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225A - How to manage defect area in rewritable optical disc system - Google Patents

How to manage defect area in rewritable optical disc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225A
KR19980056225A KR1019960075490A KR19960075490A KR19980056225A KR 19980056225 A KR19980056225 A KR 19980056225A KR 1019960075490 A KR1019960075490 A KR 1019960075490A KR 19960075490 A KR19960075490 A KR 19960075490A KR 19980056225 A KR19980056225 A KR 1998005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block
data
spare area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39503B1 (en
Inventor
조복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7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503B1/en
Publication of KR1998005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2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5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8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optical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럭 단위로 데이타 기록시 ECC 정정 능력을 벗어나는 배드 섹터가 발생하였을 경우 배드 섹터가 발생된 블럭을 자기 존의 스페어 영역 및 다른 존의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으로 대체하고 SDL를 리스트-업하는 블럭 단위의 선형 재배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배드 섹터가 자기 존내의 데이타량의 5% 즉, 스페어 영역을 넘어도 전체 존의 스페어 영역을 다 소진할 때까지는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 사용 효율을 높이고, 또한, PDL 작성시 배드 섹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는지, 독립적으로 발생하였는지를 구분하고, 연속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배드 섹터의 시작 어드레스와 끝 어드레스만을 저장함으로써, 메모리의 사용 효율을 높인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of a rewritable optical disk system. In particular, when a bad sector out of ECC correction capability occurs when data is recorded in blocks, a block in which a bad sector is generated is replaced by a spare area in its own zone and a spare in another zone. By using a block-by-block linear relocation method that replaces the normal blocks of the area and lists up the SDL, even if the bad sector exceeds 5% of the amount of data in its zone, that is, the spare area, the spare area of the entire zone is exhausted. Data can be recorded until the disk is used, and the disk usa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Also, when the PDL is created, the bad sectors are generated continuously or independently, and when they are continuously stored, only the start and end addresses of the bad sectors are stored. This improves the use efficiency of the memory.

Description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How to manage defect area in rewritable optical disc system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Rewritable)한 광 디스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럭단위의 선형 재배치(Linear Replacement)에 의해 배드 섹터(bad sector)를 관리하여 디스크 사용 효율을 높이는 재기록가능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Defect)영역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writable optical disc system. In particular, a defect of a rewritable optical disc system which improves disk usage efficiency by managing bad sectors by linear replacement in units of blocks.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통상,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는 랜덤 억세스를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존(Zone) 단위로 나누어 관리를 하는데, 총 24개의 존이 구분되어 있다.In general, a rewritable optical disc is managed in zones as shown in FIG. 1 for random access. A total of 24 zones are divided.

즉, 상기 재기록 기능 광 디스크는 반경 방향으로 가장 안쪽부터 리드 인 영역(Lead in area), 데이타 영역(Data area), 리드 아웃 영역(Lead out area)으로 나누는데, 상기 존은 데이타 영역을 나누는 단위로 실제 데이타가 기록되는 영역이다.That is, the rewritable optical disc is divided into a lead 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 out area from the innermost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zone is a unit for dividing the data area. This is the area where actual data is recorded.

각각의 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5% 정도의 스페어(Spare) 영역을 가지고 있는데 이 영역은 존내에 발생하는 배드 섹터를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Each zone has a spare area of about 5% as shown in FIG. 2, which is used to manage bad sectors occurring in the zone.

즉, 배드 섹터를 검출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That is, a method of detecting and managing bad sectors is as follows.

우선 디스크를 최초로 사용할때 즉, 디스크 초기화시 디스크를 조사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배드 섹터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해당 배드 섹터의 리스트를 만들어 놓는다.First, when a disk is first used, that is, when the disk is initialized, the disk is examined to detect whether there are bad sectors that are not available, and a list of the bad sectors is prepared.

이를 최초 디펙트 리스트(Primary Defect List; PDL)라고 한다.This is called a Primary Defect List (PDL).

이 PDL은 중요한 정보이므로 대개 리드 인 영역과 리드 아웃 영역에 각각 반복하여 저장하여 놓는다.Since this PDL is important information, it is usually stored in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repeatedly.

실제 데이타 기록시 이 PDL 정보를 참조하여 블럭단위로 기록을 하는데 보통 기록의 블럭단위는 에러정정코드(Error Correction Code; ECC) 블럭 단위인 16섹터이다.In actual data recording, this PDL information is referred to for recording in block units. Normally, the block unit of recording is 16 sectors, which is an error correction code (ECC) block unit.

이때, 도 4는 실제 데이타 기록시 배드 섹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흐름도이다.At this time, Figure 4 is a conventional flow chart for performing the bad sector management method when recording the actual data.

즉, PDL 리스트가 작성된 후 기록할 데이타가 입력되면(단계 401), PDL을 참조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영역에 배드 섹터가 있는지를 검출한다(단계 402).That is, when data to be recorded is input after the PDL list is created (step 401), it is detected whether there is a bad sector in the area to be recorded with reference to the PDL (step 402).

이때, 기록할 영역에 배드 섹터가 없다고 판별되면 해당 기록섹터에 데이타를 기록한다(단계 403).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bad sector in the area to be recorded, data is recorded in the corresponding recording sector (step 403).

상기 단계 402에서 배드 섹터가 있다고 판별되면 배드 섹터의 수가 같은 존내의 스페어 영역에 기록 가능한 섹터의 수를 넘어서는지를 판별한다(단계 404).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2 that there are bad sector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bad sectors exceeds the number of sectors that can be recorded in the spare area within the same zone (step 404).

상기 단계 404에서 배드 섹터의 수가 도 3에서와 같이 존내의 스페어 영역에 기록 가능한 섹터수를 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실제 기록되는 데이타는 배드 섹터를 건너뛰어 다음 정상 섹터에 기록된다(단계 405).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4 that the number of bad sectors does not exceed the number of sectors recordable in the spare area in the zone as shown in Fig. 3, the actual recorded data is skipped over the bad sector and recorded in the next normal sector (step 405).

즉, 실제 기록되는 데이타 영역은 배드 섹터수만큼 스페어의 정상 섹터로 대체가 된다.That is, the data area actually recorded is replaced with the normal sector of the spare by the number of bad sectors.

따라서, 배드 섹터가 있을 경우 기록 단위보다 실제 기록되는 섹터 영역은 더 커진다.Therefore, when there are bad sectors, the sector area actually recorded is larger than the recording unit.

예를들어, 데이타 블럭내에 2개의 배드 섹터가 있다면 데이타는 스페어 영역의 2 섹터까지 밀려서 기록되므로, 원래 데이타 블럭단위가 16개의 섹터였다면 데이타 기록후에는 18개의 섹터가 된다.For example, if there are two bad sectors in a data block, the data is written up to two sectors of the spare area. If the original data block unit is 16 sectors, then 18 sectors are recorded after data writing.

이는 기록되는 데이타 블럭의 단위가 기록때마다 가변되게 되므로 재생시 문제가 될 수도 있다.This may be a problem during reproduction since the unit of data block to be recorded is changed each time recording.

이때, 해당 배드 섹터 수만큼 실제 기록되는 데이타 영역을 엎으로 쉬프트시킨다고 하여, 상기 단계 405를 슬리핑 재배치(Slipping Replacement)방법이라고 한다.At this time, assuming that the data area actually recorded by the number of bad sectors is shifted upside down, the step 405 is called a slipping replacement method.

이와 같이 배드 섹터가 검출될 경우 상기 단계 401 내지 단계 405를 반복수행하다가 상기 단계 404에서 배드 섹터의 수가 존내 스페어 영역에 기록 가능한 섹터의 수보다 많아지면, 즉, 배드 섹터의 수가 존내의 데이타 량의 5%(스페어 영역이 5%일 경우)를 넘는다고 판별되면 더이상 디스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디스크를 폐기한다(단계 406).If a bad sector is detected in this manner, the steps 401 to 405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if the number of bad sector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sectors recordable in the zone spare area in step 404, that is, the number of bad sectors is equal to the amount of data in the zone. If it is determined that more than 5% (when the spare area is 5%), the disc is no longer used and the disc is discarded (step 406).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은 디스크에 발생된 배드 섹터의 수가 존내의 스페어 영역 즉, 존내의 데이타량의 5% 이내에서 발생하면 정상섹터로의 대체가 가능하여 데이타 기록이 이루어지지만 그 이상이 되면 해당 디스크 전체를 폐기하여야 되므로 디스크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when the number of bad sectors generated on the disk occurs within the spare area of the zone, that is, within 5% of the amount of data in the zone, the normal sector can be replaced with data recording. If more than that, the entire disk must be discarded,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isk usage efficiency wa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 기록시 ECC 정정 능력을 벗어나는 배드 섹터가 발생하였을 경우 배드 블럭을 자기 존의 스페어 영역 및 다른 존의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으로 대체하는 블럭 단위의 선형 재배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배드 섹터가 자기 존내의 데이타량의 5%을 넘어도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어 디스크 사용 효율을 높이는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lace a bad block as a normal block of a spare area of its own zone and a spare area of another zone when a bad sector occurs outside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during data recording. By using an alternative block-based linear relocation method, a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of a rewritable optical disk system that can record data even if a bad sector exceeds 5% of the amount of data in its own zone improves disk usage efficiency. Is i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의 특징은, 디스크 초기화시 디스크를 조사하여 배드 섹터가 검출되면 PDL을 작성하는 제1단계와, 블럭 단위로 데이타 기록시 상기 제1단계의 PDL을 참조하여 블럭내의 배드 섹터의 수가 ECC 정정 능력을 초과하는지를 판별하는 제2단계와, ECC 정정 능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그대로 데이타를 기록하고, ECC 정정 능력을 초과하면 해당 존내의 스페어 영역에 배드 블럭을 대체할 정상블럭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있다고 판별되면 배드 블럭에 기록될 데이타를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에 기록하고 배드 블럭의 시작 섹터변호와 실제 데이타가 기록되는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의 시작 섹터번호를 저장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해당 존내의 스페어 영역이 다 소진되었다고 판별되면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에 배드 블럭을 대체할 정상블럭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있다고 판별되면 배드 블럭에 기록될 데이타를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에 기록하고 배드 블럭의 시작 섹터번호와 실제 데이타가 기록되는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의 시작 섹터번호를 저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A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of a rewritable optical disc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step of generating a PDL when a bad sector is detected by examining a disc at the time of disc initialization, and block unit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bad sectors in the block exceeds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by referring to the PDL of the first step when recording the raw data; and if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is not exceeded, the data is recorded as it is and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is exceeded. The third step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normal block to replace the bad block in the spare area in the zone, and if it is determined in the third step, the data to be written to the bad block is written to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and A fourth step of storing a starting sector number of a normal block of a spare area in which a starting sector number and actual data are recorded; A fif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normal block to replace the bad block in the spare area in another zone if the spare area in the zone is exhausted in the system; and the data to be recorded in the bad block if it is determined in the fifth step. Is recorded in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in another zone, and the sixth step of storing the start sector number of the bad block and the start sector number of the normal block in the spare area in another zone in which actual data is recorded.

도 1은 일반적인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가 리드 인 영역, 존 영역, 리드 아웃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eneral rewritable optical disc is divided into a lead-in area, a zone area, and a lead-out area.

도 2는 도 1의 존 영역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zone area of FIG. 1. FIG.

도 3은 배드 섹터가 발생될 경우 슬리핑 재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eeping relocation state when a bad sector is generated.

도 4는 종래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for performing a conventional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for performing a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PDL 리스트-업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6 illustrates a PDL list-up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501-510:각 처리단계501-510: each processing ste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of the optical dis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디스크를 최초로 사용할때 즉, 디스크 초기화시 디스크를 조사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배드 섹터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해당 배드 섹터의 리스트 예컨대, PDL을 만들어 놓는다.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also detects whether a bad sector is unavailable when the disk is first used, that is, when the disk is initialized, and makes a list of the bad sectors, for example, PDL.

이 PDL은 중요한 정보이므로 대개 리드 인 영역과 리드 아웃 영역에 각각 반복하여 저장하여 놓는다.Since this PDL is important information, it is usually stored in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repeatedly.

그리고, 디스크에 데이타 기록시 즉, 초기 기록이든 반복 기록이든간에 이 PDL 정보를 참조하여 블럭단위로 기록을 하는데 보통 블럭단위는 ECC 블럭 단위인 16섹터가 된다.When data is written to the disc, i.e., initial recording or repetitive recording, the PDL information is referred to for recording in block units. Normally, the block unit is 16 sectors of ECC block units.

즉, PDL 리스트가 작성된 후 기록할 데이타가 입력되면(단계 501), PDL을 참조하여 데이타 블럭 내에 배드 섹터가 있는지를 첵크한다(단계 502).That is, if data to be recorded is input after the PDL list is created (step 501), it checks whether there are bad sectors in the data block by referring to the PDL (step 502).

배드 섹터가 없다고 판별되면 해당 기록섹터에 데이타를 기록하고(단계 503), 배드 섹터가 있다고 판별되면 데이타 블럭 내의 배드 섹터의 수가 ECC 정정 능력(Tbs)을 초과하는지를 판별한다(단계 504).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bad sector, data is recorded in the corresponding recording sector (step 50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bad sect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bad sectors in the data block exceeds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Tbs) (step 504).

이때, 상기 단계 504에서 데이타 블럭내의 배드 섹터의 수가 ECC 정정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별되면 복원시 에러가 정정될 수 있으므로 그대로 배드 섹터에 데이타를 기록한다(단계 505).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4 that the number of bad sectors in the data block does not exceed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the error may be corrected at the time of restoration, and data is written to the bad sector as it is (step 505).

한편, ECC 정정 능력을 초과한다고 판별되면 자기 존내의 스페어 영역에 블럭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될 수 있는 여유가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506).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is exceede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re is room for recording block data in the spare area in the own zone (step 506).

자기 존내의 스페어 영역이 남아 있다면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과 논리적으로 위치를 바꾸면서 SDL(Secondary Defect List)을 리스트-업한다(단계 507).If the spare area in the own zone remains, the SDL (Secondary Defect List) is list-up while logically changing the position with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step 507).

즉, SDL에는 ECC 정정 능력을 초과하는 배드 섹터가 발생된 배드블럭의 시작 섹터 어드레스와 실제 데이타가 기록되는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의 시작 섹터 어드레스가 저장되고, 재생시에는 이를 참조하게 된다.That is, the SDL stores the start sector address of the bad block in which bad sectors exceeding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are generated, and the start sector address of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in which the actual data is recorded.

여기서, ECC 정정능력을 벗어나는 배드섹터가 발생되면 더이상 그 블럭은 사용할 수 없으므로 블럭단위로 위치가 바뀐다.Here, if a bad sector outside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is generated, the block is no longer available and the position is changed in units of blocks.

한편, 상기 단계 506에서 자기 존내 스페이스 영역이 다 소진되어 대체할 데이타 블럭이 없다고 판별되면 다른 존내 스페이스 영역에 대체할 데이타 블럭이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508).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6 that there is no data block to replace because its own in-zone space area is exhaus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data block to replace in another in-zone space area (step 508).

상기 단계 508에서 대체할 데이타 블럭이 있다고 판별되면 배드 블럭을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과 논리적으로 위치를 바꾸면서 SDL을 리스트-업한다(단계 509).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8 that there is a data block to be replaced, the SDL is list-up while logically shifting the bad block from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in another zone (step 509).

마찬가지로, SDL에는 ECC 정정 능력을 초과하는 배드 섹터가 발생된 배드 블럭의 시작 섹터 어드레스와 실제 데이타가 기록되는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의 시작 섹터 어드레스가 저장되고, 재생시에는 이를 참조하게 된다.Similarly, the SDL stores the start sector address of the bad block in which bad sectors exceeding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are generated, and the start sector address of the normal block in the spare area in another zone in which actual data is recorded, and refers to this during reproduction.

또한, 상기 단계 508에서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도 다 소진하여 더 이상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에 여유 데이타 블럭이 없다고 판별되면 더 이상 디스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디스크를 폐기한다(단계 510).In addition, if the spare area in the other zone is exhausted in step 508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no more free data blocks in the spare area in the other zone, the disc is no longer used and the disc is discarded (step 510).

따라서, 배드 섹터의 수가 존내의 스페어 영역 즉, 존내의 데이타량의 5%(스페어 영역이 5%일 경우)를 넘어서더라도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을 이용하므로 디스크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number of bad sectors exceeds the spare area in the zone, i.e., 5% of the amount of data in the zone (when the spare area is 5%), the spare area in the other zone can be used.

한편, 배드 섹터는 통상 디스크 디펙트나 흑점등에 의해 생기므로 배드 섹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since bad sectors are usually caused by disk defects or dark spots, bad sectors often occur continuously.

또한, PDL의 메모리 사이즈는 매우 적으므로(예컨대, 약 7679개의 배드섹터 저장가능), 배드 섹터가 많을 경우 모두 리스트하지 못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mory size of the PDL is very small (for example, about 7679 bad sectors can be stored), it may not be possible to list all of the bad sectors.

따라서, 배드 섹터가 독립적으로 존재할때와 연속적으로 이어서 나타날때 등을 구분하여 PDL을 작성하면 메모리의 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더 많은 배드섹터의 기록이 가능해진다.Therefore, if the PDL is created by distinguishing between when the bad sectors exist independently and when they appear in succession, etc., the capacity of the memory can be reduced, so that more bad sectors can be recorded.

즉, 도 6과 같은 PDL 포맷의 유저영역(Reserved)에 배드 섹터가 독립적으로 발생하였는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는지를 구분하는 플래그를 설정해 놓는다.That is, a flag is set in the PDL format user area (Reserved) as shown in FIG. 6 to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 bad sector has occurred independently or continuously.

이때, 상기 PDL 포맷에서 유저 영역은 배드 섹터가 독립적으로 발생했는지 연속적으로 발생했는지를 구분하는 플래그이고, PID#은 산(Land)과 골(Groove)을 나누는 정보이며, 섹터 타입은 현재 섹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로서, 현재 섹터가 리그 전용인지 재기록 가능 섹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In this case, in the PDL format, the user area is a flag for distinguishing whether a bad sector is generated independently or continuously. PID # is information for dividing a land and a groove, and a sector type is a type of a current sector. As a flag indicating inform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urrent sector is a league-only or rewritable sector is recorded.

또한, 층 #은 섹터의 층을 알려주는 정보이다.In addition, layer # is information indicating a layer of a sector.

예를들어, 유저 영역의 플래그가 '00'이라면 배드 섹터가 독립적으로 발생한 경우로서, 섹터 번호에는 배드 섹터의 어드레스가 저장된다.For example, if the flag of the user area is '00', a bad sector occurs independently, and the sector number stores the bad sector address.

따라서, 유저 영역의 플래그가 '00'이고 섹터 번호가 17이라면, 17번째 섹터가 배드 섹터임을 의미한다.Therefore, if the flag of the user area is '00' and the sector number is 17, it means that the 17th sector is a bad sector.

또한, 유저 영역의 플래그가 '01'이나 '10'이면 배드 섹터가 연속적으로 발생한 경우로서, '01'인 경우에는 섹터 번호에는 연속되는 배드 섹터의 시작 어드레스가 저장되고, '10'인 경우에는 섹터 번호에는 연속되는 배드 섹터의 끝 어드레스가 저장된다.If the user area flag is '01' or '10', bad sectors occur continuously. If '01', the start address of consecutive bad sectors is stored in the sector number. The sector number stores the end address of consecutive bad sectors.

즉, 유저 영역의 플래그가 '01'이고 섹터 번호가 20이며, 다음 유저 영역의 플래그가 '10'이고 섹터 번호가 30이면, 20번째 섹터부터 30번째 섹터까지가 배드 섹터임을 의미한다.That is, if the flag of the user area is '01', the sector number is 20, the flag of the next user area is '10' and the sector number is 30, it means that the sectors 20 to 30 are bad sectors.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드 섹터를 저장하면 같은 메모리 사이즈라도 더 많은 배드 섹터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toring bad sectors as described above allows recording of more bad sectors even with the same memory siz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에 의하면, 블럭 단위로 데이타 기록시 ECC 정정 능력을 벗어나는 배드 섹터가 발생하였을 경우 배드 섹터가 발생된 블럭을 자기 존의 스페어 영역 및 다른 존의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으로 대체하고 SDL를 리스트-업하는 블럭 단위의 선형 재배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배드 섹터가 자기 존내의 데이타량의 5% 즉, 스페어 영역을 넘어도 전체 존의 스페어 영역을 다 소진할때까지는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 사용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of the optical dis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ad sector outside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occurs when data is written in units of blocks, a block in which the bad sector is generated is replaced with a spare area of its zone. By using a block-wise linear relocation method that replaces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of another zone and lists-up the SDL, the spare area of the entire zone even if the bad sector exceeds 5% of the amount of data in its zone, that is, the spare area. The data can be written until it is exhausted, which increases the disk usage efficiency.

또한, PDL 작성시 배드 섹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는지, 독립적으로 발생하였는지를 구분하고, 연속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배드 섹터의 시작 어드레스와 끝 어드레스만을 저장함으로써, 메모리의 사용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bad sectors are continuously generated or independently generated when PDL is generated, and when they are continuously generated, only the start address and the end address of the bad sectors are stored, thereby increasing the memory usage efficiency.

Claims (3)

디스크 초기화시 디스크를 조사하여 배드 섹터가 검출되면 초기 디펙트 리스트(PDL)를 작성하는 제1단계와,A first step of creating an initial defect list (PDL) when a bad sector is detected by examining the disk during disk initialization; 블럭 단위로 데이타 기록시 상기 제1단계의 PDL을 참조하여 블럭내의 배드 섹터의 수가 에러정정코드(ECC) 정정 능력을 초과하는지를 판별하는 제2단계와,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bad sectors in the block exceeds the error correction code (ECC) correction capability by referring to the PDL of the first step when writing data in units of blocks; ECC 정정 능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그대로 데이타를 기록하고, ECC 정정 능력을 초과하면 해당 존내의 스페어 영역에 배드 블럭을 대체할 정상블럭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3단계와,A third step of recording data as it is if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is not exceed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normal block to replace the bad block in the spare area of the corresponding zone if the ECC correction capability is exceeded; 상기 제3단계에서 있다고 판별되면 배드 블럭에 기록될 데이타를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에 기록하고 배드 블럭의 시작 섹터번호와 실제 데이타가 기록되는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의 시작 섹터번호를 저장하는 제4단계와,A fourth step of recording the data to be written to the bad block in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and storing the start sector number of the bad block and the start sector number of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in which the actual data is recorded if it is determined in the third step. Wow, 상기 제3단계에서 해당 존내의 스페어 영역이 다 소진되었다고 판별되면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에 배드 블력을 대체할 정상블럭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5단계와,A fif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normal block in the spare area in another zone to replace the bad bloc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re area in the corresponding zone is exhausted in the third step; 상기 제5단계에서 있다고 판별되면 배드 블럭에 기록될 데이타를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에 기록하고 배드 블럭의 시작 섹터번호와 실제 데이타가 기록되는 다른 존내의 스페어 영역의 정상 블럭의 시작 섹터번호를 저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기능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If it is determined in the fifth step, the data to be recorded in the bad block is recorded in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in another zone, and the start sector number of the bad block and the start sector number of the normal block of the spare area in the other zone in which actual data is recorded. And a sixth step of storing the defects. 제1항에 있어서, 모든 존내의 스페어 영역을 다 사용하게 되면 디스크를 폐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기능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The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k is discarded when the spare areas in all the zones are used 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PDL 작성시 배드 섹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는지, 독립적으로 발생하였는지를 구분하고, 연속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배드 섹터의 시작 어드레스와 끝 어드레스만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기능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 방법.A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f a rewritable optical disc system, characterized by distinguishing whether bad sectors are generated continuously or independently when generating PDLs, and storing only the start address and the end address of the bad sectors if they occur continuously.
KR1019960075490A 1996-12-28 1996-12-28 Defect region managing method of re-writable optical disk system KR100239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490A KR100239503B1 (en) 1996-12-28 1996-12-28 Defect region managing method of re-writable optical dis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490A KR100239503B1 (en) 1996-12-28 1996-12-28 Defect region managing method of re-writable optical dis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225A true KR19980056225A (en) 1998-09-25
KR100239503B1 KR100239503B1 (en) 2000-01-15

Family

ID=1949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490A KR100239503B1 (en) 1996-12-28 1996-12-28 Defect region managing method of re-writable optical dis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503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44B1 (en) * 1998-09-24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a defective area of information record medium
KR100528690B1 (en) * 1998-03-24 200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disc and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546569B1 (en) * 1998-10-20 200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formating and managing defect area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546570B1 (en) * 1998-10-20 200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formating and managing defect area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545019B1 (en) * 1998-03-24 2006-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disc
KR100546576B1 (en) * 1998-11-10 2006-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09859B1 (en) * 1998-12-18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formating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06663B1 (en) * 1998-10-20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defect area and formating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09858B1 (en) * 1998-11-11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data
KR100609857B1 (en) * 1998-11-07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formatting
KR100606977B1 (en) * 1998-10-20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Formatting and Defect Area Management of Optical Recording Media
KR100907708B1 (en) * 2007-11-02 2009-07-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Error recovery method of storage device,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storage device, error recovery system and error storag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200A (en)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How to reallocate data sectors on your hard disk drive
KR100568421B1 (en) * 1998-02-12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Sector Reallocation Method When Search Error Occu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311A (en) * 1982-08-23 1984-02-28 Nec Corp Format system of disk devic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690B1 (en) * 1998-03-24 200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disc and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545019B1 (en) * 1998-03-24 2006-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disc
KR100421844B1 (en) * 1998-09-24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a defective area of information record medium
KR100546569B1 (en) * 1998-10-20 200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formating and managing defect area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546570B1 (en) * 1998-10-20 200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formating and managing defect area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06663B1 (en) * 1998-10-20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defect area and formating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06977B1 (en) * 1998-10-20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Formatting and Defect Area Management of Optical Recording Media
KR100609857B1 (en) * 1998-11-07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formatting
KR100546576B1 (en) * 1998-11-10 2006-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defect area management method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09858B1 (en) * 1998-11-11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data
KR100609859B1 (en) * 1998-12-18 200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formating of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907708B1 (en) * 2007-11-02 2009-07-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Error recovery method of storage device,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storage device, error recovery system and error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9503B1 (en)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0446B1 (en)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recording real time data, defect managing method therefor and real time data recording method
EP1298659B1 (en) Defect managing method and real time data recording method
US6918004B2 (en) Spare area management method of optical recording medium
US65192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the first available good spare block of an optical recording medium
US20040078705A1 (en)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start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and method of managing data using the information
KR100239503B1 (en) Defect region managing method of re-writable optical disk system
EP1597725A1 (en) Write-once disc, recording apparatus thereto, and method of reducing access time thereto
KR100545019B1 (en) Optical disc
US6674697B1 (en)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real time data
KR20000037823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formatting the same
KR100421844B1 (en) Method for managing a defective area of information record medium
KR100609858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data
KR100606977B1 (en) Formatting and Defect Area Management of Optical Recording Media
KR100546570B1 (en) Method for formating and managing defect area of optical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