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519B1 -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519B1
KR102646519B1 KR1020230122302A KR20230122302A KR102646519B1 KR 102646519 B1 KR102646519 B1 KR 102646519B1 KR 1020230122302 A KR1020230122302 A KR 1020230122302A KR 20230122302 A KR20230122302 A KR 20230122302A KR 102646519 B1 KR102646519 B1 KR 102646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 data
block
paper
research
n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2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기상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소프트
Priority to KR102023012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5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5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444Spatial browsing, e.g. 2D maps, 3D or virtual 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ata-processing equipment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 G06F2211/004Notarisation, Time-Stamp, Date-St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연구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됨에 기반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NFT를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NFT 관리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1 NFT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논문이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업로드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논문과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논문과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을 연결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lectronic study note service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includes receiving research record data from a user; Based on the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for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first block based on the at least one event and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first non-fungible token (NFT) based on the structural image of at least one compound included in the research record data; Uploading the first NFT to an NFT management platform associated with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generating a second block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NFT; Based on the first paper based on the research record data being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obtaining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third block based on metadata of the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it may include building a first blockchain database for the research record data by connecting the second block to the first block.

Description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study note servic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본 개시는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구 노트에 기록되는 연구 기록 데이터들을 시점 인증을 통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고, 편집기에서 화학식 입력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이 어려운 화학식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연구노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forgery and alteration of data by managing research record data recorded in a research not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rough point-in-time authentication; This relates to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easily input chemical formulas that are difficult to input through the chemical formula input function in the editor.

연구 노트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연구 활동 과정에서의 내용들을 기록하여 정리하기 위한 문서라고 할 수 있다.A research note can be said to be a document used to record and organize the contents of research activities that occur while carrying out a research project.

이러한 연구노트는 종래에는 종이형태로 사용자가 직접 노트에 기록하여 작성하였지만, 최근에는 전자 문서로 기록하는 전자 연구 노트가 개발되어 활성 화되고 있다.These research notes were traditionally written in paper form by the user directly recording them in a notebook, but recently, electronic research notes recorded as electronic document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coming more active.

즉, 전자 연구 노트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연구 활동 과정에서의 내용들을 전자문서로 기록해 저장하는 것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다른 연구자들과 보다 손쉽게 공유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electronic research note records and stores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ctivities that occur while carrying out the research project as an electronic document. The advantage is that the recorded data can be easily found and can be shared more easily with other researchers. there is.

하지만, 전자문서 형태로 기록된 연구노트 즉, 전자 연구 노트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위조 및 변조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적인 텍스트의 기 록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화학식 입력 등과 같은 복잡한 수식을 입력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research notes recorded in the form of electronic documents, that is, electronic research notes, have the problem that they can be forged and altered by other users. This is not a problem when recording general text, but when entering complex formulas such as entering chemical formulas, there is a problem.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some inconvenience.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4956호 (2020.08.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4956 (2020.08.10)

본 개시는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연구 노트에 기록되는 연구 기록 데이터들을 시점 인증을 통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서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고, 편집기에서 화학식 입력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이 어려운 화학식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연구노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is disclosure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is disclosure is to prevent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ata by managing research record data recorded in research note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rough point-in-time authentication, and to manage research record data recorded in research note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provides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easily input chemical formulas that are difficult to input through a chemical formula input function.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looking at an example.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a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연구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됨에 기반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NFT를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NFT 관리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1 NFT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논문이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업로드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논문과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논문과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을 연결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performed by a device includes receiving research record data from a user; Based on the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for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first block based on the at least one event and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first non-fungible token (NFT) based on the structural image of at least one compound included in the research record data; Uploading the first NFT to an NFT management platform associated with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generating a second block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NFT; Based on the first paper based on the research record data being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obtaining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third block based on metadata of the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it may include building a first blockchain database for the research record data by connecting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to the first block.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업로드된 복수의 논문 중 상기 제1 논문 또는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논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문과 상기 제1 논문 또는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블록을 상기 제3 블록에 연결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 상기 제2 블록, 상기 제3 블록, 및 상기 제4 블록 각각에는 블록 생성 원인자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의 블록 생성 원인자 항목에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가 매핑되고, 상기 제4 블록의 블록 생성 원인자 항목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문을 작성한 사용자의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And, the method includes identifying at least one paper associated with the first paper or the research record data among a plurality of papers uploaded to the specific paper platform; Obtaining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at least one paper and the first paper or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fourth block based on metadata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updating the first blockchain database by linking the fourth block to the third block, wherein each of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the third block, and the fourth block includes a block. Contains a creation cause item, the user information is mapped to the block creation cause item of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and the block creation cause item of the fourth block includes the at least one Information about the user who wrote the paper can be mapped.

그리고, 상기 NFT 관리 플랫폼에는 i) 상기 제1 NFT 및 ii) 상기 제1 NFT와 관련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상기 제1 논문을 열람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1 NFT, 상기 제1 NFT와 관련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상기 제1 논문에 대해 업로드된 코멘트의 개수의 총합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NFT와 관련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상기 제1 논문에 대한 단체 토론방이 상기 특정 논문 플랫폼 상에 생성되고, 상기 단체 토론방에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제1 논문의 공동 저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입장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논문 플랫폼 상에 생성된 복수의 단체 토론방 중 상기 단체 토론방의 우선순위가 증가될 수 있다.And, in the NFT management platform, i) the first NFT and ii)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that can view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the first paper related to the first NFT is updated, and the first NFT ,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comments uploaded for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associated with the first NFT exceeding a first threshold, the research record data associated with the first NFT and the first paper A group discussion room for a paper is created on the specific paper platform, and based on the entry of at least one of the user or a co-author of the first paper into the group discussion room, a plurality of group discussion rooms are created on the specific paper platform. The priority of the group discussion room may be increased.

그리고, 상기 제1 NFT가 상기 장치 또는 다른 장치 상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특정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NFT를 촬영함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을 설명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AR(augmented reality) 컨텐츠가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촬영 화면 상에 오버레이(overlay)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을 설명하는 컨텐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아바타를 포함할 수 있다.And, based on the first NFT being displayed on the device or another device and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used by the user photographing the first NFT,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and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AR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taining explanatory content is overlaid on the capture scree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content explaining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represents characteristics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It may include an avatar that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text.

그리고,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해 부여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해 상기 타임 스탬프가 부여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주기 별로 상기 특정 논문 플랫폼 및 상기 NFT 관리 플랫폼 상에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과 유사도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업로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includes a time stamp assign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the specific paper is published at a predefined period based on the time stamp was assign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It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data exceeding a second threshold of similarity to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have been uploaded on the platform and the NFT management platform. .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연구노트에 기록되는 연구 기록 데이터들을 시점 인증을 통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data can be prevented by managing research record data recorded in research note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rough point-in-time authentication.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화학, 제조 및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되는 화학식을 입력함에 있어서, 편집기에서 제공되는 화학식 입력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완성하여 손쉽게 입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측면 에서는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entering chemical formulas used in the fields of 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smetic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mplete and easily input chemical formulas through the chemical formula input function provided in the editor, so it is easy to use from the user's perspective. It has a convenient effect.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 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embodiments belong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연구노트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연구노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that provides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to 5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performed by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is complete and to provide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ure.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element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ferenc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used as a single term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component shown in a drawing is flipp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You can. Accordingly, the illustrative term “down” may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so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연구 노트는 연구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성과 및 연구 활동을 기록하는 문서이며, 이를 전자 형태로 기록한 것을 전자 연구 노트라 한다.In explaining the present disclosure, a research note is a document that records various achievements and research activities achieved through research activities, and a document recorded in electronic form is called an electronic research note.

일반적으로 전자 연구 노트는 연구 활동과 관련한 내용을 기록 및 편집하기 위한 편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기는 워드 및 한글 등과 같이 일반적인 문서 편집 도구와 유사하다.In general, electronic research notes can provide an editor for recording and editing content related to research activities. These editors are similar to common document editing tools such as Word and Hangul.

블록체인은 블록(Block)을 연결(Chain)한 모음이며,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을 말한다.Blockchain is a collection of connected blocks and refers to a distributed data storage technology that transparently records transaction details in a ledger that anyone can view, and copies and stores them on multiple computers.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Instead of storing transaction records on a centralized server, transaction details are sent to all users participating in the transaction. For each transaction, all transaction participants share information and compare it to prevent data forgery or alteration.

화학식은 원소 기호를 사용하여 물질을 이루는 기본 입자인 원자, 분자 또는 이온을 나타낸 식이다. 즉, 화학식은 원소 기호와 숫자를 이용하여 물질을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며, 나타내는 방식에 따라 분자식, 실험식, 시성식, 구조 식 및 이온식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A chemical formula is a formula that uses element symbols to represent atoms, molecules, or ions, which are the basic particles that make up substances. In other words, a chemical formula is a simple representation of a substance using element symbols and numbers, and depending on how it is expressed, it can be expressed as a molecular formula, empirical formula, canonical formula, structural formula, and ionic formula.

분자식은 각 원소별로 개수를 파악해 나열식으로 표현해 준 것이다. 실험식은 개수가 아닌 개수의 비율을 의미하며, 최대공약 수로 나누어 표현해 준 것이다. 시성식은 작용기로 표시해 준 것이다. 구조식은 분자의 결합형태까지 자세히 나타내 준 것이다. 이온식은 이온화 되었을 때의 전하량을 표시해준 것이다.The molecular formula determines the number of each element and expresses it in a listing format. The empirical formula refers to the ratio of numbers, not the number, and is expressed by dividing by the greatest common number. The canonization ceremony is indicated by the functional group. The structural formula shows in detail the bonding form of the molecule. The ionic formula indicates the amount of charge when ioniz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예로, 스마트 폰 등), 데스크 톱,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장치, 서버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장치는 상술된 하나 이상의 유형의 전자 장치로 구성된 장치 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1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that provides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vice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rtable terminals (eg, smart phones, etc.), desktops, tablet PCs, laptops, wearable devices, server devices, etc.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family of devices consisting of one or more types of electronic devices described above.

장치는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는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해당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장치가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은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The device may install an application capable of providing electronic study note services. Specifically, the device may receive a program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that can provide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from a server that manages the service. The operation of a device provid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may mean an operation performed through an application that can provide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본 개시의 일 예로,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 모듈(120), 디스플레이(130), 입력 모듈(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장치(100)는 필요한 동작에 따라 당업자 관점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이 수정/추가/생략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device 100 may include memory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display 130, input module 140, and processor 15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oftware and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100 may be modified/added/omitted depending on the required operation within the rang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메모리(110)는 본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프로세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특정 회사가 영위하는 복수의 유형의 사업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The memory 110 can store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device and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and can store input/output data (for example, related to multiple types of business operated by a specific company). information, etc.), a number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device, data for operation of the device, and commands can be stored.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메모리(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본 장치(100)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memory 110 is of a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solid state disk type, SDD type (Silicon Disk Drive type), and multimedia card micro type. micro type),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Additionally, the memory 110 is separate from the device 100, but may be a database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통신 모듈(120)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in addition to the Wi-Fi module and WiBro (Wireless broadband) modul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UMTS (universal mobile).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4G, 5G, and 6G.

무선 통신 모듈은 각종 신호(예로, 제 특정 회사가 영위하는 복수의 유형의 사업과 관련된 정보 등)를 송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ing an antenna and a transmitter that transmits various signals (eg, information related to multiple types of business operated by a specific company, etc.). Addition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conversion module that modulates a digital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to an analog wireless signal under control of the processor.

무선 통신 모듈은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ing an antenna and a receiver that receives various signals. Addition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conversion module for demodulating an analog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to a digital control signal.

디스플레이(130)는 본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예를 들어, 특정 회사가 영위하는 복수의 유형의 사업과 관련된 정보 등)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본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13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evice 100 (for example, information related to multiple types of business operated by a specific company, etc.). For example, the display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for example,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device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You can.

입력 모듈(140)은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40 is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signal), audio information (or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and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etc.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하드웨어식 물리 키(예를 들어, 본 장치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소프트웨어식 터치 키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input unit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This user input unit uses hardware-type physical keys (e.g., buttons, dome switches, jog wheels, jog switches, etc. locat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back, and sides of the device) and software-type touch keys. It can be included.

일 예로서, 터치 키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ouch key consists of a virtual key, soft key, or visual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type display unit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t may be composed of touch keys placed in other parts. Meanwhile, the virtual key or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graphic, text, icon, video or these. It can be made up of a combination of .

프로세서(150)는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50 includes a memory that stores data for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device or a program that reproduces the algorithm, and at least one processor (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At this time, the memory and processor may each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50)는 연구 기록 데이터의 기록과 관련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연구 기록 데이터에 타임 스탬프를 부 여하여 시점 인증을 할 수 있다. 이 때, 연구 기록 데이터의 기록과 관련한 이벤트는 연구 기록 데이터의 생성, 수정 및 삭제 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event related to the recording of research record data occurs, the processor 150 may authenticate the time by assigning a time stamp to the research record data at the time the event occurred. At this time, events related to recording research record data may include creation,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research record data.

한편, 프로세서(150)는 타임 스탬프가 부여된 연구 기록 데이터의 이벤트 히스토리 정보가 포함되도록 로그로 기록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50 may generate a block by recording it in a log to include event history information of research record data with a time stamp.

이 때, 블록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관리되는 것으로, 연구 기록 데이터의 기록과 관련된 이벤트와 관련된 다수 개의 로그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 is manage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may contain multiple log data related to events related to the recording of research data.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블록은 블록 헤더(header)(도 2 (a)의 210 참조)와 이벤트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바디(body)(도 2 (a)의 220 참조)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lock includes a block header (see 210 in FIG. 2 (a)), a block body including event history information (see 220 in FIG. 2 (a)), and other information. may include.

이 때, 블록 헤더는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의 버전을 의미하는 버전(version), 블록 체인에서 바로 앞에 위치하는 블록의 블록 해시를 의미하는 프리비어스 블록해시(Previousblockhash), 개별 거래 정보의 거래 해시를 2진 트리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트리 루트에 위치하는 해시값을 의미하는 머클해시(Merklehash), 블록이 생성된 시간을 의미하는 Time, 넌스(Nonce) 계 산 난이도 조절용 수치를 의미하는 Bits 및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값을 찾아낼 때까 지 계산을 시도한 횟수를 의미하는 넌스(Nonce)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 header is version, which refers to the version of the software and protocol, previousblockhash, which refers to the block hash of the block located immediately before in the blockchain, and transaction hash of individual transaction information. When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rue tree, Merklehash refers to the hash value located at the root of the tree, Time refers to the time the block was created, and Bits and conditions refer to the number used to adjust the difficulty of calculating the nonce. It may contain a nonce, which means the number of calculation attempts until a hash value that satisfies is found.

또한, 블록 바디는 이벤트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에 의해 연구 기록 데이터가 입력되어 연구노트가 생성될 경우, 연구노트가 생성된 시점에 시점 인증을 위한 타임 스탬프를 부여(예컨대, 220201(2022년 02월 01일에 생성됨을 의미))하고, 연구노트가 생성된 시점과 발생된 이벤트 정보(예컨대, 연구노트 최초 생성)를 포함하는 이벤트 히스토리 정보를 로그로 기록하여 블록(예컨대, 블록 #0)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 히스토리 정보는 블록의 바디(body) 부분에 로그 형태로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lock body may include event history information. For example, referring to (a) of FIG. 2, when research record data is input by a user and a research note is created, the processor 150 grants a time stamp for authentication at the time the research note is created. (e.g., 220201 (meaning it was created on February 1, 2022)), and event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the research note was created and the event information that occurred (e.g., the first creation of the research note), is recorded in a log to create a block. (For example, block #0) can be created. At this time, event history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log form in the body part of the block.

도 2의 (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에 의해 연구노트가 수정될 경우(예컨대, 연구노트의 내용 수정), 연구노트가 수정된 시점에 시점 인증을 위한 타임 스탬프를 부여(예컨대, 220203(2022년 02월 03일에 수정됨을 의미))하고, 연구노트가 수정된 시점과 발생된 이벤트 정보(예컨대, 연구노트 수정)를 포함하는 이벤트 히스토리 정보를 로그로 기록하여 블록(예컨대, 블록 #1)을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2, when the research note is modified by the user (e.g., modifying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note), the processor 150 grants a time stamp for authentication at the time the research note was modified ( For example, 220203 (meaning modified on February 3, 2022)), event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when the research note was modified and event information that occurred (e.g., research note modification) is recorded in a log to create a block (e.g. , block #1) can be created.

도 2의 (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에 의해 연구노트가 수정될 경우(예컨대, 화학식 입력), 연구노트가 수정된 시점에 시점 인증을 위한 타임 스탬프를 부여(예컨대, 220217(2022년 02월 17일에 화학식 입력을 의미))하고, 연구노트가 수정된 시점과 발생된 이벤트 정보(예컨대, 화학식 입력)를 포함하는 이벤트 히스토리 정보를 로 그로 기록하여 블록(예컨대, 블록 #2)을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2, when the research note is modified by the user (e.g., entering a chemical formula), the processor 150 grants a time stamp for authentication at the time the research note was modified (e.g., 220217). (meaning chemical formula input on February 17, 2022)), and event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the research note was modified and the event information that occurred (e.g., chemical formula input) is recorded in a log and entered into a block (e.g., block # 2) can be created.

이 때, 도 2의 (a) 내지 (c)와 같이 생성된 블록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관리될 수 있다. 예컨대, 각 각의 블록들은 블록 헤더의 프리비어스 해시(PreviousHash)에 기록된 해시값을 이 용하여 체인으로 연결되어 관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blocks created as shown in (a) to (c) of Figure 2 can be manage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For example, each block can be managed by being connected to a chain using the hash value recorded in the previous hash of the block header.

예를 들어, 블록 #0은 프리비어스 해시의 값이 0으로 블록 중 최초로 생성된 블록으로 그 이전의 블록은 없음을 의미하며, 블록 #1은 프리비어스 해시의 값이 0x000035으로 블록 #0의 블록해시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블록 #0 다음에 연결되고, 블록 #2는 프리비어스 해시의 값이 38-15 2022-02-24 0x0000a2으로 블록 #1의 블록해시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블록 #1 다음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block #0 has a prior hash value of 0, meaning it is the first block created among blocks and there are no previous blocks, and block #1 has a prior hash value of 0x000035, meaning it is the block of block #0. Since it has a hash value, it is connected after block #0, and block #2 has a prior hash value of 38-15 2022-02-24 0x0000a2, which has the block hash value of block #1, so it is connected after block #1. You can see that it is connected.

이처럼, 프로세서(150)는 다음 블록이 바로 전 블록의 블록해시 값을 포 함하는 방식으로 앞의 블록과 연결됨에 따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블록들을 관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ocessor 150 can manage block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s the next block is connected to the previous block in a way that includes the block hash value of the immediately previous block.

프로세서(150)는 연구 기록 데이터를 입력하여 연구노트 작성시 화학 식 입력을 위한 화학식 편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50 may input research record data and provide a chemical formula editor for inputting chemical formulas when writing research notes.

프로세서(150)는 연구 기록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편집기에 포함되는 기능 중 하나로 화학식 입력을 위한 화학식 편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화학식 편집기는 사용자에 의해 화학식 편집기 버튼 미도시)이 선택되는 경우,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The processor 150 may provide a chemical formula editor for inputting chemical formulas as one of the functions included in the editor for inputting research record data. At this time, the chemical formula edito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chemical formula editor button (not shown) is selected by the user.

이 때, 화학식 편집기는 사 용자가 화학식을 직접 기록하여 입력할 수도 있지만, 미리 설정된 기능에 의해 화학식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hemical formula editor allows the user to directly record and input the chemical formula, but it can also automatically generate and input the chemical formula using a preset function.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화학식 편집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구조식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화학식 편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구조식 검색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화학식에 대응하는 화합물의 이름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또는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의 일부를 원소 기호 및 개수로서 검색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50 may provide a chemical formula editor to the user, and may provide a chemical formula editor that includes a structural formula search function. At this time, the structural formula search receives the name of the compound corresponding to the chemical formula the user wants to input directly from the user or searches for some of the atoms included in the compound as the element symbol and number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corresponding compound. can do.

예를 들어, 사용자는 편집기를 이용하여 연구노트에 연구 기록 데이 터를 입력하는 도중 화학식을 입력하기 위해 화학식 편집기 버튼(미도시)을 클릭하 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편집기(30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도 3의 왼쪽에는 검색을 통해 선택된 화학식이 입력되는 화학식 편집 영역이 위치하고, 오른쪽에는 화학식의 검색을 위한 서비스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 르면, 검색 서비스는 구조식 검색일 수 있다. 한편, 화학식의 검색을 위한 서비스 영역에는 사용자로부터 화학식의 검색을 위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310) 이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the chemical formula editor button (not shown) to input a chemical formula while entering research record data in a research note using an editor, the chemical formula editor 300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 can be activated. At this time, a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where a chemical formula selected through search is input may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FIG. 3, and a service area for searching a chemical formula may exist on the right s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rch service may be structured search. Meanwhile, the service area for chemical formula search may include an input window 310 where the user can input information for chemical formula search.

한편, 프로세서(150)는 구조식 검색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화학식에 대 응하는 화합물의 이름을 직접 입력받거나 또는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의 일부를 원 소 기호 및 개수로서 검색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search the structural formula, the processor 150 receives the name of the compound corresponding to the chemical formula directly from the user or searches for some of the atoms included in the compound as the element symbol and number and retrieves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corresponding compound.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식 편집기(400)에 사용자 가 화학식에 대응하는 화합물의 이름인 “아세트산”을 입력창(410)에 입력하는 경 우, 이에 대응하는 구조식이 화학식 편집 영역인 왼쪽에 도시될 수 있다. 이 때, 화 합물의 이름에 대응하는 구조식은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 (150)는 입력되는 화합물의 이름에 대응하는 구조식을 메모리(11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acetic acid,” the name of a compound corresponding to the chemical formula, into the input window 410 in the chemical formula editor 400 as shown in FIG. 4, the corresponding structural formula is displayed in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can be shown on the left. At this time, the structural formula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the compound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10, and the processor 150 may search the structural formula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the input compound from the memory 110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re is.

한편, 화학식 편집 영역의 왼쪽에 도시된 아세트산의 구조식은 사용자에게 선택되는 경우, 연구 노트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화학식 편집 영역의 왼쪽에 도시된 구조식은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연구 노트에 기록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tructural formula of acetic acid shown on the left of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can be recorded in the research note if select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structural formula shown on the left of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may be edited by the user and recorded in the research note.

즉, 화학식 편집 영역의 왼쪽에 도시된 구조식은 검색에 의해 도시된 그대로 연구 노트에 기록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연구 노트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술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합물의 이름만 알고, 정확한 구조식을 모르는 경우, 구조식 검색 서비스를 통해 정확한 구조식을 연구 노트에 기록할 수 있다.That is, the structural formula shown on the left of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may be recorded in the research note as shown by search, or may be edited by the user and recorded in the research not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only knows the name of the compound and does not know the exact structural formula, the user can record the exact structural formula in the research notebook through the structural formula search servic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식 편집기(500)에 사용자가 화 학식에 대응하는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의 일부인 원소 기호 C 및 H와 H의 개수를 2 개로 입력창(510)에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구조식이 화학식 편집 영역인 왼쪽에 도시될 수 있다. 이때, 화합물의 이름에 대응하는 구조식은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50)는 입력되는 화합물의 이름에 대응하는 구조식을 메모리(11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hemical formula editor 500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inputs the number of element symbols C and H and H, which are part of the atoms included in the compound corresponding to the chemical formula, into the input window 510 as two. , the corresponding structural formula may be shown on the left, which is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At this time, the structural formula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the compound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10, and the processor 150 may search the structural formula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the input compound from the memory 110 and provide it to the user.

이때, 화합물에 포함된 원소 기호가 C 및 H이고 H의 개수가 2개인 경우에 포함되는 화합물은 아세트산, 메탄, 에틸렌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에 대응되는 구조식이 화학식 편집 영역 인 왼쪽에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화학식 편집 영역의 왼쪽에 도시된 아세트산의 구조식은 사용자에게 선택되는 경우, 연구 노트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화학식 편집 영역의 왼쪽에 도시된 구조식은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어 연구 노트에 기록될 수도 있다. 또한, 화학식 편집 영역에 도시되는 것은 화합물의 구조식만이 도시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합물의 구조식과 화합물의 이름이 같이 도시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 element symbols included in the compound are C and H and the number of H is 2, the compound included may be acetic acid, methane, ethylene, etc., and the structural formula corresponding to this compound may be shown on the left in the formula editing area. there is. Meanwhile, the structural formula of acetic acid shown on the left of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can be recorded in the research note if select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structural formula shown on the left of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may be edited by the user and recorded in the research note. Additionally, only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compound may be shown in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or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compound and the name of the compound may be shown together as shown in FIG. 5.

또한, 화합물의 구조식과 화합물의 이름과 더불어 분자식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술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합물의 이름을 정확하 게 알지 못하고, 화합물에 포함되는 원자들의 일부만을 알고 있는 경우, 이와 같은 구조식 검색을 통해 연구 노트에 화합물에 대응하는 구조식을 검색하여 기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compound and the molecular formula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name of the compound.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exact name of the compound and only knows some of the atoms included in the compound, the user can search for and record the structural formula corresponding to the compound in the research notebook through this structural formula search. You can.

한편, 프로세서(150)는 연구노트에 대한 토론을 진행할 수 있는 토론 방을 개설하여 토론방에 입장하는 사용자에게 토론을 위한 연구노트의 내용 및 대 화를 위한 채팅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토론방은 연구노트의 상태가 작성 완료 또는 수정 완료인 경우에만 개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토론방은 연구노트의 작성이 완료된 상태인 경우에만 개설됨에 따라 연구노트에 기록된 연구활동에 대한 토론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50 can open a discussion room where discussions on research notes can be held and provide users entering the discussion room with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notes for discussion and a chat window for conversation.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open the discussion room only when the status of the research note is completed or modified. In other words, since the discussion room is opened only when the research notes have been completed, discussions about the research activities recorded in the research notes can proceed more smoothly.

또한, 프로세서(150)는 구조식 검색을 위해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의 일부를 원소 기호 및 개수로서 검색 입력받으면, 검색 입력받은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식을 표시하되, 표시되는 구조식은 토론방에서 등장한 구조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되는 구조식 은 토론방에서 등장한 횟수에 기초하여 정렬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토론방에 등장 한 횟수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토론방에 입력된 구조식의 횟수, 상술된 검색 입 력받은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에 대응하는 구조식에 대해 언급한 유저들의 수 또는 토론방이 개설되고 난 후, 입력된 구조식의 총 횟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150 receives a search input for some of the atoms included in the compound as an element symbol and number for structural formula search, the processor 150 displays one or more structural formulas corresponding to the compound containing the search input atoms, but the displayed structural formula is It may be one of the structural formulas that appeared in the discussion room. At this time,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ed structural formula may be sorted based on the number of appearances in the discussion room. At this time, the number of appearances in the discussion room is the number of structural formulas entered into the discussion room during a preset period, the number of users who mentioned the structural formula corresponding to the compound containing the searched atom entered above, or after the discussion room was opened, It may be any one of the total number of structural formulas entered.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식 편집기(500)에 사용자가 화학식에 대응하는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의 일부인 원소 기호 C 및 H와 H의 개수를 2개로 입력창(510)에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구조식을 미리 설정된 기 간 동안 토론방에 등장한 구조식의 횟수에 기초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화학식 편집 영역에 도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50 allows the user to input the number of element symbols C and H and H, which are part of the atoms included in the compound corresponding to the chemical formula, into two input fields in the chemical formula editor 500 as shown in FIG. 5 ( 510), the corresponding structural formula can be sorted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structural formula appeared in the discussion room during a preset period and displayed in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이때, 미리 설정된 기간이란 토론방에 참여한 사용자 가 10 명 내지 20명을 유지하는 기간일 수 있다. 즉, 토론방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일정 인원 이상인 경우를 미리 설정된 기간으로 설정하고, 해당 기간에 토론방에 등장한 구조식의 횟수에 기초해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화학식 편집 영역에 검색 입력된 원소 기호 및 개수에 대응하는 구조식을 도시할 수 있다. 즉, 토론방에 참 여하는 사용자가 너무 적은 경우는 배제함으로서, 검색되는 구조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period may be a period during which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 room is maintained at 10 to 20. In other words, when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 room is more than a certain number, a preset period is set, sorted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structural formulas that appeared in the discussion room during that period, and searched in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to search for the element symbol and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The structural formula can be shown. In other words, by excluding cases where there are too few users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 room, the accuracy of the searched structural formula can be improved.

예컨대, 화합물에 포함된 원소 기호가 C 및 H이고 H의 개수가 2개인 경우에 포함되는 화합물은 아세트산, 메탄, 에틸렌 등일 수 있는데 이때, 토론방에 참여한 사용자가 15명이고, 토론방에 등장한 구조식의 횟수가 아세트산이 1회, 메 탄이 3회, 에틸렌이 5회인 경우, 화학식 편집 영역에 도시되는 구조식은 에틸렌, 메탄, 아세트산 등의 순으로 토론방에 등장한 횟수에 기초하여 내림차순으로 도시 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element symbols included in the compound are C and H and the number of H is 2, the compound included may be acetic acid, methane, ethylene, etc. In this case, there are 15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room, and the number of structural formulas that appeared in the discussion room is 15. If acetic acid appears 1 time, methane 3 times, and ethylene 5 times, the structural formulas shown in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may be shown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y appear in the discussion forum in the order of ethylene, methane, acetic acid, etc.

즉, 토론방에서 많이 언급된 구조식인 경우, 현재 연구노트를 작성함에 있어서 사용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구조 식이 도시되는 경우, 화학식 편집 영역의 상단에 도시되는 구조식을 우선적으로 고 려하여 선택할 수 있어, 화학식의 입력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if the structural formula is mentioned a lot in the discussion room, it may mean that it is used a lot when writing the current research note. Therefore, if more than one structural formula is shown, the user should preferentially select the structural formula shown at the top of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you to input chemical formulas more quickly by allowing you to select them accordingly.

또한, 프로세서(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식 편집기(500)에 사용자가 화학식에 대응하는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의 일부인 원소 기호 C 및 H 와 H의 개수를 2개로 입력창(510)에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구조식을 토론 방에서 상술된 구조식을 언급한 유저들의 수에 기초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화 학식 편집 영역에 도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50 allows the user to input the number of element symbols C and H and H, which are part of the atoms included in the compound corresponding to the chemical formula, into two input windows 510 in the chemical formula editor 500 as shown in FIG. 5. When entered, the corresponding structural formula can be displayed in the formula editing area by sorting it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who mentioned the structural formula described above in the discussion room.

예컨대, 화합물에 포함된 원소 기호가 C 및 H이고 H의 개수가 2개인 경우에 포함되는 화합물은 아세트산, 메탄, 에틸렌 등일 수 있는데 이때, 토론방에서 아세트산을 언급한 유저가 5명이고, 메탄을 언급한 유저가 1명이고, 에틸렌을 언급한 유저가 3명인 경우, 화학식 편집 영역에 도시되는 구 조식은 아세트산, 에틸렌, 메탄 등의 순으로 토론방에서 구조식을 언급한 유저들의 수에 기초하여 내림차순으로 도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element symbols included in the compound are C and H and the number of H is 2, the included compound may be acetic acid, methane, ethylene, etc. In this case, there are 5 users who mentioned acetic acid in the discussion room, and 5 users mentioned methane. If there is 1 user and 3 users mentioned ethylene, the structural formula shown in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is shown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who mentioned the structural formula in the discussion room, in the order of acetic acid, ethylene, methane, etc. It can be.

또한, 프로세서(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학식 편집기(500)에 사용자가 화학식에 대응하는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의 일부인 원소 기호 C 및 H 와 H의 개수를 2개로 입력창(510)에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구조식을 화학 식 편집 영역에 도시하되, 토론방이 개설되고 난 후, 입력된 총 횟수에 기초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렬해 구조식을 도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50 allows the user to input the number of element symbols C and H and H, which are part of the atoms included in the compound corresponding to the chemical formula, into two input windows 510 in the chemical formula editor 500 as shown in FIG. 5. When entering, the corresponding structural formula is shown in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but after the discussion room is opened, the structural formula can be shown by sorting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inputs.

예컨대, 화합물에 포함된 원소 기호가 C 및 H이고 H의 개수가 2개인 경우에 포함되는 화합물은 아세트산, 메탄, 에틸렌 등일 수 있는데 이때, 토론방이 개설되고 난 후, 아세트산이 입력된 횟수가 총 10회이고, 메탄이 입력된 횟수가 총 8회이며, 에틸렌이 입력된 횟수가 총 5회인 경우, 화학식 편집 영역에 도시되는 구 조식은 아세트산, 메탄, 에틸렌 등의 순으로 토론방에 입력된 총 횟수에 기초하여 내림차순으로 도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element symbols included in the compound are C and H and the number of H is 2, the compound included may be acetic acid, methane, ethylene, etc. In this case, after the discussion room was opened, the total number of times acetic acid was entered was 10. times, and the total number of times methane was entered is 8 times, and the number of times ethylene was entered is 5 times, the structural formula shown in the chemical formula editing area is the total number of times entered in the discussion room in the order of acetic acid, methane, ethylene, etc. It can be shown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연구노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Figure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performed by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연구 기록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S610).The device can receive research record data from the user (S610).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됨에 기반하여, 장치는 연구 기록 데이터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S620).Based on the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for the research record data, the device may generate a first block based on the at least one event and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S620).

구체적으로, 연구 기록 데이터의 생성, 수정 및 삭제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장치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해 타임 스탬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장치는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여 시점 인증을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ny one of the creation, modification, and deletion events of research record data occurs, the device may give a time stamp to the research record data at the time the event occurred. At this time, the device can authenticate the point in time by providing a time stamp.

여기서, 연구 기록 데이터의 기록에 대한 이벤트는 연구 기록 데이터의 생성, 수정, 삭제,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코멘트의 개수가 미리 정의된 개수를 초과하는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events for recording research record data may include creation,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research record data, events in which the number of comments on research record data exceeds a predefined number, and the like.

그리고, 블록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관리되는 것으로,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와 관련된 다수 개의 로그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은, 블록 헤더(header)와 이벤트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바디(body)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blocks are managed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may contain multiple log data related to events related to research record data. Meanwhile, a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block header, a block body including event history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장치는 생성된 블록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생성된 블록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블록들은 블록 헤더의 프리비어스 해시(PreviousHash)에 기록된 해시 값을 이용하여 체인으로 연결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장치는 다음 블록이 바로 전 블록의 블록해시 값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앞의 블록과 연결됨에 따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블록들을 관리할 수 있다.The device can manage the created block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s an example, each block can be managed by being connected to a chain using the hash value recorded in the previous hash of the block header. In other words, the device can manage block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as the next block is connected to the previous block in a way that includes the block hash value of the immediately previous block.

장치는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할 수 있다(S630).The device may generate a first NFT (non-fungible token) based on the structural image of at least one compound included in the research record data (S630).

구체적으로, 장치는 연구 기록 데이터를 입력하여 연구노트 작성 시 화학식 입력을 위한 화학식 편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는 연구 기록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편집기에 포함되는 기능 중 하나로 화학식 입력을 위한 화학식 편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may provide a chemical formula editor for inputting chemical formulas when creating research notes by inputting research record data. The device may provide a chemical formula editor for inputting chemical formulas as one of the functions included in the editor for inputting research record data.

이 때, 화학식 편집기는 사용자에 의해 화학식 편집기 버튼(미도시)이 선택되는 경우,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편집기는 사용자가 화학식을 직접 기록하여 입력할 수도 있지만, 미리 설정된 기능에 의해 화학식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hemical formula edito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vice when the chemical formula editor button (not show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hemical formula editor allows users to directly record and input chemical formulas, but it can also automatically generate and input chemical formulas using preset functions.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예로, 장치는 화학식 편집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구조식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화학식 편집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구조식 검색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화학식에 대응하는 화합물의 이름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또는 화합물에 포함된 원자의 일부를 원소 기호 및 개수로서 검색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vice may provide a chemical formula editor to a user, and may provide a chemical formula editor that includes a structural formula search function. At this time, the structural formula search receives the name of the compound corresponding to the chemical formula the user wants to enter directly from the user or searches for some of the atoms included in the compound as the element symbol and number and provides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corresponding compound to the user. can be provided.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치는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는 화학식 편집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는 특정 방식에 따라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장치는 연구 기록 데이터 상에 첨부된 복수의 이미지 중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를 식별 및 추출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device may extract a structural image of at least one compound included in the study record data. At this time, the structural formula image of the compound may be created using a chemical formula edi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Structural formula images of compounds may be included in research record data in certain ways. The device can identify and extract the structural formula image of the compound from a plurality of images attach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를 추출한 경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NFT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structural formula image of at least one compound included in the research record data is extracted, the device may generate the first NFT based on the structural formula image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구체적으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 상에 연구 기록 데이터에 부여된 타임 스탬프 이미지를 부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can superimpose a timestamp image assign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onto the structural formula image of at least one compound.

그리고, 장치는 타임 스탬프가 부가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제1 NFT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NFT는 장치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전자 지갑에 추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이 고안된 시기가 인증될 수 있다.And, the device can automatically generate the first NFT based on the structural image of at least one compound to which a time stamp is added. The first NFT can be added to the user's electronic wallet pre-registered on the device. Through this, the time when the structural formula of at least one compound included in the research record data was designed can be authenticated.

장치는 제1 NFT를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NFT 관리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제1 NFT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S640).The device may upload the first NFT to the NFT management platform associated with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generate a second block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NFT (S640).

NFT 관리 플랫폼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NFT를 업로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제1 NFT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는 제1 NFT가 생성된 시점 및 제1 NFT와 연관된 연구 기록 데이터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NFT management platform refers to a platform where multiple users can upload NFTs created based on specific images included in their research record data.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NFT may include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time when the first NFT was created and research record data associated with the first NFT.

장치는 제1 NFT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제1 NFT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The device can easily manage metadata for the first NFT by creating a second block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NFT.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논문이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업로드됨에 기반하여, 장치는 제1 논문과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50).Based on the first paper based on the research record data being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the device may obtain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S650).

구체적으로, 장치는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논문이 업로드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논문 플랫폼에 제1 논문을 업로드할 때, 사용자는 해당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논문을 작성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특정 논문 플랫폼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장치는 해당 정보를 통해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논문이 업로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may monitor whether a first article based on research record data is uploaded to a particular article platform. For example, when uploading a first paper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the user can uploa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paper was written based on the corresponding research record data onto the specific paper platform. Through the information, the device can identify whether a first paper based on research record data is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NFT 관리 플랫폼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NFT를 업로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제1 NFT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는 제1 NFT가 생성된 시점 및 제1 NFT와 연관된 연구 기록 데이터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NFT management platform refers to a platform where multiple users can upload NFTs created based on specific images included in their research record data.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NFT may include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time when the first NFT was created and research record data associated with the first NFT.

장치는 제1 NFT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제1 NFT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The device can easily manage metadata for the first NFT by creating a second block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NFT.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논문이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업로드됨에 기반하여, 장치는 제1 논문과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50).Based on the first paper based on the research record data being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the device may obtain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S650).

구체적으로, 장치는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논문이 업로드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논문 플랫폼에 제1 논문을 업로드할 때, 사용자는 해당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논문을 작성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특정 논문 플랫폼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장치는 해당 정보를 통해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논문이 업로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may monitor whether a first article based on research record data is uploaded to a particular article platform. For example, when uploading a first paper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the user can uploa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paper was written based on the corresponding research record data onto the specific paper platform. Through the information, the device can identify whether a first paper based on research record data is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장치는 제1 논문 및 연구 기록 데이터를 제1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모델에 입력하여 제1 논문과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예로, 제1 논문 및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매칭율(즉, 유사도) 및 제1 논문을 기준으로 연구 기록 데이터의 반영 비율)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vice inputs the first paper and research record data into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del to generate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research record data (e.g., between the first paper and research record data). Matching rate (i.e. similarity) and reflection ratio of research record data based on the first paper can be obtained.

제1 AI 모델은 제1 논문 및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매칭율(즉, 유사도) 및 제1 논문을 기준으로 연구 기록 데이터의 반영 비율을 출력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AI 모델은 복수의 연구 기록 데이터 및 복수의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복수의 논문이 포함된 학습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학습될 수 있다.The first AI model may be trained to output a matching rate (i.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paper and research record data and a reflection ratio of research record data based on the first paper. As an example, the first AI model may be learned based on a learning data se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research record data and a plurality of papers based on the plurality of research record data.

이 때, 학습 데이터 세트에는 i) 복수의 연구 기록 데이터 및 복수의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복수의 논문 간의 매칭율 및 ii) 복수의 논문 각각을 기준으로 복수의 연구 기록 데이터 각각의 반영 비율이 기록된 라벨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AI 모델은 지도 학습 방식으로 학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rning data set records i) a matching rate between a plurality of research record data and a plurality of papers based on the plurality of research record data, and ii) a reflection ratio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search record data bas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apers. Labeling data may be included. That is, the first AI model can be learned using a supervised learning method.

일 예로, 제1 AI 모델은 제1 논문 상에 연구 기록 데이터가 제1 수치만큼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출력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AI 모델은 제1 논문과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제2 수치라고 출력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AI model may be trained to output whether the research record data in the first paper is reflected as much as the first value. Additionally, the first AI model may be trained to output that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is a second number.

장치는 제1 논문과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S660).The device may generate a third block based on metadata of the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S660).

즉, 제3 블록은 제1 논문과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의 메타 데이터 및 제1 논문의 히스토리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block may be mapped with metadata of the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paper and research record data and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paper.

장치는 제1 블록에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을 연결하여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670).The device can build a first blockchain database for research record data by connecting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to the first block (S670).

추가적으로, 장치는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업로드된 복수의 논문 중 제1 논문 또는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논문을 식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vice may identify a first paper among a plurality of papers uploaded to a particular paper platform or at least one paper associated with the research record data.

구체적으로, 장치는 특정 논문 플랫폼에 실시간으로 업로드된 복수의 논문 중 제1 논문 또는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유사도가 미리 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논문을 식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may identify at least one paper in which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paper or research record data exceeds a predefined value among a plurality of papers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in real time.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논문과 제1 논문 또는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장치는 제1 AI 모델에 적어도 하나의 논문과 제1 논문 또는 연구 기록 데이터를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논문과 제1 논문 또는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는 제2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may obtain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at least one paper and the first paper or research record data. At this time, the device inputs at least one paper and the first paper or research record data into the first AI model to obtain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at least one paper and the first paper or research record data. . The device may provide second information to the user.

장치는 제2 정보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장치는 제4 블록을 제3 블록에 연결하여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device may generate the fourth block based on the metadata of the second information. The device can update the first blockchain database by linking the fourth block to the third block.

여기서, 제1 블록, 제2 블록, 제3 블록, 및 제4 블록 각각에는 블록 생성 원인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생성 원인자는 해당 블록에 기초가 되는 정보를 생성한 주체를 의미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first block, second block, third block, and fourth block may include a block creation cause item. The person who created the block may refer to the subject who created the information underlying the block.

일 예로,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의 블록 생성 원인자 항목에는 사용자의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이는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의 기초가 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생성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As an example, user information may be mapped to the block generation cause items of the first block, second block, and third block. This may mean that the information underlying the first block, second block, and third block was created by the user.

제4 블록의 블록 생성 원인자 항목에는 적어도 하나의 논문을 작성한 사용자의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이는 제4 블록의 기초가 되는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논문을 작성한 사용자가 생성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Information on a user who wrote at least one paper may be mapped to the block creation cause item of the fourth block. This may mean that the information underlying the fourth block was created by a user who wrote at least one paper.

한편, NFT 관리 플랫폼에는 i) 제1 NFT 및 ii) 제1 NFT와 관련된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제1 논문을 열람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NFT management platform, i) the first NFT and ii) the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that allows viewing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first paper related to the first NFT may be updated.

이 때, 제1 NFT, 제1 NFT와 관련된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제1 논문에 대해 업로드된 코멘트의 개수의 총합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함에 기반하여, 특정 논문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는 제1 NFT와 관련된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제1 논문에 대한 단체 토론방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NFT, the research record data related to the first NFT, and the number of comments uploaded for the first paper exceeding the first threshold, the server that manages the specific paper platform sends the first NFT A group discussion room can be created for research record data and the first paper related to.

단체 토론방에 사용자(즉,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제1 논문의 저자) 또는 제1 논문의 공동 저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입장함에 기반하여, 특정 논문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는 복수의 단체 토론방 중 해당 단체 토론방의 우선순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Based on the entry of at least one of the user (i.e., the author of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the first paper) or the co-author of the first paper into the group discussion room, the server managing the specific paper platform selects the group discussion room among the plurality of group discussion rooms. You can increase the priority.

즉, 특정 논문 플랫폼 상에는 복수의 단체 토론방 리스트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복수의 단체 토론방 중 사용자의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단체 토론방의 우선순위가 증가할 경우, 사용자의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단체 토론방의 노출 순위가 증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 list of multiple group discussion rooms can be updated on a specific paper platform. If the priority of the group discussion room associated with the user's research record data among a plurality of group discussion rooms increases, the exposure ranking of the group discussion room associated with the user's research record data may increase.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단체 토론방의 우선순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될 경우, 특정 논문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는 특정 논문 플랫폼 상에 사용자의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단체 토론방의 참여를 독려하는 팝업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priority of the group discussion room associated with the user's research record data exceeds a preset value, the server managing a specific paper platform blocks participation in the group discussion room associated with the user's research record data on the specific paper platform. You can provide encouraging pop-up messages.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NFT가 장치 또는 다른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용하는 특정 단말 장치가 제1 NFT를 촬영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장치 또는 다른 장치가 제1 NFT를 표시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별도의 특정 단말 장치로 제1 NFT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ssume a case where the first NF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vice or another device and a specific terminal device used by the user photographs the first NFT. In other words, assume that when the device or another device is displaying the first NFT, the user is photographing the first NFT through a camera application with a separate specific terminal device.

이 때,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을 설명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AR(augmented reality) 컨텐츠가 특정 단말 장치의 촬영 화면 상에 오버레이(overlay)될 수 있다.At this time, augmented reality (AR) content including the structural formula of at least one compound and content explaining the structural formula of at least one compound may be overlayed on the capture screen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구체적으로, NFT 관리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는 제1 NFT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에 대해 3D 모델 생성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에 대응되는 AR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er that manages the NFT management platform can generate A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al formula of at least one compound by applying a 3D model generation algorithm to the structural formula image of at least one compou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NFT.

그리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NFT 관리 플랫폼에 업로드할 수 있다. NFT 관리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에 대응되는 AR 컨텐츠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에 기초한 컨텐츠(예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아바타)를 추가할 수 있다.And, the device can upload text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compound to the NFT management platform. The server that manages the NFT management platform provides content based on text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compound (e.g.,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text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compound) on A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You can add an avatar to be printed.

일 예로, NFT 관리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음성 인식 모듈에 입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rver that manages the NFT management platform may input text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compound into a voice recognition module to obtain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text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NFT 관리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는 NFT 관리 플랫폼에 업로드된 제1 NFT에 해당 AR 컨텐츠를 매핑할 수 있다.The server that manages the NFT management platform can map the corresponding AR content to the first NFT uploaded to the NFT management platform.

사용자가 이용하는 특정 단말 장치가 이용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NFT 관리 플랫폼을 관리하는 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특정 단말 장치가 해당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NFT를 촬영하는 경우, 제1 NFT에 매핑된 AR 컨텐츠가 촬영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The camera application used by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used by the user can be managed by a server that manages the NFT management platform. When a specific terminal device captures the first NFT through the corresponding camera application, AR content mapped to the first NFT may be displayed on the capture screen.

추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구 기록 데이터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는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해 부여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해 타임 스탬프가 부여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주기 별로 특정 논문 플랫폼 및 NFT 관리 플랫폼 상에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과 유사도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업로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described above,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research record data may include a time stamp assign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The device displays research record data and the structural formula of at least one compound on a specific paper platform and NFT management platform at a predefined period based on the time stamp is given for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the similarity exceeds the second threshold. You can generat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data has been uploaded.

즉,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해 타임 스탬프가 부여된 시점을 기준으로, 장치는 미리 정의된 주기 별로 특정 논문 플랫폼 및 NFT 관리 플랫폼 상의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과 유사한 데이터가 업로드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at is, based on the time stamp is given for the research record data, the device determines whether research record data and data similar to the structural formula of at least one compound on a specific paper platform and NFT management platform have been uploaded at predefined intervals. It can be monitored.

일 예로, 장치는 특정 논문 플랫폼 및 NFT 관리 플랫폼에 새롭게 업로드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간의 유사도를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evice may obtain similarity between data newly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and NFT management platform, research record data generated by the user, and the structural formula of at least one compound.

일 예로, 장치는 두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출력하도록 학습된 제2 AI 모델에 특정 논문 플랫폼 및 NFT 관리 플랫폼에 새롭게 업로드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유사도를 획득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evice inputs data newly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and NFT management platform, research record data generated by the user, and the structural formula of at least one compound into a second AI model trained to output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data. , the similarity can be obtained.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cre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storing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acticed in forms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Claims (5)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 연구 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연구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됨에 기반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NFT(non-fungible token)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NFT를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NFT 관리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1 NFT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논문이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업로드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논문과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논문과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3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에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을 연결하여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FT 관리 플랫폼에는 i) 상기 제1 NFT 및 ii) 상기 제1 NFT와 관련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상기 제1 논문을 열람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1 NFT, 상기 제1 NFT와 관련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상기 제1 논문에 대해 업로드된 코멘트의 개수의 총합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NFT와 관련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상기 제1 논문에 대한 단체 토론방이 상기 특정 논문 플랫폼 상에 생성되고,
상기 단체 토론방에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제1 논문의 공동 저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입장함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논문 플랫폼 상에 생성된 복수의 단체 토론방 중 상기 단체 토론방의 우선순위가 증가되고,
상기 제1 NFT가 상기 장치 또는 다른 장치 상에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특정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NFT를 촬영함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을 설명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AR(augmented reality) 컨텐츠가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촬영 화면 상에 오버레이(overlay)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을 설명하는 컨텐츠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아바타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study note service performed by a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research record data from a user;
Based on the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for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first block based on the at least one event and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first non-fungible token (NFT) based on the structural image of at least one compound included in the research record data;
Uploading the first NFT to an NFT management platform associated with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generating a second block based on histor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NFT;
Based on the first paper based on the research record data being uploaded to a specific paper platform, obtaining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third block based on metadata of the first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paper and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to the first block to build a first blockchain database for the research record data,
In the NFT management platform, i) the first NFT and ii)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that can view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the first paper related to the first NFT is updated,
Based on the total of the first NFT, the research record data associated with the first NFT, and the number of comments uploaded for the first paper exceeding a first threshold, the research record data associated with the first NFT And a group discussion room for the first paper is created on the specific paper platform,
Based on the entry of the user or at least one of the co-authors of the first paper into the group discussion room, the priority of the group discussion room among the plurality of group discussion rooms created on the specific paper platform is increased,
Based on the first NFT being displayed on the device or another device and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used by the user photographing the first NFT, explaining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and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AR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taining content is overlaid on the capture scree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The method wherein the content explaining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includes an avatar that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text indicating characteristics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논문 플랫폼에 업로드된 복수의 논문 중 상기 제1 논문 또는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논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문과 상기 제1 논문 또는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4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블록을 상기 제3 블록에 연결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 상기 제2 블록, 상기 제3 블록, 및 상기 제4 블록 각각에는 블록 생성 원인자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3 블록의 블록 생성 원인자 항목에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가 매핑되고,
상기 제4 블록의 블록 생성 원인자 항목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문을 작성한 사용자의 정보가 매핑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Identifying the first paper or at least one paper associated with the research record data among the plurality of papers uploaded to the specific paper platform;
Obtaining second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at least one paper and the first paper or the research record data;
generating a fourth block based on metadata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Comprising the step of updating the first blockchain database by linking the fourth block to the third block,
Each of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the third block, and the fourth block includes a block generation cause item,
The user's information is mapped to the block generation cause items of the first block, the second block, and the third block,
A method in which information on a user who wrote the at least one paper is mapped to the block creation cause item of the fourth b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해 부여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에 대해 상기 타임 스탬프가 부여된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정의된 주기 별로 상기 특정 논문 플랫폼 및 상기 NFT 관리 플랫폼 상에 상기 연구 기록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식과 유사도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업로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isto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includes a time stamp assigned to the research record data,
A second threshold is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search record data and the structural formula of the at least one compound on the specific paper platform and the NFT management platform for each predefined period based on the time stamp given to the research record data.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data exceeding the value was uploaded.
KR1020230122302A 2023-09-14 2023-09-14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KR1026465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302A KR102646519B1 (en) 2023-09-14 2023-09-14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302A KR102646519B1 (en) 2023-09-14 2023-09-14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519B1 true KR102646519B1 (en) 2024-03-13

Family

ID=9029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2302A KR102646519B1 (en) 2023-09-14 2023-09-14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519B1 (en)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135A (en) * 2003-03-11 2004-09-18 메디서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journal information
KR101925322B1 (en) * 2018-04-10 2018-12-05 (주)우리메디컬컨설팅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counseling service including digital certification, digital signature, and forgery prevention
CN109635221A (en) * 2018-12-06 2019-04-16 山东大学 Paper publishing evaluation sha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ock chain
KR20190136245A (en) * 2018-05-30 2019-1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ethod for managing content based on blockchain and system performing the method
JP2020035115A (en) * 2018-08-28 2020-03-05 国立大学法人茨城大学 Retrieval system, retrieval method and retrieval program
KR20200094956A (en)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latform using block chain
CN111651463A (en) * 2020-06-23 2020-09-11 烟台大学 Thesis indexing method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KR20210092450A (en) * 2020-01-16 2021-07-26 (주)코젠아이 Electronic research note deitor system that can be managed by product
KR20210118637A (en)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레드윗 A Blockchain-based research note management method, a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KR20220006619A (en) * 2019-05-10 2022-01-17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work history and proving reputation in blockchain networks
CN114417391A (en) * 2022-03-31 2022-04-29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Laboratory thesis certificate storage system based on block chain
CN114462078A (en) * 2022-01-14 2022-05-10 中国石油大学(北京)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system, process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teachers
KR102538221B1 (en) * 2022-02-04 2023-05-31 (주)에스엠디 System for providing custom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 using non-fungible token
US20230245110A1 (en) * 2021-04-22 2023-08-03 Fueltrust, Inc. Multi-Tenant Node on a Private Network of Distributed, Auditable, and Immutable Databases
KR20230126899A (en)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호원소프트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135A (en) * 2003-03-11 2004-09-18 메디서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 journal information
KR101925322B1 (en) * 2018-04-10 2018-12-05 (주)우리메디컬컨설팅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counseling service including digital certification, digital signature, and forgery prevention
KR20190136245A (en) * 2018-05-30 2019-1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ethod for managing content based on blockchain and system performing the method
JP2020035115A (en) * 2018-08-28 2020-03-05 国立大学法人茨城大学 Retrieval system, retrieval method and retrieval program
CN109635221A (en) * 2018-12-06 2019-04-16 山东大学 Paper publishing evaluation sha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ock chain
KR20200094956A (en)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latform using block chain
KR20220006619A (en) * 2019-05-10 2022-01-17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work history and proving reputation in blockchain networks
KR20210092450A (en) * 2020-01-16 2021-07-26 (주)코젠아이 Electronic research note deitor system that can be managed by product
KR20210118637A (en) *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레드윗 A Blockchain-based research note management method, a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CN111651463A (en) * 2020-06-23 2020-09-11 烟台大学 Thesis indexing method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US20230245110A1 (en) * 2021-04-22 2023-08-03 Fueltrust, Inc. Multi-Tenant Node on a Private Network of Distributed, Auditable, and Immutable Databases
CN114462078A (en) * 2022-01-14 2022-05-10 中国石油大学(北京)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system, process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teachers
KR102538221B1 (en) * 2022-02-04 2023-05-31 (주)에스엠디 System for providing custom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 using non-fungible token
KR20230126899A (en)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호원소프트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CN114417391A (en) * 2022-03-31 2022-04-29 浙江数秦科技有限公司 Laboratory thesis certificate storage system based on block ch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4041B2 (en) Project management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0192583B2 (en) Video editing using contextual data and content discovery using clusters
US20240107127A1 (en) Video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video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device, and medium
US10353943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ssociating metadata with media objects
EP3425872A1 (en) Dual-modality client application
CN104520843A (en) Providing note based annotation of content in e-reader
US9565223B2 (en) Social network interaction
US20180284959A1 (en) Collection and control of user activity set data and activity set user interface
WO2020187012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group cre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2019013236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ultimedia resources
CN105009113A (en) Queryless search based on context
US20220342518A1 (en) Card-base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8787985B2 (en) Screen captur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7408242B (en) Providing interactive previews of content within communications
CN113395605B (en) Video not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CN112783592A (en) Information issu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083866A (en) Expression imag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WO201403822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9116718B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alarm clock
US20150309673A1 (en) Media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646519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search note service
CN113971392A (en) Document edi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CN111954079A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EP4343579A1 (en) Information replay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and product
CN115640790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