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152U - Clock having voice message function - Google Patents

Clock having voice messag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152U
KR20000018152U KR2019990003995U KR19990003995U KR20000018152U KR 20000018152 U KR20000018152 U KR 20000018152U KR 2019990003995 U KR2019990003995 U KR 2019990003995U KR 19990003995 U KR19990003995 U KR 19990003995U KR 20000018152 U KR20000018152 U KR 200000181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voice
clock
message
vo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9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윤
Original Assignee
김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윤 filed Critical 김동윤
Priority to KR2019990003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152U/en
Publication of KR20000018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52U/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bstract

본 고안은 특정 시각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녹음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시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계수단; 소정의 시각을 설정하는 시각설정수단; 상기 설정된 시각에 대한 메세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음성입력수단; 상기 음성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수단; 상기 시계수단에서의 시각이 상기 시각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시각과 같은지를 판단하는 시각확인수단; 및 상기 시각확인수단에서 상기 시계수단에서의 시각이 상기 설정된 시각과 같으면 상기 음성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다 다양한 알람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device that can output a voice message recorded by the user at a specific time, the clock means;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Voice input means for receiving a message for the set time from a user; Voice storage means for storing voice messages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Time check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ime in the clock means is equal to the time set in the time setting means; And a voic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stored in the voice storage means when the time in the clock means is equal to the set time in the time check means.

Description

음성메세지 기능을 구비하는 시계장치 {Clock having voice message function}Clock device with voice message function {Clock having voice message function}

본 고안은 음성 녹음 및 재생기능을 구비한 시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시각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녹음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시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device having a voice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ck device that can output a voice message recorded by the user at a specific time.

종래의 알람시계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각이 되면 종소리나 음악 멜로디를 출력하여 특정 시각이 되었음을 알린다. 이러한 알람기능은 특정시각이 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는 있지만, 그 시각에 무엇을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지는 못한다. 예컨대, 아침 기상시간에 대한 알람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기능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약속 시각을 기억하기 위하여 알람을 설정해 둔 경우, 그 시각에 알람이 발생하여도 나중에는 무엇 때문에 알람이 발생했는지 모를 경우도 있을 것이다.The conventional alarm clock notifies that a specific time is output by outputting a bell or a music melody when the time set by the user is reached. These alarms can tell the user that they are at a certain time, but they can't tell you what to do at that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larm for the morning waking time, the above functions are sufficient, but if the alarm is set to memorize the appointment time, even if the alarm occurs at that time, the alarm may not be known later. There will be.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정 시각에 대하여 필요한 메세지를 음성으로 녹음해 둔 다음 그 시각이 되면 그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메세지 기능을 구비하는 시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clock device having a voice message function for recording a message required for a specific time by voice and outputting the message when the time is reached.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ck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ck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시각 및 음성저장부(23)에 저장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stored in the visual and audio storage unit 23.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음성메세지 기능을 구비하는 시계장치는,Clock device having a voice messag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시계수단; 소정의 시각을 설정하는 시각설정수단; 상기 설정된 시각에 대한 메세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음성입력수단; 상기 음성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수단; 상기 시계수단에서의 시각이 상기 시각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시각과 같은지를 판단하는 시각확인수단; 및 상기 시각확인수단에서 상기 시계수단에서의 시각이 상기 설정된 시각과 같으면 상기 음성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lock means; 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Voice input means for receiving a message for the set time from a user; Voice storage means for storing voice messages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Time check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ime in the clock means is equal to the time set in the time setting means; And a voic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stored in the voice storage means when the time in the clock means in the time check means is equal to the set tim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계장치는 시계(16), 소정의 시각을 설정하는 시각설정부(14), 시각설정부(14)에서 설정된 시각에 대한 메세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1), 마이크(11)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부(13), 시계(16)에서의 시각이 시각설정부(14)에서 설정된 시각과 같은지를 판단하는 시각확인부(15) 및 시각확인부(15)에서 시계(16)에서의 시각이 시각설정부(14)에 의하여 설정된 시각과 같으면 음성저장부(13)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는 스피커(12)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ck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ock 16, a time setting unit 14 for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a microphone 11 for receiving a message for the time set in the time setting unit 14, the microphone ( 11) the voice storage unit 13 for storing the voice message input through the time, the time checking unit 15 and the time check to determine whether the time in the clock 16 is the same as the time set in the time setting unit 14 The unit 15 includes a speaker 12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stored in the voice storage unit 13 when the time on the clock 16 is the same as the time set by the time setting unit 14.

사용자는 먼저 시각설정부(14)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시각을 설정하고, 마이크(11)를 통하여 시각설정부(14)에서 설정된 시각에 대한 메세지를 입력하고, 음성저장부(13)는 그 음성메세지를 저장한다. 시각확인부(15)는 시계(16)에서의 시각이 시각설정부(14)에서 설정된 시각과 같은지를 판단한다. 만일 시각확인부(15)에서 시계(16)에서의 시각이 시각설정부(14)에서 설정된 시각과 같으면 음성저장부(13)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스피커(12)를 통하여 출력한다.The user first sets a predetermined time desired by the time setting unit 14, inputs a message for the time set by the time setting unit 14 through the microphone 11, and the voice storage unit 13 Save the voice message. The time confirmation unit 15 determines whether the time on the clock 16 is the same as the time set by the time setting unit 14. If the time on the clock 16 in the time checking unit 15 is the same as the time set in the time setting unit 14, the voice message stored in the voice storage unit 13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알람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ck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alarm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사용자는 시각설정부(24)를 통하여 원하는 소정의 시각을 설정하고, 마이크(21)를 통하여 그 시각에 대한 메세지를 입력하고, 시각 및 음성저장부(23)는 그 시각정보와 음성메세지를 함께 저장한다. 만일 또 다른 시각에 대해서도 음성메시지를 저장하고 싶은 경우에는 다시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의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시각 및 음성저장부(23)에 저장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각설정부(24)에 의하여 설정된 시각정보(31)와 그 시각에 출력될 음성메시지정보(32)가 복수로 저장되어 있음을 보여준다.The user sets a desired time through the time setting unit 24, inputs a message for the time through the microphone 21, and the time and voice storage unit 23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voice message. Save it. If the voice message is to be stored for another time, the above process may be repeated to store a plurality of message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data stored in the visual and audio storage unit 23. It shows that the time information 31 set by the time setting unit 24 and the voice message information 32 to be output at the time are stored in plural.

시각확인부(25)는 시계(26)에서의 시각을 체크하면서 시각 및 음성저장부(23)에서 설정된 시각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시각확인부(25)에서 시계(26)에서의 시각이 시각 및 음성저장부(23)에서 저장된 시각과 일치하면 그 시각정보(31)와 대응하여 저장된 음성메세지(32)를 시각 및 음성저장부(23)에서 독출하여 스피커(22)를 통하여 출력한다.The time checking unit 25 checks the time on the clock 26 and determines whether the time coincides with any of the times set in the time and the voice storage unit 23. If the time on the clock 26 in the time checking unit 25 coincides with the time stored in the time and voice storage unit 23, the stored voice message 32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31 is stored in the time and voice storage. It reads out from the unit 23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22.

본 고안에 의한 시계장치는 통상적으로 알람시계로 사용되는 탁상시계 뿐만 아니라 손목시계, 벽시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계기능이 내장된 페이저나 휴대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페이저의 경우, 알람시각의 설정 및 음성메시지 녹음은 이와 관련된 호출기능 서비스를 더 부가하여 전화기를 이용하여 할 수 있으며, 또는 기존의 페이저에 마이크를 더 추가하여 직접 시각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메시지를 직접 입력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폰의 경우에도 알람기능 입력을 위한 별도의 키를 부여하고, 번호판을 이용하여 시각을 설정하고 송화기를 통하여 음성메시지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c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not only a table clock normally used as an alarm clock, but also a wristwatch and a wall clock.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ager or a mobile phone with a built-in clock function. In the case of the pager, the alarm time setting and voice message recording can be done by using the telephone with the additional call function service, or by adding the microphone to the existing pager, the time can be set directly and the message for the It can also be entered.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a separate key for inputting an alarm function may be provided, a time may be set using a license plate, and a voice message may be input through a talker.

따라서, 본 고안은 통상적인 시계장치 뿐만 아니라 시계기능이 구현된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텔레비젼이나 비디오에도 시계기능이 포함되어 있다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device that implements a clock function as well as a conventional clock device. For example, if the television or video includes a clock function, it is natural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시계장치에 의하면 알람 시각을 설정한 다음 그와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직접 녹음해 두고 그 시각에 미리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므로써, 보다 다양한 알람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페이저나 휴대폰에 본 고안의 기능을 구현할 경우 일정관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정에서도 부모가 부재시에 어린이에게 시간에 맞추어 어떠한 지시(예컨대, 오후 2시에 학원을 가야 하는 경우)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부모가 미리 음성으로 녹음해 두면 보다 의사전달이 명확하게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an alarm time and then recording a message related to the user directly and outputting a pre-recorded voice message at the time, a more various alarm functions can be realized. have. In particular, when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ager or mobile phone can be used for schedule management, and also in the home when parents do not have any instructions (for example, to go to the school at 2 pm) in time to the children If necessary, parents can record the voice in advance to communicate more clearly.

Claims (2)

시계수단;Clock means; 소정의 시각을 설정하는 시각설정수단;Time setting means for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설정된 시각에 대한 메세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음성입력수단;Voice input means for receiving a message for the set time from a user; 상기 음성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수단;Voice storage means for storing voice messages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means; 상기 시계수단에서의 시각이 상기 시각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시각과 같은지를 판단하는 시각확인수단; 및Time check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ime in the clock means is equal to the time set in the time setting means; And 상기 시각확인수단에서 상기 시계수단에서의 시각이 상기 설정된 시각과 같으면 상기 음성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세지 기능을 구비하는 시계장치.And a voice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stored in the voice storage means when the time in the clock means is equal to the set time in the time check mea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각설정수단은 복수의 시각을 설정하고, 상기 음성저장수단은 상기 복수의 시각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음성 메세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메세지 기능을 구비하는 시계장치.And the time setting means sets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voice storing means stores a plurality of voice messag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imes, respectively.
KR2019990003995U 1999-03-13 1999-03-13 Clock having voice message function KR2000001815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95U KR20000018152U (en) 1999-03-13 1999-03-13 Clock having voice messag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95U KR20000018152U (en) 1999-03-13 1999-03-13 Clock having voice message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52U true KR20000018152U (en) 2000-10-16

Family

ID=5476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995U KR20000018152U (en) 1999-03-13 1999-03-13 Clock having voice messag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152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481A (en) * 2002-03-29 2003-10-08 카이저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tting alarm time
KR20030081904A (en) * 2002-04-15 2003-10-22 정병용 alarm clock for selecting alarm sound
KR101108646B1 (en) * 2010-08-31 2012-03-02 김민기 Watch for childr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481A (en) * 2002-03-29 2003-10-08 카이저산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tting alarm time
KR20030081904A (en) * 2002-04-15 2003-10-22 정병용 alarm clock for selecting alarm sound
KR101108646B1 (en) * 2010-08-31 2012-03-02 김민기 Watch for childr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0269B2 (en) Portable cellular phone
JP2001197158A (en) Portable telephone set
US4508457A (en) Electronic timepiece with record/playback circuits
DE60118796D1 (en) DIGITAL VEHICLE
KR20000018152U (en) Clock having voice message function
KR200212304Y1 (en) A clock having a function of generating automatic voice message
KR950009560B1 (en) The voice message storing and playing method in pager
JPS58218677A (en) Electronic timepiece having voice storing function
JPH09307606A (en) Telephone set
JP3046695U (en) Portable rescue sound generator
JPH10190781A (en) Portable terminal with original call termination tone generation function
JP2605663B2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recording function
KR10116618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alarm for voice data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198215B1 (en) Memory device with voice message reproducing function
KR960012957B1 (en) Radio paging
JPS635039Y2 (en)
KR970024791A (en) How to manage schedules from an answering machine
JPS6390098A (en) Recorder
JPH04186949A (en) Key telephone set
KR970064101A (en) How to Record and Play Messages on an Answering Phone
JPH053503A (en) Telephone set
JPS6233557B2 (en)
JPH04321359A (en) Visiting place display board
KR20040060456A (en) Memo notific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S621232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