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989A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989A
KR20020073989A KR1020010014035A KR20010014035A KR20020073989A KR 20020073989 A KR20020073989 A KR 20020073989A KR 1020010014035 A KR1020010014035 A KR 1020010014035A KR 20010014035 A KR20010014035 A KR 20010014035A KR 20020073989 A KR20020073989 A KR 20020073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input
characters
character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윤규
정병학
신용수
반수영
이승호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3989A/en
Publication of KR2002007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98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3Content adaptation, e.g. replacement of unsuitabl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and suitably segment the short message with long content and transmit the segmented short message without the help of a user. CONSTITUTION: A character input unit(10) inputs a character. A control unit(26) temporarily stores the characters inputted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10) according a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ignal is inputted,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words of the temporarily stored short message. If the number of calculated words exceeds the number of admission words of a previously designated short message service, the control unit(26) segments the inputted short message into blocks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the admission words, inserts an identifier into each short message block, and transmits the short message blocks in an inverse sequence of the input sequence.

Description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할 긴 내용의 단문메시지를 자동으로 조각내어 역순으로 수신 휴대형 이동단말기측으로 전송하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nding a short message of a long content to be transmitted from an originating portable mobile terminal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portable mobile terminal in reverse order. It is about.

무선 통신 기술이 실용화됨에 따라 19세기 중반에 나선(open wire)을 이용한 전신(telegraph)으로 시작된 유선 통신 방식과 경쟁적으로 발전하여서,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통신 방식은 장거리 전송 구간에서 유선 방식을 대표하는 동축 케이블 반송 방식과 무선 통신을 대표하는 아날로그 마이크로웨이브 반송 방식이 전성시대를 구가하였다.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put into practical use, it has developed competitively with wired communication method that began with telegraph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Coaxial cable carriers and analog microwave carriers, which represent wireless communications, have been at their peak.

광섬유(optical fiber) 전송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육상 고정 통신 분야에서는 전송 거리에 관계없이 광섬유 케이블에 의한 유선 통신 방식이 경제성과 기술성 등의 관점에서 무선 통신 방식을 압도하게 되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optical fiber transmission technology, in the land fixed communication field, the wired communication method by the fiber optic cable has overwhelm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erms of economy and technicality regardless of the transmission distance.

1980년대 초에 북미에서 서비스 대상지역을 수 Km ∼ 수 10Km 직경의 육각형 셀로 분할한 후 지리적으로 떨어진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가입자의 이동에 따라 셀간에서 무선 채널 절체 기능을 구현한 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시스템을 최초로 상용화함으로써 이동 전화가 보편적서비스로 자리잡는 계기가 되었다.In the early 1980s, in North America, the service area was divided into hexagonal cells of several Km to several 10Km in diameter, and the same frequency channel was repeatedly used in geographically separated cells, and wireless channel switching between cells was implemented as subscribers moved. The first commercialization of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s made mobile phones a universal service.

또한, 최근 들어 이동 전화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어 무선 통신의 새로운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In additio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ve been commercialized in recent years, such as the demand for mobile phones has exploded.

이동 통신은 기존 통신 서비스에 이동성(mobility)을 추가하는 형태로 볼 수 있는데, 이동성의 종류로는 단말기가 가입자 선에서 풀려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단말기 이동성(terminal mobility),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임의의 단말기로 통신할 수 있는 이용자 이동성(user mobility), 이용 주파수 대역을 높혀서 무선 채널을 광대역화함으로써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와 영상까지 제한없이 수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service mobility) 등이 있다.Mobile communication can be viewed as a form of adding mobility to an existing communication service. A type of mobility includes terminal mobility in which a terminal can be freely moved by being released from a subscriber line, and a user moves to an arbitrary terminal. There are user mobility that can communicate, and service mobility that can accommodate not only voice but also data and video by widening a wireless channel by increasing a use frequency band.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전화 단말기의 소형/경량화가 이루어지면서 개인 휴대형 이동 전화(셀룰러 폰, PCS폰; 휴대폰이라 함)로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ening of mobile phone terminals are rapidly spreading to personal mobile phones (cellular phones, PCS phones; mobile phones).

그 휴대폰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해 준다. 사서함 가입자가 휴대폰으로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전화를 건 사람이 사서함 가입자의 음성 사서함 또는 팩스 사서함에 메시지를 남겨주면 사서함 가입자가 그 메시지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보이스 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ice; 일명 소리샘 서비스), 이동 전화 시스템에 음성 인식장비를 연결하여 가입자의 음성을 기억/등록시킨 후 가입자가 이동 전화를 걸 때 일일이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음성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다이얼 서비스(Voice Activated Dialing Service), 휴대폰의 화면을 통해 숫자 및 문자메시지(한글 40∼50자, 영문 80자 정도) 또는 다양한 생활 정보를 문자로 받을 수 있고 SMS가입자가 소리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소리샘에 메시지가 도착될 시 도착 즉시 휴대폰으로 통보해 주며 휴대폰 호출서비스도 이용하도록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등을 제공해 준다.The phone offers the following services: If the mailbox subscriber cannot receive a call on the cell phone, the caller leaves a message in the mailbox subscriber's voice mailbox or fax mailbox and allows the mailbox subscriber to check the message. Voice Sampling Service), a voice recognition dialing service (Voice) that connects a voice recognition device to a mobile phone system to memorize / register a subscriber's voice and then make a voice call without having to dial the phone number when the subscriber makes a mobile call. Activated Dialing Service), you can receive numbers and text messages (40-50 characters in English, 80 characters in English) or various life information as texts through the screen of your mobile phone. Upon arrival, you will be notified by mobile phone. Give provide such SMS (Short Message Service).

이와 같은 휴대폰의 등장으로 인해 그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형 기기가 등장하였다. 그 중에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라고 일컬어지는 문자인식 가능한 휴대형 기기가 각광을 받고 있다.The emergence of mobile phone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mong them, portable devices capable of text recognition calle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re in the spotlight.

그 PDA는 정보 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다양한 응용(application)들을 펜을 통하여 간편하게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The PDA is a device that can perform information collection, storage, creation, retrieval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can easily interface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the pen.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CPU, 메모리, OS, OS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고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고정된 전자수첩과는 전혀 다른 종류이다.PDA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software and peripherals based on the computer's basic CPU, memory,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system.

PDA는 일반적으로 펜을 사용해서 입력하는 소형 컴퓨터를 가리키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용어들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팜컴퓨팅(PalmComputing) 사(社)의 팜(Palm)을 비롯한 여타 비슷한 형태의 개인 휴대 디지털 장치가 PDA라고 불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사(社)의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제품중에 키보드 없이 펜을 사용하는 기기는 PPC(Palm-Sizes PC), 같은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지만 키보드를 사용하는 제품은 HPC(Handheld PC)라고 불린다. 현재는 이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PDA라는 말을 사용하는 추세이다.A PDA generally refers to a small computer that uses a pen to enter, but is also used in various terms. For example, Palm Computing's Palm and other similar types of personal digital devices are called PDAs. Pens without keyboards are used in products using Microsoft's Windows CE operating system. Devices that use the same Windows CE operating system as Palm-Sizes PC (PPC), but products that use a keyboard are called HPC (Handheld PC). Currently, the term "PDA" is used to encompass all of these concepts.

한편, PDA에서는 휴대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대부분 수용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 단문메시지 서비스도 그 서비스 제공 범주에 속한다.On the other hand, the PDA can accommodate most services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among which the short message service belongs to the service providing category.

그런데, 휴대폰 또는 PDA를 사용하여 소정의 단문메시지를 임의의 상대방에게 보내고자 할 경우 발신자가 입력하는 단문메시지의 양(예컨대, 글자수)이 허용된 글자수(예컨대, 40∼50자) 이내이면 해당 휴대폰 또는 PDA에서는 한번에 그 입력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게 되지만, 그 입력된 단문메시지의 양이 허용된 글자수보다 많을 경우에는 해당 휴대폰 또는 PDA내의 응용 프로그램의 제약성으로 인하여 발신자가 직접 단문메시지를 적절하게 잘라서 보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However, when a predetermined short message is sent to an arbitrary party using a mobile phone or PDA, if the amount of short message inputted by the caller (for example, the number of characters) is within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for example, 40 to 50 characters). The mobile phone or PDA transmits the short message at once, but if the amount of short message is larger than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the caller is required to send the short message directly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in the mobile phone or PDA. There is a hassle to cut and sen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도움없이 발신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 긴 내용의 단문메시지를 자동으로 적절하게 조각내어 전송하도록 한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to automatically fragment and send a short message of a long content in an outgoing portable mobile terminal without the help of a user. Has its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도움없이 발신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 긴 내용의 단문메시지를 자동으로 적절하게 조각내어 전송하도록 한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to automatically fragment and send a short message of a long content in an outgoing portable mobile terminal without user's help.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문자인식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a text recognition portabl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문자인식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a text recognition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는 수신 단말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문메시지 및 식별자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ms of a short message and an identifier displayed on a screen of a receiving terminal in which a transmitted short message is recei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5 : 터치 스크린10 : 문자 입력부5: touch screen 10: character input unit

12 : 표시부14 : 문자 데이터베이스12: display unit 14: character database

16 : 터치신호 수신부18 : 문자 인식부16: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8: character recognition unit

20 : 단문메시지 처리부22 : 단문메시지 출력버퍼20: short message processing unit 22: short message output buffer

24 : 단문메시지 출력부26 : 제어부24: short message output unit 26: control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는, 문자 입력이 행해지는 문자 입력부; 및 단문메시지 전송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들을 일시 저장하고, 그 일시 저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를 계산하여 기 지정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허용 글자수를 초과하면 그 입력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허용 글자수에 근거하여 블록으로 분할하며, 그 분할된 각각의 단문메시지 블록에 식별자를 삽입시켜 그 단문메시지 블록들을 입력순서의 역순으로 전송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acter input unit for performing character input; And when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ignal is input, temporarily stores the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temporarily stored short message, and exceeds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of the predetermined short message service. And a control unit for dividing the short message into blocks based on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inserting an identifier into each of the divided short message blocks, and transmitting the short message block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input or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은, 단문메시지 전송모드하에서 입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를 계산하여 기 지정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허용 글자수와 비교하는 제 1과정;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가 상기 허용 글자수를 초과하면 그 입력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허용 글자수에 근거하여 블록으로 분할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분할된 각각의 단문메시지 블록에 식별자를 삽입시켜 그 단문메시지 블록들을 입력순서의 역순으로 전송시키는 제 3과정을 구비한다.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calculating a number of characters of a short message input i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and comparing the number of allowed characters of a predetermined short message service; A second step of dividing the input short message into blocks based on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when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input short message exceeds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And inserting an identifier into each of the divided short message blocks, and transmitting the short message block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input ord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PDA라고 불리우는 문자인식이 가능한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 본 발명을 적용시켜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 portable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aracter recognition called a PDA.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문자인식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의 구성도로서, 각종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부(10) 및 그 문자 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표시부(12)를 갖춘 터치스크린(5); 한글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 특징 데이터 예컨대, 문자 각각에 해당하는 고유의 좌표 데이터와 획 데이터 및 표준화된 문자 각각을 스캐닝하여 데이터화한 스캐닝 데이터 등이 등록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베이스(14); 펜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5)상에서의 직접적인 문자 입력 또는 터치 스크린(5)상의 문자 키패드(도시 생략) 조작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상기 터치 스크린(5)의 출력 좌표값 신호 및 획수값 신호(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터치신호 수신부(16); 상기 문자 입력부(10)에 입력되는 문자가 펜에 의해 기입된 문자인 경우 해당 문자에 대한 압점들의 이동경로에 따른 좌표값 및 획수값에 근거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문자 데이터베이스(14)에 기 등록된 고유 특징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생성된 특징 데이터와 일정 범위의 오차내에 있는 동일한 고유 특징 데이터를 검출한 후 그에 상응하는 문자 인식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문자 입력부(10)에 입력되는 문자가 문자 키패드 터치에 의해 입력된 문자인 경우에는 해당 문자의 터치신호에 근거한 좌표값들의 집합으로 그에 상응하는 문자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문자 인식부(18); 단문메시지 전송모드하에서 상기 문자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예컨대, 한글)를 단문메시지화하는 단문메시지 처리부(20); 그 단문메시지 처리부(20)에 의해 생성된 후 전송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블록화시킨 단문메시지를 버퍼링하는 단문메시지 출력버퍼(22); 그 단문메시지 출력버퍼(20)를 통해 입력되는 단문메시지 블록을 출력하는 단문메시지 출력부(22); 및 단문메시지 전송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들(단문메시지용 문자들)을 내부 메모리에 일시저장하고, 그 일시 저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를 계산하여 기 지정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허용 글자수를 초과하면 그 입력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허용 글자수에 근거하여 소정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각각의 단문메시지 블록에 식별자를 삽입시켜 상기 단문메시지 출력부(22)를 통해 그 단문메시지 블록들을 입력순서의 역순으로 전송시키는 제어부(24)를 구비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a character recognition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includes a character input unit 10 capable of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haracters input from the character input unit 10 ( A touch screen 5 with 12); Intrinsic feature data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for example, a character database 14 in which intrinsic coordinate data and stroke data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and scanning data obtained by scanning and standardizing each character are registered; Output coordinate value signal and stroke number of the touch screen 5 generated when a character is input by direct character input on the touch screen 5 using a pen or a character keypad (not shown)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5. A touch signal receiver 16 which receives a value signal (analog signal), converts the data into digital data,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If the character input to the character input unit 10 is a character written by a pen, the feature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stroke number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pressure points for the character, and is written to the character database 14. Search for the registered unique feature data, detect the same unique feature dat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error with the generated feature data, and output a corresponding character recognition signal, and the character input to the character input unit 10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18 for outputting a character recogn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set of coordinate values based on a touch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when the character is input by the keypad touch; A short message processing unit 20 for short texting a character (eg, Korean) input through the text input unit 10 i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A short message output buffer 22 which is generated by the short message processing unit 20 and buffers the short message which is blocked into a form suitable for transmission; A short message output unit 22 for outputting a short message block input through the short message output buffer 20; And as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ignal is input, temporarily store the characters (characters for short message) input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10 in an internal memory, and calculate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temporarily stored short message. If the specified short message service exceeds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the input short message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blocks based on the number of allowed characters, and the short message output unit inserts an identifier into each of the divided short message blocks. And a control unit 24 for transmitting the short message block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input order.

상기 문자 입력부(10)는 터치 스크린(5)의 문자 선택 가능한 키패드 또는 펜에 의한 직접적인 문자 기입이 가능한 문자 직접 입력영역을 의미한다.The character input unit 10 refers to a character direct input area in which a character can be directly input by a keypad or a pen capable of selecting a character of the touch screen 5.

상기 문자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문자들 각각의 고유 특징 데이터들은 실험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들이다.Unique characteristic data of each of the characters stored in the character database 14 are data determined by experimental values.

상기 문자 입력부(10) 및 표시부(12)는 터치 스크린(5)상의 일정 영역을 차지한다. 상기 문자 입력부(10) 및 표시부(12)가 위치하게 되는 터치 스크린(5)은 문자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장치로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좌표값 신호와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저항판 방식이 사용되거나 혹은 캐패시터의 전하량값 변화에 따라 좌표값 신호와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캐패시터판 방식이 사용된다.The character input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12 occupy a predetermined area on the touch screen 5. The touch screen 5 on which the character input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12 are located is a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 data, and a resistance plate method for outputting a coordinate value signal and a stroke value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is used. Or a capacitor plate method for outputting a coordinate value signal and a stroke value signal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charge amount value of the capacitor.

상기 터치 스크린(5)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들 즉, 상기 문자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들을 압력에 따른 압점(pressing point)들로 인식하여 이를 X/Y좌표값 신호와 획수를 나타내는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좌표값 및 획수값 신호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상의 상기 문자 입력부(10)를 통해 문자 입력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압력점의 이동상태 및 압력 여부 상태를 X축 및 Y축 좌표값의 변화에 따른 좌표 데이터와, 연속적인 압력이 몇번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문자가 어떠한 문자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태 데이터의 자원이 된다.The touch screen 5 recognizes characters input from the user, that is,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10 as pressing points according to pressure, and indicates X / Y coordinate value signals and stroke numbers. Outputs a stroke value signal.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stroke value signal may be generated by changing the X-axis and Y-axis coordinate values of the movement state and pressure state of the pressure point generated when the user inputs text through the text input unit 10 on the touch screen. It serves as a resource of state data to be able to know which character is input based on the coordinate data and how many times a continuous pressure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자 입력부(10)에서의 문자 입력이 터치 스크린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통상적인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에는 다수의 문자 입력 버튼에 의해서도 행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nput in the character input unit 1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ouch screen, bu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mobile phon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can also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buttons. .

그리고, 상기 문자 인식부(18)에서는 문자 입력부(10)에서 펜에 의한 직접적인 문자 기입 및 문자 키패드 조작에 의한 문자 입력의 경우에 모두 제어부(26)를 거쳐 문자 인식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사용자가 펜을 이용하여 직접 문자를 문자 직접 입력영역에 기입한 경우에만 제어부(26)를 거친 문자 인식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고, 문자 키패드 조작에 의한 문자 입력의 경우에는 상기 문자 인식부(18)까지 신호의 전송이 필요없이 제어부(26)에서 문자 인식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I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8, the character input unit 10 performs the character recognition oper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26 in the case of direct character input by a pen and character input by a character keypad operation. The character recogni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26 only when the character directly inputs the character into the character direct input area using a pen. In the case of character input by a character keypad operatio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8 is performed. The controller 26 may perform the character recognition operation without transmitting the signal.

한편,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를 상기 허용 글자수로 나누어 전송할 단문메시지의 블록 수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전송 단문메시지의 블록 수에 따라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를 분할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26 determines the number of blocks of the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input short message by the number of allowed characters, and divides the input short messa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blocks of the determined short message. do.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26)내에 메모리를 내장시킨 것으로 하였는데, 그 메모리를 외부에 설치시켜도 무방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is built in the controller 26. The memory may be provided externally.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문자인식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a text recognition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사용자가 문자인식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 갖추어진 키패드 및 펜 등을 이용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전송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선택신호가 제어부(26)로 입력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6)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단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SMS전송모드로 변환시킨다(단계 S10).When the user selects an SMS (Short Message Service) transmission mode using a keypad and a pen provided in a text recognition portable mobile terminal, a corresponding selec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26.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6 converts the current operation mode into an SMS transmission mode capable of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tep S10).

사용자가 펜 또는 문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예컨대, 글자)를 기입하게 되면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2)상에는 현재 입력되는 글자가 디스플레이된다.When a user writes a predetermined character (for example, a character) using a pen or a character keypad, the character currently input on the display unit 12 is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6.

여기서, 펜에 의한 직접적인 글자 입력의 경우 터치 스크린(18)에서의 이동경로에 따른 출력 X/Y좌표값 신호 및 획수값 신호(아날로그 신호)는 터치신호 수신부(16)로 전송되고, 그 터치신호 수신부(16)에서는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X/Y좌표값 신호 및 획수값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26)로 전송하며, 그 제어부(26)는 그 디지털 형태의 X/Y좌표값 신호 및 획수값 신호를 문자 인식부(18)로 제공한다.Here, in case of direct letter input by the pen, the output X / Y coordinate value signal and stroke value signal (analog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n the touch screen 18 are transmitted to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6, and the touch signal The receiving unit 16 converts the input analog X / Y coordinate value signal and stroke value signal into a digital form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6, and the control unit 26 transmits the digital X / Y coordinate value signal. And a stroke value signal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8.

그 문자 인식부(18)는 상기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해 문자 데이터베이스(14)에 기 등록되어 있는 각 문자들에 대한 고유 특징 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 입력된 문자에 대한 문자 인식신호를 제어부(26)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26)는 현재 입력된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문자 키패드에 의한 글자 입력의 경우에는 터치신호 수신부(16)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X/Y좌표값 신호에 의해 제어부(26)에서 현재 입력된 문자가 어떤 글자인지를 파악하게 된다.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18 controls the character recognition signal for the currently input character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 data for each character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character database 1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6. 26).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26 can recognize what character is currently input. If the character is input by the character keypad, the controller 26 determines which character is the character currently input by the digital X / Y coordinate value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 signal receiver 16.

상기 제어부(26)는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현재 입력된 문자가 어떤 글자인지를 파악하고서 그 파악된 글자의 수를 계산한다(단계 S12).The control unit 26 determines which letter is the currently input character using this method,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the identified character (step S12).

이후, 상기 제어부(26)는 그 계산된 글자의 수가 기 지정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허용 글자수(예컨대, 50자)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4).Thereafter, the controller 26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number of characters exceeds the allowable number of characters (eg, 50 characters) of the predetermined short message service (step S14).

그 판단결과, 그 계산된 글자의 수가 상기 허용 글자수보다 적을 경우(단계 S14에서 "No")에는 상기 제어부(26)는 단문메시지 처리부(20)를 제어하여 현재 입력된 글자를 단문메시지화시키고, 그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출력버퍼(22)를 통해 단문메시지 출력부(24)에 의해 외부로 전송한다(단계 S16).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calculated number of characters is smaller than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No” in step S14), the controller 26 controls the short message processing unit 20 to make the currently input letters into a short message. The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by the short message output unit 24 through the short message output buffer 22 (step S16).

그에 반해, 상기 계산된 글자의 수가 상기 허용 글자수보다 많을 경우(단계 S14에서 "Yes")에는 상기 제어부(26)는 그 계산된 단문메시지용 글자의 수를 상기 허용 글자수로 나누어 전송할 메시지 블록 수를 결정한다(단계 S18). 예를 들어, 그 계산된 단문메시지용 글자의 수가 60이면 전송할 메시지의 블록 수는 2개로 결정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number of the calculated characters is larger than the allowed characters (“Yes” in step S14), the control unit 26 divides the calculated number of short message characters by the allowed characters and transmits the message block. The number is determined (step S18). For example, if the calculated number of short message characters is 60, the number of blocks of 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to be two.

그리고, 상기 제어부(26)는 그 결정된 전송 메시지의 블록 수에 맞게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용 글자를 블록으로 분할하여 단문메시지 처리부(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허용 글자수가 50이고 입력된 단문메시지용 글자수가 60인 경우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용 글자를 1∼50, 51∼60의 두 글자수 영역의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글자수 1∼30, 31∼60의 두 부분 또는 다른 형태의 두 부분의 블록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6 divides the input short message letter into block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number of blocks of the transmission message, and transmits the short message character to the short message processing unit 20.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characters allowed for the short message service is 50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for the input short message is 60, the input short message characters may be divided into blocks of two character areas of 1 to 50 and 51 to 60. . Of course, it may alternatively be divided into two parts of letters 1-30, 31-60, or two parts of different shapes.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부(20)는 입력된 각 블록별 단문메시지용 글자를 이용하여 전송할 단문메시지 블록내의 내용을 만든다. 그 단문메시지 처리부(20)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송할 단문메시지 블록(즉, 전송 프레임)의 수는 상기의 경우 모두 2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6)는 그 분할된 전송 메시지 블록의 일정 부분에 식별자(예컨대, 2-1, 2-2 등의 숫자 또는 전속, 후속 등의 문자)를 포함시킨다(단계 S20). 이는 전송할 단문메시지가 계속적으로 전송됨을 말해주기 위해서이다. 그 식별자에 의해 수신 단말기에서는 수신되는 단문메시지가 여러개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송되는 단문메시지의 블록 수가 3개이고 두 번째의 단문메시지 블록 전송의 경우 수신 단말기에서는 두 번째 단문메시지 블록의 내용을 화면 중앙부위에 두고, 화면 상단에 "전속", 화면 하단에 "후속" 등의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후속하여 수신될 단문메시지 블록이 더 이상 없을 경우에는 수신 단말기의 화면 중앙에 마지막 수신 단문메시지 블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화면 상단에는 "전속", 하단에는 "종료", "끝" 등과 같은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된다.The short message processing unit 20 creates the content in the short message block to be transmitted using the input short message for each block. The number of short message blocks to be transmitted (i.e., transmission frames) generated by the short message processing unit 20 is two in all of the above cases. Then, the control unit 26 includes an identifier (for example, numbers such as 2-1 and 2-2 or letters such as full speed and subsequent characters)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vided transmission message block (step S20). This is to say that the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he identifier indicates that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several short message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number of blocks of short messages transmitted is three,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short message block transmission, the receiving terminal places the contents of the second short message block at the center of the screen, Full speed ", and" low speed "identifiers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f there are no more short message blocks to be received subsequently, the last received short message block i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receiving terminal, and an identifier such as "full speed", "end" and "end"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do.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부(20)에서 만들어진 수개의 전송할 단문메시지 블록은 상기 제어부(26)의 제어에 의해 단문메시지 출력버퍼(22)에 역순으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전송할 단문메시지 블록의 수가 3개 예컨대, 3-1, 3-2, 3-3의 단문메시지 블록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제어부(26)는 3-3, 3-2, 3-1의 단문메시지 블록 순으로 단문메시지 출력버퍼(22)에 저장시킨다.Several short message blocks to be transmitted by the short message processing unit 20 are stored in the short message output buffer 22 in the reverse ord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6. For example, suppose that there are three short message blocks to be transmitted, for example, 3-1, 3-2, and 3-3 short message blocks. The short message output buffer 22 stores the short message output buffer 22 in order.

그리고 나서, 상기 단문메시지 출력버퍼(22)를 통해 역순(즉, 3-3, 3-2, 3-1의 순)으로 출력되는 전송할 단문메시지 블록이 단문메시지 출력부(24)에 의해 발신된다(단계 S22).Then, the short message output block to be transmitted is output by the short message output unit 24 outputted in the reverse order (ie, 3-3, 3-2, 3-1) through the short message output buffer 22. (Step S22).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전송할 단문메시지를 모두 발신하였는지를 체크하여 모두 발신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24에서 "Yes")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한다.The control unit 26 checks whether all the short messages to be transmitted have been sen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ll have been sent ("Yes" in step S24),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nds.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 휴대형 이동단말기에서 긴 내용의 단문메시지를 자동으로 조각내어 역순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송할 단문메시지의 글자수에 신경쓸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신 휴대형 이동 단말기에서는 여러개의 연속적인 단문메시지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message of the long content is automatically fragmented and transmitted in the reverse order in the outgoing portabl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worry about the number of short messages to be transmitted and the receiving portable mobile terminal. Will be able to identify multiple consecutive short messages more quickly.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applied to the claims Must see

Claims (6)

문자 입력이 행해지는 문자 입력부; 및A character input unit in which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And 단문메시지 전송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문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들을 일시 저장하고, 그 일시 저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를 계산하여 기 지정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허용 글자수를 초과하면 그 입력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허용 글자수에 근거하여 블록으로 분할하며, 그 분할된 각각의 단문메시지 블록에 식별자를 삽입시켜 그 단문메시지 블록들을 입력순서의 역순으로 전송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As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ignal is input, the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are temporarily stored,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temporarily stored short message is calculated to exceed the allowable number of the predetermined short message service. And a controller for dividing the short message into blocks based on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inserting an identifier into each of the divided short message blocks, and transmitting the short message block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input order. Short message transmission device of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 입력부에서의 문자 입력은 다수의 문자 입력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Character input in the character input unit is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s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character input buttons or a touch scree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를 상기 허용 글자수로 나누어 전송할 단문메시지의 블록 수를 결정하고, 그 결정된 전송 단문메시지의 블록 수에 따라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장치.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number of blocks of the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input short message by the number of allowed characters, and divides the input short messag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number of blocks of the transmitted short message. Short message transmission device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단문메시지 전송모드하에서 입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를 계산하여 기 지정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허용 글자수와 비교하는 제 1과정;A first step of calculating a number of characters of a short message input i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and comparing the number of characters of a predetermined short message service to a predetermined number;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가 상기 허용 글자수를 초과하면 그 입력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허용 글자수에 근거하여 블록으로 분할하는 제 2과정; 및A second step of dividing the input short message into blocks based on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when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input short message exceeds the allowed number of characters; And 상기 분할된 각각의 단문메시지 블록에 식별자를 삽입시켜 그 단문메시지 블록들을 입력순서의 역순으로 전송시키는 제 3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And inserting an identifier into each of the divided short message blocks, and transmitting the short message block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input ord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모드하에서의 단문메시지 입력은 다수의 문자 입력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The short message input method in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mode is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text input buttons or a touch scree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2과정은,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의 글자수를 상기 허용 글자수로 나누어 전송할 단문메시지의 블록 수를 결정하는 제 1단계; 및The second process may include: a first step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blocks of short messages to be transmit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input short message by the number of allowed characters; And 상기 결정된 전송 단문메시지의 블록 수에 따라 상기 입력된 단문메시지를 분할하는 제 2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And a second step of dividing the input short messag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number of blocks of the transmitted short message.
KR1020010014035A 2001-03-19 2001-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 KR200200739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035A KR20020073989A (en) 2001-03-19 2001-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035A KR20020073989A (en) 2001-03-19 2001-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989A true KR20020073989A (en) 2002-09-28

Family

ID=2769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035A KR20020073989A (en) 2001-03-19 2001-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398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401A (en)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saving of short message at receiv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96727B1 (en) * 2000-05-31 2003-09-02 네트 빌리지 컴퍼니 리미티드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ext data in portab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727B1 (en) * 2000-05-31 2003-09-02 네트 빌리지 컴퍼니 리미티드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ext data in portable terminal
KR20020078401A (en)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saving of short message at receiv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0664B2 (en) E-mail terminal device with received mail display method and pictogram conversion function
EP1480421A1 (en) Automatic setting of a keypad input mode in response to an incoming text message
US2003010483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application with a word completion feature
US20060103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ter text in a phone dialer entry field
US20030234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diction of a text message input
US8996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rase replacement
US7872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alphabet character in a terminal with a keypad
KR20050053278A (en) Method for searching short message in mobile phone
KR100390646B1 (en) Dialing method in smart-phone
KR200200825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accessing an internet site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US7184528B2 (en) Method for inputting internet address using a keypad
US20050100147A1 (en) Text messaging without a keyboard
JP2008521096A (en) Mechanism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KR200200739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 portable mobile terminal
KR200200876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portable mobile terminal
JP2000078262A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KR1007008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200739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n information in portable mobile terminal
KR100470212B1 (en) Transmission method of short message in mobile phone
KR101228038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yping in shorthand using a mobile device
KR20030079161A (en) Method for Forwarding Phone Book using Short Message Service
KR100351709B1 (en) Portable mobile terminal with a key arrangement of three set type
KR20060040189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high speed message processing
JPH10282990A (en) Method of text input and device therefor
US7844046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telephone nu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