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954A -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954A
KR20020014954A KR1020000048159A KR20000048159A KR20020014954A KR 20020014954 A KR20020014954 A KR 20020014954A KR 1020000048159 A KR1020000048159 A KR 1020000048159A KR 20000048159 A KR20000048159 A KR 20000048159A KR 20020014954 A KR20020014954 A KR 2002001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unit
keypad
cov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560B1 (ko
Inventor
박재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8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560B1/ko
Priority to US09/829,635 priority patent/US6667731B2/en
Publication of KR2002001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에서 표시부와 키패드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의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전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커버의 개폐와 키입력 유무에 따라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Description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BACKLIGHT PART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와 키패드(key pad)에 백라이트(backlight)를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부(backlight part)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전화기는 야간과 같이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와 키패드상의 키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백라이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른 이동 전화기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하는 표시부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표시부 백라이트부로서는 EL(Electroluminescence element)이 사용되고 있으며, 키패드 백라이트부로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는 이동 전화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 구동 제어된다.
도 1은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를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전화 통화 등에 관련된 통상적인 구성은 생략하고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와 관련된 부분을 위주로 하여 보인 것이다. 도 1에서 RF 처리부(100)는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RF 신호 처리 및 무선 송수신한다. 키패드(102)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키입력을 제어부(106)에 제공한다. 커버 개폐 감지부(104)는 플립(flip) 커버나 폴더(folder)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여 제어부(106)에 알리는데, 플립형 이동 전화기라면 플립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게 되고 폴더형 이동 전화기라면 폴더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06)는 키패드(102)로부터의 키입력이나 커버 개폐 감지부(104)에 의해 감지되는 커버 개폐에 따라 표시부 백라이트부(1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110)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제어부(106)는 표시부 백라이트부(1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110)를 함께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킨다.
상기한 표시부 백라이트부(1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110)에 대한 구동 제어에 관하여 제어부(106)의 구동 제어 흐름도를 보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00)단계에서 제어부(106)는 키입력이 있거나 커버가 열렸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키패드(102)로부터 키입력이 있거나 커버가 열린 것이 커버 개폐 감지부(104)를 통해 감지되면, 제어부(106)는 (202)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백라이트부(1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110)를 함께 온시킨다. 이에따라 표시부(도시하지 않았음)와 키패드(102)에 백라이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06)는 (204)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검사하여 표시부 백라이트부(1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110)를 온시킨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206)단계에서 표시부 백라이트부(108)와 키패드 백라이트 부(110)를 오프시키고 종료한다. 이에따라 표시부 백라이트부(1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110)가 장시간동안 계속 온됨으로써 발생되는 전류소모를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입력을 하거나 플립 또는 폴더 커버를 열었을 경우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동시에 온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었다. 그러나 어두운 곳에서 이동 전화기의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수신 전계강도나 시각을 보고자 할 경우, 사용자에 따라 플립 또는 폴더 커버를 열지 않고 음량 조절키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키만을 조작하여 표시부 백라이트부를 온시키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의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함께 온시키거나 오프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키패드에 대한 백라이트는 불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켜지게 된다.
한편 "이중 폴더형"이라고도 불리우며 2개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 전화기는 통상적으로 2개의 표시부중에 1개의 표시부는 폴더 커버가 닫힌 경우에도 볼 수 있도록 폴더 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반면에, 다른 1개의 표시부는 폴더 커버가 닫혔을때 가려지게 설치되어 폴더 커버가 열린 경우에만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 전화기에서 폴더 커버의 외측에 설치된 표시부상에 수신 전계강도나 시각이 표시된다. 이러한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도 플립형 이동 전화기나 표시부가 1개만 있는 폴더형 이동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어두운 곳에서 폴더 커버를 열지 않고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수신 전계강도나 시각을 보고자 할 경우, 사용자에 따라 외부에 노출된 키만을 조작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폴더 커버의 외측에 설치된 표시부에 대한 백라이트부뿐만아니라 폴더 커버의 안쪽에 있는 표시부 백라이트부도 온된다. 그러나 폴더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폴더 커버의 안쪽에 있는 표시부 백라이트는 불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불필요하게 백라이트부를 온시키게 되어 있음에 따라 그만큼 불필요한 전류소모가 증대되므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단축되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의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전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를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를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를 위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은 커버의 개폐와 키입력 유무에 따라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를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1개의 표시부만을 가지는 플립형 또는 폴더형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전술한 도 1과 달리 제어부(306)가 표시부 백라이트부(3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31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RF 처리부(300)와 키패드(302)와 커버 개폐 감지부(304)는 도 1에서와 동일하다.
상기한 표시부 백라이트부(3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310)에 대한 구동 제어에 관하여 제어부(306)의 구동 제어 흐름도를 보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400),(402)단계에서 제어부(306)는 커버의 개폐, 즉 플립 또는 폴더 커버가 열렸는가를 검사하며, 키패드(302)로부터의 키입력 유무를 검사한다. 만일 커버가 열린 것이 커버 개폐 감지부(304)를 통해 감지되면, 제어부(306)는 (404)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백라이트부(3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310)를 함께 온시킨다. 이에따라 표시부(도시하지 않았음)와 키패드(302)에 백라이트가 함께 제공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커버를 여는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표시부와 키패드(302)에 함께 백라이트가 제공됨으로써 표시부를 보거나 키패드(302)를 조작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06)는 (406)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검사하여 표시부 백라이트부(3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310)를 온시킨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408)단계에서 표시부 백라이트부(308)와 키패드 백라이트부(310)를 오프시키고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한 (400),(402)단계에서 키패드(302)로부터 키입력이 있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306)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백라이트부(308)만을 온시킨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의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수신 전계강도나 시각을 보고자 커버를 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 키만을 조작하는 경우, 즉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종래와 달리 표시부에만 백라이트가 제공됨으로써 불필요하게 키패드 백라이트부(310)가 온됨에 따른 전류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306)는 (412)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검사하여 표시부 백라이트부(308)를 온시킨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414)단계에서 표시부 백라이트부(308)를 오프시키고 종료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를위한 블록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2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이중 폴더형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제어부(506)가 제1표시부 백라이트부(508)와 제1표시부 백라이트부(510)와 키패드 백라이트부(512)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2개의 표시부(도시하지 않았음)중에 폴더 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표시부를 "제1표시부"라 하고 폴더 커버가 닫혔을때 가려지게 설치된 표시부를 "제2표시부"라 할때, 제1표시부 백라이트부(508)는 제1표시부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게 되며, 제2표시부 백라이트부(510)는 제2표시부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RF 처리부(500)와 키패드(502)와 커버 개폐 감지부(504)는 상기한 도 3에서와 동일하다.
상기한 제1,제2표시부 백라이트부(508,510)와 키패드 백라이트부(512)에 대한 구동 제어에 관하여 제어부(506)의 구동 제어 흐름도를 보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600),(602)단계에서 제어부(506)는 커버의 개폐, 즉 폴더 커버가 열렸는가를 검사하며, 키패드(502)로부터의 키입력 유무를 검사한다. 만일 커버가 열린 것이 커버 개폐 감지부(504)를 통해 감지되면, 제어부(506)는 (604)단계로 진행하여 제2표시부 백라이트부(510)와 키패드 백라이트부(512)를 함께 온시킨다. 이에따라 제2표시부와 키패드(512)에 백라이트가 함께 제공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커버를 여는 경우에는 제2표시부와 키패드(502)에 함께 백라이트가 제공됨으로써 제2표시부를 보거나 키패드(502)를 조작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폴더 커버 외측에 있는 제1표시부에는 백라이트가 제공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1표시부 백라이트부(508)는 온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506)는 (606)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검사하여제2표시부 백라이트부(510)와 키패드 백라이트부(512)를 온시킨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608)단계에서 제2표시부 백라이트부(510)와 키패드 백라이트 부(512)를 오프시키고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한 (600),(602)단계에서 키패드(502)로부터 키입력이 있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506)는 (610)단계로 진행하여 제1표시부 백라이트부(508)만을 온시킨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커버 외측에 설치된 제1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수신 전계강도나 시각을 보고자 커버를 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 키만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제1표시부에만 백라이트가 제공됨으로써 불필요하게 제2표시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512)가 온됨에 따른 전류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506)는 (612)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제1표시부 백라이트부(508)를 온시킨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614)단계에서 제1표시부 백라이트부(508)를 오프시키고 종료한다.
따라서 커버의 개폐와 키입력 유무에 따라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전화기 사용 상태에 따라 필요한 백라이트만을 제공함에 따라 불필요한 백라이트부 동작으로 인한 전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따라 이동 전화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터리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해 표시부 백라이트부만을 밝혀주고 키패드 백라이트부는 항상 꺼지도록 설정해두고 사용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약간 어두운 곳에서는 표시부에 나타나는 정보는 잘 인식할 수 없어도 키패드는 쉽게 구별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키입력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커버를 여는 경우에는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로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미리 설정해둔 방식대로 함께 온시키거나 표시부 백라이트부만을 온 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의 개폐와 키입력 유무에 따라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사용자의 이동 전화기 사용 상태에 따라 필요한 백라이트만을 제공함에 따라 불필요한 백라이트부 동작으로 인한 전류 소모를 방지함으로써 이동 전화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표시부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키패드 백라이트부와, 플립 또는 폴더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커버 개폐 감지부를 구비한 플립형 또는 폴더형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폐를 확인하는 커버 확인과정과,
    상기 키패드로부터의 키입력 유무를 확인하는 키입력 확인과정과,
    상기 커버의 개폐와 상기 키입력 유무에 따라 상기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상기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이,
    상기 커버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상기 키패드 라이트부를 온시키는 과정과,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로부터의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 백라이트부만을 온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이,
    상기 표시부 백라이트부와 상기 키패드 라이트부중에 적어도 하나가 온된때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오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4. 폴더 커버의 외측에 설치된 제1표시부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제1표시부 백라이트부와, 상기 폴더 커버가 닫혔을때 가려지게 설치된 제2표시부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제2표시부 백라이트부와, 키패드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키패드 백라이트부와, 상기 폴더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커버 개폐 감지부를 구비한 이중 폴더형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폐를 확인하는 커버 확인과정과,
    상기 키패드로부터의 키입력 유무를 확인하는 키입력 확인과정과,
    상기 커버의 개폐와 상기 키입력 유무에 따라 상기 제1,제2표시부 백라이트부와 상기 키패드 백라이트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이,
    상기 커버가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제2표시부 백라이트부와 상기 키패드 라이트부를 온시키는 과정과,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로부터의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표시부 백라이트부만을 온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이,
    상기 제1,2제2표시부 백라이트부와 상기 키패드 라이트부중에 적어도 하나가 온된때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오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KR1020000048159A 2000-08-19 2000-08-19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KR10036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159A KR100362560B1 (ko) 2000-08-19 2000-08-19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US09/829,635 US6667731B2 (en) 2000-08-19 2001-04-10 Method for driving backlight parts in a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159A KR100362560B1 (ko) 2000-08-19 2000-08-19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954A true KR20020014954A (ko) 2002-02-27
KR100362560B1 KR100362560B1 (ko) 2002-11-27

Family

ID=1968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159A KR100362560B1 (ko) 2000-08-19 2000-08-19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67731B2 (ko)
KR (1) KR100362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21B1 (ko) * 2003-04-24 201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온/오프 주기 설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194A (ja) * 2000-09-26 2002-04-05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417407B1 (ko) * 2001-05-25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절감 방법
KR100382938B1 (ko) * 2001-06-2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표시창이 포함된 폴더형 휴대폰
JP2003037545A (ja) * 2001-07-23 2003-02-07 Nec Corp 近距離無線機能付き移動局及びその消費電力低減方法
US6807430B2 (en) * 2001-10-24 2004-10-19 Qualcomm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back-lighting and high key press noise margin
FI20012594A0 (fi) * 2001-12-31 2001-12-31 Nokia Corp Parannettu menetelmä asiakaskohtaisen tuotteen valmistamiseksi ja asiakaskohtainen tuote
US20040204000A1 (en) * 2002-05-30 2004-10-14 Aaron Dietri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array sensor
JP2004021238A (ja) * 2002-06-20 2004-01-22 Nec Saitama Ltd 表示デバイス及び携帯端末装置
US7734316B2 (en) * 2002-08-30 2010-06-08 Motorola, Inc. User-specified outputs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TW560785U (en) * 2002-10-01 2003-11-01 Toppoly Optoelectionics Corp Cellular phone without opening a cover for communicating
US7538745B2 (en) * 2003-03-24 2009-05-26 Ntag Interactiv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face-to-face communication
FI114950B (fi) * 2003-06-24 2005-01-31 Nokia Corp Menetelmä päätelaitteen syöttö- ja näyttöosan visualisoimiseksi ja vastaava päätelaite
US7095400B2 (en) * 2003-07-28 2006-08-22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of automatically enabling or disabling backlight of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US20050145774A1 (en) * 2004-01-05 2005-07-07 Ki-Gon Ya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display and backlight in portable terminals
WO2005083669A1 (en) * 2004-01-26 2005-09-09 Thomson Licensing S.A. Adjusting brightness of a lcd display using a backlight key of a remote control
JP3974589B2 (ja) * 2004-03-22 2007-09-12 株式会社東芝 携帯情報端末
US7486044B2 (en) * 2004-11-30 2009-02-03 Motorola, Inc. Light detection power system and method for same
US20060132060A1 (en) * 2004-12-16 2006-06-22 Shoei-Lai Chen 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20060195354A1 (en) * 2005-02-28 2006-08-31 Ntag Interactive Corporation Method of scoring the performance of attendees at a meeting
KR100631628B1 (ko) * 2005-03-07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키 독립 백라이트 장치 및 방법
US7890134B2 (en) * 2005-06-13 2011-02-15 Dyna Llc Communications device methods and apparatus including ergonomic key layout and intuitive user interface
US20070236334A1 (en) * 2006-03-31 2007-10-11 Borovoy Richard D Enhancing face-to-face communication
US20070290986A1 (en) * 2006-06-20 2007-12-20 Erkki Kurkin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bling a user interface
US7768605B2 (en) * 2006-06-30 2010-08-03 Motorola, Inc. Display stack-up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displays
US8031179B2 (en) * 2006-06-30 2011-10-04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operation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US8294659B2 (en) * 2007-05-18 2012-10-23 Apple Inc. Secondary backlight indicator for portable media devices
JP5288281B2 (ja) * 2007-11-01 2013-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輝度制御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2009272996A (ja) * 2008-05-09 2009-11-19 Toshiba Corp 携帯端末
EP2302876A4 (en) * 2008-07-16 2013-02-06 Nec Corp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PROGRAM AND METHOD FOR INDICATING ACTIVITY
JP5369619B2 (ja) * 2008-10-31 2013-12-18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11030081A (ja) * 2009-07-28 2011-02-10 Sony Corp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916549A (zh) * 2010-07-22 2010-1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屏幕背光的方法和装置
US8965731B2 (en) * 2011-07-11 2015-02-24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to determine a mobile device housing position
JP5484513B2 (ja) * 2012-04-20 2014-05-0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8887B1 (en) * 1999-02-05 2001-08-21 Neopoint,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serv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handset
US6463304B2 (en) * 1999-03-04 2002-10-08 Openwave Systems Inc. Application launcher for a two-way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0301862B1 (ko) * 1999-03-18 2001-09-26 서평원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US6480377B2 (en) * 2001-01-04 2002-11-12 Fellowes Manufacturing Company Protective case with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pu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21B1 (ko) * 2003-04-24 201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온/오프 주기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560B1 (ko) 2002-11-27
US6667731B2 (en) 2003-12-23
US20020021276A1 (en)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560B1 (ko)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US6426736B1 (en) Portable telephone with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62937B1 (ko) 백라이트가 마련된 정보 단말 기기
EP1303113B1 (en) Portable terminal
JPH0774691A (ja) 折畳機構付携帯電話機
WO2004003643A1 (ja) 携帯端末機器
GB2347300A (en) Cellular phone with lamps
JP2972710B2 (ja) バックライトon/off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7288296A (ja) 携帯端末
KR100415780B1 (ko) 투과형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JP4430026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221285B1 (ko) 휴대용 전화기 백라이트의 조정 방법
JP2003319036A (ja) 移動通信装置
KR20040037694A (ko)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4600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액정 표시부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20030015472A (ko)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절감하기 위한 시스템
KR100630087B1 (ko) 백라이트 구동 방법
KR20010059482A (ko) 두 개의 표시기를 가지는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표시기구동 제어장치
JP2001186248A (ja) 携帯型電話機
JP3374790B2 (ja) 携帯型電話装置
JP2002300270A (ja) 消費電力抑制方法、及び移動通信機
KR200287417Y1 (ko) 외부에 기능키가 마련된 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40056646A (ko) 컬러 lcd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절전 장치 및 방법
JPH08331631A (ja) 携帯電話機
KR20020030773A (ko) 외부에 기능키가 마련된 폴더형 휴대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