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305A - Telephone answe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telephone equipment - Google Patents

Telephone answe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telephon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305A
KR20010033305A KR1020007006747A KR20007006747A KR20010033305A KR 20010033305 A KR20010033305 A KR 20010033305A KR 1020007006747 A KR1020007006747 A KR 1020007006747A KR 20007006747 A KR20007006747 A KR 20007006747A KR 20010033305 A KR20010033305 A KR 20010033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all center
information
machine cod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빌레하드슨스테판
가브리엘슨얀
홀한스
Original Assignee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Publication of KR2001003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30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07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for recording messages comprising any combination of audio and non-audio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위 호출 센터라 하는 개선된 전화 자동 응답 장치 및, 호출 센터에 의해 수신되는 소정의 메시지 유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메시지는 수신자에게 보내는 정보 및 호출 센터에 보내는 기계어 부호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는, 정보와 기계어 부호를 상이한 블록으로 분리하는 것과 같이 전송자에 의해 편집된다. 수신자는 원하는 방식으로, 즉 요즘 호출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출 센터로 하여금 메시지 정보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는 편집 또는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전송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기계어 부호는 DTMF-부호로 전달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telephone answering device called a call center and certain types of messages received by the call center. The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sent to the recipient and machine code sent to the call center. The message is edited by the sender, such as separating the information and machine code into different blocks. The receiver can have the call center present the message information in any way desired, i. However, a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a message may be made by the sender in the process of editing or organizing. For example, the machine code is passed as a DTMF-code.

Description

전화 자동 응답 장치 및 전화 장치로의 정보 전달 방법{TELEPHONE ANSWE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TELEPHONE EQUIPMENT}TELEPHONE ANSWE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TELEPHONE EQUIPMENT}

호출 센터(call centre)라는 용어는 요즈음 진보된 전화 자동 응답 장치(telephone answering equipment)에 대해 확정된 용어이다. 통상적인 전화 자동 응답 장치는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여 호출자로 하여금 음성 메시지를 남기게 함으로써 호출에 응답한다. 가장 간단한 형태에 있어서, 호출 센터는 수신자로 하여금 다수의 전달된 음성 메시지 중에서 선택하여 메시지가 판독되는 순서를 제어하기 용이하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전화 자동 응답 장치와 상이하다. 상기 간단한 호출 센터는 개인용으로 이루어져 이용자 전화 잭(jack)에 플러그를 꽂아 접속될 수 있다.The term call center is a definite term for advanced telephone answering equipment these days. A typical telephone answering machine answers a call by playing back a voice message and causing the caller to leave a voice message. In its simplest form, the call center differs from a typical telephone answering device by making it easy for the recipient to select from a number of forwarded voice messages to control the order in which the messages are read. The simple call center can be made private and plugged into a user telephone jack.

다른 호출 센터는 호출자로 하여금 그가 호출 센터로부터 듣고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호출자는 다른 어떤 정보가 이용가능한 지에 대해 알려주는 메시지를 듣는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이러한 다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호출자에게 알려준다. 일반적으로, 호출자는 자신의 전화기로부터 DTMF-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호출을 제어한다. DTMF-신호는 버튼식 전화기로부터 #를 누를 다음 번호를 누름으로써 전송된다.The other call center allows the caller to select the information he wants to hear from the call center. The caller hears a message telling you what other information is available. The message also tells the caller how to obtain this other information. In general, the caller controls the call by sending a DTMF-signal from his phone. DTMF signals are transmitted by pressing # from the button-phone and then dialing the number.

이러한 제어방법을 이용하면, 호출자는 호출 센터의 소유자에 의해 구성된 정보를 이용해 자신의 방법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호출자가 정보를 남기는 것도 가능하다. 정보는 음성 형태로 가장 많이 전달되며, 호출 센터가 이것을 기록한다. 그러나, 호출 센터는 또한 DTMF-신호 형태의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다.Using this control method, the caller can create his own method using information organized by the call center owner. It is also possible for callers to leav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s most often delivered in voice form, which the call center records. However, the call center may also request data in the form of DTMF-signals.

호출 센터 소유자는 전달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소정의 구조를 갖는다. 이와같이 하는 목적은, 이렇게 하지 않으면 인터럽트하기 어려운 정보를 쉽게 처리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소정의 구조를 따르는 정보만이 전달될 수 있다.The call center owner has a structure for the information that can be conveyed. The purpose of doing so is to easily process information that would otherwise be difficult to interrupt. Thus, only information that follows a certain structure can be delivered.

또한, 어떤 호출 센터는 호출자가 인간 오퍼레이터(human operator)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Some call centers also allow callers to communicate with human operators.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제 5,627,884 호는 전화기 큐(queues), 또는 대기열(waiting lines)에 의해 호출 센터의 오퍼레이터에게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기한다. 전화기 큐라 함은, 대기 기간 동안 상기 열(line)을 통해 통신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라인-접속(line-connection)이 설정 및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호출자는 강제로 대기하게 될 수도 있지만, 큐에서의 자신의 자리를 상실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신자를 감히 교체하지 못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5,627,884 호에 의해 알려진 해결방법은 호출 센터가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요청하여 기록해야 한다. 상기 전화번호는 DTMF-신호 형태로 주어진다. 그러면, 오퍼레이터가 자유롭게 되면, 큐에 넣은 순서로 다양한 전화 번호가 호출된다.U. S. Patent No. 5,627, 884 presents problems that may arise to the operator of a call center by telephone queues, or waiting lines. Telephone queue means that the line-connection must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even though no communication occurs over the line during the waiting period. The caller may be forced to wait, but does not dare replace the receiver because there is a risk of losing his place in the queue. In this regard, the solution known by the above-mentioned US Pat. No. 5,627,884 requires the call center to request and record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The telephone number is given in the form of a DTMF-signal. Then, when the operator is free, the various telephone numbers are called in the queued order.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제 5,058,150 호에는, DTMF-신호 형태로 호출자가 제공한 전화번호를 기록할 수 있는 호출 센터가 기재되어 있다. 전화 번호를 기록하면, 수신자 측에서 재호출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U.S. Patent No. 5,058,150 describes a call center capable of recording telephone numbers provided by callers in the form of DTMF signals. Recording the telephone number makes it easier to recall on the receiver side.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호출 센터로 전달될 수 있는 정보의 형태를 구조화하는 자는 호출 센터의 소유자이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erson structuring the type of information that can be passed to the call center is the owner of the call center.

본 발명은 전기통신 시스템(telecommunicat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시스템에서의 음성 응답 메시지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lecommunication sys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voice response messages in such systems.

도 1은 전송자에게 속해 있는 전송 단말기 및 수신자에게 속해 있는 SAM에 접속된 전기통신망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a transmission terminal belonging to a sender and a SAM belonging to a receiver.

도 2는 체계화된 음성 메시지의 정보를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structural diagram).2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a structured voice message to a recipient.

도 3은 체계화된 음성 메시지의 정보 형식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3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the information format of a structured voice message.

도 4는 정보 블록이 저장되는 방법에 대한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4 shows a principle of how information blocks are stored.

도 5는 블록 형태의 SAM을 나타내는 도면.5 shows a SAM in block form;

본 발명은, 메시지 안에 포함된 정보를 이해하는데 있어 음성 응답 메시지의 수신자가 느끼는 어려움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제기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상기 메시지가 식별하기 또는 이해하기 어려운 정보를 포함할 때, 예컨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와 섞여있는 전화 번호나 그 밖의 디지털 정보를 포함할 때 증가한다. 상기 어려움은 또한, 중요한 또는 의미있는 정보가 수신자가 덜 중요한 것으로 알아낸 정보와 섞여있을 때 증가한다. 또한, 상기 어려움은 메시지가 길면 증가한다. 이러한 어려움이라 함은, 메시지 중 반드시 필요한 부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관심이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부분도 억지로 들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때때로, 쉽게 이해되지 않는 정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이용자가 여러번 메시지를 들어야 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oses a problem in the difficulty of the recipient of a voice response message in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message. This difficulty increases when the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identify or understand, for example, when it contains a telephone number or other digital information that is mixed with information that is easily understood. The difficulty also increases when important or meaningful information is mixed with information that the recipient finds less important. The difficulty also increases with longer messages. This difficulty means that in order to reach the necessary part of the message, the part of the message that contains information that is not of interest is also forced to listen. In addition, these difficulties may sometimes require the user to hear a message several times in order to correctly understand information that is not easily understood.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시지 전송자로 하여금 정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수신자가 이를 더욱 쉽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송자는 그 내용에 적절한 방식으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메시지 수신자가 정보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신자는 자신이 관심있는 정보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the message sender to organize the information so that the receiver can understand it more easily. The sender can organize the information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its content. By doing so, the message receiver can more easi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The recipient can also select the portion of information of interest to him.

상기 언급한 문제점은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되는데, 여기서 음성 응답 메시지의 전송자는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계어 부호(machine code)를 포함한다. 상기 기계어 부호는 수신하는 호출 센터를 위한 것이다. 메시지 수신자는 호출 센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메시지로부터 정보를 얻는다. 호출 센터는 메시지에 포함된 기계어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해석한 다음, 원하는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달한다.The above mentioned problem is sol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ender of the voice response message composes the message and includes the machine code. The machine code is for the receiving call center. The message receiver obtains information from the message by sending a control signal to the call center. The call center interprets the control signal using the machine code included in the message and then conveys the desired information to the recipient.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송자는 상이한 세그먼트(segments)로 분류된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구성하거나 체계화한다(formulate). 상기 세그먼트 중 하나는 수신자에게로의 제1명령을 포함하는데, 이는 수신자에게 호출 센터로 전송해야 할 제어 신호에 대해 알려주어 더 많은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다음 세그먼트는 기계어 부호 및 후속(further) 수신자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후속 정보는, 이용자에 의해 호출 센터로 전달된 명령에 따라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용자는 또한, 메시지를 남긴 사람을 간단히 호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얻을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nder constructs or formulates a message using information classified into different segments. One of the segments includes a first command to the receiver, which informs the receiver of the control signal to be sent to the call center to receive more information. The next segment contains machine code and subsequent receiver information. This subsequ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sent by the user to the call center. The user can also gain the possibility of simply calling the person who left the message.

음성 데이터가 아닌 메시지의 정보, 예컨대 기계어 부호는 DTMF-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Information of messages other than voice data, such as machine code, can be transmitted in DTMF signals.

전송자는 전기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텔레터미널(teleterminal)을 구비한다. 이용자는 자신의 텔레터미널을 통해 메시지를 체계화한다.The sender has a teleterminal connected to the telecommunication system. Users organize their messages through their teleterminals.

또한, 수신 호출 센터는 전기통신 시스템에 접속되며, 메시지에 포함된 기계어 부호의 구문(syntax)을 해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The receiving call center is also connected to th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includes software capable of interpreting the syntax of the machine code included in the message.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한 가지 장점은, 미리 메시지 템플릿(template)을 제공할 필요없이 수신자가 메시지에 있는 정보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수신자는 자신이 덜 관심이 있다고 여기는 정보 부분을 무시할 수도 있다.One advantag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cipient can more easi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in the message without having to provide a message template in advance. In addition, the recipient may ignore the portion of information that he considers less interested.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장점은, 요즘에 일반적인 것 보다 더 진보된 음성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진보된 메시지는 요즘에는 호출 센터를 호출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오늘날의 진보된 호출 센터는, 호출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으며 상기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괄적인 정보를 갖는다. 본 발명은 호출 센터로 전달된 전송 메시지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수신자는 호출 센터를 호출하는 호출자에게 요즘 가능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메시지에 있는 정보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Another advantag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transmit more advanced voice response messages than is common with these days. This advanced message can now be obtained by calling a call center. Today's advanced call centers have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t is designed to get the information the caller wants and to easily understand i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transmission message delivered to a call center to be constructed in a similar manner. The receiver can then readily use the information in the message to callers calling the call center in a manner similar to what is possible today.

이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now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 수신자에게로의 전송자 메시지라고 하는 체계화된 음성 메시지가 전송된다. 전송자는 전기통신망에 접속된 전송 장치(transmission equipment)를 임의로 갖는다. 수신자는 이하 호출 센터라 하는 소정의 호출 센터를 임의로 가지며, 상기 호출 센터 또한 전기통신망에 접속된다. 메시지는 전기통신망을 통해 전송 장치에서 호출 센터로 전송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d voice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nder message to the recipient, is transmitted. The sender optionally has transmission equipment connected to the telecommunications network. The receiver optionally has a predetermined call center, also called a call center, which is also connected to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The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to the call center via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도 1에는 전송자(A), 수신자(B), 두 대의 전송 장치(PC, MS), 전기통신망(TelN) 및, 호출 센터(AM)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설명에 있어서, 이러한 장치는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상호접속된다. 또한, 도 1에는 각 전송 장치(PC, MS)에서 호출 센터(AM)로 메시지(AVM)를 전송하는 방법이 나타나있다. 전송 장치(PC, MS)와 호출 센터(AM)는 물리적인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자(A)는 전송 장치(PC, MS)를, 수신자(B)는 호출 센터(AM)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1 shows a sender A, a receiver B, two transmission devices PC, MS,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lN, and a call center AM. In the description of FIG. 1, these devices are interconnected in the manner mentioned above. In addition, FIG. 1 shows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AVM from each transmitting device PC or MS to a call center AM. The transmitting device (PC, MS) and the call center (AM) comprise a physical user interfa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sender A can control the transmission devices PC and MS, and the receiver B can control the call center AM, respectively.

전송 장치(PC, MS)는, 메시지(AVM)에 대한 음성과 데이터를 녹음 및 기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정보로부터 메시지(AVM)를 체계화할 수 있는 텔레터미널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전송 장치는 버튼 패드(button pad), 레지스터, 제어 장치(control unit) 및, 바람직하게는 메시지(AVM)를 체계화하여 이것을 전송자(B)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facility)를 구비해야 한다. 전송 장치(PC, MS)는, 예컨대 전기통신망(TelN)에 접속하기 위한 모뎀이 설치된 변형된 이동국(mobile station)이나 개인용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mitting device (PC, MS) is composed of a tele terminal capable of recording and recording voice and data for the message (AVM), and also organizing the message (AVM) from the information. Thus, the transmission device is equipped with a button pad, a register, a control unit and, preferably, a facility for organizing a message AVM and visually presenting it to the sender B.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The transmission devices PC, MS may for example consist of a modified mobile station or a personal computer equipped with a modem for connecting to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전송자가 전송 장치(PC, MS)에서 메시지(AVM)을 생성한 다음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며, 호출 센터가 이것을 수신한다. 메시지(AVM)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퀀스가 녹음된다. 그런 다음, 전송자(A)가 상기 메시지를 체계화한다. 메시지의 체계화는 호출 센터(AM)로 전달된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를 체계화하면, 수신자(B)에게로 전달될 후속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속 정보는 텍스트(text)나 숫자 형태로 저장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음성 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ender generates a message (AVM) at the sending device (PC, MS) and then sends the message, which the call center receives. In order to generate the message AVM, at least one sequence is recorded using the voice information. The sender A then organizes the message. The organization of the messages includes the commands passed to the call center (AM). When the message is organized, it may also include subsequent information to be delivered to the recipient B. The subsequ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tored in the form of text or numbers, but may also consist of voice information.

메시지(AVM)를 체계화하면, 메시지 정보는 수신자(B)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When organizing the message AVM, the messag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easily understood by the receiver B.

도 2는 메시지(AVM)의 정보를 구성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은 제1"버블(bubble)"을 포함하는 루트 시스템(root system)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버블로부터 다음 버블로 다수의 브랜치(branches)가 연장된다. 버블 각각은 수신자(B)에게 전달되는 소정의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의 맨 위에 있는 제1버블은 인용 부호(citation marks)내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텍스트는 메시지를 들을 때 수신자(B)가 들을 수 있는 제1음성 정보를 나타낸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guring information of a message AVM. The figure has the form of a root system comprising a first " bubble ", wherein a number of branches extend from the first bubble to the next bubble. Each bubble represents a piece of information that is conveyed to the recipient B. The first bubble at the top of the figure includes text in citation marks. The text indicates first voice information that the recipient B can hear when listening to the message.

상기 예시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제1정보 부분은 다음과 같다: "안녕하세요! 저는 자동차 판매원(car dealer)입니다. 당신의 요청에 따라, 저는 당신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세 종류의 차를 발견하였습니다. 하나는 빨간색이고, 다른 하나는 파란색이며, 나머지 하나는 녹색입니다. 빨간색 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당신의 키패드(keypad)에서 1을, 파란색 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2를, 녹색 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3을 각각 눌러주십시오".In the case illustrated above, the first part of the information is as follows: "Hello! I am a car dealer. At your request, I found three kinds of cars that you might be interested in. One is red, the other is blue, the other is green, red for more information on the red car, 2 for more information on the blue car, For more information on green tea please press 3 ".

세 개의 브랜치가 상기 제1버블에서 연장한다. 각 브랜치의 제1버블은 각각, 빨간색 차, 파란색 차, 그리고 녹색 차에 대한 후속 정보를 제공한다. 수신자(B)가 호출 센터 상의 숫자(1)를 누르면, 다음 메시지가 나타난다. "빨간색 차는 볼보(Volvo) 747-95 모델입니다. 이것은 불과 4,000 마일을 주행했습니다. 그 값은 SEK 110,000 입니다. 상기 정보를 출력하기 원한다면, 2를 누르십시오. 당신이 다른 판매원과 상담하기를 원한다면, 접속을 위한 1을 누르십시오".Three branches extend in the first bubble. The first bubble of each branch provides subsequent information about the red car, blue car, and green car, respectively. When the recipient B presses the number 1 on the call center, the following message appears. "The red car is the Volvo 747-95. It has traveled only 4,000 miles. The value is SEK 110,000. If you want to print out the above information, press 2. If you want to consult with another salesman, Press 1 "for connection.

다음으로, 수신자(B)가 호출 센터의 2를 누른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전송자에 의해 포함된, 빨간색 차에 대한 가격, 총 마일수(mileage) 및, 모델에 관한 메시지(AVM)의 정보가,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호출 센터 상의 스크린에 제시되거나, 또는 종이 출력을 통해 텍스트 형태로 제시된다.Next, assume that receiver B presses 2 of the call center. The price of the red car, the total mileage, and the message about the model (AVM), which are included by the sender, are then presented on a screen on the call center provided for this purpose, or the paper output is displayed. Is presented in text form.

만일, 2를 누르는 대신 수신자(B)가 호출 센터의 1을 누른다면, 호출 센터는 소매상인에게 속한 텔레터미널과 호출 설정을 개시하게 된다.If the recipient B presses 1 of the call center instead of pressing 2, the call center will initiate the call setup with the teleterminal belonging to the retailer.

수신자(B)가 파란색 차나 녹색 차에 대한 정보를 듣는 것을 선택한다면, 빨간색 차에 대한 브랜치와 상응하는 선택사항을 이용할 수 있다.If the receiver B chooses to hear information about the blue or green car, then the branch corresponding to the red car can be used.

메시지(AVM)의 데이터 형식이 잘 구성되어, 메시지(AVM)의 정보가 전송자(A)가 의도한 방식으로 수신자(B)에게 제시될 수 있다. 이제, 전송 장치(PC, MS)로부터 전송되어 호출 센터에 의해 수신되도록 할 때의 메시지(AVM)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The data format of the message AVM is well organized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message AVM can be presented to the receiver B in the manner intended by the sender A. An embodiment of a message (AVM) structure when transmitting from a transmitting device (PC, MS) to be received by a call center will now be described.

메시지(AVM)는 세 개의 시퀀스로 나뉘어진다. 제1시퀀스는 수신자(B)에 의해 수신되는 제1정보 부분을 구성하는 음성을 포함한다. 예컨대, 처음 시퀀스는 "안녕하세요! 저는 자동차 판매원입니다..."로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1시퀀스의 정보는 이미 공지되있는 음성 메시지에서와 정확히 동일하다.The message (AVM) is divided into three sequences. The first sequence includes the voice constituting the first portion of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er B. For example, the first sequence could begin with "Hello! I am a car salesman ...".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sequence is exactly the same as in the already known voice message.

제2시퀀스는, 상기 메시지가 체계화된 음성 메시지(AVM)라는 점을 밝히는 식별 부호를 포함한다. 제3시퀀스는 수신자(B)에게 제공되는 체계화된 정보와 호출 센터에 제공되는 기계어 부호를 포함한다. 상기 세 가지 시퀀스는 번호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The second sequence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that the message is an organized voice message (AVM). The third sequence includes the systematic information provided to the receiver B and the machine code provided to the call center. The three sequences are transmitted sequentially in numerical order.

음성voice AVM 식별 부호AVM identification code 편집된 기계어 부호 및 정보Edited Machine Code and Information

호출 센터로의 기계어 부호 및 식별 부호는 DTMF 부호로 제공된다. DTMF 부호는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있다. 상기 DTMF 부호는 3*4=16의 상이한 심벌을 포함하는 컴파일(compilation)이다. 기계어 부호는 일정한 수의 DTMF 기호(character)로 제공된다. DTMF 기호의 수는, 상이한 기계어 부호를 얼마나 많이 발견해낼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두 개의 DTMF 기호를 이용하면, 162상이한 기계어 부호가 가능하다.The machine code and identification code to the call center are provided as DTMF codes. DTMF code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TMF code is a compilation containing 3 * 4 = 16 different symbols. Machine code is provided by a certain number of DTMF characters. The number of DTMF symbols determines how many different machine code symbols can be found. Using two DTMF symbols, 16 2 different machine code is possible.

수적인 값은 다음의 숫자 기호(digit character)의 번호를 부여하는 제1DTMF 기호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숫자 기호의 번호가 이어진다. 숫자 기호와 마찬가지로, 제1DTMF 기호는 16진수 값으로 부호화된다.The numerical value is provided as a first DTMF symbol that gives the number of the next digit character. Next, the number of the number symbol is followed. Like the numeric symbol, the first DTMF symbol is encoded as a hexadecimal value.

문자는 두 개의 16진수 값으로 표현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아스키(ASCII) 코드 0.255를 얻을 수 있다.The character is represented by two hexadecimal values. In this way, ASCII code 0.255 can be obtained.

호출 센터로 하여금 수신된 DTMF 기호를 정확히 해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즉 이것을 문자, 수적인 값, 또는 기계어 부호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제3시퀀스 내의 기계어 부호와 정보를 정확히 구성해야 한다.In order for the call center to interpret the received DTMF symbol correctly, that is, to interpret it as a character, numeric value, or machine code, the machine code and information in the third sequence must be configured correctly.

이로 인해, 제3시퀀스는 상이한 블록으로 나뉘어진다. 다음으로, 각 블록은 기계어 부호와 이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제3시퀀스는, 다음 블록이 상기 제3시퀀스에 얼마나 많이 포함되는지를 밝히는 제1블록에서 시작한다.As a result, the third sequence is divided into different blocks. Next, each block contains machine code and user information. The third sequence starts with a first block that reveals how much the next block is included in the third sequence.

(n) 블록 수(n) number of blocks 블록 (1)Block (1) 블록 (2)Block (2)

또한, 각 블록은 견고하게 구성된다. 블록은 관련 블록의 유형을 식별하는 제1기계어 부호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블록의 유형에 따라 또 다른 기계어 부호및 이용자 정보가 이어진다. 상기 블록은 현재의 해당 블록 이후에 어떤 블록이 실행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종료된다. 다음 블록이 0으로 주어지면, 상기 메시지(AVM) 제공이 종료한다.In addition, each block is firmly constructed. A block begins with a first machine code identifying the type of the associated block. Then another machine code and user information follows, depending on the type of block. The block ends with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block to execute after the current block. If the next block is given as 0, then the provision of the message (AVM) ends.

유형type 데이터/파라미터Data / parameters 다음 블록Next block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의 경우, 6가지의 상이한 블록 유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이한 유형으로는: 음성, 실렉터(Selector), 분기(Jump), 호출, 텍스트 및, 정지(Pause)가 있다.For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 are six different block types. These different types are: Voice, Selector, Jump, Call, Text, and Pause.

음성 블록은 음성을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음성 블록은 처음에는 음성 유형이라는 기호가, 그 다음에는 실제적인 음성이, 그리고 마지막에는 그 다음 어떤 블록이 이어지는지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다.Voice blocks are used to transmit voices. The speech block consists of the symbol of the speech type at first, then the actual speech, and at the end which block is followed.

음성 유형Voice type 음성voice 다음 블록Next block

실렉터 블록은, 예컨대 호출 센터 상의 버튼 패드를 통해 소정의 블록을 수신자(B)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부호와 연결시키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selector block contains control data that connects the predetermined block with a predetermined sign provided by the receiver B, for example via a button pad on the call center.

실렉터 블록은 실렉터 블록이라는 유형-기호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선택 가능한 스를 나타내는 수가 이어진다. 다음으로, 제1선택에 포함된 기호의 수가 온 후, 제1선택에 포함되어야 하는 DTMF 기호가 온다. 제1선택 부호의 마지막 기호 다음에는, 수신자(B)가 제1부호를 누를 경우 실행되어야 하는 블록의 번호가 이어진다.The selector block starts with a type-symbol called a selector block. Then the number representing the selectable switch is followed. Next, after the number of symbols included in the first selection comes, DTMF symbol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first selection come. After the last symbol of the first selection code, the number of the block to be executed when the receiver B presses the first code is followed.

제1선택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 선택에 대한 길이, 부호 및, 실행해야 하는 다음 블록이 제공된다. 선택가능한 부호를 전혀 받지 못했을 경우 실행되어야 하는 블록의 번호는 상기 블록의 맨 마지막에 놓인다.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election, the length, sign, and next block to be executed are provided for the next selection. If no selectable sign is received, the number of the block to be executed is placed at the end of the block.

선택 유형Selection type (n) 선택 번호(n) selection number (m1) 부호 1의 길이(m1) the length of the code 1 수(1)Number (1) 수(m1)Number (m1) (k1) 분기할 블록 번호(k1) Block number to branch (m2)부호 2의 길이(m2) the length of the sign 2 수(1)Number (1) 수(m2)Number (m2) (k2) 분기할 블록 번호(k2) Block number to branch 부호 n의 길이Length of sign n 수(1)Number (1) 수(m3)Number (m3) (k3) 분기할 블록 번호(k3) Block number to branch 다음 블록Next block

분기 유형 블록의 기능은 다음에 이어지는 블록의 실행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유형 기호와, 그 다음으로 실행될 블록 번호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은 다음 블록의 번호로 끝난다.The function of a branch type block is to shift the execution of the following block. It consists of a type symbol followed by the block number to be executed. The block ends with the number of the next block.

분기 유형Branch type 블록 번호Block number 다음 블록Next block

호출 유형 블록은 전화 번호 및 상기 번호를 호출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은 호출 유형 기호로 시작한 다음, 수신지 전화번호 숫자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이어지며, 그 후 상기 전화번호 숫자가 온 후 마지막으로, 호출 이후에 실행될 블록의 번호가 이어진다.The call type block includes a telephone number and an instruction to call the number. The block starts with the call type symbol, followed by information indicating the number of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digits, followed by the number of blocks to be executed after the call, and finally after the telephone number digits come on.

호출 유형Call type (n) 숫자의 번호(n) a number 수(1)Number (1) 수(n)Number (n) 다음 블록Next block

텍스트 블록은 기계어 부호 이외에 수신자(B)로의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텍스트 블록은 텍스트 유형이라는 기호로 시작된 다음, 특히 문자 형태로 오는 기호의 수에 관한 정보가 이어진다. 그런 다음 상기 기호가 이어지며, 그 다음 실행될 블록 번호로 끝이 난다.The text block contains text information to the receiver B in addition to the machine code. The text block starts with a symbol of text type, followed by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symbols, especially in character form. The symbol is then followed by the block number to be executed.

텍스트 유형Text type (n) 기호의 수(n) number of symbols 기호(1)Symbol (1) 기호(n)Symbol (n) 다음 블록Next block

중지 블록은, 수신자(B)가 연속 실행에 대한 확인을 할 때까지 연속 실행을 지연시키는데 이용된다.The stop block is used to delay continuous execution until the receiver B confirms the continuous execution.

중지 유형Stop type 다음 블록Next block

상기 설명한 블록에 있어서, 유형 기호와 대다수의 수적인 값은 기계어 부호내에 있다. 상기 부호 및 음성 형태가 아닌 그 밖의 데이터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DTMF로 부호화된다.In the block described above, the type symbol and the majority of numerical values are in machine code. Other data that is not in the code and speech forms is encoded in DTMF as already described.

도 3은 자동차 판매원에 의해 수신자(B)에게 전송된 메시지(AVM)의 전체 형식을 나타낸다. 도 3이 형식을 도시한다 하더라도, 상기 도시되어 있는 메시지는 도 2의 정보 구조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메시지(AVM)이다. 도 3에 도시된 텍스트 중 일부는 이탈리아어로 쓰여져있다. 이러한 형식의 텍스트는 메시지에 전송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양한 데이터 기능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3 shows the overall format of a message AVM sent by the automobile salesman to the receiver B. FIG. Although FIG. 3 shows a format, the message shown is the same message (AVM) as shown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FIG. Some of the text shown in FIG. 3 is written in Italian. This type of text is not intended to be sent in a message, but merely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data functions.

각 블록의 형식을 견고히 구성하였으므로, 몇 가지 유연성(flexible)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각 블록의 길이가 알려져있다. 따라서, 상기 유연성 데이터의 길이를 각 블록마다에 제시함으로써, 각 블록의 길이가 알려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수신자(B)가 자신이 수신하고자 하는 블록을 지시하면, 호출 센터가 상기 블록을 발견하여 실행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4는 메시지(AVM)에 속한 상이한 블록 시퀀스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원리를 설명한다. 각 블록은 레지스터에서 일정 양의 공간을 차지하는데; 상기 공간의 크기는 유연성 데이터 및 블록 유형에 관한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레지스터에서의 장소가 알려짐으로써, 블록이 발견될 수 있다. 블록이 수용되는 장소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레지스터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Since the format of each block is solidly constructed, the length of each block is known except for some flexible data. Thus, by presenting the length of the flexible data in each block, the length of each block is known. As a result, if the receiver B indicates the block he wants to receive, it may be easy for the call center to find and execute the block. 4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how to store different block sequences belonging to a message (AVM) in a register. Each block takes up a certain amount of space in the register; The size of the space can be known from the flexible data an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block type. By knowing the location in the register, the block can be found. The place where a block is accommodated depends on the amount of space occupied in the register by the data already stored.

그러나, 음성 블록은, 그것의 유연성을 띤 부분의 길이가 블록에 제공되지 않으므로 나머지 블록과 다르다. 상기 블록은 DTMF 부호로 끝나므로, 음성 블록의 끝을 발견할 수 있다.However, a voice block is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block because the length of its flexible part is not provided to the block. Since the block ends with a DTMF code, the end of the speech block can be found.

도 5는 호출 센터(AM)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호출 센터(AM)는 전기통신망(TelN)으로의 포트(porz(P), 제어 장치(CPU), 이용자 인터페이스(UI), 레지스터(REG) 및, DTMF 검출기(DTD)를 포함한다. 모든 블록은 공통 데이터버스(DB)에 접속되며, 이것을 통해 제어 장치(CPU)와 나머지 유닛 간에 제어 신호가 전달된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ll center AM. The call center AM comprises a port porz (P), a control unit (CPU), a user interface (UI), a register (REG), and a DTMF detector (DTD) to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It is connected to the common data bus DB, through which control signals are transmitted between the control unit CPU and the remaining units.

또한, 호출 센터는 포트(P)에서 레지스터(REG)로의 접속(CN1), 레지스터(REG)에서 DTMF 검출기(DTD)와 이용자 인터페이스(UI)로 이어지는 접속(CN2)을 포함한다. 상기 호출 센터는 또한, 레지스터(REG)에서 포트(P)로의 접속(CN3) 및, 포트(P)와 이용자 인터페이스(UI) 간의 양방향(duplex) 접속(CN4)을 포함한다.The call center also includes a connection CN1 from port P to register REG, a connection CN2 from register REG to DTMF detector DTD and user interface UI. The call center also includes a connection CN3 from register REG to port P and a duplex connection CN4 between port P and user interface UI.

제어 장치(CPU)의 기능은 호출 센터(AM)에 있는 나머지 유닛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 장치(CPU)는 DTMF 검출기(DTD)의 도움을 받으며, 상기 DTMF 검출기(DTD)는 DTMF 부호를 해석하여 이 부호를 제어 장치(CPU)가 이해하는 부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CPU is to control the remaining units in the call center AM. The control unit CPU is assisted by a DTMF detector DTD, which can interpret the DTMF code and convert the code into a code understood by the control unit CPU.

이용자 인터페이스(UI)는 스피커(loudspeaker equipment), 정보의 시각적인 제공을 위한 윈도우(window) 및, 버튼 패드 또는 키패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버튼 패드 또는 키패드를 통해 수신자(B)가 호출 센터(AM)을 제어할 수 있다. 이용자 인터페이스(UI)는 또한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포함한다.The user interface (UI) includes a speaker (loudspeaker equipment), a window for vis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and a button pad or keypad, through which the receiver B is connected to the call center AM. Can be controlled. The user interface (UI) also includes a microphone.

포트( P)는 전기통신망(TelN)에 접속한다. 포트(P)는, 예컨대 전송자(A)로부터 전기통신망(TelN)을 통해 도달하는 호출에 응답하여, 접속 설정을 유지한다.The port P connects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lN. Port P maintains the connection setup, for example in response to a call arriving from sender A via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접속하는 동안,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포트(P)에 도달한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은 레지스터(REG)로 전달되며, 상기 레지스터에 메시지가 저장된다. 레지스터(REG)는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나 또는 디지털 레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레지스터인 경우, 상기 레지스터는 입력에는 A/D 변환기를 출력에는 D/A 변환기를 포함한다.During the connection, a message containing the data stream arrives at port P. The data stream is delivered to a register REG, where a message is stored. The register REG may be a tape recorder or a digital register. In the case of a digital register, the register includes an A / D converter at its input and a D / A converter at its output.

수신자(B)는 소정의 버튼이나 키를 누름으로써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메시지를 요청하여 이를 판독한다. 이러한 요청은 제어 장치(CPU)에 의해 수신되며, 이는 레지스터(REG)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된 메시지를 실행한다. 데이터 스트림은 접속(CN2)을 통해 이용자 인터페이스(UI)로 전달된다.The receiver B requests and reads the message stored in the register by pressing a predetermined button or key. This request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CPU, which controls the register REG to execute the stored message. The data stream is delivered to the user interface UI via the connection CN2.

이와 같이 함으로써, 표준 메시지 및 메시지(AVM)는 레지스터(REG)로 재생된 다음 수신자(B)에게 실행될 수 있다.By doing so, the standard message and the message AVM can be reproduced in the register REG and then executed to the receiver B.

메시지(AVM)가 적절히 제공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제어 장치(CPU)가 이하 설명하는 방식으로 나머지 유닛을 제어한다. 메시지(AVM)에 포함된 각종 블록을 빨리 발견해내기 위해, CPU는 상기 메시지를 제공하기 전에 각종 블록이 시작하는 목록을 작성한다. 제어 장치(CPU)는 레지스터(REG)를 제어하여 녹음된 메시지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이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어한다(?). 제1DTMF 시퀀스가 실행되면, 제어 장치(CPU)는 본 메시지가 체계화된 음성 메시지(AVM)임을 기록한다. 그런 다음, 다음 블록의 시작을 형성하며 다음에 도달하는 블록의 유형을 개시하는 DTMF 시퀀스가 이어진다. 제어 장치(CPU)가 새로운 블록의 도입을 검출하면, 레지스터(REG)를 실행하는 것이 중단되고, 제어 장치는 상기 블록이 레지스터(REG)에서 시작하는 곳을 기록한다. 레지스터(REG)가 테이프 레코더이면, 소정의 시작값에서부터 상기 블록까지 재생하는데 걸린 시간이 기록된다. 레지스터가 디지털이면, 상기 블록에 할당된 메모리 위치(site)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방식으로 위치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시지의 나머지 블록이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되며, 각 블록의 시작점이 제어 장치(CPU)에 의해 기록된다.In order for the message AVM to be properly provided, the control unit CPU controls the remaining units in the manner described below. In order to quickly find the various blocks contained in the message (AVM), the CPU builds a list where the various blocks begin before providing the message. The control unit CPU controls the register REG to execute the recorded message and to control the user interface UI not to provide the executed interface. When the first DTMF sequence is executed, the control device (CPU) records that this message is a structured voice message (AVM). Then there is a DTMF sequence that forms the beginning of the next block and starts the type of block that arrives next. When the control unit CPU detects the introduction of a new block, execution of the register REG stops, and the control unit records where the block starts in the register REG. If the register REG is a tape recorder, the time taken to reproduce from the predetermined start value to the block is recorded. If the register is digital, the memory site assigned to the block is specified by the location address in a manner known in the prior art. Next, the remaining blocks of the message are executed in the same way, and the starting point of each block is recorded by the control unit (CPU).

다음으로, 수신자(B)가 이용자 인터페이스(UI) 상의 버튼을 눌러 메시지를 제공받고자 한다는 요청을 입력한다. 이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요청을 제어 장치(CPU)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 장치(CPU)는 레지스터(REG)와 이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어하여 메시지(AVM)를 실행한다. 해당 메시지를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한 메시지(AVM)라고 가정한다. 먼저, 제1시퀀스를 실행하는데, 즉 음성을 포함하여, 수신자(B)에게 상기 메시지(AVM)로부터 후속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시퀀스를 실행한다. 다음으로, 제1DTMF 부호가 이어지는데, 상기 부호는 상기 메시지가 체계화된 음성 메시지(AVM)라는 것을 알려준다. 제어 장치가 제1DTMF 부호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DTMF 검출기(DTD)를 통해, 레지스터(REG)에 의해 재생되는 다음 정보를 스피커가 재생하지 못하도록 이용자 인터페이스(UI)에 명령한다. 레지스터(REG)는 이어서 블록 1, 즉 유형 선택기에 대한 블록을 실행하여 기계어 부호를 실행한다. 블록 1이 실행되면, 제어 장치(CPU)는 레지스터(REG)를 제어하여 메시지(AVM)의 실행을 중단시킨다.Next, the recipient B inputs a request to press a button on the user interface UI to be provided with a message. The user interface sends the request to the control device CPU, which controls the register REG and the user interface UI to execute the message AVM. It is assumed that the message is the message AVM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rst, a first sequence is executed, that is, a sequence including a voice, which informs the receiver B about how to obtain subsequent information from the message AVM. Next, the first DTMF code is followed, indicating that the message is an organized voice message (AVM). When the control device detects the first DTMF code, the control device instructs the user interface UI not to reproduce the next information reproduced by the register REG through the DTMF detector DTD. The register REG then executes block 1, the block for the type selector, to execute the machine code. When block 1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CPU controls the register REG to stop execution of the message AVM.

제어 장치(CPU)가 이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수신자(B)로부터 다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블록 1에 따른 이용자의 제어 신호와 관련된 블록을 실행하도록 레지스터에 명령한다.When the control device CPU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receiver B again via the user interface UI, the control device instructs the register to execute a block associated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user according to block 1.

이러한 경우, 수신자(B)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숫자(1)이며, 상기 블록은 블록(3)이다. 사전에 체계화된 목록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CPU)는 블록(3)이 시작하며 레지스터(REG)에게 녹음을 시작하도록 명령하는 곳으로 분기하도록 레지스터에게 명령한다. 블록(3)은 음성 블록 기호로 시작된다. 제어 장치(CPU)가 상기 블록이 음성 블록임을 검출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기록된 것을 스피커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도록 이용자 인터페이스(UI)에 명령한다. 블록(3)은 DTMF 부호로 종료하는데, 이는 블록(2)가 이어짐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CPU)는 이용자 인터페이스(UI)에게 메시지(AVM)의 녹음을 중단할 것을 명령하여, 블록(1)과 동일한 방법으로 DTMF 디코더(DTD)를 이용하여 블록(2)의 기계어 부호를 검출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receiver B is the number 1 and the block is the block 3. Using a pre-organized list, the control unit CPU instructs the register to branch to where block 3 begins and instructs the register REG to start recording. Block 3 begins with a speech block symbol. When the control unit CPU detects that the block is a voice block, the control unit instructs the user interface UI to execute the recorded thing through the speaker system. Block 3 ends with a DTMF code, indicating that block 2 is followed. Next, the control unit CPU instructs the user interface UI to stop recording the message AVM, and uses the DTMF decoder DTD in the same manner as the block 1 to use the machine language of the block 2. Detect the sign.

다음으로, 수신자(B)가 1을 눌러 전화 호출을 요청하면, 제어 장치(CPU)는 레지스터(REG)를 제어하여 블록(6)을 실행한다. 상기 블록은 이용자 인터페이스(UI)의 스피커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내용에 관계없이 실행된다. 그러나, 제어 장치(CPU)는 기계어 부호 및 전화 호출될 전화 번호를 검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 장치는, 이용자 인터페이스(UI)에게 명령하여 수신자(B)가 호출하는 전화 번호를 그 윈도우에 표시하게 하며, 수신자(B)로부터의 확인을 기다린다. 버튼을 누름으로써 확인이 수신되면, 제어 장치(CPU)는 상기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포트(P)에 명령한다. 또한, 제어 장치(CPU)가 이용자 인터페이스(UI)와 포트(P)를 제어하여 이 사이의 양방향 접속선(CN4)을 개방하여, 수신자(B)는 통상적인 전화 호출을 할 때와 같이 전화 접속 TelN을 이용할 수 있다.Next, when the receiver B presses 1 to request a telephone call, the control unit CPU controls the register REG to execute block 6. The block is executed regardless of the content being reproduced by the speaker of the user interface (UI). However, the control unit CPU detects the machine code and the telephone number to be called. Then, the control device instructs the user interface UI to display the telephone number called by the receiver B in the window, and waits for confirmation from the receiver B. When a confirmation is received by pressing a button, the control unit CPU instructs the port P to call the telephone numb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PU controls the user interface UI and the port P to open the bidirectional connection line CN4 therebetween, so that the receiver B dials up as in a normal telephone call. TelN can be used.

텍스트 형태의 블록이 실행되면, 제어 장치(CPU)는 수신자(B)로의 정보를 인터페이스 윈도우에 제공하도록 이용자 인터페이스(UI)에게 명령한다.When the block in the form of text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CPU instructs the user interface UI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receiver B in the interface window.

메시지(AVM)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는 것 외에도, 호출 센터는 또한 일반적인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호출 센터는 호출에 응답하여, 전화 자동 응답 장치를 이용할 때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호출 전송자(A)에게 "환영 구(welcome phrase)"를 전달한다. 환영구는 음성 정보와 끝을 맺는 DTMF-부호로 이루어지며, 상기 DTMF-부호는 이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수신자(B)에 의해 녹음되어 레지스터(REG)에 저장된다. 이로 인해, 레지스터(REG)와 이용자 인터페이스(UI) 간의 접속은 양방향성이다. 환영구에서 끝을 맺는 DTMF-부호는, 상기 호출 센터(AM)가 체계화된 음성 메시지(AVM)를 해석할 수 있는 소정의 호출 센터(AM)라는 것을 나타낸다. 체계화된 음성 메시지(AVM)는 단지 호출 전송 장치(PC,MS)로부터 호출 센터로 전송되며, 상기 호출 센터는 환영구를 상기 DTMF 부호로 종료시킨다.In addition to receiving and providing a message (AVM), the call center may also receive and provide a general voice message. The call center responds to the call and delivers a "welcome phrase" to the call sender A as usual when using a telephone answering device. The welcome phrase consists of a DTMF-sign ending with voice information, which is recorded by the receiver B via the user interface UI and stored in the register REG. For this reas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gister REG and the user interface UI is bidirectional. The DTMF-code ending at the welcome phrase indicates that the call center AM is a predetermined call center AM capable of interpreting a structured voice message AVM. A structured voice message (AVM) is only sent from the call transfer device (PC, MS) to the call center, which ends the welcome phrase with the DTMF code.

또한, 호출 센터(AM)는 이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프린터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텍스트 메시지를 종이에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윈도우에도 표시할 수 있다.The call center AM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printer via a user interface UI. In this case, the text message can be output on paper and can also be displayed in a window.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호출 센터(AM)는 물리적으로 수신자(B)에 근접해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호출 센터(AM)가 수신자(B)와 떨어져 놓여, 수신자(B)는 전기통신망(TelN)을 통해 전송된 명령을 통해 호출 센터(AM)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용자 인터페이스(UI)는 수신자(B)가 전기통신망(TelN)에 접속된 텔레터미널로 구성된다. 텔레터미널 및 전기통신망(TelN)을 통해 이용자로부터 전송된 제어 데이터는 포트(P)를 통해 호출 센터에 도달한다. 호출 센터로부터의 정보는 포트(P)를 통과하여, 전기통신망(TelN) 및 텔레터미널을 통해 수신자(B)에게 도달한다.The call center A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5 is physically close to the receiver B. FIG.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all center AM is spaced apart from the receiver B so that the receiver B can control the call center AM via a command sent over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UI is composed of a tele terminal in which the receiver B is connected to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Control data sent from the user via the teleterminal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lN) reaches the call center via port (P). Information from the call center passes through port P and reaches the receiver B via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and the teleterminal.

호출 센터가 또한 음성 제어할 수 있다 하더라도, 제어 데이터는, 예컨대 DTMF-신호 형태로 전기통신망(TelN)을 통해 수신자(B)로부터 호출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Although the call center may also be voice controlled, the control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B to the call center via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for example in the form of DTMF-signals.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메시지(AVM)가 전송 장치(PC,MS)의 호출 센터(AM)에서 전송자(A)에 의해 체계화된다. 이것의 장점은, 전송자(A)가 변형된 터미널 대신 표준 텔레터미널을 구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 호출 센터는 좀 더 개선되어야 하며, 수신된 정보를 편집하는 기능을 통합해야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essage AVM is organized by the sender A at the call center AM of the transmitting device PC, MS. The advantage of this is that the transmitter A can be equipped with a standard tele terminal instead of a modified terminal. Call centers, on the other hand, need to be further refined and incorporate the ability to edit received information.

Claims (18)

제어 장치(CPU)와 레지스터 장치(REG)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AM) 및 전송 장치(MS, PC)가 접속되어 있는 전기통신망(TelN)을 통해, 전송자(A)에서 수신자(B)로의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r A to the receiver B through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to which the reception device AM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CPU and the register device REG and the transmission devices MS and PC are connected. In the transmission method, a) 전기통신망(TelN)을 통해 전송 장치(MS, PC)에서 수신 장치(AM)로 기계어 부호 부분, 명령어 부분 및, 정보 부분을 전달하는 단계,a) transmitting a machine code part, a command part, and an information part from a transmitting device (MS, PC) to a receiving device (AM)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b) 상기 명령어 부분을 수신자(B)에게 제공하는 단계,b) providing the instruction part to the receiver B, c) 수신자(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c)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receiver B, d) 상기 기계어 부호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해석하는 단계 및,d) interpre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achine code; e)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e) provid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부분과 상기 정보 부분을 기록하여, 여기에 소정 형식에 따라 상기 기계어 부호 부분을 추가함으로써, 메시지(AVM)가 전송자(A)에 의해 상기 전송 장치(MS, PC)에 생성된 후, 상기 메시지(AVM)가 상기 수신 장치(AM)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A message (AVM) is transmitted by the sender (A) to the sending device (MS, PC) by recording the command portion and the information portion and adding the machine code por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The message (AVM)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device (AM) after being generated in the.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어 부호 부분이 DTMF-신호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Th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chine code part is encoded by a DTMF signal. 제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음성 형태로 기록, 전달 및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4.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 or 3, wherein the command is recorded, transmitted and read in voice form.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B)는 상기 수신 장치(AM)에 포함된 버튼 뱅크를 통해 상기 수신 장치(AM)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receiver (B) controls the receiving device (AM) through a button bank included in the receiving device (AM). 제1항, 2항,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수신자(B)는 전기통신망(TelN)에 접속된 터미널을 포함하는데, 상기 수신자(B)는 전기통신망(TelN)을 통해 텔레터미널에서 수신 장치(AM)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수신 장치(AM)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5. A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2, 3 or 4, wherein the receiver B comprises a terminal connected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lN, which is connected at a tele terminal via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lN.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a receiving device (AM) to control the receiving device (A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가 DTMF 신호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encoded into a DTMF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가 음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signal is a voice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셩식에 따라,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를 구성하는 음성 시퀀스로 시작하며, 그 다음 상기 메시지가 체계화된 메시지라는 것을 나타내는 제1기계어 부호가 이어진 다음, 후속 기계어 부호 및, 후속 정보가 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ccording to the message format, a message begins with a speech sequence constituting the command, followed by a first machine code indicating that the message is an organized message, followed by a subsequent machine cod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comes. 전기통신망(TelN)을 통해 수신하는 호출 센터(AM)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를 체계화하는 방법에 있어서,What is claimed is: 1. A method of organizing messages for transmission to a call center (AM) receiving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a)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시퀀스를 녹음하는 단계,a) recording one or more sequences using voice information, b) 상기 시퀀스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호출 센터로의 기계어 부호를 녹음함과 아울러, 상기 메시지를 체계화하는 단계,b) accessing the sequence directly to record machine code to the call center and to organize the message; c) 전기통신망(TelN)을 통해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및c) establishing a connection via TelN; and d)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메시지(AVM)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체계화 방법.d) sending said message (AVM) over said conn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어 부호는 DTMF-신호 형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체계화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achine code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DTMF-signal. 전기통신망(TelN)에 접속되는 호출 센터(AM)로서,A call center (AM) connected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lN), 전기통신망(TelN)을 통한 호출에 응답하여 다음 전화 접속을 설정하는 수단(P, CPU),Means (P, CPU) for establishing the next telephone connection in response to a call ove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상기 전화 접속을 통해 얻은 이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수단(REG), 및Means (REG) for recording user data obtained through said telephone connection, and 상기 이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단(UI)을 포함하는 호출 센터(AM)에 있어서,In a call center (AM) comprising means (UI) for providing the user data, 상기 전화 접속을 통해 얻어진 기계어 부호를 기록하는 수단(REG),Means (REG) for recording the machine code obtained through the telephone connection; 수신자(B)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UI),Means (UI)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receiver B, 상기 기계어 부호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해석하는 수단(DTD, CPU), 및Means (DTD, CPU) for interpreting the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achine code;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단(CPU, U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센터.And means (CPU, UI) for providing the user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어 부호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해석하는 상기 수단이 DTMF-검출기(DT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센터.13. A call cent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said means for interpreting said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said machine code comprises a DTMF-detector (DTD). 제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음성 형태이면, 상기 이용자 데이터를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센터.14. A call center according to claim 12 or 13, comprising means for reproducing said user data if said data is in audio form. 제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센터.14. A call center according to claim 12 or 13, comprising means for visually providing the user data. 제12항,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수신기가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인 버튼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센터.15. A call center according to claim 12, 13 or 14, wherein the receiver comprises a button pad which is a means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제12항,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통신망(TelN)에 대한 인터페이스(P)로서, 제어 신호 수신 수단을 구비한 인터페이스(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센터.15. A call center according to claim 12, 13 or 14,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face (P) with a control signal receiving means as an interface (P) to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Tel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DTMF-신호 형태로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센터.18. A call center according to claim 17, comprising means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in the form of a DTMF-signal.
KR1020007006747A 1997-12-19 1998-12-01 Telephone answe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telephone equipment KR2001003330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4768A SE511118C2 (en) 1997-12-19 1997-12-19 Answering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answering device
SE9704768-2 1997-12-19
PCT/SE1998/002200 WO1999033248A1 (en) 1997-12-19 1998-12-01 Telephone answe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telephone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305A true KR20010033305A (en) 2001-04-25

Family

ID=2040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747A KR20010033305A (en) 1997-12-19 1998-12-01 Telephone answe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telephone equipment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44556A1 (en)
JP (1) JP2001527336A (en)
KR (1) KR20010033305A (en)
AU (1) AU1792299A (en)
CA (1) CA2315385A1 (en)
SE (1) SE511118C2 (en)
WO (1) WO199903324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279A (en) * 2001-11-22 200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cancelling a short message in mobile phone of send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289A (en) * 1993-01-08 1995-09-19 Multi-Tech Systems, Inc. Computer-based multifunction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US5416831A (en) * 1993-04-15 1995-05-16 Bellsouth Corpor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 ADSI-compatible telephone via a service circuit node
WO1994027258A1 (en) * 1993-05-12 1994-11-24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Inc. Telephone system for remotely purchasing tickets and ordering products
US5627884A (en) * 1995-06-26 1997-05-06 Williams; Mark J. Method for returning inbound calls
AU7527696A (en) * 1995-10-13 1997-04-30 Starbro Communications, Inc. Personal audio message processor and method
GB9604316D0 (en) * 1996-02-29 1996-05-01 Pulse Train Tech Ltd Dialogu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527336A (en) 2001-12-25
EP1044556A1 (en) 2000-10-18
WO1999033248A1 (en) 1999-07-01
SE9704768L (en) 1999-06-20
SE9704768D0 (en) 1997-12-19
AU1792299A (en) 1999-07-12
CA2315385A1 (en) 1999-07-01
SE511118C2 (en) 199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7882B2 (en) Telephone answering service with integrated voice and textual message storage
US4581484A (en) Audio-enhanced videotex system
US5469491A (en) Telephone answering service with integrated voice and textual message storage
JPH0554300B2 (en)
US5113429A (en) Telephone answering service with integrated voice and textual message storage
JP2001523404A (en) Wireless smartphone
JPH10508454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10033305A (en) Telephone answering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telephone equipment
US6597764B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main telecommunication unit that allows designation of a selected subsidiary telecommunication unit
JP3797497B2 (en) Message creation method for pager
JPH03241957A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operation guide function in voice
JPH11164041A (en) Voice mail server system
US20050195956A1 (en) Method and apparatus concerning toll free numbers
JP3568176B2 (en) Telephone with automatic call-back service
KR100293122B1 (en) Bidirectional calling method by using voice mail service in mobile paging system
JP2837629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JP2001069234A (en) Slave unit of cordless telephone system, method for setting slave unit function of cordless telephone set and recording medium
WO2002028068A1 (en) System for providing voice mail message summary
EP0276167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data base access
JPS5834670A (en) Voice two-way service system
JPH08289024A (en) Service announcement switching method in paging system
JPH08265438A (en) Key telephone system
JPS6398253A (en) Telephone set
JP2000134307A (en) Communication terminal
JPH0548688A (en) Tele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