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962Y1 - Wireless hands free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hands fre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962Y1
KR200229962Y1 KR2020010002818U KR20010002818U KR200229962Y1 KR 200229962 Y1 KR200229962 Y1 KR 200229962Y1 KR 2020010002818 U KR2020010002818 U KR 2020010002818U KR 20010002818 U KR20010002818 U KR 20010002818U KR 200229962 Y1 KR200229962 Y1 KR 200229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signal
uni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8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엘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엘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엘전자
Priority to KR2020010002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96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962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오디오 잭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잭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핸즈프리의 모측장치와, 상기 모측장치와 무선으로 양방향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핸즈프리의 자측장치로 구성된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방치한 채 사용자가 차량에서 이탈하는 것을 경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facilitating the user's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daptively perform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dio jack, a wireless hands-free mother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n audio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hands-free mother side capable of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mother device. A wireless hands-free system composed of devices, which facilitates a user's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warn a user of leaving the vehicle while lea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vehicle.

Description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WIRELESS HANDS FREE SYSTEM}Wireless hands free system {WIRELESS HANDS FREE SYSTEM}

본 고안은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사용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ands-fre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hands-free system for facilitating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daptively performing an auto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 us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차량 운전중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이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주요원인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차량내 설치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Recently,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widely used,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hile driving a vehicle has emerged as a major cause of traffic accidents. For this reason, a hands-free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so that calls can be made using speakers and microphones installed in a vehicle without using a hand.

통상 핸즈프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손을 대지 않아도 착신이 되면 자동으로 응답하여 통화상태로 진입하는 자동응답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자동응답기능은 핸즈프리 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상태에 무관하게 착신만 되면 자동으로 응답하므로, 사용상의 곤란성을 야기하였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이얼링하고 있을 때에 착신이 발생되면, 종래 핸즈프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다이얼링과는 무관하게 자동으로 응답해버려 사용자의 다이얼링에 장애를 주었다.Normally, the hands-free system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that automatically enters a call state by answering an incoming call even if the user does not touch it. This automatic answering function causes a difficulty in using the hands-free system because it automatically responds to incoming calls irrespective of the state of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if an incoming call occurs while the user is dialing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ventional hands-free system automatically responds regardless of the user's dialing, thereby impairing the user's dialing.

또한 통상 핸즈프리 시스템은 차량내에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차량에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차량에 방치된 채 사용자가 차량에서 이동하는 경우,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In addition, since a hands free system is usually provided in a vehic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requently left in a vehicle due to user's carelessness.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when the user moves in the vehicle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eft in the vehicle, there is no way of knowing thi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hands-free system that facilitates the user's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방치한 채 사용자가 차량에서 이탈하는 것을 경고할 수 있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hands-free system which can warn the user of leaving the vehicle while lea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vehicl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의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hands-fre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의 모측장치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ther device of a wireless hands-fre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의 자측장치의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agnetic measuring device of a wireless hands-fre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측장치의 제어흐름도.4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a mothe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측장치의 제어흐름도.5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the magnetic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모측안테나 102: 모측수신신호 처리부100: mother antenna 102: mother receiving signal processing unit

104: 모측 수신부 106: 모측 복조부104: mother-side receiver 106: mother-side demodulator

108: 모측증폭부 110: 수신상태선택부108: mother amplifier 110: reception state selection unit

112: 모측전원스위치 114: 오디오감시부112: mother power switch 114: audio monitoring unit

116: DTMF감시부 118: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6: DTMF monitoring unit 11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120: 모측송신신호 처리부 122: 모측송신증폭부120: mother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22: mother transmission amplifier

124: 모측 변조부 126: 모측 송신부124: mother-side modulator 126: mother-side transmitter

128 :모측 표시부 130: 모측절전제어부128: mother display unit 130: mother power saving control unit

132: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 134: 이동통신단말기 접속/경보부132: mother microprocessor 13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 alarm unit

136: 모측스피커 138: 모측채널선택부136: mother speaker 138: mother channel selector

140: 전압안정화부 142: 충전회로140: voltage stabilizer 142: charging circuit

144: 예비배터리 146: 충전상태 표시부144: spare battery 146: charge state display unit

148: 전원공급부 200:자측 안테나148: power supply unit 200: magnetic antenna

202 :자측수신신호 처리부 204: 자측 수신부202: Self-received signal processor 204: Self-received receiver

206: 자측 복조부 208: 음량조절부206: self demodulation 208: volume control

210: 오디오 증폭기 212: 이어폰 접속부210: audio amplifier 212: earphone connection

214: 스피커 출력부 216: 출력증폭기214: speaker output unit 216: output amplifier

218: 자측스피커 220: 이득조절부218: magnetic speaker 220: gain control unit

222: 수신스위치 224: 출력선택스위치222: receiving switch 224: output selection switch

226: 자측 마이크로 프로세서 227: 자측 채널선택부226: magnetic channel microprocessor 227: magnetic channel selector

228: 자측표시부 230: 자측절전제어부228: magnetic measurement display 230: magnetic sleep control unit

234: 마이크 입력부234: microphone input

236: 마이크 238: 마이크 증폭기236: microphone 238: microphone amplifier

240: 자측송신신호 처리부 242: 자측 변조부240: self-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242: self-modulating unit

244: 자측 송신부 246:자측 배터리244: magnetic side transmitter 246: magnetic side battery

248: 자측 전원스위치 250: DC-DC 컨버터248: magnetic power switch 250: DC-DC converter

252: 배터리감지부 254: 배터리 상태 표시부252: battery detection unit 254: battery status display unit

HF: 핸즈프리시스템 A: 모측장치HF: Hands free system A: Maternity unit

B: 자측장치 T: 이동통신단말기B: Self-measuring device 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디오 잭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잭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핸즈프리의 모측장치와, 상기 모측장치와 무선으로 양방향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핸즈프리의 자측장치로 구성된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dio jack, a wireless hands-free mother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audio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wirelessly with the mother device In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composed of the wireless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모측 장치는, 상기 오디오 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와, 상기 판별된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신상태로 하거나, 신호발신상태로 선택하는 수신상태 선택부와, 상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자측장치로 송신하기 위하여 입력신호를 변조하는 모측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자측장치로 송신하기 위하여 자측의 사용가능 채널을 선택하는 모측채널선택부와, 상기 변조된 입력신호를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자측장치로 송신하는 모측송신부와, 상기 자측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모측수신부와, 상기 모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모측 복조부와, 상기 신호판별부, 수신상태 선택부 등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오디오 잭과 결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신호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오디오 플러그로 구성되며,The mother apparatus includes a signal discri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o jack, a reception stat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eception state or a signal transmission sta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termined signal; A mother modulator that modulates an input signal to transmit the input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a mother channel selector that selects an available channel of the mother side to transmit the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and the modulation A moth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through a selected channel, a mother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ther apparatus, a mother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other receiver, and the signal discrimination un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a reception state selection unit and the like, and a signal input / output sig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ombination with the audio jack. Audio plugs to enable

상기 자측 장치는, 상기 모측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자측수신부와, 상기 자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자측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와,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상기 모측장치로 송신하기 위하여 변조하는 자측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모측장치로 송신하기 위하여 모측의 사용가능채널을 선택하는 자측 채널 선택부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모측장치로 송신하는 자측 송신부와, 상기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자측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lf-measurement apparatus may include: a self-determining un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ther unit, a self-demodulating unit demodulat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lf-receiving unit, an output unit converting the demodulated signal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an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a self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to the mother device, and a usable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lf-channe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a self-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device through the selected channel, and a magnetic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control.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핸즈프리시스템(HF)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핸즈프리시스템(HF)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모측장치(A)와 자측장치(B)로 구성된다. 상기 모측장치(A)는 이동통신 단말기(T)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T)를 거치한 후에 이어 마이크 잭 및 플러그 등이 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를 통해 모측장치(A)와 이동통신 단말기(T)를 접속할 수 있게 한다.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HF as described above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HF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mother device A and a mother device B as shown in FIG. 1. The mother device (A) is provided with a cradle for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fter the user has moun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fter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hat can be a microphone jack and plug, etc. ( 118 through the mother device (A)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can be connected.

상기 모측장치(A)는 이동통신 단말기(T)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변환하여 자측장치(B)로 송신하고, 자측장치(B)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T)로 제공한다. 상기 자측장비(B)는 자측스피커(218) 및 마이크(236)를 구비하여 상기 모측장치(A)가 제공하는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로 복원하여 자측스피커(218)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모측장치(A)로 송신한다.The mother device (A) converts a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nto a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wn device (B), and wirelessly receiv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B)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o provide. The magnetic measuring device (B) is provided with a magnetic speaker 218 and a microphone 236 to restore the radio signal provided by the mother device (A) to a voice signal to output to the magnetic speaker 218, the user inputs The voice is converted into a radio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mother device (A).

상기 모측장치(A)와 자측장치(B)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다수의 무선채널이 제공된다. 상기 모측장치(A)와 자측장치(B)는 송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간섭이 발생될 때에 채널을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나 고품질의 통화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mother device (A) and the mother device (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o channels for wireless connection. The mother device (A) and the mother device (B) automatically switches the channel when the quality of the transmitted / received signal is degraded or interference is generated, so that the user can always be provided with a high quality call service.

즉, 상기 무선 핸즈프리시스템(HF)은 오디오 잭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의 오디오 잭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핸즈프리의 모측장치(A)와, 상기 모측장치(A)와 무선으로 양방향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핸즈프리의 자측장치(B)로 구성되며, 상기 모측장치(A)는 상기 오디오 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114,116)와, 상기 판별된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를 수신상태로 하거나, 신호발신상태로 선택하는 수신상태 선택부(110)와, 상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자측장치(B)로 송신하기 위하여 입력신호를 변조하는 모측 변조부(124)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자측장치(B)로 송신하기 위하여 자측의 사용가능 채널을 선택하는 모측채널 선택부(138)와, 상기 변조된 입력신호를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자측장치(B)로 송신하는 모측송신부(126)와, 상기 자측장치(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모측수신부(104)와,상기 모측 수신부(104)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모측 복조부(106)와, 상기 신호판별부(114,116), 수신상태 선택부(110) 등을 제어하는 모측중앙처리장치(132)와, 상기 오디오 잭과 결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T)와의 신호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오디오 플러그등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로 구성된다.That is,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HF)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having an audio jack, a wireless hands-free mother device (A) electrically connected via an audio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mother side And a wireless hands-free self-measurement device (B)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A), wherein the mother-side device (A) comprises signal discriminating units (114, 116) for discrimina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o jack; Receiving state selection unit 110 to 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n the receiving state or to select the signal transmission sta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termined signal, and to transmit the input signal to the own device (B) A mother modulator 124 for modulating an input signal, a mother channel selector 138 for selecting a usable channel of the mother to transmit the modulated signal to the own apparatus B, and the modulated input Signal to the selected channel. A mother transmitter (126) for transmitting to the mother device (B), a mother receiver (104)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ther device (B), and a demodulat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other receiver (104) A mother demodulation unit 106, a mother central processing unit 132 for controlling the signal discriminating units 114 and 116, a reception state selecting unit 110, and the like, and a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n combination with the audio jack.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ng portion 118 made of an audio plug or the like which enables input / output.

또한, 자측장치(B)는 모측장치(A)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자측수신부(204)와, 상기 자측수신부(204)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자측복조부(206)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212,214)와,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36)와, 상기 마이크(236)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상기 모측장치(A)로 송신하기 위하여 변조하는 자측 변조부(242)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모측장치(A)로 송신하기 위하여 모측의 사용가능채널을 선택하는 자측 채널 선택부(227)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모측장치(A)로 송신하는 자측 송신부(244)와, 상기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자측중앙처리장치(226)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lf-measurement apparatus B includes a self-determining receiver 204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ther-side apparatus A, an autonomous demodulator 206 for demodulat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tonomous receiver 204, and the demodulation. Output units 212 and 214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s into audio signals, a microphone 236 for receiving the voice an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236 to the mother device A. FIG. The self-modulating unit 242 for modulating, the self-channel selecting unit 227 for selecting an available channel of the mother-side to transmit the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device A, and A self-transmitting unit 244 for transmitting to the mother unit (A) through the selected channel, and a self-centering processing unit 226 for controlling the overall parts.

이러한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HF)의 모측장치(A)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도 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모측수신신호 처리부(102)는 모측 수신부(104), 모측 변조부(106), 수신증폭부(108)로 구성된다. 상기 모측 수신부(104)는 안테나(100)를 통해 자측장치(B)가 송신하는 RF(Radio Frequence)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여 복조하여 모측 변조부(106)에 제공한다. 상기 모측 복조부(106)는 상기 수신신호를 복조하여 모측증폭부(108)에 제공한다. 상기 모측증폭부(108)는 상기 복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감시부(114) 및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 등에제공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는 이동통신 단말기(T)와 모측장치(A)간을 연결하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로는 통상 핸드폰 등에 구비되는 이어 마이크 접속 잭이 결합할 수 있는 플러그가 될 수 있다. 또한 통화시 수신된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면 그 음성의 일부가 다시 마이크로 입력되어 상대편 송화자의 귀로 다시 메아리되어 들리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정상적인 통화가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측증폭부(102)와 모측송신증폭부(122)로부터 입력되는 증폭신호를 입력받는 수신이득조절부(151)와 송신이득조절부(152)와 수신이득조절부(151)와 송신이득조절부(152)로부터 음성레벨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크기에 따라 수신이득조절부(151)와 송신이득조절부(152)에 이득조절신호를 송출하는 음성레벨감지부(150)로 이루어진 울림방지회로를 부가하여 이득을 조절함으로서 하울링(howling: 확성기의 음량을 크게 하면 삐~하는 소리가 나는 것)을 방지한다.(이는 음향기기에서 확성기의 음량을 크게 하면 삐~하는 소리가 나는 것 같은 원리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피커의 음량을 작게 조절하거나 마이크의 입력 감도를 낮추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데 본 기기에서는 송신과 수신 양쪽의 음량을 감시하여 적당한 음량으로 자동 조절하여 메아리 현상을 최소화하고 송수신 감도는 높이는 방법을 쓰고 있다. 즉, 말을 할 때는 송신측의 이득을 높이고 수신측의 이득을 줄이며, 들을 때는 수신측의 이득을 높이고 송신측의 이득을 줄이는 방법으로, 이것은 이미 스피커폰 즉 유선 전화용 핸즈프리 등에서 사용되는 회로임).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ther device A of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H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mother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02 includes a mother reception unit 104, a mother modulation unit 106, and a reception amplifier 108. The mother receiver 104 receives, amplifies and demodulates an RF (Radio Frequ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wn apparatus B through the antenna 100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modulator 106. The mother demodulator 106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amplifier amplification unit 108. The mother amplifier 108 amplifies the demodulated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118, and the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118 conne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mother device (A),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118 is a plug that can be coupled to the ear microphone connection jack that is usually provided in a mobile phone, etc. Can be In addition, when a signal received during a call is output to a speaker, a part of the voice is input back to the microphone and echoed back to the other party's ear, so that a normal call is difficult. In order to minimize such a phenomenon, the reception gain control unit 151, the transmission gain control unit 152, and the reception gain control unit receive the amplified signal input from the mother amplifier 102 and the mother transmitter amplifier 122 ( 151 and a voice level detection unit 150 for detecting a voice level from the transmission gain control unit 152 and transmitting a gain control signal to the reception gain control unit 151 and the transmission gain control unit 152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size. By adjusting the gain by adding a ringing prevention circuit consisting of) to prevent howling (when the volume of the loudspeaker is loudly beeped).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eaker volume or reduce the input sensitivity of the microphone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In order to minimize the echo and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ound volu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gain on the receiver side and reduce the gain on the receiver side when speaking, and to increase the gain on the receiver side when listening. As a way to reduce the gain, this is already the circuit used in speakerphones or handsfree for landline phone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T)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신호는 오디오 감시부(114), 디티엠에프(Dial Tone Multi Frequency : 이하에서는 'DTMF'라 함) 감시부(116), 모측송신신호 처리부(120)로 제공된다. 상기 오디오 감시부(114)는 이동통신 단말기(T)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링신호, 음성신호 등을 감지하여 모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32)에 제공한다. 상기 DTMF 감시부(116)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DTMF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를 모측마이크로 프로세서(132)에 제공한다. 상기 모측송신신호 처리부(120)는 모측송신증폭부(122)와 모측변조부(124), 모측송신부(126)로 구성된다. 상기 모측송신증폭부(122)는 이동통신 단말기(T)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모측변조부(124)에 제공하며, 모측변조부(124)는 상기 증폭된 신호를 변조하여 모측송신부(126)에 제공한다. 모측송신부(126)는 상기 변조된 신호를 모측안테나(100)를 통해 자측장치(B)로 송신한다. 수신 상태선택부(110)는 수신모드선택 스위치(110-2)와 수신응답스위치(110-2)로 구성되며 수신모드 선택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수신 모드와 수동수신 모드로 선택되며, 수신 응답스위치(110-1)는 상기한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가 DTMF감지부와 오디오 감지부(114)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신을 위한 번호발신 음인가 전화 수신을 위한 링신호(호출신호즉 전화벨 소리)인 가를 판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신상태로 할 것 인가 또는 발신상태로 유지할 것인가를 선택하기위한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치이다. 즉, 전화를 걸기 위한 발신음일 경우에는 수신응답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발신음자체를 모측송신부를 통하여 자측수신부로 송출하며 전화 수신을 위한 전화벨신호인 경우에는 수신응답스위치를 작동하여 이동단말기를 수신상태로 전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상태로 전환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스위치이다. 이때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전환 기능은 본 분야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을 통하여 수신하는 경우에 이통통신 단말기를 수신상태로 전환하는 외부스위치를 이용하는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이 적용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모측전원스위치(1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측장치(A)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모측표시부(128)는 사용자의 수신모드 선택스위치(110-2)의 조작과 모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32)의 제어에 따라 자동수신모드 설정상태 및 사용상태를 안내한다. 모측절전제어부(130)는 모측마이크로 프로세서(132)에 입력되는 오디오 감지부(114) 및 DTMF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모측마이크로 프로세서(132)에 의하여 제어되며 절전모드시에는 송신신호 처리부(12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정상모드시에는 송신신호 처리부(12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various signals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unit 118 include an audio monitoring unit 114 and a DD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TMF) monitoring unit 116. ), And is provided to the mother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20.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detects a ring signal, a voice signal, and the like from an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The DTMF monitoring unit 116 detects the presence of DTMF i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provide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The mother transmission signal processor 120 includes a mother transmission amplifier 122, a mother modulator 124, and a mother transmission unit 126. The mother transmission amplifier 122 amplifies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modulation unit 124, and the mother modulation unit 124 modulates the amplified signal to mother transmission unit 126. To provide. The mother transmitter 126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B through the mother antenna 100. The reception state selection unit 110 is composed of a reception mode selection switch 110-2 and a reception response switch 110-2. The reception mode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as an automatic reception mode and a manual reception mode by a user's operation. The reception response switch 110-1 determin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from the DTMF detection unit and the audio detection unit 114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receive the number dial tone for the call. It is a switch controlled by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o be in a reception state or an outgoing state by judging whether the ring signal is a ring signal (call signal or ring tone). That is, in case of a dial tone for making a call, the dial tone itself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hrough the mother transmitter without receiving a switch, and in the case of a telephone ring signal for receiving a call, the receiver responds by operating the receiver answer switch. A switch having a function of switching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a reception state. At this time, the reception state switch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bvious that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external switch to swit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reception state when receiving through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field is obvious. It is true. Mother power switch 112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mother device (A)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The mother display unit 128 guides the automatic reception mode setting state and the use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ception mode selection switch 110-2 of the user and the control of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The mother power saving control unit 130 is controlled by the mother micro processor 132 according to the signals of the audio sensing unit 114 and the DTMF sensing unit input to the mother micro processor 132 and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20 The power supply is cut off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20 in the normal mode.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 감시/경보부(134)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의 전압감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T)의 접속상태를 감지하고, 전원공급부(148)로부터 전원이 입력되지 않을 때, 즉 차량의 시동키가 오프상태로 되어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T)가 접속되어 있으면 이동통신단말기 접속 경보부(134)는 후술하는 예비 배터리(14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모측스피커(136)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스피커는 피에조부저, 통상의 음성재생스피커등 전기적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면 사용가능하다. 물론 예비 배터리 대신 커패시터 등의 충전전원을 사용할 수 있음은 본 분야의 자명한 공지의 사실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monitoring / alarm unit 134 detects a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rough the voltage det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oes not input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8. In other words,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s connected while the start key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not suppli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alarm unit 134 supplies power from the spare battery 144 described later. Receives a supply of alarm sound through the mother speaker 136. The speaker used herein may be used as long as a warning sound can be generated by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 piezo buzzer or a normal voice reproduction speaker into a voice signal. Of course,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a charging power source such as a capacitor may be used instead of a spare battery.

전압안정화장치(140)는 전원공급부(148)(차량의 씨가 잭 등)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모측장치(A)에 적합하게 변압하며 정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안정화 회로를 내장하며, 아울러 자측장치(B)의 작동전원으로 활용되는 예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회로(142)와 병렬로 전원공급부(148)에 연결되어 예비배터리(144)를 충전함과 아울러 만충전, 충전상태 등을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146)를 제어한다. 그리고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모측장치(A)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과정은 도 4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특히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자측장치(B)와 사용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여 선택하는 모측채널선택부(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모측채널선택부의 기능은 본 분야인 유무선 전화기 등에서 사용되는 혼선방지를 위하여 채널을 선택하는 공지의 방법을 활용한다.The voltage stabilizer 140 receives a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8 (such as a jack of a vehicle), transforms the power to the mother device A, and incorporates a stabilization circuit to supply a constant voltage. The charging stat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48 in parallel with the charging circuit 142 for charging the spare battery utilized as the operating power of B) to charge the spare battery 144 and to display a full charge, a charge state,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146 is controlled. And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controls the mother device (A) as a wh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ntrol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In particular,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has a mother channel selector 130 for searching and selecting the available channel B and the available channel. Here, the function of the mother channel selector utilizes a known method of selecting a channel to prevent crosstalk used in wired / wireless telephones.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측장치(B)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자측수신신호 처리부(202)는 자측 수신부(204), 자측 복조부(206), 음량조절부(208), 오디오 증폭기(210)로 구성된다. 상기 자측 수신부(204)는 자측안테나(200)를 통해 모측장치(A)로부터의 RF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복조한 후에 자측 복조부(206)에 제공한다. 상기 자측 복조부(206)는 상기 수신신호를 FM 복조한 후에 음량조절부(208)에 제공한다. 상기 음량조절부(208)는 자측마이크로프로세서(226)의 제어에 따라 음성신호의 크기를조절한다. 상기 자측마이크로프로세서(226)는 사용자에 의한 이득 조절부(220) 조작에 따라 상기 음량조절부(208)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량으로 수신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량조절부(208)가 출력하는 수신신호는 오디오 증폭기(210)를 통해 증폭되어 이어폰 접속부(212) 및 스피커 출력부(214)에 입력된다. 상기 이어폰 접속부(212)에는 이어폰이 접속되는데, 이는 비밀통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피커 출력부(214)는 출력증폭기(216) 및 자측스피커(218)로 구성되며, 상기 출력증폭기(216)는 상기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자측스피커(218)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자측스피커(218)와 마이크(236)는 일체형으로 사용자 위치와 근접한 곳에 설치되어, 마이크(236)의 입력레벨을 최소화하여 주위 잡음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음성도 명료하게 들을 수 있게 한다. 상기 마이크(236) 및 마이크 증폭기(238)로 구성되는 마이크 입력부(234)는, 마이크(236)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자측송신신호 처리부(240)에 입력된다. 상기 자측송신신호 처리부(240)는 자측 변조부(242), 자측 송신부(244)로 구성되며, 상기 자측 변조부(242)는 상기 마이크 입력부(23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FM 변조하여 자측 송신부(244)에 제공한다. 상기 자측 송신부(244)는 상기 FM 변조신호를 자측안테나(200)를 통해 모측장치(A)로 송신한다. 수신스위치(222)는 모측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자측마이크로프로세서(226)에 의하여 오디오증폭기(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활성화시킨다.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agnetic measuring device (B)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self-received signal processing unit 202 is composed of a self-receiving unit 204, a self- demodulating unit 206, a volume control unit 208, and an audio amplifier 210. The magnetic receiver 204 receives, amplifies, and demodulates an RF signal from the mother apparatus A through the magnetic antenna 200 and provides the magnetic demodulator 206. The magnetic demodulator 206 provides the volume control unit 208 after the FM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The volume controller 208 adjusts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own microprocessor 226. The magnetic microprocessor 226 controls the volume adjusting unit 208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gain adjusting unit 220 by the user so that the reception signal can be output at a desired volume. The received signal output by the volume controller 208 is amplified by the audio amplifier 210 and input 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212 and the speaker output unit 214. An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212, which enables a secret call. The speaker output unit 214 is composed of an output amplifier 216 and the speaker 218, the output amplifier 216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and outputs through the speaker 218. The magnetic speaker 218 and the microphone 236 are integrally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ser's location, thereby minimizing the input level of the microphone 236 to minimize the inflow of ambient noise and allowing the voice to be heard clearly. The microphone input unit 234 composed of the microphone 236 and the microphone amplifier 238 amplifies a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36 and is input to the own transmission signal processor 240. The self-transmitted signal processor 240 is composed of a self-modulator 242, a self-transmitter 244, the self-modulator 242 is FM-modulated th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input unit 234, the self-transmitter ( 244). The mother transmitter 244 transmits the FM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A through the mother antenna 200. The receiving switch 222 activ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her microprocessor 226 by applying power to the audio amplifier 210 by the mother microprocessor 226.

자측절전모드 제어부(230)는 자측 수신제어부의 신호유무를 판단하는 자측마이크로프로세서(226)의 제어에 따라 자측송신부(234)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그리고 출력선택스위치(224)는 스피커/이어폰 전환스위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출력증폭기(216)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출력선택 스위치(224)를 조작하면 출력증폭기(216)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자측스피커(218)로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자측표시부(228)는 자측마이크로 프로세서(226)의 제어에 따라 상기한 출력선택 스위치(224)의 조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그리고 자측전원스위치(248)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자측배터리(246)와 DC-DC 컨버터(250)간의 연결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DC-DC 컨버터(250)는 자측배터리(246)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자측장치의 구동전원으로 출력한다. 배터리 감지부(252)는 배터리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상태, 로우(LOW) 배터리 상태 등을 판단하여 이를 배터리 상태 표시부(254)를 통해 안내한다. 상기 배터리 상태 표시부(254)는 배터리 감지부(252)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상태, 로우 배터리 상태 등을 안내한다. 그리고 자측마이크로 프로세서(22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자측장치(B)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과정은 도 5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또한 상기 자측마이크로프로세서(226)는 모측장치(A)의 사용가능 채널을 선택하는 자측채널선택부(227)를 구비한다.The magnetic sleep mod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magnetic transmitter 234 under the control of the magnetic microprocessor 226 determining whether the magnetic receiver control unit has a signal. The output selection switch 224 is a speaker / earphone switching switch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output amplifier 216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output selection switch 224 to use the earphone, the power supplied to the output amplifier 216 is cut off so that the signal is not output to the magnetic speaker 218. The magnetic display unit 228 guides the user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put selection switch 224 under the control of the magnetic microprocessor 226. The magnetic power switch 248 controls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magnetic battery 246 and the DC-DC converter 250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The DC-DC converter 250 converts the power provided from the mother battery 246 and outputs the driving power of the mother device. The battery detector 252 detects a battery voltage state, determines a power supply state, a low battery state, and guides the same through the battery state display unit 254. The battery state display unit 254 guides a power supply state, a low battery state,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detector 252. The magnetic microprocessor 226 generally controls the magnetic measuring device B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5. The magnetic microprocessor 226 also includes a magnetic channel selector 227 for selecting an available channel of the mother device A. FIG.

이와 같이 구성되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HF)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HF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사용자가 수신상태 선택부(110)의 수신모드선택스위치(110-2)를 조작하여 자동응답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T)가 착신되면, 그 착신에 따른링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를 통해 오디오 감시부(114)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 감시부(114)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에 통지한다. 상기 모측마이크로 프로세서(132)는 DTMF 감시부(116)를 통해 DTMF 신호의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DTMF 신호가 감지되지 않았으면 상기 모측마이크로 프로세서(132)는 링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즉 수신모드 선택부의 수신응답스위치(110-1)를 작동시켜(수신 응답스위치는 트리거링을 할 수 있는 스위치로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상태로 되게 함) 이동통신 단말기(T)에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신상태로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를 형성하여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HF)을 통해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이동전화 발신을 위하여 전화번호를 누르는 신호, 즉 DTMF 신호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상기 링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공하지 않은 채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만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 조작에 따른 다이얼링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s received while the user operates the reception mode selection switch 110-2 of the reception state selection unit 110 and sets the auto answering mode, the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is received. It is provided to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via the terminal connection 118. At this time,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detects a ring signal and notifies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confirm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TMF signal through the DTMF monitoring unit 116. At this time, if the DTMF signal is not detected,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operates a response signal for the ring signal, that is, the reception response switch 110-1 of the reception mode selection unit (the reception response switch may trigg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in a reception state by the mother microprocessor with the swit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between the devices A is established to allow a call to be made through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HF. On the contrary, if the user detects that there is a signal for pressing a phone number for transmitting a mobile phone, that is, a DTMF signal,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does not provide a response signal for the ring sig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between the mother device B and the mother device A is formed. That is, the dialing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can be continu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T)로부터의 신호는 모측송신증폭기(122)를 통해 증폭되고, 모측 변조기(124)를 통해 FM 변조된 후에 모측 송신부(126)를 통해 자측장치(B)로 송신된다. 자측장치(B)의 자측 수신부(204)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자측 복조부(206)에 제공하며, 상기 자측 복조부(206)는 상기 신호를 FM 복조한다. 상기 복조된 신호는 음량조절부(208), 오디오증폭부(210)를 거쳐 음량조절 및 증폭된 후에 자측스피커(218)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된다.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own device B, and the mother device A will be described. Th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s amplified by the mother transmitter amplifier 122, and FM-modulated by the mother modulator 124 and then transmitted to the mother apparatus B through the mother transmitter 126. The mother receiver 204 of the mother device B receives the signal and provides the signal to the mother demodulator 206. The mother demodulator 206 FM demodulates the signal. The demodulated signal is volume-controlled and amplified via the volume controller 208 and the audio amplifier 210, and then output to the speaker 218 or the earphone.

자측장치(B)의 마이크(23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은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마이크 증폭기(238)로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 증폭기(238)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자측 변조부(242)에 제공하고, 자측 변조부(242)는 제공받은 신호를 FM 변조한 후에 자측 송신부(244)에 제공한다. 상기 자측 송신부(244)는 제공받은 FM 변조신호를 자측안테나(200)를 통해 모측장치(A)로 송신한다. 모측장치(A)의 모측 수신부(104)는 상기 자측장치(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모측 복조부(106)에 제공한다. 상기 모측 복조부(106)는 수신신호를 FM 복조한 후에 모측증폭부(108)에 제공하고, 모측증폭부(108)는 그 복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T)로 제공한다.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34 of the own device B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and input to the microphone amplifier 238. The microphone amplifier 238 amplifies the input voice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modulator 242, and the mother modulator 242 provides the mother signal to the mother transmitter 244 after FM modulation. The mother transmitter 244 transmits the received FM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A through the mother antenna 200. The mother receiving unit 104 of the mother device A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mother device B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demodulator 106. The mother demodulation unit 106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to the mother amplification unit 108 after FM demodulation, and the mother amplification unit 108 amplifies the demodulated signal and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118. Provided to the terminal (T).

사용자가 수신상태 선택부(110)의 수신모드선택스위치(110-2)를 조작하여 자동응답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T)가 착신되면, 그 착신에 따른 링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를 통해 오디오 감시부(114)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 감시부(114)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에 통지한다. 상기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DTMF 감시부(116)를 통해 DTMF 신호의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DTMF 신호가 감지되지 않았으면 상기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링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즉 수신모드 선택부의 수신응답스위치(110-1)를 작동시켜 이동통신 단말기(T)에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신상태로 하여 ,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를 형성하여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HF)을 통해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이동전화 발신을 위하여 전화번호를 누르는 신호, 즉 DTMF 신호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상기 링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공하지 않은 채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만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 조작에 따른 다이얼링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receiv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while the user operates the reception mode selection switch 110-2 of the reception state selection unit 110 and sets the auto answering mode, the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is received. It is provided to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via the terminal connection 118. At this time,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detects a ring signal and notifies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confirm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TMF signal through the DTMF monitoring unit 116. At this time, if the DTMF signal is not detected,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provides a response signal to the ring signal, that is, by operating the reception response switch 110-1 of the reception mode selection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o move.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ced in a reception state, and a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own device B, and the mother device A so that a call can be made through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HF. On the contrary, if the user detects that there is a signal for pressing a phone number for transmitting a mobile phone, that is, a DTMF signal,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does not provide a response signal for the ring sig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between the mother device B and the mother device A is formed. That is, the dialing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can be continu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T)로부터의 신호는 모측송신증폭기(122)를 통해 증폭되고, 모측 변조기(124)를 통해 FM 변조된 후에 모측 송신부(126)를 통해 자측장치(B)로 송신된다. 자측장치(B)의 자측 수신부(204)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자측 복조부(206)에 제공하며, 상기 자측 복조부(206)는 상기 신호를 FM 복조한다. 상기 복조된 신호는 음량조절부(208), 오디오 증폭부(210)를 거쳐 음량조절 및 증폭된 후에 자측스피커(218)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된다.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own device B, and the mother device A will be described. Th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s amplified by the mother transmitter amplifier 122, and FM-modulated by the mother modulator 124 and then transmitted to the mother apparatus B through the mother transmitter 126. The mother receiver 204 of the mother device B receives the signal and provides the signal to the mother demodulator 206. The mother demodulator 206 FM demodulates the signal. The demodulated signal is volume-controlled and amplified through the volume controller 208 and the audio amplifier 210, and then output to the speaker 218 or the earphone.

자측장치(B)의 마이크(23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은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마이크 증폭기(238)로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 증폭기(238)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자측 변조부(242)에 제공하고, 자측 변조부(242)는 제공받은 신호를 FM 변조한 후에 자측 송신부(244)에 제공한다. 상기 자측 송신부(244)는 제공받은 FM 변조신호를 자측안테나(200)를 통해 모측장치(A)로 송신한다. 모측장치(A)의 모측 수신부(104)는 상기 자측장치(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모측 복조부(106)에 제공한다. 상기 모측 복조부(106)는 수신신호를 FM 복조한 후에 모측증폭부(108)에 제공하고, 모측증폭부(108)는 그 복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T)로 제공한다.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34 of the own device B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and input to the microphone amplifier 238. The microphone amplifier 238 amplifies the input voice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modulator 242, and the mother modulator 242 provides the mother signal to the mother transmitter 244 after FM modulation. The mother transmitter 244 transmits the received FM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A through the mother antenna 200. The mother receiving unit 104 of the mother device A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mother device B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demodulator 106. The mother demodulation unit 106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to the mother amplification unit 108 after FM demodulation, and the mother amplification unit 108 amplifies the demodulated signal and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118. Provided to the terminal (T).

이하에서 모측장치(A)에 이동전화 단말기를 접속한 상태로 방치한 채로 차량에서 이탈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원 즉 시동키를 오프 한 경우의 처리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vehicle, that is, the ignition key, to leave the vehicle while leaving the mobile ph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mother device 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사용자가 수신상태 선택부(110)의 수신모드선택스위치(110-2)를 조작하여 자동응답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T)가 착신되면, 그 착신에 따른 링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를 통해 오디오 감시부(114)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 감시부(114)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에 통지한다. 상기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DTMF 감시부(116)를 통해 DTMF 신호의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DTMF 신호가 감지되지 않았으면 상기 모측마이크로 프로세서(132)는 링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즉 수신모드 선택부의 수신응답스위치(110-1)을 작동시켜(수신 응답스위치는 트리거링을 할 수 있는 스위치로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상태로 되게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T)에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신상태로 하여 ,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를 형성하여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HF)을 통해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이동전화 발신을 위하여 전화번호를 누르는 신호, 즉 DTMF 신호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모측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상기 수신응답스위치를 트리거링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만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 조작에 따른 다이얼링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receiv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while the user operates the reception mode selection switch 110-2 of the reception state selection unit 110 and sets the auto answering mode, the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is received. It is provided to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via the terminal connection 118. At this time,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detects a ring signal and notifies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confirm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TMF signal through the DTMF monitoring unit 116. At this time, if the DTMF signal is not detected,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operates a response signal for the ring signal, that is, the reception response switch 110-1 of the reception mode selection unit (the reception response switch can trigg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ced in a reception state by the parent microprocess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o recei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terminal device B, and the mother device A, and then through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HF. Allow the call to be made. On the contrary, if the user detects that there is a signal for pressing a telephone number for transmitting a mobile phone, that is, a DTMF signal, the mother-side microprocessor 132 does not trigger the receiving response switch, b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and the own device ( B)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between the mother device A is formed. That is, the dialing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can be continu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T)로부터의 신호는 모측송신증폭기(122)를 통해 증폭되고, 모측 변조기(124)를 통해 FM 변조된 후에 모측 송신부(126)를 통해 자측장치(B)로 송신된다. 자측장치(B)의 자측 수신부(204)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자측 복조부(206)에 제공하며, 상기 자측 복조부(206)는 상기 신호를 FM 복조한다. 상기 복조된 신호는 음량조절부(208), 오디오 증폭부(210)를 거쳐 음량조절 및 증폭된 후에 자측스피커(218)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된다.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own device B, and the mother device A will be described. Th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s amplified by the mother transmitter amplifier 122, and FM-modulated by the mother modulator 124 and then transmitted to the mother apparatus B through the mother transmitter 126. The mother receiver 204 of the mother device B receives the signal and provides the signal to the mother demodulator 206. The mother demodulator 206 FM demodulates the signal. The demodulated signal is volume-controlled and amplified through the volume controller 208 and the audio amplifier 210, and then output to the speaker 218 or the earphone.

자측장치(B)의 마이크(23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은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마이크 증폭기(238)로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 증폭기(238)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자측 변조부(242)에 제공하고, 자측 변조부(242)는 제공받은 신호를 FM 변조한 후에 자측 송신부(244)에 제공한다. 상기 자측 송신부(244)는 제공받은 FM 변조신호를 자측안테나(200)를 통해 모측장치(A)로 송신한다. 모측장치(A)의 모측 수신부(104)는 상기 자측장치(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모측 복조부(106)에 제공한다. 상기 모측 복조부(106)는 수신신호를 FM 복조한 후에 모측증폭부(108)에 제공하고, 모측증폭부(108)는 그 복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부(118)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T)로 제공한다.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34 of the own device B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and input to the microphone amplifier 238. The microphone amplifier 238 amplifies the input voice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modulator 242, and the mother modulator 242 provides the mother signal to the mother transmitter 244 after FM modulation. The mother transmitter 244 transmits the received FM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A through the mother antenna 200. The mother receiving unit 104 of the mother device A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mother device B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demodulator 106. The mother demodulation unit 106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to the mother amplification unit 108 after FM demodulation, and the mother amplification unit 108 amplifies the demodulated signal and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118. Provided to the terminal (T).

이하에서 모측장치(A)에 이동전화 단말기를 접속한 상태로 방치한 채 차량에서 이탈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원, 즉 시동키를 오프 한 경우와 모측장치의 동작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ther power supply, that is, the case where the starter key is turned off and the mother device to leave the vehicle while leaving the mobile ph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mother device 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상기 모측장치(A)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S300), 즉 차량내 시동이 꺼져서 전원공급부(148)가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경보부(134)는 이동통신 단말기(T)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1).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T)가 접속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경보부(134)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T)를 차량에 방치해둔 채 차량으로부터 이탈하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모측스피커(136)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한다(S302).If power is not applied to the mother device (A) (S300), that is,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the power supply unit 148 does not supply pow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 alarm unit 134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ion (S301). In this cas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s conn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 alarm unit 134 determines that the user intends to leave the vehicle while lea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n the vehicle and alerts through the mother speaker 136. Generate sound (S302).

그리고 상기 모측장치(A)에 전원이 인가되면(S300),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대기상태로 진입한다(S310). 이러한 대기상태 중 이동통신 단말기(T)에 착신이 되거나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버튼을 누르면 이어폰잭을 통하여 전화호출신호(이하에서는 '링 신호'라 함)나 번호버튼 발신음이 전기적신호로 변화되어 송출되게 된다. 모측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어폰 잭의 신호유무를 DTMF 감시부(116) 또는 오디오감시부(114)를 통하여 신호유무를 판단한다(S320).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이동통신 단말기(T)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DTMF 신호인지 링신호인지를 판단하여(S330), DTMF 신호이면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DTMF 플래그를 설정하고(S331)(즉,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에 의하여 제어되는 수신응답응답스위치를 오프위치로 유지하고), 모측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한다(S332).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모측송신부를 통하여 자측장치를 호출하는 호출신호를 송출하고(S333), 자측장치로부터호출수신신호를 수신하여(S334) 송수신 상태를 판단한다(S335). 이 송수신 상태가 양호하면 사용자 조작에 따른 다이얼링발신음, 즉 버튼조작음과 사용자의 음성신호 등을 자측장치로 송신한다(S336)(즉, 이동통신 단말기(T) 및 자측장치(B), 모측장치(A)간의 송수신경로만을 형성하여 버튼 조작음이 자측장치의 스피커 또는 이어폰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다이얼링이 계속되게 한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mother device A (S300),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enters the standby state (S310). In such a standby state, when a call arrives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or the user presses the number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ake a call, a telephone call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ing signal') or a number button dial tone is transmitted through the earphone jack. It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sent out. The microprocessor of the mother device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ignal of the earphone jack through the DTMF monitoring unit 116 or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S320).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is a DTMF signal or a ring signal (S330), and if the DTMF signal,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sets a DTMF flag (S331) ( That is, the reception response response switch controlled by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is kept in the off position),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mother transmission unit (S332).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transmits a call signal for calling the own device through the mother transmitter (S333), receives a call reception signal from the own device (S334), and determines a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S335). I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is satisfactory, a dialing call soun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at is, a button operation sound and a user's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wn device (S336)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 the own device B, and the mother device). (A) Only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is established so that the button operation sound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peaker or earphone of the own device and the user's dialing is continued).

송수신 상태가 불량하면 채널을 변경하여 상기 S333단계, S334단계, S335단계를 송수신 상태가 양호할 때까지 반복한다.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는 오디오감시부로부터 오디오신호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S337), 신호가 있으면 상기 S336단계를 수행하여 자측과 통신을 계속하고 신호가 없으면 모측송신부의 전원을 차단하고(S338) 대기상태로 들어간다.I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is poor, the channel is changed to repeat steps S333, S334, and S335 until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is good. The mother micro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udio signal from the audio monitoring unit (S337), and if there is a signal, continues the communication with the own side by performing the step S336, and if there is no signal, shuts off the power of the mother transmitter (S338) and waits. Enter

상기 S330 단계에서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가 오디오 감시부(114)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가 감지되면 이어서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절전제어부(130)를 통하여 모측송신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며(S340), 전송신호 즉 자측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특정밴드(본 고안에서는 10MHz~1GHz)의 주파수(이하에서는 '캐리어' 라 함)의 호출신호를 자측장치로 송출한다(S350). 캐리어를 송신하고 자측장치로부터 이 호출신호에 응답하는 신호를 수신하여(S360),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며(S365), 송수신 상태가 불량하면 채널을 변경하여(S366), 송수신 상태가 양호 할 때까지 S350단계, S360, S365, S366단계를 반복한다.When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detects an audio signal through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in step S330, 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supplies power to the mother transmitter 120 through the power saving controller 130 (S130). S340), and transmits a call signal of a specific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rrier') of a specific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rrier') for communication with a transmission signal, that is, the measurement device (S350). By transmitting a carrier and receiving a signal in response to the call signal from the own device (S360), and determin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S365), i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is bad, change the channel (S366), until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is good Steps S350, S360, S365, and S366 are repeated.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는 송수신 상태가 양호하면 수신응답스위치(110-1)를 온하여(S370)(수신 응답스위치는 트리거링을 할 수 있는 스위치로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상태로 되게 함), 상기에서 채널이 선택되는 자측장치로부터의 수신신호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변복조하는 등의 송수신 경로를 형성하여 자측장치와 통신한다(S380).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is good, the mother microprocessor turns on the reception response switch 110-1 (S370) (the reception response switch is a switch capable of trigge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in a reception state by the mother microprocessor). In operation S380, a transmit / receive path is formed to modulate and demodulate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own device from which the channel is selected and the transmitted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380).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132)는 오디오감시부(114)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 지속여부를 판단하여(S390), 일정시간동안 지속되지 않으면 모측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를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측송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S391)하여 불요불급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모측장치는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여기서 통화가 지속되면 자측장치와의 송수신을 유지하는 S380단계와 S390단계를 오디오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The mother microprocessor 132 determines whether the audio signal is continued through the audio monitoring unit 114 (S390). If it does not las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other micro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terminated the call and transmits to the mother transmitter. Power supply is cut off (S391)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the mother device enters the standby state. If the call is continued, steps S380 and S390 for maintain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own device are repeated until no audio signal is detected.

다음은 자측장치에서의 동작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process of the own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자측장치의 전원스위치(248)를 온 하면(S400) 자측장치는 대기 상태로 들어가게 되며(S410), 자측마이크로프로세서(226)는 모측장치로부터 호출을 하는 호출신호가 자측수신부에 있는가를 판단한다(S420). 수신된 신호가 없으면 대기상태(S410)상태로 되며 호출신호가 있으면 호출신호를 수신하여(S430) 수신상태를 판단하고(S440) 혼선 등이 있어 수신상태가 불량하면 채널변경(S451)하고 S430단계를 반복수행한다. 수신 상태가 양호하면 자측송신신호 처리부(240), 마이크입력부(234), 오디오증폭기(210) 및 음량조절부(208)에 전원을 공급한다(S450). 호출응답신호를 송출하고(S460) 모측장치와 송수신 경로를 형성하여 전화 통화를 한다(S470).First, when the power switch 248 of the own device is turned on (S400), the own device enters a standby state (S410), and the own microprocessor 226 determines whether a call signal from the mother device is in the own receiver ( S420). If there is no received signal, the state goes to the standby state (S410) state, if there is a call signal (S430) to determine the reception state (S430), and if there is a crosstalk, etc., if the reception state is bad, change the channel (S451) and step S430 Repeat If the reception state is good, power is supplied to the own transmission signal processor 240, the microphone input unit 234, the audio amplifier 210 and the volume control unit 208 (S450). It transmits a call response signal (S460) and forms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with the mother device to make a phone call (S470).

자측마이크로프로세서(226)는 오디오증폭기(210)에서 증폭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증폭되는 신호지속여부를 판단하여(S480) 신호가 있으면 상기한 모측장치와의 송수신 경로를 계속 유지하여 통화를 지속하며, 신호가 없으면 자측송신신호처리부(240), 마이크입력부(234), 오디오증폭기(210) 음량조절부(208)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S490) 불요 불급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자측시스템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The microprocessor 226 detects the signal amplified by the audio amplifier 2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s amplified (S480). If there is a signal, the microprocessor 226 maintains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with the mother device to continue the call. If there is no signal, the power supply to the own transmission signal processor 240, the microphone input unit 234, the audio amplifier 210, the volume control unit 208, etc. is cut off (S490)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the system is standby. Maintain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차량에 방치한 채 사용자가 차량에서 이탈하는 것을 경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user's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utomatic response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ea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be warned of leaving the vehicle.

또한 본 고안은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speaker or earphone.

Claims (7)

오디오 잭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잭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핸즈프리의 모측장치와, 상기 모측장치와 무선으로 양방향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핸즈프리의 자측장치로 구성된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에 있어서,A wireless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udio jack, a wireless hands-free mother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n audio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hands-free device that can wirelessly bidirectionally communicate with the mother device. In the system, 상기 모측장치는, 상기 오디오 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별하는 신호판별부와, 상기 판별된 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신상태로 하거나, 신호발신상태로 선택하는 수신상태 선택부와, 상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자측장치로 송신하기 위하여 입력신호를 변조하는 모측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자측장치로 송신하기 위하여 자측의 사용가능 채널을 선택하는 모측채널선택부와, 상기 변조된 입력신호를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자측장치로 송신하는 모측 송신부와, 상기 자측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모측 수신부와, 상기 모측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모측 복조부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자측장치와의 송수신경로를 형성하는 모측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오디오 잭과 결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신호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오디오 플러그로 구성되며;The mother device includes a signal discri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o jack, a reception state selection unit for put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reception state or selecting a signal transmission sta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termined signal; A mother modulator that modulates an input signal to transmit the input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a mother channel selector that selects an available channel of the mother side to transmit the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and the modulation A moth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the mother apparatus through a selected channel, a mother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ther apparatus, a mother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other receiver, A mother microprocessor which controls to form the communication path or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with the own device; In combination with the jack consists of an audio plug, which enables the signal input and out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자측 장치는, 상기 모측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자측수신부와, 상기 자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자측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와,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상기 모측장치로 송신하기 위하여 변조하는 자측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모측장치로 송신하기 위하여 모측의 사용가능채널을 선택하는 자측 채널 선택부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모측장치로 송신하는 자측 송신부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측장치와의 송수신경로를 형성하는 자측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The self-measurement apparatus may include: a self-determining un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ther unit, a self-demodulating unit demodulating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lf-receiving unit, an output unit converting the demodulated signal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 microphone for receiving voice an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a self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to the mother device, and a usable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device A self-side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a signal, a self-sid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o the mother device through the selected channel, and a child-side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each unit to form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with the mother device. Wireless hands-fre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측장치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ther device 통화로 형성 또는 송수신경로 형성 시에만 상기 모측송신부, 모측변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측절전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And a mother power saving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her transmitter and the mother modulator only when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or a transmission path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측장치에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measuring device 송수신경로 형성 시에만 상기 자측송신부, 자측변조부, 마이크 입력부, 음량조절부, 오디오증폭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측절전 제어부와 수신스위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Wireless hands-fre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gnetic sleep control unit and a receiving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gnetic transmitter, magnetic modulator, microphone input unit, volume control unit, audio amplification only when the transmission path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측장치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ther device 미리 설정된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와,An alarm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reset alarm sound,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경보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접속/경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 alarm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through the alarm output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when the power is not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측장치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ther device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안정화시키는 전압안정화부와 예비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회로, 예비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표시부, 이동통신단말기 접속경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 배터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핸즈프리시스템.It further includes a voltage stabilization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stabilize it, a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spare battery, a charge state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spare battery, and a spar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alarm unit. Wireless hands-fre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측장치에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measuring device 자측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을 자측장치의 소요정압에 적합하게 변조하는 DC-DC-컨버터와 배터리의 전압상태, 충전상태 등을 감시하는 배터리감시부와 배터리 상태표시부 및 배터리에서 상기 DC-DC-컨버터를 통하여 자측장치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핸즈프리시스템.In th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own device and the DC-DC converter which modulates the power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required static pressure of the own device, and the battery monitor that monitors the voltage and charge status of the battery, the battery status display part and the battery And a power switch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own device through the DC-DC co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측장치에는 울림방지회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핸즈프리시스템The wireless hands-fre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her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nti-ring circuit.
KR2020010002818U 2001-02-06 2001-02-06 Wireless hands free system KR2002299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18U KR200229962Y1 (en) 2001-02-06 2001-02-06 Wireless hands fre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18U KR200229962Y1 (en) 2001-02-06 2001-02-06 Wireless hands fre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962Y1 true KR200229962Y1 (en) 2001-07-19

Family

ID=7306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818U KR200229962Y1 (en) 2001-02-06 2001-02-06 Wireless hands fre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96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8276B2 (en)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ellular voice communication through a radio system
US2009026407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volume adjusting method for audio device
GB2343080A (en) Headset for mobile phone/radio combination has a device for muting the radio signal when the phone is in use
KR100338000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5600674B2 (en) Speakerphone and extension speakerphone for use i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
US4969181A (en) Loudspeaker apparatus and method for a radio telephone apparatus
JP2003125069A (en) Loudspeaker module linkable to earphone jack in cellular phone and control method of the loudspeaker module
KR200229962Y1 (en) Wireless hands free system
JPH10224449A (en) Portable telephone set hand-free device
KR200229978Y1 (en) Hands free system
KR100306487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a speaker for hand- free
KR20020066454A (en) Hands free system and automatic answering method therefor
KR20020095622A (en)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and method of controling thereof
JP2001069238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2622867B2 (en) Car phone equipment
JPH0752853B2 (en) Wireless phone
JP4383357B2 (en) Cordless phone
KR200247583Y1 (en)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KR200194782Y1 (en) A hands free device for a mobile telephone
KR200252043Y1 (en) Hands free set with auto car A/V muting &amp; auto talk device
JP2007005881A (en) Mobile speech apparatus
JPH0233420Y2 (en)
JP2004140851A (en) Cellular phone with which data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nected and control method
JP2515077Y2 (en) Incoming call notification device for wireless telephone
KR20010045544A (en) Handsfree a workman and a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