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402B1 -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402B1
KR100584402B1 KR1019980059057A KR19980059057A KR100584402B1 KR 100584402 B1 KR100584402 B1 KR 100584402B1 KR 1019980059057 A KR1019980059057 A KR 1019980059057A KR 19980059057 A KR19980059057 A KR 19980059057A KR 100584402 B1 KR100584402 B1 KR 10058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mode
input
mobile wireless
clock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2775A (ko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9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4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4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무선전환기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무선전화기의 동작모드를 일반모드와 시계모드로 구분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의 제공.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해당 키가 입력되면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인다.

Description

이동무선전화기의 시계 및 알람모드 동작방법
본 발명은 이동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무선전화기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무선전화기의 전원공급은 배터리(Battery)를 이용하여 이루어 진다. 그러나 배터리 사용시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출장등과 같은 장시간 이동을 해야하는 경우에 배터리 충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취침시간등과 같이 통화를 하지 않을 시, 전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통화를 원하지는 않지만 시계 및 알람기능만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무선전화기는 일단 전원이 켜지면 이동무선전화기의 고유의 동작(이하 "일반모드" 라 칭한다)과 시계 및 알람동작(이하 "시계모드" 라 칭한다)을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부응을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무선전화기의 동작모드를 구분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무선전화기의 동작모드를 일반모드와 시계모드로 구분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일반모드 또는 시계모드로 구분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계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시계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RF신호 처리를 위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모드를 위한 전원만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시계모드로 동작중, 일반모드 복귀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일반모드 복귀키가 입력되면 상기 차단된 RF신호 처리를 위한 전원을 재공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무선전화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00)는 이동무선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내부에 타이머를 구비하며, 표시부(110)로 현재의 시간을 표시한다. 메모리(150)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모드 설정방법을 운용하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이다. 그리고 표시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무선전화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2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0)로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모드 설정키 및 일반모드 복귀키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부저부(13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알람시간에 부저음을 발생한다. 또한 RF부(16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180)를 경유하여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송신신호를 무선출력한다. 또한 RF부(160)는 안테나(180)를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강압(Down-Converting)시켜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7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 (16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 1의 구성들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40)는 배터리가 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변환 방법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21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시계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시계모드 설정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2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해당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시계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230단계에서 전원 공급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RF부(160) 및 신호처리부(170)로의 전원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24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일반모드 복귀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일반모드 복귀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상기 230단계의 제어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일반모드 복귀키가 입력되면, 25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일반모드로 복귀한다.
상기 도 1 또는 도 2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전화기의 동작모드를 일반모드와 시계모드로 구분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은 해당 키입력이 시계모드일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시계기능과 알람기능만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무선전화기에 있어서 동작모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배터리 소모가 절약되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무선전화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변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2)

  1. 이동무선 전화기에서 일반모드 또는 시계모드로 구분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계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시계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RF신호 처리를 위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모드를 위한 전원만을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시계모드로 동작중, 일반모드 복귀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일반모드 복귀키가 입력되면 상기 차단된 RF신호 처리를 위한 전원을 재공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모드는 시계기능과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19980059057A 1998-12-26 1998-12-26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KR10058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057A KR100584402B1 (ko) 1998-12-26 1998-12-26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057A KR100584402B1 (ko) 1998-12-26 1998-12-26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775A KR20000042775A (ko) 2000-07-15
KR100584402B1 true KR100584402B1 (ko) 2006-08-11

Family

ID=1956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057A KR100584402B1 (ko) 1998-12-26 1998-12-26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4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6170A1 (en) * 1992-09-04 1994-03-09 Nokia Mobile Phones Ltd.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unit
KR940017316A (ko) * 1992-12-31 1994-07-26 백중영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KR19990000151A (ko) * 1997-06-03 1999-01-15 김영환 대기상태와 웨이크업 기능을 부가시킨 무선호출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51172A (ko)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KR20000018437A (ko) * 1998-09-02 2000-04-06 윤종용 무선가입자장치의 전원 절약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6170A1 (en) * 1992-09-04 1994-03-09 Nokia Mobile Phones Ltd.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unit
KR940017316A (ko) * 1992-12-31 1994-07-26 백중영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KR19990000151A (ko) * 1997-06-03 1999-01-15 김영환 대기상태와 웨이크업 기능을 부가시킨 무선호출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51172A (ko)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페이져 내장형 휴대전화기에서 전원절약방법
KR20000018437A (ko) * 1998-09-02 2000-04-06 윤종용 무선가입자장치의 전원 절약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775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6549B2 (en) Integrate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isplay unit
KR100400168B1 (ko) 휴대폰에서 표시장치의 전원제어를 이용한 배터리 절약방법
KR2003004952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0318931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전력소모절약장치및그방법
JPH11308163A (ja) 携帯電話端末
KR100584402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시계및알람모드동작방법
KR20050052098A (ko) 센서를 이용한 전류소모최소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20030009775A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KR100936583B1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1000394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 및 방법
KR101002817B1 (ko) 스마트폰에서 소모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KR20000044463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KR20010004515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KR20030015472A (ko)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절감하기 위한 시스템
KR20000024980A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자동 온/오프장치 및 방법
KR100247838B1 (ko) 무선호출기 일체형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100651460B1 (ko) 휴대폰의 호 착신 임시 정지 방법
KR2003005097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KR100605976B1 (ko) 볼륨키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
JP3614846B2 (ja) 携帯電話端末
KR100640400B1 (ko) 복합 무선 단말기에서 기능별 전원공급 장치 및 방법
KR200400593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강제 슬립 모드 설정을 통한 전원 절감방법
KR20000075259A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제어방법
KR10033468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알람방법
KR2000004605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온/오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