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49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490B1
KR102582490B1 KR1020210086019A KR20210086019A KR102582490B1 KR 102582490 B1 KR102582490 B1 KR 102582490B1 KR 1020210086019 A KR1020210086019 A KR 1020210086019A KR 20210086019 A KR20210086019 A KR 20210086019A KR 102582490 B1 KR102582490 B1 KR 102582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management
data
current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04136A (en
Inventor
오종택
Original Assignee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490B1/en
Publication of KR2023000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1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4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안전 관리 장치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착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 착용자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안전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부, 상기 높이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 상기 영상 획득부, 상기 음향 획득부 및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 상기 높이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가속도 데이터, 현재 각속도 데이터, 현재 높이 데이터 및 현재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높이 데이터, 상기 현재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현재 각속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가 추락한 추락 상황인지 판정하고, 상기 현재 온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 주변이 화재 상황이나 동사 상황인지 판정하고, 추락 상황, 화재 상황 및 동사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면,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정하고, 판정된 위험 상황의 종류,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device, which includes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wearer's movement, a heigh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height at which the wearer is located,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wearer's surrounding temperature, and safety management.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and a mo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tion detection unit, the height detection unit,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e image acquisition unit, the sound acquisi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otion control unit detects the motion. reads signals input from the height detection unit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to obtain current acceleration data,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current height data, and current temperature data, and obtains the current height data, the current acceleration data, and the current temperature data. Process the angular velocity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has fallen in a fall situation, process the current temperatur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area surrounding the worker is a fire situation or a dead situation, and determine at least one dangerous situation among a fall situation, a fire situation, and a dead situation. When this happe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is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type of dangerous situ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Safety managemen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fety management devices and their control methods.

일반적으로 작업자들이 작업하는 환경은 안전하지 못한 경우가 많고, 또한 작업 도중에 사고나 건강 상태 이상으로 인한 부상이나 사망 사고가 흔히 발생한다. In general, the environment in which workers work is often unsafe, and injuries and deaths due to accidents or health conditions commonly occur during work.

특히, 각종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재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관련 법이 제정되는 등 작업장 안전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In particular, social interest in workplace safet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related laws being enacted to prevent disasters that occur in various workplaces.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모나 신체에 카메라를 장착하거나 각종 감지 장치와 통신 장치를 부착하여 작업자의 상태와 주변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사고 예방을 위한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Accordingly, a variety of products are being released to prevent accidents by attaching a camera to the worker's hard hat or body, or attaching various sensing devices and communication devices to transmit the worker's status and surround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하지만, 이러한 카메라 등과 통신 장치가 부착된 안전모의 경우, 가격이 비싸고, 중량이 크게 증가하여 착용자의 불편함이 증가하고 작업에 지장을 초래한다.However, in the case of safety helmets equipped with such cameras and other communication devices, the price is expensive and the weight increases significantly, which increases the wearer's discomfort and interferes with work.

또한, 안전모의 특성 상 지속적인 전원 공급이 곤란하므로, 배터리와 같은 휴대 전원을 이용한다. 하지만, 안전모에 장착된 많은 전자장치로 인해 휴대 전원의 전력 소모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Additionally, due to the nature of the safety helmet, it is difficult to provide continuous power, so a portable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is used. However, due to the many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on the hard hat, a problem arises in which the portable power source quickly consumes power.

더욱이, 안전모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관리 서버로 전송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전송에 의한 통신 트래픽의 증가로 인해 휴대 전원의 지속 시간을 더욱 감소하며 통신 비용 역시 증가하게 된다.Moreover, sinc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hard hat is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increase in communication traffic due to such data transmission further reduces the duration of portable power and also increases communication costs.

한국 등록특허 제20-048026호(등록일자: 2016년 04월 27일, 발명의 명칭: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Korean Patent No. 20-048026 (Registration date: April 27, 2016, Title of invention: Worker safety activity detection device using smartphone) 한국 등록특허 제10-2123008호(등록일자: 2020년 06월 09일, 발명의 명칭: 복합환경 측정을 이용한 지능형 웨어러블 위험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방법)Korean Patent No. 10-2123008 (Registration date: June 9, 2020, Title of invention: Intelligent wearable risk status de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complex environment measuremen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작업자의 안전 관리를 위해 별도의 장치 사용을 줄이고 별도의 배터리 충전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reduce the use of separate devices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and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charging separate batteries.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착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 착용자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안전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부, 상기 높이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 및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 상기 높이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가속도 데이터, 현재 각속도 데이터, 현재 높이 데이터 및 현재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높이 데이터, 상기 현재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현재 각속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가 추락한 추락 상황인지 판정하고, 상기 현재 온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 주변이 화재 상황이나 동사 상황인지 판정하고, 추락 상황, 화재 상황 및 동사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면,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정하고, 판정된 위험 상황의 종류,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A safe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wearer, a heigh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height at which the wearer is located,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wearer's surrounding temperature, and a safety management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e motion detection unit, the height detection unit,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ceives input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the height detection unit,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Read the signal to obtain current acceleration data,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current height data, and current temperature data, and process the current height data, current acceleration data, and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has fallen and is in a fall situation. , processes the current temperatur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area around the worker is a fire situation or a dead situ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in at least one of a fall situation, a fire situation, and a dead situation,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makes a decision. The type of dangerous situ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특징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착용자의 주변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착용자의 주변 음성의 음향 데이터를 획득하는 음향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판정된 상기 위험 상황의 종류,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 정보와 함께 영상 획득부와 상기 음향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영상 데이터와 현재 음향 데이터를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출력할 수 있다.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image data of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wearer, and a sound acquisi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acquires sound data of the wearer's surrounding voice.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the determined type of dangerous situ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s well as the current image data and current sound acquir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 sound acquisition unit. Data can be output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각속도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unit may include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상기 동작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세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receive a communication strength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기기는 무선랜 공유기나 블루투스 AP일 수 있다. The 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wireless LAN router or a Bluetooth AP.

상기 안전 관리 장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The safety management device may be a smartphon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작 제어부가 움직임 감지부, 높이 감지부 및 온도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 상기 높이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현재 가속도 데이터, 현재 각속도 데이터, 현재 높이 데이터 및 현재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현재 높이 데이터, 상기 현재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현재 각속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가 추락한 추락 상황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현재 온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 주변이 화재 상황이나 동사 상황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추락 상황, 화재 상황 및 동사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면, 안전 관리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부는 판정된 위험 상황의 종류,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safe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motion control unit reading signals input from a motion detection unit, a height detection unit, and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ads signals input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and the height detection unit. and process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to obtain current acceleration data,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current height data, and current temperature data,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obtains the current height data, current acceleration data, and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has fallen in a fall situa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processing the current temperatur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area surrounding the worker is a fire situation or a dead situa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a fall situation, a fire situation, and a dead situation If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use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type of the 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상기 특징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동작 제어부가 영상 획득부와 음향 획득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영상 데이터와 현재 음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부가 판정된 상기 위험 상황의 종류,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 정보와 함께 영상 획득부와 상기 음향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영상 데이터와 현재 음향 데이터를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includes the steps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cquiring current image data and current sound data by reading signals appli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 sound acquisition unit,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ing the dangerous situation. It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current image data and current sound data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 sound acquisition unit along with the typ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

상기 위치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세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부가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ceiving a communication strength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can do.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작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안전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안전 상황을 판정하므로, 안전 사고의 발생 위험이 감소하고 안전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features, the current safety situation is determined using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owned by the worker, s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s reduced and quick and accurate responses can be made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또한, 안전 관리 장치가 거의 모든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일 경우, 고성능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신호 처리가 신속하고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별도의 추가적인 안전 관리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며 매번 상기의 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새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진다. In addition, i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is a smartphone that almost all workers carry, signal processing using a high-performance smartphon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workers do not need to carry an additional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are reminded every time. There is no need to recharge or replace batteries used in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orker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afe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operational flowchart of a safet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each step described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listed order, except when it must be performed in the listed order due to a special causal relationship.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을 참고하면, 본 예의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1)은 안전 관리 장치(10), 안전 관리 장치(10)와 통신하는 작업자 관리 서버(20) 및 안전 관리 장치(10) 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기기(3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orker safety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example includes a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 worker management server 20 in communication with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nd at least one in communication with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30 may be provided.

안전 관리 장치(10)는 작업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직접 휴대하는 휴대 단말로서, 일 예로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다.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is a portable terminal carried by workers working in the workplace, and may be, for example, a smartphone.

이러한 안전 관리 장치(1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11),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움직임 감지부(121), 높이 감지부(122) 및 온도 감지부(123)를 구비하는 센서부(12), 영상 획득부(13), 음향 획득부(14), 통신부(15), 사용자 입력부(11), 센서부(12), 영상 획득부(13), 음향 획득부(14) 및 통신부(15)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16), 동작 제어부(16)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17), 그리고 동작 제어부(16)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18)(시각, 음성, 진동)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is safety management device 10 includes a user input unit 11, a motion detection unit 121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 height detection unit 122, and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123. A sensor unit 12, an image acquisition unit 13, a sound acquisition unit 14, a communication unit 15, a user input unit 11, a sensor unit 12, an image acquisition unit 13, and a sound acquisition unit. (14)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5, the storage unit 17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and the output unit 18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time , voice, vibration) can be provided.

사용자 입력부(11)는 사용자가 안전 관리 장치(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입력이나 설정값 입력 등과 같은 입력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1 can generate a signal related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such as inputting a command or inputting a set valu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nd output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1)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jog) 스위치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is user input unit 11 may be composed of a key pad, dome switch, touch pad, jog switch, or mouse.

움직임 감지부(121)는 안전 관리 장치(10)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움직임 데이터를 동작 제어부(16)로 출력할 수 있다. The motion detection unit 121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worker carrying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generate motion data, and output the generated motion data to the motion control unit 16.

따라서, 동작 제어부(16)는 움직임 감지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움직임 데이터의 상태를 분석하여, 작업자의 추락여부 및 추락 속도를 판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tion control unit 16 can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has fallen and the speed of the fall by analyzing the state of the movement data applied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121.

이러한 움직임 감지부(12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is motion detection unit 121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s already described.

가속도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의 상호 직교하는 3차원 수직축에서의 발생하는 움직임 대한 가속도를 측정하여 가속도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고, 자이로 센서는 x축에 대한 회전 동작인 롤(rolling) 동작, y축에 대한 회전 동작인 피칭(pitching) 및 z축에 대한 회전 동작인 요잉(yawing) 동작의 회전 각속도를 측정하여 각속도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can measure the acceleration of movement occurring in three-dimensional vertical axes orthogonal to the x-axis, y-axis, and z-axis and output it as acceleration data, and the gyro sensor performs a rolling motion, which is a rotating motion about the x-axis. ,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of pitching, which is a rotational motion about the y-axis, and yawing, which is a rotational motion about the z-axis, can be measured and output as angular velocity data.

따라서,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3축, 즉, x축, y축 및 z축에 대한 가속도 센서의 값(ax, ay, az)을 이용한 실효값(root mean square)을 이용하여 움직임 크기(MACC)가 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movement magnitude (MACC) is calculated using the root mean square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values (ax, ay, az) for the three axes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that is, the x-axis, y-axis, and z-axis. can be calculated.

높이 감지부(122)는 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작업장의 높이를 감지하여 높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높이 데이터를 동작 제어부(16)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높이 감지부(122)는 기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height detection unit 122 may detect the height of the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generate height data, and output the generated height data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In this example, the height sensor 122 may include an air pressure sensor.

동작 제어부(16)는 움직임 감지부(121)로부터 인가되는 움직임 데이터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 발생한 경우로 판정되면, 높이 감지부(122)로부터 인가되는 높이 데이터의 값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추락 높이를 판정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has fallen based on the movement data received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121, the motion control unit 16 determines the height of the worker's fall using the value of the height data received from the height detection unit 122. can do.

온도 감지부(123)는 작업장의 온도, 즉 작업자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온도 감지부(123)는 생성된 온도 데이터를 동작 제어부(16)로 출력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123 generates temperature data by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that is, the worker's surrounding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123 can output the generated temperature data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16)는 입력된 온도 데이터의 값을 이용하여 현재 작업자주변의 현재 온도를 판정하고, 판정된 작업자 주변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화재 발생 여부나 동사 위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determines the current temperature around the worker using the value of the input temperature data, and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whether a fire is dangerous when the determined current temperature around the worker is outside the set temperature range. can be judged.

대안적인 예로, 동작 제어부(16)는 작업장의 이전 온도와 현재 온도와의 온도 차이가 설정차이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사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As an alternative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temperature and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difference.

예를 들어, 동작 제어부(16)는 현재 온도가 이전 온도에 비해 설정값(예, 제1 설정값) 이상 상승한 경우, 작업자 주변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temperature rises more than a set value (eg, a first set value) compared to the previous temperatu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around the worker.

또한, 동작 제어부(16)는 이전 온도가 초기 온도에 비해 설정값(예, 제2 설정값) 이하로 하강한 경우, 추락 등으로 동사의 위험이 있는 위치에 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previous temperature falls below the set value (e.g., the second set value) compared to the initial temperatu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determine that the worker is located in a position where there is a risk of falling or the like. there is.

영상 획득부(13)는 안전 관리 장치(10)가 위치한 작업장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 동작 제어부(16)로 출력할 수 있고, 음향 획득부(14)는 안전 관리 장치(1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입력 받아 음향 데이터를 생성한 후 동작 제어부(16)로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can capture images surrounding the workplace where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is located, generate corresponding image data, and output i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and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can perform safety management. Sound data generated around the device 10 may be input, sound data may be generated, and then outpu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본 예에서, 영상 획득부(13)는 안전 관리 장치(10)에 장착된 카메라일 수 있고, 음향 획득부(14)는 안전 관리 장치(10)에 장착된 마이크일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may be a camera mounted on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nd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may be a microphone mounted on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영상 획득부(13)는 안전 관리 장치(10)의 몸체에 일체로 위치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연장선 등을 이용하여 몸체와 분리되어 별도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안전관리 장치의 몸체는 휴대의 용이성과 분실 방지를 위해 작업자의 주머니 등에 장착되는 반면, 영상 획득부(13)는 별도의 고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작업모나 작업복 외측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옷 등에 의해 영상 획득부(13)가 가져질 위험도 없고, 영상 획득부(13)를 장착할 때, 원하는 방향으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상 획득부(13)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may be located integrally with the body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but alternatively,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using an extension line or the like and placed separately. In this case, the body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is mounted in the worker's pocket for ease of portability and to prevent loss, whi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is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on the outside of a work hat or work clothes, using a separate fixing device, etc. Can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re is no risk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being captured by clothes, etc.,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can be installed so that image capture can be performed in a desired direction when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is mounted.

따라서, 동작 제어부(16)는 움직임 데이터와 높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생한 사고의 종류를 추가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using the motion data and height data,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n additionally determine the type of accident that has occurred using the image data and sound data. However, at this time, one of the image data and sound data may be omitted.

통신부(15)는 안전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한 예로, 통신부(15)는 근거리 통신 모듈(151), 인터넷 통신 모듈(152) 및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5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51,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52,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근거리 통신 모듈(151)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일 수 있고,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NFC,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51 may be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e NFC,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UWB. (Ultra Wideband) or ZigBee, etc. may be used.

인터넷 통신 모듈(152)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이때,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네트워크),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52 may be a module for wireless or wired Internet access. At this time, Internet technologies for Internet access may include WLAN (Wireless LAN) (Wi-Fi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or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there is.

이동 통신 모듈(153)은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53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i.e., wireless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cellular network. Wireless signals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resulting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call signals, video call signals, or short messages or multimedia messages.

동작 제어부(16)는 안전 관리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일 수 있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i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nd may be a microprocessor.

이러한 동작 제어부(16)는 센서부(12), 영상 획득부(13), 음향 획득부(14) 및 통신부(15)와 연결될 수 있다.This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2,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

따라서, 동작 제어부(16)는 센서부(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영상 획득부(13) 및 음향 획득부(1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작업자 및 주변 상황을 판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고 발생 여부 및 발생한 사고의 종류를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n determine the operator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by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data input from the sensor unit 12 and the data input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and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Because of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and the type of accident that has occurred.

저장부(17)는 동작 제어부(16)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이다.The storage unit 17 is a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that stores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r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출력부(18)는 시각, 청각 및 촉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81), 음향 출력 모듈 및 햅틱(haptic) 모듈을 구비한다. The output unit 18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and tactile senses, and includes a display module 181, an audio output module, and a haptic module.

디스플레이 모듈(181)은 동작 제어부(16)의 동작에 따라 제어부(23)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The display module 181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3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n the screen,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t includes at least one display device selected from an emitting diode display,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음향 출력 모듈은 동작 제어부(16)의 동작에 의해 동작 제어부(16)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can output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as a voic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본 예에서, 동작 제어부(16)는 음향 출력 모듈을 통해 위험 경고 메시지에 해당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a risk warning message to the outside through a sound output module to inform workers of the risk.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은 스피커(speaker) 또는 버저(buzz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is sound output module may be equipped with a speaker or buzzer.

햅틱 모듈(183)(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예에서, 햅틱 모듈(18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는 진동이 있다. The haptic module 183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In this example,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83 is vibration.

햅틱 모듈(183)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동작 제어부(16)의 제어 동작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이러한 햅틱 모듈(183)은 동작 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motor)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83 can be changed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otion control unit 16, and the haptic module 183 is operated by a motor operated by control of the motion control unit 16. ), etc. can be provided.

안전 관리 서버(20)는 안전 관리 장치(10)와 무선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may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따라서, 안전 관리 장치(10)는 통신부(15)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 서버(20)로 작업장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의 사고 발생 여부 및 사고 발생 시 예측된 사고의 종류 등과 같은 안전 관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refore,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can transmit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to a worker working in the workplace and the type of accident predicted when an accident occurs,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5. there is.

이로 인해, 작업장 외부에 위치한 안전 관리 서버(20)는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 관리 정보를 출력부(18)를 이용하여 출력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사고 발생 시 적절하고 신속한 대응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located outside the workplace outputs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using the output unit 18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situation in the workplace and prevent accidents from occurring. Enable timely and rapid response actions.

이러한 안전 관리 서버(20) 역시 사용자 입력부(11), 통신부(15), 프로세서로 이루어진 동작 제어부(16) 및 출력부(18)를 구비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This safety management server 20 may also include a user input unit 11, a communication unit 15, an operation control unit 16 consisting of a processor, and an output unit 18, and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a database.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기기(30)는 무선랜 공유기이나 블루투스 AP(access point)일 수 있고, 주변으로 통신 세기 신호(RSRP)를 전파하고, 안전 관리 장치(10)는 각 근거리 통신기기(30)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세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즉, 각 근거리 통신기기(30)의 설치 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안전 관리 장치(10)는 서로 다른 세기로 수신되는 각 통신 세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may be a wireless LAN router or a Bluetooth access point (AP), and propagates a communication strength signal (RSRP) to the surroundings, and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is connected to each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You can receive a communication strength signal transmitted from and determine your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That is,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each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can receive each communication strength signal received at different strengths.

이러한 근거리 통신기기(30)에 의해, 동작 제어부(16)는 작업장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기기(30)와의 통신을 이용하여 안전 관리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By using this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n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using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installed in the workplace.

일 예로, 동작 제어부(16)는 근거리 통신기기(30)에 접속하여 통신부(15)를 통해 근거리 통신기기(30)로부터 통신 세기 신호(RSRP)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기기(30)는 절대 좌표인 자신의 설치 위치 정보를 통신 세기 신호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n connect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trength signal (RSRP)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 At this tim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may output its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absolute coordinates, together with the communication strength signal.

따라서, 동작 제어부(16)는 수신된 통신 세기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자신과 통신한 근거리 통신기기(3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n measure the distance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30 with which it communicated using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communication strength signal.

동작 제어부(16)는 절대 좌표인 통신 기기의 설치 위치 정보와 산출된 근거리 통신기기(30)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자신이 내장된 안전 관리 장치(1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한 후 저장부(17)에 저장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lculat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in which it is embedded us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absolute coordinates, and the calculated distance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30, and then stores the storage unit 17. ) can be saved in .

대안적인 예에서, 작업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기기(30)에 대한 설치 위치 정보는 안전 관리 장치(10)의 저장부(17)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이런 경우, 동작 제어부(16)는 근거리 통신기기(30)로부터 별도로 설치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xampl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30 installed in the workplace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7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nd in this cas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not separately receiv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다른 대안적인 예에서, 안전 관리 장치(10)는 GPS 신호를 이용하는 위치 획득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동자 제어부는 위치 획득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 장치(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In another alternative example,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may be equipped with a location acquisition unit that uses a GPS signal, an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cation acquisition unit.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다른 예에서, 안전 관리 장치(10)가 관성 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안전 관리 장치(10)가 관성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동작 제어부(16)는 관성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 장치(10)의 이동이 감지될 때마다 근거리 통신기기(30)나 GPS 신호를 이용한 위치 획득부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may additionally include an inertial sensor, and when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includes an inertial sensor,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uses a signal applied from the inertial sensor to ensure safety. Whenever movement of the management device 10 is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can be obtained using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30 or a location acquisition unit using a GPS signal.

이러한 방식을 통해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동작 제어부(16)는 출력부(18)의 디스플레이 모듈(181)로 획득된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this metho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n output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module 181 of the output unit 18.

따라서, 작업자는 사고 발생 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workers can quickly determine their location information and request rescue.

다음, 도 3을 참고하여, 이러한 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3, the operation of this safety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먼저, 작업자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기기(30)가 설치된 작업장에 도착하면, 휴대하거나 착용하고 있는 안전 관리 장치(10)를 동작시킨 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when a worker arrives at a workplace where 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is installed, he or she can perform work after operating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that he or she is carrying or wearing.

따라서, 안전 관리 장치(10)의 동작이 시작되면, 동작 제어부(16)는 센서부(12), 영상 획득부(13) 및 음향 획득부(14)를 동작시켜 센서부(12), 영상 획득부(13) 및 음향 획득부(1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S11). 본 예에서, 동작 제어부(16)는 저장부(17)에 저장되어 있는 정해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센서부(12)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starts,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perates the sensor unit 12,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and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to acquire the sensor unit 12 and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unit 13 and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can be read (S11). In this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periodically receive signals from the sensor unit 12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

이에 따라, 동작 제어부(16)는 센서부(12)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자의 현재 가속도 데이터, 현재 각속도 데이터, 현재 높이 데이터, 현재 온도 데이터, 현재 영상 데이터 및 현재 음향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부(17)에 현재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S12).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btains the current acceleration data,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current height data, current temperature data, current image data, and current sound data of the current worker us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12. It can be stored as current data in the storage unit 17 (S12).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6)는 획득된 현재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작업장에 위험 상황이 발생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13, S14).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n determine whether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workplace using the acquired current data (S13, S14).

이를 위해, 동작 제어부(16)는 작업자의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추락 사고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n determine whether a fall accident has occurred using a change in the worker's position.

이를 위해, 동작 제어부(16)는 현재 높이 데이터와 이전 높이 데이터를 비교하여, 작업자가 위치하고 있는 높이 변화가 설정값 이상 발생한 상태인지 판정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compare current height data and previous height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in height at which the worker is located has occurred more than a set value.

작업자의 높이 변화가 설정값 이상 발생한 경우, 동작 제어부(16)는 현재 가속도 데이터와 현재 각속도 데이터를 각각 이전 가속도 데이터와 이전 각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속도 변화량과 각속도 변화량을 판정할 수 있다.If the worker's height change occurs more than the set value, the motion control unit 16 may determine the amount of acceleration change and angular velocity change by using the current acceleration data and the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respectively, and the previous acceleration data and previous angular velocity data.

따라서, 가속도 변화량과 각속도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 변화량 이상인 경우, 동작 제어부(16)는 해당 작업자가 추락한 추락 상황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t least one of the acceleration change amount and the angular velocity change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change amount,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determine that the worker has fallen.

또한, 동작 제어부(16)는 현재 온도와 이전 온도를 비교하여 작업자 주변의 환경이 작업자에게 위험한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compare the current temperature and the previous temperature to determine whether the environment around the worker is dangerous to the worker.

예를 들어, 현재 온도가 이전 온도에 비해 제1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동작 제어부(16)는 작업자가 위치하는 주변에 화재가 발생한 상황으로 판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temperature rises above the first set value compared to the previous temperatu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vicinity where the worker is located.

반면, 현재 온도가 이전 온도에 비해 제2 설정값 이상으로 하강한 경우, 동작 제어부(16)는 작업자가 위치하는 주변이 동사 위험이 있는 저온 상황으로 판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temperature drops to the second set value or more compared to the previous temperatu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determine that the surrounding area where the worker is located is a low temperature situation where there is a risk of freezing.

이와 같이, 작업자의 상황이 정상 상황이 아닌 위험 상황, 예를 들어, 추락 상황, 화재 상황 또는 저온 상황이 발생하면(S14), 동작 제어부(16)는 근거리 통신기기(30)와의 통신을 통해 추락한 작업자가 위치하는 위치 정보, 즉 안전 관리 장치(10)의 위치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S15).In this way, when the worker's situation is not a normal situation but a dangerous situation, for example, a fall situation, a fire situation, or a low temperature situation occurs (S14),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detects the fal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30. Location information on where one worker is located, that i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can be determined (S15).

다음, 동작 제어부(16)는 통신부(15)를 이용하여, 현재 판정된 위험 상황의 종류(예, 추락 상황, 화재 상황 및 저온 상황 중 적어도 하나), 작업자의 식별번호, 예를 들어, 안전 관리 장치(10)의 식별번호(예, 맥 어드레스(MAC address)), 판정된 위치 정보, 저장부(17)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영상 데이터 및 현재 음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발생 데이터를 안전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S16).Next,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uses the communication unit 15 to indicate the currently determined type of dangerous situation (e.g., at least one of a fall situation, a fire situation, and a low temperature situation), the worker's identification number, for example, safety management Safety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e.g., MAC address) of the device 10, 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current image data, and current sou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 (S16).

이에 따라, 안전 관리 서버(20)의 동작 제어부(16)는 통신부(15)를 통해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위험 발생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위험 발생 데이터를 출력부(18)로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위험 발생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경광부로 출력하여 현재 사고 발생을 신속히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경광부는 경과음이 출력되는 스피커와 경고등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risk occurrenc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f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outputs the transmitted risk occurrence data to the output unit 18. Additionally, a danger signal can be output to a warning light unit (not shown) so that the current accident can be quickly notified to the outside world. At this time, the warning light unit may be equipped with a speaker that outputs a passing sound and a warning light.

따라서, 안전 관리 서버(20)의 관리자는 출력부(18)로 출력되는 위험 발생 데이터 및 경광부의 동작에 의해, 신속하게 위험 상황이 발생한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된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위험 상황의 종류를 이용하여 사고 정도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으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를 당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nager of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quickly confirms the stat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by the risk occurrence data output to the output unit 18 and the operation of the light unit, and transmits the transmitted video data, sound data, and the dangerous situation. By using the type, you can quickly determine the extent of the accident, and by using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you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orker who suffered the accident.

이로 인해, 파악된 위치로 신속히 출동하여, 파악된 사고 정도에 적절히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하여 사고를 당한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afety of workers who have suffered an accident can be protected by quickly dispatching to the identified location and quickly and accurately taking action appropriate to the identified degree of the accident.

이와 같이,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위험 발생 데이터가 전송되어 해당 전 관리 장치를 소유하고 있는 해당 작업자에 위험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안전 관리 서버(20)의 동작 제어부(16)는 통신부(15)를 이용하여 영상 획득부(13), 음향 획득부(14)(예, 마이크) 및 햅틱 모듈(18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 명령을 안전 관리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risk occurrenc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nd it is determined that a risk has occurred to the worker who owns the entire management devic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f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operates the communication unit ( 15) can be used to transmit a driving command that can drive at least one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e.g., microphone), and the haptic module 183 to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

이에 따라, 안전 관리 장치(10)의 동작 제어부(16)는 통신부(15)를 통해 안전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된 구동 명령에 따라 영상 획득부(13), 음향 획득부(14) 및 햅틱 모듈(183)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실시간으로 사고 발생 현장을 확인하고 사고자와 실시간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고자의 현재 상태에 따라 햅틱 모듈(183)을 통한 진동 발생을 이용하여, 사고자의 의식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operates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and the haptic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 By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modules 183, the accident site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a real-time voice call or video call can be made with the accident victim. In addition, the consciousness of the thinker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by using the generation of vibration through the haptic module 183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thinker.

또한, 동작 제어부(16)는 작업자의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면, 출력부(18)로 현재 상황을 출력할 수 있다(S16).Additionally, if the operator's situation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output the current situation to the output unit 18 (S16).

이에 따라, 안전 관리 서버(20)의 동작 제어부(16)는 통신부(15)를 통해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위험 발생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위험 발생 데이터를 출력부(18)로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위험 발생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경광부로 출력하여 현재 사고 발생을 신속히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경광부는 경과음이 출력되는 스피커와 경고등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risk occurrenc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f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outputs the transmitted risk occurrence data to the output unit 18. Additionally, a danger signal can be output to a warning light unit (not shown) so that the current accident can be quickly notified to the outside world. At this time, the warning light unit may be equipped with a speaker that outputs a passing sound and a warning light.

따라서, 안전 관리 서버(20)의 관리자는 출력부(18)로 출력되는 위험 발생 데이터 및 경광부의 동작에 의해, 신속하게 위험 상황이 발생한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된 영상 데이터, 음향 데이터 및 위험 상황의 종류를 이용하여 사고 정도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으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를 당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nager of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quickly confirms the stat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by the risk occurrence data output to the output unit 18 and the operation of the light unit, and transmits the transmitted video data, sound data, and the dangerous situation. By using the type, you can quickly determine the extent of the accident, and by using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you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orker who suffered the accident.

이로 인해, 파악된 위치로 신속히 출동하여, 파악된 사고 정도에 적절히 조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하여 사고를 당한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afety of workers who have suffered an accident can be protected by quickly dispatching to the identified location and quickly and accurately taking action appropriate to the identified degree of the accident.

이와 같이,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위험 발생 데이터가 전송되어 해당 전 관리 장치를 소유하고 있는 해당 작업자에 위험이 발생한 상태로 판정되면, 안전 관리 서버(20)의 동작 제어부(16)는 통신부(15)를 이용하여 영상 획득부(13), 음향 획득부(14)(예, 마이크) 및 햅틱 모듈(18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 명령을 안전 관리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risk occurrenc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nd it is determined that a risk has occurred to the worker who owns the entire management devic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f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operates the communication unit ( 15) can be used to transmit a driving command that can drive at least one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e.g., microphone), and the haptic module 183 to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

이에 따라, 안전 관리 장치(10)의 동작 제어부(16)는 통신부(15)를 통해 안전 관리 서버(20)로부터 전송된 구동 명령에 따라 영상 획득부(13), 음향 획득부(14) 및 햅틱 모듈(183)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 실시간으로 사고 발생 현장을 확인하고 사고자와 실시간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고자의 현재 상태에 따라 햅틱 모듈(183)을 통한 진동 발생을 이용하여, 사고자의 의식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operates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the sound acquisition unit 14, and the haptic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 By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modules 183, the accident site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a real-time voice call or video call can be made with the accident victim. In addition, the consciousness of the thinker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by using the generation of vibration through the haptic module 183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thinker.

또한, 동작 제어부(16)는 작업자의 상황이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면, 출력부(18)로 현재 상황을 출력할 수 있다(S16).Additionally, if the operator's situation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output the current situation to the output unit 18 (S16).

예를 들어, 동작 제어부(16)는 음향 모듈(182)로 정해진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여 음향 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현재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81)로 출력하여 사고를 당한 작업자가 현재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outputs sound data determined to the sound module 182 so that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data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also outpu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module 181. Print it out so that workers who have suffered an accident can quickly determine their current location.

이로 인해, 추락 등으로 인해, 작업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 음향 모듈(182)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의해 작업자는 의식을 되찾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reason, when a worker loses consciousness due to a fall, etc.,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module 182 allows the worker to regain consciousness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또는, 작업자는 음향 모듈(182)에서 출력되는 음성 정보의 내용을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주변 상황을 정확하고 신속히 이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변에 화재와 같은 위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는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안전한 곳으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orker can accurately and quickly understand the current surrounding situation using the contents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ound module 182. Because of this, if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nearby, workers can quickly recognize it and evacuate to a safe place.

또한, 동작 제어부(16)는 영상 획득부(13)로부터 획득된 현재 영상 데이터와 이전 영상 데이터의 비교 동작을 통해 작업자의 움직임을 판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tion control unit 16 may determine the operator's movement through a comparison operation between current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 and previous image data.

두 영상 데이터의 비교 동작을 통해, 작업자가 현재 움직임이 없는 상황인 경우, 동작 제어부(16)는 음향 모듈(182)뿐만 아니라 햅틱 모듈(183)을 구동시킬 수 있다.Through the comparison operation of the two image data, when the worker is currently motionless,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can drive the haptic module 183 as well as the sound module 182.

이로 인해, 햅틱 모듈(183)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작업자는 좀 더 신속하게 의식을 되찾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worker can regain consciousness more quickly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ptic module 183.

이와 같이, 음향 모듈(182)과 햅틱 모듈(183)로 출력되는 구동 신호의 종류와 상태는 된 작업자의 판정된 위험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각 위험 상황에 대응되게 저장부(17)에 이미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6)는 판정된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종류와 상태에 따라 구동 신호를 음향 모듈(182)과 햅틱 모듈(183)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type and state of the driving signal output to the sound module 182 and the haptic module 183 may differ depending on the 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of the worker,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 corresponding to each dangerous situation. It can already be saved. 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may output a driving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acoustic module 182 and the haptic module 183 according to the type and stat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본 예의 경우, 안전 관리 장치(10)에 장착된 GPS 정보를 이용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이용하는 대신 작업장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기기(30)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instead of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using GPS information mounted on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the current worker'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30 installed in the workplace.

이로 인해, 작업자가 실내나 지하와 같이 GPS 정보가 정확히 획득되지 않아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worker'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d even when the worker's location information cannot be confirmed because GPS information is not accurately obtained, such as indoors or underground.

이와 같이, 안전 관리 장치(10)가 스마트폰일 경우, 스마트폰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수집되고, 센서부(12)에 속한 감지부의 동작 모드의 설정 역시 작업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고 송수신을 위한 배터리 전력 소모가 없으며 고장 가능성도 낮다. In this way, when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is a smartphone, the data is collected on its own inside the smartphone,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detection unit belonging to the sensor unit 12 can also be set arbitrarily by the operator, so reliability is high and battery power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high. There is no consumption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is low.

또한 동작 제어부(16)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데이터 처리 용량 및 대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므로, 안정모나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해서는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데 많은 한계가 발생하여, 정확한 추정을 할 수 없고, 몇 번의 오보가 발생하면 안전 관리 장치(10)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In addition, since a microprocessor, data processing capacity, and a large capacity battery are required for the operation control unit 16,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using wearable devices such as a safety helmet or smart watch, and thus, accurate Estimation cannot be made, and if several false reports occur,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cannot operate normally.

또한, 안전 관리 서버(20)에서는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지만, 작업자의 안전모나 웨어러블 장치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모든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려면, 통신 트래픽이 과다하게 늘어나고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can process large amounts of data with a high-performance microprocessor, but if all data is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worker's hard hat or wearable device, communication traffic will increase excessively and the battery will be consumed quickly. A problem arises.

하지만, 안전 관리 장치(10)가 스마트폰일 경우, 각종 데이터들은 스마트폰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수집되므로, 각종 센서의 동작 모드 설정도 임의로 수행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고 송수신을 위한 배터리 전력 소모가 없으며 고장 가능성도 크게 낮출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is a smartphone, various data are collected internally within the smartphone, so the operation mode settings of various sensors can be arbitrarily performed, so reliability is high, there is no battery power consumption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failure. can also be greatly reduced.

또한, 안전 관리 장치(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is a smartphone, the smartphone has a structure capable of processing large amounts of data, so the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can be performed stably.

추가적으로, 작업자는 자신의 신체 정보(예, 체온, 맥박, 혈압)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가스, 관성, 이미지 센서 및 고도 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부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등을 통해 안전 관리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orker attaches at least one sensor that detects his or her body information (e.g., body temperature, pulse, blood pressure), gas, inertial, image sensor, and altitude sensor to ensure safety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device 10.

이런 경우, 안전 관리 장치(10)는 착용자의 신체 정보를 수신 받으므로, 정확하게 착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안전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고, 사고가 발생하지 전에 사고 발생 경로를 실시할 수 있으며, 사고 종류 등을 좀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receives the wearer's physical information, i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wearer's health status and transmit it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20, and can determine the accident path before an accident occur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type of accident more accurately.

예를 들어, 가스 센서로부터 가스가 설정 농도 이상 감지된 상태로 판정되면, 안전 관리 장치(10)는 출력부(18)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gas sensor determines that gas is detected at a set concentration or higher,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can warn of the risk of an accident using the output unit 18.

이러한 경우, 안전 관리 장치(10)는 작업자의 이상 상태에 따라 작업자에 부착된 센서에서 안전 관리 장치(10)로 전송되는 신호 전송 주기를 변경하여, 작업자의 상황을 좀더 면밀이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can determine the worker's situation more closely by changing the signal transmission period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ttached to the worker to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the worker's abnormal condition.

이런 경우, 안전 관리 장치(10)는 착용자에 부착된 센서와 중복되는 센서를 생략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10 may omit sensors that overlap with sensors attached to the wearer.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each embodiment, each technical feature is mainly explained, but unless the technical features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y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but also by equivalents to these claims.

10: 안전 관리 장치 121: 움직임 감지부
122: 높이 감지부 123: 온도 감지부
13: 영상 획득부 14: 음향 획득부
15: 통신부 151: 근거리 통신 모듈
16: 동작 제어부 18: 출력부
20: 안전 관리 서버 30: 근거리 통신기기
10: Safety management device 121: Motion detection unit
122: height detection unit 123: temperature detection unit
13: Image acquisition unit 14: Sound acquisition unit
15: Communication unit 151: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6: operation control unit 18: output unit
20: Safety management server 30: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Claims (9)

안전 관리 장치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착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
착용자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안전 관리 장치가 위치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안전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움직임 감지부, 상기 높이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 상기 영상 획득부 및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햅틱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 상기 높이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가속도 데이터, 현재 각속도 데이터, 현재 높이 데이터 및 현재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높이 데이터, 상기 현재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현재 각속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가 추락한 추락 상황인지 판정하고,
상기 현재 온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 주변이 화재 상황이나 동사 상황인지 판정하고,
추락 상황, 화재 상황 및 동사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면,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정하고, 판정된 위험 상황의 종류,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발생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위험 발생 데이터가 전송되어 안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획득부와 상기 햅틱 모듈의 구동 명령이 전송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영상 데이터와 이전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작업자의 움직임을 판정하고,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햅틱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햅틱 모듈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작업자가 의식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
안전 관리 장치.
In safety management devices,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wearer's movement;
Heigh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height at which the wearer is located;
A temperature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wearer's surrounding temperature;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aptures images of the surrounding area where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is located and generates image data;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An oper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tion detection unit, the height detection unit,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Haptic module connected to the motion control unit
Including,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ading signals input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the height detection unit,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to obtain current acceleration data,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current height data, and current temperature data,
Process the current height data, the current acceleration data, and the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has fallen,
Processes the current temperatur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area around the worker is a fire situation or a dead situation,
If at least one of a fall situation, a fire situation, and a fire situation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situ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is determined, and includes the type of the 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risk occurrence data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risk occurrenc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a driving command for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 haptic module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urrent image data and previous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are Compare and determine the worker's move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is in a state of no movement, the haptic module is driven to enable the worker to regain consciousness by vibration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ptic module.
Safety management device.
제1 항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착용자의 주변 음성의 음향 데이터를 획득하는 음향 획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판정된 상기 위험 상황의 종류,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음향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음향 데이터를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출력하는 안전 관리 장치.
In paragraph 1:
A sound acquisi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acquiring sound data of surrounding voices of the wearer.
It further includes,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the determined type of dangerous situ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long with the current sound data obtained from the sound acquisition unit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각속도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tion detection unit is a safety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세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판정하는 안전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a safety management device that receives a communication strength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and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기기는 무선랜 공유기나 블루투스 AP인 안전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A safety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at least on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is a wireless LAN router or a Bluetooth A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관리 장치는 스마트폰인 안전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is a smartphone.
동작 제어부는 움직임 감지부, 높이 감지부 및 온도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 상기 높이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현재 가속도 데이터, 현재 각속도 데이터, 현재 높이 데이터 및 현재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현재 높이 데이터, 상기 현재 가속도 데이터 및 상기 현재 각속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가 추락한 추락 상황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현재 온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작업자 주변이 화재 상황이나 동사 상황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추락 상황, 화재 상황 및 동사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으로 판정되면, 안전 관리 장치의 위치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판정된 위험 상황의 종류,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부터 영상 획득부와 상기 햅틱 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 명령이 전송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영상 데이터와 이전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작업자의 움직임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햅틱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햅틱 모듈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작업자가 의식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otion control unit reads signals input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the height detection unit,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e motion control unit processes signals applied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the height detection unit,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to obtain current acceleration data,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current height data, and current temperature data;
The operation control unit processes the current height data, the current acceleration data, and the current angular velocity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has fall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processes the current temperatur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surrounding area of the worker is a fire situation or a dead situation;
W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at least one dangerous situation among a fall situation, a fire situation, and an accident situation,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The operation control unit transmits the determined type of dangerous situ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using a communication unit;
When a driving command for driving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 haptic module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worker by comparing current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previous image data; and
When the mo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worker, driving the haptic module to enable the worker to regain consciousness by vibration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ptic module
A control method of a safety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음향 획득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음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부는 판정된 상기 위험 상황의 종류, 상기 안전 관리 장치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음향 획득부로부터 획득된 현재 음향 데이터를 상기 안전 관리 서버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안전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7,
The operation control unit acquires current sound data by read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sound acquisition unit;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s the current sound data obtained from the sound acquisition unit along with the determined type of dangerous situa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afety management server.
A control method of a safety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세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7,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receiving a communication intensity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A control method of a safety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KR1020210086019A 2021-06-30 2021-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KR1025824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019A KR102582490B1 (en) 2021-06-30 2021-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019A KR102582490B1 (en) 2021-06-30 2021-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136A KR20230004136A (en) 2023-01-06
KR102582490B1 true KR102582490B1 (en) 2023-09-22

Family

ID=8492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019A KR102582490B1 (en) 2021-06-30 2021-06-30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4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832B1 (en) * 2023-11-30 2024-03-26 (주)스토리포유 Smart safety device and smart safety system to prevent falls at construction sit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2923A (en) * 2011-10-26 2013-05-16 Seiko Epson Corp Fall detection device and fall monitoring system
KR101948151B1 (en) * 2018-03-28 2019-02-14 주식회사 라이프트리솔루션 Work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326A (en) * 2014-09-26 2016-04-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warning dangerous situ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35203B1 (en) * 2015-10-22 2017-05-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anger Sensing and Notification on Mobile Device
KR101965158B1 (en) * 2017-07-19 2019-08-13 (주)선경 이.엔.아이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KR102123008B1 (en) 2019-08-26 2020-06-15 전찬희 Apparatus for intelligent wearable hazard determination device using complex environment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2923A (en) * 2011-10-26 2013-05-16 Seiko Epson Corp Fall detection device and fall monitoring system
KR101948151B1 (en) * 2018-03-28 2019-02-14 주식회사 라이프트리솔루션 Work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136A (en)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8394B2 (en) Wearable communication assembly and communication assembly
KR101948151B1 (en) Worker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9478267B (en) Observation-based event tracking
US11000088B2 (en) Condition responsive indication assembly
KR101774872B1 (en) A safe monitoring system for workers
CN102007426A (en) Position-monitoring device for persons
US9998893B2 (en) Mobile function device
KR101340008B1 (en) Removable Smart Module for Helmet
CN108242125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safety monitor
KR100931137B1 (en) Biometric location tracking terminal for fireman, and the method of control thereof
CN104602140A (en) Mobile terminal and system for rescue
KR1025824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JPH1040483A (en) Location detecting system
KR100981660B1 (en) Observation system for personal safety of fire fighter
JP6936546B2 (en) Safety belt hook forgetting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CN105788138A (en) Rescu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04865A (en) Real-time Identifying User Location System based on wrist type band
KR102618229B1 (en) Wearer monitoring module for hard hat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US10437240B2 (en) Manufacturing evaluation system
KR20220114668A (en) 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oT smart safety helmet
CN109314700B (en) Node/network aggregation gateway device
KR102477661B1 (en) Traumatic Brain Injury Detecting Apparatus and Detecting Method Using Thereof
KR102629060B1 (en) Control system regulating data transmission cycle
KR102484308B1 (en) Smart safety device of construction site and smart safety system
TWI666618B (en) Disaster protection device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