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638A -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638A
KR20020023638A KR1020010054674A KR20010054674A KR20020023638A KR 20020023638 A KR20020023638 A KR 20020023638A KR 1020010054674 A KR1020010054674 A KR 1020010054674A KR 20010054674 A KR20010054674 A KR 20010054674A KR 20020023638 A KR20020023638 A KR 2002002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face
photographed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시타미츠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2002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6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45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one dimensional array
    • H04N1/00448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one dimensional array horizont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6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marking or otherwise tagging one or more displayed image, e.g. for selective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5Display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still pictu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37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with temporary storage before final recording, e.g. in a frame buffer
    • H04N1/214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with temporary storage before final recording, e.g. in a frame buffer in a multi-frame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수단에 현재 촬영중의 화상과 이보다 앞의 과거의 화상을 표시하여 연속적인 촬영을 할 수 있으며, 다음 촬영이 촬영의 종료후에 즉시 개시되더라도 프레이밍 처리후의 화상은 직전에 촬영된 화상으로서 표시되며, 이미 촬영된 화상에 생긴 눈 감음등의 촬영조건을 확인할 수 있어 촬영후 프레이밍 처리를 위한 요구된 시간의 지연없이 속도있게 다음 촬영을 연속 촬영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본 출원은 2000년 9월 22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0-288333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얼굴화상이 부착된 운전면허증과 다양한 증명서등과 같은 소위 ID카드를 작성하는 ID카드 작성장치에 있어서 ID카드에 부착되는 피촬영자의 얼굴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얼굴화상(얼굴사진)부착 운전면허증과 다양한 증명서등과 같은 ID카드를 작성하기 위한 ID카드 작성장치에 있어서는 카드에 부착되는 얼굴사진은 촬영장치에서 CCD카메라에 의해 전자화상으로서 촬영되며 카드의 기재사항(사람이름, 면허증번호, 사원번호)을 합성하여 인쇄장치에서 ID카드를 작성한다.
이 경우,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화상은 화상처리된 상태에서 인쇄되지 않고얼굴의 위치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화상 데이터를 가공하고, 얼굴 주변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한 후에 화상처리를 실행하며, 그 결과를 표시하고 카드 작성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카드작성화상으로서 인쇄장치에 출력하는 촬영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최근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촬영장치에 있어서는, 촬영된 복수의 화상을 카메라에 부착된 표시장치에 일괄표시시켜 촬영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더우기, ID카드 작성장치는 면허증 작성 신청서(이하, '신청서'라 함)에 부착된 촬영된 신청인의 얼굴 화상의 표준 크기 사진을 이용가능하며, 신청서상의 얼굴 사진은 전자 화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스캐너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며, 신청서상에 기록된 얼굴 사진 및 신청인 내재정보(면허증번호, 사원번호 등)가 취해진다.
이 경우, ID카드 작성장치의 표시 스크린상에 취해진 얼굴 사진을 표시하고 조작자에 의해 각각의 신청인에 대한 얼굴 사진과 신청인 내재정보를 확인하는 것에 의한 작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확인 모드로 칭함) 및 ID카드 작성장치에 의한 복수의 신청서에 대해 자동적으로 작성처리를 실행하고 조작자에 의한 카드 작성 중지명령이 조작자에 의한 각각의 신청인에 대한 확인을 통한 것이 아니라 연속 작성동안 결함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만 발생하는 방법(자동 모드로 칭함)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얼굴 사진등을 전자화상으로서 촬영하는 촬영장치에서는 촬영한 얼굴 화상을 소정 화상 크기로 조정하고 얼굴을 화상 프레임의 중앙에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프레이밍 처리(framing process)를 자동적으로 실행시키고, 그 처리결과를 표시시켜 얼굴의 위치가 적절한지 눈을 감지 않았는지를 판단한다. 전자 화상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촬영 장치는 다음의 피촬영자의 촬영에 들어가고 이전 사람의 화상을 카드 작성을 위한 인쇄장치로 보낸다. 프레이밍 처리는 일정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처리결과를 확인한 후에 다음의 촬영을 행하는 경우, 처리를 위한 대기 시간이 필요하여 연속 촬영에 제한을 두게 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후에 복수의 촬영된 사람의 화상을 일괄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일괄표시되는 동안 다음 촬영이 실행될 수 없으며, 최초 사람에서 촬영한 화상에 문제가 있어 재촬영이 요구될 때 피촬영자가 이미 떠나버렸으면 재촬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전자 화상으로서 스캐너에 의해 신청인의 촬영된 얼굴 화상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전술한 확인 모드 및 자동 모드에 있어서도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된 얼굴 화상은 단지 한사람의 신청인만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스캐너의 기능불량 또는 얼굴 화상과 신청인 내재정보와의 미스매치에 의한 얼굴 사진의 취득 결함에 있어서, 처리중의 해당 신청인의 정보의 표시동안 결함이 발생되고 조작자에 의한 오확인과 같은 실수가 발생되면 ID카드는 그대로 작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후 프레이밍 처리를 위한 요구된 시간의 지연없이 속도있게 다음 촬영을 연속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촬영장치의 화상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이 도 1의 촬영장치에 의해 직접 촬영될 때의 통상 화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4는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이 도 1의 촬영장치에 의해 직접 촬영될 때의 재촬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이 제 2 실시예의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될 때의 통상 화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이 제 2 실시예의 촬영장치에 의해 직접 촬영될 때의 재촬영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영부(촬영수단) 2 : 화상처리부(화상처리수단)
3 : 제 1 화상 버퍼 4 : 제 2 화상 버퍼
5 : 제 3 화상 버퍼 6 : 표시제어부(제어수단)
7 : 화상표시부(표시수단) 8 : 조작 패널
9 : 데이터 기억부 10 : 촬영제어부(제어수단)
11 : 카드작성장치 12 : 문자표시영역
13, 15, 17 : 화상표시영역 14, 16, 18 : 화상번호표시영역
19 : 재촬영요구 표시영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는,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대한 소정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수단, 복수의 화상표시영역을 갖는 표시수단, 및 화상 처리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현재 촬영중의 화상과 이보다 전에 촬영한 과거의 복수의 화상을 상기 복수의 화상 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방법은,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화상에 대한 소정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처리된 화상에 기초하여 현재 촬영중의 화상과 이보다 전에 촬영한 과거의 복수의 화상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촬영장치는 예를 들면 얼굴 화상이 부착된 운전면허증과 같은 ID카드를 작성하기 위한 ID카드 작성장치에 사용된다. 촬영장치는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직접 촬영하거나 또는 촬영된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인 얼굴 사진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으로서의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1)를 가진다. 상기 촬영장치는 카메라(1)에서 촬영된 얼굴 화상을 조정하고 화상 프레임의 중앙에 얼굴을 이동시키는 프레이밍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수단으로서의 화상처리부(2)를 가진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는 화상처리부(2)에서 처리된 화상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제 1 화상 버퍼(3), 제 2 화상 버퍼(4), 제 3 화상 버퍼(5), 화상 버퍼(3-5)내의 각 화상을 후술하는 화상표시부(7)에 표시시키는 제어수단으로서의 표시제어부(6), 복수의 화상표시영역을 갖는 표시수단으로서의 화상표시부(7)를 가진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는 촬영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8), 피촬영자의 식별정보로서의 화상번호와 성명과 같은 데이터를 유지하는 데이터 기억부(9), 및 전체적인 제어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서의 촬영제어부(CPU)(10)를 가진다.
도 2는 화상표시부(7)의 표시영역을 도시한다. 즉, 화상표시부(7)는 "준비"와 같은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표시영역(12), 현재 촬영중의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13), 및 화상표시영역(13)의 화상에 관련되는 화상번호를 표시하는 화상번호 표시영역(14)을 가진다. 또한, 화상표시부(7)는 화상표시영역(13)의 화상의 1개전에 촬영된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15), 화상표시영역(15)의 화상에 관련되는 화상번호를 표시하는 화상번호 표시영역(16), 화상표시영역(15)의 화상의 1개 전에 촬영된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17), 화상표시영역(17)의 화상에 관련되는 화상번호를 표시하는 화상번호 표시영역(18), 및 재촬영시에 화상번호를 표시하는 재촬영요구 표시영역(19)을 가진다.
이 예의 경우, 과거에 촬영된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15 ,17)은 현재 촬영중의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13)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화상표시영역(13, 15, 17)은 도 1의 제 1 내지 제 3 화상 버퍼에 각각 대응한다. 즉, 화상표시영역(13)에는 제 1 화상 버퍼(3)의 내용이 표시되며, 화상표시영역(15)에는 제 2 화상 버퍼(4)의 내용이 표시되며, 화상표시영역(17)에는 제 3화상 버퍼(5)의 내용이 표시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직접 촬영하는 촬영처리를 설명한다. 첫번째로, 피촬영자가 카메라(1) 앞에 위치하면, 그의 이동 화상은 카메라(1)를 통해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조작 패널(8)에 의해 해당 피촬영자에 대한 화상번호(통상은 면허증번호 또는 사원번호와 같은 본인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1). 이 입력된 화상번호는 화상 표시부(7)의 화상번호 표시영역(14)에 표시되고, 입력한 화상번호가 바른지를 확인하여, 이 입력된 화상번호는 데이터 기억부(9)에 기억된다.
첫번째의 사람에 대한 촬영이 행해지면, 조작자는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이동 사진을 주시하여, 피촬영자의 모멘트가 가장 적절한 포즈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카메라(1)로 이 상태의 스틸 화상을 가져온다. 가져온 얼굴 화상은 화상처리부(2)와 표시제어부(6)로 보내고 카메라(1)로부터의 얼굴 화상이 스틸 화상으로서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다.
화상처리부(2)에서는 카메라(1)로부터 보내진 얼굴 화상의 스틸 화상에 대해 소정 화상 프레임과 일치된 화상 프레임으로 만들고 이에 의해 얼굴이 화상 프레임의 거의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주위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등의 프레이밍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2).
프레이밍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후의 얼굴 화상은 제 1 화상 버퍼(3)에 저장된다. 그 후, 표시제어부(6)는 제 1 화상 버퍼(3)내의 얼굴 화상을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시키도록 표시전환을 행한다(단계 S3). 이에 의해, 화상표시영역(13)은 프레이밍 처리된 얼굴 화상의 표시로 전환되며, 얼굴의 위치와 눈의 감음의 유무등이 확인될 수 있다. 동시에, 화상번호 표시영역(14)에는 앞서 입력된 화상번호가 표시된다.
그 후, 조작자는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얼굴 화상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4). 이 확인에 있어서 표시된 얼굴 화상에 위치지정 오류 또는 눈 감음등의 결함이 있을 때에는 조작자는 재촬영을 실행하고(단계 S5), 결함이 없으면 다음 피촬영자에 대한 촬영에 들어간다. 이 경우, 먼저 조작 패널(8)내의 화상확인 키를 눌러(단계 S6),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얼굴 화상을 확정한다. 그 후, 상기 촬영제어부(10)는 표시제어부(6)로부터의 이 확정된 얼굴 화상과 데이터 기억부(9)로부터의 얼굴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번호를 촬영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드작성장치(11)로 보내고 운전면허증 또는 증명서등의 ID카드가 작성된다(단계 S7).
조작자가 화상확정 키를 누름에 따라, 촬영제어부(10)는 화상번호를 수납하는 것을 준비하도록 촬영장치를 변경한다. 그 후, 조작자는 다음의 피촬영자, 즉 두번째 피촬영자의 화상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8). 이에 의해,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은 카메라(1)로부터의 이동 화상 상태(카메라 앞에 위치한 두번째 피촬영자의 착석)의 얼굴 화상으로 다시 전환되며, 제 1 화상 버퍼(3)내의 제 1 얼굴 화상은 제 2 화상 버퍼(4)로 전송된다. 표시제어부(5)는 제 2 화상 버퍼(4)내의 얼굴 화상을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5)에 표시하고, 화상번호를 화상표시영역(16)에 표시한다(단계 S9).
다음의 피촬영자(두번째의 피촬영자)의 촬영이 행해지면, 조작자는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이동 사진을 주시하여, 피촬영자의 모멘트가 가장 적절한 포즈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카메라(1)로 이 상태의 스틸 화상을 가져온다. 화상처리부(2)에서는 상기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카메라(1)로부터 보내진 얼굴 화상에 대한 프레이밍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10), 프레이밍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후의 얼굴 화상은 제 1 화상 버퍼(3)에 저장된다. 그 후, 표시제어부(6)는 제 1 화상 버퍼(3)내의 얼굴 화상을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시키도록 표시전환을 행한다(단계 S11). 이에 의해, 화상표시영역(13)은 프레이밍 처리된 얼굴 화상의 표시로 다시 전환되며, 동시에, 화상번호 표시영역(14)에는 앞서 입력된 화상번호가 표시된다.
그 후, 조작자는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부(13)에 표시된 얼굴 화상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12). 이 확인에 있어서 표시된 얼굴 화상에 위치지정 오류 또는 눈 감음등의 결함이 있을 때에는 조작자는 재촬영을 실행하고(단계 S13), 결함이 없으면 조작 패널(8)내의 화상확인 키를 누른다(단계 S14). 따라서,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얼굴 화상이 확정되며, 확정된 얼굴 화상과 대응 화상번호는 카드작성장치(11)로 보내지고 ID카드가 작성된다(단계 S15).
조작자가 화상확정 키를 누름에 따라, 촬영제어부(10)는 화상번호를 수납하는 것을 준비하도록 촬영장치를 변경한다. 다음의 피촬영자, 즉 세번째 피촬영자가 존재하면(단계 S16), 단계 S8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피촬영자, 즉 세번째 피촬영자의 화상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복수의 피촬영자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경우는, 상기 처리중 최초의 얼굴 화상을 촬영후, 화상처리부(2)가 화상처리를 행하는 사이에 다음의 피촬영자의 화상번호를 입역하는 것에 의해 표시제어부(7)의 화상표시영역(13)의 표시가 카메라(1)로부터의 이동 화상의 얼굴 화상으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다음의 피촬영자(두번째 사람)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고 있는 사이에 프레이밍 처리를 종료한 최초의 얼굴 화상은 제 2 화상 버퍼(4)에 보내져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5)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1개 전에 촬영한 얼굴 화상의 프레이밍 처리후의 얼굴 화상은 화상표시영역(15)내에 표시되며, 조작자는 얼굴 화상의 눈 감음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 방식으로 다음의 피촬영자(세번째 사람)을 추가로 촬영할 때, 제 2 화상 버퍼(4)내의 두번째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은 제 3 화상 버퍼(5)로 보내지며,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7)에 표시되고, 해당하는 두번째 피촬영자의 화상번호는 화상표시부(7)의 화상번호 표시영역(18)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촬영을 행할 때마다. 촬영된 화상은 순차적으로 다음의 화상 버퍼로 전송되며, 표시위치(화상표시영역)도 변화하는 것에 의해 이전의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이 항상 표시된다.
다음에, 도 3의 처리에 있어서 촬영한 얼굴 화상을 확정한 후 이전에 촬영한 얼굴 화상에 결함이 발견된 경우의 처리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작자는 현재 촬영중의 얼굴 화상보다 이전에 촬영한 얼굴 화상(화상표시영역(15 또는 17)에 표시된 얼굴 화상)에 눈 감음등의 결합을 발견한 경우, 해당 얼굴 화상의 화상번호(해당 화상표시영역의 하부에 표시됨)를 조작 패널(8)로부터 입력한다(단계 S21).
그 후, 화상표시부(7)의 재촬영요구 표시영역(19)에, 예를 들면 "재촬영 대상"의 문자와 해당 화상번호(눈 감음과 같은 결함이 있는 피촬영자의)가 표시되며, 재촬영의 필요가 명시된다. 동시에,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과 화상번호 표시영역(14)은 해당 사람(눈 감음과 같은 결함이 있는 피촬영자)의 표시로 전환되며, 화상번호 표시영역(14)은 해당 사람(눈 감음과 같은 결함이 있는 피촬영자)의 화상번호의 표시로 전환되고, 화상표시영역(13)은 해당 사람(눈 감음과 같은 결함이 있는 피촬영자)의 재촬영을 개시하기 전에 카메라(1)로 가져온 이동 화상을 표시한다.
그 후, 재촬영을 행하는 피촬영자(통상은 1-2인)를 즉시 호출하여 카메라로 재촬영을 행한다(단계 S22). 재촬영된 얼굴 화상은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되며(단계 S23), 여기에서 얼굴 화상의 확인이 행해진다(단계 S24). 이 확인에 있어서 표시된 얼굴 화상에 결함이 발견되면 조작자는 다시 재촬영을 행하고(단계 S25), 결함이 발견되지 않으면 조작 패널(8)의 화상확정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단계 S26),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재촬영의 얼굴 화상이 확정되고, 이 확정된 얼굴 화상 및 대응하는 화상번호가 카드작성장치로 보내져 ID카드가 작성된다(단계 S27).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자는 촬영중의 얼굴 화상의프레이밍 처리가 종료될 때까지 다음 촬영개시를 기다릴 필요가 없고 연속하는 촬영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상과 이들 화상에 해당하는 화상번호가 동일 화상표시부에 동시에 표시되기 때문에 화상번호의 오입력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피촬영자의 화상번호와 성명등이 동일 화상표시부에 표시되기 때문에 재촬영의 생략도 방지된다.
다음에, 예를 들면 촬영된 얼굴 화상에서 눈 감음등의 결함이 발견되어 재촬영이 요구된 경우의 카드작성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2개 전에 촬영한 화상표시영역(17)에 표시되어 있는 얼굴 화상의 재촬영이 필요한 경우, 조작자는 조작 패널(8)에서 해당하는 화상번호를 지정하고 카드작성 처리중지조작을 행한다.
이 조작에 의해, 촬영제어부(10)는 해당하는 얼굴 화상의 카드작성처리를 중지하고 화상처리부(7)의 재촬영요구 표시영역(19)에 해당 화상번호를 표시시켜, 재촬영이 필요한 대상자로서 표시하고, 데이터 기억부(9)에 등록한다. 이 재촬영요구 표시영역(19)에는 순차적으로 복수인의 대상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데이터 기억부(9)에도 해당하는 복수의 대상자 데이터가 기억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화상번호의 지정은 조작 패널(8)을 이용하여 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화상표시부(7)의 화면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켜 화상을 특정하는 것과 같이 마우스등의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해당 화상의 화면상에 직접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화상을 지정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억부(9)에는 화상번호(피촬영자의 식별정보)와 관련하여 본인의 성명과 주소등의 정보를 기억시키고, 피촬영요구 표시영역(19)에는 재촬영 해당자의 화상번호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성명등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화상을 일시기억하는 버퍼(3-5)는 데이터 기억부(9)와는 독립된 기억장치의 구성을 갖도록 설명되어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굴 화상 데이터는 파일(JPEG 또는 TIFF등이 일반적인 형식)로 하여 데이터 기억부(9)와 동일한 기억장치에 기억시킬 수 있다.
제촬영이 요구된 경우, 조작자는 이미 촬영을 종료한 피촬영자를 호출하며,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해당자의 화상번호와 성명을 방송이나 대기실등에 설치된 모니터(도시되지 않음)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재촬영이 요구된 피촬영자가 도착할 때까지, 다른 피촬영자의 촬영은 상기 촬영조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속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표시영역(17)은 새로운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이 영역이 복수의 화상표시영역인 경우에는 유지된 재촬영이 필요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과 새로운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재촬영이 요구된 피촬영자가 도착한 경우에는, 재촬영요구 표시영역(19)에 표시되어 있는 1인 또는 복수의 대상자로부터 해당하는 피촬영자를 선택한다. 선택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조작 패널(8), 포인팅 장치, 또는 터치 패널과 같은 수단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해당하는 피촬영자가 선택되면, 촬영제어부(10)는자동적으로 현재 촬영중의 화상번호 표시영역(14)에 선택된 재촬영대상의 화상번호를 표시시키고, 화상표시영역(13)에는 카메라(1) 앞에 위치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표시시켜, 촬영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재촬영이 종료되면, 재촬영요구 표시영역(19)에 표시되어 있는 해당자의 화상번호는 지워지고, 데이터 기억부(9)에 기억된 재촬영대상자 데이터에는 재촬영종료의 식별자가 부여되어 데이터 기억부(9)의 별도의 영역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해당 기억영역으로부터 삭제된다. 이에 의해 일련의 재촬영처리가 종료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재촬영은 대상의 피촬영자를 다시 촬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종래기술에 기술된 바와 같이, 1인의 피촬영자에 대해 미리 복수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여 이를 보존하도록 구성된 촬영장치에 있어서는 재촬영 대신에 이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얼굴 화상으로부터 눈 감음이 없는 적정한 얼굴 화상을 선택하여 재촬영에 대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재촬영이 필요한 얼굴 화상을 간단하게 선택하고 재촬영 해당자의 화상번호와 성명을 표시시키기 때문에 처리가 간단하고 속도있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재촬영대상자의 표시로부터 재촬영해당자를 화면상에서 지정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촬영시에 필요한 화상번호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입력처리가 간단하고 속도있게 실행될 수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예로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인 얼굴 사진, 예를 들면 면허증작성신청서에 부착되는 신청인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는 촬영처리를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첫번째로, 신청인의 얼굴 사진이 부착된 신청서가 라인 센서와 같은 카메라(1)내에 설정되면, 카메라(1)로 얼굴 사진을 촬영하는 것에 의해 가져온 얼굴 화상을 화상처리부(2)와 표시제어부(6)로 보내고 카메라(1)로부터의 얼굴 화상은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조작 패널(8)에 의해 화상번호(통상은 면허증번호 또는 사원번호와 같은 본인의 식별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1). 이 입력된 화상번호는 화상표시부(7)의 화상번호 표시영역(14)에 표시되고, 입력한 화상번호가 바른지를 확인하다. 조작 패널(8)로부터 화상번호를 입력하는 것은 광학 문자 판독기에 의해 미리 해당 신청서에 기록된 면허증 번호를 판독하고 인식하는 것에 의해 기계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첫번째 얼굴 사진의 촬영이 실행되면, 화상처리부(2)에서는 카메라(1)로부터 보내진 얼굴 화상에 대해 소정 화상 프레임으로 조정하고 얼굴이 화상 프레임의 거의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주위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등의 프레이밍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2). 얼굴 사진이 소정 크기로 작성된 경우는 프레이밍 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신청인의 얼굴 사진의 휘도가 흐리거나 어두운 경우에는 화상처리부(2)는 조광기등으로 컬러 등급의 보정을 실행한다.
화상처리부(2)에 의한 프레이밍 처리등의 화상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후의 얼굴 화상은 제 1 화상 버퍼(3)에 저장된다. 그 후, 표시제어부(6)는 제 1 화상 버퍼(3)내의 얼굴 화상을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시키도록 표시전환을 행한다(단계 S3). 이에 의해, 화상표시영역(13)은 프레이밍 처리와 같은 화상처리된 얼굴 화상의 표시로 전환되며, 먼지에 의한 얼굴 또는 코 라인의 변위등의 결함이 확인될 수 있다. 동시에, 화상번호 표시영역(14)에는 앞서 입력된 화상번호가 표시된다.
여기서, 조작자는 화상표시부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얼굴 화상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4). 이 확인에 있어서 표시된 얼굴 화상의 얼굴에 먼지에 의한 얼굴 또는 코 라인의 변위등의 결함이 있을 때에는 조작자는 재촬영을 실행하고(단계 S5), 결함이 없으면 다음 촬영에 들어간다. 이 경우, 조작자가 조작 패널(8)내의 화상확인 키를 누르거나 다음 신청서의 얼굴 사진의 촬영처리의 실행을 명령하면(단계 S6),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얼굴 화상을 확정하고, 이 확정된 얼굴 화상과 대응하는 화상번호는 카드작성장치(11)로 보내지고 운전면허증과 같은 ID카드가 작성된다(단계 S7).
다음에, 조작자가 다음의 해당 신청인의 화상번호를 입력하면(단계 S8),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은 카메라(1)로부터의 얼굴 화상으로 다시 전환되고, 제 1 화상 버퍼(3)내의 얼굴 화상은 제 2 화상 버퍼(4)로 전송된다. 표시제어부(5)는 제 2 화상 버퍼(4)내의 얼굴 화상을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5)에 표시하고, 화상번호를 화상표시영역(16)에 표시한다(단계 S9).
다음의 얼굴 사진의 촬영이 행해지면, 화상처리부(2)에서는 상기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카메라(1)로부터 보내진 얼굴 화상에 대한 프레이밍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 또한 이 경우, 얼굴 사진이 소정 크기로 작성되어 있으면 프레이밍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
프레이밍 처리와 같은 화상처리가 종료되면, 처리후의 얼굴 화상은 제 1 화상 버퍼에 저장된다. 그 후, 표시제어부(6)는 제 1 화상 버퍼(3)내의 얼굴 화상을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시키도록 표시전환을 행한다(단계 S11). 이에 의해, 화상표시영역(13)은 프레이밍 처리된 얼굴 화상의 표시로 전환되며, 동시에, 화상번호 표시영역(14)에는 앞서 입력된 화상번호가 표시된다.
여기서, 조작자는 화상표시부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얼굴 화상의 확인을 행한다(단계 S12). 이 확인에 있어서 표시된 얼굴 화상의 얼굴에 먼지에 의한 얼굴 또는 코 라인의 변위등의 결함이 있을 때에는 조작자는 재촬영을 실행하고(단계 S13), 결함이 없으면 조작 패널(8)내의 화상확인 키를 누르거나 또는 다음 신청서의 얼굴 사진의 촬영처리의 실행을 명령하며(단계 S14), 따라서,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얼굴 화상이 확정된다. 이 확정된 얼굴 화상과 대응 화상번호는 카드작성장치(11)로 보내지고 다음 ID카드가 작성된다(단계 S15).
다음에, 다음의 신청서가 추가로 존재하면(단계 S16), 단계 S8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해당 신청서의 화상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경우는, 상기 처리중 최초의 얼굴 사진을 촬영후, 화상처리부(2)가 화상처리를 행하는 사이에 다음의 신청서(두번째 신청서)의 화상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표시제어부(7)의 화상표시영역(13)의 표시가 카메라(1)로부터의 얼굴 화상으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다음의 신청서(두번째 신청서)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사이에 프레이밍 처리와 같은 화상처리를 종료한 최초의 얼굴 화상은 제 2 화상 버퍼(4)에 보내져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5)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1개 전에 촬영한 얼굴 화상의 화상처리후의 얼굴 화상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 방식으로 다음의 신청서(세번째 신청서)를 촬영할 때, 제 2 화상 버퍼(4)내의 얼굴 화상은 제 3 화상 버퍼(5)로 보내지며,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7)에 표시되고, 해당하는 화상번호는 화상표시부(7)의 화상번호 표시영역(18)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촬영을 행할 때마다. 촬영된 화상은 순차적으로 다음의 화상 버퍼로 전송되며, 표시위치(화상표시영역)도 변화하는 것에 의해 이전의 신청서의 얼굴 사진의 얼굴 화상이 항상 표시된다.
다음에, 도 5의 처리에 있어서 촬영한 얼굴 화상을 확정한 후 이전에 촬영한 얼굴 화상에 결함이 발견된 경우의 처리에 대해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현재 촬영중의 얼굴 화상보다 이전에 촬영한 얼굴 화상(화상표시영역(15 또는 17)에 표시된 얼굴 화상)에 카메라(1)내의 먼지에 의한 얼굴 또는 코 라인의 변위등의 결함이 있을 때에는 조작자는 해당 얼굴 화상의 화상번호(해당 화상표시영역의 하부에 표시됨)를 조작 패널(8)로부터 입력한다(단계 S21).
그 후, 현재 촬영중의 화상표시영역(13)과 화상번호 표시영역(14)의 표시는 해당 얼굴 화상과 화상번호로 전환되며, 재촬영요구 표시영역(19)에, 예를 들면 "재촬영 대상"의 문자와 해당 화상번호가 표시되며, 재촬영의 필요가 명시된다.
그 후, 재촬영을 행하는 신청서를 선택하여 이 신청서에 부착된 얼굴 사진을 촬영한다(단계 S22). 촬영된 얼굴 화상은 화상표시부(7)의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되며(단계 S23), 얼굴 화상의 확인이 행해진다(단계 S24). 이 확인에 있어서 표시된 얼굴 화상에 결함이 발견되면 조작자는 다시 재촬영을 행하고(단계 S25), 결함이 발견되지 않으면 조작 패널(8)의 화상확정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단계 S26), 화상표시영역(13)에 표시된 재촬영의 얼굴 화상이 확정되고, 이 확정된 얼굴 화상 및 대응하는 화상번호가 카드작성장치(11)로 보내져 ID카드가 작성된다(단계 S27).
재촬영 요구된 얼굴 화상이 선택된 후, 재촬영은 즉시 실행되지 않고 해당 신청서를 간수하고 있다가 재촬영처리를 후에 묶음 처리할 수 있다.
다음에,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차이는 휴대용 화상기억매체(21)로부터의 얼굴 화상을 핀독하여 입력시키기 위한 기억매체 핀독수단으로서 미리 촬영된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이 기억되는 매체판독부(22)를 포함하며, 휴대용 화상기억매체(23)내에 확정된 얼굴 화상을 기억시키기 위한 기록제어수단으로서의 기록제어부(24)가 부가되어 있는 것으로,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휴대용 화상기억매체(21)는 예를 들면, MO 또는 IC카드 또는 메모리카드로 불리는 사진-전자기 디스크이며, 이미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전자 화상(예를 들면 스틸 화상)으로 촬영된 최소한 피촬영자의 복수의 얼굴 화상이 그의 화상번호와 함께 기억되어 있다. 이 경우, 사람에 대한 얼굴 화상의 복수 종류가 기억될 수 있다.
화상기억매체(21)가 설정되며, 매체 핀독부(22)는 화상기억매체(21)로부터 화상처리부(2)로 한쌍의 얼굴 화상과 화상번호를 판독하여 입력한다. 화상처리부(2)는 카메라(1)로 촬영된 얼굴화상의 화상처리뿐만 아니라 매체 판독부(22)로부터의 얼굴 화상 입력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얼굴 화상이 단지 카메라(1)에 의해서만 입력된 경우의 후속 처리는 전술한 처리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얼굴 화상이 상기 단계 6에서 확정된 경우, 기록제어부(24)는 화상기억매체(23)내에 한쌍의 확정된 얼굴 화상과 화상번호를 동시에 기억한다. 화상기억매체(23)는 예를 들면 MO 또는 IC카드 또는 메모리카드로 불리는 사진-전자기 디스크이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복수의 얼굴 화상과 화상번호를 기억하는 화상기억매체(23)가 예를 들면 카드작성장치는 촬영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한쌍의 얼굴 화상과 화상번호를 판독하는 경우, 카드작성처리는 후에 묶음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얼굴 화상을 동일한 화상표시부에 설치된 복수의 화상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얼굴 화상을 각각 개별의 화상표시장치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레이밍 처리후의 화상의 확정을 촬영장치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디오 카메라가 카메라(1)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전자 화상으로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 또는 얼굴 사진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전자식 스틸 카메라) 또는 전자 화상으로서 촬영되는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인 얼굴 사진을 촬영하는(판독하는) 스캐너에 의해 동일한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충분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다른 구성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술 및 설명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후의 프레이밍 처리등에 있어서 시간을 두지 않고 다음의 촬영이 가능하며, 연속하는 촬영의 고속화도 도모할 수 있는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대한 소정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수단;
    복수의 화상처리영역을 갖는 표시수단; 및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현재 촬영중의 화상과 이보다 전에 촬영된 과거의 화상을 상기 복수의 화상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대한 소정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수단;
    복수의 화상처리영역을 갖는 표시수단;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현재 촬영중의 화상과 이보다 전에 촬영된 과거의 화상을 상기 복수의 화상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과거의 복수의 화상내에 결함이 있는 경우 재촬영하기 위한 상기 화상을 선택하는 화상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된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는 프레이밍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과거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은 현재 촬영중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복수의 화상표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화상과 이 화상 고유의 식별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표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촬영된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인 얼굴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미리 촬영된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이 기억된 휴대용 화상기억장치로부터 얼굴 화상을 판독하고 입력하는 매체판독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또는 상기 매체판독부에 의해 입력된 화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소정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가 휴대용 화상기억매체내의 상기 표시제어수단에 의해 실행되도록 얼굴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0.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대한 소정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수단;
    복수의 화상처리영역을 갖는 표시수단; 및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현재 촬영중의 화상과 이보다 전에 촬영된 과거의 화상을 상기 복수의 화상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1.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대한 소정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수단;
    복수의 화상처리영역을 갖는 표시수단;
    상기 화상처리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현재 촬영중의 화상과 이보다 전에 촬영된 과거의 화상을 상기 복수의 화상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과거의 복수의 화상내에 결함이 있는 경우 재촬영하기 위한 상기 화상을 선택하는 화상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에 의해 실행된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는 프레이밍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과거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은 현재 촬영중의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복수의 화상표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5.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화상과 이 화상 고유의 식별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표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촬영된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인 얼굴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7.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미리 촬영된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이 기억된 휴대용 화상기억장치로부터 얼굴 화상을 판독하고 입력하는 매체판독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또는 상기 매체판독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소정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8.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화상처리가 휴대용 화상기억매체내의 상기 표시제어수단에 의해 실행되도록 얼굴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촬영장치.
  19.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화상에 대해 소정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화상에 기초하여 현재 촬영중의 화상과 이보다 앞의 과거의 화상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20. 최소한 피촬영자의 얼굴 화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화상에 대해 소정의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화상에 기초하여 현재 촬영중의 화상과 이보다 앞의 과거의 화상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 및
    과거의 복수의 화상내에 결함 화상이 있는 경우 재촬영하기 위해 상기 화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KR1020010054674A 2000-09-22 2001-09-06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KR20020023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88333 2000-09-22
JPJP-P-2000-00288333 2000-09-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003A Division KR20040054641A (ko) 2000-09-22 2004-05-31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638A true KR20020023638A (ko) 2002-03-29

Family

ID=187719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674A KR20020023638A (ko) 2000-09-22 2001-09-06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KR1020040039003A KR20040054641A (ko) 2000-09-22 2004-05-31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003A KR20040054641A (ko) 2000-09-22 2004-05-31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34879B2 (ko)
EP (1) EP1191778A1 (ko)
KR (2) KR200200236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4246B2 (en) * 2001-09-27 2008-01-29 Fujifil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JP2003315875A (ja) * 2002-04-26 2003-11-0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3630147B2 (ja) * 2002-05-14 2005-03-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被写体の撮影方法及びカメラ装置
CN1679320A (zh) * 2002-09-04 2005-10-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交互式内容的方法
US7466336B2 (en) * 2002-09-05 2008-12-16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and method for composing multi-perspective images
US7076083B2 (en) * 2002-12-12 2006-07-11 Eastman Kodak Company Personnel access control system
US20050041111A1 (en) * 2003-07-31 2005-02-24 Miki Matsuoka Frame adjustment device and image-tak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KR101114195B1 (ko) * 2004-05-13 2012-02-22 소니 주식회사 촬상 장치, 화면 표시 방법 및 유저 인터페이스
US20060197849A1 (en) * 2005-03-02 2006-09-07 Mats Wernersson Methods,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cessing images using multiple image buffers
US8477228B2 (en) 2008-06-30 2013-07-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amera data management and user interfac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20100259647A1 (en) * 2009-04-09 2010-10-14 Robert Gregory Gann Photographic effect for digital photographs
CN111290305B (zh) * 2018-12-06 2021-05-04 航天科工惯性技术有限公司 多套惯导系统多路数字量采集与处理防冲突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2384A (ja) * 1989-02-23 1990-09-05 Toshiba Corp 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JPH1032734A (ja) * 1996-07-18 1998-02-03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方法
KR980010592A (ko) * 1996-07-13 1998-04-30 구자홍 연속 촬영 및 선택 저장 기능을 지닌 디지탈 스틸 카메라
KR20000047062A (ko) * 1998-12-31 2000-07-2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순간 다중화면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JP2000287106A (ja) * 1999-03-31 2000-10-13 Fuji Photo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付きカメラ
JP2001230958A (ja) * 2000-02-17 2001-08-2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4535D0 (en) * 1989-02-28 1989-04-12 Barcrest Ltd Automatic picture taking machine
EP0433056B1 (en) * 1989-12-15 1996-08-21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for recording an image having a facial image and ID information
EP0485293B1 (en) * 1990-11-08 1999-04-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US5479206A (en) * 1992-02-04 1995-12-26 Fuji Photo Film Co., Ltd. Imaging system, electronic camera, computer system for controlling said electronic camera,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US5469536A (en) * 1992-02-25 1995-11-21 Imageware Software, Inc. Image editing system including masking capability
JP2597802B2 (ja) * 1992-08-04 1997-04-0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イメージ・キャプチャ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イメージ・キャプチャ装置及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H10243273A (ja) * 1997-02-24 1998-09-11 Canon Inc デジタルカメラ用画像表示方法
US6665015B1 (en) * 1997-03-18 2003-1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simulated images for setting sensing condition
US20010050710A1 (en) * 1998-01-07 2001-12-13 Mark J. Fink Audio sensing, directionally positioning video conference camera
JP3713973B2 (ja) * 1998-08-31 2005-11-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撮影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2384A (ja) * 1989-02-23 1990-09-05 Toshiba Corp 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KR980010592A (ko) * 1996-07-13 1998-04-30 구자홍 연속 촬영 및 선택 저장 기능을 지닌 디지탈 스틸 카메라
JPH1032734A (ja) * 1996-07-18 1998-02-03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方法
KR20000047062A (ko) * 1998-12-31 2000-07-2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순간 다중화면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JP2000287106A (ja) * 1999-03-31 2000-10-13 Fuji Photo Optical Co Ltd 画像表示装置付きカメラ
JP2001230958A (ja) * 2000-02-17 2001-08-2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641A (ko) 2004-06-25
US7034879B2 (en) 2006-04-25
US20020036701A1 (en) 2002-03-28
EP1191778A1 (en)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8144B2 (ja) デジタルカメラ装置、及びスルー画像表示方法
JP3713973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撮影方法
JPH10232440A (ja) 自動アルバム作成機能を有するハイブリッド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撮影方法
KR20020023638A (ko)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JP2004239967A (ja) プロジェクタ
JP200532301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0224525A (ja) プリンタ装置
JPH1110343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100816949B1 (ko) 최적상태 촬상 전자카메라
JP2007049408A (ja) 撮影装置
JP2005311926A (ja) 電子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JP3394797B2 (ja) Idカード作成・管理システム及びidカード
US7903142B2 (en) Digital still camera with print-order information
JP2002169218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JP4647260B2 (ja) 眼科撮影装置システム
JP3252262B2 (ja) Id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6253761A (ja)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250047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H07113733B2 (ja) 写真撮影システム
JP3058026U (ja) カメラのフォーカス装置とそれを用いた映像プリント遊戯装置
JP200202731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3001983A (ja) Idカード作成・管理システム及びidカード
JP2006121502A (ja) カメラ、画像再生装置、赤目補正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1333367A (ja) 電子カメラ及び画像番号一致化方法
JP2002350965A (ja) 写真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430

Effective date: 2005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