서 살펴보면, 촬영부(111)에 의해 촬영되는 특정 지역에서 일정시간 동안 이동물체가 존재하지 않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동물체가 촬영된 경우, 영상 판독부(114)는 촬영된 이동물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그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로 판독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물체로는 침입자 등이 있을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abnormal image data read by the image reading unit 114, even if the moving object is photographed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oving object does not exist for a certain time in a specific reg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1. The image reading unit 114 reads the image data of the photographed moving object as abnormal image data in the region. Here, the moving object may be an intruder or the like.

제어부(116)는 영상 판독부(114)에 의해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가 판독될 경우 이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 처리부(117)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무선전송하여 준다. 또한, 제어부(116)는 인터페이스(118)를 통해 유선으로 접속된 사용자가 있으면,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를 유선으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16)는 촬영부(111)에 의해 촬영 중인 특정 지역에 이상물체가 출현되었음을 경고하여 주기 위한 경고신호를 함께 전송한다.When abnormal image data is read by the image reading unit 114, the controller 116 wirelessly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database 113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unit 117. In addition, if there is a user connected by wire through the interface 118, the controller 116 transmits abnormal image data by wir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6 transmits a warning signal for warning the appearance of the abnormal object in the specific area being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1.

그리고, 제어부(116)는 사용자로부터 송수신 처리부(117)나 인터페이스(118)를 통해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에 관한 자료의 전송 요구가 있으면, 제어부(116)는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와 그에 대한 시간정보를 송수신 처리부(117)나 인터페이스(118)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준다. 이렇게,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이를 분석하여 촬영부(111)에 의해 촬영 중인 지역에서 발생된 상황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f the controller 116 receive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data regarding abnormal image data from the user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unit 117 or the interface 118, the controller 116 controls the abnormal imag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13 and the like. The ti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unit 117 or the interface 118. As such, when abnormal image data is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user may analyze the situation and precisely analyze the situation occurring in the area being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1.

인터페이스(118)는 ICC 커넥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118)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컴퓨터 등과 같은 통신기기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한 경고음만을 발생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전자기기가 연결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118 may be implemented by an ICC connector or the like. The interface 118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omputer by wire, or may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peaker that may generate only a warning sound. hav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Looking at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특정 지역의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기지국(210)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신호 및 경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220) 및 컴퓨터(23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기지국(210)을 통해 전송되는 경고신호를 수신받아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4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monitor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and a video signal and a war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base station 2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20 and the computer 230 for receiving the, and receives a warn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station 210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speaker 240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1에서와 같이 특정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이에 대한 경고신호를 기지국(2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준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nitors the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in real time as shown in FIG. 1 and transmits an abnormal video signal and a warning signal thereof to the user through the base station 210.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의해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경고신호가 전송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20)나 컴퓨터(230) 등을 통해 비정상적인 영상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20)나 컴퓨터(230) 등은 스피커(240) 처럼 경고신호를 수신받아 경고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준다.When the abnormal video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are transmit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user can receive the abnormal video signal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computer 230, or the like, and confirm it.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20 or the computer 230 receives a warning signal like the speaker 240 to generate a warning sound to inform the user.

한편,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20) 및 컴퓨터(230)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는 기지국(210)에 유무선 접속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receive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20 and the computer 2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can connect various types of wired / wireless connections to the base station 210. The device may receive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도 2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을 통해 특정 지역의 상황을 감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nitor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a method of monitor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through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특정 지역의 상황을 계속하여 촬영하고(S301), 촬영한 디지털 영상의 특징을 추출한다(S302).Referring to FIG. 3,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ntinuously photographs a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S301), and extracts features of the photographed digital image (S302).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S303)는 내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영상 데이터와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비교 판독하여 특정 지역에서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3). 여기서, 상기 기준영상 데이터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13) 내에 미리 저장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303 compares and reads the reference image data and the extracted image data stored therein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a specific region (S303). Here, the reference image data is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13 by the user as described in FIG. 1.

판단결과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이에 대한 경고신호를 기지국(2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또한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를 시간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한다(S304).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된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는사용자가 임의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abnormal video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thereof to the user in real time through the base station 210, and also transmits the abnormal video data with the time information to the database 113. Store in (S304). Here, the abnormal imag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13 is for the user to check arbitrarily.

이와 같이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이에 대한 경고신호가 전송되면, 사용자측 이동통신 단말기(220)나 컴퓨터(230) 등은 특정 지역에서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그 비정상적인 상황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특정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S305).As such, when the abnormal video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are transmitted, the mobile terminal 220 or the computer 230 of the user side generates a warning sound to warn that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in a specific region, and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the abnormal situation. An abnormal image in a specific region is displayed in real time so as to be confirmed (S305).

만일, 판단과정(S303)에서의 판단결과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지 않았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특정 지역의 상황을 계속하여 감시한다.If an abnormal situation does not occu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3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ntinuously monitors the situation in a specific region.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부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상황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함으로써, 별도의 설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설치하고 감시 지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to monitor the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in real time from a remote loc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change the monitoring area easily without incurring a separate installation cost Significantly improve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the product.

Claims (10)

특정 지역의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nitoring the situation in a specific area, 특정 지역의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영상 추출수단;Image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features of the digital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means; 상기 특정 지역의 정상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기준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Storage means for storing reference image data representing a normal state of the specific region, digital image data extracted by the image extracting means, and a telephone number of a destination to which the digital image data is to be transmitted; 상기 영상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상기 기준영상 데이터를 비교 판독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상황을 판독하기 위한 영상 판독수단; 및Image reading means for comparing the digital image data extracted by the image extracting means with the reference image data to read an abnormal situation in the specific region; And 사용자 지시에 따라 상기 기준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 판독수단에 의해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가 판독됨에 따라 상기 특정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실시간으로 무선전송시키는 제어수단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s, the reference imag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as the image data is read by the image reading means, an abnormal video signal and a warning signal in the specific region are stored in real time to the telephone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means. Control means for wireless transmission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특정 지역에서의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를 유선으로 전달하고 상기 유선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구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는 접속수단Connection means for transmitting abnormal image data in a specific area transmitted by the control means to the wire and transmitting the user's request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 to the control means. 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 판독수단은 상기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와 이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함께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image reading means stores the abnormal image data and time information on which the image data is captured in the storage mean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의 요구를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한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와 시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control means provides the user with abnormal image data and tim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t the request of the us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영상 데이터를 임의로 설정하되, 상기기준영상 데이터는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설정되거나 시간 대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user may arbitrarily set the reference image data by using a keypad, wherein the reference image data is set constantly regardless of time or differently for each time zone. 특정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that monitors the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in real time, 특정 지역의 상황을 계속적으로 촬영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비정상적인 영상을 촬영한 비정상적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실시간으로 무선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ontinuously photographs a specific area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and wirelessly transmits an abnormal video signal and a warning signal that capture an abnormal image in real time; 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정상적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기지국을 통해 수신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비정상적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통신기기A communication device that receives an abnormal video signal and a war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base station, generates a warning sound and displays the abnormal video in real time. 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Surveillance system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기지국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비정상적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수신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The communication device is a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abnormal video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by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base statio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기지국에 유선으로 접속하여 상기 비정상적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수신받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And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 computer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by wire to receive the abnormal video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of the situation of a specific are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지역의 상황을 계속적으로 촬영하여 촬영한 디지털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tracting features of a digital image capture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a situation of a specific reg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기준영상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비교 판독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서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A second ste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ing and reading predetermined reference image data and the extracted image data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specific region; 상기 판단결과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기지국을 통해 소정의 전화번호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abnormal video signal and a warning signal to a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 through a base station in real time if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상기 기지국에 접속된 통신기기는 상기 비정상적인 영상신호와 경고신호를 수신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비정상적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 및A fourth step in which the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abnormal video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generates a warning sound and displays the abnormal video; And 상기 판단결과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특정 지역을 상황을 계속 감시하는 제 5 단계A fifth step of continuously monitoring the situation of the specific area if the abnormal situation has not occurred;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방법.Monitor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3 단계에서,In the third step,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비정상적인 영상 데이터와 이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시간정보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방법.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abnormal image data and time information on which the image data is photographed together in a database.
KR1020010087167A 2001-12-28 2001-12-28 Mobile phone for guarding images, and guar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300568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167A KR20030056865A (en) 2001-12-28 2001-12-28 Mobile phone for guarding images, and guar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167A KR20030056865A (en) 2001-12-28 2001-12-28 Mobile phone for guarding images, and guar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865A true KR20030056865A (en) 2003-07-04

Family

ID=3221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167A KR20030056865A (en) 2001-12-28 2001-12-28 Mobile phone for guarding images, and guar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6865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537A (en) * 2003-02-21 2004-08-30 주식회사 에스엠아이티 Security watch system that use Mobile
KR100916136B1 (en) * 2007-01-24 2009-09-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ng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ing realtime image search function
KR100968025B1 (en) * 2008-07-28 2010-07-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ing danger image
KR101106630B1 (en) * 2010-02-08 2012-01-20 주식회사 유먼더스 Mobile video surveillance method and system
KR101431323B1 (en) * 2012-08-13 2014-08-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External landscape Transmission system
CN106131515A (en) * 2016-08-31 2016-11-16 陆敏 Long-distance monitoring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383A (en) * 1998-02-05 1999-08-17 Ritaa:Kk Portable burglar prevention device
KR19990035973U (en) * 1998-02-11 1999-09-15 권태웅 Security systems
KR200205705Y1 (en) * 1999-10-15 2000-12-01 윤경중 Security system apparatus
KR20010048301A (en) * 1999-11-26 2001-06-15 백순태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a picture-cellular phone
JP2001245069A (en) * 2000-03-01 2001-09-07 Cpus:Kk Home security system
JP2001312780A (en) * 2000-04-27 2001-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and system for preventing crime
KR20020067219A (en) * 2001-02-16 200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mote surveillance using mobile video pho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383A (en) * 1998-02-05 1999-08-17 Ritaa:Kk Portable burglar prevention device
KR19990035973U (en) * 1998-02-11 1999-09-15 권태웅 Security systems
KR200205705Y1 (en) * 1999-10-15 2000-12-01 윤경중 Security system apparatus
KR20010048301A (en) * 1999-11-26 2001-06-15 백순태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a picture-cellular phone
JP2001245069A (en) * 2000-03-01 2001-09-07 Cpus:Kk Home security system
JP2001312780A (en) * 2000-04-27 2001-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and system for preventing crime
KR20020067219A (en) * 2001-02-16 200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mote surveillance using mobile video pho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537A (en) * 2003-02-21 2004-08-30 주식회사 에스엠아이티 Security watch system that use Mobile
KR100916136B1 (en) * 2007-01-24 2009-09-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ng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ing realtime image search function
KR100968025B1 (en) * 2008-07-28 2010-07-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ing danger image
KR101106630B1 (en) * 2010-02-08 2012-01-20 주식회사 유먼더스 Mobile video surveillance method and system
KR101431323B1 (en) * 2012-08-13 2014-08-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External landscape Transmission system
CN106131515A (en) * 2016-08-31 2016-11-16 陆敏 Long-distance monito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019B1 (en) Fire detection system using composited video and method thereof
KR101038370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e using internet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at a playground
KR101111493B1 (en) Automatic Fire Recognition and Alarm Systems using Intelligent IP Camera and Method Thereof
JP2611092B2 (en) Remote monitoring security system
KR20150041939A (en) A door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event detection and a method thereof
WO2000045355A1 (en) Human body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EP1246149A1 (en) Security system using internet
KR20030056865A (en) Mobile phone for guarding images, and guar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129762A (en) Ip/sip/ims camera, private security system with ip/sip/ims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60018A (en) Ip/sip/ims camera, private security system with ip/sip/ims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60325B2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120057829A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e using internet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at a parking place
KR101167605B1 (en) Intelligent controller using camera and method thereof
KR20050102541A (en) Fire alarm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US8502658B2 (en) Security implemented with a communication device
US20050086698A1 (en) Automatic monitoring and alerting device
KR20030012950A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remotely controlled via local DSL modem
JP4540456B2 (en) Suspicious person detection device
JP4202228B2 (en) Management server and monitoring system
KR1014868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of elevator
JP3874539B2 (en) Image monitoring device
KR101093176B1 (en) Facial recognition emergency call system
JP3922804B2 (en) Image surveillance system
KR101124455B1 (en) Bi-diretional system
CN115836516A (en)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