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225A - 스피커폰 모드 기능을 구비하고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모드 전환키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스피커폰 모드 기능을 구비하고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모드 전환키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225A
KR20000075225A KR1019990019716A KR19990019716A KR20000075225A KR 20000075225 A KR20000075225 A KR 20000075225A KR 1019990019716 A KR1019990019716 A KR 1019990019716A KR 19990019716 A KR19990019716 A KR 19990019716A KR 20000075225 A KR20000075225 A KR 20000075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mode
key
pressed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976B1 (ko
Inventor
최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서 기능키의 설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스피커폰 모드를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별도의 키 추가 없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요지는 스피커폰 모드 기능을 구비하고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키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륨키가 눌려졌는지 검사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볼륨키가 눌려졌으면 볼륨이 최대치인지 검사하는 제 2 과정과, 볼륨이 최대치이면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는지 검사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으면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볼륨이 최대치가 아니거나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눌려지지 않았으면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과정으로 돌아가는 제 5 과정과, 스피커폰 모드 중에 볼륨이 최대 또는 최하인 상태에서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으면 수화모드로 전환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볼륨이 최대 또는 최소치가 아니거나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눌려지지 않았으면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6 과정으로 돌아가는 제 7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스피커폰 모드를 사용하는 무선단말기의 기능키 설정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스피커폰 모드 기능을 구비하고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키 설정 방법{MODE CHANGING KEY SETTING METHOD IN WIRELESS TELEPHONE SE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기능키 설정에 과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폰 모드 기능을 가진 단말기에서 모드의 전환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단말기는 각종 기능이 부가적으로 첨가됨에 따라 다수의 기능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므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능키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단말기에서 키입력부가 차지하고 있는 면적은 한정되어 있어 단말기에 새로운 기능키를 추가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새로운 키를 추가하지 않고 기능키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피커폰을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에서 새로운 키를 추가하지 않고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피커폰 모드 기능을 구비하고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키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륨키가 눌려졌는지 검사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볼륨키가 눌려졌으면 볼륨이 최대치인지 검사하는 제 2 과정과, 볼륨이 최대치이면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는지 검사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으면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볼륨이 최대치가 아니거나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눌려지지 않았으면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과정으로 돌아가는 제 5 과정과, 스피커폰 모드 중에 볼륨이 최대 또는 최하인 상태에서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으면 수화모드로 전환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볼륨이 최대 또는 최소치가 아니거나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눌려지지 않았으면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6 과정으로 돌아가는 제 7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 전환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 설정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무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20)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이다.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무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3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 및 볼륨키(131)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RF부(15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으며, 기지국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RF부(15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7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통상 스피커폰 모드라 함은 핸즈프리셋을 사용하지 않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해 동일한 효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말한다. 따라서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되었으면 수신된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큰 소리로 출력되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은 평상시와는 달리 좀더 증폭되어 송신된다.
도 1, 2,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30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볼륨키(131)가 눌려졌는지 검사한다. 상기 볼륨키(13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되어 있다. 볼륨키(131)가 눌려졌으면 31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현재 설정된 볼륨이 최대치 또는 최소치인지 검사한다.
일반적으로 스피커폰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는 15 레벨로 볼륨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위 8레벨은 통상의 수화모드에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크기가 되고 상위 7 레벨은 스피커폰 모드에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범위가 된다.
따라서 현재 수화모드인 상태에서 볼륨 레벨이 8 레벨 또는 1 레벨인지 검사하면 된다. 현재 볼륨 레벨이 최대치 또는 최소치인 것으로 확인되면 32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볼륨키(131)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는지 검사한다. 볼륨키(131)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으면 330 단계로 진행한다. 33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모드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한다. 34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볼륨이 최대 또는 최대인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볼륨키(131)가 눌려졌는지 검사한다. 상기 최대 또는 최소치는 스피커폰 모드에서의 최대 및 최소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술한 15단계로 볼륨 레벨이 나뉘어진 상태에서는 상위 7 레벨 중에 최대 및 최소치를 의미하는 것이 된다. 즉, 9레벨 또는 15레벨인가를 검사하면 된다. 스피커폰 모드 상태에서 볼륨 레벨이 최대 또는 최소치이고, 볼륨키(131)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으면 35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모드를 일반 수화모드로 전환한다. 321 단계 및 341 단계에서의 "해당 동작 수행"은 상기 수화모드 또는 스피커폰 모드에서의 볼륨 업(UP) 또는 다운(DOWN) 동작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단말기에 구비된 볼륨키(131)의 키눌림 시간 및 현재의 볼륨 레벨 상태 및 현재의 모드 상태에 따라 모드를 수화모드 또는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단말기에 구비된 볼륨키(131)의 키눌림 시간 및 현재의 볼륨 레벨 상태에 따라 모드를 수화모드 또는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여 줌으로써, 모드전환으로 요구되는 기능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스피커폰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별도의 기능키를 구비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키입력부의 PCB를 재조성 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2)

  1. 스피커폰 모드 기능을 구비하고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키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륨키가 눌려졌는지 검사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볼륨키가 눌려졌으면 볼륨이 최대치인지 검사하는 제 2 과정과,
    볼륨이 최대치 또는 최소치이면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는지 검사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으면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볼륨이 최대치가 아니거나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눌려지지 않았으면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과정으로 돌아가는 제 5 과정과,
    스피커폰 모드 중에 볼륨이 최대 또는 최하인 상태에서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으면 수화모드로 전환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볼륨이 최대 또는 최소치가 아니거나 상기 볼륨키가 일정 시간 눌려지지 않았으면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 6 과정으로 돌아가는 제 7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스피커폰 모드 기능을 구비하고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키 설정 방법에 있어서,
    볼륨키가 일정 시간 이상 눌려졌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현재 모드에서 볼륨 상태가 최대 또는 최소치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볼륨 상태가 최대 또는 최소치이면 상기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19716A 1999-05-31 1999-05-31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605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716A KR100605976B1 (ko) 1999-05-31 1999-05-31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716A KR100605976B1 (ko) 1999-05-31 1999-05-31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225A true KR20000075225A (ko) 2000-12-15
KR100605976B1 KR100605976B1 (ko) 2006-07-28

Family

ID=1958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716A KR100605976B1 (ko) 1999-05-31 1999-05-31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8609B2 (en) 2013-04-09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8609B2 (en) 2013-04-09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976B1 (ko)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997B1 (ko) 무선단말기의상태표시방법
JP2001186250A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00044457A (ko) 무선단말기의 키 운용 방법
KR100605976B1 (ko)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8192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
KR20010009990A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사용자 메뉴 구현 방법
KR100237445B1 (ko) 무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키 전환방법
KR100260751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무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20010011361A (ko) 휴대폰의 송수화음 및 키톤 레벨조절방법
KR20030015472A (ko)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절감하기 위한 시스템
JPH08181749A (ja) 携帯形無線装置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KR2004004849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가동방법
KR100566267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형태에 따른 착신음 발생방법
KR100450946B1 (ko) 휴대형무선통신단말기에서지역번호단축방법
KR100584402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KR2003002917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이콘 위치 변경 방법
KR20010004515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KR100557564B1 (ko) 폴더형 이동무선 단말기의 경보 구동 제어방법
KR2002002835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자동제어방법 및 장치
JP3614846B2 (ja) 携帯電話端末
KR20010074347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KR0128928Y1 (ko) 전자계산기능을 부가한 전화기
KR20010048817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를 통해 음성 다이얼을수행하기위한 방법
KR1999001038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통신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