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381A -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381A
KR20000049381A KR1020000004569A KR20000004569A KR20000049381A KR 20000049381 A KR20000049381 A KR 20000049381A KR 1020000004569 A KR1020000004569 A KR 1020000004569A KR 20000004569 A KR20000004569 A KR 20000004569A KR 20000049381 A KR20000049381 A KR 20000049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ddress
mobile communication
book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175B1 (ko
Inventor
이종일
Original Assignee
이종일
주식회사 인포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일, 주식회사 인포허브 filed Critical 이종일
Priority to KR102000000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175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175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록을 이동 전화 단말기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운용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가 서로 통신하여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관리 운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화번호 및 주소를 인터넷 상의 운용 서버가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전화번호 및 주소 정보를 가입 회원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시켜 줌으로써, 일관성 있는 포맷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연락처 정보를 회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이버 명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운용 방법{MOBILE TELEPHONE UNIT HAVING AN SMS PHONEBOO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기능을 편리하게 하는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 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통신을 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생활이 거의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전화 번호 또는 주소가 다양해짐에 따라, 집 전화 번호, 회사 전화 번호, 팩스 번호, 휴대 전화 번호, 전자 메일 주소 등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화 번호 또는 주소를 자신의 전화번호부/주소록에 저장해 두어야 현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더욱이, 자신의 친지들이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주소록 및 전화번호에 변동이 발생할 경우, 또는 주소록 변동 시에 자신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계속하여 업데이트(update)하여야만 한다.
셀룰라 폰(cellular phone) 또는 피씨에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등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 받는 현대인들은,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전화번호부/주소록 기능을 이용하여 친지들의 연락처를 저장하여 통신 접속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자신과 관련 있는 친지의 연락처 정보를, 즉 이름과 전화번호를 일일이 키 패드(key pad)를 통해 입력하여 단말기 내의 기억 수단에 저장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 가입 사용자들은 전화번호부/주소록 정보를 키 패드(key pad)와 같은 입력 장치 만을 통하여, 한글 자모 또는 영문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등을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주소록/전화번호부를 분류,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하려고 할 경우에도, 반드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출력 장치를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상존하여 왔다.
더욱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교체한 경우에는 기존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부/주소록 정보를 새로이 입력해야 하는 비효율성과 불편함이 있어 왔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기계 오작동으로 단말기 내부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이 삭제되는 경우에는 귀중한 데이터가 모두 손실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주소록/전화번호부 운용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일관성 없이 입력한 전화 번호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어서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 번호, 휴대 전화 번호 등이 서로 혼잡하게 뒤 섞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가 겪고 있는 주소록/전화번호부 운용 기술의 불편함과 비효율성을 해결하고, 안정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입력, 변경, 삭제 등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부 관리 방법 및 장치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의 입력, 변경, 삭제 등을 중앙 서버가 관리할 수 있는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이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는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에 부가하여, 사이버 명함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엠에스(SMS)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중 초기화 단계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운용 서버와 통신하는 단문 메시지의 포맷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를 운용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의 데이터 포맷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번호 변경 시의 처리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전화번호 또는 주소가 업데이트 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또는 주소 정보를 독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이버 명함(cyber name card)을 주고받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시스템을 이용한 사이버 명함 전송 시에 사용되는 단문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운용 서버
110 :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베이스
200 : 이동 통신 단말기
210 : 인코딩/디코딩 모듈
220 : 기억 수단
230 : 단문 메시지 제어 모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운용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는 상기 서버가 관리하는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선정된 포맷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입 회원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추가, 변경, 삭제하여 업데이트 관리하는 서버와 전화번호 또는 주소 데이터를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선정된 포맷의 단문 메시지로 변환 또는 인코딩/디코딩 모듈; 및 상기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되어 전송되는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기억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와의 단문 메시지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가입 회원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초기화, 추가, 변경, 삭제하여 업데이트 관리하는 서버(100)와, 서버(100)로부터 전화번호부/주소록을 무선으로 자동 업데이트 받아 기억 수단(220)에 저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서버(100)와 전화번호 또는 주소 데이터를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로 변환 또는 역변환하는 인코딩/디코딩(encoder/decoder) 모듈(210)과,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기억 수단(220)에 저장하고, 서버와의 단문 메시지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은 종래의 이동 전화 단말기에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기능이 추가된 새로운 모델의 이동 전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의 효율적 적용을 위하여 단말기의 메뉴 또는 버튼으로 구동되도록 프로그램 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엠에스(SMS)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중 초기화 단계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관리 운용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는 회원 인증을 받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단계 S11). 이어서, 회원 인증을 마친 사용자는 운용 서버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전화번호와 주소를 입력시켜 자신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12).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로서, 전화번호부/주소록의 주 키 (primary key)로서 사용자의 이동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친지들의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이동 전화번호, 페이져 번호, 팩스 번호, 전자 메일 주소, 집 주소 등의 사항들을 운용 서버의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양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서버(1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들을 분류(sort)하여,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관리 운용 서버(100)는 전화번호부/주소록 검색 시에 일관된 형태의 문자열로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집/사무실/이동전화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서버(100)는 생성된 전화번호부/주소록을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데이터로 포맷 (format)하여 가입 회원이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단계 S13).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단문 메시지(SMS)는 이동 전화의 통화 영역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데이터 부분에 에스엠에스 전화번호/주소임을 알리는 식별자(header), 이름, 전화번호 메시지 등을 기록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디코딩(decoding)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기억 수단(220)에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운용 서버와 통신하는 단문 메시지의 포맷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 또는 주소 데이터는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 기능을 사용함을 알리는 식별자(header; 301), 전화번호부 검색 대상이 되는 이름(302), 이동전화/집전화/회사전화 등을 구분하는 문자열 항목(303),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나타내는 문자열 메시지(304), 에스엠에스 데이터의 끝을 나타내는 종료 코드(3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를 운용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의 데이터 포맷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임을 알리는 식별자(301)와 종료 코드(305) 사이에 다수 개의 이름(302), 항목(303), 메시지(304)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름(302), 항목(303), 메시지(304)로 구성된 하나의 데이터와 다음 데이터 사이에는 구분 코드(306)가 삽입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번호 변경 시의 처리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운용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인증을 받은 후(단계 S21), 자신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액세스하여 등록되어 있는 내용을 수정, 변경, 추가, 삭제할 수 있다(단계 S22).
이어서, 운용 서버는 변경된 전화번호부/주소록을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로 인코딩(encoding)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여(단계 S23), 단말기의 기억 수단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단계 S24).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전화번호 또는 주소가 업데이트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관리 운용 서버의 회원인 제1 사용자는 운용 서버에 접속하여(단계 S31), 자신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 등을 변경할 수 있다(단계 S32).
이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서버의 가입 회원인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주소록 목록에 제1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identification; ID)가 레퍼런스(reference)되어 링크(link)되어 있는 경우에,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 변경은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된다(단계 S33).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식별 아이디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동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이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변경된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인코딩하여 전송하여(단계 S34), 제2 사용자의 단말기 기억 수단에는 제1 사용자의 새로운 정보가 자동 업데이트된다(단계 S35).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또는 주소 정보를 독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서버의 회원인 제1 사용자는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주소 등 기타 정보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2 사용자의 이동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식별 아이디를 입력하고(단계 S41), 메뉴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요청하는 단문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용 서버는 제2 사용자의 이동 전화 번호에 레퍼런스된 제2 사용자의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주소 등을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제1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인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3).
이 때에, 운용 서버는 제2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번호, 주소 등의 정보 노출을 사전에 허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제2 사용자 관련 전화번호 또는 주소 메시지가 담긴 단문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기억 수단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단계 S45).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이버 명함(cyber name card)을 주고받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시스템은 명함을 직접 주고받는 것을 대신하여, 자신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 등을 상대방의 이동 전화 단말기에 입력시킴으로써 명함을 주고받는 것을 대신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는 자신의 사이버 명함을 건네고자 하는 상대방인 제2 사용자의 이동 전화번호를 자신의 이동 전화 단말기에 키 패드 입력시키고 메뉴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자신의 사이버 명함 전송을 요청하는 단문 메시지 운용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1). 이어서, 운용 서버는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화와 주소 등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2).
제2 사용자의 단말기는 전송된 제1 사용자의 사이버 명함을 디코딩하여 자신의 기억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제1 사용자의 사이버 명함을 수령하는 효과가 발생한다(단계 S53).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시스템을 이용한 사이버 명함 전송 시에 사용되는 단문 메시지 데이터 포맷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명함 전송 요청을 위하여 전송 요청자의 단말기가 운용 서버에 보내는 단문 메시지 데이터 포맷은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기능을 사용함을 나타내는 식별자(700), 전송 요청하는 제1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701), 사이버 명함을 수령할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702), 단문 메시지를 받아 전화번호부/주소록에 갱신할 내용 메시지 (703), 종료 코드(7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및 시스템은,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록을 운용 서버에서 일관성 있는 포맷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관리함으로써, 전화번호 또는 주소 변경 시에 실시간으로 자동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기존의 이동 전화 단말기에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기술은 사용자의 집 전화번호, 이동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등이 일관성 있게 관리되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들 사이에 자신의 연락처 정보를 무선으로 상대방의 단말기에 등록시키는 사이버 명함 교환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운용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는 상기 서버가 관리하는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작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선정된 포맷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의 선정된 포맷은,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기능을 사용함을 나타내는 식별자;
    전화번호부/주소록의 검색 대상이 되는 이름;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휴대용 전화 번호인지를 구분하는 문자열 항목;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나타내는 문자열 메시지;
    다수 개의 데이터를 구분하는 구분자;
    상기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내는 종료 코드
    의 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3.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운용하는 서버가 관리하는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록이 변경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가 레퍼런스로 되어 링크되어 있는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변경된 전화번호 또는 주소로써 자동 업데이트시키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업데이트된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선정된 포맷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업데이트되는 단계는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 변경 시에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이 자동 업데이트되는 것을 제1 사용자로부터 허락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변경된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단문 메시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변경된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아이디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이동 전화 번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8.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관리 운용하는 서버의 가입 회원인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록을 액세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제2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를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식별 아이디에 레퍼런스된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아이디에 레퍼런스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상기 전화번호부/주소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선정된 단문 메시지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디코딩하여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름 또는 이동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이동 전화번호, 전자우편 주소, 집주소, 사무실 주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11. 전화번호부/주소록을 관리 운용하는 서버의 가입 회원인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주고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건네고자 하는 상대방인 제2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를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식별 아이디에 레퍼런스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아이디에 레퍼런스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선정된 단문 메시지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 아이디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름 또는 이동 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억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단문 메시지 포맷은,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기능을 사용함을 나타내는 식별자;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 받아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업데이트할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
    상기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부/주소록에 추가 또는 갱신할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포함한 메시지;
    상기 단문 메시지 데이터의 끝을 알리는 종료 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부/주소록 운용 방법.
  15. 가입 회원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추가, 변경, 삭제하여 업데이트 관리하는 서버와 전화번호 또는 주소 데이터를 무선 통신하기 위하여 선정된 포맷의 단문 메시지로 변환 또는 인코딩/디코딩 모듈; 및
    상기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되어 전송되는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기억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와의 단문 메시지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인터넷 상에서 상기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주 키가 이동 전화 번호로 구성된 전화번호부/주소록에 상기 가입 회원이 입력한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상기 가입 회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선정된 포맷의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인터넷 상에서 상기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가입 회원이 상기 전화번호부/주소록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수정한 후 변경 기능을 선택한 경우, 수정된 전화번호 또는 주소가 상기 가입 회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인터넷 상에서 상기 서버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가입 회원이 자신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변경 입력하는 경우, 상기 가입 회원의 이동 통신 전화 번호를 참조하는 다른 가입 회원들의 전화번호부/주소록을 자동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포맷은,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기능을 사용함을 나타낸 식별자;
    전화번호부 검색 대상이 되는 이름;
    이동 전화, 집 전화, 사무실 전화를 구분하는 문자열 항목;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나타내는 문자열 메시지;
    데이터의 끝을 나타내는 종료 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0. 제20항에있어서, 상기 선정된 포맷은 복수 데이터의 경우 한 개의 데이터가 끝났음을 알리는 구분 코드를 상기 문자열 메시지와 상기 이름 사이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포맷은 제1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 전화번호부/주소록 기능을 사용함을 알리는 식별자;
    제1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
    제2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
    상기 전화번호 또는 주소 메시지;
    데이터 끝을 알리는 종료 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00004569A 2000-01-31 2000-01-31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KR100314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569A KR100314175B1 (ko) 2000-01-31 2000-01-31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569A KR100314175B1 (ko) 2000-01-31 2000-01-31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381A true KR20000049381A (ko) 2000-08-05
KR100314175B1 KR100314175B1 (ko) 2001-11-16

Family

ID=1964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569A KR100314175B1 (ko) 2000-01-31 2000-01-31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175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42A (ko) * 2000-05-03 2000-08-05 전창호 인터넷을 무선 단말기로 이용할 때 주소록 기능을부여하여 한번 입력한 위치 정보를 차후에 사용할 때주소록에서 찾아 사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00054069A (ko) * 2000-05-17 2000-09-05 이춘호 전화와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전호번호관리 및 자동Call 서비스 시스템
KR20020015984A (ko) * 2001-10-04 2002-03-02 최순국 인터넷 기반의 휴대폰 전화번호부 저장 및 관리 방법
KR20020023936A (ko) * 2001-08-22 2002-03-29 김기천 네트웍 오거나이저 서비스
KR20020050547A (ko) * 2000-12-21 2002-06-27 정장호 무선단말기에 주소록 등록 방법
KR20020068759A (ko) * 2001-02-22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
KR20020090299A (ko) * 2002-05-18 2002-12-02 조승환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백업, 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5085A (ko) * 2002-11-06 2003-01-15 표철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정보의 자동 저장 방법
KR20030010838A (ko) * 2001-07-27 2003-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방법
KR20030030747A (ko) * 2001-10-1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정보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방법
KR100407177B1 (ko) * 2000-12-15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정보 관리 방법
KR100408036B1 (ko) * 2000-12-21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원격 정보검색 및 관리 방법
KR100442357B1 (ko) * 2001-09-05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에서 주소록 코드를 이용한 주소록 전송 방법
KR100696824B1 (ko) * 2005-07-28 2007-03-1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통합 자동 싱크 방법
KR100773620B1 (ko) * 2000-12-06 2007-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화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방법
KR100816640B1 (ko) * 2006-03-14 2008-03-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폰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854717B1 (ko) * 2003-12-01 2008-08-27 (주)한국아이바스 멀티 휴대폰, 이를 이용한 다중 번호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7660404B2 (en) 2002-12-07 2010-02-09 Pantech & Curi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474A (ko) * 2001-02-01 2002-08-09 황경자 무선을 이용한 개인정보통신단말기 명함(개인정보) 교환시스템 및 인터넷과 연계한 개인db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701B1 (ko) * 1998-04-08 2000-08-01 박성찬 다운로드기능을 갖춘 전화단말시스템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42A (ko) * 2000-05-03 2000-08-05 전창호 인터넷을 무선 단말기로 이용할 때 주소록 기능을부여하여 한번 입력한 위치 정보를 차후에 사용할 때주소록에서 찾아 사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00054069A (ko) * 2000-05-17 2000-09-05 이춘호 전화와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전호번호관리 및 자동Call 서비스 시스템
KR100773620B1 (ko) * 2000-12-06 2007-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화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07177B1 (ko) * 2000-12-15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정보 관리 방법
KR100408036B1 (ko) * 2000-12-21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원격 정보검색 및 관리 방법
KR20020050547A (ko) * 2000-12-21 2002-06-27 정장호 무선단말기에 주소록 등록 방법
KR20020068759A (ko) * 2001-02-22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안내 방법
KR20030010838A (ko) * 2001-07-27 2003-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 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방법
KR20020023936A (ko) * 2001-08-22 2002-03-29 김기천 네트웍 오거나이저 서비스
KR100442357B1 (ko) * 2001-09-05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에서 주소록 코드를 이용한 주소록 전송 방법
KR20020015984A (ko) * 2001-10-04 2002-03-02 최순국 인터넷 기반의 휴대폰 전화번호부 저장 및 관리 방법
KR20030030747A (ko) * 2001-10-1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정보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방법
KR20020090299A (ko) * 2002-05-18 2002-12-02 조승환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백업, 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5085A (ko) * 2002-11-06 2003-01-15 표철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정보의 자동 저장 방법
US7660404B2 (en) 2002-12-07 2010-02-09 Pantech & Curi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9124688B2 (en) 2002-12-07 2015-09-01 Pantech Co., Lt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8675844B2 (en) 2002-12-07 2014-03-18 Pantech Co., Lt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0854717B1 (ko) * 2003-12-01 2008-08-27 (주)한국아이바스 멀티 휴대폰, 이를 이용한 다중 번호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6824B1 (ko) * 2005-07-28 2007-03-1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통합 자동 싱크 방법
KR100816640B1 (ko) * 2006-03-14 2008-03-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폰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175B1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4175B1 (ko)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US20010044324A1 (en) Cellular telephone
US20060199598A1 (en) Text message based mobile phone security method and device
KR20000054371A (ko)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KR100438757B1 (ko)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KR20000037021A (ko) 인터넷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JP2008306721A (ja) ユーザの端末のメモリ内に格納された呼び出し番号のオペレータを識別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0174894A (ja) 携帯電話機
CN103095891A (zh) 一种快速录入名片信息的方法、装置及其终端
KR100365884B1 (ko) 무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명함 전송 방법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20040102614A (ko)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정보를 개인화된 가상 공간과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1004409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운용방법
KR100402792B1 (ko)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
KR20020008606A (ko) 전자명함 교환 서비스 방법
KR101016309B1 (ko) 폰북 정보가 공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63306B1 (ko) 통합통신 id의 통신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79161A (ko)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전송 방법
KR1004624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한개인정보관리 방법
KR100810752B1 (ko)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호접속 시스템과 호접속 방법
KR20020006267A (ko) 번호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79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관리 방법
KR10042213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전달방법
KR20010099066A (ko) 이동 전화기의 전화 번호 관리를 위한 네트웍 서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