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143A - A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cessor and system and terminal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 Google Patents

A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cessor and system and terminal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143A
KR20020034143A KR1020020021702A KR20020021702A KR20020034143A KR 20020034143 A KR20020034143 A KR 20020034143A KR 1020020021702 A KR1020020021702 A KR 1020020021702A KR 20020021702 A KR20020021702 A KR 20020021702A KR 20020034143 A KR20020034143 A KR 20020034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mitter
communication
alarm signal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석영
Original Assignee
정 석 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석 영 filed Critical 정 석 영
Priority to KR102002002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4143A/en
Publication of KR2002003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143A/en
Priority to KR1020030021767A priority patent/KR1005420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information service and processing method for preventing marine accidents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to combine an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suitable for merchant ships and a DFN(Digital Fishing Network) suitable for fishing boats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so that merchant ships and fishing boats can observe moving circumstances mutually. CONSTITUTION: A DFN(2)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from a fishing boat(1), and also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o the fishing boat(1). An AIS(4)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from a merchant ship(3), and also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o the merchant ship(3). A protocol converter(5) selectively extracts mutual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of the DFN(2) and the AIS(4) and prepare th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n environment suitable for mutual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ditions. The protocol converter(5) connects the DFN(2) and the AIS(4)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necessary information between the fishing boat(1) and the merchant ship(3) can be mutually connected.

Description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서비스 방법 및 정보처리 방법 및 통신 단말장치{ A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cessor and system and terminal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A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cessor and system and terminal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본 발명은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충돌, 좌초 등 해양사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토록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more effectively preventing marine accidents such as collisions and stranding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바다는 교역용 운항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식량 조달원으로서도 중요한 터전임은 주지의 사실이다.It is well known that the sea not only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trade route but also as an important source of food for the public.

바다에서 일어나는 해양사고는 후손에게 물려줄 해양생태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반드시 줄여야 하는 것만은 분명하나, 선박용 항해장비의 현대화 및 종사자의 인식향상에도 불구하고 해양사고는 쉽게 줄어들지 않고 있는 바 본 발명은 정보기술로서 어선과 상선간 정보를 교류하거나 항행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토록 하는 기술이다.Although marine accidents occurring at sea affect the marine ecosystem to be passed down to the descendants, it is obvious that they should be reduced, but marine accidents are not easily reduced despite modernization of ship navigation equipment and improved awareness of workers. Is an information technology that allows information to be exchanged between fishing vessels and merchant ships or provides efficient navigational information.

바다에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상선이나 어선은 움직이는 자체가 곧 경제활동이라 할 것이지만 그 목적이 상이함으로 짐작할 수 있듯이 상호간 움직이는 속성이 다르며, 이는 곧 어선과 상선의 충돌사고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요인이기도 하다.Merchant ships and fishing vessels that operate economic activities at sea will be called economic activities themselves, but as their purpose is different, they have different moving properties, which is why the collision between fishing boats and commercial vessels is not fundamentally resolved. Do.

일반적으로 상선은 정해진 항로를 따라 항해하는 반면, 어선은 어로작업을 위하여 해상의 어느 위치에서든 임의로 작업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어선은 그 어로작업의 특징상 항상 어구를 사용함으로써 한 어선의 어로작업 반경이 수 100m의 범위에 이르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In general, a merchant ship sails along a defined route, while a fishing vessel can work at any position on the sea for fishing purposes. In addition, a fishing vessel can always use fishing gear due to its characteristics. It is also common to reach this range of several hundred meters.

만약 이 상황에서 비교적 대형선박인 상선이 어선측으로 접근해 온다면 어구를 파손하거나 상호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될 것인데, 어선의 경우는 어군탐색이 주요 관심사항일 뿐 상선이 다니는 항로에 무관심하고, 상선의 경우는 다양한 어구어법을 이해하기 지난하다는 점에서 해상 충돌에 관한 취약점이 있는 것이나, 이 경우 자동 견시시스템(Watch System)에 갈음될 "전자파 이용 물표탐지기(Radar)"도 마이크로웨이브의 직진성 전파를 이용하는 관계로 해수면 밑에 잠겨있는 어구는 탐지할 수 없어 실질적으로 무용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하게 된다.In this situation, if a commercial ship, which is a relatively large ship, approaches the side of the fishing vessel, it will cause an accident that damages the fishing gear or collides with each other.In the case of fishing vessels, the search for fish is the main concern, and the merchant ship is indifferent to the shipping route. In this case, there is a weakness about maritime collision in that it is too late to understand various phrases, but in this case, "Radar" which is replaced by the automatic watch system, also prevents microwave propagation. As a result, they find that the fishing gear locked under the sea surface cannot be detected and is practically useless.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은 결국 쌍방 정보교류체제를 구축하여 위급시 즉각 연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겠으나 어선과 상선에 설치된 기존 통신체제를 분석하면 쌍방간 정보소통이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The means to supplement this would be to establish a bilater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so as to be able to immediately contact in case of emergency, but analyzing the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s installed on fishing vessels and commercial ships, it is not easy to communicat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sides.

즉, 현재 어선 및 상선에 설치된 재래식 통신장비는 상호간 목적한 바가 상이한 통신체제로 구성되어 - 어선의 경우는 인근 어선과 어로작업 반경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 및 어군탐색에 참고될 어업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선은 육상과 연락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므로 - 상호간 연락할 수 있는 통신채널(즉, 무선전화인 경우 2183.4KHz와 2639.4KHz와 27822.4KHz 등)이 일부 할당되어 있다하더라도 평상시 각각 별개의 채널을 사용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상호 교신설정은 기대하기 곤란한 실정이다.In other words, conventional communication equipment currently installed on fishing vessels and commercial vessels consists of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for different purposes-in the case of fishing vessels, the purpose of securing a radius of fishing work with nearby fishing vessels and fishery information to be referred to in search of fish. Merchant ships are used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with the land.-Even though some communication channels (ie, 2183.4KHz and 2639.4KHz and 27822.4KHz for radiotelephones) can be allocated, Due to the use of separate channels, the actual mutual communication setting is difficult to expect.

상선의 경우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제정한 세계해상조난안전제도(GMDSS; Global Maritime Distress Safety System)의 선택호출장치(DSC; Digital Selective Calling, 이하 "DSC"라 함)는 모든 선박에 특정한 식별기호(ID; Identification Data, 이하 "ID"라 함)를 부여한 디지털 통신방식으로 주기적으로 위치를 보고토록 함으로써 평상시 모든 선박의 위치를 중앙관제실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시설이나 동 DSC는 특정한 선박을 호출하기에는 용이하지만 통신상대방의 ID를 알 수 없는 미지의 선박과 단순히 통신을 설정하기 위하여 모든 선박을 호출할 경우에는 조난통신에 간주하여 통신망 전체가 교롼될 우려가 있는 미흡함이 있으며, 이는 곧 선박의 조난처리에 치중하여 제안된 기술이기 때문이다.For merchant vessels, the Global Maritime Distress Safety System (GMDSS), Digital Selective Calling (DSC), established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identifies all vessels. It is a facility that allows the central control room to know the position of all ships by periodically reporting the location by digital communication method that has been assigned a symbol (ID) (ID). However, when all ships are called to simply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an unknown ship whose communication partner's ID is not know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ntir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exchanged in consideration of distress communication. This is because the proposed technology is focused on.

다른 한편으로는 재래식 송수신장치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2-tone(삐-뽀-) 방식의 경보신호는 그 경보신호를 모든 선박에 단순하게 알릴 뿐 어느 선박에서 발신된 것인지 알릴 수 없는 미흡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2-tone alarm signal, which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transceiver, simply informs all the ships of the alarm signal, and there is a lack of informing which ship it is from. .

상기 DSC를 개량한 선박자동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는 여기에 위성항법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으로 측정된 선박의 위치, 침로, 속도, 선박상태, 기타정보 등을 함께 실어서 전송함과 아울러 이를 모든 선박에까지 배포토록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해상에서의 모든 선박이 상호간 동태를 파악하도록 제정된 것이다.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which is an improvement of the DSC, includes a ship's position, course, speed, ship state, and the like measured by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t is enacted so that all ships at sea can understand each other's dynamics by carrying out other information and carrying it together and distributing it to all ships.

동 선박자동식별장치(AIS)는 초단파대(VHF Band)를 이용하는 시분할통신방식(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으로 1분당 2,250척의 선박 대 선박 또는 선박 대 육상의 관제시스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그 표시방법으로서 전자해도(Electronic Navigation Chart) 위에 선박을 나타나게 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상선의 경우에 있어서는 적어도 6분 주기로 항행관련정보가 보고되어 종래에 비하여 탁월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시스템 구조와 화면을 예시하면 제1도 및 제2도와 같다.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is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using VHF Band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2,250 ship-to-ship or ship-to-shore control systems per minute. As a display method, the ship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Navigation Chart, and in the case of merchant ships, navigational information is reported at least every 6 minutes, which is an excellent func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ystem. Illustrated in FIGS. 1 and 2.

그러나, 어선의 경우에 이러한 시설을 적용함에는 장치비가 고가일 뿐 아니라 연안을 항행하는 상선과 달리 먼 바다를 항해할 경우 초단파대 통신이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어선의 생업과 관련된 조업장소의 노출을 꺼리는 속성을 직접적으로 저해만 할 뿐 어장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점에서 어선에 적용함에는 무리가 있으며, 실제로 국제해사기구에서도 상선에 동 시스템을 의무적으로 시설토록 강제화시키고 있을 뿐 어선에는 전혀 적용을 검토하지 않음은 바로 이러한 점을 해소하지 못하기 때문이다.However, in the case of fishing vessels, the application of these facilities is not only expensive, but unlike the commercial vessels that travel along the coast, there is a problem that microwave communication cannot reach when navigating a distant sea, and especially the exposure of fishing place related to the fishing industry It is not easy to apply it to fishing vessels in that it cannot directly provide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fishing grounds, but it is compulsory for the maritime organization to mandate the system. No consideration is given to fishing vessels because it does not address this.

어선의 속성을 감안하여 그 요구를 만족시키는 미래 정보통신시설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특1997-022694 (1997. 6. 2. 출원), 동 특1998-0000155(1998. 1. 7. 출원), 동 10-1998-0000632(98. 1. 13. 출원), 동 특1998-035454(1998. 8. 31. 출원), 동 특1998-035455(98. 1. 31. 출원), 동 특1998-043267(1998. 10. 16. 출원) 및 동 특1999-0005438(1999. 2. 18. 출원)에 의하여 구축되는 단파대(HF Band)를 이용한 무선데이터통신기능의 디지털 어업통신망(DFN; Digital Fishing Network)이있으며, 이는 어선에 적합한 약 4시간의 주기로 GPS측위된 어선위치와 각종 어로상황을 자동적으로 수집함과 아울러 문자∼그림으로 표현되는 첨단어업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그 표현방법이 선박자동식별장치(AIS)와 유사하게 전자해도를 바탕으로 하여서 그 위에 각종 정보를 표현하고 있으며 실제로 어선에 장착되어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를 활용할 경우 해양사고 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적 여건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Considering the nature of fishing vessels, the fu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satisfying the requirements includ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7-022694 (filed on June 2. 1997), Korean Patent No. 1998-0000155 (filed on January 7, 1998), 10-1998-0000632 (filed Jan. 13, 1998), JP 1998-035454 (filed Aug. 31, 1998), JP 1998-035455 (filed Jan. 31, 1998), JP 1998-043267 Digital Fishing Network (DFN)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HF Band established by (October 16, 1998) and 1999-0005438 (February 18, 1999) It i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collects the GPS position of fishing vessels and various fishing conditions at the interval of about 4 hours suitable for fishing vessels and provides advanced fishing information represented by texts and pictures. Similar to the identification system (AIS), it is based on the electronic chart and expresses various information thereon. If you use this technique because it is able to know that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basic conditions that can contribute to preventing maritime accidents.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의 블록다이어그램 및 그 화면의 일례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제3도 및 제4도와 같다.A block diagram of a digital fishery communication network (DFN) and an example of the screen thereof are shown in FIGS. 3 and 4.

또 하나 중요한 해상사고는 연안을 항해할 때 일어나는 좌초사고이며, 이는 주로 등대의 불빛이나 음향을 이용하는 항로표지에 대한 이해부족 또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장애사실을 항행중인 선박에 제대로 전달하지 못할 때 일어나기 쉬운 것이다.Another important maritime accident is a stranded accident that occurs when you are sailing off the coast. This is mainly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ignposts using light or sound from the lighthouse, or failure to properly function on the vessel in service. It is easy to get up.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항행정보문자방송(NAVTEX; NAVigation TelEX, 이하 "NAVTEX"라 함)으로서 항행중인 선박에 이와 관련된 문자방송을 하도록 함으로써 우리나라 해양경찰청에서 제공하는 해상교통방송을 비롯하여 세계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지만 항행정보 등 오직 적은 량의 데이터만 취급할 수밖에 없는 기능적 한계점으로 말미암아 새로운 장치비 부담에 비하여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연근해 어선에서는 그 이용이 저조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is a navigational information text broadcasting (NAVTEX) called "NAVTEX", which makes it possible to broadcast texts related to vessels in service, including maritime traffic broadcasting provided by the Korea Maritime Police Agency. Although it is being implemented, the utilization of the offshore fishing vessels is inevitably low in that it will not be able to obtain a great effect compared to the new equipment cost due to the functional limitation that only a small amount of data such as navigation information can be handled.

한편, 우리나라 어업통신을 관장하는 어업무선국에서도 음성통신으로 항행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해난구조를 관장하는 전담기관(해양경찰청)과는 상이한 체제로 운영되는 어업지원기관이므로 양자 정보를 취급하는 방법이나 정보제공의 질에 있어서 상당부분 상이하게 운영되고 있는 바 이는 곧 NAVTEX가 설치되지 않은 어선의 경우 실질적으로 항행정보서비스를 받지 못함을 뜻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shing service station in charge of fisheries communication in Korea provides navigational information by voice communication, but it is a fishery support organization that operates in a different system from the dedicated agency in charge of maritime rescue (Marine Police Agency).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service, the operation is largely different, which means that fishing vessels without NAVTEX are not actually provided with navigation information service.

기존 음성통신용 어업통신과 연락하는 수단으로의 의무설비인 어선 송수신기 및 상선에서 무선전화용으로 구비해야할 의무설비인 상선 송수신기의 일례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제5도와 같다.Fig. 5 shows an example of a fishing boat transceiver, which is a mandatory facility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isting voice communication, and a merchant ship transceiver, which is a mandatory facility for radiotelephones on board.

위에서 살펴 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새로운 시스템을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며, 동 문제점을 개선할 경우 특히 절대 다수인 어선에 바로 정보화효과가 미치게 되므로 해양사고 방지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tudy a new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natural because it will have an informatization effect on a large number of fishing vessels.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선의 실정에 알맞는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과 어선의 실정에 알맞는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을 정보기술로 상호 결합하여 이 기종 선박인 상선과 어선이 바다에서 상호 이동상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사고 예방적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으며,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a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suitable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ommercial vessels and a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DFN) suitable for the actual situation of the fishing vessels with information technology, so that this type of vessels, such as merchant ships and fishing vessel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eventive means of marine accidents to observe the mutual movement situation,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바다에서 상이한 통신체제를 구성하는 상선과 어선이 위급상황에서 신속히 교신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위급상황에 즉각 대처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으며,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cal means that can immediate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by providing a technical means that allows merchant ships and fishing vessels constituting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in the sea to quickly establish communic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문자방송으로 제공되는 항행정보를 음성으로 자동변환하여 이 기종 송신장치로도 병행 제공토록 함으로써 인력 팽창없이 서비스 이용자를 바로 확대하는 정보기술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으며,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technology means for directly expanding service users without expanding personnel by automatically converting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ext broadcasting into voice and providing the same in parallel with a transmission device of this type.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이와 같은 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존 통신 단말장치를 최대한 활용토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즉각적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절감 및 서비스 조기시행의 효과를 얻도록 하고자 함에 있으며,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effect of cost reduction and early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 by making it possible to immediately implement the existing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o maximize the use in configuring such a means, at a low cost,

본 발명의 제5목적은 이질적 관리체제를 극복하여 각각 다른 환경의 단말장치 이용자에게 고른 서비스가 주어질 수 있도록 더 나아가 관련 시스템을 취사선택적으로 일괄 통합하는 여건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The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heterogeneous management system and to provide a condition for collectively integrating related systems in order to provide a uniform service to users of terminal devices in different environments.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이질적 정보통신망인 선박자동식별장치(AIS)와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을 프로토콜자동변환장치(Protocol Converter)로서 결합함으로써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을 통하여 어선으로부터 수집되는 제반 조업정보 및 운항정보 중 상선의 운항안전과 관계되는 운항정보만 선별적으로 추출한 후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경유하여 상선으로 제공하고,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통하여 상선으로부터 수집되는 제반 상태정보 및 운항정보 중 어선의 운항안전과 관계되는 운항정보만 선별적으로 추출한 후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을 경유하여 어선에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조건을 만족하는 이질적 무선통신환경을 상호 접속하여 그 목적에 저해됨이 없이 안전정보만 선별적으로 교류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IS) and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DFN) as a protocol converter (Protocol Converter) to collect all from the fishing vessel through the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DFN)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nly the fl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safety of the merchant ship is selectively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merchant ship through the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device (AIS), and collected from the merchant ship through the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device (AIS). By selectively extracting only the fligh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al safety of the fishing vessel from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to the fishing vessel via the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DFN), the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satisfying each condition is interconnected and its purpose It provides a means of selectively exchanging safety information only without being impaired.

또한 본 발명은 바다에서 상이한 통신체제로 구성된 어선과 상선을 공통 채널로서 호출하여 링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위급상황에서 수동적으로 채널을 선택하여 경보신호를 발생하면 관련된 채널을 자동적으로 번갈아 감시(Scan Watch)하는 자동경보수신기가 이를 수신하여 적절한 경보 및 상대방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이후부터는 인위적으로 교신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기존 DSC 또는 가청주파수 신호인 조난경보신호를 개량하는 경보신호 처리 수단을 제공하며,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calling and linking fishing vessels and merchant ships composed of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in the sea as a common channel, and automatically selects a related channel when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by manually selecting a channel in an emergency situation. Alarm signal processing that improves the existing DSC or audible distress signal as a means to automatically establish communication by receiving automatic alarm receiver that scans alternately and displays appropriate alarm and counterpart information. Provide means,

나아가, 위급상황 발생시 GPS로 측위된 위치는 물론, 송신채널을 자동적으로 번갈아가면서 경보신호를 발생하면, 이를 수신한 상대방이 자동경보수신장치의 출력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위치를 분석한 후 자신의 주변에서 발생된 위급신호인지를 판별함으로써 신속하고도 정확한 교신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여러 가지의 복합적 정보기술 및 제어수단을 제공한다.Furthermore, when an emergency occurs, when the alarm signal is generated by alternating the transmission channel automatically as well as the position measured by GPS, the receiving party analyzes the position spatially by using the output of the auto repair device and then surrounds his / her surroundings. It provides a variety of complex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trol means to establish a quick and accurate communication setting by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is an emergency signal.

이에 본 발명은 더욱 나아가 상기 이를 수신한 상대방이 자동으로 경보신호 수신 여부를 응답하는 수단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means for automatically receiving the alarm signal received by the counterpart.

또한 본 발명은 문자/음성변환장치(TTS; Tex To Speech)를 이용하여 NAVTEX서버와 음성통신용 어업통신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문자방송으로 제공되는 항행정보가 음성으로도 아울러 제공하는 수단을 제공하며,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ext broadcasting as well as voice by connecting a NAVTEX server and a fish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for voice communication using a TTS (Tex To Speech),

나아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방송정보가 송출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기존 어업통신에 혼신을 주지 않고 주기적으로 방송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를 별도의 송신장치로도 구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Furthermore, by providing a means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broadcast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to provide a means to periodically broadcast without interference to the existing fishing communication, and provides a means that can be configured as a separate transmiss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상기 제반 수단을 통합 연계하여 모든 상황을 모든 수단을 통하여 수집하고 모든 선박이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되, 이와 같은 시설을 함에 있어서 기존 어선에 시설된 장비 및 운용체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연관된 통신망을 취사선택적으로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이와 결합되어 비용절감 및 신속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onfigured to collect all the situation through all means and to be serviced by all means by integrating and connecting the above means, but in such a facility, the equipment and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existing fishing vessel It provides a means to combine cost-effectively and quickly, by interworking with the associated communication network optionally to use as it is.

제1도 및 제2도는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규정한 상선을 위한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의 네트웍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및 그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그림1 and 2 are block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for ships prescribed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and a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제3도 및 제4도는 국내에서 개발중인 어선을 위한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의 체계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및 그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그림3 and 4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system of a digital fishery communication network (DFN) for fishing vessels under development in Korea and a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제5도는 선박용 송수신기의 일례를 나타낸 그림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hip transceiver

제6도는 선박자동식별장치와 디지털 어업통신망을 정보기술로 결합한 본 발명 실시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ing a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device and a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with information technology.

제7도는 미지의 어선과 상선간 교신 설정이 가능토록 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an unknown fishing boat and a commercial ship.

제8도는 문자/음성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이기종간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항행정보를 다기능으로 제공토록 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in a multifunctional manner by combining heterogeneous systems using a text / voice conversion apparatus.

제9도 및 제10도는 제6도에서 일어나는 정보연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계층구조도9 and 10 are flowcharts and hierarchical diagrams showing the information interworking method occurring in FIG.

제11도 및 제12도는 제7도에서 일어나는 교신설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계층구조도.11 and 12 are flowcharts and hierarchical diagrams showing a communication setup method occurring in FIG.

제13도는 제7도에서 일어나는 경보신호 일례의 패킷 구조도.13 is a packet structure diagram of an example of an alarm signal occurring in FIG.

제14도 및 제15도는 제8도에서 일어나는 문자/음성 항행정보 다기능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계층구조도.14 and 15 are flowcharts and hierarchical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multi-function text / voice navigation information occurring in FIG.

제6도는 상기 선박자동식별장치(AIS)와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을 정보기술로 연계시킨 실시 일례를 블록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으로서,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vessel automatic identification device (AIS) and the digital fishery communication network (DFN) are linked with information technology.

어선(1)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어선(1)에 각종 정보를 제공토록 구성되는 수단의 대어선 디지털 어업통신망(2);A fishing boat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2 of means configured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fishing boat 1 a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fishing boat 1;

상선(3)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상선(3)에 각종 정보를 제공토록 구성되는 수단의 선박자동식별시스템(4);A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4 of a means configured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merchant ship 3 a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merchant ship 3;

상기 디지털 어업통신망(2)과 선박식별시스템(4)의 정보 중 상호 필요한 정보만 선별적으로 추출하고 상호 송수신조건에 알맞는 환경으로 제공하는 프로토콜변환기(5);A protocol converter (5) for selectively extracting only mutual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of the digital fisheries communication network (2) and the ship identification system (4) and providing the environment suitable for mu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ditions;

상기 프로토콜변환기(5)를 이용하여 디지털 어업통신망(2)과 선박자동식별시스템(4)을 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함으로써 바다의 어선과 상선이 상호 필요정보를 연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By using the protocol converter 5, the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2 and the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4 ar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fishing vessels and merchant vessels of the sea can interconnect mutually necessary inform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제6도에 있어서 더욱 상세한 구성은 추가적으로 설계될 수 있으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한 제6도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FIG. 6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may be additionally designed, but the operation of FIG. 6 showing a conceptua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평상시 상선은 국제해사기구에서 강제화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에 도시 설명한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으로 거의 1분의 주기로서 자신의 선박제원, 위치, 침로, 속도, 항해상황, 적재화물, 기타 상황정보 등을 중앙관제센터 및 다른 모든 선박에게 알리게 되며, 다른 상선에서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선박의 동태를 주시함으로써 자신과의 위험성 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된다.Normally, a merchant ship is a ship'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as shown in Figure 1, as mandated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and its ship specifications, location, course, speed, sailing conditions, cargo, etc. Status information will be notified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all other ships, and other merchant ships can use this information to monitor the dynamics of other ships to predict their risks in advance.

이는 상선의 경제활동에서 자신이 항해하는 정보가 다른 선박에 알려진다 하여도 그다지 문제점이 없기에 가능한 것이다.This is possibl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merchant ship, even if the information they sail is known to other ships.

이에 비하여 어선은 국제해사기구에서 강제화하지 않은 바 이는 어선이 이동하는 상세한 상황이나 적재된 화물(어획물)을 다른 어선이 알게 되면, 많은 어획고를 올렸거나 올릴 가능성이 있는 선박 주변에 상당수의 어선이 밀집되고 말아 어선의 생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contrast, fishing vessels have not been mandated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which means that if other fishing vessels are aware of the details of the vessel's movements or loaded cargo (catch), a large number of fishing vessels are likely to be raised or likely to be raised. This can be fatal to fishing boats' livelihoods.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서 제3도에 도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로 어업자원관리를 위한 자료수집과 어선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단어업정보(문자∼그림)를 서비스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용된다.With this in mind, the Digital Fishing Network (DFN) aims to collect data for fish stock management and to provide advanced fishery information (characters and pictur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ishing vessels, as illustrated in Figure 3. It is operated by.

여기에서 어업자원관리를 위하여 수집되는 정보에는 어선의 선박제원, 위치, 침로, 속도, 업종, 어종, 어획량, 투망횟수(노력량), 기타정보가 당연히 포함되는 것이나 다만 자료를 수집하는 주기는 적어도 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어서 가능한 기밀을 유지하고자 하는 어선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으며, 수집된 정보 중 업종, 어종, 노력량, 어획량 등에 대하여는 개별적 보안을 유지토록 하고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ed for fisherman management here includes, of course, the vessel's ship specifications, location, course, speed, type of industry, fish species, catches, the number of misses, and other information. It fully reflects the position of fishing vessels to be kept as confidential as possible at intervals of 4 hours or more, and maintains individual security of industry, fish species, effort, and catches among the collected information.

이는 곧 선박자동식별장치와 디지털 어업통신망이 정보의 기밀유지와 기능적 측면에서 전혀 다른 이질적 시스템임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로 그대로 방치할 경우 바다에서 어선과 상선이 서로 인접 교행하는 일이 있다하더라도 상호간 동태를 미리 파악하기는 어려운 것이다.This means that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nd the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are heterogeneous systems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in terms of confidentiality and function of information. If left in this state, fishing vessels and commercial vessels may cross each other at sea. Even so, it is difficult to know each other's dynamics in advance.

이에 제6도 실시예의 본 발명은 프로토콜변환기(5)로서 상호간 필요정보만 선별하여 연계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어선에서 수집된 정보 중 선박제원과 위치만 선박자동식별장치(AIS)로 제공하거나 필요시 침로와 속도를 추가하여 최소한의 정보만 선박자동식별장치(AIS)로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정보가 상선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performs the function of selecting and linking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each other as the protocol converter 5, and providing only the ship specific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shing vessel to the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device (AIS). By adding course and speed as needed, only minim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hip'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so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merchant ship.

또한 프로토콜변환기(5)는 상선으로부터 수집된 정보 중 화물의 운송정보를 제외한 거의 모든 정보 즉, 선박제원, 위치, 침로, 속도, 항해상태 등을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으로 제공하여 모든 어선에 이를 알리게 된다.In addition, the protocol converter 5 provides almost all the information except the freight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erchant ship, that is, the ship specification, location, course, speed, navigation status, etc. to the digital fish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DFN) to provide this information to all fishing vessels. You will be notified.

다만, 여기에서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은 그 자체 통신망으로 수집된 다른 어선의 운항상태도 함께 포함하여 알릴 수는 있으나, 어선은 실제로 운항하는 때보다도 작업을 위하여 정지하는 상태가 더 많고, 또한 어선의 생업과도 관련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Here, the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DFN) can also be informed including the operation status of other fishing vessels collected by its own communication network, but the fishing vessels are more suspended for work than when they are actually operated and also It is also related to the livelihood of the company, so it can be applied variab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상기 프로토콜변환기(5)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소프트웨어인 패킷데이터 작성 알고리즘으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위 상황에 따라 가변된다 함은 별도의 부가장치를 연결하거나 제거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프로그램에 의한 원텃치식 조작으로 패킷데이터의 프레임을 더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다.Since the protocol converter 5 is not physically present but is composed of packet data creation algorithms, which are computer software, the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situation does not mean that a separate additional device is connected or removed. Quench operation includes the meaning of adding or removing frames of packet data.

이러한 정보연계는 일견 간단한 것으로 보이나, 실질적 효과로서 어선에 별도의 고가 장비이면서도 어선과는 별개 기능의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구비하지 않고도 디지털 어업통신 단말장치만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상선의 운항상황을 모든 어선에서 신속 정확히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질적인 초단파대 통신망(선박자동식별장치(AIS))과 단파대 통신망(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을 상호 연결하여 각각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많은 수의 사용자에게 별도의 단말장치 구입 등 비용부담이 없게 함으로써 이는 곧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도록 하는 발명인 것이다.This information linkage seems to be simple at first glance, but as a practical effect, a commercial ship moving at high speed using only a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having a separate expensive equipment on the fishing vessel and a separate function of an automatic vessel identification system (AIS). You can quickly and accurately observ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ll fishing vessels, and you can get an excellent effect. You can connect the heterogeneous microwave communication network (AIS) and the shortwave network (DFN). This is an invention in which a large number of users using each communication network does not have a cost burden such as purchase of a separate terminal device, thereby obtaining a maximum effect at a low cost.

제7도는 바다에서 접한 미지의 선박간 상호 교신설정이 용이토록 하는 본 발명 실시 일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setup between unknown ships facing the sea.

선박에 설치되는 재래식 제1송수신기(6) 및 제2송수신기(7);Conventional first and second receivers 6 and 7 installed on the ship;

필요시 선박에 설치되는 위성측위장치(8);Satellite positioning device (8) is installed on the vessel if necessary;

필요시에는 위성측위장치(8)에 연결되어 그 측위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송수신기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위급상황 발생시 특정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경보신호발신기(9);An alarm signal transmitter 9 which is connected to the satellite positioning device 8 and may include positioning data, if necessary, and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transmitter and constitutes means for generating a specific alarm signal in case of an emergency;

제1송수신기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 평상시 설정된 채널의 신호를 감시하다가 위급상황에서 제1송수신기(6)로부터 발생되는 특정한 경보신호를 포착함으로써 경보신호 포착 사실을 메시지로 알리거나 필요시 전자해도(11)로 그 사실을 알리거나 필요시 자동적인 음성재생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수단의 자동경보수신기(10);It has a function to monito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er, and monitors the signal of the channel normally set, and then catches a specific alarm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transmitter 6 in an emergency to inform the fact that the alarm signal is captured by a message. Or auto repair receiver 10 of a means configured to notify the fact with electronic chart 11 or, if necessary, to perform an automatic voice playback function if necessary;

필요시 자동경보수신기에 연결되어 위성측위장치(8)로부터의 측위데이터를 전자해도 위에 좌표로 표시하고 자신의 위치 부근에서 발생된 신호인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메시지로 나타내고 필요시 자동적으로 상대방에 응답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해도시스템(11);If necessary, it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maintenance device, and the positioning data from the satellite positioning device 8 is displayed as coordinates on the electronic chart, and it is analyzed whether it is a signal generated near its own position, and the result is displayed as a message and automatically An electronic chart system 11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response signal;

상기 경보신호발신기(9)에 의한 경보신호가 포착되었을 경우 인위적으로 제2송수신기(7)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호출 또는 자동적으로 응신되도록 구성된 것이다.When the alarm signal by the alarm signal transmitter 9 is captured, it is configured to artificially call or automatically answer the other party by using the second transmitter 7.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그 작용이 설명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follows.

해상에서 충돌시 피해가 큰 어선은 그 크기가 작음으로 인하여 상선에서는 특별히 주의하지 않는 한 레이더(Radar)로도 발견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어선은 불특정한 장소를 떠돌아다니는 관계로 상선에서 미리 예측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Due to the small size of fishing boats that are damaged during collision at sea, it is not easy to find them by radar unless special care is taken by merchant ships, and because fishing boats are floating around unspecified places,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m in advance.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이러한 상황에서 어선 종사자는 육안 또는 레이더(Radar)로서 비교적 큰 물체인 상선을 발견하기가 용이한 바 만약 상선이 자신에게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침로(방향)로 접근해 온다면 이를 인지한 어선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발신기(9)를 조작하게 된다.In such a situation, it is easy for a fishing boat worker to find a merchant ship, a relatively large object, with the naked eye or radar. If the merchant ship is approaching a course that may cause harm to him, The alarm signal transmitter 9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이러한 조작에 의하여 경보신호발신기는 특정한 신호로서 경보신호를 송출하게 되는데, 동 경보신호는 주로 가청주파수를 이용한 "삐-뽀-"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ing) 또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등의 신호로 발생하게 된다.By this operation, the alarm signal transmitter sends out an alarm signal as a specific signal. The alarm signal is mainly composed of audible frequency, such as "beep-po-", FSK (Frequency Shift Keying) or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It is generated by a signal.

다만, 이러한 경보신호를 구체적으로 구성하는 수단은 기존 조난신호만 방송하던 DSC의 기능에 동 방송수단으로서의 통신링크설정 요구신호를 더 부가하거나 가청주파수 경보신호로서 통신링크설정 요구신호를 더 부가한 것에 해당되는 것으로, 정보통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러한 개념적 설명만으로 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특별히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으나, 이미 알려진 어느 한 방식의 특정한 부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경보신호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인위적인 수단과 레이더로 감시된 물표가 자신에게 접근해 옴을 감시하여 자동적으로 경보신호가 구동되는 수단도 포함하는 바 이 역시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means for constituting such an alarm signal specifically includes the addition of a communication link setting request signal as the broadcast means or a communication link setting request signal as an audible frequency alarm signal to the function of the DSC which broadcasts only the existing distress signal. Although it is applicable to those skill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eld, only those conceptual descriptions are well known, and thu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de of any one method known in the art. It also includes a means for monitoring the approach of the means monitored by means and radar to automatically approach the alarm signal, which is not limited to any one means.

상기 경보신호는 제1송수신기에 공급되어 여러 선박이 공통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채널 또는 국제법으로 청수의무가 주어진 특정한 채널로 변조되어 송출되는데, 이와 같이 제1송신기를 제어함에 있어서도 경보신호발신기(9)가 제1송신기의 채널을 자동적으로 변경해 가면서 여러 채널 또는 특정한 채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The alarm signal is supplied to the first transmitter and is modulated and transmitted to a channel that can be commonly received by several ships or to a specific channel given a clear oblig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In this way, the alarm signal transmitter 9 also controls the first transmitter. Is not limited because the channel of the first transmitter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and transmitted to various channels or specific channels.

상기 경보신호에는 자동중계 조치 또는 자동응답 조치 등이 자동적으로 수반되는 조난신호와는 다른 수단으로서의 긴급 통신링크설정요구신호가 포함되며, 필요시 여기에 위성측위장치(8, GPS)로 측위된 자신의 좌표와 자신의 식별기호(선박번호 등)와 기타 충돌/조난/ 등 위급상황을 담은 메시지를 가청주파수 또는 데이터신호로 함께 전달할 수도 있다.The alarm signal includes an emergency communication link setting request signal as a means other than a distress signal that automatically accompanies an automatic relay action or an automatic response action. A message containing the coordinates of, and its identifier (ship number, etc.) and other emergencies such as collision / distress / can also be delivered as an audible frequency or data signal.

이러한 제1송신기(6)로부터의 변조된 출력은 인근에 항해중인 여러 선박의 자동경보수신기(10)에 전달되는데, 자동경보수신기(10)가 작동되어 경보신호를 포착하게 된 때에는 주위를 견시하거나 레이더 감시를 철저하게 하여 위급선박이 어디에 있는지 인위적으로 검사하게 된다.The modulated output from the first transmitter 6 is transmitted to the auto repair receiver 10 of several ships sailing in the vicinity, and when the auto repair receiver 10 is activated to capture an alarm signal, Radar surveillance is thoroughly conducted to artificially check where the emergency ship is.

만약, 경보신호발신기(9)가 자신의 좌표와 식별기호를 아울러 송출하였다면, 이를 수신한 선박에서는 자동경보수신기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어느 선박에서 발신된 것인지 즉각 알 수 있고 어울러 자신이 항해하는 인근의 선박인지 여부도 알 수있으므로 상황판단에 따라 채널을 추적하여 발신된 선박을 쉽게 호출할 수 있는 것이며, 여기에서 특정한 상대방 운항과 관련된 경보신호라면 그 특정한 상대방 시스템이 이를 인지하여 자동적인 응신체제를 구동함으로써 상호간 분명한 교신설정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f the alarm signal transmitter 9 transmits its coordinates and the identification symbol together, the vessel receiving the alert signal can immediately know which ship is using the message of the auto repair signal, and the neighbors to which they sail. It is also possible to know whether it is a vessel of the ship,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all the ship sent by tracking the channel according to the situation judgment, and if it is an alarm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 specific counterpart, the specific counterpart system recognizes it and performs an automatic response system. By driving, it is possible to secure clear communication settings with each other.

고급 장비를 갖춘 대형 상선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자동경보수신기(10)의 출력을 전자해도(11)에 연결하여 전자해도의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기능으로 공간분석을 함으로써 자신이 설정한 범위 내에 있는 선박에서 발생된 것인지 까지도 판단토록 하면 자동제어 기능에 의한 신속 정확성도 확보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간분석 기능은 기존의 전자해도시스템(ECDIS;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을 인터페이스와 소프트웨어적 데이터 연결기능으로 확장한 것에 해당한다.In the case of a large commercial ship with advanced equipment, the output of the automatic repair and repair device 1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hart 11 to perform spatial analysis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unction of the electronic chart.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generated from a ship within a certain range and to ensure rapid accuracy by the automatic control function. This spatial analysis function uses the interface of the existing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ECDIS) and software. Corresponds to an extension to the data link feature.

상기 제7도의 본 발명은 접근하는 선박이 어떠한 선박인지 알지 못하는 상황 즉 미지의 선박 상호간을 간단한 시설로서 교신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자동경보수신기는 경보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이를 메시지로서 랫치(Latch)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다른 채널을 검사하여 메시지를 계속 표현하거나 그 경보신호가 검출된 채널에서 자동적으로 대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of FIG. 7 has an effect of establishing a situation in which unknown ships do not know which ships are approaching each other as simple facilities, wherein the automatic repair / receiver receives a warning signal as a message. By latching, it may be configured to continuously examine other channels to continuously express a message or to automatically wait on the channel where the alarm signal is detected.

상기 경보신호가 특정한 코드 규칙으로 생성되는 점을 이용하면 이를 수신한 자동경보수신기가 특정한 코드에 해당하는 음성경보메시지를 발생 및 이를 이용하여 자동 응신도 가능하도록 되며, 동 코드 신호는 다국적 언어로도 재생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은 전 세계 어느 장소에서나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alarm signal is generated using a specific code rule, the auto repair receiver receiving the alarm signal generates a voice alarm messa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de and automatically responds using the same. The code signal is also used in a multinational languag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be reproduc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device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anywhere in the world.

제8도는 문자/음성변환장치를 이용하여 기존 NAVTEX용 문자형 항행정보를 음성으로 병행 제공토록 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일례로서,8 is an example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conventional NAVTEX character-type navigation information in parallel by using a text / voice conversion device,

선박에 구비된 재래식 송수신기(6 또는 7);A conventional transceiver 6 or 7 provided on the ship;

육상에 시설된 송신기(12);A transmitter 12 installed on land;

해상에 문자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NAVTEX시스템(13);A NAVTEX system 13 for providing text information on the sea;

상기 NAVTEX시스템(13)과 송신기(12) 사이에 연결되어 NAVTEX에서 문자로 제공되는 정보를 설정된 규칙의 음성으로 자동 변환하여 송신기(12)로 공급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송신기를 구동함으로써 음성신호 전파로서 송출되도록 하는 문자음성 변환장치(14);It is connected between the NAVTEX system 13 and the transmitter 12 and automatically convert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xt from the NAVTEX into the voice of a set rule to supply it to the transmitter 12, and transmits it as a voice signal propagation by driving the transmitter under the set conditions. A text-to-speech converter 14 to make it possible;

상기 송신기(12)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신호 전파를 송수신기(6 또는 7)로서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voice signal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2 as the transceiver 6 or 7.

이와 같이 구성된 제8도 본 발명은 문자음성자동변환장치가 NAVTEX의 항행정보를 자동으로 변환하되, 송신기의 송신개시 키 조작 및 필요시 채널까지 자동으로 제어하고, 주어진 방송조건과 남·여 음성 구분 및 음성의 속도까지 설정하므로 문자로 공급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대로 자동으로 음성신호를 재생하고 송신기를 제어하여 그 정보를 전파로 방송하게 되는 것이다.FIG. 8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vert the navigation information of the NAVTEX to the text-to-speech automatic conversion device,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transmission start key of the transmitter and, if necessary, the channel, and distinguishes a given broadcasting condition from a male and female voice. And since the speed of the voice is set, after the text is supplied, the voice signal is automatically reproduc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et by the user and the transmitter is controlled to broadcast the information by radio waves.

제8도에 있어서, NAVTEX와 문자음성재생장치를 연결한 구성에는 패킷데이터를 이용하는 정보통신망으로서 원격지에 불구하고 상호연결하는 수단을 모두 포함한다.In Fig. 8,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NAVTEX is connected to the text-to-speech reproducing apparatus includes all means for interconnecting, despite being remote, a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ing packet data.

이와 같은 제8도 실시예의 효과는 각각 다른 기관에서 운용하는 NAVTEX와 어업통신을 상호 연결하여 동일한 정보를 비록 간이하나마 멀티미디어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특히 NAVTEX의 기능을 다양하게 확장함에 있어서 음성통신용 재래식 어업통신망과 연결하여 모든 어선의 시설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서비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The effect of the embodiment of FIG. 8 is to interconnect the NAVTEX and the fishery communication which are operated by different institutions, and to provide the same information even though the multimedia is simple. Especially, in the case of expanding various functions of the NAVTEX, In connection with the conventional fishing network,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serve as it is without changing the facilities of all fishing vessels.

제8도 실시의 본 발명은 상선을 위한 기타 해안국이나 NAVTEX 방송국에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여 전파 송출할 수 있는 취사선택적 구성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also includes a self-selective configur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radio waves by adding a separate apparatus from other coast stations or NAVTEX broadcasting stations for commercial ships.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송신기 또는 송수신기라는 용어는 전파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송수신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송신기만으로도 사용되고 수신기만으로도 구성되는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The term 'transmitter or transceiv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radio waves, and the term “transceiver” includes all means used only as a transmitter and configured as a receiver according to a use purpos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용어에 있어서 NAVTEX의 정보를 활용하여 음성정보를 방송한다 함은 NAVTEX의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극히 일부분을 사용하는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서 궁극적으로는 NAVTEX에서 사용여부를 불문하고 이러한 용도로 만들어진 문자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In addition, in the term of the present invention, broadcasting informa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of NAVTEX is a term that includes all means of using the information of NAVTEX as it is or using only a small part, and ultimately whether or not it is used in NAVTEX. It is a term that includes all the character forms created for this purpose.

제9도 및 제10도는 제6도 실시 일례로 도시한 본 발명 정보처리 방법의 흐름도 및 계층구조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제6도 실시 예를 방법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9 and 10 illustrate a flowchart and a hierarchical structure diagram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and the embodiment of FIG. 6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manner.

본 발명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료수집단계, 정보추출단계, 상호연계단계 및 전송단계인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four steps, a data collection step, a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a mutual connection step, and a transmission step.

각각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상황에서Each system is operating normally

제1단계인 자료수집단계는 각각 별도의 주기로서 각 선박의 각종 상황정보를 수집한다.(101, 102)The data collection step, which is the first step, collects various situation information of each ship as separate periods. (101, 102)

이 과정은 제8도 설명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어선의 여건과 상선의 여건에 적합하도록 디지털 어업통신망(DFN)과 선박자동식별장치(AIS)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8, this process is a process of collecting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DFN) and the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so as to suit the conditions of fishing vessels and commercial vessels, respectively.

또한 여기에는 센서를 이용하는 항로표지 시설로부터 수집된 항로표지 이상여부도 자동 수집하여 이후 단계에서 전송토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automatically collect the route markers collected from the route marker facility using the sensor and transmit them at a later stage.

제2단계인 정보추출단계는 이러한 수집된 정보 중에서 상호 공통적으로 필요한 운항정보만 추출한다.(103)The second step,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extracts only the necessary flight information from among the collected information.

이 과정에서는 선박제원, 위치, 침로, 속도가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취사선택 할 수 있음은 제6도 설명시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This process includes ship specifications, position, course, speed, and can be selected to vary according to the need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

다만, 선박에 관한 제원은 주로 선박번호만 전송토록 하는 것이 효율적인데 이는 모든 선박에서 선박번호를 키 값으로 하여 나머지 정적(Static)인 정보는 미리 저장하였다 필요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t is efficient to send only the ship number for the specifications of the ship, because the ship number is the key value in all ships, and the remaining static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dvance and retrieved when necessary.

만약 항로표지에서 장애가 발생되었다면 상호 정보연계 내용 속에 이러한 정보가 자동 또는 인력으로 추가 삽입된다.If there is a disturbance in the route marker, this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or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interlinked content.

제3단계인 상호연계단계는 선박자동식별장치(AIS)와 디지털 어업통신망(DFN)간 프로토콜로서 정보를 상호교환하는 단계이다.(104)The third step, the interconnection step, is a step of exchanging information as a protocol between a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and a digital fishery communication network (DFN).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함수는 주로 OSI7 계층 또는 TCP/IP 전송환경으로 상호 정보를 주고받는 것으로서 양자는 약속된 일례의 구조로서의 Header, Address, Control, Information, FCS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게 된다.The functions used in this process are mainly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OSI7 layer or TCP / IP transmission environment, and both of them transmit header, address, control, information, and FCS information as an exemplary structure.

동 프로토콜이 필요한 이유는 원격지 상호간에 손실없이 정보를 전송 및 필요시 이질적 통신체계를 상호 매칭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protocol is to transmit information without loss between remote sites and to match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if necessary.

제4단계인 전송단계는 각 선박에 적합한 조건으로 디지털 어업통신망(DFN)과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한다.(105, 106)In the fourth stage, the transmission stage transmits information using a digital fishery communication network (DFN) and an automatic vessel identification system (AIS) under conditions suitable for each vessel. (105, 106)

이 과정에서는 각각의 통신망 특성에 맞추어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반 과정으로 인하여 해상에서 이용하는 별개의 이질적 무선통신망을 육상에 시설되는 정보통신기술로 상호 연계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proc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unication network. As a result, various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ed at sea can be interconnected with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stalled on land.

여기에서 육상의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또는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의 관제시스템은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전자해도시스템 기능으로 전 어선을 관리하므로 특정한 어선에 위험이 발생될 것으로 예견되면 인위적 또는 자동적으로 그 대상 선박을 호출하여 위험성을 알릴 수도 있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는 이러한 수단을 모두 포함한다.Here, the control system of the onshor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or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DFN) manages the fishing vessel with the electronic chart system functions shown in Figs. If anticipated, the vessel may be called artificially or automatically to indicate the danger, and this process includes all of these means.

제11도 및 제12도는 제9도 실시 일례의 본 발명에 대한 작용을 도시한 흐름도 및 계층구조도로서,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경보발신제어단계, 경보발생단계, 송신기제어단계, 경보검출단계 및 교신실행단계인 5단계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11 and 12 are flowcharts and hierarchical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f FIG. 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transmission control step, an alarm generation step, a transmitter control step, an alarm detection step, and a communication are shown. It can be seen that it consists of five steps, which are execution steps.

제1단계인 경보발신제어단계는 위급상황을 인지하여 통신링크설정요구 경보를 구동하는 단계이다.(202, 203)In the first step, an alarm call control step is a step of driving a communication link setting request alarm by recognizing an emergency situation (202, 203).

이 과정에서는 육안으로 위급상황을 인지하여 수동으로 발신조작하거나 계기장치로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발신제어하는 제반 수단을 포함한다.This process includes all means to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with the naked eye and to manually control the transmission or to recognize it with the instrument.

제2단계인 경보발생단계는 제1단계의 결과에 의거 주어진 조건의 통신링크설정 요구용 경보신호를 만든다.(204, 205, 206, 207, 208)The alarm generation step, which is the second step, generates an alarm signal for requesting communication link setting under a given condi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rst step. (204, 205, 206, 207, and 208).

이 과정에서는 만약 아무런 조건을 설정하지 않았거나 별도의 추가적인 기능이 구비되지 않았다면 최소한의 경보신호만 만들지만 기타 다른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면 더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추가정보는 선박번호, 호출명칭, GPS측정위치, 기타 경보상황 메시지 등의 디지털 데이터이다.In this process, if no condition is set or no additional function is provided, only minimum alarm signal is made, but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added to increase efficiency. Digital data such as name, GPS measurement location, and other alarm status messages.

이러한 경보신호를 가장 바람직한 구성의 패킷데이터로 구성하였을 경우의 일례를 도시하면 제13도의 구조도와 같은 바, 이는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는 것이기에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여기에서 Channel Control 데이터 블록으로 도시된 용도는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송신기를 제어하여 특정한 채널로 자동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An example of the case in which the alarm signal is composed of the packet data having the most desirable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13, which is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use shown is meant to include means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er to automatically switch to a particular channel prior to sending the packet.

Information Data 블록은 새로운 선박의 제원을 알리는 데에도 사용된다.Information data blocks are also used to inform the specification of new ships.

제3단계인 송신기제어단계는 경보신호를 전파환경에 맞도록 송신기를 제어하여 송출한다.(209)In the third step, the transmitter control step transmits an alarm signal by controlling the transmitter to match the radio wave environment.

이 과정에서는 송신기를 작동시키는 키(Press To Talk Key)를 제어하여 경보신호를 자동적으로 송출하는 것이나, 동 송신기 키는 설정된 시간동안 몇 회 작동시킨 후 간격을 두어서 다시금 연속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키 조작으로 사용자가 수신기능을 조작함에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작동된다.In this process, an alarm signal is automatically sent by controlling a press to talk key, but the transmitter key is operated several times for a set time and then operated again at intervals. The key is operated so that the us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reception function.

물론, 경보신호발신기 작동 후 상대방과 교신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즉시 경보신호발신기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Of course, if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is establish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transmitter, the user can immediately stop the operation of the alarm signal transmitter.

동 송신기제어함수는 원칙적으로 특정한 공통채널로 경보신호를 발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상대방의 수신능력을 감안하여서는 필요에 따라 전 공통채널 또는 전 채널을 번갈아가면서 송출할 수 있는 수단도 구비될 수 있다.In principle, the transmitter control function may be configured to emit an alarm signal to a specific common channel.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capability of the other party, the transmitter control function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transmitting all the common channels or all channels alternately as necessary. .

경보송출을 위한 바람직한 주파수는 2MHz∼3MHz 대역, 4MHz 대역, 8MHz 대역 및 27MHz 대역의 소수 공통채널을 이용함이 효율적이다.Preferred frequencies for alarm delivery are efficient using a few common channels in the 2 MHz to 3 MHz band, the 4 MHz band, the 8 MHz band and the 27 MHz band.

제4단계인 경보검출단계는 제3단계에서 발생된 경보신호를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이다.(210, 211, 212, 213, 214)In the fourth step, the alarm detection step is a step of automatically detecting the alarm signal generated in the third step (210, 211, 212, 213, and 214).

이 과정에서는 서로 약속된 경보신호를 검출하여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단계이며, 단순한 경보신호인 경우 수신된 채널을 포함한 시·청각 경보 메시지만 발생하나, 기타 추가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그것을 더불어 표시하는 것으로 만약 최적의 상황이라면, 상대방의 선박번호와 무선 호출명칭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자해도상에서 자신이 속한 영역인지 아닌지를 구분함과 아울러 화면에 선박번호를 포함한 각종 수신정보 또는 선박제원을 자동검색한 정보를 아울러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process, it detects the alarm signals promised to each other and generates a message. In the case of a simple alarm signal, only the visual and audio alarm messages including the received channel are generated. If the situation is optimal, the ship number and radio call name of the other party are included, and more preferably, it distinguishes whether or not it belongs to the area on the electronic chart, and automatically displays various received information or ship specifications including the ship number on the screen. The search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ogether.

음성으로 경보메시지를 울리고자 할 경우 이 과정에서 미리 저장된 음성신호를 조건별로 검색하여 재생하게 된다.If you want to sound the alarm message by voice, in this process, the pre-stored voice signal is searched and played back by condition.

제5단계인 교신설정단계는 경보검출 결과에 따라 상대방을 호출하여 교신을 설정함으로써 상황종료까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215, 216)The fifth step, the communication setting step, is a step in which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ntil the end of the situation by calling the other party according to the alarm detection result and setting up the communication. (215, 216)

이 과정에서는 경보가 발생된 채널을 이용하여 상대방을 호출하는 것이지만,자동경보수신기가 경보신호를 검출 후 자동적으로 송신기 채널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바로 마이크만 이용하면 교신설정이 되도록 하는 수단 및 자동적으로 응답신호를 발신하는 수단과, 인위적으로 통신채널을 맞추어 교신을 설정하는 제반 수단을 취사선택적으로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other party is called by using the channel where the alarm is generated, but the auto repair device automatically detects the alarm signal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transmitter channel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icrophone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and automatically responds. It may optionally include both means for transmitting a signal and various means for artificiall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 communication channel.

여기까지의 과정으로 기계적인 자동제어 기능으로 초기의 교신설정이 가능토록 하고 그 후부터는 인위적으로 상황에 대처토록 하는 것이나, 제4단계 또는 제5단계에는 이러한 경보검출 상황을 자동 저장하여 추후 필요시 검증데이터로 검색할 수 있는 블랙박스(Black Box) 기능을 부가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In the process up to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set up initial communication with the mechanical automatic control function and to deal with the situation artificially thereafter.However, in the 4th or 5th step, the alarm detection status is automatically stored and verified later. You can additionally apply the Black Box function, which allows you to search by data.

제14도 및 제15도는 제8도 실시 일례인 본 발명의 작용 흐름도 및 계층구조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제8도는 방송조작단계, 전송단계 및 송출단계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14 and 15 are flowcharts and hierarchical structure dia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 8.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FIG. 8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ree steps of a broadcasting operation step, a transmission step, and a transmission step. .

제1단계인 방송조작단계는 방송될 문자정보를 파일로 만드는 과정과 주어진 방송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이다.(302, 303)In the first step, the broadcast operation step is a process of making text information to be broadcast into a file and setting a given broadcast condition (302, 303).

이 과정에서는 문자음성변환장치에서 부드러운 음성으로 재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문서형태의 문자를 언어형태의 문자로 풀어서 자연스럽게 작업하는 과정 또는 방송할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방송시간을 설정하는 과정 등 방송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과정이다.In this process, broadcast scenarios such as the process of unpacking text-type characters into language-type texts or the process of setting the channel to be broadcasted and the process of setting the broadcast time, are performed in order for the text-to-speech to play smoothly. The process of writing.

이 과정에는 부 계층인 방송정보 수집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NAVTEX로부터 제공되는 문자정보 수집 뿐만 아니라 다른 항로표지시스템(센서)로부터의 장애상황 및 디지털 어업통신망(DFN)이나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로부터 바다의 상황정보도 수집하는 수단을 포함한다.This process includes a sub-layer broadcasting information collection step, which includes not only the collection of textual information provided by NAVTEX, but also the failure situation from other route marking systems (sensors) and the digital fisheries communication network (DFN) or automatic vessel identification system ( Means for collecting sea situation information from AIS).

물론, 이러한 작업은 제2단계에서 또 한번 수행하거나 제2단계에서만 수행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this oper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again in the second step or only in the second step.

제2단계인 전송단계는 전파로 송출될 방송시스템을 지정하여서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단계이다.(304, 305)A transmission step, which is a second step, is a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designating a broadcasting system to be transmitted by radio waves. (304, 305)

이 과정에서는 제1단계로서 작업된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방송데이터 그 자체인 문자파일과, 방송시나리오가 담긴 데이터 파일을 별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이다.In this process, it is to receive and store the file worked as the first step. Preferably, it is efficient to separately classify and store the text file which is the broadcast data itself and the data file containing the broadcast scenario.

상기 제1단계 및 제2단계는 프로그램 설계에 따라서는 통합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steps may be integrated depending on the program design.

제3단계인 송출단계는 제2단계에서 수신된 파일을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으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서 최종 서비스하는 단계이다.(306, 307, 308, 309)In the third step, the transmitting step is a step of converting a text into voice using a file received in the second step and performing a final service. (306, 307, 308, 309).

이 과정에서는 제1단계에서 만들어진 시나리오대로 송신기를 제어하여 그 주어진 시간에 주어진 채널로 문자를 변환한 음성신호를 송출하도록 되는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ransmitt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cenario created in the first step to transmit a voice signal converted from a character to a given channel at a given time.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일례는 본 발명이 제시한 기술사상 내에서 실시 가능한 여러 가지 방안 중 일부를 게시하여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상기 실시 일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because only some of the various methods tha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상기 제9도, 제11도 및 제14도에 있어서도 각각의 부 계층이 있을 수 있으나, 상기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익히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구체적인 구성을 생략한 것이므로 더욱 세부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 일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n FIG. 9, 11 and 14, there may be respective sub-layers, but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thus a detailed configuration has been omitted.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만약, 제7도 실시의 본 발명에 있어서 경보발신기에 전자녹음장치를 장치하거나 자동경보수신기에 전자녹음장치를 구비하면, 위급상황에서 음성신호로 상대방에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상대방이 수신 후 음성메시지로 위급상황을 알리도록 함과 동시 별도의 음성으로 경보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발신토록 할 수도 있는 것이고, 제8도 실시의 문자/음성변환장치에 다국적 언어 변환기능을 구비하면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선박에게도 쉽게 상호간 항행정보를 알릴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다.If,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record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alarm transmitter or the electronic record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auto repair device, the emergency signal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or the other party receives the voice message after reception.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end a response signal to an alarm signal with a separate voice and to provide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text / voice conversion device of FIG.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can easily inform each other navigation information.

상기 제6도의 구성을 확장하면, 이동체에 설치된 단말장치에서 여러 다른 이동체에 직접 방송으로 위급상황도 알릴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제7도와 같이 이를 수신한 상대방은 전자해도시스템 기능으로 이를 분석 및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까지의 첨단기능도 필요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동 경보신호를 수신한 육상은 이를 문자 또는 그래픽 정보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제6도, 제7도 및/또는 제8도의 시스템으로 모든 선박에 전송토록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일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f the configuration of FIG. 6 is expanded,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notified by direct broadcasting to various other mobile devices from the terminal device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The advanced functions up to the function of displaying can also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necessary, and the land receiving the alarm signal can be summarized into text or graphic information at a glance to FIG. 6, 7 and / or 8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bar bar system can be integrated to the transmission system to all ships with the system of FIG.

여기에서 제7도의 경보신호발신기 및 자동경보수신기 역시 세계해상조난안전제도(GMDSS)에 포함된 선택호출장치(DSC)에 통신링크설정을 위한 프로토콜을 보강(기존 조난신호가 자동중계 및 자동응답하는 구성과 상이한 체제)하여 이용 또는 별도의 데이터 모뎀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alarm signal transmitter and the auto repair receiver of FIG. 7 also reinforce the protocol for establishing the communication link to the DSC included in the World Maritime Disaster Safety System (GMDS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r use a separate data modem.

상기 제6도, 제7도 및 제8도의 개별적 구성 및 작용을 각각 간략히 요약하면,Briefly summarizing the individual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FIGS. 6, 7, and 8, respectively,

제6도는 해상에서의 이동체가 필요시 육상의 서버를 통하여 정보연계토록 연결되는 것이고,6 is to connect the mobile in the sea through the server of the land if necessary,

제7도는 해상에서의 이동체 간 터미널을 필요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정보를 연계토록 연결되는 것이며,Figure 7 is to connect the user to manipulate the information directly when the terminal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t sea,

제8도는 육상의 이 기종 시스템을 연계하여 해상에서의 각각의 터미널을 구비한 이용자가 동일한 정보를 각각 다른 방법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정보연계시키는 것이고,8 is to link the information system so that users with each terminal at sea can receive the same information in different ways by linking the heterogeneous system on land.

제6도, 제7도 및 제8도를 통합하면 바다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 및 항행정보 등을 신속히 수집하여 무선데이터 기능 또는 음성방송 또는 기타 경보메시지 기능으로 전 선박에 신속히 알릴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프로토콜변환기(5)는 이러한 모든 시스템을 연계하여 필요정보를 추출 및 전송/수신하는 제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tegrating Figures 6, 7, and 8, it is possible to quickly collect all the situation and navigational information occurring at sea and notify all vessels quickly by radio data function or voice broadcasting or other alarm message function. The converter 5 performs all functions of extracting and transmitting / receiving necessary information by linking all these syste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6도 및 제7도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하는 상선과 어선이 당초 통신망을 이용하는 각각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매개수단 및 자동교신설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대방의 동태를 상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급한 상황에서 조난통신과 같이 이를 수신한 모든 선박이 자동중계하거나 자동응답하는 등의 통신망에 소란을 주지 않는 통신링크설정요구신호만 전송하여서 즉시 상대방을 선택 호출할 수 있으므로 해상에 있어서 충돌사고를 예방하거나 충돌사고에 접하여 신속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바 저렴한 비용 및 효율적인 방법으로 해양사고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6 and 7, the moving merchant ship and the fishing vessel are provided with an intermediary means and an automatic communication setting means which can efficiently exchange informa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espective purpose of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By not only knowing the other party's dynamics at all times, but also sending the communication link setting request signal that does not disturb th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distress communication in which all vessels receiving it are automatically relayed or automatically responded in an emergency. As it can be called sel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accidents at sea or to take quick countermeasures in the face of collision accidents,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marine accidents in a low cost and efficient manner.

또한 제8도의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으로 항행정보를 제공하는 분야에 있어서 문자방송과 음성방송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으면서도 아나운서와 통신인력이 불필요하므로 서비스를 확대하여도 추가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이는 곧 다양한 환경으로 항행자료를 수집 방송하는 NAVTEX를 기존 음성통신체계에 그대로 접목하여 다방면으로 활용함으로써 별도 비용없이 사용자층을 기하급수적으로 확대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8, in the field of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by broadcasting,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ext broadcasting and voice broadcasting, but also does not require announcer and communication manpower, so that additional cost is not required even if the service is expanded. In other words, NAVTEX, which collects and broadcasts navigation data in various environment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by integrating into existing voice communication system, thereby achieving an exponentially expanding user base without additional costs.

상기 제6도, 제7도 및 제8도를 통합하는 구성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모든 수단으로 수집하여 모든 수단으로 제공하는 바 바다에서 운항중인 모든 선박이 운항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The integrated configuration of FIG. 6, FIG. 7 and FIG. 8 collects the situation occurring in the sea by all means and provides all means so that all the vessels operating in the sea can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ion.

Claims (16)

이 기종 통신시스템간 상호 정보를 교류하여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토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ensuring the safety of users by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각각의 통신시스템의 특성인 별도의 조건으로서 그 통신망에 접속된 이용자의 각종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자료수집단계와;A data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various situation information of a use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s a separate condi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each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수집된 자료 중 적어도 서로에게 필요한 정보만 추출하는 정보추출단계와;A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only information necessary for at least each other of the collected data; 상기 추출된 정보를 상호 연계하는 상호연계단계와;An interconnecting step of interconnect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상기 연계 도달된 정보를 각각의 통신시스템 이용자 환경에 맞는 조건으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로서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서비스방법And a means configured as 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linked and reached information on a condition suitable for each communication system user environment. 서로 다른 통신채널을 사용하는 이용자간 상호 교신설정을 신속히 수행토록 하는 교신설정 방법에 있어서,In a communication setting method for quickly performing mutual communication setting between users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유사시 통신링크설정요구 경보를 구동하는 경보발신제어단계와;An alarm call control step of driving a communication link setting request alarm in case of emergency; 상기 경보발신제어에 따라 주어진 조건의 통신링크설정요구용 경보신호를 만드는 경보발생단계와;An alarm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n alarm signal for requesting a communication link setting under a condition according to the alarm originating control; 상기 발생된 경보신호를 전파환경에 맞도록 송신기를 제어하여 전파로 송출하는 송신기제어단계와;A transmitter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transmitter to transmit the generated alarm signal in a radio wave environment; 상기 전파로 송출된 경보신호를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경보검출단계와;An alarm detection step of automatically detecting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by the radio wave; 상기 경보검출 결과에 따라 인위적 및/또는 자동적인 교신을 설정하는 교신설정단계로서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처리방법And means configured as a communication setting step of establishing an artificial and / or automatic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larm detection result. 이동중인 통신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user, 이질적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를 음성방송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수집된 정보를 방송용 문자정보로 만드는 과정과 주어진 방송조건을 설정 및 전송하는 방송조작단계 및 전송단계와;A process of mak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into text information for broadcasting in order to prov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llected from heterogeneous systems by voice broadcasting, and a broadcasting operation step and a transmission step of setting and transmitting a given broadcasting condition; 상기 전송단계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으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서 최종 서비스하는 송출단계로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서비스방법And a means for converting a text into voice using a file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step, and transmitting the final service. 이 기종 통신시스템을 상호 결합하여 각각의 통신이용자에게 적합한 환경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연동시스템 구성에 있어서,In the information linkage system configuration for providing services in a suitable environment for each communication user by combining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어선(1)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어선(1)에 각종 정보를 제공토록 구성되는 수단의 대어선 디지털 어업통신망(2);A fishing boat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2 of means configured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fishing boat 1 a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fishing boat 1; 상선(3)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상선(3)에 각종 정보를 제공토록 구성되는 수단의 선박자동식별시스템(4);A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4 of a means configured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merchant ship 3 a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merchant ship 3; 상기 디지털 어업통신망(2)과 선박식별시스템(4)의 정보 중 상호 필요한 정보만 선별적으로 추출하여 상호 프로토콜에 알맞는 환경으로 제공하는 프로토콜변환기(5);A protocol converter (5) for selectively extracting only mutual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of the digital fishery communication network (2) and the ship identification system (4) and providing the environment suitable for a mutual protocol; 상기 프로토콜변환기(5)를 이용하여 디지털 어업통신망(2)과 선박자동식별시스템(4)을 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함으로써 이 기종 통신시스템간 정보가 연동되어 각각의 이용자에게 알맞은 정보서비스만 수행토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시스템.By connecting the digital fishery communication network 2 and the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4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protocol converter 5, information between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is interlocked so that only the information service suitable for each user is performed. An information system for preventing marine accidents, comprising means. 별도의 통신채널을 이용하는 이용자간 산호 교신설정을 신속하게 하는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In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quickly setting coral communication between users using a separate communication channel, 이동체에 설치되는 재래식 제1송수신기(6) 및 제2송수신기(7);A conventional first transmitter 6 and a second transmitter 7 installed on the moving body; 제1송수신기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위급상황 발생시 특정한 통신링크설정 요구용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경보신호발신기(9);An alarm signal transmitter 9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transmitt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signal for a specific communication link setting request when an emergency occurs; 제1송수신기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 평상시 설정된 채널의 신호를 감시하다가 위급상황에서 제1송수신기(6)로부터 발생되는 특정한 통신링크설정 요구용 경보신호를 포착함으로써 경보신호 포착 사실을 메시지로 알리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자동경보수신기(10);It is equipped with a function to monito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er, and monitors the signal of the channel normally set, and captures an alarm signal by capturing a specific communication link setting request alarm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transmitter 6 in an emergency situation. Auto repair receiver (10) consisting of means for informing the facts in the message; 상기 경보신호발신기(9)에 의한 경보신호가 포착되었을 경우 인위적으로 제2송수신기(7)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교신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시스템.An information system for preventing marine accidents, comprising means configured to artificially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using the second transmitter 7 when the alarm signal by the alarm signal transmitter 9 is captured. .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이동체에 설치되는 위성측위장치(8)와;A satellite positioning device 8 installed on the moving object; 경보신호발신기(9)가 상기 위성측위장치(8)에도 연결되어 그 측위데이터도 포함하여서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시스템.And an alarm signal transmitter (9) further connected to the satellite positioning device (8) and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signal including its positioning dat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위성측위장치(8)로부터의 측위데이터를 전자해도 위에 좌표로 표시하고 자신의 위치 부근에서 발생된 신호인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메시지로 나타내는 전자해도시스템(11);을 자동경보수신기의 출력에 연결하여서 구성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시스템.The electronic chart system 11 which displays the positioning data from the satellite positioning device 8 on the electronic chart as a coordinate on the electronic chart and analyzes whether it is a signal generated near its own position and displays the result as a message in the output of the automatic repair device. An information system for preventing a marine accid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ans configured by connecting. 제5항에 있어서, 수신측단의 어느 하나 장치에서 경보신호 포착사실을 음성메시지로 알리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시스템.6. The information system for preventing a marine accident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informing a voice message of an alarm signal capture fact at any one of the receiving end devices.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경보신호가 포착되어 그 상대방이 자신에 해당됨을 인지하였을 경우 그 응신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시스템.9. The method of claim 6, 7, or 8,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response when the alarm signal is detected and the counterpart recognizes the correspondent. Information systems. 자동경보수신기(10)와 제2송수신기(7)를 구비한 상대방과 통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1송수신기(6)를 구비한 이동체에 있어서, 위급상황 발생시 통신링크설정요구용 특정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의 경보신호발신기(9)를 제1송수신기의 입력단에 연결하여서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경보신호발신용 통신단말장치.In a mobile body having a first transmitter / receiver 6 for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equipped with an auto repair receiver 10 and a second transmitter / receiver 7, a specific alarm signal for requesting communication link setting is generated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a means configured by connecting an alarm signal transmitter (9) of the means to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transmitter. 자동경보수신기(10)와 제2송수신기(7)를 구비한 상대방과 통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통신링크설정요구용 경보신호발신기(9)를 구비하는 이동체에 있어서, 위급상황 발생시 특정한 통신링크설정요구용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신호발신기(9)와 연계될 수 있는 제1송신기(6)를 구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경보신호발신 전파송출용 통신단말장치.A mobile device having an alarm signal transmitter (9) for requesting communication link setting for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equipped with an auto repairing receiver (10) and a second transmitter / receiver (7), for requesting a specific communication link setting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a means having a first transmitter (6)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an alarm signal transmitter (9)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경보신호발신기(9)와 제1송신기(6)를 구비한 상대방과 통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2송수신기(7)를 구비한 이동체에 있어서, 위급상황 발생시 특정한 통신링크설정요구용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무선신호를 포착하기 위한 경보신호발신기(9)를 무선망에 연결하여서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경보신호수신용 통신단말장치.A mobile body having a second transmitter / receiver 7 for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equipped with an alarm signal transmitter 9 and a first transmitter 6, which generates an alarm signal for a specific communication link setting request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a means configured by connecting an alarm signal transmitter (9) for capturing a radio signal to a wireless network, wherein the alarm signal receiving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 marine accident prevention. 별도의 단말기를 구비한 이용자에게 유사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In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that provides a variety of similar information to a user having a separate terminal, 이동체에 설치되는 재래식 송수신기(6 또는 7);A conventional transceiver 6 or 7 installed in the moving object; 이동체에 음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체에 시설되는 송신기(12);A transmitter 12 installed in the fixed body to provide voice information to the mobile body; 이동체에 문자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체에 시설되는 NAVTEX시스템(13);A NAVTEX system 13 installed in the fixed body to provide text information to the mobile body; 상기 NAVTEX시스템(13)과 송신기(12) 사이에 연결되어 NAVTEX시스템에서 문자로 제공되는 정보를 설정된 규칙의 음성으로 자동 변환하여 송신기(12)로 공급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송신기를 구동함으로써 송신기(12)를 이용하여 음성신호 전파로서 송출되도록 하는 문자음성변환장치(14);The transmitter 12 is connected between the NAVTEX system 13 and the transmitter 12 so as to automatically convert information provided by text in the NAVTEX system into a voice of a set rule and supply the same to the transmitter 12 and drive the transmitter under the set conditions. A text-to-speech device 14 for transmitting as a voice signal propagation by using; 상기 송신기(12)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신호 전파를 송수신기(6 또는 7)로서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시스템.And means configured to receive, as a transceiver (6 or 7,), a voice signal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2). NAVTEX시스템(13)에서 활용되는 정보가 육상의 송신기(12)를 이용하여 송출됨으로써 이동체에 시설되는 음성 수신기(6 또는 7)로서 이를 수신토록 결합되는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NAVTEX시스템과 송신기 사이에 연결되어 문자로 제공되는 정보를 설정된 규칙의 음성으로 자동 변환하여 송신기(12)로 공급하고 설정된 조건으로 송신기를 구동함으로써 음성신호 전파로서 송출되도록 하는 문자음성변환 기능을 구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시스템의 문자음성변환용 통신단말장치.In the system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utilized in the NAVTEX system 13 is transmitted by using the transmitter 12 on land, and coupled to receive it as a voice receiver 6 or 7 installed in the mobi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NAVTEX system and the transmitter is performed. And a means for configuring a text-to-speech function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text into the voice of a set rule to supply the transmitter 12 to the transmitter 12 and to drive the transmitter under the set conditions to be transmitted as a voice signal wav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 character voice conversion of information system to prevent marine accidents. NAVTEX시스템(13)에서 활용되는 정보가 육상의 문자음성변환장치(14)를 이용하여 문자/음성으로 변환됨으로써 이동체에 시설되는 음성 수신기(6 또는 7)로서 이를 수신토록 결합되는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In the system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utilized in the NAVTEX system 13 is converted to text / voice using the on-the-ground text-to-speech device 14, and is combined to receive it as a voice receiver 6 or 7 installed in the mobile body. 문자음성변환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무선전파로 송출됨과 아울러 문자음성변환장치에서 주어진 조건으로 송신기의 작동을 제어토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문자음성변환신호의 전파송출용 통신단말장치.Propagation of the text-to-speech signal for marine accid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output from the text-to-speech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radio wave, and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under the given conditions in the text-to-speech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 transmission. 이 기종 통신시스템을 상호 결합하여 각각의 통신이용자에게 적합한 환경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연동시스템 구성에 있어서,In the information linkage system configuration for providing services in a suitable environment for each communication user by combining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어선(1)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어선(1)에 각종 정보를 제공토록 구성되는 수단의 대어선 디지털 어업통신망(2);A fishing boat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2 of means configured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fishing boat 1 a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fishing boat 1; 상선(3)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상선(3)에 각종 정보를 제공토록 구성되는 수단의 선박자동식별시스템(4);A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4 of a means configured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merchant ship 3 a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merchant ship 3; 어선 및 상선에 문자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NAVTEX시스템(13);A NAVTEX system 13 for providing character information to fishing vessels and merchant vessels; 상기 디지털 어업통신망(2) 및 /또는 선박자동식별시스템(4) 및/또는 NAVTEX시스템(13)에서 문자로 제공되는 정보를 설정된 규칙의 음성으로 자동변환 후 전파로 서비스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문자음성변환장치(14) 및 송신기(12);Text-to-speech conversion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vert information provided by text in the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2 and / or the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4 and / or the NAVTEX system 13 into a voice of a set rule and then serve as a radio wave. Device 14 and transmitter 12; 상기 디지털 어업통신망(2) 및/또는 선박식별시스템(4) 및/또는 NAVTEX시스템(13)과 정보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필요정보를 선별 추출 후 상호 프로토콜에 알맞는 환경으로 연계하는 프로토콜변환기(5);Protocol converter (5) for screening and extracting necessary information so as to link information with the digital fishery communication network (2) and / or the ship identification system (4) and / or the NAVTEX system (13). ); 상기 프로토콜변환기(5)를 이용하여 디지털 어업통신망(2) 및/또는 선박자동식별시스템(4) 및/또는 NAVTEX시스템(13) 및/또는 음성 송출용 송신기(12)가 상호 정보를 공동 활용함으로써 각각의 이용자에게 알맞은 정보서비스가 수행토록 구성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정보시스템.By using the protocol converter 5, the digital fishing communication network 2 and / or the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4 and / or the NAVTEX system 13 and / or the transmitter 12 for voice transmission jointly utilize mutual information. An information system for preventing marine accidents, comprising means configured to perform an information service suitable for each user.
KR1020020021702A 2002-04-19 2002-04-19 A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cessor and system and terminal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KR2002003414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702A KR20020034143A (en) 2002-04-19 2002-04-19 A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cessor and system and terminal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KR1020030021767A KR100542019B1 (en) 2002-04-19 2003-04-07 A radio relay service method and radio relay processor and radio relay system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b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702A KR20020034143A (en) 2002-04-19 2002-04-19 A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cessor and system and terminal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143A true KR20020034143A (en) 2002-05-08

Family

ID=197204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702A KR20020034143A (en) 2002-04-19 2002-04-19 A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cessor and system and terminal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KR1020030021767A KR100542019B1 (en) 2002-04-19 2003-04-07 A radio relay service method and radio relay processor and radio relay system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b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767A KR100542019B1 (en) 2002-04-19 2003-04-07 A radio relay service method and radio relay processor and radio relay system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b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34143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964B1 (en) * 2009-02-24 2012-02-15 박경수 A shoes for strengthening concentration
KR101314308B1 (en) * 2010-02-26 2013-10-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managing traffic using previous navigational preference patterns based navigational situ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388608B1 (en) * 2013-08-12 2014-04-23 대한민국 Automatic voice alarm system for improving cognition at receiving message about sea emergency signal
KR101410956B1 (en) * 2013-02-20 2014-06-25 이주환 Implementation Sytem and Method for Collision Prediction, Alarm Methods Between Ships Through Comparison of Integrated Heterogeneous Network
US8816836B2 (en) 2010-11-29 2014-08-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afe op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object
KR101457169B1 (en) * 2013-03-29 2014-10-31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ress notification device and automatic distress notification system for small 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523B1 (en) * 2003-08-22 2007-02-07 서울텔엔지니어링(주) A free-way radio relay service method and the relay processor and the relay system and using it terminal for a vessel emergency wireless communication
KR100791122B1 (en) * 2004-04-09 2008-01-02 이영섭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mounting moving object
KR101034622B1 (en) * 2004-08-27 2011-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short wav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676940B1 (en) * 2004-12-24 2007-01-31 주식회사 지오에스엠 Pseudo-time reference signal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KR100706845B1 (en) * 2006-10-17 2007-04-13 (주)지엠비 Auto wiring system
KR100732710B1 (en) * 2007-01-11 2007-06-27 (주)일래스틱네트웍스 Free-pass system for ship's
KR100932788B1 (en) 2007-12-14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hip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and navigation structure terminal device
KR101161338B1 (en) 2010-10-29 2012-07-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apparatus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ship using the H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304910B1 (en) * 2011-04-15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creation for ship monitoring
KR20140010624A (en) 2012-07-16 2014-01-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KR101658169B1 (en) * 2012-10-22 201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ffic considering GPS jamming
KR101250858B1 (en) 2012-11-26 2013-04-05 (주)썬커뮤니케이션 Marine accident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635142B1 (en) 2012-12-31 2016-06-30 (주)지엠티 Port Operations Scheduling Method Using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KR101526733B1 (en) * 2013-12-13 2015-06-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cour phenomenon detecting device and scour phenomenon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53919B1 (en) * 2015-05-13 2015-09-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ystem for connecting heterogeneous maritim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87121B1 (en) * 2017-04-04 2018-08-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of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passenger ship
KR102235757B1 (en) * 2018-12-26 2021-04-02 대한민국 Wireless signal detec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display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KR102291515B1 (en) * 2020-03-25 2021-08-20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Howling Prevention Method of PTT Radio Terminal for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964B1 (en) * 2009-02-24 2012-02-15 박경수 A shoes for strengthening concentration
KR101314308B1 (en) * 2010-02-26 2013-10-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managing traffic using previous navigational preference patterns based navigational situation and method thereof
US8674854B2 (en) 2010-02-26 2014-03-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ff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of vehicle for each navigational situation
US8816836B2 (en) 2010-11-29 2014-08-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afe op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object
KR101410956B1 (en) * 2013-02-20 2014-06-25 이주환 Implementation Sytem and Method for Collision Prediction, Alarm Methods Between Ships Through Comparison of Integrated Heterogeneous Network
KR101457169B1 (en) * 2013-03-29 2014-10-31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ress notification device and automatic distress notification system for small ship
KR101388608B1 (en) * 2013-08-12 2014-04-23 대한민국 Automatic voice alarm system for improving cognition at receiving message about sea emergency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458A (en) 2003-05-09
KR100542019B1 (en)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4143A (en) A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cessor and system and terminal for prevent a accident at sea
KR101250858B1 (en) Marine accident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028115B1 (en) Automatic inward-outward analysis and sea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ais two-way communication
CN100383831C (en) Ship information system in inland river
JP7391315B2 (en) Ship movement sharing navigation support system
KR20070117244A (en) Integrated intelligent maritime safety system
KR100404428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Warning System at Sea Disaster
CN111181657A (en) Ocean distributed self-organizing network system
KR100738259B1 (en) Shipping voyage communicate equipage marine vhf wireless synthesize and shipping location transmitter terminal
KR101388608B1 (en) Automatic voice alarm system for improving cognition at receiving message about sea emergency signal
WO2011027032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al information to electronic chart systems for visualization
WO2008084902A1 (en) Free-pass system for ships
KR20080004825A (en) Integrated maritime safety apparatus
JP2010120561A (en) Sailor position recording system and sailor position recording method
KR101749838B1 (en) Acqus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Of VHF Information Using VHF Identification Device And The Method
KR100436922B1 (en) Method for satellite transmission of ship tracking data
KR101755326B1 (en) Ipchulhang management system of Offshore vessels using Beacon Tag
CN114520968A (en) Shipborne intelligent radar monitoring system
Paladin et al. Advanced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 in Maritime Search and Rescue Actions
KR20150112253A (e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utilizing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60107594A (en) Position tracking method for ship of the adjoining sea using shortwave radio commun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KR101749839B1 (en) Transmitting System Of VHF Information Using VHF DSC And The Method
KR1021645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Integration Distribution of AIS Message
KR102458798B1 (en) Drowning person search and rescue system using automatic maritime radio device
KR20060107595A (en) Position tracking method for ship of the adjoining sea using shortwave radio commun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