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341A -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 Google Patents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341A
KR20020093341A KR1020010032057A KR20010032057A KR20020093341A KR 20020093341 A KR20020093341 A KR 20020093341A KR 1020010032057 A KR1020010032057 A KR 1020010032057A KR 20010032057 A KR20010032057 A KR 20010032057A KR 20020093341 A KR20020093341 A KR 2002009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educator
input interface
ke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태천
Original Assignee
최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천 filed Critical 최태천
Priority to KR102001003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3341A/en
Publication of KR2002009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34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53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 H04M3/42161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subscriber via compute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method for a computer multi-control is provided to make an effective education possible by controlling uses of computers of a teacher and a learner allocated in accordance with a selection of the teacher adapted to an education environment. CONSTITUTION: A main computer(100) includes a large-sized display device for being watched to a plurality of learners in common. A plurality of sub computers(200) is allocated to each learner, respectively. The main computer(100) includes a user-input interface(300) of a teacher. Each sub computer(200) includes a user-input interface(400) of each learner. The sub computer(200) and the user input interface(400) of a learner corresponded thereto are connected to each controller(500). The main computer(100) and the user input interface(300) of the teacher ar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receiving control unit(600) which receives a receiving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700) for a remote selection of the teacher. The remote controller receiving control unit(600) and each controller(500)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decide an operation state of the each controller(500)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being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receiving control unit(600).

Description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과 제어 방법{Multi-control computer system}Multi-control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육자의 선택에 따라 교육자인 선생님과 교육 대상자인 학생에게 배정된 각각의 컴퓨터 사용을 교육 환경에 맞게 제어하여 효율적인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and in particular, the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e of each computer assigned to the educator teacher and the target stud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 environment to enable efficient education and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컴퓨터의 일반 교육 및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을 위하여 설립된 학원에서는각 학생별로 컴퓨터를 배정하고, 해당 컴퓨터를 통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The institute established for general education of computer and education using computer allocates computer to each student and conducts education through the computer.

이와 같은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에 있어서, 각기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개인 컴퓨터를 제공하게 되므로써, 교육이 산만해질 우려가 많아 교육에 집중시키고, 효율적인 교육관리를 위하여 교육자가 이를 통제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In such a computer-based education, since each individual student is provided with a personal computer, there is a fear that education may be distracted. Therefore, an education system needs a separate system to control the education for efficient education management. It became.

이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본 출원인이 1997년에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21625호의 예를 들어 종래기술로서 설명하고자 한다.For this reason, for exampl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1625 filed in 1997 by the present applicant will be described as a prior art.

도 1은 종래 컴퓨터 다중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as follows.

메인 컴퓨터(1)를 제공하되, 상기 메인 컴퓨터(1)에 각각 영상증폭부(2)를 내장시킨 메인 모니터(M1)와 메인 마우스(3) 및 메인 키이보드(4)를 연결시킨 교육용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Provided with the main computer (1), but the main monitor (M1) and the main mouse (3) and the main keyboard (4) connected to the main monitor (1) with a built-in image amplification unit (2), respectively In the system,

영상증폭부(2)를 내장하면서 상기 메인 컴퓨터(1)와 인터페이스(L)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와,A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 Mn) connected with the main computer (1) via the interface (L) while the image amplifier (2) is built-in;

상기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중 하나의 모니터에 선택적으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선택키이신호를 출력시키는 리모콘(10)과,A remote controller 10 for outputting a selection key signal to selectively display image information on on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 Mn;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에 내장되어 상기 리모콘(10)에서 출력하는 선택키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20)와,A remote control receiver 20 which is embedded in a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 Mn and receives a selection key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

상기 리모콘 수신부(20)에 수신된 선택키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스위칭구동부(30)와,A switching driver 30 for selectively driving according to the selection key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receiving unit 20;

상기 스위칭 구동부(30)의 선택적인 구동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작동스위치(SW10)와,An operation switch (SW10) for switching on / off according to the selective driving of the switching driver 30;

각 보조 모니터(M2,‥‥,Mn)에 오프 상태로 각각 연결하되, 상기 작동스위치(SW10)의 온 스위칭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메인 및 보조 모니터(M2,‥‥,Mn)의 영상증폭부(2)로 영상정보를 출력시키는 다수의 보조 마우스(40) 및 보조 키이보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Each auxiliary monitor (M2, ... ,, Mn)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off state, but selectively operates according to the on-switch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SW10) to the image amplification of the main and secondary monitors (M2, ... ,, Mn) It comprises a plurality of auxiliary mouse 40 and the auxiliary keyboard 50 for outpu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unit (2).

상기 구성에 의한 동작으로는, 교육자가 메인 컴퓨터(1)에 연결된 메인 마우스(30)와 메인 키이보드(4)를 통해 영상정보를 출력시키면, 상기 출력되는 영상정보는 메인 모니터(M1) 및 인터페이스 라인(L)으로 상기 메인 컴퓨터(1)와 연결된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므로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을 통한 교육이 일괄제어를 통해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In the opera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if the educator outputs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main mouse 30 and the main keyboard 4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 the output image information is the main monitor (M1) and the interface Since it is displayed through a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 Mn)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 by the line (L), education through the multimedia system is made easy and simple through batch control.

다시 말해, 상기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에 연결되는 보조 마우스(40)와 보조 키이보드(50)는 모두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각 보조 모니터(M2,‥‥,Mn)앞에 앉아있는 학생들은 임의적으로 영상정보를 입력시킬 수 없게 되므로써, 교육자의 선택에 따라 멀티 미디어 시스템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both the auxiliary mouse 40 and the auxiliary keyboard 5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 Mn are kept in the OFF state, each of the auxiliary monitors M2, ..., Mn Students sitting in front of them can not input image information arbitrarily, so that the education through the multimedia system is made according to the educator's choice.

즉, 이를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when specifically mentioned as an optional embodiment as follows.

먼저, 교육자의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2)에 앉아있는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거나 또는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2)에 앉아있는 학생이 의견 개진을 원하는 경우, 교육자가 리모콘(10)을 조작하여 선택키이신호를 출력시키면, 상기리모콘(1)에서 출력되는 선택키이신호는 특정 위치의 보조 모니터(M2)에 내장된 리모콘 수신부(20)를 통해 수신된다.First, when a student sitting on the secondary monitor M2 of a specific position of an educator collects opinions or a student sitting on the secondary monitor M2 of a specific position wants to express his / her opinion, the educator operates the remote controller 10 to When the selection key signal is output, the selection key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 is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receiving unit 20 built in the auxiliary monitor M2 at a specific position.

그리고, 상기 수신되는 선택키이신호에 따라 스위칭 구동부(30)가 선태구동을 하게 되므로써, 상기 스위칭 구동부(30)의 선택적인 구동에 따라 작동스위치(SW10)는 온 스위칭 동작을 하면서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2)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보조 마우스(40) 및 보조 키이보드(50)는 사용 가능상태로 연결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witching driver 30 is pre-driven according to the received selection key signal, the operation switch SW10 according to the selective driving of the switching driver 30 performs an on-switching operation and the auxiliary monitor at a specific position. The auxiliary mouse 40 and the auxiliary keyboard 50 held in the off state with M2 are connected to the usable state.

이후,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2) 앞에 앉아있는 학생이 사용 가능상태로 연결된 보조 마우스(40)와 보조 키이보드(50)를 통해 개진하고자 하는 의견을 입력시키면, 상기 입력되는 영상정보는 보조모니터(M2)에 내장된 영상증폭부(2)를 통해 증폭된 후 디스플레이 된다.Then, if the student sitting in front of the auxiliary monitor (M2) of a specific position to enter the opinion to be promoted through the auxiliary mouse 40 and the auxiliary keyboard 50 connected to the available state, the input image information is the secondary monitor It is displayed after being amplified by the image amplifying unit 2 built in M2.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정보는 메인 컴퓨터(1)에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 라인(L)을 통해 메인 모니터(M1) 및 다수의 보조 모니터(M2,‥‥,Mn)에 디스플레이 되므로써, 상기 메인 및 보조 모니터(M2,‥‥,Mn)앞에 앉아있는 교육자와 학생들은 특정위치의 보조 모니터(M3) 앞의 학생이 개진하는 의견을 용이하고도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displaye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in monitor M1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monitors M2, ..., Mn through the interface line L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mputer 1, and thus the main and auxiliary images. Educators and students sitting in front of the monitors M2, ..., Mn can easily and easily recognize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in front of the secondary monitor M3 at a specific loca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한 학생이 영상정보를 입력하는 동안 다른 교육자들은 대기하고 있어야 하므로, 많은 수의 학생들이 교육을 받게 될 경우 교육에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학생 각각이 동시에 개별적인 실습이 어렵게 되는 등 효율적인 교육이 어렵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o be waiting for other educators while one student inputs image information, so that if a large number of students are to be educated, the concentration of education may be reduced. Efficient education is difficult, such as becoming difficult.

본 발명에서는 교육대상자인 각 학생별로 컴퓨터를 배정하여 구성하고, 교육자의 선택에 따라서, 학생 각자의 컴퓨터와 이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수단의 사용가능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교육자가 학생들의 컴퓨터 사용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집중도 있는 교육과 함께 학생 각자의 실습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학생 각자의 사용자 입력인터페이스수단을 교육자가 원하는 학생만을 선택하여 교육자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교육자의 컴퓨터를 학생 자신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수단을 이용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하므로써, 교육중에도 교육자가 원하는 학생을 선택하여 공개실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과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is assigned and configured for each student who i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according to the educator's choice, the availability of the computer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for controlling the computer can be determined. This allows educators to control students' computer use, allowing them to practice individually with intensive training, and to access the educator's computer by selecting only the student's desired user input interface means. In order to enable the educator's computer to be used by the student's own user input interface mean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at enables the educator to select a desired student during education.

그리고, 이와 같은 컴퓨터 제어를 통해 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교육자가 선택적으로, 컴퓨터에 표시되는 영상을 교육을 위한 대형 메인 모니터뿐 아니라, 학생 각자의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거나, 원하는 학생의 컴퓨터 모니터에만 표시가능하도록 하므로써,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d, in carrying out the education through such computer control, the educator can selectively display the image displayed on the computer through not only the large main monitor for education, but also the student's computer monitor or the student's computer monitor. By making it displayabl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education.

도 1은 종래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도 2는 본 발명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 구성을 보인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리모콘 수신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reception control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기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다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연결 스위칭 제어과정의 일실시예를 보인 플로우챠트.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switching control process of a user input interface in a multi-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다중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인 컴퓨터의 영상 스위칭 과정의 일실시예를 보인 플로우챠트.6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switching process of a main computer in the multi-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교육자에게 배정되는 메인 컴퓨터와,A main computer with a large display device and assigned to the educator,

각 교육대상자에게 배정되는 다수의 서브 컴퓨터와,A number of subcomputers assigned to each subject;

상기 각 서브 컴퓨터에 대한 교육대상자의 입력 인터페이스수단과, 이 수단과 해당하는 다수의 서브 컴퓨터와의 연결, 그리고 교육자의 컴퓨터와의 연결 및 교육자의 메인 컴퓨터로 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스위칭하여 각 서브 컴퓨터의 모니터로 전달하는 각 서브 컴퓨터의 제어기와,Each sub-computer by switching the input interface means of the subject to each sub-computer, the means and the corresponding sub-computers, the connection of the educator's computer, and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main computer of the educator. The controller of each sub-computer to deliver to the monitor of

상기 각 서브 컴퓨터의 제어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원격제어수단을 통해 교육자가 전달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 제어기를 제어하여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수단 및 교육대상자의 입력 인터페이스수단의 해당 컴퓨터와의 연결 및 교육대상자의 입력 인터페이스수단을 교육자의 메인컴퓨터와의 연결을 제어하고, 메인 컴퓨터의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각 서브 컴퓨터의 모니터로의 영상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원격제어수신수단과,I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of the controllers of the sub-computers, and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educator through the remote control means to control each controller to control the controllers with the corresponding computer of the educator's user input interface means and the subject's input interface means. Remote control and recei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and input interface means of the subject to the educator's main computer, amplifying the video signal of the main computer,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video signal to the monitor of each sub-computer;

교육자 및 교육대상자 각자의 메인 컴퓨터 및 서브 컴퓨터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연결 및 메인 컴퓨터에 접속될 서브 컴퓨터에 해당하는 교육대상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연결, 그리고 메인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하여 원하는 서브 컴퓨터에 표시하고자 하는 선택 키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Connection of the user input interface to each of the main computer and the sub computer of the educator and the target computer, connec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sub computer to be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and the desired sub computer for the image output from the main 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mote control means including a selection key to be displayed on.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2 and 3 attach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by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다수의 교육 대상자에게 공통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육자의 메인 컴퓨터(100)와,Educator's main computer 100, including a large display device to be shown to a plurality of subjects in common, and

각 교육대상자인 학생에게 배정되는 다수의 서브 컴퓨터(200)가 구성되며,A plurality of sub-computers 200 are assigned to each student who is a subject,

상기 메인 컴퓨터(100)에는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가 구성되고, 각 서브 컴퓨터(200)에는 학생 각각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가 구성된다.The main computer 100 includes an educator's user input interface 300, and each sub computer 200 has a user input interface 400 of each student.

상기 서브 컴퓨터(200)와 이에 해당하는 학생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는 각각의 제어기(500)를 통해 연결되며, 메인 컴퓨터(100)와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는 교육자의 원격선택을 위한 리모콘(700)의 수신신호를 입력받는 리모콘수신제어부(600)를 통해 연결되고, 리모콘수신제어부(600)와 각 제어기(5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리모콘수신제어부(600)로 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 에 따라 각 제어기(500)의 동작상태를 결정하게 된다.The sub computer 200 and the corresponding user input interface 400 of the student are connected through the respective controller 500, and the main computer 100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of the educator allow the remote selection of the educator. Is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trol reception control unit 600 for receiving a received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700 for the control, the remote control reception control unit 600 and each controller 50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contro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reception control unit 600 The operation state of each controller 5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gnal.

상기 리모콘 수신제어부(600)는 교육자의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콘(700)으로 부터 전달되는 원격선택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601)와, 메인 컴퓨터(100)와,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연결 및 서브 컴퓨터(200)의 해당 제어기(500)를 통해 어느 한 학생의 사용자 입력인터페이스(400)와의 연결 스위칭동작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부(602)와, 메인 컴퓨터(100)로 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영상증폭출력부(603)와, 수신부(601)로 부터 전달되는 교육자의 지령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부(602)와 영상증폭출력부(603) 및 각 제어기(500)를 제어하여 교육자 또는 학생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400)의 연결 및 메인 컴퓨터(100)의 영상의 전달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 제어부(60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control receiving control unit 600 of the receiving unit 601, the main computer 100,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of the educator receives a remote sel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700 for the remote control of the educator. The interface switching unit 602 which operates the connection switching with the user input interface 400 of a student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troller 500 of the sub computer 200 and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mputer 100.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educator to be amplified by the image amplification output unit 603 and the educato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601, the interface switching unit 602, the image amplification output unit 603, and each controller 500 are controlled. And a switching controller 604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tudent input interface 300,400 is connected and whether the image of the main computer 100 is transmitted.

그리고, 상기 리모콘수신제어부(6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각 제어기(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위칭 제어부(604)로 부터 전달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메인 컴퓨터(100)와의 학생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의 연결경로를 제공하며, 학생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와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200)와의 연결을 결정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부(501)와, 영상증폭출력부(603)를 통해 전달되는 메인 컴퓨터(100)의 영상신호를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200)의 모니터에 공급하는 영상스위칭부(5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Each of the controllers 500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r receiving control unit 600 via a network,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witching control unit 604 through the network, the student user input interface 400 with the main computer 100. The main computer delivered through the interface switching unit 501 and the image amplification output unit 603 to deter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 user input interface 400 and the corresponding sub-computer 200. And an image switching unit 502 for supplying the image signal of 100 to the monitor of the corresponding subcomputer 200.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400)는 키보드, 마우스이며, 제어기(500)를 통해 메인 컴퓨터(100) 및 서브 컴퓨터(200) 각각의 키보드포트와, 마우스 포트에 접속된다.The user input interfaces 300 and 400 are keyboards and mice, and are connected to the keyboard ports and the mouse ports of the main computer 100 and the sub computer 200 through the controller 500.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은 교육자의 집중도있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고, 효율적인 실습 및 교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The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by such a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the concentrated education of educators and to provide an efficient practice and education system.

교육자는 리모콘(700)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 제어를 실행하게 되고, 이의 교육자 선택 제어를 리모콘수신제어부(600)에서 각 서브 컴퓨터(200)별로 구성된 해당 제어기(500)를 제어하여 교육자가 원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The educator executes a desired function control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700, and the educator selects a control operation desired by the educator by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controller 500 configured for each sub computer 200 in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control unit 600. Will be performed,

본 발명 시스템은, 교육자의 메인 컴퓨터(100)와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연결하여 교육자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강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교육자는 교육중 원하는 학생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선택적으로 메인 컴퓨터(100)에 연결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메인 컴퓨터(100)를 이용하여 공개적인 실습 또는 교육자에게 개별적인 실습내용을 보여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ducator can perform a lecture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by connecting the educator's main computer 100 and the educator's user input interface 300, and the educator can input a desired user's user during the education. The interface 40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so that a student may use the main computer 100 to show the public practice or the individual practice contents to the educator.

또한, 교육자는 교육 완료후 또는 교육중이라도 원할 경우 각 제어기(500)를 통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200)에 각각 연결시키도록 하여 학생 개별적인 실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ucator may enable the individual training of the student by connecting the user input interface 400 to the corresponding sub-computer 200 through the controller 500 if desired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ducation or during the education.

이때, 교육자는 메인 컴퓨터(100)에 구성되는 대형모니터를 통해 학생들이 집중되어 있는 상태에서 교육이 가능하며, 원할 경우 메인 컴퓨터(100)의 영상을 각 제어기(500)를 통해 원하는 서브 컴퓨터(200)의 모니터로 전달하여 표시하여, 원하는 학생 또는 전 학생에게 자신의 앞에 있는 모니터를 통해 교육을 받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ducator can be educated in a state where the students are concentrated through the large monitor configured in the main computer 100, and if desired, the desired sub computer 200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controller 500 for the image of the main computer 100. Can be displayed on a monitor, so that the desired student or former student can be educated through the monitor in front of them.

도 4는 리모콘(700)의 키이 구성에 있어,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리모콘(700)은 메인 컴퓨터(100)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 또는 400)의 연결을 선택 설정하기 위한 교육자설정키이(711)와, 서브 컴퓨터(200)와 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학생설정키이(712)와, 모든 서브 컴퓨터(200) 또는 소정의 그룹으로 설정되는 서브 컴퓨터(200)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그룹키이(713)와, 메인 컴퓨터(100)의 영상을 각 서브 컴퓨터(20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키이(714)를 포함하는 제 1키이부(710)와,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the key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700, the remote control 700 is an educator setting key for selecting and setting the connection of the main computer 100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or 400) 711, the student setting key 712 for selectively set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 computer 200 and the corresponding user input interface 300, and all the sub computers 200 or sub groups set to a predetermined group. Group key 713 for selectively setting the connection of the user input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computer 200, and an image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image of the main computer 100 to each sub computer 200 for display. A first key part 710 including a key 714,

각 서브 컴퓨터(200)를 지정하기 위한 설정용 키이를 포함하는 제 2키이부(720)로 구성된다.The second key unit 720 includes a setting key for designating each subcomputer 200.

교육자는 이와 같은 리모콘(700)을 이용하여 원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도 5는 메인 컴퓨터(100) 또는 서브 컴퓨터(200)와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400)의 연결 제어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 또는 400)의 그 연결제어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ducator performs a desired control operation using the remote controller 700.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connection of the user input interfaces 300 and 400 with the main computer 100 or the sub computer 200.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control proces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or 4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제 1키이부(710)의 키이가 선택되었는 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교육자설정키이가 선택된 경우 교육자설정키이가 입력된후 소정의 설정된 시간내에 제 2키이부(720)의 해당 서브 컴퓨터(200)에 대한 지정키이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소정의 설정시간동안 제 2키이부(720)의 선택이 없을 경우 현재 메인 컴퓨터(100)에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가 연결된 초기상태인가를 판별하여 초기상태일 경우 종료하고, 초기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초기상태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를 연결하고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소정의 설정시간내에 제 2키이부(720)의 선택이 있을 경우에는 학생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의 연결모드로 판별하여 해당 선택된 제 2키이부(720)의 지정 학생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메인 컴퓨터(100)에 연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key of the first key unit 710 is selected, and if the educator setting key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sub-computer 200 of the second key unit 72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ducator setting key is input.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signated key for the input has been input, and if the second key unit 720 is not selected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educator's user input interface 300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Determining and ending if the initial state, and if not the initial state,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terminating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to the initial state, and selecting the second key portion 720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in the process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by the connection mode of the user input interface 400 of the student and connects the designated student user input interface 400 of the selected second key part 720 to the main computer 100. It is made up of the process,

상기 제 1키이부(710)의 키이 선택이 학생설정키이(712)일 경우, 제 2키이부(720)의 해당 서브 컴퓨터(200) 지정 키이신호가 입력될때까지 대기하는 과정과, 제 2키이부(720)를 통해 서브 컴퓨터(200)가 지정되면, 선택된 학생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200)에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제 1키이부(720)의 키이 선택이 그룹키이(713)일 경우에는 그룹으로 지정된 서브 컴퓨터(200)에 대하여 각각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연결하는 과정의 실행수순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key selection of the first key unit 710 is the student setting key 712, the process of waiting until the designated key signal of the sub-computer 200 of the second key unit 720 is input, and the second key When the sub computer 200 is designated through the unit 720,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user input interface 400 of the selected student to the corresponding sub computer 200 and the key selection of the first key unit 720 may be performed. If the group key 71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ecution of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respective user input interface 400 to the sub-computer 200 designated as a group.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 컴퓨터(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각 서브 컴퓨터(200)에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스위칭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도 7의 실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switching process for selectively display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main computer 100 on each subcomput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제 1키이부(710)의 영상키이(714)가 선택되었는 가를 검색하여 영상키이(714)가 선택되면, 현재 영상설정상태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현재 영상설정상태일 경우에는 현재 서브 컴퓨터(2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차단하여 영상설정상태를 해제하는 과정과, 영상설정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현재 강의 모드인지 실습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영상설정상태에서 그룹키이가 입력되면 강의모드로 판별하여 그룹으로 설정된 모든 서브 컴퓨터(200)에 메인 컴퓨터(100)의 영상을 표시하여 주도록 하는 과정과, 영상설정상태에서 제 2키이부(720)를 통해 지정되는 서브 컴퓨터(200)로만 메인 컴퓨터(100)의 영상을 표시하여 주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If the image key 714 is selected by searching whether the image key 714 of the first key unit 710 is sel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key 714 is selected, and if the image key 714 is selected, and if the image key 714 is selected,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image setting state by block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200), determining the current lecture mode or the practice mode if the image setting state is not, and entering the lecture mode when the group key is input in the image setting state. Displaying the images of the main computer 100 on all subcomputers 200 set as a group and determining the main computer as a sub computer 200 designated by the second key unit 720 in the image setting state.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image of 100 is made.

이와 같은 본 발명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과 제어 방법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교육자는 리모콘(700)을 이용하여 리모콘 수신제어부(600)에 지령을 내리고, 이를 리모콘 수신제어부(600)에서 수신받아 각 서브 컴퓨터(200)에 연결된 각 제어기(500)를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 400) 및 영상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educator issues a command to the remote controller reception controller 60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700, receives the received command from the remote controller reception controller 600, and controls each controller 500 connected to each sub computer 200 to control a user input interface ( 300 and 400) and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mage.

교육자가 리모콘(700)의 제 1키이부(710)에 구성된 교육자설정키이(711)를 선택하게 되면, 리모콘(700)으로 부터 송신되는 원격신호를 리모콘 수신제어부(600)의 수신부(601)에서 수신받게 되고, 이를 스위칭 제어부(604)에서인식하게 된다.When the educator selects the educator setting key 711 configured on the first key unit 710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the remote control unit 700 receives the remo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700 at the receiving unit 601 of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control unit 600. It is received, it is recognized by the switching control unit 604.

스위칭 제어부(604)에서는 교육자설정키이(711)가 입력되면, 메인 컴퓨터(200)에 연결될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선택하기 위해 제 2키이부(720)의 서브 컴퓨터(200)의 지정키이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When the educator setting key 711 is input, the switching controller 604 inputs a designated key of the sub computer 200 of the second key unit 720 to select the user input interface 400 to be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200. Will wait.

이때, 스위칭 제어부(604)에서는 교육자설정키이(711)가 입력된 이후 부터 카운트하여 소정의 설정된 시간동안 제 2키이부(720)의 키이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초기상태로 전환하고자 함으로 판단하여 인터페이스 스위칭부(602)를 제어하여 메인 컴퓨터(100)에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가 연결된 초기상태로 전환하고 종료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witching controller 604 counts from the time when the educator setting key 711 is input and determines that the key of the second keying unit 720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switches to the initial state. The control unit 602 switches to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of the educat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and terminates.

이는 초기상태는 메인 컴퓨터(100)에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가 연결된 상태로, 다른 서브 컴퓨터(200)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가 모드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설정된 시간내에 제 2키이부(720)의 키이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교육자가 초기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것이다.The initial state is that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of the educat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400 remains unconnected to the other sub-computers 200, and thus, within the set time. If the key of the second key unit 720 is not selected, the educator decides to switch to the initial state.

교육자설정키이(711)가 선택된후, 제 2키이부(720)를 통해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200)가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스위칭 제어부(604)에서는 현재 연결된 교육자 또는 학생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 또는 400)의 연결을 메인 컴퓨터(100)로 부터 끊고 선택된 서브 컴퓨터(2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메인 컴퓨터(100)에 연결하게 된다.After the educator setting key 711 is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subcomputer 200 is designated through the second key unit 720, the switching control unit 604 uses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or the currently connected educator or student. The connection of 400 is disconnected from the main computer 100,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400 of the selected sub computer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따라서, 연결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사용하는 학생은 메인 컴퓨터(100)를 이용하여 실습을 할 수 있게 된다.Thus, a student using the connected user input interface 400 can practice using the main computer 100.

이와 같은 연결상태는 교육자가 메인 컴퓨터(100)에 연결된 대형 모니터를 통해 강의를 진행하는 도중 어느 한 학생을 지정하여 질의를 하여 그 질의에 대하여 실습을 시킬 수 있거나, 또는 어떤 한 학생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자 신청하여 교육자가 이를 받아들여 학생들에게 공개적으로 그 내용을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such a connection state, an educator can designate a student and inquire a query while practicing a lecture through a large monitor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or a student can express his or her opinion. By applying for this, the educator accepts it and makes it publicly available to the students.

한편, 강의가 끝나거나 강의도중 실습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에 교육자는 모든 학생 또는 원하는 학생만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학생들이 자신에게 배정된 각각의 서브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바,On the other hand, when the lecture is over or wants to proceed with the practice during the lecture, the educator selectively sets all students or only desired students so that the students can practice using the respective sub-computers 200 assigned to them. ,

교육자가 리모콘(700)의 학생설정키이(712)를 선택하게 되면, 스위칭 제어부(604)에서는 제 2키이부(720)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When the educator selects the student setting key 712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the switching control unit 604 waits for the input of the second key unit 720.

학생설정키이(712)는 교육자가 원하는 학생만을 선택하여 학생들에게 배정된 자신의 서브 컴퓨터(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키이이다.The student setting key 712 is a key for allowing an educator to select only a desired student so that his or her sub computer 200 assigned to the student can be used.

리모콘(700)으로 부터 제 2키이부(720)의 입력을 기다리다가 수신부(601)를 통해 제 2키이부(720)의 키이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 제어부(604)에서는 교육자가 선택한 서브 컴퓨터(200)에 연결된 제어기(5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인터페이스 스위칭부(501)를 통해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서브 컴퓨터(200)에 연결하게 된다.Waiting for the input of the second key unit 720 from the remote controller 700, and when the key signal of the second key unit 720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601, the switching controller 604 uses the sub computer selected by the educator.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ler 500 connected to the 200 to connect the corresponding user input interface 400 to the sub computer 200 through the interface switching unit 501.

이때, 교육자가 모든 학생 또는 소정의 설정된 그룹을 모두 선택하고자 할 경우에는 리모콘(700)의 제 1키이부(710)에 구성된 그룹키이(713)를 선택하게 되는바,At this time, when the educator wants to select all students or all predetermined groups, the group key 713 configured in the first key unit 710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is selected.

교육자가 그룹키이(713)를 선택하게 되면, 스위칭 제어부(604)에서는 미리 설정된 각 서브 컴퓨터(200)의 그룹에 해당하는 각 제어기(5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서브 컴퓨터(200)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를 연결하게 된다.When the educator selects the group key 713, the switching controller 604 outputs a control signal to each controller 500 corresponding to the group of the preset sub computers 200 to input the user to the sub computer 200. The interface 400 is connected.

여기서, 서브 컴퓨터(200)의 그룹 설정은 별도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초기는 모든 서브 컴퓨터(200)에 대하여 그룹을 설정하여 두고, 이후 교육자가 스위칭 제어부(604)에 내장된 소정의 정해진 프로그램을 통해 그룹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그룹설정키이를 리모콘(700)에 더 구성하고, 그룹을 설정하고, 이후 여러개의 그룹이 존재할 경우 그룹키이(713)와 제 2키이부(720)의 조합으로 그룹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등 그 실시예는 제한적이지는 않는다.Here, although the group setting of the subcomputer 200 is not separately presented, initially, a group is set for all the subcomputers 200, and then the educator sets the group through a predetermined program embedded in the switching controller 604. It is possible to set the group setting key on the remote control 700, and to set the group, and if there are several groups after the combination of the group key 713 and the second key portion 720 user by group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such as enabling the connection of the input interface 400.

이와 같이 연결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400)는 리모콘(700)의 교육자설정키이(711)를 선택하여 초기상태로 그 연결상태를 전환할 수 있으며, 별도의 키이를 리모콘(700)에 구성 또는 구성된 키이의 설정을 변경하여 그 연결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400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may select the educator setting key 711 of the remote control 700 to switch its connection state to an initial state, and configure a separate key on the remote control 700 of the key. You can optionally control the connection status by changing the settings.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00, 400)를 그 해당하는 메인 컴퓨터(100) 및 서브 컴퓨터(200)와 연결 제어하도록 함에 있어, 메인 컴퓨터(100)의 영상을 각 서브 컴퓨터(200)에 선택적으로 출력 표시할 수 있는 바,On the other hand, in the connection control of the user input interface (300, 400) with the corresponding main computer 100 and the sub computer 200, the image of the main computer 100 is selectively selected to each sub computer 200 You can display the output as

교육자는 메인 컴퓨터(100)에 연결된 대형 모니터를 통해 강의교육하게 되는 강의모드중 각 학생들 앞에 배정된 서브 컴퓨터(200)에 연결된 모니터로 그 영상을출력할 수 있으며, 학생 자신의 의견 개진 또는 교육자의 지시에 의한 학생의 공개적인 실습모드시 해당학생에게만 선택적으로 영상을 전달 표시할 수 있다.The educator can output the image to the monitor connected to the sub-computer 200 assigned to each student in the lecture mode in which the educator teaches the lecture through the large monitor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In the case of the student's public practice mod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the video can be selectively delivered and displayed only to the student.

여기서, 교육자는 리모콘(700)에 구성된 영상키이(714)를 선택하게 되면, 스위칭 제어부(604)에서는 수신부(601)를 통해 이를 인식하여 현재 영상설정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Here, when the educator selects the image key 714 configured on the remote controller 700, the switching controller 604 recognizes the image key 714 through the receiver 601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image is set.

이미 메인 컴퓨터(100)의 영상을 서브 컴퓨터(200)를 통해 표시하고 있는 상태의 영상설정상태일 경우에는 현재의 영상설정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 강의모드인지 실습모드인지를 판별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image setting state in which the image of the main computer 100 is already displayed through the sub computer 200, the current image setting state is canceled. Otherwise, the current image setting state is determined. Done.

즉, 스위칭 제어부(604)에서는 영상키이(714)가 입력된 후, 소정의 키이신호가 입력되기를 대기하고 있다가, 그룹키이(713)가 입력될 경우 강의모드로 판단하여 그룹으로 설정된 또는 모든 서브 컴퓨터(200)의 제어기(500)의 영상스위칭부(502)로 메인 컴퓨터(100)로 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영상증폭출력부(603)의 영상신호를 전달하게 된다.That is, the switching controller 604 waits for a predetermined key signal to be input after the image key 714 is input, and when the group key 713 is input, determines that the lecture mode is a lecture mode and all subs are set. The image switching unit 502 of the controller 500 of the computer 200 transmits the image signal of the image amplification output unit 603 that amplifies and outputs the image output from the main computer 100.

해당하는 제어기(500)의 영상스위칭부(502)에서는 스위칭 제어부(604)의 제어를 받아 전달된 영상신호를 스위칭하여 연결된 서브 컴퓨터(200)에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표시하게 된다.The image switching unit 502 of the corresponding controller 500 switches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ing controller 604 to output and display the image signal to the connected subcomputer 200.

따라서, 학생은 메인 컴퓨터(100)에 연결된 대형 모니터를 통해 표시되던 영상을 자신의 모니터를 통해서도 볼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tudent can see the image displayed on the large monitor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100 through his monitor.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강의모드와 실습모드의 판별을 현재 정해진 키이를 통해 선택하고 있지만, 별도의 키이를 리모콘(700)에 구성하여 이를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He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lecture mode and the training mode is currently selected through a predetermined key, but a separate key may be configured in the remote controller 700 to implement the various method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키보드와 마우스로 설정하고, 그 동작과정을 설명하였지만, 스피커와 마이크가 셋트로 이루어진 헤드셋과 같은 음성입출력수단 및 조이스틱과 같은 기능조정수단 등도 적용가능하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interface is set to a keyboard and a mouse, and the operation process thereof has been described. However, voice input / output means such as a headset hav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and a function adjusting means such as a joystick are applicable. Do.

이러한 경우 헤드셋은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에 제어기를 통해 연결되고, 조이스틱은 해당 제어보드에 제어기를 통해 연결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headset is connected to the sound card of the computer through the controller, and the joystick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through the controll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교육자의 선택에 따라서 메인 컴퓨터를 학생 자신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정, 추가 등의 작업이 가능하고, 자신에게 배정된 서브 컴퓨터를 이용하여서도 그 실습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메인 컴퓨터의 영상을 대형 모니터 또는 학생 자신들의 모니터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집중도있는 교육 환경 및 효율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mputer can be modified or added using the user's own user input interface according to the educator's choice, and the practice can be performed even by using the sub computer assigned to the stud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mage of the main computer through a large monitor or the student's own monitor,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concent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n efficient educational environment.

Claims (8)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교육자에게 배정되는 메인 컴퓨터와,A main computer with a large display device and assigned to the educator, 각 교육대상자에게 배정되는 다수의 서브 컴퓨터와,A number of subcomputers assigned to each subject; 상기 각 서브 컴퓨터에 대한 교육대상자의 입력 인터페이스수단과, 이 수단과 해당하는 다수의 서브 컴퓨터와의 연결, 그리고 교육자의 컴퓨터와의 연결 및 교육자의 메인 컴퓨터로 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스위칭하여 각 서브 컴퓨터의 모니터로 전달하는 각 서브 컴퓨터의 제어기와,Each sub-computer by switching the input interface means of the subject to each sub-computer, the means and the corresponding sub-computers, the connection of the educator's computer, and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main computer of the educator. The controller of each sub-computer to deliver to the monitor of 상기 각 서브 컴퓨터의 제어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원격제어수단을 통해 교육자가 전달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 제어기를 제어하여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수단 및 교육대상자의 입력 인터페이스수단의 해당 컴퓨터와의 연결 및 교육대상자의 입력 인터페이스수단을 교육자의 메인컴퓨터와의 연결을 제어하고, 메인 컴퓨터의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각 서브 컴퓨터의 모니터로의 영상신호 전달을 제어하는 원격제어수신수단과,I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of the controllers of the sub-computers, and receives the sel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educator through the remote control means to control each controller to control the controllers with the corresponding computer of the educator's user input interface means and the subject's input interface means. Remote control and recei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and input interface means of the subject to the educator's main computer, amplifying the video signal of the main computer,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video signal to the monitor of each sub-computer; 교육자로 하여금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스위칭 및 각 서브 컴퓨터로의 메인 컴퓨터 영상을 전달 표시를 원격 제어가능하도록 각 해당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키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A remote control means comprising a key that allows an educator to select each corresponding function to enable remote control of the switching of the user input interface and the delivery of the main computer image to each sub-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수신수단은 교육자의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수단으로 부터 전달되는 원격선택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와, 메인 컴퓨터와,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연결 및 서브 컴퓨터의 해당 제어기를 통해 어느 한 학생의 사용자 입력인터페이스와의 연결 스위칭동작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부와, 메인 컴퓨터로 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영상증폭출력부와, 수신부로 부터 전달되는 교육자의 지령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칭부와 영상증폭출력부 및 각 제어기를 제어하여 교육자 또는 학생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연결 및 메인 컴퓨터의 영상의 전달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comprises a receiver for receiving a remote sel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 means for remote control of an educator, a connection of a main computer, an educator's user input interface, and a corresponding sub computer. An interface switching unit which switches and connects to a user input interface of a student through a controller, an image amplifying output unit for amplifying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a main computer, and the interfac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an educator transmitted from a receiving unit. And a switching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switching unit, the image amplification output unit, and each controller to determine the connection of the user input interface of the educator or the student and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of the main comput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수신수단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각 제어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위칭 제어부로 부터 전달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서, 메인 컴퓨터와의 학생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연결경로를 제공하며, 학생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와의 연결을 결정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칭부와, 원격제어수신수단의 영상증폭출력부를 통해 전달되는 메인 컴퓨터의 영상신호를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의 모니터에 공급하는 영상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The controller of claim 1 or 2, wherein each of the controller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means establishes a connection path of the student user input interface with the main computer according to a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witching controller through the network. And an interface switching unit for determining a connection between a student user input interface and a corresponding subcomputer, and supplying an image signal of a main computer transmitted through an image amplifying output unit of a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to a monitor of a corresponding subcomputer.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comprising a video switch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키보드, 마우스이며, 제어기를 통해 메인 컴퓨터 및 서브 컴퓨터 각각의 키보드포트와, 마우스 포트에 접속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The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put interface is a keyboard or a mouse, and is connected to a keyboard port of a main computer and a subcomputer and a mouse port through a controller.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헤드셋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헤드셋트는 제어기를 통해 메인 컴퓨터 및 서브 컴퓨터 각각의 사운드 보드 포트에 접속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5. The computer multiplex control of claim 1 or 4, wherein the user input interface further comprises a headset, wherein the headset is connected to a sound board port of each of the main computer and the sub computer through a controller.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조이스틱과 같은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이스틱은 제어기를 통해 메인 컴퓨터 및 서브 컴퓨터 각각의 제어보드 포트에 접속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시스템.6. The computer multiple control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user input interface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means such as a joystick, wherein the joystick is connected to a control board port of each of the main computer and the sub computer through a controller. . 원격제어수단의 키이입력이 있는 가를 판단하여 교육자설정키이가 선택된 경우 교육자설정키이가 입력된후 소정의 설정된 시간내에 해당 서브 컴퓨터에 대한 지정키이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소정의 설정시간동안 서브 컴퓨터에 대한 지정키이의 선택이 없을 경우 현재 메인 컴퓨터에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초기상태인가를 판별하여 초기상태일 경우 종료하고, 초기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초기상태로 교육자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소정의 설정시간내에 서브 컴퓨터에 대한 지정키이의 선택이 있을 경우에는 교육대상자인 학생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연결모드로 판별하여 해당 선택된 서브 컴퓨터의 지정키이를 통해 지정된 학생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메인 컴퓨터에 연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If the educator setting key is selected by judging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 means,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designated key for the corresponding sub computer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educator setting key is input, and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If no designated key is selected for the subcompu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ducator's user input interface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main computer. If it is not in the initial state, it is terminated. If not, the educator's user input interface is reset to the initial state.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terminating, and if the designated key for the subcomputer is selec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in the process, it is determined by the connection mode of the user input interface of the student who is the subject of the training, and the designated key of the selected subcomputer is selected. The specified student user input interface It made by the process of connecting to a computer, 상기 원격제어수단의 키이입력 판단결과 학생설정키이(712)일 경우, 해당 서브 컴퓨터의 지정 키이신호가 입력될때까지 대기하는 과정과, 서브 컴퓨터가 지정되면, 선택된 학생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해당하는 서브 컴퓨터에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원격제어수단의 키이입력 판단결과 그룹키이일 경우에는 그룹으로 지정된 서브 컴퓨터에 대하여 각각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과정의 실행수순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방법.If the student input key 712 is a key input determination result of the remote control means, the process of waiting until a designated key signal of a corresponding sub computer is input, and if a sub computer is designated, a sub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terface of the selected student. Connecting to a computer; and when the key input determination result of the remote control means is a group key, execution of the process of connecting each user input interface to a subcomputer designated as a group. . 제 7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수단의 키이입력이 있는 가를 판단하여 영상키이가 선택되면, 현재 영상설정상태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현재 영상설정상태일 경우에는 현재 서브 컴퓨터에 표시되는 영상을 차단하여 영상설정상태를 해제하는 과정과, 영상설정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현재 강의 모드인지 실습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영상설정상태에서 그룹키이가 입력되면 강의모드로 판별하여 그룹으로 설정된 모든 서브 컴퓨터에 메인 컴퓨터의 영상을 표시하여 주도록 하는 과정과, 영상설정상태에서 원격제어수단의 키이입력을 통해 지정되는 서브 컴퓨터로만 메인 컴퓨터의 영상을 표시하여 주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다중 제어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f the video key is selected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means,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 is in the current image setting state, and in the case of the current image setting state, blocking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ubcomputer.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video setting state,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the current lecture mode or the practice mode when it is not in the video setting state, and when the group key is input in the video setting state, it is determined as the lecture mode. And displaying the image of the main computer in the image setting state, and displaying the image of the main computer only to the sub-computer designated by the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 means in the image setting state. Multiple control method.
KR1020010032057A 2001-06-08 2001-06-08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KR200200933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057A KR20020093341A (en) 2001-06-08 2001-06-08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057A KR20020093341A (en) 2001-06-08 2001-06-08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341A true KR20020093341A (en) 2002-12-16

Family

ID=2770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057A KR20020093341A (en) 2001-06-08 2001-06-08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334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289A (en) * 2002-09-11 2004-03-18 (주)런컴 Wireless Microphone System For Preventing Wrong-Work From Channel Mixture
KR20040026048A (en) * 2002-09-17 2004-03-27 이병식 Education multimedia system
KR100794710B1 (en) * 2006-03-21 2008-01-14 주식회사 드림정보기술 Multimedia duplex transmission control device with multiway grouping function
CN110493648A (en) * 2019-08-12 2019-11-22 南京智峯科巨教育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Video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big dat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015A (en) * 1995-09-06 1997-04-28 장용균 Educational computer network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KR970060018A (en) * 1997-03-17 1997-08-12 지영천 Multimedia educational device
KR200170024Y1 (en) * 1997-08-06 2000-02-01 정일숙 Multimedia system for education
KR200170470Y1 (en) * 1999-09-20 2000-02-15 임명순 Person-to-person computer study system
KR20000030159A (en) * 2000-01-24 2000-06-05 성영익 Display method of split screen
JP2001092341A (en) * 1999-09-24 2001-04-06 Nri & Ncc Co Ltd Three-dimensional space bidirectional edu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015A (en) * 1995-09-06 1997-04-28 장용균 Educational computer network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KR970060018A (en) * 1997-03-17 1997-08-12 지영천 Multimedia educational device
KR200170024Y1 (en) * 1997-08-06 2000-02-01 정일숙 Multimedia system for education
KR200170470Y1 (en) * 1999-09-20 2000-02-15 임명순 Person-to-person computer study system
JP2001092341A (en) * 1999-09-24 2001-04-06 Nri & Ncc Co Ltd Three-dimensional space bidirectional education system
KR20000030159A (en) * 2000-01-24 2000-06-05 성영익 Display method of split scre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동아일보 1996-07-21(종합)스케치 02면 참조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289A (en) * 2002-09-11 2004-03-18 (주)런컴 Wireless Microphone System For Preventing Wrong-Work From Channel Mixture
KR20040026048A (en) * 2002-09-17 2004-03-27 이병식 Education multimedia system
KR100794710B1 (en) * 2006-03-21 2008-01-14 주식회사 드림정보기술 Multimedia duplex transmission control device with multiway grouping function
CN110493648A (en) * 2019-08-12 2019-11-22 南京智峯科巨教育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Video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bi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8993A (en) Computer teaching system
EP0958569B1 (en) Remote learning system
US5909543A (en) Communication conference system and communication conference apparatus
US200201322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of instructional information
EP0950944A3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5828372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10225192A1 (en) Piano teaching system
JPH08298653A (en) Video conference system and its terminal equipment
GB2591522A (en) Piano teach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20093341A (en)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US20130084555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0242043Y1 (en) Multi-control computer system
KR100393471B1 (en) Realtime control system for multimedia network
KR101016647B1 (en) Wireless mike system for conference
KR20110016543A (en) Wireless language education system
KR200170024Y1 (en) Multimedia system for education
WO2003049064A1 (en) Interactive teaching / learning system
JP2000321970A (en) Language learning system
KR100296769B1 (en) Educational video and audio transmission system with twin monitor function
KR100794710B1 (en) Multimedia duplex transmission control device with multiway grouping function
KR19990038640A (en) Multiple monitor using signal distribution and its method
CN113965609B (en) Group control type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KR100758776B1 (en) Visual System for Experimental Education with Computer
KR102489710B1 (en) Operation method of head mount system for education
KR20030005144A (en) Virtual reality system which has multi user interface and its control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