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0939A -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이용한광고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이용한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0939A
KR20030000939A KR1020010037215A KR20010037215A KR20030000939A KR 20030000939 A KR20030000939 A KR 20030000939A KR 1020010037215 A KR1020010037215 A KR 1020010037215A KR 20010037215 A KR20010037215 A KR 20010037215A KR 20030000939 A KR20030000939 A KR 2003000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signal
messag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준
Original Assignee
김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준 filed Critical 김원준
Priority to KR1020010037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0939A/ko
Publication of KR2003000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중에 문자 등을 디지털화하여 시작식별신호 및 종료식별신호와 함께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대방은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의 사이에 있는 디지털신호를 복호화하여 문자 등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하므로써 통화중에 다른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통신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때, 접속국에서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의 사이에 광고를 삽입하여 광고를 할 수 있는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DURING THE TELEPHONE CONVERSATION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중에 문자 등을 시작식별신호 및 종료식별신호와 함께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대방은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의 사이에 있는 신호를 문자, 숫자 또는 이미지 등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하므로써 통화중에 다른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통신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기기를 이용한 메시지가 송수신돌 때, 접속국에서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의 사이에 광고를 삽입하여 광고를 할 수 있는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44227호(출원번호 10-1998-60718호. 인용발명1)에는 통화중에 문자메시지모드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24291호(출원번호 10-2000-5315호, 인용발명2)에는 통화중에 문자를 전송하기 위하여 문자전송모드로 전환시키고 문자를 입력하여 전송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6756호(출원번호 20-2000-16997호, 인용발명3)에는 통화중에 버튼을 눌러 문자를 입력하고 입력한 문자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음성신호와 결합하여 송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인용발명1에서는 단지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중 문자메시지를 송/수신 가능하다는 기능적 표현만 있을 뿐 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인용발명2은 아이디어는 본 발명과 유사하나, 문자전송모드로 전환되는 것에 대한 명확한 기재가 없고, 문자의 검출방법이나 음성신호와 문자를 구별하는 방법등이 기재되지 않아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인용발명3은 아날로그 전화기에 사용될 수 있는 발명으로서, 문자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음성/문자 결합신호를 만드는 바, 이를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지 않아 이를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기기간의 통화중에 송신통신기기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생성한 문자 등 또는 기 저장되어 있는 문자 등을 시작식별신호 및 종료식별신호와 함께 수신통신기기에 전송하고, 수신통신기기는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의 사이에 있는 신호를 저장하거나, 저장과 동시에 신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음성 통화중에 다른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통신기기 및 상기 통신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통신기기를 통하여 다른 메시지가 전달될 때, 접속국에서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의 사이에 광고를 삽입하여 광고를 할 수 있는 광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의 변환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발신통신기기12. 수신통신기기20. 전화통신망
30. 발신통신기기측 접속국32. 수신통신기기측 접속국40. 시작식별신호
50. 메시지60. 종료식별신호70. 광고
80. 82 소리신호
110. 송화부120. 수화부130. 입력부
132, 특정키140. 디스플레이부150. 송수신부
160. 메모리부170. 메시지송신모듈180. 검출모듈
190. 메시지수신모듈
S1. 시작식별신호검출단계S2. 광고삽입단계
S3. 메시지전송단계S4. 종료식별신호검출단계
S5. 광고송신단계S6. 종료식별신호전송단계
S7. 소리신호보정단계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는, 송화부와, 수화부와,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송수신부와,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각종 통신망 및 접속국을 통하여 다른 통신기기와 통화할 수 있는 통신기기에 있어서, 특정키와, 메시지송신모듈과, 검출모듈과, 메시지수신모듈을 갖는다.
여기서, 메시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내용이거나, 상기 입력부가 조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으로서, 문자, 숫자, 이미지, 동영상, 소리,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뜻하며, 통신기기는 일반 유무선 전화기, 휴대폰, 통화가 가능한 PDA, IMT2000단말기 등을 가리키며, 접속국은전화국, 교환국, 기지국, 상기 기지국들을 통제하는 센터 등을 총칭하는 용어이며, 특정키는 메시지의 송신을 지시하는 키로 특정숫자버튼이나 통화버튼 또는 스크롤 버튼등 어디에나 배정할 수 있으며 통신기기에 고유하게 배정된 키를 의미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게 사용된다.
상기 특정키는, 통화중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이 배정되어 있으며,
상기 메시지송신모듈은, 상기 특정키가 작동되면, 상기 송화부의 기능을 차단시키고, 시작식별신호와 메시지와 종료식별신호를 차례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송화부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검출모듈은, 통화중에 다른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메시지수신모듈은, 상기 검출모듈에 의해 시작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모듈이 종료식별신호를 검출하기전까지의 신호, 즉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신기기의 사용자는 통화중에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있을때, 입력부의 버튼을 눌러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통신기기에 기 저장된 메시지를 호출하고 메시지 송신기능이 배정된 상기 특정키를 누른다. 상기 입력부는 통상의 버튼이거나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다. 상기 특정키는 상기 입력부의 어느 하나의 키에 기능을 부여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정키가 눌러지면, 상기 통신기기에서는 메시지송신모듈이 작동하여 송화부의 기능을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메시지의 전후에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를 붙여 송수신부를 통하여 전송시키며, 전송이 완료되면 송화부의 기능을 회복시킨다. 상기 송화부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은 송화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송화부의 기능을 살려두고 송화부로 입력된 신호를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송화부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은 상기 송화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메시지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는 상기 통신기기들 또는 접속국들 사이에 서로 약속된 신호이며, 통신망마다 다를 수도 있으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는 음성신호에서 발생될 수 없는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작식별신호는, 예를들면 1111111111111110이고, 종료식별신호는, 예를들면 1111111111111111일 수 있다. 상기 예시는 통신이 이루어지는기본 단위가 16비트인 것을 가정한 것이며, 상기 단위가 여러개 중첩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유선전화기에서는 hhhhhhhhhhhhhhhl, hhhhhhhhhhhhhhhl(h는 고주파의 펄스, l은 저주파의 펄스)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는 통신기기간의 약속에 의하며, 이러한 신호의 발생이나 변복조는 통상의 통신기기의 기능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수신통신기기에서는, 검출모듈이 통화중의 신호를 계속 감시하고 있으며, 위와같은 신호가 수신통신기기로 전송되면 상기 검출모듈은 상기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를 검출해 낸다.
상기 검출모듈이 시작식별신호를 검출하면, 메시지수신모듈이 작동하며, 상기 시작식별신호와 이후에 검출될 종료식별신호 사이의 신호를 메시지로 간주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상기 메시지의 변조/복조는 상기 통신기기에 기 내장된 변복조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송신모듈과 메시지수신모듈에 변조와 복조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는 동일한 식별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통화중에 처음으로 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시작식별신호로 인식하고 다음으로 검출되는 식별신호는 종료식별신호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가 중간에서 소멸되거나 약화되어 검출되지 않으면 메시지와 소리신호의 구분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류의 발생확률을 줄이기 위하여는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를 달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기기에는 메시지의 송신과 수신관련 구성요소들이 함께 표시되어 있으나, 어느 하나의 통신기기에 송신기능과 수신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있다.
상기 메시지수신모듈은, 상기 검출모듈에 의해 시작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수화부의 기능을 차단시키고, 상기 검출모듈에 의해 종료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수화부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화부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은 상기 시작식별신호, 메시지, 종료식별신호가 수화부로 입력되어 원하지 않는 소리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메시지수신모듈은, 메시지가 수신되는 동안에 수화부의 기능을 정지시킨다. 상기 수화부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은 수화부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수화부의 기능을 살려두고 수화부로 신호를 보내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내용이거나, 상기 입력부가 조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으로서, 문자, 숫자, 이미지, 동영상, 소리,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신자는 보내야될 메시지를 확인하고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통신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내용이 송신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시지수신모듈은, 상기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상 상기 메시지의 수신자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즉시 확인하기를 원하므로 상기 메시지수신모듈은 상기 메시지를 메모리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도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통신기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는 상기 통신기기에 내장된 하드웨어를 변경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신규로 생산되는 통신기기는 하드웨어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 생산되어 판매된 통신기기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방법은, 시작식별신호 검출단계와, 광고삽입단계와, 메시지전송단계와, 종료식별신호 전송단계를 갖는다.
상기 시작식별신호 검출단계는, 접속국에서 발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시작식별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이며,
상기 광고삽입단계는, 상기 시작식별신호 검출단계에서 시작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시작식별신호 이후의 신호를 저장부에 임시 저장하고, 광고를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메시지전송단계는, 상기 광고삽입단계에서 광고의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었던 메시지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며,
상기 종료식별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메시지전송단계에서 메시지의 전송이종료되면, 종료식별신호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속국에서는 각각의 통신기기간의 통화신호중에 포함된 시작식별신호를 검출하여, 시작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시작식별신호 이후의 메시지를 저장부에 임시 저장하고, 사전에 제작된 광고를 상기 시작식별신호 직후에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광고의 전송이 끝나면,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고, 메시지의 전송이 끝나면 종료식별신호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한다. 즉, 상기 시작식별신호와 상기 메시지의 사이에 광고를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종료식별신호는 상기 접속국에서 새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고의 전후에는 광고임을 표시하는 식별신호를 추가로 부착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 광고의 전후에는 상기 광고의 상태 즉, 문자, 숫자, 이미지, 동영상 등을 구분하는 식별신호를 추가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국은 송신통신기기측의 접속국, 수신통신기기측의 접속국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다 일 수도 있다.
상기 종료식별신호전송단계 다음에는, 상기 송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소리신호가 실시간으로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되도록 보정하는 소리신호보정단계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가 송신통신기기로부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된 후에 평상시의 통화상태와 동일하게 통화를 할 수 있다. 소리신호보정단계를 거치지 않으면, 소리신호의 전달에 시간적 격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속국의 저장부에는 계속하여 송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저장하여야 하므로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종료식별신호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한 후에는 소리신호보정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리신호 보정은 상기 송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종료식별신호 다음의 소리신호중 일정부분(광고의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을 무시하고 그 이후의 신호를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소리신호의 보정은 상기 접속국에서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종료식별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송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로 중개하므로써 보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방법은, 종료식별신호 검출단계와, 광고전송단계와, 종료식별신호 전송단계를 갖기도 한다.
상기 종료식별신호 검출단계는, 접속국에서 발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종료식별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이며,
상기 광고전송단계는, 상기 종료식별신호를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지 않고, 광고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며,
사이 종료식별신호 전송단계는, 상기 광고전송단계에서 광고의 송신이 종료되면, 종료식별신호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속국에서는 각각의 통신기기간의 통화신호중에 포함된 종료식별신호를 검출하여, 종료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종료식별신호 및 이후의 신호를 무시하고, 사전에 준비된 광고를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광고의 전송이 끝나면, 종료식별신호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한다. 즉, 메시지부와 종료식별신호사이에 광고를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종료식별신호는 송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된 것을 저장하였다가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접속국에서 새로 생성하여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광고의 전후에는 광고임을 표시하는 식별신호를 추가로 부착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 광고의 전후에는 상기 광고의 상태 즉, 문자, 숫자, 이미지, 동영상 등을 구분하는 식별신호를 추가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종료식별신호전송단계 다음에는, 상기 송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소리신호가 실시간으로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되도록 보정하는 소리신호보정단계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가 송신통신기기로부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된 후에 평상시의 통화상태와 동일하게 통화를 할 수 있다. 소리신호의 보정은 상기 접속국에서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종료식별신호를 전송한 후에 상기 송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로 중개하므로써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통신 시스템 및 신호의 구성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시스템 개략도이며, 도2는 신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은 크게 통신기기(10, 12)와, 접속국(30, 32)과, 상기 접속국들을 연결하는 전화통신망(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국(30, 32)은 상기 통신기기(10, 12)들이 동일한 구역내에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접속국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국(30, 32)은 휴대폰을 위한 기지국일 수도 있고, 유선전화를 위한 전화국일 수도 있다.
실시예1에 의한 통신기기(10, 12)는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화부(110), 수화부(120), 입력부(130), 특정키(132), 디스플레이부(140), 송수신부(150), 메모리부(160), 메시지송신모듈(170), 검출모듈(180), 메시지수신모듈 (190)로 구성된다. 상기 송화부(110), 수화부(120),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 (140), 송수신부(150), 메모리부(160)들은 통상의 통신기기에도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기기(10, 12)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신호(82), 시작식별신호(40), 메시지(50), 종료식별신호(60), 소리신호(80)의 순서로 전송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특정키(132)는 통화중에 메시지(50)를 송신하는 기능이 배정되어 있다.
상기 메시지송신모듈(170)은 상기 특정키(132)가 작동되면 상기 송화부(110)의 기능을 차단시키며, 시작식별신호(40)와 메시지(50)와 종료식별신호(60)를 차례로 상기 송수신부(150)를 통하여 전송하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송화부(110)의 기능을 회복시킨다.
상기 검출모듈(180)은, 통화중에 상대방의 통신기기(12)로부터 전송되는 시작식별신호(40)와 종료식별신호(50)를 검출한다.
상기 메시지수신모듈(190)은 상기 검출모듈(180)에 의해 시작식별신호(40)가 검출되면 수화부(120)의 기능을 차단시키고, 검출모듈(180)이 종료식별신호(60)를 검출하기전까지의 신호 즉 메시지(50)를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하며, 상기 검출모듈(180)에 의해 종료식별신호(60)가 검출되면 수화부(120)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도면부호 미표시)는 종래의 통신기기에 의한 모듈들을 포함하며, 상기 송화부(110), 수화부(120), 입력부(130), 특정키(132), 디스플레이부(140), 송수신부(150), 메모리부(160), 메시지송신모듈(170), 검출모듈(180), 메시지수신모듈(190) 등을 상호 연결시키며, 이들의 작동순서 및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기기(10, 12)에 의해 생성되고 전송되는 신호의 구조는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통상의 연결된 소리신호(82와 80)의 중간이 절단되고 시작식별신호(40), 메시지(50), 종료식별신호(60)가 삽입되어 전송되며, 이중에 메시지(50)는 다른 통신기기(12, 10)에서 복조되어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2 : 광고방법에 대한 신호의 변환과 플로우
본 발명은 또한 실시예1에 의한 통신기기(10, 12)를 이용한 광고방법을 제공하기도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신호의 변환도이며, 도4는 흐름도이다.
실시예2에서는 도1에서 기재된 통신기기(10, 12)에 다른 명칭(도면부호 10은 송신통신기기로, 도면부호 12는 수신통신기기)을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3의 상부에 있는 신호는 송신통신기기(10)에서 발생시킨 신호로서, 도2와 같은 형태이다. 상기 송신통신기기(10)의 접속국(30)에서는 전송통신기기(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시작식별신호(40)와 메시지(50)사이에 광고(70)을 삽입하여 수신통신기기(12)로 전송한다. 송신통신기기(10)에서 발생한 소리신호(80)중 일부는 상실(제거)되는 진행과정을 표시하였다. 상기 광고(70)는 상기 메시지(50)와 종료식별신호(60)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4는 접속국(30)에서 광고(70)를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접속국(30)에서는 송신통신기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시작식별신호(40)를 검출하는 시작식별신호검출단계(S1)를 거친다.
시작식별신호검출단계(S1)에서 시작식별신호(40)가 검출되면, 상기 시작식별신호(40) 다음에 전송되는 메시지(50)를 접속국(3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수신통신기기(12)로 송신하지 않음)하면서, 광고를 수신통신기기(12)로 송신하는 광고삽입단계(S2)를 거친다. 상기 광고삽입단계(S2)는 광고의 송신이 완료되어도 메시지(50)의 길이에 따라 메시지(50)를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광고삽입단계(S2)에서 광고의 송신이 완료되면, 접속국(30)에서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50)를 독출하여 수신통신기기(12)로 송신하는 메시지전송단계(S3)를 거친다.
종료식별신호(60)가 검출될 때 메시지(50)의 송신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메시지(50)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메시지(50)의 송신이 완료되면, 송신통신기기(10)로부터 수신된 종료식별신호(60) 또는 접속국(30)에서 발생시킨 종료식별신호(60)를 수신통신기기(12)로 송신하는 종료식별신호전송단계(S6)를 거친다.
상기 종료식별신호전송단계(S6)후에 송신통신기기(1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신호(80) 중 종료식별신호(60)의 전송이 종료되는 순간에 수신되는 소리신호(80)이후의 소리신호를 수신통신기기(12)로 송신되도록 중개한다(소리신호보정 : S7).
상기 단계들을 거쳐 수신통신기기(12)로 전송된 광고(70)와 메시지(50)는 수신통신기기(12)의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 3 : 또 다른 광고방법에 대한 플로우
실시예3은 메시지(50)과 종료식별신호(60)의 사이에 광고(70)가 삽입된다는 측면에서 실시예2와 다르다. 신호의 변환도는 실시예2의 도3에서 광고(70)의 위치가 메시지(50)와 종료식별신호(60)의 사이로 옮겨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3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흐름도이다.
도5를 살펴보면, 실시예3에서는 송신통신기기(10)로부터 전송되는 시작식별신호(40)를 검출하지 않고, 종료식별신호(60)를 검출한다(종료식별신호 검출단계 : S4).
종료식별신호(60)가 검출되면, 종료식별신호(60)가 수신통신기기(12)로 전송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광고를 수신통신기기(12)로 송신한다(광고송신단계 : S5).
광고송신단계(S5)에서 광고(70)의 송신이 종료되면, 종료식별신호(60)를 송신한다(종료식별신호전송단계 : S6). 상기 종료식별신호(60)는 상기 송신통신기기 (10)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도 있고, 접속국(30)에서 생성시킨 것일 수도 있으나, 송신통신기기(10)에서 발생하는 종료식별신호(60)가 동일할 것이므로 접속국(30)에서 생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속국(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저장부가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종료식별신호전송단계(S6)를 거친후에는 상기 종료식별신호(60)의 전송완료시점이후로 수신되는 송신통신기기(10)의 소리신호(80)를 수신통신기기(12)로 송신(소리신호보정단계 : S7)한다.
상기 단계들을 거쳐 수신통신기기(12)로 전송된 광고(70)와 메시지(50)는 수신통신기기(12)의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중에 소리신호에 삽입하여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므로 통화상대자에게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며, 불필요한 단문메시지서버를 통하지 않으므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메시지의 전후에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가 있으므로 음성신호와 메시지가 완전하게 분리되어 처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송화부와, 수화부와,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송수신부와, 메모리부를 포함하며, 각종 통신망 및 접속국을 통하여 다른 통신기기와 통화할 수 있는 통신기기에 있어서,
    통화중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이 배정된 특정키와;
    상기 특정키가 작동되면, 상기 송화부의 기능을 차단시키고, 시작식별신호와 메시지와 종료식별신호를 차례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송화부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메시지송신모듈과;
    통화중에 다른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시작식별신호와 종료식별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모듈과;
    상기 검출모듈에 의해 시작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모듈이 종료식별신호를 검출하기전까지의 신호 즉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메시지수신모듈;을 갖는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수신모듈은,
    상기 검출모듈에 의해 시작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수화부의 기능을 차단시키고, 상기 검출모듈에 의해 종료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수화부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내용이거나, 상기 입력부가 조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으로서, 문자, 숫자, 이미지, 동영상, 소리,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수신모듈은,
    상기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의한 통신기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제1항 내지 제4항에 의한 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있어서,
    접속국에서 발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시작식별신호를 검출하는 시작식별신호 검출단계와;
    상기 시작식별신호 검출단계에서 시작식별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시작식별신호 이후의 신호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광고를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광고삽입단계와;
    상기 광고삽입단계에서 광고의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단계와;
    상기 메시지전송단계에서 메시지의 전송이 종료되면, 종료식별신호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종료식별신호전송단계;를 갖는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에 의한 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있어서,
    접속국에서 발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종료식별신호를 검출하는 종료식별신호 검출단계와;
    상기 종료식별신호를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지 않고, 광고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광고전송단계와;
    상기 광고전송단계에서 광고의 송신이 종료되면, 종료식별신호를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종료식별신호 전송단계;를 갖는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식별신호 전송단계 다음에,
    상기 송신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소리신호가 실시간으로 상기 수신통신기기로 전송되도록 보정하는 소리신호보정단계;를 추가로 갖는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20010037215A 2001-06-27 2001-06-27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이용한광고방법 KR20030000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215A KR20030000939A (ko) 2001-06-27 2001-06-27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이용한광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215A KR20030000939A (ko) 2001-06-27 2001-06-27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이용한광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939A true KR20030000939A (ko) 2003-01-06

Family

ID=2771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215A KR20030000939A (ko) 2001-06-27 2001-06-27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이용한광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093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366A (ja) * 1992-04-01 1994-08-05 Nippon Denki Internatl Toreeningu:Kk 自動車電話の話中加入者へのメッセージ送出方式
KR0169593B1 (ko) * 1996-05-30 1999-02-01 양승택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통화중(사용중)인 단말기로 단문 서비스 제공방법
JP2000115399A (ja) * 1998-09-30 2000-04-21 Nec Saitama Ltd メッセージ通知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00035926A (ko) * 1996-08-29 2000-06-26 밀러 럿셀 비 무선 문자 메세지로부터 전화번호를 삽입 및 취출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020066805A (ko) * 2001-02-14 2002-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366A (ja) * 1992-04-01 1994-08-05 Nippon Denki Internatl Toreeningu:Kk 自動車電話の話中加入者へのメッセージ送出方式
KR0169593B1 (ko) * 1996-05-30 1999-02-01 양승택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통화중(사용중)인 단말기로 단문 서비스 제공방법
KR20000035926A (ko) * 1996-08-29 2000-06-26 밀러 럿셀 비 무선 문자 메세지로부터 전화번호를 삽입 및 취출하는 방법 및시스템
JP2000115399A (ja) * 1998-09-30 2000-04-21 Nec Saitama Ltd メッセージ通知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20066805A (ko) * 2001-02-14 2002-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9286C (zh) 移动电视电话的接收及发送方法和移动电话电视终端
US200402036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tmf wireless handset based text messaging
KR20070114606A (ko) 통신 시스템과 VoIP기기 및 데이터 통신방법
US20080045252A1 (en)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picture of sms message in terminal including sms function and terminal thereof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20050041742A (ko)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2618A (ko) 송/수신 메시지 동시 표시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메시지 표시방법
KR20030000939A (ko) 통화중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기기 및 이를이용한광고방법
JP2737672B2 (ja) 携帯情報通信装置
KR100644567B1 (ko) 무응답시 화상메시지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711715B1 (ko) 핸즈프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0148745B1 (ko) 송신기를 이용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100615642B1 (ko) 음성인식 티브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617543B1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부재중 수신메시지목록 확인기능이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16468B1 (ko) 발신자 정보 표시장치
JP2963045B2 (ja) 携帯型通信装置
KR20030050025A (ko) 공중통신망용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장치 및 그방법
KR20020080072A (ko) 무선 전화 기능을 갖는 영상 전화기
KR10060096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적외선 통신 방법
JPH1126172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KR10039378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미지파일 전송 방법
JPH09139766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及び情報伝送方法
KR20080090674A (ko) 이동 단말 및 sms메시지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
KR200400770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송신 방법
KR2006008777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통화 정보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