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181B1 - Electronic commerce system - Google Patents

Electronic commer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181B1
KR102606181B1 KR1020220063077A KR20220063077A KR102606181B1 KR 102606181 B1 KR102606181 B1 KR 102606181B1 KR 1020220063077 A KR1020220063077 A KR 1020220063077A KR 20220063077 A KR20220063077 A KR 20220063077A KR 102606181 B1 KR102606181 B1 KR 102606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que identification
product
buyer
identification code
centr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헌
Original Assignee
박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헌 filed Critical 박종헌
Priority to KR102022006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1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3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inven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05Skin pack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구매자단말기와, 접속된 상기 구매자단말기의 구매요청에 의해, 기 마련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단말기는,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상품의 포장재에 표시된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근거로 상기 구매자에 대한 상기 상품의 구매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부여하되,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재구매요청이 있으면, 기 적립된 상기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하고, 결제완료시 상기 상품에 대한 재구매이력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재구매이력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추가적인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추가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mmerce system including a buyer terminal and a central server that sells a prepared product to the buyer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from the connected buyer terminal, wherein the buyer terminal is placed on the product or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The displayed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ognized and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and the central server generate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roduct for the buyer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poin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ecognition times for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granted to the buyer, and the central server allows payment using the already accumulated points if there is a request to repurchase the product from the buyer, and generates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upon completion of payment.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provides an e-commer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ly when the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s available, additional points are granted to the buy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ecognitions for the additional unique identification code.

Description

전자상거래시스템 {ELECTRONIC COMMERCE SYSTEM}Electronic commerce system {ELECTRONIC COMMERCE SYSTEM}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의 상품 구매시 포인트를 적립하여 주고, 구매자가 동일 상품에 대한 재구매시 적립된 포인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that accumulates points when a buyer purchases a product and allows the buyer to use the accumulated points when repurchasing the same product.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기존 오프라인상의 상품매매방식에서 온라인상의 상품매매방식으로 전환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단말기의 발달과 보급이 비약적으로 이루어져, 웹사이트 따위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판매자는 판매상품을 마련하고, 구매자는 기 마련된 상품을 구매하는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there is a rapid transition from the existing offline method of purchasing products to an online method of purchasing products. At the same time,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erminals has progressed rapidly, allowing sellers to sell products online through websites, etc. is prepared, and the buyer is purchasing the already prepared product.

이렇게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상품매매방식은 구매자의 입장에서, 상품을 직접 구매하러 가지 않고도 여러 상품을 비교하거나, 다양한 상품을 검색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상품을 주문하여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method of selling products online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buyers to order and purchase products conveniently because it is easy to compare multiple products or search for various products without having to purchase the product in person.

또 이와 반대로,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짧은 시간 내에 다수의 구매자에게 상품광고를 할 수 있고, 또 상품의 유통구조를 간단히 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자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Conversely, from the seller's point of view,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duct can be advertised to a large number of buy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the product can be simplified to provide the product to buyers at a lower price.

이러한 장점들로, 최근 상품을 판매하거나 구매하는 수없이 많은 플랫폼들이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Due to these advantages, numerous platforms for selling or purchasing products have been created recently.

이렇게 많은 수의 상품매매플랫폼이 등장하고 있고,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많은 수의 판매자들 역시 등장하고 있어, 구매자가 어느 한 판매자로부터 어느 한 상품을 구매한 이후에는, 다시 동일한 판매자의 동일 상품을 재구매하는 비율이 매우 낮다.A large number of product trading platforms are emerging, and a large number of sellers selling the same product are also appearing, so after a buyer purchases a product from a seller, he or she has to repurchase the same product from the same seller. The rate is very low.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a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is required.

KRKR 10-2011-0082912 10-2011-0082912 AA KRKR 10-2018-0033656 10-2018-0033656 AA

본 발명은, 구매자로부터 동일 상품에 대한 재구매를 유도할 수 있고, 아울러, 구매자의 상품소비이력 등을 관제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e-commerce system that can induce buyers to repurchase the same product and can also control the buyer's product consumption history.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구매자단말기와, 접속된 상기 구매자단말기의 구매요청에 의해, 기 마련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단말기는,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상품의 포장재에 표시된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근거로 상기 구매자에 대한 상기 상품의 구매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부여하되,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재구매요청이 있으면, 기 적립된 상기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하고, 결제완료시 상기 상품에 대한 재구매이력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재구매이력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추가적인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추가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을 제공한다.As a mean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mmerce system including a purchaser terminal and a central server that sells ready-made products to the purchaser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from the connected purchaser terminal, wherein the purchaser The terminal recogniz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product or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and connects to the central server, and the central server generate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for the buyer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 points are granted to the buy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ognized, and the central server allows payment using the already accumulated points if there is a request to repurchase the product from the buyer. Upon completion,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is generated, and the central server grants additional points to the buyer equal to the number of recognitions for the additional unique identification code only when there is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Provides a commercial transaction system.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상기 구매자단말기의 인식이 있더라도, 상기 구매자의 상기 상품에 대한 재구매이력정보가 없으면 상기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추가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entral server may not grant additional points to the buyer if there is no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of the buyer even if the buyer terminal recogniz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품은, 복수의 소포장식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포장식품마다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마련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소포장식품마다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누적적으로 부여하되, 누적된 포인트의 총합은 상기 상품에 기 설정된 포인트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duc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mall packaged foods,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ovided for each small packaged food, and the central server awards points for each small packaged fo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cognition times for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t is granted cumulatively to the buyer, but the total accumulated points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points preset for the produc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품은, 복수의 소포장식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의 절취나 변형에 의해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의해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duc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mall packaged foods,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urchaser terminal can recognize it by cutting or modifying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에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인쇄되어 있되,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의 전후면 각각에 상기 고유식별부호의 서로 다른 부분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and different parts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re on each of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based on the perforation line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This may be print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에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인쇄되어 있되,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인쇄되어 있는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의 일부분이 절첩 부착되어 있어 은폐되어 있고, 상기 소포장식품의 소비를 위해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 중 부착된 부분을 펼치면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and a por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on whic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is folded and attached and hidden, and the small packaged food is consumed. For this purpos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may be exposed when the attached por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is unfold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여부를 근거로 상기 구매자의 상기 소포장식품에 대한 섭취이력을 관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entral server may control the purchaser's consumption history of the small packaged foo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ogniz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섭취이력과 기 설정된 일정을 근거로 상기 구매자의 상기 소포장식품에 대한 미섭취여부를 판단하고, 미섭취시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entral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purchaser has not consumed the small packaged food based on the consumption history and a preset schedule, and may transmit an alarm signal to the purchaser terminal when the packaged food has not been consum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품의 포장재는, 일면이 개봉되는 상자 형태의 포장재로서, 상기 고유식별부호 중 일부는, 상기 상품의 포장재의 외측면 중 개봉시 젖혀지는 개봉면에 마련되고, 상기 고유식별부호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개봉면과 이웃하는 면들 중 개봉된 상기 개봉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개봉이웃면에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is a box-shaped packaging material that is opened on one side, and some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which is flipped when opened,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ovided on the opening side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Another part of the symbol may be provided on an unsealed neighboring surface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unsealed surface, among surfaces neighboring the unsealed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품의 포장재는, 병뚜껑과 이의 의해 개봉되는 병몸체를 포함하는 포장재로서, 상기 고유식별부호 중 일부와 또 다른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지에 인쇄되고, 상기 병뚜껑의 개봉에 의해서만 상기 고유식별부호 중 일부와 또 다른 일부는 인접 배치되어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의해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ckaging material for the product is a packaging material that includes a bottle cap and a bottle body that is opened by the bottle cap, and some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nd another part are printed on at least one printing paper, and the bottle cap is Only by opening, some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nd another part can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de recognizable by the purcha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의한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이 있으면,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부여하기 전에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상기 상품에 대한 설문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f the central server recogniz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by the purchaser terminal, it may request a questionnaire response about the product from the purchaser terminal before granting points to the purchaser.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은,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되 포인트의 부여나 그 사용에 제한을 둠으로써 구매자의 동일 상품에 대한 직접적인 재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The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direct repurchase of the same product by the buyer by granting points to the buyer but limiting the granting or use of the points.

또한, 구매자가 상품을 소비한 경우에만, 일 예로 구매자가 소포장된 식품을 섭취한 경우에만,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함으로써, 구매자에게 상품 소비를 간접적으로 독려할 수 있다.In addition, points can be given to the buyer only when the buyer consumes the product, for example, only when the buyer consumes small-packaged food, thereby indirectly encouraging the buyer to consume the product.

또한, 중앙서버는 쇼핑몰구매자의 상품소비이력을 관제할 수 있고, 구매자의 상품 미소비시, 일 예로 구매자가 소포장된 식품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에는, 구매자에게 알람신호를 전달하여, 구매자의 상품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can control the shopping mall buyer's product consumption history, and when the buyer does not consume the product, for example, if the buyer does not consume small-packaged food, an alarm signal is sent to the buyer to monitor the buyer's product consumption. It can be in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가 구매자에게 포인트 부여 여부에 대한 결정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에서 구매자의 상품소비이력에 대한 모니터링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에서 구매자에게 설문응답을 요청하는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n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step by step the process of the central server deciding whether to grant points to the purcha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of a monitoring screen for a buyer's product consumption history in an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of a screen requesting a questionnaire response from a buyer in an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unit”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and of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은, 구매자단말기(10)와, 접속된 구매자단말기(10)의 주문이나 구매요청에 의해 기 마련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중앙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ls a purchaser terminal 10 and a product already prepared according to an order or purchase request of the connected purchaser terminal 10 to the purchaser. It may include a central server 30.

이때, 중앙서버(30)를 통해 구매자에게 판매되는 상품은 판매자단말기(20)를 통해 판매자가 마련한 것일 수 있으나, 중앙서버(30)가 판매자단말기(20)에 의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등록한 것일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product sold to the buyer through the central server 30 may be prepared by the seller through the seller terminal 20, but may be registered by the central server 30 on its own rather than through the seller terminal 20, 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구매자는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그리고 판매자는 판매자단말기(20)를 이용하여 중앙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다.Buyers can access the central server 30 using the buyer terminal 10, and sellers can access the central server 30 using the seller terminal 20.

일 예로, 중앙서버(30)는 판매자단말기(20)를 통해 등록되어 기 마련된 상품의 목록을 구매자단말기(10)의 요청에 의해 제공할 수 있으며, 이후 구매자단말기(10)의 주문이나, 구매요청에 따라 판매자단말기(20)는 주문 또는 구매요청이 있는 대상 상품을 구매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판매 및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entral server 30 may provide a list of already prepared products registered through the seller terminal 20 at the request of the buyer terminal 10, and then the order or purchase request of the buyer terminal 10. Accordingly, the seller terminal 20 delivers the target product for which there is an order or purchase request to the buyer, so that sale and purchase of the product can be performed.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Below, we will look at each component in detail.

구매자단말기(10)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에 의해 운영되는 단말기로서, 구매자단말기(10)의 단말기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사용자가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고정형 단말기는 물론, 휴대폰, 스마트폰(smart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이동형 단말기일 수 있다.The buyer terminal 10 is a terminal operated by a buyer who wishes to purchase a product. The type of terminal of the buyer terminal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user can us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s well as a fixed terminal such as a PC (personal computer). Smart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slate PCs, tablet PCs, ultrabooks, etc. It may be the same mobile termina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구매자단말기(10)를 운영 또는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주체로서 구매자이나, 상품을 주문하는 주문자이기 때문에, 구매자와 주문자의 용어는 서로 혼용될 수 있다.Among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user who operates or uses the purchaser terminal 10 is a buyer as an entity who wishes to purchase a product, but since he or she is an orderer who orders a product, the terms buyer and order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구매자단말기(10)는 구매자로부터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입력을 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매자단말기(10)는 구매자의 검색입력을 근거로 중앙서버(30)에 검색요청을 할 수 있다. 검색요청에 대응하여 구매자단말기(10)는 중앙서버(30)로부터 검색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검색결과를 이용하여 구매자는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주문하거나 주문된 상품에 대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The buyer terminal 10 can receive a search input to search for a product from the buyer, and accordingly, the buyer terminal 10 can make a search request to the central server 30 based on the buyer's search input. In response to the search request, the buyer terminal 10 can receive search results from the central server 30, and usi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the buyer orders or orders at least one product using the buyer terminal 10. Payment can be made for purchased products.

여기서, 검색입력은 구매자가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구매자로부터 입력된 단어나 이미지 따위일 수 있고, 구체적인 일 예로 상품명이나 상품종류 등을 포함한 각종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arch input may be a word or image entered by the buyer to search for a product, and may include various keywords, including product name or product type, as specific examples.

한편, 구매자단말기(10)에 상응하는 판매자단말기(20)는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에 의해 운영되는 단말기로서, 판매자단말기(20)의 단말기 종류 역시, 고정형 단말기나 이동형 단말기일 수 있고,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seller terminal 20 corresponding to the buyer terminal 10 is a terminal operated by a seller who wants to sell a product. The terminal type of the seller terminal 20 may also be a fixed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판매자단말기(20)는 판매자가 통상 특정되지 않은 구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각종 정보나 설명 따위를 중앙서버(30)에 등록요청할 수 있다.The seller terminal 20 may request registration of various information or descriptions of the product the seller wishes to sell to the central server 30 in order to sell the product to a buyer who is not normally specified.

등록요청에 대응하여 중앙서버(30)는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고, 구매자단말기(10)의 검색요청에 따라 구매자의 검색입력을 이용하여 검색된 결과를 구매자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중앙서버(30)는 구매자단말기(10)에 상품이나 그에 대한 정보 또는 설명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이후 구매자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the central server 30 can store the product the seller wants to sell in a storage unit (not shown), and in response to a search request from the buyer terminal 10, the search results are sent to the buyer using the buyer's search input. I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central server 30 can provide the product or information or explanation about it to the buyer terminal 10, and then allow the buyer to order and pay for the product.

한편,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의 구매자단말기(10), 판매자단말기(20) 및 중앙서버(30) 간 동작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e will look in detail at the operation process between the buyer terminal 10, the seller terminal 20, and the central server 30 of the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n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단말기(10)는 중앙서버(30)에 접속하여, 중앙서버(30)에 기 마련된 상품에 대하여 주문 및 결제를 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buyer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o the central server 30, orders and pays for products already prepared in the central server 30, and delivers the product. You can purchase it.

구매자는 구매한 상품을 수령한 이후,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품이나 그 포장재에 표시된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purchased product, the buyer can use the buyer terminal 10 to recogniz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product or its packaging.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유식별부호는 상품을 특정할 수 있는 상품정보와 중앙서버(30)에 대한 접속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매자단말기(10)가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한 경우, 상기 고유식별부호로부터 독출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다.Her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that can specify the product and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central server 30, and the buyer terminal 10 us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When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central server 30 us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ad from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이와 같이 고유식별부호를 매개로 구매자단말기(10)가 중앙서버(30)에 접속된 경우, 중앙서버(30)는 고유식별부호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가 해당 상품을 소비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중앙서버(30)가 구매자의 상품 소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중앙서버(30)는 구매자를 특정할 수 있도록 구매자를 특정할 수 있는 구매자정보(일 예로, 로그인정보 등)를 이용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buyer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 throug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central server 30 determines that the buyer has consumed the product using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can do.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central server 30 to determine whether the buyer has consumed the product, the central server 30 can use buyer information (for example, login information, etc.) that can specify the buyer. .

여기서, 고유식별부호는 그 종류나 형태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영역을 갖는 QR코드나 바코드 등일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type or form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but may be a QR code or barcod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하기 위해 구매자단말기(10)는 피사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카메라 따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recognize this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purchaser terminal 10 may include a camera to obtain a captured image of the subject.

한편,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Meanwhile, Figures 2A to 2C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는 일 예로 QR코드일 수 있고, 상품이나 그 포장재에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A to 2C,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00, 110 to 160 may be, for example, QR codes and may be displayed on products or their packaging materials.

구매자는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촬영할 수 있고, 구매자단말기(10)는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할 수 있다. 구매자단말기(10)가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공지의 방법에 따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buyer can photograp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using the buyer terminal 10, and the buyer terminal 10 can recogniz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captured image. The specific method for the purchaser terminal 10 to recogniz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may follow a known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중앙서버(30)가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근거로, 구매자가 해당 상품, 즉 고유식별부호가 있는 상품을 소비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는 상품포장재(1)에 표시될 수 있다.The central server 30 can determine that the buyer has consumed the product, that is, a product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based on the information read from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00, 110 to 160 by the buyer terminal 10. So tha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 ~ 160) can be displayed on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1).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유식별부호(10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포장재(1)의 외측면이 아닌 상품포장재(1)의 내측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중앙서버(30)는 상품포장재(1)가 개봉된 상태에서 그 내측면에 표시된 고유식별부호를 촬영한 구매자만 해당 상품을 소비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may be display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1 rather than the outer side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1, as shown in FIG. 2A.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for the central server 30 to determine that only the purchaser who took a photo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1 when it was opened has consumed the product.

다만,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로 묶음 포장된 상품의 포장재(1) 내에 개별로 소포장된 소포장식품이 다수 포함된 경우에는, 개별 소포장된 포장재(2)가 개봉되었을 때 구매자가 해당 상품을 소비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 경우 상기 고유식별부호(110~130)는 개별로 소포장된 포장재(2)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shown in Figure 2a, if the packaging material (1) of a packaged product contains multiple individually packaged small packaged foods, when the individually packaged packaging material (2) is opened, the buyer may purchase the product. Since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at the product has been consumed, in this cas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10 to 130) are preferably displayed on the individually packaged packaging material (2).

여기서, 소포장식품은, 일 예로 스틱(stick)과 같은 형태의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 내에 분말 따위의 형태로 이루어진 건강기능식품(유산균이나 철분제 등)이 밀봉된 것을 가리킬 수 있다.Here, the small packaged food may refer to a health functional food (lactic acid bacteria, iron supplement, etc.) in the form of a powder sealed within the packaging material 2 of a small packaged food such as a stick.

결국, 구매자는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마다 이에 마련된 고유식별부호(110~130)를 피사체로 하여 구매자단말기(10)를 통해 촬영할 수 있고, 구매자단말기(10)는 해당 고유식별부호(110~130)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근거로 중앙서버(30)에 접속하였을 때, 중앙서버(30)는 해당 구매자가 해당 소포장식품을 소비 또는 섭취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In the end, the buyer can take pictures through the buyer terminal 10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10 to 130) provided on each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as the subject, and the buyer terminal (10) captu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10 to 130) provided on each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When accessing the central server 30 based on the information read from 130), the central server 30 can determine that the buyer has consumed or consumed the small packaged food.

이에 따라 중앙서버(30)는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마다 마련된 고유식별부호(110~130)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고유식별부호(110~130)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해당 구매자가 해당 소포장식품(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소비(또는 섭취)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30, based on the information read from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10 to 130) provided for each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purchaser as many times a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10 to 130) are recogniz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levant small packaged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has been consumed (or ingested).

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앙서버(30)가 구매자의 소비 행위를 판단하였을 때 해당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의 어뷰징(abusing) 행위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구매자가 해당 소포장식품(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소비(또는 섭취)하지 않았음에도, 구매자는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고유식별부호(110~130)를 촬영하는 행위만으로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central server 30 can grant points to the purchaser when it determines the purchaser's consumption behavi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chaser's abusing behavior may occur.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purchaser did not consume (or ingest) the packaged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the purchaser can obtain points simply by photograph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10 to 130) using the purchaser terminal (10). Because you ca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식별부호(110~130)는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의 절취나 변형에 의해,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10 to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by cutting or deforming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유식별부호(110~130)는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의 절취선(21)에 표시될 수 있으며, 구매자에 의해 절취선(21)을 따라 포장재(2)가 절취되었을 때 비로소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한 고유식별부호(110~120)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10 to 130 may be displayed on the perforation line 21 of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and the packaging material 2 is cut along the perforation line 21 by the purchaser.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10 to 120)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only when this is done.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에 고유식별부호(110~120)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고유식별부호(110~120)는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의 절취선(21)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각 부분들(110~1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유식별부호의 각 부분들(110~120)은 포장재(2)의 서로 다른 면에 따로따로 나누어져 인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a (b),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10 ~ 120) may be prin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and in this cas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10 ~ 120) is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 may be composed of parts (110 to 120) divided based on the perforation line (21), and each part (110 to 120)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divided separately on different sides of the packaging material (2). Can be printed.

즉,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의 전면에는 절취선(21)을 기준으로 일측(23)에 고유식별부호의 일부분(110)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고,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의 후면에는 절취선(21)을 기준으로 타측(22)에 고유식별부호의 다른부분(120)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In other words, a por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10 may be printed on one side 23 based on the perforation line 21 on the front of the packaging material 2 for small packaged foods, and the perforation line may be printed on the back of the packaging material 2 for small packaged foods. Based on (21), another part (120)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may be printed on the other side (22).

구매자는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를 절취선(21)을 따라 절취한 이후에서야 비로소 절취된 포장재(2)의 일부분(22, 23)을 다른 부분(23, 22)에 맞춤으로써,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한 고유식별부호(110, 120)가 마련될 수 있다.Only after the buyer cuts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along the perforation line (21) does he fit the parts (22, 23) of the torn packaging material (2) to the other parts (23, 22), thereby purchasing the product from the buyer terminal (10). ) A recognizabl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10, 120) can be provided.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유식별부호(130)는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의 접는선(24)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접는선(24)을 따라 기 접혀진 포장재(2)가 구매자에 의해 펼쳐져 그 형태가 변화하였을 때 비로소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한 고유식별부호(130)가 마련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30 may be displayed on the fold line 24 of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and may be displayed on the fold line 24 of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30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can be provided only when the packaging material 2 is unfolded by the purchaser and its shape changes.

이때, 접는선(24)은 포장재(2)의 용이한 절취를 위해 마련된 절취선(21)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ld line 24 may be a cut line 21 provided for easy cutting of the packaging material 2.

도 2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 일면에 고유식별부호(130)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때 고유식별부호(130)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된 접는선(24)을 기준으로 포장재(2)의 일부분(25)은 다른부분(26)에 절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a(c),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30 may be printed on one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and at this time, a fold line 24 is provided to cros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30. Based on , part 25 of the packaging material 2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part 26 in a folded state.

즉,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의 일부분이 접는선(24)을 기준으로 절첩되어 있을 때 고유식별부호(13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은폐되어 있으나, 구매자가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를 접는선(24)을 따라 펼친 이후에서야 비로소 접는선(24)에 위치한 고유식별부호(130)가 외부로 노출되어,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한 고유식별부호(130)가 마련될 수 있다.That is, when a por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is folded based on the fold line (24),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30) is hidden rather than exposed to the outside, but the buyer uses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Only after unfolding along the fold line 24,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30 located on the fold line 24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30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can be prepared. .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의 절취나 변형 등으로 고유식별부호(110~130)가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10 to 130 can be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by cutting or modifying the packaging material 2 of small packaged food by various methods. am.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시예에 따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유식별부호(140)는, 일면이 개봉되는 상자 형태의 상품포장재(3)의 외측면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b,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40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3 in the form of a box whose one side is open.

다만, 구매자가 해당 소포장식품(또는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거나 소비(또는 섭취)하지 않았음에도, 구매자가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고유식별부호(140)를 촬영하는 행위만으로, 중앙서버(30)가 구매자의 소비 행위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매자의 어뷰징(abusing)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포장재(3)의 외측면에 마련된 고유식별부호(140)는, 그 일부와 또 다른 일부가 상품포장재(3)의 서로 이웃한 서로 다른 면 각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even though the purchaser did not purchase or consume (or consume) the packaged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the purchaser simply photograph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40 using the purchaser terminal 10, and the central server ( Since 30) can determine the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in order to prevent such buyer's abusing behavior,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4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preferable that part of it and another part are provided on different adjacent surfaces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3).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유식별부호(140) 중 일부가 상품포장재(3)의 외측면 중 개봉시 젖혀지는 개봉면(31)에 마련되고, 상기 상품포장재(3) 중 또 다른 일부가 상기 개봉면(31)과 이웃한 면으로서 상기 개봉면(31)이 개봉을 위해 젖혀졌을 때 상기 개봉면(31)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개봉이웃면(32)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par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40 is provided on the opening surface 31, which is flipped when opene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3, and another part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3 is provided on the opening surface 31. As a surface adjacent to (31),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opening neighboring surface (32) that is on the same plane as the opening surface (31) when the opening surface (31) is flipped for opening.

이에 따라, 상품포장재(3)가 개봉되지 않았을 때에는 고유식별부호(140)가 꺽여 있기 때문에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하지 않지만, 구매자가 상품 구매후 상품포장재(3)를 개봉하면 개봉면(31)과 개봉이웃면(32)이 동일 평면에 자연스럽게 놓여져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한 고유식별부호(140)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3) is not opene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40) is bent and therefore cannot be recognized by the buyer terminal (10). However, when the buyer opens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3) after purchasing the produc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40) is bent. (31) and the opening adjacent surface (32) are naturally placed on the same plane, so that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40)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시예에 따라, 고유식별부호(100)는, 알약(pill이나 tablet)이 낱개로 개별 포장된 알약포장재의 외측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재 중 파단되어 알약이 인출되는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을 덮는, 또 다른 띠 형태의 포장지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a pill packaging material in which pills (pills or tablets) are individually packaged, preferably when one of the packaging materials breaks. It can be displayed on another strip-shaped wrapper that covers one or two or more places where the pill is withdrawn.

즉, 상자 형태의 상품포장재(3)에 복수의 알약포장재마다 표시될 수 있고, 구매자는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알약포장재에 나타난 고유식별부호를 촬영하는 행위로, 중앙서버(30)가 알약포장재에 내포된 알약의 개수만큼 구매자의 소비 행위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품포장재(3)에만 표시되어 있을 때보다, 중앙서버(30)가 구매자의 소비 개수를 상세히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pill packaging materials can be displayed on the box-shaped product packaging material (3), and the buyer uses the purchaser terminal (10) to photograp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pill packaging material, and the central server (30) The purchaser's consumption behavior can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pills contained in the pill packaging material, and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30 can determine the purchaser's consumption number in more detail than when it is displayed only on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3.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시예에 따라,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유식별부호(150~160)는, 병뚜껑(41)에 의해 병몸체(42)가 개봉되는 병 형태의 상품포장재(4)의 외측면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c,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50 to 160 are product packaging materials in the form of a bottle in which the bottle body 42 is opened by the bottle cap 41. It can be displayed on the outer side of (4).

다만, 마찬가지로, 구매자가 해당 소포장식품(또는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거나 소비(또는 섭취)하지 않았음에도, 구매자가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고유식별부호(150~160)를 촬영하는 행위만으로, 중앙서버(30)가 구매자의 소비 행위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매자의 어뷰징(abusing)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포장재(4)의 외측면에 마련된 고유식별부호(150~160)는, 그 일부(150)와 또 다른 일부(160)가 상품포장재(4)의 외면 중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되, 병뚜껑(41)을 개봉하여야만 상기 고유식별부호의 일부(150)와 상기 고유식별부호의 또 다른 일부(160)를 맞출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milarly, even though the purchaser has not purchased or consumed (or consumed) the packaged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the purchaser simply photograph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50-160) using the purchaser terminal (10). Since the central server 30 can determine the buyer's consumption behavior, in order to prevent such abusing behavior by the buyer, a unique devic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codes 150 to 160 are provided in different posit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4, with a part 150 and another part 160,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nly appears when the bottle cap 41 is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part 150 and another part 160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be aligned.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지(155)는 병뚜껑(41)을 덮어 가로지르도록 병몸체(42)에 부착되고, 인쇄지(155)의 양단부 각각에 고유식별부호의 일부(150)와 또 다른 일부(160)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도 2c(a) 참조).The printing paper 15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bottle body 42 so as to cover and cross the bottle cap 41, and a por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50 and another portion are attached to each end of the printing paper 155. Part 160 may be printed (see Figure 2c(a)).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지(156, 157)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병뚜껑(41)과 병몸체(42)에 걸쳐 부착되되, 복수의 인쇄지(156) 각각에 고유식별부호의 일부(150)와 또 다른 일부(160)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도 2c(b) 및 2c(c) 참조).One or more printing papers 156 and 15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re attached across the bottle cap 41 and the bottle body 42, and a por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atta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inting papers 156 ( 150) and another part 160 may be printed (see FIGS. 2c(b) and 2c(c)).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인쇄지(156)가 병뚜껑(41)과 병몸체(42)에 걸쳐 부착되되, 복수의 인쇄지(156) 각각에 고유식별부호의 일부(150)와 또 다른 일부(160)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고(도 2c(b) 참조), 또 이와 달리 하나의 인쇄지(157)가 병뚜껑(41)과 병몸체(42)의 경계 전반에 걸쳐 부착되되, 하나의 인쇄지(157)의 서로 다른 부분에, 고유식별부호의 일부(150)와 또 다른 일부(160)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말해, 하나의 인쇄지(157)에는 고유식별부호와 무관한, 즉 상기 고유식별부호 중 일부도 아닌 더미(dummy)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고유식별부호의 일부(150)와 또 다른 일부(160)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a plurality of printing papers 156 are attached to the bottle cap 41 and the bottle body 4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rinting papers 156 includes a par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50 and another part 160. ) may be printed (see Figure 2c(b)), and alternatively, one printing paper 157 is attached across the border of the bottle cap 41 and the bottle body 42, but one printing paper Part 150 and another part 160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may be printed on different parts of 157. In other words, one printing paper 157 is unrelated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at is, a par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50) and another part (160) centered around a dummy area that is not even par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 may be printed.

이에 따라, 상품포장재(4)의 병뚜껑(41)이 개봉되지 않았을 때에는 고유식별부호(150~160) 중 일부(150)와 또 다른 일부(160)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하지 않지만, 구매자가 상품 구매후 상품포장재(4)의 병뚜껑(41)을 개봉하였을 때에는 고유식별부호(150~160) 중 일부(150)와 또 다른 일부(160)를 인접 배치 가능하므로, 이에 의해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인식 가능한 고유식별부호(150~160)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ottle cap 41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4 is not opened, part 150 and another part 160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50 to 16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e buyer terminal 10 However, when the buyer opens the bottle cap 41 of the product packaging material 4 after purchasing the product, part 150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50 to 160 and another part 160 ar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Since this is possibl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50 to 160)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can be provid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로부터 독출된 정보에 따라 구매자단말기(10)가 중앙서버(30)에 대한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중앙서버(30)는 해당 구매자에게 기 설정된 소정의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urchaser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ad from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00, 110 to 160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the central server (30) may grant a preset number of points to the buyer.

여기서, 포인트는 기 정하여진 정책에 따라 상품마다 달리 정하여질 수 있다.Here, points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produ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licy.

만약, 상품이 복수의 소포장식품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구매자는 소포장식품을 섭취할 때마다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각 포장재(2)에 나타난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촬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앙서버(30)는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한 고유식별부호(100, 110~160)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소정의 포인트를 해당 구매자에게 누적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If the produc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small packaged foods, the buyer can photograp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shown on each packaging material (2) using the buyer terminal (10) every time he consumes the small packaged food. ,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30 can cumulatively grant a predetermined number of points to the purchas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is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다만,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마다 인쇄되어 있는 고유식별부호(100, 110~160)에 대한 구매자단말기(10)의 인식으로 인하여 해당 구매자에게 부여되어 누적된 포인트의 총합은, 상기 소포장식품들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상품에 대해 정하여진 포인트와 같을 수 있다.However, the total number of points granted and accumulated to the purchaser due to the purchaser terminal 10's recogni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printed on each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is It may be the same as the point set for one product in a bundle.

일 예로, 100개 소포장식품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1개 상품을 가정하였을 때, 각 소포장식품에 대응하는 포인트가 10점이라면, 1개 상품에 대응하는 포인트는 1,000점일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one product is made up of a bundle of 100 small packaged foods, if the number of points corresponding to each small packaged food is 10, the points corresponding to one product may be 1,000 points.

결국, 여러 소포장식품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상품의 경우,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는 하나로 묶음 포장된 상품의 포장재(1) 내측면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고, 또이와 다르게 각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마다 마련될 수도 있으나, 어느 경우에도 구매자에게 부여되는 포인트 양에 차등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Ultimately, in the case of a product consisting of a bundle of several small packaged foods, only 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 ~ 16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1) of the product packaged as one, and unlike this, each small packaged food It may be provided for each packaging material (2), but in any case, it is desirable not to differentiate the amount of points granted to the buyer.

다시 돌아와, 구매자단말기(10)에 의해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로부터 독출된 정보에 따라, 중앙서버(30)에 구매자단말기(10)의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중앙서버(30)는 해당 구매자에게 기 설정된 소정의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중앙서버(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구매자에 대한 상품의 구매이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Returning again, when the purchaser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ad from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00, 110 to 160 by the purchaser terminal 10, the central server 30 A preset number of points can be given to the buyer, and the central server 30 can generate product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buyer, as shown in FIG. 3 (S1).

여기서 구매이력정보는 구매자가 상기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가진 상품에 대한 구매 여부나 소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중앙서버(30)는 구매이력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가 해당 상품에 대하여 구매행위를 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buyer has purchased or owns the product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and the central server 30 uses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buyer has purchased the product. You can determine whether a purchase was made.

다만, 상기 구매이력정보는 구매자가 중앙서버(30)를 통해 상품을 직접 주문하여 구매한 경우에만 생성되는 것이 아니며, 상품을 주문하여 구매한 타인으로부터 상품을 선물받은 경우에도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의 해당 상품에 대한 소유 여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However,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only when the buyer directly orders and purchases the product through the central server 30, and can also be generated when the buyer receives the product as a gift from another person who ordered and purchased the product. It may also indicate whether the buyer owns the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이력정보는 구매자가 중앙서버(30)를 통해 상품을 주문하여 구매하였을 때 생성되는 것이 아니며, 구매자가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인식함으로써 구매자단말기(10)가 중앙서버(30)에 접속하였을 때, 중앙서버(30)의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refor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generated when the buyer orders and purchases a product through the central server 30, and the buyer uses the buyer terminal 10 to enter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 110 to 160) can be generated by the central server 30 when the purchaser terminal 10 connects to the central server 30.

이후, 구매자는 자신에게 부여되어 누적적으로 적립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고, 중앙서버(30)를 통해 상품을 재구매시 포인트를 일 결제수단으로 할 수 있다.Afterwards, the buyer can use the accumulated points granted to him or her and use the points as a daily payment method when repurchasing a product through the central server 30.

다만, 여기서 구매자가 포인트를 사용하여 주문 /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은, 포인트 적립에 근거가 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구매자의 재구매시 기 적립된 포인트를 사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은 구매자의 동일 상품에 대한 재구매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However, here, it is desirable that the product that the buyer can order/purchase using points is the same product as the product on which the points were accumulated, and by allowing the buyer to pay using the already accumulated points when repurchasing, The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aturally induce buyers to repurchase the same product.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서버(30)는 구매자로부터 동일 상품에 대한 재구매가 이루어지면, 해당 구매자에게 해당 상품에 대한 재구매이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when a purchaser repurchases the same product, the central server 30 can generate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to the purchaser.

여기서 재구매이력정보는 구매자가 상기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가진 상품의 재구매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중앙서버(30)는 재구매이력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가 해당 상품에 대하여 재구매행위를 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buyer has repurchased the product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and the central server 30 uses the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buyer has repurchased the product. You can judge whether it was done.

상기 재구매이력정보는 구매자가 중앙서버(30)를 통해 해당 상품을 직접 주문하여 재구매한 경우에 생성되며, 상기 구매이력정보와 다르게, 구매자가 구매자단말기(10)를 통해 재구매된 상품의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인식함으로써 구매자단말기(10)가 중앙서버(30)에 접속하였을 때에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The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when the buyer directly orders and repurchases the product through the central server 30, and, unlike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roduct repurchased by the buyer through the buyer terminal 10 By recognizing (100, 110-160), it may not be created when the purchaser terminal 10 connects to the central server 30.

중앙서버(30)는 해당 구매자가 해당 상품에 대한 재구매이력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해당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추가 부여할 수 있다(S3).The central server 30 can grant additional points to the buyer only if the buyer has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S3).

즉, 재구매이력정보가 있는 구매자가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구매자단말기(10)가 중앙서버(30)에 접속하였을 때, 중앙서버(30)는 해당 구매자가 재구매이력정보가 있는지 확인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재구매이력정보가 있는 경우에 해당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추가 부여할 수 있다(S3).That is, when the buyer with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uses the buyer terminal 10 to recogniz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of the product, the buyer terminal 10 connects to the central server 30. The central server 30 determines whether the buyer has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may grant additional points to the buyer if there is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S3).

만약, 중앙서버(30)가 해당 상품에 대한 해당 구매자의 재구매이력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구매자가 구매자단말기(10)를 통해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인식하여 중앙서버(30)에 접속하더라도, 중앙서버(30)는 해당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추가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If the central server 30 does not have the buyer's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in question, the buyer recogniz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of the product through the buyer terminal 10 and Even if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 the central server 30 may not grant additional points to the purchaser.

가정하여, 구매자가 타인으로부터 2회 이상 상품을 선물받아 포인트를 적립하였다고 하더라도, 처음 첫회에는 중앙서버(30)가 해당 구매자에 대한 포인트를 인식횟수만큼 누적적으로 부여할 수 있지만, 다음 차회에는 구매자가 중앙서버(30)를 통해 동일 상품을 재구매하지 않아 재구매이력정보가 존재하지 않고, 구매자가 구매자단말기(10)를 통해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인식하여 중앙서버(30)에 접속하더라도, 중앙서버(30)는 해당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추가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Assuming that even if a buyer accumulates points by receiving a product as a gift from another person more than once, the central server 30 may cumulatively grant points to the buyer equal to the number of recognitions in the first time, but in the next time, the buyer may accumulate points. Since the same product is not repurchased through the central server (30), there is no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buyer recogniz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of the product through the buyer terminal (10) and sends it to the central server ( Even if connected to 30), the central server 30 may not grant additional points to the purchaser.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은, 동일 상품에 대한 재구매 유도시 구매자의 직접적인 재구매를 유도함으로써, 상품의 재구매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Ultimately, the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purchase rate of products by directly inducing buyers to repurchase the same product.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가 구매자에게 포인트 부여 여부에 대한 결정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Meanwhile,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step by step the process of the central server deciding whether to grant points to the purcha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매자가 구매자단말기(10)를 통해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인식함으로써 구매자단말기(10)가 중앙서버(30)에 접속한 경우, 중앙서버(30)가 해당 구매자에 대해 포인트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 4에 단계적으로 나타내었다.When the purchaser recogniz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of the product through the purchaser terminal (10) and the purchaser terminal (10) connects to the central server (30), the central server (30) The process of deciding whether to grant points is shown step by step in Figure 4.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유식별부호(100, 110~160)의 인식으로 중앙서버(30)에 구매자단말기(10)의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먼저 해당 구매자의 해당 상품에 대한 재구매이력정보가 있는지 확인 판단(S11)한 다음, 재구매이력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구매자에 대해 소정의 포인트를 부여(S14)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buyer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 by recogni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 ~ 160), first, the buyer's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is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S11), a predetermined number of points can be awarded to the buyer (S14).

하지만 해당 구매자의 해당 상품에 대한 재구매이력정보가 없으면, 해당 구매자의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이력정보가 있는지 확인 판단(S12)한 다음, 구매이력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구매자에 대해 소정의 포인트를 부여(S14)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구매자단말기(10)를 통해 해당 상품의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인식하여 중앙서버(30)에 접속하더라도, 해당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추가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S15).However, if the buyer does not have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uyer ha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S12), and if there i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a certain amount of points are awarded to the buyer ( S14), but otherwise, even i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of the product is recognized through the buyer terminal 10 and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 no additional points are given to the buyer. It may not be possible (S15).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30)는, 고유식별부호(100, 110~160)의 인식으로 구매자단말기(10)로부터 중앙서버(30)에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구매자에 대한 포인트를 부여하는 것 이외에, 해당 구매자에 대한 상품소비이력을 관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entral serve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nection is made from the purchaser terminal 10 to the central server 30 by recogni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 ~ 160), In addition to awarding points, the product consumption history of the buyer can be controlled.

즉, 중앙서버(30)는 고유식별부호(100, 110~160)의 인식으로 중앙서버(30)에 대한 구매자단말기(10)의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중앙서버(30)는 해당 구매자의 상품소비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그 판단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소비이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purchaser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 through recogni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 to 160, the central server 30 recognizes the purchaser's product consumption. You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roduct is available, and the consumption history for the product can be monitored using the judgment result.

상품이 하나로 묶음 포장된 상품 포장재 내에 개별로 소포장된 다수의 소포장식품인 경우, 구매자가 소포장식품의 포장재(2)를 절취하거나 변형하여 그 내용물을 섭취하고, 비로소 인식 가능한 고유식별부호(110~130)가 마련되었을 때 구매자는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식별부호(110~130)를 촬영할 수 있고, 결국, 중앙서버(30)는 해당 구매자가 해당 상품을 섭취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product is a large number of individually packaged foods within the packaged product packaging material, the purchaser must cut or modify the packaging material (2) of the small packaged food, consume its contents, and obtain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10-130) that can be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 is provided, the buyer can photograp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10-130) using the buyer terminal 10, and eventually, the central server 30 can determine that the buyer has consumed the product. .

물론, 이와 반대로 구매자단말기(10)로부터 고유식별부호(100, 110~160)의 인식을 통한 중앙서버(30)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구매자의 해당 소포장식품에 대한 섭취가 없음을 판단할 수 있다.Of course, on the contrary, if the purchaser terminal 10 is not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 through recogni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 ~ 160), it is confirmed that the purchaser has not consumed the small packaged food. You can judge.

통상 고유식별부호(100, 110~160)가 마련된 상품이 하나로 묶음 포장된 상품 포장재 내에 개별로 소포장된 다수의 소포장식품인 경우, 정해진 일정에 따라 구매자가 섭취(또는 복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Typically, when a product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100, 110-160) is a large number of small packaged foods individually packaged within product packaging, the purchaser often has to consume (or take) according to a set schedule.

이에 따라, 중앙서버(30)는 구매자의 상품소비이력을 관제할 수 있고, 이때, 중앙서버(30)가 관제하는 상품은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30 can control the buyer's product consumption history, and at this time, the product controlled by the central server 30 may be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앙서버(30)가 관제하는 상품소비이력은 기 정하여진 일정(일 예로 0일(日), 시간 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품소비이력을 기 정하여진 일정에 맞추어 표시하고 구매자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consumption history controlled by the central server 30 can be ma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for example, day 0, time, etc.),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product consumption history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and provided to the purchaser terminal 10.

만약, 상기 기 정하여진 일정 중 구매자의 소포장식품에 대한 섭취가 이루어져야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일정 중 적어도 일부에 구매자의 소포장식품에 대한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중앙서버(30)는 구매자단말기(10)에 소포장식품의 섭취를 요구하는 알람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구매자에게 소포장식품의 섭취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buyer does not consume the small packaged food during at least part of the schedule, even though the purchaser must consume the small packaged food during the above-mentioned schedule, the central server 30 sends the purchaser terminal 10 ), it is desirable to induce the purchaser to consume small packaged food by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requesting the consumption of small packaged food.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시스템에서 구매자에게 설문응답을 요청하는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Meanwhile,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of a screen requesting a questionnaire response from a buyer in an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매자는 구매자단말기(10)를 이용하여 고유식별부호(100, 110~160)를 인식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를 피사체를 향하게 할 수 있고, 구매자단말기(10)의 고유식별부호(100, 110~160)에 대한 인식이 이루어지면, 구매자단말기(10)는 중앙서버(30)에 접속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중앙서버(30)는 소정의 조건에서 해당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The buyer can use the buyer terminal 10 to point the camera lens at the subject to recogniz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00, 110-160),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100, 110-160) of the buyer terminal (10). When recognition is made, the buyer terminal 10 can connect to the central server 30, and correspondingly, the central server 30 can grant points to the buyer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다만,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서버(30)는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기 전에, 중앙서버(30)는 구매자단말기(10)에 상품과 관련된 설문응답을 요청하고, 구매자단말기(10)로부터 그 설문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However, here, as shown in FIG. 6, before the central server 30 grants points to the buyer, the central server 30 requests the buyer terminal 10 to respond to a survey related to the product, and the buyer terminal ( 10) You can receive the survey response from.

미설명도면부호 11은 구매자단말기(10)에 화면 표시된 팝업창으로서, 중앙서버(30)의 설문응답요청에 따라 그 설문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11, which is not illustrated, is a pop-up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urchaser terminal 10, and can include the contents of the survey according to the survey response request from the central server 30.

포인트는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일종의 결제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로부터 설문에 대한 응답율이 높아, 판매자나 매매플랫폼을 제공하는 자가 구매자로부터 신뢰도 높은 설문응답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ecause points can function as a type of payment method when buyers purchase products, the response rate to surveys from buyers is high, which has the effect of helping sellers or those who provide trading platforms secure highly reliable survey responses from buyers.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3, 4: 상품포장재
2: 소포장식품의 포장재
10: 구매자단말기
20: 판매자단말기
30: 중앙서버
31: 개봉면
32: 개봉이웃면
41: 병뚜껑
42: 병몸체
100, 110~160: 고유식별부호
1, 3, 4: Product packaging material
2: Packaging material for small packaged foods
10: Purchaser terminal
20: Seller terminal
30: Central server
31: Opening side
32: Open Neighborhood
41: bottle cap
42: Bottle body
100, 110~160: Unique identification code

Claims (11)

구매자단말기와, 접속된 상기 구매자단말기의 구매요청에 의해, 기 마련된 상품을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단말기는, 상기 상품 또는 상기 상품의 포장재에 표시된 고유식별부호를 인식하여 상기 중앙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부호를 근거로 상기 구매자에 대한 상기 상품의 구매이력정보를 생성 - 상기 구매이력정보는 상기 상품의 구매하였을 때가 아닌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을 근거로 생성됨 - 하고,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부여하되,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재구매요청이 있으면, 기 적립된 상기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하고, 결제완료시 상기 상품에 대한 재구매이력정보를 생성 - 상기 재구매이력정보는 상기 구매이력정보와 다르게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을 근거로 생성되지 않음 - 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재구매이력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추가적인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추가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품은, 복수의 소포장식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유식별부호는,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의 절취나 변형에 의해서만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의해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여부를 근거로 상기 구매자의 상기 소포장식품에 대한 섭취이력을 관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In an e-commerce system including a purchaser terminal and a central server that sells ready-made products to the purchaser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from the connected purchaser terminal,
The buyer terminal recogniz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isplayed on the product or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and connects to the central server,
The central server generate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roduct for the buyer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recogni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not when the product is purchased. , Grant points to the purchaser equ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ognized,
If there is a request to repurchase the product from the buyer, the central server allows payment using the already accumulated points, and generates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upon completion of payment - the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s Unlik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t is not generated based on recognition of the abov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central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when the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s available, additional points are granted to the buy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ecognitions for the additional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produc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mall packaged foods,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only by cutting or modifying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so that the central server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purchaser's consumption history of the small packaged foo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buyer is aware of the fo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상기 구매자단말기의 인식이 있더라도, 상기 구매자의 상기 상품에 대한 재구매이력정보가 없으면 상기 구매자에게 포인트를 추가 부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server is,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ven if the buyer terminal recogniz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dditional points are not granted to the buyer if there is no repurchas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복수의 소포장식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포장식품마다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마련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소포장식품마다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횟수만큼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누적적으로 부여하되, 누적된 포인트의 총합은 상기 상품에 기 설정된 포인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oduc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mall packaged foods,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ovided for each small packaged food,
The central server cumulatively grants points to the purchaser for each packaged food item equal to the number of tim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ognized, and the total of accumulated point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oints preset for the produc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에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인쇄되어 있되,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의 전후면 각각에 상기 고유식별부호의 서로 다른 부분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parts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re print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based on the perforation line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에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인쇄되어 있되,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인쇄되어 있는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의 일부분이 절첩 부착되어 있어 은폐되어 있고,
상기 소포장식품의 소비를 위해 상기 소포장식품의 포장재 중 부착된 부분을 펼치면 상기 고유식별부호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A por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on whic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is hidden by being folded and attached,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exposed when the attached por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small packaged food is opened for consumption of the small packaged foo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섭취이력과 기 설정된 일정을 근거로 상기 구매자의 상기 소포장식품에 대한 미섭취여부를 판단하고, 미섭취시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buyer has not consumed the packaged food based on the intake history and a preset schedule, and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buyer terminal when the packaged food is not consu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포장재는, 일면이 개봉되는 상자 형태의 포장재로서,
상기 고유식별부호 중 일부는, 상기 상품의 포장재의 외측면 중 개봉시 젖혀지는 개봉면에 마련되고,
상기 고유식별부호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개봉면과 이웃하는 면들 중 개봉된 상기 개봉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개봉이웃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ackaging material for the product is a box-shaped packaging material that can be opened on one side,
Some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which is flipped when opened,
Another par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an electronic commer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a neighboring surface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opened surface, among surfaces neighboring the opene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포장재는, 병뚜껑과 이의 의해 개봉되는 병몸체를 포함하는 포장재로서,
상기 고유식별부호 중 일부와 또 다른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지에 인쇄되고, 상기 병뚜껑의 개봉에 의해서만 상기 고유식별부호 중 일부와 또 다른 일부는 인접 배치되어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의해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ackaging material for the product is a packaging material that includes a bottle cap and a bottle body that is opened by it,
Some and another par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re printed on at least one printing paper, and some and another par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by the purchaser terminal only by opening the bottle cap. An e-commerce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의한 상기 고유식별부호에 대한 인식이 있으면, 포인트를 상기 구매자에게 부여하기 전에 상기 구매자단말기에 상기 상품에 대한 설문응답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server, i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recognized by the buyer terminal, requests the buyer terminal to respond to a survey about the product before granting points to the buyer.
KR1020220063077A 2022-05-23 2022-05-23 Electronic commerce system KR102606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077A KR102606181B1 (en) 2022-05-23 2022-05-23 Electronic commer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077A KR102606181B1 (en) 2022-05-23 2022-05-23 Electronic commer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181B1 true KR102606181B1 (en) 2023-11-29

Family

ID=8896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077A KR102606181B1 (en) 2022-05-23 2022-05-23 Electronic commer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1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912A (en) 2010-01-12 2011-07-20 (주)엔브릿지 Method for managing server of online shopping-mall
KR20180033656A (en) 2016-09-26 2018-04-04 주식회사 쓰리인스타 System for providing reward point using quest and method therefor
KR20200089186A (en) * 2019-01-16 2020-07-24 이갑 System for providing review sharing service
KR20210123623A (en) * 2020-04-03 2021-10-14 박민구 Health care system using application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and meht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2912A (en) 2010-01-12 2011-07-20 (주)엔브릿지 Method for managing server of online shopping-mall
KR20180033656A (en) 2016-09-26 2018-04-04 주식회사 쓰리인스타 System for providing reward point using quest and method therefor
KR20200089186A (en) * 2019-01-16 2020-07-24 이갑 System for providing review sharing service
KR20210123623A (en) * 2020-04-03 2021-10-14 박민구 Health care system using application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and meht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5369A1 (en) Integrated Automatic Retail System and Method
US7195157B2 (en) Consumer interactive shopping system
CN107924522A (en) Augmented reality equipment,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e
CN104392551A (en) Prescription medicine selling system for automatic medicine sell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328639A1 (en) System for providing private and public contents with tags
KR101657585B1 (en) System for Suggesting Product Dealing based on Hash Tag us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for
CN110970108A (en) Self-service medicine purchasing system
KR101657588B1 (en)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Dealing Information based on Product Image using Web and Method therefor
KR102282351B1 (en) Blockchain-based goods promotion methods and systems for shopping mall and therefore
KR102606181B1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KR101633181B1 (en) Online market advertising method using code and products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JP5313458B2 (en) Purchas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purchasing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WO2014007567A1 (en) Server providing on/offline trading service, terminal for product trading, and method for providing trading service thereby
JP69124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Kuchi et al. Value-creation strategies for E-commerce businesses
KR101657583B1 (en) System for Extracting Hash Tag of Product Image us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for
JP2019091359A (en) Transaction control device, transaction control method and transaction control program
KR20000064054A (en) Method for selling package commodities at a discount through electronic commerce
KR101505032B1 (en) Electronic commerce management server using url, and method thereof
JP70680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KR101657589B1 (en)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Dealing Information based on Product Image us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for
KR101657587B1 (en) System for Providing Individual Tendency Information based on Product Dealing Information using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therefor
JP201911754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1599582B1 (en) A server and a product trading terminal for providing trading service on the on/of lin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rading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