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158B1 -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 Google Patents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158B1
KR101965158B1 KR1020170091259A KR20170091259A KR101965158B1 KR 101965158 B1 KR101965158 B1 KR 101965158B1 KR 1020170091259 A KR1020170091259 A KR 1020170091259A KR 20170091259 A KR20170091259 A KR 20170091259A KR 101965158 B1 KR101965158 B1 KR 101965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er
user terminal
building
facil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9482A (en
Inventor
이선종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주)선경 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경 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선경 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17009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58B1/en
Publication of KR2019000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4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설비 검지 장치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를 건물 배치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 정보와 상기 위치에서의 설비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작업자에 위험경보 및 업무 지시를 음성 및 영상 통화로 수행 가능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각 건물의 각 층에 부착된 복수개의 비콘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건물 배치도에 표시함으로서,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검지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설비 정보를 관리자 모니터에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작업자나 설비의 위험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worker on the building layout through a mobile terminal, a wearable device and a facility detection device carried by the work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the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and equipment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t the lo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arrying out alarms and instructions to workers by voice and video calls.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iodicall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er using a plurality of beacons attached to each floor of each building to display on the building layout,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orkers. 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administrator monitor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equipment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nd the detection device carried by the operator, and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operator or the equipment is dangerous.

Description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Real 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본 발명은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설비 검지 장치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를 건물 배치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 정보와 상기 위치에서의 설비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작업자에 위험경보 및 업무 지시를 음성 및 영상 통화로 수행 가능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real-time worker location and physical condition tracking, and more particularly, the location of the worker is displayed on the building layout diagram through a mobile terminal, a wearable device, and a facility detection device carried by the wor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physical status information of the worker, facility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at the location, and performs a risk alarm and work instruction to a worker through voice and video calls.

안전 관리 관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위험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안전 관리 관제 시스템은 위험 상황이 발생할 시에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특정버튼을 누름으로써 위험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충격이 발생하거나 휴대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이탈될 경우에 자동으로 위험신호를 발생시켜 주게 되며, 이에 해당 발생된 위험신호를 구난 조직에 통보하여 출동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이러한 안전 관리 관제 시스템은 지속적인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출동 시에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된 이동경로를 이탈할 경우에도 위험신호를 발생시켜 위급한 상황 시에 자동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구난 조직에 위험 상황을 신고한 후에 출동 중임을 사용자에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착하게 위험 상황에 대처하도록 하고 있다.The safety management control system is generally a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generates a danger signal. Such a safety management control system generates a danger signal when a user presses a specific butt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or automatically generates a dangerous signal when an impact occurs or the portabl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user. This will inform the rescue organization of the danger signal that has been generated so that they can be dispatched. In addition, such a safety management control system transmits continuous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movement route can be identified at the time of dispatch, and a danger signal can be generated even when the trained route is departed so that the vehicle can be automatically dispatched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ddition, after reporting the dangerous situation to the rescue organization, the user can be notified that the user is dispatched, thereby calmly dealing with the dangerous situation.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6922호(2009.02.18 공개)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의 이동 한계구간을 설정하여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경고하는 위난관리 시스템의 위난발생 예측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9735호(2011.10.28 등록)는 건물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각각 식별 가능한 감지ID들을 내장하며, 화재로 인한 연기, 연기이동 방향 및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위급상황시 대피 가능한 최단 거리 산출과 이를 유도하는 안내등을 제어하는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6922 (published on Feb. 18, 2009) sets a limit on the movement of a user's mobile terminal to check for deviation and warns of the occurrence of the risk in the risk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Korean Patent No. 10-1079735 (registered on Oct. 28, 2011) is installed inside a building with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Ds, each of which is identifiable, and detects smoke, smoke movement direction and temperature due to a fire, and in case of emergency An intelligent direction guidance control system is disclosed that controls evacuation of the shortest possible evacuation and guidance light to guide it.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75983호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반의 제철(강) 공장에서 작업자의 안전 관리를 지능적으로 통합 관제하도록 한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1575983 discloses a safety management intellig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to intelligently control the safety management of workers in a steel (steel) factory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It is.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6922호(2009.02.18 공개)와 한국등록특허 제10-1079735호(2011.10.28 등록)는 개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이 실제 발생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직접 통보하는 방식이므로, 위험 상황을 미연에 예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 상황이 아닌 경우라도 설비 상태라든지 작업 방식을 원격으로 확인하고 지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6922 (published on Feb. 18, 2009)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79735 (registered on Oct. 28, 2011) use a personal mobile device to notify the user only when a dangerous situation actually occurs. As it is a method, there is a limit to preventing a dangerous situation in advan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motely check and instruct the status of a facility or a working method even when the dangerous situation is not.

한국등록특허 10-1575983호에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나, 작업자들이 리더 장치에 근접하여야 위치가 인식되므로, 수많은 리더 장치를 작업 공간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리더기와 송수신이 불가능한 수M 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업자의 위치 인식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5983 provides a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but since the location is recognized only when workers approach the reader device, many reader devices need to be installed in the work space. At distances of several Ms or m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er's position recognition was impossible.

더 나아가, 앞에서 언급한 선행기술들은 건물 내부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근무 중의 작업자 신체 상태나 설비 정보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작업자에 위험경보 및 업무 지시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Furthermor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cannot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worker who is working inside the building, and raises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arry out a hazard warning and work instruction to the worker by identifying the worker's physical condition or facility information in real time. It became.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위치, 신체 상태나 설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작업자에게 위험경보나 업무 지시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grasp the location, physical condition or facility information of the worker working inside the building in real time to perform a hazard alarm or work instruction to the worker.

본 발명은 각 작업자의 위치를 건물 배치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신체 상태 정보와 상기 위치에서의 설비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each worker on the building layout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the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worker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t the loca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작업자가 측정한 설비 및 공간 정보를 건물 배치도면의 설비 및 공간에 시간에 따라 표시함으로서 설비 및 공간의 안전관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monitor the status of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facility and space by displaying the equipment and space information measured by a plurality of workers in the facility layout of the building layout drawings over time.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In one aspect the invention

안전관리 어플이 실행되며, 작업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the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operator;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wearable device which checks a physical state of the worker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작업자기 휴대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설비 정보를 측정하여 송신하는 검지 장치 ;A detector which carries the worker and measures and transmits facility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작업자가 근무하는 건물 실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비콘 ; A plurality of beacon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worker works;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검지 장치로부터 작업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설비 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작업자의 위치, 신체 상태 및 설비 정보를 건물 배치도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 ;A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worker in the building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etection device, and displays the location, the physical condi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worker on a building layout;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받은 작업자의 건물 배치도상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설비 정보 및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작업자와의 음성 및 영상통화로 작업자에 대한 위험 경보 및 업무 지시를 수행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련된다.The building layout diagram,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facility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worker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are displayed, and includes a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risk warning and work instruction on the worker through voice and video calls with the worker. It is related to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각 건물의 각 층에 부착된 복수개의 비콘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건물 배치도에 표시함으로서,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검지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설비 정보를 관리자 모니터에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작업자나 설비의 위험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iodicall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er using a plurality of beacons attached to each floor of each building to display on the building layout,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orkers. 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administrator monitor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equipment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nd the detection device carried by the operator, and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operator or the equipment is dangerous.

또한,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안전관리 어플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과 모니터링부에 제공되는 작업자의 건물 배치도상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설비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통해 작업자에게 위험 경보를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와(에게) 일상적인 업무 내용이나 작업 정보를 서로 공유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form the worker of the danger alarm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monitoring device location information,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facility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monitoring unit is performed. In addition, you can share or direct your daily work or work information to workers.

또한,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작업자가 측정한 설비 및 공간 정보를 건물 배치도면의 설비 및 공간을 기준으로 시간에 따라 표시함으로서 설비 및 공간의 안전관리 상태를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safety management status of the equipment and space over time by displaying the equipment and space information measured by a plurality of workers over time based on the equipment and space of the building layout drawing. .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위치값을 산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와 도 6은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calculating a position value in a user terminal.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5 and 6 are display screens provided to the monitoring unit.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r the drawings for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other word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the sam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s "unit", "group",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위치값을 산출하는 모식도이고, 도 3은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와 도 6은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value in the user terminal,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Figure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5 and 6 are display screens provided to the monitoring unit.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전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웨어러블 디바이스(20), 검지장치(30), 비콘(40), 관리서버(50) 및 모니터링부(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s a user terminal 100, wearable device 20, detection device 30, beacon 40, management server 50 and monitoring unit ( 60).

본 발명은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실내 위치값을 산출한다. 블루투스 비콘은 건물 내에서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가 수십cm에서 수십 m 정도 범위까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신호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에 반해, NFC나 RFID는 일반적으로 한정된 수십cm 이내에서만 이용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블루투스 방식은 NFC나 RFID 처럼 리더기에 가까이 가져가서 태그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indoor location value of the user terminal using a Bluetooth beacon. The Bluetooth beacon can receive signal information even when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building is in the range of several tens of centimeters to tens of meters. In contrast, NFC and RFID are generally known to be available only within a few tens of centimeters. In addition, the Bluetooth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to tag near the reader like NFC or RFID.

비콘(40)은 통상의 비콘 서비스를 위해서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때, 비콘 신호는 비콘(40)에 할당된 식별 번호 혹은 위치 정보 등과 같은 비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콘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이 비콘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면, 도 2를 참고하면, 건물 A동 2층 건물 내부에 6개의 비콘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비콘은 고유의 식별번호와 위치정보를 갖는다. The beacon 40 refers to a device that periodically transmits a beacon signal for a normal beacon service. In this case, the beacon signal may includ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n identification number or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beacon 40, th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reference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beacon servic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six beacons are installed inside a two-story building A, and each beacon ha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location information.

즉, 사용자 단말(10)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서 비콘 식별번호가 비콘 1~6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면, 비콘 1~6의 위치정보(A동 2층)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A동 2층임을 파악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terminal 10 receives the beacon signal and confirms that the beacon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s to the beacons 1 to 6 i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s 1 to 6 (Building A 2F). It can be seen that the location of the second floor of building A.

또한, 사용자 단말(10)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서 비콘 식별번호가 비콘 7~14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면, 비콘 7~14의 위치정보(B동 3층)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B동 3층임을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 receives the beacon signal and confirms that the beacon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s to the beacons 7 to 14 i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B B 3rd floor) of the beacons 7 to 14. We can see that location of Building B is the third floor.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The user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user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도 1 과 같이, 사용자 단말(10), 웨어러블 디바이스(20)와 검지장치(30) 및 관리서버는 통신망(복수의 무선 AP를 이용한 무선 LAN이나 3G, 와이파이)을 통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user terminal 10, the wearable device 20, the detection device 30, and the management server may perform voice 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LAN, 3G, or Wi-Fi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APs). Can be.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안전관리 어플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스마트폰,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멀티 통신 장비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smart phone, a portable computer, a portable multi-communication device running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or program.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은 비콘 신호의 송수신 및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13),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1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모듈(11), 입력모듈(14), 출력모듈(15) 및 위치측정 모듈(16)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user termin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13 for storing a program and a protoco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eacon signal, a processor 12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various programs, and the like. It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 an input module 14, an output module 15, and a position measurement module 16.

사용자 단말(10)은 관리서버에서 제공한 안전관리 어플을 다운받을 수 있다. 상기 비콘(40)에 할당된 식별 번호 혹은 위치 정보 등은 상기 어플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13)에 저장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may download a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beacon 4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3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pplication.

상기 통신모듈(11)은 건물 내에 부착된 복수개의 비콘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1 receives a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beacons attached to the building.

상기 프로세서(12)는 위치측정 모듈(15)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비콘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 건물의 층, 층에서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위치값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산출한다. 상기 위치측정 모듈은 상기 프로세스(12)에서 처리되는 위치측정 프로그램이다.The processor 12 calculates a location value including coordinates in a building, a floor of a building, and a floor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from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using 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15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positioning module is a positioning program processed in the process 12.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콘(40)에 할당된 식별 번호 혹은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 말의 건물과 건물에서의 층을 제공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rocessor may check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lo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the beacon 40 to provide the building and the floor in the building of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beacon signal.

또한, 상기 프로세서(12)는 공지된 3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각 층에서의 작업자(즉, 사용자 단말) 위치(x, y)를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2 may calculate the position (x, y) of the worker (ie, the user terminal) at each floor using a known triangulation method.

먼저, 상기 프로세서(12)는 상기 통신모듈(11)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비콘 신호세기를 읽고, 신호세기가 가장 큰 3개의 비콘과의 거리를 각각 산출한다. First, the processor 12 reads the beacon signal strength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11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calculates distances to three beacons hav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2)는 수신신호세기(RSSI, rec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이용하여 각 비콘과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과 같이 Friis의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12 ma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each beacon and the user terminal by using rec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Friis' formula can be used as in Equation 1.

Figure 112017069010008-pat00001
Figure 112017069010008-pat00001

수학식 1에서 L은 사용자 단말과 비콘과의 측정 거리이고, λ는 전파의 파장이고 d는 두 지점과의 거리이다. In Equation 1, L is a measurement distan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beacon, λ is a wavelength of radio waves, and d is a distance between two points.

도 2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2)는 신호세기가 가장 높은 3개 비콘과의 거리 d1, d2, d3를 각각 구하고, 주어진 비콘 2(0,10), 비콘 3(0,20), 비콘 4(10, 20) 좌표값과 3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작업자A의 좌표(x, y)를 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rocessor 12 obtains distances d1, d2, and d3 from the three beacons having the highest signal strengths, respectively, and is given beacons 2 (0, 10), beacons 3 (0, 20), and beacons 4. The coordinates (x, y) of worker A can be calculated using the (10, 20) coordinate values and the triangulation method.

상기 프로세서(12)는 동일한 방법으로 모든 건물 내의 작업자의 위치값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2 may calculate the position values of workers in all buildings in the same manner.

상기 프로세서(12)는 작업자의 위치값을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1분 간격) 산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2 may calculate the position value of the worker periodically (for example, every minute).

상기 프로세서(12)는 주기적으로 산출되는 작업자의 위치값들 중 전 후에 측정된 값과의 오차 범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위치값을 제거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 may remove the corresponding position value when the error range between the measured values before and after the periodically calculated position of the work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입력모듈(14)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모듈(14)은 출력모듈(15)과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nd a touch pad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input module 14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touch panel (or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output module 15 to simultaneously perform input and display functions.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비로서, 작업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는 신체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도 있다.The wearable device 20 is equipment worn by an operator, and may check and transmit the physical state of the operator to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20 may transmit body stat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50.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에서 측정하는 신체 상태 정보는 심박수나 맥동, 갑작스런 위치 변동 여부 등일 수 있다.The body stat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20 may be a heart rate, a pulsation, a sudden position change, or the like.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는 시계나 밴드 형태의 몸체부, 심박 내지 맥동 센서, 자이로 센서, 송수신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20 may include a watch or band-shaped body part, a heart rate to pulsation sensor, a gyro sensor, a transmitter / receiver, a controller, and a display.

예를 들면, 상기 심박 센서는 상기 몸체부에서 사용자의 요골동맥과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심박동수를 체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eart rate sensor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al artery of the user to check the heart rate of the user.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는 상기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갑작스런 위치변화(쓰러짐, 추락 등)를 파악할 수 있다.Also. The wearable device 20 may detect a sudden change in position (fall, fall, etc.) of the user by using the gyro sensor.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는 심박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패턴과 자일로 센서 패턴 변동값을 동시에 고려하여 보다 신뢰성 있게 작업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20 may check the physical state of the worker more reliably by considering the pattern of the value measured by the heart rate sensor and the variation of the xylo sensor pattern simultaneously.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10)이나 관리서버(5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The transceiver is attached to the body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10 or the management server 50.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어, 센서부에서 측정된 작업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처리하여 송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The control unit is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and processes the body state information of the worke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o provid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단말(10) 각각의 메모리(13)에는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번호(예를 들면, 맥 어드레스)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12)는 고유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만 신체 상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xample, a MAC address) of one wearable device is stored in the memory 13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10, and the processor 12 of the user terminal ha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he body state information may be set to be received only from the stored wearable device.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12)는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고유 식별번호(식별 아이디), 사용자 위치값, 신체 상태 정보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 of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the management server with information about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dentification ID), a user location value,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and time designated to the user terminal.

한편, 상기 관리서버는 하나의 특정 사용자 단말과 하나의 특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번호를 통일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 사용자 단말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고유 식별번호는 그대로 유지한 채, 그 하위단의 메이저(major)의 식별번호를 하나로 통일시킬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시간과 신체 상태 정보를 수신 받으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의 저장부 하부 카테고리에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nagement server may unify and stor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of one specific user terminal and one specific wearable device.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server may unify the major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lower stages while maintaining the hardwar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wearable device. 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ime and body state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the management server may store the body state information in a lower category of the storage unit of the user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as the wearable device.

상기 검지장치(30)는 상기 작업자기 휴대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설비 정보를 측정하여 송신하는 장치이다. The detection device 30 is a device that the worker carries and measures and transmits facility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상기 검지장치(30)는 센서부, 저장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on device 30 may include a sensor unit, a storage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센서부는 가스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의 설비 정보를 측정한다. 상기 검지장치에서 측정 가능한 가스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검지장치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수소, 가연성 가스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measures facility information of any one of gas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gas that can be measured by the detector. For example, the detection device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oxygen, hydrogen, flammable gas, and the like.

저장부는 측정된 설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store the measured facility information.

통신부는 상기 관리서버(5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50.

제어부는 측정된 설비정보가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설비정보, 측정 시간 및 상기 검지장치의 식별아이디를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관리서버에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facility information falls within a reference range, and transmits the facility information, the measurement time, and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detection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상기 관리서버는 하나의 특정 사용자 단말과 하나의 특정 검지장치의 고유 식별번호를 통일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 사용자 단말과 검지장치의 하드웨어 고유 식별번호는 그대로 유지한 채, 그 하위단의 메이저(major)의 식별번호를 하나로 통일시킬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측정시간과 설비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검지장치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의 인덱스 하단에 상기 설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may store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one specific user terminal and one specific detection unit unified. Alternatively, the management server may unify the major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lower stages while maintaining the hardwar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detection apparatus. 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measurement time and facility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device, the management server may store the facility information at the bottom of the index of the user terminal having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as the detection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검지장치에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관리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위치 측정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검지장치의 경우도 위치값을 특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관리서버는 제 1 사용자 단말,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1 검지장치에 공통의 식별번호 A, 제 2 사용자 단말,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2 검지장치에 공통의 식별번호 B를 부여하여 해당 위치값, 설비정보, 신체상태 정보를 각 식별번호 하위 저장소에 보내어 저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is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the wearable device, and the detection device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so that the position value can be specified even in the case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detection device that do not have the location measurement module. .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assigns the identification number A comm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e first wearable device, and the first detection device, the identification number B comm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second wearable device, and the second detection device. By assigning the location value, facility information, and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can be sent to the storage under each identification number.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관리서버(50)는 통신부(51), 제어부(52) 및 저장부(5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anagement server 5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51, a control unit 52, and a storage unit 53.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상기 검지 장치(30)로부터 작업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설비 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작업자의 위치, 신체 상태 및 설비 정보를 건물 배치도에 표시한다.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building of the worker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detection device 30, and stores the location, body condi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f the worker Mark on the building layout.

예를 들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번호, 시간, 위치값)과 (식별번호, 시간, 신체 상태값(심박수))를 주기적으로 수신받고,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식별번호, 시간, 설비 정보(가스 농도))를 주기적으로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53)에 저장하고, 작업자의 건물 배치도상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설비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한다.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periodically receives (identification number, time, location value) and (identification number, time, body state value (heart rate)) from the user terminal, and (identification number, time) from the detection device And periodically receive facility information (gas concentration),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53, and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facility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worker's building layout.

도 5와 도 6은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5는 00발전소의 plant 전체 3D 이미지, 등록된 작업자 리스트, 작업자별 정보(전화번호 등), 심박수, 가스농도, plant 전체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6은 전체 PLANT 중 HRSG 건물의 3D 이미지, HRSG 건물에 위치하는 작업자 리스트, 작업자별 정보(전화번호 등), 심박수, 가스농도, HRSG 건물의 평면도를 보여준다.5 and 6 are display screens provided to the monitoring unit. FIG. 5 shows a plant 3D image of a 00 power plant, a registered worker list, worker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a heart rate, a gas concentration, and a plant overall plan view. Figure 6 shows a 3D image of the HRSG building of the entire PLANT, a list of workers located in the HRSG building, worker information (phone number, etc.), heart rate, gas concentration, a plan view of the HRSG building.

상기 제어부(52)는 위치 표시 모듈(54)을 이용하여 각 작업자의 위치값을 건물 배치도면 상에 마킹한다. 상기 위치 표시 모듈(54)은 상기 제어부(52)에서 처리되는 위치 표시 프로그램이다.The control unit 52 uses the position display module 54 to mark the position value of each worker on the building layout drawing. The position display module 54 is a position display program processed by the controller 52.

예를 들면, 상기 위치 표시 모듈은 저장부로부터 (식별번호, 시간, 위치값)을 불러오는 단계, 식별번호를 통해 등록된 작업자의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위치값을 통해 건물(예를 들면, HRSG), 건물층을 확인하고 및 해당층에 대한 평면도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평면도에 위치값(X, Y 좌표값)에 매칭되는 지점을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cation display module may be called (identification number, time, location value) from the storage unit, the step of retrieving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worker through the identification number, building (for example, HRSG) through the location value The method may include checking a building floor and bringing up a floor plan of the floor and marking a point matching a location value (X, Y coordinate value) on the floor plan.

상기 제어부는 해당 건물이 클릭되고, 상기 건물에 작업자가 있으면, 작업자의 정보(전화번호 등), 심박수, 작업자가 측정한 가스농도를 상기 저장부(53)에서 불러와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할 수 있다.If the building is clicked and there is an operator in the building, the controller can retrieve the operator's information (phone number, etc.), heart rate, and gas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operator from the storage unit 53 and display it in the monitoring unit. have.

한편, 상기 제어부(52)는 신체 상태 정보와 가스 농도값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52 may provide a change in the body state information and the gas concentration value over time.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평면도를 2~n개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구획 범위에 포함되는 위치값에 대응되는 가스 농도값을 시간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작업자가 측정한 설비 정보(가스 농도)를 건물 배치도면의 설비 및 공간(2~n개의 구획)을 기준으로 시간에 따라 표시함으로서 설비 및 공간의 안전관리 상태를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52 may divide the plan view into 2 to n sections, and display a gas concentr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value included in the partition range over time. That is,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facility information (gas concentration) measured by a plurality of workers over time based on the facilities and spaces (2 to n compartments) of the building layout drawing, and thus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and spaces. Status can be monitored over time.

상기 제어부는 신체 상태 정보와 가스 농도값이 기준범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범위를 초과하거나 해당 범위 미만인 경우 위험 경보를 모니터링부(6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gas concentration value correspond to the reference range, and provide a danger alert to the monitoring unit 60 when the range exceeds or falls below the range.

상기 모니터링부(60)는 작업자의 사용자 단말과 실시간 음성 및 영상통화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가능하다. 즉, 관리자는 상기 모니터링부(60)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가스 농도 등 설비 정보나 신체 상태 등에 대한 위험 경보를 보낼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60 is capable of real-time voice and video calls with the user terminal of the operator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at is, the manager may use the monitoring unit 60 to send a risk alert to the operator, such as facility information or physical condition, such as gas concentration.

한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 받아 실시간으로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모니터링부(60)를 통해 작업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작업자에게 구체적인 작업 지시를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erver may receive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unit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manager may check the image of the workplace in real time through the monitoring unit 60 to give a specific work instruction to the work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 및 개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형예가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escription is merely to describe and disclose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recognize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4)

안전관리 어플이 실행되며, 작업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 ;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
상기 작업자가 휴대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설비 정보를 측정하여 송신하는 검지 장치 ;
작업자가 근무하는 건물 실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비콘 ;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검지 장치로부터 작업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설비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작업자의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및 설비 정보를 건물 배치도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 ; 및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받은 작업자의 건물 배치도상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및 설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작업자와의 음성 또는 영상통화로 작업자에 대한 위험 경보 또는 업무 지시를 수행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장치는 가스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의 설비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측정된 설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설비정보가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및 상기 설비정보, 측정 시간 및 상기 검지장치의 식별아이디를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장치의 식별아이디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식별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비콘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된 비콘 신호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신체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
복수 개의 비콘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 건물의 층, 층에서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위치값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산출하되, 각 층에서의 사용자 위치값을 3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식별 아이디, 사용자 위치값,상기 위치값에 대응되는 시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체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검지장치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작업자가 측정한 설비 정보를 건물 배치도면의 설비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라 표시하여 설비의 안전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is executed, the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operator;
A wearable device which checks a physical state of the worker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A detection device carried by the worker and configured to measure and transmit facility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 plurality of beacon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where the worker works;
A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worker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etection device,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worker on a building layout; And
The building layout information, the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worker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is displayed, and includes a monitoring unit for performing a hazard warning or work instruction to the worker by voice or video call with the worker,
The detection apparatus determines a sensor unit for measuring facility information of any one of gas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a storage unit for storing measured facility information, and whether the facility information falls within a reference range,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measurement.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time and an identification ID of the detection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detection device includes the same identification ID as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is
A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a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beacon and body state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From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to calculate the location value including the building, the floor of the building, the coordinates on the flo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user location value on each floor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Includes a processor,
The processor transmits an identification ID, a user location value, a tim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value, and physical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is a safe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onitoring the safety management status of the facility by displaying the equipment information measured by a plurality of operators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etection device over time based on the facilities of the building layout draw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검지 장치로부터 작업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및 설비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DB ;
제공된 각 작업자의 위치값을 건물 배치도면 상에 마킹하고, 작업자의 신체 상태 정보와 설비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신체 상태 정보와 설비 정보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A DB for receiving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of a worker in a building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detection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marking the position values of the workers provided on the building layout drawing, displaying the body state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f the worker, and providing the change of the body state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over 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20170091259A 2017-07-19 2017-07-19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KR101965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259A KR101965158B1 (en) 2017-07-19 2017-07-19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259A KR101965158B1 (en) 2017-07-19 2017-07-19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482A KR20190009482A (en) 2019-01-29
KR101965158B1 true KR101965158B1 (en) 2019-08-13

Family

ID=6532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259A KR101965158B1 (en) 2017-07-19 2017-07-19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249A (en)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3D modeling based worker location management system
KR102421983B1 (en) 2021-10-19 2022-07-19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orker safety management based on 3d 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685B1 (en) 2019-04-04 2021-11-01 (사)사단법인한국농식품아이씨티융복합산업협회 Smart Farm Workload Measurement Method
KR102286279B1 (en) * 2019-10-24 2021-08-05 (주)오픈웍스 Apparatus for Managing Safety of Brazi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82490B1 (en) * 2021-06-30 2023-09-2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KR102549306B1 (en) * 2022-04-01 2023-06-29 우기찬 Electric shock accident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watch
KR102538507B1 (en) * 2022-10-18 2023-05-31 (주)하이브시스템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orker safety management ser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46B1 (en) * 2016-05-26 2017-03-30 김대용 Industr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rtls
KR101726138B1 (en) * 2016-08-24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Safty management system in steel mill and safty management method in steel mill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57B1 (en) * 2015-04-22 2017-03-30 최상호 Safety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46B1 (en) * 2016-05-26 2017-03-30 김대용 Industr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rtls
KR101726138B1 (en) * 2016-08-24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Safty management system in steel mill and safty management method in steel mill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249A (en)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3D modeling based worker location management system
KR20210116357A (en)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3D modeling based worker location management system
KR102421983B1 (en) 2021-10-19 2022-07-19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orker safety management based on 3d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482A (en)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158B1 (en)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information of physical status and position
KR101970631B1 (en) Realtime Process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worker and facility information of position and status
US9619986B2 (en) Intelligent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control system, server, and method
KR101914228B1 (en) IOT 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Using the RTLS and Video Control Technology
US10665087B2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618931B2 (en) Position-monitoring device for persons in a tunnel system
JP6583384B2 (en) Plant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KR101755533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180090933A (en) Intelligent gas leakage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042632A (en) Observation-based event tracking
KR20200137906A (en) On-site manpower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KR101621836B1 (en) Gas leak detection and repair system using a hydrocarbon detection device
KR1017830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safety by using safety band
JP2020000402A (en) Safety belt hooking-forgetting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KR20070071569A (en) System for preventing a lost child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170142239A (en)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and
US20210304579A1 (en) Industrial plant monitoring system
JP2017091477A (en) Support system
JP6517547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position monitoring system
US20180356514A1 (en) Mobile beacon for locating building occupants
JP6644865B2 (en) Medical systems
JP7304713B2 (en) Location information system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JP6955902B2 (en) Transmitter maintenance and inspection support system
JP2020140453A (en) Disaster status recognizing system
JP7492374B2 (en) Location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