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075Y1 -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075Y1
KR200209075Y1 KR2020000022108U KR20000022108U KR200209075Y1 KR 200209075 Y1 KR200209075 Y1 KR 200209075Y1 KR 2020000022108 U KR2020000022108 U KR 2020000022108U KR 20000022108 U KR20000022108 U KR 20000022108U KR 200209075 Y1 KR200209075 Y1 KR 200209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homepage
contents
interne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1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넷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넷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넷더스
Priority to KR2020000022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07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075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성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유선전화, 무선전화 또는 이동전화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하려는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 데이터로 획득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필요한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via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by vo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via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in a situation where a user can not directly access the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cquiring contents of a homepage to be visited using voice data and selectively providing necessary contents through voice recognition.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웹브라우저로 인터넷에 접속할 필요 없이 유선, 무선 및 이동전화 등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홈페이지에 제공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이는 개인 또는 기업이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을 통해 개인 또는 기업 자신만의 음성 안내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이트의 정보를 링크 시킴으로써 개인별 또는 기업별로 그룹을 형성하여 서로간의 정보를 교류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on a homepage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wired line, a wireless line, and a mobile phone without having to access the Internet through a conventional web browser. It is possible not only to build a voice guidance service for an individual or an enterprise, but also to link information of other sites to form a group for each individual or company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또한, 인터넷상에서 음성인식, 합성기술을 구현할 수 없는 개인 또는 기업들이 음성으로 서비스되는 홈페이지를 음성 홈페이지 언어를 이용해 직접 제작하거나 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제작기 툴을 사용하여 제작한 후, 일반인들이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를 통하여 음성 홈페이지 언어로 직접 제작되었거나 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제작기 툴로 제작된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음성합성으로 제작된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들려줄 수 있고 음성인식기술로 웹 서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fter an individual or a company that can not implement speech recognition and synthesis technology on the Internet can produce a homepage to be provided with a voice by using a speech homepage language or a homepage producer tool that provides the same,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prepared by the speech synthesis and to surf the web by the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by accessing the homepage produced by the homepage maker tool which is directly produced in the voice homepage language through the server or providing it.

Description

음성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via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by voice,

본 고안은 음성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유선전화, 무선전화 또는 이동전화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하려는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 데이터로 획득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필요한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via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by vo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via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in a situation where a user can not directly access the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cquiring contents of a homepage to be visited using voice data and selectively providing necessary contents through voice recognition.

1990년대 초반에만 해도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아는 사람들 중에서도 일부가 그들만의 통신 수단으로 사용하던 인터넷은 이제는 컴퓨터가 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생활필수품이 되었고, 심지어 인터넷을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하는 인류가 소지해야하는 패스포트라고도 한다. 이러한 인터넷 대중화의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 중 하나가 바로 웹(Web)이다.In the early 1990s, even among those who knew how to use a computer, the Internet, which some used to be their only means of communication, became a necessity for people to use without a computer, and even the internet needed to be carried by humankind Also known as passport. One of the crucial moments of popularizing the Internet is the Web.

최근 들어, 이와 같은 인터넷 웹을 기반으로 하여 전자상거래, 전자광고, 인터넷 폰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예전에 물리적으로 수행되던 것을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는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services such as electronic commerce, electronic advertisement, internet phone, and the like have been provided based on the Internet web, and as the users can easily receive services that were previously performed physically through the Internet, I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business.

또한, 개인과 기업들은 자신들의 사업 홍보 수단으로 홈페이지를 직접 작성하여 운영하거나, 기타 전문 업체에 홈페이지의 작성을 의뢰하여 광고 및 마케팅에 이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common for individuals and companies to create and operate a homepage as a means of promoting their own business, or to request other professional companies to create a homepage for advertising and marketing.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구축된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네티즌이 직접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브라우저 상에서 해당 홈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직접 입력한 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야만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homepage constructed in this way, the netizen could directly obtain information only by accessing the Internet, directly inputting the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homepage on the web browser, and then accessing the homepage.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유선전화, 무선전화 또는 이동전화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문하려는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 데이터로 획득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필요한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uses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landline phone, a wireless phone, or a mobile phone in a situation where a user can not directly access the Internet, And a system for selectively providing the necessary contents through speech recogni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작성된 홈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f a homepage cr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voice,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작성된 홈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음성 웹 접속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oice web connection server in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f a homepage cr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voice;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작성된 홈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순서도,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f a homepage cr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voice;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작성된 홈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중에서 음성 웹 접속 서버의 사용자 DB의 형식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ormat of a user DB of a voice web connection server among systems that provide contents of a homepage cr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voice.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 통신 단말기 200 : 유선/무선/이동 통신망100: communication terminal 200: wired / wireless /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 : 음성 웹 접속 서버300: Voice web access server

310 : 제어부 320 : 전화 접속부310: control unit 320: telephone connection

330 : 사용자 등록부 340 : 사용자 DB330: user registration unit 340: user DB

345 : 컨텐츠 DB 350 : 접속 처리부345: contents DB 350: connection processing unit

360 : 통화 관리부 370 : 인터넷 접속부360: Call Management Unit 370: Internet Connection Unit

380 : 언어 해석부 390 : 음성 처리부380: Language analysis unit 390: Voice processing unit

391 : 음성 인식부 392 : 음성 합성부391: Voice recognition unit 392:

400 : 인터넷400: Internet

500 : 컨텐츠 클라이언트500: Content Client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음성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은 외부에서 통신망을 통해 접속 요청한 홈페이지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며, 홈페이지 브라우저(Browser)상에서는 속성이나 주석의 형태로 인라인(inline) 또는 아웃라인(outline) 삽입되어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위지윅 방식으로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고, 미리 듣기 기능을 이용하여 홈페이지 제작 결과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음성 홈페이지 제작기를 사용하여 작성되어 있는 상기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로 전달하는 음성 웹 접속 서버;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문자 또는 음성 컨텐츠를 포함하는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로 다이얼링하는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 및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 홈페이지 제작기를 사용하여 구현한 컨텐츠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with vo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me page accessed from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create a homepage in a WYSIWYG manner using a language that provides contents of a homepage through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without inline or outline insertion in the form of annotations, A voice web access server for converting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created by using a voice homepage creator capable of verifying the result of the homepage production by using a preview function to voice data and delivering the voice data to the outside; A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for dialing to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to acquire contents of a homepage including text or voice content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the implemented content client.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에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화 접속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에 경유된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으로 제공받기 위해 소정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신호 데이터로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 상기 사용자 등록부를 사용하여 등록한 상기 소정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DB;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 자체에서 작성하여 등록한 홈페이지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인터넷에 접속된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사이트명과, 고유 번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 DB; 상기 전화 접속부를 통해서 입력된 소정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의 해당 홈페이지 컨텐츠를 검색하는 접속 처리부;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로 걸려오는 통화의 우선 순위를 관리하여, 요청되는 홈페이지의 접속 순서를 제어하는 통화 관리부; 상기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 인식부와, 인터넷에 접속된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합성(TTS:Text To Speech)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음성 합성부로 구성된 음성 처리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전화 접속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거나,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달하는 인터넷 접속부; 일반 홈페이지 해석기와 음성 홈페이지 해석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컨텐츠가 상기 음성 홈페이지 제작기를 사용하여 구현되었는지 또는 일반 홈페이지 제작기를 사용하여 구현되었는가를 해석한 후, 상기 컨텐츠를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달하는 언어 해석부; 및 상기 전화 접속부에 상기 신호 데이터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서 등록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시키고 상기 인터넷 접속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상기 언어 해석부의 동작을 제어한 후, 해석된 데이터를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voice web access server comprises: a telephone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voice data provided from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user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predetermined user information as the signal data in order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contents of a homepage passed through the voice web access server by voice; A user DB in which the predetermined user information registered using the user registration unit is stored; A content DB in which contents of a homepage created and registered by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itself are stored and a site name, a unique number, and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content client homepage connected to the Internet are registered; A connec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 user authentication operation by comparing predetermined user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telephone connection unit with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B, and searching for corresponding homepage contents of the content client; A call manager for managing a priority order of calls to the voice web access server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a connection order of a requested homepage;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verting the voice data into character data;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client homepage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voice synthesis (TTS: Text To Speech) A voice processing unit configured by a synthesizing unit; An Internet connection unit which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or receives contents of the contents client homepage through the Internet and transmits the contents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A general homepage interpreter and a voice homepage interpreter and interprets whether the content of the content client homepage connected to the Internet is implemented using the voice homepage creator or the general homepage creator, A speech analyzer for delivering the speech signal to the speech process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received by the voice processing unit, storing the data registered in the user registration unit in the user DB, and interpreting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nguage analyz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interpreted data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데이터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한 음성 데이터 또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Preferably, the signal data is either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dual tone multi-frequency (DTMF)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의 링크 이름 데이터 또는 URL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DTMF 신호는 상기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의 고유번호 신호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voice data includes link name data or URL data of a homepage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and the DTMF signal includes a unique number signal of the homepage to be accessed.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작성된 홈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f a homepag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voice.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전화, 무선전화 또는 이동전화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100)가 유선/무선/이동 통신망(200)을 통하여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접속하면, 음성 웹 접속 서버(300)는 통신 단말기(100)에서 요청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해당하는 홈페이지를 인터넷(400)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전달한다.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ing a wire telephone, a wireless telephone or a mobile phone accesses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3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Connects the home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reques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net 400 and converts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into the voice data from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100) to the user.

또한,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자체적으로 개인이나, 기업의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저장시켜 놓았다가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홈페이지의 컨텐츠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컨텐츠를 음성 데이터로 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a personal service or a home page of a company is built and stored in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and there is a content service request of the home page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100).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작성된 홈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음성 웹 접속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oice web connection server in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f a homepage cr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voice.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접속부(320)는 통신 단말기(100)에서 유선/무선/이동 통신망(200)을 통하여 전송한 음성 데이터 또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As shown, the telephone connection unit 320 receives voice data or a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 / wireless /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30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사용자 등록부(330)는 통신 단말기(100)에서 유선/무선/이동 통신망(200)을 통하여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접속한 후, 특정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으로 제공받기 위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음성 데이터나 DTMF 신호로 등록한다.The user registration unit 330 accesses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n transmits an ID and a password Data or DTMF signal.

사용자 DB(340)에는 사용자 등록부(330)를 사용하여 등록한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다.The user DB 340 stores user IDs and passwords registered using the user registration unit 330.

컨텐츠 DB(345)에는 음성 웹 접속 서버(300) 자체에 자신의 홈페이지를 작성하여 등록하였을 경우에 작성된 홈페이지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The content DB 345 stores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created when the homepage of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itself is created and registered.

또한, 인터넷(400)에 연결된 컨텐츠 클라이언트(500)의 홈페이지의 사이트명과, 고유 번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등록되어 있다.In addition, a site name, a unique number, and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home page of the content client 500 connected to the Internet 400 are registered.

접속 처리부(350)는 전화 접속부(320)를 통해서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자 DB(340)에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동작을 수행하며,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홈페이지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 웹 접속 서버(300)의 컨텐츠 DB(345)에서 해당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컨텐츠 클라이언트(500)인 경우에는 인터넷 접속부(370)를 통해 인터넷(400)을 통해서 해당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검색한다.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350 performs a user authentication operation by comparing the ID and the password input through the dial connection unit 320 with the ID and the password stored in the user DB 340.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350 transmits,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are retrieved from the content DB 345 of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and the contents of the home page are retrieved through the Internet access unit 370 in the case of the contents client 500. [ The content of the homepage is searched.

통화 관리부(360)는 통신 단말기(100)에서 음성 웹 접속 서버(300)로 걸려오는 통화의 우선 순위를 관리하여, 요청되는 홈페이지의 접속 순서를 제어한다.The call management unit 360 manages the priority of the cal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and controls the access order of the requested homepage.

인터넷 접속부(370)는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어 전화 접속부(32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400)을 통해 전송하거나, 컨텐츠 클라이언트(500)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인터넷(400)을 통해 수신하여 음성 처리부(390)로 전달한다.The Internet connection unit 370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received by the dial connection unit 320 through the Internet 400 or receives contents of the homepage of the content client 500 through the Internet 400 And transfers it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390.

언어 해석부(380)는 일반 홈페이지 해석기와 음성 홈페이지 해석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넷(400)에 연결된 컨텐츠 클라이언트(500) 홈페이지의 컨텐츠가 일반 홈페이지로 제작되었는지, 음성 홈페이지로 제작되었는지를 판단한 후, 해당 해석기로 해석하여 음성 처리부(390)로 전달한다.The language analyzing unit 380 is composed of a general web page analyzer and a voice web page analyz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of the content client 500 connected to the Internet 400 is made as a general web page or a voice web page, And transmits the analyzed result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390.

음성 처리부(390)는 음성 인식부(391)와 음성 합성부(39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성 인식부(391)는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서 입력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킨다.The voice processing unit 390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unit 391 and a voice synthesis unit 392. The voice recognition unit 391 recognizes the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character data .

음성 합성부(392)는 인터넷(400)에 접속된 컨텐츠 클라이언트(500) 홈페이지의 컨텐츠가 문자 데이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합성(TTS:Text To Speech)으로, 음성 데이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으로 홈페이지 컨텐츠를 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speech synthesizing unit 392 synthesizes speech synthesis data (TTS: Text To Speech) when the contents of the home page of the content client 500 connected to the Internet 400 are character data, And provides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to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제어부(310)는 전화 접속부(320)에 음성 데이터 또는 DTMF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음성 처리부(390)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며, 사용자 등록부(330)에서 등록한 데이터를 사용자 DB(340)에 저장시키고 인터넷 접속부(37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언어 해석부(380)의 동작을 제어한 후, 해석된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390)로 전송시킨다.The control unit 31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data or the DTMF signal is received in the telephone connection unit 320 and controls the flow of data received in the voice processing unit 390. The control unit 310 transmits the data registered in the user registration unit 330 to the user DB 3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nguage analyzing unit 380 for analyzing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net access unit 370, and then transmits the analyzed data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390. [

이하,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음성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via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which is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먼저, 통신 단말기(100)로 다이얼링하여 통화 관리부(360)의 통화 우선 순위 제어에 따라서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접속한다(단계 S100).First,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dialed to access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300 according to call priority control of the call management unit 360 (step S100).

여기에서, 상기 접속은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또는 이동 전화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숫자 패드를 사용하거나, 음성 다이얼링 기능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Here, the connection is made by using a numeric pad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ing at least one of a wire telephone, a wireless telephone, and a mobile telephone, or using a voice dialing function.

먼저,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서 문자 또는 음성 컨텐츠를 들려주도록 만드는 음성 홈페이지 언어들은 홈페이지 브라우저(Browser)상에서는 속성이나 주석의 형태로 인라인(inline) 또는 아웃라인(outline) 삽입되어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유선, 무선 및 이동 전화망을 통해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위지윅 방식으로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고, 미리 듣기 기능을 이용하여 홈페이지 제작 결과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음성 홈페이지 제작기를 사용하여 기 작성되어 있다.First, the voice webpage languages that cause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to play the character or voice contents are inserted in the form of an attribute or an annotation in the form of an attribute or annotation on the browser of the home page, It is possible to create a homepage in WYSIWYG format using the language that provides the contents of homepage through wired, wireless and mobile phone network without using the voice homepage creator which can confirm the homepage production result by using preview function .

또한, 상기 음성 컨텐츠는 음악 사이트 또는 라디오 프로그램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종류의 음향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Further, the voice content further includes all kinds of sound data provided at a music site or a radio program site.

덧붙여, 상기 음성 홈페이지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한 예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an example created using the speech homepage language is as follows.

보이스 웹서핑이 가능하도록 정의된 음성 홈페이지 언어는 HTML 소스 내부에 인라인(Inline)이나 아웃라인(Outline) 형태로 제작되어 삽입되며, 기존의 브라우저에서 상기 음성 홈페이지 언어는 주석 형태로 처리된다.The voice homepage language defined to enable voice web surfing is created and inserted in the form of an inline or an outline in the HTML source, and the voice homepage language is processed in the form of annotation in a conventional browser.

Speech Recognition : 기존의 html tag에 attribute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한다.Speech Recognition: It is implemented by adding attribute to existing html tag.

<A> tag - 'sr' attribute<A> tag - 'sr' attribute

링크 태그 내부에 inline으로 sr='on'을 삽입하여 음성 인식 리스트임을 표시한다. 그리고, 그 뒤에 그 메뉴의 그룹 이름(예1에서 'menu1')을 설정하여 인식 범위를 표시한다.(예1의 태그 참조)Insert sr = 'on' inline into the link tag to indicate that it is a voice recognition list. After that, the group name of the menu ('menu1' in Example 1) is set to display the recognition range (see the tag of Example 1).

<A> tag - 'grammer' attribute<A> tag - 'grammar' attribute

JSGF(JSpeech Grammer Format - made by 'Sun Microsystems')에 기반한 인식 format을 설정한다. 설정하지 않을 경우 default로 contained text가 그대로 인식 단어가 된다.(예1에서 '소개','역사') 그리고, '#'로 시작하는 경우는 참조 keyword(아래 예2에서의 #help)를 지정하게 되어 html 끝에 outline 방식으로 첨가되어 추가로 grammar를 서술한 block과 연결된다.Sets the recognition format based on JSGF (JSpeech Grammer Format - made by 'Sun Microsystems'). If you do not set it, the contained text will become the recognized word as default (refer to 'Introduction', 'History' in Example 1). If you start with '#', you can specify reference keyword (#help in Example 2 below) It is added at the end of html in an outline manner, and it is connected to the block describing the grammar.

예1에서와 같이 모든 속성을 inline방식으로 서술할 수도 있고, 예2에서와 같이 기본 음성 인식 리스트 표시(sr='on')만을 inline에서 하고 보다 자세한 grammar는 뒤쪽에 outline으로 일괄 첨가할 수도 있다.All properties can be described inline, as in Example 1, or only basic speech recognition list display (sr = 'on') inline and more detailed grammar can be added to the outline in the back as in Example 2 .

예1)Example 1)

<a href='www.netdus.com\object1.html' sr='on;menu1' > 소개 </a><a href='www.netdus.com\object1.html 'sr='on;menu1'> Introduction </a>

<a href='www.netdus.com\object2.html' sr='on;menu1' > 역사 </a><a href='www.netdus.com\object2.html 'sr='on;menu1'> History </a>

<a href='www.netdus.com\help.html' sr='on;menu1' grammer='[please] help [me] [please] | [please] I (need|want) help [please] | 도움말 | [기능] 설명' > Help </a><a href = 'www.netdus.com \ help.html' sr = 'on; menu1' grammar = '[please] help [me] [please] | [please] I (need | want) help [please] | Help | [Feature] Description '> Help </a>

예2)Example 2)

<a href='www.netdus.com\help.html' sr='on;menu1' grammer='#help' > Help </a> // 파일 내부에 속성 attribute으로 표시하여 참조 keyword인 #help를 표시<a href='www.netdus.com\help.html' sr='on;menu1'grammer='help'> Help </a> // Display the attribute keyword attribute # attribute in the file, Display

<!--NSML> // 파일 끝에 위치하는 block<! - NSML> // block at the end of the file

<grammar name='help'> // 위에 inline에 삽입되었던 참조 keyword에 의해 참조되어 보다 자세한 속성을 outline으로 첨가<grammar name = 'help'> // refer to the reference keyword inserted inline above to add more detailed attributes to outline

[please] help [me] [please] | [please] I (need|want) help [please][please] help [me] [please] | [please] I (need | want) help [please]

</grammar></ grammar>

주석을 삽입하는 inline 방식으로 구현한다. 음성합성과 관련된 많은 속성들은 각각 다른 이름으로 정의되어 합성문장 중간 중간에 주석형태로 삽입된다.Implement inline to insert comments. Many of the attributes associated with speech synthesis are defined by different names and inserted in the middle of the synthesis sentence as annotations.

예1)Example 1)

로 표시한다..

예2)Example 2)

태그를 삽입하여 특별히 강조할 부분을 표시한다.Insert a tag to mark the area to be emphasized.

예3)Example 3)

태그를 삽입하여 쉬어 읽기를 가능하게 한다. 쉬어 읽는 정도는 size로 표시할 수 있다.Tag to enable sheer reading. The degree of read-through can be indicated by size.

computer-generated text.computer-generated text.

예4)Example 4)

태그를 삽입하여 특정문자(전화번호나, 날짜 등)의 읽기를 자연스럽게 하도록 표시한다. 이 태그가 붙어있는 부분은 미리 지정된 방법대로 음성합성된다.Tag to indicate that reading of a specific character (phone number, date, etc.) is made smooth. The part to which this tag is attached is speech synthesiz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You are callingYou are calling

예5)Example 5)

태그를 삽입하여 오디오 파일의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Tag to enable the output of an audio file.

Welcome to the Bird Seed Emporium.Welcome to the Bird Seed Emporium.

We have 250 kilogram drums of thistle seed forWe have 250 kilograms of drums of thistle seed for

plus shipping and handling this month.plus shipping and handling this month.

상기 (예제)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 홈페이지의 내용은 기존의 HTML의 문법에 따라 작성되며 음성 홈페이지의 내용은 해당 태그를 사용하여 주석 또는 속성 체크 방식으로 구현되어 기존 홈페이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동시에 보이스 웹서핑에 필요한 모든 속성들을 표시할 수 있다. 위에서 든 예는 음성 홈페이지의 내용 중 일부분이며, 이 내용은 향후 추가와 변경이 가능하다. 본 특허는 이러한 보이스 웹서핑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음성 홈페이지에 사용되는 모든 언어의 사용 및 방법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above examples, the contents of the general homepage are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HTML grammar, and the contents of the voice homepage are implemented by annotation or attribute check method using the corresponding tags, You can display all the properties you need to surf the web. The above example is part of the voice homepage content, which can be added and changed in the future. This paten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usage and method of all languages used in a voice homepage implemented to enable such voice web surfing.

상기 접속된 음성 웹 접속 서버(300)의 정상 사용자인가를 판단하기 위해 소정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단계 S200, S250, S300).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ed voice web access server 300 is a normal user, the user is authenticated using predetermined user information (steps S200, S250, S300).

이 때,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통신 단말기(100)가 접속되었을 경우에 음성으로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키 패드로 입력하시거나 말씀해 주십시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들려주고,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00) 자신의 사용자 정보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숫자 패드나 음성으로 입력하면(단계 S310), 접속 처리부(350)에서는 입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유무를 사용자 DB(340)를 검색하여 확인한다(단계 S320).At this tim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300, a voice message such as 'Please enter the user ID and password on the keypad or tell me' is displayed to the user. If the ID and passwor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self are input through a numeric pad or voice (step S310),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350 transmits the user ID and password to the user DB 340 (Step S320).

한편, 상기 사용자가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신규로 접속한 사용자인 경우에는(단계 S200)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접속 시에 사용하기 위한 신규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음성 또는 숫자 패드를 이용하여 설정하면(단계 S251), 사용자 등록부(330)에서 이를 사용자 DB(252)에 저장시킨다(단계 340).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s a user who is newly connected to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step S200), a new ID and a password for use in accessing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300 are used by voice or numeric pad (Step S251), the user registering unit 330 stores it in the user DB 252 (step 340).

상기 인증 결과, 정상 사용자일 경우,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에 대한 신호 데이터를 입력한다(단계 S40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a normal user, the signal data for the homepage to be accessed is input (step S400).

여기에서, 상기 신호 데이터는 통신 단말기(100)에서 전송한 음성 데이터 또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음성 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데 구체적으로는 통신 단말기(100)가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의 이름 데이터 필드와, 상기 DTMF 신호는 상기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의 고유번호 신호 필드 및 그에 해당하는 URL이 일대일로 대응되어 있다.Here, the signal data may be either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a dual tone multi-frequency (DTMF) signal, and the voice data may have a data structure as shown in FIG. 4, A name data field of a homepage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esses, and a DTMF signal are associated one-to-one with a unique number signal field of the homepage to be accessed and a corresponding URL.

예를 들어, (단계 S320)에서 사용자가 인증된 후,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서 전화 접속부(320)를 통해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키 패드로 입력하시거나 말씀해 주십시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For example, after the user is authenticated in step S320,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transmits a message &quot; Please enter information on the homepage to be accessed through the keypad or tell me &quo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이 때, 통신 단말기(100)에서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의 고유 번호를 알고 있으면 번호를 DTMF 신호로 발생시켜 전송하고 홈페이지의 이름을 알고 있으면 해당 홈페이지의 이름을 음성으로 입력한다.At this time, 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knows the unique number of the homepage to be accessed, the number is generated as a DTMF signal and transmitted, and if the name of the homepage is known, the name of the homepage is inputted by voice.

따라서, '엘지'라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310)에서는 이를 컨텐츠 DB(345)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있는 'http://www.lg.co.kr'로 인식하여 인터넷(400)을 통해 해당 홈페이지를 검색한다.Accordingly, when the voice data 'LG'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310 recognizes it as 'http://www.lg.co.kr' corresponding to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contents DB 345, Search the homepage.

접속 처리부(350)의 판단 결과, 상기 입력된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기 등록된 홈페이지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단계 S510),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서 해당 홈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접속 처리부(350)에서 검색하여 접속한다(단계 S53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350, if the information about the inputted home page matches the homepag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300 (step S510),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300 transmits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350 searches for and accesses information (step S530).

즉, 최초 홈페이지가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서 구현되어 '사이트 명'과 '번호'가 컨텐츠 DB(345)에 저장된 상태일 경우에는 보다 접근이 용이하다.That is, when the first homepage is implemented in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and the 'site name' and the 'number' are stored in the content DB 345, the access is easier.

상기 입력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음성 웹 접속 서버(300)에 기 등록된 홈페이지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단계 S520), 상기 해당 홈페이지를 인터넷 접속부(370)를 통해 인터넷(400)에서 검색하여 접속한다(단계 S520).If the inputted homepage informa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homepage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voice web access server 300 (step S520), the homepage is search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370 on the Internet 400 (Step S520).

상기 접속한 홈페이지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홈페이지의 형식을 판단하다(단계 S600).The format of the home page used to make the connected home page is determined (step S600).

여기에서, 상기 판단은 언어 해석부(380)에서 인터넷(400)에 연결된 컨텐츠 클라이언트(500)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해석함으로써 가능하다.Here, the determination may be mad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of the content client 500 connected to the Internet 400 by the language analyzing unit 38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홈페이지가 상기 음성 홈페이지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되어졌을 경우, 인터넷(400)에 접속된 홈페이지의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단계 S80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homepage is created using the voice homepage language, data of the homepage connected to the Internet 400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ep S800).

여기에서, (단계 S800)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step S8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단계 S600)의 판단 결과, 상기 음성 홈페이지 언어로 작성되었을 경우, 해당 홈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컨텐츠를 언어 해석부(380)의 음성 홈페이지 해석기를 사용하여 해석하고 음성 합성부(392)에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단계 S810)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단계 S820).(Step S600), when the speech homepage language is created, the contents composing the homepage are analyzed by using the speech homepage interpreter of the language analyzing unit 380, and the speech synthesizing unit 392 interprets (Step S810) and transmits i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ep S820).

다시 말해, 상기 해당 홈페이지에 구성되어 있는 컨텐츠를 언어 해석부(380)에서 해석하여 음성 합성부(392)로 전달하면 이를 TTS(Text To Speech) 방식으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화 접속부(320)를 통해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anguage analyzing unit 380 analyzes the contents formed on the homepage, and transmits the interpreted contents to the voice synthesizer 392. The voice synthesizer 392 converts the contents into voice data in a TTS (Text To Speech)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상기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통신 단말기(100)에서 서비스 받으려는 목록을 선택한다(단계 S830).Among the converted voice data,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lects a list to receive services (step S830).

여기에서, 상기 선택은 통신 단말기(100)에서 해당 서비스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있는 번호를 입력하여 DTMF 신호를 발생시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인식기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의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이루어진다.Here, the above selection may be made by generating a DTMF signal by inputting a number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by recognizing the user's voice using a voice recognizer, .

상기 선택된 목록에 대한 해당 문자 데이터를 해석하고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단계 S840),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단계 S850).The character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ist is analyzed and converted into voice data (step S840),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ep S850).

즉, 해당 서비스에 대한 문자 데이터가 인터넷 접속부(370)를 통하여 접속된 후, 언어 해석부(380)의 음성 홈페이지 해석기의 해석 동작을 거쳐서 음성 합성부(392)로 전송되며 전화 접속부(320)를 통하여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된다.That is, after the character data for the ser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370, the speech data is transmitted to the voice synthesis unit 392 via the voice interpreter of the language interpreter unit 380,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via the network.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홈페이지가 일반 홈페이지(HTML)로 작성되었을 경우, 상기 홈페이지의 데이터를 언어 해석부(380)의 일반 홈페이지 해석기를 사용하여 분류하고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단계 S70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homepage is created in the general homepage (HTML), the data of the homepage is classified by using the general homepage interpreter of the language analyzing unit 380, converted into voice data,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ep S700).

여기에서, (단계 S700)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step S7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단계 S600)의 판단 결과, 상기 음성 홈페이지가 아닌 기존의 홈페이지로 작성되었을 경우, 해당 홈페이지를 구성하고 있는 컨텐츠를 언어 해석부(380)의 일반 홈페이지 해석기를 사용하여 해석하고 음성 합성부(392)에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단계 S710)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단계 S720).(Step S6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omepage is not the voice homepage, the content composing the homepage is analyzed using the general homepage interpreter of the language analyzing unit 380, (Step S710)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ep S720).

다시 말해, 상기 해당 홈페이지에 구성되어 있는 컨텐츠를 언어 해석부(380)에서 해석하여 음성 합성부(392)로 전달하면 이를 TTS(Text To Speech) 방식으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화 접속부(320)를 통해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anguage analyzing unit 380 analyzes the contents formed on the homepage, and transmits the interpreted contents to the voice synthesizer 392. The voice synthesizer 392 converts the contents into voice data in a TTS (Text To Speech)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상기 변환된 음성 데이터 중, 통신 단말기(100)에서 서비스 받으려는 목록을 선택한다(단계 S730).Among the converted voice data,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lects a list to receive a service (step S730).

여기에서, 상기 선택은 통신 단말기(100)에서 해당 서비스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있는 번호를 입력하여 DTMF 신호를 발생시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인식기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의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이루어진다.Here, the above selection may be made by generating a DTMF signal by inputting a number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by recognizing the user's voice using a voice recognizer, .

상기 선택된 목록에 대한 해당 문자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단계 S740),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단계 S750).Converts the character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ist into voice data (step S740),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ep S750).

즉, 해당 서비스에 대한 문자 데이터가 인터넷 접속부(370)를 통하여 접속된 후, 언어 해석부(380)의 일반 홈페이지 해석기의 해석 동작을 거쳐서 음성 합성부(392)로 전송되며 전화 접속부(320)를 통하여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된다.That is, after the character data for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370, the analyzed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peech synthesizing unit 392 through the analyzing operation of the general web page interpreter of the language analyzing unit 380, And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via the network.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웹브라우저로 인터넷에 접속할 필요 없이 유선, 무선 및 이동전화 등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홈페이지에 제공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이는 개인 또는 기업이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을 통해 개인 또는 기업 자신만의 음성 안내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이트의 정보를 링크 시킴으로써 개인별 또는 기업별로 그룹을 형성하여 서로간의 정보를 교류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on a homepage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wired line, a wireless line, and a mobile phone without having to connect to the Internet through a conventional web browser.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nstruct a voice guidance service for an individual or an enterprise through recognition and voice synthesis but also to link information of other sites to form a group for each individual or company and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them.

또한, 인터넷상에서 음성인식, 합성기술을 구현할 수 없는 개인 또는 기업들이 음성으로 서비스되는 홈페이지를 음성 홈페이지 언어를 이용해 직접 제작하거나 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제작기 툴을 사용하여 제작한 후, 일반인들이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를 통하여 음성 홈페이지 언어로 직접 제작되었거나 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제작기 툴로 제작된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음성합성으로 제작된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들려줄 수 있고 음성인식기술로 웹 서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fter an individual or a company that can not implement speech recognition and synthesis technology on the Internet can produce a homepage to be provided with a voice by using a speech homepage language or a homepage producer tool that provides the same,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prepared by the speech synthesis and to surf the web by the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by accessing the homepage produced by the homepage maker tool which is directly produced in the voice homepage language through the server or providing it.

Claims (4)

외부에서 통신망을 통해 접속 요청한 홈페이지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며, 홈페이지 브라우저(Browser)상에서는 속성이나 주석의 형태로 인라인(inline) 또는 아웃라인(outline) 삽입되어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위지윅 방식으로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고, 미리 듣기 기능을 이용하여 홈페이지 제작 결과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음성 홈페이지 제작기를 사용하여 작성되어 있는 상기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로 전달하는 음성 웹 접속 서버;A home page that is requested to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s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and an inline or outline is inserted in the form of a property or an annotation on a browser of the home page, A homepage can be created using the Wi-Fi system by using a language that provides contents of the homepage through the mobile telephone network, and a voice homepage generator capable of verifying the result of homepage production using a preview function A voice web access server for converting contents into voice data and delivering the voice data to the outside;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문자 또는 음성 컨텐츠를 포함하는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로 다이얼링하는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 및A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d / wireless / mobile telephone network for dialing to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to acquire contents of a homepage including text or voice content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성 홈페이지 제작기를 사용하여 구현한 컨텐츠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via a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the system comprising a content client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implemented using the voice homepage crea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web access server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에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화 접속부;A telephone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 data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ting voice data provided from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에 경유된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으로 제공받기 위해 소정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신호 데이터로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A user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predetermined user information as the signal data in order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contents of a homepage passed through the voice web access server by voice; 상기 사용자 등록부를 사용하여 등록한 상기 소정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DB;A user DB in which the predetermined user information registered using the user registration unit is stored;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 자체에서 작성하여 등록한 홈페이지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인터넷에 접속된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사이트명과, 고유 번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 DB;A content DB in which contents of a homepage created and registered by the voice web connection server itself are stored and a site name, a unique number, and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content client homepage connected to the Internet are registered; 상기 전화 접속부를 통해서 입력된 소정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의 해당 홈페이지 컨텐츠를 검색하는 접속 처리부;A connec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 user authentication operation by comparing predetermined user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telephone connection unit with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B, and searching for corresponding homepage contents of the content client;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음성 웹 접속 서버로 걸려오는 통화의 우선 순위를 관리하여, 요청되는 홈페이지의 접속 순서를 제어하는 통화 관리부;A call manager for managing a priority order of calls to the voice web access server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a connection order of a requested homepage; 상기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한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 인식부와, 인터넷에 접속된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음성합성(TTS:Text To Speech)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음성 합성부로 구성된 음성 처리부;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voice data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verting the voice data into character data;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client homepage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voice synthesis (TTS: Text To Speech) A voice processing unit configured by a synthesizing unit;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전화 접속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거나,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달하는 인터넷 접속부;An Internet connection unit which transmits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or receives contents of the contents client homepage through the Internet and transmits the contents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일반 홈페이지 해석기와 음성 홈페이지 해석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터넷에 연결된 상기 컨텐츠 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컨텐츠가 상기 음성 홈페이지 제작기를 사용하여 구현되었는지 또는 일반 홈페이지 제작기를 사용하여 구현되었는가를 해석한 후, 상기 컨텐츠를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달하는 언어 해석부; 및A general homepage interpreter and a voice homepage interpreter and interprets whether the content of the content client homepage connected to the Internet is implemented using the voice homepage creator or the general homepage creator, A speech analyzer for delivering the speech signal to the speech processor; And 상기 전화 접속부에 상기 신호 데이터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서 등록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시키고 상기 인터넷 접속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상기 언어 해석부의 동작을 제어한 후, 해석된 데이터를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data is received in the telephone connection unit, controls the flow of data received in the voice processing unit, stores data registered in the user registration unit in the user DB, and interprets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nguage analyz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analyzed data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데이터는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ignal data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한 음성 데이터 또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DTM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d / wireless / mobile phone networ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는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의 링크 이름 데이터 또는 URL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DTMF 신호는 상기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의 고유번호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으로 인터넷상의 정보를 유/무선/이동 전화망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W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link name data or URL data of a homepage to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and the DTMF signal includes a unique number signal of the homepage to be accessed. Provided through the system.
KR2020000022108U 2000-08-03 2000-08-03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 KR2002090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08U KR200209075Y1 (en) 2000-08-03 2000-08-03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08U KR200209075Y1 (en) 2000-08-03 2000-08-03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910A Division KR20020011569A (en) 2000-08-02 2000-08-0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075Y1 true KR200209075Y1 (en) 2001-01-15

Family

ID=7308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108U KR200209075Y1 (en) 2000-08-03 2000-08-03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07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364A (en) * 2000-08-07 2002-02-16 최중인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voice web ser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364A (en) * 2000-08-07 2002-02-16 최중인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voice web ser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257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twork-based information suitable for audio output
KR100459299B1 (en) Conversational browser and conversational systems
US64008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using universally accessible voice and speech data files
US6941273B1 (en) Telephony-data applicatio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odal access to data applications
KR101027548B1 (en) Voice browser dialog enabler for a communication system
KR100561228B1 (en) Method for VoiceXML to XHTML+Voice Conversion and Multimodal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US20130158994A1 (en) Retrieval and presentation of network service results for mobile device using a multimodal browser
US200301448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the behavior of an application based upon the application&#39;s grammar
US7171361B2 (en) Idiom handling in voice service systems
US8504370B2 (en) User-initiative voic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030187656A1 (en) Method for the computer-supported transformation of structured documents
US20040141597A1 (en) Method for enabling the voice interaction with a web page
KR100363656B1 (en) Internet service system using voice
US6909999B2 (en) Sound link translation
JP4809010B2 (e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KR100367579B1 (en) Internet utilization system using voice
KR100381606B1 (en) Voice web hosting system using vxml
KR200209075Y1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
KR2002001156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wireless/mobile telephone network with the use of voice
JPH10322478A (en) Hypertext access device in voice
JP2001075968A (en) Information retriev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US20220108682A1 (en) Generation control device for voice message-containing image and method for generating same
KR100381605B1 (en) Ars voice web hosting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060096654A (en) Mobile service system using multi-modal platform and method thereof
JP2011204283A (e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