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674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674A
KR20020073674A KR1020010013414A KR20010013414A KR20020073674A KR 20020073674 A KR20020073674 A KR 20020073674A KR 1020010013414 A KR1020010013414 A KR 1020010013414A KR 20010013414 A KR20010013414 A KR 20010013414A KR 20020073674 A KR20020073674 A KR 20020073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ser
telephone
voic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190B1 (ko
Inventor
천호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1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04M1/645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with speech synth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영상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경우에도 음성통화시 자동으로 영상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화가 착신되면 그 전화의 종류에 따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전화 착신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통보된 발신자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통화' 거절을 선택할 경우, 전화종류에 관계없이 자동응답이나 음성사서함으로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선택할 경우, 음성통화만 수행할 것인지 영상통화도 같이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받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영상통화' 거절을 선택할 경우 카메라 기능을 잠시 중단시킨 후, 단말기에 내장된 사용자의 캐릭터나 임의의 영상을 대신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음성통화와 아울러 자신의 영상을 전송해도 무관할 경우에는 별다른 조작없이 '통화키'나 임의의 키를 눌러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져 수신자가 원하지 않는 전화가 연결되었을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영상은 전송되지 않고 음성통신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권리를 최대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SELECTIVE 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된 전화가 영상전화인지 음성전화인지를 파악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휴대 통신으로 인한 전화 보급률이 증가되면서 그에 따른 전화 폭력 사건도 증가되어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종래의 경우 상기와 같은 전화폭력사건 발생시 전화국에 전화추적 서비스를 요청하고, 폭력전화 착신시 특정한 서비스 번호를 누른다음 일정시간 통화를 유지하면, 통화 종료후 발신자 전화를 조회해볼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전화폭력을 예방하거나 대처할 수 있는 능동적인 방법이 될 수 없고, 전화폭력이 계속될 경우에 한해서 수동적으로 그 발신자를 추적할 수 있을 뿐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전화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화 통화시 그 발신자 정보(CID : Caller ID)가 수신측으로 함께 전송되고, 수신측에서는 그 발신자 정보를 보고 전화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실행되고 있다.
참고로, 상기 발신자 정보는 전화국에서 정한 일정한 형식(CDMF : CID DataMessage Format)에 의해 시각, 날짜, 이름, 전화번호 등의 정보만을 제한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첫째로, 온 후크 상태의 전화기에 발신자 정보(CID)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링 울림 구간(약 2초) 사이의 휴지 구간(약 4초)에 발신자 정보(CID)를 삽입하여 발신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정보(CID)가 삽입된 링신호를 수신한 전화기는 이 링신호를 검출하여 전화벨을 울리게 되고, 그 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CID)는 따로 검출하여 기억장치에 저장하거나 표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다음, 두 번째은 오프 후크 상태(통화중 상태)에서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음성 통화 도중 발신자 정보(CID)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잠시 음성 통신을 중단시켜 뮤트(mute) 상태로 만들고, 이때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그럼,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음성통화만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전화 착신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단,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가 착신되면(S11) 시각적으로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적색 발광소자(LED)를 점멸시킴(S12)과 동시에 청각적으로도 전화 착신을 알리기 위해 지정된 벨소리를 울리게 된다(S13).
이때, 상기 벨소리는 전화번호를 미리 지정하게 되면 송신측 전화번호에 따라 다른 벨소리가 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로 2색 LED를 사용하면 표시되는 색은 적색, 녹색,황색(적색+녹색)이 되며, 주로 적색은 음성 통신인 경우에 녹색은 메시지나 데이터 통신인 경우에 사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벨소리나 단말기의 표시창(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정보를 참조하여 통화 여부를 결정하게 되고(S14), 사용자가 잘 모르는 발신자일 경우 '통화 거절'을 선택하면 자동응답이나 음성사서함으로 접속이 이루어지고(S15), 통화하고자 할 경우 '통화키'나 임의의 키를 눌러 통화를 하게 된다(S16).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사용자 정보보호 차원에서 발신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발신자 정보가 전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 사용자의 개인전화가 아닌 다른 전화를 이용해 전화를 할 경우 모르는 전화번호가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 정보 전송에 의해서는 전화폭력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는 없으며, 전화 폭력자에게 음성정보의 누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최근 실용화 단계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음성 이외에도 영상통신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의 영상정보 누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음성 통화와 아울러 영상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자가 원하지 않는 전화가 연결되었을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영상은 전송되지 않고 음성통신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권리를 최대한 보호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성통화만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전화 착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실제영상 또는 임의의 영상을 대신 전송하여 통화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가 착신되면 그 전화의 종류에 따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전화 착신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통보된 발신자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통화' 거절을 선택할 경우, 전화종류에 관계없이 자동응답이나 음성사서함으로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선택할 경우, 음성통화만 수행할 것인지 영상통화도 같이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받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영상통화' 거절을 선택할 경우 카메라 기능을 잠시 중단시킨 후, 단말기에 내장된 사용자의 캐릭터나 임의의 영상을 대신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음성통화와 아울러 자신의 영상을 전송해도 무관할 경우에는 별다른 조작없이 '통화키'나 임의의 키를 눌러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본 발명은 전화 수신시 영상 전화인지 음성 전화인지를 구분하고, 그 표시소자로 2색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전화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점멸하도록 함으로써, 영상전화인 경우 바로 통화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일시정지시키고, 임의의 영상을 전송하도록 하거나 블랭크 화면을 전송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정보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즉, 종래의 음성통화 가능한 단말기의 경우에는 발신자 정보가 불명확하거나 통화하고 싶지 않은 사람일 경우에 '통화 거절'을 하면, 자동응답이나 음성사서함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녹음 내용에 의해 발신자를 판단하여 '직접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동통신에서는 음성 이외에 영상정보가 함께 전송되기 때문에 바로 통화를 할 경우 사용자의 영상정보가 함께 전송됨으로써,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의 기능을 일시 중지시키거나 자신의 캐릭터 등 임의의 영상이 대신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실제영상 또는 임의의 영상을 대신 전송하여 통화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전화가 착신되면(S21) 시각적으로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황색 발광소자(LED)를 점멸시킴(S22)과 동시에 청각적으로도 전화 착신을 알리기 위해 지정된 벨소리를 울리게 된다(S23).
이때, 상기 벨소리는 전화번호를 미리 지정하게 되면 송신측 전화번호에 따라 다른 벨소리가 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로 2색 LED를 사용하면 표시되는 색은 적색, 녹색, 황색(적색+녹색)이 되며, 주로 적색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음성 통신인 경우에 점멸되도록 하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화상 통신인 경우에는 황색이 점멸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점멸색은 사용자나 단말기 제조사에 따라 다른 발광소자나 다른 색상으로 점멸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벨소리나 단말기의 표시창(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정보를 참조하여 통화 여부를 결정하게 되고(S24), 사용자가 잘 모르는 발신자일 경우 '통화 거절'을 선택하면 자동응답이나 음성사서함으로 접속이 이루어지고(S25), 통화하고자 할 경우 음성통화만 수행할 것인지 영상통화도 같이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26).
만약,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카메라 기능을 잠시 중단시킨 후, 단말기에 내장된 사용자의 캐릭터나 임의의 영상을 대신 전송하도록 한다(S28).
그러나, 음성통화와 아울러 자신의 영상을 전송해도 무관할 경우에는 별다른 조작을 하지 않고 '통화키'나 임의의 키를 눌러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S27).
물론, 상기와 같이 영상전송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으로 단말기 자체에 카메라의 기능을 일시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 및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가 더 부가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며, 현재의 기술 수준에 의해 간단히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에 대한 회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은, 음성 통화와 아울러 영상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자가 원하지 않는 전화가 연결되었을 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영상은 전송되지 않고 음성통신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권리를 최대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화가 착신되면 그 전화의 종류에 따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전화 착신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통보된 발신자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통화' 거절을 선택할 경우, 전화종류에 관계없이 자동응답이나 음성사서함으로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선택할 경우, 음성통화만 수행할 것인지 영상통화도 같이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받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영상통화' 거절을 선택할 경우 카메라 기능을 중단시킨 후, 단말기에 내장된 사용자의 캐릭터나 임의의 영상을 대신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음성과 영상을 동시에 전송할 경우에는 별다른 조작없이 '통화키'나 임의의 키를 눌러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의 종류에는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메시지 또는 데이터 통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종류에 따른 착신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시작적 방법은 복수의 색상 표시가 가능한 발광소자(LED)를 전화 종류에 따라 지정된 색상으로 구동하여 점멸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KR10-2001-0013414A 2001-03-15 2001-03-15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KR10037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414A KR100371190B1 (ko) 2001-03-15 2001-03-15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414A KR100371190B1 (ko) 2001-03-15 2001-03-15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674A true KR20020073674A (ko) 2002-09-28
KR100371190B1 KR100371190B1 (ko) 2003-02-06

Family

ID=2769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414A KR100371190B1 (ko) 2001-03-15 2001-03-15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1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906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476006B1 (ko) * 2001-12-21 2005-03-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화상 통화시 대체 영상 전송 방법
KR100652179B1 (ko) * 2005-04-15 2006-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미지콜 서비스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94508B1 (ko) * 2001-10-26 200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전화기의 통화모드 선택방법
KR100958133B1 (ko) * 2005-06-10 2010-05-19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화상전화 호출 처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08B1 (ko) * 2001-10-26 200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전화기의 통화모드 선택방법
KR100476006B1 (ko) * 2001-12-21 2005-03-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화상 통화시 대체 영상 전송 방법
KR20040046906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652179B1 (ko) * 2005-04-15 2006-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미지콜 서비스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58133B1 (ko) * 2005-06-10 2010-05-19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화상전화 호출 처리 방법
US8154579B2 (en) 2005-06-10 2012-04-10 China Mobile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the video telephone calling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190B1 (ko)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1411A (en) Caller ID blocking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block caller ID information)
US5490205A (en) Telephone set for handling a call
KR1003711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통화 방법
JPH11331425A (ja) 自動着信検出手段付き電話装置
KR100334768B1 (ko) 발신자에 따른 자동응답모드 전환방법
KR200300957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화상 통화 방법
KR100329459B1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100472075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번호에 따른 선택적 응답 메시지자동 전송 방법
KR200308131Y1 (ko)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
KR20060097281A (ko) 통화중 알림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3748329B2 (ja) 無線通信機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KR20030056051A (ko) 발신자번호표시를 이용한 특정 번호 선택적 거부 방법 및그 방법을 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20054719A (ko) 이동단말기에서 수신시 동작모드 선택방법
JP2001320484A (ja) 携帯電話機および電話交換機
JP2000101687A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494815B1 (ko) 부재중 전화 녹음 메시지 관리 방법
JP2021027404A (ja) 制御装置、通信機器および制御装置の制御方法
KR20040061509A (ko) 부재중 전화를 알리는 방법
JP2004364129A (ja) 通信装置
KR20030049828A (ko) 휴대폰의 특정수신번호에 대한 차등동작방법
KR20070056880A (ko) 통신 채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KR20020021474A (ko) 회의 모드시 휴대폰과 이동교환국의 착신 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