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857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 Google Patents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857A
KR19980070857A KR1019980002307A KR19980002307A KR19980070857A KR 19980070857 A KR19980070857 A KR 19980070857A KR 1019980002307 A KR1019980002307 A KR 1019980002307A KR 19980002307 A KR19980002307 A KR 19980002307A KR 19980070857 A KR19980070857 A KR 19980070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error correction
error
series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바야시나오야
우메모토마스오
미타세이이치
Original Assignee
가나이츠토무
히다치세사쿠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츠토무, 히다치세사쿠쇼(주) filed Critical 가나이츠토무
Publication of KR1998007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85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6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 G11B20/1028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using probabilistic methods, e.g. maximum likelihood detectors
    • G11B20/1029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using probabilistic methods, e.g. maximum likelihood detector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05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using partial response filtering when writing the signal to the medium or reading it therefrom
    • G11B20/10064EEPR4 or E2PR4, i.e. extended partial response class 4, polynomial (1-D)*(1+D)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05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using partial response filtering when writing the signal to the medium or reading it therefrom
    • G11B20/10074EPR4, i.e. extended partial response class 4, polynomial (1-D) *(1+D)2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05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using partial response filtering when writing the signal to the medium or reading it therefrom
    • G11B20/10175PR4, PR(1,0,-1), i.e. partial response class 4, polynomial (1+D)(1-D)=(1-D2)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11B2020/1823Testing wherein a flag is set when errors are detected or qualifi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3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Reed Solomon [RS] c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6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wherein the Viterbi algorithm is used for decoding the error correcting c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디지탈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회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보다 더욱 고밀도 기록이 가능한 신호처리에 의한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자기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에러정정 부호화된 신호를 부분응답(PR)등화해서 PR등화계열을 출력하는 장치, PR등화 계열에서 최대공산계열 추정을 실행하고 최대공산계열을 출력하는 비터비 검출기 및 최대공산계열을 에러정정 복호하는 에러정정 복호기를 포함하고, 비터비 검출기는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소실에러를 검출하고, 최대공산계열과 함께 소실에러를 검출한 것 및 검출한 계열내의 위치를 알리는 소실에러정보를 출력하고, 에러정정 복호기는 소실에러정보를 사용해서 에러정정 복호를 실행해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circuit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disk. To provide, a device for outputting a PR equalization sequence by partial response (PR) equalization of an error correction coded signal reproduced o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 Viterbi for performing a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estimation in a PR equalizing sequence, and outputting a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An error correction decoder for error correction decoding the detector and the maximum communicable sequence, wherein the Viterbi detector detects the missing error at the time of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cable sequence, detects the missing error with the maximum communicable sequence, and positions in the detected sequence.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outputs the error correction information, and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uses the error error information to recover the error correction. It was set as the structure comprised by performing a call.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최대공산도계열 추정시에 있어서의 복호에러를 검출하고 이것에서 유도되는 소실에러 바이트를 정정하는 것에 의해, 재생처리로서의 복호에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With such a configuration, by detecting the decoding error at the time of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cability series and correcting the lost error byte derived from the decoding error, the decoding error characteristic as the reproduction processing can be improved. Obtained.

Description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장치Digital Magnetic Recorder

본 발명은 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디지탈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회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R등화 및 비터비(Viterbi)복호를 실행하는 신호처리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circuit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di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performing PR equalization and Viterbi decoding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will be.

자기디스크장치로의 고밀도기록, 고속화의 요망은 점점 높아지고 있고, 이것을 지지하는 기록재생계의 신호처리기술도 고밀도, 고속기록에 대응해 왔다. 기록부호에서는 고속화를 위해 그 부호화 레이트R을 높게 하고 현재는 R=8/9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보다 고레이트인 16/17부호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기록부호의 주류로 되고 있다. 또, 고밀도기록에 따른 부호간 간섭에 의한 신호 대 잡음비의 저하에 대처하기 위해, 재생채널상에서 구성되는 주지의 간섭을 사용해서 재생신호에 가장 가까운 신호계열을 검출하는 부분응답(Partial Response, 이하 PR이라고 한다) 등화방식이 실용화되도록 되었다. 특히, PR4ML(Partial Response Class 4 with Maximum Likelihood Detection)방식은 이미 LSI로서 자기디스크제품에 탑재되어 있다.The demand for high-density recording and high-speed recording on magnetic disk devices is increasing, and the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of the recording / reproducing system supporting this has also coped with high-density and high-speed recording. In the recording code, the coding rate R is increased for speed, and R = 8/9 is frequently used at present. In recent years, a higher rate of 16/17 code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ways, and has become a mainstream recording code. In addition, in order to cope with a drop in the signal-to-noise ratio due to inter-signal interference due to high density recording, a partial response for detecting a signal sequence closest to the reproduction signal using known interference configured on the reproduction channel (PR) is described below. The equalization method has been put into practical use. In particular, PR4ML (Partial Response Class 4 with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is already installed in magnetic disk products as LSI.

도 1에 종래 사용되어 온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PR등화회로로서, EPR4(Extended PR4)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기록측에 있어서는 디지탈정보A는 에러정정 부호기(10)에 의해 리드, 솔로몬부호 등을 사용해서 에러정정 부호화가 실시된다. 리드, 솔로몬부호는 바이트 에러정정이 가능하므로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에서는 자주 사용된다. 상기 에러정정 부호화된 계열은 기록부호기(11)에 의해 기록부호화가 이루어지고 런길이제한 등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자기재생 특성에 맞는 형식으로 변환된다. 8/9부호나 또 최근에는 16/17부호가 가장 자주 사용된다. 기록부호화된 계열은 또 프리코더(precoder)(12)에 의해 NRZI(Non Return to Zero Inverted)형식으로 변환된 후 증폭기(13), 기록헤드(14)를 통해 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15)에 자기적으로 기록된다.Fig. 1 shows the structure of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onventionally used. As a PR equalizing circuit, a case of using an EPR4 (Extended PR4) system will be described. In the figure, on the recording side, error correction coding is performed by the error correction encoder 10 by using a read, a solomon code, or the like. Reed and solomon codes are frequently used i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quiring high reliability because they can correct byte errors. The error-correction-coded sequence is recorded by the recording encoder 11 and converted to a format suitable for the self-playing characteristic by adding a run length restriction or the like. The 8/9 code and, more recently, the 16/17 code are most often used. The record coded series is also converted into a Non Return to Zero Inverted (NRZI) format by a precoder 12, and then a recording medium 15 such as a magnetic disk through an amplifier 13 and a recording head 14. Are recorded magnetically in

한편, 재생측에 있어서는 자기기록매체(15)에 기록된 정보가 재생헤드(16), 증폭기(17)에 의해 전기적인 아날로그신호로서 재생되고, 가변이득 증폭기(18)에 의해 일정진폭으로 되도록 제어되고 A/D변환기(19)로의 입력진폭의 오버플로를 방지하고 있다. A/D변환기(19)에서는 상기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하고 이후의 재생처리는 모두 디지탈 처리된다. 디지탈화된 신호는 적절한 타이밍에서 비트간격마다 샘플링되고 PR등화회로(20)에 입력된다. PR등화(여기에서는 EPR4등화)에서는 입력샘플계열을 사용해서 1+D-D^2-D^3의 전달특성을 갖는 채널로 EPR4등화된다. 여기에서, D는 채널메모리, ^는 누승연산이다. EPR4 채널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8상태의 상태천이도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S0, S1, ···, S7은 각각 채널상태000, 001, ···, 111이다. 임의의 상태로의 입력신호의 값(0, 1, 도면중에서는 각각 -, +로 표기)에 의해, 각각 상측 및 하측의 분기(경로)에 대응하는 등화신호를 출력하고 각각 다음의 채널상태로 천이한다. EPR4 채널에서는 등화출력은 5값(2, 1, 0, -1, -2)이다.On the other hand, on the reproduction side,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15 is reproduced as an electrical analog signal by the reproduction head 16 and the amplifier 17 and controlled by the variable gain amplifier 18 to have a constant amplitude. This prevents the overflow of the input amplitude to the A / D converter 19. The A / D converter 19 uses the analog signal as a digital signal, and all subsequent reproduction processing is digitally processed. The digitized signal is sampled every bit interval and input to the PR equalizing circuit 20 at an appropriate timing. In PR equalization (here, EPR4 equalization), the EPR4 equalization is carried out using the input sample sequence to a channel having a transfer characteristic of 1 + D-D ^ 2-D ^ 3. Where D is a channel memory and ^ is a power arithmetic operation. The EPR4 channel is represented by an eight state transition as shown in FIG. Here, S0, S1, ..., S7 are channel states 000, 001, ..., 111,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input signal (0, 1, respectively-and + in the figure) in an arbitrary state, an equaliz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branches (paths) is output, respectively, to the next channel state. Transition In the EPR4 channel, the equalization output is 5 values (2, 1, 0, -1, -2).

상기 EPR4 등화된 계열은 비터비 검출기(21)에 의해 최대공산복호가 이루어진다. 이것은 도 24에 도시한 상태천이도를 사용하고, 가장 확실한 확률로 천이한 경로의 이력을 추정(최대공산계열 추정)하는 처리이다. 상기 최대공산계열 추정에 의해 얻어진 복호결과(0, 1)은 기록복호기(22)에 의해 기록복호화되고, 상기 재생측 기록부호기로의 입력계열로 역변환된다. 기록복호화된 계열은 에러정정 복호기(23)에 의해 리드, 솔로몬 복호 등에 의해 바이트 에러정정이 이루어진 후 복원정보A'가 재생된다.The EPR4 equalized series is subjected to maximum communicative decoding by the Viterbi detector 21. This is a process of using the state transition diagram shown in Fig. 24 and estimating the history of the transitioned path with the most certain probability (maximum communist series estimation). The decoding result (0, 1) obtained by the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estimation is recorded and decoded by the recording decoder 22, and inversely converted into an input sequence to the reproduction-side recording encoder. The decoded sequence is reproduced by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3 after the byte error correction is performed by read, solomon decoding, or the like.

도 2에 상기 비터비 검출기(21)의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굵은 기록선과 가는 기록선은 각각 여러개의 비트선 및 1비트의 버스인 것을 의미한다(이하,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표기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시각k에서 EPR4 등화된 계열yk는 분기미터(branch metric) 계산회로(41)에 의해, EPR4 등화 출력후보(2, 1, 0, -1, -2)가 출력된 확률을 분기미터로서 계산한다. 분기미터는 상기 yk와 EPR4 등화 출력후보의 2승 거리로서 산출된다. 여기에서는 2, 1, 0, -1, -2에 대한 분기미터를 각각 BM(2), BM(1), BM(0), BM(-1), BM(-2)로 표기한다.The structure of the Viterbi detector 21 is shown in FIG. Here, the thick recording line and the thin recording line are meant to be buses of several bit lines and one bit, respectively (hereinafter, the same notation is used in other drawings). In the figure, EPR4 equalized sequence yk at time k branches the probability that EPR4 equalization output candidates (2, 1, 0, -1, -2) are output by branch metric calculation circuit 41. Calculate as a meter. The branch meter is calculated as the squared distance between the yk and the EPR4 equalization output candidate. Here, the branch meters for 2, 1, 0, -1, and -2 are denoted as BM (2), BM (1), BM (0), BM (-1), and BM (-2), respectively.

분기미터가 계산되면 다음에 ACS(Add Compare Select)회로(42)에 의해 가산, 비교, 선택처리가 실행된다. 도 3에 그 상세한 회로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S회로에서는 각 상태마다 상기 분기미터BM과 상태공산도S(분기미터의 누적값)가 EPR4 상태천이도(도 24)에 따라 가산기(100)에 의해 가산되고, 비교회로(101)에서의 값이 큰 쪽의 공산도 및 대응하는 경로가 새로운 상태공산도S0, ···, S7 및 생존(survivor)경로정보SP0, ···, SP7로서 출력된다. 여기에서 생존경로정보SP0, ···, SP7은 상태천이도 24에 있어서 상측의 경로와 하측의 경로를 식별하는 1비트(0, 1)로 표현되는 값이다. 상태공산도S0, ···, S7은 각각 지연소자T(102)에 기억되고, 다음의 ACS연산처리에 구비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번잡을 피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지연소자(102)의 출력은 가산기(100)의 입력에 각각 귀환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After the branch meter is calculated, the addition, comparison, and selection process is executed by the ACS (Add Compare Select) circuit 42. 3 shows the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CS circuit, for each state, the branch meter BM and the state probability diagram S (the cumulative value of the branch meter) are added by the adder 100 according to the EPR4 state transition diagram (FIG. 24) and compared. The larger the degree of communism and the corresponding path in the circuit 101 are output as the new state degree of commutation SO, S7, and survivor path information SP0, SP7. Here, survival path information SP0, ..., SP7 are values represented by 1 bit (0, 1) for identifying the upper path and the lower path in the state transition diagram 24. The state degree of dispersion S0, ..., S7 is stored in the delay element T102, respectively, and is provided for the next ACS calculation processing.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the output of the delay element 102 shall be feedback-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adder 100,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한편, 생존경로SP0, ···, SP7은 데이타 선택회로(103)에 입력되고, 각 생존경로정보에서 대응하는 2진 데이타d0, ···, d7을 경로메모리회로(43)으로 출력한다. 경로메모리회로(43)에서는 상기 2진 데이타d0, ···, d7을 충분히 긴 기간(경로메모리길이)에 걸쳐 기억하고, 트레이스백(trace back)처리(통상은 잘 알려진 레지스터 교환처리)에 의해, 경로메모리 길이만큼 소급된 데이타를 비터비 복호결과로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rvival paths SP0, ..., SP7 are input to the data selection circuit 103, and output the binary data d0, ..., d7 corresponding to each survival path information to the path memory circuit 43. In the path memory circuit 43, the binary data d0, ..., d7 are stored for a sufficiently long period (path memory length), and a trace back process (usually a well-known register exchange process)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data traced back to the path memory length is output as the Viterbi decoding result.

그런데, 부호화에 주목하면 EPR4ML을 상회하는 고밀도 기록이 가능한 방식으로서 격자부호가 주목되고 검토되고 있다. 격자부호는 기록부호의 1종으로서 에러정정 부호화 후의 정보를 임의의 규칙에 의해 부호화하고, 이것을 PR채널과 융합하는 것에 의해 신호간의 MSED(Minimum Squared Euclidean Distance)를 확대하는 방식이다. PR4채널에 따른 격자부호(이하, PR4 격자부호)가 검토되고 있다.By the way, when attention is paid to the coding, the grid code has been noted and examined as a method capable of high-density recording exceeding EPR4ML. The lattice code is a type of recording code, in which information after error correction encoding is coded according to an arbitrary rule, and this is fused with a PR channel to extend MSED (Minimum Squared Euclidean Distance) between signals. The lattice code corresponding to the PR4 chan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4 lattice code) is examined.

자기기록에 적용된 PR4 격자부호로서 MSN(Matched Spectral Null)부호가 있다. 이것은 부호의 주파수 특성을 자기채널의 그것과 정합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큰 MSED를 얻는 것이다. 그 원리는 문헌 「Matched Spectral-Null Codes for Partial-Response Channel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1991년 5월Vol. 37, No 3, pp. 818-855, 」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 방식에서는 PR4채널을 베이스로 해서 부호화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MSED=4를 실현하고 비부호화 PR4ML에 대해 3dB의 S/N이득이 얻어진다.As a PR4 lattice code applied to magnetic recording, there is a MSN (Matched Spectral Null) code. This is to obtain a larger MSED by match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code with that of the magnetic channel. The principle is described in Matched Spectral-Null Codes for Partial-Response Channel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May 1991 Vol. 37, No 3, pp. 818-855, for example. In this system, coding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PR4 channel, so that MSED = 4 is achieved, and an S / N gain of 3 dB is obtained for the uncoded PR4ML.

상기 MSN부호는 EPR4채널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제로, MSED=12를 실현할 수 있는 것도 상기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그 부호화 레이트는 1/2로 낮은 것밖에 발견되고 있지 않다.The MSN code is also applicable to the EPR4 channel. In fact, it is also described in the above document that MSED = 12 can be realized. However, the coding rate is found to be only half as low.

현재, PR4격자로서 부호화 레이트가 8/10, 6상태의 MSN부호를 사용한 LSI가 시작(試作)되고 있고, 그 특성에 대해서 문헌 「Design and Performance of a VLSI 120 Mb/s Trellis-Coded Partial Response Channels, IEEE, Proceedings of 1994 The Magnetic Recording Conference」에 기술되어 있다.Currently, LSIs using MSN codes with 8/10 and 6 coding rates as PR4 grids have been star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in "Design and Performance of a VLSI 120 Mb / s Trellis-Coded Partial Response Channels". , IEEE, Proceedings of 1994 The Magnetic Recording Conference.

또, 최근에는 MSN부호를 개선하고 더 나아가서 고레이트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치환(permutation)에 의한 격자부호화방식이 제한되고 있다. 이것은 부호어최종비트에 대응하는 채널상태와 다음의 부호어 선두비트에 대응하는 상태를 채널비트만을 유지한 상태로 치환 접속하는 것으로서, 문헌 「Improved Trellis-Coding for Partial Response Channels, IEEE, Proceedings of 1994 The Magnetic Recording Conference」, 문헌 「Finite Truncation Depth Trellis Codes for the Dicode Channel,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1995년 11월, Vol. 31, No. 6, pp. 3027-pp. 3029 」 및 미국특허 제5497384호의 「Permuted Trellis Codes for Input Restricted Partial Response Channels 」에 그 상세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치환에 의한 격자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할당의 자유도가 높아져 8/9와 동등한 고레이트 기록부호를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the lattice encoding method by permutation has been limited as a method of improving the MSN code and further realizing a high rate. This is to replace and connect the channel state corresponding to the last bit of the codeword and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e next bit of the codeword with only the channel bits maintained, and described in "Improved Trellis-Coding for Partial Response Channels, IEEE, Proceedings of 1994". The Magnetic Recording Conference, Finite Truncation Depth Trellis Codes for the Dicode Channel,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November 1995, Vol. 31, No. 6, pp. 3027-pp. 3029 and US Patent No. 5497384, Permuted Trellis Codes for Input Restricted Partial Response Channels. By the lattice coding method by the above substitution, the degree of freedom of code assignment is increased, and a high rate recording code equivalent to 8/9 can be relatively easily realized.

대용량 기억으로의 수요에 따른 고밀도 기록화로의 급속한 진전에 의해 EPR4ML 단독으로는 이미 초고밀도화로의 요구에 응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PR4격자에서는 고선기록밀도영역에는 적용할 수 없어 MSED에도 한계가 있다. 한편, 격자부호를 EPR4채널에 적용하면 MSED의 확대는 기대할 수 있지만, 부호화레이트를 높게 하는 것이 곤란하여 채널상태수도 많고 실현회로규모가 팽대하게 된다.Due to the rapid progress toward high-density recording due to the demand for large-capacity storage, it is impossible for EPR4ML alone to respond to the demand for ultra-high density. In addition, the PR4 grid is not applicable to the high line recording density area, and there is a limit to the M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grid code is applied to the EPR4 channel, the MSED can be enlarged, bu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oding rate, resulting in a large number of channel states and a large circuit siz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간편한 구성이고 종래보다 더욱 고밀도 기록이 가능한 신호처리에 의한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circuit by a signal processing which is simpl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which enables higher density recording than in the related art, and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발명에 의한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발명에 의한 비터비 검출기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Viterbi det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3은 종래 발명에 의한 ACS회로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S circu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1예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내의 비터비 검출기의 1예의 구성도,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the Viterbi detector in FIG. 4; FIG.

도 6은 도 5내의 ACS회로의 구성도,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CS circuit in FIG. 5;

도 7은 도 5내의 경로메모리회로의 구성도,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th memory circuit in FIG. 5;

도 8은 도 5내의 소실에러 검출회로의 구성도,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ss error detecting circuit in FIG. 5;

도 9는 도 4내의 비터비 검출기의 다른 1예의 구성도,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the Viterbi detector shown in FIG. 4;

도 10은 도 9내의 ACS회로의 1예의 구성도,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the ACS circuit in FIG. 9;

도 11은 도 9내의 경로메모리회로의 구성도,FIG.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th memory circuit in FIG. 9;

도 12는 도 9내의 소실에러 검출회로의 구성도,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issing error detection circuit in FIG. 9;

도 13은 도 9내의 ACS회로의 다른 1예의 구성도,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the ACS circuit in FIG. 9;

도 14는 도 13내의 경로판정회로의 구성도,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th determining circuit in FIG. 13;

도 15는 도 13내의 경로메모리회로의 구성도,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th memory circuit in FIG. 13;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다른 1예의 구성도,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the digital magnetic recording /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의 (a) 및 도 17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부호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7 (a) and 17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enco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16내의 비터비 검출기의 1예의 구성도,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the Viterbi detector in FIG. 16;

도 19는 도 18내의 제2 에러정정 복호기의 구성도,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in FIG. 18;

도 20은 도 16내의 비터비 검출기의 다른 1예의 구성도,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the Viterbi detector in FIG. 16;

도 21은 도 20내의 제2 에러정정 복호기의 1예의 구성도,2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in FIG. 20;

도 22는 도 20내의 제2 에러정정 복호기의 다른 1예의 구성도,2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in FIG. 20;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의 비터비 검출기에 의한 베스트계열 및 2nd계열의 탐색방법을 설명하는 도면,23A and 23B illustrate a search method of a best sequence and a 2nd sequence by a Viterbi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신호계열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격자선도.24 is a grid diagram showing a state transition of a signal sequence.

본 발명에서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비터비 검출기에 복호의 소실에러비트를 검출하는 장치, 기록복호기에 소실에러 바이트를 검출하는 장치 및 에러정정 복호기에 소실바이트 에러정정을 실행하는 장치를 마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eproduc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detecting a missing error bit of decoding in a Viterbi detector, a device for detecting missing error bytes in a recording decoder, and a device for performing missing byte error correction in an error correction decoder.

또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데이타에 제1 에러정정 부호화와 제2 에러정정 부호화를 실행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재생장치에 있어서 비터비 검출기에 소실에러비트를 검출하는 장치, 복호기에 제2 에러정정 복호를 해서 소실에러를 검출하는 장치및 상기 소실에러를 이용해서 제1 에러정정 복호를 실행하는 장치를 마련한다.Or a recording apparatus, comprising: a device for executing the first error correction encoding and the second error correction encoding on the data; and a device for detecting the missing error bit in the Viterbi detector in the reproduction device;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in the decoder. A device for detecting a missing error and a device for performing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by using the missing error are provided.

[발명의 실시예][Examples of the Invention]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에러정정 부호기(10), 기록부호기(11), 프리코더(12), 증폭기(13), 기록헤드(14), 자기기록매체(15), 재생헤드(16), 증폭기(17), 가변이득 증폭기(18), A/D변환기(19) 및 PR 등화회로(20)의 구성과 기능은 종래의 장치(도 1 참조)와 동일하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using drawing. 4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error correction encoder 10, the recording encoder 11, the precoder 12, the amplifier 13, the recording head 14,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15, the reproduction head 16, the amplifier 17 ), The variable gain amplifier 18, the A / D converter 19 and the PR equalization circuit 2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apparatus (see FIG. 1).

본 발명에 의한 비터비 검출기(24), 기록복호기(25) 및 에러정정 복호기(26)에는 각각 소실에러 비트를 검출하는 장치, 소실에러 바이트를 검출하는 장치 및 소실에러 바이트를 정정하는 장치를 부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호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비트 또는 바이트를 소실에러 비트 또는 소실에러 바이트라고 하기로 한다. 도 5에 비터비 검출기(24)의 구성을 도시한다. 분기미터 계산회로에 의해 분기미터를 계산하는 것 때까지는 종래의 비터비 검출기(도 2)와 동일하다.In the Viterbi detector 24, the recording decoder 25 and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detecting missing error bits, a device for detecting missing error bytes and a device for correcting missing error bytes are added. Do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a bit or byte determined to have a high probability of a decoding error will be referred to as a missing error bit or a missing error byte.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Viterbi detector 24. Until the branch meter is calculated by the branch meter calculation circuit, it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Viterbi detector (Fig. 2).

분기미터가 계산되면 다음에 ACS회로(52)에서 가산, 비교, 선택처리가 실행된다. 이 ACS회로에서는 각 상태마다의 공산도가 계산된다. 만약 잡음 등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으면, 1개의 상태공산도의 값만 높고 다른 상태공산도는 무한이 0에 가까워진다. 반대로, 잡음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는 경우는 가장 높은 값을 갖는 상태공산도와 다른 상태공산도의 차는 작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ACS에 있어서 비교해야 할 공산도의 차의 절대값이 임의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는 S/N저하에 기인한 복호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선택된 경로의 데이타에 대한 신뢰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이것을 소실에러라고 판단한다.After the branch meter is calculated, the addition, comparison, and sel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ACS circuit 52 next. In this ACS circuit, the degree of communism for each state is calculated. If it is not affected by noise, only one state probability value is high and the other state probability value is infinitely close to zero. On the contrary, when strongly influenced by noise or the lik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e probability having the highest value and other state probability decrease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of communicability to be compared in the ACS is smaller than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it is highly likely that a decoding error due to S / N decrease is likely and the reliability of the data of the selected path is low. And judge this to be a loss error.

도 6에 그 ACS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S회로(52)에서는 각 상태마다 상기 분기미터와 상태공산도(분기미터의 누적값)가 EPR4 상태천이도(도 24 참조)에 따라 가산기(100)에 의해 가산되고, 비교회로(111)에 입력된다. 비교회로(111)은 2개의 상태공산도의 차분값DM0, ···, DM7을 출력하고, 그 부호비트를 생존경로정보SP0, ···, SP7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차분값이라는 것은 상기 비교회로(111)에 있어서의 2개의 입력신호의 차로서, 예를 들면 상태S0인 경우, DM0=(BM(0)+S0)-(BM(-1)+S4)로 산출된다. DM1, ···, DM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디지탈처리는 모두 2의 보수표시(2's complement)로 실행되므로, 부호비트를 생존경로정보SP0, ···, SP7을 나타내는 것에 이용할 수 있다. 상태공산도S0, ···, S7은 각각 대응하는 지연소자(102)에 기억되고, 다음의 ACS연산처리에 구비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지연소자(102)출력은 가산기(100)의 입력에 각각 귀환 접속되어 있다.Fig. 6 shows the ACS circuit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CS circuit 52, for each state, the branch meter and the state probability diagram (the cumulative value of the branch meter) are added by the adder 100 according to the EPR4 state transition diagram (see FIG. 24). Is input to the comparison circuit 111. The comparison circuit 111 outputs the difference values DM0, ..., DM7 of the two states, and sets the code bits as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SP0, ..., SP7. Here, the difference value is a difference between two input signals in the comparison circuit 111. For example, in a state S0, DM0 = (BM (0) + S0)-(BM (-1) + Calculated as S4). The same applies to DM1, ..., and DM7. Since the digital processing is all performed by two's complement display, the code bits can be used to represent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SP0, ..., SP7. The state degree of dispersion S0, ..., and S7 are respectively stored in the corresponding delay elements 102, and are provided for the next ACS calculation processing. Although not shown, the delay element 102 outputs are feedback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adder 100, respectively.

임계값 판정회로(112)에서는 상술한 이론에 따라 차분값DMi의 절대값|DMi|와 임계값R의 값을 비교하고 소실에러를 검출한다. 임계값R로서는 이상적인, 즉 에러가 없는 경우의 최대공산도의 1/2값, 구체적으로는 (PR채널의 MSED)/4의 값을 채용한다. 임계값 판정회로(112)는 |DMi|>R일 때 ai=0, 그 이외일 때 ai=1을 출력한다. ai는 제어신호로서 작용한다.The threshold value determination circuit 112 compares the absolute value | DMi | of the differential value DMi with the value of the threshold value R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theory, and detects a missing error. As the threshold value R, an ideal value, i.e., a value of 1/2 of the maximum communicability in the absence of an error, specifically, (MSED of PR channel) / 4 is adopted. The threshold value determination circuit 112 outputs ai = 0 when | DMi |> R, and ai = 1 when otherwise. ai acts as a control signal.

한편, 데이타 선택회로(113)은 생존경로정보SPi와 제어신호ai를 수취하고, 각 생존경로정보SPi에서 대응하는 데이타d0', ···, d7'를 경로메모리회로(53)으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데이타d0', ···, d7'은 1, 0 및 소실X(=0. 5)의 3값이다. X는 소실비트를 나타내고, 1과 0의 중간값 즉 0. 5를 취한다. ai(i=0, ···, 7)은 데이타 선택회로의 출력di'가 1, 0, X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제어신호로서, ai=1일 때는 SPi에 관계없이 di'=X, ai=0일 때는 SPi에 따른 2진 데이타를 데이타 선택회로(113)은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selection circuit 113 receives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SPi and the control signal ai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data d0 ', ..., d7' to the path memory circuit 53 at each survival path information SPi. Here, data d0 ', ..., d7' are three values of 1, 0, and disappearance X (= 0.5). X represents the missing bit, taking the middle of 1 and 0, or 0.5. ai (i = 0, ..., 7) is a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the output di 'of the data selection circuit any one of 1, 0, and X. When ai = 1, di' = X, When ai = 0, the data selection circuit 113 outputs binary data according to SPi.

도 7에 경로메모리회로(53)의 구성개념도를 도시한다. 경로메모리회로(53)에서는 입력된 생존경로정보SP0, ···, SP7에 의해, 각각 셀렉터0, ···, 셀렉터7(201)에 입력된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각각(reg0. 1, reg0. 2), ···, (reg7. 1, reg7. 2))을 선택하고 각각 reg0, ···, reg7(202)로 출력한다. 셀렉터i(i=0, ···, 7)(201)은 상태Si에 있어서의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regi. 1, regi. 2) 출력을 선택하는 회로로서, regi. 1, regi. 2에는 각각 상태Si에 이르는 경로의 데이타이력이 기억되어 있다. 그 깊이는 경로메모리길이와 동등하다.7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ath memory circuit 53. In the path memory circuit 53, the path memory registers 200 (respectively reg0. 1) input to the selectors 0, ..., and selector 7 201 by the input survival path information SP0, ..., SP7, respectively. , reg0.2), ..., (reg7.1, reg7.2)) and output to reg0, ..., reg7 (202), respectively. The selector i (i = 0, ..., 7) 201 is a circuit for selecting the output of the path memory register 200 (regi. 1, regi. 2) in the state Si. 1, regi. In 2, the data history of the path leading to the state Si is stored. Its depth is equal to the path memory length.

한편, 상기 regi(202)는 시프트 레지스터로서도 동작하고, 그 깊이는 경로메모리길이(EPR4ML의 경우 통상 20비트 정도)와 동일하다. 데이타 선택회로(113)에서 입력된 2진 데이타di'는 regi(202)에 직렬 입력되고, 반대측에서 시프트아웃된 데이타를 비터비 복호결과로서 출력한다. 여기에서, 복호결과는 1, 0, X중의 어느 하나이다. 레지스터출력R0, ···, R7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표기된 신호선에 귀환 접속되고,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regi. 1, regi. 2)의 내용이 갱신된다. 경로메모리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면 regi(202)의 직렬 출력은 모두 동일하다(트레이스 백 후의 경로는 합병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태S0에 있어서의 reg0(202)를 사용해서 복호데이타를 얻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gi 202 also operates as a shift register, and its depth is equal to the path memory length (usually about 20 bits in the case of EPR4ML). The binary data di 'input from the data selection circuit 113 is serially input to the regi 202, and outputs data shifted out on the opposite side as a Viterbi decoding result. Here, the decoding result is any one of 1, 0, and X. The register outputs R0, ..., R7 are fed back to the signal lines mark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respectively, and the contents of the path memory registers 200 (regi. 1, regi. 2) are updated. If the path memory length is sufficiently long, the serial outputs of the regi 202 are all the same (the paths after the traceback are merged). Therefore, here, decoding data is obtained using reg0 202 in the state S0.

또한, 여기에서는 동작개념의 이해를 용이하게 위해 도면에 있어서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회로구성에서는 상기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을 사용하지 않고 regi(202)만을 사용해서 직접 셀렉터i(201)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ath memory register 200 is shown in the drawing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operation, in the actual circuit configuration, only the regi 202 is used directly without using the path memory register 200. The above operation can be realized by connecting to the selector i 201.

상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비터비 복호결과로서의 데이타계열은 최대공산복호에 따른 것이므로, 도 5에 있어서 이것을 베스트계열로서 소실에러 검출회로(54)로 출력한다. 도 8에 소실에러 검출회로(54)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베스트계열은 1, 0 및 소실X=0. 5중의 어느 하나로서, 이들을 임계값 판정회로(81)에 의해 식별한다. 즉, 입력데이타가 d가 0. 25<d<=0. 75로 될 때는 소실X가 도래한 것으로 판정하고, 소실에러비트 검출플래그flg-ebit를 1로서 출력한다. 그 이외일 때는 입력데이타는 1 또는 0으로 판정하고, 소실에러 검출플래그flg-ebit를 0으로서 출력한다.Since the data sequence as the Viterbi decoding result obtained by the above process is according to the maximum communicative decoding, it is output to the disappearance error detection circuit 54 as the best sequence in FIG. 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appearance error detection circuit 54. The best sequence is 1, 0 and disappearance X = 0. As one of five, these are identified by the threshold value determination circuit 81. In other words, the input data is d = 0. 25 <d <= 0. When 75 is reached, it is determined that disappearance X has arrived, and the missing error bit detection flag flg-ebit is outputted as 1. Otherwise, the input data is determined to be 1 or 0, and the missing error detection flag flg-ebit is output as 0.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4에 있어서의 비터비 검출기(24)는 비터비 복호결과와 소실에러비트 검출플래그를 기록복호기(25)로 출력한다. 기록복호기(25)에서는 상기 비터비 복호결과와 소실에러비트 검출플래그를 입력하고 기록복호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바이트단위에서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기록복호기(25)는 소실에러 비트검출 플래그가 1일 때는 복호후의 바이트에 에러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기록복호결과와 함께 소실에러바이트 검출플래그flg-ebyte=1로서 에러정정 복호기(26)으로 출력한다. 소실에러비트 검출플래그가 0일 때는 기록복호후의 바이트에 소실에러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복호결과와 함께 소실에러바이트 검출플래그flg-ebyte=0으로서 에러정정 복호기(26)으로 출력한다.By the above process, the Viterbi detector 24 in FIG. 4 outputs the Viterbi decoding result and the missing error bit detection flag to the recording decoder 25. The record decoder 25 inputs the Viterbi decoding result and the missing error bit detection flag, and executes a record decoding process. Here, the processing is performed in byte units. The record decoder 25 knows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byte after decoding when the missing error bit detection flag is 1, and the error decoding decoder 26 has lost error byte detection flag flg-ebyte = 1 together with the record decoding result. Output When the missing error bit detection flag is 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issing error in the byte after recording and decoding, and the result is output to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as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flg-ebyte = 0 together with the decoding result.

에러정정 복호기(26)은 상기 기록복호결과와 소실에러바이트 검출플래그를 입력하고 소실에러정정을 실행한다. 부호의 최소 해밍(hamming)거리를 d(바이트)로 하면 통상의 랜덤 에러정정에서는 t(바이트)까지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t는 d=2t+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소실에러바이트 검출플래그는 기록복호결과에 에러위치의 정보를 부가하게 되어 에러정정 능력이 높아진다. 상기 해밍거리를 갖는 부호에 소실에러정정을 적용하면 d-1=2t(바이트)까지의 소실에러를 복원할 수 있다. 이것은 소실에러를 적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면 랜덤 에러정정의 약 2배의 정정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inputs the record decoding result and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and performs the lost error correction. If the minimum hamming distance of the sign is d (bytes), errors up to t (bytes) can be corrected in normal random error correc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d = 2t + 1.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adds the error position information to the recording and decoding result, thereby increasing the error correction capability. When the loss error correction is applied to the code having the hamming distance, the loss error up to d-1 = 2t (byte) can be recovered. This means that if the missing error can be detected accurately, it has a correction capability of about twice the random error correction.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있어서의 복호에러를 검출하고 이것에서 유도되는 소실에러 바이트를 정정하는 것에 의해, 재생처리로서의 복호에러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coding error characteristic as the reproduction processing by detecting the decoding error at the time of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st sequence and correcting the lost error byte derived from the decoding error.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9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비터비 검출기의 구성이다. 비터비 검출기를 제외한 시스템구성(도 4)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비터비 검출기의 구성에 대해서 기술하기로 한다.9 is a configuration of a Viterbi detector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The system configuration (Fig. 4) except for the Viterbi detector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Viterbi detector will be described here.

도 9에 있어서, 분기미터 계산회로(41)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진 분기미터BM(2), BM(1), BM(0), BM(-1), BM(-2)가 ACS회로(62)에 입력된다. ACS회로(62) 및 경로메모리회로(63)은 최대공산계열 추정에 의해 얻어진 베스트계열과 공산도적으로 베스트계열의 다음으로 최적인 2nd계열을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 계열을 비교하고 다른 부분을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있어서의 복호에러로 간주하고 소실에러 비트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nd계열의 출력방법으로서 조직적 탐색법을 제안하고 ACS연산에 적용한다. 조직적 탐색법에서는 ACS연산에 있어서 각 상태마다 2nd계열 탐색용의 상태공산도 기억레지스터 및 경로메모리를 마련하고, 소팅(sorting)처리에 의해, 최대공산도 및 2번째로 큰 공산도 및 대응하는 경로를 각각 선택하고 기억한다.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에 대한 경로메모리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경우는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의 완전한 일치를 회피하기 위해, 3번째로 큰 공산도와 대응하는 경로메모리를 2nd계열로서 기억한다. 상기 소팅처리의 기본연산은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태S0에 있어서의 ACS연산처리로서, {S0+BM(0), S0'+BM(0), S4+BM(-1), S4'+BM(-1)}을 큰 값에서 순서대로 재배열하고, 그 중 최대값 및 그 다음으로 큰 것과 각각 대응하는 생존경로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Si, Si'(i=0, ···, 7)은 각각 베스트계열, 2nd계열에 대응해서 얻어지는 상태공산도이다. 이 처리에 의해, ACS연산에 있어서의 베스트계열에 부가해서 그 다음으로 확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 2nd계열을 동시에 구할 수 있다. 다른 상태S1, ···, S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In Fig. 9, the configuration of the branch meter calculation circuit 41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branch meters BM (2), BM (1), BM (0), BM (-1), The BM-2 is input to the ACS circuit 62. The ACS circuit 62 and the path memory circuit 63 are characterized by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best sequence obtained by the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estimation and the 2nd series most optimally following the best sequence. In this embodiment, both sequences are compared, and the other part is regarded as a decoding error at the time of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st series, and the missing error bit is set. In this embodiment, a systematic search method is proposed as the output method of the 2nd series and applied to the ACS operation. In the systematic search method, in the ACS operation, a state readability memory register and a path memory for each 2nd series search are provided for each state, and the sorting process is used to determine the maximum and second largest likelihoods and corresponding paths. Choose and remember each. If the path memories for the best and 2nd sequences are completely matched, the path memory corresponding to the third largest communist degree is stored as the 2nd sequence to avoid the perfect match between the best and 2nd sequences. The basic operation of the sorting process is, for example, ACS operation processing in the state S0 as shown in Fig. 23A, and includes {S0 + BM (0), S0 '+ BM (0), S4 + BM (-1). , S4 '+ BM (-1)} is rearranged in order from the larger value, and the survival path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and the next largest value is selected. Here, Si and Si '(i = 0, ..., 7) are the state degree of commutation obtained corresponding to a best series and 2nd series, respectively. By this process, in addition to the best series in the ACS calculation, the 2nd series estimated to have the next highest probability can be simultaneously obtained. The same processing is performed for the other states S1, ..., S7.

도 24에 베스트계열, 2nd계열의 추정예를 도시한다. 간단화를 위해, 베스트계열에 모두 0데이타계열이 송신된 것으로 하고, 경로메모리길이를 10비트로 한다. 이 때, 베스트계열 및 2nd계열에 대한 경로메모리에는 각각 0000000000 및 0011000000이 기억되어 있다. 시각(n-7)에서 (n-4)에 있어서 잡음 등에 의해 복호에러가 발생하면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의 관계가 반대로 된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베스트계열만을 최대공산 복호출력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 복호에러가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정확한 복호결과가 기억되어 있는 2nd계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베스트계열 또는 2nd계열중의 어느 하나를 출력하면 정확한 복호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2nd계열을 병용한 복호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EPR4ML에 있어서의 MSED=4의 에러 사상을 제거할 수 있어 등가적으로 MSED를 6으로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EPR4ML의 S/N이득이 1. 8dB 향상하는 것을 의미한다.Fig. 24 shows an example of estimation of the best series and 2nd series. For the sake of simplicity, it is assumed that all zero data sequences are transmitted to the best sequence, and the path memory length is 10 bits. At this time, 0000000000 and 0011000000 are stored in the path memories for the best sequence and the 2nd sequence, respectively. If a decoding error occurs due to noise or the like at time n-7 to (n-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st sequence and the 2nd sequence is reversed.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ince only the best sequence is used as the maximum communicative decoding output, a decoding error occurs at this point.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2nd sequence in which accurate decoding results are stored, and when either one of the best sequence or the 2nd sequence is output, accurate decoding results can be obtained. In this way, by performing the decoding using the 2nd series in combination, the error mapping of MSED = 4 in EPR4ML can be eliminated, and the MSED can be expanded to six equivalents. This means that the S / N gain of EPR4ML improves by 1.8 dB.

이상이 본 발명의 조직적 탐색법에 의한 베스트 및 2nd계열을 사용한 ACS 연산의 기본개념이다. 도 10은 상기 처리를 실현하는 ACS회로(62)의 구성이다. 즉, 각 상태에 있어서 분기미터BM(2), BM(1), BM(0), BM(-1), BM(-2)와 베스트에 대한 상태공산도S0, ···, S7 및 2nd계열에 대한 상태공산도S0', ···, S7'를 상태천이도(도 24)에 따라 가산기(100)에 의해 가산하고, 소팅회로(120)에 의해 최대공산도(베스트)와 2번째(2nd), 3번째(3rd)로 큰 공산도 및 대응하는 생존경로정보(C0-1, C0-2, C0-3), ···, (C7-1, C7-2, C7-3)을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3번째의 것에 대해서도 출력하고 있지만 이것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의 완전한 일치를 회피하기 위함이다. 즉, 경로메모리회로(63)은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에 대응하는 경로메모리를 비교하고, 양 계열이 동일한 경우는 제어신호p0, ···, p7로 1을 출력한다. ACS회로의 셀렉터(121)은 제어신호에 응답해서 3rd계열에 대한 공산도를 선택하고, 이것을 2nd 공산도Si'(i=0, ···, 7)로 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베스트 및 2nd계열의 상태공산도Si'는 각각 대응하는 지연소자(102)에 기억되고 다음의 ACS에 구비된다. 또한, 지연소자(102)의 출력Si는 가산기(100) 입력에 각각 귀환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베스트, 2nd, 3rd계열에 대한 생존경로정보Ci-1, Ci-2, Ci-3(i=0, ···,7)은 경로메모리회로(63)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상기 생존경로정보Ci-1, Ci-2, Ci-3은 2비트로 표현된다.The above is the basic concept of the ACS operation using the best and 2nd series by the systematic search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ACS circuit 62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That is, the state probability diagrams S0, ..., S7, and 2nd for the branch meters BM (2), BM (1), BM (0), BM (-1), and BM (-2) and the best in each state. The state degree of commutation S0 ', ..., S7' for the series is added by the adder 100 according to the state transition diagram (Fig. 24), and the maximum degree of communality (best) and the second by the sorting circuit 120 are added. (2nd), 3rd (3rd) largest communist degree and corresponding survival path information (C0-1, C0-2, C0-3), ... (C7-1, C7-2, C7-3) Outputs Here, the third one is also output, but this is to avoid the perfect match between the best and the 2nd series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path memory circuit 63 compares the path memories corresponding to the best series and the 2nd series, and outputs 1 with control signals p0, ..., p7 when both sequences are the same. The selector 121 of the ACS circuit selects the degree of commutation for the 3rd seri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d sets this as the 2nd degree of communality Si '(i = 0, ..., 7). The state diffusivity Si 'of the best and 2nd series thus obtained i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delay elements 102 and provided in the next ACS. The output Si of the delay element 102 is assumed to be feedback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adder 100,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Ci-1, Ci-2, Ci-3 (i = 0, ..., 7) for the best, 2nd, and 3rd sequences is input to the path memory circuit 63. Here,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Ci-1, Ci-2, Ci-3 is represented by 2 bits.

도 11에 경로메모리회로(63)의 구성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1에 있어서, 셀렉터0, ···, 셀렉터7(210)은 각각 상태S0, ···,S7에 있어서의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reg0. 1, reg0. 2, reg0. 3, reg0. 4), ···, (reg7. 1, reg7. 2, reg7. 3, reg7. 4))에서 베스트, 2nd, 3rd에 대한 것을 선택하는 회로이다. 여기에서,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regi. 1, regi. 2, regi. 3, regi. 4)(i=0, ···,7)은 각각 각 상태Si 및 Si'에 이르는 경로의 데이타이력(예를 들면 상태S0에 있어서는 R0, R0', R4, R4'로 표기)이 경로메모리 길이분만큼 기억되어 있다. 상기 생존경로정보Ci-1, Ci-2, Ci-3에 의해, 셀렉터회로(210)에서 베스트, 2nd, 3rd계열에 대응하는 경로메모리 레지스터가 선택되고, 각각 레지스터ri-1, ri-2, ri-3(202)로 출력된다. 상기 레지스터(202)는 스프트 레지스터이기도 하며, 데이타 선택회로(214)에서 각각 베스트, 2nd, 3rd 계열에 대한 데이타Di-1, Di-2, Di-3이 직렬 입력된다. 상태S0에 있어서, 시프트아웃된 데이타D0-1', D0-2', D0-3' 중 D0-1'은 베스트계열에 대한 복호결과이다. D0-2', D0-3'는 각각 2nd, 3rd 복호출력으로서 셀렉터(213)에 입력된다. 경로메모리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면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직렬출력은 동일하다(트레이스백 후의 경로는 합병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태S0에 있어서의 직렬출력을 사용해서 베스트, 2nd, 3rd 계열의 복호결과를 얻고 있다.1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ath memory circuit 63. As shown in FIG. In Fig. 11, the selectors 0, ..., and selector 7 210 each represent a path memory register 200 ((reg0.1, reg0.2, reg0.3, ...) in states S0, ..., S7, respectively. reg0.4), ..., (reg7.1, reg7.2, reg7.3, reg7.4)) is a circuit for selecting the best, 2nd, and 3rd. Here, the path memory registers 200 (regi. 1, regi. 2, regi. 3, regi. 4) (i = 0, ..., 7) respectively represent data of the paths leading to the respective states Si and Si '. The history (for example, denoted by R0, R0 ', R4, R4' in the state S0) is stored for the length of the path memory. By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Ci-1, Ci-2, Ci-3, the selector circuit 210 selects the path memory registers corresponding to the best, 2nd, and 3rd sequences, and registers ri-1, ri-2, It is output to ri-3 (202). The register 202 is also a shift register. In the data selection circuit 214, data Di-1, Di-2, Di-3 for the best, 2nd, and 3rd sequences are respectively input in series. In the state S0, D0-1 'of the shifted out data D0-1', D0-2 ', D0-3' is a decoding result for the best sequence. D0-2 'and D0-3' are input to the selector 213 as 2nd and 3rd decoding outputs, respectively. When the path memory length is sufficiently long, the serial output is the same in any state (the paths after the traceback are merged). Therefore, here, the decoding results of the best, 2nd, and 3rd series are obtained by using the serial output in the state S0.

비교회로(211)은 상기 레지스터ri-1과 ri-2(202)의 내용이 일치하고 있는지를 체크하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제어신호pi=1, 그렇지 않은 경우는 pi=0을 출력하여 ACS회로(62)내의 셀렉터(121)로 송신한다. pi=1인 경우는 셀렉터(213)에 입력된 ri-2출력 및 D0-2', ri-3출력 및 D0-3' 중 ri-3출력 및 D0-3'를 선택하고, pi=0인 경우는 ri-2출력 및 D0-2'를 선택한다. 상기 D0-2' 또는 D0-3'의 선택결과가 2nd계열에 대한 최종적인 복호결과로 된다.The comparison circuit 211 checks whether the contents of the registers ri-1 and ri-2 202 match, and if they match, outputs a control signal pi = 1, otherwise pi = 0 to output the ACS.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lector 121 in the circuit 62. In the case of pi = 1, ri-3 output and D0-3 'are selected from ri-2 output and D0-2', ri-3 output and D0-3 'input to the selector 213, and pi = 0 In this case, select ri-2 output and D0-2 '. The selection result of D0-2 'or D0-3' is the final decoding result for the 2nd series.

이와 같이 해서, 베스트계열 및 2nd계열에 대한 경로메모리 레지스터가 선택되고, 각각 Ri, Ri'로서 레지스터ri-베스트 및 ri-2nd(212)에 저장된다. 이들은 각각 대응하는 표기의 신호선에 귀환 접속되어 있고, 갱신된 경로메모리로서 각각 대응하는 상기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에 저장된다.In this way, path memory registers for the best and 2nd sequences are selected and stored in the registers ri-best and ri-2nd 212 as Ri and Ri ', respectively. These are feedback-connected to signal lines of corresponding notation, respectively, and are stored in the corresponding path memory registers 200 as updated path memories, respectively.

또한, 여기에서는 동작개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 있어서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회로구성에서는 상기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을 사용하지 않고 레지스터ri-베스트 및 ri-2nd(212)만을 사용해서 직접 셀렉터i(210)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ath memory register 200 is shown in the drawing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operation, in the actual circuit configuration, the register ri-best and ri- do not use the path memory register 200. The above operation can be realized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selector i 210 using only 2nd 212.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9에 있어서의 비터비 검출기에서는 경로메모리회로(63)에서 베스트 및 2nd계열에 대한 데이타를 복호하고, 그 결과를 소실에러 검출회로(64)로 출력한다. 도 12에 소실에러 검출회로(64)의 구성을 도시한다. 베스트 및 2nd계열은 S/P(직렬/병렬)변환기(91)에 의해 1바이트의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후 배타적 논리합회로(92)에 입력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병렬데이타에 있어서의 각 비트마다의 배타적 논리합이 취해진다. 처리결과는 비교회로(93)에 의해 모두 0인 바이트 데이타와 비교되고, 다른 경우에는 소실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해서 소실에러비트 검출플래그flg-ebit=1, 그렇지 않은 경우는 flg-ebit=0으로서 기록복호기(25)로 출력한다.By the above processing, the Viterbi detector in Fig. 9 decodes data for the best and 2nd sequences in the path memory circuit 63,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disappearance error detection circuit 64. 1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appearance error detection circuit 64. The best and 2nd sequences are converted into 1-byte parallel data by the S / P (serial / parallel) converter 91 and then input to the exclusive logical sum circuit 92. Here, an exclusive logical sum for each bit in the parallel data is taken.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is compared with all zero byte data by the comparison circuit 93, and in other cases, the missing error bit detection flag flg-ebit = 1 is assumed to be missing error, and flg-ebit = 0 otherwise. Output to decoder 25.

기록복호기(25)에서는 상기 비터비 복호결과와 소실에러비트 검출플래그를 입력하고 기록복호처리를 실행한다. 에러정정 복호기(26)은 상기 기록복호결과와 소실에러 바이트검출 플래그를 입력하고 소실에러정정을 실행한다. 기록복호기(25), 에러정정 복호기(26)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The record decoder 25 inputs the Viterbi decoding result and the missing error bit detection flag, and executes a record decoding process.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inputs the recording decoding result and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and performs the lost error correction. The recording decoder 25 and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다음에, 도 9를 사용해서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고려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고,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을 병용하는 방식이다. 단, 2nd계열을 구하는 방법이 제2 실시예와는 달리(임계값 판정법을 채용하므로) ACS회로(62) 및 경로메모리회로(63)의 구성도 다르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비터비 검출기에 있어서의 임계값 판정법에 의한 2nd계열 추정방식에 대해서 기술하기로 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basic conside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is a system in which the best series and the 2nd series are used together. However,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threshold value determination method), the method of obtaining the 2nd series differs in the configurations of the ACS circuit 62 and the path memory circuit 63.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refore, here, the 2nd series estimation method by the threshold determination method in a Viterbi detector is described.

도 23b에 임계값 판정법에 의한 2nd계열 추정방식의 원리를 도시한다. 본 방식에서는 ACS연산에 있어서, 비교되는 공산도의 차가 임의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는 베스트계열을 ACS에 의해 선택된 쪽의 경로메모리, 2nd계열을 상기 ACS에 의해 선택되지 않았던 쪽의 경로메모리로서 출력하고, 공산도의 차가 임의의 임계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는 베스트, 2nd계열 모두 ACS에 의해 선택된 쪽의 경로메모리를 출력한다. 즉, ACS에 있어서의 공산도의 차가 작은 경우는 복호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고, 선택된 경로를 제1 후보로서의 베스트계열, 선택되지 않은 쪽의 경로를 제2 후보로서의 2nd계열로 판정한다. 상기 공산도의 차가 충분히 큰 경우는 베스트, 2nd계열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최대공산 추정된 계열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상태S0에 있어서의 ACS에서는 비교할 공산도는 {α=S0+BM(0), β=S4+BM(-1)}이다. α, β 중의 어느 하나가 정확하다고 하면, 공산도의 차dM=α-β는 잡음이 없는 경우는 그 절대값은 이론적으로 4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dM은 잡음에 의해 불균일하여 α, β의 명확한 구별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공산도의 차dM의 크기에 따라 ACS에 의한 선택결과의 신뢰성이 높은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이것에 따라 2nd계열을 결정한다. 임계값을 DM으로 하면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산도의 차dM과 임계값DM의 대소관계가 A, B, C, D의 영역에 의해 베스트, 2nd계열이 결정된다. 다른 상태S1, ···, S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Fig. 23B shows the principle of the 2nd series estimation method by the threshold determination method. In this method, in the ACS operation, whe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mmunism to be compared is smaller than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the best sequence is output as the path memory of the side selected by the ACS, and the 2nd series is the path memory of the side not selected by the ACS. If the difference in communicability is not smaller than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the path memory of the side selected by the ACS is output to both the best and the 2nd series. In other words, whe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mmunicability in the ACS is small, it is determined that a decoding error is likely to occur, and the selected path is determined as the best sequence as the first candidate and the path not selected as the second candidate as the second candidate. If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mmunism is sufficiently large, the maximum estimated sequence is all stor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best and the 2nd series. For example, in the ACS in the state S0, the degree of communism to be compared is {α = S0 + BM (0), β = S4 + BM (-1)}. If any one of α and β is correct, the difference dM = α-β of the communicability degree is theoretically 4 when there is no noise. In reality, however, dM is nonuniform due to noise, so that a clear distinction between α and β occurs.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liability of the selection result by the ACS is hig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dM of the degree of communicability, and the 2nd series is determined accordingly. If the threshold value is DM, as shown in Fig. 23B, the best and 2nd sequences are determined by the regions A, B, C, and D in the case where the difference dM of the degree of communality and the threshold value DM are determined. The same applies to the other states S1, ..., and S7.

이 임계값DM으로서는 이상적인 즉 에러가 없는 경우의 최대공산도의 1/2값, 구체적으로는 (PR채널의 MSED)/4의 값을 채용한다.As this threshold value DM, a value of 1/2 of the maximum degree of likelihood in the case of an ideal or error free, specifically, (MSED of PR channel) / 4 is adopted.

도 13은 상기 처리를 실현하는 ACS회로(62)의 구성이다. 도면은 임계값 판정법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베스트, 2nd계열을 구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가산, 비교까지의 처리는 종래 발명 및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13 is a configuration of an ACS circuit 62 that realizes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n the figure, the best and the 2nd series are obtained by applying the threshold determination method. In the drawings, the processes up to addition and comparison are the same as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and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기(111)출력으로서 생존경로 대신 공산도의 차DM0, ···, DM7을 출력한다. 상기 공산도의 차DMi(i=0, ···, 7)은 경로판정회로(7)에 입력된다. 여기에서는 앞서 기술한 원리에 따라 DMi의 값에 의해 베스트계열 및 2nd계열을 나타내는 생존경로정보(C0-1, C0-2), ···, (C7-1, C7-2)를 경로메모리회로로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Ci-1, Ci-2)(i=0, ···, 7)은 0 또는 1의 1비트로 표현된다. 상기 경로판정회로(7)의 구성을 도 14에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공산도의 차DMi가 입력되면 절대값 변환회로(71)에 의해 그 절대값이 취해진다. 동시에, 상기 DMi의 부호비트가 경로선택회로(73)에 입력된다. 한편, 상기 절대값은 비교회로(72)에서 임계값DM과 대소관계가 비교된다. 실제의 처리는 상기 절대값에서 상기 임계값DM을 빼고, 그 부호비트를 경로선택회로(73)으로 출력한다. 경로선택회로(73)은 상기 DMi의 부호비트 및 비교회로(72)의 출력의 2비트에서 베스트계열 및 2nd계열에 대한 생존경로정보Ci-1, Ci-2(i=0, ···, 7)를 경로메모리회로(63)으로 출력한다. 도 14에 도시한 구성의 처리에 의해 공산도의 차DMi가 소속된 판정영역A, B, C, D(도 23b 참조)를 특정하고, 이것에 대한 생존경로정보Ci-1, Ci-2를 결정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111, the difference DM0, ..., DM7 of the degree of communism is output instead of the survival path. The difference DMi (i = 0, ..., 7) of the communicability degree is input to the path determining circuit 7. He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C0-1, C0-2), ... (C7-1, C7-2), which represent the best series and the 2nd series by DMi values, is stored in the path memory circuit. Will output Here, (Ci-1, Ci-2) (i = 0, ..., 7) is represented by 1 bit of 0 or 1. The configuration of the path determining circuit 7 is shown in FIG. In the figure, the absolute value is taken by the absolute value converting circuit 71 when the difference DMi of the degree of communality is input. At the same time, the code bit of the DMi is input to the path selection circuit 73. On the other h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absolute value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DM in the comparison circuit 72. The actual processing subtracts the threshold DM from the absolute value and outputs the sign bit to the path selection circuit 73. The path selection circuit 73 provides survival path information Ci-1, Ci-2 (i = 0, ..., ...) for the best and 2nd sequences in the code bits of the DMi and the two bits of the output of the comparison circuit 72. 7) is output to the path memory circuit 63. Determination areas A, B, C, and D (see FIG. 23B) to which the difference DMi of the communist degree belongs are identified by the processing shown in FIG. 14, and survival path information Ci-1 and Ci-2 for this is determined. Decide

한편, 경로메모리회로(63)에서는 상기 생존경로정보에서 트레이스백처리에 의해 베스트, 2nd계열에 대한 비터비 복호결과를 출력한다. 도 15에 경로메모리회로(63)의 구성개념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셀렉터(0. 1, 0. 2), ···, 셀렉터(7. 1, 7. 2)(221)은 각각 상태S0, ···, S7에 있어서 베스트계열 및 2nd계열에 대한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reg0. 1. 1, reg0. 1. 2), ···, (reg7. 1. 1, reg7. 1. 2) 및 (reg0. 2. 1, reg0. 2. 2), ···, (reg7. 2. 1, reg7. 2. 2))에서 생존경로정보(Ci-1, Ci-2)(i=0, ···, 7)에 대응한 레지스터를 선택하는 회로이다.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에는 각각 각 상태에 이르는 경로의 베스트 데이타이력R0, ···. R7 및 2nd 데이타이력R0', ···, R7'가 경로메모리 길이분만큼 기억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표기되어 있는 신호선에 귀환 접속되어 있다. 생존경로정보(Ci-1, Ci-2)가 입력되면 이들에 의해 셀렉터(221)은 대응하는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을 선택하고, 레지스터(ri. 1, ri. 2)(202)로 각각 출력된다. 한편, 데이타 선택회로(222)에서는 상기 생존경로정보(Ci-1, Ci-2)에 의해 대응하는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레지스터(ri. 1, ri. 2)(202)는 시프트 레지스터이기도 하고, 선택된 베스트의 경로 및 2nd 경로에 대한 데이타(상기 데이타 선택회로(222)의 출력)가 직렬 입력된다. 시프트아웃된 데이타가 복호출력이다. 경로메모리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면 상기 직렬출력은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트레이스백후의 경로는 합병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태S0에 있어서의 직렬출력을 사용해서 각각 베스트계열, 2nd계열에 대한 비터비 복호결과를 얻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th memory circuit 63 outputs the Viterbi decoding results for the best and 2nd sequences by the traceback process from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15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ath memory circuit 63. As shown in FIG. In the drawing, selectors (0.1, 0.2), ..., selectors (7.1, 7.2) 221 are assigned to the best and 2nd sequences in states S0, ..., and S7, respectively. For the path memory registers 200 ((reg1.0.1, reg0. 1.2), ..., (reg7.1.1, reg7.1.2) and (reg0.1.1, reg0.2) 2) registers corresponding to survival path information (Ci-1, Ci-2) (i = 0, ..., 7) in (reg7.1, reg7.2)) Is a circuit for selecting. The path memory registers 200 each contain the best data history R0 of the paths leading to the respective states. R7 and 2nd data histories R0 ', ..., R7' are stored for the length of the path memory. These are feedback-connected to the marked signal lines, respectively. When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Ci-1 and Ci-2 is input, the selector 221 selects the corresponding path memory register 200, and the registers ri. 1 and ri. Is output. On the other hand, the data selection circuit 222 outputs data corresponding to the survival path information Ci-1 and Ci-2. The registers (ri. 1, ri. 2) 202 are also shift registers, and data for the selected best path and the 2nd path (output of the data selection circuit 222) are serially inputted. The data shifted out is the decoded output. If the path memory length is sufficiently long, the serial output is the same in any state (the paths after the traceback are merged). Therefore, here, the Viterbi decoding results for the best and 2nd sequences are obtained using the serial output in the state S0, respectively.

또한, 여기에서는 동작개념의 이해를 용이하기 하기 위해 도면에 있어서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회로구성에서는 상기 경로메모리 레지스터(200)을 사용하지 않고 레지스터ri. 1 및 ri. 2(202)만을 사용해서 직접 셀렉터(221)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ath memory register 200 is shown in the drawing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operation, in actual circuit configuration, the path memory register 200 is not used and the register ri. 1 and ri. The above operation can be realized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selector 221 using only 2 (202).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6에 있어서의 비터비 검출기에서는 경로메모리회로(63)에서 베스트 및 2nd계열에 대한 복호데이타를 소실에러 검출회로(64)로 출력한다. 이 이후의 처리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도 9).By the above process, the Viterbi detector in Fig. 6 outputs the decoded data for the best and 2nd sequences from the path memory circuit 63 to the missing error detection circuit 64. The subsequent processing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9).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1∼제3 실시예는 재생장치가 복호를 실행하는 과정에 특징이 있었지만, 본 실시예는 정보를 부호화하는 과정 및 복호화하는 과정의 쌍방에 특징이 있다. 도 16에 본 실시예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다.Although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were characterized by the decoding process performed by the playback apparatus,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both the process of encoding and decoding the information. Fig. 16 show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is embodiment.

도 16에서는 종래 발명(도 1)에 있어서의 기록부호기(11) 및 기록복호기(22) 대신 제2 에러정정 부호기(9) 및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을 마련한다.In Fig. 16, a second error correction encoder 9 and a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are provided instead of the recording encoder 11 and the recording decoder 22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Fig. 1).

기록정보의 부호화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encoding of the recor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디지탈정보A는 종래 발명과 마찬가지로 에러정정 부호기(10)에 의해 리드, 솔로몬부호 등을 사용해서 제1 에러정정 부호화가 실시되고 도 17의 (a)에 도시한 형태로 된다.As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the digital information A is subjected to the first error correction encoding by the error correction encoder 10 using a read, a solomon code, or the like, and has the form shown in Fig. 17A.

상기 제1 에러정정 부호화된 계열은 제2 에러정정 부호기(9)에 의해 또 제2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우선, 도 17의 (a)에 도시한 계열은 고정길이의 소블럭 예를 들면 8비트 또는 16비트단위로 분할된다. 그 소블럭에 대해 제2 에러정정 부호화가 실행된다. 이 때의 부호에는 해밍부호나 패리티검사(parity check)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부호화 및 제2 부호화는 에러정정 부호화이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지만, 부호화 레이트 및 에러정정 능력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채용하는 편이 좋다. 제2 에러정정 부호화가 실행된 후 데이타는 도 17의 (b)에 도시한 형태의 데이타블럭으로 된다. 데이타블럭은 동기신호와 기록부호로 이루어진다. 동기신호는 데이타블럭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한 오버헤드이다. 오버헤드부는 기록매체로의 입력시에 제거된다.The first error correction coded sequence is further subjected to second encoding by a second error correction encoder 9. First, the sequence shown in Fig. 17A is divided into small blocks of fixed length, for example, in units of 8 bits or 16 bits. The second error correction encoding is performed on the small block. At this time, a Hamming code, a parity check, or the like can be applied to the code. The first encoding and the second encoding may be any method as long as they are error correction encoding.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encoding rate and the error correction capability, it is better to adopt other methods. After the second error correction encoding is performed, the data becomes a data block of the type shown in Fig. 17B. The data block consists of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recording code.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overhead for detecting the head of the data block. The overhead portion is removed upon entry to the record carrier.

이와 같이 부호화된 계열은 종래 발명과 마찬가지로 프리코더(12), 증폭기(13), 기록헤드(14)를 통해 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15)에 자기적으로 기록된다.The coded sequence is magnetically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15 such as a magnetic disk through the precoder 12, the amplifier 13, and the recording head 14 as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재생측에 있어서도 자기기록매체(15)에 기록된 정보가 재생헤드(16), 증폭기(17)에 의해 전기적인 아날로그신호로서 재생되고, 가변이득 증폭기(18), A/D변환기(19)를 통해 적절한 타이밍에서 샘플된 디지탈신호로서 PR등화회로(여기에서는 EPR4 등화)(20)에 입력된다. 상기 EPR4 등화된 계열은 비터비 검출기(27)에 의해 최대공산복호가 이루어진다. 비터비 검출기(27)은 상기 최대공산계열 추정에 의해 얻어진 복호결과(2nd계열과 함께 출력하는 경우도 있음)를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로 출력한다.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에서는 상기 비터비 복호결과와 소실에러 비트검출 플래그를 사용하고, 기록블럭마다 제2 에러정정 복호화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비터비복호에 의해 정정불능인 에러를 수복한다. 상기의 수복된 계열은 또 에러정정 복호기(26)에서 리드, 솔로몬복호 등에 의해, 랜덤 바이트 에러정정(제1 에러정정복호)이 이루어진 후 복원정보A'가 재생된다.Also on the reproduction side,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15 is reproduced as an electrical analog signal by the reproduction head 16 and the amplifier 17, and the variable gain amplifier 18 and the A / D converter 19 are replaced. A digital signal sampled at an appropriate timing is input to the PR equalization circuit (here, EPR4 equalization) 20 through the digital signal. The EPR4 equalized series is subjected to maximum communicative decoding by the Viterbi detector 27. The Viterbi detector 27 outputs to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the decoding result obtained by the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estimation (which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2nd series).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uses the Viterbi decoding result and the missing error bit detection flag, and performs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for each write block. This repairs an uncorrectable error by Viterbi decoding. In the repaired sequence described above, the restoration information A 'is reproduced after random byte error correction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is performed in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by read and solomon decoding.

도 18은 본 실시예를 도시한 비터비 검출기(27) 및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의 구성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터비 검출기(27)은 분기미터 계산회로(41), ACS회로(52), 경로메모리회로(53)으로 구성되지만, 이들은 제1 실시예에서 기술한 구성(도 5, 도 6, 도 7 참조)과 완전히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 의해 얻어진 비터비 복호결과(1, 0, X)는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에 있어서는 도 19에 도시한 구성의 소실에러정정회로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터비 복호출력은 1, 0 및 소실X(=0. 5)의 3값이고, 도 19에 있어서의 소실에러정정회로는 이들을 사용해서 소실에러정정처리를 실행한다. 즉, 상기 비터비 복호결과는 S/P변환기(170)에 의해 직렬데이타에서 병렬데이타(데이타길이는 도 17의 (b)의 A)로 변환되고, 소실에러정정 복호부(171)에 의해 통상의 에러정정복호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소실에러가 정정된다. 정정된 결과는 복호출력으로 된다. 한편, 소실에러정정 복호부(171)에서 정정불능인 경우는 즉 에러정정복호에 의한 에러정정 능력보다 에러가 많은 경우는 소실에러 바이트 검출플래그flg-ebyte=1로서 상기 복호결과와 함께 에러정정 복호기(26)으로 출력한다. 에러정정 복호기(26)은 상기 복호결과와 소실에러 바이트 검출플래그를 입력하고 소실에러정정을 실행한다. 제1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소실에러를 적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면 그 정정능력은 랜덤 에러정정의 약 2배로 향상한다.18 is a configuration of the Viterbi detector 27 and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showing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drawing, the Viterbi detector 27 is composed of a branch meter calculation circuit 41, an ACS circuit 52, and a path memory circuit 53, but these are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s. 5 and 6). (See FIG. 7), so the description is omitted. The Viterbi decoding results (1, 0, X) obtained by the above are input to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In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a loss error correction circuit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9 i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terbi decoding output is three values of 1, 0 and disappearance X (= 0. 5), and the loss error correction circuit in Fig. 19 performs the loss error correction process using these. That is, the Viterbi decoding result is converted from serial data to parallel data (data length is A in Fig. 17B) by the S / P converter 170, and is normally lost by the loss error correction decoding unit 171. The loss error is corrected by performing error correction decoding. The corrected result is a decoded outpu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error correction decoding unit 171 cannot correct, that is, when there are more errors than the error correction capability by error correction decoding,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together with the decoding result as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flg-ebyte = 1. Output to (26).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inputs the decoding result and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and performs the lost error correction.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f a missing error can be accurately detected, the correction capability is improved to about twice the random error correction.

제5 실시예Fifth Embodiment

제5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지만, 비터비 검출기(27) 및 제2 에러정정 복호기의 구성이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다르다.The fifth embodiment is almost the same as the fourth embodiment, but the configurations of the Viterbi detector 27 and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are slightly different as shown in FIGS. 20 and 21.

도 20에 있어서, 비터비 검출기(27)은 분기미터 계산회로(41), ACS회로(62), 경로메모리회로(63)으로 구성되지만, 이들은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기술한 구성(도 9, 도 10, 도 11, 도 13, 도 15 참조)과 완전히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터비 검출기에 의해 상술한 방법, 즉 조직적 탐색법 또는 임계값 판정법에 의해서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을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에 있어서는 도 21에 도시한 구성의 복호에러 검출회로를 사용한다. 도면에 있어서, 베스트, 2nd계열은 각각 S/P변환기(170)에 의해 병렬데이타(데이타길이는 도 17의 (b)의 A)로 변환되고, 에러검출회로(180)에서는 그 데이타길이 단위에서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에러검출회로(180)에서는 베스트 및 2nd계열의 각각에 대해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제2 에러정정복호가 실행되고 에러검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에러검출회로(180)은 베스트 및 2nd계열의 각각에 대한 에러검출결과 즉 신드롬S1, S2를 각각 산출하고, 복호된 베스트 및 2nd계열과 함께 셀렉터(181)로 출력한다. 셀렉터(181)은 상기 S1, S2가 0(에러검출없음) 쪽의 계열을 정확한 복호결과로 판단하고 이것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동시에, 소실에러바이트 검출플래그flg-ebyte를 0으로서 출력한다. S1, S2가 모두 0인 경우는 베스트, 2nd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해도 좋다. 이 때, 소실에러 바이트 검출플래그flg-ebyte는 0이다. S1, S2가 모두 1(에러검출있음)인 경우는 양 계열 모두 에러가 발생하고 있게 되므로, 소실에러 바이트 검출플래그flg-ebyte는 1로 되고 베스트계열을 출력한다. 셀렉터(181)에 의해 선택된 계열은 복호결과로서 flg-ebyte와 함께 에러정정 복호기(26)으로 보내진다. 에러정정 복호기(26)은 상기 복호결과와 소실에러 바이트 검출플래그를 입력하고, 소실에러정정(제1 에러정정복호)을 실행한다.In Fig. 20, the Viterbi detector 27 is composed of a branch meter calculation circuit 41, an ACS circuit 62, and a path memory circuit 63, but these are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Fig. 9, 10, 11, 13, and 15),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terbi detector outputs the best sequence and the 2nd sequence to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ystematic search method or the threshold value determination method. In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a decoding error detection circuit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1 is used. In the figure, the best and the 2nd series are respectively converted into parallel data (data length is A in Fig. 17B) by the S / P converter 170, and the error detection circuit 180 uses the data length unit. Processing takes place. In the error detection circuit 180,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for each of the best and the 2nd series, and error detection is performed. The error detection circuit 180 calculates an error detection result for each of the best and the 2nd series, that is, syndromes S1 and S2, respectively, and outputs them to the selector 181 together with the decoded best and the 2nd series. The selector 181 judges the sequence of the side where S1 and S2 are 0 (no error detection) as an accurate decoding result, selects it, and outputs it. At the same time,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flg-ebyte is output as zero. When both S1 and S2 are 0, you may output either best or 2nd. At this time,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flg-ebyte is zero. If S1 and S2 are both 1 (with error detection), an error occurs in both series, so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flg-ebyte is 1 and the best sequence is output. The sequence selected by the selector 181 is sent to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together with flg-ebyte as the decoding result.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inputs the decoding result and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and performs the lost error correction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제6 실시예Sixth embodiment

제6 실시예는 제5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5 실시예와는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만이 다르다. 이 실시예의 제2 에러정정 복호기(28)의 구성을 도 22에 도시한다.The sixth embodiment is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and only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is different from the fifth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r 28 of this embodiment is shown in FIG.

도면에 있어서, 베스트, 2nd계열은 각각 S/P변환기(170)에 의해 병렬데이타(데이타길이는 도 17의 (b)의 A)로 변환되고, 그 데이타길이 단위에서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베스트, 2nd계열은 배타적 논리합회로(190)에 의해 비트마다 배타적 논리합이 취해진다. 그 결과는 소실에러 검출신호로서 소실에러 정정복호회로(191)로 출력된다. 상기 소실에러 검출신호의 전체 비트가 0인 경우는 소실에러는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실에러 검출신호중의 어느 하나의 비트가 1인 경우는 그 비트위치에서 소실에러가 발생했다고 고려된다. 소실에러정정 복호회로(191)은 상기의 병렬데이타로 변환된 베스트계열과 상기 소실에러 검출신호를 입력하고, 소실에러정정 복호(제2 에러정정복호)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에러가 정정된 경우는 소실에러바이트 검출플래그flg-ebyte=0, 정정불능인 경우는 flg-ebyte=1을 출력한다. 상기 처리에 의해 소실에러정정 복호된 계열은 복호결과로서 flg-ebyte와 함께 에러정정 복호기(26)으로 보내진다. 에러정정 복호기(26)은 상기 복호결과와 소실에러 바이트 검출플래그를 입력하고 소실에러정정(제1 에러정정복호)를 실행한다.In the figure, the best and the 2nd series are converted into parallel data (data length is A in Fig. 17B) by the S / P converter 170, and processing is performed in units of the data length. The exclusive logical sum circuit 190 takes the exclusive logical sum for each bit by the exclusive logical sum circuit 190 of the converted parallel data. The result is output to the loss error correction decoding circuit 191 as a loss error detection signal. When all bits of the missing error detection signal are 0, it may be determined that no missing error occurs. If any one of the missing error detection signals is 1, it is considered that a missing error has occurred at the bit position. The missing error correction decoding circuit 191 inputs the best sequence converted into the above parallel data and the missing error detection signal, and performs a lost error correction decoding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process. As a result,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flg-ebyte = 0 is outputted when the error is corrected, and flg-ebyte = 1 is outputted when the error is not corrected. The lost error correction decoded sequence is sent to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together with flg-ebyte as the decoding result.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26 inputs the decoding result and the missing error byte detection flag, and performs the lost error correction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본 발명은 EPR4채널 이외의 임의의 PR채널(PR4, EEPR4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또, 일반적으로 비터비 복호 등의 개념에 따른 최대공산검출기능을 적용한 신호처리방식, 예를 들면DFE-FDTS(Decision Feedback Equalizer with Finite Delay Tree Search)방식 등에도 적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PR channel (PR4, EEPR4, etc.) other than the EPR4 channel. In addition, it is generally applicable to a signal processing method applying a maximum communicativ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Viterbi decoding, for example, a Decision Feedback Equalizer with Finite Delay Tree Search (DFE-FDTS) method.

본 발명에 의하면,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있어서의 복호에러를 검출하고 이것에서 유도되는 소실에러 바이트를 정정하는 것에 의해, 재생처리로서의 복호에러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coding error characteristic as the reproduction processing by detecting the decoding error at the time of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st sequence and correcting the lost error byte derived from the decoding error.

Claims (18)

자기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에러정정 부호화된 신호를 부분응답(PR) 등화해서 PR등화계열을 출력하는 장치,An apparatus for outputting a PR equalization sequence by partial response (PR) equalization of an error correction coded signal reproduced o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상기 PR등화 계열상의 최대공산계열 추정을 실행하고 최대공산계열을 출력하는 비터비 검출기 및A Viterbi detector for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cative series on the PR equalization series and outputting the maximum communicative series; 상기 최대공산계열을 에러정정 복호하는 에러정정 복호기를 포함하고,An error correction decoder for error correction decoding the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소실에러를 검출하고, 상기 최대공산계열과 함께 소실에러를 검출한 것 및 검출한 계열내의 위치를 알리는 소실에러정보를 출력하고,The Viterbi detector detects a loss error at the time of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st sequence, outputs the loss error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tection of the missing error and the position in the detected sequence together with the maximum communist sequence, 상기 에러정정 복호기는 상기 소실에러정보를 사용해서 에러정정 복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재생장치.And the error correction decoder performs error correction decoding using the missing error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각 상태공산도를 계산, 비교 및 선택할 때 2개의 비교되는 상태공산도의 차의 절대값이 임의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소실에러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재생장치.And the Viterbi detector determines a loss error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pared state states is less than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when calculating, comparing and selecting each state degre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임의의 임계값이라는 것은 PR계열의 MSED/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재생장치.The arbitrary threshold value is a digital magnetic regene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SED / 4 of the PR serie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상기 최대공산계열의 소실에러를 검출한 비트에 플래그를 설정하여 상기 최대공산계열과 함께 상기 소실에러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재생장치.And the Viterbi detector sets a flag to a bit that detects the loss of the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and outputs the missing erro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aximum communicable sequen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있어서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을 선택하고 양자의 배타적 논리합을 취하고 배타적 논리합을 소실에러정보로 하여 베스트계열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재생장치.And the Viterbi detector selects the best sequence and the 2nd sequence and estimates the best sequence and the 2nd series, and outputs the exclusive logic sum together with the best sequence with the exclusive logic sum as missing error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각 상태마다 최대의 공산도와 2번째로 큰 공산도를 갖는 경로를 기억하여 베스트계열과 2nd계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재생장치.And the Viterbi detector stores a path having the maximum degree of communality and the second highest degree of communality for each state when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cable sequence, so that the Viterbi detector is a best sequence and a 2nd sequen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각 상태공산도를 계산, 비교 및 선택할 때 2개의 비교되는 상태공산도의 차의 절대값이 임의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태공산도가 큰 쪽에 대응하는 경로를 베스트계열, 작은 쪽에 대응하는 경로를 2nd계열로 하고, 상태공산도의 차의 절대값이 임의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재생장치.When the Viterbi detector calculates, compares, and selects each state probability,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pared states is less than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the Viterbi detector includes a path of the best sequence, A path corresponding to the smaller one is a 2nd sequence, and the best sequence and the 2nd sequence are the same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of the state diffusivity is more than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임의의 임계값이라는 것은 PR계열의 MSED/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재생장치.The arbitrary threshold value is a digital magnetic regene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SED / 4 of the PR series. 데이타에 제1 에러정정 부호화를 실행하고, 또 제1 에러정정 부호화된 데이타를 미리 결정된 길이로 구획하여 제2 에러정정 부호화를 실행하고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타를 생성하는 에러정정 부호기,An error correction encoder which performs first error correction encoding on the data, divides the first error correction encoded data into a predetermined length, executes second error correction encoding, and generates data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재생신호를 부분응답(PR) 등화해서 PR등화계열을 출력하는 장치,An apparatus for outputting a PR equalization sequence by partial response (PR) equalization of a reproduction signal reproduced on a recording medium; 상기 PR등화계열상의 최대공산계열 추정을 실행하고 최대공산계열을 출력하는 비터비 검출기 및A Viterbi detector for performing a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estimation on the PR equalization sequence and outputting a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상기 최대공산계열에 대해 제2 에러정정 복호화를 실행하고 또 제1 에러정정 복호화를 실행하는 정정복호기를 포함하고,A correction decoder for performing a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on the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and executing a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소실에러를 검출하고 소실에러를 검출한 개소에 상당하는 최대공산계열값을 0. 1 이외의 결정된 값X로 하고,The Viterbi detector detects a missing error at the time of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cable sequence and sets the maximum communicable sequ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missing error is detected to be a determined value X other than 0.1, 상기 에러정정 복호기는 제2 에러정정 복호시에 X의 값을 에러로 간주하고 에러정정 복호를 실행하고, 에러정정이 불가능한 경우는 상기 제2 에러정정 복호화된 데이타가 소실에러를 포함하고 소실에러정보를 부여하고, 제1 에러정정 복호시에 상기 소실에러정보를 사용해서 에러정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The error correction decoder regards the value of X as an error at the time of decoding the second error correction and performs error correction decoding. When error correction is impossible,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ed data includes a loss error and missing error information. And error corr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missing error information at the time of decoding the first error correc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각 상태공산도를 계산, 비교 및 선택할 때 2개의 비교되는 상태공산도의 차의 절대값이 임의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소실에러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The Viterbi detector is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when calculating, comparing and selecting each state diffusivity,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mparable state states is less than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임의의 임계값이라는 것은 PR계열의 MSED/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The arbitrary threshold value is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MSED / 4 of PR series. 데이타에 제1 에러정정 부호화를 실행하고, 또 제1 에러정정 부호화된 데이타를 미리 결정된 길이로 구획하고 제2 에러정정 부호화를 실행하고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타를 생성하는 에러정정 부호기,An error correction encoder for performing first error correction encoding on the data, partitioning the first error correction encoded data into a predetermined length, performing second error correction encoding, and generating data to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재생신호를 부분응답(PR) 등화해서 PR등화계열을 출력하는 장치,An apparatus for outputting a PR equalization sequence by partial response (PR) equalization of a reproduction signal reproduced on a recording medium; 상기 PR등화계열상의 최대공산계열 추정을 실행하고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을 선택하고 양 계열을 출력하는 비터비 검출기 및A Viterbi detector for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st series on the PR equalization series, selecting the best series and the 2nd series, and outputting both series; 상기 양 계열에 대해 제2 에러정정 복호화를 실행하고 그 중 한쪽에 대해 또 제1 에러정정 복호화를 실행하는 정정 복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And a correction decoder which performs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on both of the series, and performs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on one of them.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각 상태마다 최대의 공산도와 2번째로 큰 공산도를 갖는 경로를 기억하여 베스트계열과 2nd계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And the Viterbi detector stores a path having the maximum degree of communality and the second largest degree of communality for each state at the time of estimating the maximum degree of commutation, so that the Viterbi detector is a best sequence and a 2nd sequenc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비터비 검출기는 각 상태공산도를 계산, 비교 및 선택할 때 2개의 비교되는 상태공산도의 차의 절대값이 임의의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태공산도가 큰 쪽에 대응하는 경로를 베스트계열, 작은 쪽에 대응하는 경로를 2nd계열로 하고, 상태공산도의 차의 절대값이 임의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베스트계열과 2nd계열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When the Viterbi detector calculates, compares, and selects each state probability,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pared states is less than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the Viterbi detector includes a path of the best sequence, A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path corresponding to the smaller one as the 2nd sequence, and making the best sequence and the 2nd sequence equal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in the state diffusiv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n arbitrary threshold value.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임의의 임계값이라는 것은 PR계열의 MSED/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재생기록장치.The arbitrary threshold value is a digital magnetic reproduction record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being MSED / 4 of PR series.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에러정정 복호기는 상기 양 계열의 제2 에러정정 복호화시의 신드롬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신드롬이 0쪽인 계열을 제1 에러정정 복호화하고, 양 계열의 신드롬이 모두 1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에러정정 복호화된 데이타가 소실에러를 포함하고 소실에러정보를 부여하고, 베스트계열과 상기 소실에러정보를 사용해서 제1 에러정정 복호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The error correction decoder calculates syndromes for decoding the second error correction of the two series, respectively, and first error correction and decodes the series of which the syndrome is 0, and if the syndromes of both series are all 1, the second error. And the correction-decoded data includes the missing error and gives the missing error information, and performs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using the best sequence and the missing error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에러정정 복호기는 상기 양 계열의 제2 에러정정 복호결과의 배타적 논리합을 소실에러정보로 하고, 베스트계열과 상기 소실에러정보를 사용해서 제1 에러정정 복호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기록재생장치.The error correction decoder uses the exclusive logical sum of the second error correction decoding results of the two series as the loss error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first error correction decoding using the best sequence and the loss error information. Playback device. 자기기록매체에서 재생된 에러정정 부호화된 신호를 부분응답(PR) 등화해서 PR등화계열을 출력하고,Output the PR equalization sequence by partial response (PR) equalization of the error correction coded signal reproduced on the magnetic recording medium, 상기 PR등화계열상의 최대공산계열 추정을 실행하여 최대공산계열을 출력하고,Outputting the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by performing estimation of the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on the PR equalization series; 상기 최대공산계열을 에러정정 복호화하고,Error correcting and decoding the maximum likelihood sequence, 상기 최대공산계열 추정시에 소실에러를 검출하고 상기 최대공산계열과 함께 소실에러를 검출한 것 및 검출한 계열내의 위치를 알리는 소실에러정보를 출력하고,A loss error is detected at the time of estimating the maximum communicative sequence, and the loss error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tection of the missing error along with the maximum communicable sequence and the position in the detected sequence is output; 상기 에러정정 복호시에 상기 소실에러정보를 사용해서 에러정정 복호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기신호의 재생방법.And error correction decoding is performed using the missing error information during the error correction decoding.
KR1019980002307A 1997-01-31 1998-01-26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KR1998007085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8237A JPH10214461A (en) 1997-01-31 1997-01-31 Digital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circuit and device using the circuit
JP97-018237 1997-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857A true KR19980070857A (en) 1998-10-26

Family

ID=1196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307A KR19980070857A (en) 1997-01-31 1998-01-26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214461A (en)
KR (1) KR19980070857A (en)
SG (1) SG6380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6141B2 (en) 1999-10-01 2004-01-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igital playback signal processor
US7804755B2 (en) 2003-11-11 2010-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signa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044939B1 (en) * 2003-11-11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14461A (en) 1998-08-11
SG63808A1 (en) 1999-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18859B2 (en) Viterbi detection device and Viterbi trellis coding method
US6597742B1 (en) Implementing reduced-state viterbi detectors
US5619539A (en) Data de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direct access storage device
KR100323562B1 (e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US7089483B2 (en) Two stage detector having viterbi detector matched to a channel and post processor matched to a channel code
US8578254B1 (en) Modified trace-back using soft output Viterbi algorithm (SOVA)
US5430744A (en) Method and means for detecting partial response waveforms using a modified dynamic programming heuristic
US6606728B1 (en) Rate (M/N) code encoder, detector, and decoder for control data
US7076721B2 (en) Data recording/readback method and data recording/readback device for the same
JPH0430306A (en) Recorder and viterbi equalizer for recorder
US6480984B1 (en) Rate (M/N) code encoder, detector, and decoder for control data
US6373413B1 (en) Data decoding apparatus and data decoding method
JP3950579B2 (en) Encoding method and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347390B1 (en) Data encoding method and device, data 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data supply medium
US6320916B1 (en) Digital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567733B2 (en) Signal decoding method, signal decoding circuit, information transmissi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information storage / reproduction device
JPH08116275A (en) Digital signal decoding processing unit
KR19980070857A (en)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JP3653391B2 (en) Viterbi detector and digital magnetic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837466A (en) Viterbi decoding circuit
JP2000134114A (en) Soft discrimination ml decoder, error correction circuit and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ing the decoder
Wu et al. Interleaved parity check codes and reduced complexity detection
EP11074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samples received from bitstream data stored on a storage medium and for recovering bits of said bitstream using a Viterbi detector
JPH06275031A (en) Viterbi decoder for magnetic recorder
EP1107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data stored on a storage medium by using a viterbi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