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043Y1 -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 Google Patents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043Y1
KR200242043Y1 KR2020010007328U KR20010007328U KR200242043Y1 KR 200242043 Y1 KR200242043 Y1 KR 200242043Y1 KR 2020010007328 U KR2020010007328 U KR 2020010007328U KR 20010007328 U KR20010007328 U KR 20010007328U KR 200242043 Y1 KR200242043 Y1 KR 200242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mputer
subject
interface means
edu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3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태천
정일숙
Original Assignee
최태천
정일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천, 정일숙 filed Critical 최태천
Priority to KR2020010007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04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043Y1/en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다중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교육자의 선택에 따라 교육자와 교육대상자인 학생에게 배정된 각각의 컴퓨터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다중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that enables the effective use of each computer assigned to the educator and the target student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educator.

본 고안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교육자에게 배정되는 메인 컴퓨터와; 교육대상자에게 배정되는 다수의 서브 컴퓨터와; 교육대상자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과 교육대상자의 서브 컴퓨터와의 연결 및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 제어를 위한 각각의 제어기와; 교육자의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과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을 제어하며, 제어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선택에 따른 원격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해당하는 제어기를 제어하여 각각의 교육대상자의 서브 컴퓨터와 해당하는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의 연결 및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수신 수단과, 메인 컴퓨터와 이에 해당하는 교육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의 연결 및 서브 컴퓨터와 해당하는 각각의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의 연결 또는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과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 선택을 위한 키이를 포함하여 원격제어 수신수단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mputer including a large display device and assigned to an educator; A plurality of sub-computers assigned to the subjects; Respective controllers for connecting the subject key interface means with the subject computer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computer; It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educator and the main computer, and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controller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sub computer of each subject and the corresponding key interface means.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and the connection to the main computer,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main computer and the corresponding educator and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sub-computer and the corresponding subject, or the key of the subject And remote control means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including a key for selec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interface means and the main computer.

Description

컴퓨터 다중제어 시스템{MULTI-CONTROL COMPUTER SYSTEM}Computer Multi Control System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본 고안은 컴퓨터 다중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교육자의 선택에 따라 교육자와 교육대상자인 학생에게 배정된 각각의 컴퓨터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다중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enable the use of each computer assigned to the educator and the student who is the target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educator's choice, the computer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A multiple control system.

종래기술인, 본 출원인이 1997년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997-21625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ior art, the present applicant describes the application number 20-1997-21625 filed in 1997 as follows.

도 1은 종래기술의 진행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컴퓨터(1)를 제공하되, 상기 메인 컴퓨터(1)에 각각 영상증폭부(2)를 내장시킨 메인 모니터(M1)와 메인 마우스(3) 및 메인 키이보드(4)를 연결시킨 교육용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증폭부(2)를 내장하면서 상기 메인 컴퓨터(1)와 인터페이스라인(L)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와; 상기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 중 하나의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선택키이신호를 출력시키는 리모콘(10)과;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에 내장되어 상기 리모콘(10)에서 출력하는 선택키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20)와; 상기 리모콘 수신부(20)에 수신된 선택키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스위칭구동부(30)와; 상기 스위칭구동부(30)의 선택적인 구동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작동스위치(SW10)와; 각 보조 모니터(M2……Mn)에 오프 상태로 각각 연결하되, 상기 작동스위치(SW10)의 온 스위칭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메인 및 보조 모니터(M1……Mn)의 영상증폭부(2)로 영상정보를 출력시키는 다수의 보조 마우스(40) 및 보조 키이보드(5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gress of the prior art. As shown in the drawing, a main computer 1 is provided, and the main monitor M1, the main mouse 3, and the main keyboard 4, each of which has an image amplifier 2 embedded therein, are provided. An educational multimedi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Mn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 via an interface line L while the image amplification unit 2 is built-in; A remote controller (10) for outputting a selection key signal to selectively display image information on one monitor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 ... Mn); A remote control receiver 20 which is embedded in a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Mn and receives a selection key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 A switching driver 30 for selectively driving according to the selection key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receiving unit 20; An operation switch (SW10) for switching on / off according to the selective driving of the switching driver (30); Each of the auxiliary monitors M2... Mn is connected to an OFF state, and is selective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on-switch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SW10, so that the image amplifiers 2 of the main and auxiliary monitors M1... A plurality of auxiliary mouses 40 and an auxiliary keyboard 50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to a us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구성에 의한 동작으로는, 교육자가 메인 컴퓨터(1)에 연결된 메인 마우스(3)와 메인 키이보드(4)를 통해 영상정보를 출력시키면, 상기 출력되는 영상정보는 메인 모니터(M1) 및 인터페이스 라인(L)으로 상기 메인 컴퓨터(1)와 연결된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므로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을 통한 교육이 일괄제어를 통해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In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educator outputs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main mouse 3 and the main keyboard 4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 the output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in monitor M1 and the interface. Since it is displayed through a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 ... Mn)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 in the line (L), education through the multimedia system is made easy and simple through batch control.

다시 말해, 상기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에 연결되는 보조 마우스(40)와 보조 키이보드(50)는 모두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각 보조 모니터(M2……Mn) 앞에 앉아있는 학생들은 임의적으로 영상정보를 입력시킬 수 없게 되므로서, 교육자의 선택에 따라 멀티 미디어 시스템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both of the auxiliary mouse 40 and the auxiliary keyboard 5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Mn are kept in an OFF state, the auxiliary mouse 40 and the auxiliary keyboard 50 sit in front of each auxiliary monitor M2... Mn. Since students cannot input image information arbitrarily, education through a multi-media system is made according to an educator's choice.

즉, 이를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when specifically mentioned as an optional embodiment as follows.

먼저, 교육자의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2)에 앉아있는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거나 또는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2)에 앉아있는 학생이 의견 개진을 원하는 경우, 교육자가 리모콘(10)을 조작하여 선택키이신호를 출력시키면, 상기 리모콘(10)에서 출력되는 선택키이신호는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2)에 내장된 리모콘 수신부(20)를 통해 수신된다.First, when a student sitting on the secondary monitor M2 of a specific position of an educator collects opinions or a student sitting on the secondary monitor M2 of a specific position wants to express his / her opinion, the educator operates the remote controller 10 to When the select key signal is output, the select key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 is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20 embedded in the auxiliary monitor M2 at a specific position.

그리고, 상기 수신되는 선택키이신호에 따라 스위칭구동부(30)가 선택 구동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스위칭구동부(30)의 선택적인 구동에 따라 작동스위치 (SW10)는 온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2)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보조 마우스(40) 및 보조 키이보드(50)는 사용 가능상태로 연결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witching driving unit 30 performs selective driving according to the received selection key signal, the operation switch SW10 performs an on-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ve driving of the switching driving unit 30 to support a specific position. The auxiliary mouse 40 and the auxiliary keyboard 50 held in the off state with the monitor M2 are connected in a usable state.

이후,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2) 앞에 앉아있는 학생이 사용 가능상태로 연결된 보조 마우스(40)와 보조 키이보드(50)를 통해 개진하고자 하는 의견을 입력시키면, 상기 입력되는 영상정보는 보조 모니터(M2)에 내장된 영상증폭부(2)를 통해 증폭된 후 디스플레이 된다.Subsequently, when a student sitting in front of the auxiliary monitor M2 at a specific position enters an opinion to be promoted through the auxiliary mouse 40 and the auxiliary keyboard 50 connected in a usable state, the input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auxiliary monitor. It is displayed after being amplified by the image amplifying unit 2 built in M2.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정보는 메인 컴퓨터(1)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 라인(L)을 통해 메인 모니터(M1) 및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에 디스플레이 되므로서, 상기 메인 및 보조 모니터(M1……Mn) 앞에 앉아있는 교육자와 학생들은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3) 앞의 학생이 개진하는 의견을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displaye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in monitor M1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Mn through the interface line L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mputer 1, and thus the main and auxiliary monitors. Educators and students sitting in front of (M1 …… Mn) can easily and easily recognize the opinions of students in front of the secondary monitor (M3) at a specific loc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한 학생이 교육자의 컴퓨터와 연결되었을 경우 나머지 학생은 교육자와 연결될 때까지, 또는 실습이 가능할 때까지 대기해야 하므로 수업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교육자의 컴퓨터와 연결하고자 하는 학생이 많다면 그만큼의 대기시간이 길어져서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one student is connected with the computer of the educator, the other student has to wait until the connection with the educator, or until the practice is 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class falls, moreover, the computer of the educator If there are a lot of students who want to connect with 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iting time is long and the system cannot be used efficientl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원격제어수신수단을 구비하여 교육자의 선택에 따라서, 교육대상자의 컴퓨터와 교육자의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제어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효율적인 이용 및 집중도 있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to control the connection of the key interface of the user to control the computer of the subject and the computer of the educator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e educator. The aim is to enable efficient use and focused educa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개요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서의 원격제어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remote control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교육자에게 배정되는 메인 컴퓨터와, 각 교육대상자에게 배정되는 다수의 서브 컴퓨터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computer including a large display device and assigned to the educator, a plurality of sub-computers assigned to each subject,

교육대상자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과 해당하는 교육대상자의 서브 컴퓨터와의 연결 및 교육자의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 제어를 위한 각각의 제어기와,Respective controllers for connecting the subject key interface means and the corresponding subject's subcomputer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subject's main computer;

교육자의 사용자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과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을 제어하며, 각 제어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교육자의 선택에 따른 원격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해당하는 제어기를 제어하여 각각의 교육대상자의 서브 컴퓨터와 해당하는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의 연결 및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수신수단과,The user's key of the educator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face means and the main computer, and is connected to the network with each controller to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educator's choice, and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controller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sub-computer and the corresponding computer.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subject and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computer,

메인 컴퓨터와 이에 해당하는 교육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의 연결 및 서브 컴퓨터와 서브 컴퓨터에 해당하는 각각의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의 연결 또는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과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 선택을 위한 키이를 포함하여 원격제어 수신수단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 for connecting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main computer and the corresponding educator and the connection of the key interface means of each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sub-computer and the sub computer, or the key for selecting the connection of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subject and the main computer. And remote control means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다수의 교육대상자에게 실습내용을 보이기 위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포함하며 교육자가 사용하는 메인 컴퓨터(100)와 각 교육대상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서브 컴퓨터(400)와,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large display device 110 for showing the practice content to a plurality of subjects, the main computer 100 used by the educator and a plurality of subjects used by each subject Sub computer 400,

상기 메인 컴퓨터(100), 서브 컴퓨터(400)와 각각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원격제어수신수단(200)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서브 컴퓨터(400)와 키이 인터페이스수단 (430) 및 메인 컴퓨터(100)를 연결하거나 해제하도록 하는 제어기(300)와,The main computer 100 and the sub computer 400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respectively, and receive signals from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to connect the sub computer 40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430 and the main computer 100 to each other. A controller 300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메인 컴퓨터(100)와 키이 인터페이스수단(130), 교육대상자의 서브 컴퓨터(400)와 각각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 및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과 메인 컴퓨터와(100)의 연결 선택을 위한 키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수단(500)과,Selec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mputer 10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130, the sub computer 400 of the subject and each of the key interface means 43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430 of the subject and the main computer 100 Remote control means 500 including a key for,

상기 원격제어수단(50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430)과 메인 컴퓨터(100), 교육대상자의 서브 컴퓨터(400)와 해당하는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430), 교육대상자의 서브 컴퓨터(400)와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430)의 연결과 해제신호를 제어기(300)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수신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means 500, the key interface means 430 of the subject and the main computer 100, the sub computer 400 of the subject and the key interface means 430 of the target subject, It consists of a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for transmitting the connection and release signal of the sub-computer 40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430 of the subject to the controller 300.

상기 메인 컴퓨터(100), 서브 컴퓨터(400), 키이 인터페이스(130, 430), 제어기(300), 원격제어수신수단(2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The main computer 100, the sub computer 400, the key interfaces 130 and 430, the controller 300, and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are connected by a network.

상기 원격제어수단(500)은 모든 서브 컴퓨터(400)와 이 서브 컴퓨터에 해당하는 각각의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의 연결을 해제하고, 대기상태로 제어한다.The remote control means 500 disconnects all the sub computers 40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430 of each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sub computers, and controls the standby state.

또한, 교육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130) 만을 메인 컴퓨터(100)에 연결선택 또는 제 2선택키이부(530)의 교육대상자의 선택을 통해 교육자의 사용자 키이 인터페이스수단(130)을 해제하고, 선택된 교육대상자의 사용자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을 연결선택하기 위한 키이와, 교육 대상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430)을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400)에 연결선택하기 위한 키이와, 전체 서브 컴퓨터(400)와 각 해당하는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430)의 연결 선택을 위한 키이를 포함하는 제 1선택키이부(510)와,In addition, only the user's key interface means 130 is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or the user's key interface means 130 is released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subject of the second selection key part 530, and the selected education is performed. Key for connecting and selecting the user key interface means 430 of the subject, Key for connecting and selecting one or more key interface means 430 of the subject to the corresponding sub computer 400, and the whole sub computer A first selection key unit 510 including a key for selec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400 and the corresponding key interface means 430;

제 1선택키이부(510)의 선택 후, 제 1선택키이부(510)에서 선택된 설정별로 메인 컴퓨터(100) 또는 각 서브 컴퓨터(400)에 연결되는 교육 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430) 수단의 상세한 설정을 위한 키이를 포함하는 제 2선택키이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fter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ion key unit 510, the details of the key interface 430 means of the subject to be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or each sub computer 400 for each setting selected by the first selection key unit 510. And a second selection key unit 530 including a key for setting.

상기 키이 인터페이스(130,430)는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의 일반적인키 입력수단을 사용한다.The key interfaces 130 and 430 use general key input means such as a mouse, a keyboard, and a joystick.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교육대상자 각각에 대하여 서브 컴퓨터(400)들이 배정되고, 교육자에겐 교육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대형화면(110)이 구성되는 메인 컴퓨터(100)가 배정되며, 상기 서브 컴퓨터(400)들은 사용자 키이 입력수단(430)이 제어기(300)를 통하여 연결되어, 제어기(300)에 의해 그 연결유무가 결정되고, 메인 컴퓨터(100)의 경우 교육자의 선택 제어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원격제어수단(500)을 통해 그 연결유무가 결정되는 구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ub computer 400 is assigned to each of the subjects, and a main computer 100 having a large screen 110 for displaying an education screen is assigned to an educator. 400 is a user key input means 430 is connected through the controller 300, the connection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300, the main computer 100, the remote for receiving the educator's selection control signal Having the configuration that the connec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control means 500,

교육자가 원격제어수단(500)을 통해 선택한 결정에 따라 원격제어수신수단(200)에서는 각 제어기(300)의 제어를 통해 메인 컴퓨터(100) 또는 서브 컴퓨터(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사용자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 또는 교육대상자의 사용자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430)을 메인 컴퓨터(100)로 연결제어하게 된다.According to a decision selected by the educator through the remote control means 500,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controls each user key corresponding to the main computer 100 or the sub computer 400 through the control of each controller 300. The user key of the means 430 or the subject of the training interface control unit 430 to the main computer 100 to control.

도 3은 원격제어수단의 일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remote control means, with reference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원격제어수단(500)의 키이 설정은, 각 서브 컴퓨터(400)와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530)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하고, 또한 메인 컴퓨터(100)와 연결된 키이 인터페이스수단(130)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하는 교육자 버튼(1번)과,First, the key setting of the remote control means 500 is to disconnect the connection between each sub computer 40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530, and also to connect the key interface means 130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Educator button (1) to unlock,

각 서브 컴퓨터(400)와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을 연결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신호를 원격제어수신수단(200)으로 전송하는 학생버튼(2번) 및Student button (No. 2)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switching the sub-computer 40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430 to the connection standby state to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and

정해진 그룹내에 속해 있는 각각의 서브 컴퓨터(1~n)와 해당하는 키이 인터페이스(430)들을 연결상태(ON상태)로 되도록 하는 그룹버튼(3번)으로 이뤄지는 제 1선택키이부(510)와,A first selection key part 510 formed of a group button (No. 3) for bringing each of the sub-computers 1 to n and the corresponding key into the connection group (430) into a connected state (ON state);

각각의 서브 컴퓨터를 1~n으로 설정하는 제 2선택키이부(530)로 한다.A second selection key unit 530 for setting each subcomputer to 1 to n is assumed.

먼저, 교육자가 특정한 교육대상자의 의견을 수렴하거나 또는 교육대상자가 의견 개진을 원하면, 원격제어수단(500)의 제 1선택키이부(510)에서 1번 교육자 버튼을 누르고, 이 상태에서 다시 원격제어수단(500)의 제 2선택키이부(530)에서 원하는 서브 컴퓨터의 번호, 예를 들어 3번을 누르게 되면, 원격제어수단(500)에서는 연결대기 중인 서브 컴퓨터3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과 메인 컴퓨터(100)가 연결되도록 하는 신호를 원격제어수신수단(200)으로 보내어진다.First, when the educator collects the opinions of a specific subject or the subject wants to express the opinion, the educator button 1 is pressed on the first selection key unit 510 of the remote control means 500, and the remote control again in this state. When the second selection key unit 530 of the means 500 presses the number of the desired subcomputer, for example, number 3, in the remote control means 500, the key of the subcomputer 3 waiting for connection is connected with the interface means 430. A signal for connecting the main computer 100 is sent to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원격제어수신수단(200)에서는 수신받은 선택신호를 제어기(300)로 전송하고, 제어기(300)에서는 전송된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서브 컴퓨터3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을 메인 컴퓨터(100)와 연결되도록 한다.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transmits the received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and the controller 300 transmits the key interface means 430 of the sub computer 3 selected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selection signal to the main computer 100. To be connected.

상기에서는 서브 컴퓨터3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은 원격제어수신수단 (200)을 통해서 메인컴퓨터(100)와 연결되어 3번의 교육대상자는 메인 컴퓨터(100)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으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410)에 나타난 내용을 수정하거나 또는 교육자가 지시하는 것을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되어 실행되는 내용은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나타난다.In the above, the key interface means 430 of the sub computer 3 is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through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so that the third subject can operate the main computer 10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430 to modify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device 410 or to instruct the educator to input using the key interface means 430, the input and executed content is input to the main display device 110 appear.

그리고, 선택되지 않은 교육대상자들의 서브 컴퓨터(400)와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430)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여서 임의의 조작이 불가능하므로, 집중적인 수업진행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ub computer 40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430 of the non-selected subject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no manipulation is possible, and thus, intensive class progress is possible.

또한, 교육자가 원격제어수단(500)의 제 1키이선택부에서 2번학생버튼을 누르고, 이 상태에서 제 2키이선택부에서 임의의 서브 컴퓨터, 예를 들어 2번 버튼을 누르게 되면, 원격제어수단(500)에서는 2번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과 2번 서브 컴퓨터를 연결하도록 하는 선택신호를 원격제어수신수단(200)으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educator presses the student button No. 2 in the first key selec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 means 500, and in this state presses any sub-computer, for example, the button No. 2 in the second key selection unit, the remote control The means 500 transmits a selection signal for connecting the second key interface means 430 to the second subcomputer to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원격제어수신수단(200)에서는 전송된 선택신호를 제어기(300)로 전송하며, 제어기(300)에서는 선택된 서브 컴퓨터2(400)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과 서브 컴퓨터2(400)를 연결하도록 한다.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transmits the transmitted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and the controller 300 connects the key of the selected sub computer 2 400 to the interface means 430 and the sub computer 2 400. do.

즉, 원격제어수단(500)의 신호를 통해 선택된 서브 컴퓨터2(400)는 교육대상자가 해당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을 조작하여서 교육대상자의 해당 서브 컴퓨터(40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ub computer 2 400 selected through the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means 500 enables the subject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sub computer 400 of the subject by operating the corresponding key interface means 430.

교육자가 원격제어수단(500)의 제 1키이선택부에서 3번 그룹버튼을 누르면, 원격제어수단(500)에서는 그룹내에 속해 있는 각각의 서브 컴퓨터(1~n)와 해당하는 키이 인터페이스(430)들을 연결상태(ON상태)로 되도록 원격제어수신수단(200)으로 신호를 전송한다.When the educator presses the third group button on the first key selec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 means 500, the remote control means 500 corresponds to each of the sub computers 1 to n belonging to the group and the corresponding key interface 430.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so as to make the connection state (ON state).

원격제어수신수단(200)에서는 전송된 신호를 제어기(300)로 전송하며, 제어기(300)는 각각의 서브컴퓨터(400)와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을 연결하도록 하여 모든 교육대상자가 각각의 서브컴퓨터(400)들과 해당하는 키이 인터페이스수단(430)을 사용하여 교육자가 지시한 내용을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200 transmits the transmitted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and the controller 300 connects each of the subcomputers 400 and the key interface means 430 so that all subjects receive the respective subs. The computer 400 and the corresponding key interface means 430 may be used to practice the contents indicated by the educator.

상기에서 그룹지정은, 모든 서브 컴퓨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리모콘의 다수의 키이를 이용하여 일정 대수의 서브 컴퓨터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group designation may include all subcomputers or may include only a certain number of subcomputers using a plurality of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상기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of course.

본 고안은, 원격제어수신수단을 구비하여 교육자의 선택에 따라서, 교육대상자의 컴퓨터와 교육자의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제어가능하므로, 선택되지 않은 교육대상자의 컴퓨터와 키이 인터페이스를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임의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집중도 있는 교육 및 효율적인 시스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according to the educator's cho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nection of the user's key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computer of the educator and the computer of the educator, the computer and the key interface of the non-educated subjec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concentrated education and efficient system by preventing any operation is made by not connecting.

Claims (2)

교육용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educational multimedia system,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교육자에게 배정되는 메인 컴퓨터와;A main computer including a large display device and assigned to an educator; 각 교육대상자에게 배정되는 다수의 서브 컴퓨터와;A plurality of sub-computers assigned to each subject; 교육대상자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과 해당하는 교육대상자의 서브 컴퓨터와의 연결 및 교육자의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 제어를 위한 각각의 제어기와;Respective controllers for connecting the subject key interface means and the corresponding subject's subcomputer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subject's main computer; 교육자의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과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을 제어하며, 각 제어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교육자의 선택에 따른 원격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해당하는 제어기를 제어하여 각각의 교육대상자의 서브 컴퓨터와 해당하는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의 연결 및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수신 수단과,It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educator and the main computer, and is connected to each controller and the network to receive the remot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educator's choice and control the corresponding controller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sub computer of each subject and the corresponding education.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subject and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computer; 메인 컴퓨터와 이에 해당하는 교육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의 연결 및 서브 컴퓨터와 서브 컴퓨터에 해당하는 각각의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의 연결 또는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과 메인 컴퓨터와의 연결 선택을 위한 키이를 포함하여 원격제어 수신수단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제어 시스템.The key for connecting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main computer and the corresponding educator and the connection of the key interface means of each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sub-computer and the sub computer, or the key for selecting the connection of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subject and the main computer. And a remote control means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수단은 모든 서브 컴퓨터와 이 서브 컴퓨터에 해당하는 각각의 교육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의 연결을 해제하고, 대기상태로 제어하며, 교육자의 키이 인터페이스수단 만을 메인 컴퓨터에 연결선택 또는 제 2선택키이부의 교육대상자의 선택을 통해 교육자의 사용자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을 해제하고, 선택된 교육대상자의 사용자 키이 인터페이스수단을 연결선택하기 위한 키이와, 교육 대상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을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에 연결선택하기 위한 키이와, 전체 서브 컴퓨터와 각 해당하는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의 연결 선택을 위한 키이를 포함하는 제 1선택키이부와, 제 1선택부의 선택 후, 제 1선택부에서 선택된 설정별로 메인 컴퓨터 또는 각 서브 컴퓨터에 연결되는 교육 대상자의 키이 인터페이스 수단의 상세한 설정을 위한 키이를 포함하는 제 2선택키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제어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 means disconnects all sub-computers and the key interface means of each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sub computer, controls the standby state, and controls only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educator to the main computer. A key for releasing the user key interface means of the educator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connection subject or the selection of the subject of the second selection key, and for selecting and connecting the user key interface means of the selected subject, any one or more key interfaces of the subject A first selection key portion including a key for selecting and connecting the means to the corresponding subcomputer, a key for selecting the connection of the entire subcomputer and each corresponding key interface means, and after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ion portion, a first selection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or each sub computer by the settings selected in The multi-comput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comprises two parts that contain the selected education key for detailed setting of the key interface means of the subject.
KR2020010007328U 2001-03-17 2001-03-17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KR2002420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28U KR200242043Y1 (en) 2001-03-17 2001-03-17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28U KR200242043Y1 (en) 2001-03-17 2001-03-17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043Y1 true KR200242043Y1 (en) 2001-10-08

Family

ID=7309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328U KR200242043Y1 (en) 2001-03-17 2001-03-17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04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8993A (en) Computer teaching system
KR100630103B1 (en) One remote control system
US5949351A (en)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remote controller and target systems
US5828372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0242043Y1 (en)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KR100490068B1 (en) Teaching desk with interface
JPH01117595A (en) Transmitter for remote controller
KR200170024Y1 (en) Multimedia system for education
US20080133801A1 (en) Keyboard-video-mouse switch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computers having a plurality of video sources each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JPH0730971A (en) Av system controller
KR20020093341A (en)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KR0163480B1 (en) Education computer network structure
KR100296769B1 (en)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JP3250702B2 (en) Name switching display
JP2000321970A (en) Language learning system
JP3085758U (en) Remote control device
KR20170115866A (en) Double side display device
KR100758776B1 (en) Visual System for Experimental Education with Computer
JP2603967Y2 (en) External interface device
JP2007074460A (en) Internet television receiver
KR200229433Y1 (en) Realtime control system for multimedia network
JPH04363753A (en) Computer network
JP2019174719A (en) Multi-display device
JPH06348195A (en) Training system
KR20070096170A (en) Multimedia duplex transmission control device with multiway group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