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863A - Sub-Video Position Change Device of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 Google Patents

Sub-Video Position Change Device of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863A
KR19980025863A KR1019960044155A KR19960044155A KR19980025863A KR 19980025863 A KR19980025863 A KR 19980025863A KR 1019960044155 A KR1019960044155 A KR 1019960044155A KR 19960044155 A KR19960044155 A KR 19960044155A KR 19980025863 A KR19980025863 A KR 19980025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ignal
decoding
imag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영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863A/en
Publication of KR19980025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863A/en

Links

Landscapes

  • Studio Circuit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DVDP)와 같은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에 관한 것이다.end.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picture position changing apparatus of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video disc player (DVDP).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부영상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여 부영상에 의한 주영상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a main image due to a sub image by arbitrarily changing a position of a sub image constituting a video signal.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주영상데이타와 부영상데이타를 별개의 복호수단을 통해 복호화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All. SUMMARY OF THE INVENTION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coding a main video data and a sub video data through separate decoding means,

상기 부영상데이타 복호화시 검출되는 부영상 위치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로 지정하여 부영상의 위치를 변경시킴을 특징으로 한다.The sub-picture position signal detected when decoding the sub-picture data is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user's selection, there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ub-picture.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la. Significant Use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i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s such as digital video disc players.

Description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Sub-Video Position Change Device of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DVDP)와 같은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부영상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video disc player (DVDP),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 video position changing apparatus of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rbitrarily changing the position of a sub video constituting a video signal.

일반적인 영상신호는 주영상(Main-Picture)데이타와 부영상(Sub-Picture)데이타를 포함한다.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부영상은 주영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막이나 기타 부수적인 영상이 될 수 있다. 종래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주영상데이타와 부영상데이타가 같은 신호처리 경로를 갖기 때문에 부영상의 위치는 영상 소오스(source)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지정한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횡종비가 4:3인 영상신호 표시장치에 횡종비 16:9의 영상을 표시할 경우 주영상 이외의 여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영상의 위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영상 특정 부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영상에 의한 주영상의 망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동시에 화면의 효용성면에서도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Typical video signals include main-picture data and sub-picture data. The sub-pictures constituting the video signal may be subtitles or other ancillary video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ain video. In the conventional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nce the main image data and the sub image data have the same signal processing path, the position of the sub image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specifi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image source. Referring to FIG. 1, when an aspect ratio of 16: 9 is displayed on an image signal display device having an aspect ratio of 4: 3, the position of the sub-image is shown in FIG. 1 even though there is a margin other than the main image. Since it is fixed to a specific part of the main ima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ss of the main image due to the sub-image occurs,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unsuitable problem in the utility of the scree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부영상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여 부영상에 의한 주영상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는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image position changing apparatus capable of arbitrarily changing the position of a sub-image constituting a video signal in a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o prevent loss of the main image due to the sub-image.

도 1은 횡종비가 4:3인 종래 영상신호 표시장치에 횡종비 16:9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의 부영상 위치를 보이기 위한 예시도.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showing a sub-picture position when displaying an aspect ratio 16: 9 image on a conventional video signal display device having an aspect ratio of 4: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의 블럭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sub-image position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영 처리시의 부영 위치 예시도.3A and 3B are exemplified diagrams of a boolean position during yeongbu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에 있어서, 앰펙으로 부호화된 주영상데이타와 부영상데이타를 각각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복호수단과, 상기 부영상데이타 복호화시 출력되는 부영상 위치신호와 사용자 지정에 의한 위치지정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부영상 위치 지정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영상 복호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부영상 복호신호를 지연출력하는 지연수단과,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동작되어 상기 복수개의 복호수단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주영상데이타 및 부영상데이타를 합성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을 통해 합성된 영상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b-picture position changing apparatus of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decoding means for decoding and outputting main video data and sub-video data encoded with an amplifier, and decoding the sub video data. A sub-image positioning means for selecting one of a sub-image position signal outputted at the time and a positioning signal designated by a user and outputting it as a control signal, and a sub-image decoding signal outputted from the sub-image decoding mean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 delay means for delayed output, switching means for synthesizing the main image data and the sub-image data respectively outputted from the plurality of decoding means by the switching operation by the control signal, and an analog image signal synthesized through the switch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fter conversion to a signa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영상신호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부영상의 위치와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such as the location of the sub-picture displayed on the video signal displa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비디오 복호부(2) 및 부영상 복호부(4)는 채널(air, optical fiber, digital storage)을 통해 수신되는 부호화된 영상신호중에서 각각 MPEG데이타 및 부영상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부영상 복호부(4)에서는 부영상 데이타 복호화시 영상 소오스 제작과정에서 설정된 부영상의 위치신호가 검출되어 출력된다. 한편 부영상 위치 지정부(6)는 상기 부영상 복호부(4)로부터 출력되는 부영상 위치신호 및 사용자의 지정에 의한 위치지정신호 중에서 세팅된 신호를 선택출력한다. 지연부(8)는 상기 부영상 위치 지정부(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영상 복호부(4)로부터 출력되는 부영상 복호신호를 지연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는 부영상 위치 지정부(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서 부영상 복호신호를 원하는 만큼 지연시키고 주영상데이타와 부영상데이타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신호로서도 사용된다. 스위치 SW는 상기 부영상 위치 지정부(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 동작하여 MPEG 비디오 복호부(2)와 지연부(8)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주영상 복호신호와 부영상 복호신호를 스위칭한다. 후처리부(10)는 주영상 및 부영상 복호신호가 합성된 디지탈신호를 아나로그 영상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및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ub-image position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e moving picture expert group (MPEG) video decoder 2 and the sub-picture decoder 4 are MPEG data and sub-pictures, respectively, among encoded video signals received through a channel (air, optical fiber, digital storage). Decode and output the data. The sub-picture decoder 4 detects and outputs the position signal of the sub-picture set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video source when decoding the sub-picture data. On the other hand, the sub-image positioning unit 6 selects and outputs a signal set from a sub-image position signal output from the sub-image decoding unit 4 and a positioning signal by user's designation. The delay unit 8 delays and outputs the sub-image decoding signal output from the sub-image decoding unit 4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ub-image positioning unit 6.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ignal is a signal output from the sub-picture position designation section 6 and used as a switching signal for delaying the sub-picture decoding signal as desired and for switching the main video data and the sub-video data. The switch SW is switched on and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ub-picture position designation section 6, so that the main video decoding signal and the sub-picture decoding output from the MPEG video decoding section 2 and the delay section 8, respectively. Switch the signal. The post-processing unit 10 includes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a display device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digital signal obtained by synthesizing a main image and a sub-image decoded signal into an analog image signal.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ub-image position chan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우선 MPEG 복호부(2)는 MPEG으로 부호화된 주영상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이를 후처리부(10)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타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부영상 복호부(4)는 부영상데이타를 복호화하는데, 이때 영상 소오스 제작과정에서 설정된 부영상의 위치신호가 검출된다. 부영상 위치 지정부(6)에서는 영상신호 처리과정을 거쳐 영상신호 표시장치에 표시될때 원하는 신호를 선택한다. 선택된 신호는 지연부(8)의 제어신호로 작용하여 부영상 복호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주영상데이타와 부영상데이타를 스위칭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어 부영상이 화면상의 원하는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다. 후처리부(10)에서는 주영상 데이타와 부영상 데이타가 혼합된 디지탈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표시장치를 통해 주영상 및 부영상을 표시한다. 그 결과 횡종비가 4:3인 영상신호 표시장치에 횡종비 16:9의 영상을 표시할 경우에도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영상에 의한 주영상의 망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First, the MPEG decoder 2 decodes the main video data encoded in MPEG, converts it into a dat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post processor 10, and outputs the data. On the other hand, the sub-picture decoder 4 decodes the sub-picture data. At this time, the position signal of the sub-picture set in the video source production process is detected. The sub-picture positioning unit 6 selects a desired signal when it is displayed on the video signal display device through a video signal processing process. The selected signal acts as a control signal of the delay unit 8 to delay the sub-image decoding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is used as a signal for switching the main image data and the sub-image data so that the sub-image is displayed on the desired position on the screen. The post-processing unit 10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 which the main image data and the sub image data are mixed into an analog signal and displays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through the display device. As a result, even when an aspect ratio of 16: 9 is displayed on an image signal display device having an aspect ratio of 4: 3, as shown in FIGS. 3A and 3B, loss of the main image due to the sub-image does not occu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영상데이타와 부영상데이타를 별개의 복호부를 통해 복호화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부영상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함으로서 부영상에 의한 주영상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한편 화면의 효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잇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of preventing loss of the main image due to the sub image by arbitrari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ub image in the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coding the main image data and the sub image data through separate decoder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double the utility of the screen.

Claims (3)

주영상데이타와 부영상데이타를 별개의 복호수단을 통해 복호화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coding the main video data and the sub-video data through separate decoding means, 상기 부영상데이타 복호화시 검출되는 부영상 위치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로 지정하여 부영상의 위치를 변경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And a sub-picture position signal detected at the time of decoding the sub-picture data by a user's selection.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에 있어서,In the sub-image position changing apparatus of the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앰펙으로 부호화된 주영상데이타와 부영상데이타를 각각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복호수단과,A plurality of decoding means for decoding and outputting the main video data and the sub-video data encoded with an amplifier; 상기 부영상데이타 복호화시 출력되는 부영상 위치신호와 사용자 지정에 의한 위치지정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제어신호로서 출력하는 부영상 위치 지정수단과,Sub-image position designating means for selecting one of the sub-image position signal outputted at the time of decoding the sub-image data and a position designation signal by user designation, and outputting it as a control signal;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영상 복호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부영상 복호신호를 지연출력하는 지연수단과,Delay means for delaying outputting the sub-picture decoding signal output from the sub-picture decod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동작되어 상기 복수개의 복호수단으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주영상데이타 및 부영상데이타를 합성하는 스위칭수단과,Switching means for synthesizing the main video data and the sub-video data respectively outputted from the plurality of decoding means by the switching operation by the control signal; 상기 스위칭수단을 통해 합성된 영상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And a display means for converting the video signal synthesized through the switching means into an analog signal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video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영상데이타와 부영상데이타는 각각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데이타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부영상 위치 변경장치.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main video data and the sub video data are data reproduced from a digital video disk, respectively.
KR1019960044155A 1996-10-05 1996-10-05 Sub-Video Position Change Device of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KR199800258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155A KR19980025863A (en) 1996-10-05 1996-10-05 Sub-Video Position Change Device of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155A KR19980025863A (en) 1996-10-05 1996-10-05 Sub-Video Position Change Device of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863A true KR19980025863A (en) 1998-07-15

Family

ID=6632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155A KR19980025863A (en) 1996-10-05 1996-10-05 Sub-Video Position Change Device of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86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4861A (en) Encoding and decoding of data streams of multiple types including video, audio and subtitle data and searching therefor
US70425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data processing in digital video decoding
US6424792B1 (en) Subtitl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6862044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restoring and synchronizing sound and image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74513B2 (en) Optical disk player
KR970014109A (en) Still image storage and TV displaying it
US5926608A (en) Multi-picture processing digital video disc player
US8059941B2 (en) Multiplex DVD player
KR20070061000A (en) Method for time shifting in multiple channel screen, and multi-channel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40234236A1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displaying channels
KR200300625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losed caption
KR19980025863A (en) Sub-Video Position Change Device of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US20050238106A1 (en) Video apparatus
US5675692A (en) Double picture generation apparatus for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JP2003046960A (en) Reproducing device and its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ts program
JP2005020242A (en) Reproducing device
JP2001245262A (en) Digital video recording device having plural video sources and multiplexer for digital video recording device of this kind
KR100301831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citure in freeze-picture
KR10029839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reeze picture
KR20040024455A (en) Process for controlling an audio/video digital decoder
JP2002369144A (en) Disk image signal recorder
KR19990034132A (en) Sub-Video Playback Circuit of DVD Playback Device
KR20040028438A (en) Set top box for supporting a time-shift
JP2001024958A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40092788A (en) Method for reproducing information in optical dis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