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969A - Spreading signal generator of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Spreading signal generator of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969A
KR20000012969A KR1019980031570A KR19980031570A KR20000012969A KR 20000012969 A KR20000012969 A KR 20000012969A KR 1019980031570 A KR1019980031570 A KR 1019980031570A KR 19980031570 A KR19980031570 A KR 19980031570A KR 20000012969 A KR20000012969 A KR 20000012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de
output
phase shift
multipl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제우
우정효
박창수
강희원
안재민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969A/en
Publication of KR2000001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96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3Code application, i.e. aspects relating to how codes are applied to form multiplexe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22PN, e.g. Krone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6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with means for reducing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PURPOSE: Diffusion sequence generator and method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o produce various kinds of spreading codes, and reduces PAR without a deterioration of BER performance. CONSTITUTION: A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of CDMA communication system generates PN code having PNi and PNq, performs QPSK phase transition about previous spreading signals(Ci,Cq) after receiving the PN code, performs +90°C phase transition or -90°C phase transition, performs 180°C phase transition or 0°C phase transition. After that, the method selectively outputs the phase transition spreading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Thereby, the method reduces PAR without a deterioration of BER performance.

Description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Spreading Signal Generator and Method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대역확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확산시퀀스 발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ead spectrum device and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read sequence generator and a method.

일반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 라 칭한다.)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을 위주로 하는 이동 통신 규격에서 발전하여, 음성뿐만 아니라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IMT-2000 규격으로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IMT-2000 규격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동화상,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상기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존재하는 통신 선로는 크게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향하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와 반대로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향하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로 구별된다.In general,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which mainly focuses on voice, and has been developed to the IMT-2000 standard capable of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as well as voice. It came to the following. In the IMT-2000 standard, services such as high quality voice, moving picture, and internet search are possible. In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line existing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reverse link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as opposed to a forward link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상기 CDMA 통신시스템의 역방향링크에서 대역확산(spread spectrum)을 위한 방법으로는 PN(Psuedo Noise) 복소확산방법(PN Complex Spreading Scheme)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PN 복소확산방법은 사용자 데이터에 따라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의 출력에서 최대-평균 전력비(Peak-to-Average Power Ratio: 이하 PAR 라 칭한다.)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역방향링크에서 송신전력의 피크전력 대 평균전력비가 커지면 리그로스(Re-growth)가 발생하고, 단말기의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의 설계와 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단말기 전력증폭기의 특성곡선에는 선형구간과 비선형구간이 존재하며, 단말기의 전력을 크게하면 단말기의 송신신호가 비선형구간에 걸치게 되어 타사용자의 주파수영역을 방해하게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리그로스"라 한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의 주파수 영역을 방해하지 않게하기 위해서는 셀영역을 작게하고, 그 셀 영역내의 단말기는 해당 기지국에 낮은 송신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 성능의 하나인 비트오류율(Bit Error Rate: 이하 BER 라 칭한다.)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PAR 를 감소시키는 확산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PN (Psuedo Noise) complex spreading scheme (PN Complex Spreading Scheme) is widely known as a method for spread spectrum in the reverse link of the CDMA communication system. However, the PN complex diffus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a peak-to-average power rat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R) increases at the output of a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user data. In other words, when the peak power to average power ratio of the transmission power in the reverse link increases, re-growth occurs, and i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the power amplifier of the terminal. In the characteristic curve of the terminal power amplifier, there are a linear section and a non-linear section. When the power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erminal is spread over the non-linear section, which disturbs the frequency domain of other users. It is called. Therefore, in order not to disturb the frequency range of another user, the cell area is made small, and the terminal in the cell area should transmit a signal to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with low transmission pow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spreading method that reduces PAR while minimizing degradation of bit error rate (BER), which is one of overall system performances.

상기 PN 복소확산방법을 살펴보기 위하여 종래의 CDMA방식 통신시스템의 송신기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CDMA 방식 통신시스템의 역방향링크 채널송신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In order to examine the PN complex diffusion method, a transmitter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DMA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verse link channel transmitter of a CDMA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전송될 데이터들은 채널 부호 과정(channel coding, repeating, channel interleaving)을 거친 후, 0는 +1로 1은 -1로 이진매핑(Binary Mapping)이 되어서 각 채널 데이터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은 각 채널의 데이터들은 각 채널의 분리를 위하여 곱셈기111, 121, 131 및 141에서 직교부호와 곱해진다. 상기 도 1에서 각 채널 송신기들은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제어채널(control channel), 부가채널(supplemental channel), 기본채널(fundamental channel) 등의 채널 송신기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직교부호들은 상기 각 채널들을 구분하기 위한 부호로써, 월시코드(Walsh cod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직교부호화된 각 채널 데이터 중에서 제어채널, 부가채널 및 기본채널 데이터는 제1 ~ 제3 이득조정기 122, 132 및 142에서 각 채널에 알맞은 이득(gain)을 곱한다.Referring to FIG. 1, data to be transmitted is subjected to channel coding, repeating, and channel interleaving, and 0 is +1, 1 is -1, and binary mapping is input to each channel data. do. The data of each channel as described above is multiplied by an orthogonal code in the multipliers 111, 121, 131, and 141 to separate each channel. In FIG. 1, each channel transmitter shows an example of channel transmitters such as a pilot channel, a control channel, a supplemental channel, and a fundamental channel. Therefore, the orthogonal codes may use a Walsh code as a code for distinguishing the respective channels. The control channel, the additional channel, and the basic channel data among the orthogonal coded channel data as described above are multiplied by a gain suitable for each channel in the first to third gain adjusters 122, 132, and 142.

이렇게 만들어진 각 채널의 데이터들은 이진가산기112 및 133에서 합해진 다음, 복소곱셈기(Complex Multiplier) 100에 의하여 대역확산이 된다. 상기 복소곱셈기100은 상기 송신신호를 확산코드와 곱하여 대역확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확산코드는 PN코드라고 가정한다. 상기 복소곱셈기100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PN코드는 레이트(Rate)가 칩율(Chip Rate)이고 +1 혹은 -1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이진가산기114 및 135의 출력데이터 신호의 실수(Real)부분은 제1저역 여파기115로 입력되고 허수(Imaginary)부분은 제2저역 여파기136으로 입력된다. 저역여파기115 및 136을 거친 신호는 제3 및 제4 이득조정기116 및 137에 의하여 이득조정이 이루어진후 변조되어 채널로 전송된다. 지금까지 제1 및 제2저역 여파기115와 136을 통과한 신호의 PAR을 줄이는 방법에 대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왔으며 그 방법들은 복소곱셈기100에서 확산코드인 CI및 CQ를 생성하는 방법에 중점을 둔 것이다.The data of each channel thus produced are summed by binary adders 112 and 133, and then spread by a complex multiplier 100. The complex multiplier 100 multiplies the transmission signal by a spreading code to perform spread spectrum. It is assumed here that the spreading code is a PN code. The PN code used as the input of the complex multiplier 100 may have a rate of a chip rate and a value of +1 or -1. The real part of the output data signals of the binary adders 114 and 135 is input to the first low pass filter 115 and the imaginary part is input to the second low pass filter 136. The signals passing through the low pass filters 115 and 136 are modulated by the third and fourth gain adjusters 116 and 137 and then mod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channel. Until now,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reducing the PAR of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ow pass filters 115 and 136, and they are used to generate the spread codes C I and C Q in the complex multiplier 100. It is focused.

일반적으로 상기 PAR은 상기 도1 복소곱셈기100의 확산코드 CI및 CQ가 동시에 부호가 바뀌면서 생기는 제로-크로싱(Zero-Crossing: 이하 ZC 라 칭한다.)현상과, 확산코드의 부호가 둘다 바뀌지 않는 홀드(Hold) 현상에 의해서 성능저하가 일어난다. 따라서 CDMA 통신시스템에서 대역확산시 확산코드 CI및 CQ에 따라 PAR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the PAR is a zero-crossing phenomenon caused by simultaneously changing codes of the spreading codes C I and C Q of FIG. 1 complex multiplier 100, and the sign of the spreading code does not change. Due to the hold phenomenon, the performance decreases. Therefore, in the CDMA communication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R increases according to spreading codes C I and C Q when spreading the bandwidt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BER 성능 저하없이 PAR 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역 확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read spectrum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reducing PAR without degrading BER performance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대역확산장치에서 QPSK, π/2-DPSK 및 제로크로싱 또는 홀드를 조합하여 확산코드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preading code by combining QPSK, π / 2-DPSK, and zero crossing or hold in a spread spectrum device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대역확산장치에서 대역확산을 위하여, 먼저 QPSK를 수행하고, 다음에 π/2-DPSK를 수행하고, 다음에 제로크로싱 혹은 홀드를 수행하고, 다음에 π/2-DPSK로 확산코드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QPSK first, then π / 2-DPSK, and then zero crossing or hold for spreading in a spread spectrum apparatus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Next,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preading code with π / 2-DPSK ar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대역확산장치에서 대역확산을 위하여, 먼저 제로 크로싱을 수행하고 다음에 π/2-DPSK로 확산코드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preading in a spreading code in a spread spectrum device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irst performing a zero crossing, and then generating a spreading code with [pi] / 2-DPSK.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신호 발생 방법에 있어서, PNi와 PNq를 가지는 PN코드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PN코드을 입력으로 하여 이전 확산신호(Ci, Cq)의 위상을 각각 QPSK 위상천이하고, ±90도 위상천이하며, 180도 위상천이 또는 0도 위상천이 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 천이된 확산신호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선택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generating a spreading signa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generating a PN code having PNi and PNq, and a previous spread signal (Ci) , QqK phase shift, ± 90 degree phase shift, 180 degree phase shift or 0 degree phase shift, and the process of selectively outputting the phase shifted spread signal in a predetermined order. It features.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장치의 확산신호 발생 방법이, PNi와 PNq를 가지는 PN코드열을 칩주기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발생된 PNi와 PNq의 제1 칩 주기의 값을 입력으로 하여 이전 확산신호의 위상(Ci, Cq)을 제1 위상천이 하여 출력하는 제2과정과, 다음 칩 주기에서 상기 제2과정의 출력(Ci, Cq)을 제2 위상천이 하여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spreading signa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first step of continuously generating a PN code sequence having PNi and PNq in a chip period; A second process of shifting the phases Ci and Cq of the previous spread signal by a first phase shift by inputting values of the first chip period of PNi and PNq, and outputting the second process Ci, in the next chip period And a third process of outputting Cq) by the second phase shift.

도 1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링크 채널송신기 구조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verse link channel transmitter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2 - 도 5는 QPSK 및 DPSK 확산시 기본 상태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asic state transition during QPSK and DPSK spreading

도 6은 제로크로싱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zero crossing spreading sequence;

도 7은 제로크로싱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7 illustrates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zero crossing spreading sequence.

도 8은 홀드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hold spreading sequence;

도 9는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9 is π / 2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도 10은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10 is π / 2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도 11 - 도 15는 도 2 - 도 5의 기본 상태천이의 확장 상태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1 to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extended state transition of the basic state transition of FIGS.

도 16은 제로크로싱 혹은 홀드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1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zero crossing or hold spreading sequence;

도 17은 제로크로싱 혹은 홀드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1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zero crossing or hold spreading sequence;

도 18은 제로크로싱 혹은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18 is zero crossing or π / 2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도 19는 제로크로싱 혹은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19 is zero crossing or π / 2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도 20은 홀드 혹은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20 is hold or π / 2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도 21은 홀드 혹은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21 is Hold or π / 2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도 22는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블럭도를 도시하는 도면22 is π / 2 Diagram showing a block diagram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도 23은 지연기를 이용하여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블럭도를 도시하는 도면23 uses a retarder π / 2 Diagram showing a block diagram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Fig. 2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iffu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5-A illustrates another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spreading sequ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B는 상기 도 25-A의 데시메이터 출력에 대한 시간축에서의 심볼변화예를 도시한 도면Fig. 25-B shows an example of symbol change in the time axis for the decimator output of Fig. 25-A.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2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generating a diffu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6-B는 상기 도 26-A의 데시메이터 출력에 대한 시간축에서의 심볼변화예를 도시한 도면Fig. 26-B shows an example of symbol change on the time axis for the decimator output of Fig. 26-A.

도 2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7 shows another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spreading seque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28 shows yet another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diffu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diffu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본 발명의 도 9의 실시예에 따라 π/2 -DPSK확산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30 is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FIG. 9 of the present invention. π / 2 Showing computer simulated results for generating a DPSK diffusion sequen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반적으로 PAR은 상기 도1 복소곱셈기100의 확산코드 CI및 CQ가 동시에 부호가 바뀌면서 생기는 제로-크로싱(Zero-Crossing: 이하 ZC 라 칭한다.)현상과, 확산코드의 부호가 둘다 바뀌지 않는 홀드(Hold) 현상에 의해서 성능저하가 일어난다. 상기 ZC란 예를들어 초기상태가 1사분면일때, 3사분면으로 천이하는 것을 말하며 이 때의 위상변화는 π 가 된다. 홀드란 예를들어 초기상태가 1사분면일때 1사분면에 그대로 머무르는 천이를 말한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ZC와 홀드는 이러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한편 종래의 QPSK 확산방법은 PN코드의 값에 따라 생성된 확산코드의 상태천이가 1사분면에서 2사분면, 3사분면 및 4사분면으로 모두 가능한 천이경로를 가진다.In general, a PAR is a zero-crossing phenomenon caused by simultaneously changing the codes of the spreading codes C I and C Q of FIG. 1 complex multiplier 100, and a hold that does not change the sign of the spreading code. (Hold) causes a performance degradation. For example, the ZC refers to a transition to the third quadrant when the initial state is one quadrant, and the phase change at this time is π Becomes Hold is, for example, a transition that stays in one quadrant when the initial state is one quadra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ZC and Hold are used for this concept.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QPSK spreading method has a transition path in which the state transition of the spreading code generat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PN code is possible from one quadrant to two quadrants, three quadrants, and four quadrants.

상기 상태천이(State Transition)의 특성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초기상태가 1사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2 - 도 5는 기본(Primitive) 상태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로크로싱을 나타내며, 도 3은 홀드를 나타내고, 도 4는 +π/2 -DPSK를 나타내며, 도5는 -π/2 -DPSK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천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transition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ease of explanation, the initial state is set to b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2-5 illustrate primitive state transitions. 2 shows zero crossing, FIG. 3 shows hold, and FIG. 4 shows + π / 2 -DPSK, Figure 5 -π / 2 -Represents DPSK. This state transition can be implemented in several ways.

도 6은 제로크로싱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zero crossing diffusion sequence.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지연기211은 출력되는 확산코드 Ci를 지연하며, 곱셈기212는 상기 지연기211의 출력에 -1을 곱하여 이전확산코드 Ci의 부호를 반전시킨다. 또한 지연기221은 출력되는 확산코드 Cq를 지연하며, 곱셈기222는 상기 지연기221의 출력에 -1을 곱하여 이전확산코드 Cq의 부호를 반전시킨다. 상기 설명에서 -1을 곱한다함은 부호의 반전(inverting)을 의미하며, 1을 곱한다함은 부호의 반전이 없음을 의미한다.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에서 부호의 반전을 위한 부호반전기(invertor)의 위치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바뀌어질 수도 있다. 또한 부호의 반전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 제어신호의 출력에 부호반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신호는 칩주기를 가질 수도 있으며, 1 혹은 -1의 값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1혹은 1을 곱하는 것은 상기 언급한 내용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상기 도 6에서 지연기211 및 221은 이전의 확산코드를 각각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Ci는 실수부를 나타내고, Cq를 허수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만약 이전의 확산코드 출력이 1사분면(1,1) 이었다고 가정하면, 현재의 출력은 3사분면의 출력(-1,-1)이 된다. 또한 이전의 출력이 2사분면(-1,1) 이었다고 가정하면, 현재의 출력은 4사분면의 출력(1,-1)이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delay unit 211 delays the output spread code C i , and the multiplier 212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delay unit 211 by -1 to invert the sign of the previous spread code C i . The delayer 221 delays the output spreading code C q , and the multiplier 222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delayer 221 by -1 to invert the sign of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 In the above description, multiplying by -1 means inverting the sign, and multiplying by 1 means no inversion of the sign. In the figure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the position of the sign inverter for inverting the sign may be changed within a range no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the sign inverter may be used for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as another method for inverting the sign. The control signal may have a chip period and is a device that sequentially outputs a value of 1 or -1.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ultiplying by -1 or 1 has the same meaning as described above. In FIG. 6, delays 211 and 221 respectively store a previous spreading code, C i represents a real part, and C q represents an imaginary part. Therefore, if the previous spreading code output was assumed to be one quadrant (1,1), then the current output is the output of three quadrants (-1, -1). 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previous output was a quadrant (-1, 1), the current output is an output (1, -1) of the quadrant 4.

도 7은 상기 제로크로싱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발생되는 확산코드 Ci및 Cq는 상기 도 6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로크로싱된다. 초기의 직교부호1이 +1이고, 직교부호2가 -1 이라고 가정하면, 곱셈기212 및 222의 출력(Ci,Cq)은 (-1,1)이고 2사분면에 존재하게 된다. 다음에 직교부호1은 -1이고, 직교부호2는 +1이 되므로, 곱셈기212 및 222의 출력은 (+1,-1)이고 4사분면에 존재한다. 따라서 제로크로싱이 발생한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generating the zero crossing diffusion sequence. The spreading codes C i and C q generated at this time are zero-cross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6. Assuming that the initial orthogonal code 1 is +1 and the orthogonal code 2 is -1, the outputs C i and C q of the multipliers 212 and 222 are (-1,1) and are present in the second quadrant. Since orthogonal code 1 is -1 and orthogonal code 2 is +1, the outputs of multipliers 212 and 222 are (+ 1, -1) and are present in the fourth quadrant. Therefore, zero crossing occurs.

도 8은 홀드 상태천이를 위한 방법을 구현한 실시예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지연기231은 출력되는 확산코드 Ci를 지연하며, 곱셈기232는 상기 지연기231의 출력에 1을 곱하여 이전확산코드 Ci의 부호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또한 지연기241은 출력되는 확산코드 Cq를 지연하며, 곱셈기242는 상기 지연기241의 출력에 1을 곱하여 이전확산코드 Cq의 부호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만약 이전의 확산코드 출력이 1사분면(1,1) 이었다고 가정하면, 현재의 확산코드 출력도 1사분면의 출력(1,1)이 된다. 만약 이전의 확산코드 출력이 2사분면(-1,1) 이었다고 가정하면, 현재의 확산코드 출력도 2사분면의 출력(-1,1)이 된다.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implementing a method for hold state transition. Referring to FIG. 8, the delay unit 231 delays the output spread code C i , and the multiplier 232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delay unit 231 by 1 to maintain the sign of the previous spread code C i . The delayer 241 delays the output spreading code C q , and the multiplier 242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delayer 241 by 1 to maintain the sign of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 Therefore, if the previous spreading code output was assumed to be one quadrant (1, 1), the current spreading code output is also the output of one quadrant (1,1). If the previous spreading code output was assumed to be two quadrants (-1, 1), then the current spreading code output is also an output of two quadrants (-1, 1).

한편, 상기 도 4 및 5의 π/2 -DPSK 상태천이는 초기상태를 1사분면이라고 가정할 때, 상태가 1사분면에서 2사분면 혹은 4사분면으로 가는 천이경로를 가지고, 위상변화가 ±π/2 로 제한되는 특징을 가지며 ZC와 홀드는 발생하지 않는다.Meanwhile, FIGS. 4 and 5 π / 2 The DPSK state transition has a transition path from the first quadrant to the second or fourth quadrant, assuming that the initial state is the first quadrant. ± π / 2 ZC and hold do not occur.

도 9는 상기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지연기251은 출력되는 확산코드 Ci를 지연하며, 곱셈기252는 지연기261의 출력에 -1을 곱하여 이전확산코드 Cq의 부호를 반전시킨다. 또한 지연기261은 출력되는 확산코드 Cq를 지연한다. 그리고 곱셈기253은 상기 곱셈기252의 출력에 제어신호(1 또는 -1)을 곱하여 확산코드 Ci로 출력하고, 곱셈기263은 상기 곱셈기262의 출력에 제어신호(1 또는 -1)을 곱하여 확산코드 Cq로 출력한다. 만약 이전의 상태가 1사분면의 값인 (1,1)이었다고 가정하면, 현재의 값은 2사분면의 값(-1,1) 또는 4사분면의 값(1,-1)의 값만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상변화 관점에서는 +π/2 또는 -π/2 위상변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천이는 이전의 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즉, 이전의 상태가 2사분면의 값(-1,1)이면 현재상태는 1사분면의 값(1,1) 혹은 3사분면의 값(-1,-1)이 된다. 상기 π/2 -DPSK 상태천이는 이전상태의 값에서 실수부와 허수부의 자리가 바뀌고 바뀐 실수부의 부호를 바꾸어 주면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원리로 π/2 -DPSK 상태천이 구현한 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제어신호가 1 일 경우에는 +π/2 위상변화가 나타나고, 제어신호가 -1 일 경우에는 -π/2 위상변화가 나타난다.9 is the above π / 2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Referring to FIG. 9, the delay unit 251 delays the output spread code C i , and the multiplier 252 inverts the sign of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by multiplying the output of the delay unit 261 by −1. Delay 261 also delays the output spreading code C q . The multiplier 253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252 by the control signal (1 or -1) and outputs the spread code C i , and the multiplier 263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262 by the control signal (1 or -1). Output as q If the previous state is assumed to be (1,1), which is the value of the first quadrant, the current value has only the value of the second quadrant (-1,1) or the value of the fourth quadrant (1, -1). This is explained in terms of phase change as described above. + π / 2 or -π / 2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hase change. And this state transition is affected by the previous state. That is, if the previous state is the value of the second quadrant (-1,1), the current state is the value of the first quadrant (1,1) or the value of the third quadrant (-1, -1). remind π / 2 -DPSK state transi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changing the real and imaginary parts in the previous state and changing the sign of the real part. On this principle π / 2 An embodiment implemented by the DPSK state transition is illustrated in FIG. 9. In FIG. 9, when the control signal is 1 + π / 2 If the phase change appears and the control signal is -1 -π / 2 Phase change appears.

도 10는 직교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PN코드가 +1, -1, -1, +1, -1 이고, 초기 직교부호1이 +1이고, 직교부호2가 +1 이라고 가정하면, 곱셈기253의 출력(Ci,Cq)은 +1, -1, -1, +1, -1 이고, 곱셈기263의 출력은 +1, +1, -1, -1,-1이 된다. 따라서 곱셈기253 및 263의 출력(Ci,Cq)을 종합하면(+1,+1),(-1,+1), (-1,-1),(+1,-1),(-1,-1) 이 되어, 확산코드의 상태천이가 1사분면, 2사분면, 3사분면, 4사분면, 3사분면으로 천이되어 ±π/2 위상변화가 나타난다.FIG. 10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same method as the embodiment of FIG. 9 using orthogonal codes. Assuming that the PN codes are +1, -1, -1, +1, -1, initial orthogonal code 1 is +1, and orthogonal code 2 is +1, the output of multiplier 253 (C i , C q ) is +1, -1, -1, +1, -1, and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263 is +1, +1, -1, -1, -1. Therefore, if we combine the outputs (C i , C q ) of multipliers 253 and 263 (+ 1, + 1), (-1, + 1), (-1, -1), (+ 1, -1), ( -1, -1), and the transition state of the spreading code is shifted to one quadrant, two quadrants, three quadrants, four quadrants, and three quadrants. ± π / 2 Phase change appears.

상기 설명한 ZC,홀드 및 π/2 -DPSK 개념을 확장하여 또 다른 상태천이를 구할 수 있다.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는 상기와 같은 확장 상태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π/2 -DPSK 상태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은 제로크로싱 ZC 혹은 홀드의 상태천이(Zero-Crossing or Hold: 이하 ZCH 라 칭한다.)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3은 ZC 혹은 π/2 -DPSK 상태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홀드 혹은 π/2 -DPSK 상태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5은 ZCH 혹은 π/2 -DPSK 상태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ZC, Hold and π / 2 Another state transition can be obtained by extending the DPSK concept. 11, 12, 13, 14, and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such an extended state transition. 11 is π / 2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PSK state transition, and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zero-crossing ZC or a state transition of a hold (hereinafter referred to as ZCH), and FIG. 13 is a ZC or π / 2 A diagram illustrating a DPSK state transition, and FIG. 14 is a hold or π / 2 -DPSK state transition diagram, FIG. 15 is ZCH or π / 2 A diagram illustrating a DPSK state transition.

도 16는 제로크로싱 혹은 홀드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로크로싱 "혹은" 홀드라함은, 제1상태가 제로크로싱이고 제2상태가 홀드일 때 상태천이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또는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하기 본 발명의 구성 예에 대한 설명에서 "혹은"은 상기 의미로 사용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연기281은 출력되는 확산코드 Ci를 지연하며, 곱셈기282는 상기 지연기281의 출력에 제어신호(1 또는 -1)을 곱하여 확산코드 Ci로 출력한다. 또한 지연기291은 출력되는 확산코드 Cq를 지연하며, 곱셈기292는 상기 지연기291의 출력에 제어신호(1 또는 -1)을 곱하여 확산코드 Cq로 출력한다. 상기 도 16과 같은 구조를 갖는 확산코드 발생기는 초기상태를 1사분면의 값(1,1)라고 가정할 때, 이전의 상태에 그냥 머물러있거나, 3사분면(-1,-1)로 천이를 하는 방법이다. 만약 제어신호301의 값을 1이라고 가정하면, 도 16는 상기 도 8의 홀드구조와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만약 제어신호301의 값을 -1이라고 가정하면, 도 16는 상기 도 6의 ZC구조와 완전히 동일하다. 즉, 상기 설명한 ZC와 홀드를 합쳐놓은 방법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zero crossing or hold diffusion sequence. The zero crossing "or" hold means that the state transition is repeat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or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when the first state is zero crossing and the second state is hol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s used in the above meaning. Referring to FIG. 16, the delay unit 281 delays the output spread code C i , and the multiplier 282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delay unit 281 by the control signal 1 or −1 and outputs the spread code C i . In addition, the delay unit 291 delays the output spread code C q , and the multiplier 292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delay unit 291 by the control signal (1 or -1) and outputs the spread code C q . The spreading code generator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16 assumes that the initial state is the value (1,1) of the first quadrant, but remains in the previous state or transitions to the third quadrant (-1, -1). It is a way. If it is assumed that the value of the control signal 301 is 1, FIG. 16 is exactly the same as the hold structure of FIG. Also, if it is assumed that the value of the control signal 301 is -1, FIG. 16 is exactly the same as the ZC structure of FIG.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a combination of ZC and hold.

도 17는 직교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로크로싱 혹은 홀드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PN코드가 +1, -1, -1, +1, -1 이고, 초기 직교부호1이 +1이고, 직교부호2가 -1 이라고 가정하면, 곱셈기282의 출력(Ci,Cq)은 +1, +1, -1, -1, -1 이고, 곱셈기292의 출력은 -1, -1, +1, +1,+1 이 된다. 따라서 곱셈기282 및 292의 출력(Ci,Cq)을 종합하면 (+1,-1), (+1,-1),(-1,+1),(-1,+1),(-1,+1) 이 되어, 확산코드의 상태천이가 4사분면, 4사분면, 2사분면, 2사분면, 2사분면으로 천이되어 홀드 혹은 제로크로싱( ±3π/2 )위상변화가 나타난다.FIG. 1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the zero crossing or hold spreading sequence using an orthogonal code. Assuming that the PN codes are +1, -1, -1, +1, -1, initial orthogonal code 1 is +1, and orthogonal code 2 is -1, the output of multiplier 282 (C i , C q ) is +1, +1, -1, -1, -1, and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292 is -1, -1, +1, +1, +1. Therefore, when we combine the outputs (C i , C q ) of multipliers 282 and 292, (+ 1, -1), (+ 1, -1), (-1, + 1), (-1, + 1), ( -1, +1), and the transition state of the spreading code is shifted to quadrant 4, quadrant 4, quadrant 2, quadrant 2, quadrant 2, and hold or zero crossing ( ± 3π / 2 Phase change appears.

도 18은 제로크로싱 혹은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8 is zero crossing or π / 2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지연기311은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i를 지연한다. 지연기321은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를 지연한다. 곱셈기313은 상기 지연기311에서 출력되는 지연된 이전 확산코드 Ci에 -1을 곱하여 부호를 반전시킨다. 곱셈기315는 제어신호(1 또는 -1)332에 -1을 곱하여 제어신호332를 반전시키는 수행한다. 곱셈기314는 지연기32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와 곱셈기315의 출력을 곱하여 출력한다. 제1선택기312는 상기 곱셈기313의 출력을 제1신호A로 입력하며, 곱셈기314의 출력을 제2신호B로 입력하며, 제어장치331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신호 A, B 중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곱셈기323은 상기 곱셈기315의 출력과 지연기31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i를 곱하여 출력한다. 곱셈기324는상기 지연기32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에 -1을 곱하여 출력한다. 제2선택기322는 상기 곱셈기323의 출력을 제2신호B로 입력하며, 곱셈기324의 출력을 제1신호A로 입력하고, 상기 제어장치331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신호 A, B 중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상기 도 18은 만약 이전상태를 1사분면이라 할때, 3사분면으로의 ZC 상태천이를 하는 경우 또는 +π/2 위상변화를 하여 2사분면으로 상태천이를 하거나 -π/2 위상변화를 하여 4사분면으로 상태천이를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18에서 만약 제어장치331이 신호A를 선택하면 출력은 이전의 출력을 모두 반전시키면서 ZC를 하게되고, 만약 제어장치331이 신호B를 선택하면 출력은 기본적으로 π/2 -DPSK 상태천이를 하게된다. 제어신호332의 값이 1이면 이전의 출력위상이 +π/2 위상변화를 하게되고, 제어신호332의 값이 -1이면 이전의 출력위상이 -π/2 위상변화를 하게된다. 상기 도 18의 ZC 혹은 π/2 -DPSK 상태천이는 ZC 혹은 +π/2 -DPSK 와 ZC 혹은 -π/2 -DPSK의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상기 ZC 혹은 π/2 -DPSK 상태천이의 조합은 제어장치331 및 제어신호332 두개를 제어하여야 하지만, 제어신호332의 값이 항상 1이면 ZC 혹은 +π/2 -DPSK 로 동작하고, 제어신호1841의 값이 항상 -1이면 ZC 혹은 -π/2 -DPSK로 동작한다.Referring to FIG. 18, the delay unit 311 delays the output spread code C i . Delay 321 delays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that is output. The multiplier 313 inverts the sign by multiplying the delayed previous spreading code C i output from the delayer 311 by -1. The multiplier 315 multiplies the control signal (1 or -1) 332 by -1 to invert the control signal 332. The multiplier 314 multiplies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outputted from the delayer 321 by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15. The first selector 312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13 as the first signal A,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14 as the second signal B, and selects a corresponding signal among the signals A and B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331. Output The multiplier 323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15 by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i output from the delay unit 311. The multiplier 324 multiplies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output from the delayer 321 by -1 and outputs the result. The second selector 322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23 as the second signal B,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24 as the first signal A,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among the signals A and B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1. Selective output. 1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transition state of the ZC state to the third quadrant is assumed when the previous state is called the first quadrant, or + π / 2 Change the phase to transition to two quadrants, -π / 2 It shows the case of state transition to 4 quadrants by changing phase. In FIG. 18, if the controller 331 selects the signal A, the output is ZC while inverting all previous outputs. If the controller 331 selects the signal B, the output is basically π / 2 -DPSK state transition is performed. If the value of control signal 332 is 1, the previous output phase + π / 2 If the control signal 332 is -1, the previous output phase is changed. -π / 2 Phase change is made. ZC of FIG. 18 or π / 2 DPSK state transition is ZC or + π / 2 DPSK and ZC or -π / 2 It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DPSK. That is, the ZC or π / 2 Combination of DPSK state transition should control both control device 331 and control signal 332, but if control signal 332 is always 1, ZC or + π / 2 If it operates with -DPSK and the value of control signal 1841 is always -1, ZC or -π / 2 Operate with DPSK.

도 19는 제로크로싱 혹은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PN코드가 +1, -1, -1, +1, +1, -1 이고, 초기 직교부호1이 -1이고, 직교부호2가 +1 이라고 가정하면, Ci는 -1, +1, -1, +1, -1, +1 이고, 곱셈기341의 출력(Cq)은 +1, +1, -1, -1, +1, +1 이 된다. 따라서 출력(Ci,Cq)을 종합하면 (-1,+1), (+1,+1),(-1,-1),(+1,-1),(-1,-1) 이 되어, 확산코드의 상태천이가 2사분면, 1사분면, 3사분면, 4사분면, 3사분면으로 천이되어 제로크로싱 혹은 ( ±π/2 )위상변화가 나타난다.19 is zero crossing or π / 2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Assuming that the PN codes are +1, -1, -1, +1, +1, -1, initial orthogonal code 1 is -1, and orthogonal code 2 is +1, C i is -1, +1, -1, +1, -1, +1, and the output C q of the multiplier 341 becomes +1, +1, -1, -1, +1, +1. Therefore, if you sum the outputs (C i , C q ), (-1, + 1), (+ 1, + 1), (-1, -1), (+ 1, -1), (-1, -1 ), The transition state of the spreading code is shifted into quadrants, quadrants, quadrants, quadrants, and quadrants. ± π / 2 Phase change appears.

도 20은 홀드 혹은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 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0을 참조하면, 지연기351은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i를 지연한다. 지연기361은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를 지연한다. 곱셈기353은 상기 지연기351에서 출력되는 지연된 이전 확산코드 Ci에 1을 곱하여 출력한다. 곱셈기355는 제어신호(1 또는 -1)372에 -1을 곱하여 제어신호372를 반전시키는 수행한다. 곱셈기354는 지연기36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와 곱셈기355의 출력을 곱하여 출력한다. 제1선택기352는 상기 곱셈기353의 출력을 제1신호A로 입력하며, 곱셈기354의 출력을 제2신호B로 입력하며, 제어장치371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신호 A, B 중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곱셈기363은 상기 곱셈기355의 출력과 지연기35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i를 곱하여 출력한다. 곱셈기364는상기 지연기36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에 1을 곱하여 출력한다. 제2선택기362는 상기 곱셈기363의 출력을 제2신호B로 입력하며, 곱셈기364의 출력을 제1신호A로 입력하고, 상기 제어장치371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신호 A, B 중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상기 도 20은 이전상태를 1사분면이라고 하고 3사분면으로의 ZC 상태천이를 하는 경우, +π/2 위상변화를 하여 2사분면으로 상태천이를 하거나 -π/2 위상변화를 하여 4사분면으로 상태천이를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 20에서 제어장치371이 신호A를 선택하면 출력은 이전의 출력을 그대로 출력시키는 홀드를 하게되고, 제어장치371이 신호B를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π/2 -DPSK 상태천이를 하게된다. 제어신호372의 값이 1이면 이전의 출력위상이 +π/2 위상변화를 하게되고, 제어신호372의 값이 -1이면 이전의 출력위상이 -π/2 위상변화를 하게된다. 상기 도 20의 홀드 혹은 π/2 -DPSK 상태천이는 홀드 혹은 +π/2 -DPSK 와 홀드 혹은 -π/2 -DPSK의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상기 홀드 혹은 π/2 -DPSK 상태천이의 조합은 제어장치371 및 제어신호372 두개를 제어하여야 하지만, 제어신호372의 값이 항상 1이면 홀드 혹은 +π/2 -DPSK 로 동작하고, 제어신호372의 값이 항상 -1이면 홀드 혹은 -π/2 -DPSK로 동작한다.20 is hold or π / 2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Referring to FIG. 20, delay 351 delays the previous spread code C i output. Delay 361 delays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that is output. The multiplier 353 multiplies the delayed previous spreading code C i output from the delayer 351 by one. The multiplier 355 multiplies the control signal (1 or -1) 372 by -1 to invert the control signal 372. The multiplier 354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55 by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output from the delay unit 361 and outputs the multiplier 355. The first selector 352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53 as the first signal A,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54 as the second signal B, and selects a corresponding signal among the signals A and B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371. Output The multiplier 363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55 by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i output from the delay unit 351 and outputs the multiplier. The multiplier 364 multiplies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output from the delay 361 by 1 and outputs the multiplier 1. The second selector 362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63 as the second signal B,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364 as the first signal A,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among the signals A and B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71. Selective output. FIG. 20 is a case where the previous state is called a quadrant and the ZC state transition to the third quadrant is performed. + π / 2 Change the phase to transition to two quadrants, -π / 2 It shows the case of state transition to 4 quadrants by changing phase. In FIG. 20, when the control device 371 selects the signal A, the output is held to output the previous output as it is, and when the control device 371 selects the signal B, basically π / 2 -DPSK state transition is performed. If the value of control signal 372 is 1, the previous output phase + π / 2 If the control signal 372 is -1, the previous output phase is changed. -π / 2 Phase change is made. Hold of FIG. 20 or π / 2 DPSK state transition is hold or + π / 2 DPSK and hold or -π / 2 It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DPSK. That is, the hold or π / 2 The combination of DPSK state transitions should control both control device 371 and control signal 372, but if the value of control signal 372 is always 1, then hold or + π / 2 -DPSK, and if the value of control signal 372 is always -1, hold or -π / 2 Operate with DPSK.

도 21는 직교부호를 이용하여 홀드 혹은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PN코드가 +1, -1, -1, +1, +1, -1 이고, 초기 직교부호1이 -1이고, 직교부호2가 +1 이라고 가정하면, Ci는 +1, +1, +1, +1, +1, +1 이고, 곱셈기341의 출력(Cq)은 +1, +1, -1, -1, +1, +1 이 된다. 따라서 출력(Ci,Cq)을 종합하면 (+1,+1), (+1,+1),(+1,-1),(+1,-1),(+1,-1) 이 되어, 확산코드의 상태천이가 1사분면, 1사분면, 4사분면, 4사분면, 4사분면으로 천이되어 홀드 혹은 ( ±π/2 )위상변화가 나타난다.21 is held or orthogonal code using π / 2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Assuming that the PN codes are +1, -1, -1, +1, +1, -1, initial orthogonal code 1 is -1, and orthogonal code 2 is +1, C i is +1, +1, +1, +1, +1, +1, and the output C q of the multiplier 341 is +1, +1, -1, -1, +1, +1. Therefore, if you sum the outputs (C i , C q ), (+ 1, + 1), (+ 1, + 1), (+ 1, -1), (+ 1, -1), (+ 1, -1 ), The transition state of the spreading code is shifted to one quadrant, one quadrant, four quadrants, four quadrants, and four quadrants to hold or ( ± π / 2 Phase change appears.

한편, 도 15의 ZCH 혹은 π/2 -DPSK 상태천이는, 만약 이전상태를 1사분면의 값(1,1)이라고가정하면, 현재상태는 1사분면의 값(1,1), 2사분면의 값(-1,1), 3사분면의 값(-1,-1) 혹은 4사분면의 값(1,-1)이 될 수가 있다. 이것은 이전상태의 값에 관계없이 현재상태로의 천이가 모든 사분면에 나타날 수 있는 무기억적(Memoryless) 성격을 가진다. 이는 종래의 QPSK 확산방식이다.Meanwhile, ZCH of FIG. 15 or π / 2 The DPSK state transition assumes that if the previous state is assumed to be the first quadrant value (1,1), then the current state is the first quadrant value (1,1), the second quadrant value (-1,1), and the third quadrant. Value (-1, -1) or the quadrant value (1, -1). This has the memoryless nature that transitions to the current state can occur in all quadrants, regardless of the value of the previous state. This is a conventional QPSK diffusion method.

PN코드의 입력을 상기 상태천이 방법들을 이용하여 확산코드를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특성의 확산코드를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상태천이 방법을 조합하여 PAR 및 BER 특성이 우수한 확산방법을 만들 수 있다. 예를들면, QPSK-ZCH, ZCH-QPSK, ZCH- π/2 -DPSK , π/2 -DPSK-ZCH, QPSK- π/2 -DPSK -ZCH- π/2 -DPSK , QPSK- π/2 -DPSK -QPSK-ZCH, QPSK-ZCH-QPSK- π/2 -DPSK 등등의 방법으로 확산코드를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들은 PAR 과 BER 특성이 사용하는 직교부호와 다중엑세스간섭(Multiple Access Interference: 이하 MAI라 칭한다.)정도 및 역방향링크의 사용자당 채널의 수 등에 따라 약간씩 특성이 다르므로 채널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도 있다.A spreading code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can be made by generating a spreading code by inputting a PN code using the state transition methods. That is, by combining the state transition method can be made a diffusion method excellent in the PAR and BER characteristics. For example, QPSK-ZCH, ZCH-QPSK, ZCH- π / 2 -DPSK, π / 2 DPSK-ZCH, QPSK π / 2 -DPSK -ZCH- π / 2 -DPSK, QPSK- π / 2 -DPSK -QPSK-ZCH, QPSK-ZCH-QPSK- π / 2 You can also make a spreading code by DPSK, etc. These various methods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orthogonal code used by the PAR and BER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I), and the number of channels per user on the reverse link. I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도 22는 π/2 -DPSK 확산코드 발생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2를 참조하면, 위상매핑부411은 PNI코드의 위상을 매핑시켜 C1및 C2코드를 생성한다. 레벨변환기415는 PNQ코드의 레벨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곱셈기412는 상기 위상매핑부411에서 출력되는 C1코드와 상기 레벨변환된 PNQ코드를 곱하여 Ci코드로 출력한다. 곱셈기413은 상기 위상매핑부411에서 출력되는 C2코드와 상기 레벨변환된 PNQ코드를 곱하며, 곱셈기414는 상기 곱셈기413의 출력과 허수 j를 곱하여 Cq코드로 출력한다. 상기 도 22와 같은 π/2 -DPSK 확산코드 발생 과정을 살펴보면, 입력신호 PNI의 홀수번째 인덱스에서는 (C1= +1, C2= +1) 또는 (C1= -1, C2= -1)이 되고, 짝수번째 인덱스에서는 (C1= +1, C2= -1) 또는 (C1= -1, C2= +1)이 되게 하거나, 이 입력신호의 반대가 되게하면 확산코드의 위상변화가 ±π/2 로 제한된다. 상기 도 22에서 PNI및 PNQ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지며, C1및 C2는 1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위상매핑부411의 출력이다. 레벨변환기415는 1-2*(입력값)을 출력하며 1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상기 위상매핑부411은 확산코드의 위상변화를 ±π/2 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면 입력신호인 PNI가 0이면 이전위상을 +π/2 로 천이시키고, 반대로 PNI가 1이면 이전 위상을 -π/2 로 천이시킨다.22 is π / 2 -DPSK spreading code generation block diagram. Referring to FIG. 22, the phase mapping unit 411 generates C 1 and C 2 codes by mapping phases of a PN I code. The level converter 415 converts and outputs the level of the PN Q code. The multiplier 412 multiplies the C 1 code output from the phase mapping unit 411 and the level-converted PN Q code and outputs the C i code. The multiplier 413 multiplies the C 2 code output from the phase mapping unit 411 and the level-converted PN Q code, and the multiplier 414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413 by an imaginary j and outputs the C q code. Same as FIG. 22 above π / 2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PSK spreading code, the odd index of the input signal PN I becomes (C 1 = +1, C 2 = +1) or (C 1 = -1, C 2 = -1), and the even number is In the index, (C 1 = +1, C 2 = -1) or (C 1 = -1, C 2 = +1), or the opposite of this input signal, the phase change of the spreading code ± π / 2 Limited to 22, PN I and PN Q have a value of 0 or 1, and C 1 and C 2 are outputs of the phase mapping unit 411 having a value of 1 or -1. The level converter 415 outputs 1-2 * (input values) and has a value of 1 or -1. The phase mapping unit 411 changes the phase change of the spreading code. ± π / 2 It serves to limit. For example, if the input signal PN I is 0, the previous phase + π / 2 On the contrary, if PN I equals 1, -π / 2 Transition to

도 23은 지연기를 이용하여 π/2 -DPSK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블럭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상기 도 23을 참조하면, 곱셈기451은 PNI코드와 지연기452의 출력을 곱하여 출력하며, 상기 지연기452는 상기 곱셈기451의 출력을 지연하여 상기 곱셈기451에 인가한다. 곱셈기454는 상기 PNI코드에 -1을 곱하고, 곱셈기455는 상기 PNI코드와 지연기456의 출력을 곱하여 출력하며, 상기 지연기456은 상기 곱셈기455의 출력을 지연하여 상기 곱셈기455에 인가한다. 곱셈기453은 상기 곱셈기451의 출력과 PNQ코드를 곱하여 Ci코드를 발생하며, 곱셈기457은 상기 곱셈기455의 출력과 PNQ코드를 곱하여 Cq코드를 발생한다. 상기 도 23과 같은 구성으로 확산코드를 발생하는 과정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PNI가 1, PNQ가 1 이라고 가정하자. 이 때의 확산코드 Ci및 Cq의 출력은 각각 1 과 -1 이 출력된다. 이것은 (1,-1)로써 4사분면의 위상을 가진다. 만약 PNQ가 -1 이라면 확산코드는 2사분면의 값 (-1,1)이 출력된다. 그 다음의 PNI및 PNQ값에 따라서는 항상 출력이 1사분면 (1,1) 또는 3사분면 (-1,-1)의 값이 출력된다. 이런 방법으로 항상 한번은 확산코드의 위상이 1사분면 혹은 3사분면의 값이 다음에는 2사분면 혹은 4사분면의 값이 출력되므로, 확산코드의 위상변화에 있어서 ZC나 홀드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23 uses a retarder π / 2 23 illustrates a block diagram for generating a DPSK spreading sequence. Referring to FIG. 23, the multiplier 451 multiplies the PN I code by the output of the delay unit 452, and the delay unit 452 out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451. The delay is applied to the multiplier 451. A multiplier 454 multiplies the PN I code by -1, and a multiplier 455 multiplies the PN I code by the output of the delay unit 456, and the delay unit 456 delay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455 and applies it to the multiplier 455. . A multiplier 453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451 by a PN Q code to generate a C i code, and a multiplier 457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455 by a PN Q code to generate a C q code.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generating a spreading code with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3, suppose that PN I is 1 and PN Q is 1. FIG. At this time, 1 and -1 are output to the spreading codes C i and C q , respectively. It has a phase of four quadrants as (1, -1). If PN Q is -1, the spreading code outputs two quadrant values (-1,1). Depending on the next PN I and PN Q values, the output is always output in the first quadrant (1,1) or the third quadrant (-1, -1). In this way, once the phase of the spreading code is one quadrant or three quadrants, the second quadrant or four quadrants are output, so there is no ZC or hold in the phase change of the spreading code.

도 24는 본 발명의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π/2 -DPSK 및 제로크로싱 혹은 홀드(Zero Crossing or Hold:이하 ZCH 라 칭한다)들을 조합하여서 확산코드를 만들어내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의 그림에서 신호A는 PNI및 PNQ의 신호가 그대로 출력되는 QPSK의 신호를 나타내고, 신호B와 신호D는 π/2 -DPSK를 나타내며, 신호C는 ZCH를 나타낸다. 상기 도 24를 참조하면, 지연기511은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i를 지연한다. 지연기521은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를 지연한다. 곱셈기513은 PNI코드와 상기 지연기51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i를 곱하여 출력한다. 곱셈기515은 PNQ코드와 -1을 곱하여 PNQ코드를 반전시키는 것을 수행한다. 곱셈기514는 지연기52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와 곱셈기515의 출력을 곱하여 출력한다. 제1선택기512는 상기 PNI코드를 제1신호A로 입력하며, 곱셈기513의 출력을 제3신호C로 입력하고, 곱셈기514의 출력을 제2신호B 및 제4신호D로 입력하며, 제어장치531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신호 A, B, C, D 중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곱셈기523은 PNI코드와 상기 지연기52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를 곱하여 출력한다. 곱셈기524는 PNQ코드와 상기 지연기51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i를 곱하여 출력한다. 제2선택기522는 상기 PNQ코드를 제1신호A로 입력하며, 곱셈기523의 출력을 제3신호C로 입력하고, 곱셈기524의 출력을 제2신호B 및 제4신호D로 입력하며, 제어장치531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신호 A, B, C, D 중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신호 A는 PNI및 PNQ의 신호가 그대로 출력되는 QPSK 신호이며, 제2신호 B는 제로크로싱 또는 홀드 상태의 신호이고, 제2신호 B 및 제3신호 D는 π/2-DPSK 신호이다. 상기 도 24와 같은 구성으로 확산코드를 발생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장치531은 제1 및 제2 선택기 512 및 522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신호 A, B, C 및 D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QPSK, ZC, π/2 -DPSK 및 홀드의 방법을 조합하여 BER 성능 저하가 최소이면서도 PAR이 낮은 다양한 확산방법을 만들 수도 있다. 예를들면, QPSK- π/2 -DPSK-ZCH- π/2 -DPSK(이하 Q-D-Z-D 라 칭한다.)를 순서대로 사용하는 제1 확산방법, 홀드- π/2 -DPSK를 이용한 제2 확산방법 및 ZC- π/2 -DPSK를 이용한 제3 확산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QPSK, ZC, π/2 -DPSK 및 홀드의 방법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확산방법을 또다시 조합함으로써 생성되는 확산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구현가능하다.24 is a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of the present invention; π / 2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spreading code by combining DPSK and zero crossing or hold (hereinafter referred to as ZCH). In FIG. 24, signal A represents a signal of QPSK from which signals of PN I and PN Q are output as they are, and signals B and D are π / 2 -Represents DPSK, and signal C represents ZCH. Referring to FIG. 24, the delay unit 511 delays the output spread code C i . Delay 521 delays the output previous spreading code C q . The multiplier 513 multiplies the PN I code by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i output from the delay unit 511 and outputs the multiplier. The multiplier 515 multiplies the PN Q code by -1 to invert the PN Q code. The multiplier 514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515 by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output from the delay unit 521 and outputs the multiplier 515. The first selector 512 inputs the PN I code as the first signal A,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513 as the third signal C,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514 as the second signal B and the fourth signal D, and controls. The signal A, B, C, or D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device 531 selects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he multiplier 523 multiplies the PN I code by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output from the delay unit 521 and outputs the multiplier. The multiplier 524 multiplies the PN Q code by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i output from the delay unit 511 and outputs the multiplier. The second selector 522 inputs the PN Q code as the first signal A,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523 as the third signal C,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524 as the second signal B and the fourth signal D, and controls. The signal A, B, C, or D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device 531 selects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Here, the first signal A is a QPSK signal in which the signals of PN I and PN Q are output as they are, the second signal B is a signal in a zero crossing or hold state, and the second signal B and the third signal D are π / 2- DPSK signal.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spreading code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4, the control device 531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selectors 512 and 522 to sequentially select the signals A, B, C, and D in a predetermined order. . QPSK, ZC, π / 2 The combination of DPSK and hold methods can be used to create a variety of diffusion methods with minimal BER degradation and low PAR. For example, QPSK- π / 2 -DPSK-ZCH- π / 2 Hold, first diffusion method using DPSK (hereinafter referred to as QDZD) in order π / 2 Second diffusion method and ZC using DPSK π / 2 There may be a third diffusion method using a DPSK. Also the QPSK, ZC, π / 2 A diffusion method produced by combin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ffusion methods as well as the method of DPSK and hold may also be used. The method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먼저 도 24를 이용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Q-D-Z-D)에 따른 확산코드의 생성 동작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방법은 처음에는 입력되는 PNI및 PNQ의 값을 그대로 출력하므로 사분면에서(1,1), (1,-1), (-1,1), (-1,-1) 중의 한 값이 되는 QPSK를 수행하고, 다음에는 이전의 출력에서 위상이 ±π/2 변화하게 하는 π/2 -DSPK를 수행하며, 다음에는 역시 이전의 출력에서 동일한 값이 출력되거나 아니면 부호가 둘다 변화하게 되는 ZCH를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π/2 -DSPK를 수행한다. 이것은 제1선택기512 및 제2선택기522의 선택에 있어서 신호A, 신호B, 신호C, 신호D를 순차적으로 반복선택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도 24의 PNI및 PNQ코드는 종래의 PN 확산코드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4의 구성 예를 이용하여 다른 상태천이의 경우를 살펴보자. 먼저 QPSK-ZCH 는 제1선택기512 및 제2선택기522의 선택에 있어서 신호A, 신호C를 순차적으로 반복선택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으며, ZCH-QPSK는 제1선택기512 및 제2선택기522의 선택에 있어서 신호C, 신호A를 순차적으로 반복선택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작설명에서 상기 QPSK-ZCH 와 ZCH-QPSK처럼 확산코드의 출력이 시작순서가 다른 경우, 즉 한 칩 구간동안의 시간지연일 경우는 모두 동일한 확산코드를 발생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ZCH- π/2 -DPSK(혹은 π/2 -DPSK-ZCH)는 제1선택기512 및 제2선택기522의 선택에 있어서 신호C, 신호B(혹은 신호B, 신호C)를 순차적으로 반복선택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으며, QPSK- π/2 -DPSK -ZCH- π/2 -DPSK는 제1선택기512 및 제2선택기522의 선택에 있어서 신호A, 신호B, 신호C, 신호D를 순차적으로 반복선택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으며, π/2 -DPSK-QPSK-ZCH- π/2 -DPSK는 제1선택기512 및 제2선택기522의 선택에 있어서 신호B, 신호A, 신호C, 신호D를 순차적으로 반복선택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으며, QPSK- π/2 -ZCH-QPSK- π/2 -DPSK 는 제1선택기512 및 제2선택기522의 선택에 있어서 신호A, 신호C, 신호A, 신호B를 순차적으로 반복선택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도 24의 확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하드웨어 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위의 제1 실시예를 동일한 방법이면서도 아주 간단한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First, a generation code gener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QDZD of FIG. 24 will be described. The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outputs the values of PN I and PN Q input as they are, so in the quadrant (1,1), (1, -1), (-1,1), (-1, -1) QPSK, which is one of the following values, then the phase at the previous output ± π / 2 Changing π / 2 -DSPK, followed by ZCH, which also outputs the same value at the previous output, or both signs, and finally ± π / 2 Run the DSPK. This can be operated by sequentially repetitively selecting signals A, B, C and D in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or 512 and the second selector 522. The PN I and PN Q codes of FIG. 24 may be the same as those used in the conventional PN spreading code. On the other hand, let's look at the case of another state transition using the configuration example of FIG. First, the QPSK-ZCH can operate by sequentially repeating the signals A and C in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or 512 and the second selector 522, and the ZCH-QPSK is used to select the first selector 512 and the second selector 522. It is possible to operate by sequentially selecting the signals C and A in sequence. In the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ame spreading codes are generated when the output sequence of the spreading codes is different from the starting order, that is, the time delay during one chip period, such as the QPSK-ZCH and the ZCH-QPSK. ZCH- π / 2 DPSK (or π / 2 DPSK-ZCH) may operate by sequentially repeating signal C and signal B (or signal B and signal C) in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or 512 and the second selector 522. π / 2 -DPSK -ZCH- π / 2 DPSK can be operated by sequentially repetitively selecting signals A, B, C and D in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or 512 and the second selector 522. π / 2 DPSK-QPSK-ZCH π / 2 DPSK can be operated by sequentially repetitively selecting signal B, signal A, signal C, and signal D in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or 512 and the second selector 522. π / 2 -ZCH-QPSK- π / 2 The DPSK can operate by sequentially repeating the signal A, the signal C, the signal A, and the signal B in the selection of the first selector 512 and the second selector 522. To implement the spreading method of FIG. 24 requires a very complex hardware device. However, the first embodiment can be represented in the same manner and in a very simple structure.

도 2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Q-D-Z-D)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다. 상기 도 25-A를 참조하면, 데시메이터(decimation 4)611은 PN1코드를 4-데시메이션하여 출력하며, 데시메이터621은 PN2코드를 4-데시메이션하여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데시메이션을 한다는 것은 데시메이션되는 심볼이 일정 칩 구간동안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데시메이터의 출력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25-A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generating a diffu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QDZ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5-A, the decimator 611 4-decimates and outputs the PN 1 code, and the decimator 621 4-decimates and outputs the PN 2 cod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cimation means that the decimated symbol has the same value for a predetermined chip period. The output of the decimator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25-B는 상기 데시메이션에 대한 시간축에서의 심볼 변화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B의 611은 도 25-A의 데시메이터611에서 PN1을 +1라고 할 때 4-데시메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5-B의 621은 도 25-A의 데시메이터621에서 PN2를 -1이라고 할 때 4-데시메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A의 곱셈기613은 곱셈기612의 출력과 PN3코드를 곱하여 확산코드 Ci로 출력하며, 곱셈기623은 곱셈기622의 출력과 PN3코드를 곱하여 확산코드 Cq로 출력한다. 상기 도 25-A와 같은 구성으로 확산코드를 발생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PN1및 PN2코드는 4-데시메이터611 및 621에서 데시메이션이 된 다음 곱셈기612와 622에서 직교부호와 곱해진다. 그 다음에 곱셈기613 및 623에서 또 다른 PN3코드와 곱해진후 최종 확산코드 CI, CQ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PN1및 PN2코드는 한번 결정되면 4칩 동안 유지된다. 상기 데시메이터611 및 621에서 출력되는 상기 PN1및 PN2코드는 각각 곱셈기612 및 622에서 각각 대응되는 직교부호와 곱해진다. 이때 첫 번째 칩 시간(chip time)에는 QPSK 방식이 된다. 둘째 칩 시간에는 이전의 칩 시간 출력을 제1사분면의 (1,1)이라고 가정하면 제2사분면(-1,1) 또는 제4분면(1,-1)의 값이 되며, 이는 π/2-DPSK 방식이 된다. 세 번째 칩 시간에는 직교부호와 PN3코드에 의해서 제2사분면(-1,1) 또는 제4분면(1,-1) 값이 되며, 이는 ZCH 방식이 된다. 네 번째 칩 시간에는 출력이 제1사분면(1,1) 또는 제3사분면(-1,-1)에 나타나며, 이는 π/2-DPSK 방식이 된다. 상기와 같은 확산코드의 발생 과정은 상기 도 24에서 발생되는 확산코드(hybrid spreading code)의 한 구현 방식이 됨을 알 수 있다.Fig. 25-B shows an example of symbol change in the time axis for the decimation. 25-B shows the result of 4-decimation when PN 1 is +1 in the decimator 611 of FIG. 25-A, and 621 of FIG. 25-B shows the decimator 621 of FIG. 25-A. When PN 2 is -1, the result of 4-decimation is shown. The multiplier 613 of FIG. 25-A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612 and the PN 3 code and outputs the spread code C i . The multiplier 623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622 and the PN 3 code and outputs the spread code C q .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spreading code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5-A, the PN 1 and PN 2 codes are decimated in the 4-decimators 611 and 621 and then multiplied by the orthogonal codes in the multipliers 612 and 622. The multipliers 613 and 623 then multiply with another PN 3 code and output the final spreading codes C I and C Q. At this time, once the PN 1 and PN 2 codes are determined, they are maintained for 4 chips. The PN 1 and PN 2 codes output from the decimators 611 and 621 are multiplied by the orthogonal codes corresponding to the multipliers 612 and 62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chip time is the QPSK method. In the second chip time, assuming that the previous chip time output is (1,1) of the first quadrant, it is the value of the second quadrant (-1,1) or the fourth quadrant (1, -1), which is π / 2. -DPSK method. At the third chip time, a quadrant (-1,1) or fourth quadrant (1, -1) value is obtained by the orthogonal code and the PN 3 code, which is a ZCH scheme. At the fourth chip time, the output appears in the first quadrant (1,1) or the third quadrant (-1, -1), which is the π / 2-DPSK scheme. It can be seen that the above generation process of the spreading code is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hybrid spreading code generated in FIG. 24.

도 2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Q-D-Z-D)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또 다른 구성을 도면이다. 상기 도 26-A를 참조하면, 곱셈기711은 PNI코드와 직교부호1을 곱하고, 곱셈기721는 PNI코드와 직교부호2를 곱하여 출력한다. 직병렬변환기731은 직렬 형태의 PNQ코드를 병렬 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시메이터(decimation 2)741은 직병렬변환기731에서 출력되는 PNQ코드를 데시메이션하여 홀수번째의 PNQ코드를 출력하며, 데시메이터751은 직병렬변환기731에서 출력되는 PNQ코드를 데시메이션하여 짝수번째의 PNQ코드를 출력한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731의 출력 및 데시메이터741과 751의 출력은 하기 도 26-B의 시간축에서의 심볼변화를 도시한 도면에서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직렬-병렬 변환기731의 출력은 홀수번째의 PNQ코드값이 도 26-B의 데시메이터741과 같이 변화가 되며, 짝수번째의 PNQ코드값은 도 26-B의 데시메이터751과 같이 변화된다.Fig. 26-A is a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configuration of generating a diffu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QDZ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6-A, the multiplier 711 multiplies the PN I code by the orthogonal code 1, and the multiplier 721 multiplies the PN I code by the orthogonal code 2 and outputs the multiplier. Serial-to-parallel converter 731 converts serial PN Q codes into parallel data and outputs the parallel data. The decimator 741 decimates the PN Q code output from the deserializer 731 and outputs the odd PN Q code. The decimator 751 decimates the PN Q code output from the deserializer 731. Output the even-numbered PN Q code. The output of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731 and the outputs of the decimators 741 and 751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in the figure showing the symbol change on the time axis of Figure 26-B below. The output of the serial-to-parallel converter 731 has an odd PN Q code value changed as shown in decimator 741 of FIG. 26-B, and an even PN Q code value is changed as shown in decimator 751 of FIG. 26-B. .

도 26-A의 곱셈기712는 데시메이터741의 출력과 곱셈기711의 출력을 곱하여 확산코드 Ci로 출력하며, 곱셈기722는 곱셈기721의 출력과 데시메이터751의 출력을 곱하여 확산코드 Cq로 출력한다. 상기 도 25는 PN 코드 3개를 사용하여야 하는 구조이지만, 상기 도 26은 상기 도 25와 동일한 기능을 하면서도 PN 코드를 2개만 필요로 하는 구조이다. PNI는 곱셈기711 및 721에서 각각 직교부호1과 직교부호2와 곱해진다. 한편 PNQ는 직렬-병렬 변환기731을 거쳐 2-데시메이터741 및 751를 거친후 각각 곱셈기 712와 722에서 PNI와 직교부호와의 곱의 출력과 곱해진 다음 확산코드 Ci및 Cq로 출력된다. 상기 도 26의 구조를 갖는 확산코드 발생기는 상기 도 25의 PN1및 PN2를 PNq를 이용하여 발생시키고, 상기 도 25의 PN3은 PNi를 이용하여 발생시킨다.The multiplier 712 of FIG. 26-A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decimator 741 by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711 and outputs the spread code C i . The multiplier 722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721 and the output of the decimator 751 and outputs the spread code C q . . FIG. 25 is a structure in which three PN codes are to be used. However, FIG. 26 is a structure in which two PN codes are required while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FIG. PN I is multiplied by orthogonal code 1 and orthogonal code 2 in multipliers 711 and 721,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PN Q is passed through 2-decimators 741 and 751 through serial-to-parallel converter 731, and then multiplied by the output of the product of PN I and the orthogonal codes in multipliers 712 and 722, respectively, and then output as spread codes C i and C q do. The spreading code generator having the structure of FIG. 26 generates PN 1 and PN 2 of FIG. 25 using PN q , and PN 3 of FIG. 25 generates PN i .

도 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ZD)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한번은 ZCH를 수행하고 다음에는 π/2 -DSPK로 확산코드를 발생시킨다. 실험적으로 확산코드가 제로크로싱을 하면 PAR의 성능이 저하된다. 그러나 복소곱셈기100의 전단에 위치되는 직교 확산 과정에서 각 채널마다 할당되는 직교부호에 의해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생성되는 확산코드는 주기적으로 먼저 제로크로싱을 수행하고 다음에 π/2 -DSPK를 수행함으로써 PAR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27을 참조하면, 지연기811은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i를 지연한다. 지연기821은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를 지연한다. 곱셈기813은 상기 지연기811에서 출력되는 지연된 이전 확산코드 Ci에 PNI를 곱하여 출력한다. 곱셈기815는 PNQ에 -1을 곱하여 PNQ를 반전시키는 수행한다. 곱셈기814는 지연기82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와 곱셈기815의 출력을 곱하여 출력한다. 제1선택기812는 상기 곱셈기813의 출력을 제1신호A로 입력하며, 곱셈기814의 출력을 제2신호B로 입력하며, 제어장치831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신호 A, B 중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곱셈기823은 상기 PNQ와 지연기81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i를 곱하여 출력한다. 곱셈기824는 상기 지연기821에서 출력되는 이전 확산코드 Cq에 상기 PNI를 곱하여 출력한다. 제2선택기822는 상기 곱셈기823의 출력을 제2신호B로 입력하며, 곱셈기824의 출력을 제1신호A로 입력하고, 상기 제어장치831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신호 A, B 중 해당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한다. 도 27에서 제1신호A는 ZCH를, 제2신호B는 π/2 -DSPK를 나타낸다. 초기의 지연기811 및 821에 1사분면 또는 3사분면의 {(1,1), (-1,1)}값이 있는 경우와 초기의 지연기811 및 821에 2사분면 또는 4사분면의 {(-1,1), (1,-1)}값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먼저 1사분면 또는 3사분면의 값이 있을 경우에는 먼저 ZCH에 의해 1사분면 또는 3사분면의 값이 출력된다. 다음에는 π/2 -DSPK에 의해 2사분면 또는 4사분면의 값이 출력되고 다음에는 역시 ZCH에 의해 2사분면 또는 4사분면의 값이 출력된다. 초기의 값이 2사분면 또는 4사분면에 있을 때에도 위의 개념과 동일하게 출력된다.FIG. 2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spreading sequen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ZD) of the present invention. π / 2 Generate spreading code with DSPK. Experimentally, zero spreading of the spreading code degrades the performance of the PAR. However, in the orthogonal spreading proces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complex multiplier 100, performance may be changed by orthogonal codes assigned to each channel. The generated spreading code periodically performs zero crossing first and then π / 2 PAR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DSPK. Referring to FIG. 27, the delay unit 811 delays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i output. Delay 821 delays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that is output. The multiplier 813 multiplies PN I by the delayed previous spreading code C i output from the delay unit 811. The multiplier 815 multiplies PN Q by -1 to invert PN Q. The multiplier 814 multiplies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q output from the delay unit 821 by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815 and outputs the multiplier. The first selector 812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813 as the first signal A,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814 as the second signal B, and selects a corresponding signal among the signals A and B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831. Output The multiplier 823 multiplies the PN Q by the previous spreading code C i output from the delay unit 811 and outputs the multiplier. The multiplier 824 multiplies the previous spread code C q output from the delay unit 821 by the PN I. The second selector 822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823 as the second signal B, input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824 as the first signal A,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among the signals A and B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31. Selective output. In FIG. 27, the first signal A is ZCH and the second signal B is π / 2 -DSPK. The first delays 811 and 821 have {(1,1), (-1,1)} values in the first or third quadrants, and the initial delays 811 and 821 have the {(- 1,1) and (1, -1)} values can be divided and considered. First, if there is a value of one quadrant or three quadrants, the value of one quadrant or three quadrants is first outputted by ZCH. next time π / 2 The quadrant or quadrant is output by DSPK, and the second or fourth quadrant is also output by ZCH. When the initial value is in quadrant 2 or quadrant 4, the output is the same as above.

도 2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ZD)에 따라 확산시퀀스를 발생하는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8에서 PNI는 곱셈기911에서 직교부호1의 부호가 바뀐 것과 곱해지고, 곱셈기921에서는 직교부호2와 곱해진다. PNQ는 N-데시메이터931에서 데시메이션이 된 후 상기 도 25-B와 같이 데시메이션된 심볼이 N칩 구간동안 반복된다. 상기 N-데시메이터의 N 값은 2의 지수승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데시메이터931의 출력은 곱셈기912에서 곱셈기 911의 출력과 곱해지고 또 곱셈기922에서 곱셈기921의 출력과 곱해지며, 상기 곱셈기의 출력912 의 출력이 Ci이고 상기 곱셈기의 출력922의 출력이 Cq이다.FIG. 2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diffu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Z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8, PN I is multiplied by the sign of orthogonal code 1 changed in the multiplier 911, and multiplied by orthogonal code 2 in the multiplier 921. In FIG. After PN Q is decimated in the N-decimator 931, the decimated symbol is repeated during the N chip period as shown in FIG. 25-B. The N value of the N-decimator may have an exponential power of two. The output of the decimator 931 is multiplied by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911 at the multiplier 912 and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921 at the multiplier 922, the output of the output 912 of the multiplier is C i and the output of the output 922 of the multiplier is C q. to be.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확산코드가 ZC를 할 경우뿐만 아니라 동일한 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PAR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확산코드 PNI, PNQ의 ZC와 홀드를 피하기 위해서 ZC가 발생하면 확산코드의 위상을 +π/2 (혹은 -π/2 )로 천이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PNI, PNQ를 그대로 출력한다. 이 방법은 π/2 -DSPK와 QPSK을 하이브리드한 방법이지만 ZC와 홀드를 배제할 수 있다. 상기 도 29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1011에서 PN코드값을 입력받은 다음, 단계1012에서 PNI와 PNQ의 값과 이전의 Ci와 Cq의 값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단계1012의 비교 과정에서 각각의 값이 모두 다르면 단계1013으로 가서 확산코드의 위상을 +π/2 만큼 천이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1012의 비교 과정에서 하나라도 동일한 값을 가지면 단계1015로 이동한다. 단계1015에서는 PNI및 PNQ값과 확산코드Ci및 Cq의 값이 모두 동일하면, 단계1014로 진행하여 확산코드의 위상을 -π/2 만큼 천이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1015에서 PN값과 확산코드의 값이 모두 동일하지 않을 경우는 단계 1016으로 천이한다. 단계 1016은 PNI값을 그대로 Ci에, PNQ의 값을 그대로 Cq에 출력한다.FIG.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method for avoiding a phenomenon in which PAR is relatively increased not only when the spreading code maintains the same value but also when ZC is performed. In order to avoid ZC and hold of spreading codes PN I and PN Q , this method changes the phase of spreading code when ZC occurs. + π / 2 (or -π / 2 ), And otherwise, PN I and PN Q are output as they are. This way π / 2 -Hybrid of DSPK and QPSK, but ZC and Hold can be excluded. Referring to FIG. 29, first, a PN code value is input in step 1011, and then, in step 1012, a value of PN I and PN Q is compared with a previous value of C i and C q . If each value is different in the comparison process of step 1012, go to step 1013 to set the phase of the spreading code. + π / 2 Transition as much as. However, if any of the comparisons in step 1012 have the same value, the process moves to step 1015. In step 1015, if the values of PN I and PN Q and the values of spreading codes C i and C q are the same, the flow advances to step 1014 to phase out the spreading code. -π / 2 Transition as much as. If the PN value and the spreading code value are not the same in step 101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16. Step 1016 outputs the value of PN I to C i and the value of PN Q to C q as it is.

도 30은 도 22와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π/2 -DPSK 확산코드를 만들어내는 방법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PAR성능을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QPSK방법과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환경은 파일럿, 제어 및 기본채널 3개를 이용하고, 직교부호는 왈시(Walsh)부호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채널에 사용된 전력과 왈시부호 및 시뮬레이션 조건은 아래와 같다.FIG. 30 illustrates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S. 22 and 23. π / 2 Computer simulation of how to generate DPSK spreading codes. The PAR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ly well known QPSK method. The simulation environment uses pilot, control and 3 basic channels, and the orthogonal code uses Walsh code. The power, Walsh code, and simulation conditions used for each channel are as follows.

1) 확산계수(Spreading factor): 41) Spreading factor: 4

2) 단일간섭(Single Interference): 64칩 지연 PN코드(64chip delay PN code)2) Single Interference: 64 chip delay PN code

3) 각 채널별 전력할당비: 파일럿채널 = 1, 제어채널 = 4, 기본채널 = 43) Power allocation ratio for each channel: pilot channel = 1, control channel = 4, basic channel = 4

4) 왈시부호:Walsh Code:

파일럿채널: 1 1 1 1 1 1 1 1Pilot channel: 1 1 1 1 1 1 1 1

제어채널: 1 1 1 1 -1 -1 -1 -1Control channel: 1 1 1 1 -1 -1 -1 -1

기본채널: 1 1 -1 -1 1 1 -1 -1Base channel: 1 1 -1 -1 1 1 -1 -1

그리고 저역여파기는 종래의 IS-95 타입(48탭)을 사용하였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π/2 -DPSK 확산코드 방법의 PAR이 종래의 QPSK방법보다 낮음을 알 수 있다.The low-pass filter uses a conventional IS-95 type (48 taps). As can be seen in Figure 13 of the present invention π / 2 It can be seen that the PAR of the DPSK spreading code method is lower than the conventional QPSK method.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확산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4-채널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조건은 아래와 같다.The following description summarizes the simulation results for the diffusion method presen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itions used for 4-channel simulation are as follows.

1) 각 채널별 전력할당비: 파일럿채널 = 1, 제어채널 = 4, 기본채널 = 4, 부가채널 = 161) Power allocation ratio for each channel: pilot channel = 1, control channel = 4, basic channel = 4, additional channel = 16

2) 각 채널별 왈시부호 및 확산계수:2) Walsh code and diffusion coefficient for each channel:

파일럿채널: 1 1 1 1 1 1 1 1Pilot channel: 1 1 1 1 1 1 1 1

제어채널: 1 1 1 1 -1 -1 -1 -1, PG = 96Control channel: 1 1 1 1 -1 -1 -1 -1, PG = 96

기본채널: 1 1 -1 -1 1 1 -1 -1, PG = 64Base channel: 1 1 -1 -1 1 1 -1 -1, PG = 64

부가채널: 1 -1 1 -1 1 -1 1 -1, PG = 4Additional Channels: 1 -1 1 -1 1 -1 1 -1, PG = 4

3) 각 확산방법에 따른 PAR 성능 비교(4-채널)의 포맷(Format)은 하기 <표 1>과 같다.3) The format of the PAR performance comparison (4-channel) according to each diffusion method is shown in Table 1 below.

I 데이터채널: 파일럿채널 + 제어채널I data channel: pilot channel + control channel

Q 데이터채널: 기본채널 + 부가채널Q data channel: base channel + additional channel

1-CDF(%)1-CDF (%) PAR(10-2)PAR (10-2) PAR(10-3)PAR (10-3) 평균전력Average power QPSKQPSK 6.09936.0993 6.45116.4511 12.505612.5056 ZDZD 6.09666.0966 6.41966.4196 15.500315.5003 QDZDQDZD 6.05376.0537 6.23296.2329 12.500512.5005

3-채널을 사용한 경우의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조건은 아래와 같다.The conditions used in the simulation when using 3-channel are as follows.

1) 각 채널별 전력할당비: 파일럿채널 = 1, 제어채널 = 4, 기본채널 = 41) Power allocation ratio for each channel: pilot channel = 1, control channel = 4, basic channel = 4

2) 각 채널별 왈시부호 및 확산계수:2) Walsh code and diffusion coefficient for each channel:

파일럿채널: 1 1 1 1 1 1 1 1Pilot channel: 1 1 1 1 1 1 1 1

제어채널: 1 1 1 1 -1 -1 -1 -1, PG = 96Control channel: 1 1 1 1 -1 -1 -1 -1, PG = 96

기본채널: 1 1 -1 -1 1 1 -1 -1, PG = 64Base channel: 1 1 -1 -1 1 1 -1 -1, PG = 64

3) 각 확산방법에 따른 PAR 성능 비교(3-채널)의 포맷(Format)은 하기 <표 2>와 같다.3) The format of the PAR performance comparison (3-channel) according to each diffusion method is shown in Table 2 below.

I 데이터채널: 파일럿채널 + 제어채널I data channel: pilot channel + control channel

Q 데이터채널: 기본채널Q Data Channel: Base Channel

1-CDF(%)1-CDF (%) PAR(10-2)PAR (10-2) PAR(10-3)PAR (10-3) 평균전력Average power QPSKQPSK 6.32436.3243 6.58216.5821 4.50134.5013 ZDZD 4.70494.7049 4.98574.9857 4.49634.4963 QDZDQDZD 4.86344.8634 5.24005.2400 4.50374.5037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확산방법을 이용한 경우의 PAR 값이 종래의 QPSK보다 낮다.As can be seen from Tables 1 and 2, the PAR value of the diffusion meth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QPS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DMA 방식의 통신시스템의 대역 확산장치에서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확산코드로 생성하므로써, PAR 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PAR can be reduced by generating various types of spreading codes according to states in a spread spectrum device of a CDMA communication system.

Claims (31)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확산신호 발생 방법에 있어서,A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Ni와 PNq를 가지는 PN코드을 발생하는 과정과,Generating a PN code having PNi and PNq, 상기 PN코드을 입력으로 하여 이전 확산신호(Ci, Cq)의 위상을 각각 QPSK 위상천이하고, ±90도 위상천이하며, 180도 위상천이 또는 0도 위상천이 하는 과정과,QPSK phase shift, ± 90 degree phase shift, 180 degree phase shift or 0 degree phase shift, respectively, with the PN code as input; 상기 위상 천이된 확산신호를 미리 정해진 순서로 선택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nd spreading out the phase shifted spreading signals in a predetermined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천이된 확산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과정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 of selectively outputting the phase shifted spreading signal comprises: QPSK 위상 천이된 신호, ±90도 위상 천이된 신호, 180도 위상천이 또는 0도 위상천이된 신호, ±90도 위상 천이된 신호 순으로 반복하여 선택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15. A method for generating a spreading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s repeatedly output in order of a QPSK phase shifted signal, a ± 90 degree phase shifted signal, a 180 degree phase shifted or 0 degree phase shifted signal, and a ± 90 degree phase shifted sig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상 천이된 확산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과정이,The process of selectively outputting the phase shifted spreading signal, ±90도 위상 천이된 신호와 180도 위상천이 또는 0도 위상천이된 순으로 반복하여 선택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15. A method of generating a spreading signal, characterized by repeatedly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phase shift of ± 90 degrees and a phase shift of 180 degrees or a phase shift of 0 degrees.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위상 천이된 확산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과정이 적어도 하나의 180도 위상 천이된 신호를 선택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nd selectively outputting the phase shifted spreading signal to at least one 180 degree phase shifted signal.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장치의 확산신호 발생 방법에 있어서,A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apparatus, PNi와 PNq를 가지는 PN코드열을 칩주기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제1과정과,A first process of continuously generating a PN code sequence having PNi and PNq in a chip cycle; 상기 발생된 PNi와 PNq의 제1 칩 주기의 값을 입력으로 하여 이전 확산신호의 위상(Ci, Cq)을 제1 위상천이 하여 출력하는 제2과정과,A second process of outputting the phases Ci and Cq of the previous spreading signal as a first phase shift by inputting the generated values of the first chip periods of PNi and PNq; 다음 칩 주기에서 상기 제2과정의 출력(Ci, Cq)을 제2 위상천이 하여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nd a third process of outputting the second (Ci, Cq) output of the second process by a second phase shift in a next chip perio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과정의 PNi와 PNq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2과정과 제3과정을 반복하여 위상천이된 Ci와 Cq열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nd outputting the phase shifted Ci and Cq columns by repeating the second process and the third process by inputting PNi and PNq of the first proces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Ci, Cq의 위상 천이 중 적어도 한번은 180도 위상 천이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t least one phase shift of the Ci and Cq phase shifts of 180 degre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위상천이와 제2위상천이가 각각 제로크로싱과 90도 위상천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nd the first phase shift and the second phase shift are zero crossing and 90 degree phase shift,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위상천이가 0도 위상천이이고, 상기 제2 위상천이가 ±90도 임을 특징으로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Wherein the first phase shift is 0 degrees and the second phase shift is ± 90 degre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위상천이가 180도 위상천이이고, 상기 제2 위상천이가 ±90도 임을 특징으로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Wherein the first phase shift is 180 degrees and the second phase shift is ± 90 degre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위상천이가 ±90도이고, 상기 제2 위상천이가 0도 위상천이 임을 특징으로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Wherein the first phase shift is ± 90 degrees and the second phase shift is 0 degrees phase shif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위상천이가 ±90도이고, 상기 제2 위상천이가 180도 위상천이 임을 특징으로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nd the first phase shift is ± 90 degrees, and the second phase shift is 180 degrees. 제8항에서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상기 PNi와 PNq 열의 칩 주기에 따라 상기 제2과정과 제3과정이 반복되어 Ci와 Cq열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The second and third processes are repeated according to the chip period of the PNi and PNq columns to output Ci and Cq column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PNi와 PNq의 제3 칩 주기의 값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3과정의 확산신호의 위상(Ci, Cq)을 제3 위상천이 하여 출력하는 제4과정과,A fourth process of outputting the phases of the diffusion signals Ci and Cq of the third process by a third phase shift by inputting values of the third chip periods of the PNi and PNq; 상기 PNi와 PNq의 제4칩 주기의 값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4과정의 출력(Ci, Cq)을 제4 위상천이 하여 출력하는 제5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nd a fifth step of outputting the fourth (Ci, Cq) output of the fourth process by outputting the fourth chip period by inputting the values of the fourth chip periods of PNi and PNq.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위상천이에서 제4위상천이가 QPSK, ±90도 DPSK, 제로크로싱, ±90도 DPSK임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nd a fourth phase shift in the first phase shift is QPSK, ± 90 degrees DPSK, zero crossing, and ± 90 degrees DPSK.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PNi와 PNq열의 칩주기에 따라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제5과정이 반복되어 Ci와 Cq열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 방법.And a fifth process is repeated in the second process according to the chip period of the PNi and PNq columns to output Ci and Cq columns.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대역확산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pread spectrum signa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Ni와 PNq를 가지는 PN코드열을 발생하는 PN코드 발생기와,A PN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N code string having PNi and PNq, 이전 확산코드출력을 한 칩 단위로 지연하여 출력하는 지연기와,A delay unit for delaying the previous spread code output by one chip unit and outputting it 상기 피엔코드 신호와 상기 지연기의 출력을 가지고 한 칩 단위로 연산하여 확산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연산부로 구성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And an arithmetic unit which outputs the phase of the spread signal by calculating the output of the P-encoded signal and the delay unit by one chip unit.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확산신호의 위상변화가 제로크로싱과 ±90도 DPSK의 연속임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And a phase change of the spread signal is a continuation of zero crossing and ± 90 degrees DPSK.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연산부가 상기 피엔코드 열을 위상변화 없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And a calculating unit outputting the encoded code string without a phase change.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연산부의 출력이 제로크로싱 및 QPSK의 연속임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A spreading signal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operation unit is a series of zero crossing and QPSK.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연산부의 출력이 QPSK, ±90도 DPSK, 제로크로싱, ±90도 DPSK의 연속임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And the output of the operation unit is a continuous QPSK, ± 90 degrees DPSK, zero crossing, ± 90 degrees DPSK.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연산부의 출력이 ±90도 DPSK, QPSK, ±90도 DPSK의 연속임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And the output of the operation unit is a continuous signal of ± 90 degrees DPSK, QPSK, and ± 90 degrees DPSK.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연산부의 출력이 QPSK, 제로크로싱, QPSK, ±90도 DPSK의 연속임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The output of the operation unit is a spread signal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cessive QPSK, zero crossing, QPSK, ± 90 degrees DPSK.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가,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operation unit, 적어도 QPSK 위상천이, 제로크로싱 및 홀드 , ±90 DPSK 위상 천이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위상변환부와,A phase shifter having means for at least QPSK phase shift, zero crossing and hold, ± 90 DPSK phase shift, 미리 정해진 순서로 반복하여 선택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repeatedly generating a selection control signal in a predetermined order;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위상변환부의 위상변환 신호중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And spreading out one of the phase shift signals of the phase shift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control signal.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대역확산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pread spectrum signa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Ni와 PNq를 가지는 PN코드열을 발생하는 PN코드 발생기와,A PN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N code string having PNi and PNq, 상기 PNi신호를 4-데시메이션하여 4번반복하는 제1데시메이터와,A first decimator for four-decimating the PNi signal and repeating it four times; 상기 PNq신호를 4-데시메이션하여 4번반복하는 제2데시메이터와,A second decimator 4-decimating the PNq signal and repeating it four times; 상기 제1데시메이터의 출력을 제1부호열로 칩단위로 곱하는 제1곱셈기와,A first multiplier for multiplying the output of the first decimator by a first code sequence in units of chips; 상기 제2데시메이터의 출력을 제2부호열로 칩단위로 곱하는 제2곱셈기와,A second multiplier for multiplying the output of the second decimator by a second code string in units of chips; 상기 제1곱셈기의 출력을 또다른 피엔부호로 곱하여 확산신호(Ci)를 출력하고, 상기 제2곱셈기의 출력을 상기 또다른 피엔부호로 곱하여 확산신호(Cq)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읖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Means for outputting a spread signal Ci by multiplying the output of the first multiplier by another pien code, and outputting a spread signal Cq by multiplying the output of the second multiplier by the another pien code. Diffusion signal generator. 제 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1부호열이 (+-+-)이고, 상기 제2부호열이 (++--)임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And the first code string is (+-+-) and the second code string is (++-).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대역확산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pread spectrum signa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제1PN와 제2PN를 발생하는 PN코드 발생기와,A PN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first PN and a second PN, 상기 제1PN신호를 제1부호열로 칩단위로 곱하는 제1곱셈기와,A first multiplier for multiplying the first PN signal by a first code sequence in units of chips; 상기 제1PN신호를 제2부호열로 칩단위로 곱하는 제2곱셈기와,A second multiplier for multiplying the first PN signal by a second code string in units of chips; 상기 제2PN신호를 홀수번째 입력과 짝수번째 입력으로 나누어 출력하는 직병렬변환기와,A serial-to-parallel converter for dividing the second PN signal into an odd-numbered input and an even-numbered input; 상기 홀수번째 입력을 2-데시메이션하여 2번반복하는 제1데시메이터와,A first decimator which repeats the second input by two-decimating the odd-numbered input, 상기 짝수번째 입력을 2-데시메이션하여 2번반복하는 제2데시메이터와,A second decimator which repeats the second even number by two-decimating the even-numbered input; 상기 제1곱셈기의 출력을 상기 제1데시메이터의 출력과 곱하여 제1확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곱셈기의 출력을 상기 제2데시메이터의 출력과 곱하여 제2확산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Means for multiplying the output of the first multiplier by the output of the first decimator and outputting a first spreading signal; Diffusion signal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제1부호열이 직교부호(+-+-)이고 상기 제2부호열이 직교부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The first signal sequence is orthogonal code (+-+-) and the second code sequence is orthogonal code (++-)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eading signal generator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대역확산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pread spectrum signal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제1PN와 제2PN를 발생하는 PN코드 발생기와,A PN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first PN and a second PN, 상기 제1PN신호를 제1부호열로 칩단위로 곱하는 제1곱셈기와,A first multiplier for multiplying the first PN signal by a first code sequence in units of chips; 상기 제1PN신호를 제2부호열로 칩단위로 곱하는 제2곱셈기와,A second multiplier for multiplying the first PN signal by a second code string in units of chips; 상기 제2PN신호를 2-데시메이션하여 2번반복하는 데시메이터와,A decimator which repeats the second PN signal by two-decimation and repeats it twice; 상기 제1곱셈기의 출력을 상기 데시메이터의 출력과 곱하여 제1확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곱셈기의 출력을 상기 데시메이터의 출력과 곱하여 제2확산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Means for outputting a first spreading signal by multiplying the output of the first multiplier with an output of the decimator, and outputting a second spreading signal by multiplying the output of the second multiplier with the output of the decimator. Diffusion signal generator.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제1수호열이 직교부호(-+-+)이고 상기 제2부호열이 직교부호(++--)임을 특징으로하는 확산신호 발생장치.And a first code string is an orthogonal code (-+-+) and a second code string is an orthogonal code (++-).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대역확산신호 발생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generating a spread spectrum signa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Ni와 PNq를 가지는 PN코드와 이전 확산신호(Ci, Cq)를 비교하는 제1과정과,A first step of comparing a PN code having PNi and PNq with previous spread signals Ci and Cq; 상기 비교결과 PNi와 Ci의 위상이 다르고 PNq와 Cq의 위상이 다르면 확산신호의 위상을 +90도 변환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phases of the spread signal with +90 degrees if the phases of PNi and Ci are different and the phases of PNq and Cq are different; 상기 비교결과 PNi와 Ci의 위상이 같고 PNq와 Cq의 위상이 같으면 확산신호의 위상을 -90도 변환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phases of the spread signal with -90 degrees if the phases of PNi and Ci are the same and the phases of PNq and Cq are the same. 상기 비교결과 PNi와 Ci의 위상과 PNq와 Cq의 위상중 어느 하나는 같고 어느 하나가 다르면 확산신호가 PNi와 PNq의 위상을 가지는 확산신호 발생방법.The comparison signal generation method of the spread signal having a phase of PNi and PNq if any one of the phase of PNi and Ci and the phases of PNq and Cq is the same and different.
KR1019980031570A 1998-08-03 1998-08-03 Spreading signal generator of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KR200000129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70A KR20000012969A (en) 1998-08-03 1998-08-03 Spreading signal generator of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70A KR20000012969A (en) 1998-08-03 1998-08-03 Spreading signal generator of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969A true KR20000012969A (en) 2000-03-06

Family

ID=1954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570A KR20000012969A (en) 1998-08-03 1998-08-03 Spreading signal generator of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96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1788C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preading code and spreading channel signals using spreading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USRE44507E1 (en) Orthogonal complex spreading method for multichannel and apparatus thereof
CN1260895C (en) Spread spectrum signa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in transmitter of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091761A (en) Despreading method and arran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AU755235B2 (en) Spread-spectrum communication device
KR19990074228A (en) 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Zero-Cross Detection
EP1205036B1 (en) Signal generator and decoder
KR100452512B1 (en) A spreading device and a method of walsh code for improving channel capacity
JP2002535869A (en) Method for generating quaternary quasi-orthogonal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channel sprea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JPH08251117A (en)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312581B1 (en) Frequency modulation circuit
KR20000012969A (en) Spreading signal generator of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spreading signal generation method
KR100322473B1 (en) QPSK modulator and modulating method using FIR filter for multiple input bits and 4 channels
KR100346188B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preading code and spreading channel signals using spreading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678320B1 (en) Efficient 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 implementation for CDMA waveform generation
US6418134B1 (en) 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 for multi-code CDMA signals
KR100321998B1 (en) Method for generating complex quasi-orthogonal cod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preading channel data using the quasi-orthogonal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KR0155510B1 (e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qpsk chip modulator
KR20010027280A (en) Parallel combinatory processing adap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transmission rate
KR100293128B1 (en) Papw/cdma modulating and demodulating method
Huang et al. The multicode interleaved DSSS system for high speed wireless digital communications
You et al. Multi-phased VSG CDMA with level clipping for high-rate transmission systems
JP4574440B2 (e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00025983A (en) Transmitter apparatus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KR100475037B1 (en) DS/CDMA signature sequences based on PR-QMF coeffic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