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535A -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535A
KR20030005535A KR1020010040875A KR20010040875A KR20030005535A KR 20030005535 A KR20030005535 A KR 20030005535A KR 1020010040875 A KR1020010040875 A KR 1020010040875A KR 20010040875 A KR20010040875 A KR 20010040875A KR 20030005535 A KR20030005535 A KR 20030005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call
data
fingerprint recogni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5535A/ko
Publication of KR2003000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5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문인식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을 완료한 후 단말기에 구비된 '통화' 버튼을 눌러 호 접속을 시도하면, 단말기는 상기 '통화' 버튼 입력과 아울러 그 '통화' 버튼을 누른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SCAN)하고, 상기 스캔에 의해 얻어진 지문인식 데이터를 신호 처리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지문인식 데이터와 호 접속을 위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은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지문인식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두 데이터의 일치시에는 통화를 승인하고, 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통화불가 처리함으로써, 단말기의 복제 방지 및 분실시 타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및 방법{USE RES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지문인식 기능을 기지국 시스템과 연계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서만 통화 승인을 하여 정상적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복제 방지 및 분실시 타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비밀기능(또는 잠금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으며, 그 기능 설정에 의해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단말기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 방지를 위한 방법으로는 ESN(Electrical Serial Number)과 전화번호, 인증값에 의해 복제된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도록 하였고, 4자리의 락 코드(Lock code)를 사용하여 락 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독하여 타인에 의한 단말기의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였다.
그런데, ESN 번호나 전화번호는 RF 테스트 장비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하고, 인증값의 경우 ESN 번호를 사용하여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제 방지 기능으로 완벽하게 적용되지 않고 있으며, 락 코드의 경우 단말기의 초기화 과정에서 초기화될 뿐만 아니라, 락 코드가 저장된 메모리를 교체할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타인에 의한 무단 사용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문 인식 기능을 장착할 경우 별도의 지문인식 패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 크기에 영향을 주거나, 단말기에 저장된 지문인식 데이터가 지워질 경우 기능적으로 의미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지문인식 기능을 기지국 시스템과 연계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서만 통화 승인을 하여 정상적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복제 방지 및 분실시 타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문 검출부 20 : 신호 처리부
30 : 데이터 송신부 40 : 데이터 수신부
50 : 지문 조회부 60 : 지문인식 데이터베이스
70 : 호 설정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문인식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특정 버튼을 조작할 경우 지문을 검출하는 지문 검출부와, 상기 지문 검출부에서 검출된 지문 데이터를 신호 처리에 적합하도록 디지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된 지문 데이터와 전화 통화를 위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전송된 지문인식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부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인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문인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지문인식 데이터와 상기 지문인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지문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화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지문 조회부와, 상기 지문 조회부의 지문인식 데이터 비교 결과에 따라,통화 승인시에 호 설정을 수행하는 호 설정부를 구비한 기지국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을 완료한 후 단말기에 구비된 '통화' 버튼을 눌러 호 접속을 시도하는 제1단계와; 상기 '통화' 버튼 입력과 아울러 그 '통화' 버튼을 누른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SCAN)하는 제2단계와; 상기 스캔에 의해 얻어진 지문인식 데이터를 신호 처리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3단계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지문인식 데이터와 호 접속을 위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및 지문인식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은,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지문인식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제5단계와; 상기 지문인식 데이터의 비교결과, 두 데이터의 일치시에는 통화를 승인하고, 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통화불가 처리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지문인식을 위한 별도의 지문인식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전화 통화를 위해 반드시 눌러야 되는 특정 버튼(가령, 전화번호 입력 후 최종적으로 누르는 '통화' 시작 버튼 등)을 지문인식 패드 겸용으로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를 단말기 자체에 저장하지 않고, 기지국에 별도로 지문조회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를 저장해 두고, '통화' 버튼 입력시 검출한 지문 데이터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통화 승인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데이터 분실에 의한 지문인식 기능 마비를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특정 버튼을 조작할 경우 지문을 검출하는 지문 검출부(10)와; 상기 지문 검출부(10)에서 검출된 지문 데이터를 신호 처리에 적합하도록 디지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20)와; 상기 신호 처리된 지문 데이터와 전화 통화를 위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기지국 시스템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부(40)와; 사용자 인증을 위해 지문인식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지문인식 데이터베이스(60)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40)를 통해 수신된 지문인식 데이터와 상기 지문인식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되어 있던 지문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화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지문 조회부(50)와; 상기 지문 조회부의 지문인식 데이터 비교 결과에 따라, 통화 승인시에 호 설정을 수행하는 호 설정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를 기지국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둔 후, 단말기 사용시 검출된 지문인식 데이터와 기지국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문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화 승인을 결정함으로써, 단말기 고장이나 파손에 의한 지문인식 데이터의 분실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복제하더라도 사용자 본인이 아니면 기지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문인식 데이터와의 조회에 의해 통화가 거부됨으로써, 복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및 작용을 도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를 걸 상대측의 전화번호를 키패드를 이용해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전화번호가 엘시디(LCD)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전화번호가 오류없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통화'버튼(또는 'Start', 'OK' 버튼)을 누르게 된다.
즉, '통화'버튼은 전화 통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눌러야 되는 버튼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구적으로 지문인식 센서(또는 패드)를 '통화'버튼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지문인식 센서의 크기나, 모양, 설치 위치에 관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단말기의 디자인 및 크기에 따라서 쉽게 변형 및 가공이 가능할 것이다.
그럼, 상기와 같이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 겸용 '통화'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의 이용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단,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을 완료한 후 단말기의 '통화' 버튼(통화를 시작하기 위한 'Start' 또는 '통화', 'OK' 버튼 등)을 누르면(S11), 단말기는 호 설정을 위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기지국(통신 사업자)으로 전송한다(S14).
이와 아울러, 상기 '통화' 버튼에 구비된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SCAN)하고(S12), 상기 스캔에 의해 얻어진 지문인식 데이터를 신호 처리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S13), 상기 전화번호와 함께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4).
다음, 상기 호 설정을 위한 전화번호 및 지문인식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은, 먼저 자체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지문인식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비교한다(S15).
이때, 상기 기지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는, 단말기의 ESN 번호 또는 전화번호 등록시 또는 등록 완료 후 단말기를 이용한 별도의 등록절차를 거쳐 입력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의 메뉴 설정에 의해 상기 등록절차 및 지문인식에 의한 단말기의 사용제한 여부도 사용자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기지국은 상기 지문인식 데이터의 비교결과 두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는 통화를 승인하여 상기 전송받은 전화번호로 호 설정을 수행하고(S16), 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통화불가 하므로 호 설정을 수행하지 않는다(S17).
즉, 사용자가 지문인식에 의한 단말기의 사용제한을 설정할 경우, 기지국에는 단말기의 ESN 번호와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를 복제하더라도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분실된 단말기를 주워서 무단 사용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지문인식 기능을 기지국 시스템과 연계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서만 통화 승인을 하여 정상적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복제 방지 및 분실시 타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문인식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기의 특정 버튼을 조작할 경우 지문을 검출하는 지문 검출부와, 상기 지문 검출부에서 검출된 지문 데이터를 신호 처리에 적합하도록 디지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된 지문 데이터와 전화 통화를 위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 송신부를 통해 전송된 지문인식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부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인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문인식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지문인식 데이터와 상기 지문인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지문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화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지문 조회부와, 상기 지문 조회부의 지문인식 데이터 비교 결과에 따라, 통화 승인시에 호 설정을 수행하는 호 설정부를 구비한 기지국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검출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에서 특정 버튼에 지문인식 센서를 부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3. 지문인식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을 완료한 후 단말기에 구비된 '통화' 버튼을 눌러 호 접속을 시도하는 제1단계와; 상기 '통화' 버튼 입력과 아울러 그 '통화' 버튼을 누른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SCAN)하는 제2단계와; 상기 스캔에 의해 얻어진 지문인식 데이터를 신호 처리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3단계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지문인식 데이터와 호 접속을 위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및 지문인식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은,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지문인식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제5단계와; 상기 지문인식 데이터의 비교결과, 두 데이터의 일치시에는 통화를 승인하고, 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통화불가 처리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데이터베이스에는 단말기의 ESN 번호 또는 전화번호와 매칭된 사용자의 지문인식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버튼은 지문인식 센서를 부가하여 '통화' 버튼이 눌림과 동시에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의 통화 승인시에는 지문인식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전화번호로 호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
KR1020010040875A 2001-07-09 2001-07-09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및방법 KR20030005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875A KR20030005535A (ko) 2001-07-09 2001-07-09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875A KR20030005535A (ko) 2001-07-09 2001-07-09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535A true KR20030005535A (ko) 2003-01-23

Family

ID=2771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875A KR20030005535A (ko) 2001-07-09 2001-07-09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55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004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지문이 조합된 비밀번호 인증시스템
KR20150021943A (ko) * 2012-05-18 2015-03-03 애플 인크. 지문 센서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953152B2 (en) 2007-09-24 2018-04-24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US11409410B2 (en) 2020-09-14 2022-08-09 Apple Inc. User input interfa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004A (ja) * 1995-04-13 1996-11-0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発信者識別型電話発信方法
WO1998011750A2 (en) * 1996-09-11 1998-03-19 Yang Li Method of using fingerprints to authenticate wireless communications
KR19990019665A (ko) * 1997-08-29 1999-03-15 전주범 단말기 사용자 제한장치 및 방법
KR20010047126A (ko) * 1999-11-18 2001-06-15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문인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004A (ja) * 1995-04-13 1996-11-0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発信者識別型電話発信方法
WO1998011750A2 (en) * 1996-09-11 1998-03-19 Yang Li Method of using fingerprints to authenticate wireless communications
KR19990019665A (ko) * 1997-08-29 1999-03-15 전주범 단말기 사용자 제한장치 및 방법
KR20010047126A (ko) * 1999-11-18 2001-06-15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문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004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지문이 조합된 비밀번호 인증시스템
US9953152B2 (en) 2007-09-24 2018-04-24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US10275585B2 (en) 2007-09-24 2019-04-30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US10956550B2 (en) 2007-09-24 2021-03-23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US11468155B2 (en) 2007-09-24 2022-10-11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21943A (ko) * 2012-05-18 2015-03-03 애플 인크. 지문 센서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1209961B2 (en) 2012-05-18 2021-12-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US11989394B2 (en) 2012-05-18 2024-05-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US11409410B2 (en) 2020-09-14 2022-08-09 Apple Inc. User input interfaces
US11703996B2 (en) 2020-09-14 2023-07-18 Apple Inc. User input interfa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5555A (en) System and method us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and associated prompts for controlling unauthorized use of a security device and unauthorized access to a resource
KR100774058B1 (ko) 인증 시스템 및 휴대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인증 방법
US20050085217A1 (en) Method for setting shortcut key and performing function based on fingerprint recogni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reof
US200100474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access authorization for a system
US20120047566A1 (en) Password protected secure device
US7263347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of a wireless device user
EP2391967B1 (en) Password protected secure device
JP2007281861A (ja) 端末認証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US8453231B2 (en) Certification apparatus, certification system and certification method
JP2971620B2 (ja) 個人認証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30005535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장치 및방법
KR100448482B1 (ko) 지문인식을이용한보안기능을구비한핸드폰
KR20020023310A (ko) 생체인식을 통한 결재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H11262059A (ja) 移動通信用携帯端末及び個人識別方法
KR10135903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JPH0984128A (ja)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通信機器
KR100600359B1 (ko) 불법 단말기 검출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57085A (ko)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400014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방법
JPH10191457A (ja) 不正クロ−ン端末無線機の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004712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문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H04343554A (ja) 電話装置
KR20000060137A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개인 휴대 통신기의 보안장치
KR20020016889A (ko) 홍채인식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876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전자결재 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114

Effective date: 200510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01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114

Effective date: 2005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