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259A - Discharge lamp and the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charge lamp and the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259A
KR20010044259A KR1020010004077A KR20010004077A KR20010044259A KR 20010044259 A KR20010044259 A KR 20010044259A KR 1020010004077 A KR1020010004077 A KR 1020010004077A KR 20010004077 A KR20010004077 A KR 20010004077A KR 20010044259 A KR20010044259 A KR 2001004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electrode
discharge lamp
get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92181B1 (en
Inventor
박득일
조순천
김상묵
서옥빈
이상기
Original Assignee
박득일
주식회사 엘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득일, 주식회사 엘에스텍 filed Critical 박득일
Publication of KR2001004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1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2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 Lamp (AREA)

Abstract

PURPOSE: A back light unit employing discharge lamps is provided to not only shorten the time of stabilizing the luminescence and to increase the luminescence, and thus reducing the number lamps, but also to reduce the part not producing the light so miniaturize the unit. CONSTITUTION: In the back light unit employing discharge lamps, a tubelike lamp(11) is sealed with discharge gas injected 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12,1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ubelike lamp(11). A getter electrode(15) is formed inside the lamp(11) on one of the electrodes(12,13) at least. On the side of the getter electrode, a device limiting the position of the getter electrode(19) is formed in the end of the lamp(15). The device(19) is formed so that the surface makes a curve or a bidding. However, the curve or the bidding should not interfere with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escription

방전램프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Discharge lamp and the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Discharge lamp and the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의 외부에 전극이 설치되어 고휘도와 저소비전력이 구현가능한 방전램프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harge lamp capable of implementing high brightness and low power consumption by installing electrodes outside the tube and a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same.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는 크게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한다. 발광형으로는 음극선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발광소자, 형광표시장치, 발광다이오드등이 있다. 수광형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가 있다.In general, a display is classified into a light emitting type and a light receiving type. The light emitting type includes a cathode ray tube, a plasma display panel,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a fluorescent display device,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ke. The light receiving typ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이중에서, 액정 디스플레이는 그 자체가 발광하여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수광형 디스플레이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화상을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m,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itself emits light and does not form an image, and light is incident on the outside to form an ima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image cannot be observed in a dark pla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배면에는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가 설치되어 빛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ack light unit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to irradiate light. Accordingly, an image can be realized even in a dark place.

백라이트 유니트에는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CCFL)를 배치하는 방식과, 형광체가 도포된 상하기판을 조립한 평판형 형광램프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냉음극 형광램프를 배치하는 방식은 표시면에 대한 광원의 배치에 따라서 도광판(plastic light guide)을 사용하는 가장자리 발광(edge light) 방식과, 평면에 중첩 배열하는 직하 발광(direct light)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Background Art [0002]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CCFLs) and flat plate fluorescent lamps incorporating phosphor-coated upper and lower substrates are widely used for backlight units. The arrangement of th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is divided into an edge light method using a plastic light guide and a direct light method overlapping on a plan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 on the display surface. can do.

상기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형광램프는 내부전극형과 외부전극형이 있는데, 내부전극형의 경우에는 튜브의 양단 내측에 전극이 설치되고, 이 전극과 연결된 리드선이 고정된 절연재질의 클램프 홀더가 구비된다. 이러한 내부전극형은 구동시 전극의 열화에 의해 전극의 주위가 흑화되어 암부가 발생된다. 이러한 암부는 형광램프 양단에 각각 15mm 가 된다.The fluorescent lamp used for the backlight includes an internal electrode type and an external electrode type. In the case of the internal electrode type, electrodes are installed inside both ends of the tube, and an insulating clamp holder having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is provided. . In the internal electrode type, the darkening of the electrode causes blackening of the electrod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electrode during driving. These dark portions are each 15 mm at both ends of the fluorescent lamp.

이러한 백라이트 유니트에 이용되는 외부전극형 형광램프의 일예가 대한 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 2000-037279호, 한국 특허 출원번호 제2000-64011호, 제2000-64013호, 제2000-64014호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used in such a backlight uni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37279,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2000-64011, 2000-64013, and 2000-64014. .

개시된 형광램프는 밀폐된 관상의 튜브 내에 형광체층이 형성되고 튜브의 양 외주면에 각각 전극이 설치되어 구성된다.The disclosed fluorescent lamp is formed by forming a phosphor layer in a sealed tubular tube and having electrodes provided on both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ube.

이러한 형광램프는 튜브의 양극간 방전을 통해 관내에 분포한 미량의 Hg로부터 자와선이 발생되고, 이 자외선에 의해 상기 형광체층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발광케하고 이 가시광을 직접 또는 반사판을 거쳐 유도된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형광램프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는 도광판에 상기 램프가 장착된 다수의 찬넬이 형성되고, 이 도광판의 상하면에는 각각 확산판과 반사판이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The fluorescent lamp generates magnetic lines from trace amounts of Hg distributed in the tube through the anode discharge of the tube, and excites the phosphor layer by the ultraviolet rays to emit visible light, and the visible light is induced directly or through a reflecting plate. To exit.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fluorescent lamp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hannels in which the lamp is mounted on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ight guide plate is provided with a diffuser plate and a reflecting plate, respectively.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형광램프는 튜브의 양 외주면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전극에 의해 비발광영역이 발생되고, 이 비발광영역은 형광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니트의 제조시 가장자리부에 암부(dead space)의 발생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러한 암부는 백라이트유니트를 소형화 하는데 많은 제약을 주게된다.However, in the fluorescent lamp as described above, since electrodes are provided on bo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ube, a non-light emitting area is generated by the electrode, and the non-light emitting area is a dead space at the edge portion of the backlight unit using the fluorescent lamp. ) Is inevitable. This dark part places a lot of constraints in miniaturizing the backlight unit.

특히 튜브의 양단부에 전극의 설치 또는 캡을 이용한 전극을 채용한 경우 보다 높은 휘도를 얻기 위하여 종래의 전극을 튜브의 내부에 내장하는 형광램프에 비하여 증가된 전극의 길이가 필요하게 되므로 상기 암부는 더욱 증가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부전극형 형광램프의 경우 원활한 유전체 장벽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과 튜브 내의 수은 증기화를 위한 관내온도(약 40℃)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전극과 유전체 즉, 튜브와의 접촉 면적에 따라 좌우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외부전극형 형광램프에 있어서, 적극의 폭을 너무 넓게하면 관내온도 상승에는 유리하는 암부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에는 온도 상승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충분한 발광휘도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electrode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ube or an electrode using a cap is used, an increased length of the electrode is required compared to a fluorescent lamp in which a conventional electrode is embedded in the tube in order to obtain higher luminance. Will be increas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ternal electrode type fluorescent lamp,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dielectric, ie, the tube, required to rise to the internal temperature (about 40 ° C.) for smooth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nd mercury vaporization in the tube. It depend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if the width of the positive electrode is made too wide, the area of the dark part which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tube is widened, and when the width is relatively narrow, it takes a lot of time due to the temperature rising and sufficient light emission. There is a problem that luminance cannot be obtain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외부전극형 방전램프는 생산적인 측면에서 관내에 미량의 수은을 주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수은이 함침된 게터 전극의 튜브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기 및 방전가스의 주입을 완료한 하고, 고주파 가열을 통한 수은 활성화와 게터링을 실시한 후 튜브를 재차 실링하여 이를 재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튜브를 재차 실링하여 커팅하는 경우 튜브에 크랙이 발생하는 불량과 실링시 튜브에서 불순가스 발생에 따른 방전특성 저하에 따른 불량으로 생산성 및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전램프는 장기간 사용시 수은이 형광체층에 흡착 또는 불수물과의 반응에 의한 튜브 내에 수은이 발생하므로 발광효율이 저하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electrode discharge lamp as described above is a productive method for injecting a small amount of mercury into the tube in the exhaust gas and the injection of discharge gas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inside the tube of the getter electrode impregnated with mercury. After completion, mercury activation and gettering through high frequency heating is performed, and the tube is sealed again to remove it. In this process, when the tube is sealed and cut aga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and yield are deteriorated due to defects caused by cracks in the tube and defects caused by deterioration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due to the generation of impurity gas in the tube during sealing.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ischarge lamp, the mercury is generated in the tube due to the adsorption of the mercury on the phosphor layer or the reaction with the non-fluorine in the long-term use, the luminous efficiency is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광 휘도의 안정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발광 휘도를 높일 수 있고, 백라이트에 적용시 암부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전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stabilization time of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to increase the light emission luminance, and to provide a discharge lamp tha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dark portion when applied to the backlight.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휘도를 높여 형광램프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비발광 영역의 면적을 줄여 소형화가 가능한 백라이트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light unit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fluorescent lamps by increasing the luminance of light emission and reducing the area of the non-emission ar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램프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방전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charge lamp;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3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9는 방전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니트들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6 to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cklight unit using a discharge lamp,

도 10은 전극의 길이에 따른 휘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 보인 그래프.10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luminance and time according to the length of an electr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전램프는 양단부가 밀폐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장벽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들과, 상기 튜브의 일측 또는 양측내에 수은이 함침된 게터전극들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charg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in which both ends are sealed, electrode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to cause barrier discharge, and getter electrodes impregnated with mercury in one or both sides of the tub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에 있어서, 튜브의 내면에는 형광체층이 형성되며, 상기 게터전극은 플로팅된다. 그리고 상기 게터전극이 위치되는 튜브의 단부에는 게터전극의 위치를 한정하는 게터전극 위치한정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게터전극 위치한정 수단은 상기 튜브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hosphor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and the getter electrode is floated. A getter electrode positioning means for defining the position of the getter electrod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ube where the getter electrode is located. The getter electrode positioning means is formed by be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to the ins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특징의 방전램프는 양단부가 밀폐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유전체 장벽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들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전극의 길이는 20mm 이상으로 형성된다.Discharge lamps of another feature to achieve the object comprises a tube is sealed at both ends, and the electrode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ube to cause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It is formed more than 20m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설치되는 튜브의 양단부가 튜브이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이의 내부에는 수은이 함침된 게터 전극이 내재되며, 튜브 내면 또는 외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는 형광체층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tube in which the electrode is installed is made of the tube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side of the getter electrode impregnated with mercury,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or outer tube A phosphor layer excited by ultraviolet rays is form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양단부가 밀폐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전체 장벽방전을 일으키는 외부전극과 상기 튜브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튜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전극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 상기 외부전극의 길이가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해 10mm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ube that is closed at both ends, the external electrod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ube to cause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nd the other side of the tube is located inside the tube Including an internal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external electrode is formed to 10mm or mor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상기 튜브의 양단부는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이의 내부에는 수은이 함침된 게터 전극이 내재될 수 있다. 튜브 내면 또는 외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는 형광체층이 형성된다.Both ends of the tube are bent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and a getter electrode impregnated with mercury may be embedded therein. A phosphor layer excited by ultraviolet rays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tube.

본 발명의 방전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니트는, 내외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튜브와, 이 튜브의 양 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전극의 튜브 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가 20mm 이상인 방전램프와,The backlight unit using the discharg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e having a phosphor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and outer sides, a discharge lamp having a length of 20 mm or more in the tube leng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both ends of the tube,

적어도 하나의 형광램프가 상면에 설치되는 반사막을 갖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전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fluorescent lamp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base member having a reflective film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diffusion plate provided on the base member to diffus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discharge lam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전램프의 전극이 설치되는 튜브의 양 가장자리부는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 전극이 형성된 가장자리의 내부에는 수은이 함침된 게터전극이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dge portions of the tube on which the electrode of the discharge lamp is installed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and a getter electrode impregnated with mercury is installed inside the edge where the electrode is 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램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1 shows an embodiment of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의 튜브(11)의 내부에 방전가스가 주입된 상태로 밀봉되고, 이 튜브(11)의 양 단부의 외주면에는 제1,2전극(12)(13)이 설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charge gas is sealed inside the tubular tube 11,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3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tube 11.

그리고 상기 튜브(11)의 양단부중 적어도 일측 단부의 내부에는 게터전극(15)가 설치된다. 상기 게터전극(15)이 설치된 튜브의 단부에는 게터 전극(15)의 장착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게터전극 위치한정수단(19)이 설치된다. 이 게터전극 위치한정 수단(19)는 상기 튜브 단부의 외주면이 외주면을 따라 만곡되거나 비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에 상기 투브 외주면에 만곡된 부위나 비딩된 부위는 장벽방전에 장애를 주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다.A getter electrode 15 is installed inside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tube 11. A getter electrode positioning means 19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ube on which the getter electrode 15 is installed to defin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getter electrode 15. The getter electrode positioning means 19 is formed by bending or bea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e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is time, the curved portion or the beaded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is formed to not interfere with barrier discharge.

상기 방전램프에 있어서, 튜브(11)의 내면 또는 외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전극에 의한 유전체의 장벽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층(14)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discharge lamp, a phosphor layer 14 excited by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barrier discharge of the dielectric by the electrode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11.

그리고 상기 양 제1,2전극(12)(13)이 형성된 튜브(11)의 단부(11a)(11b)는 유효 발광영역에 전극 형성부위인 단부가 암부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예컨데, 90°)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튜브(11) 단부의 절곡 각도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형광램프의 설치 장소 및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ends 11a and 11b of the tube 11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3 are formed have a length of the tube to prevent the end of the electrode forming portion in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region from acting as a dark portion. It may be bent at an angle to the direction (eg 90 °). The bending angle of the end portion of the tube 11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installed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and function of the fluorescent lamp.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의 튜브(11)의 내부에 수은 등과 같은 방전가스가 주입된 상태로 밀봉되고, 이 튜브(11)의 양 단부의 외주면에는 제1,2전극(12)(13)이 설치되는데, 상기 전극(12)(13)의 길이(L1)은 튜브 길이 방향에 대해 20mm 이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side of the tubular tube 11 is sealed with a discharge gas such as mercury injected therein,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3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tube 11. The length L1 of the electrodes 12 and 13 is formed to be 20 mm or more with respect to the tube length direction.

한편, 상기 제1,2전극(12)(13)이 설치된 단부(11a)(11b)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은이 함침된 게터 전극이 위치될 수 있는데, 이 게터 전극(15)(15)은 상기 제1,2전극(12)(13)에 대해 플로팅 된다. 상기 제1,2전극이 형성된 튜브의 단부는 방전램프의 암부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곡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a getter electrode impregnated with mercury may be positioned in the end portions 11a and 11b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3. 15 is flo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3. Naturally, the ends of the tubes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may be bent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acting as arm portions of the discharge lamps.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튜브(11)의 단부에는 튜브(1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확개부(16)를 형성하고 이 확개부의 외주면에 전극(17)(18)이 설치되는데, 이 전극의 튜브 길이 방향의 길이(L2)는 20mm 이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개부(16)의 내부에는 상기 게터전극이 설치될 수 있다.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end of the tube 11 is formed an enlargement 16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ube 11 and the electrode ( 17) (18)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L2 of the tube length direction of this electrode is formed in 20 mm or more. The getter electrode may be installed in the extension 16.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방전가스가 충전된 튜브(21)와, 이 튜브의 양 단부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리드선을 포함하는 내부전극(22)(23)과, 상기 튜브(21)내면 또는 외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형광체층(2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부전극(22)(23)이 설치되는 튜브의 양 단부(21a)(21b)는 튜브(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다. 미설명부호 25는 캡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re is a tube 21 filled with discharge gas therein, internal electrodes 22 and 23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side both ends of the tube and include lead wires, and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tube 21. It includes a phosphor layer 24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ere, both ends 21a and 21b of the tube on which the internal electrodes 22 and 23 are installed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21. Reference numeral 25 is a cap.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관상의 튜브(40)의 내부에 수은 등과 같은 방전가스가 주입된 상태로 밀봉되고, 이 튜브(40)의 일측 외주면에는 외부전극(41)이 설치되고 튜브(40)의 타측에는 내부전극(42)이 설치되는데, 이 내부전극(42)은 튜브의 외부로부터 튜브(40)의 내부로 연장 매립되어 튜브(40)의 내부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튜브(40)의 외측에 설치된 외부전극(41)은 튜브(40)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L3)가 10mm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전램프에 있어서, 튜브(40)의 내면 또는 외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전극에 의한 유전체의 장벽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층(4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튜브(40)의 양단부는 유효발광영역에 전극 형성부위인 단부가 암부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전극(41)이 형성된 튜브(40)의 내부에는 수은이 함침된 게터 전극이 플로팅 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Sealed in a state in which discharge gas such as mercury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tubular tube 40 shown, an outer electrode 41 is installed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40 and an inner electrode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40. A 42 is provided, and the internal electrode 42 extends from the outside of the tube to the inside of the tube 40 and is located inside the tube 40. Herein, the external electrode 41 installed outside the tube 40 has a length L3 of 10 mm or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40. In the discharge lamp, a phosphor layer 43 excited by ultraviolet rays generated by barrier discharge of the dielectric by the electrode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40. Both ends of the tube 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revent the end of the electrode forming portion in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region from acting as a dark portion. In addition, a getter electrode impregnated with mercury may be mounted in a floating state in the tube 40 in which the external electrode 41 is formed.

그리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니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And Figure 7 shows an embodiment of a backlight unit using a discharg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31a) 또는 형광면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31), 상기 베이스 부재(31)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전램프(10)와, 상기 형광램프(10)와 베이스 부재(31)의 상부에 설치되는 확산판(32)를 포함하다.상기 확산판(32)의 상부에는 상기 확산판(32)을 통하여 확산된 빛에 대한 집속 및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프리즘쉬트(미도시)와, 이 프리즘쉬트의 상부에는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설치될 수도 있다.As shown, a base member 31 having a reflective surface 31a or a fluorescent surface formed thereon, a plurality of discharge lamps 10 disposed on the base member 3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fluorescent lamp 10 and the base And a diffuser plate 32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ember 31. A prism sheet for improving focusing and straightness of light diffused through the diffuser plate 32 is disposed on the diffuser plate 32. ) And a protective film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prism sheet to protect it.

여기에서 상기 방전램프(10)은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방전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튜브(11)의 양 단부가 길이 방향에 절곡되어, 제1,2전극이 설치된 튜브(11)의 양 단부(11a)(11b)가 베이스 부재(31)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된다.Herein, the discharge lamp 10 may use the discharge lamp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s. In particular, both ends of the tube 11 are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11a and 11b of the tube 11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광램프의 내면 또는 외주면에 형광체층이 도포되지 않은 UV 램프의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별도의 형광체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UV lamp that the phosphor layer is not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uorescent lamp may be formed of a separate phosphor lay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램프 베이스 부재(31)에 설치되는 방전램프는 튜브(11)의 90도로 절곡된 양단부가 상부를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튜브가 설치되는데, 튜브(11)의 양단부가 베이스 부재(31)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거나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As shown in FIG. 8, the discharge lamp installed in the fluorescent lamp base member 31 may be installed such that both ends bent at 90 degrees of the tube 11 face upwards, or as shown in FIG. Both ends of the tube 11 are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ase member 31 or vertically through the base member.

상기 면광원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튜브의 양 단부가 절곡된 형광램프를 이용한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using a fluorescent lamp in which both ends of the tube are bent.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형광램프의 작용과 면광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uorescent lamp and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튜브(11)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1,2전극(12)(13)에 교류 또는 펄스파형의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렇게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형광램프(10)는 튜브(11)의 외주면에 제1,2전극(12)(13)이 설치된 정전성 결합(capacitive coupling) 구조이므로, 상기 튜브(11)의 내면에 벽전하가 충전된다.First, an AC or pulse waveform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3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1. When the voltage is applied in this way, the fluorescent lamp 10 has a capacitiv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3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1. Wall charges are charged inside.

충전된 벽전하는 상기 방전램프(10)의 방전공간내에 주입된 방전가스인 수은 가스와 충돌하여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방전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튜브(11)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층(14)의 형광체를 여기시키게 되어 가시광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때에 전류는 제1,2전극이 위치한 관벽을 통해 흐르게 된다.The charged wall charges collide with mercury gas, which is the discharge ga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of the discharge lamp 10, to generate ultraviolet rays. Ultraviolet rays generated during the discharge excite the phosphor of the phosphor layer 1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11 and convert it into visible light. At this time,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pipe wall wher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located.

특히 튜브의 일측 또는 양측단부에 게터 전극(15)이 설치된 경우에는 수은이 함침된 게터전극(15)을 통해 관벽으로 흐르게 된다. 이로인해 제1,2전극(12)(13)으로부터 일정량의 2차 전자의 방출이 발생되어 방전전압이 다소 낮아진다. 또한 방전램프의 장시간 사용시 수은이 형광체층에 흡착 또는 불순물과의 반응에 의한 튜브 내부의 수은 줄어들게 되는데, 이러한 수은의 소모를 게터 전극(15)에 의해 일정부분 보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게터전극(15)은 방전중에 발생되는 불순물을 흡착하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getter electrode 15 is provided at one side or both ends of the tube, the getter electrode 15 impregnated with mercury flows to the tube wall. As a result, a certain amount of secondary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3, and the discharge voltage is somewhat lowered.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lamp is used for a long time, mercury in the tube due to adsorption on the phosphor layer or reaction with impurities is reduced. This consumption of mercury may be partially compensated by the getter electrode 15. In addition, the getter electrode 15 may improve impurities life by adsorbing impurities generated during discharge.

상기와 같이 방전램프(10)로부터 조사된 빛은 상기 확산판(32)를 통하여 확산되고, 상기 반사막(31a)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반사된다. 이어서, 상기 확산판(32)을 통하여 빛이 확산되고, 확산된 빛은 프리즘쉬트를 경유하여 집진 및 직진성을 가지고 상기 면광원 장치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광형 디스플레이로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discharge lamp 10 is diffused through the diffusion plate 32 as described above, and is reflected in one direction by the reflective film 31a. Subsequently, light is diffused through the diffusion plate 32, and the diffused light can be irradiated with a light receiving type displa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ith dust collection and straightness via a prism sheet.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백라이트 장치는 방전광램프(10)를 이루는 튜브의 양 단부 즉, 전극이 형성된 튜브(11)의 양단부(11a)(11b)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극이 튜브(11)의 외주면에 설치됨으로써 발생되는 비발광영역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즉, 도 7,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1)(21)의 단부가 베이스부재(31)나 확산판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베이스 부재(31)에 대해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비발광영역의 튜브(11) 단부에 의해 발광영역이 잠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형광램프의 관경이 3mm 이하인 경우 면광원 장치의 화면 크기에 관계없이 비발광영역이 관경의 10 내지 15배나 되는 종래의 형광램프에 비하여 8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In the backlight device operated as described above, since both ends 11a and 11b of the tube 11 forming the discharge light lamp 10, that is, both ends 11a and 11b of the tube 11 on which the electrode is formed, th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tube 1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non-light emitting area generated by being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as shown in Figs. 7, 8 and 9, the ends of the tubes 11 and 21 are install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edge of the base member 31 or the diffusion plate. Since the base member 31 is vertically upwardly or vertically downwardly installed, the light emitting area can be minimized by the end portion of the tube 11 of the non-light emitting area. According to the experiments of the present inventors, when the diameter of the fluorescent lamp is 3 mm or less, the non-light-emitting area can be reduced by 80% or m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 having a non-emitting area of 10 to 15 times the diameter of the irrespective of the screen size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한편, 상기 튜브이 단부에 형성된 제1,2전극(12)(13)의 길이(L1)가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해 20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짧은 시간내에 관내에 포함된 수은의 증기화를 위한 관내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6000cd/㎡의 휘도를 얻을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length L1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 and 13 formed at the end of the tube is 20 mm or more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ube, the tube for vaporization of mercury contained in the tube within a short time. The temperature can be raised and a luminance of 6000 cd / m 2 can be obtained.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은 하기 실험을 통하여 더욱 명확하여 질 것이다.The ac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clearer through the following experiment.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본 발명인은 튜브의 양단부에 설치된 제1,2전극의 길이 및 면적과 휘도와의 관계를 실험하여 하기 표 1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를 얻었다.The inventors experim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and the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ube and the luminance, and obtained graphs as shown in Table 1 and FIG. 10.

실험조건: 형광램프의 관경; 2.6mm, 전극간의 거리; 320mm, 구동주파수; 46kKz, 구동전압; 1.2kV, 측정온도; 상온Experimental conditions: diameter of fluorescent lamp; 2.6 mm, distance between electrodes; 320 mm, drive frequency; 46 kKz, drive voltage; 1.2 kV, measurement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전극길이(전극면적) 시간Electrode length (electrode area) time 5.0분5.0 minutes 10.0분10.0 minutes 15.0분15.0 minutes 20.0분20.0 minutes 25.0분25.0 minutes 30.0분30.0 minutes 10mm10 mm 32153215 33363336 34073407 34573457 34883488 35183518 15mm15 mm 44824482 45984598 47054705 48124812 49254925 50375037 20mm20 mm 56105610 58005800 59035903 59735973 60146014 60446044 25mm25 mm 62116211 63766376 64446444 64826482 65106510 65236523 30mm30 mm 71767176 72707270 73177317 72377237 73477347 73577357

액정표시분야에서 통적적으로 휘도를 전압인가후 30분이내에 평가하게 되는데, 표 1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의 길이가 20mm 이상일 때에 25분 이내에 휘도가 6000cd/㎡ 이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field, luminance is typically evaluated within 30 minutes after voltage application. As shown in Table 1 and FIG. 10, it was found that the luminance was 6000 cd / m 2 or more within 25 minutes when the length of the electrode was 20 mm or more.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본 발명인은 튜브의 양단부에 설치된 제1,2전극의 길이, 방전램프의 관경 및 휘도와의 관계를 실험하여 하기 표 2를 얻었다.The present inventors experim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ube,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lamp, and the brightness, to obtain Table 2 below.

실험조건: 전극간의 거리; 320mm, 구동주파수; 46kKz, 구동전압; 1.2kV, 측정온도; 상온Experimental conditions: distance between electrodes; 320 mm, drive frequency; 46 kKz, drive voltage; 1.2 kV, measurement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휘도는 튜브 직경이 2.0mm를 전후 해서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전극길이가 같으면 튜브 직경이 작으므로 전극의 표면적이 작아져서 캐피시턴스(C) 값은 작아지지만 전류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휘도변화는 작아지게 된다. 하지만 튜브의 직경이 증가하게 도면 휘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진다. 이는 동일 전극길이에 대해 관경이 증대되면 캐피시턴스 값은 증가하나 반대로 전류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때 튜브의 표면온도 또한 관경이 작은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느리게 증가하게 되므로 관경이 3.0mm 이상으로 증대되면 전극의 길이는 20mm 이상으로 되어야 고휘도화가 가능하게 된다.As can be seen in Table 2, the luminance is high around the tube diameter of 2.0mm, which is high. If the electrode length is the same, the tube diameter is small, so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 is small, so that the capacitance (C) value is small, but the current density is small. Since increases, the luminance change as a whole becomes small. However, the drawing brightness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ameter of the tube increases. This is because, as the diameter increases for the same electrode length, the capacitance value increases, but the current density decreases. At this tim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ube also increases relatively slowly compared to the small diameter, so if the diameter increases to 3.0 mm or more, the length of the electrode should be 20 mm or more to enable high luminance.

따라서 방전램프의 튜브 직경 변화에 대해서 휘도에 영향을 미치는 캐피시턴스(C) 값과 전류밀도(r)는 각각 C ∝(r), 전류밀도∝(1/ (튜브반경의 자승)의 관계를 갖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튜브의 직경이 2~3mm인 방전램프의 방전가스 및 형광체 도포조건 그리고 이들을 구동하는 인버터 조건에서는 유전체 장벽방전을 이용할 경우 방전램프의 양단부에 위치한 전극의 길이는 최소한 20mm 이상으로 되어야 고휘도화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capacitance (C) value and the current density (r), which affect the brightness of the tube diameter of the discharge lamp, are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 ∝ (r) and current density ∝ (1 / (square of the tube radius)). In the case of the discharge gas and phosphor coating conditions of the discharge lamp having a tube diameter of 2 to 3 mm and the inverter driving them, the length of the electrodes at both ends of the discharge lamp is at least 20 mm when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Only high brightness can be achieved.

그리고 상기 면광원 장치의 방전램프는 외주면에 전극이 형성된 튜브 단부의 내부에 수은이 함침된 게터 전극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장벽방전을 위한 전압인가시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진 튜브의 내벽과 부분적으로 게터전극을 통해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게터전극 주위의 온도가 게터 전극이 없는 경우보다 비교적 조기에 상승하여 휘도의 안정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터 전극으로부터 수은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형광막층에 흡착됨으로써 관내 수은 소모를 보충하여 휘도유지 특성이 향상되며, 게터 전극에서 2차 전자방출이 발생되어 방전효율이 향상된다.The discharge lamp of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has a getter electrode impregnated with mercury in the inner end of the tube with the electrod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ince current flows, the temperature around the getter electrode rises relatively earlier than without the getter electrode, thereby shortening the stabilization time of luminance. In addition, the mercury is continuously released from the getter electrode and adsorbed to the fluorescent film layer to compensate for the consumption of mercury in the tube, thereby improving luminance maintaining characteristics, and secondary electron emission is generated at the getter electrode, thereby improving discharge efficiency.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40)의 일측 단부에 외부전극(41)이 설치되고 타측단부에 튜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전극(42)이 설치된 방전램프에 있어서는 튜브의 양단에 외부전극을 설치한 구성보다 비발광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즉, 상기 실시예서와 같이 양단에 외부전극을 설치한 경우 각 방전램프의 캐패시턴스는 직렬로 연결되어지고 이때의 캐피시턴스는 (1/C)=(1/C1) +(1/C2), C=(C1xC2)/(C1+C2)이므로 양단의 전극폭이 같으면(C1=C2) 방전램프의 캐피시턴스는 C/2가 된다. 반면에 동일한 전극폭을 갖는 외부전극을 한 쪽에만 설치할 경우 캐피시턴스는 양단부에 외부전극을 설치한 경우보다 2배가 되므로 램프의 파워를 2배로 높이는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앞의 실험결과로부터 한 쪽면에만 외부전극을 둘 경우에는 전극의 길이는 20mm가 아닌 10mm이상의 전극폭을 갖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in the discharge lamp in which the external electrode 41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ube 40 and the internal electrode 42 positioned inside the tube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the external electrodes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ube.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non-emitting area than the configuration installed. That is, when the external electrodes are provided at both ends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pacitance of each discharge lamp is connected in series, and the capacitance at this time is (1 / C) = (1 / C1) + (1 / C2), Since C = (C1xC2) / (C1 + C2), if the electrode widths at both ends are the same (C1 = C2), the capacitance of the discharge lamp is C / 2.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electrode having the same electrode width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the capacitance is twice as large as when the external electrode is installed at both ends, thereby increasing the power of the lamp twice. Therefore, when the external electrode is placed only on one side from the previous test results, it is necessary to have an electrode width of 10 mm or more rather than 20 mm.

이러한 방전램프는 튜브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도 기존의 방전램프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동 특성면에서 무전극형과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갖게되어 튜브의 외부에 전극을 설치한 방전램프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또한 튜브의 타측에 설치된 내부전극(42)은 방전램프의 온도상승에 유리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휘도의 안정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기 및 봉지공정이 용이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The discharge lamp can replace the existing discharge lamp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tube, and has the sam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s the electrodeless type in terms of driving characteristics, thereby taking advantage of the discharge lamp having an electrode installed outside the tube. . 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electrode 4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be acts advantageously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lamp,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stabilization time of the brightness and to facilitate the exhaust and encapsulation process,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방전램프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는 비발광영역을 줄일 수 있으며, 고휘도화에 따른 방전램프의 소요수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원가의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same can reduce the non-light emitting area, can reduce the required amount of the discharge lamp due to high brightness, and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4)

양단부가 밀폐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유전체 장벽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들을 포함하여 된 방전램프에 있어서,A discharge lamp comprising a tube sealed at both ends and electrode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ube to caus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상기 전극의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가 2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of the electrode is 20mm or mo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전극이 설치되는 튜브의 양단부가 튜브이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A 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tube on which the electrode is installed is bent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극이 형성된 튜브의 양 단부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수은이 함침된 게터 전극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And a getter electrode impregnated with mercury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tube on which the electrod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의 내면 또는 외부의 적어도 일측에 도포된 형광체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sphor layer appli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r the outside of the tube is provided, 상기 제1항에 청구된 방전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니트.A backlight unit using the discharge lamp as claimed in claim 1. 양단부가 밀폐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전체 장벽방전을 일으키는 외부전극과 상기 튜브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튜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전극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 상기 외부전극의 길이가 튜브의 길이 방향에 대해 10mm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A tube having both ends sealed, an external electrod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ube to cause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nd an internal electrode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tube, wherein the external electrode has a length 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more than 10mm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전극이 설치되는 튜브의 양단부가 튜브이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A 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tube on which the electrode is installed is bent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튜브의 내면 또는 외부의 적어도 일측에 도포된 형광체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sphor layer appli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r the outside of the tube is provid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외부전극이 형성된 튜브 단부의 내부에 내부에 수은이 함침된 게터 전극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getter electrode impregnated with mercury is inserted inside the tube end formed with the external electrode. 양단부가 밀폐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장벽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들과, 상기 튜브의 일측 또는 양측내에 수은이 함침된 게터전극들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A discharge lamp comprising a tube sealed at both ends, electrode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to cause barrier discharge, and getter electrodes impregnated with mercury in one or both sides of the tub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튜브의 내면에는 형광체층이 형성되며, 상기 게터전극은 플로팅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A phosphor layer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ube, and the getter electrode is floated.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게터전극이 위치되는 튜브의 단부에는 게터전극의 위치를 한정하는 게터전극 위치한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And a getter electrode positioning means for defining a position of the getter electrode at an end of the tube where the getter electrode is located.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게터전극 위치한정 수단은 사익 튜브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The getter electrode positioning means is a discharg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g tube is curved inwardl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방전램프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A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discharge lamp.
KR10-2001-0004077A 2000-12-18 2001-01-29 Discharge lamp and the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 KR1003921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77742 2000-12-18
KR1020000077742 2000-12-18
KR1020010003414 2001-01-20
KR20010003414 2001-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59A true KR20010044259A (en) 2001-06-05
KR100392181B1 KR100392181B1 (en) 2003-07-22

Family

ID=2663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077A KR100392181B1 (en) 2000-12-18 2001-01-29 Discharge lamp and the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181B1 (e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1550A2 (en) * 2001-06-25 2003-01-03 Gld Co., Lt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back light unit using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cd back light equipment using the back light unit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20030041704A (en)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우영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KR20030076877A (en) * 2002-03-23 2003-09-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luorescent lamp for using back light
KR100418929B1 (en) * 2001-12-18 2004-02-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40035060A (en) * 2002-10-18 2004-04-29 코리아라이테크 주식회사 mercury dispenser getter of fluorescent lamp and production method of fluorescent lamp using the same
KR20040035062A (en) * 2002-10-18 2004-04-29 코리아라이테크 주식회사 electrode mount for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KR100602569B1 (en) * 2002-08-29 2006-07-20 주식회사 우영 Lamp for back-light, manufacturing thereof and back-light with the same
KR100603822B1 (en) * 2002-08-23 2006-07-24 주식회사 우영 A manufacturing method of fluorescent lamp and fluorescent lamp using the same
KR100651767B1 (en) * 2004-08-12 2006-12-01 조광섭 Bottle neck external electrode discharge lamp
US7259518B2 (en) 2004-06-24 2007-08-21 Ls Tech Co. Ltd. Flat fluorescent lamp with improved discharge efficiency
KR100859857B1 (en) * 2002-04-11 2008-09-23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for backlight
US7471037B2 (en) 2005-01-24 2008-12-30 Ls Tech Co., Ltd. Flat fluorescent lamp with discharge uniformity
KR100890964B1 (en) * 2001-12-28 2009-03-27 시노다 프라즈마 가부시끼가이샤 Color display device using gas discharge tube
US7768186B2 (en) 2003-12-12 2010-08-03 Lg. Display Co., Ltd.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backlight unit
US8021206B2 (en) 2004-12-24 2011-09-20 Lg Display Co., Ltd. Fluorescent lamp,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1311676B1 (en) * 2005-12-30 2013-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amp,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back light unit
KR20160085694A (en) * 2015-01-08 2016-07-18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Short arc type flash lamp with both ends seale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102A (en) * 1991-09-25 1993-04-0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Ultraviolet radiation discharge lamp
EP0951730B1 (en) * 1997-11-07 2003-10-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llumination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0100389A (en) * 1998-09-18 2000-04-07 Ushio Inc Discharge lamp
KR20000037279A (en) * 2000-04-15 2000-07-05 조광섭 External Electrode-Type Fluorescent Lamp for the LCD Back-Light
JP5626575B2 (en) * 2010-10-29 2014-11-19 株式会社デンソー Rotating electrical machine, its st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4583B2 (en) 2001-06-25 2006-08-01 Mirae Corporatio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back light unit using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CD back light equipment using the back light unit and driving device thereof
WO2003001550A3 (en) * 2001-06-25 2003-04-17 Gld Co Lt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back light unit using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cd back light equipment using the back light unit and driving device thereof
US7327093B2 (en) 2001-06-25 2008-02-05 Mirae Corporatio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backlight unit using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CD backlight equipment using the backlight unit and driving device thereof
CN100363819C (en) * 2001-06-25 2008-01-23 乙全科技股份有限公司 Back light unit us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WO2003001550A2 (en) * 2001-06-25 2003-01-03 Gld Co., Lt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back light unit using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cd back light equipment using the back light unit and driving device thereof
KR20030041704A (en)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우영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KR100418929B1 (en) * 2001-12-18 2004-02-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90964B1 (en) * 2001-12-28 2009-03-27 시노다 프라즈마 가부시끼가이샤 Color display device using gas discharge tube
KR20030076877A (en) * 2002-03-23 2003-09-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luorescent lamp for using back light
KR100859857B1 (en) * 2002-04-11 2008-09-23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for backlight
KR100603822B1 (en) * 2002-08-23 2006-07-24 주식회사 우영 A manufacturing method of fluorescent lamp and fluorescent lamp using the same
KR100602569B1 (en) * 2002-08-29 2006-07-20 주식회사 우영 Lamp for back-light, manufacturing thereof and back-light with the same
KR20040035062A (en) * 2002-10-18 2004-04-29 코리아라이테크 주식회사 electrode mount for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KR20040035060A (en) * 2002-10-18 2004-04-29 코리아라이테크 주식회사 mercury dispenser getter of fluorescent lamp and production method of fluorescent lamp using the same
US7768186B2 (en) 2003-12-12 2010-08-03 Lg. Display Co., Ltd.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backlight unit
US7259518B2 (en) 2004-06-24 2007-08-21 Ls Tech Co. Ltd. Flat fluorescent lamp with improved discharge efficiency
KR100651767B1 (en) * 2004-08-12 2006-12-01 조광섭 Bottle neck external electrode discharge lamp
US8021206B2 (en) 2004-12-24 2011-09-20 Lg Display Co., Ltd. Fluorescent lamp,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1123454B1 (en) * 2004-12-24 2012-03-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uorescent lamp,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US7471037B2 (en) 2005-01-24 2008-12-30 Ls Tech Co., Ltd. Flat fluorescent lamp with discharge uniformity
KR101311676B1 (en) * 2005-12-30 2013-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amp,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back light unit
KR20160085694A (en) * 2015-01-08 2016-07-18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Short arc type flash lamp with both ends sea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2181B1 (en) 200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181B1 (en) Discharge lamp and the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
KR100350014B1 (en)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KR910010106B1 (en) Fluorescent lamp device
KR100720412B1 (en) flat lamp for emitting light to surfa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t
US7374314B2 (e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11527Y1 (en) fluorescent lamp and the back light applying such
KR101146475B1 (en) Backlight device
JPS61198189A (en) Light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WO2007032319A1 (en) Hot cathode discharge lamp, lamp unit, and display device
KR100392180B1 (en) fluorescent lamp and the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
KR100602569B1 (en) Lamp for back-light, manufacturing thereof and back-light with the same
JP3149077B2 (en) Fluorescent lamp
KR101150196B1 (en) A fluorescent lamp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1118544A (en) Fluorescent lamp with outer surface electrode
KR100460791B1 (en) Flat fluorescent lamp and lamp assembly utilizing the same
KR20070015345A (en) Flat fluorescent lamp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0143501Y1 (en) Flat fluorescent lamp
KR100307445B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KR100595933B1 (en) Light and back light unit utilizing the same
KR100642732B1 (en) Surface emitting light device with discharge starting voltage decreased
KR20030094691A (en) Back light of direct light type
KR100604078B1 (en) Flat fluorescent lamp
JP2005174632A (en)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it
JP2008243521A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KR20010000943A (en) Back lig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