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014Y1 -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 Google Patents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014Y1
KR200253014Y1 KR2020010023763U KR20010023763U KR200253014Y1 KR 200253014 Y1 KR200253014 Y1 KR 200253014Y1 KR 2020010023763 U KR2020010023763 U KR 2020010023763U KR 20010023763 U KR20010023763 U KR 20010023763U KR 200253014 Y1 KR200253014 Y1 KR 200253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switch
terminal
hub
usb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7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현기
Original Assignee
(주)디지탈이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탈이지스 filed Critical (주)디지탈이지스
Priority to KR2020010023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01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014Y1/en

Links

Landscapes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USB 허브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신호의 단방향성과 USB 허브와 USB 디바이스간의 이격 거리 제한이라는 단점을 해결한 USB 허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hub that solves the disadvantages of signal unidirectionality and limitation of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 USB hub and a USB device in a network system using a USB hub.

본 고안은 허브의 교환 없이 상기 허브에 내장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마스터 기능과 슬레이브 기능 사이에 전환을 할 수 있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에 있어서, 컴퓨터에 장착된 USB 단자(31)와 스위치 1(38)을 통하여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단자(33), 상기 메인 단자(33)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USB 1 단자 (34), USB 2 단자(35), USB 3 단자(36) 및 USB 4 단자(37)를 구비하고, 상기 USB 1 단자(34)만 상기 USB 허브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단자들은 모두 상기 USB 허브의 내부로 매입되는 4 포트 USB 허브(30)와, 상기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을 제어하는 스위치 1(38,39), 스위치 2(40,41), 스위치 3(42) 및 스위치 4(43)가 상기 4 포트 USB 허브(30)와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3(42)과 상기 스위치 4(43)에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는 USB 리피터(44,45), 상기 USB 4 단자(37)에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며 다른 컴퓨터에 장착된 USB 단자(32)에 연결되는 인터넷 공유기(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B hub capable of establishing a network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a master function and a slave function by operating a switch built in the hub without exchanging the hub. The USB terminal 31 and the switch 1 ( 38, a main terminal 33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computer, a USB 1 terminal 34 for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main terminal 33, a USB 2 terminal 35, and a USB 3 terminal 36 And a 4-port USB hub 30, wherein only the USB 1 terminal 34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USB hub, and all the remaining terminals are embedded into the USB hub. Switch 1 (38,39), Switch 2 (40,41), Switch 3 (42), and Switch 4 (43), which control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transmitted, are connected to the 4-port USB hub 30 by a line on the board. Connected to the switch 3 (42) and the switch 4 (43) in a line on a substrate. Network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B repeater (44,45), the Internet sharer 46 is connected to the USB 4 terminal 37 by a line on the board and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32 mounted on another computer It offers a USB hub available.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는 USB 허브의 계층 구조에서 신호의 단방향성과 신호 감쇠에 의한 USB 허브와 USB 디바이스 사이의 이격 거리 제한이라는 단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게 된다.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mproves the disadvantage of limi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SB hub and the USB device due to signal unidirectionality and signal attenuation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USB hub.

Description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유에스비 허브{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본 고안은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유에스비 허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의 단방향성 및 USB 허브와 USB 디바이스간의 이격 거리 제한이라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유에스비 허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hub capable of establishing a networ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B hub capable of establishing a networking that can solve the disadvantages of signal unidirectionality and limitation of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 USB hub and a USB device.

유에스비버스(USB : 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칭함)는 컴퓨터와 주변 기기간의 연결을 위해 만든 통신 규약으로, 기존의 직렬 통신과 병렬 통신의 단점인 저속 모드, 케이블 설치의 불편함 등을 극복한 직렬 통신 포트의 일종이다. USB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기능과 핫 플러깅(Hot Pluging) 기능을 지원한다. 플러그 앤 플레이란 컴퓨터 본체에 주변 기기를 연결할 때 컴퓨터가 자신의 시스템에 연결된 장치를 스스로 인식하는 것이고, 핫 플러깅이란 컴퓨터가 동작하고 있더라도 컴퓨터의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언제든지 컴퓨터의 본체에 주변 장치를 바로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USB (Universal Serial B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B') is a communication protocol designed to connect computers and peripheral devices. It is a kind of serial communication port that was overcome. USB supports Microsoft's Plug & Play and Hot Pluging features. Plug and play means that the computer recognizes the devices connected to your system when you connect the peripherals to the computer. Hot plugging means that you can insert peripherals into the computer at any time, even if the computer is running, without turning off the computer. The ability to connect or disconnect directly.

요즘은 그림 파일 하나가 요구하는 메모리 저장 용량이 100 메가바이트 (Megabyte)를 초과하는 경우도 흔하고, 동영상 파일이나 음성 파일은 수백 메가바이트 이상의 저장 공간을 요구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처럼 커다란 용량의 데이터를 기존의 직렬 포트(Serial Port)나 병렬 포트(Parallel Port)를 이용하여 송수신하기는 무척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USB는 1.5 메가비피에스(Mbps : Megabyte Per Second)의 저속 모드(Low Speed Mode)와 12 메가비피에스의 고속 모드(High Speed Mode)의 두 가지 전송 모드를 모두 지원하고 있다. 저속 모드는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조이스틱(Joystick) 등의 주변 기기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속 모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씨디-롬(CD-ROM), 디비디(DVD : Digital Video Disk), 디지털 카메라, 집 드라이브(Zip Drive), 스캐너 (Scanner), 프린터(Printer) 등의 주변 기기에 주로 사용된다.Nowadays, the amount of memory required by a picture file exceeds 100 megabytes, and video and audio files typically require hundreds of megabytes or more of storage space. It is very difficult to send and receive such a large amount of data using a conventional serial port or parallel port. To solve these problems, USB supports both 1.5 Megabyte Per Second (Mbps) Low Speed Mode and 12 Megabits High Speed Mode. . The low speed mode is mainly used for peripheral devices such as keyboard, mouse, joystick, etc., and the high speed mode is hard disk, CD-ROM, DVD (DVD: Digital). It is mainly used for peripheral devices such as video disk, digital camera, zip drive, scanner and printer.

또한, USB는 하나의 버스(Bus)에 최대 127 개의 주변 장치를 연결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이를 사용하면 종래의 직렬 포트나 병렬 포트를 사용할 때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는 주변 장치가 많아지는 경우 다수의 통신 케이블들이 서로 얽혀서 매우 복잡했던 컴퓨터의 뒷면을 깔끔하게 정리 할 수 있다.In addition, USB can be used simultaneously by connecting up to 127 peripheral devices on one bus, which can be used when a large number of peripheral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computer body when using a conventional serial or parallel port. The communication cables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to help clean up the back of the computer, which was very complicated.

위에서 열거한 여러가지 장점들로 인하여, 최근 개인용 컴퓨터에는 기본 사양으로 USB를 장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종래의 직렬 포트와 병렬 포트의 사용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Due to the various advantages listed above, in recent years, personal computers have been increasingly equipped with USB as a standard, and the use of conventional serial and parallel ports is gradually decreasing.

USB를 이용한 네트워킹 구성은 기본적으로 호스트(Host), 허브(Hub), 디바이스(Device)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USB 호스트는 모든 USB 연결의 중심으로서, 하드웨어적으로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USB Host Controller)라고 한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는 버스에 연결된 각 주변 기기가 요구하는 드라이버 (Driver),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Networking configuration using USB is basically composed of three types: Host, Hub and Device. The USB host is the center of all USB connections, and in hardware it is called a USB Host Controller. The USB host controller manages and controls the flow of drivers, software and data required by each peripheral connected to the bus.

USB 허브는 여러 개의 USB 디바이스들이 USB 호스트 컨트롤러 하나의 출력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장치이다. USB 허브는 하향 포트 (Downstream Port)에 디바이스(Device)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각각의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전력값을 알아낸다. 또한, USB 허브는 하향 포트가 저속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고속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별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A USB hub is a device that allows multiple USB devices to share the output of a single USB host controller. The USB hub detects whether a device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port and finds the power value required for each device. In addition, the USB hub processes the data by determining whether the down port is set to the low speed mode or the high speed mode.

USB 디바이스는 USB 케이블을 통하여 USB 허브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직접 컴퓨터 본체의 USB 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장치로서, 하나의 USB 버스에 최대 127 개의 주변 장치가 연결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저속 및 고속 모드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장치가 사용된다.A USB device is a device connected to a USB hub through a USB cable or directly connected to a USB terminal of the computer main body. Up to 127 peripheral devices can be connected to one USB bu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different devices are used.

USB 케이블에는 4개의 물리적인 통신선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2개의 선은 호스트와 디바이스간에 테이터를 전송하고 나머지 2개의 선은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을 적게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직접 USB 버스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 USB 버스에서 제공하는 전류를 이용해 디바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USB 버스에서 제공하는 전류보다 많은 전류를 사용하는 디바이스는 별도의 전원 어댑터(Adaptor)를 사용해야 한다. 전원 어댑터를 사용하는USB 버스를 통해서 호스트가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류는 통상 500 mA이다.The USB cable contains four physical communication lines, two of which transfer data between the host and the device, and two of which provide power. Supplying power directly to a low-power device via a USB bus has the advantage of operating the device using the current provided by the USB bus without a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Of course, devices that use more current than the USB bus provides must use a separate power adapter. The maximum current that the host can supply over a USB bus using a power adapter is typically 500 mA.

USB 포트의 핀(Pin) 구조를 보면 총 4개의 핀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타입이 있다.If you look at the pin structure of the USB port, it consists of four pins. There are two types.

도 1은 USB 포트 타입 A의 구조와 포트 타입 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USB port type A and the structure of port type B. FIG.

도 1을 설명하면, USB 포트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타입 A(11)는 좌측부터 1번 핀, 2번 핀, 3번 핀, 4번 핀이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타입 B(12)는 위쪽은 좌측부터 1번 핀과 3번 핀이고, 아래쪽도 좌측부터 2번 핀과 4번 핀이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타입 A와 타입 B의 1번 핀과 4번 핀은 전원 공급에 쓰이고, 2번 핀과 3번 핀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데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1, when the USB port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type A 11 has a structure in which pins 1, 2, 3, and 4 are arranged from the left side, and a type B 12 is disposed. The upper part is pin 1 and pin 3 from the left side, and the pin 2 and pin 4 are arranged from the left side down. Pins 1 and 4 of Type A and Type B are used for power supply, and Pins 2 and 3 ar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도 2는 USB 허브를 단방향 트리(Tree) 구조로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SB hub is configured in a unidirectional tree structure.

USB 포트에서 2개 내지 4개, 또는 그 이상의 포트를 제공하기 위해 쓰이는 장치가 USB 허브인데, 기존의 USB 허브의 계층 구조는 단방향 트리 형태로서 다단으로 연결할 경우, 컴퓨터의 USB 단자에 직접 연결되는 USB 허브가 마스터(Master)로 정해지면, 나머지 USB 허브들은 슬레이브(Slave)로 자동적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즉 도 2를 보면, 통신선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미도시)의 USB 단자에 연결되는 허브가 마스터로 동작하게 되면 다음 단에 연결되는 허브는 슬레이브로 고정되는 단방향 구조인데, 만약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허브를 마스터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USB 허브를 떼어 내어 컴퓨터(미도시)의 USB 단자에 다시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he device used to provide two to four or more ports on the USB port is a USB hub.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USB hub is a one-way tree, which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computer's USB port when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Once the hub is set to Master, the rest of the USB hubs are automatically fixed as slaves. That is, referring to Figure 2, when the hub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of the comput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is operated as a master hub connected to the next stage is a unidirectional structure that is fixed as a slave, if the hub to operate as a slave In order to operate as a master, it was inconvenient to remove a USB hub acting as a slave and reconnect it to a USB terminal of a computer (not shown).

또한 USB 케이블로 데이터 통신을 할 경우, USB 케이블의 길이가 5 m를 넘어가면 신호의 감쇠가 현저하게 되어 통신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므로 USB 허브와 USB 디바이스간의 이격 거리가 제한된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In addition, when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USB cable, when the length of the USB cable exceeds 5 m, signal attenuation becomes remarkable and communication quality is degraded.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USB hub and the USB device is limited.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USB의 단방향 계층 구조와 신호 감쇠에 의한 USB 허브와 디바이스간의 이격 거리 제한이라는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USB 허브 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hub device for simultaneously solving the problem of limi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SB hub and the device due to the signal unidirectional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USB.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허브의 교환 없이 상기 허브에 내장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마스터 기능과 슬레이브 기능 사이에 전환을 할 수 있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에 있어서, 컴퓨터에 장착된 USB 단자와 스위치 1을 통하여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단자, 상기 메인 단자(33)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USB 1 단자, USB 2 단자, USB 3 단자 및 USB 4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USB 1 단자만 상기 USB 허브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단자들은 모두 상기 USB 허브의 내부로 매입되는 4 포트 USB 허브와, 상기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을 제어하는 스위치 1, 스위치 2, 스위치 3 및 스위치 4가 상기 4 포트 USB 허브와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3과 상기 스위치 4에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는 USB 리피터, 상기 USB 4 단자에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며 다른 컴퓨터에 장착된 USB 단자에 연결되는 인터넷 공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SB hub capable of establishing a network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the master function and the slave function by operating the switch built in the hub without replacing the hub, the USB terminal mounted on the computer and switch 1 A m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to receive a signal from a computer, a USB 1 terminal, a USB 2 terminal, a USB 3 terminal, and a USB 4 terminal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main terminal 33; A four-port USB hub that protrudes out of the hub and the remaining terminals are all embedded inside the USB hub, and switches 1, switch 2, switch 3, and switch 4 that control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are located in the four-port USB hub. And a USB repeater connected by a line on a board, and connected to the switch 3 and the switch 4 by a line on a board, and a board connected to the USB 4 terminal. In connection with the line and provides the network construction is possible USB hub comprising: a router which is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connected to another computer.

도 1은 USB 포트 타입 A와 타입 B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USB port Type A and Type B;

도 2는 USB 허브를 단방향 트리 구조로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SB hub is configured in a unidirectional tree structur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마스터로 동작할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master,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좌입 슬레이브로 동작할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seated slav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우입 슬레이브로 동작할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right slave,

도 6은 USB 허브를 이용하여 원형 네트워킹을 구축할때 발생하는 신호의 루핑 현상을 보여주는 예시도,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ooping signal of a signal generated when establishing a circular networking using a USB hub;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좌입 슬레이브로 동작할 경우의 루핑 방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looping prevention whe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left slave;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우입 슬레이브로 동작할 경우의 루핑 방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looping prevention whe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right slav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1 : USB 포트 타입 A 12 : USB 포트 타입 B11: USB port type A 12: USB port type B

31, 32 : 컴퓨터의 USB 단자 33 : 상향 포트31, 32: USB port on the computer 33: Up port

34 : USB 1 단자 35 : USB 2 단자34: USB 1 terminal 35: USB 2 terminal

36 : USB 3 단자 37 : USB 4 단자36: USB 3 terminal 37: USB 4 terminal

38, 39 : 스위치 1 40, 41 : 스위치 238, 39: switch 1 40, 41: switch 2

42 : 스위치 3 43 : 스위치 442: switch 3 43: switch 4

44, 45 : USB 리피터 46 : 인터넷 공유기44, 45: USB Repeater 46: Router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마스터로 동작할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master.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신호나 데이터가 흐르는 회선을 표시한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신호나 테이터가 흐르지 않는 회선을 표시한 것이다.In the drawing, the part indicated by a solid line indicates a line through which a signal or data flows, and the part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dicates a line where a signal or data does not flow.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4 포트 무 전원 USB 허브(30)를 사용하였다. 좌/우측 스위치 1(38,39)과 좌/우측 스위치 2(40,41)는 실제로는 항상 같은 ON/OFF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에서 컴퓨터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는 스위치 1(38,39), 스위치 2(40,41), 스위치 3(42), 스위치 4(43)로 네 개가 된다. 즉, 좌측 및 우측 스위치 1, 2는 도면에서는 별개인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서로 통합되어 제작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4-port non-powered USB hub 30 was used. Since the left / right switch 1 (38,39) and the left / right switch 2 (40,41) are always kept in the same ON / OFF state, the switch operated by the computer user i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witch 1 There are four (38,39), switches 2 (40, 41), switches 3 (42), and switches 4 (43). That is, the left and right switches 1 and 2 are shown as separate in the figures but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manufactured.

USB 허브(30)가 마스터로 동작한다는 것은 통신선과 직접 연결되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본체(미도시)의 USB 단자(31)에 USB 허브(30)가 USB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operation of the USB hub 30 as a master means that the USB hub 30 is connected to a USB terminal 31 of a computer main body (not shown) directly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and capable of internet communication.

다음 도면들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USB 허브를 마스터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스위치 1(38,39), 스위치 2(40,41), 스위치 3(42), 스위치 4(43) 모두를 ON 상태로, 좌입 슬레이브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스위치 1(38,39)과 스위치 2(40,41)는 OFF 상태로, 스위치 3(42)과 스위치 4(43)는 ON 상태로, 우입 슬레이브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스위치 1(38,39)은 OFF 상태로, 스위치 2(40,41)과 스위치 3(42) 및 스위치 4(43)는 ON 상태로 이미 조작되어져 있다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겠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figures, switch 1 (38, 39), switch 2 (40, 41), switch 3 (42), and switch 4 (43) are all turned on to operate the USB hub as a master. Switch 1 (38, 39) and Switch 2 (40, 41) are in the OFF state to operate as slaves, Switch 3 (42) and Switch 4 (43) are in the ON state, and switch 1 ( 38 and 39 are in the OFF state, and the switch 2 (40, 41), the switch 3 (42) and the switch 4 (43) will be explai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y have already been operated in the ON state.

도 3에 대해 설명하면, 컴퓨터의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USB 단자(31)로부터 출력되어 나오는 신호는 USB 단자(31)에 연결되어 있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USB 허브에 부착되어 있는 스위치 1(38)로 전달된다. 좌측 스위치 1(18)이 ON 상태이므로 상기 신호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상향 단자(Upstream Port)인 메인 단자(33)로 입력되고, 메인 단자 (33)는 USB 허브(30) 내의 모든 단자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ignal output from the USB terminal 31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is transferred to the switch 1 38 attached to the USB hub through the USB cable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31. Delivered. Since the left switch 1 (18) is in the ON state, the signal is inputted to the main terminal 33, which is an upstream port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the main terminal 33 is connected to all terminals in the USB hub 30. Will be delivered.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예를 보면 USB 1 단자(34)는 주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시켜 제작하게 되므로 컴퓨터 사용자는 USB 1 단자(34)에 USB용 케이블을 연결하여 주변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xample shown in FIG. 3 shows that the USB 1 terminal 34 is opened to be used by connecting a peripheral device, so that a computer user can connect a USB cable to the USB 1 terminal 34 to connect the peripheral device. The device becomes available.

메인 단자(33)로부터 USB 2 단자(35)로 입력된 상기 신호는 좌측 스위치 2(40)로 전달되고, 좌측 스위치 2(40)가 ON 상태이므로 상기 신호는 스위치 3(42)으로 전달된다. 한편, USB 2 단자(35)로 입력된 상기 신호는 스위치 3(42)이 ON 상태이므로 좌측 USB 리피터(44)로 전달되고, 좌측 USB 리피터(44)에서 상기 신호가 증폭되어 다음 단, 즉 하위 단의 USB 허브로 전달되게 된다. 이렇게 USB 허브(30)에 USB 리피터를 연결하여 장착함으로써 종래의 USB 허브의 거리 제한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게 된다.The signal input from the main terminal 33 to the USB 2 terminal 35 is transmitted to the left switch 2 40,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3 42 because the left switch 2 40 is in the ON state.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input to the USB 2 terminal 35 is transferred to the left USB repeater 44 because the switch 3 (42) is ON, the signal is amplified in the left USB repeater 44 to the next stage, that is, lower It will be delivered to a USB hub. By connecting the USB repeater to the USB hub 30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USB hub is remarkably improved.

한편, 메인 단자(33)로부터 USB 3 단자(36)로 입력된 상기 신호는 우측 스위치 1(39)로 전달되고, 우측 스위치 1(39)이 ON 상태이므로 상기 신호는 우측 스위치 2(41)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신호는 우측 스위치 2(41)이 ON 상태이므로 스위치 4(43)로 전달되고 스위치 4(43)도 ON 상태이므로 우측 USB 리피터(45)로 전달되어 USB 2 단자(35)로 입력된 신호와 마찬가지로, 우측 USB 리피터(45)에서 상기 신호가 증폭되어 다음 단의 USB 허브로 전달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input from the main terminal 33 to the USB 3 terminal 36 is transmitted to the right switch 1 (39), and since the right switch 1 (39) is in the ON state, the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right switch 2 (41). Delivered.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4 (43) because the right switch 2 (41) is in the ON state, and the switch 4 (43) is also transmitted to the right USB repeater 45 because it is in the ON state is input to the USB 2 terminal (35) As with the signal, the signal is amplified in the right USB repeater 45 and delivered to the next stage USB hub.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를 마스터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스위치 1(38,39), 스위치 2(40,41), 스위치 3(42), 스위치 4(43) 모두를 ON 상태로 조작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perate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ster, all of switches 1 (38, 39), switches 2 (40, 41), switches 3 (42), and switches 4 (43) are turned on. Manipulat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 USB 4 단자(37)와 인터넷 공유기(46)는 회로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USB 4 단자(37)는 오픈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다른 컴퓨터의 USB 단자(32)만이 인터넷 공유기(46)를 통해서 USB 4 단자(37)를 사용해야 하는데 컴퓨터 사용자가 실수로 다른 USB 주변 장치를 오픈되어 있는 USB 4 단자(37)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오류를 범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에서는 USB 4 단자(37)는 안으로 매립되어 제작되어 진다. 즉,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에서는 USB 1 단자(34)만 밖으로 돌출되어 제작되고 나머지 단자들은 모두 안으로 매립된 형태로 제작된다. 인터넷 공유기는 소규모의 회사나 일반 가정에서 통신 비용을 절약하면서 모든 컴퓨터가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비이다. 즉, 인터넷 공유기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아 인터넷 통신이 되지 않는 컴퓨터에 인터넷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로서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30)에서는 인터넷 공유기(46)로서 브릿지(Bridge)를 사용하고 있다. 브릿지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을 상호 연결하는 접속 장치로서,브리지로 접속된 각각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들은 브리지를 통하여 다른 통신망에 접속하여 다른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B 4 terminal 37 and the router 46 is connected by a line on the circuit board, the USB 4 terminal 37 is in an open state. Therefore, only the USB terminal 32 of another computer should use the USB 4 terminal 37 through the router 46, but the computer user accidentally connects another USB peripheral device to the open USB 4 terminal 37. There is a risk of making an error.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mistake in advance, i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4 terminal 37 is made to be embedded in. That is, i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USB 1 terminal 34 is made to protrude out, and the remaining terminals are all embedded in the form. A router is a device that allows any computer to communicate while saving money in small businesses or homes. That is, the Internet router is a device that enables the Internet to a computer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using a computer capable of Internet communication is not Internet communication in the USB hub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ternet router 46 I use a bridge. A bridge is a connection device that interconnects two independent local area networks, and devices connected to each network connected by a bridge can use the functions provided by other networks by connecting to another network through the bridge. .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좌입 슬레이브로 동작할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when a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seated slave.

여기서, 좌입 슬레이브란 좌측 USB 리피터(44)를 통해 신호가 들어와서 우측 USB 리피터(45)를 통해 신호가 흘러 나가는 것을 말한다.Here, the left slave refers to the signal flowing through the left USB repeater 44 and the signal flowing through the right USB repeater 45.

도 4를 설명하면, 좌측 USB 리피터(44)로 입력된 신호는 스위치 3(42)으로 전달되고 스위치 3(42)이 ON 상태이므로 좌측 스위치 2(40)로 전달된 후, 좌측 스위치 2(40)가 OFF 상태이므로 우측 스위치 1(39)로 전달된다. 다시 상기 신호는 우측 스위치 1(39)이 OFF 상태이므로 좌측 스위치 1(38)로 전달되고, 좌측 스위치 1(38)이 OFF 상태이므로 메인 단자(33)로 입력되고 메인 단자(33)는 입력된 상기 신호를 모든 USB 단자로 전달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signal input to the left USB repeater 44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3 (42), and the switch 3 (42) is turned on, so it is transmitted to the left switch 2 (40), and then the left switch 2 (40). ) Is OFF, so it is transmitted to the right switch 1 (39). Again,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eft switch 1 (38) because the right switch 1 (39) is OFF, and the left switch 1 (38) is input to the main terminal (33) because the left switch 1 (38) is OFF, and the main terminal (33) is inputte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all USB terminals.

USB 1 단자(34)에는 USB 허브가 마스터로 동작할 때와 마찬가지로 주변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The USB 1 terminal 34 connects and uses peripheral devices as in the case where the USB hub operates as a master.

메인 단자(33)로부터 USB 2 단자(35)로 입력된 상기 신호는 우측 스위치 2(41)로 전달되고, 우측 스위치 2(41)가 OFF 상태이므로 스위치 4(43)로 전달된다. 스위치 4(43)가 ON 상태이므로 상기 신호는 우측 USB 리피터(45)로 입력된 후, 우측 USB 리피터(45)에서 상기 신호가 증폭되어 다음 단의 USB 허브로 전달된다.The signal input from the main terminal 33 to the USB 2 terminal 35 is transmitted to the right switch 2 41 and to the switch 4 43 because the right switch 2 41 is in the OFF state. Since switch 4 (43) is in the ON state, the signal is input to the right USB repeater 45, and then the signal is amplified in the right USB repeater 45 and transferred to the next stage USB hub.

메인 단자(33)로부터 USB 3 단자(36)로 입력된 상기 신호는 우측 스위치 1(39)이 OFF 상태이므로 더 이상 상기 신호가 전송되지 않게 된다.The signal input from the main terminal 33 to the USB 3 terminal 36 is no longer transmitted because the right switch 1 39 is in the OFF state.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USB 4 단자(35)와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공유기(46)에 다른 컴퓨터의 USB 단자(32)를 연결함으로써 다른 컴퓨터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by connecting the USB terminal 32 of another computer to the Internet router 46, which is connected by USB 4 terminal 35 with a line on the board, Internet communication of another computer is 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를 좌입 슬레이브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스위치 1(38,39) 및 스위치 2(40,41)는 OFF 상태, 스위치 3(42) 및 스위치 4(43)는 ON 상태로 조작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ating slave, switches 1 (38, 39) and 2 (40, 41) are turned off, and switches 3 (42) and 4 (43) are turned on. Should b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우입 슬레이브로 동작할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right slave.

여기서, 우입 슬레이브란 우측 USB 리피터(45)를 통해 신호가 들어와서 좌측 USB 리피터(44)를 통해 신호가 흘러 나가는 것을 말한다.Here, the right slave refers to a signal flowing through the right USB repeater 45 and flowing out through the left USB repeater 44.

도 5를 설명하면, 우측 USB 리피터(44)로 입력된 신호는 스위치 4(43)로 전달되고, 스위치 4(43)가 ON 상태이므로 우측 스위치 2(41)로 전달되고, 우측 스위치 2(41)가 ON 상태이므로 우측 스위치 1(39)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는 우측 스위치 1(39)이 OFF 상태이므로 좌측 스위치 1(38)로 전달되고, 좌측 스위치 1(38)이 ON 상태이므로 메인 단자(33)로 입력된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메인 단자(33)는 상기 신호를 모든 USB 단자로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ignal input to the right USB repeater 44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4 43, and the switch 4 43 is transmitted to the right switch 2 41 because the switch 4 43 is in an ON state. ) Is on, so it is transmitted to the right switch 1 (39).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eft switch 1 (38) because the right switch 1 (39) is OFF, and is input to the main terminal (33) because the left switch 1 (38) is the ON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terminal 33 transfers the signal to all USB terminals.

USB 2 단자(35)로 입력된 상기 신호는 좌측 스위치 2(40)로 전달되고, 좌측 스위치 2(40)가 ON 상태이므로 스위치 3(42)으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는 스위치 3(42)이 ON 상태이므로 좌측 USB 리피터(44)로 전달된 후, 좌측 USB 리피터(44)에서 증폭되어 다음 단의 USB 허브로 전달된다.The signal input to the USB 2 terminal 35 is transmitted to the left switch 2 40, and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3 42 because the left switch 2 40 is in an ON state.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eft USB repeater 44 since the switch 3 (42) is in the ON state, and then amplified by the left USB repeater 44 to the next stage USB hub.

USB 1 단자(34), USB 3 단자(36), USB 4 단자(37)은 도 4의 좌입 슬레이브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The USB 1 terminal 34, the USB 3 terminal 36, and the USB 4 terminal 37 have the same functions as described in the left slave of FIG. 4.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를 우입 슬레이브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스위치 1(38,39)은 OFF 상태, 스위치 2(40,41), 스위치 3(42), 스위치 4(43)는 ON 상태로 조작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ight slave, the switch 1 (38, 39) is operated in the OFF state, the switch 2 (40, 41), the switch 3 (42), and the switch 4 (43) in the ON state. Should be.

종래에는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USB 허브를 마스터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USB 허브 자체를 떼어 내어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의 USB 단자에 연결해야만 했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는 USB 허브 자체의 교환없이 스위치만을 조작함으로써 마스터나 슬레이브 양쪽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operate a USB hub acting as a slave, the USB hub itself acting as a slave had to be detached and connected to a USB terminal of a computer capable of communicating. However,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as a master or a slave by operating only a switch without replacing the USB hub itself.

지금까지 설명한 트리 구조도 넓은 의미의 선형 구조에 포함되는데, USB 허브를 이용한 네트워크의 구조가 선형일 경우는 아무런 문제 없이 네트워킹이 가능하지만, 네트워크의 구조가 원형으로 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USB 허브를 원형 구조로 배치하면 마지막 단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된 USB 허브로부터 나오는 신호들이 충돌하게 되어 루핑(Loop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e tree structure described so far is included in a linear structure in a broad sense. If the network structure using the USB hub is linear, networking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problem, but a problem occurs when the network structure becomes circular. That is, when the USB hub is arranged in a circular structure, signals from the USB hubs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ast stage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by causing looping.

루핑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신호가 전송로에서 마땅히 흘러 들어갈 수 있는 연결된 단자나 소자가 없어서 네트워킹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Looping can cause problems for networking systems because there are no connected terminals or devices that can cause signals to flow in the transmission path.

도 6은 USB 허브를 이용하여 원형 네트워킹을 구축할때 발생하는 신호의 루핑 현상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looping signal of a signal generated when establishing a circular networking using a USB hub.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에서는 이러한 루핑 현상의 방지가 스위치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아주 쉽게 가능하게 된다.I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vention of such a looping phenomenon is made very easy by simply operating a switch.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좌입 슬레이브로 동작할 경우의 루핑 방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looping prevention whe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left slave.

즉, 도 4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서 좌측 USB 리피터(44)로부터 스위치 4(43)로 전달된 상기 신호는 스위치 4(43)을 OFF 상태로 조작하면 더 이상 상기 신호가 우측 USB 리피터(45)로 흐르지 않게 되므로 루핑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ft USB repeater 44 to the switch 4 43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no longer transmitted to the right USB repeater 45 when the switch 4 43 is operated in the OFF state. Since it does not flow,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oping phenomen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가 우입 슬레이브로 동작할 경우의 루핑 방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looping prevention when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right slave.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원리로 루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위치 3(42)을 OFF 상태로 조작하면 된다.In the same principl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switch 3 42 may be operated in an OFF state to prevent looping.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USB 허브는 상기 USB 허브가 설치될 사무실이나 집의 벽면 등에 매입할 수 있을 정도의 콘센트(Outlet) 크기로 제작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USB 허브를 이용한 네트워킹 구축에 드는 비용보다 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에 벽면 양쪽에 있는 USB 허브를 네트워크로 연결시킬 경우 많은 USB 케이블이 소요되었지만, USB 허브를 벽면에 매입하여 설치하면 별도의 USB 케이블이 필요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hub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to an outlet size such that it can be embedded in the wall of the office or home where the USB hub is to be installed. Therefore, networking can be easily implemented at a much lower cost than the cost of networking using a conventional USB hub. That is, in the past, when connecting the USB hubs on both sides of the network to the network takes a lot of USB cable, if you install a USB hub to the wall to install a separate USB cable is not required.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USB 허브는 USB 허브 자체의 교환 없이 단지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마스터 기능과 슬레이브의 기능 사이의 변환이 가능하게 되어 아주 간단하게 네트워킹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USB 허브 안에 USB 리피터를 장착해서 종래 USB 허브에서 나온 신호가 케이블 상에서 5 m 이상을 흐르게 되면 신호의 감쇠가 현저하게 일어나게 되어 테이터 전송이 불가능했던 종래의 단점을 보완해 최대 20 m 까지 신호의 큰 감쇠 없이 테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between the master function and the slave function by simply operating a switch without exchanging the USB hub itself, thereby enabling a very simple networking configuration. In addition, when the USB repeater is installed in the USB hub and the signal from the conventional USB hub flows over 5 m on the cable, the attenuation of the signal occurs remarkably, which compensates for the conventional disadvantage that data transmission is impossible.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without large attenuation.

또한, 상기 USB 허브 내부에 인터넷 공유기를 포함시켜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서 인터넷 통신이 되지 않는 컴퓨터의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리고 상기 USB 허브를 사무실이나 집의 벽면에 매입할 수 있을 정도의 콘센트 크기로 제작하여, 종래 USB 허브로 벽면 양쪽의 USB 허브들을 연결하여 네트워킹을 구축할 때 생기는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including an Internet router inside the USB hub,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et of a computer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USB hub may be manufactured to an outlet size enough to be purchased on a wall of an office or a home, thereby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establishing networking by connecting both USB hubs to a wall using a conventional USB hub.

즉, 종래 USB 허브를 이용하여 벽면 양쪽의 USB 허브를 연결할 경우에는 통로를 따라 많은 USB 케이블과 USB 리피터가 필요하게 되고, USB 케이블이 바닥에 얽혀서 설치되어 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connecting a USB hub on both sides of the wall using a conventional USB hub, a lot of USB cables and USB repeaters are needed along the passage, and the USB cable is entangled in the floor, which is not good for aesthetics. Done.

Claims (6)

허브의 교환 없이 상기 허브에 내장된 스위치의 조작으로 마스터 기능과 슬레이브 기능 사이에 전환을 할 수 있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에 있어서,In the USB hub that can be built networking that can switch between the master function and the slave fun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built in the hub without changing the hub, 컴퓨터에 장착된 USB 단자(31)와 스위치 1(38)을 통하여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단자(33), 상기 메인 단자(33)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USB 1 단자 (34), USB 2 단자(35), USB 3 단자(36) 및 USB 4 단자(37)를 구비하고, 상기 USB 1 단자(34)만 상기 USB 허브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단자들은 모두 상기 USB 허브의 내부로 매입되는 4 포트 USB 허브(30)와,A main terminal 33 connected to a USB terminal 31 mounted on a computer and a switch 1 (38) to receive a signal from a computer, a USB 1 terminal 34 to receive the signal from the main terminal 33, And a USB 2 terminal 35, a USB 3 terminal 36, and a USB 4 terminal 37, wherein only the USB 1 terminal 34 protrudes out of the USB hub, and all of the remaining terminals are inside the USB hub. 4 port USB hub (30) which is purchased, 상기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을 제어하는 스위치 1(38,39), 스위치 2(40,41), 스위치 3(42) 및 스위치 4(43)가 상기 4 포트 USB 허브(30)와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3(42)과 상기 스위치 4(43)에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는 USB 리피터(44,45),Switch 1 (38,39), Switch 2 (40,41), Switch 3 (42), and Switch 4 (43), which control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are routed from the 4-port USB hub 30 to the circuit board. USB repeaters 44 and 45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switch 3 (42) and the switch 4 (43) by a line on a substrate, 상기 USB 4 단자(37)에 기판상에서 회선으로 연결되며 다른 컴퓨터에 장착된 USB 단자(32)에 연결되는 인터넷 공유기(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And a USB router (46)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37) by a line on a board and connected to a USB terminal (32) mounted on another compu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USB 허브는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는 상기 인터넷 공유기(46)를상기 USB 4 단자(37)에 연결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The USB hub is a USB hub capable of establishing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the Internet router (46) to enable the Internet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the USB 4 terminal (37).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인터넷 공유기(46)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브릿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The Internet router (46) is a USB hub capable of establishing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dge having a function of interconnecting two local area networks to operate independent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USB 허브는 상기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신호가 USB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될 때 발생하는 신호의 감쇠를 보완해 주어 상기 USB 허브와 USB 디바이스 사이의 이격 거리를 연장시켜 주는 USB 리피터(44,45)를 상기 스위치 3(42)과 상기 스위치 4(43)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The USB hub amplifies the signal and compensates for the attenuation of the signal generated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USB cable to exte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SB hub and the USB device. Connected to the switch 3 (42) and the switch 4 (43) USB hub capable of establishing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USB 허브는 상기 스위치 3(42)과 상기 스위치 4(43)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USB 허브를 이용하여 원형 구조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발생하는 상기 신호의 루핑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The USB hub operates the switch 3 (42) and the switch 4 (43) to prevent the looping of the signal generated when constructing a network in a circular structure using the USB hub, characterized in that networking Built-in USB hub.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USB 허브는 상기 USB 허브를 이용하여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사무실이나 집의 벽면에 매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구축이 가능한 USB 허브.The USB hub is a USB hub capable of establishing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is enough to be embedded in the wall of the office or home to build the networking using the USB hub.
KR2020010023763U 2001-08-04 2001-08-04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KR2002530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763U KR200253014Y1 (en) 2001-08-04 2001-08-04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763U KR200253014Y1 (en) 2001-08-04 2001-08-04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171A Division KR20030012747A (en) 2001-08-04 2001-08-04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014Y1 true KR200253014Y1 (en) 2001-11-23

Family

ID=7310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763U KR200253014Y1 (en) 2001-08-04 2001-08-04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01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7765B2 (en) Link system for establishing high speed network communications and file transfer between hosts using I/O device links
US6334793B1 (en) Enhanced universal serial bus
US73467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ub capable of being self-powered for use in a USB-compliant system
US6098138A (en) Apparatus providing connectivity between devices attached to different interfaces of the apparatus
US200600207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communications over USB
US20040186926A1 (en) Universal serial bus extension cable
JPH105112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ially interconnecting isochronous and asynchronous peripherals
KR20050026011A (en) Dual-role compatible usb hub device and method
JP2004326756A (en) Node for communication system
GB2350536A (en) USB-based networking and I/O hub
US20020144159A1 (en) HomePNA device with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power over a network wire
US11936465B2 (en) Communication system
CN103329115A (en) Remote access appliance with communication protocol autosensing feature
US6675250B1 (en) Fault tolerant communications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KR200253014Y1 (en)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US7849337B2 (en) Network system port thereof for transmitting various signals and power
KR20030012747A (en) USB HUB with Switching Function
CN101132411A (en) Bridge interface circuit
US7533194B2 (en) Multi-mode port in a network device for serial and network communication
US6647537B1 (en) IEEE 1394 cable connector with short circuit switch
WO2003063432A1 (en) Physical layer circuit and interface circuit
JP2001051939A (en) Peripheral equipment, usb hub and server
Buchanan et al. Fiber Channel
JP3505963B2 (en) Data relay device
KR100413960B1 (en) Network card for being possessed pow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