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667A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667A
KR20020087667A KR1020010026563A KR20010026563A KR20020087667A KR 20020087667 A KR20020087667 A KR 20020087667A KR 1020010026563 A KR1020010026563 A KR 1020010026563A KR 20010026563 A KR20010026563 A KR 20010026563A KR 20020087667 A KR20020087667 A KR 20020087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plate
character
input
data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윤규
정병학
신용수
반수영
이승호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7667A/en
Publication of KR2002008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66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display all common phrases starting with the first letter when the first letter of a word or a phrase prestored by a user is inputted, and to insert a selected common phrase as text, thereby quickly inputting frequency-used words or phrases. CONSTITUTION: A memory(24) stores common phrases composed of more than two letters as data. A controller(22) makes corresponding input character strings as data by inputting a common phrase specifying signal for character strings within a text, and stores the data in the memory(24). When the first letter is inputted, the controller(22) reads prestored common phrases including the first letter from the memory(24), and displays the read common phrases on a screen, then inputs the common phrases instead of the first letter by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display common phrases.

Description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모드에서 임의의 글자가 처음으로 입력되면 그 처음으로 입력된 글자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단어 또는 구절의 상용구를 화면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하게 문자 입력이 행해지도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y character is first input in a character input mode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a previously stored word or phrase including the first input charac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playing characters on a screen and simply inputting character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무선 통신 기술이 실용화됨에 따라 19세기 중반에 나선(open wire)을 이용한 전신(telegraph)으로 시작된 유선 통신 방식과 경쟁적으로 발전하여서,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통신 방식은 장거리 전송 구간에서 유선 방식을 대표하는 동축 케이블 반송 방식과 무선 통신을 대표하는 아날로그 마이크로웨이브 반송 방식이 전성시대를 구가하였다.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put into practical use, it has developed competitively with wired communication method that began with telegraph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Coaxial cable carriers and analog microwave carriers, which represent wireless communications, have been at their peak.

광섬유(optical fiber) 전송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육상 고정 통신 분야에서는 전송 거리에 관계없이 광섬유 케이블에 의한 유선 통신 방식이 경제성과 기술성 등의 관점에서 무선 통신 방식을 압도하게 되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optical fiber transmission technology, in the land fixed communication field, the wired communication method by the fiber optic cable has overwhelm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erms of economy and technicality regardless of the transmission distance.

1980년대 초에 북미에서 서비스 대상지역을 수 Km ∼ 수 10Km 직경의 육각형 셀로 분할한 후 지리적으로 떨어진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셀간에서 무선 채널 절체 기능을 구현한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시스템을 최초로 상용화함으로써 이동 전화가 보편적 서비스로 자리잡는 계기가 되었다.In the early 1980s, in North America, the service area was divided into hexagonal cells of several Km to several 10Km in diameter, and the same frequency channel was repeatedly used in geographically separated cells, and wireless channel switching between cells was implemented as subscribers moved. The first commercialization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s made mobile phones a universal service.

또한, 최근 들어 이동 전화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어 무선 통신의 새로운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In additio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ve been commercialized in recent years, such as the demand for mobile phones has exploded.

이동 통신은 기존 통신 서비스에 이동성(mobility)을 추가하는 형태로 볼 수 있는데, 이동성의 종류로는 단말기가 가입자 선에서 풀려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단말기 이동성(terminal mobility),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임의의 단말기로 통신할 수 있는 이용자 이동성(user mobility), 이용 주파수 대역을 높혀서 무선 채널을 광대역화함으로써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와 영상까지 제한없이 수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service mobility) 등이 있다.Mobile communication can be viewed as a form of adding mobility to an existing communication service. A type of mobility includes terminal mobility in which a terminal can be freely moved by being released from a subscriber line, and a user moves to an arbitrary terminal. There are user mobility that can communicate, and service mobility that can accommodate not only voice but also data and video by widening a wireless channel by increasing a use frequency band.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전화 단말기의 소형/경량화가 이루어지면서 개인 휴대형 이동 전화(셀룰러 폰, PCS폰; 휴대폰이라 함)로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ening of mobile phone terminals are rapidly spreading to personal mobile phones (cellular phones, PCS phones; mobile phones).

그 휴대폰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해 준다. 사서함 가입자가 휴대폰으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전화를 건 사람이 사서함 가입자의 음성 사서함 또는 팩스 사서함에 메시지를 남겨주면 사서함 가입자가 그 메시지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보이스 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ice; 일명 소리샘 서비스), 이동 전화 시스템에 음성 인식장비를 연결하여 가입자의 음성을 기억/등록시킨 후 가입자가 이동 전화를 걸 때 일일이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음성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다이얼 서비스(Voice Activated Dialing Service), 휴대폰의 화면을 통해 숫자 및 문자메시지(한글 40∼50자, 영문 80자 정도) 또는 다양한 생활 정보를 문자로 받을 수 있고 SMS가입자가 소리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소리샘에 메시지가 도착될 시 도착 즉시 휴대폰으로 통보해 주며 휴대폰 호출서비스도 이용하도록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등을 제공해 준다.The phone offers the following services: If the mailbox subscriber cannot receive a call on the cell phone, the caller leaves a message in the mailbox subscriber's voice mailbox or fax mailbox and allows the mailbox subscriber to check the message. Voice Sampling Service), a voice recognition dialing service (Voice) that connects a voice recognition device to a mobile phone system to memorize / register a subscriber's voice and then make a voice call without having to dial the phone number when the subscriber makes a mobile call. Activated Dialing Service), you can receive numbers and text messages (40-50 characters in English, 80 characters in English) or various life information as texts through the screen of your mobile phone. Upon arrival, you will be notified by mobile phone. Give provide such SMS (Short Message Service).

이와 같은 휴대폰의 등장으로 인해 그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형 기기가 등장하였다. 그 중에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라고 일컬어지는 문자인식 가능한 휴대형 기기가 각광을 받고 있다.The emergence of mobile phone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mong them, portable devices capable of text recognition calle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re in the spotlight.

그 PDA는 정보 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다양한 응용(application)들을 펜을 통하여 간편하게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The PDA is a device that can perform information collection, storage, creation, retrieval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can easily interface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the pen.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CPU, 메모리, OS, OS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고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고정된 전자수첩과는 전혀 다른 종류이다.PDA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software and peripherals based on the computer's basic CPU, memory,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system.

PDA는 일반적으로 펜을 사용해서 입력하는 소형 컴퓨터를 가리키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용어들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팜컴퓨팅(PalmComputing) 사(社)의 팜(Palm)을 비롯한 여타 비슷한 형태의 개인 휴대 디지털 장치가 PDA라고 불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사(社)의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제품중에 키보드 없이 펜을 사용하는 기기는 PPC(Palm-Sizes PC), 같은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지만 키보드를 사용하는 제품은 HPC(Handheld PC)라고 불린다. 현재는 이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PDA라는 말을 사용하는 추세이다.A PDA generally refers to a small computer that uses a pen to enter, but is also used in various terms. For example, Palm Computing's Palm and other similar types of personal digital devices are called PDAs. Pens without keyboards are used in products using Microsoft's Windows CE operating system. Devices that use the same Windows CE operating system as Palm-Sizes PC (PPC), but products that use a keyboard are called HPC (Handheld PC). Currently, the term "PDA" is used to encompass all of these concepts.

상기한 휴대폰 또는 PDA에서는 키패드 조작에 의한 문자 입력 또는 펜을 이용한 직접적인 문자 입력을 행하는데, 통상적인 데스크탑 키보드에 비해 입력속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자주 사용하는 단어나 구절을 입력해야 할 경우 전체 내용을 복사하거나 다시 입력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In the above-mentioned mobile phone or PDA, character input by a keypad operation or direct character input using a pen is performed. The input speed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 general desktop keyboard, and the entire contents are copied when a frequently used word or phrase is requir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be done or to input agai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용구 지정 및 화면표시가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자 입력이 신속하게 행해지도록 한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text input device for a portable mobile terminal, which enables the user to designate a boilerplate and display a screen so that text input frequently us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performed quickly. The purpose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용구 지정 및 화면표시가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자 입력이 신속하게 행해지도록 한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xt input method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which enables a user to designate a boilerplate and display a screen so that text input frequently used in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can be performe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장치를 문자인식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 적용시켰을 경우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w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aracter recognition portable mobile terminal,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 포멧의 예를 나타낸 도면,2A and 2B illustrate an example of a data format stored in a memory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방법의 설명에서 상용구로 지정된 단어를 선택하는 경우의 화면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when a word designated as a boilerplate is selected in the description of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방법의 설명에서 상용구로 지정된 구절을 선택하는 경우의 화면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creen display when a phrase designated as boilerplate is selec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문자 입력부12 : 표시부10: character input unit 12: display unit

14 : 터치 스크린16 : 문자 데이터베이스14: touch screen 16: character database

18 : 터치신호 수신부20 : 문자 인식부18: touch signal receiving unit 20: character recognition unit

22 : 제어부24 : 메모리22: control unit 24: memo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는, 둘 이상의 문자로 된 상용구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 및 입력되는 텍스트내의 문자열에 대한 상용구 지정신호의 입력에 의해 해당 입력 문자열을 데이터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첫 문자가 입력됨에 따라 그 첫 문자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상용구를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화면표시하며, 그 화면표시된 상용구에 대한 선택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상용구를상기 첫 문자를 대신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for storing the boilerplate text of two or more characters; And converts the input string into data by inputting a boilerplate designation signal for the character string in the text to be input, and reads out the prestored boilerplate including the first character from the memory as the first character is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the boilerplate text in place of the first character by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screened boilerplate tex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은, 입력되는 텍스트내의 문자열을 데이터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과정; 첫 문자가 입력됨에 따라 그 첫 문자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둘 이상의 문자로 된 상용구를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화면표시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화면표시된 상용구에 대한 선택신호의 입력에 의해 그 선택된 상용구를 상기 텍스트내에 삽입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process of converting a character string in an input text into a memory; A second step of reading and displaying the boilerplate text having two or more character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as the first character is inputted; And a third step of inserting the selected boilerplate text into the text by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screen-displayed boilerplate tex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port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장치를 문자인식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 적용시켰을 경우의 구성도, 각종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부(10) 및 그 문자 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시켜 주고 다양한 상용구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표시부(12)를 갖춘 터치 스크린(14); 한글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 특징 데이터 예컨대, 문자 각각에 해당하는 고유의 좌표 데이터와 획 데이터 및 표준화된 문자 각각을 스캐닝하여 데이터화한 스캐닝 데이터 등이 등록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베이스(16); 펜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14)상에서의 직접적인 문자 입력 또는 터치 스크린(14)상의 문자 키패드(도시 생략) 조작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상기 터치 스크린(14)의 출력 좌표값 신호 및 획수값 신호(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터치신호 수신부(18);상기 문자 입력부(10)에 입력되는 문자가 펜에 의해 기입된 문자인 경우 해당 문자에 대한 압점들의 이동경로에 따른 좌표값 및 획수값에 근거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문자 데이터베이스(16)에 기 등록된 고유 특징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생성된 특징 데이터와 일정 범위의 오차내에 있는 동일한 고유 특징 데이터를 검출한 후 그에 상응하는 문자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문자 인식부(20); 및 문자 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텍스트내의 문자에 대한 상용구 선택신호의 입력에 의해 해당 입력 문자를 데이터화하여 메모리(24)에 저장하고, 첫 문자가 입력됨에 따라 그 첫 문자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상용구를 상기 메모리(24)에서 독출하여 화면표시하며, 그 화면표시된 상용구에 대한 선택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상용구를 상기 첫 문자를 대신하여 입력하는 제어부(22)를 구비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whe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aracter recognition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displays a character input unit 10 capable of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and characters inputted from the character input unit 10 and various common phrases. A touch screen 14 having a display unit 12 for displaying the display unit 12; Intrinsic feature data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Hangul, for example, a character database 16 in which intrinsic coordinate data and stroke data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and scanning data obtained by scanning and normalizing each characterized character are registered; Output coordinate value signal and stroke number of the touch screen 14 generated when a character is input by direct character input on the touch screen 14 using a pen or a character keypad (not shown)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14. A touch signal receiver 18 which receives a value signal (analog signal), converts the data into digital data, and outputs the converted digital data; when the character input to the character input unit 10 is a character written by a pen, The feature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stroke number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and the unique feature data registered in the character database 16 is searched for the same unique feature dat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error.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20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character recogni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storing the input characters into the memory 24 by inputting the boilerplate selection signal for the characters in the text input in the character input mode, and recalling the previously stored boilerplate including the first character as the first character is inputted. A control unit 22 reads out of the memory 24 and displays the screen, and inputs the boilerplate in place of the first character by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displayed boilerplate.

상기 문자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문자들 각각의 고유 특징 데이터들은 실험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들이다.Unique characteristic data of each of the characters stored in the character database 16 are data determined by experimental values.

상기 문자 입력부(10) 및 표시부(12)는 상기 터치 스크린(14)상의 일정 영역을 차지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14)은 문자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장치로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좌표값 신호와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저항판 방식이 사용되거나 혹은 캐패시터의 전하량값 변화에 따라 좌표값 신호와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캐패시터판 방식이 사용된다.The character input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12 occupy a predetermined area on the touch screen 14. The touch screen 14 is a device capable of inputting text data, and a resistance plate method for outputting a coordinate value signal and a stroke value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is used, or a coordinate value signal and stroke number according to a change in a charge amount value of a capacitor. A capacitor plate method of outputting a value signal is used.

상기 터치 스크린(14)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들 즉, 상기 문자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들을 압력에 따른 압점(pressing point)들로 인식하여 이를 X/Y좌표값 신호와 획수를 나타내는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좌표값 및 획수값 신호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4)상의 상기 문자 입력부(10)를 통해 문자 입력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압력점의 이동상태 및 압력 여부 상태를 X축 및 Y축 좌표값의 변화에 따른 좌표 데이터와, 연속적인 압력이 몇번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문자가 어떠한 문자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태 데이터의 자원이 된다.The touch screen 14 recognizes characters input from a user, that is,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10 as pressing points according to pressure, and indicates X / Y coordinate value signals and stroke numbers. Outputs a stroke value signal.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stroke value signal are used to determine the moving state and pressure state of the pressure point generated when the user inputs text through the text input unit 10 on the touch screen 14. It becomes a resource of the state data to be able to know which character is the input character based on the coordinate data according to the change and how many times a continuous pressure occurs.

그리고, 상기 문자 입력부(10)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펜에 의한 직접적인 문자 기입 및 문자 키패드 조작에 의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데, 상기 펜에 의한 직접적인 문자 기입의 경우는 상기 문자 인식부(20)에서 그 기입된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문자 키패드 조작에 의한 문자 입력의 경우는 문자 키패드 조작에 따른 터치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22)에서 문자 인식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as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nto the character input unit 10, a character input by a pen and a character keypad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case of direct character input by the pe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0 may be used. The controller 22 recognizes which character is the written character, and in the case of character input by the character keypad operation, the controller 22 performs a character recognition operation based on a touch signal according to the character keypad operation. .

한편, 상기 메모리(24)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도 2a 및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2)가 상용구 데이터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정보와 상용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용구는 도 2a 및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용구 데이터 영역에 단어(즉, 문자열) 또는 구절 형태로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정보는 사용횟수 영역(도 2a참조) 또는 최근 사용 시간 영역(도 2b참조)에 저장된다. 상기 도 2a의 사용횟수 영역에 이해하기 쉽게 "3", "2", "1"의 십진수의 숫자를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각각 십진수 "3", "2", "1"을 2진화 데이터로 변환시킨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도 2b의 최근 사용 시간 영역에 이해하기 쉽게"01110708", "01071400"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연/월/일/시/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도 2a 및 도 2b의 상용구 데이터 영역에 이해하기 쉽게 "안녕하세요", "안녕",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안녕…" 등과 같은 글자를 도시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해당 글자를 의미하는 디지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24 is composed of control information and boilerplate for the controller 22 to determine the display order of the boilerplate data as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Here, the boilerplate text is stored in the form of a word (ie, a character string) or a phrase in the boilerplate data region as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The contro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use frequency area (see FIG. 2A) or the recent use time area (see FIG. 2B). Although the numbers of decimal numbers "3", "2", and "1" are shown in the usage frequency area of FIG. 2A for easy understanding, the decimal numbers "3", "2", and "1" are respectively converted into binary data. The converted information is stored. In FIG. 2B, the recent usage time area is easily understood to be "01110708" and "01071400", which stores data representing year / month / day / hour / minute. In addition, although letters such as "hello", "hello", "good bye", "goodbye…", "goodbye…" and the like are easily illustrated in the boilerplate data area of FIGS. It is assumed that digital information is stored.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메모리(24)에 저장된 상용구를 표시부(12)상에 디스플레이시킬 경우 사용횟수가 높은 순서 또는 최근 사용순서대로 정렬하게 화면표시시킨다.When the controller 22 displays the boilerplate stored in the memory 24 on the display unit 12, the controller 22 displays the screen in such a manner that the number of times of use is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 use or recent use.

그리고, 상기 제어부(22)는 표시부(12)상에 디스플레이된 상용구가 구절일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첫 문자의 밝기보다 흐리게 표시시키고, 상기 화면표시된 상용구(구절의 경우)에서 선택된 부분(즉, 사용자가 블록으로 지정한 부분)까지의 문자열을 텍스트에 삽입한다.In addition, when the boilerplat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is a phrase, the controller 22 causes the display to be less than the brightness of the input first character, and selects a portion (that is, a user) from the screened boilerplate (in the case of the phrase). Inserts a string of characters up to a block) into the tex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xt input method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문자인식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 갖추어진 키패드 및 펜 등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선택신호가 제어부(22)로 입력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2)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문자 입력이 가능한 모드로 변환시킨다(단계 S10).When the user selects a text input mode using a keypad and a pen provided in the text recognition portable mobile terminal, a corresponding selection signal is inputted to the controller 22. Accordingly, the controller 22 converts the current operation mode into a mode capable of text input (step S10).

사용자가 펜 또는 문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예컨대, 글자)를 기입하게 되면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2)상에는 현재 입력되는 글자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12).When a user writes a predetermined character (for example, a character) using a pen or a character keypad, the character currently inpu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 (step S12).

여기서, 펜에 의한 직접적인 글자 입력의 경우 터치 스크린(14)에서의 이동경로에 따른 출력 X/Y좌표값 신호 및 획수값 신호(아날로그 신호)는 터치신호 수신부(18)로 전송되고, 그 터치신호 수신부(18)에서는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X/Y좌표값 신호 및 획수값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22)로 전송하며, 그 제어부(22)는 그 디지털 형태의 X/Y좌표값 신호 및 획수값 신호를 문자 인식부(20)로 제공한다. 그 문자 인식부(20)는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문자 데이터베이스(16)에 기 등록되어 있는 각 문자들에 대한 고유 특징 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 입력된 문자에 대한 문자 인식신호를 제어부(22)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22)는 현재 입력된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문자 키패드에 의한 글자 입력의 경우에는 터치신호 수신부(18)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X/Y좌표값 신호에 의해 제어부(22)에서 현재 입력된 문자가 어떤 글자인지를 파악하게 된다.Here, in case of direct letter input by the pen, the output X / Y coordinate value signal and stroke value signal (analog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n the touch screen 14 are transmitted to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8, and the touch signal The receiving unit 18 converts the input analog X / Y coordinate value signal and stroke value signal into a digital form and transmits the digital form to the control unit 22, and the control unit 22 transmits the digital X / Y coordinate value signal. And a stroke value signal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0.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0 controls the character recognition signal for the currently input character based on the unique feature data for each character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character database 1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 22).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22 may know what character is currently input. If the character is input by the character keypad, the controller 22 determines which character is the character currently input by the digital X / Y coordinate value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 signal receiver 18.

그리고, 상기 제어부(22)는 현재 입력되고 있는 글자에 대한 상용구 지정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4).Then, the controller 2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oilerplate designation signal for the character currently being input is input (step S14).

사용자가 "안녕하세요"라는 단어를 입력하고 스페이스 바 또는 커서 이동에 의해 한 칸을 띄우고서 다른 단어를 입력하기 전에 상용구 지정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2)는 그 상용구 지정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상용구 지정신호에 근거하여 상용구 지정이 있는 것으로 판단(단계 S14에서 "Yes")하여 상기 "안녕하세요"라는 단어(즉, 공백으로 구획된 문자열)를 상용구 데이터로 하여 메모리(24)에 저장시킨다(단계 S16).When the user inputs the word "hello" and floats one space by moving the space bar or the cursor, and operates the boilerplate designation button before entering another word, the controller 22 controls the boilerplate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boilerplate designation button. Based on the designation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boilerplate designation (" Yes " in step S14), and the word " hello " (i.e., a character string separated by a space) is stored in the memory 24 as boilerplate data (step S16). ).

한편, 상기 예에서는 상용구 지정을 단어로 가정하고 설명하였는데, 구절이어도 무방하다. 즉, 사용자가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 오늘은 …"과 같은 패러그래프(paragraph)를 입력하고, 그 패러그래프에서 희망하는 부분(예컨대,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을 블록 지정한 후 상용구 지정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2)는 그 상용구 지정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상용구 지정신호에 근거하여 상용구 지정이 있는 것으로 판단(단계 S14에서 "Yes")하여 상기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 오늘은"이라는 구절을 상용구 데이터로 하여 상기 메모리(24)에 저장시킨다(단계 S16).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designation of boilerplate words as words, but may be a phrase. In other words, the user enters a paragraph such as "Hello Hong-gil-dong. Today is…", specifies the desired part of the paragraph (for example, "Hello-gil-dong."), And operates the boilerplate designation button. When the control unit 22 determines that there is a boilerplate designation based on the boilerplate design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oilerplate designation button operation ("Yes" in step S14), the phrase "Hello, Hong-gil-dong." Th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24 (step S16).

만약, 상기 상용구 지정이 없는 경우(단계 S14에서 "No") 상기 제어부(22)는 문자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어 표시부(12)상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첫 글자로 하는 상용구가 메모리(24)에 기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단계 S18).If there is no designation of the boilerplate text (“No” in step S14), the controller 22 is input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10 and the boilerplate text having the first charac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is the memory 24. Is already stored (step S18).

그 검색결과, 아무런 상용구가 검색되지 않을 경우(단계 S18에서 "No")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단계 S12로 복귀하여 문자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부(12)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As a result of the search, if no boilerplate is found ("No" in step S18), the control unit 22 returns to step S12 to display the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10 on the display unit 12. .

그에 반하여, 상기 표시부(12)상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첫 글자로 하는 상용구가 메모리(24)에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단계 S18에서 "Yes") 상기 제어부(22)는 그 검색된 상용구를 사용횟수에 따라 또는 최근 사용된 것부터 하여 표시부(12)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S20).On the contrary, when the boilerplate word having the first charac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is stored in the memory 24 ("Yes" in step S18), the controller 22 uses the retrieved boilerplate number of times. Are displayed sequentially on the display unit 12 according to or recently used (step S20).

상기 검색된 상용구가 단어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첫 문자로서 "안"이라는 문자를 입력한 경우 표시부(12)에는 그 "안"으로 시작되는 상용구(예컨대, "안녕하세요", "안녕", "안부")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12)상에 디스플레이된 여러개의 상용구중에서 희망하는 상용구(예컨대, "안녕하세요")를 선택하게 되면(단계 S22에서 "Yes") 그에 상응하는 상용구 선택신호가 터치신호 수신부(18)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어부(22)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2)는 그 선택된 상용구(즉, "안녕하세요")를 텍스트로 결정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2)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S24).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22)는 그 상용구(즉, 안녕하세요)에 대한 사용횟수를 1증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2)는 그 상용구(즉, "안녕하세요")에 대한 사용된 시간을 조정한다(단계 S26).Referring to the case in which the searched boilerplate word is a word,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inputs a letter "not" as the first character, the display unit 12 includes a phrase that starts with the word "not" (eg, " Hello "," Hello "," Hello ") are displaye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boilerplate among the several boilerplat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for example, "hello") ("Yes" in step S22), the corresponding boilerplate selection signal is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It is generated at 18 and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22.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2 determines the selected boilerplate text (i.e., "hello") as tex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2 as shown in FIG. 4 (step S24). Then, the controller 22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boilerplate (ie, hello) by one. Then, the controller 22 adjusts the time used for the boilerplate (i.e., "hello") (step S26).

그리고, 상기 검색된 상용구가 구절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단계 20에서 표시부(12)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상용구가 구절인 경우에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상에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 오늘은"과 같은 상용구가 디스플레이된다. 그 디스플레이되는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 오늘은"의 상용구의 밝기는 사용자가 처음으로 입력한 글자(즉, "안")의 밝기보다 흐리게 설정된다. 물론, 다른 내용의 구절로 된 상용구가 있을 수 있으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단계 S18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용구가 하나만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12)상에 디스플레이된 상용구에서 희망하는 부분(예컨대,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을 블록으로 선택하게 되면(단계S22에서 "Yes") 그에 상응하는 상용구 선택신호가 터치신호 수신부(18)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어부(22)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2)는 그 선택된 상용구(즉,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를 텍스트로 결정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2)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S24).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22)는 그 상용구(즉,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 오늘은")에 대한 사용횟수를 1증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2)는 그 상용구(즉, "안녕하세요 홍길동입니다. 오늘은")에 대한 사용된 시간을 조정한다(단계 S26).In the case where the searched word phrase is a phrase, when the word phrase is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12 in the step 20, the phrase "Hi Hong-gil" is shown on the display portion 12 as illustrated in FIG. Today's boilerplate is displayed. The brightness of the boilerplate of "Hello, Hong Gil-dong. Today" is displayed is set to be less than the brightness of the first character (ie, "in") that the user entered. Of course, there may be a boilerplate with other phrases, but it is assumed that there is only one boilerplat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of step S18 to help the description. In this state,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part of the boilerplat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for example, "Hello, Gil-dong") as a block ("Yes" in step S22), the corresponding boilerplat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The touch signal receiver 18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2.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2 determines the selected boilerplate (ie, "Hello, Gil-gil") as tex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2 as shown in FIG. 5 (step S24). Then, the controller 22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boilerplate (ie, "Hello, Gil-gil. Today"). Then, the control unit 22 adjusts the used time for the boilerplate (that is, "Hello Gil-dong. Today is") (step S26).

이후, 상기 문자 입력모드 해제신호가 상기 제어부(22)로 입력되면(단계 S28에서 "Yes") 그 제어부(22)는 본 발명의 간편한 문자 입력 동작을 종료한다.After that, when the character input mode cancel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22 (" Yes " in step S28), the controller 22 ends the simple character input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상용구가 단어인 경우 및 상용구가 구절인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메모리(24)에 단어로 된 상용구 및 구절로 된 상용구가 혼재하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12)상에는 단어로 된 상용구 및 구절로 된 상용구가 사용횟수 또는 최근 사용된 순서대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 단어 및 구절의 상용구가 혼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12)상에서 어느 한 상용구를 선택하게 되면 그에 대한 후속 동작은 그 상용구가 단어인지 구절인지에 따라 상술한 동작중 어느 한 경우의 동작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상용구가 구문이어도 무방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ilerplate is a word and the boilerplate is divided into phrases, the wording and the boilerplate may be mixed and stored in the memory 24. . In this case, on the display unit 12, the word boilerplate and the phrase boilerplate are sorted and displayed in the order of use or recently used order. When any one of the words and phrases is selected on the display unit 12 in which the words and phrases are mixed and displayed, the subsequent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any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words or phrases are words or phrases. All. The boilerplate may be a phrase.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둔단어 또는 구절의 상용구의 첫 글자가 입력되면 그 첫 글자로 시작하는 단어 또는 구절의 모든 상용구를 디스플레이시키고서 그 중에서 선택되는 상용구를 텍스트로 삽입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단어 또는 구절을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letter of a word or phrase that is stored in advance by a user is input, all the boilerplate words of the word or phrase starting with the first letter are displayed and the selected boilerplate text is selected as the text. By inserting, it is possible to enter a frequently used word or phrase simply and quickly.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applied to the claims Must see

Claims (10)

둘 이상의 문자로 된 상용구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 및A memory that stores two or more characters of boilerplate as data; And 입력되는 텍스트내의 문자열에 대한 상용구 지정신호의 입력에 의해 해당 입력 문자열을 데이터화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첫 문자가 입력됨에 따라 그 첫 문자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상용구를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화면표시하며, 그 화면표시된 상용구에 대한 선택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상용구를 상기 첫 문자를 대신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By inputting the boilerplate designation signal for the character string in the input text, the input string is data-stored and stored in the memory. As the first character is input, the previously stored boilerplate including the first character is read out from the memory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control unit which inputs the boilerplate in place of the first character by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screened boilerplate. 4.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가 상용구 데이터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정보와 상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The data to be stored in the memory is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s composed of contro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isplay order of the boilerplate data.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정보는 사용횟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저장된 상용구를 상기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화면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The control information is a number of times of use, and the controller displays the previously stored boilerplate on the basis of the control informat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정보는 최근 사용 시간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저장된 상용구를 상기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화면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The control information is a recent usage time,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pre-stored boilerplat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표시된 상용구에서 선택된 부분까지의 문자를 상기 첫 문자를 대신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And the control unit inputs a character from the screen displayed boilerplate to the selected part in place of the first character. 입력되는 텍스트내의 문자열을 데이터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과정;A first step of converting the character string in the input text into data and storing it in a memory; 첫 문자가 입력됨에 따라 그 첫 문자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둘 이상의 문자로 된 상용구를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화면표시하는 제 2과정; 및A second step of reading and displaying the boilerplate text having two or more character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as the first character is inputted; And 상기 화면표시된 상용구에 대한 선택신호의 입력에 의해 그 선택된 상용구를 상기 텍스트내에 삽입하는 제 3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And inserting the selected boilerplate text into the text by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screen-displayed boilerplate tex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과정에서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터는 상기 상용구 데이터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정보와 상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The data to be stored in the memory in the first process is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isplay order of the boilerplate data and the boilerplat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정보는 사용횟수이며, 상기 기 저장된 상용구를 상기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화면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The control information is a number of times of use and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pre-stored boilerplat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정보는 최근 사용 시간이며, 상기 기 저장된 상용구를 상기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화면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The control information is a recent usage time, and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pre-stored boilerplate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화면표시된 상용구에서 선택된 부분까지의 문자를 상기 첫 문자를 대신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inputting the characters from the on-screen displayed boilerplate in place of the first character.
KR1020010026563A 2001-05-15 2001-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 KR200200876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563A KR20020087667A (en) 2001-05-15 2001-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563A KR20020087667A (en) 2001-05-15 2001-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667A true KR20020087667A (en) 2002-11-23

Family

ID=2770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563A KR20020087667A (en) 2001-05-15 2001-05-15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7667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51B1 (en) * 2002-05-27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 conversion method for character str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68467A (en)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completing sentence of mobile terminal
KR100718596B1 (en) * 2003-10-15 2007-05-15 강윤기 Method of inputting chinese language using mobile terminal
WO2007055448A1 (en) * 2005-11-09 2007-05-18 Kun-Ho Choi Text input method
KR100774050B1 (en) * 2006-03-14 2007-11-06 (주) 지.티 텔레콤 Inputing method of short messages in mobile pho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51B1 (en) * 2002-05-27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 conversion method for character str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8596B1 (en) * 2003-10-15 2007-05-15 강윤기 Method of inputting chinese language using mobile terminal
KR20060068467A (en)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completing sentence of mobile terminal
WO2007055448A1 (en) * 2005-11-09 2007-05-18 Kun-Ho Choi Text input method
KR100774050B1 (en) * 2006-03-14 2007-11-06 (주) 지.티 텔레콤 Inputing method of short messages in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955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application with a word completion feature
US6223059B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US6542170B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US7793228B2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ext entry with partial word display
US7155683B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JP3470664B2 (en) E-mail terminal device with received mail display method and pictogram conversion function
US20060142997A1 (en) Predictive text entry and data compression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10943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Test Editor Application
CN102804121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document data
US20060206816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redictive text editing
US20030036411A1 (en) Method of entering characters into a text string and a text-editing terminal using the method
JP2008521096A (en) Mechanism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KR200200876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
KR200200825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accessing an internet site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KR1007008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200739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
WO20070839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10107066A (en)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28038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yping in shorthand using a mobile device
KR970031474A (e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organizer of portable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739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n information in portable mobile terminal
KR100795952B1 (en)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2274B1 (en) mobile phone, navigation key-pad is built in
KR100450459B1 (en) Key input method
KR20010039003A (en) Mobile station for using electronic diction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