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263B1 -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 Google Patents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263B1
KR102594263B1 KR1020230069951A KR20230069951A KR102594263B1 KR 102594263 B1 KR102594263 B1 KR 102594263B1 KR 1020230069951 A KR1020230069951 A KR 1020230069951A KR 20230069951 A KR20230069951 A KR 20230069951A KR 102594263 B1 KR102594263 B1 KR 10259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sket
coffee
capsule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종
김재중
Original Assignee
(주)하나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프리 filed Critical (주)하나프리
Priority to KR102023006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커피가루를 기반으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일반적인 커피 머신에서도 커피캡슐을 이용하여 커피/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기존 포타필터에 적용/설치하거나 기존 포타필터를 대체하여, 기존 커피 머신을 개조하거나 새로 구매하지 않더라도 커피캡슐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커피 머신 호환형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CAPSULE COFFEE EXTRACTION BASKET COMPATIBLE WITH VARIOUS COFFEE MACHINES}
아래 실시예들은 커피가루를 기반으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일반적인 커피 머신에서도 커피캡슐을 이용하여 커피/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기존 포타필터에 적용/설치하거나 기존 포타필터를 대체하여, 기존 커피 머신을 개조하거나 새로 구매하지 않더라도 커피캡슐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커피 머신 호환형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카페나 가정용 에스프레소 머신(커피머신)은 일반적으로 커피가루를 포타필터에 채워넣고, 포타필터를 커피 머신의 출수부에 체결시킨 상태에서 출수부로 고온/고압의 물을 투입하여 포타필터의 거름망 하부로 액상을 추출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한편, 커피가루를 직접 손질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최소화하고, 매 번 균일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커피캡슐 형태로 제공되는 제품들이 개발되었다.
다만, 이러한 커피캡슐들은 각 커피캡슐 제조사(네스프레소, 돌체구스토 등)에서 제조/판매하는 전용 기기를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종래 커피 머신(에스프레소 머신)이 아닌 캡슐 머신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커피캡슐들은 제조사마다 규격이나 사용법이 일부 달라서 서로 혼용할 수 없으며, 다양한 커피캡슐을 모두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제조사별 캡슐머신을 각각 구비해야만 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KR 10-2064177 B KR 10-1481913 B KR 10-1582351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커피캡슐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커피캡슐을 모두 활용할 수 있고, 종래 커피가루 기반의 에스프레소 머신(커피 머신)에서도 커피캡슐을 이용하여 커피를 제조할 수 있도록 기존의 포타필터를 변형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커피 머신 호환형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머신의 출수부에 탈착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통공부;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통공부; 상기 바스켓의 상부로부터 바스켓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브라켓 또는 바스켓에 탈착 가능한 제2 브라켓;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커피캡슐의 일측을 타공하는 블레이드; 상기 바스켓,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밀봉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탈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에 상기 커피캡슐을 안착시킨 뒤 상기 커피캡슐의 상부에 제2 브라켓을 체결시키고 커피 머신의 출수부에 상기 바스켓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커피 머신의 출수부로부터 출수되는 온수와 상기 커피캡슐 내부의 충진물을 상기 제2 통공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탈착부와 소정의 탈착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브라켓을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바스켓과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홈; 상기 제2 통공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다수개의 타공들이 형성되는 필터판; 상기 필터판의 안착 지점보다 상부에서, 상기 제1 브라켓의 내주면에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1 브라켓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부로 안착됨으로써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체결시키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커피캡슐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주면이 상기 커피캡슐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이 상기 제1 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판의 상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 오링(O-Ring); 상기 제2 통공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판이 제1 브라켓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필터판 외주면과 제1 브라켓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오링; 및 상기 바스켓의 하부와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착지그는: 상기 커피 머신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탈착부는: 상기 마그넷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1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으로부터 자기력을 받도록 소정의 강자성체 소재로 구성되어, ① 상기 제1 안착홈에 상기 마그넷을 안착시켜 고정부에 상기 제2 브라켓을 임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2 브라켓과 제1 브라켓을 밀착시키고, 상기 제2 브라켓을 가압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바스켓의 제1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체결할 수 있고, ②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1 안착홈에 상기 마그넷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제1 원주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바스켓을 하강시켜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탈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출수부는: 소정의 물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배관부; 및 상기 바스켓이 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관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며, 일측에 소정의 제1 평면이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볼스크류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의 제1 평면에 접하는 소정의 제2 평면이 형성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관;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볼스크류의 상단에 연결되는 모터; 및 상기 지지관의 하단에 배치되는 게이트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상기 마그넷이 배치되고, 상기 커피 머신에 구비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 및 게이트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체결 또는 탈거할 때에는 상기 마그넷이 상기 배관부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이드가 하강하며 상기 게이트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바스켓과 상기 제2 탈착부를 체결시킬 때에는 상기 마그넷이 상기 배관부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상기 가이드가 상승한 뒤 상기 게이트밸브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서 탈착 가능한 바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 브라켓은: 상기 제2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바텀 브라켓의 내주면에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상기 바텀 브라켓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돌기부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안착됨으로써 상기 제1 브라켓과 바텀 브라켓을 체결시키는 제2 레일부; 상기 제2 통공부로부터 토출되는 액상을 모으는 소정의 호퍼; 상기 마그넷으로부터 자기력을 받도록 소정의 강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호퍼의 하부 외주면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안착돌기; 및 상기 안착돌기의 하단에 상기 마그넷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넷이 안착 되는 제2 안착홈;을 포함하여, ① 상기 제2 안착홈에 상기 마그넷을 안착시켜 고정부에 상기 바텀 브라켓을 임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바텀 브라켓과 제1 브라켓을 밀착시키고, 상기 바텀 브라켓을 가압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바스켓의 제1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브라켓과 바텀 브라켓을 체결할 수 있고, ②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2 안착홈에 상기 마그넷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제1 원주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바스켓을 하강시켜 상기 제1 브라켓과 바텀 브라켓을 탈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바텀 브라켓이 상기 제1 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바텀 브라켓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4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피가루 기반으로 동작하는 기존 커피 머신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커피캡슐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포타필터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포타필터를 폐기하거나 새로운 포타필터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커피캡슐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브라켓 구조를 기반으로 커피캡슐을 안착하는 과정에서 커피캡슐의 일측이 자연스럽게 타공되므로, 커피 머신에서 토출되는 고온의 물이 커피캡슐의 내용물과 접촉할 수 있다.
아울러, 소정의 실링부 구조를 기반으로, 물 또는 커피 등이 제2 통공부 이외의 부분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탈착지그를 활용하여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쉽게 탈착할 수 있으며, 커피캡슐을 사용한 뒤 뜨거운 상태인 제2 브라켓에 사용자가 손을 대지 않고도 제2 브라켓을 탈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스켓을 커피 머신에 탈착하는 과정에서는 탈착지그를 노출시켜 제1 브라켓, 제2 브라켓 및 바텀 브라켓을 서로 체결하거나 탈거시킬 수 있도록 기능하되, 커피 머신을 작동시키는 과정에서는 탈착지그를 내측으로 삽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커피캡슐의 액상이나 토출되는 온수의 특성 등에 따라 바텀 브라켓을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 브라켓이 상기 탈착지그를 기반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일한 탈착지그를 활용하여 바스켓/제1 브라켓에 제2 브라켓 및 바텀 브라켓을 모두 탈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의 고정부 이송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의 바텀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머신의 출수부(60)에 탈착되는 바스켓(3); 상기 바스켓(3)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통공부(30); 상기 바스켓(3)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1); 상기 제1 브라켓(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통공부(10); 상기 바스켓(3)의 상부로부터 바스켓(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브라켓(1) 또는 바스켓(3)에 탈착 가능한 제2 브라켓(2); 상기 제2 브라켓(2)의 하부에 구비되어, 커피캡슐(C)의 일측을 타공하는 블레이드(21); 상기 바스켓(3), 제1 브라켓(1) 및 제2 브라켓(2)을 밀봉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제2 브라켓(2)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탈착부(22);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브라켓(1)의 상부에 상기 커피캡슐(C)을 안착시킨 뒤 상기 커피캡슐(C)의 상부에 제2 브라켓(2)을 체결시키고 커피 머신의 출수부(60)에 상기 바스켓(3)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커피 머신의 출수부(60)로부터 출수되는 온수(W)와 상기 커피캡슐(C) 내부의 충진물을 상기 제2 통공부(10)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탈착부(22)와 소정의 탈착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브라켓(2)을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3)을 제공한다.
상기 바스켓(3)은 일반적인 포타필터용 바스켓(3)의 규격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기존 포타필터용 바스켓(3)의 밑면을 타공하여 상기 제1 통공부(30)를 형성하거나, 바텀리스 바스켓(3)을 채용하여 바텀리스 부분을 제1 통공부(30)로써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커피캡슐(C)로부터 커피를 추출/제조할 때, 상기 제2 브라켓(2)의 상단보다 바스켓(3)의 상단이 더 높도록 바스켓(3)의 규격/치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바스켓(3)은 커피 머신의 출수부(60)에 체결되었을 때 도 1 (b)에 도시된 온수(W) 영역 만큼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커피 머신으로부터 출수되는 온수(W)의 압력이 소실되지 않고 커피캡슐(C)을 통과하여 제1 통공부(30)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바스켓(3)은 51mm 타입 등 일반적인 커피 머신에 통용되는 치수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1)는 온수(W)가 소통/유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통공이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1)는 상기 링 형상의 하부에 다수개의 칼날이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W)를 출수했을 때 온수(W)가 제2 브라켓(2)의 상부를 감싸도록 채워지며, 온수(W)의 압력에 따라 제2 브라켓(2)의 상단에 형성된 제3 통공부(24)(도 2의 실시 예에서는 블레이드(21)에 형성되는 제3 통공부(24))를 통해 제2 브라켓(2)의 내측으로 온수(W)가 유입되고, 온수(W)는 상기 블레이드(21)가 타공한 커피캡슐(C)의 타공 부위를 통해 커피캡슐(C)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온수(W)의 압력에 의해 커피캡슐(C)의 하부(도 1을 기준으로 하부)가 뜯어지며 제1 통공부(30)로 온수(W)와 커피캡슐(C) 충진물의 혼합액이 토출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커피캡슐(C)의 상부 커버(도 1을 기준으로는 하부)로부터 충진물이 토출되는 타입의 커피캡슐(C)에 적용 가능한 실시예이다.
상기 제1 브라켓(1)은: 상기 바스켓(3)과 나사(S)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브라켓(1)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홈(11); 상기 제2 통공부(10)의 상부에 안착되며, 다수개의 타공들이 형성되는 필터판(12); 상기 필터판(12)의 안착 지점보다 상부에서, 상기 제1 브라켓(1)의 내주면에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개구부(13); 및 상기 제1 개구부(13)로부터 상기 제1 브라켓(1)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레일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판(12)은, 종래 포타필터의 필터(거름망)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며, 종래 포타필터의 필터 규격 등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필터판(12)의 상부에는 소정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커피캡슐(C)의 커버를 눌러 커피캡슐(C)의 커버가 터져(개방되어) 충진물 및 온수(W)의 혼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종래 바스켓(3)의 하단을 타공하여 상기 제1 통공부(30)를 형성한 뒤, 나사(S)가 체결될 체결홀을 상기 제1 통공부(30)의 외곽에 추가로 타공한다. 이후, 상기 제1 브라켓(1)과 바스켓(3)을 나사(S)로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브라켓(1)과 바스켓(3)은 후술하는 제3 오링(43)으로 밀폐되어, 온수(W)의 압력 손실 및 온수(W)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링부(오링)는 일반적인 탄성 소재의 오링을 채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브라켓(2)은: 상기 제2 브라켓(2)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13)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부(14)로 안착됨으로써 상기 제1 브라켓(1)과 제2 브라켓(2)을 체결시키는 제1 돌기부(23); 및 상기 커피캡슐(C)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주면이 상기 커피캡슐(C)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 개구부(13), 제1 레일부(14) 및 제1 돌기부(23)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3 (a)를 참조하면, 도 1 기준의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1 개구부(13)를 통해 상기 제1 돌기부(23)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2 브라켓(2)이 제1 브라켓(1)의 내부에 수용/안착된다.
이후,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2)을 제1 브라켓(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제1 돌기부(23)가 제1 레일부(14)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도 1 기준 상부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제2 브라켓(2)의 탈거 과정은 상술한 체결 과정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브라켓(1) 및 제2 브라켓(2)의 탈착과정은 상기 탈착지그 및 탈착부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 개구부(71), 제2 돌기부(15) 및 제2 레일부(72)의 구성 및 기능 또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2 브라켓(2)이 상기 제1 브라켓(1)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판(12)의 상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제2 브라켓(2)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 오링(41)(O-Ring); 상기 제2 통공부(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판(12)이 제1 브라켓(1)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필터판(12) 외주면과 제1 브라켓(1)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오링(42); 및 상기 바스켓(3)의 하부와 상기 제1 브라켓(1)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오링(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스켓(3), 제1 브라켓(1), 제2 브라켓(2) 및 필터판(12)이 결합/부착/안착되는 부위마다 소정의 오링이 구비되어, 온수(W)의 압력 손실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커피캡슐(C)의 하부(도 2를 기준으로 하부)로부터 충진물이 토출되는 타입의 커피캡슐(C)에 적용 가능한 실시예이다.
바스켓(3)과 제1 브라켓(1)이 나사(S) 체결되는 구조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며, 제2 브라켓(2)은 상기 커피캡슐(C)에 대응하는 소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별도의 필터판(12)이 구비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21)는 상기 제2 브라켓(2)의 일측에 형성된 타공에 체결되며, 블레이드(21)의 내측에는 소정의 통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피 머신으로부터 출수된 온수(W)는 제2 브라켓(2)의 상부를 덮게 되고, 상기 블레이드(21)의 통공을 따라 커피캡슐(C) 내부로 유입되며, 온수(W)의 압력에 의해 상기 커피캡슐(C)의 하부 토출구가 터져(개방되어) 아래로 충진물 및 온수(W)의 혼합액이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탈착지그는: 상기 커피 머신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부(51); 상기 고정부(51)의 하단에 고정되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마그넷(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마그넷(52)이 4개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도면상 표기된 3개와, 중앙의 마그넷(52) 뒤쪽에 배치되는 마그넷(52) 1개).
상기 고정부(51)는 커피 머신의 일측에 고정되거나, 후술하는 실시 예에 따라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탈착부(22)는: 상기 마그넷(5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브라켓(2)의 상부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1 안착홈(220);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52)으로부터 자기력을 받도록 소정의 강자성체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2) 또는 후술하는 바텀 브라켓(7)을 상기 마그넷(52)에 근접시킬 때, 상기 제2 브라켓(2) 또는 후술하는 바텀 브라켓(7)이 상기 마그넷(52)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안착홈(220) 또는 제2 안착홈(740)에 상기 마그넷(52)이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① 상기 제1 안착홈(220)에 상기 마그넷(52)을 안착시켜 고정부(51)에 상기 제2 브라켓(2)을 임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3)에 연결된 손잡이부(미도시)를 파지하여 상기 제2 브라켓(2)과 제1 브라켓(1)을 밀착시키고, 상기 제2 브라켓(2)을 가압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바스켓(3)의 제1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브라켓(1)과 제2 브라켓(2)을 체결할 수 있고, ② 상기 바스켓(3)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1 안착홈(220)에 상기 마그넷(52)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제1 원주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바스켓(3)을 하강시켜 상기 제1 브라켓(1)과 제2 브라켓(2)을 탈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마그넷(52), 제1 안착홈(220) 또는 제2 안착홈(740)을 눈으로 보지 않고도 손잡이부를 45도 이내로 조작하여 상기 마그넷(52)을 제1 안착홈(220) 또는 제2 안착홈(74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출수부(60)는: 소정의 물 이송 경로가 형성되는 배관부(6); 및 상기 바스켓(3)이 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부(60)의 구성(배관부(6) 및 제2 탈착부)는 일반적인 종래 커피 머신에 모두 구비되는 주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실시예는 단순히 고정부(51) 내지 탈착지그를 구비하는 것만으로도 실시될 수 있으나, 기능의 편의를 위하여 커피 머신 자체를 새로이 개발/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피 머신에서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출수부(60)에 인접하도록 고정부(5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배관부(6)의 내측에 수용되는 볼스크류(511); 상기 볼스크류(511)에 연결되며, 일측에 소정의 제1 평면이 형성되는 가이드(512); 상기 가이드(512)의 일측에 고정되는 몸체부(513); 상기 볼스크류(51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512)의 제1 평면에 접하는 소정의 제2 평면이 형성되어, 상기 볼스크류(5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512)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가이드(512)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관(514); 상기 볼스크류(511)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볼스크류(511)의 상단에 연결되는 모터(515); 및 상기 지지관(514)의 하단에 배치되는 게이트밸브(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관(514)은 출수부(60)(배관부(6))를 통해 온수(W)가 공급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게이트밸브(516)를 기반으로 밀폐되며, 온수(W)가 공급되지 않고 탈착지그를 동작시키는 과정에서는 게이트밸브(516)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몸체부(513)가 게이트밸브(516) 및 출수부(6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513)는 소정의 연장부(518)를 기반으로 가이드(512)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스크류(511)의 일단은 소정의 베어링(517)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517)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부(518)가 통과할 수 있는 타공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513)의 하단에 상기 마그넷(52)이 배치되고, 상기 커피 머신에 구비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515) 및 게이트밸브(516)를 제어하여,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브라켓(1) 및 제2 브라켓(2)을 체결 또는 탈거할 때에는 상기 마그넷(52)이 상기 배관부(6)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이드(512)가 하강하며 상기 게이트밸브(516)가 개방되고, 상기 바스켓(3)과 상기 제2 탈착부를 체결시킬 때에는 상기 마그넷(52)이 상기 배관부(6)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상기 가이드(512)가 상승한 뒤 상기 게이트밸브(516)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커피 머신에서 출수부(60)를 동작시켰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상기 볼스크류(511) 및 게이트밸브(516)가 동작하여 몸체부(513)를 지지관(514) 내측으로 수용시키고 게이트밸브(516)를 차단하며, 게이트밸브(516)가 차단된 이후에 온수(W)가 공급된다.
사용자가 커피 머신에서 탈착지그를 동작시켰을 때에는 온수(W)의 공급이 중단되고 게이트밸브(516)가 개방된다. 이후, 모터(515)가 동작하여 몸체부(513)가 하부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1)의 하부에서 탈착 가능한 바텀 브라켓(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텀리스 포타필터는 관리가 잘못되었거나 특정한 조건에서 토출되는 혼합액이 직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고 사방으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브라켓(1)의 하부에 소정의 호퍼(73) 형상의 바텀 브라켓(7)을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1)은: 상기 제1 브라켓(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돌기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 브라켓(7)은: 상기 제2 돌기부(15)에 대응하도록 상기 바텀 브라켓(7)의 내주면에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개구부(71); 상기 제2 개구부(71)로부터 상기 바텀 브라켓(7)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돌기부(15)가 상기 제2 개구부(71)를 통해 삽입되어 안착됨으로써 상기 제1 브라켓(1)과 바텀 브라켓(7)을 체결시키는 제2 레일부(72); 상기 제2 통공부(10)로부터 토출되는 액상을 모으는 소정의 호퍼(73); 상기 마그넷(52)으로부터 자기력을 받도록 소정의 강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호퍼(73)의 하부 외주면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안착돌기(74); 및 상기 안착돌기(74)의 하단에 상기 마그넷(5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넷(52)이 안착 되는 제2 안착홈(7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 개구부(71), 제2 레일부(72) 및 제2 돌기부(15)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3 (a)를 참조하면, 도 1 기준의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제2 개구부(71)를 통해 상기 제2 돌기부(15)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바텀 브라켓(7)이 제1 브라켓(1)의 하부에 밀착된다.
이후,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브라켓(7)을 제1 브라켓(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제2 돌기부(15)가 제2 레일부(7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도 1 기준 하부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도 5 (b)와 같이 고정된다.
바텀 브라켓(7)의 탈거 과정은 상술한 체결 과정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브라켓(1) 및 바텀 브라켓(7)의 탈착과정은 상기 탈착지그 및 탈착부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① 상기 제2 안착홈(740)에 상기 마그넷(52)을 안착시켜 고정부(51)에 상기 바텀 브라켓(7)을 임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3)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바텀 브라켓(7)과 제1 브라켓(1)을 밀착시키고, 상기 바텀 브라켓(7)을 가압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바스켓(3)의 제1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브라켓(1)과 바텀 브라켓(7)을 체결할 수 있고, ② 상기 바스켓(3)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2 안착홈(740)에 상기 마그넷(52)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제1 원주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바스켓(3)을 하강시켜 상기 제1 브라켓(1)과 바텀 브라켓(7)을 탈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링부는: 상기 바텀 브라켓(7)이 상기 제1 브라켓(1)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라켓(1)의 하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바텀 브라켓(7)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4 오링(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 : 커피캡슐
1 : 제1 브라켓
10 : 제2 통공부
11 : 체결홈
12 : 필터판
13 : 제1 개구부
14 : 제1 레일부
15 : 제2 돌기부
2 : 제2 브라켓
20 : 수용부
21 : 블레이드
22 : 제1 탈착부
220 : 제1 안착홈
23 : 제1 돌기부
24 : 제3 통공부
3 : 바스켓
30 : 제1 통공부
41 : 제1 오링
42 : 제2 오링
43 : 제3 오링
51 : 고정부
511 : 볼스크류
512 : 가이드
513 : 몸체부
514 : 지지관
515 : 모터
516 : 게이트밸브
517 : 베어링
518 : 연장부
52 : 마그넷
6 : 배관부
60 : 출수부
7 : 바텀 브라켓
71 : 제2 개구부
72 : 제2 레일부
73 : 호퍼
74 : 안착돌기
740 : 제2 안착홈
S : 나사
W : 온수

Claims (3)

  1. 커피 머신의 출수부에 탈착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통공부;
    상기 바스켓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통공부;
    상기 바스켓의 상부로부터 바스켓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브라켓 또는 바스켓에 탈착 가능한 제2 브라켓;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어, 커피캡슐의 일측을 타공하는 블레이드;
    상기 바스켓,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밀봉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탈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에 상기 커피캡슐을 안착시킨 뒤 상기 커피캡슐의 상부에 제2 브라켓을 체결시키고 커피 머신의 출수부에 상기 바스켓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커피 머신의 출수부로부터 출수되는 온수와 상기 커피캡슐 내부의 충진물을 상기 제2 통공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탈착부와 소정의 탈착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브라켓을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탈착지그는:
    상기 커피 머신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탈착부는:
    상기 마그넷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1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으로부터 자기력을 받도록 소정의 강자성체 소재로 구성되는,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바스켓과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홈;
    상기 제2 통공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다수개의 타공들이 형성되는 필터판;
    상기 필터판의 안착 지점보다 상부에서, 상기 제1 브라켓의 내주면에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1 브라켓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부로 안착됨으로써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체결시키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커피캡슐을 수용 가능하도록 내주면이 상기 커피캡슐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이 상기 제1 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판의 상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 오링(O-Ring);
    상기 제2 통공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판이 제1 브라켓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필터판 외주면과 제1 브라켓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오링; 및
    상기 바스켓의 하부와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3 오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① 상기 제1 안착홈에 상기 마그넷을 안착시켜 고정부에 상기 제2 브라켓을 임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2 브라켓과 제1 브라켓을 밀착시키고, 상기 제2 브라켓을 가압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바스켓의 제1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체결할 수 있고,
    ②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제1 안착홈에 상기 마그넷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제1 원주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바스켓을 하강시켜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탈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KR1020230069951A 2023-05-31 2023-05-31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KR10259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951A KR102594263B1 (ko) 2023-05-31 2023-05-31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951A KR102594263B1 (ko) 2023-05-31 2023-05-31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263B1 true KR102594263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951A KR102594263B1 (ko) 2023-05-31 2023-05-31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2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913B1 (ko) 2013-09-03 2015-01-21 이영식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
KR101582351B1 (ko) 2014-07-21 2016-01-11 주식회사 대화디지탈 캡슐커피머신용 커피 추출장치
KR20160044482A (ko) * 2013-08-22 2016-04-25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착탈가능한 브루잉 유닛을 갖는 식품 또는 음료 제조 기계
KR20170064804A (ko) * 2015-12-02 2017-06-12 주형석 커피메이커
KR102064177B1 (ko) 2012-11-09 2020-01-0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177B1 (ko) 2012-11-09 2020-01-0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KR20160044482A (ko) * 2013-08-22 2016-04-25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착탈가능한 브루잉 유닛을 갖는 식품 또는 음료 제조 기계
KR101481913B1 (ko) 2013-09-03 2015-01-21 이영식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
KR101582351B1 (ko) 2014-07-21 2016-01-11 주식회사 대화디지탈 캡슐커피머신용 커피 추출장치
KR20170064804A (ko) * 2015-12-02 2017-06-12 주형석 커피메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085642T3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 DRINK AND BEVERAGE PLANT
JP6095697B2 (ja) 起動ボタンを用いた飲料生成装置および飲料生成方法
JP6246735B2 (ja) カートリッジ保持器を用いた飲料生成装置および飲料生成方法
TWI360404B (en) Cartridge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particu
US6383375B1 (en) Water container with filter cartridge
AU2011309696B2 (en) A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starting from an infusion product contained in an interchangeable capsule
CN101939233A (zh) 用于泡制饮料的盛装装置
JP2013544607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メーカー用のコーヒー粉末封入カプセル
JP2015506783A (ja) 移動する飲料カートリッジホルダを用いた飲料生成デバイスおよび飲料生成方法
JP2013533034A (ja) 食品用カプセルをカプセルホルダに適合させる為の装置
KR102594263B1 (ko)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KR20210059509A (ko) 캡슐 홀더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CN110431090B (zh) 用于在低压萃取系统中制备冲泡物或可溶饮料的盒
US11780669B2 (en) Cartridge and machine for multi-component beverage preparation
CN108289563A (zh) 用于从胶囊生产饮料的设备
WO2017131522A1 (en) A system for preparing a liquid beverage from a capsule, a capsule holder configured to be used in such a system, a capsule configured to be used in a system, and a kit of parts
KR101215531B1 (ko) 캡슐 음료추출 유니트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장치
KR20210107612A (ko) 복합 음료 용기를 갖는 음료 분배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작동 프로세스
CN109984603A (zh) 多功能冲泡机
CN110074675B (zh) 冲泡胶囊杯
KR101600563B1 (ko) 리셉터클 보관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US20160367064A1 (en) Reusable filter cartridge for multiple brewer types
JP2021020740A (ja) 飲料調製装置用の交換可能な供給パック、配量器、ポンプアセンブリ、および製造方法
KR20150066189A (ko)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CN217852458U (zh) 一种可兼容多种咖啡胶囊的开盖式胶囊咖啡酿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