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969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969B1
KR102634969B1 KR1020210149193A KR20210149193A KR102634969B1 KR 102634969 B1 KR102634969 B1 KR 102634969B1 KR 1020210149193 A KR1020210149193 A KR 1020210149193A KR 20210149193 A KR20210149193 A KR 20210149193A KR 102634969 B1 KR102634969 B1 KR 10263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vehicle
control unit
automatically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3774A (en
Inventor
조원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14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969B1/en
Publication of KR2023006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9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1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5Special conditions, e.g. pedestrians,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핸들에 의한 차량의 조향을 검출하는 조향 검출부; 상기 조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회전인지 아닌지에 따라 돌발 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에 의한 경적 출력이나,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는 경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경적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경적을 출력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orn control device, comprising: a steering detection unit that detects steering of the vehicle by a steering wheel;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n unexpected situ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is making a sharp turn based o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and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and a horn unit that outputs a horn when the user presses the horn or automatically outputs a hor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hor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ound the horn when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The horn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nd the horn is output.

Description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PPARATUS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중 돌발 상황 발생 시, 경적 울림과 핸들 회전을 동시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orn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horn control device and method that allows the horn to sound and the steering wheel to be easily performed at the same time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will be.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행하다 보면 돌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돌발 사고를 예방하고 경각심을 일으키기 위하여 경적을 울리게 된다.In general, while driving a vehicle, an unexpected accident may occur, and the horn is sounded to prevent such accidents and raise awareness.

다만 무분별한 자동차 경적은 도심의 소음공해 및 운전자 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주범이 되고 있으나, 이러한 무분별한 경적의 사용만 줄일 수 있다면, 경적 기능(또는 경적기)은 위험 상황이나 돌발 상황에서는 매우 유용한 기능(장치)이라고 할 수 있다.However, indiscriminate car horn honking has become the main culprit in causing noise pollution in the city and conflicts between drivers. However, if such indiscriminate use of the horn can be reduced, the horn function (or horn) is a very useful function (device) in dangerous or unexpected situations. ) can be said.

하지만 실제 위험한 돌발 상황이 발생할 경우(즉, 사고 위험이 있는 급박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운전자)는 충돌 회피를 위해 핸들을 급회전 시키는 동작, 또는 경적기 사용 동작 중 어느 한 가지 동작만 원활하게 수행할 뿐, 핸들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두 가지 동작(즉, 급회전 동작, 경적기 사용 동작)을 동시에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n actual dangerous emergency situation occurs (i.e., an urgent situation with the risk of an accident occurs), the user (driver) must perform only one of the following actions: sharply turning the steering wheel to avoid a collision or using the horn. However,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nd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wo operations (i.e., sharp turning and horn use operations) cannot be performed smoothly at the same time.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경적기는 핸들의 내측(또는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손으로 경적기를 누를 경우, 다른 한 손으로만 핸들을 회전시켜야 하는데, 돌발 상황(급박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무의식적으로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회전시키려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경적기를 누르려는 힘과 핸들을 회전시키려는 힘이 분산되기 때문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 the horn is generally formed on the inside (or center) of the handle, so when you press the horn with one hand, you must rotate the handle with only the other hand, which can be used in an unexpected situation (emergency situation). When this happens, the user unconsciously tends to hold the handle with both hands and try to rotate it, and the force to press the horn and the force to rotate the handle are distributed.

따라서 돌발 상황(급박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두 가지 동작(즉, 급회전 동작, 경적기 사용 동작)을 동시에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Therefore,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echnology is needed to enable two operations (i.e., sharp turn and horn operation) to be performed smoothly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102009호(2021.08.19. 공개, 차량의 경적 제어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2009 (published on August 19, 2021, vehicle horn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중 돌발 상황 발생 시, 경적 울림과 핸들 회전을 동시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vehicle horn control that allows the horn to sound and the steering wheel to be easily performed at the same time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는, 핸들에 의한 차량의 조향을 검출하는 조향 검출부; 상기 조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회전인지 아닌지에 따라 돌발 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에 의한 경적 출력이나,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는 경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경적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경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hor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detection unit that detects steering of the vehicle by a steering wheel;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n unexpected situ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is making a sharp turn based o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and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and a horn unit that outputs a horn when the user presses the horn or automatically outputs a hor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hor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ound the horn when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It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unit and outputting a hor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 이상인 경우, 돌발 상황에 따른 차량 급회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sharp turn of the vehicle has occurred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whe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차량의 제동을 검출하는 제동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동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제동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제동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제동인지 따라 돌발 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braking detection unit that detects braking of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suddenly braking based on the brak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braking detection unit based on the brak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in an unexpected situation.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occurrence.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비상등 버튼이나 비상등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비상등을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하는 비상등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비상등 출력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비상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outputs emergency lights when the user presses an emergency light button or emergency light switch, or automatically outputs emergency ligh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f there is no user press,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utput emergency light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거나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할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또는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될 경우,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utomatically outputting the horn or automatically outputting the emergency lights,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outputs the horn and the emergency ligh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unexpected situation has been resolved. It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an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the unexpected situation is resolved, the horn output and the emergency light output are automatically stopp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거나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할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경적기를 누르거나 비상등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자동으로 출력하는 경적이나 비상등 출력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utomatically outputting a horn or emergency lights, the control unit stops the automatically output horn or emergency lights when the user manually presses the horn or emergency light button.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경적기가 눌리는 경우 경적을 출력하기 시작하며, 상기 경적기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에 경적의 출력을 곧바로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tarts outputting the horn when the horn is pressed by the user without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ring, and immediately stops outputting the horn when the horn is released.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경적 제어 방법은, 조향 검출부가 핸들에 의한 차량의 조향을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조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회전인지 아닌지에 따라 돌발 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경적부가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에 의한 경적 출력이나,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적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경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the hor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steering detection unit detecting steering of the vehicle by the steering wheel; A control unit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 unexpected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making a sharp turn based o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and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A horn unit outputting a horn when a user presses the horn or automatically outputting a hor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horn; and when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horn unit to output a hor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돌발 상황에 따른 차량 급회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sharp turn of the vehicle has occurred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제동 검출부가 차량의 제동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동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제동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제동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제동인지 따라 돌발 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ing detection unit detects braking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 unit, whether an unexpected situation has occurr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suddenly braking based on the brak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braking detection unit based on the brak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비상등 출력부가 사용자의 비상등 버튼이나 비상등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비상등을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상등 출력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비상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outputs emergency lights when the user presses an emergency light button or an emergency light switch, or automatically outputs emergency ligh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emergency light switch; An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to output emergency lights.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가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거나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또는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계속 유지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될 경우,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outputs the horn or automatically outputs the emergency lights,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horn and the emergency ligh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unexpected situation has been resolv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utomatically continues to be maintained, and automatically stops outputting the horn and the emergency ligh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the unexpected situation is resolv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거나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할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경적기를 누르거나 비상등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동으로 출력하는 경적이나 비상등 출력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outputs the horn or emergency lights, when the user manually presses the horn or emergency light button, the control unit stops the automatically output horn or emergency light output. It is characterized by order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경적기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경적을 출력하기 시작하며, 상기 경적기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경적의 출력을 곧바로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rn is pressed by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unexpected situation does not occur, the control unit starts outputting the horn, and when the horn is released, the output of the horn is immediately stopped.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돌발 상황 발생 시, 경적 울림과 핸들 회전을 동시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while driving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horn to sound and the steering wheel to be rotated easily at the same time.

도 1은 종래에 차량의 핸들과 경적기를 동시에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경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
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shown to explain why it is difficult to use the steering wheel and horn of a vehicle at the same time in the related art.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hor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h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horn control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hor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는, 조향 검출부(110), 제동 검출부(120), 제어부(130), 경적부(140), 및 비상등 출력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hor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steering detection unit 110, a braking detec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horn unit 140, and an emergency light output unit 150. Includes.

상기 조향 검출부(110)는 핸들(스티어링 휠)에 의한 차량의 조향을 검출한다.The steering detection unit 110 detects steering of the vehicle by the handle (steering wheel).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조향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회전인지 아닌지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making a sharp turn based o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110 based on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예컨대 상기 조향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돌발 상황에 따른 차량 급회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For example, if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1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a sharp turn of the vehicle has occurred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상기 제동 검출부(120)는 차량의 제동을 검출한다.The braking detection unit 120 detects braking of the vehicle.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동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제동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제동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제동인지 아닌지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brak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braking detection unit 120 is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brak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예컨대 상기 제동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제동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제동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돌발 상황에 따른 차량 급제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For example, if the brak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braking detection unit 1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brak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sudden vehicle braking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has occurr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돌발 상황이란, 차량 급회전 및 차량 급제동이 발생한 상황을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an unexpected situation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a sudden turn of the vehicle or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occurs.

상기 경적부(140)는 차량의 핸들에 부착되어 사용자(운전자)의 누름에 의해 경적을 출력한다.The horn unit 140 is attach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nd outputs the horn when pressed by the user (driver).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경적부(140)는,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horn unit 140 can automatically output the hor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horn.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경적부(140)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경적을 출력한다.When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130 automatically controls the horn unit 140 to output a horn.

상기 비상등 출력부(150)는 사용자(운전자)가 차량의 핸들이나 센터페시아에 부착된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비상등을 출력한다.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150 outputs emergency lights when the user (driver) presses a switch attached to the steering wheel or center fascia of the vehicl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비상등 출력부(150)는, 사용자의 비상등 버튼(미도시)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150 can automatically output emergency ligh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emergency light button (not shown).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비상등 출력부(150)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비상등을 출력한다.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130 automatically controls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150 to output emergency lights.

상기와 같이 본 실 시예는,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경적부(140)와 상기 비상등 출력부(15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거나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할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또는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될 경우,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horn unit 140 and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150 to automatically output the horn or automatically output the emergency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lternatively, the horn output and the emergency light output may be automatically maintained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unexpected situation has been lifted, an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or the unexpected situation has been lifted, the horn output and the emergency light output may be maintained. can be stopped automatically.

물론 사용자(운전자)가 수동으로 경적기(미도시)를 누르거나 비상등 스위치(비상등 버튼)(미도시)를 누를 경우, 상기 자동으로 출력되는 경적이나 비상등 출력을 모두 중지시킬 수 있다. Of course, if the user (driver) manually presses the horn (not shown) or the emergency light switch (hazard light button) (not shown), the automatically output horn or emergency light output can all be stopped.

이하 상기 제어부(130)가 돌발 상황에서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by which the control unit 130 automatically controls the horn output and the emergency light output in an emergency situ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경적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shown to explai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or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핸들 급회전이 발생하거나 차량 급제동이 발생하는지 체크한다(S101).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130 checks whether a sudden steering wheel rotation or sudden vehicle braking occurs (S101).

상기 핸들 급회전이 발생하거나 차량 급제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돌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When a sharp turn of the steering wheel or sudden braking of the vehicle occurs,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an unexpected situation has occurred.

이 때 상기 제어부(130)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경적기가 이미 눌린 상태인지 체크한다(S102).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checks whether the horn has already been pressed by the current user (S102).

이에 따라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이미 사용자에 의해 경적기가 이미 눌린 상태인 경우(S102의 예),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예 : 1분) 자동으로 경적과 비상등을 출력한다(S104).Accordingly, if the horn has already been pressed by the user when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example in S102), the control unit 130 automatically outputs the horn and emergency lights for a predetermined time (e.g., 1 minute) (S104) ).

그런데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경적기가 눌린 상태가 아닌 경우(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30)는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고 자동으로 경적과 비상등 출력을 개시하고(S103),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예 : 1분) 경적과 비상등을 계속해서 출력한다(S104).However, if the horn is not pressed when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No in S102), the control unit 130 automatically outputs the horn and automatically starts outputting the horn and emergency lights (S103), an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 1 minute) The horn and emergency lights continue to be output (S104).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이 정지하거나 차량이 안정 조향(즉, 좌우 흔들림이 없는 조향) 및 안정 속도(즉, 제동이나 과속 상황이 아닌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는지 체크한다(S105).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check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or the vehicle is driving at stable steering (i.e., steering without left or right shaking) and stable speed (i.e., constant speed, not braking or speeding) (S105).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차량이 정지하거나 차량이 안정 조향(즉, 좌우 흔들림이 없는 조향) 및 안정 속도(즉, 제동이나 과속 상황이 아닌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게 되면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unexpected situation has been resolved when the vehicle stops or the vehicle is driven with stable steering (i.e., steering without left or right shaking) and stable speed (i.e., constant speed, not braking or speeding). do.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S105의 예), 상기 자동으로 출력하던 경적을 중지하고 상기 자동으로 출력하던 비상등을 중지시킨다(S106).Accordingly, when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been resolved (Yes in S105), it stops automatically outputting the horn and automatically outputs the emergency lights (S106).

그런데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즉, 일반 상황의 주행 상태)에서(S101의 아니오), 사용자에 의해 경적기가 눌리는 경우(S107의 예), 미리 지정된 회로에 따라(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적을 출력한다(S108). However,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does not occur (i.e., normal driving condition) (No in S101) and the horn is pressed by the user (Yes in S107), the horn is activated according to a pre-designated circuit (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Output the horn (S108).

이 때 자동 비상등 출력은 동작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 돌발 상황에서 자동으로 비상등이 출력되는 것과 차이가 있다.At this time, the automatic emergency light output does not operat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mergency light output automatically in the above emergency situation.

또한 상기 경적기의 눌림이 해제될 경우(S109의 예), 미리 지정된 회로에 따라(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적의 출력을 곧바로 중지한다(S110). 즉, 돌발 상황이 아닌 일반 상황에서는 경적기가 눌리는 동안에만 경적이 출력된다(당연히 비상등이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았으므로 경적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비상등은 동작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horn is released (example in S109), the output of the horn is immediately stopped according to a pre-designated circuit (o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S110). In other words, in normal situations, not emergency situations, the horn is output only while the horn is pressed (of course, since the emergency lights did not operate automatically, the emergency lights do not operate regardless of whether the horn is activat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차량 주행 중 돌발 상황 발생 시, 경적 울림과 핸들 회전(급회전)을 동시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 자차의 충돌 회피와 동시에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나 주변의 보행자 등에게 경고를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안전사고 및 보행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makes it easy to sound the horn and turn the steering wheel (sudden turn) at the same time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while driving the vehicle, that is, to avoid collision with the own vehicle and simultaneously with vehicles approaching from the rear or pedestrians nearby. By being able to give warnings to other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vehicle accidents and pedestrian accidents.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device, software program, data stream, or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features discuss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devices or programs).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with appropriate hardware, software, firmware, etc. The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 device such as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processing device that includes a computer, microprocessor,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110 : 조향 검출부
120 : 제동 검출부
130 : 제어부
140 : 경적부
150 : 비상등 출력부
110: Steering detection unit
120: Braking detec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horn unit
150: Emergency light output unit

Claims (14)

핸들에 의한 차량의 조향을 검출하는 조향 검출부;
상기 조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회전인지 아닌지에 따라 돌발 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에 의한 경적 출력이나,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는 경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경적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경적을 출력하되,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사용자에 의해 이미 경적기가 눌린 상태인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경적뿐만 아니라 비상등을 자동으로 출력하며,
상기 경적과 상기 비상등이 자동으로 출력될 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경적기 또는 비상등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상기 경적 및 비상등의 출력을 모두 자동으로 중지시키며, 또한
차량의 좌우 흔들림이 없는 조향 및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게 되면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a steering detection unit that detects steering of the vehicle by the steering wheel;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n unexpected situ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is making a sharp turn based o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and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and
It includes a horn unit that outputs a horn when the user presses the horn, or automatically outputs a hor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horn,
The control unit,
When the abov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the horn uni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utput a horn,
When the above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the horn has already been pressed by the user, not only the horn but also the emergency lights are automatically outpu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horn and the emergency lights are automatically output, if the user manually presses either the horn or the emergency light switch, the output of the horn and the emergency lights are all automatically stopped, and
A hor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unexpected situation has been resolved when the vehicle is steered without left or right shaking and is driven at a constant spe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 이상인 경우, 돌발 상황에 따른 차량 급회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hor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it is determined that a sharp turn of the vehicle has occurred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제동을 검출하는 제동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동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제동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제동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제동인지 따라 돌발 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It further includes a braking detection unit that detects braking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A hor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ccurrence of an unexpected situ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suddenly braking based on the brak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braking detection unit based on the brak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비상등 버튼이나 비상등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비상등을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하는 비상등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비상등 출력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비상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It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light output unit that outputs emergency lights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light button or emergency light switch, or automatically outputs emergency ligh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f there is no user press,
The control unit,
A hor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utput emergency ligh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거나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할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또는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될 경우,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automatically emitting a horn or automatically emitting emergency lights,
The horn output and the emergency light output can be automatically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been resolved,
A hor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horn output and the emergency light output are automatically stoppe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the emergency situation is resolv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경적기가 눌리는 경우 경적을 출력하기 시작하며,
상기 경적기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에 경적의 출력을 곧바로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n the absence of an unexpected situation,
When the horn is pressed by the user, the horn starts to sound,
A hor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mmediately stops outputting the horn when the horn is released.
조향 검출부가 핸들에 의한 차량의 조향을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조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회전인지 아닌지에 따라 돌발 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경적부가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에 의한 경적 출력이나, 사용자의 경적기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적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경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사용자에 의해 이미 경적기가 눌린 상태인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경적뿐만 아니라 비상등을 자동으로 출력하며,
상기 경적과 상기 비상등이 자동으로 출력될 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경적기 또는 비상등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 상기 경적 및 비상등의 출력을 모두 자동으로 중지시키며, 또한
차량의 좌우 흔들림이 없는 조향 및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게 되면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방법.
A steering detection unit detecting steering of the vehicle by the steering wheel;
A control unit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n unexpected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making a sharp turn based o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and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A horn unit outputting a horn when a user presses the horn or automatically outputting a hor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horn; and
When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horn unit to output a horn;
The control unit,
When the above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the horn has already been pressed by the user, not only the horn but also the emergency lights are automatically outpu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horn and the emergency lights are automatically output, if the user manually presses either the horn or the emergency light switch, the output of the horn and the emergency lights are all automatically stopped,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orn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unexpected situation has been resolved when the vehicle is steered without left or right shaking and is driven at a constant spe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향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조향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돌발 상황에 따른 차량 급회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n the steer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detection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eer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orn of a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sudden turn of the vehicle has occurred due to an unexpected situation.
제 8항에 있어서,
제동 검출부가 차량의 제동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동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제동 값을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제동 값에 기초하여 차량 급제동인지 따라 돌발 상황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A braking detection unit detecting braking of the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horn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an unexpected situation has occurr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suddenly braking based on the braking value detected through the braking detection unit based on the braking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time. .
제 8항에 있어서,
비상등 출력부가 사용자의 비상등 버튼이나 비상등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비상등을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누름이 없더라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돌발 상황 발생 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비상등 출력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비상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A step where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outputs emergency lights when the user presses an emergency light button or an emergency light switch, or automatically outputs emergency light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ven if there is no user pressing the emergency light switch; and
When the unexpected situ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emergency light output unit to output emergency lights.
제 8항에 있어서,
제어부가 자동으로 경적을 출력하거나 자동으로 비상등을 출력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또는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계속 유지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기 돌발 상황이 해제될 경우, 상기 경적 출력 및 상기 비상등 출력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If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outputs a horn or automatically outputs emergency lights,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horn output and the emergency light outpu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been resolved,
A horn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utomatically stopping the horn output and the emergency light output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the unexpected situation is resolved.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경적기가 눌리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경적을 출력하기 시작하며, 상기 경적기의 눌림이 해제되는 경우, 경적의 출력을 곧바로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적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n the horn is pressed by the user while the unexpected situation does not occu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orn of a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starts outputting the horn, and immediately stops outputting the horn when the horn is released.
KR1020210149193A 2021-11-02 2021-11-02 Apparatus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26349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93A KR102634969B1 (en) 2021-11-02 2021-11-02 Apparatus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93A KR102634969B1 (en) 2021-11-02 2021-11-02 Apparatus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774A KR20230063774A (en) 2023-05-09
KR102634969B1 true KR102634969B1 (en) 2024-02-07

Family

ID=8640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193A KR102634969B1 (en) 2021-11-02 2021-11-02 Apparatus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969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984A (en) * 1995-12-30 1997-07-24 한승준 Horn automatic operation device in case of sudden braking
KR19980058726A (en) * 1996-12-30 1998-10-07 김욱한 Emergency light control method for rear vehicle warning and its device
KR100655744B1 (en) * 2004-08-05 2006-12-11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vehicle alarm apparatus
DE102019210979A1 (en) * 2019-07-24 2021-01-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mergency assistance system with acoustic outside warning
KR20210102009A (en) * 2020-02-11 2021-08-19 김지혜 System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774A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51066A1 (en) Alert system and driving support system
US10766476B2 (en) Emergency stop system and emergency stop method
CA2992399C (en) Starting control device and starting control method
JP2010143391A (en) Direction indicator
JP2014227877A (en) Sudden start preventive device
KR100281238B1 (en) Brake pedal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peed of automobile
JP2006256438A (en) Controller for vehicle
KR10263496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2014031153A (en) Accelerator output control device
JP2010204785A (en) Safety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JP2014146177A (en) Side collision prevention device
CN114103973B (en) Vehicle control method, device, vehicl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80113453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JP2015067157A (en) Warning device for collision prevention
JP2019121243A (en) Dangerous driving prevention device
KR1021569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lamp
JP2007122271A (en) Operation support device for vehicle
JP2011001038A (en) Direction indicator for vehicle
JP2009001107A (en) Vehicle running control means
JP2009012737A (en) Notification system for checking forgetting to turn off direction indicator
KR20210102009A (en) System for controlling horn of vehicle
KR102645218B1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for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and method thereof
KR10207923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light lamp
JP4224114B2 (en) WINKER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03291720A (en) Vehicular turn indicator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