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405A - 송신장치, 기록제어 시스템, 송신방법, 기록제어 방법,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송신장치, 기록제어 시스템, 송신방법, 기록제어 방법,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405A
KR20000048405A KR1019990062055A KR19990062055A KR20000048405A KR 20000048405 A KR20000048405 A KR 20000048405A KR 1019990062055 A KR1019990062055 A KR 1019990062055A KR 19990062055 A KR19990062055 A KR 19990062055A KR 20000048405 A KR20000048405 A KR 20000048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transmission
transmission control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986B1 (ko
Inventor
히라이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48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04Security; Encryption; Cont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22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obtained from a remote ser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41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input by a us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68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 G11B20/0068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said measures preventing that a usable copy of recorded data can be made on another medi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purchase a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11B20/0076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wherein copy control information is used, e.g. for indicating whether a content may be copied freely, no more, once, or never, by settin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저작권자와 사용자간의 이익과 손실의 밸런스를 이루는 데이터 송신용 송신장치가 공개되었다. 상기 송신장치는 송신속도의 지정을 제공하는 지정부와, 상기 지정부로 지정된 지정의 송신속도에 응답하여 데이터용 송신제어방법 중 하나를 가변적으로 이용하는 송신제어부와, 상기 송신장치의 사용자가 실행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송신제어수단으로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과금제어부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장치, 기록제어 시스템, 송신방법, 기록제어 방법,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Transfer apparatus, recording control system, transfer method, recording control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오디오신호 또는 비디오신호 등의 정보신호에 대한 송신장치, 기록제어장치, 송신방법 및 기록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컨텐츠(contents)가 대중화됨에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인 복제에 의한 저작권 침해가 문제되고 있다. 특히, 테이프 매체 또는 유사한 매체상에 기록하는 아날로그기록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복제는 데이터의 질을 열화시킨다. 이에 대하여,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에서는 원리적으로 복제에 의하여 정보의 품질을 열화시키는 문제를 발생하지 않고, 정보품질의 어떠한 열화없이 오랜 시간 정보의 복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지털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를 사용한 불법적인 복제에 의한 손상(damage)은 아날로그 형식의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크게 된다. 그러므로, 디지털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의한 불법적인 복제를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의 대응책으로는 디지털 컨텐츠(contents)에 복제제어를 위한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그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부정한 복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로서는, 오디오 컨텐츠의 1회의 복제는 허가되지만, 그 사본으로부터 더이상 복제는 금지되는 소위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라 불리우는 세대(generation)제한 복제제어시스템에 의한 저작권보호시책이 CD(Compact Disc), MD(Mini Disc: 상표), DAT(Digital Audio Tape) 등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SCMS의 복제제어시스템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디스크(1)에는 오리지널 소스(original source)의 오디오신호가 디지털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디스크(1)에 소정의 기록포맷으로 기록되어 있고, SCMS시스템에 따를 때에만 복제를 허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가정보가 예를 들면 디지털신호 중의 특정영역에 기록되어 있다.
재생장치(2)는 디스크(1)로부터의 신호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신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부가정보와 함께 재생된 오디오신호를 기록장치(3)에 송신한다. 이 경우에, 상기 재생장치(2)는 통상의 재생속도(통상 또는 표준속도)로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만큼과 동일한 시간에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기록장치(3)에 송신한다.
상기 기록장치(3)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부가정보가 복제를 한번 허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입력 디지털신호의 복제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기록장치(3)는 부가정보가 복제를 한번 허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한 후에, 디지털 신호를 기록가능한 디스크(4)에 복제기록한다. 이 때, 기록장치(3)는 "복제를 한번 허용한다"에서 "복제를 금지한다"로 부가정보를 재기입한다. 따라서, 기록가능디스크(4)에는 디지털신호의 복제기록이 실행되는 동시에 그 부가정보로서 "복제를 금지한다"의 정보가 디지털신호에 기록된다.
복제기록이 처음으로 실행되는 디스크(4)(제 1세대디스크)가 재생장치(5)에 의해 재생되어서 재생된 디지털신호가 기록장치(6)에 공급된 경우, 기록장치(6)에서는 부가정보가 복제를 금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기록가능한 디스크(7)상에 디지털신호를 기록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 때의 복제속도는 재생장치(2)로부터의 오디오신호의 송신속도와 동일하게 되고, 오디오신호를 표준재생시간에서 재생하는 노말(normal) 재생속도와 동일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SCMS시스템에서는 제 1세대의 복제가 허용될지라도, 제 1세대의 매체로부터의 제 2세대 복제를 금지정키는 제어에 의해 저작권보호를 이룩할 수 있다.
그러나, SCMS시스템에 의한 저작권보호는 제 2세대의 복제가 금지될지라도, 오리지널 소스(original source)로부터 제 1세대의 복제가 꽤 여러번 복제를 작성하도록 허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된 종래의 복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제에 필요한 시간이 표준재생시간과 동일하기 때문에, 복제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저작권보호에 대한 실제적인 손실은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상의 디지털 기록에 있어서는 종래 테이프의 아날로그 기록에 의한 복제와 비교하여 볼 때 고속의 복제가 신속하게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신호압축기술을 사용할 경우 또는 높은 비트 속도에서 오디오신호가 송신될 경우에도 멀티플 속도(multiple rate)에서의 복제가 가능하게 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고속의 복제가 허용될 경우, 제 1세대의 복제는 매우 빠른 시간에서 실행될 수 있고, 이것은 1개의 오리지널 소스로부터 단시간동안에 제 1세대의 대량의 복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저작권보호가 효과적으로 이룩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복제에 관한 기술적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종래보다도 더 엄격하게 복제를 제한하는 저작권보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측에 있어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복제를 엄격하게 제안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러나, 사용자측에 있어서는 상기 시스템은 지금까지 허용되었던 복제를 금지정키기 때문에 용인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복제를 엄격하게 제한하는 새로운 저작권보호 시스템을 새롭게 시장에 투입하는 기록장치를 채용한 경우, 종래의 기록장치에 의한 복제는 불법적인 이용으로 되기 때문에, 새로운 저작권보호 시스템을 채용한 기록장치는 시장에 수입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작권자측과 사용자측과의 사이에 이익과 손실에 있어서 밸런스(balance)를 이룩할 수 있는 송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된 목적을 이룩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는 송신속도의 지정을 제공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지정의 송신속도에 따라서 데이터에 대하여 송신제어방법 중의 하나를 변경할 수 있게 사용하는 송신제어수단과, 송신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과금처리에 따라서 송신제어수단에 의해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과금제어수단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 송신장치에따르면, 저작권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송신제어방법은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속도에 따라서 변경된다. 결과적으로, 저작권자와 사용자사이의 이익 및 손실에 균형을 이루는 저작권보호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은 동일한 부분 및 성분을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 첨부하는 도면과 연관하고 있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복제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복제제어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복제제어시스템의 처리동작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복제제어시스템의 재생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 사용되는 고속 복제를 위하여 대응된 기록장치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재생기 20. SCMS대응 기록기
30. 고속복제대응 기록기 11. 재생드라이브부
12. 스위치회로 13. 암호화 인증부
14. 과금시스템부 15. 키입력부
16. 시스템 제어부 31. 암호해독 인증부
32. 기록드라이브부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에서 본 발명은 정보신호에 대한 복제제어시스템에 적용된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에서 복제제어시스템은 정보신호로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사용하고, 종래의 복제제어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일련의 시간정보의 표준재생시간과 동일한 시간에서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속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복제속도에서 복제가 실행될 경우, 즉 등속으로 복제가 실행될 경우, 종래의 SCMS시스템과 동일한 SCMS시스템에 따른 저작권보호 시스템을 채용한다. 한편, 고속의 복제를 실행할 때에, 복제제어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요금지급이 승인되는 조건부로 복제를 허가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등속에서의 복제는 등속복제(normal rate copy)라고 칭하고 고속의 복제는 고속복제(high rate copy)라고 칭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제 1실시예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제제어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신호에 대한 복제제어시스템은 기록매체로서 예를 들면 CD(compact disc)를 사용하고, 재생장치(10), 종래의 SCMS대응 기록장치와 마찬가지의 SCMS대응 기록장치(20), 고속의 복제를 위한 대응기록장치(30)를 포함한다. 이 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서, 재생장치(10)로부터 기록장치(20) 또는 기록장치(30)에 송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압축데이터가 아니고, 베이스밴드 데이터이다.
재생장치(10)는 재생드라이브부(11), 스위치회로(12), 암호화 인증부(encrytion authentication)(13), 과금시스템부(14), 키입력부(15), 시스템 제어부(16)를 포함한다.
재생드라이브부(11)는 기록매체로서의 CD를 회전드라이브시켜서 CD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신호를 독출하고,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재생을 행한다. 재생드라이브부(11)의 드라이브속도는 시스템 제어부(16)로부터의 드라이브 제어신호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기록장치(20)는 이러한 방식으로 드라이브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재생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복제제어시스템에서 재생드라이브부(11)로부터의 재생디지털 오디오신호(Au)의 데이터 레이트(데이터 송신속도)는 드라이브속도에 따른다.
본 복제제어시스템의 경우, 재생장치(10)는 오디오신호가 표준재생시간에서 재생되는 노말속도와 CD가 2배이상의 높은 드라이브속도에서 회전하도록 구동되면서 오디오신호가 재생되는 멀티플(multiple) 속도사이의 재생드라이브속도로 변경시킬 수 있다. 멀티플 속도는 예를 들면 노말속도의 2배, 3배, 4배, 5배, … 등과 같이 고속의 드라이브 속도가다.
재생드라이브부(11)로부터의 재생디지털 오디오신호(Au)는 스위치회로(12)를 통하여 SCMS대응 기록장치(20)에 공급된다. 스위치 회로(12)는 재생드라이브부(11)로부터의 재생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SCMS대응 기록장치(20)에 송신하는가 송신하지 않는가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스위치회로(12)는 시스템 제어부(16)로부터의 전환제어신호(SW)에 의해 전환하도록 제어된다. 키입력부(15)로부터 시스템 제어부(16)에 입력되는 복제지정이 등속의 복제를 지정할 때에만, 시스템 제어부(16)는 스위치회로(12)를 제어하기 위하여 재생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SCMS대응 기록장치(20)에 공급하도록 온 상태로의 환제어신호(SW)를 성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복제지정이 고속의 복제일 경우, 스위치회로(12)는 스위치 오프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재생디지털 오디오신호(Au)가 SCMS대응 기록장치(20)에 공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SCMS대응 기록장치(20)는 상술된 SCMS시스템에 따라서 저작권보호를 위한 복제제어를 실행하는 기록장치이며, 등속에서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제 1세대의 복제를 여러번 실행할 수 있다. 특히, SCMS시스템의 부가정보가 "복제가 한번 허용된다"일 경우, SCMS대응 기록장치(20)는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복제기록을 실행한다. 기록장치(20)와 함께 사용하는 기록매체로서는 자기테이프, MD(Mini Disc: 상표), 광디스크, 자기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또는 자기 메모리 등의 광자기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재생드라이브부(11)로부터의 재생디지털 오디오신호(Au)는 암호화 인증부(13)를 통하여 고속의 복제대응 기록장치(30)에 송신된다. 고속의 복제대응 기록장치(30)는 암호화 인증부(13)와 쌍을 이루는 암호화 인증부(31)와, 기록드라이브부(32)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기록매체중 어느것도 기록드라이브부(32)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기록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암호화 인증부(13)는 시스템 제어부(16)의 제어하에 암호화 인증부(31)를 인증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기록장치(30)가 본 실시예의 저작권보호 시스템에 대하여 합법적으로 대응된 기록장치인지 아닌지를 인증하는 인증처리을 실행한다. 인증이 확립되면 암호화 인증부(13)는 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기록장치(30)에 송신한다. 암호화 인증부(13)는 암호키(cryptographic key)의 정보를 또한 공급함으로써 암호화된 디지털 오디오신호(Au)의 암호를 해독을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인증(authentication)이 확립되지 않으면, 암호화 인증부(13)는 기록장치(30)에 암호키의 정보를 송신하지 않거나 또는 기록장치(30)에 암호화된 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송신하지 않는다. 암호키가 이용될 수 없을 경우, 기록장치(30)는 암호화된 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암호해독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복제기록을 실행하지 못한다.
또한, 본 복제제어 시스템에서 비록 재생장치(10)가 기록장치(30)의 인증에 성공할지라도, 암호키의 정보를 반드시 전달하는 것은 아니고 또는 모든 경우에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기록장치(30)에 송신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사용자로부터의 복제지정이 등속의 복제를 나타내고 기록장치(30)의 인증이 확립될 경우에만 시스템 제어부(16)는 암호키가 기록장치(30)에 도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복제지정이 디지털 오디오신호(Au)의 고속 복제를 나타낼 경우, 시스템 제어부(16)는 과금시스템부(14)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과금의 승인이 획득될 때에만, 암호키가 기록장치(30)에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디지털 오디오신호(Au)가 송신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로부터의 과금의 승인은 예를 들면 선불카드에 의한 고속 복제를 위한 요금의 지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과금시스템부(14)는 카드판독기 등을 포함한다.
또, 과금시스템부(14)가 전화회선과 같은 통신선로를 통하여 과금센터에 접속될 경우, 신용카드의 카드번호가 과금센터에 송신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과금의 승인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되어도 좋다.
더욱이, 사용자가 미리 소정의 관리센터에 회원으로서 등록될 경우, 사용자의 기록장치(30)에 의한 고속복제시에 사용자의 회원자격에 대한 조회가 사용자의 기록장치(30)의 식별번호 또는 사용자의 ID로 관리센터에서 행해질 수 있고, 긍정적인 확인이 얻어질 경우 사용자의 과금의 승인이 획득된 것을 식별한다. 본 예에서, 과금은 나중에 지불된다.
도 2에 나타낸 시스템에서, 재생장치(10)의 시스템 제어부(16)는 복제가 행해질 경우 재생장치(10)와 기록장치(20) 또는 기록장치(30)를 제어함으로써, 그들을 각각 서로 동기하여 재생상태 및 기록상태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16)는 재생커맨드(PB)를 재생드라이브부(11)에 공급하고, 기록커맨드(REC)를 서로 동기하여 기록장치(20) 또는 기록장치(30)에 공급한다. 또한, 예를 들면 CD로부터 MD까지 등의 동기기록이 상술된 기록동작에 포함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보호시책에 의해, 복제속도에 따른 저작권보호, 즉 비교적 엄격한 저작권보호는 복제속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에 이룩될 수 있다. 특히, 상술된 복제제어 시스템에서 등속의 복제를 실행하기 위한 시도가 행해질 경우, 종래의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복제제어 시스템에 의한 복제가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고속 복제는 소정의 과금이 지불될 때에만 가능하게 된다.
도 2의 복제제어시스템의 복제동작은 도 3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의 플로우챠트는 재생장치(10)의 시스템 제어부(16)에서의 처리동작에 대응한다.
우선, 단계(S101)에서 키입력부(15)로부터의 키입력이 복제지정인지 아닌지를 식별한다. 키입력이 복제지정이 아닌 경우, 제어는 단계(S110)으로 진행하여 키입력에 대응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S101)에서 식별의 결과 키입력이 복제지정일 경우에는 단계(S102)로 진행하여 기록장치(20) 및 기록장치(30) 중의 하나를 복제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사용자가 복제지정의 키입력을 실행할 경우, 사용자는 키입력부(15)를 통하여 기록장치 중 어느것을 복제기록하기 위하여 사용할지를 입력 한다. 따라서, 단계(S102)에서는 키입력으로부터 기록장치 중 어느것이 복제하기 위하여 사용될지를 식별한다.
재생장치(10)는 기록장치(20) 또는 기록장치(30)가 연결되었는지 연결되지 않았는지를 인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기록장치(20) 또는 기록장치(30)가 재생장치(1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재생장치(10)에 연결되지 않은 재생장치를 사용하는 복제지정은 무시된다.
단계(S102)에서 시스템 제어부(16)에 의한 식별의 결과, 기록장치(20)가 재생장치(10)에 연결된 것을 나타낼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03)으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복제지정이 등속 복제(노말(normal) 속도재생) 또는 고속복제(멀티플 속도재생)인지를 식별한다. 복제지정이 고속 복제인 것으로 식별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08)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스위치회로(12)를 스위치 오프하고 나서, 단계(S109)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복제가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단계(S103)에서 복제지정이 등속의 복제인 것으로 시스템 제어부(16)에 의해 식별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04)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스위치회로(12)를 온상태로 제어하고 나서, 단계(S105)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재생커맨드(PB)를 재생드라이브부(11)에 보내고, 재생커맨드(REC)를 기록장치(20)에 보낸다. 그 후에, 상기 제어는 단계(S106)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기록장치(20)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는 단계(S107)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이미 결정된 입력의 식별을 위한 시간간격이 경과되었는지 경과되지 않았는지를 식별하고, 시간간격이 경과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01)로 진행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6)는 단계(S101)에서 키입력 커맨드의 상태가 복제지정을 그대로 유지하는지 유지하고 있지 않은지를 식별한다. 키입력 커맨드가 복제지정을 유지하고 있을 경우, 상술된 단계(S102)로 시작하는 단계에서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다른 키가 조작된 것을 식별할 경우, 예를 들면 정지키가 조작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10)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하고, 키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된 기록장치(20)에 의한 등속의 복제가 실행될 경우, 재생드라이브부(11)의 드라이브속도는 통상의 재생속도가기 때문에, 기록장치(20)에 공급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의 송신속도는 통상의 재생속도와 같다. SCMS대응 기록장치(20)는 재생장치(1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수신하고, 그 신호에 포함된 SCMS를 위한 부가정보를 검출하고, 그 부가정보가 "복제를 한번 허용한다"일 경우 복제를 실행한다. 그러나, 부가정보가 "복제를 금지한다"를 나타낼 경우, 기록장치(20)는 복제기록을 정지한다.
그리고, 단계(S102)에서 고속 복제를 위하여 대응된 기록장치(30)가 지정된 것으로 식별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11)로 진행하여 기록장치(30)가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을 따르는 것인지의 인증을 위한 데이터가 재생장치(10)로부터 암호화 인증부(13)를 통하여 기록장치(30)에 송신된다.
본 예에서, 기록장치(30)가 복제제어시스템을 따르는 기록장치일 경우, 소정의 신호가 기록장치(30)로부터 재생장치(10)에 반송된다. 따라서, 단계(S112)에서 시스템 제어부(16)는 소정의 신호가 기록장치(30)로부터 반송되었는지 반송되지 않았는지를 식별한다. 소정의 신호가 기록장치(30)로부터 반송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어는 복제기록이 금지된 것을 나타내는 알람이 발생되고, 시스템은 정지상태로 된다.
단계(S112)에서 소정의 신호가 기록장치(30)로부터 반송된 것을 식별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14)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복제지정이 등속의 복제 또는 고속의 복제인지를 식별한다. 단계(S114)에서 복제지정이 고속의 복제인 것을 식별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15)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사용자에 의한 과금의 승인이 획득되었는지 획득되지 않았는지를 식별한다.
단계(S115)에서 과금의 승인이 획득되지 않은 것을 식별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13)로 진행하여 복제기록이 금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알람이 발생되고, 시스템은 정지상태로 된다. 한편, 단계(S115)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요금의 지불이 승인이 획득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16)로 진행한다. 그 동안에, 단계(S114)에서 복제지정이 등속의 복제를 나타내는 것을 식별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15)를 지나쳐 단계(S116)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S116)에서 시스템 제어부(16)는 재생커맨드(PB)를 재생드라이브부(11)에 보내고, 기록커맨드(REC)를 기록장치(30)에 보낸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6)는 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디지털 오디오신호(Au)를 기록장치(30)에 송신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6)는 암호해독을 위하여 암호키를 기록장치(30)에 보낸다.
다음으로, 단계(S116)에서 상기 제어는 단계(S107)로 진행하여 시스템 제어부(16)는 이미 결정된 키입력의 식별을 위하여 시간간격이 경과되었는지 경과되지 않았는지를 식별한다. 상기 시간간격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01)로 되돌아 간다. 그리고, 단계(S101)에서 시스템 제어부(16)는 키입력 커맨드가 복제지정을 그대로 유지하는지 유지하고 있지 않는지를 식별한다. 키입력 커맨드가 복제지정을 유지하고 있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16)는 상술된 단계(S102)에서 시작하는 단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다른 키가 새롭게 조작된 것을 식별할 경우, 예를 들면 정지키가 조작될 경우, 상기 제어는 단계(S110)로 진행하여 키에 대응하는 처리인 정지처리가 재생장치(10)에 의해 실행된다.
기록장치(30)의 인증이 확립되고 복제지정이 고속 복제를 나타내고 요금청구의 승인이 획득된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암호키가 기록장치(30)에 보내지기 때문에, 재생장치(10)로부터 수신되어 암호화된 디지털 오디오신호(Au)가 기록장치(30)의 암호해독 인증부(31)에 의해 암호해독된다. 그리고, 기록장치(30)에서 부호해제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기록드라이브부(32)에 공급되고, 그것에 의해 복제기록이 실행된다. 본 예에서, 기록드라이브부(32)는 송신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정보신호의 기록을 실행한다. 따라서, 송신속도가 높을 경우, 고속의 복제기록이 실행된다.
또한, 기록드라이브부(32)는 정보신호가 기록되는 기록매체상이 또다른 복제를 금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고속 복제에 의해 작성된 기록매체로부터의 복제가 금지된다.
이런식으로, 고속의 복제는 사용자가 복제에 대한 요금을 지불할 경우에 가능하다. 저작권 보호는 SCMS시스템의 종래의 복제제어시스템에 비하여 더 엄격할지라도, 고속 복제가 가능한 잇점을 고려할 경우, 본 복제제어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실용적인 가치를 갖는다. 한편, 저작권자에게는 고속으로 복제가 작성되는 경우에는 요금이 징수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으로 제 1세대의 복제가 행해질지라도, 그것에 대응하는 저작권보호가 도모될 수 있다.
제 2실시예
상술된 제 1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서, 고속복제는 재생드라이브부(11)에 의해 기록매체의 드라이브속도를 고속으로 설정하여 디지털 오디오신호(Au)의 데이터송신 레이트를 고속으로 함으로써, 높은 송신레이트에서 디지털 오디오신호(Au)가 기록장치(30)에 공급되도록 실행된다. 그러나, 압축데이터의 신호가 디지털 오디오신호로서 사용되는 경우, 데이터송신 레이트가 등속의 복제의 경우와 동일할지라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은 단시간내에 실행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기록장치에 의한 고속복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 제 2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은 고속의 복제속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압축데이터의 형식으로 유지되는 데이터의 복제를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된 제 1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과 동일한 기본적인 블록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은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오디오신호가 기록장치(10)로부터 SCMS대응 기록장치(20)에 송신된다는 점에서 제 1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과 유사할지라도, 재생장치(10)로부터 기록장치(30)에 송신되는 데이터가 압축데이터라는 점에서 제 1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과는 다르다.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을 예를 들면 복제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되지 않은 디스크상에 복제대상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과 연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종래에 잘 알려진 ATRAC(Adaptive Transform Acostic Coding)방법 또는 MPEG(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오디오 압축방법에 따라서 압축되는 데이터의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제 2실시예에서의 재생장치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서의 재생장치의 구조의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생장치는 전체를 (100)으로 나타낸다. 재생기(100)에 장착된 복제대상 디스크(101)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오디오 데이터는 독출부(102)에 의해 독출되고, 데이터신장 디코딩부(103)에 공급되고, 그것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신호(Au)로 압축해제 및 디코드된다.
데이터신장 디코딩부(103)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Au)는 디지털신호에 대하여 종래에 인터페이스로 사용된 IEC958(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958)을 통하여 스위치회로(104)를 통하여 출력단자(106)에 도출된다.
상술된 SCMS대응 기록장치(20)는 출력단자(106)에 연결된다.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신호(Au)는 제 1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SCMS대응 기록장치(20)에 공급되고, 종래의 SCMS시스템과 유사한 SCMS시스템에 의해 등속의 복제제어가 제 1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SCMS대응 기록장치(20)에 의해 실행된다.
본 제 2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의 재생기(100)에서, 독출부(102)로부터 압축상태의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는 암호화부(107)와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1394 인터페이스(108)를 통하여 출력단자(109)에 도출된다. 고속 복제대응 기록장치(300)는 출력단자(109)에 연결된다. 본 예에서, IEEE1394 안전버스에 의해 압축된 디지털 출력의 불법적인 복제의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독출부(102)로부터의 데이터는 SCMS 디코딩부(111)에 공급되고, 그것에 의해 압축데이터에 포함된 SCMS시스템의 복제제어에 대한 부가데이터가 디코드된다. 그리고, 디코드된 데이터의 출력이 제어부(110)에 공급된다. 부가데이터의 디코드된 출력은 복제대상 디스크(101)의 데이터복제가 한번 가능한가 혹은 복제금지인가를 나타내고, 제어부(110)는 디코드된 출력이 어떤 상태를 나타내는가를 식별한다.
독출부(102)로부터의 데이터는 먼저 암호화부(107)에 공급되고, 그것에 의해 각 통신에 대하여 다른 암호키에 기초한 암호화가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압축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실행된다. 암호화부(107)로부터 암호화된 데이터는 출력단자(109)를 지나서 IEEE1394 인터페이스(108)를 통하여 출력수신지의 전자장치인 고속복제대응 기록장치(300)에 공급된다. IEEE1394 인터페이스(108)는 IEEE1394 인터페이스 표준에 적합하도록 암호화부(107)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변환함으로써, 압축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110)는 IEEE1394 인터페이스(108)를 통하여 출력수신지의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출력수신지의 장치가 IEEE1394 안전버스 규격(그러한 장치를 이하에서는 컴플리언트(complinat) 장치라고 칭한다)에 적합한 장치인가를 식별하고, 출력수신지의 장치가 컴플리언트 장치일 경우에는 그 장치가 기록장치인지 아닌지를 식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의 재생기(100)에서, 제어부(100)는 SCMS 디코딩부(111)에서의 복제제어정보의 식별출력과 IEEE1394 인터페이스(108)를 통하여 수신된 출력수신지의 장치의 식별정보로부터, 암호화부(107)에 의해 실행된 암호화처리를 해제하기 위하여 암호키 정보를 출력수신지에 송출하는가 아닌가를 결정해야만 한다.
예를들면, 출력수신지의 장치가 컴플리언트 장치가 아니면 암호키정보는 상기 출력수신지장치에 전달되지 않는다. 반면, 상기 출력수신지장치가 컴플리언트 장치라도, 기록장치이면 암호키정보는 SCMS디코딩부(111)로부터의 복제제어정보가 "복제금지"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출력수신지장치로 전달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요금부가의 승인정보가 제어부(110)에 의한 과금인증부(116)로부터 얻어지지 않으면 암호키 정보는 상기 출력수신지장치로 전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과금인증부(116)는 카드기록기(115)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선불한 카드(114)를 카드기록기(115)에 장전시키면, 과금인증부(116)는 고속 복제용 요금이 선불된 카드의 밸런스(balance)로부터 지불되도록 제어한다. 고속 복제용 과금이 수행되면, 과금인증부(116)는 사용자의 요금 승인이 얻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이것을 나타내는 요금 승인 정보가 제어부(110)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키입력부(113)는 사용자로 하여금 등속 복제 또는 고속 복제의 지정을 입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의 고속제어시스템의 고속 복제는 IEEE1394를 통하여 압축된 데이터 그대로의 복제를 의미하고 있다. 반면, 등속 복제는 IEC958를 통한 베이스밴드의 오디오 데이터의 복제를 의미한다.
본 복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키입력부(113)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등속 복제 및 고속 복제 중 하나의 지정은 단지 출력단자의 지정 또는 출력수신지의의 기록장치의 지정인 것을 주의한다. 또는, 지정은 베이스밴드 송신 또는 압축데이터 송신의 지정일 수 있다.
본 복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부수정보는 IEEE1394 인테페이스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의 송신으로 송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들면 본 복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MD의 UTOC(User Table of Contents)에 기록된 음악데이터 명칭(타이틀) 정보는 독출부(102)로 독출되며, 제어부(110)는 식별정보발생부(112)에 정보를 전달한다. 그래서, 제어부(110)는 음악데이터의 명칭(타이틀) 등의 정보를, 대응하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에 포함될 수 있도록, 암호화부(107)를 통해 IEEE1394인테페이스(108)로 송출하도록 상기 정보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복제가 실행되면, 또한 음악데이터의 명칭(타이틀)은 압축 오디오데이터와 함께 복제된 MD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은 아날로그 출력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주의한다. 그러나, 본 예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출력은 SCMS시스템의 복제제어정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아날로그신호 형태의 오디오신호의 복제는 자유롭게 실행될 수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의 제어부(110)는 SCMS디코딩부(111)로 검출된 복제제어정보의 컨텐츠와 동일한 주요 컨텐츠를 가지는 복제제어신호가 베이스밴드의 오디오신호에 전기적인 워터마크(watermark)정보(WM)로서 중첩되도록 제어한다.
특히, 데이터압축 디코딩부(103)로부터의 베이스밴드의 오디오신호는 전기적 워터마크정보(WM)의 부가부(121)에 공급된다. 더욱이, SCMS디코딩부(111)로 검출된 복제제어 부가정보의 컨텐츠와 동일한 주요 컨텐츠를 가지는 복제제어신호는 제어부(110)로부터 전기적 워터마크정보(WM)의 부가부(121)에 공급된다. 전기적 워터마크정보(WM)의 부가부(121)는 오디오데이터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 방법으로 복제제어신호를 오디오 데이터에 중첩한다. 예를 들면, 전기적 워터마크정보(WM)를 부가하는 처리에 대해서 복제제어신호를 베이스밴드에 끼워 넣도록 하는 스펙트럼 확산에 의해 복제제어신호를 확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전기적 워터마크정보(WM)부가부(121)로부터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되는 D/A컨버터(122)로 공급되며, 아날로그오디오신호는 출력단자(123)를 통해서 외부 전자장치로 출력된다.
이제는 복제에 관해 상기 기술된 재생기(100)의 조작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등속 복제를 선택하면, 스위치회로(104)는 제어부(110)에 의해 전환되며, 베이스밴드의 오디오신호(Au)는 출력단자(106)를 지나 IEC958인터페이스(105)를 통해서 SCMS시스템에 의해 종래 복제제어와 마찬가지의 복제제어가 실행된 SCMS대응 기록장치(20)에 공급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고속복제를 선택하면, 스위치회로(104)는 제어부(110)로 전환된다. 그래서, 제어부(110)는 출력수신지의용 소정의 인증용 신호를 IEEE1394 인터페이스(108)를 통해서 기록장치(300)로 송출한다. 만약 출력수신지장치가 컴플리언트(compliant) 기록장치이면, 인증용 소정의 응답신호는 IEEE1394인테페이스(108)를 통해서 출력수신지장치로부터 반환되며, 결과적으로 제어부(110)는 응답신호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압축오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암호화부(107)를 제어하고 상기 암호화된 압축오디오 데이터를 IEEE1394인터페이스(108)를 통해서 출력수신지장치로 공급한다. 그러나, 만약 출력수신지장치가 컴플리언트장치가 아니면, 제어부(110)는 암호해독용 암호키를 출력수신지장치로 전달하지 않는다. 반면에, 출력수신지장치가 컴플리언트장치이면, 제어부(110)는 출력수신지장치가 기록장치인지의 여부를 식별한다. 그리고, 만약 출력수신지장치가 기록장치이면, 제어부(110)는 SCMS디코딩부(111)로부터 복제제어정보를 지정하고, 만약 복제제어정보가 "복제금지"를 지정하면, 제어부(110)는 암호키가 상기 출력수신지장치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출력수신지장치가 컴플리언트 기록장치이며 복제제어정보가 "복제허가" 또는 "1회 복제허가"를 나타내면, 제어부(110)는 과금인증부(116)로부터 과금인증정보를 참조하고, 사용자에 의해 과금의 승인이 얻어지면, 제어부(110)는 암호키가 출력수신지장치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컴플리언트 기록장치인 고속 복제대응 기록장치(300)는 압축오디오 데이터의 복제 즉 고속복제를 실행하도록 한다. 압축오디오 데이터는 SCMS시스템의 복제제어신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SCMS시스템에 의한 복제제어도 또한 고속 복제대응 기록장치(300)에 의해 실행됨을 주의한다.
컴플리언트 기록장치
이어서, 컴플리언트 장치인 기록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컴플리언트 기록장치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컴플리언트 기록장치는 전체로 도면부호(300)로 나타내고 IEEE1394 인터페이스용 디지털 입력단자(301) 및 아날로그 입력단자(306)를 갖는다. 디지털 입력단자(301)는 IEEE1394 인테페이스(302)에 연결된다. IEEE1394 인터페이스(302)는 1394버스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르도록 변환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하여 원래의 형태로 데이터를 되돌린다.
IEEE1394 인테페이스로부터의 데이터는 암호해독부(303)로 공급된다. 상기 기술된 것처럼, 디지털 입력단자(301)에 연결된 장치는 정보신호의 복제가 허가되는 것을 식별하고, 정보신호의 암호해독용 암호키는 장치로부터 송출된다. 이러한 암호키 정보가 얻어지면, 암호해독부(303)는 압축오디오데이터를 재저장하도록 IEEE1394 인터페이스(302)로부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다. 저장된 압축오디오 데이터는 선택기(304)에 공급된다.
반면에, 아날로그입력단자(306)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307)를 통해서, 압축엔코딩부(308)로 공급되정보가 압축되어, 이 압축된 비디오정보는 선택기(304)에 공급된다.
선택기(304)는 선택적으로 암호해독부(303)로부터의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선택에 대응하는 선택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압축엔코딩부(308)로부터의 데이터중 하나를 출력한다. 선택기(304)의 출력데이터는 SCMS재기입부(311)를 통해서 기록제어부(312)로 공급된다.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가 디지털 입력단자(301)로부터 입력되고 SCMS시스템의 복제제어정보가 "복제금지" 를 나타내면, 암호키는 디지털 입력단자(301)에 연결된 재생장치로부터 고속 복제대응 재생장치(300)로 송출되지 않으며, 암호화된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해독될 수 없고 복제는 재생 제어선택기(312)에 의해 금지된다.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가 암호해독부(303)에 의해 해독되면, 복제제어정보는 "복제허가" 또는 "1회복제 허가"를 나타내고, 기록제어부(312)는 기록을 실행하도록 기입부(313)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비기록 디스크(314)에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의 복제 기록은 기입부(313)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복제 기록에 대해서, SCMS시스템의 복제제어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CSMS재기입부(311)에 의해 재기입된다. 특히, 암호해독부(303)로부터의 데이터는 SCMS디코딩부(305)에 공급되어 복제제어정보가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추출된다. 추출된 복제제어정보는 제어부(310)에 공급된다. SCMS시스템의 복제제어정보가 "복제허가(복제프리(free))"를 나타내면, 제어부(310)는 복제제어정보의 재기입이 불필요함을 판단하지만, 복제제어정보가 "1회복제허가"를 나타내면, 제어부(310)는 복제제어정보를 "복제금지"로 재기입하도록 SCMS재기입부(311)를 제어한다.
계속해서, 아날로그 입력단자(306)를 통해서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의 복제를 기술한다.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상기 기술한 것처럼 재생기(100)에 의해 전기적 워터마크정보(WM)로서 거기에 중첩된 복제제어정보를 갖는다. 전기적 워터마크정보(WM)는 전기적 워터마크정보 복호부(309)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부(310)에 공급된다.
제어부(310)는 입력정보의 기록(복제)이 허가되는지의 여부를 전기적 워터마크의 식별출력에 의거해 식별한다. 더욱이, 기록(복제)이 허가되는 것을 식별하면, 제어부(310)는 복제제어정보의 재기입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식별한다.
특히, 제어부(310)가 전기적 워터마크정보(WM)에 의거해 기록이 금지된 것으로 식별하면, 디스크(314)에 기록되지 않도록 기록제어부(312)와 기록부(313)를 제어한다.
반면에, 제어부(310)가 복제허가(복제프리)인 전기적 워터마크에 의거해 식별하면, 기록이 실행되도록 기록제어부(312)와 기록부(313)를 제어한다. 이 때, 기록제어부(312)로부터 출력된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가 SCMS재기입부(311)를 통과하지만, SCMS정보의 재기입은 SCMS재기입부(311)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어부(310)가 전기적 워터마크정보(WM)에 의거해 복제가 1회 허가(1회 복제)된 것으로 식별하면, 기록이 실행되도록 기록제어부(312)와 기록부(313)를 제어하고, SCMS정보가 "복제 금지"로 재기입되도록 SCMS재기입부(311)를 또한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의 형태
고속 복제에 적용될 수 있는 저작권 보호용의 엄밀한 복제제어로서,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복제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단일복제 시스템은 동일한 컨텐츠가 하나의 기록장치로 1회만 복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특히, 단일복제 시스템에 있어서, 복제가 기록장치에 의해 실행되면, 컨텐츠(ID)는 기록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후에 동일한 컨텐츠를 복제하라는 지정이 기록장치에 입력되면, 동일한 컨텐츠의 복제가 금지된다.
또한, 여기에 다른 시스템을 채용할 수 있고, 요금이 지불되면 고속복제에 의한 복제가 여러번 허가되지만, 요금이 지불되지 않으면 동일한 컨텐츠의 복제는 상기 기술한 단일복제 시스템에 따라서 1회만 허가된다.
반면에, 과금시스템으로서, 선불 카드를 사용하는 시스템 뿐만 아니라 전화회선 또는 상기 기술된 것과 같은 과금 인증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요금 부가의 대상인 컨텐츠 정보가 부가적으로 과금센터로 송출되면 각 콘텐트에 대해서 과금을 실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술된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은 오디오신호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반면에, 복제 대상의 정보신호는 선택적으로 비디오신호, 제어신호 또는 텍스트신호일 수 있다. 더욱이 선택적으로, 복제 대상의 정보신호는 예를들면 오디오신호로서 시간계열신호 또는 컴퓨터 데이터로서 비디오신호가 아닌 정보신호일 수 있다.
게다가, 정보출력장치는 상기 기술된 것처럼 재생장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모리에 복제 대상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읽어내어 재생장치로 출력하는 어떤 장치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기술한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재생장치의 재생드라이브에 의해 매체로부터 다른 매체로 독출된 데이터의 복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FM네트워크가 수신되어 기록장치로 송출되는 것에 대해서 디지털 데이터가 분배되는 기록제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술된 실시예의 복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과금처리는 재생장치측에서 실행된다. 그러나, 과금처리는 또한 복제가 금지되는 데이터에 관해서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암호해독용 키의 재생이 과금처리에 따라서 허가될 수 있도록 기록장치측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기록재생장치의 제어기는 송신이 금지된 데이터 송신이 허가되도록 재생장치측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구체적인 용어를 이용하여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술은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변경 및 전환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진위와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제대상의 정보신호의 송신속도에 따라서 저작권보호를 위하여 복제제어방식을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저작권자의 손익과 사용자의 손익의 밸런스를 취한 저작권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32)

  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있어서,
    데이터가 송신되는 송신속도의 지정을 제공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제공된 송신속도의 지정에 대응하여 데이터용 송신제어방법 중 하나를 가변적으로 이용하는 송신제어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상기 송신장치의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과금제어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송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수단은 송신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저작권 보호의 강도가 더 높아지는 송신 제어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송신제어방법은 송신이 금지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제어방법은 상기 암호화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 데이터가 송신되고 상기 암호된 데이터의 암호해독용 키의 송신이 제어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매체에 기록할 때 이를 제어하는 정보를 데이터에 부가하는 부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제어수단은 상기 부가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에 부가되는 기록제어정보가 제어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제어수단은 사용자에 의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제어방법으로 송신금지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제어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송신제어방법으로 키의 송신 금지를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제어수단은 사용자에 의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제어방법에 의해 데이터에 부가되는 기록제어정보를 매체에 데이터 기록을 허가하는 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처리수단은 요금정보가 기록되는 사용자 대상의 부가정보에 대응하여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처리수단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송신장치와 통신가능하고 소정의 사용자에 대해서 과금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과금시스템에 의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이 데이터의 표준 재생속도와 동일한 송신속도를 나타내는 지시를 제공할 때, 상기 송신제어수단은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을 제 1세대에만 한정하는 송신제어방법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송신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속도는 상기 독출수단의 독출속도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압축상태로 기록되는 기록매체로부터 압축데이터를 읽어내는 압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독출수단의 독출레이트가 표준속도인 경우에도 상기 송신속도는 표준속도보다는 대체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전기적 워터마크로서 기록제어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수단은 아날로그 데이터로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6. 데이터가 송신되고 상기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기록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송신되는 송신속도의 지시를 제공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제공된 송신속도의 지시에 대응하여 데이터용 송신제어방법 중 하나를 가변적으로 이용하는 송신제어수단과,
    상기 송신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과금제어수단과,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는 수신레이트에 대응하여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제어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속도가 데이터의 표준 재생속도보다 높을 때, 상기 송신제어수단은 상기 암호수단에 의해 암화화된 암호데이터와 상기 암호데이터를 해독하는데 사용되는 키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제어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수단으로부터 수신된 키데이터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도록하는 해독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제어시스템.
  19. 제 16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매체에 기록할 때 이를 제어하는 정보를 데이터에 부가하는 부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제어수단은 상기 부가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제어정보가 부가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록제어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부가수단에 의해 부가된 기록제어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제어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매체의 상기 압축된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제어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부가되는 상기 기록제어정보를 재기입하는 재기입수단을 더 포함하고,
    기록제어정보가 상기 재기입수단에 의해 재기입되는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제어시스템.
  22.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인테페이스의 지시를 제공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제공된 인터페이스의 지시에 대응하여 데이터용 송신제어수단 중 하나를 가변적으로 이용하는 송신제어수단과,
    상기 송신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제어수단에 의한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과금제어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3.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신되고 상기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어 매체에 기록되는 기록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지시를 제공하는 지시수단과,
    상기 지시수단에 의해 제공된 인터페이스의 지시에 대응하여 데이터용 송신제어방법 중 하나를 가변적으로 이용하는 송신제어수단과,
    상기 송신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송신된 과금처리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제어수단에 의해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과금제어수단과,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는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매체의 데이터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과,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제어시스템.
  24.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데이터가 송신되는 송신속도의 지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지시레이트의 송신속도에 대응하여 데이터용 송신제어방법중 하나를 가변적으로 이용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25. 데이터가 송신되고 상기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어 매체에 기록되는 기록제어방법에 있어서,
    데이터가 송신되는 송신속도의 지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지시의 송신속도에 대응하여 데이터용 송신제어방법중 하나를 가변적으로 이용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제어방법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는 수신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매체의 데이터 기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제어방법.
  26.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지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 지시에 대응하여 데이터용 송신제어방법중 하나를 이용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27.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신되고 상기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어 매체에 기록되는 기록제어방법에 있어서,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 지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 지시에 대응한 데이터용 송신제어방법중 하나를 가변적으로 이용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송신제어방법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는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제어방법.
  28.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레이트에 대응하여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과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에 의한 기록제어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암호화된 데이터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의 암호해독에 사용되는 키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키데이터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암호해독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해독된 데이터를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기록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기록제어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기록제어정보에 대응하여 매체에 상기 압축된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부가되는 기록제어정보를 재기입하는 재기입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기록제어정보가 상기 재기입수단에 의해 재기입되는 데이터를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2.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송신된 데이터가 수신되는 수신속도에 대응하여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과금처리에 대응하여 기록제어를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기록방법.
KR1019990062055A 1998-12-28 1999-12-24 송신장치, 기록제어 시스템, 송신방법, 기록제어 방법,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KR100690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267598A JP4025941B2 (ja) 1998-12-28 1998-12-28 情報信号の複製制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出力装置
JP98-372675 199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405A true KR20000048405A (ko) 2000-07-25
KR100690986B1 KR100690986B1 (ko) 2007-03-08

Family

ID=1850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055A KR100690986B1 (ko) 1998-12-28 1999-12-24 송신장치, 기록제어 시스템, 송신방법, 기록제어 방법,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39503B1 (ko)
EP (1) EP1016948B1 (ko)
JP (1) JP4025941B2 (ko)
KR (1) KR100690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5062A3 (en) 1998-12-11 2016-10-19 Sony Corporation Technique for controlling copying of data
JP4312287B2 (ja) 1998-12-28 2009-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
KR100758077B1 (ko) * 1999-12-28 2007-09-1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기록장치, 재생장치, 데이터처리장치, 기록재생장치, 데이터송신장치, lsi
JP4348818B2 (ja) * 2000-03-10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配信システムとその方法およびデータ記録媒体
JP3573685B2 (ja) * 2000-05-19 2004-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再生記録装置
JP4214347B2 (ja) * 2000-10-04 2009-01-2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出力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装置
JP4156188B2 (ja) 2000-10-20 2008-09-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情報出力記録システム及び情報出力記録方法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2297452A (ja) * 2001-03-30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制御方法、及び不正防止システム
JP2003122726A (ja) * 2001-06-07 2003-04-25 Hitachi Ltd コンテンツ制御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
JP2004104470A (ja) * 2002-09-10 2004-04-02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40250065A1 (en) * 2003-05-24 2004-12-09 Browning James V. Security software code
JP4385099B2 (ja) * 2003-12-03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送受信装置及びストリーム出力装置
KR100784688B1 (ko) * 2005-01-26 2007-1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독립 인증 수단을 가지는 콘텐츠 실행 디바이스 콘텐츠 실행 방법 및 콘텐츠 재배포 방법
JP4364161B2 (ja) * 2005-05-31 2009-11-11 株式会社東芝 受信装置、番組記録制御装置、番組記録制御方法および番組記録システム
US20070169201A1 (en) * 2006-01-17 2007-07-19 Walker Glenn A Satellite digital audio radio receiver with playback capability
US8566695B2 (en) 2007-03-30 2013-10-22 Sandisk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access to digital content
EP2434426A1 (en) * 2007-03-30 2012-03-28 SanDisk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digital content
US20080243755A1 (en) * 2007-03-30 2008-10-02 Fabrice Jogand-Coulomb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digital content
US8665560B1 (en) * 2013-01-14 2014-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ad with supplemental module for backward and/or cross-platform compati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3485A (en) * 1992-02-07 1999-09-14 Abecassis; Max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audio during video control
JPH0854951A (ja) 1994-08-10 1996-02-27 Fujitsu Ltd ソフトウェア使用量管理装置
US6334219B1 (en) * 1994-09-26 2001-12-25 Adc Telecommunications Inc. Channel selection for a hybrid fiber coax network
MY128742A (en) * 1994-12-22 2007-02-28 Sony Corp Recording medium for protecting copyrighted data
US5892910A (en) * 1995-02-28 1999-04-0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ATV communication system for changing first protocol syntax processor which processes data of first format to second protocol syntax processor processes data of second format
JP3693442B2 (ja) * 1996-12-13 2005-09-0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Dvdの著作権料課金方法
US6233684B1 (en) 1997-02-28 2001-05-15 Contenaguard Holdings, Inc.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rendered digital works through watermaking
JP3274393B2 (ja) * 1997-09-22 2002-04-15 株式会社ディジタル・ビジョン・ラボラトリーズ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配信用データ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1999018573A1 (fr) 1997-10-02 1999-04-15 Sony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ede d'enregistrement/reproduction
US6055571A (en) * 1997-11-20 2000-04-25 Nec Usa, Inc. Computer network with microeconomic flow control
WO1999042996A1 (fr) 1998-02-19 1999-08-26 Sony Corporation Appareil et procede d'enregistrement / reproduction, et processeur de donnees
JP3478121B2 (ja) * 1998-03-30 2003-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信号処理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課金方法
US6226618B1 (en) * 1998-08-13 2001-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KR100862318B1 (ko) * 2007-03-19 2008-10-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용 칩 및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6948B1 (en) 2013-03-27
KR100690986B1 (ko) 2007-03-08
JP4025941B2 (ja) 2007-12-26
EP1016948A1 (en) 2000-07-05
JP2000195159A (ja) 2000-07-14
US6839503B1 (en) 200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986B1 (ko) 송신장치, 기록제어 시스템, 송신방법, 기록제어 방법,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CN100527244C (zh) 记录装置、记录方法、再现装置、再现方法
KR100311563B1 (ko) 카피제어방법및카피제어장치
US6836844B1 (en) Information signal copy managing method,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signal outpu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0584710B1 (ko) 콘텐츠 관리 방법,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그리고 기록매체
RU228602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одержимого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и/ил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US20050232595A1 (en)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device having accounting function, and accounting terminal device
CN1825456B (zh) 数字信息记录装置及信息记录再生装置
KR970002629A (ko) 데이타 기록 장치와 방법, 데이타 재생 장치와 방법 및 기록매체
WO2002007161A1 (fr) Procede et dispositif servant a enregistrer et/ou reproduire des donne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KR19990013450A (ko)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장치, 인증 처리를 하는 인증 장치, 제1 장치와 복수의 제2장치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행함으로써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처리 시스템
JPH11177924A (ja) 信号再生装置、信号記録装置、信号記録システム、信号再生方法、並びに、信号記録方法
EP1047062B1 (en) Content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contents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ontents information deciphering method, contents information deciphering unit and media thereof
JP3682840B2 (ja) コンテンツ情報記録方法及びコンテンツ情報記録装置
EP1041557B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recording medium
JPH11102572A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装置、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0873760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데이터 전송 방법
EP1202271B1 (en) Information output and recording system and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0897966B1 (ko) 기기 제어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기록 매체
JP2000003559A (ja) デ―タ再生方泡デ―タ再生装置、デ―タ符号化方泡デ―タ記録方泡デ―タ記録装置、認証方法及び半導体チップ
JP4259675B2 (ja) 音楽配信システム用の携帯電話
MXPA99009392A (en) Production protection system to take control of the contents that are a digi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