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557U - Data recording system in a multi-functioned remotecontroller - Google Patents

Data recording system in a multi-functioned remote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557U
KR20000017557U KR2019990003093U KR19990003093U KR20000017557U KR 20000017557 U KR20000017557 U KR 20000017557U KR 2019990003093 U KR2019990003093 U KR 2019990003093U KR 19990003093 U KR19990003093 U KR 19990003093U KR 20000017557 U KR20000017557 U KR 200000175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priority
input
ef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0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90003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557U/en
Publication of KR20000017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557U/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메모리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사용자 임의로 우선순위를 부여하므로써 유효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더라도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소실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우선순위 제어부를 가진다. 우선순위 제어부는 데이터 보호모드가 설정되면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데이터 추가입력이 있는 경우 메모리의 용량을 검사한다. 유효 메모리 용량과 추가입력된 데이터의 량을 비교하여 유효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우선순위 제어부는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데이터를 삭제하여 유효메모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인 경우, 메모리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중요한 데이터들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므로써 메모리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중요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system of 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has a priority control unit which controls user data to be stored in memory so that priority data is not lost even if the effective memory capacity is insufficient. When the data protection mode is set, the priority control unit sets the priority of the data and checks the memory capacity when there is an additional data input. When the effective memory is insufficient by comparing the effective memory capacity with the amount of additional input data, the priority control unit control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effective memory by deleting data having the lowest priority.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memory of the same siz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emory use. In addition, by giving high priority to important data, loss of important data can be prevented even when memory capacity is insufficient.

Description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DATA RECORDING SYSTEM IN A MULTI-FUNCTIONED REMOTECONTROLLER}DATA RECORDING SYSTEM IN A MULTI-FUNCTIONED REMOTECONTROLLER}

본 고안은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기능 리모콘의 메모리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사용자 임의로 우선순위를 부여하므로써 유효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더라도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소실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우선순위 제어부를 가진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storage system of a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by giving a user's arbitrary priority to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so that the high-priority data is not lost even if the effective memory capacity is insufficient. A data storage system of a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ler having a priorit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ame.

최근들어, 텔레비젼, 브이씨알, 가전제품 등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조작하기 위하여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 이하, 리모콘이라 함)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됨에 따라 각 가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모콘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기별로 별도의 리모콘을 사용하므로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어 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리모콘이 개발되었다.In recent years, the use of a remote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ler) to make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operate TVs, TVs, home appliances, etc. has become common, and each home has at least one remote controller. . However, since a separate remote control is used for each device, a remote control capable of performing an integrated function has been developed.

또한, 최근 디지털 텔레비젼(Digital Television: 이하, DTV라 함)이 개발됨에 따라 기존의 TV 개념을 뒤바꿀만한 새로운 기술혁명이 예고되고 있다. 덧붙여 통신 선로에 있어서도 공중파는 TV로, 공중망은 PC로 연결된다는 개념이 정보 고속 도로의 개통에 따라 하나의 선로로 통합될 예정이다. 그러므로 TV는 기존의 수동적인 방송 수신 개념을 뛰어넘어 PC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능동적인 기능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 적합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다기능 리모콘이 개발되었다.In addition,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levi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TV), a new technological revolution that may change the existing TV concept is heralded. In addition, the concept that the airwaves are connected to the TV and the public network to the PC will be integrated into a single track along the opening of the information highway. Therefore, TV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active functions including PC function beyond the conventional passive broadcasting reception concept, and accordingly, a new concept of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ler has been developed to perform appropriate functions.

상기 다기능 리모콘은 입력부, 제어부, 유선통신부, 무선통신부, 스피커, 메모리, 및 표시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는 키매트릭스, 터치패널, 및 마우스 등 상기 다기능 리모콘의 동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들일 수 있다. 상기 유선통신부는 상기 다기능 리모콘과 컴퓨터 통신사 등을 연결하여 자료를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자료를 업로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다기능 리모콘과 무선통신 기지국 등을 무선으로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출력한다.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ler includes an input unit, a controller, a wired communication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peaker, a memory, a display unit, and the like. The input unit may be devices for inputting a signal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ler such as a key matrix, a touch panel, and a mouse.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connects 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ler with a computer communication company and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downloading data or uploading dat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wirelessly connect the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to exchange information. The speaker outputs a voice or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display unit outputs an imag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와 같은 다기능 리모콘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메모리를 빈번하게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메모리는 용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상기 메모리는 저장되어 있거나 저장될 데이터의 중요도와 무관하게 운용되고 있다. 따라서 잦은 메모리 사용 또는 용량이 큰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Since 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ler performs various operations including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mory is frequently used. However, since the memory is limited in capacity,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stored.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memory is operated irrespective of the importance of the data stored or to be sto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mportant data is lost when frequently using memory or storing large data. There is a need for a data storage system that can securely store stored dat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중요도 즉,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storage system of a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protecting data of high priority, that is, high priority.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메모리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storage system of a multi-function remote controller that can make good use of limited memo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110);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50);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보호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170); 및 데이터 보호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로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들 각각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데이터의 입력여부를 판단하며, 유효 메모리 용량과 입력 데이터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유효 메모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우선순위가 낮은 데이터부터 삭제하도록 제어하고 유효 메모리가 확보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우선순위 제어부(190)를 포함한다.Data storage system of 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ata input unit 110 for inputting data; A memory 130 for storing input data; A display unit 150 for displaying data; A mode setting unit 170 for setting a data protec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when the data protection mode is set, outputs a list of data stored in the memory 130 to the display unit 150, sets a priority of each of the displayed data, and determines whether data is input. And a priority control unit 190 which controls to delete data having a lower priority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 memory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ive memory capacity with the input data amount, and stores the input data in the memory when the effective memory is secured. do.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선순위 제어부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도시한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storage method of a priority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10 : 데이터 입력부 130 : 메모리110: data input unit 130: memory

150 : 디스플레이부 170 : 모드 설정부150: display unit 170: mode setting unit

190 : 우선순위 제어부190: priority control unit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모드 설정부(170), 우선순위 제어부(190), 데이터 입력부(110), 메모리(130) 및 디스플레이부(150)로 구성된다.The data storage system of 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etting unit 170, a priority control unit 190, a data input unit 110, a memory 130, and a display unit 150.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우선순위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화면상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모드 설정부(17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보호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데이터 보호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우선순위 제어부(190)는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들의 우선순위를 각각 설정한다. 상기 우선순위가 설정되면 상기 우선순위 제어부(19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 데이터가 입력되는 중이면, 상기 우선순위 제어부(190)는 상기 메모리(130)의 유효 메모리 용량을 검사한다. 상기 우선순위 제어부(190)는 검사된 유효 메모리 용량과 입력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부족한 유효 메모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우선순위가 낮은 데이터부터 삭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유효 메모리가 확보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The data input unit 110 is for inputting data desired by a user. The inpu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130.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data on the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priority controller 190. The mode setting unit 170 sets a data protec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When the data protection mode is set, the priority control unit 190 outputs a list of data stored in the memory 130 to the display unit 150. The user sets each of the priorities of the displayed data. When the priority is set, the priority control unit 190 searches whether data is input from the outside. If data is being input, the priority controller 190 checks the effective memory capacity of the memory 130. The priority controller 190 compares the checked effective memory capacity with the input data amount and controls to delete data having a lower priority in order to secure insufficient effective memory. When the effective memory is sec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stores the input data in the memory 130.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보호모드를 설정하는 데이터 보호모드 설정단계(S210)가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 보호모드가 설정되면 현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목록확인 단계(S215)가 수행된다. 상기 화면상에 데이터 목록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들 각각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우선순위 설정단계(S220)가 수행된다. 상기 우선순위는 사용자의 임의대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ata storage method of 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ystem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data protection mode setting step (S210) of setting the data protection mod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is performed. When the data protection mode is set, a data list checking step S215 of displaying a list of data currently stored in the memory is performed. When data lis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 priority setting step S220 of setting priorities of the displayed data is performed.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at the user's discretion.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설정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추가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데이터 입력이 없는 경우 기타 동작모드로 진행하는 데이터 입력 판단단계(S225)가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 판단단계(S225)에서 데이터의 추가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유효 메모리 크기를 검사하는 메모리 검사단계(S230)가 수행된다. 상기 메모리 검사단계(S230)가 완료되면 상기 유효 메모리와 입력된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유효 메모리가 입력된 데이터의 크기보다 큰 경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차 판단단계(S235)가 수행된다. 상기 제 1 차 판단단계(S235)에서 유효 메모리의 크기가 상기 입력된 데이터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부족한 메모리 크기(N)를 계산하는 부족분 계산단계(S240)를 수행한다.Next, a data input determination step (S225)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input of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priority of the data is set, and proceeding to another operation mode is performed when there is no data inpu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dditional input of data in the data input determination step (S225), a memory check step (S230) of checking an effective memory size is performed. When the memory test step S230 is completed, a first determination step S235 of comparing data between the valid memory and the input data and storing the data when the valid memory is larger than the input data is perform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235), when the size of the effective memory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input data, a shortage calculation step (S240) of calculating an insufficient memory size (N) is performed.

상기 부족한 메모리의 크기(N)가 계산되면, 상기 설정된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최하위 데이터의 크기(MIN)를 검사하는 최하위 데이터 크기 검사단계(S245)가 수행된다. 상기 최하위 데이터의 크기(MIN)가 검사되면, 상기 부족한 메모리 크기(N)와 상기 최하위 데이터의 크기(MIN)를 비교하는 저장 판단 단계(S250)가 수행된다. 상기 저장 판단 단계(S250)에서 상기 부족한 메모리의 크기(N)가 상기 최하위 데이터의 크기(MIN)보다 큰 경우 상기 최하위 데이터를 삭제하여 유효 메모리 크기를 증가시키는 유효 메모리 증가단계(S255)를 수행한다. 상기 유효 메모리 증가단계(S255)가 완료되면 상기 부족분 계산 단계(S240)로 진행하여 부족한 메모리의 크기(N)를 다시 계산한다.When the size N of the insufficient memory is calculated, the lowest data size checking step S245 is performed to check the size MIN of the lowest data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set data. When the size MIN of the lowest data is checked, a storage determination step S250 of comparing the insufficient memory size N with the size MIN of the lowest data is performed. If the size N of the insufficient memory is greater than the size MIN of the lowest data in the storage determination step S250, the effective memory increasing step S255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effective memory size by deleting the lowest data. . When the effective memory increase step S255 is complet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shortage calculation step S240 to calculate the size N of the insufficient memory again.

한편, 상기 저장 판단 단계(S250)에서 상기 부족한 메모리의 크기(N)가 상기 최하위 데이터의 크기(MIN)보다 작은 경우 상기 최하위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삭제 단계(S260)가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 삭제 단계(S260)가 완료되면 유효 메모리의 크기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삭제 단계(S260)가 완료된 후 상기 데이터 입력 판단 단계(S225)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S265)가 수행된다.Meanwhile, in the storage determining step S250, when the insufficient size N of the memory is smaller than the size MIN of the lowest data, the data deleting step S260 of deleting the lowest data is performed. When the data deletion step S260 is completed, the size of the effective memory increases. Therefore, after the data deletion step S260 is completed, a data storage step S265 of storing the data input in the data input determination step S225 in a memory is performed.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따르면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유효 메모리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우선순위가 낮은 데이터를 삭제하므로써 유효 메모리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ata storage system of the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ority is give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data, and when the capacity of the effective memory is insufficient, the effective memory is increased by deleting the low priority data. High ranking data can be protected.

또한, 유효 메모리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우선순위가 낮은 데이터를 삭제하므로써 유효 메모리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메모리의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acity of the effective memory is insufficient, the effective memory is increased by deleting data having a lower priority,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memory having a limited capacity.

본 고안은 상기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동봉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념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enclos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Claims (1)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 보호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 및 데이터 보호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들 각각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데이터의 입력여부를 판단하며, 유효 메모리 용량과 입력 데이터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유효 메모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우선순위가 낮은 데이터부터 삭제하도록 제어하고 유효 메모리가 확보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우선순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리모콘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A data input unit for inputting data; A memory for storing input dat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ata; A mode setting unit for setting a data protec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when a data protection mode is set, outputs a list of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the display unit, sets a priority of each of the displayed data, determines whether data is input, and determines effective memory capacity and input data. And a priority control unit controlling to delete data having a lower priority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 memo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s, and storing the input data in the memory when the effective memory is secured. system.
KR2019990003093U 1999-02-27 1999-02-27 Data recording system in a multi-functioned remotecontroller KR2000001755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093U KR20000017557U (en) 1999-02-27 1999-02-27 Data recording system in a multi-functioned remote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093U KR20000017557U (en) 1999-02-27 1999-02-27 Data recording system in a multi-functioned remotecont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57U true KR20000017557U (en) 2000-09-25

Family

ID=5475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093U KR20000017557U (en) 1999-02-27 1999-02-27 Data recording system in a multi-functioned remote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557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610B1 (en) * 2001-02-09 2009-08-17 웹티브이 네트워크 인코포레이티드 Optimizing use of storage space in a video data record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610B1 (en) * 2001-02-09 2009-08-17 웹티브이 네트워크 인코포레이티드 Optimizing use of storage space in a video data record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3011B1 (en) Mobile terminal and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1995704B1 (en) Portable radio terminal with remote control
CN107273160A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edition upgrading
CN110532764B (en) Authority process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60160569A1 (en)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US7035629B2 (en)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CN1547698A (en) Downloading application software to mobile terminal
CN110879680B (en) Icon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8984066B (en) Application ico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9324999B (e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executing operation based on download instruction
CN111918109B (en) Television control method, television, remote controller, televis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8601048B (en) Flow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304108B (en) Icon display method of application program and mobile terminal
CN108363499B (en) Text recover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2351441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70001347A (en) Automatic changing method of background image and apparatus therefor
KR20000017557U (en) Data recording system in a multi-functioned remotecontroller
US20030140158A1 (en) Multimedia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ultimedia data
US6999722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control parameter setting method
KR20010001801A (en) Software update method by wireless network in wireless telephone set
KR20060081159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erminal data of mobile terminal
JP7419569B2 (en) Application control methods, devices and electronic equipment
AU755951B2 (en) Mobile tele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01985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ligning preference items
CN114064179A (en) Display mode adaptation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