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748B1 - 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748B1
KR102625748B1 KR1020210130344A KR20210130344A KR102625748B1 KR 102625748 B1 KR102625748 B1 KR 102625748B1 KR 1020210130344 A KR1020210130344 A KR 1020210130344A KR 20210130344 A KR20210130344 A KR 20210130344A KR 102625748 B1 KR102625748 B1 KR 10262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ugmented reality
screen
displayed
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7293A (en
Inventor
정수봉
박수잔
박봄이
김은지
곽주영
Original Assignee
플링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링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링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748B1/en
Publication of KR2023004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2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7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를 선택하고 방을 만들어 다른 사용자가 입장하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AR 인식을 통해 해당 액티비티에 대한 컨텐츠별로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서로 음성이나 문자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채팅기능이 실행되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하면서 각각의 액티비티별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것을 통해 선택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과정이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온택트(ontact) 방식으로 대면하여 서로 자유롭게 소통하면서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uses a user terminal and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to request and receive services. Including a server that performs processing to provide the service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user logs in to the server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selects the desired activity, creates a room, and when other users enter, each user's user terminal Through AR recognition, predetermined objects are created for each content for the activity, and at the same time, a chat func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an converse with each other by voice or text, following predetermined rules for each activity.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selected activity through interaction is structured to be shared in real time, allowing people to fre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ace-to-face and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through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same pleasure as being togeth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reof} 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래,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의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이나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AR이나 VR 또는 M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과 함께 서로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는 제공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들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여 함께 대화하면서 서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activity)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R), and more specifically, to a mixture of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or a combination thereof.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contents such as learning or games using Mixed Reality (MR) technology have been proposed, but using AR, VR, or MR technology, user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 the desired party.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content provision services that did not provide content that could provide experience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was used to allow users to create rooms online and invite people they want to chat together. Ontact interaction using augmented reality is structured so that users can share the process of interaction while doing so, so that users can feel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 person they want without having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meet in person. This relates to a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s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최근, 코로나 19(COVID-19)의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비대면, 언택트(untact)가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사람과의 만남이나 자유로운 외부활동이 제한되어 단순히 일상생활의 불편함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코로나 블루(corona blue)와 같이, 감염병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나 사회활동의 단절로 인한 우울감 및 무기력증 등과 같은 정신적 및 정서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무분별한 사적 모임으로 인해 감염병이 확산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여 함께 대화하면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함께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기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o allow meeting with people or free outdoor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requiring social distancing, non-face-to-face, and untact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It prevents not only the inconvenience of daily life, but also ment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anxiety abou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blue, or depression and lethargy due to disconnection from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due to indiscriminate private gathering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allows users to create a room online, invite the people they want, talk together, and share the interaction process. About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structured so that users can feel the pleasure of enjoying various activities with the person they want without having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meet in person, and a method of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will be.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를 선택하고 방을 만들어 원하는 상대를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여 초대를 수락한 상대방이나 다른 사용자가 방에 입장하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AR 인식을 통해 해당 액티비티에 대한 컨텐츠별로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서로 음성이나 문자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채팅기능이 실행되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하면서 각각의 액티비티별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것을 통해 선택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과정이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해당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결과 사진 및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최근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언택트 시대에도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원하는 사람과 대면하여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인터랙션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온택트(ontact) 방식으로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each user to request and receive services, and augmented reality (AR) in order to allow users to experience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ir desired partner without having to meet them in pers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that performs processing to provide service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technology, and allows the user to log in to the server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select the desired activity, create a room, and invite the desired person. When the other party or other users who accepted the invitation by revealing i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nter the room, predetermined objects are created for each content for the activity through AR recognition on each user's user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chat with each other by voice or text. A chat func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an talk to each other and interact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for each activity. The process of doing the selected activity together is shar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rver, and when the activity ends, It is configured to carry out a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that allow sharing of the resulting photos and videos, so even in the recent era of social distancing and untact, you can meet the person you want face-to-face through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allows free interaction while communicating and thereby provides the same pleasure as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in an on-tact manner, and provision of on-tact interaction services using the same. It's about method.

일반적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 기술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의 한 분야로서, 실제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In general,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is a field of Virtual Reality (VR), which is computer graphics that synthesizes virtual objects or information in the real environment to make them look like objects that exist in the original environment. It's a technique.

또한, 기존의 가상현실 기술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증강현실(AR) 기술은 현실 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정보들을 보강하여 제공하는 것에 의해, 완전한 가상세계를 전제로 하는 가상현실과는 달리 현실세계의 환경 위에 가상의 대상을 결합시켜 현실의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ile exist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argets only virtual spaces and object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synthesizes virtual objects on the basis of the real world to reinforce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obtain in the real world alone. , Unlike virtual reality, which is premised on a complete virtual worl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reality by combining virtual objects with the environment of the real world.

아울러, 증강현실(AR) 기술은, 물리적 공간에 컴퓨팅 파워를 가진 정보화된 인공물(information artefacts)이 가득 채워지게 되면 물리적 공간의 성격 자체가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단순히 게임과 같은 분야에만 한정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다양한 현실 환경에 응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으므로, 최근 각종 디지털 미디어 분야에서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changes the nature of physical space itself when physical space is filled with information artefacts with computing power, and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it is limited to fields such as games. Unlike existing virtual reality, which can be applied in various real-world environment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various real environments, so it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in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contents in various digital media fields.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먼저,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2255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증강 및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체험학습 컨텐츠의 제공방법"이 있다. Here, examples of prior art for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arious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as described above include, for example, "augmentation and There is a “method of providing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 based on virtual reality.”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2255호는, 유저그룹이 유저 단말기를 통해 팀정보와 관리코드 정보를 입력하며, 팀정보와 관리코드 정보의 정상 판단시 다음 단계가 진행되는 진입 프로세스 단계; 중앙서버가 유저 단말기로 하나 이상의 오프닝 이미지와 하나 이상의 오프닝 미션을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오프닝 미션을 성공시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오프닝 단계; 및 중앙서버가 유저 단말기로 하나 이상의 스토리 미션을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스토리 미션을 성공시 하나 이상의 스토리 미션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리워드와 엔딩 이미지를 제공하며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스토리 단계를 포함하여, 기존의 체험학습 컨텐츠에 유저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가상현실을 적용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고, 기존의 체험학습 컨텐츠와 달리 유저 그룹의 역할을 분담하여 롤플레잉 방식의 게이미피케이션 기법을 도입하여 체험자에게 과거로 돌아가 직접 유적지를 탐험하며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는 경험을 느끼게 해줌으로써 체험자의 흥미도와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 및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체험학습 컨텐츠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72255 states that a user group inputs team information and management code information through a user terminal, and the next step proceeds when the team information and management code inform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entry process steps; An opening step in which the central server provides one or more opening images and one or more opening missions to the user terminal, and proceeds to the next step when one or more opening missions are successful; And the central server provides one or more story missions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one or more story missions are successful, rewards and ending images for at least some of the one or more story missions are provided, including a story stage that proceeds to the next stage, By applying augmented/virtual reality using a user terminal to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 the learning effect can be increased, and unlike existing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 roles are divided into user groups and a role-playing gamification technique is introduced to provide experience to the experiencer. This is about a method of providing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 based on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that is designed to improve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experiencer by giving them the experience of going back to the past and directly exploring historical sites and performing various missions.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6626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증강현실 기반의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이 있다. In addition, other examples of prior art for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arious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as described above include, for example, "augmented reality" as present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6626. There is a “reality-based learning content provision method and system.”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6626호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으로, 블록 문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조립한 블록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된 조립 블록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블록 문제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정답으로 판단된 경우 블록 문제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는, 증강현실 캐릭터 및 증강현실 학습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립 가능한 블록을 학습교구로 사용하고 조립된 블록 위에 증강현실 학습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학습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학습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6626 is an augmented reality-based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on a server,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a block problem and transmitting it to a user terminal; An operation of receiving an image of a block assembled by a user from a user terminal;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a block problem is correct using an image of a received assembly block; And when it is determined to be correct, an operation of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the block problem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ugmented reality character and augmented reality learning content, and the user can directly This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content that is designed to stimulate users' interest in learning by using assembleable blocks as learning tools and providing augmented reality learning content on the assembled blocks.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증강현실을 이용한 종래기술의 서비스들은 대부분 학습이나 게임 또는 정보제공 시스템 등과 같이 특정 분야에 한정된 것이 대부분인 한계가 있었다. As mentioned above, various content provision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 have been proposed in the past, but most of the conventional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mostly limited to specific fields such as learning, games, or information provision systems.

즉, 증강현실을 이용한 종래기술의 서비스들은, 일반적으로, 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합성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대부분 게임과 같은 체감형 컨텐츠나 체험학습 등의 교육용 컨텐츠 또는 길안내 등과 같은 정보제공 서비스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었다. In other words, conventional technology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 generally synthesize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bout objects existing in the real environment, and most of them provide tangible content such as games, educational content such as experiential learning, or route guidance, etc. It had its limitations in that it was mainly applied to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더 상세하게는, 종래기술의 증강현실 서비스들은 주로 교육이나 게임, 길안내 등과 같이 특별한 경우 및 사용자 1인을 상정하여 제공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예를 들면, 친구들과 함께 차를 마시는 등과 같이,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일상적인 생활에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제시된 바 없었다. More specifically,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s of the prior art are mainly provided for special cases such as education, games, route guidance, etc. and assuming a single user, for example,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drinking tea with friends. There has been no service presented that can provide enjoyment to users by applying augmented reality to everyday life rather than special occasions.

아울러, 최근에는, 코로나 19(COVID-19)의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으로 인해 지속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및 비대면, 즉, 언택트(untact)가 강조되고 있고, 그로 인해, 예를 들면, 코로나 블루(corona blue)와 같이, 감염병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나 사회활동의 제한으로 인한 우울감 및 무기력증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In addition, recently,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continuous social distancing and non-face-to-face, that is, untact, have been emphasized, resulting in, for example, Corona Blue ( Like corona blue, problems such as anxiety abou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or depression and lethargy due to restrictions on social activities are occurring.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증강현실(AR) 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고 감염병의 대유행으로 인한 정신적 문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는, 예를 들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직접 만나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여 함께 대화하면서 다양한 활동(activity)을 통해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for example, users can use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 new type of augmented reality that allows you to invite people you want online without meeting them in person, chat with them, and provide the pleasure of interacting through various activities. Although it is desirable to present a method, a device or method that satisfies all such requirements has not yet been present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2255호 (2021.06.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72255 (2021.06.28.)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6626호 (2020.06.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6626 (2020.06.2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의 혼합현실(MR)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이나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과 함께 서로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는 제공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들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여 함께 대화하면서 서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activity)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or mixed reality (MR) technology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thereof. Services that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such as learning or games, have been proposed, but content that allows user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 desired parties has not been provided, solving the limitations of content provision services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do thi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is used to allow users to create a room online, invite people they want, talk together, and share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llowing users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directly The purpose is to present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allows users to experience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ir desired partner without meeting th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s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근, 코로나 19(COVID-19)의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비대면, 언택트(untact)가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사람과의 만남이나 자유로운 외부활동이 제한되어 단순히 일상생활의 불편함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코로나 블루(corona blue)와 같이, 감염병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나 사회활동의 단절로 인한 우울감 및 무기력증 등과 같은 정신적 및 정서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무분별한 사적 모임으로 인해 감염병이 확산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여 함께 대화하면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함께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기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et people or freely interact with 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 of requiring social distancing, non-face-to-face, and untact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Restricted outdoor activities not only cause inconveniences in daily life, but also cause ment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anxiety abou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blue, or depression and lethargy due to disconnection from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due to indiscriminate private gathering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is used to create a room online and invite people of their choice to chat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is configured to be shared so that users can feel the pleasure of enjoying various activities with the person they want without having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meet in person, and provide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suggest a metho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를 선택하고 방을 만들어 원하는 상대를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여 초대를 수락한 상대방이나 다른 사용자가 방에 입장하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AR 인식을 통해 해당 액티비티에 대한 컨텐츠별로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서로 음성이나 문자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채팅기능이 실행되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하면서 각각의 액티비티별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것을 통해 선택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과정이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해당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결과 사진 및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최근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언택트 시대에도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원하는 사람과 대면하여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인터랙션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온택트(ontact) 방식으로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users to feel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ir desired partner without having to meet them in pers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user terminal for each user to request and receive services, and an augmented de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that performs processing to provide service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reality (AR) technology, and allows the user to log in to the server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select the desired activity, create a room, and When the other user or another user who has accepted the invitation by inviting another person or revealing i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nters the room, a predetermined object is created for each content for the activity through AR recognition on each user's user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voice or text. A chat function is implemented to enable conversation, and the process of engaging in the selected activity is shar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rver through which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nteract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for each activity. When the activity is over, a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are performed to enable sharing of the resulting photos and videos, allowing anyone who wants to share them through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even in the recent era of social distancing and untact.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allows free interac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face-to-face, thereby providing the same pleasure as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in an on-tact manner, and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esent a method of providing tact interaction servic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interaction)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액티비티(activity)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미리 제작되어 저장된 다수의 액티비티 컨텐츠들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액티비티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에 대한 방을 만들고 원하는 상대방을 초대하거나 불특정 사용자가 입장 가능하도록 설정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을 초대하거나 누구나 입장 가능한 공개방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방에 다른 사용자가 입장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초대단계; 초대된 상기 상대방이나 다른 사용자의 입장이 완료되면 서비스 메인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증강현실(AR)을 통해 화면상에 해당 액티비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문자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채팅기능이 각각 실행되는 처리가 수행되는 증강현실 생성단계; 상기 채팅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서로 대화하면서 해당 액티비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서로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해 선택된 액티비티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액티비티를 수행하는 과정이 상기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액티비티 서비스 제공단계; 및 상기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액티비티의 수행에 대한 사진 및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 업로드 하며, 별도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공유 서비스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사용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람과 직접 만나지 않고도 서로 대면하여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 즐기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R), activity content desired by each user A user terminal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services; and a server that performs processing to provide services for activity content reques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activity content produced and stored in advance, wherein the system is configured to allow a specific user to use his or her user terminal. If you log in to the server and create a room for the desired activity and invite the desired party or set it to allow unspecified users to enter, the server sends an invitation message to the other party's user terminal to invite the other party or anyone can enter. An invitation step in which a process is performed to create a public room and allow other users to enter the room created by the user; When the invited counterpart or other user's entry is completed, the service main screen is displayed, and the corresponding activity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augmented reality (AR) using the camera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other user or the other user. An augmented reality creation step in which a preset object is created and a chat function is executed to enable convers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at least one of text or voice. Through the chat function, the user and the other person or the other us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perform the selected activity through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for the activity, and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ctivity is performed on the server. An activity service provision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allow real-time sharing through; And when the activity is completed, photos and videos of the performance of the activity can be saved to the user terminal and uploaded to the server, and shared through a separate SNS (Social Network Service) or sharing service. Processing, including the end stage, is performe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llowing users to freely interact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cepts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interactive game functions and at the same time allows users to enjoy the pleasure of enjoying various activities face-to-face without having to meet the person they want in person. This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하드웨어, 또는, PC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에 전용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dedicated program o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cluding dedicated hardware or a PC, which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with the server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개인이 휴대 가능한 정보통신 단말장치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may be configured by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program on a personally port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user's smartphone, tablet PC, or laptop.

또한, 상기 채팅기능은, 문자채팅 기능과 음성채팅 기능을 각각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음성채팅시 선택적으로 음성을 뮤트(mute)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hat function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turn on/off the text chat function and the voice chat function, respectively,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mute the voice during voice chat. do.

아울러, 상기 시스템은, 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다수의 방을 생성하거나, 또는, 2인 이상의 다수의 인원이 같은 방에 모여서 함께 대화하면서 선택된 액티비티를 수행면서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user can create multiple rooms at the same time, or two or more people can gather in the same room and enjoy the selected activity while talking together.

더욱이, 상기 액티비티 컨텐츠는, 온택트 찻집 서비스에 대한 액티비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the activity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ctivities for the on-tact teahouse service.

이때, 상기 초대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실행시키면 로그인을 위한 시작 메뉴버튼과 이전에 저장된 영상이나 기록을 확인하기 위한 갤러리 메뉴버튼을 포함하는 초기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작 메뉴버튼을 터치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면, 함께 차를 마실 상대방을 초대하기 위한 초대코드를 발행하는 메뉴버튼이 물방울 형태로 표시되고, 해당 메뉴버튼을 터치하면 물이 차오르면서 초대코드가 생성되어 초대코드 발행화면으로 화면이 전환되며, 상기 서버는 발행된 초대코드 및 초대 메시지를 해당하는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초대코드 및 상기 초대 메시지가 수신된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초대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초대코드를 수신한 상대방이 상기 초대코드를 입력하여 입장하는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대기화면이 표시되고, 입장처리가 완료되면 인트로 화면으로 전환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in the invitation step, when the user executes the service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an initial screen is displayed including a start menu button for logging in and a gallery menu button for checking previously saved videos or records. When the user touches the start menu button and logs in to the server, the menu button that issues an invitation code to invite others to have tea together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water drop,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menu button, water fills up and invites the user. A code is generated and the screen is switched to an invitation code issuance screen, and the server transmits the issued invitation code and invit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of the other party, who received the invitation code and invitation message. A screen for entering an invitation code is displayed, and a standby screen is displayed on each user terminal until the other party who has received the invitation code inputs the invitation code and the entry process is completed. Once the entry process is completed, the screen for entering the invitation code is display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process of switching to the intro screen.

또한, 상기 초대코드 발행화면은, 물이 차오른 물방울 및 생성된 초대코드가 표시됨과 함께 공유버튼과 이전 및 이후 이동버튼이 하단에 표시되고, 상기 물방울을 터치할 때마다 초대코드가 재발행되고 상기 이후 버튼을 누를 경우 상기 물방울이 흔들리도록 하여 터치를 유도하며, 상기 초대코드 발행화면에서 상기 공유버튼을 누를 경우,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메신저를 포함하는 공유 서비스의 채팅창에 대한 바로가기 메뉴와, 각각의 SNS나 메신저 앱에 대한 실행메뉴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파일 복사, 인쇄, 저장 메뉴 및 나가기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화면이 표시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vitation code issuance screen displays a water droplet filled with water and a generated invitation code, along with a share button and previous and next movement buttons at the bottom, and each time the water droplet is touched, the invitation code is reissued and the next time the water droplet is touched. When you press the button, the water droplets shake to encourage touch, and when you press the share button on the invitation code issuance screen, a shortcut menu to the chat window of sharing services including SNS (Social Network Service) or messenger is displayed. ,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a pop-up screen including an execution menu for each SNS or messenger app, and a file copy, print, save menu, and exit menu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desired task. do.

아울러, 상기 대기화면은, 찻잎을 형상화한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단에는 이전 버튼을 표시하여 터치시 방에서 나갈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화면이 표시되며, 대기 중에 사용자가 상기 찻잎을 터치하면 찻잎을 따는 이미지 및 사운드가 출력되고, 배경(빈 공간)을 터치하면 미리 정해진 별도의 사운드가 출력되며,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입장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초대하거나 메인화면으로 복귀를 문의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andby scree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mage symbolizing tea leaves, and a pop-up screen is displayed at the bottom to confirm whether to leave the room by displaying a previous button when touched, and the user touches the tea leaves while waiting. When you do so, the image and sound of tea leaves being picked are output, and when you touch the background (empty space), a predetermined separate sound is output. If the entry process is not complet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failure message is output and you are invited again or returned to the main scre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screen inquiring about return.

더욱이, 상기 인트로 화면은, 입장처리가 완료되면 찻잔이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거나 회전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the intro screen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of the teacup repeating its size and size or rotating when the admission process is completed.

또한, 상기 증강현실 생성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메인화면은, 찻잔(cup), 그릇(bowl), 거름망(strainer), 접시(plate)를 포함하는 차를 만들기 위한 각종 도구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버튼을 포함하는 도구모음 메뉴가 좌우로 스크롤 기능하도록 화면 상단에 표시되고, 화면 상단의 일측에는 나가기 팝업창이 표시되는 나가기 버튼이 표시되며, 화면의 중간 부분에는 증강현실(AR)을 실행하기 위한 AR 메뉴버튼이 표시되고, 좌우측에는 물의 양과 차의 종류 및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물 선택메뉴 및 차 선택메뉴가 각각 표시되며, 화면의 하단에는 현재 화면의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양 메뉴버튼과,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보이스 채팅을 활성화하는 보이스챗 메뉴버튼 및 호스트(사용자)와 게스트(상대방)가 턴을 주고받기 위한 플레이 메뉴버튼이 각각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augmented reality creation step, the service main screen includes a menu button for selecting various tools for making tea, including a tea cup, bowl, strainer, and plate. The included toolbar menu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to scroll left and right, an exit button that displays an exit pop-up window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screen, and an AR menu button for running augmented reality (AR) is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screen. is displayed, a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displayed multiple water selection menus and tea selection menus that allow you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and the type and amount of tea.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re is a camera-shaped menu button to save the image of the current screen, and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voice chat menu button to activate voice chat so that the other party can talk to each other, and a play menu button to exchange turns between the host (user) and the guest (opponent).

여기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단계는, 상기 상대방의 입장이 완료되면 증강현실(AR)을 이용한 테이블의 생성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AR 메뉴버튼을 터치하여 수동으로 수행되어,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테이블과 함께 내려놓기 및 재설정 메뉴버튼이 각각 표시되며, 각각의 상기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상기 테이블을 드래그하여 이동한 다음 상기 내려놓기 버튼을 터치하여 위치를 결정하거나 재설정 버튼으로 상기 테이블의 위치를 다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의 생성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카메라와 보이스챗을 제외한 모든 기능 및 메뉴버튼이 비활성 상태로 표시되며, 상기 테이블이 생성되면 모든 메뉴버튼이 활성화되고, 상기 테이블의 위치가 결정되면 시작버튼이 생성되고, 상기 시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로 진행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in the augmented reality creation step, when the other party's entrance is completed, the creation of a table using augmented reality (AR) is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nually by touching the AR menu button, so that each user terminal Put down and reset menu buttons are displayed along with the table on the screen, and each user can move the table by dragging it to a desired location and then touch the put down button to determine the location or press the reset button to set the tabl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reset, and all functions and menu buttons except the camera and voice chat are displayed as inactive until the creation of the table is completed. When the table is created, all menu buttons are activated, and the table When the position of is determined, a start button is created, and when the start button is pressed, processing to proceed to the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is performed.

아울러, 상기 액티비티 서비스 제공단계는,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 및 차 마시기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는, 각 사용자별로 미리 정해진 총 턴 수, 각 턴당 시간, 물 메뉴의 사용횟수 및 차 메뉴의 사용횟수에 따라 서로 번갈아가면서 각각의 도구를 선택하여 차를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대방의 차례일때는 상대방의 플레이를 관전하도록 하며, 플레이중 보이스챗의 사용 여부를 자유롭게 ON, OFF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턴일 때 원하는 도구를 선택하면 선택된 도구가 화면 중앙에 AR 이미지로 표시되고, 화면에 표시된 상기 AR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상기 테이블에 올려놓을 위치를 설정하며, 이때, 상기 AR 이미지는 1초 이상 홀드하여야 위치고정 및 해제가 가능해지고, 도구메뉴의 핀버튼으로 도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중인(테이블에 놓여진) 도구는 도구선택 메뉴에서 비어있는 그림자 형태로 표시되고, 각각의 사용자는 현재 도구선택 메뉴에 있는 도구만이 선택 가능하며, 현재 사용중인 도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는 다시 도구메뉴로 돌려놓아야 사용 가능해지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ctivity service provision step includes a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and a tea drinking service provision step, and the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includes the total number of turns predetermined for each user, the time per turn, and the water menu. Depending on the number of uses and the number of uses of the tea menu, you can take turns selecting each tool to make tea. When it is the other person's turn, you can watch the other person play, and freely turn on or off voice chat during play. It is configured to be OFF, and when each user selects the desired tool during his or her turn, the selected tool is displayed as an AR image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the A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s dragged to set the position to place it on the table. , At this time, the AR image must be held for more than 1 second to fix and release the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tool can be fixed with the pin button in the tool menu, and the tool in use (placed on the table) can be selected in the tool selection menu. I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empty shadow, and each user can only select tools currently in the tool selection menu. If the tool currently in use is to be used, processing is performed to make it usable by returning it to the tool menu.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더욱이,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차 메뉴의 차 재료가 잎, 열매, 줄기, 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차 재료는 한 번씩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미사용 재료와 사용된 재료의 색을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 메뉴는 사용 가능한 횟수만큼 복수의 아이콘이 표시되고, 사용횟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터치(사용)시 해당 아이콘이 사라지도록 구성되며, 물을 따르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 도구의 회전(기울이기)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자이로 기능을 이용하여 각 도구의 기울기에 따라 물줄기의 속도나 양을 다르게 표시하며, 각각의 사용자들이 턴을 사용할 때마다 턴 수를 나타내는 표시(아이콘 또는 UI)가 변경되고 턴을 모두 사용하면 해당 표시(아이콘 또는 UI)가 사라지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tea making service, the tea ingredients of the tea menu include leaves, fruits, stems, and flowers, and each of the tea ingredients can be used only once,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unused ingredients and used ingredients is divided. It is configured to display different colors, and the water menu displays a plurality of icons as many times as can be used. The icon is configured to disappear when touched (used) to easily determine the number of uses, and the action of pouring water. In order to perform this, each tool can be rotated (tilted), and the gyro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used to display the speed or amount of the water stream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lt of each tool, and each time each user uses the turn. The display (icon or UI) indicating the number of turns is changed and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the display (icon or UI) disappears when all of the turns are used.

또한, 상기 차 마시기 서비스 제공단계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에 입김을 불어넣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에서 만들어진 차를 식히면서 마시는 체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ea drinking service provision step allows each user to perform the action of blowing into the microphone of their user terminal, thereby providing the experience of drinking the tea made in the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while cooling 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o that.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나 상기 차 마시기 서비스 제공단계의 도중에 어느 한쪽에서라도 나가기 메뉴를 선택하면 모든 사용자 단말기에 나가기 팝업창이 표시되고, 한명이라도 그만두기를 선택할 경우는 해당 플레이가 종료되고 상기 종료단계로 이동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ystem displays an exit pop-up window on all user terminals when the exit menu is selected at any one of the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age or the tea drinking service provision stage, and if even one person selects quit, the play end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to move to the end step.

아울러, 상기 종료단계에서, 상기 종료촬영 화면은, 현재의 플레이 내용을 사진 또는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실제 배경으로 AR 이미지를 촬영하는 실사촬영 메뉴버튼과 가상배경으로 AR 이미지를 촬영하는 가상촬영 메뉴버튼이 화면 상부에 각각 표시되고, 화면 하단에는 촬영결과를 확인 가능한 미리보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카메라 버튼이 표시되며, 상기 실사촬영 메뉴버튼 및 상기 가상촬영 메뉴버튼과 함께 화면 상부에 표시되는 보이스챗 메뉴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end step, the end shooting screen has a live action shooting menu button for shooting an AR image with a real background and a virtual shooting menu button for shooting an AR image with a virtual background so that the current play content can be recorded as a photo or video. Menu buttons ar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 camera button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o move to a preview screen where you can check the shooting results, and voice chat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long with the live-action shooting menu button and the virtual shooting menu butt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menu button.

더욱이, 상기 종료단계는, 상기 종료촬영 화면에 촬영된 내용과 함께 사용된 물의 양, 사용된 차의 종류와 양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이 함께 차를 마신 시간과 서로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the ending step includes the content captured on the ending shooting screen along with the amount of water used, the type and amount of tea used, and the time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drank tea together and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that displays.

여기서, 상기 미리보기 화면은, 촬영된 내용과 함께 게임종료 메뉴버튼, 공유 메뉴버튼 및 갤러리 메뉴버튼이 화면 하단에 각각 표시되고, 상기 게임종료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각각의 사용자들이 차를 만들고 마시는 동안 기록된 영상이 자동으로 플레이된 후 해당 플레이를 종료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뉴가 표시되고, 종료를 선택하면 촬영내용을 저장 및 업로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처리가 수행되며, 상기 갤러리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갤러리로 이동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뉴가 표시되고, 이동 선택시 현재 촬영된 내용이 저장되지 않는다는 경고메시지가 표시되는 처리가 수행되며, 상기 공유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자신의 계정 화면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게시물의 업로드나 삭제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in the preview screen, the game end menu button, share menu button, and gallery menu button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long with the captured content, and when the game end menu button is selected, each user makes and drinks tea. After the recorded video is automatically played, a menu inquiring whether to end the play is displayed. If you select End, processing is performed to inquire whether to save and upload the captured content. When you select the gallery menu button above, a menu is displayed asking whether to end the play. A menu asking if you want to move to the gallery is displayed, and when you select move, a warning message is displayed indicating that the currently captured content will not be saved. When you select the share menu button, you are taken to your account screen and uploaded the desired po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llow upload or deletion processing.

또한, 상기 액티비티 컨텐츠는,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또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이나 체감형 게임 및 보드게임을 포함하는 게임 컨텐츠에 대한 액티비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ctivity content includes activities related to game content including online games, tangible games, and board games using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or mixed reality (MR) technolog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ovid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에 대한 방을 만들고 원하는 상대방을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가 입장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초대단계; 초대된 상대방이나 다른 사용자가 입장하면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증강현실(AR)을 이용하여 해당 액티비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가 각각 생성되는 동시에,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문자 및 음성 채팅기능이 실행되는 처리가 수행되는 증강현실 생성단계;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들이 서로 대화하면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선택된 액티비티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액티비티의 수행 과정이 상기 서버를 통해 공유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액티비티 서비스 제공단계; 상기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액티비티를 수행한 과정에 대한 사진이나 영상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사용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람과 직접 만나지 않고도 서로 대면하여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 즐기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escribed above, using the user terminal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An invitation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log in, create a room for the desired activity, invite desired parties, or allow an unspecified number of other users to enter; When the invited party or another user enters, preset objects for the activity are created using augmented reality (AR) on each user terminal, and text and voice chat functions are executed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 augmented reality creation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An activity service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allow the user and the counterpart or other users to perform a selected activity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while conversing with each other through each user terminal, and to share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ctivity through the server. provision stage; When the activity is terminated, the process of allowing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or the other user to store and share photos or videos of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ctivity through each user terminal is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y including the end stage, it provides an interactive game function that allows users to freely interact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while providing the user with the desired game function. A method of providing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is provided, which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pleasure of enjoying various activities together face-to-face without having to meet people in pers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를 선택하고 방을 만들어 원하는 상대를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여 초대를 수락한 상대방이나 다른 사용자가 방에 입장하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AR 인식을 통해 해당 액티비티에 대한 컨텐츠별로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서로 음성이나 문자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채팅기능이 실행되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하면서 각각의 액티비티별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것을 통해 선택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과정이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해당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결과 사진 및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최근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언택트 시대에도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원하는 사람과 대면하여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인터랙션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온택트(ontact) 방식으로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for each user to request and receive a service, and a server to perform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service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where the user logs in to the server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selects the desired activity, creates a room, and invites the desired person, or opens i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when the person who accepted the invitation or another user enters the room, each user Through AR recognition on the user's terminal, a predetermined object is created for each content for the activity, and at the same time, a chat function is executed so that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voice or text. Augmenta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a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that allow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a selected activity through interaction according to rules to be shared in real time through a server, and to share the resulting photos and videos when the activity is completed. By providing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reality and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you can meet the person you want through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even in the recent social distancing and untact era.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reely interact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which can provide the same pleasure as doing various activities together in an on-tact man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와 함께 대화하면서 서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activity)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의 혼합현실(MR)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이나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과 함께 서로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는 제공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users create a room online, invite people they want, or share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y talking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other users.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allows users to feel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 person they want without having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meet in person, and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As a method of providing tact interaction services is provided,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contents such as learning or games using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or mixed reality (MR) technology that combines them have been proposed. , Content that can provide users with the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the desired party can solve the problems of content provision services in the prior art that were never provid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와 함께 대화하면서 서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activity)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최근, 코로나 19(COVID-19)의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비대면, 언택트(untact)가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사람과의 만남이나 자유로운 외부활동이 제한되어 단순히 일상생활의 불편함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코로나 블루(corona blue)와 같이, 감염병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나 사회활동의 단절로 인한 우울감 및 무기력증 등과 같은 정신적 및 정서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동시에, 무분별한 사적 모임으로 인한 감염병 확산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users can create a room online, invite people they want, or chat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other users and share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allows users to feel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 person they want without having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meet in person, and provide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By providing a method, meeting with people or free outdoor activities are limited due to the recent trend of requiring social distancing, non-face-to-face, and untact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Effectively prevents not only the inconveniences of daily life, but also ment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anxiety abou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blue, or depression and lethargy due to disconnection from social activities. At the same time, it can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indiscriminate private gather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액티비티 컨텐츠의 예로서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초기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초대 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공유 팝업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초대코드를 수신한 상대방이 코드를 입력하여 입장할 때까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대기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초대 및 입장처리가 완료된 후 표시되는 서비스 메인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와 상대방이 각자 번갈아가며 턴 방식으로 차를 만드는 차 만들기 플레이 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차 만들기 플레이 종료 후 표시되는 종료촬영 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미리보기 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액티비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액티비티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제로 구현하여 실행된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초대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에서 초대코드가 수신된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초대코드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차 만들기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AR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하고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사용자들이 서로 번갈아가며 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사용자들이 서로 번갈아가며 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사용자들이 서로 번갈아가며 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사용자들이 완성된 차를 마시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종료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종료 과정에서 게시물을 업로드 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processing process of the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performed in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processing process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as an example of activity content provided in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itial screen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provided in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invitation screen for an on-tact teahouse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haring pop-up screen.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standby screen displayed on each user terminal until the other party who has received the invitation code enters the code.
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main screen displayed after the invitation and admission processing is completed.
Figure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tea making play screen in which a user and an opponent each take turns making tea.
Figure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nd shooting screen displayed after the tea making play ends.
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review screen.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the initial screen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executed by actually implementing the on-tact activity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the on-tact activity servi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n invitation screen for an on-tact teahouse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n invitation code input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of the other person who received the invitation code in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table and determining its location using AR to proceed with the tea making process of the on-tact tea shop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while users of the on-tact tea shop activity take turns making t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while users of the on-tact tea shop activity take turns making t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while users of the on-tact tea shop activity take turns making t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ile users of an on-tact tea shop activity drink finished t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during the termination process of an on-tact teahouse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uploading a post during the termination process of an on-tact teahouse a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 described below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part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ntents of the prior art or that are judged to be easi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simplify the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was omitted.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의 혼합현실(MR)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이나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과 함께 서로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는 제공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들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여 함께 대화하면서 서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activity)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other words, as described later,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contents such as learning or games using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or mixed reality (MR) technology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thereof.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content provision services of the prior art, which did not provide content that could provide the user with an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the desired party,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was use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experience. It is structured so that users can create a room online and invite the people they want to talk to and share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each other, giving users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 people they want without having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meet in person. It relates to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is configured to allow users to feel and a method of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s using the same.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근, 코로나 19(COVID-19)의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비대면, 언택트(untact)가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사람과의 만남이나 자유로운 외부활동이 제한되어 단순히 일상생활의 불편함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코로나 블루(corona blue)와 같이, 감염병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나 사회활동의 단절로 인한 우울감 및 무기력증 등과 같은 정신적 및 정서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무분별한 사적 모임으로 인해 감염병이 확산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여 함께 대화하면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함께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기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eeting 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 of requiring social distancing, non-face-to-face, and untact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of daily life due to restrictions on free outdoor activities, ment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anxiety abou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blue, or depression and lethargy due to interruption of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due to indiscriminate private gathering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is used to create a room online and invite people of their choice to chat and interact together.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is configured to share the process so that users can feel the pleasure of enjoying various activities with the person they want without having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meet in person, and on-tact interaction using the same. It is about how to provide services.

더욱이,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를 선택하고 방을 만들어 원하는 상대를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여 초대를 수락한 상대방이나 다른 사용자가 방에 입장하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AR 인식을 통해 해당 액티비티에 대한 컨텐츠별로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서로 음성이나 문자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채팅기능이 실행되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하면서 각각의 액티비티별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것을 통해 선택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과정이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해당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결과 사진 및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최근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언택트 시대에도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원하는 사람과 대면하여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인터랙션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온택트(ontact) 방식으로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o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each user to request and receive services, and augmented reality (AR) so that users can feel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desired partners without having to meet in person.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that performs processing to provide services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technology, and the user logs into the server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selects the desired activity, creates a room, and invites the desired person. Or, when the other person or other user who accepted the invitation by revealing i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nters the room, a predetermined object is created for each content for the activity through AR recognition on each user's user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hey can chat with each other by voice or text. A chat func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an talk to each other and interact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for each activity. The process of doing the selected activity together is shar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rver, and the activity is terminated.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that allow sharing of the resulting photos and videos, so even in the recent era of social distancing and untact, you can face the person you want through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allows free interac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thereby provides the same pleasure as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in an on-tact manner, and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It's about how to provide it.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Continu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 details of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More specifically, first, referring to FIG. 1,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액티비티(activity)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1)와, 미리 제작되어 저장된 다양한 액티비티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요청된 액티비티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한 액티비티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four functions: requesting and receiving services for activity content desired by each us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ser terminal 11 and a server 12 that performs processing to provide a service for the activity content reques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 among various activity content produced and stored in advance. , At this time, the service for the above-described activity conten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on-tact interaction content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as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서버(12)와 유,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일련의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PC 등과 같은 정보처리 장치에 전용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 may be composed of dedicated hardwar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with the server 12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amo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as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it can be configured by installing a dedicated program o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PC.

여기서,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 가능한 정보통신 단말장치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별도의 하드웨어를 구현할 필요 없이 보다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Here, the user terminal 11 is preferably a dedicated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as described later on a personally port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or laptop. It can be configured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program, which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the service at a simpler configuration and lower cost without the need to implement separate hardware.

아울러, 상기한 서버(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로부터 선택된 액티비티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액티비티 컨텐츠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12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service request for a selected activity from each user terminal 11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activity content, as described later.

더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FIG.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processing process of the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performed in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은, 먼저,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서버(12)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에 대한 방을 만들고 원하는 상대방을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면, 서버(12)에서는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누구나 입장 가능한 공개방을 생성한다(S10). As shown in Figure 2, the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a specific user uses his or her user terminal 11. If you log in to the server 12 and create a room for the desired activity and invite the desired party or open i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e server 12 sends an invitation message to the other party's user terminal or creates a public room that anyone can enter (S10) .

이어서, 초대된 상대방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방에 입장하거나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가 입장하면, 사용자와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11)에서는 AR 인식을 통해 해당 액티비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문자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채팅기능이 각각 실행되고, 이때, 채팅기능은 문자채팅 기능과 음성채팅 기능을 각각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음성채팅시에는 선택적으로 음성을 뮤트(mute)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20). Subsequently, when the invited other party enters the room created by the user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11, or when an unspecified number of other users enter, the user terminal 11 of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recognizes the activity in advance through AR recognition. As soon as the set object is created, the chat function is executed so that you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t least one of text or voice. At this time, the chat function selectively turns on/off the text chat function and the voice chat function, respectively. (off), and can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mute the voice during voice chat (S20).

계속해서, 채팅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하면서 해당 액티비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서로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해 선택된 액티비티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러한 액티비티 과정은 서버(12)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30). Subsequently,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hat function and perform the selected activity through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for the activity, and this activity process is shared in real time through the server 12.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S30).

다음으로,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하여 해당 액티비티의 수행에 대한 사진 및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11)에 저장하고 서버(12)에 업로드 하는 동시에, 별도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공유 서비스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40). Next, when the activity is terminated, photos and videos of the performance of the activity ar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1 and uploaded to the server 12 through the user terminal 11,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SNS (Social Network Service) ) or a sharing service, etc., the process of enabling sharing is performed (S40).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처리과정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상호작용하는 일종의 인터랙티브(interactive)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람과 직접 만나지 않고도 서로 대면하여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 즐기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described above are configured to be performed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so that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an fre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cepts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It provides a type of interactive game function that works, and at the same time, it can provide users with the same enjoyment as enjoying various activities together face-to-face without having to meet the person they want in person.

여기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와 상대방이 같은 방에 입장하여 함께 액티비티를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다수의 방을 생성하거나, 또는, 2인 이상의 다수의 인원이 같은 방에 모여서 함께 대화하면서 각종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게임 및 체감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He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a case where a user and another party enter the same room and perform an activity toge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one user can create multiple rooms at the same time, or provide games and tangible content where two or more people can gather in the same room and enjoy various activities while talking together.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nee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AR 인식을 통해 특정 오브젝트가 생성되는 구체적인 과정 등과 같이,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specific process of generating a specific object through AR recognition, etc.,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ring to prior art literature. It should be noted that detailed explanations of what can be done have been omitted to simplify the explanation.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다양한 액티비티에 대한 컨텐츠를 미리 제작하여 서버(12)에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특정 액티비티 컨텐츠가 요청되면 해당하는 액티비티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으로 다양한 액티비티를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Therefore, from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content for various activities is creat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server 12, and when a specific activity content is reques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 the corresponding activity content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provides various activities customized according to the needs of.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을 통해 제공 가능한 액티비티 컨텐츠 및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의 일례로서,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를 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티비티 컨텐츠 및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Continuing, as an example of activity content and on-tact interactio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Using as an example, the specific details of the activity content and on-tact intera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의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의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에서 제공 가능한 액티비티 서비스들 중 하나의 실시예일 뿐으로 본 발명은 반드시 이하에 제시된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이외에 다른 형태의 서비스도 얼마든지 제공 가능한 것이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 가능한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Her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by taking the case of an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as an example, but the content of the embodiments shown below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activity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ntent of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other types of service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 purpose and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nd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necessary within the scope without deviation.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을 통해 제공 가능한 액티비티 컨텐츠는, 상기한 온택트 찻집 서비스 이외에, 예를 들면,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또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이나 체감형 게임 및 보드게임을 포함하는 게임 컨텐츠에 대한 액티비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한 액티비티 컨텐츠는, 사용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증강현실을 통해 함께 상호작용을 나누고 그 내용을 공유할 수 있는 것이면 컨텐츠의 종류나 내용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In other words, activity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ugmented reality (AR) or virtual reality in addition to the on-tact teahouse service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ctivities for game content including online games, immersive games, and board games using (Virtual Reality; VR) or Mixed Reality (MR) technology. Therefore, the above activity content 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type or content of content as long as user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share the content through augmented reality.

더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찻집 서비스 제공시스템(10)에서 제공되는 액티비티의 일례로,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FIG. 3 is an example of an activity provided by the on-tact teahouse service provision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overall processing process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This is a flow chart that schematically represents.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는, 먼저,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서버(12)에 로그인하여 방을 만들고 원하는 상대에게 초대코드를 전송하면, 서버(12)에서는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로 초대코드 및 메시지를 전송한다(S11). As shown in Figure 3, in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specific user logs in to the server 12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11, creates a room, and selects a desired partner. When the invitation code is sent to the other party, the server 12 transmits the invitation code and message to the other party's user terminal (S11).

이어서, 초대된 상대방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해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고 초대코드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방에 입장하면, 사용자와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11)에서는 AR 그라운드 인식을 통해 자신의 위치에서 기준이 되는 테이블 오브젝트가 생성되고, 테이블 주변에 주전자, 찻잔, 차 재료 등의 도구가 생성됨과 동시에,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문자 채팅 및 보이스챗 기능이 각각 실행되고, 이때, 보이스챗 기능은 선택적으로 오프 또는 뮤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21). Subsequently, when the invited other party receives an invitation message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11 and enters the room created by the user by entering the invitation code, the user and the other party's user terminal 11 recognize the user's name through AR ground recognition. A table object based on the location is created, and tools such as kettles, tea cups, and tea ingredients are created around the table. At the same time, text chat and voice chat functions are executed to enable conversation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voice chat function is activated. can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turned off or muted (S21).

계속해서, 채팅기능을 통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하면서 미리 정해진 시간 및 횟수 내에 턴 방식으로 서로 번갈아가면서 각각의 도구와 재료들을 선택하여 차를 만드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차를 만드는 과정은 서버(12)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31). Continuing,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talk to each other through the chat function and take turns selecting each tool and material to make tea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number of times. The process of making tea is performed on the server ( It can be configured to be shared in real time through 12) (S31).

다음으로, 차 만들기가 끝나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를 통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이 만들어진 차를 함께 마시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그 후, 결과 사진 및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11)에 저장하고 서버(12)에 업로드 하는 동시에, 별도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공유 서비스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41). Next, when the tea making is finished,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drink the made tea together through their user terminal 11. Afterwards, the resulting photos and videos ar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1 and stored on the server 12. ), and at the same time, a process of allowing it to be shared through a separate SNS (Social Network Service) or sharing service is performed (S41).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처리과정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차를 만드는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람과 직접 만나지 않고도 서로 대면하여 차를 마시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described above are configured to be performed using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so that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an communicate freely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cepts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At the same time as providing a game function to create, it can provide users with the same pleasure as drinking tea face-to-face without having to meet the person they want in person.

여기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와 상대방이 함께 차를 마시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다수의 방을 생성하거나, 또는, 2인 이상의 다수의 인원이 같은 방에 모여서 함께 대화하면서 차를 만들고 마시면서 즐길 수 있는 게임 및 체감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는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취지 및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He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where a user and the other party drink tea together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one us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reate multiple rooms at the same time, or to provide games and tangible content that two or more people can enjoy while talking together in the same room and making and drinking tea.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nee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purpose and essence of.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AR 그라운드 인식을 통해 테이블 및 각종 재료와 도구들이 생성되는 구체적인 과정 등과 같이,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specific process of creating a table and various materials and tools through AR ground recognition, etc.,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fer to prior art literature, etc. It should be noted that detailed explanations of content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have been omitted to simplify the explanation.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Continuing, the specific details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performed in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찻집 서비스 제공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의 초기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4, FIG. 4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itial screen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performed in the on-tact teahouse service provision system 10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This is a schematic drawing.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자 단말기(11)가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하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념해야 한다. Her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plained by taking as an example the case where the user terminal 11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on the user's smart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apply to the embodiments shown below.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not limited to examples.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서 제공되는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기(11)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초기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provided by the on-tact teahous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4 when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11 is executed. The initial screen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as shown.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화면에는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시작 메뉴버튼과, 이전에 저장된 영상이나 기록 등을 확인하기 위한 갤러리 메뉴버튼이 각각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initial screen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a start menu button for logging in to the service and a gallery menu button for checking previously saved videos or records.

이때, 각각의 메뉴버튼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지로만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문자나 문자와 이미지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menu button may be displayed as an image only, as shown in FIG. 3, or may be displayed as text or a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s,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need.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에서 상대방을 초대하기 위한 초대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5,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n invitation screen for inviting a counterpart in an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초기화면에서 시작버튼을 터치하여 서비스, 즉, 서버(12)에 로그인하면 함께 차를 마실 상대방을 초대하기 위한 초대코드를 발행하는 메뉴버튼이 물방울 형태로 표시되고, 해당 메뉴버튼을 터치하면 물이 차오르면서 초대코드가 생성되어 우측의 화면으로 전환된다.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user touches the start button on the initial screen and logs in to the service, that is, the server 12, the menu button for issuing an invitation code to invite someone to have tea together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water drop. , When you touch the menu button, the water fills, an invitation code is generated, and the screen switches to the right.

아울러, 물이 차오른 물방울 및 생성된 초대코드가 표시됨과 함께 공유버튼과 이전 및 이후 이동버튼이 하단에 표시되며, 물방울을 터치할 때마다 초대코드가 재발행되고, 공유버튼을 누를 경우 공유화면이 팝업되며, 이후 버튼을 누를 경우 물방울이 상하로 느리게 흔들리도록 하여 터치를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droplet filled with water and the generated invitation code are displayed, along with the share button and previous and next movement buttons at the bottom. Each time the water droplet is touched, the invitation code is reissued, and when the share button is pressed, the sharing screen pops up. Then,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water droplet can be configured to slowly shake up and down to induce touch.

더 상세하게는,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공유 팝업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haring pop-up screen.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대코드 발행화면에서 사용자가 공유버튼을 누를 경우, SNS나 메신저 등과 같은 공유 서비스의 채팅창에 대한 바로가기 메뉴와, 각각의 SNS나 메신저 앱에 대한 실행메뉴와, 파일 복사, 인쇄, 저장 메뉴 및 나가기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화면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user presses the share button on the invitation code issuance screen, a shortcut menu for the chat window of a sharing service such as SNS or messenger, an execution menu for each SNS or messenger app, and a file A pop-up screen including copy, print, save menu, and exit menu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desired task.

계속해서, 서버(12)에서는 발행된 초대코드 및 초대 메시지를 해당하는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11), 초대코드가 수신된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11)에는 초대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Subsequently, the server 12 transmits the issued invitation code and invitation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other party's user terminal (11), and a screen for entering the invitation code is displayed on the other party's user terminal (11) for which the invitation code has been received. displayed.

즉,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초대코드를 수신한 상대방이 코드를 입력하여 입장하는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대기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 7,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standby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until the other party who has received the invitation code enters the code and enters the user terminal.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대코드를 수신한 상대방이 코드를 입력하여 입장이 완료될 때까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에는 찻잎을 형상화한 대기화면이 표시되고, 입장처리가 완료되면 찻잔이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거나 회전하는 인트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7, a standby screen in the shape of a tea leaf is displayed on each user terminal 11 until the other party who has received the invitation code enters the code and entry is completed, and when the entry process is completed, the tea cup becomes larger. It can be configured to change to an intro screen that repeats becoming smaller or rotates.

이때, 하단에 이전 버튼을 표시하여 터치시 나가기 팝업화면이 표시되고, 대기 중에 사용자가 찻잎을 터치하면 찻잎을 따는 것과 같은 이미지 및 사운드가 출력되거나, 배경(빈 공간)을 터치하면 숲속과 같은 자연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대기 중에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vious button is displayed at the bottom, and when touched, an exit pop-up screen is displayed. If the user touches the tea leaves while waiting, an image and sound similar to picking tea leaves are output, or if the user touches the background (empty space), a forest-like natural environment is displayed. The sound can be output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bored while waiting.

또한,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입장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초대하거나 메인화면으로 복귀를 문의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if the entry process is not complet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failure message may be output and a screen may be displayed to invite the user again or to inquire about returning to the main screen.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하는 상대방에게 초대코드를 보내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상기한 초대코드 이외에, 예를 들면, 패스워드 방식을 이용하여 입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공개방이나 불특정 사용자가 랜덤하게 입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방을 만드는 호스트와 입장하는 게스트가 있는 구성이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He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of sending an invitation code to a desired party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case.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entry using a password method, or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random entry to a public room or unspecified user, etc., so long as there is a host creating the room and a guest entering, various options may be provided as needed.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it can be configured in any form.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초대 및 입장처리가 완료된 후 표시되는 서비스 메인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Next, referring to FIG. 8,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main screen displayed after the invitation and admission processing is completed.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대한 상대방의 입장이 완료되면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포함하는 메인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기(11)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AR 그라운드 스캔을 통해 화면상에 테이블을 생성한다. As shown in Figure 8, when the invited party's entrance is completed, the main screen including various menus for providing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s is displayed, and AR ground scanning is performed using the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1. Create a table on the screen.

더 상세하게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메인화면은, 찻잔(cup)이나 그릇(bowl), 거름망(strainer), 접시(plate) 등의 차를 만들기 위한 각종 도구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버튼을 포함하는 도구모음 메뉴가 좌우로 스크롤 기능하도록 화면 상단에 표시되고, 화면 상단의 일측에는 나가기 팝업창이 표시되는 나가기 버튼이 표시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8, the service main screen includes a menu button for selecting various tools for making tea, such as a tea cup, bowl, strainer, and plate. A toolbar menu including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to scroll left and right, and an exit button that displays an exit pop-up window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screen.

또한, 화면의 중간 부분에는 AR 그라운드 스캔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버튼이 표시되고, 좌우측에는 물의 양과 차의 종류 및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물 선택메뉴 및 차 선택메뉴가 각각 표시되며, 화면의 하단에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메뉴버튼과,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보이스 채팅을 활성화하는 보이스챗 메뉴버튼 및 호스트(사용자)와 게스트(상대방)가 턴을 주고받기 위한 플레이 메뉴버튼이 각각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enu button for performing an AR ground scan is displayed in the middle of the screen, a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displayed multiple water selection menus and tea selection menus that allow you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and the type and amount of tea, respectively, an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re is a camera menu button to automatically save images, a voice chat menu button to activate voice chat so that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play menu button to exchange turns between the host (user) and the guest (the other party). Each of these can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아울러, AR을 이용한 테이블의 생성은 입장완료시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화면에 표시된 AR 스캔 메뉴버튼을 터치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라운드 스캔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카메라와 보이스챗을 제외한 모든 기능 및 메뉴버튼이 비활성 상태로 표시된다. In addition, table creation using AR can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automatically upon completion of entry or by touching the AR scan menu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ll functions and menus except the camera and voice chat are disabled until the ground scan is completed. The button is displayed as inactive.

더욱이, AR 그라운드 스캔 후 적절한 위치에 테이블이 생성되면 모든 메뉴버튼이 활성화되고, 자신의 차례가 되어 플레이 버튼이 활성화되면 각각의 메뉴버튼을 선택하여 차를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대방의 차례일 때는 상대방의 플레이를 관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over, when a table is created in an appropriate location after scanning the AR ground, all menu buttons are activated, and when it is your turn and the play button is activated, you select each menu button to perform the task of making tea, and when it is your opponent's turn, you perform the task of making tea. It can be configured to observe the play of.

이때,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총 턴 수와 각 턴당 시간이 정해지며, 각각의 물과 차 메뉴는, 예를 들면, 3회와 같이, 전체 사용횟수에 제한이 있도록 구성되고, 테이블에 그릇(bowl)이 놓여있을 경우 물 버튼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물이 채워지며, 물과 차의 조합에 따라 색이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otal number of turns and the time for each turn are determin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settings, and each water and tea menu is configured so that the total number of uses is limited, for example, 3 times, and a bowl is placed on the table. ) is placed, the water is automatically filled when you touch the water button, and the color can be configured to change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water and tea.

즉,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사용자와 상대방이 각자 번갈아가며 턴 방식으로 차를 만드는 차 만들기 플레이 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 9,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tea making play screen in which a user and an opponent take turns making tea.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도구를 선택하면 선택된 도구의 가장자리가 볼드처리고 약간 커지면서 AR 이미지로 화면 중앙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AR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위치를 설정하며, 이때, 1초 이상 홀드하여 위치고정 및 해제가 가능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tool, the edge of the selected tool becomes bold and slightly enlarged, and is displayed as an AR image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user sets the position by dragging the A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t this time,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position fixation and release by holding for more than 1 second.

또한, 사용 중인(테이블에 놓여진) 도구는 도구선택 메뉴에서 비어있는 그림자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도구를 드래그하여 테이블에 올려놓을 수 있고, 이때, 현재 도구선택 메뉴에 있는 도구만이 선택 가능하고 다른 사용자가 사용중인 도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는 다시 돌려놓아야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ools in use (placed on the table)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empty shadow in the tool selection menu, and the user can drag the desired tool and place it on the table. At this time, only the tools currently in the tool selection menu can be selected. If you want to use a tool that is being used by another user, you must return it to make it usable.

아울러, 물과 차 메뉴버튼은 터치시 해당 메뉴가 사라지도록 하여 사용횟수의 제한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스마트폰의 자이로 기능 등을 이용하여 컵의 기울기에 따라 물줄기의 속도나 양을 다르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and tea menu buttons are designed so that the corresponding menu disappears when touched, making it easy to understand the limit on the number of uses, and by using the gyro function of the smartphone, the speed or amount of water stream is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lt of the cup.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여기서, 차 만들기 도중 어느 한쪽에서라도 나가기 메뉴를 선택하면 모든 사용자 단말기에 나가기 팝업창이 표시되며, 이때, 한명이라도 그만두기를 선택할 경우는 해당 플레이가 종료되고 종료촬영 화면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if the exit menu is selected from any side while making tea, an exit pop-up window is displayed on all user terminals. At this time, if even one person chooses to quit, the play can be configured to end and move to the end shooting screen.

더 상세하게는,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차 만들기 플레이 종료 후 표시되는 종료촬영 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0, FIG.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nd shooting screen displayed after the tea making play ends.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료촬영 화면은 서비스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하며, 실제 배경으로 AR 이미지를 함께 촬영하는 실사촬영 메뉴버튼과, 가상배경으로 AR 이미지를 촬영하는 가상촬영 메뉴버튼이 화면 상부에 각각 표시되어, 해당 플레이 내용을 사진 또는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0, the end shooting screen corresponds to the last part of the service, and there is a live shooting menu button for shooting an AR image with a real background and a virtual shooting menu button for shooting an AR image with a virtual background at the top of the screen. Each can be displayed and configured to record the corresponding play content as a photo or video.

또한, 선택적으로, 촬영버튼과 함께 보이스챗 메뉴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화면 하단에 표시되는 카메라 버튼을 터치하면 촬영결과를 확인 가능한 미리보기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it can optionally be configured to display a voice chat menu button along with the shooting button, and can be configured to move to a preview screen where you can check the shooting results by touching the camera button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즉,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미리보기 화면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 11, FIG.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review screen.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보기 화면에는 촬영된 내용과 함께 하단에 게임종료와, 공유, 갤러리 메뉴버튼이 각각 표시되며, 이때, 촬영된 내용과 함께 사용된 물의 양, 사용된 차의 종류와 양 및 사용자와 상대방이 차를 마신 시간과 서로간의 거리 등의 정보를 표시하여 해당 플레이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1, on the preview screen, the game end, share, and gallery menu buttons are displayed at the bottom along with the captured content, and at this time, the amount of water used, the type of tea used, and the captured content are displayed. It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the time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drank tea,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so that the contents of the relevant play can be easily confirmed.

아울러, 공유 메뉴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한 공유 메뉴버튼과 동일한 처리가 수행되고, 게임종료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플레이를 종료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뉴가 표시되고, 종료를 선택하면 촬영내용을 저장 및 업로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처리가 수행되며, 갤러리 메뉴를 선택하면 갤러리로 이동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뉴가 표시되고 이동 선택시 현재 촬영된 내용이 저장되지 않는다는 경고메시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re menu performs the same processing as the share menu butt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When the game end menu is selected, a menu asking whether to end the play is displayed, and when quit is selected, the captured content is saved. and upload processing is performed. When the gallery menu is selected, a menu asking whether to move to the gallery is displayed, and when move is selected, a warning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urrently captured content will not be saved is display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즉, 도 12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도 12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를 실제로 구현하여 실행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referring to FIGS. 12 to 21, FIGS. 12 to 21 are example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the actual implementation and execution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의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의 초대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에서 초대코드가 수신된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초대코드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More specifically, first,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the initial screen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invitation screen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an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 invitation code input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of the other party who has received an invitation code in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의 차 만들기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으로, 먼저, 도 15는 차 만들기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AR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하고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5 to 19, FIGS. 15 to 19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during the tea making process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IG. 15 is a diagram showing the screen display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table and determining its location using AR to proceed with the tea making process.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을 초대하여 입장이 완료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R을 통해 화면에 테이블과 내려놓기 및 재설정 메뉴버튼이 각각 표시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테이블을 드래그하여 이동한 다음 내려놓기 버튼을 터치하여 결정하거나 재설정 버튼으로 테이블 위치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invites the desired party and completes the entry, the table and the put down and reset menu button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AR,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15, and the user moves the table by dragging it to the desired location. You can then decide by touching the put down button or reset the table position by pressing the reset button.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테이블 위치가 결정되면 도 15의 우측 화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작버튼이 생성되고, 시작버튼을 누르면 차 만들기 과정이 시작된다. In addition, when the table position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 start button is created as shown in the right screen of FIG. 15, and when the start button is pressed, the tea making process begins.

즉,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의 사용자들이 서로 번갈아가며 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S. 16 to 18, FIGS. 16 to 18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displayed while users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 turns making tea.

더 상세하게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이 생성되면 도구메뉴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원하는 도구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이때, 핀 버튼으로 도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ON, OFF 하여 음성대화의 사용 여부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16, when a table is created, the desired tool can be placed on the table using the tool menu.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tool can be fixed with the pin button, and the microphone can be selectively turned on. , you can freely decide whether to use voice chat by turning it OFF.

또한, 물을 따르는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구의 회전(기울이기)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 재료는 잎, 열매, 줄기, 꽃의 4가지로 구성되고 각각의 차 재료는 한 번씩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미사용 재료와 사용된 재료의 색을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ol can be rotated (tilted) as shown in FIG. 17 to perform actions such as pouring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tea material consists of four types of leaves, fruits, stems, and flowers. Each tea material can be used only once and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unused and used materials in different colors.

아울러,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들은 총 4번의 턴을 가지고 시작하여 총 8턴이 제공되며, 턴을 사용할 때마다 턴 수를 나타내는 UI가 변경되고, 턴을 모두 사용하면 해당 UI가 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념해야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8, in this embodiment, each user starts with a total of 4 turns and is provided with a total of 8 turns, and each time a turn is used, the UI indicating the number of turns changes, and the turn Although the UI may be configured to disappear when all are us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계속해서,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의 사용자들이 완성된 차를 마시는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 19,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while users of the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rinking finished tea.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사용자들이 번갈아가며 턴 방식으로 각각의 도구를 사용하여 차를 만들고 나면 함께 차를 마시는 과정으로 진행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이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의 마이크에 입김을 불어넣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차를 식히면서 마시는 듯한 체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after the users take turns making tea using each tool in a turn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proceeds with drinking tea togeth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9, each user makes his or her own tea. It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an experience like drinking tea while cooling it by performing an operation of blowing into the microphone of the user terminal 11.

다음으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택트 찻집 액티비티 서비스의 종료 과정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Next, referring to FIGS. 20 and 21, FIGS. 20 and 21 are diagrams showing a screen displayed during the termination process of an on-tact teahouse activ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차를 마시고 종료 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들이 차를 만들고 마시는 동안 기록된 영상이 자동으로 플레이된 후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1)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0, when users drink tea and select the end button, the video recorded while the users are making and drinking tea can be automatically played and then stored in each user's user terminal 11.

이때, 함께 차를 마신 시간과 거리가 수치로 표시되어 그동안 함께 차를 마신 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공유 버튼을 함께 표시하여 갤러리에 현재의 정보를 바로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ime and distance for drinking tea together can be displayed in numbers so that you can easily check the history of drinking tea together, and a share button can also be displayed so that you can immediately save and share the current information in the gallery. It can be.

즉,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유버튼을 선택하면 자신의 계정 화면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게시물의 업로드나 삭제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21, when you select the share button, you can go to your account screen and upload or delete the desired post.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를 선택하고 방을 만들어 원하는 상대를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하여 초대를 수락한 상대방이나 다른 사용자가 방에 입장하면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AR 인식을 통해 해당 액티비티에 대한 컨텐츠별로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서로 음성이나 문자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채팅기능이 실행되어,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하면서 각각의 액티비티별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것을 통해 선택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과정이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해당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결과 사진 및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최근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언택트 시대에도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원하는 사람과 대면하여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인터랙션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온택트(ontact) 방식으로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하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줄 수 있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b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can provide the ser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user terminal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services, and a server that performs processing to provide the requested service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and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Log in, select the desired activity, create a room, and invite the desired person, or open it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when the person who accepted the invitation or another user enters the room, each user's user terminal uses AR recognition to preview the content for the activity in advance. As soon as a given object is created, a chat function is launched so that us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voice or text, allowing users and others to talk to each other and interact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for each activity, thereby engaging in the selected activity together.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on-tact interaction using the same, in which the process is shared in real time through a server, and when the activity is completed, a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are performed to enable sharing of the resulting photos and videos. By providing a service provision method, even in the recent era of social distancing and untact, it is possible to freely interact by communicating face-to-face with the desired person through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and thereby, on-tact It can give you the same pleasure as doing various activities together in an (ontact) wa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와 함께 대화하면서 서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activity)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R) 또는 이들이 결합된 형태의 혼합현실(MR)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이나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과 함께 서로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는 제공된 바 없었던 종래기술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users create a room online, invite people they want, or share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y talking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other users.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allows users to feel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 person they want without having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meet in person, and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As a method of providing tact interaction services is provided,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contents such as learning or games using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or mixed reality (MR) technology that combines them have been proposed. , Content that can provide users with the experience of interacting with the desired party can solve the problems of content provision services in the prior art that were never provid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방을 만들고 자신이 원하는 사람을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와 함께 대화하면서 서로 인터랙션 하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들이 특정 장소에 모이거나 직접 만나지 않고도 원하는 상대방과 다양한 액티비티(activity)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최근, 코로나 19(COVID-19)의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비대면, 언택트(untact)가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사람과의 만남이나 자유로운 외부활동이 제한되어 단순히 일상생활의 불편함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코로나 블루(corona blue)와 같이, 감염병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나 사회활동의 단절로 인한 우울감 및 무기력증 등과 같은 정신적 및 정서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동시에, 무분별한 사적 모임으로 인한 감염병 확산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users can create a room online, invite people they want, or chat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other users and share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hat allows users to feel the pleasure of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with the person they want without having to gather in a specific place or meet in person, and provide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same. By providing a method, meeting with people or free outdoor activities are limited due to the recent trend of requiring social distancing, non-face-to-face, and untact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Effectively prevents not only the inconveniences of daily life, but also mental and emotional problems such as anxiety abou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blue, or depression and lethargy due to disconnection from social activities. At the same time, it can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indiscriminate private gatherings.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Above, the details of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implementa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examples,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bject to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combinations, substitutions, etc. according to design needs and various other factor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atural that this is possible.

10.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11. 사용자 단말기
12. 서버
10.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11. User terminal
12. Server

Claims (21)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을 이용한 온택트(ontact) 인터랙션(interaction)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액티비티(activity)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미리 제작되어 저장된 다수의 액티비티 컨텐츠들을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액티비티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에 대한 방을 만들고 원하는 상대방을 초대하거나 불특정 사용자가 입장 가능하도록 설정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로 초대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상대방을 초대하거나 누구나 입장 가능한 공개방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방에 다른 사용자가 입장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초대단계;
초대된 상기 상대방이나 다른 사용자의 입장이 완료되면 서비스 메인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증강현실(AR)을 통해 화면상에 해당 액티비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문자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채팅기능이 각각 실행되는 처리가 수행되는 증강현실 생성단계;
상기 채팅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서로 대화하면서 해당 액티비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서로 인터랙션(interaction)을 통해 선택된 액티비티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액티비티를 수행하는 과정이 상기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액티비티 서비스 제공단계; 및
상기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해당 액티비티의 수행에 대한 사진 및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에 업로드 하며, 별도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공유 서비스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액티비티 컨텐츠는,
온택트 찻집 서비스에 대한 액티비티로 구성되고,
상기 액티비티 서비스 제공단계는,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 및 차 마시기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는,
각 사용자별로 미리 정해진 총 턴 수, 각 턴당 시간, 물 메뉴의 사용횟수 및 차 메뉴의 사용횟수에 따라 서로 번갈아가면서 각각의 도구를 선택하여 차를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대방의 차례일때는 상대방의 플레이를 관전하도록 하며, 플레이중 보이스챗의 사용 여부를 자유롭게 ON, OFF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턴일 때 원하는 도구를 선택하면 선택된 도구가 화면 중앙에 AR 이미지로 표시되고, 화면에 표시된 상기 AR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테이블에 올려놓을 위치를 설정하며, 이때, 상기 AR 이미지는 1초 이상 홀드하여야 위치고정 및 해제가 가능해지고, 도구메뉴의 핀버튼으로 도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중인(테이블에 놓여진) 도구는 도구선택 메뉴에서 비어있는 그림자 형태로 표시되고, 각각의 사용자는 현재 도구선택 메뉴에 있는 도구만이 선택 가능하며, 현재 사용중인 도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는 다시 도구메뉴로 돌려놓아야 사용 가능해지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 마시기 서비스 제공단계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의 마이크에 입김을 불어넣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에서 만들어진 차를 식히면서 마시는 체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사용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게임 기능 및 차를 만드는 차 만들기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람과 직접 만나지 않고도 서로 대면하여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 즐기는 즐거움 및 함께 차를 마시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In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R),
A user terminal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services for activity content desired by each user;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that performs processing to provide services for activity content reques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activity content that has been produced and stored in advance,
The system is,
When a specific user logs in to the server through his or her user terminal and creates a room for a desired activity and invites the desired other party or allows unspecified users to enter, the server sends an invitation message to the other party's user terminal to An invitation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allow other users to enter the room created by the user by inviting the other party or creating a public room that anyone can enter;
When the invited counterpart or other user's entry is completed, the service main screen is displayed, and the corresponding activity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augmented reality (AR) using the camera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other user or the other user. An augmented reality creation step in which a preset object is created and a chat function is executed to enable convers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at least one of text or voice.
Through the chat function, the user and the other person or the other us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perform the selected activity through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for the activity, and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ctivity is performed on the server. An activity service provision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allow real-time sharing through; and
When the activity is completed, photos and videos of the performance of the activity are saved to the user terminal and uploaded to the server, so that they can be shared through a separate SNS (Social Network Service) or sharing service. The processing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that includes a termination step that is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activity content is,
It consists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on-tact teahouse service,
The activity service provision step is,
It consists of a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and a tea drinking service provision step,
The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is,
Depending on the total number of turns predetermined for each user, the time per turn, the number of times the water menu is used, and the number of times the tea menu is used, each user takes turns selecting each tool to make tea. When it is the other person's turn, they play. It is configured so that you can freely turn on or off the use of voice chat during play.
When each user selects the desired tool during his or her turn, the selected tool is displayed as an AR image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the A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is dragged to set a position to place it on the table. At this time, the AR image is 1 It is possible to fix and release the position only by holding it for more than a second, and the position of the tool can be fixed with the pin button in the tool menu.
Tools in use (placed on the table) are displayed as empty shadows in the tool selection menu, and each user can only select tools currently in the tool selection menu. If they want to use the tool currently in use, they must select the tool again. It is configured to perform processing to make it usable by returning it to the menu,
The tea drinking service provision step is,
By having each user perform the action of blowing into the microphone of his or her user terminal, the experience of drinking the tea made in the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is provided by cooling it down,
Through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we provide an interactive game function where users can freel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a tea making game function.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ovide users with the pleasure of enjoying various activities together and the pleasure of drinking tea together without having to meet the person they want in pers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하드웨어, 또는, PC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에 전용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user terminal is,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dedicated program on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cluding dedicated hardware or a PC, which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개인이 휴대 가능한 정보통신 단말장치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user terminal is,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program on a personally port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user's smartphone, tablet PC, or lapto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기능은,
문자채팅 기능과 음성채팅 기능을 각각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음성채팅시 선택적으로 음성을 뮤트(mute)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chat function is,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turn on/off the text chat function and voice chat function, respectively.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mute voice during voice c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한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다수의 방을 생성하거나, 또는, 2인 이상의 다수의 인원이 같은 방에 모여서 함께 대화하면서 선택된 액티비티를 수행면서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system is,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one user can create multiple rooms at the same time, or two or more people can gather in the same room and enjoy the selected activity while talking together. provision syste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실행시키면 로그인을 위한 시작 메뉴버튼과 이전에 저장된 영상이나 기록을 확인하기 위한 갤러리 메뉴버튼을 포함하는 초기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작 메뉴버튼을 터치하여 상기 서버에 로그인하면, 함께 차를 마실 상대방을 초대하기 위한 초대코드를 발행하는 메뉴버튼이 물방울 형태로 표시되고, 해당 메뉴버튼을 터치하면 물이 차오르면서 초대코드가 생성되어 초대코드 발행화면으로 화면이 전환되며,
상기 서버는 발행된 초대코드 및 초대 메시지를 해당하는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초대코드 및 상기 초대 메시지가 수신된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초대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초대코드를 수신한 상대방이 상기 초대코드를 입력하여 입장하는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대기화면이 표시되고, 입장처리가 완료되면 인트로 화면으로 전환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invitation step is,
When the user runs the service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an initial screen is displayed including a start menu button for logging in and a gallery menu button for checking previously saved videos or records,
When the user touches the start menu button and logs in to the server, the menu button that issues an invitation code to invite someone to have tea together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water drop,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menu button, the water fills up. An invitation code is generated and the screen switches to the invitation code issuance screen.
The server transmits the issued invitation code and invit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other party, and a screen for entering the invitation code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of the other party who received the invitation code and the invitation message,
A standby screen is displayed on each user terminal until the other party who has received the invitation code inputs the invitation code and the entry process is completed, and when the entry process is completed, a process of switching to an intro screen is performed.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b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코드 발행화면은,
물이 차오른 물방울 및 생성된 초대코드가 표시됨과 함께 공유버튼과 이전 이동버튼 및 이후 이동버튼이 하단에 표시되고, 상기 물방울을 터치할 때마다 초대코드가 재발행되고 상기 이후 이동버튼을 누를 경우 상기 물방울이 흔들리도록 하여 터치를 유도하며,
상기 초대코드 발행화면에서 상기 공유버튼을 누를 경우,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메신저를 포함하는 공유 서비스의 채팅창에 대한 바로가기 메뉴와, 각각의 SNS나 메신저 앱에 대한 실행메뉴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파일 복사, 인쇄, 저장 메뉴 및 나가기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화면이 표시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7,
The invitation code issuance screen is,
A water droplet filled with water and a generated invitation code are displayed, along with a share button, previous move button, and next move button displayed at the bottom. Each time the water droplet is touched, an invitation code is reissued, and when the next move button is pressed, the water droplet is displayed. It shakes to induce touch,
When the sharing button is pressed on the invitation code issuance screen, a shortcut menu for the chat window of a sharing service including SNS (Social Network Service) or messenger, an execution menu for each SNS or messenger app, and the user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a pop-up screen including file copy, print, save menu, and exit menu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desired task.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은,
찻잎을 형상화한 이미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단에는 이전 버튼을 표시하여 터치시 방에서 나갈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화면이 표시되며,
대기 중에 사용자가 상기 찻잎을 터치하면 찻잎을 따는 이미지 및 사운드가 출력되고, 배경(빈 공간)을 터치하면 미리 정해진 별도의 사운드가 출력되며,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입장처리가 완료되지 않으면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초대하거나 메인화면으로 복귀를 문의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7,
The standby screen is,
It consists of an image symbolizing tea leaves, and a pop-up screen is displayed at the bottom to confirm whether or not to leave the room when touched by displaying a previous button.
When the user touches the tea leaves while waiting, the image and sound of tea leaves being picked are output,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background (empty space), a separate predetermined sound is output.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admission process is not complet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failure message is output and a screen is displayed to invite a re-invitation or to inquire about returning to the main scree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로 화면은,
입장처리가 완료되면 찻잔이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거나 회전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7,
The intro screen is,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that repeats the teacup's size and size or rotates when the admission process is comple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메인화면은,
찻잔(cup), 그릇(bowl), 거름망(strainer), 접시(plate)를 포함하는 차를 만들기 위한 각종 도구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버튼을 포함하는 도구모음 메뉴가 좌우로 스크롤 기능하도록 화면 상단에 표시되고, 화면 상단의 일측에는 나가기 팝업창이 표시되는 나가기 버튼이 표시되며,
화면의 중간 부분에는 증강현실(AR)을 실행하기 위한 AR 메뉴버튼이 표시되고, 좌우측에는 물의 양과 차의 종류 및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물 선택메뉴 및 차 선택메뉴가 각각 표시되며,
화면의 하단에는 현재 화면의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카메라 모양 메뉴버튼과,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보이스 채팅을 활성화하는 보이스챗 메뉴버튼 및 호스트(사용자)와 게스트(상대방)가 턴을 주고받기 위한 플레이 메뉴버튼이 각각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In the augmented reality creation step, the service main screen is,
A toolbar menu that includes menu buttons for selecting various tools for making tea, including cups, bowls, strainers, and plates,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to scroll left and right. At the top of the screen, an exit button is displayed and an exit pop-up window is displayed.
The middle part of the screen displays an AR menu button for running augmented reality (A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display multiple water selection menus and tea selection menus that allow you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and the type and amount of tea, respectively.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re is a camera-shaped menu button to save the image of the current screen, a voice chat menu button to activate voice chat so that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host (user) and guest (the other party) take turns.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each play menu button for receiving is display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단계는,
상기 상대방의 입장이 완료되면 증강현실(AR)을 이용한 테이블의 생성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AR 메뉴버튼을 터치하여 수동으로 수행되어,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테이블과 함께 내려놓기 및 재설정 메뉴버튼이 각각 표시되며,
각각의 상기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상기 테이블을 드래그하여 이동한 다음 상기 내려놓기 버튼을 터치하여 위치를 결정하거나 재설정 버튼으로 상기 테이블의 위치를 다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블의 생성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카메라와 보이스챗을 제외한 모든 기능 및 메뉴버튼이 비활성 상태로 표시되며, 상기 테이블이 생성되면 모든 메뉴버튼이 활성화되고,
상기 테이블의 위치가 결정되면 시작버튼이 생성되고, 상기 시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로 진행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The augmented reality creation step is,
When the other party's entrance is completed, the creation of a table using augmented reality (AR) is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nually by touching the AR menu button, and placed together with the table on the screen of each user terminal. Each reset menu button is displayed,
Each user is configured to drag and move the table to a desired location and then determine the location by touching the put down button or reset the location of the table with a reset button,
Until the creation of the table is completed, all functions and menu buttons except the camera and voice chat are displayed in an inactive state. Once the table is created, all menu buttons are activated,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osition of the table is determined, a start button is created, and when the start button is pressed, processing to proceed to the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is perform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차 메뉴의 차 재료가 잎, 열매, 줄기, 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차 재료는 한 번씩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미사용 재료와 사용된 재료의 색을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 메뉴는 사용 가능한 횟수만큼 복수의 아이콘이 표시되고, 사용횟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터치(사용)시 해당 아이콘이 사라지도록 구성되며,
물을 따르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 도구의 회전(기울이기)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자이로 기능을 이용하여 각 도구의 기울기에 따라 물줄기의 속도나 양을 다르게 표시하며,
각각의 사용자들이 턴을 사용할 때마다 턴 수를 나타내는 표시(아이콘 또는 UI)가 변경되고 턴을 모두 사용하면 해당 표시(아이콘 또는 UI)가 사라지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is,
The tea ingredients of the tea menu include leaves, fruits, stems, and flowers, and each tea ingredient can be used only once, and the unused ingredients and the used ingredients are displayed differently in color,
The water menu displays a plurality of ic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s, and the icons disappear when touched (used) so that the number of uses can be easily determined,
To perform the action of pouring water, each tool can be rotated (tilted), and the gyro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is used to display the speed or amount of the water stream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lt of each tool.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con or UI) indicating the number of turns changes each time each user uses a turn, and processing is performed so that the display (icon or UI) disappears when all of the turns are used.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 만들기 서비스 제공단계나 상기 차 마시기 서비스 제공단계의 도중에 어느 한쪽에서라도 나가기 메뉴를 선택하면 모든 사용자 단말기에 나가기 팝업창이 표시되고,
한명이라도 그만두기를 선택할 경우는 해당 플레이가 종료되고 상기 종료단계로 이동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system is,
If the exit menu is selected at any stage during the tea making service provision step or the tea drinking service provision step, an exit pop-up window is displayed on all user terminals,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f even one person chooses to quit, the relevant play is terminated and processing to move to the end stage is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단계에서, 종료촬영 화면은,
현재의 플레이 내용을 사진 또는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실제 배경으로 AR 이미지를 촬영하는 실사촬영 메뉴버튼과 가상배경으로 AR 이미지를 촬영하는 가상촬영 메뉴버튼이 화면 상부에 각각 표시되고,
화면 하단에는 촬영결과를 확인 가능한 미리보기 화면으로 이동하는 카메라 버튼이 표시되며,
상기 실사촬영 메뉴버튼 및 상기 가상촬영 메뉴버튼과 함께 화면 상부에 표시되는 보이스챗 메뉴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In the ending step, the ending shooting screen is,
In order to record the current play content as a photo or video, a real-time shooting menu button for shooting an AR image with a real background and a virtual shooting menu button for shooting an AR image with a virtual background ar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respectively.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re is a camera button that moves to the preview screen where you can check the shooting results.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voice chat menu button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long with the live-action shooting menu button and the virtual shooting menu button.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단계는,
상기 종료촬영 화면에 촬영된 내용과 함께 사용된 물의 양, 사용된 차의 종류와 양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이 함께 차를 마신 시간과 서로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7,
The ending step is,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amount of water used, the type and amount of tea used, the time when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drank tea together,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along with the content captured on the end shooting screen.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화면은,
촬영된 내용과 함께 게임종료 메뉴버튼, 공유 메뉴버튼 및 갤러리 메뉴버튼이 화면 하단에 각각 표시되고,
상기 게임종료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각각의 사용자들이 차를 만들고 마시는 동안 기록된 영상이 자동으로 플레이된 후 해당 플레이를 종료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뉴가 표시되고, 종료를 선택하면 촬영내용을 저장 및 업로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처리가 수행되며,
상기 갤러리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갤러리로 이동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뉴가 표시되고, 이동 선택시 현재 촬영된 내용이 저장되지 않는다는 경고메시지가 표시되는 처리가 수행되며,
상기 공유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자신의 계정 화면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게시물의 업로드나 삭제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7,
The preview screen is,
Along with the captured content, the game end menu button, share menu button, and gallery menu button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respectively.
When the Game End menu button is selected, the video recorded while each user is making and drinking tea is automatically played, and then a menu is displayed asking if they want to end the play. If they select End, the recorded content is saved and uploaded. Processing is performed to inquire whether to do so,
When you select the gallery menu button, a menu asking whether to move to the gallery is displayed, and when you select move, a warning message is displayed indicating that the currently captured content will not be saved.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selecting the share menu button moves to one's account screen to upload or delete desired pos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비티 컨텐츠는,
증강현실(AR)이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또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 MR)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이나 체감형 게임 및 보드게임을 포함하는 게임 컨텐츠에 대한 액티비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activity content 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provide activities for game content including online games, immersive games, and board games using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or mixed reality (MR) technology.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5항, 청구항 7항 내지 청구항 12항, 청구항 14항, 청구항 16항 내지 청구항 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버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액티비티에 대한 방을 만들고 원하는 상대방을 초대하거나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가 입장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초대단계;
초대된 상대방이나 다른 사용자가 입장하면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증강현실(AR)을 이용하여 해당 액티비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오브젝트가 각각 생성되는 동시에,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문자 및 음성 채팅기능이 실행되는 처리가 수행되는 증강현실 생성단계;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들이 서로 대화하면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선택된 액티비티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액티비티의 수행 과정이 상기 서버를 통해 공유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액티비티 서비스 제공단계; 및
상기 액티비티가 종료되면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또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액티비티를 수행한 과정에 대한 사진이나 영상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증강현실(AR)과 메타버스(metaverse) 개념을 통해 사용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자유롭게 상호작용(interaction)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람과 직접 만나지 않고도 서로 대면하여 다양한 액티비티를 함께 즐기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택트 인터랙션 서비스 제공방법.
Provision of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 on-tact interac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 to 5, claims 7 to 12, claim 14, and claims 16 to 20. In the method,
An invitation step in which the user logs into the server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creates a room for a desired activity, invites desired parties, or allows an unspecified number of other users to enter, using the user terminal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When the invited party or another user enters, preset objects for the activity are created using augmented reality (AR) on each user terminal, and text and voice chat functions are executed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 augmented reality creation step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An activity service in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to allow the user and the counterpart or other users to perform a selected activity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while conversing with each other through each user terminal, and to share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ctivity through the server. provision stage; and
When the activity is terminated, the process of allowing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or the other user to store and share photos or videos of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ctivity through each user terminal is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y being comprised of a termination step to be performed,
Through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R) and metaverse, it provides an interactive game function that allows users to communicate and interact freely with each other, while also allowing users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face-to-face without having to meet the person they want in person. A method of providing an on-tact interaction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pleasure of enjoying together.
KR1020210130344A 2021-09-30 2021-09-30 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reof KR102625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344A KR102625748B1 (en) 2021-09-30 2021-09-30 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344A KR102625748B1 (en) 2021-09-30 2021-09-30 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293A KR20230047293A (en) 2023-04-07
KR102625748B1 true KR102625748B1 (en) 2024-01-24

Family

ID=8597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344A KR102625748B1 (en) 2021-09-30 2021-09-30 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74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330B1 (en) * 2014-06-16 2016-01-15 김기석 Franchise managing system using g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665A (en) * 2010-03-15 2011-09-21 인크로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ame service with augmented reality
KR20160129684A (en) * 2015-04-30 2016-11-09 (주)웅진씽크빅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e-book
KR20170062836A (en) * 2015-11-30 2017-06-08 팝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US10569164B1 (en) * 2018-09-26 2020-02-25 Valve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AR) system for providing AR in video games
KR20200076626A (en) 2018-12-18 2020-06-29 인영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aching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210097268A (en) * 2020-01-29 2021-08-0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Distanc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KR102272255B1 (en) 2020-11-10 2021-07-02 와이비에스에듀 사회적협동조합 Method of providing experiential learning contents based on ar/v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330B1 (en) * 2014-06-16 2016-01-15 김기석 Franchise managing system using g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293A (en)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91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online multiplayer sessions
US9582682B2 (en) Causing a disappearance of a user profile in a location-based virtual social network
US20220070232A1 (en) Virtual events-based social network
JP64002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U2527746C2 (en) Avatar integrated shared media experience
KR10144178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game center having player specific options and statistics
US20110072367A1 (en) Three dimensional digitally rendered environments
CN110755850B (en) Team form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competitive game
US202201502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09059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viding multiple sharing modes in interactive application processing
KR102484017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ordinating multiplayer game sessions
CN114501104B (en) Inte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duct based on live video
US202400399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ve dating
TW202222394A (en) Matching system,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KR101578950B1 (en) Representations of communications sessions in virtual environments
US106323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user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TW202224741A (en) Matching system, program, and server
US201803538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ss user multi input control of a common display
KR102625748B1 (en) System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providing ontact interaction service using thereof
KR102063390B1 (en) Mixing game servic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9006833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ame broadcasting service in online game
WO2024109314A1 (e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object, and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product
KR102669170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ordinating multiplayer game sessions
KR20230138375A (en)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a winner computing device and game storage computing device therefor
Salzberg Fostering innovation: designing technological solutions to proactively encourage informal communication in the work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