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863Y1 - 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 - Google Patents

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863Y1
KR200183863Y1 KR2019990030513U KR19990030513U KR200183863Y1 KR 200183863 Y1 KR200183863 Y1 KR 200183863Y1 KR 2019990030513 U KR2019990030513 U KR 2019990030513U KR 19990030513 U KR19990030513 U KR 19990030513U KR 200183863 Y1 KR200183863 Y1 KR 200183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ng
video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5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위리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위리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위리미디어
Priority to KR2019990030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86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863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수단과;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복수개의 노래반주데이터가 저장된 노래음성 데이터부와; 복수개의 배경영상데이터가 저장된 배경영상 데이터부와; 노래음성 데이터의 노래에 연동되는 문자정보가 저장된 문자데이터부와; 노래부르는 사람을 촬영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촬영부와; 촬영부로부터 전달된 노래부르는 사람의 영상을 가공하기 위한 영상처리부와; 배경영상 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배경영상위에 영상처리부에 의해 가공된 노래부르는 사람의 영상과, 문자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가사정보를 오버랩시켜 출력하는 비디오중첩부와; 비디오중첩부로부터 전달된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부와; 노래음성 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시키고, 소정의 음향효과를 믹싱처리하는 음향처리부와; 음향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비디오 중첩부로부터 전달된 비디오신호와, 음향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신호를 녹화용 매체에 기록하는 녹화부를 포함하는 녹화기능을 가진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노래방업소에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노래반주 화면 구성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뮤직비디오를 저렴한 비용에 제작할 수 있어, 더욱더 향상된 고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nput means for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 song voice data unit storing a plurality of song accompaniment data; A background image data unit storing a plurality of background image data; A character data unit storing character information linked to a song of song voice data; A photographing unit comprising one or more cameras for photographing the singer;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of a singing person transferr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 video overlapping unit for overlapping and outputting the image of the singer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on the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background image data unit and the lyrics information transferred from the character data unit; A screen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overlapping unit; An audio processing unit for amplify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ng audio data unit and mixing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processor;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having a recording function comprising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a video superimposing unit 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a sound processing unit on a recording medium. When installed, the user can not only induce the user's particip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song accompaniment screen, but also can produce his own music video at a low cost, thereby providing improved customer service.

Description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

본 고안은 개인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영상 위에 자신의 노래부르는 모습이 오버랩(Overlap)된 이미지를 녹화하고, 이를 재생해주는 녹화기능을 가진 개인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having a recording function of recording an image of a user's singing overlaid on a background image desired by a user and playing it. .

일반적으로, 개인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에 따른 반주를 들려줄 뿐만 아니라, 노래가사가 삽입된 배경영상을 제공하여 노래부르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좋아하는 노래를 연습해볼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In general, the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not only plays back accompaniment according to the music selected by the user, but also provides a background image with a song lyrics inserted to satisfy the desire to sing or to practice a favorite song. Device.

이러한 노래반주장치는 반주할 노래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부르고싶은 노래를 선택하는 버튼입력부와,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을 발생시키는 오디오장치와, 선택된 적합한 영상에 노래가사가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장치와, 상기 오디오장치로부터 전달된 반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사전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include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song data to be accompanied, a button input unit for selecting a song to be sung, an audio device for generating an accompaniment sound of a selected song, and a song lyrics overlapping with a selected suitable image to be displayed. It includes a screen display device,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accompaniment sound transmitted from the audio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pre-stored program.

상술한 구성을 가진 노래반주장치의 동작 및 세부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노래목록을 보고서 부르고자하는 노래에 해당되는 수치를 확인한 다음, 이 수치를 상기 입력버튼부를 이용해서 입력한다. 입력된 수치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해당 노래가 저장된 저장장치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로드한다.First, the user checks a figure corresponding to a song to be viewed by looking at a list of songs, and then inputs the figure using the input button unit. The input numerical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loads the data from the storage device in which the song is stored.

로드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신호를 화면표시장치로 전달하고, 해당 음성신호를 오디오장치로 각각 전달하면, 상기 각 화면 표시 장치는 선택된 노래에 적합한 해당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오디오장치는 전달받은 노래데이터를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가청음성으로 출력한다.When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load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screen display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udio device, the screen display device displays the corresponding video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and the audio device receives the received song data. Is output in audible voice that people can hear.

상기 오디오장치에 연결된 스피커는 선곡된 노래의 반주음을 출력한다.A speaker connected to the audio device outputs accompaniment of the selected song.

최근에는 노래반주장치를 이용해서 노래 부른 것을 녹음하여 친구에게 선물하거나, 보존해두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In recent years, song accompaniment devices are used to record songs and present them to friends or to save them.

또한, 컴퓨터산업의 비약적인 발달과 개인의 취미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컴퓨터의 저장매체 이를테면, CD, DVD,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된 소정의 배경영상을 로드하고, 컴퓨터용 카메라로 촬영한 자신의 모습을 오버레이해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와동시에, 상기 컴퓨터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특정노래 반주음과, 자신의 노래음성을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 다음, 상기 영상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를 CD, DVD 등과 같은 소정의 매체에 녹화시켜 뮤직비디오로 제작한다.In additio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omputer industry and personal hobby activities, a certain background image stored in a computer storag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etc. is loaded, and the image of yourself taken with a computer camera is overlaid. Display in real time. At the same time, the specific song accompaniment sou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and its song sound are output in real time through a microphone and a speaker, and then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are recorded on a predetermined medium such as a CD or a DVD. To make a music video.

그런데, 상기 노래반주장치와, PC를 이용한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music accommodating apparatus and a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using a PC have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첫째, 종래의 노래반주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노래방업소의 협력업체에서 제공한 것이어서, 협력업체가 동일한 경우에는 모두 획일적인 영상 만을 볼 수 밖에 없다. 또한, 협력업체가 다르더라도, 노래방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몇가지의 내용을 반복해서 틀어주기 때문에 금방 싫증을 느끼게 된다.First, the image displayed through the conventional song accommodating device is provided by a partner of a karaoke company, so when the partners are the same, only the uniform image can be seen. In addition, even if the partner companies are different, the video displayed on the karaoke machine will be bored quickly because the contents are repeatedly played.

둘째, 종래의 노래반주장치에서 제공하는 영상은 사용자가 전혀 선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영상 중에서 가족끼리 보기에는 낯 뜨거운 장면들도 있기 때문에 다른 영상을 보기 위해서 다른 노래방업소로 옮기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Secondly, the image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song accommodating device is not only selectable by the user at all, but also there are scenes that are unfamiliar to family members among these images, so that the user may move to another karaoke store to view another image. .

셋째, 종래의 노래반주장치를 이용해서 녹음을 할 때에는 반주음과 자기 음성외에는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현장감이 떨어져서 특별히 기념하고 싶은 경우에도 그 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Third, when recording using a conventional song accompaniment device is stored except the accompaniment sound and the self voic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effect is halved even if you want to celebrate specially because the presence of the fall.

상술한 종래의 노래반주장치의 단점외에도 생활이 편리해지고,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자신이 노래부르는 모습을 현장감 있게 보존해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어두컴컴한 노래방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이 오버랩된 노래반주장치가 필요해진다.Besides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song accommodating device described above, the life becomes more convenient, and 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s, the necessity of preserving the state of their singing in a realistic sense is increasing, and the song whose background is desired is not a dark karaoke. Accompaniment device is required.

또한, 상기 컴퓨터에 사운드장치와 카메라장치를 연결한 경우에는 그 연결구성이 복잡하고, 컴퓨터에 대한 상세한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다루기가 곤란한 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und device and the camera device are connected to the computer,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when there is no detailed knowledge of the computer,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it.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영상으로 자체 제작된 배경영상 위에 자신이 노래부르는 모습을 녹화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n object of providing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recording and playing a song on a background image produced by itself as a video.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백종의 자체 제작된 다양한 배경영상 및 배경효과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가 쉽도록 전용기기로 제작된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produced by a dedicated device to be easy to use, as well as user can select hundreds of various self-made background image and background effect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인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에서 배경영상 데이터부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background image data in the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흐름도.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6 : 배경영상 데이터부 18 : 촬영부16: background image data portion 18: the photographing portion

20 : 영상처리부 22 : 비디오중첩부20: image processing unit 22: video overlapping unit

24 : 문자데이터부 26 : 화면표시부24: character data portion 26: screen display portion

28 : 노래음성 데이터부28: song voice data s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사용자의 선택적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복수개의 노래반주데이터가 저장된 노래음성데이터부와; 복수개의 배경영상데이터가 저장된 배경영상데이터부와; 상기 노래음성데이터의 노래에 연동되는 문자정보가 저장된 문자데이터부와; 노래부르는 사람을 촬영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로부터 전달된 노래부르는 사람의 영상을 가공하기 위한 영상처리부와; 상기 배경영상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배경영상위에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가공된 노래부르는 사람의 영상과, 상기 문자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가사정보를 오버랩시켜 출력하는 비디오중첩부와; 상기 비디오중첩부로부터 전달된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부와; 상기 노래음성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시키고, 소정의 음향효과를 믹싱처리하는 음향처리부와; 상기 음향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비디오중첩부로부터 전달된 비디오신호와, 상기 음향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신호를 녹화용 매체에 기록하는 녹화부를 포함하는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put means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ve input;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 song voice data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song accompaniment data; A background image data unit storing a plurality of background image data; A character data unit storing character information linked to a song of the song voice data; A photographing unit comprising one or more cameras for photographing the singer;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of a singing person transferr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 video overlapping unit for overlapping the image of the singer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on the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background image data unit and lyric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acter data unit; A screen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overlapping unit; An audio processor for amplify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ng audio data unit and mixing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processor; It is to provide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including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overlapping unit 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processing unit on a recording medium.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녹화 촬영에 적절한 빛을 공급을 하기 위한 조명장치와, 촬영시 피사체의 뒷쪽에 위치한 크로마키 스크린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llumination device for supplying light suitable for recording, and a chroma key screen located at the back of the subject during shooting.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버튼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로부터 유선입력을 받기 위한 키입력부(10)와, 사용자로부터 무선입력을 받기 위한 리모콘(10a) 및 리모콘수신부(10b)와, 상기 리모콘수신부(10b)와 연결되어, 내부의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4)가 구비되어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key type key input unit 10 for receiving a wired input from the user, a remote control 10a and a remote control for receiving a wireless input from the user A control unit 14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0b and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unit 10b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internal program.

또한, 소정의 배경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배경영상데이터부(16)와, 다수개의 캠코더로 이루어져, 촬영한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촬영부(18)와, 촬영부(18)로부터 전달된 동영상 데이터에 특수효과를 주거나, 데이터가공을 하기 위한 영상처리부(20)가 구비되어 있다.Also, a background image data unit 16 storing predetermined background image data, a plurality of camcorders, a recording unit 18 for outputting captured video data in real time, and moving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cording unit 18. The image processing unit 20 is provided to give a special effect or to process the data.

그리고, 상기 배경영상 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배경영상위에,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와, 문자데이터부(24)로부터 수신한 문자정보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는 비디오중첩부(22)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Then, the video overlapping unit 22 which overlays and outputs the real-tim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tex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xt data unit 24 is connected to the background image transferred from the background image data unit, respectively. It is.

상기 비디오중첩부(22)에서 출력된 화상데이터는 화면표시부(26)에서 디스플레이된다.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video overlapping section 22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section 26.

한편, 다수개의 노래반주음이 저장된 노래음성데이터부(28)와, 상기 노래음성데이터부(28)로부터 전달된 음성데이터에 소정의 음향효과를 부가하거나, 소정레벨 이상으로 증폭하는 음향처리부(30)와, 상기 음향처리부의 노래반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32)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ong voice data unit 28 stored a plurality of song accompaniment sound, and the sound processing unit 30 to add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to the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song voice data unit 28, or to amplify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And a speaker 32 for outputting the song accompaniment of the sound processor.

그리고, 상기 비디오중첩부(22)로부터 전달된 화상데이터와, 상기 음향처리부(30)로부터 전달된 음성데이터를 소정 매체에 녹화하기 위한 녹화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recording unit 34 for recording the image data transferred from the video overlapping unit 22 and the audio data transferred from the sound processing unit 30 to a predetermined medium.

상술한 녹화기능을 가진 개인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에서 배경영상을 저장하고, 로드하는 배경영상 데이터부에는 여러 가지 경우가 있는데,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background image data unit for storing and loading a background image in the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recording function may be variously describe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의 배경영상 데이터부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배경영상이 저장된 CD가 읽혀지는 CD 리더기(16a)와, 상기 CD 리더기(16a)에 로드된 CD의 배경 동영상 엠펙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엠펙 A/V 디코더(16b)와, 상기 엠펙 A/V 디코더(16b)로부터 출력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음향처리부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처리부와, 상기 엠펙 A/V 디코더(16b)로부터 출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비디오중첩부로 전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ackground image data unit of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CD with a background image stored therein is read from a CD reader 16a and a CD loaded into the CD reader 16a. An MPEG A / V decoder 16b for decoding background video MPEG data, a voice processor for delivering voice data output from the MPEG A / V decoder 16b to the sound processor, and the MPEG A / V decoder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image data outputted from 16b to the video overlapping unit.

상술한 구성을 가진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의 세부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상기 리모콘(12a) 및 리모콘수신부(12b)의 무선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면 되는데, 이러한 것으로는 적외선방식, RF(Radio Frequency)방식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입력부(10) 또는 리모콘(12a)에는 곡명을 지정하기 위한 10진 숫자버튼과, 연주, 중지, 녹화 등과 같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버튼으로 구성된다.The wireless method of the remote controller 12a and the remote control receiver 12b may be one that is generally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n infrared method and an RF (Radio Frequency) method. In this case, the key input unit 10 or the remote controller 12a includes a decimal number button for designating a song name and a function button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such as playing, stopping, and recording.

상기 촬영부(18)는 복수개의 카메라와, 이 카메라들을 상/하/좌/우 이동제어와, 줌인(Zoom In)과 줌아웃(Zoom Out) 제어와, 원활한 카메라 고속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photographing unit 18 performs a plurality of cameras, up / down / left / right movement control, zoom in and zoom out control, and smooth camera high speed control.

상기 영상처리부(20)는 상기 촬영부(18)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중에서 노래부르는 사람의 영상 만을 추출하고, 실제영상보다 커보이게 하거나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등의 특수효과 기술을 적용해서 출력하는 장치이다.The image processing unit 20 extracts only the image of the singer from the vide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8, and outputs by applying a special effect technology such as making it look larger than the actual image or creating a fantastic atmosphere to be.

또한, 노래부르는 사람의 모습을 3D 애니메이션, 2D 애니메이션, 3D+2D 애니메이션, 실제모습에 특수효과처리를 한 것 중에서 하나이다.Also, the singer's figure is one of 3D animation, 2D animation, 3D + 2D animation, and special effects processing.

상기 배경영상데이터부(16)는 노래반주시 또는 녹화시 화면의 배경으로사용될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이 저장된 장치로서, 제조업체의 설계룰과 운영업체의 사정에 따라 CD(Compact Disc) 드라이브, DVD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등과 같은 저장수단이다. 만약, CD 드라이브 또는 DVD 드라이브를 채택하면 운영업체가 변경된 배경데이터를 소포 등을 사용할 수 있어 배포 비용면에서 절감되는데 반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면 변경된 데이터를 관리직원이 직접와서 업그레이드해주므로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요하다면, 두 종류의 장치를 모두 장착해도 된다.The background image data unit 16 is a device for storing a still image or a video to be used as a background of a screen during song accompaniment or recording. A CD (Compact Disc) drive, a DVD drive, It is a storage means such as a hard disk drive. If the CD drive or DVD drive is adopted, the operator can use the package for changing the background data, thereby reducing the distribution cost.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rd disk drive is installed, the management staff directly upgrades the changed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Can improve. If necessary, both types of devices may be mounted.

상기 녹화부(34)는 상기 노래음성데이터부(28)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비디오 공테이프를 이용해서 녹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CD 또는 DVD에 녹화해도 무방하다.The recording unit 34 is a device for recording the screen data displayed by the song audio data unit 28 and the audio data using video blank tape, and may be recorded on a CD or a DVD.

상기 제어부(14)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프로그래머블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종 케이블 및 인터페이스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14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that retains data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a programmable microprocessor, various cables, and an interface device.

또한, 상술한 구성과는 별도로, 촬영시 소정 레벨의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조명장치와 더불어 촬영장치의 빛을 주위로 적절히 반사하기 위해 피사체의 배위에 설치된 크로마킷 스크린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녹화시 조명장치가 동작하도록 한 것이고, 상기 크로마킷 스크린은 녹화하기전에 펼치거나 미리 설치해두면 된다.In addition, apart from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lighting device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level of light during shooting and a chromatographic screen installed on the subject's configuration to properly reflect the light of the shooting device together with the lighting device will be provided. . In this case, the lighting device is to operate the lighting device when recording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he chroma screen may be expanded or pre-installed before recording.

상술한 구성을 가진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의 동작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flow of the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1 단계(S100)로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0) 또는 리모콘(12a)를 통해 원하는 노래와, 배경영상과, 특수효과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노래를 'Yesterday'로 하고, 배경영상을 '유영하는 은하수'로 하며, 특수효과를 영화속 주인공처럼 보여주는 '환타지'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노래와, 배경영상과, 특수효과는 제조업체의 설계룰에 따라 변동가능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종류 가운데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경영상은 동영상과 정지화상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As a first step (S100), a user inputs a desired song, a background image, and a special effec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or the remote controller 12a. For example, a user may choose a song as 'Yesterday', a background image as a 'streaming Milky Way', and 'fantasy' to show special effects as the main character in the movie. In this case, the song,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special effects are changeable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esign rule, and can b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types, and the background image can be selected from a moving image and a still image.

제 2 단계(S110)로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선택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로드하는데, 예로 든 상기 경우에는 유영하는 은하수속에서 환타지 처리된 자신의 모습이 실시간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는 비디오중첩부(22)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비디오중첩부(22)는 배경영상데이터부(16)로부터 전달된 배경영상 위에 영상처리부(20)로부터 전달된 노래부르는 사람의 영상과, 문자데이터부(24)로부터 전달된 가사정보를 오버랩시켜 화면표시부(26)로 전달하면, 화면표시부(26)는 이를 전달한다.As a second step (S110), the video and audio data selected in the first step are loaded.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image of a fantasy processed by the flowing galaxies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al tim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video overlapping unit 22, the video overlapping unit 22 is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0 on the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background image data unit 16. When the image of the singer and the lyric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xt data unit 24 are overlapped and transmitted to the screen display unit 26, the screen display unit 26 transmits the same.

제 3 단계(S120)로서,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10) 또는 리모콘(12a)을 통해 녹화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4)는 이를 감지하고, 녹화부(34)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녹화를 시작하도록 한다.As a third step (S120), when the user presses the recording butt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or the remote controller 12a, the control unit 14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recording unit 34 to record the recording. Let's get started.

제 4 단계(S130)로서,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10) 또는 리모콘(12a)을 통해 연주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14)에서 이를 감지하여 해당장치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면 노래반주음이 출력되면서 노래가 시작된다.As a fourth step (S130),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or the remote controller 12a, the controller 14 detects this and transfer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the song accompaniment sound is generated. The song starts playing.

여기서, 상기 제 3 단계가 시작됨과 동시에 상기 제 4 단계가 시작되도록 구성되어 무방한데, 이는 제조업체의 설계룰에 따라 변동가능하다.In this case, the fourth step may be started and the fourth step may be configured to start, whic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manufacturer's design rule.

제 5 단계(S140)로서, 소정시간 후에 사용자는 노래를 종료한다.In a fifth step S140,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ends the song.

제 6 단계(S150)로서, 상기 노래가 종료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녹화는 종료되고, 사용자는 녹화된 매체 예를 들어, CD, DVD, 녹화테이프를 꺼내간다.In the sixth step S150, the recording is automatically terminated as soon as the song ends, and the user takes out the recorded medium, for example, a CD, a DVD, or a recording tape.

한편, 전술한 배경영상도 3D 또는 2D 애니메이션 기법이 적용된 화상을 이용해도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실물배경에 비해서 창작비용이 많이 들지만, 대량생산에 의해 가격을 낮춘다면 별 차이가 없게 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image may also use an image to which a 3D or 2D animation technique is applied. In this case, a creative cost is higher than that of a real background, but if the price is lowered by mass production, there is no difference.

이와같이 녹화된 매체는 본 고안에 따른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의 재생기능을 사용하거나, 매체특성에 따른 재생장치를 사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서, CD로 녹화된 것은 컴퓨터의 엠펙보드 또는 엠펙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CD 드라이브로 재생하고, DVD로 녹화된 것은 컴퓨터의 엠펙보드 또는 엠펙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DVD 드라이브로 재생하며, 녹화테이프로 녹화된 것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rder; VTR)를 이용해서 재생하면 된다.The media recorded in this way may be used by the playback function of the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by using a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For example, the recording on a CD may be performed by using a computer's MPEG board or MPEG software. Playback on a CD drive, recorded on a DVD using a computer's MPEG board or MPEG software, played on a DVD drive, and recorded on a tape using a Video Tape Recorder (VTR). .

전술한 본 고안의 노래반주장치는 기존의 노래방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부가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이다.The karaok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not only provides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existing karaoke, but also performs the above additional functions.

전술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특별히 기념하고 싶은 날에 노래반주 화면 및 음성을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First, since the song accompaniment screen and audio can be recorded on a specially celebrated day,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둘째, 노래방업소에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노래반주 화면 구성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뮤직비디오를 저렴한 비용에 제작할 수 있어, 더욱더 향상된 고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i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karaoke shop, not only the user's particip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song accompaniment screen can be produced, but also his music video can be produced at a low cost, thereby providing more improved customer service. There is an advantage.

셋째, 자체 개발된 수백종의 배경영상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 만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세미 오디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럴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면 예비 가수발굴을 위한 간이 오디션 스튜디오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since it is possible to produce music videos of its own by providing hundreds of background image data developed by itself,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also function as a semi-audition fun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 simple audition studio for.

넷째,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노래방의 영업실적이 부진한 현재의 상황을 고려할 때, 노래방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서비스 아이템을 제공하여 사업 활성화를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overall sales performance of karaoke is sluggish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ctivate the business by providing a service item that can provide pleasure to karaoke users.

다섯째, 수백종의 자체 제작된 배경 동영상 위에 자신의 모습이 디스플레이 및 녹화되어, 스타적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타가 되어 보고 싶은 청소년 들에게 건전한 청소년 놀이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fth, since their appearances are displayed and recorded on hundreds of self-produced background videos, so that they can enjoy a star atmosphere, and they can be used as a healthy youth play space for teenagers who want to become stars.

여섯째, 상술한 구성을 가진 전용기기 형태로 공급함으로써, 부대장비의 원가가 최소화되어, 고가의 장비를 대중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xth, by supplying in the form of a dedicated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st of the auxiliary equipment is minimized, there is an advantage to popularize expensive equipment.

Claims (6)

사용자의 선택적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수단과,Input means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ve input;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복수개의 노래반주데이터가 저장된 노래음성데이터부와,A song voice data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song accompaniment data; 복수개의 배경영상데이터가 저장된 배경영상데이터부와,A background image data unit storing a plurality of background image data; 상기 노래음성데이터의 노래에 연동되는 문자정보가 저장된 문자데이터부와,A character data unit storing character information linked to a song of the song voice data; 노래부르는 사람을 촬영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comprising one or more cameras for photographing the singer, 상기 촬영부로부터 전달된 노래부르는 사람의 영상을 가공하기 위한 영상처리부와,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mage of a singing person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배경영상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배경영상위에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가공된 노래부르는 사람의 영상과, 상기 문자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가사정보를 오버랩시켜 출력하는 비디오중첩부와,A video overlapping unit for overlapping and outputting the image of the singer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on the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background image data unit and lyric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acter data unit; 상기 비디오중첩부로부터 전달된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표시부와,A screen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overlapping unit; 상기 노래음성데이터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시키고, 소정의 음향효과를 믹싱처리하는 음향처리부와,An audio processor for amplify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ng audio data unit and mixing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상기 음향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processor; 상기 비디오중첩부로부터 전달된 비디오신호와, 상기 음향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오디오신호를 녹화용 매체에 기록하는 녹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overlapping unit and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nd processing unit to a recording mediu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경영상데이터부는 CD 드라이브와, DVD 드라이브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된 집단 가운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The background image data unit is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D drive, a DVD drive, and a hard disk dri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녹화부는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와, DVD 디스크 드라이브와, 비디오레코더로 구성된 집단가운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The recording unit is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pact disc drive, a DVD disc drive, and a video record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처리부는 노래부르는 사람모습에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특수효과를 부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The image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es adding a predetermined special effect desired by the user to the appearance of the sing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처리부는 노래부르는 사람모습을 3D 애니메이션과, 2D 애니메이션과, 실제모습에 특수효과 처리한 것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The image processing unit is a personal music video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the 3D animation, the 2D animation, and the special appearance processing of the singer appearan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영부는 노래부르는 장면을 촬영하기 위한 복수개의 카메라와, 각 카메라의 촬영각도, 줌인 및 줌아웃해서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시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를 포함하고,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for photographing a singing scene, and a camer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angles, zoom-in, and zoom-out of each camera to shoot at various sizes and various views. 촬영하기에 적절한 밝기의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와, 촬영시 피사체의 뒷쪽에 구비된 크로마킷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뮤직비디오 제작시스템.Personal equipment for producing a personal music video,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device for supplying light of a suitable brightness for shooting, and a chromatographic screen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ubject during shooting.
KR2019990030513U 1999-12-30 1999-12-30 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 KR2001838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13U KR200183863Y1 (en) 1999-12-30 1999-12-30 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13U KR200183863Y1 (en) 1999-12-30 1999-12-30 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863Y1 true KR200183863Y1 (en) 2000-06-01

Family

ID=1960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513U KR200183863Y1 (en) 1999-12-30 1999-12-30 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863Y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521A (en) * 2000-02-18 2000-05-06 류경범 Music video recorde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10069599A (en) * 2001-04-20 2001-07-25 유동민 Manufacture system for music video of music instrument
KR20020021964A (en) * 2000-09-18 2002-03-23 송제훈 The method for culture product serving using online network integr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KR20020034049A (en) * 2000-11-02 2002-05-08 한경수 Vending machine type picturing device
KR100383019B1 (en) * 2001-01-03 2003-05-09 (주)아이뮤직소프트 Apparatus for authoring a music video
KR20040021003A (en) * 2002-09-02 2004-03-10 김승식 Video and audio data storing device for a Noreabang
KR101808452B1 (en) * 2016-10-10 2017-12-12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Hybrid vr karaoke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521A (en) * 2000-02-18 2000-05-06 류경범 Music video recorde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20021964A (en) * 2000-09-18 2002-03-23 송제훈 The method for culture product serving using online network integr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KR20020034049A (en) * 2000-11-02 2002-05-08 한경수 Vending machine type picturing device
KR100383019B1 (en) * 2001-01-03 2003-05-09 (주)아이뮤직소프트 Apparatus for authoring a music video
KR20010069599A (en) * 2001-04-20 2001-07-25 유동민 Manufacture system for music video of music instrument
KR20040021003A (en) * 2002-09-02 2004-03-10 김승식 Video and audio data storing device for a Noreabang
KR101808452B1 (en) * 2016-10-10 2017-12-12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Hybrid vr karaok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4104B2 (en) System for creating content using content project data
US8139126B2 (en) Digital video system for assembling video sequences
US7952535B2 (en) Electronic visual jockey file
US20060268121A1 (en) In-camera cinema director
JP2008286912A (en) Karaoke system
US20020070960A1 (en) Multimedia appliance
KR200183863Y1 (en) 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
JP20061358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tion
KR100350712B1 (en) The personal system for making music video
JP2007013918A (en) Digital camera having electronic visual jockey function, and file therefor
JP2005026739A (en) Video content 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KR20000067376A (en) A system for producing live image using song accompaniment system
Cross Audio Post Production: For Film and Television
Rubin The little digital video book
JPH11219189A (en) Karaoke video recording system and recording tape
KR20000049304A (en) Photograph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 video using a karaoke system
KR20000066726A (en) Music Video Vending Machine
JP3639387B2 (en) Karaoke equipment
JP2004271959A (en) Karaoke (orchestration without lyrics) device
KR20050075082A (en) Manufacture system of music video using karaoke
JP3092612U (en) DVD player integrated television receiver and video / audio playback device
JP2004328185A (en) Reproduction information file generating program
JP2003186484A (en) Color superimposer for karaoke device
KR200347187Y1 (en) Manufacture System of Music Video Using Karaoke
JPH09154092A (en) Video cd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