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830A - Health measure device and there method - Google Patents

Health measure device and ther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830A
KR20000006830A KR1019990049026A KR19990049026A KR20000006830A KR 20000006830 A KR20000006830 A KR 20000006830A KR 1019990049026 A KR1019990049026 A KR 1019990049026A KR 19990049026 A KR19990049026 A KR 19990049026A KR 20000006830 A KR20000006830 A KR 20000006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heart rate
user
information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언호
Original Assignee
이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언호 filed Critical 이언호
Priority to KR101999004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830A/en
Publication of KR2000000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83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2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3B2230/202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gluc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and a method of health measurement is provided to indicate the state of health of a measured person by the difference of heart rate measured by measuring the heart rate before and after exercise. CONSTITUTION: The device comprises:a key input unit(116) to input measurement information by a user; a heart rate measurement unit(112) to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 a memory unit(120) to store the input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proper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t rate measured before exercise from the heart rate measurement unit; a control unit(110) to judge the propriety of the present exercise style; and an indication unit(118) to indicate the exercise information rea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o make the user recognize the propriety or the impropriety of the exercise style.

Description

건강 측정장치 및 그 방법{HEALTH MEASURE DEVICE AND THERE METHOD}Health measuring device and its method {HEALTH MEASURE DEVICE AND THERE METHOD}

본 발명은 의료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자의 상태에 따라 운동에 따른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건강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dical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lth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health state according to exercis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measurer.

오늘날 고도의 산업화로 인해 의료 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며, 의료 산업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의료 장비가 개발되고 있는데 그 한 예로 개인들이 쉽게 자신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개인 의료장비들을 들 수 있다.Today, the importance of the medical industry is increasing due to the high degree of industrialization, and various medical equipments are being develop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industry. For example, personal medical equipments, in which individuals easily measure their own health status, are mentioned. have.

통상적으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심박수, 혈중당농도 등의 측정을 그 예라 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가정에 별도의 측정 장비를 구비하거나 병원 등 해당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곳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즉, 종래에는 간단한 건강 체크를 위해서도 고가의 장비를 구입하여야 하거나 장비가 설치된 곳을 직접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general, the basic method of measuring an individual's health status is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the like.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measure this, a separate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at home or a corresponding equipment such as a hospital is provided. The only way to measure it was to use it. That is, in the related art, it is inconvenient to purchase expensive equipment or go directly to a place where the equipment is installed for a simple health check.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제안되었던 것이 시계 형태의 심박수 측정기이다. 하지만, 종래 제안되었던 심박수 측정기는 단순히 착용자의 현재 심박수를 측정하여 표시하여 주는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서 측정치에 의해 착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로 인해, 자신의 정확한 건강 상태를 체크함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at has been conventionally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a watch-type heart rate monitor. However, the conventionally proposed heart rate monitor has a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state of health of the wearer based on the measured value by merely performing a function of measur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heart rate of the wearer. Therefore, there was a limit in checking his / her exact state of health.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전 심박수와 운동후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측정된 심박수의 차에 의해 측정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건강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health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health status of the measurer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rt rate measured by measuring the heart rate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적으로 요구되는 측정치와 실체로 측정된 측정치를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에 따른 측정자의 건강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건강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health status of the measur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normally measured with the actual measur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전에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자료를 입력하면 적절한 운동 형태를 알려주는 건강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a proper exercise type by inputting data for checking his / her health state before exerci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전 입력된 자료에 의해 결정된 적절한 운동 형태와 실제 운동 형태를 측정하여 운동 형태의 적절성 여부를 판정하여 주는 건강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an exercise form by measuring the appropriate exercise form and the actual exercise form determined by the data input before the exerci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측정 정보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측정부와, 상기 입력되는 측정 정보와 상기 심박수측정부로부터 운동전에 측정된 심박수에 대응한 적절한 운동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측정 정보와 상기 운동전에 측정된 심박수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심박수측정부로부터 운동 시작 후에 측정된 심박수를 제공받아 상기 독출한 운동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운동 형태가 적절한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독출된 운동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운동 형태의 적절성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는 표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고유 측정 정보에 대응한 적절한 운동정보를 결정하여 진행되는 운동 형태의 적절성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건강 측정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the user, a heart rat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heart rate of the user, the input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heart rate measurement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appropriate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t rate measured before the exercise from the unit, an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t rate measured before the exercise from the memory, and after starting the exercise from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exercise form is appropriate by receiving the measured heart rate and displaying the readout exercis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exercise form is appropri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for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the user's unique measurement information The adequacy of exercise forms that progress to determine the proper workouts offer a health measuring device informing the user.

이때,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건강 측정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혈액에 의해 혈중당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 정보로 제공하는 혈중당 농도 측정부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At this time, more preferably, the health measur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which measures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by the blood provided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측정 요구와 함께 측정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측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존의 측정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운동전 심박수와 혈중당 농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 정보와 상기 운동전 심박수 및 혈중당 농도에 대응한 운동정보를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한 운동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운동 시작 후 심박수를 측정하여 상기 독출한 운동정보에 의한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에 따른 운동의 적절성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건강 측정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the measurement request by the user, and i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not input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existing measurement information and Measuring the pre-exercise heart rate and blood glucose concentration, reading out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exercise heart rate and blood glucose concentration from a memory unit, and reading out the exercise information. A process of display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exercise by the read exercise information is performed by measuring a heart rate after the exercise of the user, and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fitness of the exercis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uggested health measures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동시 운동량, 운동강도 및 운동시간 측정할 수 있는 건강 측정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ealth measuring device that can measure the amount of exercise, exercise intensity and exercise time during exerc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l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을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health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혹은 칩 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chip designe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우선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건강 측정장치의 개념을 살펴보면, 사용자로부터 고유 측정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측정 정보에 대응한 적절한 운동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운동정보에 의해 진행되는 운동 형태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건강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운동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운동전의 심박수, 혈중당 농도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혈중당 농도는 직접 측정하는 구성을 추가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의 구현이 모두 가능하다.First of all, the concept of the health measuring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receiving the uniqu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termining appropriate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tness of the exercise type proceeded by the determined exercise information. It is to propose a health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informing a user.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used to determine the exercise information is composed of the user's age, pre-exercise heart rat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etc., the blood sugar concentration is added to the configuration to directly measure or implement the configuration to the user input This is all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건강 측정장치의 외형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손목에 찰 수 있는 시계 형태로의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일 예로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며,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의 구현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arance of the health measuring device propos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atch that can be worn on a wrist as shown in FIG. 1. This is a drawing shown as an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장치의 외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조번호 1은 시계 기능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창을 나타내고 있다. 참조번호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을 나타낸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종 데이터는 측정되는 운동 처방에 따른 사용자의 바람직한 운동형태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조번호 3은 푯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상기 예를 든 바와 같이 바람직한 운동형태를 표시하는 경우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 중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참조번호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의 개시를 요구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서 건강 측정의 개시를 요구하는데 사용된다. 참조번호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요구되는 숫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상측에 위치한 버튼은 숫치를 상향 조절하기 위한 버튼이며, 하측에 위치한 버튼은 숫치를 하향 조절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된다. 상기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참조번호 5의 버튼은 간략하게 두 개의 버튼으로 구현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구현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공용의 기술이라 판단하여 다양한 예들은 개시하지 않도록 한다. 참조번호 6은 건강 측정을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의 입력을 완료한 후 운동 시작과 함께 심박수의 측정에 따른 건강측정을 요구하는 측정 시작버튼으로서 상기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측정장치는 비로서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였음을 감지하게 된다. 참조번호 7은 심박수 측정 센서로서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상기 심박수 측정 센서의 부착 위치인데, 상기 심박수 측정 센서는 사용자의 심박수 측정이 용이한 신체 부위에 밀착될 수 있는 지점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1, in more detail, th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display window displaying a current time that can be displayed by a clock function.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variou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ata for displaying a user's preferred exercise type according to the exercise prescription to be measured.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button for selecting a signage item, and as shown in the above exampl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when displaying a desired type of exercise, which is used to select desired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 4 is a button for requesting the start of a health mea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used to request the start of a health measure by operating by a user. Reference numeral 5 is a button for inputting numerical information requiring input from a user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health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located at an upper side is a button for upwardly adjusting a numerical value. The positioned button is used as a button to adjust the numerical value downward. The button of reference number 5 shown in FIG. 1 is an example of a simple implementation of two buttons, but a method of implementing a button for performing such a function is already known. Various examples are not disclosed since it is a public technique. do. Reference numeral 6 is a measurement start button for requesting a health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heart rate along with the start of the exercise after completing the input of the data required for the health measuremen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user has started exercising. Reference numeral 7 is a heart rate measuring sensor and is used as a tool for measuring a user's heart rate. At this time, the point i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the heart rate measurement sensor should be provided at a point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part easy to measure the heart rate of the user.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혈중당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측정장치에 구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외형에 혈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1, if you want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measuring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health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separate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blood to the appearance shown in Figure 1 shall.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측정장치의 구성은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건강 측정장치는 크게 제어부(110), 심박수측정부(112), 혈중당농도측정부(114), 키입력부(116), 표시부(118), 메모리부(1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건강 측정을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에서 건강 측정을 위해 수행하는 잔반적인 제어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어 흐름에 의해 수행되며, 그에 따른 상세한 동작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심박수측정부(112)는 건강 측정장치가 사용자에 착용됨으로 인해 감지되는 심박수를 측정하며, 측정된 심박수를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한편, 후술할 본 발명의 동작에 있어서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과 운동을 시작한 후를 구분하여 심박수를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심박수측정부(112)는 건강 측정장치가 신체에 착용되는 순간부터 사용자의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통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심박수측정부(112)는 건강 측정장치가 신체에 착용될 시 심박수 측정에 용이한 요골 동맥에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혈중당농도측정부(114)는 사용자에 의해 혈액을 제공받아 혈중에 포함된 당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이하 상기 혈중에 포함된 당의 농도를 '혈중당 농도'라 칭한다. 한편, 상기 혈중당농도측정부(114)에서 이루어지는 혈액당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 핑거(finger) 혈액 채취 측정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16)는 건강 측정을 위해 요구되는 측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측정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키 입력부(116)는 복수개의 키를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118)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건강 측정장치의 현재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바람직한 운동 정보를 표시하거나 부적절한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를 표시한다. 이때, 도면상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표시부(118)와는 별도로 부적절한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소리로 알리기 위한 경고음을 발생하는 구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표시부(118)가 상기 경고음을 발생하는 구성으로서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기술함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메모리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측정정보와, 상기 심박수측정부(112)로부터 측정되는 심박수 및 상기 혈중당농도측정부(114)에 의해 측정되는 혈중당 농도에 대응한 적절한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제어부(110)가 건강 측정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된 운동정보들 중 소정의 운동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health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 the health measuring device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heart rate measuring unit 112, a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14, a key input unit 116, a display unit 118, Memory unit 120 or the like. The controller 110 performs overall control for health measurement. The residual control performed for the health measurement by the controller 110 is performed by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 3, and detaile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112 measures the heart rate detected due to the health measuring device worn on the user, and provides the measured heart rate to the controller 110. On the other hand, in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heart rate is measured by dividing before starting the exercise and after starting the exercise. However,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112 continuously measures the user's heart rate from the moment the health measuring device is worn on the body and notifies the control unit 110. On the other hand,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11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adial artery that is easy to measure the heart rate when the health measuring device is worn on the body.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14 receives blood provided by a user and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sugar contained in the blood and provides the blood to the controller 110. Hereinafter, the concentration of sugar in the blood is referred to as 'blood sugar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blood sugar concentration made in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14 may be variously proposed, for example, a finger blood sampling measurement method may be used. The key input unit 116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health measurement from the user, and receiv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s key operation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110. In this case, the key input unit 116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s, and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a user and provide the same to the controller 110. The display unit 118 performs an operation of notifying the user of the current state of the health measuring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at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o display the desired exercise information or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improper exercise is displayed.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lay unit 118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to inform that the improper movement is made separate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noted that the display unit 118 includes a meaning as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warning sound. The memory unit 120 may provid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the appropriate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t rate measured by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112 and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14. Saving.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20 stores a control program required for the controller 110 to perform overall control of the health measuring device, and predetermined exercise among exercise information stor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information is read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10.

앞에서 언급한 상기 제어부(110)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수행하게 되는 제어 흐름은 도 3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제어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사용자에 의해 측정 요구와 함께 측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의 운동전 심박수와 혈중당 농도를 측정한 후 적절한 운동정보를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며, 상기 사용자의 운동 시작 후 심박수를 측정하여 상기 독출한 운동정보에 대응한 적절한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판단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The control flow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shown in FIG. 3.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10 will be described briefly. After receiv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easurement request by the user, measuring the pre-exercise heart rate and blood glucose level and then performing the appropriate exercise. It can be seen that the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memory unit, and the heart rate is measured after the user starts the exercise to determine whether proper exercise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read exercise information and recognize the user.

이하 앞에서 개시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먼저, 상기 제어부(110)는 도 3의 210단계에서 키입력부(116)를 통한 사용자의 측정 요구가 인가되는 가를 감시한다. 이때, 상기 측정 요구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측정 요구를 의미하며, 상기 측정 요구의 감지는 상기 키입력부(116)로부터의 전기적 신호 제공 여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측정 요구는 건강 측정장치가 신체에 부착된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irst, the controller 110 monitors whether a user's measurement request is appli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6 in step 210 of FIG. 3.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request refers to the health measurement requ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of the measurement request is made by whether or not to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key input unit 116.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easurement request is made after the health measur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body.

상기 210단계에서 측정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측정모드 선택 및 연령의 입력을 요구한다. 상기 측정모드 선택 및 연령을 요구하는 방법의 일 예는 표시부(118)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모드 선택 및 연령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측정모드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운동 형태를 차별화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를 위한 항목, 노인을 위한 항목, 비만자를 위한 항목, 정상인을 위한 항목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측정모드 선택 및 연령의 입력을 요구한 후 214단계로 진행하여 원하는 정보가 상기 키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되는 가를 감시한다. 상기 입력을 감시하는 측정모드 선택 정보와 연령 또한 앞에서 개시한 측정 요구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입력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절차는 생략한다.If the measurement request is detected in step 210,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12 and requests a measurement mode selection and input of an age. An example of the method of selecting the measurement mode and requesting age may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18 to display a message requesting the measurement mode selection and input of the age. The measurement mode is information required for differentiating an exercise type according to a user's health state. For example, there may be an item for diabetics and hypertension, an item for the elderly, an item for the obese, an item for the normal person,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10 requests the selection of a measurement mode and input of an age, and then proceeds to step 214 to monitor whether desired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6. Measurement mode selection information and age for monitoring the input are also input by the same procedure as the measurement reques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procedure thereof is omitted.

상기 214단계에서 원하는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건강 측정을 위해 사용한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것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216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110)는 이전에 측정하였던 측정모드와 연령을 그대로 선택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4 that the desired information is not input, the control unit 110 proceeds to step 216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requests to use the information previously used for health measurement as it is. That is,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16 to select the measurement mode and age measured previously.

상기 214단계에서 원하는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졌거나 상기 216단계에서 기존의 정보가 그대로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8단계로 진행하여 운동전 혈중당 농도와 심박수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운동전 혈중당 농도는 혈중당농도측정부(114)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심박수는 심박수측정부(112)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혈중당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앞에서 기술한 구성 설명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혈중당농도측정부(114)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건강 측정장치의 크기를 고려하거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였을 때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16)를 통해 자신의 혈중당 농도를 입력하도록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그 구성에 있어 보다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f the desired information is input in step 214 or the existing information is selected as it is in step 216,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18 to measur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heart rate before exercise. At this time,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before exercise is measured by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14, the heart rate is measured by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112.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114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user inputs his or her blood glucose concentrati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6 when considering the size of the health measuring device or considering a functional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is.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can be more simplified.

상기한 218단계에서 혈중당 농도와 심박수의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0단계로 진행하여 적절한 운동정보를 상기 표시부(118)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기 운동정보는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함에 있어 참조가 될 정보를 통징하는 의미로서 운동시간, 운동량, 운동강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운동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14단계 또는 상기 216단계에서 제공받은 측정모드와 연령 및 상기 218단계에서 측정된 혈중당 농도와 심박수에 대응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운동정보를 독출한다. 한편, 해당 운동정보의 독출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10)는 독출한 운동정보를 상기 표시부(118)로 제공하여 상기 운동정보가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표시되도록 한다.When the measurement of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heart rate is completed in step 218,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20 and displays appropriate exercis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18. In this case, the exercise information may mean exercise time, exercise amount, exercise intensity, etc. as a means for notifying information to be referred to when the user starts the exercise.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exercise information in more detail, first, the controller 110 responds to the measurement mode and age provided in step 214 or step 216 and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heart rate measured in step 218. The exercis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20 is rea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rresponding exercise information is read out, the controller 110 provides the read out exercis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18 so that the exercis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form that a user can se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222단계로 진행하여 운동 시작에 의해 변화되는 심박수를 상기 심박수측정부(112)를 통해 측정하여 2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4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222단계에서 측정된 심박수에 의해 현재 사용자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는 운동이 적절한가를 판단한다. 상기 적절성 판단은 상기 220단계에서 표시된 운동정보와 상기 222단계에서 측정된 심박수에 따른 운동정보와의 관계를 대비함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 후에 측정된 심박수가 요구되는 심박수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현재의 운동 형태를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요구되는 심박수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현재의 운동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proceeds to step 222 to measure the heart rate changed by the start of the exercise through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112 and proceeds to step 224.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24 and determines whether the exercise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user is appropriate based on the heart rate measured in step 222. The adequacy determination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ercise information displayed in step 220 and the exerci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heart rate measured in step 222.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eart rate measured after the exercise is not appropriate for the required heart rat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urrent exercise form is not preferable, and if the measured heart rate is determined to be suitable for the required heart rate, the current exercise form is preferable. Will be judged.

만약, 상기 224단계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동의 형태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26단계로 진행하여 경고음을 통해 부적절한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상기 알리는 방법으로는 상기 표시부(118)를 통해 메시지로서도 가능하며, 도면상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소리, 즉 경고음을 이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224 that the type of exercise currently in progress is not desirable,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26 to notify the user that an improper exercise is made through a warning sound. The notification method may be used as a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118,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ound, that is, a warning sound.

하지만, 상기 제어부(110)는 적절한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경고음을 송출한 후 재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228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228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10)는 운동이 종료하였는가를 판단한 후 운동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222단계로 리턴하며, 그렇지 않고 운동이 종료하였다고 판단되면 2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운동의 종료 여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16)를 조작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판단하는 방법과, 자체적으로 측정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방법이 모두 실현 가능할 것이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per exercise is being made or if the re-measurement is required after transmitting the warning sound,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28.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28 and th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ercise is not finished, returns to step 222. Otherwise,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230. Whether the exercise is finished or not is determined by providing a corresponding information by the user by operating the key input unit 116 and a method of determining using the information measured by itself.

상기 운동이 종료하지 않았을 경우 진행하게 되는 222단계 이후의 수행 단계를 앞에서 개시한 바와 동일한 수순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하지만, 상기 운동이 종료하여 230단계로 진행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마지막으로 측정된 심박수에 의한 적절한 운동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20)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118)를 통해 표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동작을 종료한다.If the exercise is not finished, the step 222 to be performed will be performed by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the exercise is end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30, the controller 110 reads out the appropriate exercise information by the last measured heart rate from the memory unit 120 and displays it through the display unit 118. The series of oper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erminated.

한편, 앞에서 개시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자 및 노인이나 비만자 또는 건강한자가 운동전 연령, 심박수, 혈중당 농도 등의 신체조건에 따라 운동시 운동량 및 운동강도, 운동시간이 적절한지가 측정ㄷ히어 사용자에게 경보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운동의 증/감을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whether the amount of exercise, intensity of exercise, and exercise time are appropriate for exercise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heart disease and elderly or obese or healthy self before exercise, heart rate, blood glucose level, etc. By alerting the user,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adjusting the sensation / sensibility of the exercise to his physical condition.

또한, 사용자가 운동중 수시로 자신의 건강 상태와 운동의 적절성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줌으로써 항상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ed effect that the user can maintain a healthy body at all times by presenting to the user whether or not his fitness state and fitness of the exercise from time to time.

Claims (4)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measuring the state of health, 사용자에 의해 측정 정보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measurement information by a user,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측정부와,Heart rat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heart rate of the user, 상기 입력되는 측정 정보와 상기 심박수측정부로부터 운동전에 측정된 심박수에 대응한 적절한 운동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put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appropriate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t rate measured before the exercise from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상기 측정 정보와 상기 운동전에 측정된 심박수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심박수측정부로부터 운동 시작 후에 측정된 심박수를 제공받아 상기 독출한 운동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운동 형태가 적절한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Rea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eart rate measured before the exercise from the memory, and receives the heart rate measured after the start of the exercise from the heart rate measuring unit to compare with the read out exercis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exercise type is appropriate. A control unit to judg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독출된 운동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운동 형태의 적절성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는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장치.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read out exercise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recognizes whether the exercise type is appropri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혈액에 의해 혈중당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 정보로 제공하는 혈중당 농도 측정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장치.And a blood glucose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which measures blood sugar concentration by blood provided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blood sugar concentration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응한 측정모드와 상기 사용자의 연령 및 혈중당 농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장치.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a health measur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ment mode corresponding to the health state of the user, the age and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f the user.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state of health, 사용자에 의해 측정 요구와 함께 측정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과,Receiv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easurement request by the user, 상기 측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기존의 측정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Selecting the existing measurement information i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not input; 상기 사용자의 운동전 심박수와 혈중당 농도를 측정하는 과정과,Measuring the heart rate and blood glucose level before exercise of the user; 상기 측정 정보와 상기 운동전 심박수 및 혈중당 농도에 대응한 운동정보를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는 과정과,Reading out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workout heart rate and blood glucose concentration from a memory unit; 상기 독출한 운동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the read out exercise information; 상기 사용자의 운동 시작 후 심박수를 측정하여 상기 독출한 운동정보에 의한 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exercise is performed based on the readout exercise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heart rate after the exercise of the user; 상기 판단에 따른 운동의 적절성 여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측정방법.Health measur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user awar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ercis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KR1019990049026A 1999-10-28 1999-10-28 Health measure device and there method KR200000068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026A KR20000006830A (en) 1999-10-28 1999-10-28 Health measure device and ther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026A KR20000006830A (en) 1999-10-28 1999-10-28 Health measure device and ther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30A true KR20000006830A (en) 2000-02-07

Family

ID=1961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026A KR20000006830A (en) 1999-10-28 1999-10-28 Health measure device and ther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830A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221A (en) * 2000-03-21 2001-10-24 김성헌 Health machine having remote-controlled medical treatment function
KR20020083004A (en) * 2001-04-25 2002-11-01 안성훈 measuring tool for exercise quantity
KR20030004513A (en) * 2001-07-05 2003-01-15 주식회사 유비케어 A quantity-of-exercise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0049486A (en) * 2002-12-06 2004-06-12 김관호 Blood sugar measurementing and alarm system
KR100825734B1 (en) * 2006-09-29 2008-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managing physic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KR100900982B1 (en) * 2006-08-11 2009-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Method For Fitness Measurement By Measuring Signals From A Living Body
KR100943660B1 (en) * 2007-06-15 2010-02-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Somatometry and Fitness Measurement Process Using thereof
KR100951676B1 (en) * 2007-07-13 2010-04-07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템 Exercise load amount measuring device
US8360785B2 (en) 2006-09-29 2013-0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for managing physic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WO2017146519A1 (en) * 2016-02-25 2017-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or-based detection of changes in health and ventilation threshold
US10172517B2 (en) 2016-02-25 2019-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analysis for assessing heart failure
US10420514B2 (en) 2016-02-25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ction of chronotropic incompetence
US11164596B2 (en) 2016-02-25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or assisted evaluation of health and rehabilitatio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221A (en) * 2000-03-21 2001-10-24 김성헌 Health machine having remote-controlled medical treatment function
KR20020083004A (en) * 2001-04-25 2002-11-01 안성훈 measuring tool for exercise quantity
KR20030004513A (en) * 2001-07-05 2003-01-15 주식회사 유비케어 A quantity-of-exercise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0049486A (en) * 2002-12-06 2004-06-12 김관호 Blood sugar measurementing and alarm system
KR100900982B1 (en) * 2006-08-11 2009-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Method For Fitness Measurement By Measuring Signals From A Living Body
US8360785B2 (en) 2006-09-29 2013-0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for managing physic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KR100825734B1 (en) * 2006-09-29 2008-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for managing physic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KR100943660B1 (en) * 2007-06-15 2010-02-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Somatometry and Fitness Measurement Process Using thereof
KR100951676B1 (en) * 2007-07-13 2010-04-07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템 Exercise load amount measuring device
WO2017146519A1 (en) * 2016-02-25 2017-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or-based detection of changes in health and ventilation threshold
US10172517B2 (en) 2016-02-25 2019-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analysis for assessing heart failure
US10362998B2 (en) 2016-02-25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or-based detection of changes in health and ventilation threshold
US10420514B2 (en) 2016-02-25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ction of chronotropic incompetence
US11164596B2 (en) 2016-02-25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or assisted evaluation of health and rehabili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8394B1 (e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TWI303985B (en) A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JP3943863B2 (en) Biometric device with measurer judgment function
US10506972B2 (en) Calculating a medicament dose
US6361502B1 (en) Non-invasive measuring device with different operating modes
US5474077A (en) Exercise-hardness data output apparatus
KR20000006830A (en) Health measure device and there method
KR20160105481A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optimal positioning of sensors
RU2005138459A (en) ELECTRONIC ARTERIAL PRESSURE MONITOR AND ARTERIAL PRESSURE MEASUREMENT SYSTEM
US20100145157A1 (en) Compact monitor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user
JP2007111119A (en) Electronic sphygmomanometer
JP3791825B2 (en) Biometric device with simplified setting and display recognition
JPH07116141A (en) Detecting apparatus of cardiac electric wave
CN110418600A (en)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TW200800101A (en) Blood pressure gauge which can appreciate the fluctuation of blood pressure value
KR20060045089A (en) Sensor for measuring blood flow variation and method for measuring heart rate and portable apparatus thereof
JP2006187469A (en) Exercise intensity evaluation apparatus
US20190313983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JP2001157671A (en) Measuring device in which stored information is easy to change
JPH07213499A (en) Pulse measuring device
JP2019526329A (en) Body composition analyzer
TW201634000A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associated with event
JP4024101B2 (en) Exercise guidance support system
EP3409202A1 (en) Blood sugar measuring apparatus
US1148421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arly detection of diabetes and advising those considered pre diabetic or diab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