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203B1 -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203B1
KR102616203B1 KR1020160131078A KR20160131078A KR102616203B1 KR 102616203 B1 KR102616203 B1 KR 102616203B1 KR 1020160131078 A KR1020160131078 A KR 1020160131078A KR 20160131078 A KR20160131078 A KR 20160131078A KR 102616203 B1 KR102616203 B1 KR 102616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lind spot
lane
detection area
spo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9838A (en
Inventor
김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to KR102016013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203B1/en
Publication of KR20180039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8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2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42
    • B60W242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방법은 카메라 및 레이다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사각지대 감지부, 상기 자차량의 주행정보 및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주행정보 수신부, 상기 자차량 및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접근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되며 상기 타차량이 주행 중인 제2 차로까지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includes a blind spo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using a camera and radar,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A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that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located in the blind spot, determines approac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o the host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and determines the approac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o the host vehicle while the host vehicle is driving. It is laterally spaced by more than two lanes from the first lane and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extend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to the second lane in which the other vehicle is driving, and a warning unit that warns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control unit. do.

Description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및 방법{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차선 변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 위험을 경보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ar-side warn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rear-side warning control device that warns of the risk of an accident caused by changing lanes by expanding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vehicle's driving environment. and methods.

최근 차량의 차선 변경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그리고 사각지대 감시 시스템(Blind Spot Detection System) 등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Recently, to prevent accidents that occur when a vehicle changes lanes, the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nd Blind Spot Detection System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시각적 관측의 한계 및 B-pollar에 의해 일정 각도의 사각지대를 가지는데, 차량의 사각지대는 일반적으로 차체 측면을 기준으로 13°~ 45° 영역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차량의 사이드 미러 등의 감지영역을 벗어나는 사각지대를 소위 블라인드 스팟(Blind spot)으로 표현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이러한 미러의 미감지 영역 등을 통칭하여 사각지대(Blind Spot)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In general, a vehicle's side mirror has a blind spot of a certain angl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river's visual observation and B-polar, and the vehicle's blind spot is generally defined as an area of 13° to 45° bas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body. Blind spots that are beyond the detection area of such vehicle's side mirrors are expressed as so-called blind spots. For convenience, in this specification, the non-detection areas of these mirror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blind spots. .

기존에는 이러한 사각지대에 장애물 등이 존재하는지 감지하기 위하여 초음파 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한 사각지대 감지(Blind Spot Detection; BSD) 시스템은 차량이 차선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의 정상 주행 과정에서는 의미가 있으나, 차량이 급격히 차선을 변경하여 진입할 때에는 종래의 사각지대 감지방법은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Previously, ultrasonic sensors, cameras, etc. were used to detect the presence of obstacles in such blind spots. However, the Blind Spot Detection (BSD) system using existing ultrasonic sensors is meaningful in the normal driving process when the vehicle is parallel to the lane, but when the vehicle suddenly changes lanes and enters, the blind spot detection (BSD) system uses existing ultrasonic sensors, etc. The blind spot detection method had a problem in that it could not function sufficiently.

예를 들어, 종래의 사각지대 감지시스템(BSD)에 의하여 인식되는 감지영역은 사용자 차량의 후측방의 일정 영역으로 정해지는 바, 타차량이 특정 차선에 급하게 진입하게 되는 경우 사각지대 감지영역이 사용자 차량의 옆옆차로까지 확장되지 않기 때문에 옆옆차로에서 차선 변경을 시도하는 장애물을 충분히 감지할 수 없게 된다.For example, the detection area recognized by a conventional blind spot detection system (BSD) is set to a certain area behind the user's vehicle, and when another vehicle suddenly enters a specific lan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determined by the user's vehicle. Because it does not extend to the lane next to the vehicle, obstacles attempting to change lanes in the lane next to the vehicle cannot be sufficiently detected.

즉, 감지영역에 차량이 있는 경우에만 경보하기 때문에 감지영역을 벗어난 옆옆차로에서 주행 중인 타차량과 사용자의 차량이 동시에 동일한 차로로 차선 변경을 시도하게 되면 차량 후측방 경보 시스템의 경보가 울리기 전에 차량끼리 충돌할 위험이 높다. In other words, since the alarm is only issued when there is a vehicle in the detection area, if another vehicle driving in the lane next to the vehicle outside the detection area and the user's vehicle attempt to change lanes to the same lane at the same time, before the alarm of the vehicle's rear side warning system sounds. There is a high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그러므로 감지영역을 확장하여 옆옆차로를 주행 중인 타차량이 차선 변경을 시도하면 사용자 차량에 사전 경고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vehicle rear-side warning system that expands the detection area and warns the user's vehicle in advance when another vehicle driving in the adjacent lane attempts to change lane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하여 감지할 수 있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that can detect a blind spot by expanding the vehicle's blind spot detection area.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각지대 감지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옆옆차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라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차선 변경에 따른 충돌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추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를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due to lane change by expanding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driving in the next lan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provides.

본 발명은 접근하는 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라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이며 성능이 향상된 차량 후측장 경보 제어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icient and performance-enhanced vehicle rear-mounted warning control device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according to driving information of an approaching vehicl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및 레이더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사각지대 감지부, 상기 자차량의 주행정보 및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주행정보 수신부, 상기 자차량 및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접근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되며 상기 타차량이 주행 중인 제2 차로까지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ind spo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using a camera and radar,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driving of other vehicles located in the blind spot A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determines approac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o the host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host vehicle and other vehicles, and transmits two devic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irst lane in which the host vehicle is traveling.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extend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to a second lane that is more than a lane away from the other vehicle and in which the other vehicle is traveling, and a warning unit that warns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control unit. provid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및 레이더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사각지대 감지단계, 상기 자차량의 주행정보 및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주행정보 획득단계, 상기 자차량 및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접근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되며 상기 타차량이 주행 중인 제2 차로까지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키는 제어단계 및 상기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ind spot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own vehicle's blind spot using a camera and radar, a driving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receiving the own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located in the blind spot,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the approac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o the own vehicle is determined, and the vehicle is spaced laterally by more than two lanes from the first lane in which the host vehicle is traveling, and extends to the second lane in which the other vehicle is traveling.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is provided, including a control step of expanding a blind spot detection area and a warning step of warning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타차량이 급격히 차선을 변경할 때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자차량의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자차량에 접근하는 타차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xpanding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of the own vehicle to prevent accidents that occur when other vehicles suddenly change lanes, there is an effect of accurately detecting other vehicles approaching the own vehicle. there is.

그리고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므로 효율적으로 경보 제어장치의 연산 처리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And sinc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selectively controlled, it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reducing the computational processing of the alarm control device.

또한,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차량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경고하므로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provide driver safety and convenience by accurately and quickly warning of vehicles located in blind spots.

도 1은 기존의 사각지대 감지영역과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사각지대 감지영역의 예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lind spot detection area and an expanded blind spot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of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of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dentical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interposed”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1은 기존의 사각지대 감지영역과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사각지대 감지영역의 예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lind spot detection area and an expanded blind spot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자차량(10) 및 타차량(11, 12)의 주행 조건에 따라 기존의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옆옆차로까지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하는 방식을 도시한다.Figure 1 shows a method of expanding the existing blind spot detection area to the adjacent lane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own vehicle 10 and other vehicles 11 and 12.

도 1을 참조하면, 제1 차로(130)를 주행 중인 자차량(10)은 도로 주행 중에 카메라 및 레이다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해 자차량(10)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타차량(11, 12)의 존재 여부 또는 접근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제1 타차량(11)은 제1 차로(130)로부터 2개 차로가 이격된 제2 차로(140)를 주행하고 있고, 제2 타차량(10)은 제1 차로(130)에 인접한 제3 차로(150)를 주행하고 있다. 도 1을 설명을 위하여 제1 타차량(11)이 자차량(10)이 주행 중인 제1 차로(130)로 진입하려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1, the host vehicle 10 traveling on the first lane 130 detects other vehicles 11 and 12 located in the blind spot of the host vehicle 10 through cameras, radar sensors, ultrasonic sensors, etc. while driving on the road. ) detects the presence or proximity of At this time, the first other vehicle 11 is driving on the second lane 140, which is two lanes away from the first lane 130, and the second other vehicle 10 is driving on the second lane 140 adjacent to the first lane 130. You are driving in lane 3 (150). To explain FIG. 1 , it is assumed that a first other vehicle 11 attempts to enter the first lane 130 in which the own vehicle 10 is traveling.

통상 사각지대 감지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는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 센서와 같이 일정 거리의 감지범위를 가지며, 사각지대 감지장치의 제어부가 이러한 센서의 감지영역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결정하게 된다.Typically, the sensors used in blind spot detection devices have a detection range of a certain distance, such as infrared sensors or ultrasonic sensors, and the control unit of the blind spot detection device determine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detection area of these sensors. .

여기에서, 자차량(10) 미러의 미감지 영역 등을 통칭하여 사각지대(120, Blind Spot)라 하며, 후측방 경보 시스템에 기설정된 종래의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제1 감지영역(100)이라 표현하고, 본 발명에 따라 확장된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제2 감지영역(110)이라 표시한다.Here, the non-detection area of the mirror of the own vehicle (10)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blind spot (120), and the conventional blind spot detection area preset in the rear and side warning system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etection area (100). and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expan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noted as the second detection area 110.

이때 기설정된 제1 감지영역(100)은 인접한 옆차로까지만 감지하지만 확장된 제2 감지영역(110)은 옆옆차로까지 감지하므로 옆차로에서 주행 중인 제2 타차량(12)뿐만 아니라 옆옆차로에서 차선 변경을 시도하는 제1 타차량(11)까지 감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t first detection area 100 only detects the adjacent side lane, but the expanded second detection area 110 detects the side lane as well, so not only the second other vehicle 12 driving in the side lane but also the side next lane It is possible to detect even the first other vehicle 11 attempting to change lanes.

즉, 종래의 후측방 경고 시스템에서는 자차량(10)이 주행 중인 제1 차로(130)의 옆옆차로인 제2 차로(140)에서 주행 중인 제1 타차량(11)이 차선을 변경하여 제3 차로(150)로 이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식하지 못하여 자차량(10)에 경고를 출력하지 않아 차량끼리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rear cross-traffic warning system, the first vehicle 11 driving in the second lane 140, which is a lane next to the first lane 130 in which the own vehicle 10 is traveling, changes lanes and Even though it is moving in the third lane 150, it does not recognize this and does not output a warning to the own vehicle 10, which may cause an accident where vehicles collide with each other.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에 의하면 제1 타차량(11)의 방향 지시등 및 측정된 상대속도를 통해 제1 타차량(11)이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후측방 경보 시스템에 기설정된 종래의 사각지대 감지영역인 제1 감지영역(100)을 제2 차로(140)까지 확장한 제2 감지영역(110)으로 변경하여 사각지대 감지 및 경고 기능을 수행하므로, 제1 타차량(11)의 접근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st other vehicle (11) is trying to change lanes through the turn signal lamp and the measured relative speed of the first other vehicle (11), the rear side It performs blind spot detection and warning functions by changing the first detection area 100, which is the conventional blind spot detection area set in the warning system,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110 extended to the second lane 140. 1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whether another vehicle (11) is approaching.

따라서 주행 중인 차량의 차선 변경에 따른 충돌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춰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due to changing lanes of a driving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 블럭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 장치(200)는 카메라 및 레이다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사각지대 감지부(210), 상기 자차량의 주행정보 및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주행정보 수신부 (220), 상기 자차량 및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접근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되며 상기 타차량이 주행 중인 제2 차로까지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키는 제어부(230) 및 제어부(2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that detects th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using a camera and radar,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located in the blind spot. A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220 that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determines approac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o the host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and determines the approac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o the host vehicle from the first lane in which the host vehicle is driving. A control unit 230 that is laterally spaced by two or more lanes and extend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to the second lane in which the other vehicle is driving, and a warning unit that warns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control unit 230. It may include (240).

도 2를 참조하면, 사각지대 감지부(210)는 위하여 사각지대 감지영역의 설정에 따라 차량의 후측방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카메라 및 레이다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초음파 센서모듈, 적외선 센서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지대까지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the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performs the function of detecting blind spots on the rear and side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and includes a camera and radar sensor module, and an ultrasonic sensor module. ,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nfrared sensor modules,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device that can detect blind spots is possible.

구체적으로, 이러한 사각지대 감지부(210)는 일반적인 사각지대 감지장치(BSD, Blind Spot Detection)을 위하여 사용되는 센서 및 센서모듈로서, 예를 들면 발신부(emitter)가 상기 자차량에 설치되어 전자기파 또는 초음파를 사각지대로 발사하고,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온 전자기파 또는 초음파를 수신부(detector)가 감지하여 사각지대에 물체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is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is a sensor and sensor module used for a general blind spot detection device (BSD, Blind Spot Detection). For example, an emitter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detect electromagnetic waves. Alternatively, ultrasonic waves can be fired to the blind spot, and a receiver (detector) detects the electromagnetic waves or ultrasonic waves that are reflected back from the object to recognize that an object exists in the blind spot.

또한 사각지대 감지부(210)는 리어뷰(rear view)카메라와 같은 카메라 장치를 상기 자차량의 좌우측 사이드 미러(side mirror)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자차량의 사각지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한 상기 사각지대 영상을 제어부(230)를 통해 경고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can capture th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by mounting a camera device, such as a rear view camera, on the left and right side mirrors of the own vehicle. At this time, the captured blind spot im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warning unit 240 through the control unit 230.

그리고 사각지대 감지부(210)는 센서의 감지가 가능한 영역 내에서 일정한 감지범위를 설정하는 센서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각지대 감지부(210)의 센서 ECU에 기설정된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제1 감지영역으로 표현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may additionally include a sensor ECU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sets a certain detection range within the area where the sensor can detect. At this tim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preset in the sensor ECU of the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is expressed as the first detection area.

주행정보 수신부(220)는 상기 자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 및 주행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자차량의 주행정보 및 상기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는데,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자차량 및 상기 타차량의 주행 속도, 주행 방향, 위치 정보, 차선 정보 및 상기 타차량에 장착된 방향 지시등의 점등 유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220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host vehicle and driving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from various sensors and driving systems mounted on the host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the driving speed of the host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driving direction, location information, lan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a turn signal lamp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is turned on.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정보 중에서 상기 자차량의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및 위치 정보는 상기 자차량에 장착된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주행 시스템 등으로부터 수신 가능하고, 상기 타차량의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및 위치 정보는 상기 자차량에 장착된 레이다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카메라 등을 통해 측정이 가능하다.Specifically, among the driving information, the driving speed, driving dir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can be received from GP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driving system mounted on the own vehicle, and the driving speed, driving direction, and location of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can be measured through a radar sensor, ultrasonic sensor, infrared sensor, or camera mounted on the vehicle.

이때 주행정보 수신부(220)에서 상기 타차량의 상기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타차량이 상기 자차량과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할 때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일정 거리 범위는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보다 넓은 영역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220 may be set to receive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when the other vehicle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range from the own vehicle, where the certain distance range is the blind spot detection. It may be a wider area than the area.

또한, 상기 주행정보 중에서 차선 정보는 상기 자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상의 차선의 개수, 차선의 간격 및 차선 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차량의 차선유지 시스템(LKAS, Lane Keeping Assistance System)에서 추정한 차선 정보가 주행정보 수신부(220)로 수신되거나, 차량 전방 또는 측방을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영상 처리함으로써 상기 자차량 주위의 차선을 식별한 차선 정보가 주행정보 수신부(220)로 수신될 수 있다. Additionally, among the driving information, lan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lanes, lane spacing, and lane width on the road on which the own vehicle is traveling. At this time, lane information estimated by the lane keeping assistance system (LKAS) of the own vehicle is receiv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220, or images taken by a camera of the front or side of the vehicle are processed to determine the surroundings of the own vehicle. Lan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lane may be receiv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220.

그리고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의 점등 유무에 대한 정보는 방향 지시등의 점등 상태(ON/OFF),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지시등의 점등 상태에 대한 정보이며, 이를 통해 상기 타차량의 차선 변경 의사 및 차선 변경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s information about the turn signal lamp lighting status (ON/OFF) and the left or right turn signal lamp lamp, through which the other vehicle's intention to change lanes and lane change are determined. The direction can be estimated.

이와 같이, 사각지대 감지부(210) 및 주행정보 수신부(220)로부터 생성된 상기 자차량 및 상기 타차량의 상기 주행정보를 제어부(23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타차량 및 자차량의 급격한 차선 변경로 인한 충돌 위험을 신속하게 경고하도록 경고부(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generated from the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2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30 to prevent sudden lane changes of the other vehicle and the own vehicle.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unit 240 can be controlled to quickly warn of the risk of collision.

제어부(230)에서 기설정된 사각지대 감지영역은 제1 감지영역이고, 상기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된 제2 차로까지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킨 영역은 제2 감지영역일 수 있다. 이때 확장된 상기 제2 감지영역은 상기 제1 감지영역보다 넒은 범위의 영역으로 횡방향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된 제2 차로까지의 영역이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포함되면 된다.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preset by the control unit 230 is the first detection area, and the area in which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expanded from the first lane to the second lane spaced laterally by more than two lanes is the second detection area. It can be. At this time, the expanded second detection area is preferably a wider area than the first detection area and the lateral spacing is widen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detection area is more than two lanes apart from the first lan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area up to the second lane may be included as the second detection area.

또한, 제어부(230)는 사각지대 감지부(210) 및 주행정보 수신부(220)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행정보를 통해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설정하는데, 이때 상기 자차량의 상기 사각지대에 위치한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점등되면 상기 방향 지시등의 지시 방향을 판별하고,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미점등되면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0 set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through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220. At this time, th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turn signal lamp is determined, and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s not turned on,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own vehicle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이때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상기 상대속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대속도는 상기 타차량의 상대속력의 크기 및 상대속도의 방향을 포함하는 벡터값이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may be set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and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own vehicle may be set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If it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can be set as the second detection area. At this time, the relative speed is a vector value including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1개 차로로 이격되는 제3 차로로 진입하는 상기 타차량의 진입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1 감지영역 또는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 진입한 이후 상기 제3 차로에서 주행하는 시간이 임계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타차량을 진입 완료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1 감지영역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0 determines the entry state of the other vehicle entering the third lane, which is laterally separated by one lane from the first lane in which the host vehicle is traveling, and determines the blind spo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The detection area can be reset to the first detection area or the second detection area. At this time, if the driving time in the third lane after the other vehicle enters the third lane is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the other vehicle is determined to have entered the complete state, and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converted to the first detection area. It can be reset.

그리고 제어부(230)에서 설정 또는 재설정한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사각지대 감지부(210)로 전송하면 사각지대 감지부(210)는 제어부(230)에서 설정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감지영역 또는 제2 감지영역으로 사각지대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nd when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set or reset by the control unit 230 is transmitted to the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the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detects the first detection area or A blind spot detec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second detection area.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을 지시하거나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으로 진입 시도하면 경고부(240)가 경고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 진입 완료하거나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소등되면 상기 경고부(240)의 경고 표시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230)는 상기 자차량의 속도가 60 km/h 이상인 경우에만 차량 후측방 경고 제어장치(2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warning unit 240 to display a warning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another vehicle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or when the other vehicle attempts to enter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When the vehicle completes entering the third lane or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turns off, the warning display of the warning unit 240 can be controlled to end.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230 may control the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200 to operate only when the speed of the own vehicle is 60 km/h or higher.

경고부(240)는 통상적으로 상기 자차량의 후측방 사각지대의 일정 거리 이내에 타차량이 존재하면 경보를 출력한다. 이때 경고부(240)는 제어부(23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수단 또는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지칭한다.The warning unit 240 typically outputs an alarm when another vehicle exists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rear and sid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At this time, the warning unit 240 refers to a means for outputting a warning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30 or a component that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such means.

그리고 경고부(240)는 음성 모듈, 진동 모듈, 영상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차량의 차선 변경시 사고 위험을 경고하도록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 차량의 계기판에 설치되어 점등 또는 점멸되는 경고등, 차량의 전면 유리에 경고 영상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장치, 상기 자차량과 상기 타차량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네이게이션 등의 기능을 탑재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의 스티어링휠(steering wheel)이나 시트(seat), 가속 페달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햅틱 모듈 등이 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arning unit 240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devi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voice module, a vibration module, and an image module. For example, a speaker that outputs a warning alarm to warn of the risk of an accident when another vehicle changes lanes, a warning light that is installed on the vehicle's instrument panel and lights up or flashes, and a head-up display that displays a warning image or text on the vehicle's windshield. (Head-Up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functions such as navigation that displays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on the screen, and is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seat, or accelerator pedal of the vehicle It may be a haptic module that generates vibration.

구체적으로, 경고부(240)의 상기 경고등은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를 기준으로 상기 타차량이 사각지대의 좌측에서 감지된 경우 좌측 램프를 점멸하고, 상기 타차량이 상기 사각지대의 우측에서 감지된 경우 우측 램프를 점멸할 수 있고, 상기 햅틱 모듈은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를 기준으로 상기 타차량이 사각지대의 좌측에서 감지된 경우 좌측에서 진동하고, 상기 타차량이 상기 사각지대의 우측에서 감지된 경우 우측에서 진동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arning light of the warning unit 240 flashes the left lamp when another vehicle is detected on the left side of the blind spot based on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and when the other vehicle is detec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lind spot. In this case, the right lamp may flash, and the haptic module vibrates on the left side when the other vehicle is detected on the left side of the blind spot based on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and the haptic module vibrates on the left side when the other vehicle is detec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lind spot. In this case, it may vibrate on the right side.

또한, 경고부(240)는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을 지시하거나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으로 진입 시도하면 경고 표시하고,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 진입 완료하면 상기 경고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rning unit 240 displays a warning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or when the other vehicle attempts to enter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and the other vehicle moves into the third lane. Once entry is complete, the warning display can end.

더불어 경고부(240)의 상기 영상 모듈(미도시)은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을 지시하거나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의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 진입 완료하면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deo module (not shown) of the warning unit 240 detects the blind spot in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or the other vehicl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An image may be generated, and output of the image may be terminated when the other vehicle completes entering the third lan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후측방 경고 제어장치(200)에 의하면, 상기 제2 차로를 주행 중인 상기 타차량이 차선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자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이를 경고부(240)에 자동으로 경고 표시하므로 운전자의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고 위험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other vehicle driving in the second lane changes lanes and approaches the own vehicle, this is automatically sent to the warning unit 240. By displaying a warning, it improves the driver's driving convenience and reduces the risk of accident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후측방 경고 제어장치(200)에 의하면, 사각지대 감지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옆옆차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라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차선 변경에 따른 충돌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추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expanded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driving in the next lan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This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due to lane chang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of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 방법은 자차량의 후방 또는 측방에 장착되어 상기 자차량의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감지하는 사각지대 감지단계, 상기 자차량의 주행정보 및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주행정보 획득단계, 수신된 상기 자차량 및 타차랑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되며 상기 타차량이 주행 중인 제2 차로까지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키는 제어단계 및 상기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ind spot detection step of installing at the rear or side of the own vehicle to detect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of the own vehicl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located in the blind spot. A driving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receiving driving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other vehicle is approaching the host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driving information of the host vehicle and other vehicle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host vehicle is approaching from the first lane in which the host vehicle is driving. A control step of expanding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to a second lane that is spaced laterally by more than two lanes and in which the other vehicle is driving, and a warning step of warning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It can be includ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은 제1 감지영역으로 기설정되어 있다(S300). 이때 상기 제1 감지영역은 상기 제1 차로에 인접한 옆차로까지를 포함하는 상기 자차량의 사각지대 영역이다. 또한, 상기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된 제2 차로까지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킨 영역은 제2 감지영역이다.Referring to FIG. 3,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preset as the first detection area (S300). At this time, the first detection area is a blind spot area of the own vehicle including the side lane adjacent to the first lane. Additionally, an area wher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extended from the first lane to a second lane that is laterally spaced by more than two lanes is a second detection area.

그리고 상기 사각지대 감지단계에서 카메라 및 레이다 센서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S310) 상기 제2 차로에서 주행하며 상기 자차량으로 접근하는 상기 타차량을 감지하고, 상기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한다.In addition, by execut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and radar sensor in the blind spot detection step (S310), the other vehicle driving in the second lane and approaching the own vehicle is detected,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is obtained.

이때 상기 타차량의 상기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타차량이 상기 자차량과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할 때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일정 거리 범위는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보다 넓은 영역일 수 있다.At this time,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may be set to be performed when the other vehicle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range from the own vehicle, where the certain distance range may be an area wider than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

그리고 상기 사각지대 감지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및 레이다 센서를 통해 상기 자차량의 사각지대인 상기 제2 차로에서 주행하는 상기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정보 획득단계에서 상기 자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 및 주행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자차량의 주행정보 및 상기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환경 정보를 수신한다(S320).And in the blind spot detection step,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driving in the second lane, which is the blind spot of the host vehicle, is received through the camera and radar sensor, and in the driving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he vehicle mounted on the host vehicle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driving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is received from various sensors and driving systems (S320).

이때, 상기 제어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타차량의 상기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차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점등되는지 판단한다(S330).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driving in the second lane is turned on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obtained in the control step (S330).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점등되면 상기 방향 지시등이 우측 또는 좌측 방향 지시등인지 판별하고, 상기 제1 차로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340).When the turn signal light of the other vehicle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urn signal light is a right or left turn signal light, and whether it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S340).

이때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설정하고(S350),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반대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기설정된 상기 제1 감지영역으로 유지한다(S300).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set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S350), and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s set to the first lan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lane is indicated,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maintained as the preset first detection area (S300).

반면에,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미점등되면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한다(S360).On the other hand,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s not turned on,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own vehicle is calculated in real time (S360).

이때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상기 상대속도가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데(S370), 상기 상대속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설정하고(S350), 상기 상대속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1 감지영역으로 유지한다(S300).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own vehicle is more than a threshold (S370). If the relative speed is more than the threshold,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set as the second detection area (S350), If the relative speed is less than the threshold,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maintained as the first detection area (S300).

여기에서, 상기 상대속도는 상기 타차량의 상대속력의 크기 및 상대속도의 방향을 포함하는 벡터값이다.Here, the relative speed is a vector value including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따라서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타차량의 차선 변경이 이루어지는 위험한 상황이더라도,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상기 상대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사고 위험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Therefore, even in a dangerous situation where the other vehicle changes lanes while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s not turned on,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expanded by measuring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own vehicle in real time. By doing so, the risk of acciden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타차량의 차선 변경 의도를 감지하고 판단하여 차선 변경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상기 경고단계에서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 표시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process, the intention of the other vehicle to change lanes can be detected and determined, and a real-time warning of the risk of an accident due to lane change can be displayed to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in the warning stage.

이때, 상기 경고단계에서 상기 경고 표시는 음성 모듈, 진동 모듈, 영상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warning step, the warning display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device among a voice module, a vibration module, and an image modu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of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자차량의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200)의 사각지대 감지영역은 상기 제2 차로에서 주행 중인 상기 타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라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다(S400).Referring to FIG. 4,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of the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200 of the own vehicle is set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according to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driving in the second lane ( S400).

그리고 상기 사각지대 감지단계에서 카메라 및 레이다 센서의 동작을 실행하여(S410) 상기 자차량으로 접근하는 타차량을 감지하고, 상기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한다.Then, in the blind spot detection step, the camera and radar sensors are operated (S410) to detect another vehicle approaching the own vehicle and obtain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그리고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1개 차로로 이격되는 제3 차로로 진입하는 상기 타차량의 진입 완료 상태를 판단한다(S420).And in the control step, the entry completion state of the other vehicle entering the third lane, which is laterally separated by one lane from the first lane in which the host vehicle is traveling, is determined (S420).

이때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 진입하였으면, 진입한 이후 상기 제3 차로에서 주행하는 시간이 임계시간 이상인지 판단하는데(S430),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서 주행하는 시간이 상기 임계시간 이상이면 제3 차로로 진입을 완료한 상태로 판단하므로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1 감지영역으로 재설정한다(S440). 그러나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서 주행하는 시간이 상기 임계시간 미만이면 상기 타차량은 상기 제1 차로 또는 상기 제2 차로로 다시 진입을 시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므로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유지한다(S400).At this time, if the other vehicle has entered the third lan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ing time in the third lane after entering is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S430), and the time for the other vehicle to drive in the third lane is the threshold time. If it is longer than the time, it is determined that entry into the third lane has been completed, so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reset to the first detection area (S440). However, if the driving time of the other vehicle in the third lan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other vehicle may attempt to re-enter the first lane or the second lane, and thu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determined as Maintain it as the second detection area (S400).

반면에,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 진입을 완료하지 않았다면,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유지한다(S400). On the other hand, if the other vehicle has not completed entering the third lan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maintained as the second detection area (S400).

또한,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을 지시하거나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으로 진입 시도하면 경고부(240)가 경고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 진입 완료하거나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소등되면 상기 경고부(240)의 경고 표시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step, if the turn signal lamp of another vehicle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or the other vehicle attempts to enter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the warning unit 240 is controlled to display a warning, and the warning unit 240 is controlled to display a warning. When the vehicle completes entering the third lane or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turns off, the warning display of the warning unit 240 can be controlled to en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타차량의 차선 변경 의도를 감지하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경고단계에서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intention of the other vehicle to change lanes can be detected and determined, and accordingly, a warning display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to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in the warning sta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후측방 경고 제어방법에 따르면 타차량이 급격히 차선을 변경할 때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자차량의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자차량에 접근하는 타차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that occur when other vehicles suddenly change lane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of the own vehicle is expanded to detect other vehicles approaching the own vehic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etected accurately.

그리고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므로 효율적으로 경보 제어장치의 연산 처리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차량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경고하므로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t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reducing the computational processing of the alarm control device, and provides driver safety and convenience by accurately and quickly warning vehicles located in the blind spo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in which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ne or more pieces of hardware.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age media for computer programs may include magnetic recording media, optical recording media,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as us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차량 : 10 제1 타차량 : 11
제2 타차량 : 12
제1 차로 : 130 제3 차로 : 140
제2 차로 : 150
제1 감지영역 : 100 제2 감지영역 : 110
사각지대 : 120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 200
사각지대 감지부: 210 주행정보 수신부: 220
제어부 : 230 경고부 : 240
Own vehicle: 10 1st other vehicle: 11
2nd vehicle: 12
1st lane: 130 3rd lane: 140
Second lane: 150
1st detection area: 100 2nd detection area: 110
Blind spot: 120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200
Blind spot detection unit: 210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220
Control unit: 230 Warning unit: 240

Claims (14)

카메라 및 레이다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사각지대 감지부;
상기 자차량의 주행정보 및 상기 사각지대 감지부로부터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주행정보 수신부;
상기 자차량 및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접근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되며 상기 타차량이 주행 중인 제2 차로까지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차량의 상기 사각지대에 위치한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점등되면 상기 방향 지시등의 지시 방향을 판별하고,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미점등되면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은,
상기 사각지대 감지부가 감지 가능한 영역 내에서 일정한 감지범위를 가지도록 설정되며,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영역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A blind spo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blind spot of the vehicle using a camera and radar;
a driving information receiver that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driving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located in the blind spot from the blind spot detection unit;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the approac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o the host vehicle is determined, and the host vehicle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ane in which the host vehicle is traveling by more than two lanes laterally, and the other vehicle is A control unit that extend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to the second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being driven; and
Includes a warning unit that warns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is turned o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turn signal lamp is determined, and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s not turned on,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own vehicle is determined. Calculate in real tim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in which the blind spot detector is set to have a certain detection range within a detectable area, and is an area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warn the dri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는,
상기 자차량 및 상기 타차량의 주행 속도, 주행 방향, 차선 정보, 위치 정보 및 상기 타차량에 장착된 방향 지시등의 점등 유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information is,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peed, driving direction, lan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a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turn signal lamp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is turned 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기설정된 사각지대 감지영역은 제1 감지영역이고, 상기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된 제2 차로까지 상기 기설정된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킨 영역은 제2 감지영역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trol unit,
The preset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the first detection area, and the area extending the preset blind spot detection area from the first lane to the second lane that is laterally spaced by more than two lanes is the second detection area, which is the second detection area after the vehicle. Side alarm control.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제2 감지영역으로 설정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that set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as a second detection are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상기 상대속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제2 감지영역으로 설정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that sets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as a second detection area when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own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1개 차로로 이격되는 제3 차로로 진입하는 상기 타차량의 진입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1 감지영역 또는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 재설정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use 3,
The control unit,
Determine the entry state of the other vehicle entering the third lane that is laterally separated by one lane from the first lane in which the host vehicle is traveling, and detect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to the first lane.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that resets to the area or the second detection are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 진입한 이후 상기 제3 차로에서 주행하는 시간이 임계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타차량을 진입 완료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상기 제1 감지영역으로 재설정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use 7,
The control unit,
If the driving time in the third lane is more than the threshold time after the other vehicle enters the third lane, the other vehicle is determined to have entered, and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reset to the first detection are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을 지시하거나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으로 진입 시도하면 경고 표시하고, 상기 타차량이 상기 제3 차로에 진입 완료하면 상기 경고 표시를 종료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warning part,
When the turn signal of the other vehicle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or when another vehicle attempts to enter the first lane, a warning display is displayed, and when the other vehicle completes entering the third lane, the warning display is displayed. Rear traffic warning control device for exiting vehicles.
카메라 및 레이다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사각지대 감지단계;
상기 자차량의 주행정보 및 상기 사각지대 감지단계로부터 감지된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주행정보 획득단계;
상기 자차량 및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접근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자차량이 주행 중인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되며 상기 타차량이 주행 중인 제2 차로까지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키는 제어단계; 및
상기 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자차량의 상기 사각지대에 위치한 상기 타차량의 방향 지시등이 점등되면 상기 방향 지시등의 지시 방향을 판별하고,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미점등되면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상대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은,
상기 사각지대 감지단계가 감지 가능한 영역 내에서 일정한 감지범위를 가지도록 설정되며, 상기 운전자에게 경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영역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방법.
A blind spot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using a camera and radar;
A driving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receiv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driving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located in a blind spot detected from the blind spot detection step;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and other vehicles, the approach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o the host vehicle is determined, and the host vehicle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ane in which the host vehicle is traveling by more than two lanes laterally, and the other vehicle is A control step of expanding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to the second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being driven; and
A warning step of warning the driver of the own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The control step is,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located in the blind spot of the own vehicle is turned o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turn signal lamp is determined, and when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s not turned on,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own vehicle is determined. Calculate in real time,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in which the blind spot detection step is set to have a certain detection range within a detectable area, and the area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warn the drive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
기설정된 사각지대 감지영역은 제1 감지영역이고, 상기 제1 차로로부터 횡방향으로 2개 차로 이상 이격된 제2 차로까지 상기 기설정된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확장시킨 영역은 제2 감지영역인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0,
In the control step,
The preset blind spot detection area is the first detection area, and the area extending the preset blind spot detection area from the first lane to the second lane that is laterally spaced by more than two lanes is the second detection area, which is the second detection area after the vehicle. Side alarm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타차량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상기 제1 차로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제2 감지영역으로 설정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step is,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for setting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as a second detection are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urn signal lamp of the other vehicle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lan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자차량에 대한 상기 타차량의 상기 상대속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각지대 감지영역을 제2 감지영역으로 설정하는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step is,
A vehicle rear side warning control method for setting the blind spot detection area as a second detection area when the relative speed of the other vehicle with respect to the own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KR1020160131078A 2016-10-11 2016-10-11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26162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078A KR102616203B1 (en) 2016-10-11 2016-10-11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078A KR102616203B1 (en) 2016-10-11 2016-10-11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838A KR20180039838A (en) 2018-04-19
KR102616203B1 true KR102616203B1 (en) 2023-12-21

Family

ID=6208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078A KR102616203B1 (en) 2016-10-11 2016-10-11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2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297B1 (en) * 2018-12-10 2021-06-15 주식회사 좋은현상 Wireless alert system and wireless alert method thereof
KR20220089762A (en) * 2020-12-21 2022-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vehice collis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89B1 (en) 2007-12-06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nitering system of side-rear area of car and the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053B1 (en) * 2010-05-04 2011-12-22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door rock of vehicle
KR101487937B1 (en) * 2013-04-11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bject of vehicle surroundings
KR101562236B1 (en) * 2014-01-21 2015-10-23 자동차부품연구원 Apparatus for warning accident dang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90868B1 (en) * 2015-02-12 2022-04-27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Blind spot detection method and blind spot det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89B1 (en) 2007-12-06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nitering system of side-rear area of car and th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838A (en)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350B2 (en)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US9669760B2 (en) Warning device
JP4513318B2 (en) Rear side im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661135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external recognition device
US201402471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signal warning
US1081087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6557843B1 (en) VEHICL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PROGRAM
US11347233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vehicle control system, and image sensor
JP2008293099A (en) Driving support device for vehicle
JP2009211309A (en) Traveling support apparatus
US10759334B2 (en) Syst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139128A (en) Vehicular periphery monitoring device
US201802044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rt assistance for a motor vehicle
US20140297107A1 (en) Park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CN113895433B (en) Forward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through sensor angle adjustment
KR102616203B1 (en)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4986070B2 (en) Ambient monitoring device for vehicles
WO2014076841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6236094A (en) Obstacle recognition system
KR101103357B1 (en)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to replace the side mirror
JP2008250453A (en) Drive support device and method
JP2015219721A (en)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object recognition device
US11608071B2 (en) Vehicle control device
KR20170069645A (en)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US20190147273A1 (en) Alert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