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400Y1 - Telephone for use wi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line - Google Patents

Telephone for use wi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400Y1
KR200189400Y1 KR2020000004434U KR20000004434U KR200189400Y1 KR 200189400 Y1 KR200189400 Y1 KR 200189400Y1 KR 2020000004434 U KR2020000004434 U KR 2020000004434U KR 20000004434 U KR20000004434 U KR 20000004434U KR 200189400 Y1 KR200189400 Y1 KR 200189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unit
computer
speaker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4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용현
조환
Original Assignee
장용현
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현, 조환 filed Critical 장용현
Priority to KR2020000004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4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400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터넷 전화와 국선전화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를 제공한다. 전화기는 국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송화 회로부 및 수화 회로부가 구비된 통화회로부와, 수화부 스피커와, 송화부 마이크와,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상기 통화회로부, 상기 수화부 스피커, 상기 송화부 마이크 및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입력 단자, 사운드 출력단자와 연결된 스위칭부와, 상기 통화회로부, 키패드, 연결설정 스위치부,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한다. 스위칭부는, 국선전화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통화회로부의 수화 회로부와 상기 전화기 스피커를 연결하고, 상기 통화회로부의 송화 회로부를 상기 전화기 마이크와 연결한다. 스위칭부는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전화기 스피커를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전화기 마이크를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입력단자와 연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phone that can be used both as an internet phone and a landline. A telephone is connected to a trunk line and has a talk circuit unit and a talk circuit unit, a speaker unit, a speaker unit,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number or a symbol, the call circuit unit, the speaker unit, and the microphone unit. And 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a sound input terminal and a sound out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a central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all circuit unit, a keypad, a connection setting switch unit, and a switching unit. When using a trunk line telephone, the switching unit connects the telephone circuit speaker and the telephone circuit unit of the telephone circuit unit, and connects the telephone circuit unit of the telephone circuit unit with the telephone microphone. The switching unit connects the telephone speaker with the sound out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the telephone microphone with the sound input terminal of the computer when using an internet phone.

Description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 {TELEPHONE FOR USE WI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LINE}TELEPHONE FOR USE WI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LINE}

본 고안은 국선 및 인터넷 전화 겸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기의 스위칭부의 작용으로 인터넷 전화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전화가 국선을 통해 온 경우 또는 전화를 국선으로 걸고자 할 때에는 국선 전화를 이용할 수 있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line for both a trunk line and an Internet telephone, which can be used as an Internet telephone by the switching unit of the telephone, and when a telephone comes through a trunk line or to make a telephone call to a telephone line that can use a trunk line telephone. It is about.

최근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을 통하여 전화가 가능해지고 있다. 실제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예를 들면, 새롬의 다이얼패드)도 등장하였다. 인터넷 전화는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전화시스템을 말한다. 즉, 인터넷 전화의 사용자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상에서 상기 전화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소에 접속한다. 그러면, 전화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는 전화를 걸 수 있는 웹페이지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달한다. 사용자가 그 웹페이지에서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서비스 업체는 상대방과 가까운 특정 위치까지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해주고, 그 특정 위치에서 상대방의 전화까지는 국선으로 연결된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echnology, telephone calls have become possible through the Internet. In fact, companies that provide Internet telephony services (such as Sarom's dialpad) have emerged. Internet telephone refers to a telephone system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That is, a user of an Internet telephone accesses an address for providing a service of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r on a computer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server of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r then delivers the web page to the user's computer to make a call. When the user enters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on the web page, the service provider connects to the specific location close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y's phone from the particular location.

이러한 인터넷 전화에서는 통상의 전화 송수화기 대신에 컴퓨터에 연결된 컴퓨터용 스피커 및 컴퓨터용 마이크를 사용한다. 상기 컴퓨터용 스피커와 컴퓨터용 마이크를 결합시킨 헤드셋이 사용되기도 한다.In such Internet phones, a computer speaker and a computer microphone connected to a computer are used instead of a conventional telephone handset. A headset in which the computer speaker and the computer microphone are combined may be used.

이와는 달리, 통상의 국선 전화기와 같은 형태의 송수화기가 구비된 전화기도 제시되고 있다. 이들을 인터넷 폰 또는 인터넷 전화기라고 한다. 인터넷 전화기는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터넷 전화기는 먼저 그 용도가 한정된다. 오직 인터넷 전화를 위해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lternatively, a telephone with a handset of the same type as a general trunk line telephone is also proposed. These are called Internet phones or Internet phones. Internet phones are connected to the sound card of a computer. By the way, such an Internet telephone is first limited in its use. It can only be used for Internet telephon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인터넷 전화와 국선 전화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 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lephone that can use both an internet phone and a local telephone. All.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전화 사용 시에도 전화기의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lephone configured to use a keypad of the telephone even when using an internet telephone.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mbined telephone and Internet phone and telephone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전화기의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를 도시한 스위칭 상태도FIG. 2 is a switching state diagram showing a switching state of the switching unit of the telephone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국선 및 인터넷 전화 겸용 전화기10: CO Line and Internet Phone

12: 통화회로부 14: 중앙 제어부12: call circuit unit 14: central control unit

16: 스위칭부 18: 키패드부16: switching section 18: keypad section

19: 연결 선택 스위치 20: 전화기 스피커19: Connection selector switch 20: Telephone speaker

22: 전화기 마이크22: telephone microphon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컴퓨터의 사운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어 인터넷 전화가 가능하며, 국선으로도 전화를 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ound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uter is possible to make an Internet phone call, and can also be a telephone line phone, Internet and CO line phone combined,

국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송화 회로부 및 수화 회로부가 구비된 통화회로부와,A communication circuit part connected to the trunk line and provided with a sending circuit part and a receiving circuit part;

수화부 스피커와,Earpiece speaker,

송화부 마이크와,With a microphone,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A keypad for entering numbers or symbols,

상기 통화회로부, 상기 수화부 스피커, 상기 송화부 마이크 및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입력 단자, 사운드 출력단자와 연결된 스위칭부와,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call circuit unit, the receiver speaker, the transmitter microphone, the sound in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a sound output terminal;

상기 통화회로부, 키패드, 연결설정 스위치부,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하되,Is provided with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ll circuit unit, keypad, connection setting switch unit, switching unit,

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

국선전화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통화회로부의 수화 회로부와 상기 전화기 스피커를 연결하고, 상기 통화회로부의 송화 회로부를 상기 전화기 마이크와 연결하며,When using a trunk line telephone, the telephone circuit unit of the call circuit unit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speaker, the telephone circuit unit of the call circuit unit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microphone,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전화기 스피커를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전화기 마이크를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입력단자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를 제공한다.When using an Internet telephone, the telephone speaker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the telephon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sound input terminal of the comput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겸용 국선 전화기(10)는 크게 통화회로부(12)와, 중앙 제어부(14)와, 스위칭부(16)와, 키패드부(18)와, 연결 선택 스위치(19)와, 전화기 스피커(수화기)(20)와, 전화기 마이크(송화기)(2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runk line telephone 10 for an Internet tele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call circuit unit 12, a central control unit 14, a switching unit 16, a keypad unit 18, and the like. And a connection selection switch 19, a telephone speaker (handset) 20, and a telephone microphone (telephone) 22.

1. 통화회로부(12)1. Call circuit part 12

이 통화회로부(12)는 전화 기능의 기본 기능인 다이얼 송출, 벨 수신을 위한 톤링거(TONE RINGER) 및 통화를 위한 음성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은 하나의 칩(ONE-CHIP)에 구현된 집적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화회로부(12)는 톤링거부(Tone Ringer; 24), 톤 발생기(Dial Controller; 26), 회선연결 제어기(28), 스피치 회로부(Speech circuit)로 구성된다.The call circuit unit 12 performs basic functions of the telephone function, dialing, tone ringer for receiving a ring, and voice processing for calling. These may be composed of integrated circuits implemented in one chip (ONE-CHIP). The call circuit unit 12 includes a tone ringer 24, a tone controller 26, a line connection controller 28, and a speech circuit.

(1) 톤링거부(24)(1) Rejection of tone ring (24)

전화국으로부터 발신된 호출 신호는 톤링거부(24)로 입력된다. 입력된 신호는 적정한 레벨의 신호인지 비교한 후 벨을 울리기 위해 전화벨(도시하지 않음)을 구동한다. 전화벨로 나가는 신호는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출력음량 조절 스위치를 거친 후 출력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중앙제어부(14)에서는 호출신호를 받아서 가시 표시를 위한 벨 LED를 구동할 수도 있다.The call signal sent from the telephone station is input to the tone ringer 24. The input signal is compared with a signal of an appropriate level, and then a telephone bell (not shown) is driven to ring a bell. The signal to the telephone ring is output after going through the output volume control switch to adjust the size. Preferably, the central control unit 14 may receive a call signal to drive a bell LED for visual display.

(2) 톤 신호 발생부(26)(2) tone signal generator (26)

가입자 번호 발신을 위한 톤(TONE (DTMF)) 신호 발생부는 중앙 제어부(또는 CPU라고도 함)(14)를 통하여 연결된 키패드(18)에서 선택된 임의의 번호를 받아, 해당 번호의 DTMF(복합)신호를 발생시켜 국선(TEL LINE)으로 출력한다.Tone (DTMF) signal generation unit for subscriber number transmission receives a random number selected from the keypad 18 connected through a central control unit (or CPU) 14, and receives a DTMF signal of the corresponding number. To be output to the TEL LINE.

(3) 회선 연결 제어기(3) line connection controller

회전 연결 제어기는 전화기(10)의 연결선택 스위치(19)의 상태를 검출하여 국선을 다이얼 송신을 하기 위한 준비 상태로 국선 스위칭 회로(32)를 온(ON)하게 된다. 이때 키패드(18)로부터 중앙제어부(14)를 통해 전달되는 선택된 임의의 번호는 상기 톤 발생부(26)에서 해당 번호의 DTMF(복합)신호를 발생시켜 국선으로 출력한다. 통화가 끝나서 회선선택 스위치(19)를 대기상태로 놓으면 이 신호 검출에 의해서 회선 연결 제어기(28)는 스위칭회로(32)를 오프(OFF) 상태로 하게 된다.The rotary connection controller detects the state of the connection selection switch 19 of the telephone 10 and turns on the trunk line switching circuit 32 in a ready state for dial transmission of the trunk line. At this time, the selected random number transmitted from the keypad 18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14 generates the DTMF (composit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number from the tone generator 26 and outputs the trunk line. When the call is over and the line select switch 19 is placed in the standby state, the line connection controller 28 causes the switching circuit 32 to be turned off by this signal detection.

(4) 스피치 회로부(4) speech circuit

국선(TEL LINE)과 연결되었을 때, 상대방을 호출한 전화 또는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의 통화를 위한 회로이다. 스피치 회로부는 수화회로부(34)와 송화회로부(36)를 구비하는데, 각각은 스위칭부(16)와 연결된다. 국선 통화 회로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전화기 마이크(22) 및 전화기 스피커(24)와 스위칭부(16)에서 연결되어 상기 전화기 마이크(22)에서 입력된 음성은 적절한 증폭회로를 거친 후 국선으로 송출되어 상대방으로 전달된다.When connected to TEL LINE, it is a circuit for calling the other party or calling from outside. The speech circuit section includes a sign circuit section 34 and a talk circuit section 36,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a switching section 16. In the state where the trunk line communication circuit is connected, the telephone microphone 22 and the telephone speaker 24 and the switching unit 16 are connected, and the voice input from the telephone microphone 22 passes through the appropriate amplification circuit and is sent to the trunk line to the other party. Delivered.

2. 전화기 마이크(22) 및 전화기 스피커(24)2. Phone microphone (22) and phone speaker (24)

전화기 마이크(22) 및 전화기 스피커(24)는 각각 스위칭부(16)와 연결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화기(10)는 하나의 핸드셋에 모든 구성장치들이 수용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와 별도의 핸드셋(이 때, 핸드셋에는 전화기 마이크 및 전화기 스피커만이 구비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일 수도 있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전화기의 모든 구성부품이 핸드셋에 모두 마련된 구성의 전화기로 설명한다.The telephone microphone 22 and the telephone speaker 24 are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16, respectively.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lephone 10 houses all the components in one handset. However, the telephone may alternatively be configured as a handset which is separate from the telephone body, in which the telephone is equipped with only a telephone microphone and a telephone speaker. In the following embodiment, all components of the telephone are described as a telephone having a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handset.

한편, 전화기 핸드셋에는 컴퓨터용 외부 마이크(42)를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 연결단자와 컴퓨터용 외부 스피커(40)를 연결할 수 있는 외부 스피커 연결 단자가 구비된다. 이들 연결단자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용 마이크와 스피커가 연결된다. 또한, 전화기 핸드셋에는 컴퓨터(44)에 있는 사운드 시스템(사운드 카드)(46)의 스피커출력단자 및 마이크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라인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telephone handset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he external microphone 42 for the computer and an external speaker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he external speaker 40 for the computer. These connection terminals are connected to a computer microphone and a speaker as shown in FIG. The telephone handset is also provided with a line connecting the speaker output terminal and microphone input terminal of the sound system (sound card) 46 in the computer 44.

3. 키패드부(18) 및 연결 선택 스위치부(19)3. Keypad section 18 and connection selection switch section 19

키패드부(18)는 중앙제어부(14)에 연결된다. 키패드부(18)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를 수 있도록 숫자버튼과 그외 *, # 버튼이 마련된다.The keypad portion 18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ler 14. The keypad unit 18 is provided with a number button and other *, # buttons so as to press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연결 선택 스위치부(19)는 국선 전화, 대기(여기서 대기란 전화를 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가리킴), 인터넷 전화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 선택 스위치부(19)는 중앙제어부(14)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연결 선택 스위치부(19)는 대기와 인터넷 전화를 선택하기 위한 하나의 제1 선택스위치와, 국선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선택하는 제2 선택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 선택 스위치는 전화기(핸드셋 형태의 전화기)(10)를 놓거나 들어올리는 상태에 따라 스위치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예를 들면 통상의 전화기에서의 후크 스위치 형태)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selection switch unit 19 is configured to select a trunk line telephone, standby (here, the standby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telephone is not being called) and an internet telephone. The connection selection switch unit 19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4.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connection selection switch unit 19 may be composed of one first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standby and internet telephone, and a second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runk line telephone and internet telephon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lection switch is configured so that the switch is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placing or lifting the telephone (handset-type telephone) 10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hook switch in a conventional telephone).

이와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 선택 스위치부(19)는 3 포지션 슬라이드 스위치(각 포지션마다 국선 전화, 대기, 인터넷 전화를 선택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음)로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ion selection switch unit 19 may be configured as a three-position slide switch (which can generate a signal for selecting a trunk line, a waiting line, or an internet phone for each position).

이하 실시예에서는 연결 선택 스위치부(19)는 제1 선택스위치와, 제2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connection selection switch unit 19 will be described as having a first selection switch and a second selection switch.

4. 스위칭부4. Switching part

스위칭부(16)는 중앙제어부(14)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치 회로부의 송화 회로부(36) 및 수화 회로부(34), 전화기 스피커(20), 전화기 마이크(22)가 스위칭부(16)에 연결된다. 본 고안의 전화기(10)는 컴퓨터(44)와 연결되는데, 이 때, 스위칭부(16)가 컴퓨터의 사운드 장치(사운드카드)(46)의 사운드 입력 단자 및 사운드 출력단자와 연결된다. 스위칭부(16)는 또한, 연결단자를 통하여 컴퓨터용 스피커(40) 및 컴퓨터용 마이크(42)와 연결된다.The switching unit 16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4. As described above, the speech circuit section 36 and the sign language circuit section 34, the telephone speaker 20, and the telephone microphone 22 are connected to the switching section 16. The telepho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44, where the switching unit 16 is connected to the sound input terminal and the sound output terminal of the sound device (sound card) 46 of the computer. The switching unit 16 is also connected to the computer speaker 40 and the computer microphone 42 via the connection terminal.

5. 중앙제어부5. Central control unit

중앙제어부(14)는 전화기의 통화회로부(12), 키패드(18), 연결 선택 스위치부(19), 스위칭부(16)를 제어한다. 또한, 중앙제어부(14)는 컴퓨터(44)와 연결되어 전화기의 키패드(18)의 입력이 컴퓨터(44)로 입력되도록 기능한다. 한편, 컴퓨터의 키보드(48)도 중앙제어부(14)에 연결된다. 이하 중앙제어부(14)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central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call circuit unit 12, the keypad 18, the connection selection switch unit 19, and the switching unit 16 of the telephone.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14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44 and functions to input the input of the keypad 18 of the telephone to the computer 44. Meanwhile, the keyboard 48 of the computer is also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ler 14. 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central controller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연결선택 스위치부(19)의 구동에 따른 제어(1) Control by driving the connection selection switch unit 19

핸드셋 형태의 전화기(10)를 내려놓은 상태(또는 벽 또는 컴퓨터에 설치된 갈고리에 걸어 놓은 상태)에 있는 때에는 국선 대기 상태가 된다. 대기 상태에서 전화국에서 전달되는 전화수신 신호가 전달되면, 통화회로부(12)는 이를 중앙제어부(14)에 전달한다. 이 때, 사용자가 전화기(10)를 들면, 제1 선택 스위치가 작동하고, 중앙 제어부(14)는 회선을 연결하도록 통화회로부(12)에 지시하고 스위칭부(16)를 작동시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국선 연결 상태로 만든다.When the handset-type telephone 10 is in a down state (or a hook on a wall or a hook installed in a computer), it becomes a trunk line standby state. When the call recep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station is transmitted in the standby state, the call circuit unit 12 transmits 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4. At this time, when the user lifts up the telephone 10, the first selection switch is operated,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14 instructs the call circuit unit 12 to connect the line and operates the switching unit 16 as described below. Make trunk line connection.

한편, 대기 상태에서 국선으로부터 전화가 오지 않은 상태에서 전화기(10)를 들면, 제1 선택 스위치가 작동하되 중앙제어부(14)는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인터넷전화로 연결토록 스위칭부(16)를 작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lephone 10 is not in the standby state when the telephone line does not come, the first selection switch is operated but the central control unit 14 detects this and operates the switching unit 16 to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Internet telephone. Let's do it.

전화기를 든 상태에서 제2 선택 스위치(또는 버튼)를 구동하면 국선 전화로 연결된 상태가 되는데, 중앙제어부(14)는 통화회로부(12)가 키패드(18)의 작동신호에 따라 DTMF 톤신호를 발생시킬 준비를 하게 하며, 스위칭부(16)를 작동시켜 국선연결 상태가 되게 한다.When the second selection switch (or button) is driven while the telephone is lifted, the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trunk line telephone. In the central control unit 14, the call circuit unit 12 generates a DTMF ton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keypad 18. It prepares to be made, and to operate the switching unit 16 to the state of the trunk line connection.

(2) 키패드 입력의 컴퓨터로의 전달(2) transfer of keypad input to computer

중앙제어부(14)는 인터넷 전화로 연결된 상태에서 키패드(18)의 입력을 컴퓨터(44)로 전달한다.The central control unit 14 transmits the input of the keypad 18 to the computer 44 while being connected by an Internet telephone.

(3) 스위칭부(16)의 제어(3) control of the switching unit 16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부(16)에는 4개의 스위칭 회로가 마련된다. 제1 스위칭 회로(100)는 전화기 스피커 단자(100a)를 전화기의 수화 회로부 단자(100b)와 후술하는 제3 스위칭 회로(104)의 한 단자와 연결된 단자(100c)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Referring to FIG. 2, four switching circuits are provided in the switching unit 16. The first switching circuit 100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lephone speaker terminal 100a between the sign language circuit terminal 100b of the telephone and one terminal of the third switching circuit 104 described later.

제2 스위칭 회로(102)는 전화기 마이크 단자(102a)를 전화기의 송화 회로부 단자(102b)와 제4 스위칭 회로(106)의 한 단자(106c)와 연결된 단자(102c)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The second switching circuit 102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lephone microphone terminal 102a and the terminal 102c connected to the telephone circuit terminal 102b of the telephone and one terminal 106c of the fourth switching circuit 106.

제3 스위칭 회로(104)는 컴퓨터의 사운드시스템 오디오(스피커) 출력 단자(104a)를 컴퓨터 스피커 연결단자(104b)와 제1 스위칭회로(100)의 단자(100c)와 연결된 단자(104c)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제4 스위칭 회로(106)는 컴퓨터의 사운드시스템 오디오(마이크) 입력 단자(106a)를 컴퓨터 마이크 연결단자(106b)와 제2 스위칭회로(102)의 단자(102c)와 연결된 단자(106c)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한다.The third switching circuit 104 connects the sound system audio (speaker) output terminal 104a of the computer between the computer speaker connection terminal 104b and the terminal 104c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c of the first switching circuit 100. Switch the connection. The fourth switching circuit 106 connects the sound system audio (microphone) input terminal 106a of the computer between the computer microphone connector 106b and the terminal 106c connected to the terminal 102c of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102. Switch the connection.

도2의 (a),(b),(c)는 각각 대기, 인터넷 전화, 국선 전화 상태의 스위치연결을 도시한 것으로서 위로부터 제1 스위칭 회로, 제2 스위칭 회로, 제3 스위칭 회로, 제4 스위칭 회로의 순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스위칭부(16)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컴퓨터(44)가 외부 마이크(42) 및 외부 스피커(40)와 연결되어 있도록 하여야 한다.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스위칭 회로(104)에서는 컴퓨터(44)의 사운드 카드의 출력단자와 연결된 단자(104a)가 컴퓨터용 스피커 단자(104b)에 연결된다. 제4 스위칭 회로(106)에서는 컴퓨터(44)의 사운드 카드의 입력단자와 연결된 단자(106a)가 컴퓨터용 마이크 단자(106b)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는 컴퓨터(44)의 사운드 시스템에 마이크와 스피커가 연결된 통상의 컴퓨터 사용 상태가 된다.2 (a), 2 (b) and 2 (c) show a switch connection of standby, internet telephone and trunk line telephone states, respectively, from the top, the first switching circuit,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the third switching circuit, and the fourth. The switching circuit is shown in order.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16 in thi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computer 44 should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microphone 42 and the external speaker 40 when in the standby state. As shown in Fig. 2A, in the third switching circuit 104, the terminal 104a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ound card of the computer 44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speaker terminal 104b. In the fourth switching circuit 106, the terminal 106a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ound card of the computer 44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106b for the computer. In this state, the computer is in a normal computer use state in which a microphone and a speaker are connected to the sound system of the computer 44.

전화기(10)로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때에는, 스위칭부(16)는 외부 마이크(42) 및 외부 스피커(40) 대신에 각각 전화기 마이크(22)와 전화기 스피커(20)가 연결되어야 한다.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칭 회로(100)에서는 전화기 스피커(100a)가 단자(100c)와 연결되고 제3 스위칭 회로(104)에서는 사운드카드 출력단자(104a)가 단자(104c)에 연결되어 이들 둘(전화기 스피커와 컴퓨터의 사운드 시스템)이 연결된다.When using an internet telephone as the telephone 10, the switching unit 16 should be connected to the telephone microphone 22 and the telephone speaker 20 instead of the external microphone 42 and the external speaker 4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B, in the first switching circuit 100, the telephone speaker 100a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c, and in the third switching circuit 104, the sound card output terminal 104a is the terminal. And the two (telephone speaker and sound system of a computer) are connected.

마찬가지로 제2 스위칭 회로(102)에서는 전화기 마이크(102a)가 단자(102c)와 연결되고 제4 스위칭 회로(106)에서는 사운드카드 입력단(106a)이 단자(106c)에 연결되어 이들 둘(전화기 마이크와 컴퓨터의 사운드 시스템)이 연결된다.Similarly, in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102, the telephone microphone 102a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2c, and in the fourth switching circuit 106, the sound card input terminal 106a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6c so that the two (telephone microphone and Computer's sound system) is connected.

전화기(10)로 국선 전화를 할 때에는 도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된다. 즉, 이 때에는 전화기 스피커(20)는 수화기 회로부(34)와, 전화기 마이크(22)는 송화기 회로부(36)와 연결되도록 한다. 도2의 (c)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칭 회로(100)에서는 전화기 스피커 단자(100a)가 수화기 회로부 단자(100b)에 연결된다. 제2 스위칭 회로(102a)에서는 전화기 마이크 단자(102a)가 송화기 회로부 단자(102b)에 연결된다.When making a trunk line call with the telephone 10, a connection is made as shown in Fig. 2C. That is, in this case, the telephone speaker 20 is connected to the handset circuit section 34 and the telephone microphone 22 is connected to the handset circuit section 36. Referring to Fig. 2C, in the first switching circuit 100, the telephone speaker terminal 100a is connected to the handset circuit terminal 100b. In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102a, the telephone microphone terminal 102a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circuit terminal 102b.

국선으로 통화할 때에는 도2의 (c)와 같이,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의 출력 단자(104a)과 사운드카드의 입력 단자(106a)가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 스피커 및 마이크가 컴퓨터의 사운드 또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국선 전화 사용 중에도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의 출력 단자(104a)과 사운드카드의 입력 단자(106a)를 각각 외부 스피커와 외부 마이크를 연결해 놓을 수도 있다.When making a call over a trunk line, as shown in FIG. 2 (c), the output terminal 104a of the sound card of the computer and the input terminal 106a of the sound card are not connected, and the external speaker and the microphone of the computer Do not transmit sound or audio signals. Alternatively, an external speaker and an external microphone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04a of the sound card of the computer and the input terminal 106a of the sound card, respectively, even while using a trunk line telephone.

상기 설명한 주요 구성요소 외에도 전화기(10)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다. 이와는 달리, 전원을 국선 또는 컴퓨터로부터 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main components described above, the telephone 10 has a separate power supply. Alternatively, power may be received from the trunk line or the computer.

한편, 본 고안을 사오정 전화기로 알려진 헤드셋이 구비된 전화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연결설정 스위치부(19)에서 제1 연결 스위치는 핸드셋을 들거나 놓음으로써 자동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는 달리 사오정 전화기에는 연결 설정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제1 연결 스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키는 버튼 또는 스위치를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elephone equipped with a headset known as a Saojung telephon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switch in the connection setting switch unit 19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lifting or releasing the handset. On the contrary, the first connection switch constituting the connection setting switch unit in the Saojung phone uses a button or a switch that is directly operated by the user.

이상 본 고안을 상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또는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ll tim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인터넷 전화 및 국선전화 겸용 전화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인터넷 전화를 거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고, 국선전화를 거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컴퓨터와 외부 스피커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어 조용한 분위기에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로서 이용할 때에는 컴퓨터의 키보드에 있는 키패드 대신에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할 수 있어, 국선 전화를 걸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화기를 이용할 수 있어 컴퓨터의 키패드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인터넷 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Internet phone and telephone line combination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o make an Internet call, or can also be used to make a phone call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telephone is us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external speaker is cut off so that the telephone call can be made in a quiet atmosphere. When using as an Internet telephone, the keypad of the telephone can be used instead of the keypad on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The telephone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making a local telephone call, so that the telephone can be used without operating the keypad of the computer.

Claims (3)

컴퓨터의 사운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어 인터넷 전화가 가능하며, 국선으로도 전화를 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로서,It is connected to the sound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it is possible to make an Internet phone call. 국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송화 회로부 및 수화 회로부가 구비된 통화회로부와,A communication circuit part connected to the trunk line and provided with a sending circuit part and a receiving circuit part; 수화부 스피커와,Earpiece speaker, 송화부 마이크와,With a microphone,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A keypad for entering numbers or symbols, 상기 통화회로부, 상기 수화부 스피커, 상기 송화부 마이크 및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입력 단자, 사운드 출력단자와 연결된 스위칭부와,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call circuit unit, the receiver speaker, the transmitter microphone, the sound in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a sound output terminal; 상기 통화회로부, 키패드, 연결설정 스위치부,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구비하되,Is provided with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ll circuit unit, keypad, connection setting switch unit, switching unit, 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 국선전화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통화회로부의 수화 회로부와 상기 전화기 스피커를 연결하고, 상기 통화회로부의 송화 회로부를 상기 전화기 마이크와 연결하며,When using a trunk line telephone, the telephone circuit unit of the call circuit unit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speaker, the telephone circuit unit of the call circuit unit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microphone,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전화기 스피커를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전화기 마이크를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입력단자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When using an internet phone, the telephone speaker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the telephon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sound input terminal of the compu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에는 외부 스피커 및 외부 마이크가 연결이 가능하며, 상기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외부 스피커를 상기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 단자와 연결시키며, 상기 외부 마이크를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n external speaker and an external microphone are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When not using the telephone, the switching unit connects the external speaker to a sound out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connects the external microphone to the switching unit. An Internet telephone and a landline telephone combined telephone, which is connected to a sound input termin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의 키패드는 중앙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어, 인터넷 전화 사용시, 사용자는 상기 전화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The Internet of claim 1 or 2, wherein a keypad of the telephone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through a central control unit, so that when using an Internet telephone, a user can input a telephone number using the telephone keypad. Telephone and landline phones.
KR2020000004434U 2000-02-18 2000-02-18 Telephone for use wi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line KR2001894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34U KR200189400Y1 (en) 2000-02-18 2000-02-18 Telephone for use wi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434U KR200189400Y1 (en) 2000-02-18 2000-02-18 Telephone for use wi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400Y1 true KR200189400Y1 (en) 2000-07-15

Family

ID=1964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434U KR200189400Y1 (en) 2000-02-18 2000-02-18 Telephone for use wi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400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74A (en)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Method for processing a call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instrument in parallel with internet telephone
KR20020048175A (en)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ll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instrument in parallel with internet telephone and method therefor
KR20020048236A (en) * 2000-12-18 2002-06-22 윤성식 Telephone switch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74A (en)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Method for processing a call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instrument in parallel with internet telephone
KR20020048175A (en)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Apparatus for processing a call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instrument in parallel with internet telephone and method therefor
KR20020048236A (en) * 2000-12-18 2002-06-22 윤성식 Telephone switch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9400Y1 (en) Telephone for use with telephone line and internet line
KR100221772B1 (en) Network-telephone
JP2937968B2 (en) Voice response telephone
JP3529283B2 (en) Line selection device
KR20010088553A (en) A receiving sound convert sound not
US7564963B2 (en) Multi-handset telephone system
JPH0344149A (en) Hand-free telephone set
JP2003289365A (en) Internet telephone set
KR0143813B1 (en) Telephone system
JP2898085B2 (en) Telephone exchange system with waiting response function
JP2615967B2 (en) Telephone
KR20000030396A (en) Internet phone exchanger
JP3594508B2 (en) Telephone equipment
KR19990011160A (en) Function expansion device and method of telephone having wired / wireless calling function
KR200165424Y1 (en) Key-board phone for the computer
JP3594508B6 (en) Telephone equipment
KR200266227Y1 (en) Voice dialing hands free
KR100703515B1 (en) Full duplex speakerphone with half duplex speakerphone codec
KR20000013133A (en) Call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during absence in key telephone system
KR19980035372A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tomatic continuous redial
JPH05183613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during talking
JPH09181812A (en) Telephone set with tone signal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JPH0759134A (en) Key telephone system
KR20030089135A (en) Handsfree system for being capable of changing setting time of redialing
JPH01254047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sending dial signal of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