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284A -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 - Google Patents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284A
KR20020031284A KR1020010059717A KR20010059717A KR20020031284A KR 20020031284 A KR20020031284 A KR 20020031284A KR 1020010059717 A KR1020010059717 A KR 1020010059717A KR 20010059717 A KR20010059717 A KR 20010059717A KR 20020031284 A KR20020031284 A KR 20020031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calling
telephone number
closed state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8715B1 (ko
Inventor
하마미쓰지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2003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발신조작의 스텝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작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을 제공한다.
제어부(20)는 개폐검출스위치(19)의 출력에 의하여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면, 이 발신처리 서브루틴을 호출한다.
제어부(20)는, 스텝(100)에서 서브디스플레이(18)에 메모리다이얼을 호출하여 표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하고 있지 않으면 그대로 종료하지만, 표시하고 있으면 스텝(101)으로 이행하여, 표시중의 메모리다이얼에 발신하고 종료한다.

Description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FOLDING-TYP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UTO DIALING PROCES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소망하는 발신처를 선택한 후, 소정의 발신조작에 의해 상기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에 다이얼할 수 있는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있어서,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등의 이동체통신기는, 소형 경량화나 통신품질의 향상 및 본체가격이나 통신요금의 인하에 의해 광범위하게 보급되기에 이르고 있으며, 특히 젊은이들의 사이에서는 필수품목으로 되어 있다.
또, 최근에 있어서는, 패션성이나 조작편리성이 뛰어난 폴더식 이동체통신기에 인기가 집중되어 있으며, 제조 각사가 경쟁적으로 폴더식 이동체통신기를 판매할 것으로 예상된다.
폴더식 이동체통신기의 종래의 기술로서, 착신시에 폴드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검출하여 착신음을 정지시키는 기술(일본국 특개평6-132876호 공보 또는 특개평8-307488호 공보)이나, 사용자가 폴드된 상태에서도 착신등의 알림정보를 알 수 있는 서브표시기를 메인표시기와 함께 구비하는 기술(일본국 특개평11-74953호 공보)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폴더식 이동체통신기는 이미 주지의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폴더식 이동체통신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친구나 회사동료에게 전화를 하는 경우, 우선, 통신기본체를 닫은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하고,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해당되는 친구나 동료를 찾아낸다. 그리고, 사용자가 통화키 버튼을 누르는 등의 발신조작에 의해 다이얼을 하며, 상대를 호출하여 통화를 하게 되는 바, 발신조작으로서는 결코 적은 조작이라고는 말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조작편리성의 점에 있어서는 개량하여야 할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신조작의 스텝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작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서브디스플레이의 표시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천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발신방법의 발신처리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본체 2 ; 메인디스플레이
15 ; 안테나 18 ; 서브디스플레이
20 ; 제어부 20a ; ROM
20b ; RAM 21 ; 송수신부
22 ; 변복조부 23 ; 조작부
24 ; 음성처리부
청구항 1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폴더식 통신단말장치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소망하는 발신처를 선택한 후, 소정의 발신조작에 의해 상기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 할 수 있는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개폐상태검출수단과, 상기 개폐상태검출수단이 닫힌 상태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선택된 발신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을 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신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이 선택된 발신처를 표시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개폐상태검출수단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자동발신방법은 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소망하는 발신처를 선택한 후, 소정의 발신조작에 의해 상기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할 수 있는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자동발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이 닫힌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가운데에서 선택된 발신처를 표시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이 표시하고 있는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하는 제3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제3스텝은 상기 제2스텝이 선택된 발신처를 표시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제1스텝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외관도이며, 도 1의 (a)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 도 1의 (b)가 열린 상태의 좌측면도 및 도 1의 (c)가 닫힌 상태의 정면도이다.
1은 폴더식 통신단말장치본체이며, 통화조작이나 전자메일조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열린 상태로 하며, 한편, 대기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닫힌 상태로 한다. 단, 폴더식 통신단말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닫힌 상태로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소망하는 발신처를 선택한 후, 장치본체를 열린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해당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자동적으로 다이얼하도록 되어 있다.
2는 메인 디스플레이이며, 컬러액정표시장치, DMD(Digital Mirror Device)나 유기EL표시장치, PDP(Plasma Display Panel)등으로 구성되며, 통지할 정보, 문자정보나 현재시각정보 등의 각종 상세한 정보를 표시한다. 그런데,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표시내용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메인 디스플레이(2)는 소등 또는 전원을 OFF로 하여 절전에 기여한다.
3은 플렉시블키이며, 메인디스플레이(2)의 하부에 표시되는 항목버튼을 선택하는 키가 된다. 예를 들면, 대기하는 중에 있어서, 좌측버튼은 기능키(이하,「F키」로 표기), 중간버튼은 메모키 및 우측버튼은 문자키의 기능이 부여된다.
4는 4접점 키이며, 상하좌우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표시내용을 그 방향으로 차례로 스크롤한다.
5는 E메일 키이며, 전자메일기능의 표시화면으로 이행할 때에 사용한다.
6은 메뉴/OK 키이며, 메뉴항목으로 이행하거나 선택한 항목을 확정한다.
7은 종료/전원 키이며, 전원을 ON/OFF 하거나 통화 종료할 때에 사용한다.
8은 텐키이며, 전화번호나 문자를 입력한다.
9는 마이크이며, 통화중에 음성을 송신한다.
10은 이어폰단자커버이며, 이어폰단자(도시생략)를 보호한다.
11은 WEB키이며, 인터넷접속기능의 표시화면으로 이행할 때에 사용한다.
12는 사이드OK 키이며, 메모리의 재생이나 음성녹음 및 선택한 항목을 확정한다.
13은 사이드스크롤키이며, △버튼 및 ▽버튼으로 구성되며, 표시하고 있는페이지를 전후로 스크롤할 때에 사용한다. 또, 사이드스크롤키(13)의 △버튼 또는 ▽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에 의하여, 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을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차례로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메모리다이얼은 후술하는 서브디스플레이(18)에 표시된다.
14는 개시키이며,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에 사용한다.
15는 안테나이며, 통신에 필요한 전파를 수신 및 송신한다.
16은 스피커이며, 착신음, 상대방의 음성이나 각종 메시지음등이 재생된다.
17은 착신램프이며, 착신이 있으면 녹색으로 점멸하여 통지하고, 충전 중에는 적색으로 점등한다.
18은, 서브디스플레이이며, 흑백 또는 컬러액정표시장치, DMD(디지털·미러·디바이스)나 유기EL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로 구성되며, 각종 간이정보를 표시한다. 이 흑백액정표시장치의 배후조명은,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통지된 경우와 통지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와 되어있지 않은 경우를 구별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적어도 녹색과 적색의 두개의 광원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대방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으며, 다시 발광색을 지정하는 정보도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그 지시에 따라서 발광색을 변경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수만큼 색이 다른 광원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컬러표시장치의 경우에는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만큼 구비하게 할 필요는 없으며, 지정된 색으로 발광하면 좋다. 또한,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가 열린상태에서는 메인디스플레이(2)에 상세한 내용이 표시되기 때문에, 서브디스플레이(18)는 배후조명만 소등하여 절전에 기여한다. 따라서, 표시되어 있는 문자는 판독할 수 있다. 또, 서브디스플레이(18)가 소등하고 있을 때, 사이드 OK키(12) 또는 사이드 스크롤키(13)를 조작하면, 서브디스플레이(18)의 배후조명은 점등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소등된다.
19는 개폐검출스위치이며, 통신단말장치(1)가 열린 상태에 있는지, 또는 닫힌 상태에 있는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이다. 단,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가 열려 있는 것을 검출하는 광센서나, 열린 각도를 검출하는 엔코더 등의 주지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면이며, 예를 들면, IS(Interim Standard)-95베이스의 CDMA방식 휴대전화의 이동단말장치에 적용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는 안테나(15), 송수신부(21), 변복조부(즉, 베이스밴드처리부 등을 포함)(22), 음성처리부(24), 마이크(9), 스피커(16), 제어부(20), 메인표시부(2), 서브표시부(18) 및 조작부(2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ROM(Read Only Memory)(20a) 및 RAM(Random Access Memory)(20b)등으로 이루어지며, ROM(20a)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 RAM(20b)에는 송신하는 정보나 수신한 정보 및 전화노트데이터(예를 들면, 메모리다이얼 999건의 데이터)등이 일시적으로 또는 소거/변경조작이 실시될 때까지 격납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표시부(2) 및 서브표시부(18)는 각각 메인디스플레이(2) 및 서브디스플레이(18)에 대응한다.
조작부(23)는 플렉시블키(3), 4접점키(4), E메일키(5), 메뉴/OK키(6), 종료/전원키(7), 텐키(8), WEB키(11), 사이드 OK키(12), 사이드 스크롤키(13)(△버튼 및 ▽버튼을 포함), 개시키(14) 및 개폐검출스위치(19)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에 있어서, 수신전파는 안테나(15)를 거쳐서 수신부(21)에서 수신되며, 변복조부(22)에서 복조된다. 이 변복조부(22)에서 복조된 음성정보는 음성처리부(24)로 공급되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음성처리부(24)에서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후, 스피커(16)에서 전기-음향으로 변환되어 음성이 되어 출력하게 된다.
또, 변복조부(22)에서 복조된 수신데이터는 제어부(20)로 공급된다. 이 수신데이터는 제어데이터나 문자데이터 등(예를 들면, 상대방전화번호)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메인표시부(2)나 서브표시부(18)에 공급되어 문자정보로서 표시되거나 RAM(19a)에 격납된다. 이 수신데이터의 제어데이터에는, 음성통신의 착신정보(호출측의 전화번호를 포함)나, SMS베어러(Short Message Bearer)라고 칭하는 방식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전자메일 및 문자메시지의 착신정보 등의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다.
한편, 입력된 음성은 마이크(9)에서 음향-전기로 변환되며, 음성처리부(24)에서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후, 변복조부(22)에 공급된다. 또, 조작부(23)로부터의 입력정보는 제어부(20)를 경유하여 필요에 따라 RAM(20b)에 격납됨과 동시에, 송신데이터로서 변복조부(22)에 공급된다. 변복조부(22)는 공급되는 음성신호나 송신데이터를 변조한 후, 송수신부(21)를 거쳐서 안테나(15)로부터 송신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자동발신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의 사용자가 종료/전원키(7)를 조작하여 전원을 ON으로 하면, 제어부(20)는 ROM(20a)으로부터 제어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필요한 초기설정을 실시한 후, 기지국(도시생략)과 소정의 순서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위치등록을 실시하고,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그리고, 사용자가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를 열린 상태(즉, 도1(a) 또는 도1(b)의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즉, 도1(c)의 상태)로 하였다고 가정한다.
도 3은 서브디스플레이의 표시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천이도면이다.
도 3의 (a)는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서브디스플레이(18)의 표시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20)는, 시계회로(도시생략)에서 현재의 시각을, 또 RSSI검출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계(電界)강도를 취득하여, 시각(이 경우는, 9시30분)과 전계강도에 대응한 안테나그림을 표시한다. 또한, 이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으나, 시각표시의 좌측여백부분에는 전지의 잔량, 장치의 설정상태나 메일이 착신된 것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이나 문자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도 3(b)∼도 3(d2)는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서브디스플레이(18)의 표시화면으로서, 메모리다이얼을 호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20)는 도 3(a)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이드 스크롤키(13)의 △버튼 또는 ▽버튼을 길게 누르면, 메모리다이얼의 호출조작인 것을 판단하여, 먼저 메모리다이얼 No.001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 경우, 전화노트데이터에는 전화번호 외에 이름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다이얼번호의「No.001」및 대응하는 상대방의 이름인「홍일동」을 표시한다(도 3(b)참조).
제어부(20)는 도 3(b)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이드 스크롤키(13)의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메모리다이얼의 호출조작인 것을 판단하여, 메모리다이얼 No.002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 경우, 전화노트데이터에는 전화번호 외에 이름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다이얼번호의「No.002」및 대응하는 상대방의 이름인「홍이동」을 표시한다(도 3(c1)참조).
한편, 사용자가 사이드 스크롤키(13)의 △버튼을 클릭하면, 하나 앞의 메모리다이얼의 호출조작인 것을 판단하여, 최후의 메모리다이얼 No.999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 경우, 전화노트데이터에는 이름이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다이얼번호의「No.999」및 대응하는 전화번호인「090-0999-0999」를 표시한다(도 3(d1)참조). 또한, 도 3(b)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이드 스크롤키(13)의 △버튼 또는 ▽버튼을 길게 누르면, 메모리다이얼을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도 3(c1)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이드 스크롤키(13)의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메모리다이얼의 호출조작인 것을 판단하여, 메모리다이얼 No.003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 경우, 전화노트데이터에는 전화번호 외에 이름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다이얼번호의「No.003」및 대응하는 상대방의 이름인「홍삼동」을 표시한다(도 3(c2)참조).
한편, 사용자가 사이드 스크롤키(13)의 △버튼을 클릭하면, 하나 앞의 메모리다이얼의 호출조작인 것을 판단하여, 최후의 메모리다이얼 No.998의 내용을 표시한다. 이 경우, 전화노트데이터에는 이름이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다이얼번호의「No.998」및 대응하는 전화번호인「090-0998-0998」을 표시한다(도 3(d2)참조). 또한, 도 3(c2)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스크롤키(13)의 △버튼을 클릭하면, 하나 앞의 메모리다이얼의 내용을 표시한다(도 3(c1)참조). 또, 도 3(d2)의 표시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스크롤키(13)의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메모리다이얼의 내용을 표시한다(도 3(d1)참조).
그 다음, 상기 도 3(b)∼도 3(d2)의 어느 표시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를 닫힌 상태(즉, 도 1(c)의 상태)에서 열린 상태(즉, 도 1(a) 또는 도 1(b)의 상태)로 하면, 제어부(20)는, 개폐검출스위치(19)의 출력에 의해 열린 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검출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도 3(b)에서는 서브디스플레이(18)에 메모리다이얼 No.001의「홍일동」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발신요구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홍일동의 전화번호인「090-0001-0001」로 자동으로 다이얼하여, 통신규격으로 규정된 접속순서에 따라서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화가능의 상태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발신방법의 발신처리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면 이다.
제어부(20)는 개폐스위치(19)의 출력에 의해 폴더식 통신단말장치(1)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면, 이 발신처리 서브루틴을 호출한다.
제어부(20)는 스텝(100)에서, 서브디스플레이(18)에 메모리다이얼을 호출하여 표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하고 있지 않으면 그대로 종료하지만, 표시하고 있으면 스텝(101)으로 이행하여 표시하고 있는 메모리다이얼에 발신하고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에 의하면, 서브디스플레이에 메모리다이얼을 호출하여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장치본체를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하면, 표시하고 있는 메모리다이얼에 자동적으로 발신하게 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발신조작과 비교하여 조작스텝의 수가 감소하여 조작편리성이 향상된다.

Claims (2)

  1. 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소망하는 발신처를 선택한 후, 소정의 발신조작에 의해 상기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할 수 있는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개폐상태검출수단과,
    상기 개폐상태검출수단이 닫힌 상태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선택된 발신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을 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신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이 선택된 발신처를 표시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개폐상태검출수단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2. 전화노트에 등록된 복수의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소망하는 발신처를 선택한 후, 소정의 발신조작에 의해 상기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할 수 있는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자동발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이 닫힌 상태를 검출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화노트에 등록된복수의 메모리다이얼 가운데에서 선택된 발신처를 표시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제2스텝이 표시하고 있는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하는 제3스텝을 포함하며,
    상기 제3스텝은 상기 제2스텝이 선택된 발신처를 표시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제1스텝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발신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발신방법.
KR10-2001-0059717A 2000-10-18 2001-09-26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 KR100528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8091 2000-10-18
JPJP-P-2000-00318091 2000-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284A true KR20020031284A (ko) 2002-05-01
KR100528715B1 KR100528715B1 (ko) 2005-11-15

Family

ID=1879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717A KR100528715B1 (ko) 2000-10-18 2001-09-26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80835B2 (ko)
KR (1) KR100528715B1 (ko)
CN (1) CN1251533C (ko)
HK (1) HK104425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491B1 (ko) * 2002-10-28 2005-01-2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다이얼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2513B1 (ko) * 2004-11-1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작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346A (ja) * 2000-11-14 2002-05-24 Sanyo Electric Co Ltd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装置
WO2002065303A1 (fr) * 2001-02-13 2002-08-22 Fujitsu Limited Terminal de reseau a mode d"economie d"energie
JP2003134204A (ja) * 2001-10-26 2003-05-09 Nec Corp 携帯電話機
KR100454965B1 (ko) * 2001-12-2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JP2003209602A (ja) * 2002-01-11 2003-07-25 Sony Corp 携帯電話機
JP4051978B2 (ja) * 2002-03-27 2008-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3922084B2 (ja) * 2002-04-25 2007-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その発信方法
JP4052163B2 (ja) * 2003-03-28 2008-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そ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046768A1 (en) * 2003-08-25 2005-03-03 Wu Heng Chung Reversible liquid crystal display
JP4005961B2 (ja) * 2003-09-05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メディア受信装置
US20050075127A1 (en) * 2003-09-19 2005-04-07 Simek Mark Edward Mobile phone
KR100680219B1 (ko) * 2005-03-03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부팅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US7266396B2 (en) * 2005-05-02 2007-09-04 Incelex, Llc. Self powered cell phone
KR100678130B1 (ko) * 2005-06-2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63447B1 (ko) * 2005-10-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 표시 방법
JP4405457B2 (ja) * 2005-10-28 2010-01-27 京セラ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CN101083807A (zh) * 2006-06-02 2007-12-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讯设备
JP2007336256A (ja) * 2006-06-15 2007-12-27 Toshiba Corp 無線通信端末
US20080057998A1 (en) * 2006-08-31 2008-03-06 Martin Wraber Christens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8074349A1 (en) * 2006-12-20 2008-06-26 Nokia Corporation Mobile device comprising a navigation device
JP4565002B2 (ja) * 2007-12-28 2010-10-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TWI394424B (zh) * 2009-07-10 2013-04-21 Yu Chieh Lin 利用等待電話接通的等待時間播放資訊的方法
CN109257468A (zh) * 2018-10-25 2019-01-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12165556B (zh) * 2020-09-28 2022-03-04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基于主叫方检测的呼叫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436B2 (ja) * 1993-05-14 1996-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689880B2 (ja) * 1993-12-28 1997-12-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0164372B1 (ko) * 1995-08-23 1999-02-01 김광호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JP3086641B2 (ja) * 1995-08-29 2000-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
US5966671A (en) * 1996-01-03 1999-10-12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n auxiliary actu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radiotelephone
JPH09307610A (ja) * 1996-05-10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
US6125286A (en) * 1997-06-05 2000-09-26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5953413A (en) * 1997-07-14 1999-09-14 Motorola, Inc. Close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6052579A (en) * 1997-07-29 2000-04-18 Mcc Estabrook; Davi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cellular communication
JP3209150B2 (ja) * 1997-08-12 2001-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無線通信装置
GB2330982B (en) * 1997-10-31 2002-02-06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telephone handset
JP2000244625A (ja) * 1999-02-23 2000-09-08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における音声認識起動方法及び音声認識携帯電話装置
FR2790895B1 (fr) * 1999-03-10 2001-06-01 Mitsubishi Electric France Telephone mobile a volet articule au-dessus du clavier
KR20000012247A (ko) * 1999-10-28 2000-03-06 한상관 휴대폰
JP2001136251A (ja) *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3607577B2 (ja) 2000-06-21 2005-01-0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491B1 (ko) * 2002-10-28 2005-01-2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다이얼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2513B1 (ko) * 2004-11-1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작동 방법
US7711396B2 (en) 2004-11-19 2010-05-0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8715B1 (ko) 2005-11-15
CN1251533C (zh) 2006-04-12
US6980835B2 (en) 2005-12-27
CN1349369A (zh) 2002-05-15
HK1044259B (zh) 2006-11-24
US20020045467A1 (en) 2002-04-18
HK1044259A1 (en)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715B1 (ko)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
KR100438010B1 (ko)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정보표시방법
US7162274B2 (en) Fold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US10237219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305565A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US20040014485A1 (en) Foldable and portab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3588318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発光色選択方法
JP2003022066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スペース文字表示方法
JP4201699B2 (ja) 携帯電話機
JP3524860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発光色選択方法
JP3574084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JP3524859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発光色選択方法
JP3439183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電話番号表示方法
JP2002108531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設定項目表示方法
KR10042626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사이드키를 이용한 전화걸기 방법
KR200293959Y1 (ko) 덮개가 닫혀진 상태에서 통화 및 통화목록 검색이 가능한듀얼 폴더형 이동 통신 전화기
JP3524858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設定値表示方法
JP2003008705A (ja) 折畳型・ストレート型の通信機器・携帯電話機、表示方法、表示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3110678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40037677A (ko) 피씨를 이용한 휴대폰의 호 제어 장치 및 방법
JP3229881B1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自動回線接続方法
JP200230030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送信方法
JP2005184537A (ja) 携帯電話機
JP2003087379A (ja) 携帯電話機
JP2002300216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メール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