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014B1 -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014B1
KR100350014B1 KR20000083512A KR20000083512A KR100350014B1 KR 100350014 B1 KR100350014 B1 KR 100350014B1 KR 20000083512 A KR20000083512 A KR 20000083512A KR 20000083512 A KR20000083512 A KR 20000083512A KR 100350014 B1 KR100350014 B1 KR 10035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backlight
electrode fluoresc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83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74027A (en
Inventor
조광섭
최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988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37279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3256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54608A/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Priority to KR2000008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014B1/en
Priority to AU2001242830A priority patent/AU2001242830A1/en
Priority to PCT/KR2001/000423 priority patent/WO2001079922A1/en
Priority to US09/823,336 priority patent/US6674250B2/en
Priority to JP2001115222A priority patent/JP3622032B2/en
Publication of KR2001007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0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01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2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main light-emitting filling of easily vaporisable metal vapour, e.g. mercu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0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electrodes in the vessel, e.g. surface discharge lamps, electrodeless discharge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893/00Discharge tubes and lamps
    • H01J2893/0001Electrodes and electrode systems suitable for discharge tubes or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및 구동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형광체층이 도포된 유리판 양단부의 가장자리 단면을 포함한 외주면을 감싸도록 도전재로 된 외부전극이 형성된 형광램프와, 이러한 형광 램프를 도광판 외곽에 다수개 설치하거나, 반사판과 확산판 사이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통전이 되어 외부로부터 교류형 전원이 인가되거나, 형광체층이 도포된 상부 및 하부 기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결합된 상부 및 하부기판의 양쪽 내부나 외부로부터 교류형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광램프의 전극이 외부에 형성되어 중첩 배치되어 병렬연결방식으로 하나의 전원으로 연결하여 구동이 가능하고, 형광램프가 격벽으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자체 발광을 하게 되어 휘도의 균일성과, 박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이 백라이트는 스위칭 회로 인버터로부터 구형파에 의하여 구동되며, 초기 방전에 유리한 오버슈팅 파형과 자기방전효과의 활용이 특징이며, 이로 인하여 수 10 kHz의 저주파 구동으로 고휘도와 고효율을 실현한다.Disclosed are a backlight and a driving method including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uorescent lamp formed with an external electrod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cluding the edge end surface of both ends of the glass plate coated with a phosphor layer, and a plurality of such fluorescent lamps are installed outside the light guide plate, or between the reflecting plate and the diffuser plate. AC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to which the phosphor layer is applied, and alternating from both inside or outside of the combined upper and lower substrates. An electrode to which power is applied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s of the fluorescent lamp are formed on the outside and overlapped to be connected and driven by a single power source in a parallel connection method, and the fluorescent lamp functions as a partition wall and emits light at the same time, thereby providing uniform luminance. Performance and thinning are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light is driven by a square wave from a switching circuit inverter, and is characterized by the utilization of an overshooting waveform and a self-discharge effect, which are advantageous for initial discharge, thereby realizing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with low frequency driving of several 10 kHz.

Description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및 그 구동방법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전극 형광램프의 양끝에 외부전극이 설치되고, 스위칭 인버터에 의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including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an external electrode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and an external AC voltage of 100 kHz or less is applied by a switching inver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including an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통상적으로,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는 크게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한다. 발광형으로는 평판 음극선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발광소자, 형광표시장치, 발광 다이오드 등이 있다. 수광형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가 있다.In general, a flat panel display is classified into a light emitting type and a light receiving type. The light emitting type includes a flat cathode ray tube, a plasma display panel,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a fluorescent display device,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ke. The light-receiving typ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이 중에서, 액정 디스플에이는 그 자체가 발광하여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수광형 평판표시장치이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화상을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se,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itself emits light and does not form an image, and light is incident from the outside to form an ima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cannot be observed in a dark pla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배면에는 백라이트(Back Light)를 설치하여 빛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화상을 볼 수 있다. 백라이트의 일반적인 요구사양은 고휘도, 고효율, 휘도의 균일도, 장수명, 박형, 저중량, 저가격 등이다. 노트북-PC의 경우 소모전력을 낮게 하기 위하여 고효율의 장수명 램프가 요구되며, 모니터와 TV용의 백라이트는 고휘도가 요구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acklight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to irradiate light. Thus, the image can be seen even in a dark place. Typical requirements for backlights include high brightness, high efficiency, uniformity of brightness, long life, thinness, low weight and low cost. In the case of notebook PCs, high efficiency long life lamps are requir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backlights for monitors and TVs require high brightness.

백라이트는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를 배치하는 방식과, 형광체가 도포된 상하 기판을 조립한 평판형광램프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CCFL은 표시면에 대한 광원의 배치에 따라서 도광판(Plastic Light Guide)을 사용하는 가장자리 발광(Edge Light)방식과, 평면에 배열하는 직하 발광(Direct Light)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As a backlight,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is disposed, and a fluorescent lamp is coated with a flat fluorescent lamp. The CCFL can be classified into an edge light method us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direct light method arranged in a plan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 on the display surface.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CCFL은 30,000 cd/m2정도의 고휘도에서 작동하며 램프의 수명이 문제이다. 특히, 가장자리 발광 방식은 CCFL 자체는 고휘도의 발광을 하지만 패널의 휘도는 낮아 대형 화면용 패널에 부적합하다. 직하형에서는 CCFL을 병렬 연결하여 단일 인버터로 구동할 수 없고 패널의 적정 휘도를 위하여 평면에 배치되는 CCFL의 수를 제한하여 CCFL 간의 배치 간격이 크므로 특별한 구조의 반사판이 필요하고 동시에 균일한 휘도를 얻기 위하여 확산판과 램프와의 거리가 커지므로 패널의 두께가 크다.However, the CCFL according to the prior art operates at a high brightness of about 30,000 cd / m 2 and the life of the lamp is a problem. In particular, the edge emitting method is CCFL itself emits high luminance, but the panel brightness is low, which is not suitable for large screen panels. In the direct type, CCFLs cannot be connected in parallel to be driven by a single inverter, and the number of CCFLs arranged in a plane is limited for proper brightness of the panel. The thickness of the panel is large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diffuser plate and the lamp increases.

평판 형광램프 방식은 조립되는 상하부 기판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기 때문에 유리로 된 기판이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로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평판 형광램프 방식은 화면의 대면적화를 위하여 상하부 기판 사이에 구슬형이나 십자형으로 된 스페이서와 격벽을 설치하게 되는데, 기판의 두께에 따른 중량의 문제와 저효율에 따른 열의 발생문제가 심각하다. 격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격벽의 스트라이프 패턴이 화면에 나타나게 되어서 휘도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도 없다.In the flat fluorescent lamp method, sinc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to be assembled is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e glass substrate should have sufficient thickness to prevent breakage. As a result, the weight is heavy. In addition, in the planar fluorescent lamp system, spacers and partitions having a bead or cross shape are installed between upper and lower substrates in order to increase the screen area, and a problem of weigh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and generation of heat due to low efficiency are serious. In the case of using the partition wall, the stripe pattern of the partition wall appears on the screen, so that uniformity of luminance cannot be guaranteed.

따라서, 대형화 추세의 액정디스플레이의 고휘도와 고효율을 보장하면서, 이와 동시에 장수명과 경량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백라이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cklight which can ensure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of liquid crystal displays in a large-scale trend, and at the same time, can lead to long life and light weight.

종래의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의 전극 구조는 벨트(belt)형, 금속 캡(cap)의 유리관 접합형, 그리고 유리관 양끝 공간의 부풀림형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다(도 10 참조). 그동안 EEFL은 CCFL에 비하여 장수명이 보장되지만, 일반적으로 EEFL은 수 MHz의 고주파 구동으로 고휘도를 얻기 때문에 고주파에 의한 EMI 문제와 저효율의 문제 및 고주파 전원공급장치의 문제로 백라이트의 광원으로 채용되지 않았다. 또한, LC-공진형 인버터를 사용하여 EEFL을 구동하면 휘도와 효율이 극히 저조하여 백라이트의 광원으로 채용될 수 없었다.The electrod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has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a belt type, a glass tube bonding type of a metal cap, and a bulging type space at both ends of the glass tube (FIG. 10). Reference). In the meantime, the EEFL has a longer lifespan than the CCFL, but in general, the EEFL obtains high brightness due to the high frequency driving of several MHz. Therefore, the EEFL has not been adopted as a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due to the problem of high frequency EMI, low efficiency, and high frequency power supply. In addition, when driving an EEFL using an LC-resonant inverter, brightness and efficiency are extremely low and cannot be employed as a light source of a backlight.

도 11은 본 발명과는 비교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종래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는 벨트(belt)형 외부전극이며, 유리관 원통에 복수의 쌍으로 belt 전극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의 벨트(belt) 전극의 길이를 작게 하여 MHz 이상의 고주파에 의해 구동된다. 도 11a의 벨트(belt)형 EEFL은 유리관의 원통에 전극을 설치하므로 유리관 중간 부위에도 전극을 설치하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 벨트(belt)형의 외부 전극 형광램프를 반사판 위에 직하형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백라이트를 구성하고, 이를 수 MHz의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외부전극 형광램프가 수 10,000 ck/m2의 고휘도를 달성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고주파 구동에서 유리관의 길이가 긴 경우는 유리관의 중간 부위에 벨트(belt)형 전극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전극부위의 휘도 저하로 인한 패널의 균일도와 박형의 실현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고주파에 의한 구동은 기본적으로 전자기파(EMI)의 방출의 문제, 저효율의 문제, 그리고 고주파 전원장치를 소형화할 수 없다는 문제 등이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일본 특허 소60-25488(1985.2.13)호와 한국 특허 출원 제10-1999-0052964호 및 일본 제98-336926(1998.11.27)호에 나타나 있다.Fig. 11 shows a conventional form of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compar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 belt type external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a belt electrod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in a glass tube cylinder, and the length of each belt electrode is made small and driven by a high frequency of MHz or higher. The belt-type EEFL of FIG. 11A has an advantage of installing an electrode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glass tube because the electrode is installed in the cylinder of the glass tube. Recently, the backlight is configured by directly placing a belt typ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on the reflection plate, and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chieves high luminance of several 10,000 ck / m 2 by driving a high frequency of several MHz. It was. In particular, when the length of the glass tube is long in such a high frequency drive, a belt-shaped electrode is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glass tube, but there is a problem in realizing the uniformity and thinness of the panel due to the decrease in luminance of the electrode portion. have. However, driving by high frequency basically has a problem of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EMI), low efficiency, and the inability to miniaturize a high frequency power supply. This is shown in Japanese Patent No. 60-25488 (1985.2.13),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1999-0052964, and Japanese Patent No. 98-336926 (1998.11.27).

도 11b는 유리관 끝에 금속 캡슐(Capsule)을 접합한 형태이며, 금속 캡슐(Capsule) 내부에 강유전체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미국 특허 제US2,624,858(1953.6.6)호에 나타나 있다. 도 11b의 방식은 유리관경이 큰 경우에 채용된다. 즉, 유리관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유리관 자체에 인가되는 전기용량성 전압 강하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지만, 근본적으로 유리관과 금속간의 열팽창계수가 달라서 접합 부분이 쉽게 손상된다. 그러나 현재 백라이트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냉음극관과 같이 유리관 외경이 2.6 mm이고 유리관의 두께가 0.5 mm 이하의 미세관의 경우에는 유리관 두께로 인한 전기용량성 전압강하가 작기 때문에 금속 캡슐(Capsule)과 유리관을 접합하는 방식을 채용할 이유는 없다.FIG. 11B is a view in which a metal capsule is bonded to an end of a glass tube, and a ferroelectric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metal capsule. This is shown in US Pat. No. 2,624,858 (1953.6.6). The scheme of FIG. 11B is employed when the glass tube diameter is large. That is, this method is adopted because of the capacitive voltage drop applied to the glass tube itself when the glass tube is thick, but the joint is easily damaged because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between the glass tube and the metal is fundamentally different. However, in the case of microtubes with a glass tube outer diameter of 2.6 mm and a glass tube thickness of 0.5 mm or less, such as a cold cathode tube commonly used in backlights, metal capsules and glass tubes have a small capacitive voltage drop due to the glass tube thickness. There is no reason to employ a method of joining.

도 11c와 11d는 고휘도와 고효율을 목적으로 유리관 양끝이 중간 부위보다 넓은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미국 특허 제1,612,387(1926.11.28)호와 제1,676,790(1928.7.10)호에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유리관의 양끝의 공간을 넓게 하는 경우는 램프의 휘도와 효율이 증대되지만, 미세관에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어렵다.11C and 11D form a space wider than both ends of the glass tube for the purpose of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This is shown in US Pat. Nos. 1,612,387 (1926.11.28) and 1,676,790 (1928.7.10). When the space at both ends of the glass tube is thus enlarged, the brightness and efficiency of the lamp are increased, but it is difficult to employ such a structure in the microtube.

본 발명에서 스위칭 인버터에 의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외부전극은 외경이 수 mm인 미세관으로서 밀봉된 유리관 양끝을 씌우는 엔드-캡(end-cap)형 전극을 기본형으로 하여 다양한 방식이 있다. 유리관 양끝의 가장자리면을 포함하여 원통면을 감싸는 엔드-캡(end-cap) 방식의 전극은 단순히 원통면만을 씌우는 벨트(belt)형에 비하여 고휘도와 고효율의 실현이 유리하다. 본 출원인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유리관 방향으로 전극의 길이가 길수록 고휘도를 얻는다. 그러나 전극 길이가 길면 유효 발광면이 줄어들고, 백라이트에 채용시에 전극 부분이 넓어서 패널이 발광되지 않는 가장자리 영역이 넓어진다. 따라서 전극의 길이를 되도록 짧게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엔드-캡(end-cap)형이 벨트(belt)형에 비하여 유리하며, 본 발명에서 따른 형광램프는 유리관의 방향으로 중간에 belt형으로 전극을 형성해야 할 이유가 없다. 한편, 유리관 양끝의 공간을 넓게 하는 방식은 미세관의 제조 공정상 채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램프는 양끝 전극의 길이를 적당히 선택하고, 가장자리 발광형이나 직하형의 백라이트 광원으로 채용할 때 가장자리의 비발광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직선 캡슐형 이외에 유리관 끝을 구부리는 방식을 채용하여 유리관 끝의 외부전극의 길이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고휘도와 고효율을 얻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electrode to which a spherical alternating voltage of 100 kHz or less is applied by the switching inverter has a variety of methods based on an end-cap type electrode covering both ends of a sealed glass tube as a microtube having a diameter of several mm. have. The end-cap type electrode which surrounds the cylindrical surface including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glass tube is advantageous to realize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as compared to the belt type that simply covers the cylindrical surfac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applicant,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electrode in the glass tube direction, the higher the brightness is obtained. However, when the electrode length is long,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surface is reduced, and when the backlight is employed, the electrode portion is wide, and thus the edge region where the panel is not emitted is widened. Therefore, the end-cap type is advantageous over the belt type in that the length of the electrode can be as short as possible, and the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elt type in the middle in the direction of the glass tube. There is no reason to form.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space at both ends of the glass tube is difficult to adop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icrotube. The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method of bending the end of the glass tube in addition to the straight capsule type to minimize the non-emitting area of the edge when appropriately selecting the length of the electrode of both ends, and when employed as the edge light emitting type or direct backlight type light source The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are obtained by securing the length of the external electrode at the end of the glass tub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외부 전극 형광램프를 채용한 백라이트의 구동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면적 백라이트의 휘도의 균일도와 고휘도 및 고효율을 실현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riving of a backlight employing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driving circuit for realizing the uniformity,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of the luminance of a large area backlight.

종래의 백라이트에 채용되는 냉음극 형광 램프의 구동에 대한 공지 예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028921호에 잘 나타나 있다.A well-known example of driving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mployed in a conventional backlight is well show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8-028921.

도 12는 상기 공지예에 의한 LCD 패널용 CCFL 드라이브 IC와 주변회로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복수개의 입/출력 핀을 구비한 램프구동 IC(100)와, 하프 브리지 회로를 구비한 주전력 회로부(120), 및 램프(140)를 포함한다.1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CFL drive IC for a LCD panel and a peripheral circuit according to the known example, wherein the lamp driver IC 100 having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pins and the main power circuit unit 120 having a half bridge circuit are shown. ), And lamp 140.

한편, 상기 램프구동 IC(100)는, 입력전압단에 연결된 제 1 핀(1)과, 소정의 최소 주파수단에 연결된 제 2 핀(2)과, 소정의 최대 주파수단에 연결된 제 3 핀(3)과, 접지 전압단에 연결된 제 4 핀(4)과, 피드백 전압단에 연결된 제 5 핀(5)과, 소정의 비교단에 연결된 제 6 핀(6)과, 소정의 내부 고전압단에 연결된 제 7핀(7), 및 소정의 외부제어 신호단에 연결되어 IC 회로의 온/오프가 결정되는 제 8 핀(8)으로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lamp driving IC 100 may include a first pin 1 connected to an input voltage terminal, a second pin 2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minimum frequency terminal, and a third pin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maximum frequency terminal ( 3), the fourth pin 4 connected to the ground voltage terminal, the fifth pin 5 connected to the feedback voltage terminal, the sixth pin 6 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comparison terminal, and the predetermined internal high voltage terminal. A seventh pin 7 connected thereto and an eighth pin 8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control signal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an IC circuit is on or off.

또한, 주전력 회로부(120)는 상기 램프구동 IC(100)의 소정 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고 복수의 수동소자로 이루어진 하프 브리지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램프(140)는 상기 주전력회로부(120)의 소정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ain power circuit unit 120 is composed of a half-bridge circui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ssive elements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a predetermined pin of the lamp driving IC 100, and the lamp 140 is the main power circuit unit ( It is configured to be driven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output signal of 120.

LCD 백라이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CFL에 인가되는 전압은 sine파의 형태이다. 상기예와 같이 CCFL의 경우, LC 공진형 인버터에서 얻어지는 수십 kHz의 낮은 교류 전압을 승압 트랜스를 이용하여 CCFL의 방전 개시 빛 유지에 필요한 고전압을 얻는다. 이러한 LC 공진형 인버터는 비교적 장치가 간단하고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CCFL은 병렬 연결하여 하나의 인버터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다. 따라서 CCFL을 채용한 도광판과 결합한 방식이나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는 CCFL의 갯수에 해당하는 인버터가 필요하다.The voltage applied to the CCFL commonly used in LCD backlights is in the form of sine waves. As in the above example, in the case of CCFL, a high alternating voltage of several tens of kHz obtained from an LC resonant inverter is obtained by using a boost transformer to obtain a high voltage necessary to maintain the discharge start light of the CCFL. Such LC resonant inverter has the advantage of relatively simple device and high efficiency. However, CCFLs cannot be driven by one inverter in parallel. Therefore, backlights combined with light guide plates employing CCFLs or direct type require an invert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CFLs.

한편, EEFL은 상호 병렬 연결하여 하나의 인버터에 의하여 다수의 EEFL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EEFL은 전극이 방전 공간에 노출되어 있지 않고 유리관 외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실전류가 전극으로 흐르지 않고, 벽전하가 양쪽 전극 부분에 쌓이고, 램프 양단에 벽전하에 의한 역전압의 형성으로 방전이 중단되고, 이어서 다른 램프가 방전되고 마찬가지로 벽전하가 형성된 후, 또 다른 램프가 순차적으로 방전되므로 하나의 인버터에 의하여 다수의 램프가 발광한다. 그러나 CCFL의 구동에 사용되는 sine파를 출력하는 인버터를 사용하여 EEFL을 구동할 경우, 벽전하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휘도와 효율이 극히 낮아진다. 또한, 다수의 EEFL을 병렬 연결하여 이러한 인버터로 구동하면, 하나의 주기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이 제한되어 발광되는 EEFL의 갯수가 제한되므로 많은 수의 EEFL을 평면에 배치한 백라이트의 경우 휘도의 균일성을 실현할 수 없다.Meanwhile, the EEFL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drive a plurality of EEFLs by one inverter. The reason is that since EEFL is not exposed to the discharge space and the electrode exists outside the glass tube, a real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electrode, wall charges are accumulated on both electrode portions, and discharge is caused by the formation of a reverse voltage by wall charges on both ends of the lamp. This stops, then another lamp is discharged and likewise wall charges are formed, then another lamp is discharged sequentially so that a plurality of lamps emit light by one inverter. However, when the EEFL is driven using an inverter that outputs a sine wave used to drive the CCFL, brightness and efficiency are extremely low because the wall charge cannot be effectively controlled.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EEFL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driven by such an inverter, the time required to apply high voltage in one cycle is limited, so that the number of emitted EEFLs is limited. Castle can not be realized.

이와 같이 EEFL은 CCFL과는 달리 수 십 kHz 저주파의 LC공진형 인버터로 구동할 수 없기 때문에 EEFL을 채용한 백라이트의 실현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수 MHz의 고주파에 의한 EEFL의 구동은 EMI의 문제와 저효율의 문제 및 고주파 전원공급장치의 소형화 문제 등이 극복되기 어렵다.Thus, since the EEFL cannot be driven by an LC resonant inverter of several tens of kHz, unlike the CCFL,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backlight using the EEFL.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rive of the EEFL by a high frequency of several MHz is difficult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MI, low efficiency, miniaturization of th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외부전극이 형성된 유리관을 도광판 외곽에 배치하거나 반사판 위에 배치하고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백라이트 및 이들 백라이트의 휘도의 균일성, 고휘도 및 고효율을 달성하기 위한 백라이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cludes a backlight for disposing a glass tube with external electrodes disposed on a light guide plate or on a reflector and applying a spherical alternating voltage of 100 kHz or less, and uniformity and high brightness of these backlights. And to provide a backlight driving method for achieving high efficiency.

일반적으로 형광램프는 LC 공진형 인버터로 구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구형의 교류 펄스파를 출력하는 스위칭 인버터 회로로 구동함으로써 LC 공진형 인버터 구동에 비하여 2배 이상의 휘도와 효율을 달성하였다. 즉, LCD-백라이트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외경 2.6 mm인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단일관에 대하여 수 10,000 cd/m2의 고휘도와 수 10 lm/W 이상의 고효율을 달성하였다. 특히, 본 출원인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의 EEFL은 약 10,000 cd/m2의 휘도에서 CCFL에 비하여 더 우수한 고효율을 달성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최고 효율을 갖는 휘도에서 작동하도록 하면 EEFL을 백라이트의 광원으로 채용하는데 손색이 없다. 특히, CCFL에 비하여 장수명, 무전극 램프의 제조의 수월성, 그리고 다수의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병렬연결하여 단일 인버터로 구동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In general, the fluorescent lamp is driven by an LC resonant inverte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is driven by a switching inverter circuit that outputs a spherical AC pulse wave, thereby achieving more than twice the luminance and efficiency as compared to driving the LC resonant inverter. That is, a high luminance of several 10,000 cd / m 2 and a high efficiency of 10 lm / W or more were achieved for a single tube of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having an outer diameter of 2.6 mm, which is generally employed in LCD-backlight.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applicant, the EEFL of the back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d a higher efficiency than the CCFL at a luminance of about 10,000 cd / m 2 . Therefore, utilizing these characteristics to operate at the brightness with the highest efficiency makes it easy to adopt EEFL as the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In particular, it has advantages such as longer lifespan, easier manufacturing of electrodeless lamps than CCFLs, and can be driven by a single inverte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in parallel.

본 발명은 외부 전극 형광램프를 CCFL과 마찬가지로 가장자리 발광 방식과 직하형 방식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광체층이 형성된 상하부 기판 사이에 외부전극이 형성된 다수개의 형광램프를 배치하여 격벽으로 다수의 형광램프를 사용하는 백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외부 전극 형광램프를 다수 배치하여 제작된 대면적 백라이트의 휘도의 균일도, 고휘도 및 고효율을 실현하기 위한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are disposed in the direct light emitting method and the edge light emitting method as in the CCF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light using a plurality of fluorescent lamps as partition walls by disposing a plurality of fluorescent lamps having external electrodes between upper and lower substrates on which phosphor layers are forme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ing method for realizing the uniformity,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of luminance of a large area backlight manufact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캡(end-cap) 방식의 직선형 외부 전극 형광램프를 도시한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d-cap linear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곡선형 외부 전극 형광램프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ve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극 형광램프를 도광판 가장자리에 배치한 백라이트의 배치 방식의 예시도.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cklight arrangement method in which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n edge of a light guide plate.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의 직선형 end-cap형 형광램프의 배치 방식의 예시도.Figure 3a is an illust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linear end-cap fluorescent lamp of the direct backligh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의 굴곡형 전극 형광램프의 배치 방식의 예시도.Figure 3b is an illust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curved electrode fluorescent lamp of the direct backligh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의 굴곡형 전극 형광램프의 또 다른 배치 방식의 예시도.Figure 3c is an illustration of another arrangement of the curved electrode fluorescent lamp of the direct backligh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의 중첩 캡슐에 의한 연결 방식의 예시도.Figure 3d is an illustration of a connection scheme by the overlap capsule of the direct backligh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e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화면용 직하형 백라이트의 램프 방향의 중첩 배치 방식의 예시도.도 3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백라이트를 구성하기 위한 EEFL의 배치 방식의 예시도.Figure 3e is an illustration of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lamp direction of the large-screen direct-type backligh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f is a layout of the EEFL for configuring a super-large backligh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llustra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rect backligh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의 반사판과 형광램프의 배치 방식의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arranging a reflecting plate and a fluorescent lamp of a direct backligh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격벽 발광형 백라이트가 결합되기 이전 상태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Figur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artition-emitting backligh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6b는 도 6a의 백라이트가 결합된 이후의 상태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사시도.FIG. 6B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showing the state after the backlight of FIG. 6A is coupled; FIG.

도 6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격벽 발광형 백라이트의 평판 형광램프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소켓형 다중 캡슐 전극과 무전극 형광램프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전극 구조의 개념도.FIG. 6C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de structure illustrating a coupling method of an internal socket type multi-capsule electrode and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installed inside a flat fluorescent lamp of a partition-emitting backlight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인버터와 게이트에 인가되는 신호 파형을 도시한 개형도.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waveform applied to a switching inverter and a 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 개시 전후의 스위칭 인버터 출력 파형의 변화를 도시한 개형도.FIG.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changes in a switching inverter output waveform before and after the start of disch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형파 구동에서의 자기 방전 현상을 도시한 개형도.9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elf discharge phenomenon in square wave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면적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동위상 분할 구동을 도시한 개략도.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phase split driving for driving a large area backligh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의 외부 전극 형광램프의 예시도.11 is an illustration of a conventiona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도 12는 종래의 LCD 패널용 CCFL 드라이브 IC와 주변회로를 나타낸 회로도.Fig. 1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CFL drive IC for an LCD panel and a peripheral circui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22, 35 : 형광램프 11 : 유리관10, 22, 35: fluorescent lamp 11: glass tube

12 : 형광체층 13, 23, 36 : 외부전극12: phosphor layer 13, 23, 36: external electrode

20, 30 : 백라이트 21 : 반사판20, 30: backlight 21: reflector

24, 300 : 전극연결선 25 : 확산판24, 300: electrode connection line 25: diffusion plate

31 : 상부기판 32 : 하부기판31: upper substrate 32: lower substrate

33 : 상부형광체층 34 : 하부형광체층33: upper phosphor layer 34: lower phosphor layer

37 : 상부전극 38 : 하부전극37: upper electrode 38: lower electrode

39 : 가장자리 지지대39: edge support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된 유리관 및 직선형, L자형, C자형, 나선형 또는 파동형의 굴곡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엔드-캡형 외부전극을 구비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상기 외부 전극에 연결되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인버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를 제공한다.또한, 본 발명은 아랫면에 상부형광체층이 도포된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윗면에 하부형광체층이 도포된 하부기판,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밀봉시키는 가장자리지지대,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된 유리관 및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엔드-캡형 외부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기판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외부전극 형광램프,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의 밀봉시 내부 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기체, 결합된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의 대응되는 양쪽 외면에 각각 형성되어 교류형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 연결선과 연결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연결되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인버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를 제공한다.또한, 본 발명은 대면적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방법으로 상기 다수의 형광램프들을 소정의 복수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각 영역의 형광램프들의 외부전극들을 각각 동일한 전극연결선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영역들과 각각 연결된 전극연결선에 100kHz이하의 구형 저주파를 출력하는 스위칭 인버터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각 스위칭 인버터에 동일한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인버터가 동위상의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각 외부전극 형광램프로 동시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glass tube in which a discharge gas is injected and a phosphor layer is coa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wall, and both ends are sealed, and a straight, L-shaped, C-shaped, spiral or wave-shaped bent form, and both ends of the glass tube Provided is a backlight including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having an end-cap type external electrode formed to enclose, and a switching inverter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ode and applying a spherical alternating voltage of 100 kHz or less. An upper substrate coated with an upper phosphor layer, a lower substrate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bstrate and having a lower phosphor layer coated thereon, an edge suppor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to seal them, a discharge gas is injec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A phosphor tube is coated and both ends are enclosed and end-formed to surround both ends of the glass tube.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including a type external electro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ischarge gas injected into an inner space during sealing of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and corresponding upper and lower substrates Provided with a backlight is formed on each of both outer surfaces and the electrode connected to the electrode connecting line to which the AC power is applied, and a switching inverter connected to the electrode for applying a spherical AC voltage of 100kHz or less. Dividing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lamps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y a method of driving a large area backlight; connecting external electrodes of the fluorescent lamps of the divided regions with the same electrode connection line, respectively; Connecting switching inverters each outputting a spherical low frequency of 100 kHz or less to the connected electrode connecting line, Group and provides a driving method of the switching inverter comprises a step of supplying a rectangular AC voltage of less than 100kHz-phase at the same time in each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in accordance with the steps and the gate signal applied to the same gate signal to each switching inverter.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형광램프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fluorescent lamp and a backlight employ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램프(10)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fluorescent lamp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형광램프(10)는 실린더형의 유리관(11)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관(11)의 내주벽에는 형광체(12)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유리관(11)은 형광체(12)가 도포된 다음에 혼합된 불활성 기체나 수은(Hg) 등으로 이루어진 방전 가스(discharge gas)가 주입된 다음에 양 단부가 밀봉되어진다. 상기 유리관(11)의 단면은 원형뿐만 아니라, 납작한 타원형이나, 일체로 구부려서 다중 실린더형으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luorescent lamp 10 includes a cylindrical glass tube 11. The phosphor 12 is co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lass tube 11. The glass tube 11 is coated with a phosphor 12 and then injected with a discharge gas made of mixed inert gas, mercury (Hg), or the like, and then sealed at both ends. The cross section of the glass tube 11 may be not only circular but also flat oval, but also integrally bent and multi-cylindrical.

도 1a는 밀봉된 상기 유리관(11) 양끝의 직선형 외주면의 양단부에는 엔드-캡(end-cap)형의 외부전극(external electrode, 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출원인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고휘도와 고효율의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 전극 부분의 캡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엔드-캡 전극을 길게 하거나 유리관 양끝을 구부려서 외부전극을 형성한다. 이때의 형태는 도 1b와 같이 "L"자형, "C"자형, 나선형, 그리고 파동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러한 굴곡형 외부전극은 직선 유리관 끝 부분을 직접 구부리거나, 전극이 설치되는 구부려진 유리관을 별도로 제작하여 형광체가 도포된 직선 유리관의 양끝에 접합하는 방식 등으로 제작된다.In FIG. 1A, end-cap type external electrodes 13 are formed at both ends of a straigh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both ends of the sealed glass tube 11.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applicant, the length of the cap of the outer electrode portion should be sufficiently secured to achieve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Therefore, the external electrode is formed by lengthening the end-cap electrode or by bending both ends of the glass tub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B, there are various forms such as an “L” shape, a “C” shape, a spiral shape, and a wave shape. The curved external electrode is manufactured by directly bending the end of the straight glass tube, or by separately manufacturing a curved glass tube in which the electrode is installed, and bonding them to both ends of the straight glass tube coated with phosphor.

상기 외부전극(13)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데, 상기 유리관(11)의 끝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이며, 외부전극에 대응되는 유리관 내부에는 형광체를 도포하지 않는다. 이러한 외부전극(13)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금속재로 된 캡 형태 또는 금속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식이나, 상기 유리관(11)의 양 단부를 금속용액에 디핑하는 방식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전극(13)은 전기저항이 적은 도전성 재료인 알루미늄, 은, 구리 등이 바람직하다.The external electrode 13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completely surrounds the end of the glass tube 11, and does not apply phosphor to the inside of the glass tub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electrode. The external electrode 13 may be formed by a method of attaching a metal cap or a metal tape, or by dipping both ends of the glass tube 11 in a metal solution. The external electrode 13 is preferably aluminum, silver, copper, or the like, which is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low electrical resistance.

본 발명에서는 유리관의 길이가 긴 경우 유리관 양끝의 엔드-캡(end-cap) 이외에 유리관 중간 부위에 벨트(belt)형 전극의 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유리관이 길어서 양끝 전극간의 거리가 멀수록 EEFL의 휘도와 효율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벨트형 전극은 엔드-캡형 전극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휘도와 효율 면에서 불리하고, 유리관 중간에 설치된 전극 부위의 휘도의 불균일성으로 박형에 불리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gth of the glass tube is long, it is not necessary to employ a belt-type electrode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glass tube in addition to the end-cap of both ends of the glass tub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longer the glass tube, the fa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the more advantageous the luminance and efficiency of the EEFL. In addition, the belt type electrod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brightness and efficiency relative to the end-cap type electrode, and is disadvantageous in thinness due to the nonuniformity of the luminance of the electrode portion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glass tube.

한편, 상기 유리관(11)에는 장수명과, 이차전자의 발생을 증대할 목적으로 상기 외부전극(13)과 상응하는 내측으로 강유전체를 도포하거나, 유전체가 도포된 별도의 설치물을 유리관 내측 양끝에 삽입하고 밀봉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강유전체를 도포하고 보호막의 역할과 전자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산화마그네슘이나, 산화칼슘 등을 도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lass tube 11 is coated with a ferroelectric to the inner sid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electrode 13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long life and the generation of secondary electrons, or insert a separate installation with a dielectric applied to both ends of the inner glass tube The sealing method can be adopted. In additi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the like may be applied in order to apply a ferroelectric and to facilitate the role of the protective film and the electron emiss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가장자리 발광형 백라이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과 같이 도광판 주변에 다양한 방식으로 EEFL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부 전극 형광램프를 냉음극 형광램프와 마찬가지로 가장자리 발광형으로 채용할 수 있게 된 것은 도 1과 같은 엔드-캡형 전극 및 구부러진 전극 구조와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구동 방식에 의하여 고휘도와 고효율의 램프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램프는 도광판의 가장자리에 다수개 설치하고, 이들을 병렬 연결하여 하나의 인버터로 구동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광판의 양측이나 모든 가장자리에 설치할 수 있고, 각 측면에 복수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2 illustrates an edge-emitting backligh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EFL may be arranged in various ways around the light guide plate. Like the cold-cathode fluorescent lamp,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opted as an edge emission type because of the end-cap type electrode and the bent electrod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nd the driving schem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the lamp can be realized. A plurality of lamp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plurality of lamp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to be driven by one inverter. It can be provided in both sides or all edges of a light guide plate, and multiple pieces can also be provided in each side surfac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EEFL의 직하형 배치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EEFL을 병렬연결하여 스위칭 인버터로 구동하여 고효율과 휘도의 균일도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외경이 2.6 mm인 미세관의 경우에 휘도가 약 10,000 cd/m2일 때 고효율을 갖는다. 따라서 EEFL의 직하형 배치에 의한 패널의 평면 휘도가 10,000 cd/m2이상의 고휘도용 면광원은 EEFL을 평면 반사판 위에 램프간의 간격을 작게 배치한다. 그러나 수 1,000 cd/m2의 휘도를 목적으로하는 면광원의 경우는 램프간의 간격을 적당히 배치하고 반사율 향상을 위하여 특별한 반사판의 구조를 채용하여 고효율 백라이트를 실현한다.3 illustrates a direct placement method of an EEF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EFL is connected in parallel to drive a switching inverter to realize high efficiency and uniformity of brightness. In the case of a microtub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2.6 mm, the efficiency is high when the brightness is about 10,000 cd / m 2. . Therefore, the high luminance surface light source having a planar luminance of 10,000 cd / m 2 or more in the panel by the direct placement of the EEFL arranges the EEFL on the planar reflector with a small gap between lamps. However, in the case of a surface light source for the purpose of luminance of several thousand cd / m 2 , a high efficiency backlight is realized by adopting a special reflector structure to properly arrange the interval between lamps and improve the reflectance.

반사판 위에 배치된 모든 램프는 병렬 연결하여 단일 인버터 구동을 기본으로 한다. 배치 방식은 도 3a와 같이 직선형 EEFL을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하거나, 도 3b와 같이 "L"자형 전극을 평면에 세우거나, 도 3c와 같이 "L"형 전극을 평면에 뉘여서 전극부분의 가장자리 비 발광영역을 최소화한다. 도 3d는 긴 램프를 패널의 가장자리에서 구부려서 배치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방식은 램프의 발광 효율을 증대할 목적으로 채용한다. 도 3e와 같이 외부 소켓형 다중 캡슐 전극 구조물에 무전극 램프를 삽입하는 방식 또한 가능하다.All lamps placed on the reflec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are based on driving a single inverter. In the arrangement method, the straight EEFLs are arranged at appropriate intervals as shown in FIG. 3A, the “L” shaped electrodes are placed on the plane as shown in FIG. 3B, or the “L” shaped electrodes are laid on the plane as shown in FIG. Minimize the light emitting area. FIG. 3D is a method of arranging a long lamp at the edge of the panel, which is employ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amp.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the electrodeless lamp into the external socket-type multi-capsule electrod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3e.

도 3f는 초대형 백라이트를 구성하기 위한 EEFL의 배치 방식이다. 램프의 길이 방향(longitudinal)으로 다수의 EEFL을 배치하되, 전극 부분에서의 휘도의 급격한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면을 반사체로 도포하거나 전극 자체를 투명전극재를 채용한다. 램프의 전극 부위가 겹쳐지는 부분의 휘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하여 패널 중간에 세로 방향으로 전극 부분이 엇갈리게 병렬로 배치한다. 패널의 중간에 위치한 금속재의 전극 표면에 반사체를 추가로 도포하거나 중간에 위치한 전극을 도전성 투명전극재를 사용하여 휘도 저하를 최소화한다.3F illustrates an arrangement of EEFLs for constructing an ultra-large backlight. A plurality of EEFL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p, but in order to prevent a sharp decrease in luminance at the electrode portion, the electrode surface is coated with a reflector or the electrode itself is made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eterioration in brightness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electrode portions of the lamp, the electrode portion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panel. The reflector is further applied to the electrode surface of the metal material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panel, or the electrode positioned in the middle is made of a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to minimize the decrease in luminance.

도 4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EEFL의 직하형 배치를 채용한 백라이트이다.4 is a backlight employing a direct placement of the EEF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20)에는 반사판(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21)의 윗면에는 형광램프(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형광램프(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에 형광체가 도포되고, 외주면의 양 단부에 도전재로 된 외부전극(23)이 각각 형성된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이다. 상기 형광램프(22)는 휘도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사판(21)의 윗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호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다수개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figure, the backlight 20 is provided with a reflecting plate 21. The fluorescent lamp 2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ing plate 21. As described above, the fluorescent lamp 22 is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in which a phosphor is coa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n outer electrode 23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lamps 22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21 in order to maintain uniformity of luminance.

그리고, 상기 형광램프(22)는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부전극(23)이 상호 통전이 가능하고, 최외곽 외부전극(23a)으로부터는 각각 전극연결선(24)이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형광램프(22)는 교류형 전원이 인가시 병렬방식으로 공히 구동이 가능하다.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luorescent lamps 22, the external electrodes 23 may be energized with each other, and electrode connection lines 24 are connected to the outermost external electrodes 23a, respectively. For this reason, the fluorescent lamp 22 can be driven in parallel when AC power is applied.

상기 형광램프(22)의 상부에는 상기 반사판(21)과 대향되게 확산판(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확산판(25)은 상기 형광램프(22)의 상(image)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형광램프(22)로부터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휘도의 균일성를 높이는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The diffusion plate 25 is disposed on the fluorescent lamp 22 to face the reflecting plate 21. In order to prevent the diffusion plate 25 from appearing in the image of the fluorescent lamp 22, it may be advantageous to maintain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fluorescent lamp 22 to increase the uniformity of luminance.

여기서, 상기 확산판(25)의 형광램프(22)로부터의 간격은 상기 형광램프(22)의 직경과 대응된다. 예컨대, 상기 형광램프(22)의 직경이 2.6 mm라면, 상기 확산판(25)과의 간격도 약 2.6 mm이다. 결과적으로, 최소한의 두께는 약 5.2 mm가 될 것이다.Here, the distance from the fluorescent lamp 22 of the diffusion plate 25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fluorescent lamp 22. For example, if the diameter of the fluorescent lamp 22 is 2.6 mm, the distance from the diffuser plate 25 is about 2.6 mm. As a result, the minimum thickness will be about 5.2 mm.

본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외경이 2.6 mm의 EEFL을 채용한 상기 백라이트(30)는 휘도가 10000 cd/m2이상이고, 효율이 50 lm/W 이상이며, 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EEFL의 길이가 긴 EEFL을 채용하여 패널의 램프 방향의 길이가 길수록 고휘도와 고효율이 실현된다.According to the applicant's experiment, the backlight 30 employing an EEFL having an outer diameter of 2.6 mm has a luminance of 10000 cd / m 2 or more, an efficiency of 50 lm / W or more, and no high heat is generated. In particular, by adopting the EEFL with a long EEFL,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lamp direction of the panel, the higher the luminance and the higher the efficiency.

도 5는 EEFL과 반시판의 형태에 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이다. 도 5a는 램프간의 간격을 램프 직경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경우로서 단순한 평면 반사판 위에 EEFL을 배치한다. 이러한 경우는 도 4와 같이 단일 램프가 내는 휘도 이상의 고휘도를 목적으로 하는 백라이트이다. 그러나 패널의 휘도를 단일 램프의 휘도보다 작은 휘도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도 5b-5d이며, 이들은 램프간의 간격을 램프 외경의 수배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이때는 도 5b와 같이 반사판 위에 단면이 삼각형의 대를 설치하여 반사율을 높이거나, 도 5c와 같이 오목거울형 물결무늬 반사판을 설치한다. 또한 도 5d와 같이 도광판에 홈을 설치하여 램프를 그 홈에 삽입하고 반사판과 확산판을 설치하여 반사율과 휘도의 균일도를 높이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외경이 2.6 mm인 EEFL을 약 15 mm 간격으로 반사판 위에 배치하고, 램프와 확산판의 거리를 25 mm로 하여 휘도 수 10000 cd/m2이상에서 50 lm/W 이상의 고효율 백라이트를 실현하였다.5 is a backligh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n EEFL and a half market. FIG. 5A shows a case where the intervals between the lamp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about the lamp diameter, and the EEFL is disposed on a simple flat reflecto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backlight is aimed for high luminance over a luminance emitted by a single lamp.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luminance of the panel is aimed at a luminance smaller than that of a single lamp, it is shown in FIGS. 5B-5D that arrange the intervals between the lamps at intervals of several times the outer diameter of the lamp, an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The base is provided to increase the reflectance, or install a concave mirror wave pattern reflector as shown in FIG. 5C. Also, as shown in FIG. 5D, a groove may be provided in the light guide plate to insert a lamp into the groove, and a reflecting plate and a diffusion plate may be installed to increase the reflectivity and the uniformity of luminanc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applicant, the EEFL having an outer diameter of 2.6 mm is disposed on the reflecting plate at intervals of about 15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amp and the diffuser is 25 mm, and the luminance is not less than 50 lm / W at a luminance number of 10000 cd / m 2 or more. High efficiency backlight is realized.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30)가 결합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도 6a의 백라이트(30)가 결합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6A illustrates a state before the backlight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and FIG. 6B illustrates a state after the backlight 30 of FIG. 6A is coupled.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백라이트(30)는 상부기판(31)과, 상기 상부기판(31)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하부기판(3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기판(31)의 아랫면에는 상부형광체층(33)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기판(32)의 아랫면에도 하부형광체층(34)이 형성되어 있다.6A and 6B, the backlight 30 includes an upper substrate 31 and a lower substrate 32 that is installed to face the upper substrate 31. An upper phosphor layer 33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31. The lower phosphor layer 34 is also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2.

상기 하부기판(32)의 상부에는 형광램프(35)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형광램프(35)는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31)(32)이 결합시 이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격벽으로서 역할을 한다. 상기 형광램프(35)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외주면의 양 단부에 도전재로 된 외부전극(36)이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fluorescent lamps 35 are provided on the lower substrate 32 so as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luorescent lamp 35 serves as a partition wall while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31 and 32 when they are coupled. The fluorescent lamp 35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electrode 36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t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orescent lamp 35.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31)(32)에는 조립시 대응되는 변의 외면을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부전극(37)과, 하부전극(3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전극(37)(38)은 상부 및 하부기판(31)(32)의 외면 일부를 덮개 형태로 감싸고 있고,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하부전극(38)은 형성되는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안정된 방전을 얻는데 유리하므로 하부기판(32)의 아랫면에 보다 확장시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31 and 32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n upper electrode 37 and a lower electrode 38 to supply power to the backlight 30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ide during assembly.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37 and 38 surround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31 and 32 in the form of a cover, and ar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t this time, since the lower electrode 38 is advantageous in obtaining a stable discharge, it is preferable to extend the lower electrode 38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2.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31)(32)의 사이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들을 상호 봉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지지대(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백라이트(30)는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31)(32) 사이에 가장자리 지지대(39)가 개재된 상태에서 밀봉하기 전에 그 내부에 방전기체가 주입된다.An edge support 39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31 and 32 to seal them together along their edges to maintain airtightness. Discharge gas is injected into the backlight 30 before sealing it in the state where the edge support 39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31 and 32.

상기 상부 및 하부전극(37)(38)은 별도로 기판(31)(32)에 형성시킨 다음에 기판(31)(32)의 양측에서 각각 통전이 가능하도록 제조할 수도 있고, 기판(31)(32)을 조립한 후에 일체로 된 덮개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37 and 38 may be separately formed on the substrates 31 and 32, and then may be manufactured to enable energization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s 31 and 32, respectively. 32) may be assembled to form an integral cover after assembly.

상기 상부 및 하부전극(37)(38)은 기판(31)(32)의 양측으로 전극연결선(300)가 각각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어진다.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37 and 38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connection lines 300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s 31 and 32 to supply power.

한편, 상기 형광램프(35)에 형성되는 외부전극(36)은 상기 상부 및 하부전극(37)(38)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플로팅(floating)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전극(37)(38)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유도되는 방식으로 방전을 발생시킨다. 상기 외부전극(36)은 경우에 따라서는 배제할 수 있으나, 이를 설치함으로써 안정된 방전을 얻는데 유리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electrode 36 formed on the fluorescent lamp 35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37 and 38, but is disposed in a floating state so that the electrodes 37 and 38 are disposed. The discharge is generated in a manner induced by the power supplied to. The external electrode 36 may be excluded in some cases, but it may be advantageous to obtain a stable discharge by installing the external electrode 36.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백라이트(30)는 상기 전극연결선(300)을 통하여 전원 인가시,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35)는 상부 및 하부기판(31)(32) 사이에 별도로 제작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격벽의 역할과 동시에 자체 발광을 할 수 있다.Since the backlight 3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and disposed separate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31 and 32 whe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35 is a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electrode connection line 300. At the same time as the partition wall can emit light.

본 발명에서의 도 6a와 도 6b는 격벽 발광형 평판램프의 기본형이며, 이는 전압을 평판 외부 전극에 인가하므로 편리성은 있으나 상하 유리판의 두께에 의한 전기용량성 전압강하로 인하여 구동 전압이 높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전체가 도포된 금속재의 전극을 평판 내부에 설치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즉, 도 6c와 같이 무전극 형광관을 장착하기 위한 내부 소켓형 다중 캡슐 전극 구조물을 평판 내부의 하판 양끝에 설치하고 상판을 봉합하여 전극 연결선을 외부로 유도하여 전원에 연결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이때의 내부 소켓형 다중 캡슐 전극 구조물의 모든 표면은 강유전체를 도포하여 방전시에 직류형 전류가 직접 전극으로 흐르지 않게 한다. 도면과 같이 홈 내부에 강유전체의 도포가 용이하도록 상하 두 조각(상판 전극과 하판 전극)으로 분리 제작하여 강유전체를 모든 표면에 도포하고, 무전극 형광관을 장착하여 두 조각을 결합하게 되어 있다.6A and 6B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basic type of the partition-emitting flat plate lamp, which is convenient because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plate external electrode, but the driving voltage is high due to the capacitive voltage drop due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glass plates. In order to improve this point,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de of a metal material coated with a dielectric inside the flat plate can be adopted. That is, as shown in FIG. 6C, an internal socket type multi-capsule electrode structure for mounting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tube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inside the plate, and the upper plate may be sealed to guide the electrode connecting line to the outside to connect the power supply. . At this time, all surfaces of the internal socket-type multi-capsule electrode structure are coated with a ferroelectric to prevent direct current from flowing directly to the electrode during discharg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erroelectric is separated into two upper and lower pieces (top electrode and lower electrode) so as to easily apply the ferroelectric to the inside of the groove, and the ferroelectric is applied to all surfaces, and the electrodeless fluorescent tube is mounted to combine the two pieces.

따라서, 종래의 백라이트에서는 형광램프가 격벽으로 사용할 경우에 격벽부분이 어두워 휘도의 균일도를 유지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형광램프(35)도 자체 발광이 가능하므로 휘도의 균일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형광램프(35)는 격벽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부 및 하부기판(31)(32) 유리의 두께를 얇게 하여 가볍고 대면적화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backlight, when the fluorescent lamp is used as the partition wall, the partition wall is dark so that the uniformity of the brightness cannot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orescent lamp 35 can also emit light by itself so that the uniformity of the brightness is achieved. You can get it. In addition, since the fluorescent lamp 35 serves as a partition wall,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31 and 32 glass may be reduced to be light and advantageous to large area.

상기 실시 예와 같은 EEFL의 가장자리 배치와 직하형 배치에 따른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와 구동 방법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An inverter, a driving method, and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riving the backlight according to the edge arrangement and the direct type arrangement of the EEFL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인버터는 스위칭 회로와 승압 트랜스의 결합으로서, 이 전원공급장치는 다수의 병렬 연결된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구동하는데 적합한 구형파가 출력되며, 주파수와 출력 파형 조건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출력 파형에 오버슈팅 부분이 존재한다.Switching i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a switching circuit and a boost transformer, the power supply is a square wave output suitable for driving a plurality of parallel connecte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and easily adjust the frequency and output waveform conditions There is an overshooting part in the output wavefor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분할 구동 방식은 EEFL의 평면 배치에 의한 대면적의 백라이트나 전극을 유전층으로 도포하여 교류형 방전을 채용하는 대면적 평판램프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대면적을 몇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동위상의 파형으로 구동하여 구동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안정된 고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창안되었다.The divided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arge area flat lamp which adopts an alternating current type discharge by applying a large area backlight or an electrode by a planar arrangement of EEFL to a dielectric layer, and the large area is divided into several regions. By dividing and driving each phase with the in-phase waveform, it was devised to reduce the size of the driving device and enable stable high speed driv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인버터와 게이트에 인가되는 신호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다수로 병렬 연결된 EEFL들을 효과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창안된 장치로서, 본 장치의 회로적 특징은 기존의 CCFL을 구동하는데 적용되는 LC 공진형 인버터와는 달리 스위치 역할을 하는 4개의 고속 FET와 승압 트랜스를 결합하여 고압의 구형파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 구형파의 주파수 및 전압유지 비율 등은 도 7에 표시된 각 FET 게이트 신호들을 조절함으로써 쉽게 조정된다. 본 발명의 스위칭 인버터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회로 상단에 설치된 FET와, A와 C의 드레인에 DC를 인가한 상태에서 도 7에 표시된 형태의 게이트신호를 각 FET에 인가한다. 그러면 각 FET는 시간에 따라 A와 D가 동시에 온 상태로 되었다가 오프 상태로 되고, 다시 C와 B가 같은 동작을 한다. 이 때, 좌우측의 FET 출력 단에 승압 트랜스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각 FET가 온 상태로 되는 시간 동안에 승압 트랜스의 일차코일에 호환적으로 흐른다. 따라서 승압트랜스의 2차 코일에는 도 8과 같이 고압의 구형파 출력이 발생한다. 이 출력 파형의 특징은 sine파와는 달리 전압 상승시간이 빠르고 일정한 전압 유지 구간을 갖는다. 또한 코일의 특성상 급격히 전압이 변화하는 구간에서 과도적인 오버 슈팅(over shooting) 전압이 발생한다.7 illustrates a signal waveform applied to a switching inverter and a 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s designed to effectively drive multiple paralleled EEFLs. Its circuit features four high-speed FETs and boosts, unlike LC resonant inverters used to drive conventional CCFLs. The transformer is combined to output a high pressure square wave. Also, the frequency and voltage holding ratio of the output square wave can be easily adjusted by adjusting the respective FET gate signals shown in FI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switching i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A gate signal of the type shown in Fig. 7 is applied to each FET while DC is applied to the FETs provided on the circuit top and the drains of A and C. Each FET then turns A and D on and off over time, and C and B do the same. At this time, since the boost transformer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FET output stages, current flows compatible with the primary coil of the boost transformer during the time when each FET is turned on. Therefore, the high voltage square wave output is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il of the boost transformer as shown in FIG. 8. Unlike the sine wave, this output waveform has a fast voltage rise time and a constant voltage holding period. In addition, a transient over shooting voltage occurs in a section in which the voltage changes rapid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il.

상기 인버터의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스위칭 인버터로부터 발생되는 구형파 형태의 출력 전압 파형은 그 특성상 기존의 LC 공진형 인버터와는 달리 하나의 스위칭 인버터만으로도 다수 병렬 연결된 EEFL들을 균일한 휘도로 안정되게 동작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구형파가 sine파와는 달리 일정한 전압 유지 구간을 갖고 있다는 점이며, 이 구형파가 EEFL들에 동시에 인가되어 점등 될 때 각 EEFL 램프들이 인가 전압의 한 주기 내에서 순차적으로 켜진다 하더라도 인가된 전압이 sine파와는 달리 일정한 방전전압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각 램프를 점등하는 정도가 균일하게 되어 일정한 발광 균일도(uniformity)를 유지하게 되는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상승시간이 동일 주파수의 sine파에 비해 항상 짧다는 점이다. 초기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일단 순차 점등 및 소등된 이후에는 관 내부에 공간 전하 및 여기된 분자들이 다수 남아있게 되는데, 이들 중 공간전하들은 최초 방전시 전극 주변에 형성된 벽전하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있는 전기장에 의하여 서서히 벽전하와 재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 전하 및 여기 분자들의 움직임은 관에 걸리는 전기장의 세기와 시간적 변화에 의존되는데 sine파의 경우 전압 상승 기울기가 동일 주파수의 구형파에 비해 항상 느리므로 두 번째 방전 개시까지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전압이 인가되고, 이 시간동안 공간전하들은 인가되고 있는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최초 방전시 형성된 벽전하들과 결합하는 일종의 벽전하 소거 현상이 나타난다. 이로 인하여 벽전하의 양이 저하되고, 따라서 안정된 방전을 유지할 수 있는 전압 구간, 즉 유지전압 마진(margin)을 작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방전의 세기 또한 작아져서 휘도와 효율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구형파는 전압 상승시간이 상대적으로 sine파보다 빨라서 공간 전하가 벽전하와 재결합하기 이전에 인가전압이 방전 개시전압을 초과하여 방전이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지적한 벽전하 소거 현상이 미미해지므로 sine파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지전압 마진이 커지게 되어 안정된 동작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또한, 급격한 전압의 상승기울기 효과는 공간전하의 순간적인 빠른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이들과 중성 및 여기 분자들과의 유효 충돌이 많아지게 되고 이를 통한 이차전자 발생이 활발해져서 방전을 강하게 해주고 유지 전압마진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수적인 효과도 준다.Details of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are as follows. Unlike the conventional LC resonant inverter, the square wave output voltage waveform generated from the switching inverter can stably operate a plurality of parallel-connected EEFLs with uniform luminance with only one switching inverter. The reason is that the square wave has a constant voltage holding period unlike the sine wave, and when the square wave is applied to the EEFLs simultaneously and turned on, even though each EEFL lamp is sequentially turned on within a period of the applied voltage, the applied voltage Unlike the sine wave, since it maintains a constant discharge voltage, the degree of lighting of each lamp is uniform, thereby maintaining a uniform light emission uniformity. Another reason is that the rise time of the voltage over time is always short compared to the sine wave of the same frequency. After being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by an initially applied voltage, a large number of space charges and excited molecules remain inside the tube, among which space charges are formed between the wall charges formed around the electrode during the initial discharge. The electrical field is then slowly recombined with the wall charge. These spatial charges and excitation molecules are dependent on the strength and temporal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ross the tube. For sine waves, the slope of the voltage rise is always slower than the square wave of the same frequency. During this time, a kind of wall charge erase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space charges combine with the wall charges formed during the initial discharge by the electric field formed by the voltage being applied. As a result, the amount of wall charges is lowered, which results in a smaller voltage range, that is, a sustain voltage margin, in which stable discharge can be maintained, and the intensity of discharge is also reduc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brightness and efficiency. However, since the square wave output from the switching inve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oltage rise time relatively faster than the sine wave, it is possible to cause the discharge to start because the applied voltage exceeds the discharge start voltage before the space charge recombines with the wall charge.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wall charge erase phenomenon becomes insignificant, so that the sustain voltage margin is increased relative to the sine wave,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In addition, the steep rise of the voltage effect allows the rapid rapid movement of space charges,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ive collision between them and neutral and excitation molecules, thereby increasing the generation of secondary electrons, thereby strengthening the discharge and maintaining the sustain voltage margin. It also has the side effect of making it bigger.

도 9에 표시한 스위칭 인버터의 출력 파형의 상승 또는 하강 부분에 나타나는 오버 슈팅 전압은 방전개시를 쉽게 해주고 방전 개시 후 별도의 출력 전압 조절을 생략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 오버 슈팅되는 전압의 크기는 출력트랜스 및 EEFL의 전기용량에 의존하는데 본 발명자의 실험결과 방전이 개시되기 전에는 약 20% ~ 30%정도의 값이며 방전이 시작되어 유지되는 동안에는 3% 미만으로 감소하게된다. 즉 오버 슈팅 전압 효과는 방전 개시 전에만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이유는 EEFL이 방전개시 전 순수 용량성 부하(capacitive load)에서 방전개시 후 용량성 부하 및 저항성부하(resistive load)의 성질을 동시에 갖게 되어 저항 성분에 의한 진동 감쇠효과가 생기기 때문이다. 결국 오버 슈팅되는 전압 효과는 방전 개시 전에만 영향을 준다는 의미이며, 이것은 방전 개시를 쉽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방전관이 AC형이거나 DC형이거나 방전개시전압이 방전유지전압보다 높으며, 만일 출력 파형에 오버 슈팅 전압이 있게 되면 그 부분만큼 방전개시를 위한 인가전압을 낮게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어떤 방전관의 방전개시 전압이 1.3 kV이고, 여기에 인가될 전압 파형의 오버슈팅 부분이 30% 라면, 단지 1 kV의 평균 출력 전압만으로도 방전 개시가 가능하다. 특히, EEFL의 관 길이가 길수록 방전 개시 전압이 높아지는데 긴 관을 사용할 경우 오버슈팅이 있는 파형이 유리하다. 또 하나의 중요한 효과는 방전 개시 후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전압 조절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실제로 오버슈팅이 없는 파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전 개시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고 방전이 시작되면 방전관의 수명과휘도 조정 등을 이유로 전압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방법을 채용한다. 스위칭 인버터는 오버 슈팅 전압의 존재로 인하여 방전 개시 전과 방전 개시 후의 최고 전압치가 약 20~30% 정도 차이가 나므로 방전 개시 후 자동으로 유지전압 수준으로 조정되어 별도의 전압 조정 장치를 부착할 필요가 없다.The overshooting voltage appearing on the rising or falling portion of the output waveform of the switching inverter shown in FIG. 9 makes it easy to start discharging and to omit a separate output voltage adjustment after the start of discharging. The magnitude of this overshooting voltage depends on the output transformer and the capacitance of the EEFL, which is about 20% to 30% before the discharge starts and decreases to less than 3% while the discharge starts and remains. Will be done. In other words, the overshooting voltage effect appears only before the start of discharge. The reason for this characteristic is that the EEFL has the characteristics of capacitive load and resistive load at the same time after initiation of discharge in capacitive load before initiation of discharge, resulting in vibration damping effect due to resistive components. . Eventually, the overshooting voltage effect means that it only affects before the discharge starts, which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discharge start. Generally, the discharge tube is AC type or DC type, or the discharge start voltage is higher than the discharge sustain voltage. If the overshooting voltage is present in the output waveform, the applied voltage for discharge start may be lowered by that portion. For example, if the discharge start voltage of a discharge tube is 1.3 kV and the overshooting portion of the voltage waveform to be applied thereto is 30%, the discharge can be started with only an average output voltage of 1 kV. In particular, the longer the tube length of the EEFL, the higher the discharge start voltage. When a long tube is used, a waveform with overshooting is advantageous. Another important effect can be to omit the voltage regulation process which is generally carried out after the start of discharge. In fact, in the case of using a waveform without overshooting, a method of applying a voltage required to start discharging and artificially lowering the voltage due to the life and luminance adjustment of the discharge tube is adopted when the discharge starts. Since the switching inverter differs by about 20 ~ 30% from the highest voltage value before the start of discharge and after the start of discharge due to the presence of the overshooting voltage, the switching inverter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holding voltage level after the start of discharge and there is no need to attach a separate voltage adjusting device. .

그리고, 효율 및 휘도를 상승시키는 자기 방전(self discharge) 효과가 나타나는데, 자기방전이란 AC 방전관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현상으로, 방전에 의해 형성된 벽전하에 의하여 유도된 벽전압의 세기가 방전 개시 전압 보다 클 경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하강하여 영전위에 도달할 때, 벽전하들 상호간에 방전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스위칭 인버터에서 발생되는 구형파와 이것이 EEFL에 인가되었을 때 발생하는 자기 방전현상을 도 9에 나타내었다. 자기 방전이 발생 할 경우 전압 파형 주기 당 방전 전류와 발광의 횟수는 미발생시에 비해 두 배이며, 그것의 강도는 자기 방전 미발생시 보다 다소 작다. 이는 자기 방전의 발생으로 인하여 벽전하가 일정부분 소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기 방전이 발생하면 효율과 휘도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elf-discharge effect of increasing efficiency and brightness is shown. Self-discharge is a unique phenomenon only seen in an AC discharge tube, and the intensity of the wall voltage induced by the wall charge formed by the discharge is higher than the discharge start voltage. When large, when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falls to reach the zero potential, it is a phenomenon that the discharge between the wall charges. A square wave generated in the switching inverter and a self discharge phenomenon generated when it is applied to the EEFL are shown in FIG. 9. When a self discharge occurs, the number of discharge currents and emission times per voltage waveform cycle is twice as high as that of no occurrence, and its intensity is somewhat smaller than that of no self discharge. This is because wall charges are partially erased due to the occurrence of self discharge. When such self discharge occur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efficiency and lumin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대면적 백라이트의 분할 구동 방식이다. EEFL을 평면에 배치하여 구성된 작은 면적의 백라이트는 단일 스위칭 인버터로 구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면적이 대형화 될수록 소모되는 전력이 커지므로 인버터에 사용되는 승압 트랜스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스위칭 인버터의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기가 어렵다. 또한 전압을 인가하는 라인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신호 간섭, 임피던스 매칭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휘도 불균일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0에서와 같이 전체 백라이트를 적당한 크기의 영역(섹터)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영역을 동 위상으로 일치된 전압 파형을 내는 스위칭 인버터로 구동하는 분할 구동 방식을 채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여기서 각 스위칭 인버터의 출력 파형이 동위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위상이 서로 다를 경우 분할 영역간 인접한 부분에서 누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 스위칭 인버터의 출력 파형을 동위상으로 하는 방법은 각 영역에 스위칭 인버터의 고속 스위칭 역할을 하는 FET 부분과 승압 트랜스 부분만을 독립적으로 연결하되, FET의 게이트 신호들을 공유한다. 이 경우 게이트 신호 발생 회로를 공유하므로 여러 대의 스위칭 인버터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으며, 승압 트랜스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lit driving scheme of a large area backlight. The small area backlight configured by placing the EEFL in a plane can be driven by a single switching inverter. However, as the area becomes larger, the power consumed becomes larger, so that the size of the boost transformer used in the inverter becomes larger,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 small switching inverter. 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line applying the voltage becomes longer, problems such as signal interference and impedance matching may occur, which may cause luminance unevenness. In this case, this problem is solved by adopting a split driving scheme in which the entire backlight is divided into regions (sectors) of a suitable size as shown in FIG. 10, and the divided regions are driven by a switching inverter having a voltage waveform coincident in phase. do. The reason why the output waveform of each switching inverter should be in phase is that a short circuit may occur in adjacent parts between divided regions when pha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output waveform of each switching inverter is in-phase so that only the FET portion and the boost transformer portion, which serve as high-speed switching of the switching inverter,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region, but share the gate signals of the FET. In this case, since the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is shar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more than when using several switching inverters, and the size of the boost transformer can be reduc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an be made compact.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및 구동방법은 형광램프의 외주면 양 단부에 외부전극을 설치하고, 이들을 평면에 배치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cklight and the driving method including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by installing the external electrodes at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orescent lamp and arranging them in a plane.

첫째, 형광램프의 전극이 외부에 형성되어 형광램프의 제조가 쉽고, 유리관 양극의 길이를 충분히 하기 위하여 직선형의 end-캡슐 방식이나 유리관 양끝을 구부리는 방식을 채용하여 고휘도와 고효율을 실현하고, 이들을 도광판의 가장자리에 배치하거나 평면에 중첩 배치되는 구조로서, 형광램프를 병렬연결방식으로 하나의 전원에 연결하여 구동이 가능하므로 고휘도 및 고효율, 그리고 박형인 제조가 간단한 백라이트가 실현된다.First, the electrode of the fluorescent lamp is formed on the outside, so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fluorescent lamp and adopts a straight end-capsule method or a method of bending both ends of the glass tube to sufficiently length the glass tube anode, thereby realizing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It is arranged at th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or overlapping on the plane, and can be driven by connecting the fluorescent lamp to a single power source in a parallel connection method, thereby realizing a high brightness, high efficiency and thin backlight, which is simple to manufacture.

둘째, 형광램프가 격벽으로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발광을 하게 됨에 따라서 휘도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고, 격벽의 사용으로 인한 박형의 상하부 기판을 채용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균일한 휘도를 보장하는 대면적의 면광원을 제조할 수 있다.Second, as the fluorescent lamp serves as a partition wall and emits light at the same time, luminance uniformity can be maintained and a thin upper and lower substrates can be employed due to the use of the partition wall. As a result, a large-area surface light source that ensures uniform luminance can be produced.

셋째, 다수의 외관 전극 형광램프를 배치하여 구성된 백라이트에서 수 십 kHz의 저주파로 구동하므로서 EMI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Third, EMI problems can be avoided by driving at a low frequency of several tens of kHz in a backlight configured by disposi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넷째, 고속의 FET와 승압 트랜스를 결합한 본 발명에서의 스위칭 인버터는 고압의 구형파를 출력하고 오버 슈팅 전압이 발생하므로 균일한 휘도를 갖는 고속 구동이 가능하고, 자체적으로 방전 개시 전압을 낮추는 작용과, 자기방전 작용이 있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하여 고휘도와 고효율의 효과가 있다.Fourth, the switching inverter in the present invention combining a high-speed FET and a boost transformer outputs a high-voltage square wave and generates an overshooting voltage, thereby enabling high-speed driving with uniform brightness, and lowering the discharge start voltage by itself. There is a self-discharge action. This action has the effect of high brightness and high efficiency.

다섯째, 대화면의 백라이트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구동하기 위하여 FET 소자의 게이트 신호는 공유하고 승압 트랜스 부분만을 공유하여 제작된 본 발명의 인버터는 분할된 화면에 각각 동위상의 전압을 인가하므로서 분할된 인접 영역간의 누전을 방지하여 안정된 방전에 의한 대면적 백라이트에서 균일한 휘도를 얻는다. 또한, 전압을 인가하는 길이를 줄일 수 있어서 신호의 간섭과 임피던스 매칭 문제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한 휘도를 구현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리고 승압 트랜스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게이트 신호 발생기를 공유함으로서 인버터의 소형화 효과가 있다.Fifth, the inve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sharing the gate signal of the FET device and sharing only the boost transformer part in order to divide and drive the screen in the large screen backlight is applied between the adjacent regions divided by applying the in-phase voltage to each of the divided screens. It prevents a short circuit and obtains uniform brightness in a large area backlight by stable discharge.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applying the voltage can be reduced, interference and impedance matching problems of the signal can be avoided, which is effective to realize uniform luminanc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boost transformer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inverter can be reduced by sharing the gate signal generator.

또한, 본 발명에서 스위칭 인버터의 작용은 i) 하나의 인버터로 다수의 병렬 연결된 EEFL을 균일한 휘도를 갖도록 고속 구동할 수 있으며, ii) 오버슈팅 전압의존재로 인하여 방전 개시 전압을 낮출 수 있고, iii) 자기방전 작용이 있어서 휘도와 효율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inverter in the present invention i) can drive a plurality of parallel-connected EEFL at a high speed to a single inverter with a uniform brightness, ii) can lower the discharge start voltage due to the presence of the overshoot voltage, iii) The self-discharge ac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brightness and efficienc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7)

삭제delete 외부전극 형광램프부터 발광된 빛을 확산하여 발광하는 도광판;A light guide plate configured to diffuse and emit light emitted from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된 유리관 및 직선형, L자형, C자형, 나선형 또는 파동형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엔드-캡형 외부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싸도록 설치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A discharge tube is injected, a phosphor layer is a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and an end cap-type external electrode formed of a straight, L-shaped, C-shaped, spiral, or wave-shaped and enclosing both ends of the glass tube is formed.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install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외부전극에 연결되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And a switching inverter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de of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to apply a spherical AC voltage of 100 kHz or less. 삭제delete 외부전극 형광램프부터 발광된 빛을 확산하여 발광하는 확산판;A diffusion plate for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to emit light; 외부전극 형광램프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A reflector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된 유리관 및 직선형, L자형, C자형, 나선형 또는 파동형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엔드-캡형 외부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과 반사판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A discharge tube is injected, a phosphor layer is a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and an end cap-type external electrode formed of a straight, L-shaped, C-shaped, spiral, or wave-shaped and enclosing both ends of the glass tube is formed.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disposed in parallel between the diffusion plate and the reflection plate; And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외부전극에 연결되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And a switching inverter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de of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to apply a spherical AC voltage of 100 kHz or les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삼각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The backlight of claim 4, wherein the reflecto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tripods disposed betwee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감싸는 물결 무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The backlight of claim 4, wherein the reflector is formed in a wave pattern surrounding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확산판은 외부전극 형광램프가 위치하는 부분에 확산홈을 더 구비하며,The diffusion plate further includes a diffusion groove in a portion where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is located, 상기 반사판은 삼각 톱니 무늬 형태이며,The reflector is in the form of a triangular serrated pattern, 상기 확산판과 반사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가 안착되는 확산홈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반사판과 밀착되도록 하부가 삼각 톱니 무늬 형태인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The backlight is disposed between the diffuser plate and the reflector plate, the upper portion has a diffusion groove in which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is seated, and further comprising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triangular serrated pattern in close contact with the reflector plate. 외부전극 형광램프부터 발광된 빛을 확산하여 발광하는 확산판;A diffusion plate for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to emit light; 외부전극 형광램프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A reflector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고, 양단이 봉입되고, 그리고 상기 확산판과 반사판 사이에 병렬로 배치된 유리관들 및 상기 유리관들과 결합되는 외부전극 다수개를 병렬로 구비한 외부 소켓형 다중 캡슐 전극 구조물을 포함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The discharge socket is injected, the phosphor layer is a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both ends are sealed, and the outer socket includes a plurality of glass tubes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diffusion plate and the reflecting plate and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des coupled to the glass tubes in paralle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comprising a multi-capsule electrode structure; And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외부 소켓형 다중 캡슐 전극 구조물에 연결되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And a switching inverter connected to an external socket type multi-capsule electrode structure of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applying a spherical alternating voltage of 100 kHz or less. 외부전극 형광램프부터 발광된 빛을 확산하여 발광하는 확산판;A diffusion plate for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to emit light; 외부전극 형광램프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A reflector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된 유리관 및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엔드-캡형 외부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과 반사판 사이에서 패널 중간에 세로 방향으로 외부전극 부분이 엇갈려 중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A discharge tube is injected, a phosphor layer is appli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wall, and a glass tube having both ends sealed and an end-cap type external electrode formed to surround both ends of the glass tube;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in which electrode portions are alternately overlapped; And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외부 전극에 연결되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And a switching inverter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de of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to apply a spherical alternating voltage of 100 kHz or less.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패널 중간에 세로 방향으로 엇갈려 중첩되는 외부전극은 도전성 투명전극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The external electrode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panel is a backl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아랫면에 상부형광체층이 도포된 상부기판;An upper substrate having an upper phosphor layer coat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상부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윗면에 하부형광체층이 도포된 하부기판;A lower substrate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bstrate and having a lower phosphor layer coated thereon;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밀봉시키는 가장자리지지대;An edge suppor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to seal them;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된 유리관 및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엔드-캡형 외부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기판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외부전극 형광램프;A discharge gas is injected, a phosphor layer is coa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wall, and both ends are enclosed, and an end-cap type external electrode is formed to surround both ends of the glass tube, and a plurality of spaced interval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bstrat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의 밀봉시 내부 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기체;A discharge gas injected into an inner space wh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are sealed; 결합된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의 대응되는 양쪽 외면에 각각 형성되어 교류형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 연결선과 연결되는 전극; 및Electrodes formed on both corresponding out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coupl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lectrode connection lines to which an AC power is applied; And 상기 전극에 연결되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And a switching inverter connected to the electrode for applying a spherical alternating voltage of 100 kHz or les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 형광램프는 상기 전극과 연결되지 않고,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의 내부에 플로팅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The backlight of claim 11, wherei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is not connected to the electrode and is installed in a floating state inside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아랫면에 상부형광체층이 도포된 상부기판;An upper substrate having an upper phosphor layer coat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상부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윗면에 하부형광체층이 도포된 하부기판;A lower substrate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bstrate and having a lower phosphor layer coated thereon;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밀봉시키는 가장자리지지대;An edge suppor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to seal them; 표면에는 강유전체가 도포되고 유리관이 결함되는 홈이 소정 간격으로 구성된 상판전극 및 하판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기판 양끝에 각각 설치되는 내부 소켓형 다중 캡슐 전극 구조물;An inner socket-type multi-capsule electrode structure comprising a top electrode and a bottom electrode each having a ferroelectric applied to the surface thereof, and grooves having defects in the glass tu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ubstrate;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되고, 그리고 상기 내부 소켓형 다중 캡슐 전극 구조물의 홈에 설치된 유리관;A glass tube in which discharge gas is injected, a phosphor layer is coa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wall, and both ends thereof are sealed, and a groove is installed in a groove of the inner socket type multi-capsule electrode structure; 상기 상부 및 하부기판의 밀봉시 내부 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기체; 및A discharge gas injected into an inner space wh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are sealed; And 상기 내부 소켓형 다중 캡슐 전극 구조물에 연결되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And a switching inverter connected to the internal socket type multi-capsule electrode structure and applying a spherical alternating voltage of 100 kHz or less. 제 2, 4, 5, 6, 7, 8, 9, 10, 11, 12,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5, 6, 7, 8, 9, 10, 11, 12, 13, 상기 스위칭 인버터는 4개의 FET(A, B, C, D)로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FET A와 FET C의 드레인에 DC를 인가하며 FET B와 FET D의 소스는 접지시키고 FET A의 소스와 FET B의 드레인, FET C의 소스와 FET D의 드레인을 각각 연결시키며, 상기 FET A와 FET B의 연결점과 FET C와 FET D의 연결점 사이에 승압트랜스가 연결되고, 상기 승압 트랜스의 출력부를 통해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The switching inverter constitutes a bridge circuit with four FETs (A, B, C, D), applies DC to the drains of the FET A and FET C, grounds the sources of FET B and FET D, and the source of FET A. And a drain of FET B, a source of FET C and a drain of FET D, respectively, a boost transformer is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oints of FET A and FET B and the connection point of FET C and FET D, and the output of the boost transformer Backlight,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spherical AC voltage of less than 100kHz. 제 2, 4, 5, 6, 7, 8, 9, 10, 11, 12,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5, 6, 7, 8, 9, 10, 11, 12, 13, 상기 스위칭 인버터에서 출력된 구형 교류 전압은 형광램프의 방전을 유도하는 오버슈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And a spherical alternating voltage output from the switching inverter includes an overshoot for inducing a discharge of the fluorescent lamp. 다수의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구동 방법에 있어서,In the backlight driving method comprising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상기 다수의 형광램프들을 소정의 복수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Dividing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lamps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reas; 상기 분할된 각 영역의 형광램프들의 외부전극들을 각각 동일한 전극연결선으로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external electrodes of the fluorescent lamps of each of the divided regions with the same electrode connection line; 상기 영역들과 각각 연결된 전극연결선에 스위칭 인버터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switching inverters to electrode connection lin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egions; 상기 각 스위칭 인버터에 동일한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Applying the same gate signal to each switching inverter; And 상기 게이트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인버터가 동위상의 100kHz 이하의 구형 교류 전압을 각 외부전극 형광램프로 동시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방법.And simultaneously switching, by the switching inverter, a rectangular alternating voltage of 100 kHz or less in phase to each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ccording to the gate signal. 삭제delete
KR20000083512A 2000-04-15 2000-12-28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KR100350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83512A KR100350014B1 (en) 2000-04-15 2000-12-28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U2001242830A AU2001242830A1 (en) 2000-04-15 2001-03-16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PCT/KR2001/000423 WO2001079922A1 (en) 2000-04-15 2001-03-16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09/823,336 US6674250B2 (en) 2000-04-15 2001-03-30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1115222A JP3622032B2 (en) 2000-04-15 2001-04-13 Backlight and backlight driv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887 2000-04-15
KR1020000019887A KR20000037279A (en) 2000-04-15 2000-04-15 External Electrode-Type Fluorescent Lamp for the LCD Back-Light
KR1020000032565A KR20000054608A (en) 2000-06-13 2000-06-13 Flat Panel Fluorescent Lamp with a Fluorescent Tube Barrier Spacer
KR1020000032565 2000-06-13
KR1020000050025 2000-08-28
KR1020000050025 2000-08-28
KR20000083512A KR100350014B1 (en) 2000-04-15 2000-12-28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027A KR20010074027A (en) 2001-08-04
KR100350014B1 true KR100350014B1 (en) 2002-08-24

Family

ID=2748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83512A KR100350014B1 (en) 2000-04-15 2000-12-28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22032B2 (en)
KR (1) KR100350014B1 (en)
AU (1) AU2001242830A1 (en)
WO (1) WO2001079922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704A (en)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우영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WO2009075482A1 (en) * 2007-12-10 2009-06-18 Ei Lighting Co., Lt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ssembly having auxiliary lamp, and lamp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93B1 (en) * 2001-02-21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A optical specific self compensation type lamp and backlight device using thereof and method for lighting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reof
KR100813029B1 (en) * 2001-11-22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Lamp and lamp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KR100413490B1 (en) * 2001-03-29 2003-12-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KR100451628B1 (en) * 2001-10-22 2004-10-08 주식회사 지엘디 Florescent Lamp with External Electrode for LCD and Back Light Device using of it
JP2003017005A (en) * 2001-06-27 2003-01-17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Low-pressure discharge lamp
KR20040028612A (en) * 2001-07-16 2004-04-03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operating device
KR100413491B1 (en) * 2001-07-27 2003-12-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KR100469343B1 (en) * 2001-08-16 2005-02-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KR100413634B1 (en) * 2001-10-19 2004-01-03 주식회사 실리온 Lamp electrode holder structure of lcd back light
KR100731304B1 (en) 2001-12-1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Ccfl type lamp and receiving container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09860B1 (en) * 2001-12-21 2005-08-22 미래산업 주식회사 Sign board using miniature type fluroscent lamps
KR100825224B1 (en) 2001-12-29 2008-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Lamp and methode for fabricating thereof
KR100840932B1 (en) * 2002-03-22 2008-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Lam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480820B1 (en) * 2002-03-23 2005-04-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30076877A (en) * 2002-03-23 2003-09-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luorescent lamp for using back light
KR100840674B1 (en) * 2002-03-29 2008-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 light
KR100859857B1 (en) * 2002-04-11 2008-09-23 주식회사 광운디스플레이기술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for backlight
KR100857848B1 (en) * 2002-05-17 2008-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Back light assembly,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030093983A (en) * 2002-05-31 2003-12-1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Discharge lamp device and backlight using the same
KR100873070B1 (en) * 2002-06-05 2008-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Back 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60055326A1 (en) * 2002-06-17 2006-03-16 Yuji Takeda Low- Voltage discharge lam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437953B1 (en) * 2002-07-12 2004-07-01 주식회사 엘에스텍 Flat fluorescent lamp and lamp assembly utilizing the same
KR20040046795A (en) * 2002-11-28 2004-06-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unit
KR100493386B1 (en) * 2002-12-18 2005-06-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unit
KR20040080233A (en) * 2003-03-11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Lamp and liquid c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0363811C (en) * 2003-06-10 2008-01-23 统宝光电股份有限公司 Surface shaped luminous source construction
KR100962500B1 (en) 2003-07-11 2010-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CN1312519C (en) * 2003-07-29 2007-04-25 达方电子股份有限公司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the same back light module
KR100565743B1 (en) * 2003-10-21 2006-03-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 light unit
JP4249689B2 (en) 2003-11-25 2009-04-02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External electrode type discharge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086837B2 (en) 2003-12-03 2008-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46921B1 (en) * 2003-12-04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Driving apparatus of light sour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0746449B1 (en) 2004-03-11 2007-08-03 삼성코닝 주식회사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 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1009673B1 (en) * 2004-04-14 2011-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iving unit of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587373B1 (en) 2004-05-28 2006-06-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light unit
KR100623845B1 (en) * 2004-05-31 2006-09-1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KR100632681B1 (en) 2004-06-30 2006-10-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EEF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034705B1 (en) * 2004-06-30 2011-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light assembl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068385B1 (en) 2004-09-07 2011-09-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light assembly of lcd and electrode plate structure
WO2006054413A1 (en) * 2004-11-17 2006-05-26 Sharp Kabushiki Kaisha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6167054A (en) * 2004-12-14 2006-06-29 Sekisui Chem Co Ltd Luminescence goods stand using external electrode illuminator and showcase using the luminescence goods stand
KR101123454B1 (en) * 2004-12-24 2012-03-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uorescent lamp,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0727468B1 (en) * 2005-01-31 2007-06-13 미래산업 주식회사 Fluorescent lamp and manufacturing thereof
JP4400469B2 (en) * 2005-02-02 2010-01-20 ウシオ電機株式会社 Noble gas fluorescent lamp
KR100708865B1 (en) * 2005-02-25 2007-04-18 미래산업 주식회사 Flat type fluorescent lamp with cap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705631B1 (en) * 2005-03-03 2007-04-1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JP4973905B2 (en) * 2005-03-18 2012-07-11 Dic株式会社 Light blocking adhesive tape for LCD module fixing
KR100741495B1 (en) * 2005-05-23 2007-07-20 삼성코닝 주식회사 Optical source with brightness activation uniformity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101159345B1 (en) * 2005-10-27 2012-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amp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64677B1 (en) 2005-10-28 2013-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EP1961710A4 (en) 2005-12-07 2009-12-09 Nippon Electric Glass Co Outer container for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KR101244669B1 (en) * 2006-05-09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A2638982A1 (en) 2007-10-12 2009-04-12 Hosiden Corporation Buffer, adapter, and connecting device for attaching the same buffer or adapter
KR101374112B1 (en) * 2007-11-23 2014-03-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efl, back 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09081482A1 (en) * 2007-12-25 2009-07-02 Daiken Chemical Co., Lt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discharge lamp tube, flat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632674B1 (en) * 2009-07-30 2016-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Reflec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including the same
JP5595845B2 (en) * 2010-09-14 2014-09-24 有限会社サイン Lighting device and signboard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103A (en) * 1993-07-30 1995-02-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Lighting system,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139921A (en) * 1997-07-22 1999-02-12 Nagamura Seisakusho:Kk Attaching/detaching structure and water-proof structure for fluorescence tube of surface light emitting illumination body
JPH1154089A (en) * 1997-08-06 1999-02-26 Harison Electric Co Lt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200A (en) * 1998-08-18 2000-03-03 Son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103A (en) * 1993-07-30 1995-02-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Lighting system,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139921A (en) * 1997-07-22 1999-02-12 Nagamura Seisakusho:Kk Attaching/detaching structure and water-proof structure for fluorescence tube of surface light emitting illumination body
JPH1154089A (en) * 1997-08-06 1999-02-26 Harison Electric Co Lt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38(1999.03.1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704A (en)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우영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WO2009075482A1 (en) * 2007-12-10 2009-06-18 Ei Lighting Co., Lt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ssembly having auxiliary lamp, and lamp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21404B1 (en) * 2007-12-10 2009-10-14 주식회사 이아이라이팅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ssembly and lamp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9922A1 (en) 2001-10-25
KR20010074027A (en) 2001-08-04
JP3622032B2 (en) 2005-02-23
JP2002008408A (en) 2002-01-11
AU2001242830A1 (en) 2001-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014B1 (en)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US6674250B2 (en)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4255930B2 (en) Backlight assembly
KR100375615B1 (en) Flat fluorescent light for background lighting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itted with said flat fluorescent light
KR20000037279A (en) External Electrode-Type Fluorescent Lamp for the LCD Back-Light
KR20020018969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541299B1 (en) Lighting device
TW558732B (en)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38570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7374314B2 (e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67594B1 (en) The device of back light for display
US7768186B2 (en)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backlight unit
US7772779B2 (en) Lamp for backlight
KR20060083897A (en) Lighting device
KR200211527Y1 (en) fluorescent lamp and the back light applying such
KR20060009631A (en) Flat fluorescent lamp improving discharge efficiency
KR100460791B1 (en) Flat fluorescent lamp and lamp assembly utilizing the same
KR20020066052A (en) Hybrid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the back light applying the same
KR100617561B1 (en) flat-format fluorescent lamp
KR100392180B1 (en) fluorescent lamp and the back light unit applying the same
KR200343511Y1 (en) The device of back light for display
KR101318746B1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010016228A (en) Driving method for the backlight employing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TWI263460B (en)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040009604A (en) Hybrid fluorescent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