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913B1 -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913B1
KR101481913B1 KR1020130105198A KR20130105198A KR101481913B1 KR 101481913 B1 KR101481913 B1 KR 101481913B1 KR 1020130105198 A KR1020130105198 A KR 1020130105198A KR 20130105198 A KR20130105198 A KR 20130105198A KR 101481913 B1 KR101481913 B1 KR 10148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assembly
main frame
cover
coffe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이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식 filed Critical 이영식
Priority to KR102013010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개선한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는, 분말커피가 충진되어 있는 커피캡슐(CAPSULE)을 에 고온의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로 축출할 수 있도록 하되,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키면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하면서 캡슐안치실에 투입/안치되어 있는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추출구어셈블리에 밀착시키며, 커버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할 때에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양측면에 설치된 작은링크와 큰링크가 상호 전후진 작동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직선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후진시키는 것에 의해 커피캡슐을 전진 및 낙하시킬 수 있고,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킨 상태에서 커피를 축출할 수 있으며, 커키면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하면서 캡슐안치실에 투입되어 있는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추출구어셈블리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커버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할 때에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양측면에 설치된 링크장치부가 작동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직선으로 전후진시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작동력과 밀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A COFFEE EXTRACTOR OF COFFEE CAPSULE MACHINE}
본 발명은 커피캡슐머신에 설치되어 커피캡슐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분말커피에 뜨거운 물을 공급하여 액상 커피로 축출하도록 하는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커피분말(원료) 충진(수용)되어 있는 커피캡슐(CAPSULE)에 고온의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로 축출할 수 있도록 하되,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키면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하면서 캡슐안치실에 투입/안치되어 있는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추출구어셈블리에 밀착시키며, 커버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할 때에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양측면에 설치된 작은링크와 큰링크가 상호 전후진 작동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직선으로 전후진시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작동력과 밀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된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상 및 사회 생활이 진보 발전하여 전문화되면서 생활(일상 및 사회 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장치들이 무수히 개발되고 있으며, 일명 커피메이커와 같은 커피추출장치는 생활(일상 및 사회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장치 중의 하나이다.
캡슐커피머신 일명 커피메이커는, 커피를 비롯하여 홍차 및 코코아 등과 같은 커피는 주로 물을 뜨겁게 하여 음용 하는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물통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고압으로 공급하는 가열스팀장치부, 상기가열스팀장치로부터 고온의 물(스팀)을 캡슐측출장치에 장전된 캡슐에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수를 축출하고 캡슐을 배출시키는 커피수축출장치부, 상기 커피수축출장치부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커피수를 컵에 받기 위한 컵안치부와 배출되는 캡슐을 받아 보관하는 캡슐보관통 등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캡슐커피머신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1회 패키지 즉, 캡슐커피머신에 충진되어 있는 분말커피를 액상커피로 축출하는 장치의 축출사이클의 작동이 거의 자동화되거나 또는 반자동화되어 있다.
축출사이클(장치)이 자동화된 캡슐커피머신은,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면(누르면) 매거진에서 캡슐커피머신(개별패키지)가 축출장치에 장전되고, 축출장치가 작동하여 캡슐커피머신(개별패키지)에 구멍을 뚫어 고온의 물과 수압을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를 안치되어 있는 컵에 충진시키며, 커피원액이 소진된 커피캡슐(개별패키지)이 수집통에 낙하하도록 된 것이다.
또 축출사이클(장치)이 반 자동화된 캡슐커피머신은, 사용자가 축출장치의 투입구를 개방하여 캡슐커피머신(개별패키지)을 수동으로 투입하고 투입구를 닫으면, 축출장치가 작동하여 캡슐커피머신(개별패키지)에 구멍을 뚫고 고온의 물과 수압을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를 안치되어 있는 컵에 충진시키며, 커피원액이 소진된 커피캡슐(개별패키지)이 수집통에 낙하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캡슐커피머신은, 2개의 시트(seat)를 구비하여 2회분 캡슐을 수용하도록 한 더블캡슐형 커피추출장치와, 1회분 캡슐을 수용하도록 된 싱글캡슐형 커피추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에서 더블캡슐형 커피추출장치로는 WO-A-2006/016054호가 제안되어 있고, 싱글캡슐형 커피추출장치로서는 US-A-6955116호와 EP-A-1050258호 및 WO-A-2006/126230호가 제안되어 있으며, 대체로 1분 캡슐을 사용하는 싱글캡슐형 커피추출장치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대체로 1분 캡슐을 사용하는 싱글캡슐형 커피추출장치는, 캡슐커피머신을 커피추출장치에 장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피추출장치는 통상적으로 지지부와, 캡슐커피머신의 전면과 배면 중에서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을 천공하는 천공부재와, 일면 또는 양면이 천공된 캡슐커피머신에 고온의 물과 고압을 공급(주입)하는 주입 부재와, 커피 원액이 제거(배출)된 캡슐커피머신을 탈락시키는 커피캡슐 탈락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싱글캡슐형 커피추출장치의 커피추출장치로는, 국내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99210호와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129454호 및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135856호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에서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99210호(1회분 패키지로부터 커피수를 제조하기 위한 추출기 및 상기 추출기를 포함하는 기계)는, 상단의 크로스 부재와 중간의 중간평판에 의해 한 쌍의 측판이 하단벽(받침판)에 형성되고, 상ㄱ 하단벽(받침판)의 전후에 개구(배출공)와 패키지 배출공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하단벽(받침판)과 중간평판과의 사이에서 활주(전후진) 가능하고 1회분 패키지의 로딩위치와 축출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어; 고온의 가압수를 1회분 패키지에 분배 공급하는 분배부재; 상기 측판의 외측에 암의 중간이 굴대 설치되어 드로어를 활주(전후진) 시키는 제어레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제어레버의 조작에 의해 1회분 패키지가 안치(장전)되는 드로어를 로딩위치 또는 추출위치로 이동시키고, 드로어를 로딩위치로 이동(전진)시킨 상태에서 드로어의 고정된 부분(패키지 안치홈)에 안치되는 1회분 패키지에는 분배부재에 의해 고온의 가압수를 공급하여 1회분 패키지에 충진된 커피분말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하단벽(받침판)에 형성된 개구(배출공)를 통해 분사시키며, 드로어를 추출위치로 이동시켜 커피분말이 제거된 1회분 패키지를 낙하(배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또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129454호(커피 머신의 커피 캡슐 자동 이젝팅 장치)는, 상면과 밑면의 후측부에 제1홀(커피캡슐 투입구)와 제2홀(커피캡슐 배출구)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전반부에 설치(장착)되어 제1홀(커피캡슐 투입구)을 통해 투입되는 커피캡슐이 제2머신부재(커피캡슐의 전후 이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장입되는 제1머신부재(커피캡슐 장입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후반부에 설치되어 전/후진하면서 제1홀(커피캡슐 투입구)을 통해 투입되는 커피캡슐을 제1머신부재(커피캡슐 장입부재)에 장입 또는 인출시키는 제2머신부재(작동부재);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설치되어 링크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2머신부재(작동부재)를 전후진작동시키는 레버부재;로 형성된 것이다.
이는, 하우징의 제1홀(커피캡슐 투입구)을 통해 커피캡슐을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하고, 레버부재를 전후 조작하여 레버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링크에 의해 제2머신부재(작동부재)를 밀어 투입된 커피캡슐을 제1머신부재(커피캡슐 장입부재)에 장입시키며, 이 상태에서 고온의 가압수를 공급하여 커피캡슐에 충진된 커피분말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며, 레버부재를 역으로 조작하여 링크와 제2머신부재(작동부재)를 후퇴시켜 제1머신부재(커피캡슐 장입부재)에 장입된 커피캡슐을 인출하면 커피캡슐이 하우징의 밑면에 형성된 제2홀(커피캡슐 배출구)을 통해 낙하(배출)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135856호(액상식품 또는 준 사치품을 조제하는 장치, 그 시스템, 및 1회분용 패키징)는, 캡슐 내에 수용된 패키징 제품으로부터 매체를 사용하여 액상 식품 또는 준사치품을 조제하는 장치로서, 1회분용 패키징은 선단 주위에 둘러진 칼라(플랜지)를 구비하는 한편, 개방 상태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지는 2개의 챔버(고정챔버, 작동챔버)들 사이의 삽입 위치에서 칼라(플랜지)에 작용하는 위치설정 유닛을 통해 위치 설정되고, 상기 챔버 부분들은 폐쇄 상태를 생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이 폐쇄 상태에서 1회분용 패키징을 에워쌀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매체가 상기 1회분용 패키징을 통과해 안내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국내에 알려진 장치들은, 드로어(제2머신부재(작동부재), 작동챔버)의 작동에 의해 1회분패키지(1회분용 패키징)를 이동(전진)시켜 액상식품을 제조하거나 후진시켜 빈 패키지(1회분용 패키징)를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1회분 패키지(1회분용 패키징)의 이동거리(간격)이 커 작동이 번거롭고,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이 용이치 못하며, 제어레버(레버부재, 피벗레버)와 드로어(제2머신부재(작동부재), 작동챔버)가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계장치를 작동(1회분 패키지(1회분용 패키징)에 고온의 가압수를 공급하여 커피캡슐에 충진된 커피분말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배출)시킬 때에 진동에 의해 제어레버(레버부재, 피벗레버)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현상(억류상태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그로 인해 기계장치가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못하여 커피의 제조능력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본인은 등록특허 제10-1073474호(캡슐커피머신의 커피추출장치)를 제안하였는데, 이는 커피용 분말원료가 충진(수용)되어 있는 커피캡슐(capsule)에 고온의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로 축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커피추출장치하우징의 캡슐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커피캡슐이 커피추출장치하우징의 내부 중간에 설치된 실린더어셈블리의 이젝터어셈블리에 안치되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어셈블리의 후측에는 기어타입동력부를 설치하여 실린더어셈블리를 전후진 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기어타입동력부의 정방향 작동에 의해 실린더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홀더어셈블리에 홀딩(장전)시킨 상태에서 고온의 물과 고압을 커피캡슐의 내부로 강제 공급하여 커피캡슐의 내부에 수용(충진)된 커피분말을 액상커피로 변화시켜 강제 분출(축출)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커피추출장치는 실린더피스톤이 장착된 실린더어셈블리를 레버의 전후진 작동시키면 치차에 의해 치합된 실린더어셈블리가 전진하면서 커피캡슐을 전진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후진 작업성이 떨어지고, 밀착력이 약하여 커피캡슐을 커피추출구가 구비된 추출어셈블리에 완전하고 강력하게 밀착시킬 수 없게 되며, 그로인해 커피캡슐과 홀더어셈블리와의 밀착력이 약하여 액상커피가 누출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피분말(원료) 충진(수용)되어 있는 커피캡슐(CAPSULE)을 에 고온의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로 축출할 수 있도록 하되,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키면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하면서 캡슐안치실에 투입/안치되어 있는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추출구어셈블리에 밀착시키며, 커버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할 때에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양측면에 설치된 작은링크와 큰링크가 상호 전후진 작동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직선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후진시키는 것에 의해 커피캡슐을 전진 및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킨 상태에서 커피를 축출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하면서 캡슐안치실에 투입/안치되어 있는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추출구어셈블리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커버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할 때에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양측면에 설치된 작은링크와 큰링크가 상호 전후진 작동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직선으로 전후진시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작동력과 밀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된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분말커피가 충진되어 있는 커피캡슐에 고온의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로 축출할 수 있도록 하되,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상측에서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커피캡슐어셈블리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슬라이드식도어와 함께 커피캡슐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키면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상측에서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캡슐안치실에 투입/안치되어 있는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추출구어셈블리에 밀착키도록 하며, 상기 커버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후진)할 때에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양측면에 설치된 링크장치부가 작동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직선으로 슬라이딩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는;
메임프레임커버의 내부를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부로 형성하되 전면은 뚫어진 전면판에 의해 폐쇄시킨 것과;
상기 메임프레임커버의 상면 선단에는 캡슐투입구를 형성하여 커피캡슐을 메임프레임커버의 내부에 투입하여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메임프레임커버의 양측면에는 후단부 중앙에 작동장공이 뚫어진 측면커버플레이트를 형성한 것과;
상기 각 측면커버플레이트의 내면에는 슬라이드형의 가이드레일홈을 형성한 것과;
상기 각 측면커버플레이트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커버어셈블리의 가이드홈을 결합시킨 것과;
상기 메임프레임커버를 형성하는 전면판의 양측에는 지지공을 뚫어 추출구어셈블리의 지지봉을 삽입하여 결합시킨 것과;
상기 메임프레임커버의 전면 양측에는 축공이 뚫어진 측면지지대를 형성하여 측면지지대의 내면에 추출구어셈블리장전실을 형성하여 추출구어셈블리를 장전시킨 것과;
상기 측면지지대의 밑면과 메임프레임커버의 밑면 양측에 고정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2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한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는,
커피분말(원료) 충진(수용)되어 있는 커피캡슐(CAPSULE)을 에 고온의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로 축출할 수 있도록 하되,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키면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하면서 캡슐안치실에 투입/안치되어 있는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추출구어셈블리에 밀착시키며, 커버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할 때에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양측면에 설치된 작은링크와 큰링크가 상호 전후진 작동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직선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후진시키는 것에 의해 커피캡슐을 전진 및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킨 상태에서 커피를 축출할 수 있으며, 커키면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하면서 캡슐안치실에 투입/안치되어 있는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추출구어셈블리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커버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할 때에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양측면에 설치된 작은링크와 큰링크가 상호 전후진 작동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직선으로 전후진시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작동력과 밀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가 설치된 커피캡슐머신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에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에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와 커버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에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와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상측 사시도 및 하측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및 단면도.
도 9a와 도 9b 및 도 10a와 도 1b 및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의 작동과정을 각각 보인 사시도 및 저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2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20)가 설치된 커피캡슐머신(1)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2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와 커버어셈블리(50)의 결합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와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의 결합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또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의 결합상태를 보인 상측 사시도 및 하측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9a와 도 9b 및 도 10a와 도 1b 및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의 작동과정을 각각 보인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2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피캡슐머신(1)의 내부에 설치되어 커피캡슐(15)의 분말커피를 액상커피로 추출할 때에 사용된다.
커피캡슐머신(1)은, 받침대(3)의 전반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와 같은 각종 장치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일체식머신본체(2)를 설치하였고, 받침대(3)의 후반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에 물이 공급되고 상단에 물통커버(13)가 구비된 물통(12)을 설치하였으며, 일체식머신본체(2)의 전면 하단에는 컵 등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물받이(10)를 설치하였다.
상기 일체식머신본체(2)의 전면부 상단 모서리에는 컨트롤부로서 동작 상태를 LED로 표시하는 LED레벨표시부(6), 레벨의 기능을 선택하는 레벨볼륨버튼(7),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버튼(8),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에 가온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버튼(9) 등을 설치하였고, 컨트롤부의 하측에는 액상커피를 물받이(10)에 받쳐져 있는 컵 등에 액상커피를 배출시키는 커피추출구(5)를 구비하였으며, 일체식머신본체(2)의 상면에는 커피캡슐투입구(11)를 형성하여 일체식머신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의 슬라이드식도어(21)가 커피캡슐투입구(11)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일체식머신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는 도 2 내지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는 크게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와,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커버어셈블리(50)를 전후진시키는 커버도어(21) 및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링크장치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액상커피를 추출시키는 추출구어셈블리(41)와,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후 슬라이딩 작동되는 커버어셈블리(50)와,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링크장치부에 의해 커버어셈블리(50)와 함께 연동되면서 투입된 커피캡슐(15)을 전방으로 압착하여 주는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로 크게 분할하여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메임프레임커버(31)는 내부를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부로 형성하되 전면은 뚫어진 전면판(37)에 의해 폐쇄 하였고, 상기 메임프레임커버(31)의 상면 선단에는 캡슐투입구(33)를 형성하여 커피캡슐(15)을 메임프레임커버(31)의 내부에 투입하여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메임프레임커버(31)의 양측면에는 후단부 중앙에 작동장공(36)이 뚫어진 측면커버플레이트(34)를 형성하되 각 측면커버플레이트(34)의 내면에는 가이드레일홈(35)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각 측면커버플레이트(34)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32)을 형성하여 차후에 설명되는 커버어셈블리(50)의 가이드홈(56)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메임프레임커버(31)를 형성하는 전면판(37)의 양측에는 지지공(37-2)을 뚫어 차후에 설명되는 추출구어셈블리(41)의 지지봉(44)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메임프레임커버(31)의 전면 양측에는 축공(38-1)이 뚫어진 측면지지대(38)를 형성하여 측면지지대(38)의 내면에 추출구어셈블리장전실(40)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측면지지대(38)의 밑면과 메임프레임커버(31)의 밑면 양측에 고정대(39)를 각각 형성하여 일체식머신본체(2)의 내부에 견실하게 장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추출구어셈블리장전실(40)의 양측에 형성된 각 측면지지대(38)의 외면 하단에는 스톱퍼(38-2)를 수평으로 형성하여 회전하는 L형링크(80)의 중간축공(80-2)을 외면을 받쳐 줌으로써 L형링크(80)가 무단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메임프레임커버(31)의 추출구어셈블리장전실(40)에 장전되는 추출구어셈블리(41)는, 추출구(43)의 전면 양측에 반원홈(43-1)을 형성하여 반원홈(43-1)에 제2축봉(82)이 결합(결착)되도록 하였고, 추출구(43)의 전면 하측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추출관(42)을 형성하여 액상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추출구(43)의 내면 양측에 지지봉(44)을 형성하여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를 형성하는 전면판(37)의 지지공(37-2)에 삽입하여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식도어는, 평판형으로 된 커버도어(21)의 상면 선단에 파지부(23)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커버도어(21)에는 장착공(21-1)을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하여 커버어셈블리(50)를 장착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장착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커버도어(21)의 양측에 가이드플레이트(22)를 일체로 형성하여 가이드플레이트(22)가 일체식머신본체(2)의 상판에 억류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직선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였다. 다.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상측에서 슬라이드식도어 즉, 커버도어(21)의 하측에 장착되는 커버어셈블리(50)는 다음과 같이 형성(구성)하였다.
밑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커버본체(51)의 양측에는 측면지지대(55)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커버본체(51)의 전면에는 캡슐투입구(53)가 상하로 개방되게 뚫어진 전면틀(52)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커버본체(51)의 중앙부에는 장착봉(51-1)을 형성하여 커버도어(21)의 장착공(21-1)에서 결합는 장착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장착봉(51-1)에 고정(나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커버본체(5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측면지지대(55)의 내면 하단부에 가이드홈(56)을 각각 형성하여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가이드레일(32)에 각각 결합시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내부에 장전되어 커피캡슐(15)을 파지 및 압착하고 뜨거운 물을 커피캡슐(15)에 공급하여 커피캡슐(15)의 내부에 충진된 분말커피가 액상커피로 변환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는, 커피캡슐홀더(61)의 양측에 가이드블록(62)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각 가이드블록(62)을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가이드레일홈(35)에 결합(삽입)시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각 가이드블록(62)의 내면 후단부에는 축공(64)이 뚫어진 축봉(63)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긴링크(70)의 후단에 결합되는 전후작동축봉을 전후작동축봉(90)을 결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커피캡슐홀더(61)의 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실린더피스톤과 캡슐패킹 및 이젝터어셈블리를 장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커버어셈블리(50)를 전후진시키는 커버도어(21) 및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링크장치부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를 형성하는 양측 측면지지대(38)의 외측에 L형링크(80)를 구비하고, 양측 측면지지대(38)에 뚫어진 축공(38-1)에 L형링크(80)의 하단축공(80-2)을 일치시켜 제2축봉(82)을 결합시키되 제2축봉(82)이 추출구어셈블리장전실(40)에 장전된 추출구어셈블리(41)의 반원홈(43-1)에 결합되도록 하였고, 상기 각 L형링크(80)의 중간축공(80-1)에는 긴링크(70)의 선단축공(71)과 일치시키고 제1축봉(81)을 끼워 결합시켰으며, 상기 각 L형링크(80)의 상단핀공(80-3)에는 각 짧은링크(75)의 선단핀공(76)과 일치시켜 제2핀(86)으로 각각 장착하였다.
상기 각 짧은링크(75)의 후단핀공(77)은 커버어셈블리(50)를 형성하는 양측 측면지지대(55)에 형성된 축공(57)에 제1핀(85)으로 각각 장착하였고, 상기 각 긴링크(70)의 후단축공(72)은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를 형성하는 양측 측면지지대(38)의 작동장공(36) 및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를 형성하는 가이드블록(62)의 축봉(63)과 일치시키고 전후작동축봉(90)을 결합하였다(끼워주었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는 도 6a 및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도어(21)와 커버어셈블리(50)가 후퇴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이 개시된다.
도 1에 예시된 커피캡슐머신(1)에서 플러그(16)를 전기 콘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꽂아 전기를 공급하고, 전기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LED레벨표시부(6)를 보면서 레벨볼륨버튼(7)을 조작하여 물의 온도와 공급량을 조정하고, 커피캡슐투입구(11) 및 캡슐투입구(53)를 통해 커피캡슐(15)을 투입하되 배출구가 전방을 향하도록 투입시키며,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커버(31)의 내부로 투입된 커피캡슐(15)은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에 장착된 이젝터어셈블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받침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얹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커피캡슐머신(1)의 물받이(10)에는 커피추출구(5)에서 배출되는 액상커피를 받아낼 수 있느 컵을 올려 놓는다.
상기와 같이 커피캡슐(15)이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에 장착된 이젝터어셈블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받침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얹혀지고, 물통(12의 물이 공급되어 히팅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히팅되고 있는 상태 즉, 도 6aㅘ 도 6b 및 도 9a와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커버(21)의 파지부(23)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커버도어(21)와 함께 커버어셈블리(50)가 전방으로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커버어셈블리(50)의 가이드홈(56)이 메인프레임어셈블리(30)에 형서어된 가이드레일(32)를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커버어셈블리(50)는 요동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커버도어(21)와 함께 커버어셈블리(50)가 전방으로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단핀공(77)이 제1핀(85)에 의해 커버어셈블리(50)의 축공(57)에 장착되어 수평상태에 있던 짧은링크(75)가 전진하면서 하단축공(80-2)이 제2축봉(82)에 의해 측면지지대(38)의 축공(38-1)에 축착되어 있는 L형리크(80)를 서서히 회전시키게 되고, 짧은링크(75)의 전진에 의해 하단축공(80-2)의 제축봉(81)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L형리크(80)는 상단핀공(72)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중간축공(80-1)이 하향하면서 중간축공(80-1)에 선단축공(71)이 장착되어 있는 긴링크(70)도 중간축공(80-1) 및 제1축봉(81)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긴링크(70)가 중간축공(80-1) 및 제1축봉(81)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면, 전후작동축봉(90)으로 장착되어 있는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도 커피캡슐홀더(61)의 내부에서 전진하게 되는데,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는 가이드블록(62)이 측면커버플레이트(34)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홈(35)에서 슬라이딩 이동(전진)하게 되며,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가 전진하면서 이젝터어셈블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받침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안치(얹혀진)되어 있는 커피캡슐(15)을 함께 전진시켜 준다.
따라서 커피캡슐(15)은 전면판(37)의 중앙공(37-1)을 통하여 추출구어셈블리(41)의 내면에 밀접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에 도 11a 및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L형링크(80)는 중간축공(80-1)부분이 스톱퍼(38-2)에 의해 받쳐지면서 회전이 중지되고, 긴링크(70)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커피캡슐(15)이 전면판(37)의 중앙공(37-1)을 통하여 추출구어셈블리(41)의 내면에 밀접하게 밀착되고, 실린더피스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형성된 천공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커피캡슐(15)의 커버필름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뚫고 침투한 상태를 유지하며,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에 장착된 실린더어셈블리의 노즐(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통하여 고온고압수가 공급된다.
실린더어셈블리의 노즐(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온고압수는 실린더피스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형성된 천공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뚫어져 있는 커버필름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구멍을 통하여 커피캡슐(15)의 내부로 유입되고, 커피캡슐(15)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고압수에 의해 분말커피를 액상커피로 변환되며, 변환된 액상커피는 고압에 의해 커피캡슐(15)의 밑면에 부착된 지류를 파괴시키면서 방출되어 추출관(42) 및 커피추출구(5)를 통해 추출된다.
추출관(42)을 통해 추출되는 액상커피는 물받이(10)의 위에 얹혀져 있는 컵에 충진되며, 설정된 소정의 고온고압수의 공급이 중지되면 액상커피의 방출은 자연스럽게 정지된다.
액상커피가 완전히 방출된 후에 전진되어 있는 슬라이식도어(21)를 후퇴시키면 커버어셈블리(50)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도 함께 후퇴하게 되고, 커버어셈블리(50)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가 후퇴하게 되면 도 11a alc eh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및 이동되어 있던 긴링크(70)와 짧은링크(75) 및 L형리크(80)가 역회전 및 후퇴하여 도 9a 및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하며,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60)가 후퇴함과 동시에 비어있는 커피캡슐(15)이 낙하하여 캡슐회수막스(4)이 낙하하여 회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20)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작동(조작)시키면서 커피캡슐머신(1)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커피캡슐머신 2: 일체식머신본체
5: 커피추출구 6: LED레벨표시부
10: 물받이 11: 커피캡슐투입구
15: 커피캡슐 20: 커피추출장치 30: 메인프레임어셈블리 31: 메인프레임커버
33. 53: 캡슐투입구 40: 추출구어셈블리장전실(
42: 추출관 50: 커버어셈블리
51: 커버본체 55: 측면지지대
60: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 62: 가이드블록
70: 긴링크 75: 짧은링크
80: L형링크 81: 제1축봉
82: 제2축봉 85: 제1핀
86: 제2핀 90: 전후작동축봉

Claims (9)

  1. 삭제
  2. 분말커피가 충진되어 있는 커피캡슐에 고온의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로 축출할 수 있도록 하되,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상측에서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커피캡슐어셈블리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슬라이드식도어와 함께 커피캡슐어셈블리를 슬라이딩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식도어를 슬라이딩 전진시키면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상측에서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진)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캡슐안치실에 투입/안치되어 있는 커피캡슐을 전진시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추출구어셈블리에 밀착키도록 하며, 커버어셈블리와 함께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가 직선으로 운동(전후진)할 때에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양측면에 설치된 링크장치부가 작동하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직선으로 슬라이딩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는;
    메임프레임커버의 내부를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부로 형성하되 전면은 뚫어진 전면판에 의해 폐쇄시킨 것과;
    상기 메임프레임커버의 상면 선단에는 캡슐투입구를 형성하여 커피캡슐을 메임프레임커버의 내부에 투입하여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메임프레임커버의 양측면에는 후단부 중앙에 작동장공이 뚫어진 측면커버플레이트를 형성한 것과;
    상기 각 측면커버플레이트의 내면에는 슬라이드형의 가이드레일홈을 형성한 것과;
    상기 각 측면커버플레이트의 상측에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커버어셈블리의 가이드홈을 결합시킨 것과;
    상기 메임프레임커버를 형성하는 전면판의 양측에는 지지공을 뚫어 추출구어셈블리의 지지봉을 삽입하여 결합시킨 것과;
    상기 메임프레임커버의 전면 양측에는 축공이 뚫어진 측면지지대를 형성하여 측면지지대의 내면에 추출구어셈블리장전실을 형성하여 추출구어셈블리를 장전시킨 것과;
    상기 측면지지대의 밑면과 메임프레임커버의 밑면 양측에 고정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의 커피캡슐추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상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식도어는;
    평판형으로 된 커버도어의 상면 선단에 파지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커버도어에는 상하로 개방되는 장착공을 형성하여 커버어셈블리를 볼트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커버도어의 양측에 가이드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의 커피캡슐추출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임프레임커버의 전면에 장착되는 추출구어셈블리는;
    추출구의 전면 양측에 반원홈을 형성하고, 반원홈에 제2축봉을 결합(결착)시킨 것과;
    상기 추출구의 전면 하측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추출관을 형성하여 액상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추출구의 내면 양측에 지지봉을 형성하여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전면판의 지지공에 삽입하여 결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의 커피캡슐추출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하측에서 슬라이드식도어의 하측에 장착되는 커버어셈블리는;
    밑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커버본체의 양측에는 측면지지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커버본체의 전면에는 캡슐투입구가 상하로 개방되게 뚫어진 전면틀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커버본체의 중앙부에는 장착봉을 형성하여 커버도어의 장착공에서 결합되는 장착볼트를 나사 결합시킨 것과;
    상기 커버본체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측면지지대의 내면 하단부에 가이드홈을 각각 형성하여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결합시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의 커피캡슐추출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내부에 장전되어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는;
    커피캡슐홀더의 양측에 가이드블록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각 가이드블록을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가이드레일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 것과;
    각 가이드블록의 내면 후단부에는 축공이 뚫어진 축봉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긴링크의 후단에 결합되는 전후작동축봉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의 커피캡슐추출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의 상측에 설치되는 링크장치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양측 측면지지대의 외측에 L형링크를 구비하고, 양측 측면지지대에 뚫어진 축공에 L형링크의 하단축공을 제2축봉으로 결합시킨 것과;
    상기 각 L형링크의 중간축공에는 긴링크의 선단축공과 일치시켜 제1축봉으로 결합시킨 것과;
    상기 각 L형링크의 상단핀공에는 각 짧은링크의 선단핀공과 일치시켜 제2핀으로 각각 장착한 것과;
    상기 각 짧은링크의 후단핀공은 커버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양측 측면지지대에 제1핀으로 각각 장착한 것과;
    상기 각 긴링크의 후단축공은 메인프레임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양측 측면지지대의 작동장공 및 커피캡슐홀더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가이드블록의 축봉과 일치시켜 전후작동축봉으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의 커피캡슐추출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어셈블리는;
    추출구어셈블리장전실의 양측에 형성된 각 측면지지대의 외면 하단에 스톱퍼를 형성하여 L형링크의 무단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의 커피캡슐추출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양측 측면지지대에 뚫어진 축공에 L형링크의 하단축공을 결합시키는 제2축봉은;
    상기 제2축봉이 추출구어셈블리장전실에 장전된 추출구어셈블리의 반원홈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메이커의 커피캡슐추출장치.


KR1020130105198A 2013-09-03 2013-09-03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 KR10148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198A KR101481913B1 (ko) 2013-09-03 2013-09-03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198A KR101481913B1 (ko) 2013-09-03 2013-09-03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913B1 true KR101481913B1 (ko) 2015-01-21

Family

ID=5259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198A KR101481913B1 (ko) 2013-09-03 2013-09-03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9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6372A1 (en) * 2015-04-02 2016-10-06 Nestec S.A. Interface with safety cover
KR20180130370A (ko) 2017-05-29 2018-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WO2020097954A1 (zh) * 2018-11-15 2020-05-22 深圳市西啡科技有限公司 饮料萃取装置及饮料制备设备
KR102594263B1 (ko) 2023-05-31 2023-10-27 (주)하나프리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980A (ko) * 2007-10-04 2010-07-05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음료 우려내기 유닛
WO2012093107A1 (en) * 2011-01-03 2012-07-12 Nestec S.A. Beverage machine with a cover for an ingredient inl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980A (ko) * 2007-10-04 2010-07-05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음료 우려내기 유닛
WO2012093107A1 (en) * 2011-01-03 2012-07-12 Nestec S.A. Beverage machine with a cover for an ingredient inl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6372A1 (en) * 2015-04-02 2016-10-06 Nestec S.A. Interface with safety cover
KR20180130370A (ko) 2017-05-29 2018-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WO2020097954A1 (zh) * 2018-11-15 2020-05-22 深圳市西啡科技有限公司 饮料萃取装置及饮料制备设备
KR102594263B1 (ko) 2023-05-31 2023-10-27 (주)하나프리 다양한 커피 머신에 호환되는 캡슐커피 추출 바스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3543C (en) Cartridge positioning system
CA2842533C (en) Cartridge chamber of extraction system
US8881643B2 (en) Infusion unit for drinks with washing system
US9186018B2 (en) Dispensing assembly for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ing capsules
RU2533111C2 (ru) Заварочный модуль для напитков с системой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запирания
EP2747608B2 (en) Long-lasting cartridge piercer
EP2747610B1 (en) Cartridge removal system
KR101481913B1 (ko)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의 커피추출장치
AU2011206624A1 (en) Ergonomic ingredient holder and service unit coordination
CN103269627A (zh) 用于制备饮料的机器的泡制设备
EP2139369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beverages from a powder contained in capsules
KR101075791B1 (ko) 캡슐커피머신의 작동시스템
KR101073474B1 (ko) 캡슐커피머신의 커피추출장치
KR101253778B1 (ko) 일회용 캡슐커피 자동정렬 및 추출장치
KR20130090673A (ko) 일회용 캡슐커피 자동정렬 및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