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904A -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904A
KR20000066904A KR1019990014301A KR19990014301A KR20000066904A KR 20000066904 A KR20000066904 A KR 20000066904A KR 1019990014301 A KR1019990014301 A KR 1019990014301A KR 19990014301 A KR19990014301 A KR 19990014301A KR 20000066904 A KR20000066904 A KR 20000066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ing code
code
sequence
length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민
조미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4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6904A/ko
Priority to AU41501/00A priority patent/AU754249B2/en
Priority to CA002334358A priority patent/CA2334358A1/en
Priority to JP2000614589A priority patent/JP2002543666A/ja
Priority to BR0006064-0A priority patent/BR0006064A/pt
Priority to PCT/KR2000/000380 priority patent/WO2000065757A1/en
Priority to US09/556,757 priority patent/US6766337B1/en
Priority to CNB008006385A priority patent/CN1182670C/zh
Priority to RU2000132197/09A priority patent/RU2222109C2/ru
Priority to EP00921156A priority patent/EP1090470A4/en
Publication of KR20000066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22PN, e.g. Kroneck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84Generating pulses having a predetermined statistical distribution of a parameter, e.g. random puls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시, 최장 길이 확산부호 발생기에서 생성된 2r-1 길이( r: 쉬프트레지스터의 수) 확산 부호에서 동기채널 1프레임 동안의 짧은 확산부호 길이 만큼 잘라내여 이를 반복 발생하기 위하여, m-시퀀스의 생성 다항식에 의해 초기 쉬프트 레지스터 상태를 재로드할 m-시퀀스 확산부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m-시퀀스의 전체 확산부호에서 원하는 대역확산부호의 길이 만큼 선택한다.
또한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시, 선택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위상차를 갖는 확산부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확산부호를 생성하고, 적어도 두 개의 마스크 값 중에서 대응되는 마스크 값을 선택하며, 생성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위상차를 갖게하는 지연된 확산부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마스크 값에 따라 상기 쉬프트레지스터의 값을 선택적으로 모듈로-2 가산한다.

Description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PREADING CODE IN CDMA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확산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한다) 기술에서 짧은 대역확산부호 (Short spreading code )는 신호를 대역 확산하여 무선 채널 상에서의 신뢰성 및 비화기능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기지국의 짧은 대역 확산 부호는 그 시퀀스 오프셋을 달리하여 단말기가 기지국을 구분하게 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되어 진다. 그러므로 CDMA 통신시스템에서 구분 가능한 기지국의 수는 짧은 확산부호의 길이와 상기 확산부호 시퀀스의 오프셋의 정도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짧은 확산부호는 동기 채널( Sync Channel )의 1 프레임 ( 80 msec / 3 ) 동안 주어진 확산 대역의 칩 레이트(chip rate)로 생성되어진다.
동기채널(Sync channel)의 프레임 길이를 같게(80 msec / 3 )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1.2288* 106칩레이트( 확산 대역 )인 IS-95에 비해 IMT-2000의 1.2288* 106칩레이트 * N ( N = 1,3,5,9,12 등 )와 같이 광대역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적용 대역에 따라 요구되는 최장 대역 짧은 확산 코드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IS-95와 같이 ML 시퀀스를 사용하게 되면 그 특성상 주기가 항상 2N-1이므로(여기서 N은 정수), 1.2288* 106칩레이트 * N ( N = 1,3,5,9,12 등)에서의 215*N 코드주기를 갖는 확산부호를 만들 수 없다.
따라서 광대역에서도 구분할 수 있는 기지국의 수를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같은 Sync 프레임 길이를 가지는, 1.2288* 106칩레이트 * N ( N = 1, 3, 5, 9 ,12 등)에서의 215*N 코드주기를 갖는 확산코드의 생성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IS-95 CDMA기술의 대역확산은 1.2288 * 106칩레이트(cps: chip per sec )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짧은 대역확산 부호는 1.2288 * 106칩레이트 속도로 발생되어진다. 그리고 그 주기는 동기채널( Sync channel )의 1 프레임(frame, 80msec/3=약 26.67msec) 주기 동안 발생되어져야 하므로, 상기 확산부호는 215칩이 된다.
도 1은 종래의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215-1 길이 최장 시퀀스(M-sequence, Maximual-length sequence) 확산부호 생성기 (PN spreading code generator)를 이용하여 확산부호를 얻을 수 있다. 단 매 주기마다 발생되는 14개의 '0'시퀀스 뒤에 1 칩 구간 동안 '0'을 삽입하여 215칩 길이 확산 부호로 사용한다. M-시퀀스 발생기(M-sequence generator)의 생성다항식 (generator polynomial)은 I 채널 ( pI(x) ), Q 채널(pQ(x)) 각각에 대해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도 1에서 이는 각각 I 채널의 확산부호의 생성다항식(Generator Polynomial) =[ a0 a1 … a13 a14 ] = [41342]octal로 적용하고, Q 채널의 확산부호의 생성다항식(Generator Polynomial) = [ a0 a1 … a13 a14] = [47434]octal로 적용하면 된다.
상기와 생성된 확산부호 시퀀스에 대해 일정 간격( Δ ) 지연 효과를 갖는 확산부호는 생성다항식의 쉬프트 레지스터 값을 선택적으로 모듈로-2 가산(modulo -2 adding)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모듈로-2 가산을 수행할 쉬프트레지스터의 값을 선택하기 위해 마스크 코드(mask code : 상기 도 1에서 Short_PN_Code_Mask[0:14] )를 사용하였다. 즉 Δ * n ( n = 0, 1,2,… )의 위상 차를 갖는 각각의 부호를 생성하기 위해 마스크 값을 달리 적용하면 된다.
IMT-2000의 북미표준으로 유력시되는 cdma2000에서 지원하는 광대역 확산은 1.2288 * 106* N ( N = 3,6,9,12 ) 칩 레이트이며, 이들 각각 칩레이트에 대해 요구되는 짧은 확산 코드 길이는 하기 <표 1>과 같이 달라진다. 이때 상기 확산코드의 길이는 각각 2의 배수로만 이루어져 있지 않아 하기 <표 1>의 (2)에 나타난 종래기술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장 시퀀스 생성기를 그대로 사용하여서는 안됨을 알 수 있다.
N 대역확산(칩레이트)=1.2288*106×N 동기채널 1 프레임 동안의 짧은 확산 코드 길이(P) = 215chip × N 관련 최장 시퀀스 : r(M-시퀀스 길이 : 2r-1)
1 1.2288×106 215chip 15 (215-1)
3 1.2288×106×3 215×3 chip 17 (217-1)
6 1.2288×106×6 215×6 chip 18 (218-1)
9 1.2288×106×9 215×9 chip 19 (219-1)
12 1.2288×106×12 215×12 chip 19 (219-1)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215칩 길이 확산 부호를 N번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 간의 코드 위상 차이를 기존의 IS-95와 같은 절대시간을 가지도록 하려면 일정 위상차를 갖는 코드의 수가 줄어 들게 되고, 이는 곧 기지국을 구분하는 짧은 확산코드의 종류가 줄어드는 것과 같은 역효과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짧은 확산부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최장 길이 확산부호를 발생하는 생성기의 출력에서 2r-1 길이 확산 부호에서 동기채널 1 프레임 동안의 짧은 확산 코드 길이만큼 잘라내어 이를 반복 생성할 수 있는 짧은 확산부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확산 부호의 부분 상관 결과 및 이진 값의 분포의 균형를 고려하여 m-시퀀스 내의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m-시퀀스에서 필요한 길이 만큼 만을 선택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지연시킨 효과로 인한 일정 위상차를 갖는 확산 부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방법이, m-시퀀스의 생성 다항식에 의해 초기 쉬프트 레지스터 상태를 재로드할 m-시퀀스 확산부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m-시퀀스의 전체 확산부호에서 원하는 대역확산부호의 길이 만큼 선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최장 길이 확산부호 발생기에서 생성된 2r-1 길이( r: 쉬프트레지스터의 수) 확산 부호에서 동기채널 1프레임 동안의 짧은 확산부호 길이 만큼 잘라내어 이를 반복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방법이, 확산부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적어도 두 개의 마스크 값 중에서 대응되는 마스크 값을 선택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위상차를 갖게하는 지연된 확산부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마스크 값에 따라 상기 쉬프트레지스터의 값을 선택적으로 모듈로-2 가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상기 선택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위상차를 갖는 확산부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215칩 길이를 가지는 짧은 확산부호 생성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32768 * N 칩 주기 확산부호를 생성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와 같은 구조를 갖는 215×3 칩 주기 확산부호 생성장치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짧은 확산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칩레이트, 짧은 확산부호의 수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구분가능한 기지국 수를 현재의 IS-95 시스템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은 짧은 확산 코드 길이를 갖는 확산 코드 생성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해 상기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은 최장 길이 확산부호 발생기에서 생성된 2r-1 길이 확산 부호에서 상기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은 확산 코드 길이 만큼만 잘라내어 이를 반복 발생시키는 짧은 확산부호 생성기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확산 부호의 부분 상관( partial correlation ) 결과 및 이진 값(binary value)의 분포의 균형를 고려하여 m-시퀀스(m-sequence) 내의 일부를 선택해야 한다. 또한 상기 m-시퀀스에서 필요한 길이 만큼 만을 선택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지연시킨 효과로 인한 일정 위상차를 갖는 확산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짧은 확산부호 생성기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레지스터220~22r-1은 쉬프트 레지스터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레지스터220~22r-1은 초기 상태 값(initial state [0:r-1])에 의해 초기화된다. 또한 상기 레지스터22r-1의 Rr-1 값은 논리곱 연산자 200~20r-1에 입력된다. 상기 논리곱 연산자 200~20r-1은 상기 레지스터22r-1의 출력과 각각 대응되는 생성다항식의 계수 a0~ar-1을 논리곱하여 출력한다. 가산기211~21r-1은 각각 대응되는 레지스터와 레지스터 사이에 연결되며, 또한 대응되는 논리곱 연산자201~20r-1의 출력과 전단의 레지스터 출력을 가산(modulo-2 adding)하여 다음 단의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제어기260은 32768*N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PN_ROLL_OVER신호 등을 발생하는 동시에 해당 마스크를 선택하기 위한 마스크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멀티플렉서240은 마스크1(mask1[0:r-1])과 마스크2(mask2[0:r-1])를 입력하며, 상기 제어기260에서 출력되는 마스크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마스크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레지스터220~22r-1의 출력 R0~Rr-1들과 상기 멀티플렉서240에서 선택된 마스크 신호를 입력하는 논리곱 연산자230~23r-1은 두 입력을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한다. 배타적 가산기250은 상기 논리곱 연산자230~23r-1의 출력 들을 배타적 가산하여 짧은 확산부호로 출력한다.
도 3은 상기 도 2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짧은 확산부호 생성기의 각부 동작 특성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짧은 확산부호 생성장치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표 1>의 의 최장 길이 PN code 발생기에서 생성된 2r-1 길이( r: shift register 수) 확산 부호에서 상기 <표 1>의 확산 코드 길이( 215x N ) 만큼만 잘라내어 이를 반복 발생시키는 확산부호 생성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 2의 270과 같이 m-시퀀스의 생성다항식에 따라 초기 쉬프트 레지스터 상태를 재로드(reloadable)한 m-시퀀스확산 부호를 생성하는 m-시퀀스 생성기와, 260과 같이 m-시퀀스의 전체 확산부호에서 원하는 대역확산부호 길이 만큼만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선택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위상차를 갖는 확산 부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도 2의 280과 같이 발생된 원래 확산부호에 대해 일정 위상차를 갖게 하는 지연된 확산코드를 생성하게 하기 위해 마스크 값에 따라 각 쉬프트 레지스터의 값을 선택적으로 모듈로-2 가산하는 구성과, 도 2의 240과 같이 두개의 마스크 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멀티플렉서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표 1>에서 확산대역에 대한 N이 2의 배수가 아닌 모든 경우에 대해 확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짧은 확산부호의 생성 동작 원리는 상기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확산대역이 1.2288 x 106x 3 칩레이트 일때, 215x 3 chips주기(p)의 짧은 확산 code를 발생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215x 3 chips주기(p)의 짧은 확산 code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2r-1( r=17) chip주기 m-시퀀스 부호 발생기를 이용하면 된다. 그 부호 발생기의 생성다항식을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일반적으로 표현되어 진다.
상기 <수학식 2>에서 계수 an, n=0,1, …, 16는 다항식(polynomial) 계수로서,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확산부호 발생기는 m-시퀀스 발생기270과 모듈로-2 가산기250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r=17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m-시퀀스 발생기270의 17단 레지스터의 초기값은 도 3의 315와 같은 시점에서 재로드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5x 3 chip주기 확산부호는 m-시퀀스의 17 단 레지스터의 초기값이 로드된 후, 215x 3 칩 마다 m-시퀀스의 17단 레지스터의 초기값을 재로드 함에 의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도 3의 315와 같이 215x 3 칩 마다 m-시퀀스의 17단 레지스터의 초기값을 재로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 도 2와 도 3의 Short PN code Initial State load enable신호)를 발생하는 생성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역할은 도 2의 제어기260에서 수행한다.
상기 제어기260 블럭은 단순히 215x 3 (p)주기 카운터(counter)를 이용하거나 쉬프트레지스터(Shift register)의 상태(state) 값을 비교 판단하는 구성요소 들로 구성될 수 있다. 후자는 도 3에서 쉬프트레지트서의 상태 값이 Sp-1일때 초기 상태(Initial State) S0를 재로드하게 하는 방식으로 하기위해, Sp-1일때 초기화 활성화신호(Short PN code Initial State load enable signal)를 발생시키는 제어기이다. 상기와 같이 같이 2r-1( r=17) 칩 주기 m-시퀀스발생기270으로부터 215x 3 칩주기(p)의 확산 코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해진 확산 코드에 대해 일정 위상차(=Δ * k= offset delay, k=0,1,2,3,…)를 갖는 확산 부호는 쉬프트 레지스터의 상태 값을 선택적으로 모듈로-2 가산 함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의 280부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모듈로-2 가산되어질 쉬프트 레지스터의 값의 선택은 마스크 값에 따라 정해지며, 원하는 위상차(=Δ * k)에 따라 다른 마스크 값이 필요하다. 단, 215x 3 주기의 확산코드가 2r-1( r=17) 주기의 m-시퀀스로부터 트렁케이션(Truncation)으로 얻어지는 방식이므로, 마스크를 사용하여 위상차를 가지는 확산코드를 만들 때에, 사용되지 않는 코드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 종류의 마스크 세트(mask set : mask1, mask2)을 가지고 마스킹(mask operation)을 수행하며, 이는 도 2의 멀티플렉서280에 수행되며, 도 3에서 이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서 트렁케이션되지 않은 원래의 m-시퀀스를 313과 같은 'Mo'라 할 때, 319와 같은 상기 확산코드 'M’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Mo'를 215x3길이에서 트렁케이션해서 얻어진다. 상기 'M'으로부터 ‘r+1'의 위상차를 가지는 'Mr'은 코드 'M'의 생성기의 쉬프트 레지스터 출력 값들을, 'r+1' 위상 지연(phase delay)을 만드는데 필요한 마스크 ('mask1')를 이용하여 조합함으로서 가능하다. 이때 상기 'M'의 코드값이 [C0 - Cr-1] 동안에 'mask1'을 이용하면 원래의 'Mo' 코드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의 코드값 들인 ([Cp - Cp-1]=[215x3 : 217-1])의 범위내의 코드가 생성된다. 그러므로 이 범위 ([C0 - Cr-1]) 동안에는 'r+1'가 아닌 'r + 1 + 215- 1' 만큼의 위상차를 만드는 mask2를 사용해야 한다.
하기의 표 2는 다른 대역폭(bandwidth)에서 적용되는 두 개의 마스크 세트(mask set)의 위상 관계를 나타내었다.
N 대역확산(칩레이트)=1.2288*106×N (mask2의 위상차) =< (최장시퀀스)-(짧은확산코드 길이) +(mask1의 위상차) mask2의 적용 구간
1 1.2288×106 사용되지 않음 Register Initial state Ioad 구간을 시작으로(Δ×n) chip 구간동안
3 1.2288×106×3 215+(Δ×n)-1
6 1.2288×106×6 216+(Δ×n)-1
9 1.2288×106×9 215×7+(Δ×n)-1
12 1.2288×106×12 215×4+(Δ×n)-1
상기 표 2는 mask1의 위상차가 (Δ x n) chip, n=0,1,2,…일때 mask2의 위상 관계와 mask2의 적용 구간을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호 발생장치는 동기채널 1프레임 동안의 짧은 확산부호 길이를 갖는 확산 코드 생성기를 구비하며, 이를 위해 최장 길이 확산부호 발생기에서 생성된 2r-1 길이 확산 부호에서 상기 동기채널의 확산 코드 길이 만큼만 잘라내어 이를 반복 발생시키는 짧은 확산부호 생성기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확산 부호의 부분 상관 결과 및 이진 값의 분포의 균형를 고려하여 m-시퀀스 내의 일부를 선택해야 한다. 또한 상기 m-시퀀스에서 필요한 길이 만큼 만을 선택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지연시킨 효과로 인한 일정 위상차를 갖는 확산 부호를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m-시퀀스의 생성 다항식에 의해 초기 쉬프트 레지스터 상태를 재로드할 최장길이를 갖는 m-시퀀스를 생성하는 m-시퀀스 발생기와,
    상기 m-시퀀스의 전체 확산부호에서 원하는 대역확산부호의 길이 만큼 선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하에 발생기에서 생성된 최장길이 시퀀스에서 동기채널 1프레임 동안의 짧은 확산부호 길이 만큼 트렁케이션하여 이를 반복 발생하는 확산부호 발생기로 구성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쉬프트레지스터의 현재 상태를 감시하여 ML 부호의 일부분의 길이에서 상기 쉬프트레지스터의 초기상태로 천이시켜 발생되는 확산부호가 최장길이 시퀀스의 일부분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장치.
  3.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장치에 있어서,
    확산부호를 생성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적어도 두 개의 마스크 값을 입력하며, 마스크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마스크 값을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생성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위상차를 갖게하는 지연된 확산부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마스크 값에 따라 상기 쉬프트레지스터의 값을 선택적으로 모듈로-2 가산하는 모듈로-2 가산기를 구비하여,
    선택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위상차를 갖는 확산부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로-2 가산기가 최장 길이 확산부호에서 사용되지 않는 코드부분이, 위상차를 가지는 확산코드에 나타나지 않도록 위상차를 고려하여 별개의 마스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장치.
  5.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짧은 확산부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m-시퀀스의 생성다항식에 따라 초기 쉬프트 레지스터 상태를 재로드한 m-시퀀스확산 부호를 생성하는 쉬프트레지스터와,
    상기 m-시퀀스의 전체 확산부호에서 원하는 대역확산부호 길이 만큼만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와,
    적어도 두개의 마스크 값을 입력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하에 대응되는 마스크 값을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선택된 마스크 값에 따라 상기 m-시퀀스의 값을 선택적으로 모듈로-가산하여 생성된 확산부호에 대해 일정 위상차를 갖게 하는 지연된 확산코드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짧은 확산부호 발생장치.
  6.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m-시퀀스의 생성 다항식에 의해 초기 쉬프트 레지스터 상태를 재로드할 m-시퀀스 확산부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m-시퀀스의 전체 확산부호에서 원하는 대역확산부호의 길이 만큼 선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최장 길이 확산부호 발생기에서 생성된 2r-1 길이( r: 쉬프트레지스터의 수) 확산 부호에서 동기채널 1프레임 종안의 짧은 확산부호 길이 만큼 잘라내여 이를 반복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방법.
  7.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방법에 있어서,
    확산부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적어도 두 개의 마스크 값 중에서 대응되는 마스크 값을 선택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위상차를 갖게하는 지연된 확산부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된 마스크 값에 따라 상기 쉬프트레지스터의 값을 선택적으로 모듈로-2 가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상기 선택된 확산부호에 대하여 일정 위상차를 갖는 확산부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부호 생성방법.
KR1019990014301A 1999-04-21 1999-04-21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KR20000066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01A KR20000066904A (ko) 1999-04-21 1999-04-21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AU41501/00A AU754249B2 (en) 1999-04-21 2000-04-21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preading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CA002334358A CA2334358A1 (en) 1999-04-21 2000-04-21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preading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JP2000614589A JP2002543666A (ja) 1999-04-21 2000-04-21 符号分割多重接続通信システムの拡散符号生成装置及び方法
BR0006064-0A BR0006064A (pt) 1999-04-21 2000-04-21 Aparelho e método para gerar código de dispersão em sistema de comunicação de cdma
PCT/KR2000/000380 WO2000065757A1 (en) 1999-04-21 2000-04-21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preading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US09/556,757 US6766337B1 (en) 1999-04-21 2000-04-21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preading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CNB008006385A CN1182670C (zh) 1999-04-21 2000-04-21 码分多址通信系统中用于生成扩展代码的设备和方法
RU2000132197/09A RU2222109C2 (ru) 1999-04-21 2000-04-21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енерации расширяющего кода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мдкр
EP00921156A EP1090470A4 (en) 1999-04-21 2000-04-21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PAN CODE IN AN AMTR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01A KR20000066904A (ko) 1999-04-21 1999-04-21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04A true KR20000066904A (ko) 2000-11-15

Family

ID=1958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301A KR20000066904A (ko) 1999-04-21 1999-04-21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66337B1 (ko)
EP (1) EP1090470A4 (ko)
JP (1) JP2002543666A (ko)
KR (1) KR20000066904A (ko)
CN (1) CN1182670C (ko)
AU (1) AU754249B2 (ko)
BR (1) BR0006064A (ko)
CA (1) CA2334358A1 (ko)
RU (1) RU2222109C2 (ko)
WO (1) WO2000065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4517B4 (de) * 2000-11-03 2006-01-12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r Synchronisation eines CDMA-Signals
KR100396592B1 (ko) * 2001-05-02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간 천이된 pn 스테이트 발생기
KR100424538B1 (ko) * 2001-05-29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US7173900B1 (en) * 2002-06-26 2007-02-0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ip generation of a chip sequence
US8670428B2 (en) * 2004-03-18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acquisition in peer-to-peer communications
EP1763933B1 (en) * 2004-07-06 2018-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fferent orthogonal code sets with members in common
CN1787415B (zh) * 2004-12-08 2011-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伪随机码相位偏移的装置及其生成伪随机码的方法
CN101068135B (zh) * 2007-06-27 2011-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主扰码序列生成装置
US8848913B2 (en) 2007-10-04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Scrambling sequence gen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787181B2 (en) 2008-01-14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randomization
US8923249B2 (en) 2008-03-26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rambling sequence gen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RU2453073C2 (ru) * 2008-09-28 2012-06-10 Хайтера 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Корп., Лтд. Терминал связи в частной сети dmr,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пособ ее реализации
US9207070B2 (en) * 2012-05-24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affine-invariant spatial mask for active depth s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054A (en) * 1992-04-03 1993-07-13 Qualcomm Incorporated Power-of-two length pseudo-noise sequence generator with fast offset adjustment
US5258936A (en) * 1992-08-05 1993-1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seudo-random numbers
JPH07170210A (ja) * 1993-12-16 1995-07-04 Nec Corp スペクトラム拡散変復調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変調器・ 復調器
JP2937743B2 (ja) * 1994-04-28 1999-08-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のための拡散符号生成装置
JPH08256085A (ja) * 1995-03-17 1996-10-01 Sony Corp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送信機と受信機
EP0822679A2 (en) * 1996-06-03 1998-02-04 HE HOLDINGS, INC. dba HUGHES ELECTRONICS New CDMA code generator employing mixing ergodic transformation
US6002709A (en) * 1996-11-21 1999-12-14 Dsp Group, Inc. Verification of PN synchronization in a direct-sequence spread-spectrum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JP3329705B2 (ja) * 1997-09-02 2002-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n符号発生装置及び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JPH11340799A (ja) * 1998-05-28 1999-12-10 Oki Electric Ind Co Ltd M系列発生回路、m系列の発生方法及びpn系列発生回路
US6141374A (en) * 1998-10-14 2000-10-3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ple matched-filter PN vectors in a CDMA demodulator
CN1331866A (zh) 1998-10-19 2002-01-16 高通股份有限公司 Cdma通信系统中的伪随机扩展方法和设备
US6560212B1 (en) * 1999-03-16 2003-05-06 Agere Systems Inc. Generating an offset de-bruijn sequence using masks for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246676B1 (en) * 1999-12-13 2001-06-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N masks for a truncated M-sequ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150100A (en) 2000-11-10
JP2002543666A (ja) 2002-12-17
US6766337B1 (en) 2004-07-20
WO2000065757A1 (en) 2000-11-02
EP1090470A4 (en) 2006-09-20
RU2222109C2 (ru) 2004-01-20
EP1090470A1 (en) 2001-04-11
CN1302495A (zh) 2001-07-04
CN1182670C (zh) 2004-12-29
BR0006064A (pt) 2001-03-20
CA2334358A1 (en) 2000-11-02
AU754249B2 (en)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6904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US5596571A (en) CDMA radiotelephone having optimized slotted mode and long code operation
US70824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N states
KR20000047627A (ko) 복소 스크램블링 코드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EP0828361A3 (en) Cellular CDMA data link utilizing multiplexed channels for data rate increase
US6163566A (en) Spread spectrum transmitter, spread spectrum receiver, an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KR100219035B1 (ko) 다양한 레이트의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대역확산장치 및 그 방법
US5987032A (en) Hierarchical resource hopping method, system, base station, head-end unit, and subscriber unit for variable resource size communication systems
KR20000047150A (ko) 이동통신시스템의채널확산장치및방법
KR100442607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확산 장치 및 방법
KR100345969B1 (ko) 확산부호발생방법및장치
KR100330214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코드생성장치 및 방법
GB2308960A (en) A correlator for a spread spectrum receiver having a variable correlation length
KR20000031284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부호 생성장치 및 방법
US200401701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ng code generation in synchronous, multi-chip rate systems
KR100396506B1 (ko) 이중직교부호도약다중접속장치및방법
KR101872738B1 (ko) 동기화된 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도약 속도가 상이한 다중 주파수 도약 신호간 직교성 처리 방법
JPH10190524A (ja) コード発生器及び拡散通信システム
KR0137564B1 (ko) 가변율 클럭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205066B1 (ko) 씨디엠에이 시스템의 변조 블럭내 제어 프로세서와 변조부간의 접속장치
KR20010105187A (ko) 확산 스펙트럼 코드를 사용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그러한 시스템에 적합한 수신 디바이스 및 그러한시스템을 위한 동기화 방법
JPH11252043A (ja) 網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KR100447179B1 (ko) 기지국의 bfn 동기 장치 및 기지국에서 bfn 동기를수행하는 방법
KR20030085426A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송신 장치 및 방법
EP1415422A1 (en) Code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